KR20080112912A - 흡출식 공기포장백과 그 포장방법 - Google Patents

흡출식 공기포장백과 그 포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2912A
KR20080112912A KR1020080006916A KR20080006916A KR20080112912A KR 20080112912 A KR20080112912 A KR 20080112912A KR 1020080006916 A KR1020080006916 A KR 1020080006916A KR 20080006916 A KR20080006916 A KR 20080006916A KR 20080112912 A KR20080112912 A KR 200801129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
sealing
column
she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6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5350B1 (ko
Inventor
치에 후아 리아오
요 신 리아오
야오 추안 리아오
Original Assignee
치에 후아 리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에 후아 리아오 filed Critical 치에 후아 리아오
Publication of KR20080112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2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3Wrappers or envelopes with shock-absorbing properties, e.g. bubble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 B65D81/0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filled with fluid, e.g. inflata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1/00Bags or like containers made of paper and having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31/14Valve bags, i.e. with valves for f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출식 공기포장백과 그 포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기기둥체를 접어서 제 1 완충벽과 제 2 완충벽을 형성하되, 그 양 측변을 열밀봉 접착하여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포장물품을 넣은 후, 수용공간 내의 공기를 흡출함으로써 제 1 완충벽과 제 2 완충벽이 포장물품을 압착고정하도록 함으로써, 공기포장백의 흔들림에도 포장물품은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공기포장백, 에어백, 흡출식 공기포장백, 물품 포장

Description

흡출식 공기포장백과 그 포장방법{Air evacuative binding type air packing bag and pack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포장백과 그 포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흡출식 공기포장백과 그 포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을 포장할 경우, 물품을 직접 종이상자 안에 넣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종이상자는 물품을 포장할 뿐 완충보호 기능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운반시 물품이 쉽게 흔들리고 손상을 받게 된다. 따라서 물건 포장시 많은 경우 완충재료를 넣음으로써 종이상자의 완충보호기능을 제고시킨다. 일반적으로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폼(foam) 재료인데, 물품과 종이상자 사이에 채워져, 폼(foam) 재료의 연질성이 물품을 보호하고 완충보호작용을 하게 된다. 그러나, 폼(foam) 재료는 고가이기 때문에, 포장비용을 상승시켜 비경제이고, 또한 폼(foam) 재료는 사후처리가 쉽지 않고, 쉽게 환경문제를 야기시킨다. 더구나 폼(foam) 재료는 물품의 표면에 쉽게 압착되어, 충격방지의 효과를 떨어뜨리고, 종종 물품이 충격에 의해 훼손되기도 한다.
그 이외에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완충재료로 스틸로폼(styrofoam)이 있는 데, 먼저 스틸로폼으로 물품을 포장하고, 이를 종이상자에 넣어 물품 운반 과정 중의 충격을 방지하도록 한다. 비록 스틸로폼이 물품의 흔들림으로 인한 훼손을 방지한다 하더라도, 스틸로폼은 가볍지만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어렵고, 소각할 경우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발산하게 되므로,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를 야기시킨다. 환경보호문제가 급부상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스틸로폼은 이상적인 완충재료라고 할 수 없다. 또한 물품의 크기가 다를 경우, 포장을 위해 스틸로폼을 공용할 수 없기 때문에, 각기 다른 크기의 스틸로폼을 사용해야 하고, 따라서 자원의 낭비와 물품 포장 비용을 상승시키게 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박막을 열밀봉 접착하여 공기포장백을 만들게 되었는데, 그 공기포장백은 물품의 뾰족한 예각이나, 쇠붙이 모서리에 의해 쉽게 뚫어지고, 일단 작은 구멍이 생기게 되면 공기포장백의 공기가 세어 나오게 되어, 공기포장백의 완충보호작용을 상실하게 되어, 물품의 포장비용을 높이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기포장백의 플라스틱 박막을 강화하거나 두께를 두텁게 하여, 물품의 포장에 구멍이 뚫릴 수 있는 확률을 줄일 수 있으나, 연속적인 대량생산 시스템에서 공기포장백의 특정 단일면을 강화하거나 두께를 두텁게 하는 것은 어렵고, 따라서 공기포장백 전체를 강화하거나 두께를 두텁게 해야 하는데, 이로 인해 제작비용이 대폭 증가되어 시장경쟁력을 상실하게 된다.
