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5962A -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 Google Patents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5962A
KR20080035962A KR1020070098058A KR20070098058A KR20080035962A KR 20080035962 A KR20080035962 A KR 20080035962A KR 1020070098058 A KR1020070098058 A KR 1020070098058A KR 20070098058 A KR20070098058 A KR 20070098058A KR 20080035962 A KR20080035962 A KR 20080035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top
upper panel
panel
floor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8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채호
Original Assignee
건융건설 주식회사
홍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융건설 주식회사, 홍채호 filed Critical 건융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8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5962A/ko
Publication of KR20080035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04Roof drainage; Drainage fittings in flat roofs, balconies or the like
    • E04D13/0404Drainage on the roof surface
    • E04D13/0445Drainage chan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는, 건축구조물의 최상부에서 행해지는 3대 주요 작업 공종(공사 종류)인 '방수'와 '단열'과 '녹화'가 삼위일체 시스템으로 단일하게 통합되어, 보다 신속하고 간단하면서도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할 수 있고, 상부 패널의 하부공간이 아닌 패널과 패널 사이의 측면 공간을 통해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공종과 구성부품의 단순화와 더불어 옥상 방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패널 상부의 보강된 요철 형상이 원활한 배수 기능을 수행하여 별도의 배수판 또는 배수층이 없어도 녹화가 가능할 수 있으며, 이중 바닥 구조물의 하부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단열층을 갖도록 구성하여 옥상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누수 하자가 발생할 경우 하자 부위의 발견과 보수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 위에 옥상 녹화를 실현함으로써 옥상 녹화를 보다 효율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Figure P1020070098058
바닥, 난간, 패널, 지지부재, 조인트 부재, 단열, 방수, 녹화, 배수

Description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Double floor type inducing waterproof structure and green roof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 방수 구조 및 옥상 녹화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부 패널에서 바로 물을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건물 옥상의 방수 성능, 녹화 구조 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를 고안하여 특허 및 실용신안등록 출원을 하였고, 실용신안등록번호 '20-0420547호'로 실용신안 등록된 바 있다.
상기 등록 고안은 옥상에 이중 바닥 구조물을 설치하여 방수층의 하자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함과 아울러 유지 보수가 용이하면서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옥상 방수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였고, 그 위에 옥상 녹화 시설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시공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면서, 우수한 방수 성능을 유지함과 아울러 완벽한 방근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 등록 고안은 위와 같은 우수하고 효과적인 성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다 우수한 방수 성능을 실현하고, 옥상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며, 옥상 녹화에 따른 배수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보다 향상된 구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상기 등록 고안은 배수 유로가 이중 바닥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위치됨으로 인하여, 이중 바닥 구조물의 내부 공간에 습기 등의 수분이 많이 발생하게 되어 보다 우수한 방수 성능을 실현하는데 한계가 있고, 가로와 세로방향의 배수유로가 각기 서로 다른 높이에서 교차함으로 인해 기 확보된 내부 공간의 높이를 과도하게 잠식하여 지지부재의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배수 유로가 손상되거나 고장날 경우에 유지 보수 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요구 및 문제점을 충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 패널의 하부공간이 아닌 패널과 패널 사이의 공간을 통해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공종(공사 종류)의 구성을 단순화시키고 옥상 방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 바닥 구조물의 하부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단열층을 갖도록 구성하여, 단열성능이 우수하고 열전도율이 매우 낮은 공기의 고유한 특성을 활용함으로써 기존의 스티로폼 등을 대체하는 환경친화적인 단열공법을 제시하고, 옥상의 단열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들을 실현함과 아울러, 본 발명의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 위에 한층 