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1951A -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용 용접가스 제거장치와이를 이용한 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용 용접가스 제거장치와이를 이용한 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1951A
KR20080111951A KR1020070060553A KR20070060553A KR20080111951A KR 20080111951 A KR20080111951 A KR 20080111951A KR 1020070060553 A KR1020070060553 A KR 1020070060553A KR 20070060553 A KR20070060553 A KR 20070060553A KR 20080111951 A KR20080111951 A KR 20080111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welding
sheet member
thin plate
gas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0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9439B1 (ko
Inventor
박대호
Original Assignee
박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호 filed Critical 박대호
Priority to KR1020070060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9439B1/ko
Publication of KR20080111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1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 B21D5/1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08Making tubes with welded or soldered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용 용접가스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팍판의 강판부재를 성형부측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판상으로 구비하여 강판부재와의 접촉이 면접촉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박판의 강판부재 가이드 이송에 따른 웨이브됨 없이 이송되도록 하고, 강판부재의 이송에 따른 순차적으로 말림되도록 성형하는 성형부의 성형로울러를 박판의 강판부재를 성형가능하도록 양측면만이 곡면된 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함과 아울러 성형부에 의해 말림된 부재를 이송중에 연속적으로 용접하여 박판의 강판부재를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중공의 관으로 제조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폭은 좁고 길이방향으로 긴 0.2mm의 두께를 갖는 박판의 강판부재를 판상의 가이드부재를 통하여 웨이브됨 없이 가이드 이송시킴과 아울러, 이송되는 강판부재가 복수개의 성형로울러를 지나는 동안 순차적으로 만곡되게 말림시키면서 용접부에 의한 용접으로 관 제조가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것에 의해 달성되어 진다.
Figure P1020070060553
박판, 강판부재, 성형, 로울러, 용접, 관

Description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용 용접가스 제거장치와 이를 이용한 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An apparatus for removing wwlding gas for manufacturing the tube using thin steel backplate and a method for making thereof}
도 1은 일반적인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용 용접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된 관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장치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장치의 각 단계별 성형로울러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장치의 용접부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용 용접가스 제거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용 용접가스 제거장치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관 제조장치 200 ; 가이드부
300 ; 성형부 400 ; 압출부
500 ; 용접부 600 ; 가스배출부
700 ; 배출부
본 발명은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용 용접가스 제거장치와 이를 이용한 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박판의 강판부재를 복수개의 성형로울러에 의해 말림되어 이송중인 상태에서 가스배출부재로 인하여 용접가스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용접기에 의한 박판의 강판부재를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관으로 성형 제조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작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용 용접가스 제거장치와 이를 이용한 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송하는 중에 한 쌍으로 구성된 다수개의 로울러에 의해 말림시켜 중공의 관(파이프)로 제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각각의 단면 형상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로울러 및 용접기를 구비한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제조하게 된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강판부재를 이용한 중공의 관(파이프)으로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10)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롤타입으로 권취된 강판부재(A)를 회전가능하게 상,하단 한 쌍으로 구비된 이송로울러(21)로 이송시키는 이송부(20)와, 상기 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되는 강판부재(A)가 성형부로 이송중에 웨이브(굴곡) 또는 비틀림 없이 정확하게 이송가능하도록 전,후 및 좌,우로 4개의 로울러로 구성된 가이드로울러부(30)와, 상기 가이드로울러부(30)에 의해 이송되는 강판부재(A)를 이송시키면서 점차적으로 말림되게 그 단면 형상이 복수개의 성형로울러를 갖는 성형부(40)와, 상기 성형부에 의해 말림된 부재를 절단하기 위한 미도시된 절단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말림된 부재는 말림되는 끝단부를 겹친 후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스폿(SPOT)용접기(50)를 통하여 관으로 제조되어 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장치(10)는, 롤타입으로 권취된 강판부재(A)를 회전가능하게 상,하단 한 쌍으로 구비된 이송로울러(21)를 통하여 이송시키면, 상기 강판부재(A)는 그 양측면이 가이드부재의 외주면에 접촉하면서 가이드부(30)를 통하여 가이드되면서 성형부(40)로 이송되어 진 다.
상기 성형부(40)로 이송되는 강판부재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단면이 서로 다른 성형로울러들을 지나면서 점차적으로 말림되어 진다.