상술한 내용을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어떻게 우수한 완충보호작용을 하는 포장재를 제공하여, 물품 운반시 충격으로부터의 훼손이나 긁히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종래 완충재료가 유발하는 환경오염문제를 해결하고 완충포장재의 비 용을 절감시킬 것인가는, 본 발명의 발명자와 본 발명과 상관된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가 시급하게 해결해야 하는 과제가 되었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기둥체를 접어서 제 1 완충벽과 제 2 완충벽을 형성하되, 그 양 측변을 열밀봉 접착하여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포장물품을 넣은 후, 수용공간 내의 공기를 흡출함으로써 제 1 완충벽과 제 2 완충벽이 포장물품을 압착고정하도록 함으로써, 공기포장백의 흔들거림에도 포장물품은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흡출식 공기포장백 및 그 포장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흡출식 공기포장백은, 상하로 적층된 두 장의 외막; 두 장의 외막 사이에 삽입되는 두 장의 내막으로, 그 사이가 내열재료로 도포되는 두 장의 내막; 열밀봉수단에 의해 두 장의 외막을 열밀봉 접착하여 형성되되, 공기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공기기둥; 공기기둥의 측변에 위치하는 공기충진통로; 열밀봉수단에 의해 두 장의 내막을 열밀봉 접착하여 형성된 것으로, 공기기둥과 공기충진통로를 연통시키는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공기주입구; 공기기둥의 일측을 접어서 형성하는 제 1 완충벽; 공기기둥의 다른 일측을 접어서 형성하는 제 2 완충벽; 및 제 1 완충벽과 제 2 완충벽 사이에 위치하여 형성된 것으로, 포장물품이 수용된 후, 공기를 흡출하여 제 1 완충벽과 제 2 완충벽이 포장물품에 압착되 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흡출식 공기포장백의 포장방법은, 두 장의 내막을 제공하는 단계; 두 장의 외막을 적층시켜, 두 장의 내막이 두 장의 외막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 외막과 내막을 열밀봉 접착하여, 외막은 하나 이상의 공기기둥을 형성하도록 하고, 내막은 다른 막과 열밀봉 접착되지 않은 부분에서 하나 이상의 공기주입구를 형성하도록 하되, 각각의 공기주입구와 공기기둥이 서로 대응되도록 하는 단계; 공기기둥을 접어서 제 1 완충벽과 제 2 완충벽을 형성하는 단계; 제 1 완충벽과 제 2 완충벽의 양 측변을 열밀봉 접착하여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포장물품을 수용공간에 넣는 단계; 및 수용공간 내의 공기를 흡출하여 제 1 완충벽과 제 2 완충벽이 포장물품에 압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포장물품을 수용공간에 넣은 후, 공기기둥이 팽창될 때, 수용공간 내의 공기를 흡출함으로써 제 1 완충벽과 제 2 완충벽이 포장물품을 압착고정하도록 함으로써, 공기포장백의 흔들림에도 포장물품은 영향을 받지 않게 되고, 포장물품에 대한 완충보호 기능을 강화하여, 공기포장백에 의해 포장물품이 훼손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그 기능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데, 이를 참조한다. 도 1은 공기가 충진된 후의 입체설명도이고, 도 2는 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평면도 이며, 도 3a는 공기가 충진된 후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부분확대도이다.
흡출식 공기포장백은 공기기둥체(2), 수용공간(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기기둥체(2)는, 하나 이상의 공기기둥(20)에 의해 형성되는데, 상기 공기기둥체(2)는 접혀져서 제 1 완충벽(21)과 제 2 완충벽(22)을 형성한다. 또한 각 공기기둥(20)은, 공기를 공기기둥(20)에 주입하여 충진팽창시키는데 사용되는 공기주입구(2e)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개시하는 공기기둥체(2)는 두 장의 외막(2a, 2b)을 상하로 적층시킨 후, 두 장의 외막(2a, 2b) 사이에 두 장의 내막(1a, 1b)이 위치되도록 하고, 열밀봉수단에 의해 열밀봉점(2c)을 생성시켜, 외막(2a)과 내막(1a), 외막(2b)과 내막(1b)을 연접시킨다. 두 장의 외막(2a, 2b)이 열밀봉 접착되고, 동시에 두 장의 내막(1a, 1b)도 열밀봉 접착되는데, 두 장의 외막(2a, 2b) 사이에 공기기둥(20)이 형성된다. 두 장의 내막(1a, 1b) 사이는 내열재료(1c)가 도포된 후, 열밀봉수단에 의해 두 장의 내막(1a, 1b)이 접착되지 않은 부분에서, 공기기둥(20)과 외부를 서로 연통시키는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공기주입구(2e)를 형성한다. 또한, 공기주입구(2e) 각각은 모두 공기통로(14)와 연접되어 있는데, 공기통로(14)는 두 장의 내막(1a, 1b) 사이를 내열재료로 도포(1c)한 후, 열밀봉수단에 의해 두 장의 내막(1a, 1b)을 접착하여, 두 장의 내막(1a, 1b) 사이에 형성된 것이다.
