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6324A - 코일 부품 - Google Patents

코일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6324A
KR20080106324A KR1020087023764A KR20087023764A KR20080106324A KR 20080106324 A KR20080106324 A KR 20080106324A KR 1020087023764 A KR1020087023764 A KR 1020087023764A KR 20087023764 A KR20087023764 A KR 20087023764A KR 20080106324 A KR20080106324 A KR 20080106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coil
winding
fitting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3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5883B1 (ko
Inventor
다쓰미 니시노
후미히토 메구로
다케히로 나카노
Original Assignee
스미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6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6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4Combinations of antenna units polari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ircularly and elliptically polarised waves or waves linearly polarised in any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01Q7/06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with core of ferromagnetic material
    • H01Q7/08Ferrite rod or like elongated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2003/005Magnetic cores for receiving several windings with perpendicular axes, e.g. for antennae or inductive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08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 H01Q1/3233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particular used as part of a sensor or in a security system, e.g. for automotive radar, navigation systems
    • H01Q1/3241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wherein the antenna is used particular used as part of a sensor or in a security system, e.g. for automotive radar, navigation systems particular used in keyless entr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 코일에 사용되는, 생산효율을 양호하게 할수 있는 동시에, 감도의 향상을 도모할수 있는 코일 부품을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안테나 코일 에 사용되는 코일 부품(10)으로서, 제1방향에 연신하는 동시에 코일(30)이 배치된 제 1권화부(22)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연신하는 동시에 코일(30)이 배치된 제 2권화부(22)를 소유한 십자형 코어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십자형 코어는, 제1권 화부(22)를 소유한 제1코어(20a)와 제2권화부(22)를 소유한 제2코어 (20b)의 감합을 통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코일 부품{COIL PART}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동차의 무선도어잠금장치(remote keyless entry system)등에 사용되는 안테나 코일(antenna coil)이 구비하는 코일 부품(COIL PART)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도어(door)의 해정,시정 및 기타 각종 동작을 진행 하기 위하여, 무선도어잠금장치 혹은 스마트엔트리시스템(smart entry system)이 보급되고 있다. 이 무선도어잠금장치 등에서는, 소정의 코드정보를 소유한 전파를 사용자가 휴대한 송신장치로부터 자동차 등에 설치되어 있는 수신장치에 향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수신장치에서는 이 전파를 수신하고, 사전에 기억되어 있는 코드정보와 상술의 소정 코드정보가 일치할 경우에,자동차 등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도어의 해정 및 시정 등 동작을 진행하고 있다.
여기서, 상술의 수신장치에는, 3축방향의 전파를 수신할수 있는 안테나 코일을 구비하는 것이 있다. 이 3축방향의 전파를 수신할수 있는 안테나 코일에 관한 선행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1에 개시된 구성이 있다.
특허 문헌1:WO2005/088767(도1,도5,도6 등을 참조)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상술의 특허 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안테나 코일이 구비하는 코어(core)는 십자형 코어이기 때문에, 코어에 대하여 권선작업을 진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타입(type)의 십자형 코어에서는, 예를 들면 X축방향에 연신하는 X축암(arm)의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에 향하여 권선을 순차적으로 감을 경우, X축암의 중심부위에 Y축암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중심부위에서는 권선기의 노즐(nozzle)을 X축암에 근접시킬수 없다.
이렇게, X축암에 대하여 권선을 감을 경우, Y축암의 존재가 지장이 된다. 때문에, X축암의 중심부위를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하는 X축암의 타방측에 권선을 감을 경우에는, X축암의 일방측에 대한 권선작업이 종료한 후에 X축암을 180도 회전시켜 다시 척(chuck)하고, 이 척 종료후에 다시 X축암의 타방측에 권선을 감고 있다.
때문에, 상술의 십자형 코어에 권선을 감을 경우, X축암의 일방측, X축암의 타방측, Y축암의 일방측 및 Y축암의 타방측에 대하여 합계 4회의 척(chuck)을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안테나 코일의 생산효율이 나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 안테나 코일에 있어서도, 감도의 향상이 한층 더 요구되고 있지만, 동시에 안테나 코일의 소형화의 요청도 있기 때문에, 종래의 구성으로서는 감도의 향상이 어려워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의거하여 진행된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안테나 코일에 사용되는, 생산 효율을 양호하게 할수 있는 동시에, 감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코일 부품을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테나 코일에 사용되는 코일 부품으로서, 제1방향에 연신하는 동시에 코일이 배치된 제1권화부 및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에 연신하는 동시에 코일이 배치된 제2권화부를 소유한 십자형 코어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십자형 코어는, 제1권화부를 소유한 제1코어와 제2권화부를 소유한 제2코어의 감합을 통하여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경우에는, 제1권화부를 소유한 제1코어와 제2권화부를 소유한 제2코어가 감합되는 것을 통하여 십자형 코어가 구성되어 있다. 때문에, 제1 코어와 제2코어가 분리된 상태에서 제1권화부 및 제2권화부에 각각 권선을 감아 코일을 형성할수 있다.