즉, 제1단계 성형로울러로부터 마지막 단계의 성형로울러를 지나는 동안 판상의 강판부재(A)에서 점차적으로 만곡되어 양단이 서로 일정부분 겹쳐진 원호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말림되어 진다.
상기 단계를 통하여 양단이 겹쳐지게 말림된 상태로 성형되며, 절단부를 통하여 일정 길이로 절단한 후 겹쳐진 부분을 스폿용접기(50)를 통하여 용접시켜 관으로 성형 제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 첫번째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강판부재를 가이드하기 위해 구비되는 가이드로울러와 강판부재의 접촉이 선접촉에 의한 가이드가 이루어지므로 0.2mm의 두께를 갖는 박판의 강판부재를 가이드 이송시 박판으로 인한 웨이브가 심하게 발생되어 제조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두번째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단계 성형로울러의 단면 형상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박판의 강판부재 즉, 0.2mm의 두께를 갖는 박판의 강판부재를 관으로 성형 제조하고자 할 경우, 단면 형상이 곡면으로 형성된 상기 제1단계 성형로울러에 의해 강판부재의 중아부가 가압에 의한 양단이 소정량 말림됨으로 인 하여 다음 단계의 성형로울러로 작업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세번째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제조장치는, 일련의 과정으로 통하여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하여 관을 성형 제조하는 것이 아니라, 성형부에 의해 양단이 겹쳐지도록 말림된 성형부재를 절단 후, 독립되게 구비되는 스폿용접기를 통하여 관으로 성형 제조하게 되므로 강판부재로부터 관으로 성형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그에 따른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하여 관으로 성형하기 위한 제조장치의 가이드부재를 이송로울러로부터 이송되는 강판부재와 면접촉으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한 쌍의 판상으로 구비하여 강판부재의 가이드시 면접촉으로 가이드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박판의 강판부재 가이드 이송에 따른 웨이브 즉, 굽힘되거나 휘어짐없이 가이드 이송시키도록 한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용 용접가스 제거장치와 이를 이용한 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이드부재를 통하여 가이드 이송되는 박판의 강판부재를 최초 성형하기 위한 제1단계 성형로울러의 단면 형상을 양측 끝단부만 곡면을 갖는 성형로울러로 구비함으로써, 0.2mm의 두께를 갖는 박판의 강판부재를 관으로 성형 제조가 가능하도록 한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용 용접가스 제거장치와 이를 이용한 관 제조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 제조장치에 가스용접기 및 용접시 발생되는 용접가스를 제거가능한 가스배출부재를 설치하여 박판의 강판부재가 제조장치를 통과하는 것만으로 관으로 성형 제조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박판의 강판부재를 관으로 성형 제조함에 있어,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제조가 이루어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용 용접가스 제거장치와 이를 이용한 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폭은 좁고 길이방향으로 긴 0.2mm의 두께를 갖는 박판의 강판부재를 판상의 가이드부재를 통하여 웨이브됨 없이 가이드 이송시킴과 아울러, 이송되는 강판부재가 복수개의 성형로울러를 지나는 동안 순차적으로 만곡되게 말림시키면서 용접부에 의한 용접으로 관 제조가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성형로울러를 지나는 동안 순차적으로 말림되는 부재의 외주면을 가압시켜 그 양선단부가 접촉됨에 따른 보다 안정된 용접이 가능하도록 상기 용접부에 근접되게 구비되는 압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로 구비되는 성형로울러를 지나는 동안 순차적으로 말림된 부재의 양선단부를 부재가 이송하는 중에 불량률 없이 연속적으로 용접시키기 위한 용접기가 구비된 용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용접부에는 말림되어 이송되는 관에 내설되어 용접시 발생되는 용접가스에 의해 용접부위의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용접에 의해 관이 이송됨에 따라 용접가스를 자동 배출시키기 위한 가스배출부재를 갖는 가스배출부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용 용접가스 제거장치와 이를 이용한 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기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면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은 박판의 강판부재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성형로울러를 순차적으로 지나는 동안 양선단부가 근접되게 말림되면 장치에 구비된 용접기 및 용접시 발생되는 용접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한 가스배출부재를 통하여 양선단부를 용접가능하게 함으로써,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박판의 강판부재를 관으로 제조하는 과정이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아울러 박판의 강판부재도 관으로 성형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음을 밝혀 둔다.
