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9626A - 커넥터 플러그 - Google Patents

커넥터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9626A
KR20080109626A KR1020080053951A KR20080053951A KR20080109626A KR 20080109626 A KR20080109626 A KR 20080109626A KR 1020080053951 A KR1020080053951 A KR 1020080053951A KR 20080053951 A KR20080053951 A KR 20080053951A KR 20080109626 A KR20080109626 A KR 20080109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metal case
plug
connector plug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3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6789B1 (ko
Inventor
켄지 미키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9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플러그의 상대 커넥터 소켓으로부터의 이탈방지에 필요 충분한 걸어맞춤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상대쪽 커넥터 소켓에의 반복 삽발(揷拔)에 의한 상기 걸어맞춤력의 저하를 억제해서 상기 이탈방지에 필요 충분한 걸어맞춤력을 유지할 수 있는 커넥터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에 있어서, 커넥터 플러그(1)는, 상대쪽 커넥터 소켓에 끼워 맞추는 끼워맞춤부(11)를 일단부쪽으로부터 돌출해서 가지는 합성수지제 보디(10)와, 보디(10)에 유지시키는 콘택트(20)와, 보디(10)를 덮는 금속케이스(40)에 부가해서, 보디(10)의 끼워맞춤부(11)를 상대쪽 커넥터 소켓에 삽입한 경우에 상기 상대쪽 커넥터 소켓에 걸어 맞추는 금속판제 래치(30)를 금속케이스(40)와 별체 구성으로 구비하고, 상기 래치(30)를 보디(10)에 유지시키는 동시에, 래치(30)에 인가되는 하중을 수용하는 걸림부(64)를 금속케이스(40)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커넥터 플러그{CONNECTOR PLUG}
본 발명은, 이탈방지구조를 가지는 커넥터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대쪽 커넥터 소켓에 끼워 맞추는 끼워맞춤부를 일단부쪽으로부터 돌출해서 가지는 합성수지제 보디와, 보디에 유지시키는 콘택트와, 보디를 덮는 동시에, 콘택트에 접속된 전선이 묶여진 케이블을 안쪽으로 배치해서 클램핑함으로써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가지는 금속케이스(실드)를 구비하고, 예를 들면 휴대전화 등에 설치된 리셉터클(상대쪽 커넥터 소켓)에 삽발(揷拔)함으로써, 커넥터 플러그에 구비된 콘택트와 리셉터클에 구비된 콘택트가 접리(接離)되는 커넥터 플러그가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 플러그는, 예를 들면 커넥터 플러그쪽의 기기와 휴대전화의 사이에서 전기신호를 서로 송수신하거나, 휴대전화쪽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할 경우 등에, 휴대전화쪽의 리셉터클에 삽입되어서 걸어맞춤 접속되는 것이다. 또, 이와 같은 커넥터 플러그에는, 진동이나 외부력이 인가되어도 휴대전화쪽의 리셉터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이탈방지구조가 중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탈방지구조로서, 보디의 끼워맞춤부를 리셉터클에 삽입한 경우에 상기 리셉터클에 구비된 걸어맞춤부에 걸어 맞추는 금속판제 래치를 구비하는 커넥터 플러그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금속케이스가 보디를 끼워맞춤부를 제외하고 덮는 구조의 커넥터 플러그에는, 금속케이스로부터 보디의 끼워맞춤부에 연장 형성된 금속케이스 일체형으로 캔딜레버 구조의 래치가 구비된다(특허문헌 1, 2 참조). 또, 금속케이스가 보디의 끼워맞춤부를 포함해서 덮는 구조의 예를 들면 USB 커넥터 규격준거의 커넥터 플러그에는, 금속케이스가 보디의 끼워맞춤부를 덮고 있는 통형상부로부터 절개하여 세워서 형성된 금속케이스 일체형으로 캔딜레버 구조의 래치가 구비된다(특허 문헌 3, 4 참조). 