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6678A - 고출력 리튬 전지의 적층 방법 - Google Patents

고출력 리튬 전지의 적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6678A
KR20080106678A KR1020070054407A KR20070054407A KR20080106678A KR 20080106678 A KR20080106678 A KR 20080106678A KR 1020070054407 A KR1020070054407 A KR 1020070054407A KR 20070054407 A KR20070054407 A KR 20070054407A KR 20080106678 A KR20080106678 A KR 20080106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separator
attached
negative electrode
lithium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7255B1 (ko
Inventor
도유림
오전근
이재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4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255B1/ko
Priority to CA002689132A priority patent/CA2689132A1/en
Priority to US12/602,882 priority patent/US8349484B2/en
Priority to JP2010511103A priority patent/JP5613048B2/ja
Priority to EP08753513.4A priority patent/EP2151006B1/en
Priority to PCT/KR2008/002717 priority patent/WO2008150070A1/en
Publication of KR20080106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6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01M50/406Moulding; Embossing;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01M50/46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with adhesive layers between electrodes and sepa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4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adhesively bond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출력 리튬 전지의 적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불량률을 낮추고 개로전압(Open Circuit Voltage, OCV) 강하 문제를 최소화하는 고출력 리튬 전지의 적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고출력 리튬 전지의 적층 방법은, 음극판(100), 분리막(300) 및 양극판(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리튬 전지의 제조 시 상기 음극판(100), 분리막(300) 및 양극판(200)을 적층하는 방법에 있어서, 분리막(300)에 부착된 음극판(100)이 제조되는 a) 단계와, 분리막(300)에 부착된 양극판(200)이 제조되는 b) 단계와, 상기 분리막(300)에 부착된 양극판(200)과 상기 분리막(300)에 부착된 음극판(100)이 교대로 다수 층이 적층되는 c)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튬 전지, 적층, 정렬, alignment, 개로전압, 불량률

Description

고출력 리튬 전지의 적층 방법 {A Stacking Method of High Power Lithium Battery}
도 1은 일반적인 리튬 전지의 작동 원리 모델.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극판의 제조 단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양극판의 제조 단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전지의 적층 단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전지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음극판 200: 양극판
110: 제1활물질 210: 제2활물질
120: 제1금속막 220: 제2금속막
300: 분리막
본 발명은 불량률을 낮추고 개로전압(Open Circuit Voltage, OCV) 강하 문제를 최소화하는 고출력 리튬 전지의 적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1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는 디지털 카메라, 셀룰러 폰, 노트북 컴퓨터,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첨단 분야의 개발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2차 전지로는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메탈 하이드라이드 전지, 니켈-수소 전지, 리튬 2차 전지를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리튬 2차 전지는 작동 전압이 3.6V 이상으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수 개를 직렬 연결하여 고출력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사용되는데,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메탈 하이드라이드 전지에 비하여 작동 전압이 3배가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의 특성도 우수하여 급속도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리튬 전지의 작동 원리 모델이다. 음극(cathode)에는 주로 코발트산 리튬을, 양극(anode)은 탄소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두 가지 모두 층상 구조의 물질로서, 충방전 반응은 음극과 양극 간의 리튬이온의 이동에 의하여 행해진다. 반응식은 하기의 화학식과 같다.
Figure 112007040680975-PAT00001
분리막으로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의 미세다공질막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전해질용액이란 유기용매에 이온원인 용질을 용해시킨 것이지만, 리튬전지용 전해질용액은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리튬이온을 원활하고 폭넓게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다른 전지의 전해질용액과는 그 의미가 약간은 다르다. 리튬전지용 유기용매로는 일반적으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에틸렌 카보네이트(etylene carbonate) 등이 이용되고 있으며, 용질로는 인산리튬 등이 사용되고 있다.