수용공간(10)은, 제 1 완충벽(21)과 제 2 완충벽(22)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포장물품(100)을 수용하는데 사용된다. 수용공간(10)은 그 내부 공기를 흡출하여 제 1 완충벽(21)과 제 2 완충벽(22)이 포장물품(100)을 압착고정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공기흡출부(5)에 의해 수용공간(10)의 공기를 흡출하여, 수용공간(10)이 진공상태에 근접하게 하거나 진공상태가 되도록 한다.
공기포장백은 또한 공기기둥(20)의 측변에 위치하는 공기충진통로(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공기기둥(20)은 공기충진통로(9)의 일측에 나란히 배열되어, 공기주입구(2e)에 의해 공기기둥(20)과 공기충진통로(9)가 연통되도록 한다. 이 때 공기충진통로(9)는 두 장의 외막(2a, 2b)을 열밀봉 접착하여 공기가 유통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공기퉁진통로(9)의 일단에는 공기충진구(9a)가 형성된다. 공기충진구(9a)에 진입한 공기는 공기충진통로(9)를 팽창시키고, 두 장의 외막(2a, 2b)이 외부를 향해 열리게 되는데, 이 때 동시에 열밀봉점(2c)에 의해 두 장의 내막(1a, 1b)이 외부를 향해 펴져 열리게 되고, 그에 따라 공기주입구(2e)가 열리게 됨으로써, 공기가 공기통로(14)를 따라 공기기둥(20)에 진입하게 된다. 공기기둥(20)이 충진팽창된 후, 공기기둥(20)의 공기의 내부압력이 두 장의 내막(1a, 1b)을 압박하여 외막(2a 또는 2b)에 밀착시키고(구조에 따라서는, 두 장의 내막(1a, 1b)이 외막(2a 또는 2b)에 밀착되지 않고, 공기기둥(20)에 매달려 있을 수도 있다), 공기통로(14)를 막고 공기기둥(20)을 봉쇄하여, 공기기둥(20) 내의 공기가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하여 공기밀폐의 효과를 달성하게 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데, 이를 참조한다. 도 4는 공기 흡출 당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공기 흡출 후의 단면도이다.
사용자는 포장물품(100)을 수용공간(10)에 넣어, 제 1 완충벽(21)과 제 2 완충벽(22)이 포장물품(100)을 밀착고정하도록 한다. 나아가 수용공간(10) 내부의 공 기를 흡출시켜 제 1 완충벽(21)과 제 2 완충벽(22)이 포장물품(100)에 더욱 밀착되도록 하여, 공기포장백의 흔들거림에도 포장물품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공기가 흡출된 후, 열밀봉수단에 의해 두 장의 외막(2a, 2b)을 접착시켜 수용공간(10)을 봉쇄시키고, 포장물품(100)이 수용공간(10)에서 이탈되어 나오지 못하게 한다.
포장물품(100)이 수용공간(10)에 고정되어 공기포장백의 흔들거림에도 포장물품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포장물품(100)의 완충보호 기능을 강화시킨 것이다. 또한, 포장물품(100)이 돌출된 면이나 각, 모서리 등의 뾰족한 형상을 하고 있는 경우, 포장물품(100)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공기포장백이 물품의 뾰족한 부위에 닿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공기포장백은, 우선 포장물품(100)을 수용공간(10)에 넣고 공기기둥체(2)를 충진팽창시키거나, 또는 우선 공기기둥체(2)를 충진팽창시키고 나서 포장물품(100)을 수용공간(10)을 넣을 수도 있다. 일단 충진팽창과 포장물품(100)의 적치가 완료되었으면, 공기흡출을 진행한다. 그 밖에, 우선 포장물품(100)을 수용공간(10)에 넣고, 공기를 흡출한 후, 공기기둥체(2)를 충진팽창시킬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평면도인데, 이를 참조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공기기둥(20)과 공기기둥(20) 사이에 절단선(8)이 형성되어 있는데, 사용자는 절단선(8)을 따라 절개하여 각 공기기둥(20)이 모두 독립적으로 사용되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필요한 만큼의 공기기둥(20)의 수량을 절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서 공기가 충진된 후의 입체설명도인데, 이를 참조한다.
