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962Y1 - 양면 겸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양면 겸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962Y1
KR200483962Y1 KR2020160002981U KR20160002981U KR200483962Y1 KR 200483962 Y1 KR200483962 Y1 KR 200483962Y1 KR 2020160002981 U KR2020160002981 U KR 2020160002981U KR 20160002981 U KR20160002981 U KR 20160002981U KR 200483962 Y1 KR200483962 Y1 KR 2004839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 unit
housing
unit
elastic b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9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031U (ko
Inventor
징 리
Original Assignee
썬전 노페이즈 일렉트로닉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520989325.7U external-priority patent/CN205159707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610184476.4A external-priority patent/CN105680268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620391379.8U external-priority patent/CN205900998U/zh
Application filed by 썬전 노페이즈 일렉트로닉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썬전 노페이즈 일렉트로닉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020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0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9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9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면 겸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단자유닛, 하우징을 포함하고; 단자유닛은 이격 설치된 서로 다른 데이터 포트에 적용되는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제1 단자와 제2 단자에 의하여 각각 서로 다른 유형의 데이터 포트에 연결되; 하우징은 단자유닛 외부에 매칭되어 설치되고, 단자유닛에 대해 위치를 제한하고 고정시킨다. 본 고안의 커넥터는 사용이 편리하고, 동시에 서로 다른 유형의 데이터 포트와 호환되고, 직접적으로 종래의 각종 휴대폰 등 전자장치의 포트에 매칭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양면 겸용 커넥터 {A REVERSIBLE CONNECTOR}
본 고안은 휴대폰 부품에 기술분야에 속하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면 겸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현재 I/O 커넥터는 휴대폰 등 전자설비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로서, 전원과 신호 두 부분의 연결로 포함된다. 오랫동안 휴대폰, 태블릿 장치 등 생산업체는 각자로 개발함에 따라 각자의 기준이 형성되어 종래의 휴대폰, 태블릿 제품에 적용된 기준도 서로 다르고, 데이터 케이블의 포트도 다양하고, 일반적으로 애플 제품 전용 데이터 포트와 안드로이드 제품 데이터 포트 두 가지 종류로 구분되고, 많은 생산업체에서는 이 두 포트를 사용하고 있고, 대응되는 커넥터도 다양하다. 이런 커넥터는 공용이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용하는데 매우 불편하고 데이터마다 각각의 커넥터가 필요하다.
본 고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문제는 종래의 기술 단점에 대해 사용이 편리하고 호환성을 가지며 종래의 각종 휴대폰 등 전자 기기와 직접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양면 겸용 커넥터는 단자유닛,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유닛은 이격 설치된 서로 다른 데이터 포트 유형에 적응되는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와 제2 단자에 의하여 각각 서로 다른 유형의 데이터 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유닛 외부에 매칭되어 설치되고, 상기 단자 유닛에 대하여 위치가 제한되고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는 스텐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텐드부는 상기 단자유닛의 뒷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단자유닛과 하우징은 일체형으로 고정 연결되고, 상기 단자유닛 후단은 상기 스텐드부 뒷부분에서 뻗어 나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는 탄성버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버클은 상기 단자유닛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탄성버클 앞부분은 상기 단자유닛과 하우징의 측면에서 외부로 뻗어나가고; 상기 탄성버클은 상기 단자유닛과 상기 스텐드부에 의하여 위치가 제한되고 고정되어 이동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텐드부는 전후로 관통된 관통홈이 설치되고, 상기 관통홈의 형상은 상기 단자유닛 뒷부분의 형상과 매칭되어 함께 삽입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전단은 상기 단자유닛 전단과 수평으로 유지되거나 상기 단자유닛 전단이 상기 하우징 전단을 약간 돌출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유닛 앞부분과 상기 스텐드부 사이에 밀착되어 클램핑 연결되거나; 상기 스텐드부는 상기 하우징 및 단자유닛을 일체형으로 고정 연결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홈 내벽, 상기 단자유닛의 뒷부분에는 각각 클램핑홈과 클램핑 헤드가 설치되고, 상기 클램핑홈은 클램핑 헤드와 클램핑 연결된 후 상기 스텐드부와 단자유닛 사이의 이탈을 제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버클의 중간부 또는 뒷부분에는 압착 탄성판이 설치되고, 상기 압착 탄성판은 상기 스텐드부에 설치된 압착홈에 밀착시켜 상기 탄성버클이 뒤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및/또는 단자유닛에는 커넥터 삽입 연결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단자는 라이트닝(Lightning) 데이터 포트 단자이고, 상기 제2 단자는 마이크로-USB(Micro-USB) 포트 단자이고, 상기 단자유닛은 각각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라이트닝 데이터 포트, 마이크로-USB 포트 단자 연결을 구현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텐드부는 상기 단자유닛의 뒷부분에 클램핑 연결되어 양자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유닛 전단과 스텐드부 사이에 클램핑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버클은 상기 단자유닛 뒷부분부터 앞방향으로 상기 단자유닛에 삽입 설치되면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수평방향 이동을 제한받고, 상기 탄성버클 전단의 탄성버클 헤드는 마이크로-USB 포트 단자 일측의 단자유닛으로부터 외부로 뻗어나가고; 상기 탄성버클은 수직 방향으로 위치가 제한되고 상기 단자유닛과 스텐드부 사이에 고정되어 수직 방향 이동을 방지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자유닛은 상기 라이트닝 데이터 포트가 포함된 제1 단자유닛, 상기 마이크로-USB 포트가 포함된 제2 단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유닛과 제2 단자유닛은 적층 설치되고, 오목 돌출 매칭으로 양자의 전후좌우 위치를 제한하고 고정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단자유닛에 수용홈이 설치되고,상기 제1 단자유닛은 상기 수용홈에 끼움 결합되고,상기 수용홈의 뒷부분 개구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유닛 뒷부분은 상기 수용홈 개구 지점에서 뒷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용홈 양측벽면에는 각각 위치고정홈이 설치되고; 대응되는 제1 단자유닛 양측에는 위치고정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위치고정유닛은 상기 위치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단자유닛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버클은 두 개의 간격이 평행하게 설치된 탄성버클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탄성버클 헤드 뒷부분은 버클 시트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단자유닛에 각각 버클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버클 헤드는 상기 버클홈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버클 헤드 전단은 상기 버클홈과 하우징에 대응하여 설치된 연결구에서 외부로 뻗어 나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텐드부에 관통홈이 설치되고, 상기 관통홈 내벽면에 락킹홈이 설치되고, 상기 단자유닛 전단에는 위치제한 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전단은 위치제한 블록에 압착되고, 상기 하우징 후단은 락킹유닛에 의하여 상기 락킹홈 내에 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자유닛은 다이를 더 포함하고,상기 제1 단자, 제2 단자는 상기 다이에 의하여 고정되면서 이격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단자 연결을 구현하고; 상기 제1 단자의 전단 연결부, 상기 제2 단자의 전단 연결부는 모두 다이 앞부분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이는 상기 제1 단자를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제1 다이와 상기 제2 단자를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제2 다이를 포함하고,상기 제1 다이와 제2 다이는 적층 설치되고, 오목 돌출 매칭에 의하여 전후좌우 위치가 제한되고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버클은 간격이 평행하게 설치된 두 개의 탄성버클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탄성버클 헤드 뒷부분은 버클 시트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다이에 대응하여 각각 버클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클램핑 헤드는 상기 버클홈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버클 헤드 전단은 상기 버클홈과 하우징에 대응 설치된 연결구에서 외부로 뻗어 나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다이 전단 배면에는 상기 제2 단자 전단 연결부기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편이홈이 설치되고, 상기 편이홈은 상기 제2 단자 전단과 서로 마주하여 커넥터가 휴대폰 데이터 포트에 삽입된 후 상기 제2 단자가 받는 힘이 상기 편이홈 내로 치우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전체 피복된 구조 또는 전후로 개구된 원통형 구조로서, 상기 단자유닛을 피복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하우징 앞부분에는 제1 연결구, 전단면에는 제2 연결구, 후단면에는 제3 연결구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구에는 상기 제1 단자의 전단 연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구는 상기 제2 단자의 전단 연결부와 대응되고, 상기 제1 단자와 제2 단자의 후단 연결부는 상기 제3 연결구를 통하여 뒷방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연결구와 대응되는 상기 단자유닛에는 단자 삽입력 향상에 사용하는 플러그 잠금장치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자유닛 앞부분과 단자유닛 뒷부분에는 각각 위치제한유닛이 형성되어 하우징 위치가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및/또는 단자유닛 전단 양측에는 데이터 포트 형상과 매칭되는 아크형 벽면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양측은 수직방향에 따라 다른 데이터 포트 형상과 매칭되는 경사면이 설치된다.
