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0995A - 벨트 버클의 고정아일릿용 정착유니트 - Google Patents

벨트 버클의 고정아일릿용 정착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0995A
KR20080110995A KR1020087020574A KR20087020574A KR20080110995A KR 20080110995 A KR20080110995 A KR 20080110995A KR 1020087020574 A KR1020087020574 A KR 1020087020574A KR 20087020574 A KR20087020574 A KR 20087020574A KR 20080110995 A KR20080110995 A KR 20080110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crew
unit
ring
fix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0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8845B1 (ko
Inventor
실바인 크레티엔
안드레아스 모르
카를-에두아르트 루츠
스테판 곰베르트
니콜라스 시라사로
Original Assignee
카막스-베르케 루돌프 켈러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아. 레이몽 에 씨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막스-베르케 루돌프 켈러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아. 레이몽 에 씨에 filed Critical 카막스-베르케 루돌프 켈러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80110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0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8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8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1/00Measures against loss of bolts, nuts, or pins; Measures against unauthorised operation of bolts, nuts or pins
    • F16B41/002Measures against loss of bolts, nuts or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1/00Measures against loss of bolts, nuts, or pins; Measures against unauthorised operation of bolts, nuts or p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Cephalosporin Compounds (AREA)
  • Buckle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정착유니트(1)는 스크류(2)를 정착부(3), 특히 승용차, 트럭 또는 다른 상용차량의 벨트 버클의 고정아일릿(4)에 회전가능하고 포착가능하게 고정하도록 한다. 정착유니트(1)가 헤드부분(5)과 동체부분(6) 그리고 나선(8)을 갖는 나선부분(7)을 포함하고 동체부분(6)이 헤드부분(5)과 나선부분(7)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는 스크류(2)와, 스크류 축선(11)의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동체부분(6)에 배치되는 정착링(10)으로 구성되고, 정착링(10)이 정착부(3)가 삽입되어 넘어갈 수 있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13)를 포함하며 정착부(3)가 이러한 고정요소(13)에 의하여 고정되고 스크류(2)가 정착부(3)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고 스크류 축선(11)의 방향으로는 이동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정착유니트, 스크류, 정착부, 벨트 버클, 고정아일릿.

Description

벨트 버클의 고정아일릿용 정착유니트 {MOUNTING UNIT FOR THE FASTENING EYELET OF A BELT BUCKLE}
본 발명은 정착부에 스크류를 회전가능하고 포착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정착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어떠한 대상물에 대하여 정착부를 나선결합으로 연결하기 위한 정착셋트에 관한 것이다.
정착부는 어떠한 대상물에 대하여 나선결합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요소이다. 특히, 정착부는 승용차, 트럭 또는 기타 상용차량에 사용되는 벨트 버클의 고정아일릿(fastening eyelet)이다.
사용차량의 내부의 일부분(즉, 대상물)에 벨트 버클의 고정아일릿을 회전가능하고 포착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정착유니트는 다임러크라이슬러 (DaimlerChrysler AG)의 상용차량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정착유니트는 헤드부분, 동체부분 및 나선을 포함하는 나선부분을 포함하는 스크류를 포함한다. 헤드부분과 나선부분 사이의 부분이 동체부분이다. 더욱이, 정착유니트는 와샤와 두개의 정착디스크를 포함한다. 더욱이 정착유니트의 필수요소는 정착부이며 이러한 정착부가 없는 정착유니트는 없으며 5개의 독립된 요소로 구성된다. 정착부를 정착시키기 위하여, 먼저, 와샤가 스크류의 동체부분에 삽입된다. 이러한 와샤는 내경이 스크류 의 동체부분의 외경 보다 크고 스크류의 헤드부분의 외경 보다 작은 통공을 가짐으로서 와샤는 헤드부분의 접촉면에 접촉한다. 이후에, 정착부는 이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이러한 정착부가 와샤에 접촉할 때까지 스크류상에서 이동된다. 정착부에 형성된 통공의 내경은 스크류의 통체부분의 외경 보다 크다. 이어서, 제1정착디스크가 스크류상에 삽입된다. 제1정착디스크는 다단의 턱이 형성된 구성으로서 외경이 정착부의 통공의 내경 보다 약간 작은 외경을 갖는 제1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부분이 정착디스크의 통공에 삽입된다. 제2부분은 정착부의 외면에 접촉하는 큰 외경을 갖는다. 정착유니트의 포착가능한 연결은 제2정착디스크에 의하여 실현된다. 제2정착디스크는 그 내주연에 방사상 슬로트를 포함하며 이들 슬로트 사이에는 탭이 형성되어 있다. 제2정착디스크의 조립중에, 이들 탭은 나선부분의 나선에 결합되고 제2정착디스크는 이것이 제1정착디스크에 접촉할 때까지 스크류의 나선에 나선결합되거나 또는 각각 탄성구조인 경우 나선에 대하여 가압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정착부가 제1정착디스크와 와샤 사이에 고정된다. 각 재료를 선택함으로서, 정착부와 정착디스크 사이의 요구된 방사상 간극 또는 유극이 덜그럭거리는 소음을 발생치 않을 것이다. 종래의 정착유니트는 비교적 복잡한 구조를 가지며, 스크류와 정착요소 이외에 3개의 독립된 요소를 필요로 한다. 정착유니트의 포착가능한 구조는 정착요소가 정착될 때까지 구성되지 않는다.