공기기둥체(2)에 하나의 공기기둥(20)과 다수의 공기주입구(2e)가 형성되어 있는데, 공기는 다수의 공기통로(14)에 주입되어 공기기둥(20)에 진입하여, 공기기둥(20)이 빠르게 충진팽창될 수 있다.
도 8,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인데, 이를 참조한다. 도 8은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평면도이고, 도 9는 공기가 충진된 후의 단면도이며, 도 10은 공기 흡출 후의 단면도이다.
공기포장백은 공기기둥(20) 상에 하나 이상의 열압착점(20a)과 하나 이상의 고리부(20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열압착점(20a)은 두 장의 외막(2a, 2b)을 열밀봉 접착하여 형성되는데, 각 고리부(20b)가 모두 각 열압착점(20a)을 둘러 싸게 형성된다. 공기기둥(20)이 충진팽창되고, 포장물품(100)이 열압착점(20a)에 끼워진 후, 고리부(20b)가 포장물품(100)을 덮어싸게 된다. 이 때 공기흡출부(5)가 수용공간(10)의 공기를 흡출하도록 하여, 포장물품(100)이 공기포장백의 흔들거림에도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포장물품(100)의 완충보호 기능을 더욱 강화시킨다.
본 발명이 개시하는 구조에서는, 공기기둥(20)에 설치된 각 고리부(20b)는 서로 연통되어 있어, 공기기둥(20)이 충진팽창될 때, 설치된 각 고리부(20b)는 모두 공기기둥(20)과 더불어 충진팽창된다. 또한 이웃하는 공기기둥에 설치된 고리부(20b)는 서로 교착배열되어 있어, 이웃하는 공기기둥(20)에 설치된 고리부(20b) 와는 서로 연통되지 않는다.
흡출식 공기포장백의 포장방법은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1 단계 : 공기기둥체(2)를 제공한다.
공기기둥체(2)는 하나 이상의 공기기둥(20)에 의해 형성되는데, 접혀져서 제 1 완충벽(21)과 제 2 완충벽(22)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로 적층된 두 장의 외막(2a, 2b)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열밀봉수단에 의해 두 장의 외막(2a, 2b)을 열밀봉 접착시켜 공기기둥(20)을 형성한다. 두 장의 내막(1a, 1b) 사이에는 내열재료(1c)를 도포시키고, 열밀봉수단에 의해 두 장의 내막(1a, 1b)이 접착되지 않은 부분에서, 공기기둥(20)과 외부를 서로 연통시키는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공기주입구(2e)를 형성하는데, 각 공기주입구(2e)는 모두 공기통로(14)와 연접되어 있다. 또한 공기포장백은 공기기둥(20)의 측변에 위치하는 공기충진통로(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공기충진통로(9)의 일단에는 공기충진구(9a)가 형성된다.
2 단계 : 공기기둥체(2)를 접어서 제 1 완충벽(21)과 제 2 완충벽(22)을 형성한다.
공기기둥체(2)는 접혀서 U자 형상을 갖추게 되는데, U자 형상의 양측 공기기둥(20)이 제 1 완충벽(21)과 제 2 완충벽(22)이 된다.
3 단계 : 제 1 완충벽(21)과 제 2 완충벽(22)의 양 측변을 열밀봉 접착하여 수용공간(10)을 형성한다.
U자 형상의 공기기둥체(2)는 제 1 완충벽(21)과 제 2 완충벽(22)의 양 측변을 열밀봉 접착하여, 제 1 완충벽(21)과 제 2 완충벽(22) 사이에 수용공간(10)을 형성하고, 포장물품(100)을 수용하는데 사용한다.
또한 3 단계 후에, 공기기둥(20)의 측변에 절단선(8)을 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절단선(8)을 절개하여, 각 공기기둥(20)을 독립적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4 단계 : 포장물품(100)을 수용공간(10)에 넣는다.
5 단계 :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흡출하여, 제 1 완충벽(21)과 제 2 완충벽(22)이 포장물품(100)에 압착되도록 한다.