강화된 패널 상부 요철과 원활한 배수 기능을 바탕으로, 옥상 녹화를 실현함으로써 옥상 녹화를 보다 효율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옥상 녹화 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는, 옥상 바닥으로 물이 바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상부 패널 과; 상기 상부 패널들을 옥상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상부 패널과 옥상 바닥 사이의 내부 공간 밖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 패널의 상부 또는 측면에 구비되어, 상부 패널로 떨어진 물을 상부 패널이 설치된 바깥쪽 공간으로 유도하여 배출하는 배수 유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패널은 그 하부에 에어 포켓을 형성토록 단열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패널은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수 유로는 상부 패널의 측면 또는 상호 조립된 상부 패널과 상부 패널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 유로는 상부 패널의 측면과 상기 조인트 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패널은 그 상부에 상기 배수 유로로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요철 구조로 이루어진 배수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를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는, 상기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에서, 상기 상부 패널의 상부 공간에 옥상 녹화를 실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패널의 상면에 수분이 통과하는 부직포 등과 같은 다공성 시트를 깔고, 그 위에 옥상 녹화를 실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는, 종래와 같이 옥상 바닥으로 침투하는 물을 막아내는 방식이 아닌, 옥상에 이중 바닥 구조물을 설치하여 물을 옥상 드레인 홀 쪽으로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방수 시설 공정을 단순화함과 동시에 공사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특히 방수층의 하자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옥상 방수를 실현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누수 하자가 발생할 경우 하자 부위의 발견과 보수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의 최상부에서 행해지는 3대 주요 작업 공종인 '방수'와 '단열'과 '녹화'가 삼위일체 시스템으로 단일하게 통합되어, 보다 신속하고 간단하면서도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할 수 있고, 패널 상부의 보강된 요철 형상이 원활한 배수 기능을 수행하여 별도의 배수판 또는 배수층이 없어도 녹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패널의 하부공간이 아닌 패널과 패널 사이의 공간을 통해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공종과 구성부품의 단순화와 더불어 이중 바닥 구조물의 내부 공간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옥상 방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 바닥 구조물의 하부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단열층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환경친화적인 옥상 외단열공법을 가능하게 하여, 각종의 유기화합물로부터 콘크리트를 보호하여 중성화 방지와 내구성 증대에 기여하며, 옥상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널 상부의 보강된 요철 형상이 원활한 배수 기능을 수행하여 별도의 배수판 또는 배수층이 없어도 옥상 녹화가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 위에 옥상 녹화 시설을 설치하는 경우에, 보다 우수한 방수 성능을 유지함과 아울러 완벽한 방근 및 배수 구조를 갖게 되고, 아울러 보다 양호한 식생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방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들로서, 도 1은 단면도, 도 2는 주요부 절개 사시도, 도 3a와 도 3d는 조립 상태의 사시도 및 평면도, 도 4는 일부 상부 패널이 분리된 상태의 주요부 사시도, 도 5는 저면 방향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방수 구조는, 옥상 바닥(11) 위에 설치된 이중 바닥 구조물(20)을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옥상 바닥(11)으로 물이 바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 패널(21)과, 상기 상부 패널(21)을 옥상 바닥(11)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40)와, 상기 상부 패널(21)에 구비되어 상부 패널(21)로 떨어진 물을 상부 패널(21)이 설치된 바깥쪽 공간으로 유도하여 배출하는 배수 유로(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이중 바닥 구조물(20)이 도 1에서와 같이 옥상 난간(10)의 안쪽 공간 의 옥상 바닥(11)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패널(21) 및 배수 유로(50)를 통해 배수된 물은 이중 바닥 구조물(20)의 바깥쪽 공간으로 유도된 다음, 옥상의 배수구(12)를 통해 옥상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수 유로(50)는 상기 상부 패널의 외곽의 측면 또는 상부 패널(21)들이 서로 맞대어진 결합 부분에 X(가로) 방향 및 Y(세로) 방향으로 교차되게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이중 바닥 구조물(20)의 측면 둘레에는 측면 패널(35)이 설치되는데, 이 측면 패널(35)을 통해 이중 바닥 구조물(20)의 하부 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이중 바닥 구조물(20)의 하부 공간을 밀폐시켜 공기 단열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중 바닥 구조물(20)의 바깥쪽 영역에는 옥상 바닥(11)에 패널 외부 단열재(15)가 구비되고, 옥상 난간(10)의 안쪽, 패널 외부 단열재(15)의 상부, 측면 패널(35)의 외측면에 패널 외부 방수재(16)가 도포된다.