더욱이, 종래의 자동차산업분야에서는 승용차 또는 트럭의 내부(즉, 대상물)의 일부분에 벨트 버클(즉, 정착요소)의 고정아일릿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를 위하여, 정착유니트가 사용되지 않는다. 정착요소는 스크류와 탄성의 파형 와샤(wave washer)를 이용하여 나선결합으로 대상물에 연결된다. 스크류는 헤드부분, 동체부분 및 나선을 포함하는 나선부분을 포함한다. 헤드부분과 나선부분 사이의 부분이 동체부분이다. 파형 와샤는 동체부분의 외경 보다 큰 내경을 갖는 통공을 포함한다. 먼저, 파형 와샤가 스크류의 헤드부분에 거의 접촉할 때까지 스크류상에 삽입된다. 이러한 파형 와샤는 스크류에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에, 벨트 버클의 고정아일릿이 스크류상에 삽입된다. 이들 3개의요소는 느슨히 결합된 상태에서, 스크류가 대상물의 결합공에 나선결합되며 나선부분을 향하는 방향으로 동체부분을 한정하는 스크류의 숄더(shoulder)가 대상물에 견고히 접촉할 때까지 스크류가 대상물에 나선결합된다. 파형 와샤는 그 일측면이 대상물에 접촉하고 그 타측면이 고정아일릿에 접촉하여 고정아일릿을 파지한다. 이는 고정아일릿이 파형 와샤와 스크류의 헤드부분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나 스크류의 축선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파형 와샤의 탄력은 고정아일릿의 축방향 간극 또는 유극의 존재에 의하여 발생하는 덜그럭거리는 소음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스크류를 정착부에 회전가능하고 포착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정착유니트는 독일특허출원 DE 100 55 405 A1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조립체 형태의 정착유니트는 헤드부분, 동체부분 및 나선을 포함하는 나선부분을 포함하는 스크류를 포함한다. 헤드부분과 나선부분 사이의 부분이 동체부분이다. 또한 정착유니트는 정착링을 포함한다. 이러한 정착링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탄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정착부는 통공을 포함하고 대상물은 스크류의 나선이 결합되는 내부나 선을 갖는 나선공을 포함한다. 정착부의 통공은 그 단면이 원형이 아니므로, 정착링은 정착부에 회전되지 않게 배치된다. 더욱이, 정착링은 이에 형성된 칼라와 확장리브에 의하여 정착부에 대해 이동하지 않게 배치된다. 정착링의 내경은 스크류 나선부의 나선의 외경 보다 작다. 대상물에 완전히 나선결합되지 않은 상태(상기 특허문헌의 도 1 참조)에서, 정착유니트의 위치에서 정착링은 스크류의 나선부의 영역에 놓인다. 정착링의 내경과 스크류 나선부의 나선의 외경 및 코어 직경(core diameter)의 각 크기에 의하여, 정착링은 스크류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고, 스크류는 탄성 또는 탄성 및 가소변형에 의하여 정착링에 나선결합 또는 강제삽입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정착링은 정착부가 대상물에 대한 조립이 완료될 때까지, 즉 스크류가 대상물에 완전히 결합될 때까지(상기 특허문헌의 도 2 참조), 스크류의 동체부분의 영역에 배치되지 않는다. 이러한 위치에서, 정착링은 이미 그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였으므로 이러한 관점에서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정착링은 정착부에 대하여 회전하지도 않고 이동하지도 않는다. 정착링은 스크류의 나선부에 연결되어 그 실제의 기능을 발휘한다(상기 특허문헌의 도 1 참조). 이러한 종래기술은 나선결합으로 대상물에 연결된 정착부가 대상물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는 점에서 대상물에 정착부를 고정시키는 것에 관한 것은 아니다.
스크류를 정착부에 회전가능하고 포착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다른 형태의 정착유니트가 미국특허 US 3,156,281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정착유니트는 헤드부분, 동체부분 및 나선을 포함하는 나선부분을 포함하는 스크류를 포함한다. 헤드부분과 나선부분 사이의 부분이 동체부분이다. 더욱이, 정착유니트는 정착링을 포함한다. 정착링은 특히 탄성의 스프링강으로 제조된다. 정착유니트가 정착부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상기 특허문헌의 도 3 참조), 정착링은 자유롭게 이동되고 회전될 수 있도록 스크류의 동체부분의 영역에 배치된다. 그리고 스크류와 정착링의 조합이 상부로부터 정착부로 삽입된다(상기 특허문헌의 도 4 참조). 정착링은 그 외주연에 탄성돌출요소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정착링이 정착부의 개방부에 어느 회전범위까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스크류는 정착링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며, 스크류의 헤드부분과 이러한 스크류의 헤드부분을 향하는 나선부분의 단부 사이의 거리 이내에서 정착부와 정착링에 대하여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나선결합으로 대상물에 연결된 정착부가 대상물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다는 점에서 대상물에 정착부를 고정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착부에 스크류를 회전가능하고 포착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정착유니트와, 정착부와 어떠한 대상물 사이의 고정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정착된 상태에서 정착부가 스크류에 대하여 그리고 대상물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정착셋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러한 목적은 각각 독립항인 청구항 제1항 및 제11항의 특징부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은 정착부에 스크류를 회전가능하고 포착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정착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정착유니트는 스크류와 정착링을 포함한다. 스크류는 헤드부분, 동체부분 및 나선을 포함하는 나선부분을 포함한다. 헤드부분과 나선부분 사이의 부분이 동체부분이다. 정착링은 스크류의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로 동체부분에 배치된다. 이러한 정착링은 정착부가 삽입되어 넘어갈 수 있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를 포함하며 정착부가 이러한 고정요소에 의하여 고정되고 이로써 스크류가 정착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고 스크류의 축선 방향으로는 이동되지 않게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나선결합으로 정착부를 대상물에 연결하기 위한 정착셋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정착셋트는 정착부, 스크류 및 정착링을 포함한다. 스크류는 헤드부분, 동체부분 및 나선을 포함하는 나선부분을 포함한다. 헤드부분과 나선부분 사이의 부분이 동체부분이며, 이는 정착요소의 통공을 통하여 연장된다. 정착링은 스크류의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로 동체부분에 배치된다. 이러한 정착링은 정착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를 포함하며 스크류가 정착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고 스크류의 축선 방향으로는 이동되지 않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정착유니트는 적어도 두개의 요소, 즉, 상대측에 대하여 포착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크류와 정착링을 포함한다. 정착유니트는 달리 부가적인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다. 스크류와 정착링은 하나의 정착유니트를 구성함으로서 이들 중 어느 하나라도 분실의 위험 없이 운반되고 취급될 수 있다. 이러한 정착유니트는 곧바로 정착부에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정착 상태에서, 3개의 요소, 즉, 스크류, 정착링 및 정착부는 상대측에 대하여 포착가능하게 연결되어 하나의 정착셋트를 구성한다.정착부는 스크류와 정착링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이동되지 않게 배치된다. 이는 정착부와 정착유니트 사이에 상대적인 병진운동이 이루어지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에 사용된 정착요소에 대하여 이동되지 않게 배치되는 스크류의 부동배치(不動配置)는 실질적으로 이동되지 않게 배치되는 부동배치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떠한 간극 또는 유극에 의한 최소한의 이동가능성이나 미미한 이동가능성은 이러한 정의에 포함된다.