이 때, 사용자는 공기흡출부(5)에 의해 수용공간(10)의 공기를 흡출하여, 수용공간(10)이 진공상태에 근접하게 하거나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여, 제 1 완충벽(21)과 제 2 완충벽(22)이 포장물품(100)에 압착되어, 포장물품(100)이 수용공간(10)에 고정됨으로써 공기포장백의 흔들거림에도 포장물품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포장물품(100)의 완충보호 기능을 강화하고, 나아가 포장물품(100)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공기포장백이 포장물품(100)의 뾰족한 부위에 닿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이 개시하는 방법은, 공기를 흡출한 후에, 열밀봉수단에 의해 두 장의 외막(2a, 2b)을 접착하여 수용공간(10)을 봉쇄시켜, 포장물품(100)이 수용공간(10)에서 이탈되어 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가 포장물품(100)을 수용공간에 넣을 때. 두 장의 외막(2a, 2b)이 외부를 향해 열리게 됨에 따라 공기주입구(2e)가 열리게 되고, 공기충진통로(9)의 공기가 공기통로(14)를 따라 공기기둥(20)에 진입하게 되어, 공기기둥(20)이 충진 팽 창된다. 공기기둥(20)이 충진 팽창 된 후, 공기기둥(20)의 공기의 내부압력이 두 장의 내막(1a, 1b)을 압박하여 외막(2a 또는 2b)에 밀착시키고(구조에 따라서는, 두 장의 내막(1a, 1b)이 외막(2a 또는 2b)에 밀착되지 않고, 공기기둥(20)에 매달려 있을 수도 있다), 공기통로(14)를 막고 공기기둥(20)을 봉쇄하여, 공기기둥(20) 내의 공기가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하여 공기밀폐의 효과를 달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두 장의 외막(2a, 2b)을 열밀봉하여 공기기둥(20) 상에 열압착점(20a)을 형성하되, 열압착점(20a) 외부에 고리부(20b)를 형성하여, 각 고리부(20b)가 모두 각 열압착점(20a)을 둘러 싸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공기기둥(20)이 충진팽창되고, 포장물품(100)이 열압착점(20a)에 끼워진 후, 고리부(20b)가 포장물품(100)을 덮어싸게 된다. 이때, 공기기둥(20)에 설치된 각 고리부(20b)는 서로 연통되어 있어, 공기기둥(20)이 충진팽창될 때, 설치된 각 고리부(20b)는 모두 공기기둥(20)과 더불어 충진팽창 된다.
본 발명의 공기포장백은, 우선 포장물품(100)을 수용공간(10)에 넣고 공기기둥체(2)를 충진팽창시키거나, 또는 우선 공기기둥체(2)를 충진팽창시키고 나서 포장물품(100)을 수용공간(10)을 넣을 수도 있다. 일단 충진팽창과 포장물품(100)의 적치가 완료되었으면, 공기흡출을 진행한다. 그 밖에, 우선 포장물품(100)을 수용공간(10)에 넣고, 공기를 흡출한 후, 공기기둥체(2)를 충진팽칭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공기충진통로(9)가 두 장의 외막(2a, 2b)을 열밀봉 접착하여 형성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의 공기충진통로(9)는 단순히 두 장의 외막(2a, 2b)을 열밀봉 접착하여 형성된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두 장의 내막(1a, 1b)을 열밀봉 접착하여 공기충진통로(9)를 형성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본 발명의 포장물품(100)은 수용공간(10)에 고정됨으로써, 공기포장백의 흔들거림에도 영향을 받지 않아, 포장물품(100)의 완충보호 기능을 강화하고, 나아가 포장물품(100)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공기포장백이 포장물품(100)의 뾰족한 부위에 닿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 밖에 본 발명은 외막(2a, 2b)을 별도로 강화시킬 필요가 없어, 공기포장백의 제작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로서 든 실시태양에 불과한 것으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공기가 충진된 후의 입체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공기가 충진된 후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공기 흡출 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공기 흡출 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서 공기가 충진된 후의 입체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서 공기가 충진되기 전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서 공기가 충진된 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로서 공기 흡출 후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b : 내막 1c : 내열재료 14 : 공기통로
2 : 공기기둥체 2a,2b : 외막 2c : 열밀봉점
2e : 공기주입구 10 : 수용공간 20 : 공기기둥
20a : 열압착점 20b : 고리부 21 : 제 1 완충벽
22 : 제 2 완충벽 5 : 공기흡출부 8 : 절단선
9 : 공기충진통로 9a : 공기충진구 100 : 포장물품

Claims (18)

  1. 상하로 적층된 두 장의 외막;
    상기 두 장의 외막 사이에 삽입되는 두 장의 내막으로, 그 사이가 내열재료로 도포되는 두 장의 내막;
    열밀봉수단에 의해 상기 두 장의 외막을 열밀봉 접착하여 형성되되, 공기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공기기둥;
    상기 공기기둥의 측변에 위치하는 공기충진통로;