여기서, 후자의 커넥터 플러그에 구비되는 래치는 판두께방향으로밖에 구부러지게 할 수 없으므로, 구조적으로 큰 걸어맞춤력(탄성력)을 얻기 어렵고(전자의 커넥터 플러그에 구비된 래치에 비해서), 진동이나 외부력이 인가되면 걸어맞춤이 풀어져서 커넥터 플러그의 이탈방지가 해제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대해서 전자의 커넥터 플러그에 구비된 래치는 판 폭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할 수 있으므로, 구조적으로 큰 걸어맞춤력을 얻기 쉽고(후자의 커넥터 플러그에 구비된 래치에 비해서), 진동이나 외부력이 인가되어도 걸어맞춤이 풀어져서 커넥터 플러그의 이탈방지가 해제될 가능성은 낮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2001-291556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평2002-198125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개평2003-243093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특개평2004-87462호 공보
휴대전화 등의 소형ㆍ박형화가 진행되는 동시에, 다기능화에 의해, 리셉터클의 실장 스페이스가 감소하고 있다. 이것에 수반하여 커넥터(리셉터클과 플러그)에는 소형ㆍ박형화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지만, 종래의 커넥터 플러그에서 금속케이스의 판 두께를 얇게 하면, 금속케이스 일체형인 래치의 판두께도 얇아지므로, 필요한 걸어맞춤력을 얻을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금속케이스의 판 두께에 좌우되는 일 없이 래치의 필요 충분한 걸어맞춤력을 확보할 수 있는 커넥터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상대쪽 커넥터 소켓에의 반복 삽발에 의한 래치의 걸어맞춤력의 저하를 억제해서 필요 충분한 걸어맞춤력을 유지할 수 있는 커넥터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커넥터 플러그는, 상대쪽 커넥터 소켓에 끼워 맞추는 끼워맞춤부를 일단부쪽으로부터 돌출해서 가지는 합성수지제 보디와, 보디에 유지시키는 콘택트와, 보디를 덮는 금속케이스를 구비한 커넥터 플러그로서, 보디의 끼워맞춤부를 상대쪽 커넥터 소켓에 삽입한 경우에 상기 상대쪽 커넥터 소켓에 걸어 맞추는 금속판제 래치를 금속케이스와 별체 구성으로 구비하고, 상기 래치를 보디에 유지시킨 것이다.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종래 금속케이스 일체형인 래치의 별체 구성화에 의해서 금속케이스의 판 두께에 좌우되는 일 없이 필요 충분한 걸어맞춤력을 확보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커넥터 플러그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커넥터 플러그에 있어서, 래치에 인가되는 하중을 수용하는 걸림부를 금속케이스에 형성한 것이다.
상기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래치에 인가되는 하중을 금속케이스로 수용하므로, 상대쪽 커넥터 소켓에의 반복 삽발에 의해 금속판제 래치에 의해 합성수지제 보디가 마모되어서 래치의 유지력이 저하되고, 그것에 수반하여 걸어맞춤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서, 필요 충분한 걸어맞춤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보디만으로 래치의 유지력을 높이고자 하면, 보디의 래치를 유지하는 범위를 크게 취하거나, 래치 자체를 작게 할 필요가 있으며, 보디의 래치를 유지하는 범위를 크게 취하면 커넥터 플러그의 대형화를 초래하고, 래치 자체를 작게 하면 필요한 걸어맞춤력을 얻을 수 없게 되지만, 이와 같은 것을 할 필요 없이, 커넥터 플러그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필요 충분한 걸어맞춤력을 확보하여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커넥터 플러그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커넥터 플러그에 있어서, 래치의 판 두께는 금속케이스의 판 두께보다 큰 구성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청구항 3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래치의 판 두께가 금속케이스의 판 두께보다 크므로, 종래 금속케이스 일체형인 래치에 비해서 큰 걸어맞춤력을 얻을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커넥터 플러그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 플러그에 있어서, 래치는 금속판을 대략 U자 형상으로 타발한 스프링부와, 스프링부의 일단부쪽으로부터 동일면으로 연신하는 암부와, 암부의 선단부쪽에 형성하는 걸어맞춤부와, 스프링부의 타단부쪽으로부터 동일면으로 연신하는 지점부와, 금속케이스의 걸림부에 걸리게 하는 돌기부를 가지는 것이다.
