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10186A -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체의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체의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10186A
KR20080110186A KR1020070058618A KR20070058618A KR20080110186A KR 20080110186 A KR20080110186 A KR 20080110186A KR 1020070058618 A KR1020070058618 A KR 1020070058618A KR 20070058618 A KR20070058618 A KR 20070058618A KR 20080110186 A KR20080110186 A KR 20080110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anel
rooftop
waterproof structure
support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8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채호
Original Assignee
건융건설 주식회사
홍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융건설 주식회사, 홍채호 filed Critical 건융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8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10186A/ko
Publication of KR20080110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01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02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of the layers permitting turfing of the ro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05Supports for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2Details of junctions between the supporting structures and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Abstract

본 발명은, 옥상 바닥으로 물이 바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을 옥상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상부 패널의 상부 또는 측면에 구비되어 상부 패널로 떨어진 물을 상부 패널이 설치된 바깥쪽 공간으로 유도하여 배출하는 배수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와 상부 패널 사이에는 격자 구조의 프레임이 설치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고, 이중 바닥 구조물을 보다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옥상 바닥, 난간, 패널, 단열, 방수, 녹화, 배수, 지지 부재

Description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체의 지지 장치{Supporting devicne of double floor type inducing waterproof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방수 구조가 도시된 단면 구성도 및 일부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방수 구조가 도시된 절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방수 구조에서 일부 상부 패널 및 지지 플레이트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 부분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방수 구조에서 일부 상부 패널이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C" 부분의 상세도,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교차 조인트가 도시된 상측방향 및 하측방향 사시도들,
도 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분감지센서가 도시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옥상 방수 구조가 도시된 단면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옥상 방수 구조가 도시된 절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방수 구조에 옥상 녹화를 실현한 상태의 단면도,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지지 장치가 도시된 도면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지지부재 구조를 보인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난간 11 : 옥상 바닥
12 : 배수구 20 : 이중 바닥 구조물
21 : 상부 패널 22 : 상부면
23 : 저수홈 24 : 배수부
25 : 유로부 26 : 테두리부
27 : 수직벽 27a : 지지돌기
30 : 지지 플레이트 35 : 측면 패널
40 : 지지부재 50 : 배수 유로
60 : 조인트 부재 65 : 교차 조인트
80 : 부직포 90 : 옥상 녹화
91 : 토양층 92 : 식생층
100 : 수분감지센서 110 : 수분감지센서
120 : 감시 카메라 130 : 조명 장치
140 : 경량 채움부재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 방수 구조 및 옥상 녹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부 패널을 견고하면서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체의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건물 옥상의 방수 성능, 녹화 구조 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를 고안하여 특허 및 실용신안등록 출원을 하였고, 실용신안등록번호 '20-0420547호'로 실용신안 등록된 바 있다.
상기 등록 고안은 옥상에 이중 바닥 구조물을 설치하여 방수층의 하자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함과 아울러 유지 보수가 용이하면서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옥상 방수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였고, 그 위에 옥상 녹화 시설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시공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면서, 우수한 방수 성능을 유지함과 아울러 완벽한 방근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 등록 고안은 위와 같이 우수하고 효과적인 성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다 우수한 방수 성능, 단열 성능, 배수 성능을 갖는 옥상 방수 구조와 옥상 녹화 구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즉, 상기 등록 고안은 배수 유로가 이중 바닥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위치됨으로 인하여, 이중 바닥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습기 등의 수분이 많이 발생하게 되어 보다 우수한 방수 성능을 실현하는데 한계가 있고, 가로와 세로 방향의 배수유로가 각기 서로 다른 높이에서 교차함으로 인해 확보된 내부 공간의 높이를 과도하게 잠식하여 지지부재의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배수 유로가 손상되거나 고장날 경우에 유지 보수 작업도 쉽지 않은 한계가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과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 패널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체의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옥상 방수 구조가 도시된 단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 부품이 제거된 상태의 이중 바닥 구조물의 사시도 및 