    열밀봉수단에 의해 상기 두 장의 내막을 열밀봉 접착하여 형성된 것으로, 상기 공기기둥과 상기 공기충진통로를 연통시키고, 상기 공기충진통로의 공기를 통과시켜 상기 공기기둥을 충진팽창시킨 후, 상기 공기기둥의 공기가 상기 두 장의 내막을 압박하여 공기를 봉쇄하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공기주입구;
    상기 공기기둥의 일측을 접어서 형성하는 제 1 완충벽;
    상기 공기기둥의 다른 일측을 접어서 형성하는 제 2 완충벽; 및
    상기 제 1 완충벽과 제 2 완충벽 사이에 위치하여 형성된 것으로, 포장물품이 수용된 후, 공기를 흡출하여 상기 제 1 완충벽과 제 2 완충벽이 상기 포장물품에 압착되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흡출식 공기포장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를 흡출하는데 사용되는 공기흡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흡출식 공기포장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충진통로는 열밀봉수단에 의해 상기 두 장의 외막, 상기 두 장의 내막 중의 어느 하나를 열밀봉 접착하여 형성된 흡출식 공기포장백.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기둥은 하나 이상의 열압착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공기기둥이 충진팽창 될 때, 상기 포장물품이 상기 열압착점에 끼워지게 되는 흡출식 공기포장백.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기둥은 상기 열압착점을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고리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포장물품이 상기 열압착점에 끼워진 후, 상기 고리부가 상기 포장물품을 덮어싸게 되는 흡출식 공기포장백.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기둥의 각 고리부는 서로 연통되는 흡출식 공기포장백.
  7. 제 6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상기 공기기둥에 위치하는 고리부는 교착배열되는 흡출식 공기포장백.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기둥의 측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절단선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흡출식 공기포장백.
  9. 두 장의 내막을 제공하는 단계;
    두 장의 외막을 적층시켜, 상기 두 장의 내막이 상기 두 장의 외막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외막과 상기 내막을 열밀봉 접착하여, 상기 외막은 하나 이상의 공기기둥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내막은 다른 막과 열밀봉 접착되지 않은 부분에서 하나 이상의 공기주입구를 형성하도록 하되, 각각의 상기 공기주입구와 공기기둥이 서로 대응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공기기둥을 접어서 제 1 완충벽과 제 2 완충벽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완충벽과 제 2 완충벽의 양 측변을 열밀봉 접착하여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포장물품을 상기 수용공간에 넣는 단계; 및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를 흡출하여, 상기 제 1 완충벽과 제 2 완충벽이 포장물품에 압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흡출식 공기포장백의 포장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외막과 상기 내막을 열밀봉 접착하는 단계는, 상기 두 장의 내막을 열밀봉 접착하여, 상기 공기기둥의 측변에 공기충진통로를 형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공기충진통로의 공기는 상기 공기주입구 각각을 경유하여 상기 공기기둥 각각에 주입되는 흡출식 공기포장백의 포장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외막과 상기 내막을 열밀봉 접착하는 단계는, 상기 두 장의 외막을 열밀봉 접착하여, 상기 공기기둥의 측변에 공기충진통로를 형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공기충진통로의 공기는 상기 공기주입구 각각을 경유하여 상기 공기기둥 각각에 주입되는 흡출식 공기포장백의 포장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외막과 상기 내막을 열밀봉 접착하는 단계 후에, 상기 외막을 열밀봉 접착하여 상기 공기기둥에 하나 이상의 열압착점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흡출식 공기포장백의 포장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막과 상기 내막을 열밀봉 접착하는 단계 후에, 상기 외막을 열밀봉 접착하여 상기 공기기둥에 하나 이상의 고리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리부 각각이 하나의 상기 열압착점을 둘러싸도록 하는 흡출식 공기포장백의 포장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외막과 상기 내막을 열밀봉 접착하는 단계 후에, 공기가 상기 공기주입구 각각을 경유하여 상기 공기기둥 각각에 주입되는 흡출식 공기포장백의 포장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물품을 상기 수용공간에 넣는 단계 후에, 공기가 상기 공기주입구 각각을 경유하여 상기 공기기둥 각각에 주입되는 흡출식 공기포장백의 포장방법.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내의 공기를 흡출하는 단계 후에, 공기가 상기 공기주입구 각각을 경유하여 상기 공기기둥 각각에 주입되는 흡출식 공기포장백의 포장방법.