다음,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위와 같은 기본적인 개념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용 용접가스 제거장치와 이를 이용한 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설명한다.
먼저 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첨부된 도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징중의 하나인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용 용접가스 제거장치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한 용접가스 제거장치(1000)는 후술할 도 2에 도시된 용접부(500)의 용접기(511)에 의해 용접시 발생되는 용접가스로 인하여 용접의 용접부위에 불량이 발생됨을 방지하기 위해 용접에 따른 용접가스를 완제품으로 된 관의 이송과 함께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한 용접가스 제거장치(1000)는 후술할 상기 제6단계 성형로울러(360)의 후단에 위치되어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 일단이 고정되어 이송중인 말림되는 부재에 내설되는 연결바(611)와, 상기 연결바(611)의 타단에 일측면이 나사결합되어 위치 가변가능하도록 원기둥 단면을 갖는 가스배출부재(612)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스배출부재(612)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스배출용 슬릿홈(613)이 타측면까지 연통되게 요설된다.
상기 가스배출용 슬릿홈(613)은 용접에 의해 관으로 제조관 관의 이송시 가스배출이 용이하도록 4도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가스배출용 슬릿홈(613)의 경사각은 상기한 바와 같이 4도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용접에 따른 용접가스가 관내에 정체되지 않고 관이 이송과 같이 배출이 가능하도록 2도 내지 6도의 범위내에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스배출부재(612)는 말림되어 이송되는 부재에 내장 설치시 상기 부재의 내주면에 확경을 위한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가스배출용 슬릿홈(613)에 대향되는 외주면에 요설되는 가압력홈(6211)과, 상기 가압력홈(6211)에 삽입되되, 그 일단은 연결바(611)에 걸림 고정되는 한 쌍의 탄성부재(6212)와, 상기 가압력홈(6211)에 대응되는 단면으로 형성되고 일면에는 상기 탄성부재(6212)의 타단을 억지끼움시켜 상기 가스배출부재(612)의 외주면보다 더 돌출되게 가압편(6213)이 구비된다.
상기한 용접가스 제거장치가 구비되어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하여 관으로 제조하기 위한 장치가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 제조장치는 약한 외력에도 쉽게 웨이브가 발생되거나 비틀림이 생기는 박판의 강판부재(W) 즉, 0.2mm의 두께를 갖는 강판부재를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관으로 성형 제조하기 위한 장치이다.
아울러, 상기 관 성형장치는 0.2mm의 두께를 갖는 박판의 강판부재만을 제조가능한 장치는 아니며, 0.5mm 이하부터 0.18mm 이상의 두께를 갖는 박판의 강판부재를 관으로 성형 제조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0.2mm의 두께를 갖는 박판의 강판부재를 일례로 하여 장치를 통한 관 제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본 발명 관 제조장치(100)는, 롤타입으로 권취된 0.2mm의 두께를 갖 는 박판의 강판부재(W)를 베이스에 구비되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이송로울러(111)를 갖는 이송부(110)로부터 이송되는 강판부재(W)를 면접촉에 의한 가이드 이송시키도록 소정 거리 이격되어 좌,우측에 상,하단 한 쌍으로 구비되는 판상의 가이드부재(211)를 갖는 가이드부(200)와, 상기 가이드부(200)를 통하여 균일하게 이송되는 강판부재(W)를 이송중에 순차적으로 말림시켜 양선단부가 근접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 복수개의 성형로울러(310,320,330,340,350,360,370,380)를 갖는 성형부(300)와, 상기 성형부(300)에 의해 말림되어 이송되는 부재를 관통시켜 양선단부를 상호 접촉시키도록 중공의 압출용부재(412)를 갖는 압출부(400)와, 상기 압출부(400)를 통과한 부재의 양선단부를 이송중에 연속적으로 용접하여 일체형의 관으로 제조하기 위한 용접기(511)가 구비된 용접부(500)와, 상기 압출부(400)의 내주면에 비접촉되게 내설되어 용접부의 용접에 따른 가스배출이 가능하도록 한 가스배출부재(611)를 갖는 가스배출부(600)와, 상기 용접부(500)를 통하여 제조된 일체형의 관을 한 쌍의 가이드배출용 로울러를 통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70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한 용접기(511)는 도 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용접기로 사용되는 가스는 아르곤가스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권취된 0.2mm 두께의 