상기 청구항 4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래치의 암부를 판 폭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하므로, 구조적으로도 큰 걸어맞춤력을 얻기 쉬운 래치로 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커넥터 플러그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커넥터 플러그에 있어서, 금속케이스의 걸림부는 상기 금속케이스에 형성한 구멍이며, 래치의 돌기부는 금속케이스의 걸림부 구멍형상에 대응하는 단면형상의 돌기편인 구성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청구항 5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래치에 인가되는 하중을 보다 확실히 금속케이스로 수용할 수 있으므로, 걸어맞춤력이 저하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어서, 필요 충분한 걸어맞춤력을 보다 확실히 확보하여 유지할 수 있다. 또, 상대쪽 커넥터 소켓에의 적정한 삽발뿐만 아니라, 비틀림 등 부적정한 삽발에 의해 래치에 인가되는 이상하중도 금속케이스로 수용할 수 있으므로, 비틀림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금속케이스의 걸림부에 래치의 돌기부가 끼임으로써, 금속케이스에 대해서 래치를 위치결정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커넥터 플러그는, 청구항 5에 기재된 커넥터 플러그에 있어서, 금속케이스의 걸림부는 금속케이스에 형성된 보디 위치결정용 구멍 또는 돌 기의 근방에 형성한 것이다.
상기 청구항 6에 기재된 구성에 의하면, 금속케이스에 대한 보디와 래치의 위치결정부가 근접하므로, 보디와 래치의 위치관계를 정밀도 좋게 결정할 수 있고, 래치를 보디에 적정하게 유지시키면서, 래치에 인가되는 하중을 금속케이스로 확실히 수용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커넥터 플러그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 플러그에 있어서, 금속케이스는 보디의 끼워맞춤부를 덮는 통형상부를 가지는 것이다. 또, 청구항 8에 기재된 커넥터 플러그는, 마이크로 USB 커넥터 규격준거의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마이크로 USB 커넥터 플러그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커넥터 플러그나 청구항 8에 기재된 마이크로 USB 커넥터 플러그이어도, 종래 금속케이스 일체형인 래치의 별체 구성화에 의해서 금속케이스의 판 두께에 좌우되는 일 없이 필요 충분한 걸어맞춤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래치에 인가되는 하중을 수용하는 걸림부를 금속케이스에 형성함으로써, 필요 충분한 걸어맞춤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 플러그는, 종래 금속케이스 일체형인 래치의 별체 구성화에 의해서 금속케이스의 판 두께에 좌우되는 일 없이 필요 충분한 걸어맞춤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래치에 인가되는 하중을 수용하는 걸림부를 금속케이스에 형성함으로써, 확보된 걸어맞춤력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일층의 커 넥터의 소형ㆍ박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의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한 커넥터 플러그의 외관을 도시한 (A) 정면도, (B) 평면도, (C) 저면도, (D) 측면도이며, 도 2는 동일 커넥터 플러그의 보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동일 커넥터 플러그의 금속케이스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동일 커넥터 플러그의 래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은 마이크로 USB 커넥터 규격 준거의 마이크로 USB 커넥터를, 예를 들면 휴대전화 등에 설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AB타입 또는 B타입의 리셉터클(상대쪽 커넥터 소켓)에 의해 구성하는 B타입 L형 플러그(커넥터 플러그)로서, 복수 개의 전선이 묶여진 케이블(2)의 말단부에 장착되고, 리셉터클에 대한 끼워맞춤부의 근원부로부터 케이블(2)의 인출단부가 오버몰드수지(3)에 의해 연속 일체로 덮여져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1)는, 보디(10)와, 복수 개(5개)의 콘택트(20)와, 복수 개(2개)의 래치(락 스프링)(30)와, 금속케이스(4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디(10)는 절연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플러그(1)를 리셉터클에 삽입할 경우에 앞쪽이 되는 일단부쪽(전단부쪽)으로부터 리셉터클에 끼워 맞추는 끼워맞춤부(11)를 연속 일체로 돌출해서 가지고 있다. 