따라서, 제1권화부 및 제2권화부에 권선을 감을 때, 권선기의 노즐이 제1 권화부 및 제2권화부에 근접할수 있으며, 권선기의 노즐이 근접하는 것이 방해되지 않는다. 즉,제1권화부에 대한 제2코어의 존재 및 제2권화부에 대한 제1코어의 존재가, 권선을 각 권화부에 감을 때의 장애로 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제 2 코어 혹은 제1코어의 존재로 인해 권선기의 노즐이 제1권화부 혹은 제2권화부에 근접할수 없어 십자형 코어를 다시 척(chuck)할 등의 필요가 없어지며, 작업공정수를 적게 할수 있다. 따라서,코일 부품의 생산효율을 향상시킬수 있다.
또, 십자형 코어가 제1코어와 제2코어로 분할할 수 있고, 권선기의 노즐이 각 권화부에 근접할수 있기 때문에, 비분할의 십자형 코어에서는 불가능하였지만, 제1코어 및 제2코어의 각 단부에 길이치수가 긴 악부를 설치할수 있게 된다. 때문에, 코일 부품의 감도를 양호하게 하는 동시에 코일 부품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각 코어에 독립하여 권선을 감을수 있기 때문에, 비분할의 십자형 코어에서는 불가능하였지만, 단부측이 대경으로 되는 동시에 중심측이 소경으로 되듯이, 권선을 감을수 있다. 또, 제1코어와 제2코어는, 감합되기 전에는 각각 독립한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때문에, 수납수단의 내부에 제1코어 및 제 2 코어를 수납하여 반송할 경우, 이 수납수단의 단위 체적당의 제1 코어 및 제2코어의 수납 밀도를 증대시킬수 있다. 따라서, 반송효율을 양호하게 할수 있다.
또, 기타 발명은 상술의 발명에 더하여 그 위에, 제1코어와 제2코어는 제1 방향과 제2방향이 직교하는 상태에서 감합되는 동시에; 제1코어에는 제1감합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1감합부는 우묵한 모양으로 설치된 제1요부 및 불거진 모양으로 설치된 제1철부를 소유하는 동시에; 제 2 코어에는 제2 감합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2감합부는 제1요부와 감합하는 동시에 불거진 모양으로 설치된 제2철부 및 제1철부와 감합하는 동시에 우묵한 모양으로 설치된 제 2요부를 소유한다.
이렇게 구성된 경우에는, 제1코어와 제2코어가 각각 직교하는 상태로 감합되 기 때문에,제1코어와 제2코어를 감합시킨 후의 십자형 코어는 각 방향의 전파를 효율 좋게(감도 좋게) 수신할수 있다. 또, 제1요부와 제2철부가 감합되고 제 1 철부와 제2요부가 감합되는 것을 통하여, 제1코어와 제2코어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는 십자형 코어를 실현할수 있다.
그 위에, 기타 발명은 상술의 발명에 더하여 그 위에, 제1코어와 제2코어는 동일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경우에는, 제1코어와 제2코어가 동일 형상이기 때문에, 코일 부품을 생산할 때, 양자를 구별할 필요가 없어진다. 때문에, 생산공정의 간략화를 도모 할수 있으며, 생산능율의 향상을 한층 더 도모할수 있다. 또, 제1코어와 제2코어가 동일 형상이기 때문에, 반송 및 수납할 때에도, 2종유의 코어로서 구별할 필요가 없어지는 동시에 이런 코어의 관리도 용이하게 된다.
또, 기타 발명은 상술의 발명에 더하여 그 위에, 제1코어와 제2코어의 적어도 일방에는, 그 양단부중의 적어도 일방에 악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경우에는, 악부가 설치되는 것을 통하여, 제1권화부와 제2권화부의 적어도 일방에 배치된 코일의 위치결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 악부의 존재로 인해 권선을 감기 쉽게 되며, 코일을 형성하기 쉽게 된다. 또, 코어의 볼륨(volume)을 증가하는 것을 통하여 감도가 향상한다.