박판의 강판부재(W)를 한 쌍의 이송로울러(111)를 통하여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단계(S100)와, 상기 단계(S100)에 의해 이송되는 박판의 강판부재(W)를 상,하단 한 쌍으로 구비되어 좌,우측에 설치된 가이드부재(211)와 면접촉에 의한 웨이브됨 없이 가이드 이송시키기 위한 가이드단 계(S200)와, 상기 가이드단계(S200)에 의해 가이드 이송된 박판의 강판부재(W)를 단면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성형로울러(310,320,330,340,350,360,370,380)를 통하여 양선단부가 근접된 원호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순차적으로 말림시키기 위한 성형단계(S300)와, 상기 단계(S300)에 의해 말림된 부재를 압출부(400)로 관통시킴과 아울러 내측에 가스배출부재(612)를 내설하여 상기 부재의 외주면 압축 및 내경확장에 따른 부재의 양선단부가 일치되도록 접촉시키기 위한 접촉단계(S400)와, 상기 단계(S400)에 의해 양단이 접촉되게 말림된 부재의 양선단부를 용접기(511)를 통하여 용접하는 용접단계(S500)와, 상기 단계(S500)에 의해 원통형의 단면을 갖는 관으로 완성된 제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단계(S60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한 가이드부(200)의 가이드부재(2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상면에 폭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고정편(212)에 고정 구비되어 상기 박판의 강판부재(W)를 면접촉에 의한 가이드가 이루어지도록 판상의 상,하부편(2111,2112)으로 구비된다.
상기 하부편(2112)은 박판의 강판부재(W)의 인입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입구측의 상면 일단은 소정의 각도로 절취되어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면서 출구측으로는 점차적으로 평탄면을 형성하여 구비된다.
즉, 웨이브 발생이 용이한 박판 강판부재(W)가 최초 가이드부재(211)의 입구측으로 진입할 때 입구측의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보다 안정되게 강판부재를 가이드 이송시키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성형부(300)는 도 4 내지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단 면 형상을 형성하여 강판부재(W)가 이송되는 중에 점차적으로 말림되게 성형시키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 제1단계 성형로울러(310)와 제1,2,3,4,5,6,7,8단계의 성형로울러(320,330,340,350,360,370,38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제1단계 성형로울러(3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에 의해 열에 변형이 쉬운 박판의 강판부재(W)로 인하여 중앙부는 수평면(311)이 형성되고 양측면은 만곡된 곡면부(312)가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압출부(400)는, 상기 제8단계 성형로울러(380)의 후단에 고정 구비되어 말림되어 이송되는 강판부재의 양선단부를 용접을 위해 서로 접촉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출부(400)는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부재(411)와, 상기 고정부재(411)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말림되어 이송되는 부재를 관통시키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관통에 따른 부재의 외주면을 가압시켜 양선단부가 접촉되도록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으로 점차 축경된 중공의 원기둥의 단면을 갖는 압출용부재(41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압출용부재(412)의 외주면을 덮어 상기 고정부재(411)에 고정시키도록 양단은 상기 고정부재(411)에 고정 구비되는 클램프(413)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박판 즉, 0.2mm의 두께를 갖는 강판부재를 관으로 성형 제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도 2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타입으로 권취된 0.2mm의 두 께를 갖는 박판의 강판부재(W)가 한 쌍으로 구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로울러(111)를 갖는 이송부(110)를 통하여 가이드부(200)로 이송된다.
상기 가이드부(200)로 이송된 박판의 강판부재(W)는 판상의 가이드부재(211)를 통하여 안정되게 면접촉하면서 가이드 이송하게 된다.
즉, 상기 강판부재(W)는 가이드부재(211)의 상,하부편(2111,2112) 입구측이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강판부재(W)의 유입에 따른 가이드가 웨이브됨 없이 보다 안정되게 가이드되어 진다.
상기 가이드부재(211)에 의해 안정되게 가이드된 강판부재(W)는 양측면만이 곡면된 단면 형상을 갖는 성형부(300)의 제1단계 성형로울러(310)에 대응되게 1단계로 말림되게 성형된다.