주요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방수 구조는, 옥상 바닥(11) 위에 설치된 이중 바닥 구 조물(20)을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옥상 바닥(11)으로 물이 바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 패널(21)과, 이 상부 패널(21)을 옥상 바닥(11)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40)와, 상기 상부 패널(21)에 구비되어 상부 패널(21)로 떨어진 물을 상부 패널(21)이 설치된 바깥쪽 공간으로 유도하여 배출하는 배수 유로(50)와, 상기 상부 패널(21)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어 옥상 바닥(11)으로 물이 누수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수분감지센서(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이중 바닥 구조물(20)이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옥상 난간(10)의 안쪽 공간의 옥상 바닥(11)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패널(21) 및 배수 유로(50)를 통해 배수된 물은 이중 바닥 구조물(20)의 바깥쪽 공간으로 유도된 다음, 옥상의 배수구(12)를 통해 옥상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수 유로(50)는 상기 상부 패널의 외곽의 측면 또는 상부 패널(21)들이 서로 맞대어진 결합 부분에 X(가로) 방향 및 Y(세로) 방향으로 교차되게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이중 바닥 구조물(20)의 측면 둘레에는 측면 패널(35)이 설치되는데, 이 측면 패널(35)을 통해 이중 바닥 구조물(20)의 하부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이중 바닥 구조물(20)의 하부 공간을 밀폐시켜 공기 단열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중 바닥 구조물(20)의 바깥쪽 영역에는 옥상 바닥(11)에 외부 단열재(15)가 구비된다. 이 외부 단열재(15)는 통상 소정의 두께를 갖는 스티로폼이나 발포 우레탄 등의 단열재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외부 단열재(15)의 상부에 외부 방수재(16)를 도포할 수 있는데, 이 외부 방수재(16)는 도막 방수층으로 구성하거나, 방수 PVC 시트 등의 시트 방수재 등을 도포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 요소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상부 패널(21)은 복수개가 매트릭스 구조로 상호 조립되어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 또는 4개가 조립된 구성만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주요 부분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옥상의 크기에 따라 더 많은 상부 패널(21)들을 격자 구조로 결합시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상부 패널(21)은 상부면(22)에 소정량의 물이 저수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저수홈(23)이 형성된다. 이러한 저수홈(23)은 대략 원통 구조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형상과 돌출 높이는 실시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수홈(23)이 상부로 돌출된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상부 패널(21)의 상면이 내측으로 파인 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저수홈과 저수홈들 사이는 저수홈(23)에서 넘친 물과 외부에서 유입된 물을 상부 패널의 측면 배수 유로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부(24)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 패널(21)의 상부면(22)에 형성된 저수홈(23)들은 도 12에서와 같이 이중 바닥 구조물(20)의 상부에 옥상 녹화를 실현할 때 특히 유용할 수 있는데, 이는 저수홈(23)에 물고임이 가능하여, 상부 토양에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 패널(21)의 측면에는 배수 유로(50)를 형성하기 위한 유로부(25)가 구성되며, 아울러 이 유로부(25)에는 상부 패널(21)을 상호 조립하는 조인트 부재(6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의 확대도 및 도 7을 참조하여 다음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 패널(21)의 하부에는 2중 공기층 단열 구조를 형성토록 상부 패널(21)의 하부를 밀봉하는 지지 플레이트(3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0)는 상기 상부 패널(21)의 하부 공간의 내측에 에어 포켓을 형성함으로써 옥상 바닥(11)과 상부 패널(21) 사이에 도 1에서와 같이 'A'와 'B'의 두 개의 공기 단열 공간을 형성하여 옥상을 단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이중 단열층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공기층을 단층 또는 3층 이상의 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상기 지지 플레이트(30)는 상부 패널(21)을 지지하는데,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금속 판재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상부 패널(21)은 상기 지지 부재(40)들에 의해 옥상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된 상태로 지지되는 바, 상부 패널(21)의 상부에 옥상 녹화를 실현하거나 기타 다른 하중이 가해질 때 충분한 지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플레이트(30)를 금속 판재, 예를 들면 철판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금속 판재로 된 지지 플레이트(30)와, 그 하부에 상기 지지 부 재(40)들이 설치되어 전체 구조물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이중 바닥 구조물(20)의 전체적인 구조적 강도를 더욱 견고하고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상기한 바와 같은 상부 패널(21)은 옥상 바닥을 거치지 않고 우천 등으로 발생된 물을 옥상 외곽으로 유도 배수하여, 방수 기능을 실현함과 아울러, 이중 단열층 구조를 확보하여 옥상 단열 기능을 갖는다. 또한, 저수홈(23)을 통해 옥상 녹화 실현시에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함과 아울러, 패널 소재의 고유 특성과 견고한 이중 조인트 처리 즉,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될 조인트 부재(60)와 실링 부재(72)가 설치되므로 방근 기능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옥상의 방수 및 단열 성능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 상부 패널(21) 등을 신속하게 정확하게 보수할 수 있게 되므로, 유지 보수 관리도 용이해지고 , 이에 따라 경제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 지지부재(40)는 상하로 긴 봉형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패널(21)의 네 모서리 부근 등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30)에 기둥 구조로 설치된다. 물론, 도 4에서와 같이 상부 패널(21)의 크기가 일정 이상으로 큰 경우에는 가운데 부분 등에 지지부재(40)를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지지부재(40)는 상부봉(41)과 하부봉(45)이 나사 조립 구조로 상호 결합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지지부재(40)는 그 상단부와 하단부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30) 및 옥상 바닥(11)에 지지되는 지지판(47)(48)들이 각각 설치된다.
