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5808A - 노근으로부터 분리한 페놀성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노근으로부터 분리한 페놀성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5808A
KR20080105808A KR1020070053862A KR20070053862A KR20080105808A KR 20080105808 A KR20080105808 A KR 20080105808A KR 1020070053862 A KR1020070053862 A KR 1020070053862A KR 20070053862 A KR20070053862 A KR 20070053862A KR 20080105808 A KR20080105808 A KR 20080105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tyrosinase
melanin
active ingredient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7685B1 (ko
Inventor
이민원
윤규형
윤정혜
Original Assignee
이민원
윤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원, 윤규형 filed Critical 이민원
Priority to KR1020070053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7685B1/ko
Publication of KR20080105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근(Phragmitis Rhizoma)으로부터 추출한 페놀성 화합물, 메틸 갈레이트(methyl gallate), ρ-히드록시 신남산(ρ-hydroxy cinnamic acid), (+)-리오니레시놀((+)-lyoniresinol) 및 (+)-리오니레시놀-3α-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lyoniresinol-3α-O-β-D-glucopyranoside)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가지며 피부에 적용한 경우 뛰어난 피부 미백 효능을 발휘한다.
노근, 추출물, 페놀성 화합물, 멜라닌, 피부미백

Description

노근으로부터 분리한 페놀성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Phragmitis Rhizoma as Active Ingredient}
도 1은 멜라노좀(melanosome)에서의 멜라닌(melanin)의 합성과정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노근으로부터 유효성분 및 화합물 1-4의 추출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노근 추출물 및 분획물 1-5의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에 대한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결과들은 대조군 흡광도에 대한 %로서 표현하였고 데이터는 적어도 3번의 실험에 대한 평균±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도 4는 티로시나아제 활성에 대한 화합물 1-4의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결과들은 대조군 흡광도에 대한 %로서 표현하였고 데이터는 적어도 3번의 실험에 대한 평균±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도 5는 B16F10 멜라노마 세포의 생존력에 대한 화합물 1-4의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세포의 생존력은 MTT 분석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결과들은 대조군 흡광도에 대한 %로서 표현하였고 데이터는 적어도 3번의 실험에 대한 평균±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도 6은 B16F10 멜라노마 세포에서 티로시나아제 활성에 대한 화합물 1-4의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티로시나아제 활성은 405nm에서 측정하였다. 결과들은 대조군 흡광도에 대한 %로서 표현하였고 데이터는 적어도 3번의 실험에 대한 평균±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도 7은 B16F10 멜라노마 세포에서 멜라닌 합성에 대한 화합물 1-4의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멜라닌 함량은 405nm에서 측정하였다. 결과들은 대조군 흡광도에 대한 %로서 표현하였고 데이터는 적어도 3번의 실험에 대한 평균±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도 8은 B16F10 멜라노마 세포에서 100mM α-MSH의 존재하에서 티로시나아제 활성에 대한 화합물 1-4의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티로시나아제 활성은 405nm에서 측정하였다. 결과들은 대조군 흡광도에 대한 %로서 표현하였고 데이터는 적어도 3번의 실험에 대한 평균±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도 9는 B16F10 멜라노마 세포에서 100mM α-MSH의 존재하에서 멜라닌 합성에 대한 화합물 1-4의 억제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멜라닌 함량은 405nm에서 측정하였다. 결과들은 대조군 흡광도에 대한 %로서 표현하였고 데이터는 적어도 3번의 실험에 대한 평균±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노근(Phragmitis Rhizoma)으로부터 추출한 페놀성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노근은 키가 큰 여러해 살이 풀인 갈대 Phragmitis communis Trin.(벼과 Gramineae)의 근경(根莖)이다. 갈대의 뿌리는 거칠고 크기가 길게 가로로 뻗고 마디에서 다수의 수염뿌리가 나며 황백색이다. 줄기는 길고 원주형이며 단단하고 모여나며 곧게 서고 높이 1-3 m이고, 잎은 2줄로 어긋나며 좁고 장피침형이며 길이 50cm, 나비 4cm 내외로 끝으로 갈수록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거칠고 녹색이다. 엽초는 털이 없으며 설편(舌片)은 짧고 가장자리에 털이나며 꽃은 원추화로서 9월에 피며 대형이고 길이 15-50 cm이며 정생하고 다수의 소수가 밀착하며 처음에 자색이다가 후에 자갈색이 된다. 소수(小穗)는 꽃이 5개이며 가늘고 길며 끝이 날카롭다 영(潁)은 2조각이고 길이가 다르며 총포의 털은 길다 (1, 2). 말린 노근은 납작하고 원기둥 모양으로 표면에 광택이 있고 황백색이며 마디부분은 비교적 단단하고 또렷한 황홍색이며 마디사이에 세로주름이 있고(3), 늦은 봄이나 초여름 또는 가을에 채취하여 진흙과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피막(皮膜)을 벗겨서 신선할 때 쓰거나 볕에 말려 쓴다(1).