이후, 강판부재(W)는 성형부(300)의 제2,3,4,5,6,7,8단계의 성형로울러(320,330,340,350,360,360,380)를 순차적으로 지나면서 점차적으로 양선단부가 근접되게 말림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말림된 부재는 제8단계의 성형로울러(380) 후단에 구비된 중공의 단면을 갖는 압출부(400)의 압출용부재(412)와 상기 부재에 내설되어 압출부(400)의 위치에 구비되는 가스배출부(600)의 가스배출부재(612)에 의해 부재의 양선단부가 서로 접촉하면서 압출부(400)를 관통하게 된다.
상기 압출부(400)를 관통하는 부재는 용접부(500)의 용접기(511)에 의해 접촉된 양선단부가 용접되어 진다.
이때, 상기 용접시 발생되는 용접가스는 가스배출부재(612)의 외주면에 대략 4도로 경사지도록 요설된 가스배출용 슬릿홈(613)으로 유입되고, 상기 가스배출용 슬릿홈(613)에 유입된 용접가스는 관의 이송과 함께 이동되어 배출되어 진다.
따라서, 용접시 용접가스 잔류로 인한 용접에 따른 배관의 불량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후, 용접에 의한 관으로 성형되면 배출부(700)를 통하여 배출되어져 박판의 강판부재는 일련의 과정을 지나는 동안 관으로 제조되어 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하여 관으로 성형하기 위한 제조장치의 가이드부재를 이송로울러로부터 이송되는 강판부재와 면접촉으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한 쌍의 판상으로 구비하여 강판부재의 가이드시 면접촉으로 가이드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박판의 강판부재 가이드 이송에 따른 웨이브 즉, 굽힘되거나 휘어짐 없이 가이드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성형부의 제1단계 성형로울러의 단면 형상을 양측 끝단부만 곡면을 갖는 성형로울러로 구비함으로써, 0.2mm인 박판의 강판부재를 성형시 변형됨 없이 순차적으로 말림가능하게 성형시키게 되므로 박판의 강판부재도 관으로 성형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가스용접기와 가스용접기 사용시 발생되는 용접가스를 배출가능한 가스배출부재를 장치에 설치함에 따른 박판의 강판부재가 제조장치를 통과하는 것만으로 관으로 성형 제조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박판의 강판부재를 관으 로 성형 제조함에 있어,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Claims (12)

  1. 박판의 강판부재가 베이스 상면에 구비되는 서로 다른 단면을 갖는 복수개의 성형로울러를 지나는 동안 양선단부가 접촉되게 순차적으로 말림된 강판부재를 관으로 제조하기 위해 용접기를 통하여 용접시 발생되는 용접가스를 제거시키기 위한 제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에 그 일단이 고정되어 말림되어 이송하는 강판부재에 내설되게 구비되는 연결바와;
    상기 이송하는 강판부재에 내설되는 연결바의 타단을 내부로 수용되게 그 일단면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용접기의 위치에 구비되되, 외주면에는 용접시 발생되는 용접가스를 포집하기 위한 가스배출용 슬릿홈이 타단면까지 연통되게 형성된 가스배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용 용접가스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용 슬릿홈은, 용접기에 의해 용접되어 이송되는 관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하양 경사진 경사각을 갖도록 요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용 용접가스 제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부재의 가스배출용 슬릿홈에 대향되는 외주면에는 말림되어 이송되는 강판부재의 내주면에 가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가압력홈과;
    상기 가압력홈에 삽입되되, 그 일단은 연결바에 걸림 고정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탄성부재와;
    상기 가압력홈에 대응되는 단면으로 형성되고 일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을 억지끼움시켜 상기 가스배출부재의 외주면보다 더 돌출되게 구비되는 가압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용 용접가스 제거장치.
  4.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이송로울러를 갖는 이송부를 통하여 롤타입으로 권취된 박판의 강판부재를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관으로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박판의 강판부재와 면접촉가능하게 가이드 이송시키도록 소정 거리 이격되어 좌,우측에 상,하단 한 쌍으로 구비되는 판상의 가이드부재를 갖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통하여 균일하게 이송되는 강판부재를 이송중에 순차적으로 말림시켜 양선단부가 근접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 복수개의 성형로울러를 갖는 성 형부와;
    상기 성형부에 의해 말림되어 이송되는 부재를 관통시켜 양선단부를 상호 접촉시키도록 중공의 압출용부재를 갖는 압출부와;
    상기 압출부를 통과한 부재의 양선단부를 이송중에 연속적으로 용접하여 일체형의 관으로 제조하기 위한 용접기가 구비된 용접부와;
    상기 용접부를 통하여 제조된 일체형의 관을 한 쌍의 가이드배출용 로울러를 통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장치.