다음, 상기 측면 패널(35)은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상부 패널(21)의 저면 에서 옥상 바닥(11)으로 길게 이어지도록 구성되고, 상부에는 상부 패널(21) 및 배수 유로(50)를 통해 배수된 물이 난간 쪽 옥상 바닥(11)에 떨어지도록 하는 배수 가이드(37)가 구성된다. 여기서 배수 가이드(37)는 대략 'ㄱ'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다음, 상기와 같이 이중 바닥 구조물(20)에서 조인트 구조와 배수 유로(50)에 대하여 주로 도 1의 상세도 및 도 4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상부 패널(21)의 측면에는 가장자리 밑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연장부(28)가 형성되고, 이 수평 연장부의 안쪽에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30)가 끼워져서 조립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수평 연장부(28)의 안쪽에 지지 플레이트(30)가 끼워질 때, 수평 연장부의 밑면과 지지 플레이트의 밑면은 도 1 등에서와 같이 전체적으로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 연장부(28)의 상부에는 상향으로 절곡된 구조로 형성되어 안쪽에 유로(25)를 형성하는 테두리부(26)가 형성된다.
이 테두리부(26) 안쪽에는 모서리 부분이 개방된 수직벽(27)이 세워지고, 이 수직벽(27)의 외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조인트 부재(60)를 지지하는 지지돌기(27a)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테두리부(26)는 상기 저수홈(23)이 돌출되는 상부 패널(21)의 상부면(22)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수직벽(27)은 상기 상부 패널(21)의 상부면(22) 보다 높고 저수홈(23) 보다는 낮게 형성된다.
한편, 도 1의 확대도를 참고하면, 양쪽 상부 패널(21)은 자신의 수평 연장 부(28)에 의해 상호 밀착되는데, 이 수평 연장부(28)들이 상호 밀착되는 부분에는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토록 방수 테이프(71) 및 이 방수 테이프 위에 실런트 또는 우레탄 등의 실링 부재(72)가 도포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상부 패널(21)은 조인트 부재(60)들에 의해 상호 조립된다.
다음, 상기 조인트 부재(60)는 도 1의 확대도에서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사각 통체형 구조로 형성되고, 하부의 모서리 부분에 상기 수직벽(27)에 끼워져 설치되도록 조립부(62)가 형성되며, 상부면(63)은 좌우 방향으로 확장된 구조로 형성되어 배수 유로(50)의 상부를 덮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상부면(63)의 높이는 상부 패널에 형성된 저수홈(23)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인트 부재(60)의 조립 구조는 도 2, 도 4, 도 6의 사시도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패널(21)의 모서리 부분 즉, 상기 조인트 부재(60)의 교차 지점에는 교차 조인트(65)가 조립된다.
이 교차 조인트(65)는 도 5 및 도 8a,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 캡 구조로 형성되고, 외곽 모서리 부분(65a)은 상부 패널(21)에 형성된 저수홈(23)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오목한 라운드 구조로 형성된다. 아울러, 네 개의 외부면에는 조인트 부재(60) 방향으로 돌출되는 조립 돌기(65b)가 형성된다. 이러한 조립 돌기의 위치는 도 1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 부재(60)의 밑면 공 간으로 돌출되어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교차 조인트(65)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X 자 구조로 배치된 보강 리브(65c)가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 리브의 구성은 교차 조인트(65)의 강성 보강을 위해 다양하게 구성하여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조인트 부재(60)가 결합되는 부분에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유로(50)가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배수 유로(50)는 두 개의 유로로 나누어진다.
즉, 도 1의 확대도를 참고하면, 상기 조인트 부재(60)의 바깥쪽 영역과 조인트 부재(60)의 안쪽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조인트 부재(60)의 바깥쪽 영역은 통상 상부 패널(21)에서 흘러나온 물이 자연스럽게 이중 바닥 구조물(20) 밖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고, 조인트 부재(60)의 안쪽 영역은 조인트 부재 내부로 유입된 수분이 실링 부재(72)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물론 이중 바닥 구조물(20)의 내측 부분은 상부 패널(21)과 상부 패널 사이에 실링 부재(72) 및 방수 테이프(7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인트 부재(60)를 중심으로 한 이중 방수 구조 및 이중 유로 구조는 외부 배수 유로에서 방수가 실패하더라도 내부에서 2차 배수 유로 및 방수 구조를 확보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높은 방수 구조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부 패널의 하부 공간 즉, 이중 바닥 구조물(2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수분감지센서(100), 감시 카메라(120), 조명장치(130)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수분감지센서(100)는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패널(21) 또는 지지 플레이트(30) 사이로 누수되어 옥상 바닥(11)으로 떨어지는 물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러한 수분감지센서(100)의 구성을 도 9에 나타내었다.