리튬 전지는 기본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재질로 된 양극판, 분리막, 음극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형태로 만들어진다. 이 때, 일정한 규격으로 만들어지는 양극판, 분리막, 음극판이 적층될 때 미세하게라도 정렬(alignment)이 흐트러지게 되면, 전지 제조가 완료된 후 검수 단계에서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또는 검수 후에 충방전을 하는 과정에서 개로 전압 강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리튬 전지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정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개발 및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한국등록특허 제0365824호("리튬이온 이차전지", 이하 선행기술1)에는, 분리막을 전극판에 포케팅 방식으로 일체화하고 이를 적층하여 제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며, 일본공개특허 제2002-520803호("리튬 2차 전지", 이하 선행기술2)에는 부전극 재료와 정전극 재료에 구멍 패턴이 형성되어 이를 통과하는 고분자재료로 고정됨으로써 전극들을 정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선행기술1에 의하면 포켓 형식으로 형성된 분리막 속에 전극판이 비 뚤어지게 들어가 자리를 잡게 될 가능성이 있어, 전극들의 정렬 오차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 또한, 선행기술2는 전극판에 구멍이 형성됨으로써 정렬 오차를 제거할 수는 있겠으나, 이러한 구멍들에 의해 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면적이 소실됨으로써 전지의 성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 제조 시에 양극판, 분리막, 음극판의 정렬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지의 불량률을 낮추고 개로전압 강하를 최소화하는 고출력 리튬 전지의 적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출력 리튬 전지의 적층 방법은, 음극판(100), 분리막(300) 및 양극판(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리튬 전지의 제조 시 상기 음극판(100), 분리막(300) 및 양극판(200)을 적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분리막(300)에 부착된 음극판(100)이 제조되는 단계; b) 상기 분리막(300)에 부착된 양극판(200)이 제조되는 단계; c) 상기 분리막(300)에 부착된 양극판(200)과 상기 분리막(300)에 부착된 음극판(100)이 교대로 적층되어 스택 셀(stack cell)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a-1) 소정의 규격으로 절단되고 양측면 일부에 제1활물질(110)이 코팅된 제1금속막(120)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음극판(100)에서, 상기 음극판(100) 일측면의 상기 제1활물질(110)이 코팅되지 않은 부분에 접착물질이 부 착되는 단계; a-2) 접착물질이 부착된 상기 음극판(100)이 상기 분리막(300) 위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부착되는 단계; a-3) 상기 음극판(100)이 부착된 분리막(300)이 소정의 규격으로 절단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1금속막(120)은 구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b-1) 소정의 규격으로 절단되고 양측면 일부에 제2활물질(210)이 코팅된 제2금속막(220)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양극판(200)에서, 상기 양극판(200) 일측면의 상기 제2활물질(210)이 코팅되지 않은 부분에 접착물질이 부착되는 단계; b-2) 접착물질이 부착된 상기 양극판(200)이 상기 분리막(300) 위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부착되는 단계; b-3) 상기 양극판(200)이 부착된 분리막(300)이 소정의 규격으로 절단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2금속막(220)은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음극판(100)의 제1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면과, 상기 분리막(300)에 부착된 음극판(100)의 제1활물질(110)이 코팅되지 않은 면과, 상기 분리막(300)에 부착된 양극판(200)의 제2활물질(210)이 코팅되지 않은 면에 접착물질이 부착되는 단계; c-2) 최하층에 접착물질이 부착된 상기 음극판(100)이 놓이고, 그 위로 상기 분리막(300)에 부착된 양극판(200)과 상기 분리막(300)에 부착된 음극판(100)이 교대로 다수 층이 적층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접착물질은 접착제 또는 테이프를 포함하는 접착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a-3) 단계 및 b-3) 단계의 절단 공정은 히트 커팅(heat cutting)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고출력 리튬 전지의 적층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극판의 제조 단계이다. 음극판(100)은 소정의 규격으로 절단된 제1금속막(120)의 양측면에 제1활물질(110)이 코팅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제1활물질(110)은 상기 제1금속막(120)의 전체에 코팅되는 것이 아니라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 일부를 남기고 코팅된다. 또한, 상기 제1금속막(120)은 구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음극판(100) 일측면의 상기 제1활물질(110)이 코팅되지 않은 가장자리 부분은 도 2(A)에서 빗금친 영역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영역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물질이 부착되는데, 상기 접착물질을 부착하는 단계는 아교, 풀과 같은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며, 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수단을 부착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일측면 가장자리에 접착물질이 부착된 상기 음극판(100)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분리막(300) 위에 배치되어 부착된다. 이후, 상기 음극판(100)이 부착된 상기 분리막(300)은 커터(400)에 의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절단된다. 이 때, 상기 커터(400)는 히트 커팅(heat cutting)을 사용하는 커팅 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거쳐 상기 분리막(300)에 부착된 음극판(100)을 미리 제조하여 둔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양극판의 제조 단계로, 음극판의 제조 단계와 거의 유사하다. 양극판(200)은 소정의 규격으로 절단된 제2금속막(220)의 양측면에 제2활물질(210)이 코팅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제2활물질(210)은 역시, 상기 제2금속막(220)의 전체에 코팅되는 것이 아니라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 일부를 남기고 코팅된다. 또한, 상기 제2금속막(220)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극판(200) 일측면의 상기 제2활물질(210)이 코팅되지 않은 가장자리 부분은 도 3(A)에서 빗금친 영역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영역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물질이 부착되는데, 상기 접착물질을 부착하는 단계는 음극판의 제조 단계와 마찬가지로 아교, 풀과 같은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며, 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수단을 부착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일측면 가장자리에 접착물질이 부착된 상기 양극판(20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분리막(300) 위에 배치되어 부착된다. 이후, 상기 양극판(200)이 부착된 상기 분리막(300)은 커터(400)에 의하여 소정의 간격으로 절단된다. 이 때, 상기 커터(400)는 역시 히트 커팅(heat cutting)을 사용하는 커팅 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거쳐 상기 분리막(300)에 부착된 양극판(200)을 미리 제조하여 둔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리튬 전지의 적층 단계이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단계를 거쳐 제조된 음극판(100)이 부착된 분리막(300)과,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단계를 거쳐 제조된 양극판(200)이 부착된 분리막(300)은, 각각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되어 카트리지(500)에 보관된다. 또한, 분리막(300)에 부착되지 않은 음극판(100)도 카트리지(500)에 담겨 따로 보관된다.