다른 한편으로, 정착유니트와 정착부 사이에는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착유니트와 정착부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달리 실현될 수도 있다. 정착링은 스크류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미리 스크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정착부는 회전가능하게 또는 회전되지 않게 고정되는 상태로 정착링에 배치될 수 있다. 정착링이 회전되지 않게 스크류에 배치되는 경우, 정착유니트와 정착링 사이의 요구된 상대회전운동은 정착링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정착부에 의하여 실현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조합된 상태의 정착유니트와 정착부(즉, 정착셋트)를 얻을 수 있으며, 정착유니트에서 스크류 나선부의 외부나선이 대상물의 나선공의 내부나선에 나선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연결이 이루어진 후에도 정착부는 정착유니트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고 또한 대상물에 대하여서도 회전가능하다. 이와 같이 회전가능한 고정연결을 특히 승용차, 트럭 또는 기타 다른 차량의 벨트 버클의 고정아일릿을 고정하는데 적합하다. 벨트 시스템의 작동가능성 때문에 고정아일릿은 벨트 시스템의 요고된 고정기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차량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필요하다. 실제의 벨트 버클은 견고한 벨트부분에 의하여 아일릿에 연결된다. 고정기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고정아일릿과 벨트 버클은 차량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먼저 본 발명의 정착유니트와 정착셋트는 종래기술로부터 알려진 바와 같은 별도의 요소를 사용함이 없이 미리 조립된 포착형 유니트에 의한 이러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가 탄성을 가지고 정착링으로부터 돌출되게 구성되어 정착부가 고정요소의 탄성변형하에 고정요소에 삽입되어 고정요소의 탄성복원후 이러한 고정요소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환원컨데, 고정요소는 정착부가 정착링에 스냅연결되어 고정되도록 정착부에 결합되는 스냅요소로서 구성될 수 있다. 통공을 갖는 정착부는 고정요소가 정착유니트의 종축선 방향으로 탄성변형되고 정착유니트의 종축선을 향하여 가압되는 고정요소에 의하여 고정요소측으로 삽입된다. 정착부가 고정요소에 완전히 삽입되고 정착유니트가 정착부의 통공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고정요소는 정착부의 통공의 내면으로부터 자유롭게되어 그 최초의 상태로 탄성복원될 수 있다. 이제 고정요소는 정착부의 외면에 접촉하게 되고 정착부의 통공의 하측턱에 결합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정착요소는 정착유니트와 정착부 사이의 상대적인 반대방향 병진운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분해하기 위하여, 고정요소는 이러한 고정요소의 자유단부가 정착부의 통공에 다시 결합될 때까지 스크류의 종축선을 향하여 가압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무단히 분해되는 것이 방지된다. 정착유니트는 하나의 고정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다수의 고정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고정요소는 정착링의 둘레에 등간격을 두고 균일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정착유니트에 대한 정착부의 안전하고 균일한 고정이 이루어진다. 고정요소는 약 5°~ 45°사이, 특히 25°~ 30°사이의 각도를 두고 정착링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배열되는 것이 좋다.
정착링은 적어도 하나의 가압요소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는 나선부분를 향하는 정착링의 축방향 단부의 영역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가압요소는 스크류 헤드부분을 향하는 정착링의 축방향 단부의 영역에 배치되어, 정착부는 축방향 간극 또는 유극 없이 적어도 하나의 가압요소와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압요소는 간극, 유극 또는 백러쉬 없이 정착부의 통공내에 정착유니트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덜그럭거리는 잡음의 발생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가압요소는 탄성을 가지며 정착부에 탄력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정착상태에서 정착부가 고정요소에 대하여 가압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두 외면을 갖는 정착부는 유극, 간극 또는 백러쉬 없이 그리고 덜그럭거리는 소음의 발생 없이 가압요소와 고정요소 사이에 파지된다.
정착유니트는 하나의 가압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다수의 가압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가압요소는 정착링의 둘레에 균일하게 분포된다.
정착링은 주연방향의 어느 한 부분이 개방된 비폐쇄형의 링, 특히 스프링강으로 제작된 링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비폐쇄형이고 탄성을 갖는 링은 스크류에 자동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스크류에 다른 방식으로 정착링을 축방향 고정시킬 수 있다. 그 첫번째 방식으로서는 스크류가 나선부분을 향하여 스크류 축선의 방향으로 보았을 때 동체부분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숄더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숄더는 동체부분 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정착링을 확장시킨 후에, 정착링을 숄더에 결합시킴으로서 정착링의 역방향 병진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가하여, 스크류는 동체부분의 영역에 배치되는 채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정착링은 이러한 채널에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채널은 스크류의 외주연에 환상의 폐쇄형태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다수의 분리된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실시형태에서, 스크류에 대한 정착링의 상대회전은 다른 문제 없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반면에, 제2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회전이 방지된다.