여기서 상기 패널 외부 단열재(15)는 통상 소정의 두께를 갖는 스티로폼이나 발포 우레탄 등의 단열재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패널 외부 방수재(16)는 도막 방수층으로 구성하거나, 방수 PVC 시트 등의 시트 방수재를 도포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 부분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상부 패널(21)은 복수개가 매트릭스 구조로 상호 조립되어 구성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 또는 4개가 조립된 구성만을 예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주요 부분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옥상의 크기에 따라 더 많은 상부 패널(21)들을 격자 구조로 결합시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상부 패널(21)은 상부면에 물이 빠지도록 하는 배수로를 형성토록 요철 구조의 배수부(23)가 구비된다. 상기 배수부(23)는 다수개의 사각 돌기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돌출 모양과 배수로의 구조는 실시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상부 패널(21)의 측면에는 배수 유로(50)를 형성하기 위한 유로부(25)가 구성되며, 아울러 이 유로부(25)에는 상부 패널(21)을 상호 조립하는 조인트 부재(6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다음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 패널(21)의 하부에는 2중 공기층 단열 구조를 형성토록 상부 패널(21)의 하부를 밀봉하는 단열 플레이트(3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상부 패널(21)의 저면에는 단열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 1과 도 7에서와 같이 공간 'B'가 형성되며, 그 하부를 밀봉할 수 있도록 단열 플레이트(30)가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열 플레이트(30)는 상기 상부 패널(21)의 하부 공간의 내측에 에어 포켓을 형성함으로써 옥상 바닥(11)과 상부 패널(21) 사이에 도 1에서와 같이 'A'와 'B'의 두 개의 공기 단열 공간을 형성하여 옥상을 단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옥상 바닥(11)과 단열 플레이트(30) 사이의 공간(A)과, 상기 단열 플레 이트(30)와 상기 상부 패널(21) 하부 사이의 공간(B)으로 2중 공기층 단열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이중 단열층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공기층을 단층 또는 3층 이상의 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상기 지지부재(40)는 상하로 긴 봉형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패널(21)의 네 모서리 부근 등에 기둥 구조로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부재(40)는 상부봉(41)과 하부봉(45)이 나사 조립 구조로 상호 결합되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상부 패널(21)의 크기가 일정 이상으로 큰 경우에는 가운데 부분 등에 지지부재(40)를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상기 측면 패널(35)은 도 1에서와 같이 대략 'ㄱ'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부 패널(21)의 저면에서 옥상 바닥(11)으로 길게 이어지도록 구성되고, 상부에는 상부 패널(21) 및 배수 유로(50)를 통해 배수된 물을 난간 쪽 옥상 바닥(11)에 떨어지도록 하는 배수 가이드(37)가 구성된다.
여기서 배수 가이드(37)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면 패널(35)에는 상기한 외부 방수재(16)가 한쪽 끝부분이 끼워져 설치될 수 있도록 방수재 끼움부(38)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와 같이 이중 바닥 구조물(20)에서 수밀형 조인트 구조와 배수 유로(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 3a 내지 도 3d 및 도 6과 도 7을 주로 참고한 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부재(60)의 결합 상태를 보인 상세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부재(60)의 결합 구조를 보인 도 1의 주요부 상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패널(21)의 측면에는 패널과 패널 사이에 수밀 구조를 형성토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 연장부(27)와, 배수 유로(50)를 형성토록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26)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수평 연장부(27)는 상부 패널(21)이 상호 맞대어진 부분으로서, 상호 조립할 때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토록 방수 테이프(71), 그 위에 실런트 또는 우레탄 등의 실링 부재(72)가 도포된다. 참고로 수평 연장부 위에 형성된 돌기(27a)는 상기 실링 부재(72)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수직 연장부(26)는 그 안쪽에 상부 패널(21)의 배수부(23) 등에서 흘러나온 물을 상부 구조물 외곽으로 배수할 수 있도록 유로부(25)가 구성된다. 이 유로부의 끝단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조인트 부재(60)를 안정적으로 조립하기 위한 돌기(25a)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돌기(25a)는 생략하는 등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돌기의 측면은 물이 배출되도록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는 달리 상기 수직 연장부(26)가 도 3a 내지 도 3d에서와 같이 사각 테두리 구조로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내부에 고인 물이 넘치는 경우에 조인트 부재(60)의 내부 공간을 통해 이중 바닥 구조물(20)의 외부로 배수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상부 패널(21)은 조인트 부재(60)에 의해 상호 조립되는 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수직 연장부(26)의 안쪽과 바깥쪽에서 끼워져서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인트 부재(60)가 조인트 본체(61)와 조인트 커버(65)로 나누진 구조를 예시한다.