본 고안에서는 양면 단자유닛을 사용하는데, 상기 단자유닛 양면은 각각 서로 다른 유형의 데이터 포트 연결 기능 구현이 가능하고, 하나의 커넥터로 동시에 애플과 기타 안드로이드 시스템 휴대폰 호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시 대응되는 서로 다른 데이터 포트를 각각 휴대폰의 데이터 포트와 연결하면 된다. 따라서, 사용이 편리하여 사용자의 별도의 선택이 필요하지 않고, 하나의 커넥터로 휴대폰 충전과 데이터 전송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아래 첨부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고안 실시예 1에 따른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 1의 저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 1의 구조 분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 1의 다른 방향의 구조 분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 1의 조감도;
도 6은 도 5 중 A-A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실시예 2의 구조도;
도 8은 본 고안 실시예 2의 구조 분해도;
도 9a는 본 고안 실시예 2의 다른 방향의 구조 분해도;
도 9b는 본 고안 실시예 2의 다른 실시방식 구조 분해도;
도 10은 본 고안 실시예 2의 조감도;
도 11은 도 10에서 B-B의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 실시예 3의 구조도;
도 13은 본 고안 실시예 3의 다른 방향의 구조도;
도 13은 본 고안 실시예3의 다른 방향의 구조도;
도 14는 본 고안 실시예 3의 구도 폭발도;
도 15는 본 고안 실시예 3의 다른 방향의 구조 분해도;
도 16은 본 고안 실시예 4의 구조도;
도 17은 본 고안 실시예 4의 구도 폭발도;
도 18은 본 고안 실시예 4의 다른 방향의 구조 분해도;
도 19는 본 고안 실시예 5의 구조도;
도 20은 본 고안 실시예 5의 구조 분해도;
도 21은 본 고안 실시예 5의 다른 방향의 구조 분해도.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 목적 및 효과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 방식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양면 겸용 커넥터는 단자유닛(1), 하우징(2)을 포함하고, 단자유닛(1)은 이격 설치된 서로 다른 데이터 포트 유형에 적응되는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제1 단자와 제2 단자에 의하여 각각 서로 다른 유형의 데이터 포트에 연결되고; 하우징(2)은 단자유닛 외부에 매칭되어 설치되고, 단자유닛(1)에 대해 위치가 제한되고 고정된다. 단자유닛(1), 하우징(2)은 기본 구조이고, 스텐드부, 탄성버클은 부가 구조 또는 우선적인 구조이다. 또한, 이탈방지장치, 플러그 잠금장치도 선택 구조로서 선택할 수 있고 선택하지 않아도 된다. 아래 서로 다른 실시예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 겸용커넥터는 단자유닛(1), 하우징(2), 스텐드부(3) 및 탄성버클(4)을 포함하고; 단자유닛(1)은 양측면에 각각 서로 다른 유형의 데이터 포트 연결을 구현하고, 본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유형의 데이터 포트는 라이트닝(Lightning) 데이터 포트, 마이크로-USB(Micro-USB) 포트이고, 하우징(2)은 단자유닛(1) 외부에 매칭되어 설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단자유닛(1)에 대하여 위치가 제한되고 고정되며; 스텐드부(3)는 단자유닛(1)의 뒷부분에 클램핑 연결되어 고정 연결되고; 하우징(2)은 단자유닛(1) 전단과 스텐드부(3) 사이에 클램핑되어, 하우징(2)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탄성버클(4)은 단자유닛(1) 뒷부분에서 앞방향으로 단자유닛(1)에 삽입 설치되고, 탄성버클(4) 전단의 탄성버클 헤드(41)는 마이크로-USB 포트 일측의 단자유닛(1)으로부터 외부로 뻗어나가고; 탄성버클(4)은 단자유닛(1)과 스텐드부(3)에 의하여 위치가 제한되고 고정되며, 상기 수평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본 고안의 양면 포트의 단자유닛(1)을 채용하는데 있어서, 제1 단자는 ㄹ라라이트닝 데이터 포트 단자(111)이고, 제2 단자는 마이크로-USB 포트 단자(121)이고, 동시에 라이트닝 데이터 포트, 마이크로-USB 포트는 서로 다른 휴대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유닛(1)은 라이트닝 데이터 포트 단자(111), 마이크로-USB 포트 단자(121) 및 각 단자를 고정 및 이격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다이를 포함하고,라이트닝 데이터 포트 단자(111), 마이크로-USB 포트 단자(121)의 플라스틱 다이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분할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일체형 구조는 라이트닝 데이터 포트 단자(111), 마이크로-USB 포트 단자(121)가 동시에 하나의 플라스틱 다이에 조립되는 것이고,분할 구조는 라이트닝 데이터 포트 단자(111), 마이크로-USB 포트 단자(121)가 각각 두 개의 플라스틱 다이에서 조립되는 것이다. 라이트닝 데이터 포트 단자(111), 마이크로-USB 포트 단자(121)는 종래의 기술에서의 단자 구조와 형상이 일치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분할구조는 다음과 같다. 단자유닛(1)은 라이트닝 데이터 포트를 가지는 제1 단자유닛(11), 마이크로-USB 포트를 가지는 제2 단자유닛(12)을 포함하고, 제1 단자유닛(11)과 제2 단자유닛(12)은 적층으로 설치되고, 오목 볼록 매칭에 의하여 양자의 전후좌우 위치가 제한되고 고정된다. 제1 단자유닛(11)은 라이트닝 데이터 포트 단자(111)와 제1 단자 플라스틱 다이(112)를 포함하고, 제2 단자유닛(12)은 마이크로-USB 포트 단자(121)와 제2 단자 플라스틱 다이(122)를 포함한다. 라이트닝 데이터 포트 단자(111)와 제1 단자 플라스틱 다이(112), 마이크로-USB 포트 단자(121)와 제2 단자 플라스틱 다이(122) 사이의 조립 공정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자유닛(12)에는 수용홈(123)이 설치되고, 제1 단자유닛(11)은 수용홈(123)에 끼움 결합되어 오목 볼록 매칭되고, 수용홈(123)의 뒷부분은 개구 되었고, 제1 단자유닛(11) 뒷부분은 수용홈(123) 개구 지점에서부터 뒷방향으로 연장된다. 수용홈(123)은 제2 단자 플라스틱 다이(122)에 설치되고, 수용홈(123)은 제1 단자유닛(11)을 완전히 끼움 결합시킨다. 끼움 결합 후의 제1 단자유닛(11)은 제2 단자유닛(12)과 좌우의 위치가 제한되고, 앞방향으로 향하는 위치도 제한된다.