또, 끼워맞춤부(11)의 한 표면에는 끼워맞춤부(11)의 선단부로부터 근원부 근 방까지의 단면형상을 오목형상으로 형성하는 오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끼워맞춤부(11)의 오목부(12)에는 복수 개(5개)의 슬릿형상의 콘택트장착홈(13)이 플러그(1)의 리셉터클에의 삽입방향과 플러그(1)의 두께방향에 직교하는 좌우방향으로 나열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각 콘택트 장착홈(13)은 플러그(1)를 리셉터클에 삽입할 경우에 뒤쪽이 되는 보디(10)의 일단부쪽(후단부쪽)에 관통되어 있다. 또한, 끼워맞춤부(11)의 오목부(12)보다 바깥쪽인 좌우측부에는 각각 1개씩 슬릿형상의 래치장착홈(14)이 콘택트장착홈(13)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각 래치장착홈(14)은 보디(10)의 후단부쪽에 관통되어 있는 동시에, 각 래치장착홈(14)의 후단부는 오목부(12)와 반대쪽인 보디(10)의 표면에 개방되어 있다. 또, 오목부(12)와 반대쪽인 보디(10)의 표면에서, 해당 표면에 개방되는 각 래치장착홈(14)의 후단부의 근방에는 보디 위치결정용 돌기(또는 오목부)(1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택트(20)는 양(良)도전성의 금속박판을 타발 및 굽힘가공해서 형성된 것으로, 보디(10)의 후단부 단부로부터 각 콘택트장착홈(13)에 압입되어서 보디(10)에 병렬로 장착유지되어 있다. 장착상태에서는 콘택트(20)는, 콘택트(20) 후반부(지점부)가 콘택트장착홈(13)의 후반부에 끼여서 보디(10)에 유지되고, 콘택트(20)의 후반부로부터 앞쪽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콘택트(20) 전반부의 암부(21)가 콘택트장착홈(13)의 전반부에 플러그(1)의 두께방향(상하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끼워 유지하고, 암부(21)의 선단부쪽에 일체로 형성하는 산 형상의 접촉부(22)가 끼워맞춤부(11)의 오목부(12) 내로 돌출 유지되어 있다. 또, 보디(10)의 후단부쪽으로 돌출되는 콘택트(20)의 후단부는, 보디(10)의 후단부면을 따르도록 대략 직각으로 굴곡되어서 케이블(2)의 전선을 납땜접속하기 위한 납땜부(23)에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케이스(40)는 2피스 구조이며, 금속박판을 타발 및 굽힘가공해서 형성된 쉘(50)과, 쉘(50)보다 약간 두꺼운 금속박판을 타발 및 굽힘가공해서 형성된 커버(60)로 구성되고, 쉘(50)을 보디 위치결정용의 돌기와 반대쪽인 보디(10)의 표면쪽에 배치하고, 커버(60)를 보디 위치결정용 돌기(15)의 보디(10)의 표면쪽에 배치한 상태에서, 이들 쉘(50)과 커버(60)를 보디(10)를 사이에 두고 끼워맞춤 일체화함으로써 보디(10)를 덮고 있다. 또, 쉘(50)에는, 이 일단부쪽에 굽힘 형성되어서 보디(10)의 끼워맞춤부(11)를 덮는 통형상부(51)를 일체로 가지고 있다. 통형상부(51)에는, 끼워맞춤부(11)의 오목부(12)와 반대쪽인 표면 좌우 측면부에 배치하는 캔딜레버형상의 접지용 접편(接片)(52)이 절개하여 세워서 형성되는 동시에, 끼워맞춤부(11)의 오목부(12)보다 바깥쪽인 표면 좌우 측면부에 있는 래치장착홈(14)에 대응시켜서 개구 형성하는 가늘고 긴 래치출입구(5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버(60)에는, 오목부(12)와 반대쪽인 보디(1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보디 위치결정용의 돌기(15)를 끼워 맞추는 보디 위치결정용 구멍(또는 돌기)(61)과, 오목부(12)와 반대쪽인 보디(10)의 표면에 개방되어 있는 각 래치장착홈(14)의 후단부에 대응시켜서 개구 형성하는 래치 위치결정용 구멍(62)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커버(60)는, 이 후단부쪽으로부터 보디(10)의 끼워맞춤부(11)와 직각을 이루는 한 방향(케이블 인출방향)으로 돌출시켜서, 케이블(2)을 안쪽으로 배치해서 클램핑함으로써 고정시키는 고정부(63)를 일 체로 가지고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30)는 금속케이스(40)의 커버(60)보다 약간 두꺼운 금속박판을 타발 및 굽힘가공해서 형성된 것으로, 보디(10)의 후단부 단부로부터 각 래치장착홈(14)에 압입되어서 콘택트(20)의 좌우 바깥쪽에서 콘택트(20)와 평행하게 보디(10)에 장착 유지되어 있다. 