동체부분은 나선부분 보다 큰 외경을 갖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정착링은 다른 문제 없이 그리고 나선부분의 나선이 손상되거나 장애가 됨이 없이 스크류의 헤드부분을 향하여 스크류의 나선부분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동체부분은 나선부분 보다 작은 외경을 가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정착유니트에 대하여 정착요소를 확실하게 정착시키기 위하여, 정착링은 나선을 넘어 정착부의 통공을 밀어 넣을 수 있는 두꺼운 두께를 가져야 하는 한편, 정착링의 외겨에 이를 확실하게 정착시킬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점을 청구범위,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상세한 설명의 서두에서 언급된 특징 및 특징들의 조합은 예시적으로 언급된 것으로 이들의 잇점을 얻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를 필수적인 것으로 함이 없이 선택적으로 또는 점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다른 특징들이 도면으로부터, 특히 예시된 구조와 여러 구성요소간의 상대적인 크기 그리고 이들의 상대적인 배치구조나 작동적인 연결구조로부터 명백하게 될 수 있다.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특징들의 조합 또는 청구범위의 선택인용이 이루어지는 독립된 여러 청구범위의 특징들의 조합이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에 부가하여 동기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이들 특징들은 별도의 도면으로 설명되거나 이들 도면을 설명할 때 언급된다. 또한 이들 특징을 다른 청구범위의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가 청구범위에서 언급되는 특징을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정착유니트의 제1 실시형태를 보인 제1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 정착유니트의 제1 실시형태를 보인 제2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정착유니트의 제1 실시형태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 정착유니트의 제1 실시형태의 스크류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정착유니트의 제1 실시형태의 정착링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정착유니트의 제1 실시형태의 정착링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정착유니트의 제1 실시형태의 정착링을 보인 제1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 정착유니트의 제1 실시형태의 정착링을 보인 제2 측면도.
도 9는 정착부에 정착된 본 발명 정착유니트의 제1 실시형태의 부분단면도.
도 10은 정착부에 정착된 본 발명 정착유니트의 제1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정착유니트의 제2 실시형태를 보인 제1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 정착유니트의 제2 실시형태를 보인 제2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 정착유니트의 제2 실시형태를 보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 정착유니트의 제2 실시형태의 스크류를 보인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 정착유니트의 제2 실시형태의 정착링을 보인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 정착유니트의 제2 실시형태의 정착링을 보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 정착유니트의 제2 실시형태의 정착링을 보인 제1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 정착유니트의 제2 실시형태의 정착링을 보인 제2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 정착유니트의 제3 실시형태를 보인 제1 측면도.
도 20은 본 발명 정착유니트의 제3 실시형태를 보인 제2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 정착유니트의 제3 실시형태를 보인 평면도.
도 22는 본 발명 정착유니트의 제3 실시형태의 스크류를 보인 측면도.
도 23은 본 발명 정착유니트의 제3 실시형태의 정착링을 보인 평면도.
도 24는 본 발명 정착유니트의 제3 실시형태의 정착링을 보인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 정착유니트의 제3 실시형태의 정착링을 보인 제1 측면도.
도 26은 본 발명 정착유니트의 제3 실시형태의 정착링을 보인 제2 측면도.
도 27은 본 발명 정착유니트의 제4 실시형태를 보인 제1 측면도.
도 28은 본 발명 정착유니트의 제4 실시형태를 보인 제2 측면도.
도 29는 본 발명 정착유니트의 제4 실시형태를 보인 평면도.
도 30은 본 발명 정착유니트의 제5 실시형태를 보인 제1 측면도.
도 31은 본 발명 정착유니트의 제5 실시형태를 보인 제2 측면도.
도 32는 본 발명 정착유니트의 제5 실시형태를 보인 평면도.
도 1 - 도 10은 본 발명 정착유니트(1)의 제1 실시형태를 여러 방향에서 본 것이다. 정착유니트(1)는 정착부(3)에 스크류(2)를 회전가능하고 포착가능하게 고정시키는데 사용된다.
도시된 예에서, 정착부(3)는 승용차, 트럭, 상용차량 등의 벨트 버클의 고정아일릿(4)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러한 고정아일릿(4)은 차량 내부에 벨트 버클을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고정아일릿(4)은 실제의 벨트 버클(도시하지 않았음)이 연결되는 벨트의 일부가 결합되는 통공(15)을 포함한다. 그러나, 다음에 설명되는 방식으로 고정 및 정착될 수 있는 다른 정착요소를 이용할 수 있다.
정착유니트(1)의 스크류(2)는 헤드부분(5)을 포함한다. 헤드부분(5)은 스크류를 작동시키는 결합면을 갖는다. 이러한 결합면은 다른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결합면은 스크류(2)가 육각헤드스크류가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스크류(2)는 동체부분(6)과, 나선(8)이 형성된 나선부분(7)을 포함한다. 나선(8)은 그 형태가 문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나선(8)은 미터나사(metric outer thread)의 형태인 나사이다. 나선(8)은 스크류의 말단부까지 연장되거나, 이러한 스크류의 말단부에 못 미치는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스크류(2)는 그 단부에 나선에 형성되지 않은 센터링부를 갖는다. 또한 스크류(2)에는 다수의 나선부(7)가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2)의 헤드부분(5)의 아래에는 동체부분(6)이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2)의 동체부분(6)과 헤드부분(5) 사이에 다른 구조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2)의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헤드부분(5)의 반대측 단부면에서, 동체부분(6)에 인접하여 동체부분(6)의 외경 보다 큰 외경을 갖는 숄더(9)가 형성되어 있다.