상기 조인트 본체(61)는 상기 양쪽 상부 패널(21)의 수직 연장부(26)에 각각 결합되는 조립부(62)가 구성된다. 이때 외측의 조립부는 바깥쪽 수평 방향으로 더 연장(63)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7에서와 같이 선형 구조를 갖는 수밀재(75)가 삽입된 상태에서 보다 우수한 수밀 방수 구조를 실현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조인트 커버(65)는 상기 조인트 본체(61)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부 패널(21)과의 높이와 동일하게 함으로써 이중 바닥 구조물(20)의 상부 평면의 높이가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이후 도 9에서 설명될 옥상 녹화 구조에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커버(65)는 상기 조인트 본체(61)의 상면에 부착하여 고정하거나, 암수 방식으로 상호 결합되어 고정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도 9에서와 같이 그 위에 옥상 녹화를 실현함으로써 하중에 의해 두 패널 사이에 고정되게 하면, 별도의 부착 고정 구조 없이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조인트 부재(60)의 조립 순서는 도 3a 내지 도 3c를 통해서 이해할 수 있는데, 도 3a에서와 같이 상부 패널(21)은 상호 맞댄 상태로 위치시키고, 상부 패널의 교차 지점에 교차 조인트(68)를 끼워서 고정한다.
상기 교차 조인트(68)는 상기 각 상부 패널(21)의 수직 연장부(26)에 끼워져 설치된다.
이후, 도 3b에서와 같이 상기 교차 조인트(68)을 중심으로 네 방향으로 조인트 본체(61)를 끼워서 설치하고, 상기 조인트 본체(61) 위에 조인트 커버(65)를 위치시킨다.
이때 도 3c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조인트 커버(65)는 어느 한쪽 방향의 것(65A)은 길게 형성되고, 이와 교차되는 다른 쪽 방향의 것(65B)은 짧게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호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조인트 부재(60)가 결합되는 부분에 본 발명에 따른 배수 유로(50)가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배수 유로(50)는 두 개의 층으로 나누어진다.
즉, 도 7에서 조인트 본체(61)의 바깥쪽 영역(P1)과 조인트 본체(61)의 안쪽 영역(P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조인트 본체(61)의 바깥쪽 영역(P1)은 통상 상부 패널(21)에서 흘러나온 물이 자연스럽게 이중 바닥 구조물(20) 밖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고, 조인트 본체(61)의 안쪽 영역(P2)은 조인트 본체 내부로 유입된 수분이 실링 부재(72)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조인트 본체(61)의 안쪽 영역(P2)은 바깥쪽 영역(P1)에서 고인 물이 수밀재(75)와 연장부(63)의 틈새를 통해 넘어온 물을 배수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정상 조건에서는 안쪽 영역(P2)로 물이 유입되지 않으나, 장시간 사용으로 수밀 재(75)와 연장부(63) 및 이와 결합된 부분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때 추가적으로 방수를 실현할수 있는 부분이다.
이때, 이중 바닥 구조물(20)의 내측 부분은 상부 패널(21)과 상부 패널 사이에 실링 부재(72) 및 방수 테이프(7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하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인트 본체(61)를 중심으로 한 이중 방수 구조 및 이중 유로 구조는 외부 배수 유로에서 방수가 실패하더라도 내부에서 2차 배수 유로 및 방수 구조를 확보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높은 방수 구조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세도로서, 상기의 수평 연장부(27)의 끝단에서 상부 패널(21)의 하부로 연장되어 상호 마주하는 추가 연장부(28)가 구성된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상기 추가 연장부(28)는 'L'자 형 구조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끝단부가 상대 상부 패널(21)의 추가 연장부와 맞대어지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기 추가 연장부(28) 사이의 맞대어진 상부면에는 상기한 방수 테이프(71) 및 실링 부재(72)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를 가진 옥상에 옥상 녹화를 실현할 수 있는데, 도 9는 이러한 옥상 녹화 구조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바닥 구조물(20)의 상부 공간에 옥상 녹화(90)를 실현하는데, 상기 상부 패널(21)의 상부에 부직포(80) 등으로 이루어진 다공성 시트를 깔고, 그 위에 식재가 용이한 토양층(91) 및 식생층(92) 차례로 포설하여 옥상 녹화를 실현한다.