수용홈(123) 양측 벽면에는 각각 위치고정홈(124)이 설치되고, 대응되는 제1 단자유닛(11)의 제1 단자 플라스틱 다이(112) 양측에는 위치고정유닛(114)이 설치되고, 위치고정유닛(114)은 위치고정홈(124)에 삽입되어 제1 단자유닛(11)이 뒷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위치고정홈(124)은 위치고정유닛(114)의 형상과 매칭되고, 여기에서는 한정하지 않고, 양자의 매칭에 위치 제한이 필요하다면 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위치고정홈(124)이 사각형홈이고, 위치고정유닛(114)과 대응되는 것은 사각형 블록이다.
도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은 단자유닛(1) 외부에서 매칭되어 설치되고, 하우징(2)은 금속 재질이고, 접지될 수 있고, 수평 방향으로 단자유닛(1)에 대해 위치가 제한되고 고정된다. 하우징(2)의 형상과 종래의 커넥터 형상과 일치하기 때문에 직접 종래의 커넥터로 대체할 수 있다. 하우징(2)의 반대 면에는 탄성버클(4)으로부터 뻗어나온 연결구(21)가 설치되고, 하우징(2)의 정면에는 창구(22)가 설치되고, 라이트닝 데이터 포트 단자(111)의 8개의 핀(111a)은 창구(22)로부터 노출되어 휴대폰 포트의 전기적 연결을 구현한다.
하우징(2)은 단자유닛(1) 앞부분과 스텐드부(3) 사이는 클램핑 연결되어 하우징(2)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단자유닛(1)의 앞부분 즉, 제2 단자 플라스틱 다이(122)의 앞부분에는 위치제한블록(122a)이 설치되고, 하우징(2)의 전단은 위치제한블록(122a)에 압착되어 앞방향으로 향하는 위치가 제한된다. 본 실시예에서 수용홈(123) 앞부분의 측벽이 바로 위치제한블록(122a)이고, 수용홈(123)이 형성되고 하우징(2)의 수직 방향 위치가 제한된다. 스텐드부(3)의 관통홈(32) 내벽면에는 락킹홈(31)이 설치되고, 하우징(2)의 전단은 위치제한블록(122a)에 압착되고, 하우징(2) 후단은 락킹유닛(23)에 의하여 락킹홈(31) 내에 밀착된다.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버클(4)은 간격이 평행하게 설치된 두 개의 탄성버클 헤드(41)를 포함하고,탄성버클 헤드(41)의 형상, 위치 및 역할은 종래의 마이크로-USB 포트에서의 탄성버클 헤드(41)와 동일하기 때문에 종래의 휴대폰 포트와 공용으로 사용된다. 두 개의 탄성버클 헤드(41) 뒷부분은 버클 시트(42)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대응하는 제2 단자유닛(12)의 측면에는 각각 버클홈(125)이 설치되고, 버클홈(125)은 제2 단자유닛(12)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구체적으로 제2 단자 플라스틱 다이(122)의 벽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고, 버클홈(125)도 후방이 개구된 삼방향의 반피복된 구조이고, 후방이 개구된 것은 탄성버클(4)을 개구지점에서부터 앞으로 밀어 버클홈(125)에 조립하고, 탄성버클 헤드(41)는 버클홈(125)에 설치되고, 탄성버클 헤드(41) 전단은 버클홈(125)과 하우징(2)이 대응하여 설치된 연결구(21)에서부터 외부로 뻗어나가고, 단자유닛(1), 하우징(2), 탄성버클(4)은 설치된 후, 탄성버클(4)은 뒷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 5개 방향에서 위치가 제한되고 고정된다.
하우징(2), 탄성버클(4)이 뒷방향을 향하여 고정되는 것은 스텐드부(3)에 의하여 구현된다. 하우징(2)의 정면과 반대면에는 각각 락킹유닛(23)이 설치되고, 대응하는 스텐드부(3)에는 락킹홈(31)이 설치되고, 락킹유닛(23)은 스텐드부(3)의 락킹홈(31)에 압착되어 하우징(2)이 뒷방향에서 위치가 제한되고, 락킹홈(31)의 위치는 스텐드부(3)의 외벽면, 전단면과 스텐드부(3) 내벽에 위치할 수 있다. 락킹유닛(23)은 제1 락킹유닛(231)과 제2 락킹유닛(232)을 포함하고, 대응하는 스텐드부(3)에는 제1 락킹홈(311)과 제2 락킹홈(312)이 설치된다. 하우징(2)의 정면 후단 뒷방향으로 뻗어나가 제1 락킹유닛(231)이 형성되고, 제1 락킹유닛(231)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2) 후단 중심에 설치되고, 제2 락킹유닛(232)은 하우징(2)의 반대면에 설치되고, 제2 락킹유닛(232)은 하우징(2)의 후단에서 외부로 접혀진 접히는 변이고, 접히는 변은 하나 또는 다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락킹유닛(231) 및 제2 락킹유닛(232)와 대응되고, 제1 락킹홈(311)과 제2 락킹홈(312)은 스텐드부(3) 전단의 관통홈(32)의 내벽면에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버클(4)이 뒷방향으로 향하여 위치를 제한하는 것은 탄성버클(4)의 중간부 또는 뒷부분에 설치된 압착 탄성판(43)과 스텐드부(3)의 압착에 의하여 구현되고, 압착 탄성판(43)은 스텐드부(3)에 설치된 압착홈(33)에 밀착되어 탄성버클(4)이 뒤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압착홈(33)은 스텐드부(3)의 외벽면, 전단면과 스텐드부(3)의 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
스텐드부(3)에는 전후 관통된 관통홈(32)이 설치되고, 관통홈(32)의 형상은 단자유닛(1) 뒷부분 형상과 일치하여 매칭되어 함께 삽입 연결되고, 하우징(2)은 단자유닛(1) 전단과 스텐드부(3)사이에 밀착된다.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유닛(1)과 스텐드부(3) 사이에 관통홈(32) 내벽, 단자유닛(1) 뒷부분을 고정하기 위하여 클램핑홈(126)과 클램핑 헤드(326)가 각각 설치되고, 클램핑홈(126)과 클램핑 헤드(326)는 클램핑 연결된 후 스텐드부(3)와 단자유닛(1) 사이의 이탈을 제한한다. 클램핑홈은 관통홈(32) 내벽에 설치되고, 클램핑 헤드는 단자유닛(1) 뒷부분 외벽면에 설치되거나 클램핑 헤드(326)가 관통홈(32) 내벽에 설치되고,클램핑홈(126)은 단자유닛(1) 뒷부분 외벽면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설치 위치는 제한하지 않으며 양자가 서로 클램핑 연결되기만 하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클램핑홈(126)이 단자유닛(1)에 설치되고 즉, 제2 단자 플라스틱 다이(122)의 양측에 설치되고, 클램핑 헤드(326)는 관통홈(32) 양측 내벽면에 설치된다. 클램핑 헤드(326)와 클램핑홈(126)의 형상은 제한하지 않고, 클램핑 연결된 후 임의로 이탈되지 않으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클램핑홈(126)과 클램핑 헤드(326) 사이에는 고리가 형성되어, 스텐드부(3)가 후진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버클(4)의 조립은 스텐드부(3)에서 시작되고, 대응되는 관통홈(32)에도 버클홈(125)과 대응되는 스텐드부 홈(325)이 설치되고,스텐드부 홈(325)은 버클홈(125)과 대응 연통되고, 탄성버클(4)이 앞으로 전진하는 캐비티(cavity)를 형성한다. 탄성버클(4)의 고정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압착홈(33)이 관통홈(32) 앞부분의 내벽면에 설치되고, 압착 탄성판(43) 앞부분은 스텐드부(3)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탄성버클(4)은 단자유닛(1)에 조립된 후 압착 탄성판(43)은 압착홈(33) 내에 압착되고, 탄성버클(4)이 후진하는 것을 방지한다.