  17.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내의 공기를 흡출하는 단계 후에, 상기 두 장의 외막을 열밀봉 접착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봉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흡출식 공기포장백의 포장방법.
  18.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외막과 상기 내막을 열밀봉 접착하는 단계 후에, 상기 공기기둥의 측변에 위치하는 절단선을 제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흡출식 공기포장백의 포장방법.
KR1020080006916A 2007-06-22 2008-01-23 흡출식 공기포장백과 그 포장방법 KR1009653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6122627 2007-06-22
TW096122627A TW200900333A (en) 2007-06-22 2007-06-22 Vacuum sucking and binding air packaging bag and packag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2912A true KR20080112912A (ko) 2008-12-26
KR100965350B1 KR100965350B1 (ko) 2010-06-22

Family

ID=39790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6916A KR100965350B1 (ko) 2007-06-22 2008-01-23 흡출식 공기포장백과 그 포장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681734B2 (ko)
EP (1) EP2006217B1 (ko)
JP (1) JP4922913B2 (ko)
KR (1) KR100965350B1 (ko)
TW (1) TW20090033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501B1 (ko) * 2008-04-22 2010-03-17 인디스에어 주식회사 완충 포장 주머니
KR101291491B1 (ko) * 2010-07-27 2013-07-30 요 신 리아오 자연 열림식 공기 밸브가 있는 공기 밀봉체
KR200477093Y1 (ko) * 2014-06-12 2015-05-06 박범진 공기 주입식 완충 포장 봉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823116A (en) * 2006-11-17 2008-06-01 Yao-Sin Liao Air enclosure with independent double-layer air chambers
US20080175522A1 (en) * 2007-01-18 2008-07-24 Chin-Hsin Chuang Packing bag having a drawing structure
TW200848328A (en) * 2007-06-04 2008-12-16 Chieh-Hua Liao Air packing bag for tightly holding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069987B2 (en) * 2008-03-13 2011-12-06 Anthony Choy Vacuum activated shipping container
US9085405B2 (en) 2008-10-22 2015-07-21 Sealed Air Corporation (Us) Inflatable structure for packaging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s
US9004758B2 (en) * 2008-10-22 2015-04-14 Sealed Air Corporation (Us) Inflatable structure for packaging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
US8272510B2 (en) * 2008-10-22 2012-09-25 Sealed Air Corporation (Us) Inflatable structure for packaging and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
US8568029B2 (en) * 2009-05-05 2013-10-29 Sealed Air Corporation (Us) Inflatable mailer,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9623622B2 (en) 2010-02-24 2017-04-18 Michael Baines Packaging materials and methods
TW201130719A (en) * 2010-03-09 2011-09-16 Air Bag Packing Co Ltd Vacuum hammock type shock-proof cover
KR101378073B1 (ko) * 2010-11-05 2014-03-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실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US8936156B1 (en) * 2012-04-05 2015-01-20 Inflatable Packaging, Inc. Inflatable packaging cushion with product suspension pocket
CN102717973B (zh) * 2012-06-20 2014-04-02 苏州亚比斯复合材料有限公司 具有缓冲功能的包装袋
WO2014088219A1 (ko) * 2012-12-03 2014-06-12 인디스에어(주) 완충 포장백,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KR101483764B1 (ko) * 2013-03-05 2015-01-16 인디스에어 주식회사 포장대상체 고정수단을 구비한 완충 포장백 및 그 제조방법
US8978693B2 (en) 2013-01-28 2015-03-17 Windcatcher Technology LLC Inflation valve allowing for rapid inflation and deflation of an inflatable object
US9321236B2 (en) 2013-06-25 2016-04-26 Sealed Air Corporation (Us) Automated inflation device
JP2017501060A (ja) * 2013-11-06 2017-01-1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可撓性容器及びこれを形成する方法