래치(30)는, 금속판을 대략 U자형상으로 타발한 스프링부(31)를 후단부쪽에 가지는 동시에, 스프링부(31)의 일단부쪽으로부터 앞쪽으로 동일면으로 연신하는 암부(32)와, 암부(32)의 선단부쪽에 일체로 형성하는 산형상의 걸어맞춤부(33)와, 스프링부(31)의 타단부쪽으로부터 앞쪽으로 동일면으로 연신하는 지점부(34)와, 지점부(34)의 근원부(스프링부(31)의 타단부쪽)로부터 직각방향 바깥쪽으로 동일면으로 돌출시키는 돌기부(35)를 가지고 있다. 돌기부(35)는 금속케이스(40)의 래치 위치결정용 구멍(62)의 구멍형상에 대응하는 단면형상의 돌기편이다. 장착상태에서는 래치(30)는, 래치(30) 후반부의 스프링부(31)와 암부(32) 근원부와 지점부(34)가 래치장착홈(14)의 후반부에 끼여서 보디(10)에 유지되고, 래치(30) 전반부의 암부(32)가 래치장착홈(14)의 전반부에 플러그(1)의 두께방향(상하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끼워 유지되고, 걸어맞춤부(33)가 래치장착홈(14)의 전단부로부터 끼워맞춤부(11)를 덮고 있는 통형상부(51)의 외부 표면에 래치출입구(53)를 통과해서 돌출 유지되어 있다. 또, 래치(30)의 돌기부(35)는, 래치장착홈(14)의 후단부로부터 금속케이스(40)의 래치 위치결정용 구멍(62)에 끼워 맞춰져 있다. 이와 같이 해서, 금속케이스(40)와는 별체 구성으로 구비된 래치(30)를, 보디(1O)에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금속케이스(40)에 도 유지(위치결정)시켜서, 래치(30)에 인가되는 하중(회전모멘트)을 해당 돌기부(35)를 개재해서 금속케이스(30)의 래치 위치결정용 구멍(62) 후단부의 걸림부(64)에서 수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플러그(1)는, 금속케이스(51)의 통형상부(51)에 의해 덮여진 끼워맞춤부(11)를 휴대전화쪽의 리셉터클에 삽입해서 끼워맞춤 접속시킴으로써, 플러그(1)의 콘택트(20)의 접촉부(22)와 리셉터클에 구비된 콘택트가 접촉해서, 이들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플러그(1)쪽의 기기와 휴대전화의 사이에서 전기신호를 서로 송수신하거나, 휴대전화쪽에 전원을 공급한다.
플러그(1)의 래치(30)는, 끼워맞춤부(11)의 리셉터클에의 삽입에 의해 걸어맞춤부(33)가 도 4의 화살표 A방향으로 압하되고, 이것에 수반해서 암부(32)가 스프링부(31)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구부러지고, 끼워맞춤부(11)가 리셉터클에 완전히 삽입되어서 걸어맞춤부(33)가 리셉터클에 구비된 걸어맞춤 구멍에 대응함으로써, 암부(32)가 스프링부(31)의 탄성력에 의해서 도 4에 도시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해서 걸어맞춤부(33)가 걸어맞춤구멍에 끼여서 걸어 맞추고, 플러그(1)의 리셉터클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 끼워맞춤부(11)를 리셉터클로부터 인발할 경우에도 삽입 시와 마찬가지로, 걸어맞춤부(33)가 도 4의 화살표 A방향으로 압하되고, 이것에 수반해서 암부(32)가 스프링부(31)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구부러지고, 플러그(1)의 리셉터클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플러그(1)를 리셉터클로부터 제거하면, 걸어맞춤부(33)와 암부(32)는 스프링부(31)의 탄성력에 의해서 도 4에 도시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여기서, 플러그(1)의 래치(30)는, 금속케이스(40)와 별체 구성으로 구비되어서 보디(10)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금속케이스(40)의 판 두께에 좌우되는 일 없이 이탈방지에 필요 충분한 걸어맞춤력을 확보하는 데에 필요한 래치(30)의 두께를 확보할 수 있으며, 커넥터(플러그(1)와 리셉터클)의 소형ㆍ박형화에 좌우되는 일 없이 플러그(1)의 이탈방지에 필요 충분한 걸어맞춤력을 확보할 수 있다. 환언하면, 커넥터(플러그(1)와 리셉터클)의 소형ㆍ박형화가 플러그(1)의 이탈방지의 걸어맞춤력 부족에 의해 방해받지 않게 된다.