동체부분(6)에 정착링(10)이 배치된다. 이 정착링(10)은 스크류 축선(11)의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동체부분(6)에 배치된다. 정착유니트(1)와 정착링(10)의 도시된 예에서, 정착링(10)이 실질적으로 이동되지 않게 배치되는 것은 정착링(10)의 직경을 숄더(9)의 직경 보다 작게하고 그 크기를 동체부분(6)의 크기에 맞춤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조립을 위하여, 이러한 경우에서 정착링(10)은 주연방향의 어느 한 부분이 개방된 링의 형태로 구성된다. 특히, 이러한 정착링은 스프링강으로 만들어진다. 정착링은 개방된 부분에 대향되는 돌기(16)와 요구(17)를 가지며, 정착링을 탄력에 반하여 벌린 상태에서 나선부분(7)과 숄더(9)로 삽입하여 동체부분(6)에 삽입되게 한다. 정착링(10)은 탄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정착링이 자유로운 상태에 놓여 있는 경우 그 직경이 감소된다. 다른 경우에 있어서, 정착링은 동체부분(6)에서 숄더(9)의 부분을 지나도록 형성된 언더컷(undercut)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구성의 정착링(10)이 사용될 수도 있다.
스크류(2)의 헤드부분(5)을 향하는 단부부분에서 정착링(10)은 다수의 가압요소(12)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가압요소(12)는 단 하나만이 형성되거나 전혀 없을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가압요소(12)는 정착링(10)의 외주연 일부가 돌출되게 형성된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들 돌출부분으로 구성된 가압요소는 탄력을 가짐으로서 정착링(10)이 유극 또는 간극 없이 그리고 덜그럭 거리는 소음의 발생 없이 헤드부분(5)과 숄더(9) 사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정착링(10)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고정요소(13)를 포함한다. 그러나, 정착링은 단 하나의 고정요소(13)만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고정요소(13)는 정착링(10)의 둘레에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들 고정요소(13)는 주연이 폐쇄된 통공(14)을 갖는 정착부(3)가 이들 고정요소(13)를 지나 삽입되어 이들 오정요소(13)에 의하여 장착링(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스크류(2)가 정착부(3)에 대하여서는 회전될 수 있으나 스크류 축선(11)의 방향으로는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도시된 예에서, 고정요소(13)는 탄성을 갖는 스냅요소로서 구성된다. 고정요소(13)는 정착링(10)의 일부분에 의하여 형성되며, 이들은 정착링(13)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들의 단부는 스크류(2)의 헤드부분(5)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얻기 위하여, 정착링(10)은 고정요소(13)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펀칭절결부(18)를 갖는다. 고정요소(13)는 펀칭절결부(18)로부터 돌출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형태나 다른 구조의 고정요소(13)가 제공될 수 있다. 정착링(10)을 제조할 때, 고정요소(13)는 탄성 및 가소변형하에 정착링(10)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절곡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이들 고정요소는 요구된 방향 및 요구된 각도, 예를 들어 약 30°의 각도로 정착링(10)으로부터 돌출형성된다. 정착부(3)를 스크류(2)의 헤드부분(5)의 방향으로 삽입하여 조립하는 과정에서 정착부(3)의 내면에 고정요소(13)와 접촉할 때, 고정 요소(13)는 정착링(10)의 주연면을 향하여 만곡변형된다. 정착부(3)가 스크류(2)의 헤드부분(5)을 향하여 더욱 삽입되어 고정요소(13)가 해제된 후에는, 고정요소(13)가 다시 탄력적으로 원위치로 복귀되어 도 9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정착부(3)를 고정하게 된다. 이로써 고정요소(13)는 정착부(3)의 저면에 접촉하게 되고 정착부(3)의 상부면은 탄성을 갖는 가압요소(12)에 의하여 고정요소(13)측으로 가압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정착부(3)는 간극 또는 유극 없이 정착링(10)에 고정된다. 따라서, 스크류 축선(11)의 방향으로 스크류(2)에 대하여 정착부(3)의 요구되지 않은 운동이 효율적으로 방지된다.
그러나, 정착부(3)는 스크류(2)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회전가능하다. 본 발명의 예에서, 정착링(10)은 스크류(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고 또한 정착부(3)가 정착링(1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그러나, 스크류(2)와 정착요소(3)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허용되는 한 다른 구조의 구성이 가능하다.
정착부(3)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정착유니트(1)의 위치에서, 이들 요소는 함께 정착셋트(19)를 구성한다. 정착셋트(19)는 사전에 미리 조립되는 예비조립이 될 수 있으며 이들 요소의 분실위험 없이 설치대상물이 있는 장소에 운반될 수 있다. 끝으로, 정착셋트(19)가 대상물에 정착된다. 이로써, 정착셋트(19)의 경제적인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 - 도 18은 본 발명 정착유니트(1)의 제2 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정착유니트(1) 역시 도 9 및 도 10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정착부(3)에 정착되거나 또는 정착셋트(19)를 얻기 위하여 다른 정착부에 정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 다. 도 11 - 도 18에 따른 정착유니트(1)는 그 구성요소의 대부분이 도 1 - 도 10에 따른 정착유니트(1)의 구성요소와 유사 또는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설명내용이 도 11 - 도 18에 따른 정착유니트(1)에 인용된다.