US10233006B2 (en) * 2017-08-18 2019-03-19 Tai-an LIAO Airtight sheath being adjustable in size for packing
USD843677S1 (en) * 2017-08-23 2019-03-19 Helmut Elze Load securement system
TWI666153B (zh) * 2019-02-23 2019-07-21 亞比斯包材工場股份有限公司 具保護基座的充氣袋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9283A (ja) * 1988-07-04 1990-01-23 Kiyoshi Takaura 注入しやすい弁体つき気密袋
JP2857638B2 (ja) * 1995-10-31 1999-02-17 株式会社サンエー化研 送品用緩衝性包装袋
US5875897A (en) * 1997-03-31 1999-03-02 Motorola, Inc. Packaging apparatus and method
JP3015323B2 (ja) * 1997-05-29 2000-03-06 株式会社ヤマモン 包装袋
DE19913408C2 (de) * 1999-03-25 2003-04-10 Johannes Loersch Kunststoffschlauch zur Herstellung gasgefüllter Füllkörper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2001240138A (ja) 2000-02-25 2001-09-04 Toshikatsu Ouchi 包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004267B2 (ja) * 2001-10-16 2007-11-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緩衝包装袋および包装構造
JP2003137352A (ja) 2001-11-07 2003-05-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緩衝包装袋
JP3590609B2 (ja) 2001-12-10 2004-11-17 株式会社柏原製袋 気体密封袋
US20050109656A1 (en) 2002-02-27 2005-05-26 Ishizaki Shizai Co., Ltd Plastic film bag with air cushioning function
US20040149618A1 (en) 2003-01-20 2004-08-05 Mentec Kanzai Inc. Shock absorber
JP3639834B2 (ja) 2003-05-19 2005-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梱包部材、及び、梱包部材を用いた梱包方法、及び、梱包部材の製造方法
DE202004006033U1 (de) * 2004-04-14 2004-09-09 Camry Packing Industrial Ltd., Sindian Ventilmechanismus der Blasen eines Luftverpackungsbeutels
KR200397141Y1 (ko) * 2005-07-13 2005-09-28 (주)에어텍네츄럴 공기 주입식 완충 포장재 구조
EP1973805A4 (en) * 2005-10-15 2009-11-11 Air Paq Inc STRUCTURE FOR A AIR PACKAGING DEVICE WITH EMPTYING SLITTING CIRCUITS FOR REMOVING AIR THEREOF
TWM297919U (en) 2006-03-17 2006-09-21 Leadpak Ind Co Ltd Inlet of air packing ba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501B1 (ko) * 2008-04-22 2010-03-17 인디스에어 주식회사 완충 포장 주머니
KR101291491B1 (ko) * 2010-07-27 2013-07-30 요 신 리아오 자연 열림식 공기 밸브가 있는 공기 밀봉체
KR200477093Y1 (ko) * 2014-06-12 2015-05-06 박범진 공기 주입식 완충 포장 봉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5350B1 (ko) 2010-06-22
US8176715B2 (en) 2012-05-15
JP2009001337A (ja) 2009-01-08
JP4922913B2 (ja) 2012-04-25
EP2006217A1 (en) 2008-12-24
EP2006217B1 (en) 2014-09-03
US20080313996A1 (en) 2008-12-25
TW200900333A (en) 2009-01-01
US7681734B2 (en) 2010-03-23
US20100139213A1 (en) 2010-06-10
TWI322123B (ko) 2010-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5350B1 (ko) 흡출식 공기포장백과 그 포장방법
KR100914823B1 (ko) 포장물품을 삽입하여 밀착시키는 공기포장백 및 그제작방법
KR100909766B1 (ko) 강화부를 갖는 공기밀봉체 및 그 제작방법
KR100767579B1 (ko) 공기밀봉체
JP4937880B2 (ja) 多段挟持式空気密封体
JP5562817B2 (ja) 弾性繊維の包装方法
JP4928527B2 (ja) 高圧気体を充填可能な空気密封体及びその気体逆止弁
JP2008074490A (ja) 複数層の異なる基材からなる緩衝パッキング装置
KR100971604B1 (ko) 연속적인 공기주입이 가능한 공기밀봉체의 공기주입장치와그 공기주입방법
JP2013047121A (ja) 繊維材料のベール化方法
JP4381431B2 (ja) 複数層異種基材を有するエアーシール体
JP2008127103A (ja) 独立式の二層エアチャンバーを持つエアシール体
JP2008162266A (ja) 二層密封袋式空気密封体の製造装置及び方法
TWM246317U (en) Air packing bag
JPWO2018225758A1 (ja) 梱包資材と梱包袋と梱包方法
CN218752496U (zh) 充气缓冲包装装置
CN208470559U (zh) 充气缓冲垫
CN211996997U (zh) 具有边角改良结构的气柱袋
TW201100303A (en) An inflatable and sealable gas bag having disconnected check valve
JP3112371U (ja) 緩衝包装袋およびその逆止弁
JPH03240676A (ja) 包装構造並びに包装方法
JP3975447B2 (ja) 空気充填型詰物材
JP2003155065A (ja) 緩衝用包装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166905A (ja) 気体収納方法
JP2003054639A (ja) 包装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