이후, 상기 음극판(100), 상기 분리막(300)에 부착된 양극판(200) 및 상기 분리막(300)에 부착된 음극판(100)에서, 각각 활물질(110, 210)이 코팅되지 않은 영역에 접착물질이 부착된다. 접착물질이 부착되는 부분은 도 4(B)에서 빗금친 영역으로 표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물질이 부착된 상기 음극판(100)을 최하층에 배치한 후, 그 위로 접착물질이 부착된 상기 분리막(300)에 부착된 양극판(200)과, 접착물질이 부착된 상기 분리막(300)에 부착된 음극판(100)을 교대로 다수 개 적층한다. 이와 같이 적층함으로써 도 4(D)와 같이 리튬 전지의 스택 셀(stack cell)의 제조가 완성된다.
도 5는 이와 같이 제조한 리튬 전지의 스택 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극판(100) 및 양극판(200)이 동일한 규격으로 제작된 후, 역시 동일한 규격의 분리막(300)의 동일한 위치에 접착되고, 이와 같이 분리막에 부착된 극판 (100, 200)들을 교대로 적층함으로써 스택 셀이 제조된다. 따라서 분리막(300)들을 정렬해 주기만 하면 극판(100, 200)들은 자동으로 정렬이 되며, 이에 따라 정렬에 오차가 존재함으로써 발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지 제조 시에 양극판, 분리막, 음극판의 정렬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따라서 리튬 전지의 불량률을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전지의 구성품들이 정확하게 정렬되어 적층됨으로써 개로전압 강하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음극판(100), 분리막(300) 및 양극판(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리튬 전지의 제조 시 상기 음극판(100), 분리막(300) 및 양극판(200)을 적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분리막(300)에 부착된 음극판(100)이 제조되는 단계;
    b) 상기 분리막(300)에 부착된 양극판(200)이 제조되는 단계;
    c) 상기 분리막(300)에 부착된 양극판(200)과 상기 분리막(300)에 부착된 음극판(100)이 교대로 적층되어 스택 셀(stack cell)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리튬 전지의 적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소정의 규격으로 절단되고 양측면 일부에 제1활물질(110)이 코팅된 제1금속막(120)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음극판(100)에서, 상기 음극판(100) 일측면의 상기 제1활물질(110)이 코팅되지 않은 부분에 접착물질이 부착되는 단계;
    a-2) 접착물질이 부착된 상기 음극판(100)이 상기 분리막(300) 위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부착되는 단계;
    a-3) 상기 음극판(100)이 부착된 분리막(300)이 소정의 규격으로 절단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리튬 전지의 적층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속막(120)은
    구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리튬 전지의 적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소정의 규격으로 절단되고 양측면 일부에 제2활물질(210)이 코팅된 제2금속막(220)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양극판(200)에서, 상기 양극판(200) 일측면의 상기 제2활물질(210)이 코팅되지 않은 부분에 접착물질이 부착되는 단계;
    b-2) 접착물질이 부착된 상기 양극판(200)이 상기 분리막(300) 위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부착되는 단계;
    b-3) 상기 양극판(200)이 부착된 분리막(300)이 소정의 규격으로 절단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리튬 전지의 적층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금속막(220)은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리튬 전지의 적층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음극판(100)의 제1활물질이 코팅되지 않은 면과, 상기 분리막(300)에 부착된 음극판(100)의 제1활물질(110)이 코팅되지 않은 면과, 상기 분리막(300)에 부착된 양극판(200)의 제2활물질(210)이 코팅되지 않은 면에 접착물질이 부착되는 단계;
    c-2) 최하층에 접착물질이 부착된 상기 음극판(100)이 놓이고, 그 위로 상기 분리막(300)에 부착된 양극판(200)과 상기 분리막(300)에 부착된 음극판(100)이 교대로 다수 층이 적층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리튬 전지의 적층 방법.