그러나, 스크류(2)는 직경이 큰 숄더를 포함하지 않고 대신에 연속의 채널(20)을 갖는다. 이러한 연속의 채널(20) 대신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요입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정착링(10)이 스크류(2)의 동체부분(6)에 배치될 때 이 정착링이 동체부분(6)에 대하여 회전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정착부(3)와 정착링(10) 사이에 요구된 상대적인 회전이 이루어질 것이다. 동체부분(6)의 영역에 정착링(10)을 축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고정하기 위하여, 정착링(10)은 채널(20)에 결합되는 다수의 고정요소(21)를 갖는다.그러나, 고정요소는 단 하나만 구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고정요소(21)는 정착링(10)으로부터 돌출된 정착링(10)의 일부이다. 특히, 고정요소(21)는 정착링(10)으로부터 요입되게 형성한 요입부이다.
도 19 - 도 26는 본 발명 정착유니트(1)의 제3 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다시 한번 공통인 부분에 대하여 상기 설명내용을 인용한다. 이러한 경우에서, 구조상 특별한 것이 있다면, 이러한 정착링910)이 가압요소를 갖지 않는다는 것이다.
도 27 - 도 29는 본 발명 정착유니트(1)의 제4 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다시 한번 공통인 부분에 대하여 상기 설명내용을 인용하며 특히 정착유니트(1)의 제1 실시형태의 내용을 인용한다. 이러한 제4 실시형태에서, 정착링(10)은 L-형 펀칭절결부(22)를 포함하며 이로부터 고정요소(13)에 부가하여 다른 고정요소(23)가 돌 출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다른 고정요소(23)는 제조상 허용공차에 의한 정착링(10)의 외경과 정착부(13)의 통공(14)의 내경 사이의 불가피한 유극 또는 간극을 보상하고 덜그럭 거리는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주연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요소(23)는 정착부(3)의 통공(14)의 내경부에 접촉한다.
끝으로, 도 30 - 도 32는 본 발명 정착유니트(1)의 제5 실시형태를 보인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정착링(10)은 칼라(24)를 포함한다. 다수의 갈고리형 고정요소(25)가 정착링(10)을 스크류(2)의 동체부분(6)에 고정하기 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정착링(10)은 약간의 유극 또는 간극을 가지고 스크류(2)의 동체부분(6)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정착링(10)은 특히 플라스틱 재질의 링으로 구성되며 고정요소(25)에 의하여 동체부분(6)의 표면에 비교적 확고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이러한 유극 또는 간극이 존재하지 않아 덜그럭 거리는 소음의 발생이 없다. 스크류(2)의 단부를 향하여 정착링(10)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숄더(9)에 의하여 신뢰가능하게 방지될 수 있다.

Claims (15)

  1. 스크류(2)를 정착부(3)에 회전가능하고 포착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정착유니트(1)에 있어서, 정착유니트(1)가 헤드부분(5)과 동체부분(6) 그리고 나선(8)을 갖는 나선부분(7)을 포함하고 동체부분(6)이 헤드부분(5)과 나선부분(7)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는 스크류(2)와, 스크류 축선(11)의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동체부분(6)에 배치되는 정착링(10)으로 구성되고, 정착링(10)이 정착부(3)가 삽입되어 넘어갈 수 있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13)를 포함하며 정착부(3)가 이러한 고정요소(13)에 의하여 고정되고 스크류(2)가 정착부(3)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고 스크류 축선(11)의 방향으로는 이동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버클의 고정아일릿용 정착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13)가 스냅형 고정요소이고, 이러한 스냅형 고정요소가 탄성을 가지고 정착링(10)으로부터 돌출구성되어 있으며 정착부(3)가 탄성변형하에 스냅형 고정요소를 넘어 삽입되고 스냅형 고정요소가 탄력이 복원된 후에 정착부(3)가 스냅형 고정요소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버클의 고정아일릿용 정착유니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정착링(10)이 적어도 하나의 가압요소(12)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13)가 나선부분(7)을 향하는 정착링(10)의 축방향 단부의 영역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가압요소(12)가 헤드부분(5)을 향하는 정착링(10)의 축방향 단부의 영역에 배치되어 정착부(3)가 축방향 유동없이 적어도 하나의 가압요소(12)와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13) 사이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버클의 고정아일릿용 정착유니트.
  4.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압요소(12)가 탄성을 가지고 정착부(30에 탄력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정착된 상태에서 정착부(3)가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13)에 대하여 가압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버클의 고정아일릿용 정착유니트.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착링(10)이 주연방향의 어느 한 부분이 개방되어 폐쇄되지 않은 스프링강 재질의 링의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버클의 고정아일릿용 정착유니트.
  6.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크류(2)가 숄더(9)를 포함하고, 나선부분(7)을 향하는 스크류 축선(11)의 방향으로 숄더(9)가 동체부분(6)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숄더(9)가 동체부분(6) 보다 큰 외경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버클의 고정아일릿용 정착유니트.
  7.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크류(2)가 동체부분(6)의 영역에 배치된 채널(20)을 포함하고, 정착링(10)이 채널(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 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21)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버클의 고정아일릿용 정착유니트.
  8. 제1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체부분(6)이 나선부분(7) 보다 큰 외경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버클의 고정아일릿용 정착유니트.
  9. 제1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착부(3)가 주연방향으로 폐쇄된 통공(14)을 포함하고, 정착링(1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공(14)을 통하여 연장된 정착부(3)의 정착위치에서 스크류(2)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버클의 고정아일릿용 정착유니트.
  10. 제1항 내지 제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착부(3)가 승용차, 트럭 또는 여러 상용차량의 벨트 버클의 고정아일릿(4)으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버클의 고정아일릿용 정착유니트.