그 위에, 기타 발명은 상술의 발명에 더하여 그 위에, 제1권화부에 배치된 코일 및 제2권화부에 배치된 코일과 별체인 주회코일이 설치된 동시에, 이 주회코일은 십자형 코어를 내포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경우에는, 주회코일이 설치되고, 이 주회코일은 십자형 코어를 내포하는 상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주회코일은 제1권화부에 배치된 코일 및 제2권화부에 배치된 코일에 대하여 권축방향을 직교시키는 배치로 할수 있다. 따라서, 주회코일과 제1권화부에 배치된 코일 및 제2권화부에 배치된 코일을 구비하는 코일 부품의 실장을 통하여, 3축방향의 전파를 양호하게 수신할수 있는 안테나 코일을 구성할수 있다. 또, 안테나 코일을 구성하는 경우에, 3축방향의 전파를 양호하게 수신하는 구성이면서도, 이 안테나 코일의 박형화가 가능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안테나 코일에 사용되는 코일 부품에 있어서, 생산효율을 양호하게 할수 있는 동시에, 감도의 향상을 도모할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코일 부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코일 부품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코일 부품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4는 도1의 코일 부품중의, 코일이 감겨 있는 제1코어 혹은 제2코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5는 도1의 코일 부품중의, 코일이 감겨 있는 제1코어 혹은 제2코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6은 도1의 코일 부품중의, 코일이 감겨 있는 제1코어 혹은 제2코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7은 도1의 코일 부품중의, 코일이 감겨 있는 제1코어 혹은 제2코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8은 도1의 코일 부품을 구성하는 제1코어 혹은 제2코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9는 도1의 코일 부품을 구성하는 제1코어 혹은 제2코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0은 도8 등의 제1코어 혹은 제2코어중의, 중심감합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부분적 사시도이다.
도11은 도1의 코일 부품의 변형예에 관계되는 코일 부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악부가 길게 설치되어 있는 코일 부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는 도1의 코일 부품의 변형예에 관계되는 코일 부품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코일의 권수가 단부에 향함에 따라 증대하고 있는 코일 부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안테나 코일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14는 도13의 안테나 코일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15는 도13의 안테나 코일에서 사용되는 케이스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0,10A 코일 부품
20 코어
20a 제1코어
20b 제2코어
20J 십자형 코어
21 중심감합부(제1감합부 혹은 제2감합부에 대응)
22 권화부(제1권화부 혹은 제2권화부에 대응)
23 악부
30 코일
40 케이스체
41 저벽
411 랜드부
412 십자구
413 주회구
42 측벽
50 주회코일
60 접속단자
211 평면접합부
212 상방철부(제1철부 혹은 제2철부에 대응)
213 측방접합부
214 상방요부
215 측방요부(제1요부 혹은 제2요부에 대응)
(제1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안테나 코일에 사용되는 코일 부품(10)에 대하여 도1로부터 도1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4 의 X축방향을 긴쪽 방향(제1방향에 대응)으로 하는 동시에, Y축방향을 짧은 쪽방향(너비방향;제2방향에 대응)으로 한다.
도1~도3 등에 나타내듯이, 코일 부품(10)은, 제1코어(20a)와 제2코어(20b)와 제1코어(20a) 혹은 제2코어(20b)에 감기는 코일(30)을 소유하고 있다.
이 중에서, 제1코어(20a)와 제2코어(20b)는 그 형상이 동일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제1코어(20a) 및 제2코어(20b)는,중심감합부(21)와 권화부(22)와 악부(23) 를 구비하고 있다.이 중에서, 중심감합부(21)는, 제1코어(20a)와 제2코어(20b)가 서로 감합하는 부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코어(20a)와 제2코어(20b)의 형상이 동일하기 때문에,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코어(20a)와 제2코어(20b)를 총칭할 경우에, 그저 코어(20)로 칭하여 설명한다. 또, 제1코어(20a)와 제2코어(20b)가 감합하는 것을 통하여 구성된 십자형상을 나타내는 코어를 십자형 코어(20J)로 한다. 또, 제1코어(20a)의 중심감합부(21)는 제1감합부에 대응하는 동시에, 제2코어(20b)의 중심감합부(21)는 제2감합부에 대응한다. 또, 제1코어(20a)의 권화부(22)는 제1권화부에 대응하는 동시에, 제2코어(20b)의 권화부(22)는 제2권화부에 대응한다.
도3~도6 등에 나타내듯이, 중심감합부(21)는 그 평면형상이 약 정방형모양으로 되듯이 설치되어 있다. 즉, 중심감합부(21)의 긴쪽 방향의 치수P(도4를 참조) 와 중심감합부(21)의 짧은 쪽방향의 치수Q가 동일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중심감 합부(21)는 권화부(22)보다도 폭이 넓듯이 설치되어 있고, 권선(31)을 권화부(22)에 감을 때 위치결정의 기능을 완수하듯이 설치되어 있다.
이 중심감합부(21)를 평면시 할 경우의 중앙부분(도5,도9 등을 참조)에는 평면접합부(211)가 설치되어 있다. 평면접합부(211)는 본 실시형 태에서는, 그 평면형상이 약 정방형모양으로 되듯이 설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면접합부(211)의 단변의 각 치수는 권화부(22)와 약 동일한 치수로 되어 있다. 또, 평면접합부(211)의 두께방향(도4의 X축 및 Y축과 직교하는 방향, 도 10의 Z축방향) 의 치수는, 권화부(22)의 두께방향의 치수의 약 반분으로 되듯이 설치되어 있다.