하우징(2) 및/또는 단자유닛(1) 전단 양측에는 데이터 포트 형상과 매칭되는 아크형 벽면이 설치되고, 상기 구조는 애플 제품의 데이터 포트 형상에 적용되고; 하우징(2) 양측은 수직 방향에 따라 다른 데이터 포트 형상과 매칭되는 경사면이 설치되고, 안드로이드 시스템 제품의 데이터 포트 형상에 적용된다.
실시예 2 및 도 7 내지 11에 도시된 것은 제2 실시방식으로서, 단자유닛(1), 하우징(2), 스텐드부(3) 및 탄성버클(4)을 포함하고, 단자유닛(1)은 다이(100), 제1 단자(111), 제2 단자(121)를 포함하고, 제1 단자(111), 제2 단자(121)는 다이(100)에 의하여 고정되면서 이격되고,각각 독립적으로 데이터 포트 연결을 구현하고; 제1 단자(111)의 전단 연결부(111a), 제2 단자(121)의 전단 연결부(121a)는 다이(100)의 전단에 위치한다. 제1 단자(111), 제2 단자(121)는 각각 두 개의 서로 다른 유형의 데이터 포트의 단자이고, 각각 애플 제품의 연결단자, 안드로이드 시스템 제품의 연결 단자에 사용되는데. 예를 들면 제1 단자(111)는 라이트닝 데이터 포트 등에 사용되고, 제2 단자(121)는 마이크로-USB 포트 등에 사용되어 데이터포트가 끊임없이 업데이트 된다는 바탕에서 이 두 가지 단자는 각각 상기 두 가지 종류의 서로 다른 데이터 포트에 적용된다.
바람직하게 제1 단자(111)의 전단 연결부(111a)와 대응되는 하우징(2)에는 설치구(22)가 설치되고, 제1 단자(111)의 전단 연결부(111a)는 설치구(22)까지 연장되고, 단자유닛(1)의 전단은 하우징(2)의 전단과 일치하게 수평을 유지하거나 단자유닛(1) 전단이 약간 하우징(2) 전단을 벗어나, 다이(100) 전단이 파열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단자(121)의 전단 연결부(121a)는 다이(100)와 하우징(2)이 피복된 공간에 위치하고, 단자유닛(1)은 각각 양면으로부터 각자 독립적으로 라이트닝 데이터 포트, 마이크로-USB 포트 연결을 구현한다. 하우징(2)은 단자유닛(1) 외부에 설치되고, 수평 방향에서 단자유닛(1)에 대해 위치가 제한하고 고정시킨다.
탄성버클(4)은 단자유닛(1) 뒷부분에서부터 앞으로 단자유닛(1)에 삽입 설치되면서 하우징(2)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탄성버클(4) 전단의 탄성버클 헤드(41)는 제2 단자(121) 일측의 단자유닛(1)과 하우징(2)의 측면에서부터 외부로 뻗어나가고; 탄성버클(4) 구조는 실시예 1과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1 단자(111), 제2 단자(121)와 대응되는 다이(100)는 일체형 구조일 수 있고, 분할 구조일 수도 있다. 일체형 구조는 제1 단자(111), 제2 단자(121)가 하나의 다이(100)에 동시에 조립된 것이고,분할 구조는 제1 단자(111), 제2 단자(121)가 각각 두 개의 다이(100)에 조립된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단자유닛(1)은 제1 단자(111)를 가지는 제1 다이(101), 제2 단자(121)를 가지는 제2 다이(102)를 포함하고. 제1 다이(101)는 제2 다이(102)와 적층 설치되고 오목 볼록 매칭에 의하여 전후좌우 위치가 제한되고 고정된다.
제1 단자(111)와 제1 다이(101) 사이의 조립, 제2 단자(121)와 제2 다이(102)의 조립은 실시예 1에서의 라이트닝 데이터 포트 단자(111)와 제1 단자 플라스틱 다이(112)의 조립, 마이크로-USB 포트 단자(121)와 제2 단자 플라스틱 다이(122)의 조립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8, 9a,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다이(101) 또는 제2 다이(102)에는 전후로 관통된 끼움 연결홈(123)이 설치되고, 제2 다이(102) 또는 제1 다이(101)는 끼움 연결홈(123)에 끼움 결합되어 양자의 오목 볼록 매칭을 구현하여, 좌우방향의 위치를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끼움 연결홈(123)은 제2 다이(102)에 설치되고, 끼움 연결홈(123)의 전단 개구는 제2 단자(121)가 설치되는데 사용되고,제2 단자(121)의 전단 연결부(121a)는 하방의 제2 다이(102)와 대응되어 개구(102a)가 설치되고, 개구(102a)는 제2 단자(121)의 전단 연결부(121a)가 떠있게 하여 안드로이드 휴대폰 등 전자장치 포트와 대응되어 연결되는데 사용되고, 제2 단자(121) 뒷부분은 커넥터와 연결된다. 끼움 연결홈(123)은 제2 단자(121)의 후단 연결부로부터 연장되어 안드로이드 시스템의 데이터 포트의 제2 단자(121)와 데이터 케이블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구현한다. 제1 다이(101)의 제1 단자(111)의 후단 연결부는 끼움 연결홈(123)을 통해 뒤로 연장되어 제1 단자(111)와 데이터 케이블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구현하는데 사용된다.
끼움 연결홈(123)의 양측 벽면에는 위치고정홈(124)이 각각 설치되고, 대응되는 제1 다이(101) 또는 제2 다이(102)의 양측에는 위치고정유닛(114)이 설치되고, 위치고정유닛(114)은 위치고정홈(124)에 삽입되어 제1 다이(101)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위치고정홈(124)과 위치고정유닛(114)의 형상이 매칭되는데, 여기에서 제한하지 않는다.
하우징(2)과 단자유닛(1)의 조립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하우징(2)의 반대면에는 제2 다이(102)의 탄성버클(4)이 뻗어나가 형성된 연결구(21)와 대응하고, 하우징(2)에는 제1 단자(111)의 전단 연결부(111a)의 노출에 사용되는 설치구(22)가 설치되고; 제1 단자(111)의 전단 연결부(111a) 즉, 8개의 핀은 설치구(22)로부터 노출되어 휴대폰 등 전자 장치 포트와의 전기적 연결을 구현한다. 제1 단자(111) 및 그 전단 연결부(111a)의 구조는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다.