  11. 나선결합으로 정착부(3)를 연결대상물에 연결하기 위한 정착셋트(19)에 있어서, 정착셋트(19)가 통공(14)을 포함하는 정착부(3), 헤드부분(5)과 동체부분(6) 그리고 나선(8)을 갖는 나선부분(7)을 포함하고 동체부분(6)이 헤드부분(5)과 나선부분(7)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며 정착부(3)의 통공(14)을 통하여 연장되는 스크류(2)와, 스크류 축선(11)의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동체부분(6)에 배치되는 정착 링(10)으로 구성되고, 정착링(10)이 정착부(3)가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13)를 포함하며 정착부(3)가 이러한 고정요소(13)에 의하여 고정되고 스크류(2)가 정착부(3)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고 스크류 축선(11)의 방향으로는 이동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셋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13)가 탄성을 가지고 정착링(10)으로부터 돌출구성되어 있으며 정착되지 않은 상태로부터 출발하여 정착부(3)가 고정요소(13)의 탄성변형하에 고정요소(13)를 넘어 삽입되고 고정요소(13)가 탄력이 복원된 후에 정착부(3)가 고정요소(13)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셋트.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정착링(10)이 적어도 하나의 가압요소(12)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13)가 나선부분(7)을 향하는 정착링(10)의 축방향 단부의 영역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가압요소(12)가 헤드부분(5)을 향하는 정착링(10)의 축방향 단부의 영역에 배치되어 정착부(3)가 축방향 유동없이 적어도 하나의 가압요소(12)와 적어도 하나의 고정요소(13) 사이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셋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가압요소(12)가 탄성을 가지고 정착부(30에 탄력을 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정착된 상태에서 정착부(3)가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13)에 대하여 가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셋트.
  15. 제11항 내지 제1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착부(3)가 승용차, 트럭 또는 여러 상용차량의 벨트 버클의 고정아일릿(4)으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착셋트.
KR1020087020574A 2006-02-02 2007-01-20 벨트 버클의 고정아일릿용 정착유니트 KR1010988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04678A DE102006004678B4 (de) 2006-02-02 2006-02-02 Montageeinheit für die Befestigungsöse eines Gurtschlosses
DE102006004678.1 2006-0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995A true KR20080110995A (ko) 2008-12-22
KR101098845B1 KR101098845B1 (ko) 2011-12-26

Family

ID=38015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0574A KR101098845B1 (ko) 2006-02-02 2007-01-20 벨트 버클의 고정아일릿용 정착유니트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7828502B2 (ko)
EP (1) EP1979634B1 (ko)
JP (1) JP5071811B2 (ko)
KR (1) KR101098845B1 (ko)
CN (1) CN101379308B (ko)
AT (1) ATE438806T1 (ko)
AU (1) AU2007211661B8 (ko)
BR (1) BRPI0708005B1 (ko)
CA (1) CA2641066C (ko)
DE (2) DE102006004678B4 (ko)
ES (1) ES2330802T3 (ko)
HK (1) HK1128511A1 (ko)
MX (1) MX2008009370A (ko)
RU (1) RU2386868C1 (ko)
WO (1) WO20070879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16633A1 (de) 2008-11-26 2010-05-27 Illinois Tool Works Inc., Glenview Befestigungsmittel zur Vormontage eines stiftförmigen Verbindungsmittels in einer Durchgangsöffnung eines Bauteils
DE102009014847A1 (de) 2009-03-30 2010-10-14 Autoliv Development Ab Befestigungsvorrichtung zur verliersicheren Befestigung einer Befestigungsschraube
DE102009023790A1 (de) * 2009-06-03 2010-12-09 Elringklinger Ag Schraube zum Befestigen eines ersten Bauteils an einem zweiten Bauteil
US10315558B2 (en) * 2010-05-24 2019-06-11 Burton Technologies, Llc Locking position stud fastener for a vehicle lamp assembly
FR2973457B1 (fr) * 2011-04-04 2013-04-05 Dura Automotive Systems Sas Dispositif pour assujettir une vis d'assemblage a un element devant etre fixe sur un autre element
FR2976987B1 (fr) * 2011-06-21 2013-07-05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montage pour la fixation rotative et imperdable d'un element mecanique
DE102012010230B4 (de) * 2012-05-24 2014-01-09 Faurecia Autositze Gmbh Montage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Gurtschlosses
DE102013008983A1 (de) * 2013-05-28 2014-12-04 Ibs Filtran Kunststoff-/ Metallerzeugnisse Gmbh Verliersicherung für eine Befestigungsschraube an einem Bauteil
CN103671456B (zh) * 2014-01-02 2015-07-15 无锡倍安杰机械科技有限公司 定位销的尼龙保护头防脱落装置
CN104806604A (zh) * 2014-01-23 2015-07-29 宏碁股份有限公司 锁孔机构
CN104044713B (zh) * 2014-05-21 2017-01-25 孙海侠 一种具有多功能缓冲板的卡扣
EP2962906B1 (de) * 2014-07-03 2016-09-21 TRW Automotive GmbH Andruckeinheit sowie Endbeschlag mit einer solchen Andruckeinheit
FR3028900B1 (fr) * 2014-11-20 2017-04-07 Renault Sas Bague anti-fluage renforcee
FR3064035B1 (fr) * 2017-03-16 2019-04-19 Sogefi Air & Cooling Manchon amovible pour le maintien et la fixation de vis
US11255362B2 (en) * 2018-06-01 2022-02-22 Vibracoustic Usa, Inc. Mount assembly with clip
US20190383315A1 (en) * 2018-06-18 2019-12-19 General Fasteners Company Compression limiter fastener assembly
US11808034B2 (en) * 2019-03-08 2023-11-07 Omg, Inc. Floating connection fastening system
DE102019110201A1 (de) * 2019-04-17 2020-10-22 Witte Automotive Gmbh Toleranzausgleichsvorrichtung