이때 상기 상부 패널(21)에는 요철 구조로 이루어진 배수부(23) 및 X 축 및 Y축 방향으로 배수 유로(5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보다 원활한 배수 구조를 확보하면서 양호한 식생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방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방수 구조를 보여주는 주요부 절개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방수 구조에서 이중 바닥 구조물의 조인트 부재 조립 순서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평면도,
도 4는 도 3c에서 일부 상부 패널이 분리된 상태의 주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방수 구조를 보여주는 저면 방향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부재의 결합 상태를 보인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부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도 1의 주요부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부재의 결합 부분을 보인 주요부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방수 구조에 옥상 녹화를 실현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난간 11 : 옥상 바닥
12 : 배수구 20 : 이중 바닥 구조물
21 : 상부 패널 23 : 배수부
25 : 유로부 26 : 수직 연장부
27 : 수평 연장부 30 : 단열 플레이트
35 : 측면 패널 37 : 배수 가이드
40 : 지지부재 50 : 배수 유로
60 : 조인트 부재 61 : 조인트 본체
62 : 조립부 65 : 조인트 커버
71 : 방수 테이프 72 : 실링 부재
75 : 수밀재 80 : 부직포
90 : 옥상 녹화 91 : 토양층
92 : 식생층

Claims (3)

  1. 옥상 바닥으로 물이 바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상부 패널과;
    상기 상부 패널들을 옥상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상부 패널과 옥상 바닥 사이의 내부 공간 밖에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 패널의 상부 또는 측면에 구비되어, 상부 패널로 떨어진 물을 상부 패널이 설치된 바깥쪽 공간으로 유도하여 배출하는 배수 유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패널은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수 유로는 상부 패널의 측면 또는 상호 조립된 상부 패널과 상부 패널 사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에서, 상기 상부 패널의 상부 공간에 옥상 녹화를 실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를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
KR1020070098058A 2007-09-28 2007-09-28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KR20080035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058A KR20080035962A (ko) 2007-09-28 2007-09-28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058A KR20080035962A (ko) 2007-09-28 2007-09-28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056A Division KR100784241B1 (ko) 2006-04-13 2006-10-19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962A true KR20080035962A (ko) 2008-04-24

Family

ID=39574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058A KR20080035962A (ko) 2007-09-28 2007-09-28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596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971B1 (ko) * 2008-12-09 2012-04-18 박진상 조인트 보강과 보수가 용이한 건식형 단열/방수 패널 및 보수방법
KR102079517B1 (ko) * 2019-07-22 2020-02-20 주식회사 일신건설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 및 옥상 스틸 방수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971B1 (ko) * 2008-12-09 2012-04-18 박진상 조인트 보강과 보수가 용이한 건식형 단열/방수 패널 및 보수방법
KR102079517B1 (ko) * 2019-07-22 2020-02-20 주식회사 일신건설 옥상 스틸 방수시스템 및 옥상 스틸 방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11186A1 (en) Double floor type inducing waterproof structure and green roof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0629782B1 (ko) 슬래브 에지의 레벨다운이 포함된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
KR100784241B1 (ko)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US20090133339A1 (en) Roof System
CA2914882A1 (en) Support for roof penetrating structures
KR102212486B1 (ko) 방수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US20060101777A1 (en) Insulating roofing system for flat roofs
KR100738954B1 (ko)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
KR101045807B1 (ko) 내광성,내열성,내수성,내하중성,방수성,방근성,저수성,배수성,여과필터,토양기반,식생 등 지붕 및 인공지반 옥상녹화를 구성하는 모든 기술성능요소가 통합된 이중바닥 방식의 경량박형 생태지붕방수 구조물
KR20080035962A (ko)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구조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KR100729389B1 (ko)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옥상녹화구조
KR100661018B1 (ko)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KR101388151B1 (ko) 식생용 방근 및 방수 구조물과 그것의 시공방법
KR200420547Y1 (ko) 옥상 이중 바닥 방식의 유도 방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옥상 녹화 구조
CN104005503A (zh) 一种平屋面模块化结构
KR102212485B1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시공 방법
CN208267088U (zh) 一种装配式预制外飘窗板
CN111851871A (zh) 一种大面积景观种植屋面耗散结构装置及其施工方法
JP2002309726A (ja) 屋根の断熱防水構造
CN205955022U (zh) 一种仿古瓦
CN205777154U (zh) U型槽与柔性覆膜组合的楼顶附加保温防水结构
CA2521801A1 (en) Insulating roofing system for flat roofs
KR20190001731A (ko) 황토 난방패널
CN219158211U (zh) 一种瓦屋面檐口便于排渗漏水的瓦扣板结构
JP7086485B2 (ja) 嵌合式屋根材および嵌合式屋根材の接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