  5.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이송로울러를 가즌 이송부를 통하여 롤타입으로 권취된 박판의 강판부재를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관으로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박판의 강판부재와 면접촉가능하게 가이드 이송시키도록 소정 거리 이격되어 좌,우측에 상,하단 한 쌍으로 구비되는 판상의 가이드부재를 갖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통하여 균일하게 이송되는 강판부재를 이송중에 순차적으로 말림시켜 양선단부가 근접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된 복수개의 성형로울러 갖는 성형부와;
    상기 성형부에 의해 말림되어 이송되는 부재를 관통시켜 양선단부를 상호 접촉시키도록 중공의 압출용부재를 갖는 압출부와;
    상기 압출부를 통과한 부재의 양선단부를 이송중에 연속적으로 용접하여 일체형의 관으로 제조하기 위한 용접기가 구비된 용접부와;
    상기 압출부의 내주면에 비접촉되게 내설되어 용접부의 용접에 따른 가스배출이 가능하도록 한 가스배출부재를 갖는 가스배출부와;
    상기 용접부를 통하여 제조된 일체형의 관을 한 쌍의 가이드배출용 로울러를 통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이드부의 가이드부재는, 박판의 강판부재가 면접촉에 의한 가이드되도록 판상의 상,하부편으로 구비되되, 상기 하부편은 그 상면 일단이 소정의 각도로 절취되어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고 타단은 평탄면을 형성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장치.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의 성형로울러는, 상기 제1단계 성형로울러 및 제1,2,3,4,5,6,7,8단계의 성형로울러로 구성되되, 상기 제1단계 성형로울러의 중앙부는 수평면이 형성되고 양측면은 만곡된 곡면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장치.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압출부는, 상기 성형용 가이드로울러 후단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말림되어 이송되는 부재가 관통됨에 따른 양선단부가 접촉되도록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으로 점차 축경된 중공의 원기둥의 단면을 갖는 압출용부재와, 상기 압출용부재의 외주면을 덮어 고정부재에 고정시키도록 그 양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 구비되는 클램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부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브라켓에 그 일단이 고정되어 말림되어 이송하는 강판부재에 내설되게 구비되는 연결바와; 상기 이송하는 강판부재에 내설되는 연결바의 타단을 내부로 수용되게 그 일단면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용접기의 위치에 구비되되, 외주면에는 용접시 발생되는 용접가스를 포집하기 위한 가스배출용 슬릿홈이 타단면까지 연통되게 형성된 가스배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용 슬릿홈은, 상기 용접기에 의해 용접되어 이송되는 관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하양 경사진 경사각을 갖도록 요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부재의 가스배출용 슬릿홈에 대향되는 외주면에는 말림되어 이송되는 강판부재의 내주면에 가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가압력홈과; 상기 가압력홈에 삽입되되, 그 일단은 연결바에 걸림 고정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탄성부재와; 상기 가압력홈에 대응되는 단면으로 형성되고 일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을 억지끼움시켜 상기 가스배출부재의 외주면보다 더 돌출되게 구비되는 가압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장치.
  12. 박판의 강판부재를 순차적으로 말림시켜 중공의 관으로 성형 제조함에 있어 서,
    권취된 강판부재를 한 쌍의 이송로울러를 통하여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이송되는 박판의 강판부재를 상,하단 한 쌍으로 구비되어 좌,우측에 설치된 가이드부재와 면접촉에 의한 웨이브됨 없이 가이드 이송시키기 위한 가이드단계와;
    상기 가이드단계에 의해 가이드 이송된 박판의 강판부재를 단면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성형로울러를 통하여 양선단부가 근접된 원호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순차적으로 말림시키기 위한 성형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말림된 부재를 압출부로 관통시킴과 아울러 내측에 가스배출부재를 내설하여 상기 부재의 외주면 압축 및 내경확장에 따른 부재의 양선단부가 일치되도록 접촉시키기 위한 접촉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양단이 접촉되게 말림된 부재의 양선단부를 용접부의 용접기를 통하여 용접하는 용접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원통형의 단면을 갖는 관으로 완성된 제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방법.