즉, 도 9에 도시된 수분감지센서(100)는 센서 하우징(101)의 측면부가 개방되어 옥상 바닥으로 떨어진 물이 내부로 유입될 경우에 내부의 감지 회로(105)가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센서 하우징(101)의 양쪽에는 나사 등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 설치부(102)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분감지센서(100)는 하나의 예시일 뿐 반드시 도 9에 도시된 구조와 동일한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옥상 바닥의 수분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여러 수분감지센서(100)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중 바닥 구조물(20)의 내부 공간에 수분감지센서(100)를 설치하게 되면, 상부 구조물에 누수가 발생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신속하게 점검 및 수리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즉, 이중 바닥 구조물(20)은 상부 패널(21)과 측면 패널(35) 등을 통해 내부 공간이 폐쇄되어 있는 바, 만일 상부 패널(21) 등이 손상되거나 측면 패널(35) 쪽으로 누수가 발생할 경우에 상당한 시간이 경과하여야만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수분감지센서(100)를 이중 바닥 구조물(20)의 내부 공간에 수개 소 설치할 경우에 누수된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이에 대한 조치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분감지센서(100)와 함께 감시 카메라(120)도 함께 설치되는 것 이 바람직한 바, 이 감시 카메라는 상기 수분감지센서(100)를 통해 누수가 감지된 경우 또는 평상시 또는 정기적으로 필요에 따라 이중 바닥 구조물(20)의 내부 공간을 점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감시 카메라(120)는 반드시 상기 수분감지센서(100)와 함께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서는 수분감지센서(100) 없이 감시 카메라(120)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중 바닥 구조물(20)의 내부가 어두우므로, 감시 카메라(120)에 조명 설비가 구비되거나, 아래에 설명될 조명 장치(130)를 함께 이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명 장치(130)는 크게 두 가지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그 하나는 상기 감시 카메라(120) 사용시에 내부 공간을 밝혀주는 용도로 사용하거나, 다른 하나는 이중 바닥 구조물(20)의 외관을 조명 빛을 이용하여 보다 미려하게 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부 패널(21), 조인트 부재(60), 교차 조인트(65) 등은 무색 또는 색상을 갖는 투명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지지 플레이트(30)는 금속 판재가 아닌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상부 패널과 동일한 소재 또는 유사한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지지 플레이트(30)를 생략하고, 상부 패널(21)에 바로 지지 부재(40)를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이중 바닥 구조물(20)의 외부 공간에도 수분감지센서(11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옥상 난간(10)에 설치하여 배수구(12) 등이 막혀 일정 높이 이상으로 물이 차오를 때 이를 감지하여 알려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기능을 갖는 수분감지센서(110)는 이중 바닥 구조물(2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수분감지센서(100)와 동일한 종류의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으로서, 도 10은 전체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11은 전체 구성을 보인 절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옥상 방수 구조는 기본적인 구성이 전술한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이중 바닥 구조물(20)의 외부 공간 즉, 측면 패널(35)과 난간(10) 사이의 공간에 외부 단열재(15)가 일정 높이로 설치되고, 이 외부 단열재(15)의 상부 공간에 플라스틱 파이프가 다발로 형성된 경량 채움부재(140)를 설치한 구성이 추가된다.
이러한 경량 채움부재(140)는 이중 바닥 구조물(20)의 외부 공간을 적당한 높이로 채움과 아울러, 그 하부에 설치된 외부 단열재(15)와 함께 옥상의 단열 기능을 실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에서는 경량 채움부재(140)가 플라스틱 파이프가 다발로 형성된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각각의 플라스틱 파이프를 배열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일반 경량 골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이중 바닥 구조 물(20)의 외부 공간을 채우고, 단열 성능을 가지며, 배수 구조를 갖는 부재이면, 옥상 설계 조건에 맞게 여러 채움 가능한 부재를 선택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상기 경량 채움부재(140)는 옥상에 가해지는 하중을 고려하여 중량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를 가진 옥상에 옥상 녹화를 실현할 수 있는데, 도 12는 이러한 옥상 녹화 구조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바닥 구조물(20)의 상부 공간에 옥상 녹화(90)를 실현하는데, 상기 상부 패널(21)의 상부에 부직포(80) 등으로 이루어진 다공성 시트를 깔고, 그 위에 식재가 용이한 토양층(91) 및 식생층(92) 차례로 포설하여 옥상 녹화를 실현한다.