도4~도10 등에 나타내듯이, 중심감합부(21)중의 평면접합부(211)와 권화부(22)의 사이의 부위에는 상방철부(2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심감합부(21)를 평면시할 경우에, 평면접합부(211)가 중앙부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방철부(212)는 평면접합부(211)의 양단측에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상방철부(212)는, 그 너비치수가 평면접합부(211)의 너비치수와 약 동일하게 되듯이 설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방철부(212)의 상면(도10에서, 베이스(base)부(216)로부터 보았을 때, 상방철부(212)가 존재하는 측의 면; 이하 같음)은, 권화부(22)의 상면과 약 동일면으로 되듯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방철부(212)의 두께방향의 치수는, 권화부(22)의 두께방향의 치수의 약 반분으로 되듯이 설치되어 있다.
또, 중심감합부(21)에는 측방접합부(213)가 설치되어 있다. 측방접 합부(213)는, 상방철부(212)와 긴쪽 방향(X축방향)에서의 동일부위로부터 짧은 쪽 방 향측(Y축방향측)에 향하여 연신하고 있다. 또, 측방접합부(213)의 상면은 평면접합부(211)의 상면과 동일 높이위치로 되어 있고, 그 위에, 측방접합부(213)의 하면도 평면접합부(211)와 동일 높이위치(동일 면으로 되다)로 되듯이 설치되어 있다. 때문에, 측방접합부(213)는, 그 두께방향의 치수가 권화부(22)의 두께방향의 치수의 약 반분으로 되듯이 설치되어 있다. 또, 측방접합부(213)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짧은 쪽 방향의 일방측 평면접합부(211)의 양단부 및 짧은 쪽방향의 타방측 평면접합부(211)의 양단부에 합계 4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짧은 쪽방향에 위치하는 일방의 측방접합부(213)의 돌출단부와 타방의 측방접합부(213)의 돌출단부의 사이의 치수는, 상술의 치수Q(=치수P)로 되어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2개의 상방철부(212)의 사이에 위치하는, 측면시할 경우에 우묵한 모양으로 되어 있는 부분(도6,도8 및 도10을 참조)을 상방요부(214)로 하는 동시에, 측방접합부(213)의 사이에 위치하는, 평면시 할 경우에 우묵 한 모양으로 되어 있는 부분(도4,도5,도9 및 도10을 참조)을 측방요부(215)로 한다. 또, 평면접합부(211)에는, 상방철부(212) 및 측방접합부(213)의 돌출기점으로 되는 베이스부(216)가 설치되어 있다(도10을 참조). 이 베이스부(216)와 상술의 상방철부(212) 및 2개의 측방접합부(213)에 의해, 정면시하면 약 불거진 모양의 부분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코어(20a)의 상방철부(212)는 제1철부에 대응하는 동시에, 제 1 코어(20a)의 측방요부(215)는 제1요부에 대응한다. 또, 제2코어(20b)의 상방철부 (212)는 제2철부에 대응하는 동시에, 제 2 코어(20b)의 측방요부(215)는 제1요부에 대응한다.
또, 중심감합부(21)중의 긴쪽 방향(X축방향)에 따르는 양단측으로부터는, 권화부(22)가 연신하고 있다. 권화부(22)는 코일(30)이 배치되는 부분이다. 이 권화부(22)는 상술의 평면접합부(211)와 약 동일한 너비치수를 소유하고 있다. 또, 권화부(22)는, 그 상면이 상방철부(212)와 동일면으로 되듯이 설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권화부(22)는 중심감합부(21)보다도 긴쪽 방향(X축방향)에 따르는 길이치수가 길게 되듯이 설치되어 있다.
또, 권화부(22)중의, 중심감합부(21)로부터 이간하는 단부측에는 악부(23)가 설치되어 있다. 악부(23)는 권화부(22)보다도 너비치수(Y축방향의 길이치 수)가 크게 되듯이 설치되어 있다. 이 악부(23)의 너비치수는, 권화부(22)에 감기는 권선(31)의 위치결정을 양호하게 진행할수 있는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악부(23)의 상면은 권화부(22)의 상면과 동일면으로 되듯이 설치되어 있다. 때문에, 악부(23)의 두께방향의 치수는, 권화부(22)의 두께치수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권화부(22)에는,권선(31)을 소정 권수만큼 감는 것을 통하여 형성된 코일(30)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권선(31)의 일단측은 일방측의 악부(23)보다도 긴쪽 방향에 따르는 외방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권선(31)의 타단측은 타방의 악부(23)보다도 긴쪽 방향에 따르는 외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권선 (31)의 일단측 및 타단측은 도시하지 않은 접속단자에 접속할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도1~도4 등에 나타내듯이, 권선(31)은 중심감합부(21)를 사이에 두고 반 대 측의 권화부(22)에 위치하는 코일(30)을 잇듯이 건너질러 있다. 이 때, 권선(31)은 중심감합부(21)중의 하면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짧은 쪽방향의 일 방측으로부터 타방측에 향하듯이 비스듬히 건너질러 있다.