또한, 플러그(1)의 보디(10)는 리셉터클에의 끼워맞춤부(11)를 포함해서 금속케이스(4O)에 의해 덮여져 있으나, 금속케이스(40)와 래치(30)의 별체 구성화에 의해서, 암부(32)를 판 폭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하는 구조의 래치(30)로 할 수 있으므로, 암부를 판 두께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하는 래치에 비해서 큰 걸어맞춤력(탄성력)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래치(30)의 판두께를 금속케이스(40)의 판두께보다 크게 하고 있으므로, 종래의 금속케이스 일체형인 래치에 비해서 큰 걸어맞춤력을 얻을 수 있으며, 이탈방지 신뢰성이 높은 플러그(1)로 되어 있다.
또, 끼워맞춤부(11)의 리셉터클에의 삽발에 의해 래치(30)의 걸어맞춤부(33)가 도 4의 화살표 A방향으로 압하되면, 래치(30) 전체가 도 4의 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하려 하고, 래치(30)의 지점부(34)에서 보디(10)를 마모시키지만, 래치(30)를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케이스(40)와 별체 구성으로 구비하는 경우, 보디(10)에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래치(30)의 돌기부(35)를 금속케이스(40)에 형성한 래치 위치결정용 구멍(62)에 끼워 맞춰서, 래치(30)를 금속케이스(40)에 대해서 위치결정하 고, 래치(30)를 금속케이스에도 유지시키고 있으므로, 래치(30)의 회전을 금속케이스(40)의 걸림부(64)에 의해 압압할 수 있으며, 즉 래치(30)에 인가되는 하중(회전모멘트)을 금속케이스(40)의 걸림부(64)에 의해 수용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래치(30)의 회전변위를 확실히 억제할 수 있으므로, 플러그(1)의 리셉터클에의 반복 삽발에 의해 금속판제의 래치(30)에 의해 합성수지제 보디(10)가 마모되어서 래치(30)의 유지력이 저하되고, 이에 수반하여 플러그(1)의 이탈방지의 걸어맞춤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서, 플러그(1)의 이탈방지에 필요 충분한 걸어맞춤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보디(10)만으로 래치(30)의 유지력을 높이고자 하면, 보디(10)의 래치(30)를 유지하는 범위를 크게 취하거나, 래치(30) 자체를 작게 할 필요가 있으며, 보디(10)의 래치를 유지하는 범위를 크게 취하면 플러그(1)의 대형화를 초래하고, 래치(30) 자체를 작게 하면 이탈방지에 필요한 걸어맞춤력을 얻을 수 없게 되지만, 이렇게 할 필요 없이, 플러그(1)의 대형화를 초래하지 않고, 플러그(1)의 이탈방지에 필요 충분한 걸어맞춤력을 확보하여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케이스(40)의 걸림부(64)는 상기 금속케이스(40)에 형성한 래치 위치결정용 구멍(62)이며, 래치(30)의 돌기부(35)는 금속케이스(40)의 걸림부 구멍형상에 대응하는 단면형상의 돌기편이며, 래치(30)에 인가되는 하중을 보다 확실히 금속케이스(40)로 수용할 수 있으므로, 플러그(1)의 이탈방지의 걸어맞춤력이 저하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어서, 플러그(1)의 이탈방지에 필요 충분한 걸어맞춤력을 보다 확실히 확보하여 유지할 수 있다. 또, 리셉터클에의 적정한 삽발 뿐만 아니라, 비틀림 등 부적정한 삽발에 의해 래치(30)에 인가되는 이상하중도 금속케이스(40)로 수용할 수 있으므로, 비틀림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금속케이스(40)의 걸림부(64)는 금속케이스(40)에 형성한 보디 위치결정용 구멍의 근방에 형성하고 있으며, 금속케이스(40)에 대한 보디(10)와 래치(30)의 위치결정부가 근접하므로, 보디(10)와 래치(30)의 위치관계를 정밀도 좋게 결정할 수 있고, 래치(30)를 보디(10)에 적정하게 유지시키면서, 래치(30)에 인가되는 하중을 금속케이스(40)로 확실히 수용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의 커넥터 플러그의 매우 적합한 일실시의 형태를 마이크로 USB 커넥터의 플러그(1)에 의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좌우 래치(30)의 후단부쪽을 연결부(36)를 개재해서 일체화한 구조를 나타냈지만, 완전히 독립된 별체 구조로 해도 된다.