이때 상기 상부 패널(21)의 상부면(22)에 형성된 저수홈(2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속적인 수분 공급이 가능해짐과 아울러, 패널 소재의 고유 특성과 견고한 이중 조인트(조인트 부재(60)와 실링 부재(72))처리로 방근 기능도 수행할 수 있으며, 각각의 상부 패널(21)을 중심으로 X 축 및 Y축 방향으로 배수 유로(5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보다 원활한 배수 구조를 확보하면서 양호한 식생 환경을 조성 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지지 장치가 도시된 도면들이고,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지지부재 구조를 보인 도면들이다.
도 13과 같은 구조로 지지부재를 배치하고, 그 위에 도 14와 같이 프레임을 설치한 다음, 도 15에서와 같이 상부 패널을 조립한다. 아울러, 상부 패널 들 사이에 실링 부재를 설치한다.
이후, 도 16에서와 같이 조인트 부재를 조립하고, 도 17에서와 같이 상부 패널 위에 부직포를 설치한 다음, 도 18에서와 같이 녹화를 실현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체의 지지 장치는, 조립이 용이하고, 이중 바닥 구조물을 보다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옥상 바닥으로 물이 바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을 옥상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상부 패널의 상부 또는 측면에 구비되어 상부 패널로 떨어진 물을 상부 패널이 설치된 바깥쪽 공간으로 유도하여 배출하는 배수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와 상부 패널 사이에는 격자 구조의 프레임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체의 지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그 상부에 상기 프레임에 끼워지는 십자 구조의 조립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체의 지지 장치.
KR1020070058618A 2007-06-14 2007-06-14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체의 지지 장치 KR200801101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618A KR20080110186A (ko) 2007-06-14 2007-06-14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체의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8618A KR20080110186A (ko) 2007-06-14 2007-06-14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체의 지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186A true KR20080110186A (ko) 2008-12-18

Family

ID=40369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8618A KR20080110186A (ko) 2007-06-14 2007-06-14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체의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1018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04497A1 (en) * 2009-03-06 2012-01-11 Teruto Otsubo Planter support frame apparatus
KR101282758B1 (ko) * 2011-10-25 2013-07-05 대림산업 주식회사 옥상 녹화용 유닛 지지대
CN113638567A (zh) * 2021-08-05 2021-11-12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基于降板式卫生间快装整体地面系统及施工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04497A1 (en) * 2009-03-06 2012-01-11 Teruto Otsubo Planter support frame apparatus
EP2404497A4 (en) * 2009-03-06 2014-04-02 Teruto Otsubo CHASSIS TYPE APPARATUS PLANTATION SUPPORT
KR101282758B1 (ko) * 2011-10-25 2013-07-05 대림산업 주식회사 옥상 녹화용 유닛 지지대
CN113638567A (zh) * 2021-08-05 2021-11-12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基于降板式卫生间快装整体地面系统及施工方法
CN113638567B (zh) * 2021-08-05 2022-05-27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基于降板式卫生间快装整体地面系统及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11186A1 (en) Double floor type inducing waterproof structure and green roof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0738954B1 (ko)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
KR100629782B1 (ko) 슬래브 에지의 레벨다운이 포함된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
KR102212486B1 (ko) 방수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0784241B1 (ko)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KR20080110186A (ko)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체의 지지 장치
KR100986204B1 (ko) 평슬라브 옥상의 방수 시스템
JP4961770B2 (ja) 屋外床の二重防水構造
JP2010163815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設置構造
KR100603001B1 (ko) 벽체용 방습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2212485B1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시공 방법
JP5335306B2 (ja) 貯水タンク
KR200420547Y1 (ko)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KR20080035962A (ko)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JPH11336279A (ja) 屋根一体型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6148453B2 (ja) 階間壁構造
JP2008082034A (ja) 換気棟構造及び換気屋根構造
JP2013072205A (ja) 雨水貯水装置を備えた建物
JP2013023941A (ja) 屋根板材
KR20190001731A (ko) 황토 난방패널
JP2019173280A (ja) 雨仕舞構造、および雨仕舞構造が配設された屋根ハッチ
JP6365618B2 (ja) 基礎通気防水構造
FI12208U1 (fi) Radonsuojausjärjestely
CN211775425U (zh) 底盘系统
JP5269308B2 (ja) 建物の外部床の床面構造、及び該床面構造の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