도 7 내지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다이(101)의 전단 배면에는 제2 단자(121) 전단 연결부(121a)의 운동하도록 설치된 편이홈(101b)이 설치되고, 편이 홈(101b)은 제2 단자(121)의 전단 연결부(121a)를 마주봄에 따라 커넥터가 휴대폰 등 전자장치 데이터 포트에 삽입된 후 제2 단자(121)의 전단 연결부(121a)가 받는 힘이 편이홈(101b) 내로 편이되도록 한다. 편이홈(101b)은 수평 방향의 긴 홈으로서 그 길이는 제2 단자(121)의 전단 연결부(121a)와 대응되며 그 깊이는 전단 연결부(121a)가 힘을 받은 후 이동되는 거리에 상응한다.
도 9a,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다이(102)에는 버클홈(125)이 설치되고, 버클홈(125)은 제2 다이(102)에 따라 수직 방향 간격으로 두 개가 설치되고, 두 개의 탄성버클 헤드(41)가 버클홈(125)에 삽입된다. 버클홈(125), 탄성버클(4)의 구조와 조립은 실시예 1과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9a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버클(4)이 뒷방향으로 향하는 위치를 제한하는 것은 탄성버클(4) 중간부 또는 뒷부분에 설치된 압착 탄성판(43)이 스텐드부(3)와 압착되고,압착 탄성판(43)은 스텐드부(3)에 설치된 압착홈(33)에 압착되거나 압착블록에 밀착되고, 탄성버클(4)이 뒤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압착홈(33)은 스텐드부(3)의 외벽면, 전단면과 스텐드부(3)의 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 및/또는 단자유닛(1)에는 커넥터 삽입 이탈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이탈방지장치가 더 설치되고,이탈방지장치는 하우징(2)에 설치되어 외부로 돌출된 이탈방지유닛(28) 및/또는 탄성 클램핑 유닛(29)을 포함한다. 이탈방지유닛(28)의 구조는 돌기, 돌출모서리, 돌출블록 등으로 구성된다. 탄성 클램핑 유닛(29)은 하우징(2)에 설치된 탄성유닛이고, 자유상태에서 탄성 클램핑 유닛(29)은 하우징(2) 외벽면을 초과하여 휴대폰 등 전자장치에 삽입 연결될 때 하우징(2)의 탄성 클램핑 유닛(29)은 휴대폰 등 전자장치 포트 벽면의 압착을 받아 하우징(2) 내로 이동되고, 탄성 클램핑 유닛(29)과 포트 벽면이 밀착되도록 하여 이탈을 방지한다. 탄성 클램핑 유닛(29)은 일단이 하우징(2)에서 외부로 뻗어나간 탄성판, 탄성헤드 등에 고정된 것이다.
스텐드부(3)는 단자유닛(1)의 뒷부분에 클램핑 연결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유닛(1)과 스텐드부(3) 사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관통홈(32) 내벽, 단자유닛(1) 뒷부분에 클램핑홈(126)과 클램핑 헤드(326)가 각각 설치되고, 클램핑홈(126)과 클램핑 헤드(326)의 구조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3 및 본 실시예는 제3 종류 커넥터의 실시방식이다.
도 12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 겸용 커넥터는 단자유닛(1), 하우징(2), 스텐드부(3) 및 탄성버클(4)를 포함하고; 단자유닛(1)은 다이(100), 제1 단자(111), 제2 단자(121)를 포함하고, 제1 단자(111), 제2 단자(121)는 다이(100)에 의하여 고정되면서 이격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단자 연결을 구현하고; 본 고안에서 제1 단자(111), 제2 단자(121)는 각각 두 개의 서로 다른 유형의 데이터 포트의 단자이고, 각각 애플 제품의 연결 단자, 안드로이드 시스템 제품의 연결 단자에 사용되고, 현대 휴대폰 제품을 바탕으로 하여, 제1 단자(111)는 라이트닝 데이터 포트 등이고, 제2 단자(121)는 마이크로-USB 포트 등이고, 데이터 포트가 끊임없이 업데이트 된다는 것을 바탕으로, 상기 두 단자는 각각 상기 두 가지 종류의 서로 다른 데이터 포트에 사용된다.
하우징(2)은 단자유닛(1)의 외부에 설치되고, 단자유닛(1)에 대해 위치를 제한하여 고정시키고,하우징(2)은 바람직하게 단자유닛(1)의 외부에 매칭되어 설치되고, 수평 방향에서 단자유닛(1)에 대해 위치가 제한되어 고정되고; 하우징은 완전 피복 일체형 구조이고, 단자유닛(1), 탄성버클(4)을 피복하여 고정되고, 대응하는 단자유닛(1)은 통신 연결에 사용되는 단자연결구를 보류한다.
하우징(2)의 고정은 단자유닛(1)과의 매칭으로 구현되고, 하우징(2) 뒷부분에 의하여 스텐드부(3)에 클램핑되어 구현되어 하우징(2)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탄성버클(4)은 일부가 단자유닛(1)에 끼움 삽입되고, 탄성버클(4)의 전단은 단자유닛(1)과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외부로 뻗어나가고, 탄성버클(4) 뒷부분은 단자유닛(1), 하우징(2)의 위치를 제한하고 고정시킴으로써, 탄성버클(4)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2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유닛(1)은 애플 휴대폰 등 전자장치에 적용되는 제1 단자(111), 안드로이드 시스템 휴대폰 등 전자장치에 적용되는 제2 단자(121) 및 각 단자를 고정시키고 이격시키는데 사용되는 다이(100)을 포함하고, 제1 단자(111)의 전단 연결부(111a), 제2 단자(121)의 전단 연결부(121a)는 다이(100) 전단에 위치한다.
제1 단자(111), 제2 단자(121)와 대응되는 다이(100)는 일체형 구조일 수도 있고, 분할 구조일 수도 있다. 일체형 구조는 제1 단자(111), 제2 단자(121)가 하나의 다이(100)에 동시에 조립된 것이고,분할 구조는 제1 단자(111), 제2 단자(121)가 각각 두 개의 다이(100)에 조립된 구조이다. 제1 단자(111), 제2 단자(121)는 종래의 기술에서 두 종류의 단자 구조와 형상이 일치하기 때문에 제1 단자(111), 제2 단자(121)는 설명을 생략 한다.
도 12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유닛(1)은 제1 단자(111)를 가지는 제1 다이(101), 제2 단자(121)를 가지는 제2 다이(102)를 포함하고,제1 다이(101)는 제2 다이(102)와 적층 설치된다. 하우징(2)은 완전 피복 일체형 구조이고, 단자유닛(1), 탄성버클(4)을 피복하여 고정시켜 단자유닛(1)에 대해서만 통신 연결용 단자연결구를 보류하며,단자연결구는 하우징(2) 정면의 제1 연결구(23)와 하우징(2) 전단에 형성된 제2 연결구(22)를 포함하고, 제1 단자(111)의 전단 연결부(111a)는 제1 연결구(23)에 설치되고, 제2 연결구(22)는 제2 단자(121)의 전단 연결부(121a)에 대응된다. 하우징(2)은 제1 다이(101)와 제2 다이(102)의 피복 고정을 구현하기 위하여, 하우징(2)의 형상은 제1 다이(101)와 제2 다이(102)의 둘레 벽면 형상과 매칭되고, 하우징(2)은 종래의 커넥터 외관과 일치하여 포트 형상을 변경할 필요없이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2)의 반대면에는 제2 다이(102)와 대응되는 탄성버클(4)이 뻗어나간 연결구(21)가 형성된다.