또한, 상술하듯이, 각 코어(20a, 20b)에 코일(30)이 감긴 상태에서 중심감합부(21)끼리가 감합된다. 이 때,2개의 코어(20a, 20b)의 긴쪽 방향 끼리가 수직되는 상태로 배치되는 동시에, 평면접합부(21)의 상면끼리 및 측방접합부(213)의 상면끼리가 서로 면접합하는 상태로 감합된다. 이 때,상방철부(212)가 측방 요부(215)에 파고 들어가는 상태로 감합된다.
여기서, 중심감합부(21) 끼리를 감합시키는 경우, 이 중심감합부(21)에 접착제 등을 도포 한 후에 감합시켜 제1코어(20a)와 제2코어(20b)를 고정하여도 좋고, 또, 중심감합부(21) 끼리를 감합시킨 후에 수지 등으로 그 외부를 덮는것 등을 통하여 제1코어(20a)와 제2코어(20b)를 고정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여, 도3 등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십자형의 코일 부품(10)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소유한 코일 부품(10)에 있어서, 제1코어(20a)의 중심감합부(21)와 제2코어(20b)의 중심감합부(21)가 감합되는 것을 통하여, 십자형 코어 (20J)가 구성된다. 때문에, 제1코어(20a)와 제2코어(20b)가 분리된 상태에서 각 권화부(22)에 권선(31)을 감아 코일(30)을 형성할수 있다.
따라서, 각 권화부(22)에 권선(31)을 감을 때, 권선기의 노즐이 권화부(22)에 근접할수 있다. 즉, 종래의 십자형 코어(20J)에서는, 예를 들면, X축방향에 연신하는 제 1코어의 권화부에 권선(31)을 감을 경우, Y축방향에 연신하는 제2 코어 가 권선기의 노즐을 방해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형태의 십자형 코어(20J)에서는, 제 1코어(20a)와 제2코어(20b)로 분할할 수 있기 때문에, 제1코어(20a)의 권화부(22)에 대한 제2코어(20b)의 존재 및 제2코어(20b)의 권화부(22)에 대한 제1코어(20a)의 존재가, 권선(31)을 각 권화부(22)에 감을 때의 장애로 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권선기의 노즐이 각 권화부(22)에 근접하지 못하여 십자형 코어(20J)를 다시 척(chuck)할 등의 필요가 없어지며, 작업공정수를 적게 할수 있다. 때문에, 코일 부품(10)의 생산효율을 향상시킬수 있다.
또, 십자형 코어(20J)가 제1코어(20a)와 제2코어(20b)로 분할할수 있고, 권선기의 노즐이 각 권화부(22)에 근접할수 있기 때문에, 비분할의 십자형 코어에서는 불가능하였지만, 제1코어(20a) 및 제2코어(20b)의 각 단부에 길이치수가 긴 악부를 설치할수 있다. 이 상태를 도11에 표시한다. 도11에 표시한 것과 같은 길이 치수가 긴 악부(23L)를 설치하는 것을 통하여, 코일 부품(10)의 대형화를 방지하면서 감도를 양호하게 할수 있다.
또, 각 코어(20a, 20b)에 독립하여 권선(31)을 감을수 있기 때문에, 비분할의 십자형 코어(20J)에서는 불가능하였지만, 단부측이 대경으로 되는 동시에, 중심측이 소경으로 되듯이 권선(31)을 감을수 있다. 이 상태를 도12에 표시한다. 도12에 나타내듯이, 권선(31)의 권수를 도3 등에 나타내는 구성과 비교하여 증가할 경우, 코일 부품(10)의 대형화를 방지하면서 코일 부품(10)의 감도를 양호하게 할수 있다. 또, 도12에 나타내는 코일 부품(10)에서는,도3 등에 나타내는 코일 부품(10)의 네 구석부분에 코일(30)을 장출시킬수 있으며, 코일 부품(10)의 공간 이용의 효 율을 양호하게 할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코일 부품(10)에서는, 제1코어(20a)와 제2코어(20b)는, 감합되기 전에는 각각 독립하고 있다. 때문에, 수납수단의 내부에 제1코어(20a) 및 제 2 코어(20b)를 수납하여 반송할 경우, 이 수납수단의 단위체적당의 제1코어(20a) 및 제2코어(20b)의 수납밀도를 증대시킬수 있다. 따라서, 반송효율을 양호하게 할수 있다.
또, 제1코어(20a)와 제2코어(20b)가 각각 직교하는 상태로 감합되기 때문에, 감합시킨 후에 설치된 십자형 코어(20J)는, 각 방향의 전파를 효율 좋게 수신할수 있다. 또, 상방철부(212)와 측방요부(215)가 감합되는 것을 통하여, 제1코어(20a)와 제 2코어(20b)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는 십자형 코어(20J)를 실현할수 있다.