DE102019122378A1 (de) * 2019-08-20 2021-02-25 Illinois Tool Works Inc. Montagevorrichtung
DE102019008904A1 (de) * 2019-12-20 2021-06-24 A. Raymond Et Cie Antifließring, System aufweisend einen Antifließring und Verwendung eines Antifließrings
US11566655B2 (en) * 2020-02-20 2023-01-31 Caterpillar Inc. Bolt retainer configuration to hold a position of a bolt within a component
EP4298352A1 (en) * 2021-02-26 2024-01-03 RDI (Robaina Design Innovations) LLC Fastener assembly
DE102021118480A1 (de) 2021-07-16 2023-01-19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Isolierhülse für eine Schraube und Schraubenanordnung mit einer Isolierhüls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6281A (en) * 1960-11-04 1964-11-10 Robertshaw Controls Co Fastener assembly with resilient locking retainer
US3217774A (en) * 1961-01-06 1965-11-16 Edward J Pelochino Fastener and retaining means therefor
US3414154A (en) * 1967-05-16 1968-12-03 Square D Co Cover ring and leveling screw assembly for underfloor wiring duct junction box
US3511289A (en) * 1967-12-28 1970-05-12 Brown Int Corp Fastener assembly
FR1506796A (fr) * 1968-12-16 1967-12-22 Standard Pressed Steel Co Dispositif de fixation de sécurité
US4193434A (en) * 1978-08-10 1980-03-18 Illinois Tool Works Inc. Preassembled fastener unit for clamping plastic workpieces
US4238165A (en) * 1979-01-25 1980-12-09 Illinois Tool Works Inc. Fastener unit for clamping plastic workpieces
JPS6118253Y2 (ko) * 1979-11-22 1986-06-03
JPS58171150U (ja) * 1982-05-13 1983-11-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シ−トベルトの交換指示表示機構
JPS6114153U (ja) * 1984-07-02 1986-01-27 タカタ株式会社 シ−トベルト用アンカ−金具の防音支持装置
US4810145A (en) * 1986-08-20 1989-03-07 Villas Hugo J Retractable and reusable self-locking fastener
DE19523932C2 (de) * 1994-07-21 1997-02-20 Kostal Leopold Gmbh & Co Kg Verliersicherung für in Bauteile lose eingesetzte Schrauben
JP2582348B2 (ja) * 1995-01-19 1997-02-19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ダンパーの取付支持具
US5741101A (en) * 1996-08-16 1998-04-21 Gulistan; Bullent Reliable snap action locking fastener
US6238127B1 (en) * 1998-12-17 2001-05-29 Western Sky Industries, Inc. Pivot apparatus including a fastener and bushing assembly
DE10055405B4 (de) * 2000-11-09 2004-02-19 Kamax-Werke Rudolf Kellermann Gmbh & Co. Kg Montageeinheit aus einem Bauteil und mindestens einer Schraube
US6871431B2 (en) * 2002-03-28 2005-03-29 Tyson Schmidt License plate having captive thumb screw faste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08009370A (es) 2008-10-17
AU2007211661B8 (en) 2011-08-25
BRPI0708005A2 (pt) 2011-05-17
JP2009525445A (ja) 2009-07-09
CA2641066A1 (en) 2007-08-09
BRPI0708005A8 (pt) 2017-12-19
AU2007211661A1 (en) 2007-08-09
RU2008135460A (ru) 2010-03-10
EP1979634A1 (de) 2008-10-15
US7828502B2 (en) 2010-11-09
CN101379308A (zh) 2009-03-04
JP5071811B2 (ja) 2012-11-14
BRPI0708005B1 (pt) 2019-01-22
RU2386868C1 (ru) 2010-04-20
ES2330802T3 (es) 2009-12-15
WO2007087991A1 (de) 2007-08-09
EP1979634B1 (de) 2009-08-05
DE502007001243D1 (de) 2009-09-17
HK1128511A1 (en) 2009-10-30
CA2641066C (en) 2012-04-24
AU2007211661A8 (en) 2011-08-25
US20090022566A1 (en) 2009-01-22
DE102006004678A1 (de) 2007-08-16
CN101379308B (zh) 2010-12-15
ATE438806T1 (de) 2009-08-15
KR101098845B1 (ko) 2011-12-26
DE102006004678B4 (de) 2009-09-10
AU2007211661B2 (en) 2010-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8845B1 (ko) 벨트 버클의 고정아일릿용 정착유니트
US20100014793A1 (en) Bearing arrangement, particularly of a vehicle seat
US8568073B2 (en) Fastening element for vehicle parts
US20130125367A1 (en) Ring for mounting a structure to a shaft
EP2147813A2 (de) Anordnung einer feststehenden Scheibe an einem Karosserieflansch sowie Befestigungsclip zur Montage der feststehenden Scheibe
DE102011080940A1 (de) Elektromechanisch betätigbare Fahrzeugbremse mit verbessertem Kolben
JPH03501513A (ja) シール
KR20090077902A (ko) 볼 조인트
EP2492525A1 (en) Ball joint
US20080145180A1 (en) Combination of a screw member and a sleeve and also a method of producing such a combination
KR20060122968A (ko) 나사 볼트를 가진 지지부에 고정될 장치
US8235622B2 (en) Joint and/or bearing arrangement
CN111868396A (zh) 改进的承窝组件及其制造方法
US11598404B2 (en) Gear assembly having a damping element
CN112154272A (zh) 固定系统、用于固定的方法、用于装配的方法和机动车
JP2000145754A (ja) 玉継手
JP4205607B2 (ja) グロメット
US8460115B2 (en) Bearing bush seal attached to a universal joint pivot pin
US9580114B2 (en) Clip and coupling assembly
US20210190123A1 (en) Hinged retainer assembly
JP5172506B2 (ja) 環状弾性体装着装置
JPH0924800A (ja) ワイパピボットの仮保持構造
WO2022181362A1 (ja) グロメット
KR20190027173A (ko) 휠 베어링 조립체 및 휠 베어링용 고정 장치
JP2001140852A (ja) ボールジョイ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