커넥터와 휴대폰 등 전자장치의 연결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우징(2)에는 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장치가 더 설치되고, 이탈방지장치는 하우징(2)에 설치되어 외부로 돌출된 이탈방지유닛(28)을 포함한다. 이탈방지유닛(28)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각종 밖으로 돌출된 돌기, 돌출 모서리, 돌출블록 등이고, 설치 수량은 수요에 따라 다수 개가 형성되어 진열시켜 설치될 수 있고, 하나 또는 두 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이탈방지유닛(28)은 비탄성 구조로서 휴대폰 등 전자장치 포트 벽면과 밀착 또는 약간의 변형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런 구조는 커넥터가 휴대폰 등 전자장치와 삽입 연결하는데 견고성을 증가시킨다. 이탈방지유닛(28)의 설치 위치는 제한하지 않으며, 하우징(2)의 둘레에 설치될 수 있고, 도 12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하우징(2) 좌우 양측 벽면에 설치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다이(101) 전단 배면에는 제2 단자(121) 전단 연결부(121a)가 운동하도록 설치되는 수용홈(101b)이 설치되고, 제1 다이(101)와 제2 다이(102) 및 제2 단자(121), 제1 단자(111)가 조립된 후 수용홈(101b)은 제2 단자(121)의 전단 연결부(121a)를 마주하여 커넥터가 휴대폰 등 전자장치 데이터 포트에 연결된 후 제2 단자(121)의 전단 연결부 (121a)의 받는 힘이 수용홈(101b) 내로 편이되도록 한다. 수용홈(101b)은 수평 방향의 긴 홈으로서, 그 길이는 제2 단자(121)의 전단 연결부(121a)와 대응되며, 그 깊이는 전단 연결부(121a)가 힘을 받아 이동한 거리에 상응하지만 수용홈(101b) 홈바닥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수용홈(101b)이 설치된 후 다이(100)의 강도가 약해져 쉽게 부러지는 문제점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12 내지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탄성버클(4)은 간격이 평행하게 설치된 두 개의 탄성버클 헤드(41)를 포함하고, 탄성버클 헤드(41)의 형상, 위치와 역할은 종래의 안드로이드 시스템 제품의 포트 중에서 탄성버클 헤드(41)와 동일하여 종래 휴대폰 등 전자장치의 포트와 공용 사용된다. 두 개의 탄성버클 헤드(41) 뒷부분은 버클 시트(42)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버클 시트(42)는 탄성버클 헤드(41)의 뒷부분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고, 주로 두 개의 탄성버클 헤드(41)를 연결하는데 사용되고, 양자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도록 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다이(102)의 배면에는 탄성버클 헤드(41)와 대응되는 버클홈(125)이 각각 설치되고, 버클홈(125)은 제2 다이(102)에 따라 수직방향 간격으로 두 개 설치되고, 버클홈(125)은 제2 다이(102) 뒷부분에서부터 제2 다이(102)의 중간부까지 연장되고, 탄성버클 헤드(41) 뒷부분은 버클홈(125)에 끼움 삽입되고, 탄성버클 헤드(41)의 앞부분이 뻗어나가 버클홈(125)이 떠있게 한다. 탄성버클 헤드(41) 전단이 떠있음으로서 조립될 때 탄성버클 헤드(41)에 큰 이동 공간이 형성되어 조립이 용이하다. 하우징(2)은 단자유닛(1)에 피복된 동시에 탄성버클(4) 의 위치를 제한하여 고정한다.
스텐드부(3), 단자유닛(1) 및 하우징(2) 사이의 연결은 다수 종류일 수 있고, 여기서 한 가지는 스텐드부(3)가 사출 성형으로 단자유닛(1)과 하우징(2)의 뒷부분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단자유닛(1), 하우징(2)이 일체형으로 고정 연결되는 것이다. 외부로 돌출된 오목홈(26)은 스텐드부(3)가 사출시 고결력이 향상되도록 하고, 스텐드부(3)와 하우징(2) 사이의 이탈을 방지한다. 다른 방법은 실시예 1, 2와 동일하다. 스텐드부(3)의 관통홈(32) 내벽, 단자유닛(1)의 뒷부분에는 클램핑홈과 클램핑 헤드가 각각 설치되고, 클램핑홈과 클램핑 헤드가 클램핑 연결되어 스텐드부(3)와 단자유닛(1) 사이의 이탈을 방지한다.
실시예 4는 본 고안의 제4 종류의 실시방식이다.
도 16 내지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 겸용 커넥터는 단자유닛(1), 하우징(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텐드부 및 그 탄성버클이 형성되지 않는다.
단자유닛(1)은 다이(100) 및 서로 다른 유형의 데이터 포트에 사용되는 제1 단자(111), 제2 단자(121)를 포함하고, 제1 단자(111), 제2 단자(121)는 다이(100)에 의하여 고정되면서 이격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단자 연결을 구현하고; 제1 단자(111), 제2 단자(121) 각각은 두 개의 서로 다른 유형의 단자이고, 애플 제품의 연결 단자, 안드로이드 시스템 제품의 연결 단자에 각각 사용된다.
도 16 내지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유닛(1)은 애플 휴대폰 등 전자장치에 적용되는 제1 단자(111), 안드로이드 시스템 휴대폰 등 전자장치에 적용되는 제2 단자(121) 및 각 단자를 고정하고 이격시키는데 사용되는 다이(100)를 포함하고, 제1 단자(111)의 전단 연결부(111a), 제2 단자(121)의 전단 연결부(121a)는 전부 다이(100) 전단에 위치한다. 단자유닛(1)의 세부 구조는 실시예 3과 동일하다. 단자유닛(1)은 제1 단자(111)를 가지는 제1 다이(101), 제2 단자(121)를 가지는 제2 다이(102)를 포함하고, 제1 다이(101)와 제2 다이(102)는 적층 설치된다.
도 16 내지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은 단자유닛(1) 외부에 매칭되어 설치되고, 하우징(2)은 금속재질로서 접지되는 동시에 수평 방향으로 단자유닛(1)에 대해 위치를 제한하여 고정시킨다. 하우징(2)은 단자유닛(1)과 서로 끼움 연결시켜, 양자 간의 고정을 구현한다. 하우징(2)은 완전 피복된 일체형 구조로서, 단자유닛(1)을 피복하여 고정시키고, 단자유닛(1)에 대해서 통신 연결에 사용되는 단자연결구를 보류하며,단자연결구는 하우징(2) 정면의 제1 연결구(23)와 하우징(2) 전단에 설치된 제2 연결구(22)를 포함하고, 제1 단자(111)의 전단 연결부(111a)는 제1 연결구(23)에 설치되고, 제2 연결구(22)는 제2 단자(121)의 전단 연결부(121a)에 대응된다. 세부적인 구조는 실시예 3과 동일하다.
도 16 내지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구와 대응되는 단자유닛(1)에는 단자 삽입력을 향상시키는 플러그 잠금장치(118)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잠금장치(118)은 제1 다이(101) 배면에 설치되고, 플러그 잠금장치(118)는 수평 방향으로 제1 다이(101) 배면 전단에 설치된 경사면 락킹블록(118a)과 제2 단자 사이의 공간에 대응되는 클램프(118b)를 포함하고, 경사면 락킹블록(118a)의 경사면은 제2 연결구(22) 방향으로 제2 연결구(22)가 밖에서 안으로 공간이 점점 작아지도록 하여 휴대폰 플러그에서 데이터 포트 시트 사이의 삽입력을 향상시킨다. 클램프(118b)는 제2 단자에 따라 수직 방향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고, 클램프(118b)는 제2 단자를 클램핑 시키고 고정시켜 제2 단자가 수평 방향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고, 삽입 연결된 후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클램프(118b)도 제2 연결구(22) 방향으로 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휴대폰 플러그에서 데이터포트 시트에 대한 압착하여 삽입력을 향상한다.