그 위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코어(20a)와 제2코어(20b)가 동일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 부품(10)을 생산할 때, 양자를 구별할 필요가 없어진다. 때문에, 생산공정의 간략화를 도모할수 있으며, 생산능율의 향상을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또, 제1코어(20a)와 제2코어(20b)가 동일형상이기 때문에, 반송할 때에도, 2종유의 코어(20a, 20b)로서 구별할 필요가 없어지는 동시에, 이런 코어(20a, 20b)의 관리도 용이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코어(20a) 및 제2코어(20b)의 각 양단부에는, 악부(23,23L)가 설치되어 있다. 때문에, 각 권화부(22)에서, 코일(30)의 위치결정을 양호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 악부(23,23L)의 존재를 통하여, 권선(31)을 권화부(22)에 감기 쉽게 되며, 코일(30)을 형성하기 쉽게 된다. 따라서, 감도가 좋게 된다.
(제2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대하여 도13으로부터 도1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의 제1실시형태에서 진술한 것과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안테나 코일(100)은, 상술의 제1실시형태의 코일 부품(10)과 같은 코일 부품(10A)을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도14에 나타내듯이, 코어(20)의 권화부(22A)는 상방철부(212)와 약 동일면으로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권화부(22A)의 두께치수는, 상술의 제1실시형태의 권화부(22)보다도 얇게 되듯이 설치되어 있다. 때문에, 권화부(22A)의 하면은 중심감합부(21)의 하면에 대하여 동일면으로 설치되어 있지 않고, 도14에서 상방측에 향하여 우묵하게 들어가듯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코일 부품(10A)의 기타 부분은, 상술의 제1실시형태의 코일 부품(10)과 기본적으로 같게 되어 있다.
또, 도13 및 도 14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형태의 안테나 코일(100)은, 케이스체(40)와 주회코일(50)과 접속단자(6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에서, 케이스체(40)는 도15에 나타내듯이, 저벽(41)과 2개의 측벽(42)을 소유하고 있다. 이 중에서, 저벽(41)은 그 하면이 도시하지 않은 외장케이스 혹은 실장기판 등에 대하여 접촉 혹은 대향하는, 케이스체(40)중에서 면적이 큰 부분이다. 이 저벽(41)에는 랜드(land)부(411)가 설치되어 있다. 랜드부(411)는 저벽(4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에 향하여 소정 높이만큼 융기하고 있는 부분이다. 또한,본 실시형태에서는, 랜드부(411)의 높이치수는 측벽(42)보다도 작게 되듯이 설치되어 있다.
또, 랜드부(411)는 본 실시형태에서는,그 평면형상이 원모양 혹은 다각형모양을 4등분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4개의 랜드부(411)는 서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간하여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저벽(41)의 상면에는, 랜드부(411)의 사이에 평면 형상이 약 십자형상으로 된 십자구(4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십자구(412)에는 상술의 코일 부품(10A)이 배치되지만, 그 때, 코일 부품(10A)은 4개의 랜드부(411)를 통하여 위치결정된다. 때문에, 랜드부(411)끼리가 이간하여 있는 거리는 상술의 코일 부품(10A)의 너비치수보다도 약간 크게 설치되어 있다.
또, 랜드부(411)와 측벽(42)은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간하고 있다. 따라서, 랜드부(411)의 주연부(411a)와 측벽(42)의 사이에도, 그 평면형상이 주회형상을 나타내는 주회구(4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주회구(413)는, 상술의 십자구(412)와 연통하듯이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주회구(413)에는 도1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주회코일(50)이 배치된다. 주회코일(50)은 상술의 코일(30)과 독립하여(별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회코일(50)은 약 사각형모양을 나타내는 테두리 모양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주회코일(50)은, 십자형 코어(20J) 및 이 십자형 코어(20J)를 소유한 코일 부품(10A)을 내포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 케이스체(40)의 외주측에는 접속단자(60)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단자(60)는, 예를 들면, 납땜 등의 수법을 통하여 외부의 회로 기판 등에 실장되는 부분이다. 또, 접속단자(60)는, 케이스체(40) 내부의 권선(31,51)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상 같은 구성을 소유한 안테나 코일(100)에서는, 코일 부품(10A)은 상술의 제1실시형태의 코일 부품(10)과 같은 효과를 실현할수 있다. 즉, 권선(31)을 용이하게 감을수 있고, 코일 부품(10A)의 생산효율을 향상시킬수 있는 동시에, 반송효율을 양호하게 할수 있는 등의, 제1실시형태의 코일 부품(10)과 같은 효과를 얻을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안테나 코일(100)은, 십자형 코어(20J)를 구비하는 코일 부품(10A) 이외에, 케이스체(40) 및 주회코일(50)을 구비하고 있다. 때문에,본 실시형태의 안테나 코일(100)에서는, 주회코일(50)은 제1코어(20a)의 권화부(22)에 배치된 코일(30) 및 제2코어(20b)에 배치된 코일(30)에 대하여, 권축방향을 직교시키는 배치로 할수 있다. 따라서, 3축방향에서 전파를 수신할수 있으며, 어느 방향에서나 편향이 없이 양호하게 전파를 수신할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 코일(100)에 서는, 전파의 수신감도가 양호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안테나 코일(100)에서는, 3축방향의 전파를 수신하는 구성이면서도, 박형화가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코일 부품(10) 및 이 코일 부품(10)을 사용한 안테나 코일 (100)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외에도 각종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이하, 그것에 대하여 진술한다.