커넥터 플러그의 상대쪽 커넥터 소켓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래치가 상대쪽 커넥터 소켓쪽에 구비되어 있는 커넥터 플러그의 이탈방지 구조에도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에 관련되는 커넥터 플러그의 외관을 도시한 (A) 정면도, (B) 평면도, (C) 저면도, (D) 측면도;
도 2는 동일커넥터 플러그의 보디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동일커넥터 플러그의 금속케이스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동일커넥터 플러그의 래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플러그(마이크로 USB 커넥터 플러그) 10: 보디
11: 끼워맞춤부 15: 보디 위치결정용 돌기
20: 콘택트 30: 래치
31: 스프링부 32: 암부
33: 걸어맞춤부 34: 지점부
35: 돌기부 4O: 금속케이스
51: 통형상부 61: 보디 위치결정용 구멍
62: 래치 위치결정용 구멍 64: 걸림부

Claims (8)

  1. 상대쪽 커넥터 소켓에 끼워 맞추는 끼워맞춤부를 일단부쪽으로부터 돌출해서 가지는 합성수지제 보디와, 보디에 유지시키는 콘택트와, 보디를 덮는 금속케이스를 구비한 커넥터 플러그로서, 보디의 끼워맞춤부를 상대쪽 커넥터 소켓에 삽입한 경우에 상기 상대쪽 커넥터 소켓에 걸어 맞추는 금속판제 래치를 금속케이스와 별체 구성으로 구비하고, 상기 래치를 보디에 유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플러그.
  2. 제 1항에 있어서,
    래치에 인가되는 하중을 수용하는 걸림부를 금속케이스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플러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래치의 판 두께는 금속케이스의 판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플러그.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래치는 금속판을 대략 U자 형상으로 타발한 스프링부와, 스프링부의 일단부쪽으로부터 동일면으로 연신하는 암부와, 암부의 선단부쪽에 형성하는 걸어맞춤부 와, 스프링부의 타단부쪽으로부터 동일면으로 연신하는 지점(支點)부와, 금속케이스의 걸림부에 걸리게 하는 돌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플러그.
  5. 제 4항에 있어서,
    금속케이스의 걸림부는 상기 금속케이스에 형성한 구멍이며, 래치의 돌기부는 금속케이스의 걸림부 구멍형상에 대응하는 단면형상의 돌기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플러그.
  6. 제 5항에 있어서,
    금속케이스의 걸림부는 금속케이스에 형성한 보디 위치결정용 구멍 또는 돌기의 근방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플러그.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케이스는 보디의 끼워맞춤부를 덮는 통형상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플러그.
  8. 마이크로 USB 커넥터 규격준거의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USB 커넥터 플러그.
KR1020080053951A 2007-06-13 2008-06-10 커넥터 플러그 KR1009967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56727 2007-06-13
JP2007156727A JP4427564B2 (ja) 2007-06-13 2007-06-13 コネクタプラ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626A true KR20080109626A (ko) 2008-12-17
KR100996789B1 KR100996789B1 (ko) 2010-11-25

Family

ID=39717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3951A KR100996789B1 (ko) 2007-06-13 2008-06-10 커넥터 플러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53712B2 (ko)
EP (1) EP2003738B1 (ko)
JP (1) JP4427564B2 (ko)
KR (1) KR100996789B1 (ko)
CN (1) CN101325298B (ko)
CA (1) CA2631959C (ko)
TW (1) TW2008497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788A (ko) * 2014-11-28 2016-06-08 주식회사 에스알비 전자기기의 인터페이스용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87974B1 (de) * 2009-06-24 2011-10-19 Coninvers GmbH Elektrischer Push-Pull-Steckverbinder
US8287299B2 (en) * 2010-10-13 2012-10-16 All Systems Broadband, Inc. HDMI plug and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retention features
US8550840B2 (en) 2011-11-16 2013-10-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lug and receptacle arrangement with connection sensor
US8845356B2 (en) * 2012-01-31 2014-09-30 Invue Security Products Inc. Power adapter cord having locking connector
US8961210B2 (en) * 2012-02-01 2015-02-24 Zyxel Communications, Inc. Lockable electrical connector
KR101393003B1 (ko) 2012-12-14 2014-05-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구조가 개선된 플러그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GB2510590A (en) * 2013-02-07 2014-08-13 Adam Theobald Locking security plug
US9160822B2 (en) 2013-03-07 2015-10-13 Sandisk Technologies Inc. Connector device