  7. 제 2항 내지 제 6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물질은
    접착제 또는 테이프를 포함하는 접착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리튬 전지의 적층 방법.
  8.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3) 단계 및 b-3) 단계의 절단 공정은
    히트 커팅(heat cutting)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출력 리튬 전지의 적층 방법.
KR1020070054407A 2007-06-04 2007-06-04 고출력 리튬 전지의 적층 방법 KR101147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407A KR101147255B1 (ko) 2007-06-04 2007-06-04 고출력 리튬 전지의 적층 방법
CA002689132A CA2689132A1 (en) 2007-06-04 2008-05-15 A stacking method of high power lithium battery
US12/602,882 US8349484B2 (en) 2007-06-04 2008-05-15 Stacking method of high power lithium battery
JP2010511103A JP5613048B2 (ja) 2007-06-04 2008-05-15 高出力リチウム電池の積層方法
EP08753513.4A EP2151006B1 (en) 2007-06-04 2008-05-15 A stacking method of high power lithium battery
PCT/KR2008/002717 WO2008150070A1 (en) 2007-06-04 2008-05-15 A stacking method of high power lithium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407A KR101147255B1 (ko) 2007-06-04 2007-06-04 고출력 리튬 전지의 적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678A true KR20080106678A (ko) 2008-12-09
KR101147255B1 KR101147255B1 (ko) 2012-05-18

Family

ID=40093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407A KR101147255B1 (ko) 2007-06-04 2007-06-04 고출력 리튬 전지의 적층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49484B2 (ko)
EP (1) EP2151006B1 (ko)
JP (1) JP5613048B2 (ko)
KR (1) KR101147255B1 (ko)
CA (1) CA2689132A1 (ko)
WO (1) WO200815007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341B1 (ko) * 2014-07-21 2014-12-24 여정훈 입체형상을 가지며 플렉시블한 전극 조립체
US9871242B2 (en) 2014-12-08 2018-01-16 Samsung Sdi Co., Ltd. Composite separator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 composite separator
US10818901B2 (en) 2011-06-21 2020-10-27 Envision Aesc Japan Ltd. Laminated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1450879B2 (en) 2018-11-19 2022-09-20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ode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83354B2 (en) 2006-02-15 2014-11-11 Optodot Corporation Separators for electrochemical cells
CN104916847B (zh) * 2009-05-26 2018-08-07 奥普图多特公司 利用直接涂覆在纳米孔隔板上的电极的电池
KR101103499B1 (ko) * 2009-10-07 2012-01-0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전지용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EP2320508B1 (de) * 2009-10-30 2012-09-05 ads-tec GmbH Fertigungsanlage für eine Akkuflachzell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kkuflachzelle
JP5717038B2 (ja) * 2010-04-06 2015-05-13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二次電池用電極組立体の製造方法
JP5990804B2 (ja) 2010-07-19 2016-09-14 オプトドット コーポレイション 電気化学電池用セパレータ
DE102010055402A1 (de) * 2010-12-21 2012-06-21 Li-Tec Battery Gmbh Verfahren und System zur Herstellung elektrischer Zellen für elektrochemische Energiespeichervorrichtungen
US9231271B2 (en) 2012-02-28 2016-01-05 Amperex Technology Limited Merged battery cell with interleaved electrodes
PL3671929T3 (pl) 2012-05-23 2022-03-21 Lg Chem, Ltd. Sposób wytwarzania zespołu elektrodowego i zawierającego go ogniwa elektrochemicznego
CN105247703B (zh) 2013-04-29 2019-09-03 奥普图多特公司 具有增加的热导率的纳米多孔复合分隔物
JP2014238958A (ja) * 2013-06-07 2014-12-18 オートモーティブエナジーサプライ株式会社 非水系電池
US10381623B2 (en) 2015-07-09 2019-08-13 Optodot Corporation Nanoporous separators for batteries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s
KR101826142B1 (ko) 2015-08-27 2018-02-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과 이차 전지
CN106099157B (zh) * 2016-06-24 2018-09-18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一种高效的叠片电池制作方法
DE102016218496A1 (de) * 2016-09-27 2018-03-2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ektrodeneinheit für eine Batteriezelle und Elektrodeneinheit
WO2024101033A1 (ja) * 2022-11-11 2024-05-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二次電池及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92761A (ja) * 1988-05-18 1989-11-27 Yuasa Battery Co Ltd 蓄電池
JPH01292760A (ja) * 1988-05-18 1989-11-27 Yuasa Battery Co Ltd 蓄電池
KR19980073911A (ko) * 1997-03-20 1998-11-05 홍건희 단락방지용 절연층이 있는 리튬 폴리머 2차 전지