상술의 각 실시형태의 제1코어(20a) 및 제2코어(20b)는, 중심감합부(21)의 긴쪽 방향에 따르는 양단측에 각각 권화부(22)를 소유하고 있다. 하지만, 제1코어 (20a) 및 제2코어(20b)는, 중심감합부(21)의 긴쪽 방향에 따르는 양단측에 반드시 권화부(22)를 소유하지 않아도 좋고, 어느 일단측만에 권화부(22)가 존재하는 구성을 채용하여도 좋다.
또, 상술의 제2실시형태에서는, 안테나 코일(100)은 3축코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안테나 코일(100)은 3축코일에 제한되지 않고, 2축코일 등 이래도 좋다.
그 위에, 상술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1코어(20a) 및 제2코어(20b)에는 각각 상방철부(212) 및 측방요부(215)가 설치되어 있고, 서로 감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이 요철관계를 반대로 하여 제1코어(20a) 및 제2코어(20b)를 구성하여도 좋다.
또, 상술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1코어(20a)의 상방철부(212)는 제1철부에 대응하고 제1코어(20b)의 측방요부(215)는 제1요부에 대응하고 있는 동시에, 제2 코어(20a)의 상방철부(212)는 제2철부에 대응하고, 제2코어(20b)의 측방요부(215)는 제2요부에 대응하고 있다. 하지만, 제1철부, 제1요부, 제2철부 및 제2요부는 이것에 제한되지 않고, 제1철부와 제2요부 및 제1요부와 제2철부가 양호하게 감합되기만 하면, 아무런 요철형상을 구비하는 구성이래도 좋다.
또, 제1코어(20a)의 측방접합부(213)를 제1철부에 대응시키는 동시에, 제1코어(20a)의 중심감합부(21)중의, 측방접합부(213)에 인접하는 코너(corner)부분에 존재하는 요부를 제1요부에 대응시켜도 좋다. 이 때, 제2코어(20b)의 측방접합부 (213)는 제2철부에 대응하는 동시에, 제2코어(20b)의 중심감합부(21)중의, 측방 접합부(213)에 인접하는 코너부분에 존재하는 요부는 제2요부에 대응한다.
그 위에, 상술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1코어(20a)와 제2코어(20b)는 직교하는 상태로 감합되어 있다. 하지만, 제1코어(20a)와 제2코어(20b)는 직교하지 않고 소정 각도로 경사하는 상태로 감합하는 구성을 채용하여도 좋다.
또,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코어(20a)와 제2코어(20b)의 감합을 통하여 십자형 코어(20J)가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제1코어(20a)와 제2코어(20b)가, 각각 복수의 코어의 감합을 통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그 위에, 상술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코어(20a)와 제2코어(20b)는 동일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제1코어(20a)와 제2코어(20b)는 동일형상이 아니고 다른 형상이래도 좋다.
또, 상술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악부(23,23L)는 제1코어(20a) 및 제2코어 (20b)의 각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악부(23,23L)는 제1코어(20a)와 제 2코어(20b)의 적어도 일방중의, 적어도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 도 있다. 이렇게 하여도, 그 악부(23,23L)가 설치되어 있는 부위에서 코일(30)의 위치결정을 진행할수 있으며, 감도를 향상시킬수 있다.
본 발명의 코일 부품은, 전기기계의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안테나 코일에 사용되는 코일 부품으로서,
    제1방향에 연신하는 동시에 코일이 배치된 제1권화부 및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연신하는 동시에 코일이 배치된 제2권화부를 소유한 십자형 코어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십자형 코어는, 상기 제1권화부를 소유한 제1코어와 상기 제 2 권화부를 소유한 제2코어의 감합을 통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제1코어와 전기 제2코어는, 전기 제1방향과 전기 제2방향이 직교하는 상태에서 감합되는 동시에;
    전기 제1코어에는 제1감합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1감합부는 우묵한 모양으로 설치된 제1요부 및 불거진 모양으로 설치된 제1철부를 소유하는 동시에;
    전기 제2코어에는 제2 감합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2감합부는 상기 제 1요부와 감합하는 동시에 불거진 모양으로 설치된 제2철부 및 상기 제1철부와 감합하는 동시에 우묵한 모양으로 설치된 제 2요부를 소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품.
  3. 제1항에 혹은 제2항에 있어서,
    전기 제1코어와 전기 제2코어는 동일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품.
  4.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제1코어와 전기 제2코어의 적어도 일방에는, 그 양단부 중의 적어도 일방에 악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품.
  5.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제1권화부에 배치된 전기 코일 및 전기 제2권화부에 배치된 전기 코일과 별체인 주회코일이 설치된 동시에, 이 주회코일은 전기 십자형 코어를 내포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품.