도 16 내지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스텐드부가 형성되지 않아 하우징의 고정은 단자유닛으로 구현된다. 단자유닛 전단과 단자유닛 뒷부분에는 각각 위치제한유닛이 설치되고, 하우징을 클램핑 시켜 위치를 제한하고 고정시키고, 하우징(2)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단자유닛 앞부분의 위치제한유닛은 제1 다이 앞부분에 위치제한유닛(101a)이 설치될 수 있고, 위치제한유닛(101a)의 표면은 제1 다이(101) 표면보다 높기 때문에 제1 연결구(23)에 클램핑 연결된 위치제한유닛(101a) 표면이 하우징(2)의 표면과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다. 단자유닛 뒷부분에 설치된 위치제한유닛(119)은 제1 다이(101)와 제2 다이(102) 뒷부분에 설치되고, 위치제한유닛(119)은 하나 또는 다수 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제1 다이(101)와 제2 다이(102) 뒷부분에 수평 방향으로 각각 하나씩 설치되고, 단자유닛 앞부분의 위치제한유닛(101a)과 단자유닛(1) 뒷부분 위치제한유닛(119) 사이의 간격과 하우징(2)의 길이가 매칭되기 때문에 하우징(2)이 위치제한유닛(101a)과 위치제한유닛(119) 사이에서 클램핑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2) 및/또는 단자유닛(1) 전단 양측에는 데이터 포트 형상이 매칭되어 아크형 벽면(25)이 설치되고, 이 구조는 애플 제품의 데이터 포트 형상에 적용되고; 하우징(2) 양측은 수직 방향으로 다른 데이터 포트 형상과 매칭되어 경사면(27)이 설치되고, 안드로이드 시스템 제품의 데이터 포트 형상에 적용된다. 본 실시예의 하우징(2)은 완전 피복 구조로서 하우징(2)에 아크형 벽면(25)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버클이 형성되지 않으며 커넥터와 휴대폰 등 전자장치 삽입 안전성을 위하여 하우징(2)에는 커넥터 삽입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장치가 더 설치되고, 이탈방지장치는 하우징(2)에 설치되어 외부로 돌출된 이탈방지유닛(28)을 포함한다. 하우징(2) 양측에 설치된 이탈방지 유닛(28)의 세부적인 구조는 실시예 3과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하우징(2) 양측에 설치된 이탈방지유닛(28)을 제외하고, 하우징 배면에는 이탈방지유닛(28) 및 경사면(27)에 설치된 이탈방지유닛(28)이 더 형성된다. 하우징 배면의 이탈방지유닛(28)은 돌기, 볼록 모서리 등 구조일 수 있고, 하나 또는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고, 그 형상은 제한하지 않으며 이탈을 방지하면 된다.
단자유닛(1)의 기타 구조는 실시예 3과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5 및 도 19 내지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 겸용 커넥터의 제5 종류의 실시방식이다. 그 대부분 구조는 실시예 4와 동일하지만 본 실시예의 하우징(2)의 구조가 실시예 4와 서로 다르며,기타 구조는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 내지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은 전후로 개구된 원통형 구조로서 단자유닛(1)를 피복하여 고정하고, 원통형 구조는 하우징(2)의 전후를 관통하여 개구시키며, 하우징(2)의 앞부분에는 제1 연결구(23), 전단면의 개구는 제2 연결구(22), 후단 개구는 제3 연결구(26), 제1 연결구(223)에는 제1 단자(111)의 전단 연결부(111a)가 설치되고, 제2 연결구(22)는 제2 단자(121)의 전단 연결부(121a)와 대응되고, 제1 단자(111)와 제2 단자(121)의 후단 연결부는 제3 연결구(26)으로부터 뒷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9 내지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이 원통형 구조이기 때문에 하우징(2) 및/또는 단자유닛(1)의 전단 양측에는 데이터 포트 형상과 매칭될 수 있는 아크형 벽면(25)이 형성되는데 만일 하우징(2)의 전단과 단자유닛(1)의 전단이 수평을 유지하면 아크형 벽면(25)은 하우징(2)에만 설치되고, 만일 하우징(2)의 전단이 단자유닛(1)의 전단보다 조금 짧으면 동시에 하우징(2)과 단자유닛(1) 전단에 아크형 벽면(25)이 형성된다. 상기 구조는 애플 제품의 데이터포트 형상에 적용되고; 하우징(2) 양측은 수직방향으로 다른 데이터 포트 형상의 경사면(27)이 형성되며 경사면(27)은 안드로이드 시스템 제품의 데이터 포트 형상에 적용되고 경사 면(27)에는 이탈방지유닛(28)이 형성된다.

Claims (20)

  1. 단자유닛,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유닛은 이격 설치된 서로 다른 데이터 포트 유형에 적용되는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와 제2 단자에 의하여 각각 서로 다른 유형의 데이터 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은 단자유닛 외부에 매칭되어 설치되고, 상기 단자유닛에 대해 위치를 제한하고 고정시키며,
    상기 하우징 및/또는 단자유닛에는 커넥터 삽입 연결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겸용 커넥터.
  2. 단자유닛,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유닛은 이격 설치된 서로 다른 데이터 포트 유형에 적용되는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와 제2 단자에 의하여 각각 서로 다른 유형의 데이터 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은 단자유닛 외부에 매칭되어 설치되고, 상기 단자유닛에 대해 위치를 제한하고 고정시키며,
    상기 하우징은 전체 피복된 구조 또는 전후로 개구된 원통형 구조이고, 상기 단자유닛을 피복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하우징 전단에는 제1 연결구가 설치되고, 전단면에는 제2 연결구가 형성되고, 후단면에는 제3 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연결구에는 상기 제1 단자의 전단 연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연결구는 상기 제2 단자의 전단 연결부와 대응되고, 상기 제1 단자와 제2 단자의 후단 연결부가 상기 제3 연결구를 통해 뒷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겸용 커넥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스텐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텐드부는 상기 단자유닛의 뒷부분에 고정되고, 상기 단자유닛과 하우징을 일체형으로 고정 연결되고, 상기 단자유닛 후단이 상기 스텐드부 뒷부분에서 뻗어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겸용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탄성버클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버클은 상기 단자유닛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탄성버클 앞부분은 상기 단자유닛과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외부로 뻗어나가고; 상기 탄성버클은 상기 단자유닛과 상기 스텐드부에 의하여 위치가 제한되고 고정되어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겸용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드부에는 전후로 관통된 관통홈이 설치되고, 상기 관통홈의 형상은 상기 단자유닛 뒷부분 형상과 매칭되어 함께 삽입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전단은 상기 단자유닛 전단과 수평 유지하거나 상기 단자유닛 전단이 미세하게 상기 하우징 전단을 벗어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유닛 앞부분과 스텐드부 사이에 밀착하고 클램핑 연결하고; 또는 상기 스텐드부가 상기 하우징, 단자유닛을 일체형으로 고정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겸용 커넥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 내벽, 상기 단자유닛 뒷부분에는 각각 클램핑홈과 클램핑 헤드가 설치되고,상기 클램핑홈은 클램핑 헤드와 클램핑 연결되어 상기 스텐드부와 단자유닛 사이의 이탈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겸용 커넥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버클의 중간부 또는 뒷부분에 압착 탄성판이 설치되고, 상기 압착 탄성판은 상기 스텐드부에 설치된 압착홈에 밀착되어 상기 탄성버클이 뒷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겸용 커넥터.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는 라이트닝(Lightning) 데이터 포트 단자이고, 상기 제2 단자는 마이크로-USB(Micro-USB) 포트 단자이고, 상기 단자유닛은 각각 양측면으로부터 각자 라이트닝 데이터 포트, 마이크로-USB 포트 연결을 구현하고;
    상기 스텐드부는 상기 단자유닛의 뒷부분에 클램핑 연결되어 양자가 고정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유닛 전단과 스텐드부 사이에 클램핑 되어상기 하우징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탄성버클은 상기 단자유닛 뒷부분에서 앞으로 상기 단자유닛에 삽입 설치되면서 상기 하우징으로 인하여 수평 방향 이동을 제한받고,상기 탄성버클 전단의 탄성버클 헤드는 마이크로-USB 포트 일측의 단자유닛으로부터 외부로 뻗어나가고; 상기 탄성버클은 수직 방향으로 상기 단자유닛과 상기 스텐드부 사이에 클램핑 되어 수직 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겸용 커넥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유닛은 라이트닝 데이터 포트가 형성된 제1 단자유닛, 마이크로-USB 포트가 형성된 제2 단자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유닛과 제2 단자유닛은 적층 설치되고, 오목 볼록 매칭에 의하여 전후좌우의 위치가 제한되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겸용 커넥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유닛에 수용홈이 설치되고,상기 제1 단자유닛은 상기 수용홈에 끼움 결합되고,상기 제1 단자유닛 뒷부분은 상기 수용홈 개구 지점에서 뒷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용홈 양측 벽면에는 각각 위치고정홈이 설치되고, 대응하는 제1 단자유닛 양측에는 위치고정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위치고정유닛은 위치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단자유닛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겸용 커넥터.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버클은 간격이 평행하게 설치된 두 개의 탄성버클 헤드를 포함하고, 두 개의 탄성버클 헤드 뒷부분은 버클 시트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대응하는 상기 제2 단자유닛에는 각각 버클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버클 헤드는 상기 버클홈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버클 헤드 전단이 상기 버클홈과 하우징에 대응하여 설치된 연결구를 통해 외부로 뻗어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겸용 커넥터.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드부에는 관통홈이 설치되고, 상기 관통홈 내벽면에는 락킹홈이 설치되고, 상기 단자유닛 전단에는 위치제한블록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전단은 상기 위치제한블록에 압착되고, 상기 하우징 후단은 락킹유닛에 의하여 상기 락킹홈 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겸용 커넥터.