KR200483962Y1 (ko) * 2015-12-01 2017-07-12 썬전 노페이즈 일렉트로닉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양면 겸용 커넥터
CN206322897U (zh) * 2017-01-04 2017-07-11 深圳市乔宁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的防脱落数据线
US10877232B1 (en) * 2018-05-02 2020-12-29 Amazon Technologies, Inc. Connector for multiple cabling arrangements
CN112467470A (zh) * 2020-12-23 2021-03-09 安徽云飞芳植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计算机网络用便携式多功能线路连接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52683A1 (en) * 1992-01-24 1993-07-28 The Whitaker Corporation Pull-to-release in-plane latch for electrical connectors
JP2001015211A (ja) 1999-07-01 2001-01-19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td コネクタ接続構造およびコネクタ
TW440076U (en) * 2000-03-03 2001-06-07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6257914B1 (en) 2000-03-24 2001-07-10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gral latch and strain relief device
JP4045740B2 (ja) 2000-12-25 2008-02-13 松下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プラグ
JP2003243093A (ja) 2002-02-21 2003-08-29 Yazaki Corp Usbコネクタ
JP2004087462A (ja) 2002-06-28 2004-03-18 Yazaki Corp ロック機構付usbコネクタ
JP4373810B2 (ja) * 2004-02-13 2009-11-2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平衡伝送用ケーブルコネクタ
TWM256006U (en) * 2004-04-09 2005-01-21 Advanced Connectek Inc Hooking mechanism of a connector
TWM261868U (en) * 2004-06-18 2005-04-11 Advanced Connectek Inc A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atch device
CN2728023Y (zh) * 2004-06-29 2005-09-21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具有卡扣装置的电连接器
CN2850045Y (zh) * 2005-04-08 2006-12-2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JP4451386B2 (ja) 2005-12-20 2010-04-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2886853Y (zh) * 2005-12-29 2007-04-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TWM297074U (en) * 2005-12-29 2006-09-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788A (ko) * 2014-11-28 2016-06-08 주식회사 에스알비 전자기기의 인터페이스용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53712B2 (en) 2010-07-13
US20080311783A1 (en) 2008-12-18
CN101325298B (zh) 2012-12-26
TWI351797B (ko) 2011-11-01
KR100996789B1 (ko) 2010-11-25
CA2631959C (en) 2015-06-30
JP2008311040A (ja) 2008-12-25
EP2003738A3 (en) 2012-03-14
CA2631959A1 (en) 2008-12-13
TW200849733A (en) 2008-12-16
JP4427564B2 (ja) 2010-03-10
EP2003738B1 (en) 2015-08-19
CN101325298A (zh) 2008-12-17
EP2003738A2 (en) 200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789B1 (ko) 커넥터 플러그
CN104362450B (zh) 具有双向插接功能的插头连接器
US7134912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hell with a portion which is elastically movable in a fitting portion of the connector
EP1914841B1 (en) Electrical connector
US718264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 case
EP2472678B1 (en) Connector member comprising a retainer
KR20100007906A (ko) 동축 커넥터
JP5276678B2 (ja) コネクタ
CN112470348A (zh) 连接器及连接器装置
US7850491B2 (en) Cylindrical plug connector
JP4523062B1 (ja) 低背形電気コネクタ
US7530860B2 (en) Contact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or
KR101175170B1 (ko) 소켓 콘택트
CN110649412B (zh) 端子金属配件和端子金属配件与壳体的配合结构
US8851922B2 (en) Electrical connector device and connector used in the electrical connector device
JP3169822U (ja) コネクタ
JP5027893B2 (ja) ヘッダー
CN112186418A (zh) 连接器组件
CN110768051B (zh) 连接器
JP5034791B2 (ja) コネクタ
US20080214031A1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2083641A (ja) 電気コネクタ
JP2019057452A (ja) コネクタ
JP2013105591A (ja) 防水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