CN1255249A (zh) * 1998-02-05 2000-05-31 三菱电机株式会社 锂离子电池及其制造方法
EP1083618B1 (en) * 1998-05-20 2013-04-03 KRI Inc. Nonaqueous secondary cell
ATE213098T1 (de) 1998-07-16 2002-02-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Lithium-sekundärbatterie
JP2004500686A (ja) * 1999-12-09 2004-01-08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又はリチウムイオンポリマー電池
KR100365824B1 (ko) 2000-05-13 2002-12-26 한국 파워셀 주식회사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0336396B1 (ko) * 2000-06-12 2002-05-10 홍지준 대용량 리튬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2260742A (ja) * 2001-02-27 2002-09-13 Toshiba Corp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20030008512A (ko) * 2001-07-18 2003-01-29 성남전자공업주식회사 리튬 폴리머 전지 제조방법
KR20030060324A (ko) * 2002-01-08 2003-07-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폴리머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2003323878A (ja) 2002-04-26 2003-11-14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複合シート、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複合シートを用いた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3953026B2 (ja) * 2003-12-12 2007-08-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極板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並びにその製造方法
US7981548B2 (en) * 2005-01-28 2011-07-19 Nec Energy Devices, Ltd. Multilaye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same
JP4632860B2 (ja) * 2005-05-18 2011-02-16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4753369B2 (ja) * 2006-04-28 2011-08-24 Necトーキン株式会社 積層型電気化学デバイス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18901B2 (en) 2011-06-21 2020-10-27 Envision Aesc Japan Ltd. Laminated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476341B1 (ko) * 2014-07-21 2014-12-24 여정훈 입체형상을 가지며 플렉시블한 전극 조립체
US9871242B2 (en) 2014-12-08 2018-01-16 Samsung Sdi Co., Ltd. Composite separator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 composite separator
US11450879B2 (en) 2018-11-19 2022-09-20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od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75245A1 (en) 2010-07-15
US8349484B2 (en) 2013-01-08
EP2151006A1 (en) 2010-02-10
WO2008150070A1 (en) 2008-12-11
KR101147255B1 (ko) 2012-05-18
CA2689132A1 (en) 2008-12-11
EP2151006A4 (en) 2012-05-02
EP2151006B1 (en) 2017-05-03
JP2010529617A (ja) 2010-08-26
JP5613048B2 (ja) 201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7255B1 (ko) 고출력 리튬 전지의 적층 방법
US20070224498A1 (en) Battery module having the attachment members between battery cells
JP6315269B2 (ja) 密閉型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45246B1 (ko) 탈기 과정의 공정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KR101499471B1 (ko)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이차전지
KR101523427B1 (ko) 전극조립체의 제조공정
US9325032B2 (en) Electrode assembly, battery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05013408A1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20140012601A (ko)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20200141859A (ko)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JP6598933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88207B1 (ko) 전지 셀 적층 지그
KR20100070008A (ko) 리튬 2차 전지의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US20200403193A1 (en) Method for fabrication of ultra lightweight, high power density lithium ion batteries
KR20100069999A (ko) 리튬 2차 전지의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70011A (ko) 리튬 2차 전지의 전극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N112670677A (zh) 电动车辆的电池单元及其制造方法
JP7304369B2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KR20140119560A (ko) 복수개의 전극 리드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663799B1 (ko)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03673B1 (ko) 전극 조립체,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및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
KR20180080495A (ko) 향상된 기계적 강도의 단면 전극을 포함하고 있는 전극조립체
Marquardt et al. Thin film encapsulation for secondary batteries on wafer level
EP1643582A1 (en) Method of fabricating rechargeable batteries
CN114914518A (zh) 非水电解液二次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