  1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유닛은 다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 제2 단자는 다이에 의하여 고정되면서 이격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단자 연결을 구현하고; 상기 제1 단자의 전단 연결부, 상기 제2 단자의 전단 연결부가 모두 상기 다이 앞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겸용 커넥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는 상기 제1 단자를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제1 다이와 상기 제2 단자를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제2 다이를 포함하고,상기 제1 다이와 제2 다이는 적층 설치되고 오목 볼록 매칭에 의하여 전후좌우 위치가 제한되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겸용 커넥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버클은 두 개의 간격이 평행하게 설치된 탄성버클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탄성버클 헤드 뒷부분은 버클 시트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대응하는 상기 제2 다이에는 각각 버클홈이 설치되고, 상기 탄성버클 헤드는 상기 버클홈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버클 헤드 전단이 상기 버클홈과 하우징이 대응하여 설치된 연결구를 통해 외부로 뻗어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겸용 커넥터.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이 전단 배면에는 상기 제2 단자 전단 연결부 운동하도록 설치된 편이홈이 설치되고, 상기 편이홈은 상기 제2 단자 전단과 서로 마주하여 커넥터가 휴대폰 데이터 포트에 삽입된 후 상기 제2 단자의 받는 힘이 편이홈 내로 치우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겸용 커넥터.
  17. 삭제
  1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구와 대응되는 단자유닛에 단자 삽입력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되는 플러그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겸용 커넥터.
  1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유닛 앞부분과 단자유닛 뒷부분에 각각 위치제한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을 위치 제한하고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겸용 커넥터.
  2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및/또는 단자유닛 전단 양측에는 데이터 포트 형상과 매칭되는 아크형 벽면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 양측에 수직 방향에 따라 다른 데이터 포트 형상과 매칭되는 경사면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겸용 커넥터.
KR2020160002981U 2015-12-01 2016-05-31 양면 겸용 커넥터 KR20048396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20989325.7 2015-12-01
CN201520989325.7U CN205159707U (zh) 2015-12-01 2015-12-01 双面两用连接器
CN201610184476.4A CN105680268A (zh) 2016-03-28 2016-03-28 双面连接器
CN201610184476.4 2016-03-28
CN201620391379.8U CN205900998U (zh) 2016-04-29 2016-04-29 双面连接器
CN201620391379.8 2016-04-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031U KR20170002031U (ko) 2017-06-09
KR200483962Y1 true KR200483962Y1 (ko) 2017-07-12

Family

ID=57197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981U KR200483962Y1 (ko) 2015-12-01 2016-05-31 양면 겸용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207127U (ko)
KR (1) KR20048396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1420A (ja) 2014-04-03 2015-11-12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7914B1 (en) * 2000-03-24 2001-07-10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gral latch and strain relief device
JP2003243093A (ja) * 2002-02-21 2003-08-29 Yazaki Corp Usbコネクタ
JP4427564B2 (ja) * 2007-06-13 2010-03-10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プラグ
WO2012012322A1 (en) * 2010-07-19 2012-01-26 Millennium Pharmaceuticals, Inc. Substituted hydroxamic acids and uses thereof
KR20120122914A (ko) * 2011-04-29 2012-11-07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플러그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20130096612A (ko) * 2012-02-22 2013-08-30 주식회사 엔소닉스 Usb 포트와 애플용 포트에 호환 가능하게 접속되는 아이포트 및 아이포트 전용 케이블
US8968031B2 (en) * 2012-06-10 2015-03-03 Apple Inc. Dual connector having ground planes in tongues
DE202013001452U1 (de) * 2013-02-14 2013-03-21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Adapter
JP2017191715A (ja) * 2016-04-13 2017-10-19 株式会社 東亜産業 プラグ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ケーブ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1420A (ja) 2014-04-03 2015-11-12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031U (ko) 2017-06-09
JP3207127U (ja) 2016-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785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firmly secured front sealing member
US5391083A (en) Computer card connector
US9954311B2 (en) Electric connector
US9640899B2 (en) Waterproof electrical receptacle assembly
US9997865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976125B (zh) 连接器
TWM498979U (zh) 利用接地片組合組裝式舌板之訊號連接器
GB2545039A (en) Double-side and dual-purpose connector
US20170324186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excellent waterproof property
US9225132B2 (en) Connection plug for portable device
US7182622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150364845A1 (en) Plug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179650B1 (en) Modularized electric connector
US8678841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mechanical switching function
KR200483962Y1 (ko) 양면 겸용 커넥터
US20130300366A1 (en) Charger
CN109510017B (zh) 端子模块及其电连接器
CN109301607B (zh) 一种电连接器的防反插连接结构
US20130078842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Locking Mechanism
KR20150098541A (ko) 리셉터클 어셈블리
LU502191B1 (en) Wire harness port with multi-directional interfaces
TWI569542B (zh) 插座電連接器
CN219873246U (zh) 防水基材结构、防水按键机构及电子产品
KR200469374Y1 (ko) 전기 커넥터
CN213071452U (zh) 数据连接器及数据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