KR1020087023764A 2006-04-10 2007-03-29 코일 부품 KR101095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07850 2006-04-10
JPJP-P-2006-00107850 2006-04-10
PCT/JP2007/056774 WO2007116797A1 (ja) 2006-04-10 2007-03-29 コイル部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324A true KR20080106324A (ko) 2008-12-04
KR101095883B1 KR101095883B1 (ko) 2011-12-21

Family

ID=38581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3764A KR101095883B1 (ko) 2006-04-10 2007-03-29 코일 부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44875B2 (ko)
EP (1) EP2012389B1 (ko)
JP (1) JP4742140B2 (ko)
KR (1) KR101095883B1 (ko)
CN (1) CN101401259B (ko)
WO (1) WO20071167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6107A (ja) 2008-06-03 2009-12-17 Sumida Corporation 受信アンテナコイル
JP5375158B2 (ja) * 2009-02-16 2013-12-25 株式会社デンソー 送受信機、及び該送受信機を有する電子キー
JP2011135560A (ja) * 2009-11-27 2011-07-07 Toko Inc アンテナコイルとその製造方法
JP5161901B2 (ja) 2010-02-15 2013-03-13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アンテナコイル
US8896490B2 (en) * 2010-04-13 2014-11-25 Hitachi Metals, Ltd. Three-axis antenna and core assembly used therein
JP5234084B2 (ja) * 2010-11-05 2013-07-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および通信端末装置
US9275786B2 (en) * 2014-07-18 2016-03-01 Qualcomm Incorporated Superposed structure 3D orthogonal through substrate inductor
RU2573180C1 (ru) * 2014-10-13 2016-01-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Все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автоматики им. Н.Л. Духова" (ФГУП "ВНИИА") Компактное широкополосное трёхкомпонентное приёмное анте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6838375B2 (ja) * 2016-12-09 2021-03-03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CN108575042B (zh) * 2017-03-09 2021-04-09 北京北方华创微电子装备有限公司 一种线圈、介质筒和等离子体腔室
EP3404768B1 (en) * 2017-05-18 2019-12-04 Premo, S.A. Low profile triaxial antenna
EP4216240A1 (en) * 2022-01-20 2023-07-26 Delta Electronics (Thailand) Public Co., Ltd. Magnetic component and transformer
NL2032816B1 (nl) * 2022-08-23 2024-03-04 Nedap Nv Label voor gebruik in een positioneringssysteem, positioneringssysteem, veebeheersysteem en werkwijz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7223A (ja) 1983-08-25 1985-03-14 Sony Corp 磁気抵抗効果型磁気ヘツド
JP2003298348A (ja) 2002-03-29 2003-10-17 Honda Denshi Giken:Kk アンテナ装置
JP3924512B2 (ja) 2002-06-27 2007-06-0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チップ多軸アンテナ
JP2004229144A (ja) 2003-01-24 2004-08-12 Citizen Electronics Co Ltd 表面実装アンテナ
CN101901958B (zh) * 2004-03-12 2013-06-05 日商·胜美达股份有限公司 接收装置
WO2005112226A1 (ja) * 2004-05-17 2005-11-24 Fumito Komatsu 4極同期モータ
JP2005348552A (ja) * 2004-06-04 2005-12-15 Nissan Motor Co Ltd アキシャルギャップ型回転電機のステータ構造
US20070132335A1 (en) * 2005-12-08 2007-06-14 Ionel Dan M Rotor assembly having a reduced back porti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WO2007116623A1 (ja) * 2006-04-07 2007-10-18 Sumida Corporation アンテナコイ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7116797A1 (ja) 2009-08-20
EP2012389A4 (en) 2010-05-26
WO2007116797A1 (ja) 2007-10-18
US8044875B2 (en) 2011-10-25
KR101095883B1 (ko) 2011-12-21
EP2012389A1 (en) 2009-01-07
EP2012389B1 (en) 2012-12-05
CN101401259B (zh) 2012-06-13
JP4742140B2 (ja) 2011-08-10
US20090309803A1 (en) 2009-12-17
CN101401259A (zh)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883B1 (ko) 코일 부품
US8378912B2 (en) Antenna coil
CN102157795B (zh) 天线线圈及其制造方法
JP5864295B2 (ja) 複合アンテナ
WO2015147132A1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通信機器
KR20170120492A (ko) 3축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EP2966655B1 (en) Antenna coil
EP3855566B1 (en) Multiband 3d universal antenna
US20140152513A1 (en) Vehicle antenna device
JP6451470B2 (ja) 3軸アンテナコイル
JP2001156527A (ja) 3次元アンテナ
KR20180036348A (ko) 몰딩형 저주파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KR101927836B1 (ko) 3축 안테나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
KR20180109493A (ko) 저주파 안테나 모듈
JP2005219763A (ja) 電子機器保管トレイ
JP4150696B2 (ja) アンテナコイルの製造方法
JP2005160039A (ja) データ送受信カード用アンテナおよび車両用の電子キー
EP2466554A2 (de) Mobiler ID-Geber für Keyless-Syste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