KR1020070060553A 2007-06-20 2007-06-20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용 용접가스 제거장치와이를 이용한 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899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553A KR100899439B1 (ko) 2007-06-20 2007-06-20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용 용접가스 제거장치와이를 이용한 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0553A KR100899439B1 (ko) 2007-06-20 2007-06-20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용 용접가스 제거장치와이를 이용한 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951A true KR20080111951A (ko) 2008-12-24
KR100899439B1 KR100899439B1 (ko) 2009-05-26

Family

ID=40369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0553A KR100899439B1 (ko) 2007-06-20 2007-06-20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용 용접가스 제거장치와이를 이용한 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94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9969A1 (ko) * 2018-09-20 2020-03-26 이보현 엠보싱 스테인리스 파이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엠보싱 스테인리스 파이프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281B1 (ko) * 2009-11-05 2010-08-23 홍현의 관 용접장치 및 방법
CN105598224B (zh) * 2016-02-03 2017-10-13 安徽鸿路钢结构(集团)股份有限公司 直缝埋弧焊钢管生产线预弯工艺
KR101893141B1 (ko) * 2016-10-26 2018-08-31 지성알미늄 주식회사 압출성형용 알루미늄 튜브 비틀림 가이드장치
KR101820633B1 (ko) * 2017-08-10 2018-01-19 최도현 파이프 용접 장치
KR102242708B1 (ko) * 2018-12-04 2021-04-21 티지에스파이프(주) 요철형 파이프 조관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3269A (ko) * 2003-06-23 2003-07-28 주식회사 한영기계 자동 파이프 성형기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9969A1 (ko) * 2018-09-20 2020-03-26 이보현 엠보싱 스테인리스 파이프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엠보싱 스테인리스 파이프 제조방법
CN111448007A (zh) * 2018-09-20 2020-07-24 李甫铉 压纹不锈钢管制造装置及利用其的压纹不锈钢管制造方法
CN111448007B (zh) * 2018-09-20 2021-10-15 李甫铉 压纹不锈钢管制造装置及利用其的压纹不锈钢管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9439B1 (ko) 2009-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439B1 (ko) 박판의 강판부재를 이용한 관 제조용 용접가스 제거장치와이를 이용한 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998181B1 (ko) 덕트용 클램프 제조장치
KR101362338B1 (ko) 타원형 동관 성형장치
JP5038819B2 (ja) フレアー付き管体の曲げ加工方法
JP3578584B2 (ja) 四角形鋼管の製造方法
US7293687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ubes
JP2000312918A (ja) 四角形状鋼管の成形装置
JP5323868B2 (ja) 曲管製造装置および曲管製造方法
TWI589368B (zh) 小徑金屬管之製造方法及製造裝置
IT201800003894A1 (it) Svuotamento automatico linea.
JP2000167621A (ja) 四角形鋼管の製造方法及び四角形状鋼管の成形装置
JP2018187649A (ja) 角形鋼管製造設備及び角形鋼管の製造方法
JP6684634B2 (ja) 鋼管製造設備及び鋼管製造方法
JP2006315015A (ja) 梁材連結部用角形鋼管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設備
JP5116367B2 (ja) 単管ロール造管装置及び単管ロールの造管方法
JP5566070B2 (ja) スパイラル造管法による小径管の製造方法
JP5867071B2 (ja) 厚肉電縫鋼管の製造方法
KR101934586B1 (ko) 강관 비드 압착기구
JP6928947B2 (ja) 鋼管製造設備及び鋼管の製造方法
JPWO2019188001A1 (ja) 鋼板の端曲げ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鋼管の製造方法および設備
JP2002001442A (ja) 四角形鋼管の製造方法及び四角形状鋼管の成形装置
KR101170169B1 (ko) 열교환기용 핀 소재 이음장치
JP2010221254A (ja) スパイラル鋼管の製造方法
JPS5877714A (ja) 大径角形鋼管の製造装置
JP4187662B2 (ja) 高加工性溶接管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