노근의 약효로는 열을 내리고 진액을 생기게 하여 구역질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고, 열병에 의한 구토, 식도암, 폐농양을 치료하고 복어독을 해독하는데 사용되어왔다. 그리고 2004년 Jang 등은(4) 노근에는 coixol 및 비타민 C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자외선 차단작용을 하고 멜라닌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여 두발을 검고 윤기있게 하며 미백 크림으로 사용하면 피부에 미백작용 및 영양을 공급한다고 보고하였다.
노근의 성분연구로는 1995년 Choi 등은 (5) Phragmitis communis의 근경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ρ-hydroxy cinnamic acid, vanillic acid, ferulic acid, ρ-hydroxybenzaldehyde를 분리하였고, 1-dotriacontanol, β-sitosterol, β-sitosterol glucoside는 표준품과 TLC 혼융시험에 의해 동정하였으며, GC-MS를 이용하여 hexadecanoic acid methylester, hepadecanoic acid methylester, eicosanoic acid methylester, docosanic acid methylester, tetracosanoic acid methylester로 동정하였다. 1976년 Kim 등은 (6) Phragmitis communis로부터 serotonin, tryptophan, tryptamine을 표준화합물과의 co-chromatography에 의해 동정하였고, bufpotenine, N-methylserotonin, N,N-dimethyltryptamine은 용매계를 달리하여 Rf치 및 발색 특성을 문헌과 비교하여 추정하였다.
노근의 생리활성 연구로는 우선 추출물 대상으로는 1983년 Lee는 (7) 혈청내 포도당, 인슐린 및 지질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 하였고, 1993년 Kim은 (8) streptozotocin투여에 의한 랑게르한스선 A세포내 글루카곤 과립들의 증가를 억제시키는 작용과 B세포내 인슐린 탈과립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보고하였고, 1990년 Choi 등은 (9) Phragmitis communis의 근경 메탄올 추출물이 혈중 콜레스테롤과 포도당을 낮추는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1995년 Choi 등은 (5) Phragmitis communis의 근경 메탄올 추출물은 고중성지질혈증과 고콜레스테롤혈증 및 당뇨병성 고지혈증 흰쥐에 대하여 중성지방의 농도를 현저히 감소시키며, 메탄올 추출물에서 분리한 β-sitosterol과 ρ-coumaric acid가 혈중 지방 농도개선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한편, 2004년 Jang의 (4) 노근 피부 미백작용 및 영양 공급에 대한 언급에 따르면 노근에 미백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이에 대한 생리활성 보고는 지금까지 추출물 수준에서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미백활성 실험에서 타겟이 되는 멜라닌은 동물, 식물, 미생물에 널리 존재하는 페놀류의 고분자 물질로 이것의 생성은 기미, 주근깨 검버섯을 형성하며 피부노화도 촉진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멜라닌은 표피 기저층의 멜라노사이트 세포내 멜라노좀(melanosome)에서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효소의 연속적 산화반응으로 합성된다. 티로시나아제는 구리를 함유한 멜라닌 생합성 과정의 주요 효소이며 멜라닌 합성의 출발 물질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이다. 티로신이 티로시나아제에 의해 L-3,4-dihydroxyl-L-phenylalanine(L-DOPA)으로, 이것이 다시 DOPAquinone으로 산화되고 다시 DOPAquinone이 DOPAchrome, 5,6-dihydroxyin-dole, indole 5,6-quinone이 되어 중합에 의해 최종적으로 멜라닌이 합성된다(10,11) (도 1 참조). 이렇게 티로시나아제는 티로신을 산화시켜 DOPA를 만드는 티로신 히드록시아제(tyrosine hydroxyase)로, DOPA를 산화시켜 DOPA quinone을 만드는 DOPA 옥시다아제로 작용하며 멜라닌 중합체를 합성하는데 중요 효소로 작용한다(12). 따라서 티로시나아제 활성억제 실험은 유용한 평가법으로 인정되고 있는데 이 티로시나아제 활성억제 실험은 티로신 히드록실라아제 억제실험법과 DOPA옥시다아제 억제실험법, 종합적인 멜라닌 합성 억제 실험법으로 구별되며, 티로신 히 드록실라아제 억제실험법과 멜라닌 합성억제 실험법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하기에 실제로는 DOPA를 기질로 하여 생성되는 DOPAchrome의 양을 측정하는 DOPA 옥시다아제(oxidase) 억제 실험법이 많이 사용된다(13). 지금까지 알려진 티로시나아제 억제제로는 hydroquinone, resorcinol, 4-hydroxyanisole, ascorbic acid와 그 유도체, kojic acid, arbutin(우바우르시 잎), glucosamin, oxyreseveratrol(상백피), α-viniferin, ferulic acid 등이 있으나 피부안전성, 제형안정성 등의 문제로 인해 arbutin과 kojic acid가 미백제의 첨가제로 제한된 양만 사용되고 있다(14,15).
천연 미백제 개발을 위해 최근까지 다양한 식물들이 연구되어 왔는데 그 중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것으로는 상백피(16), 오배자(17), 감초(18), 녹차(19), 석이(20), 치자 열매(21) 등이 보고 되고 있으며 일부는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여러 가지 천연물들로부터 보다 개선된 피부 미백작용을 갖는 유효성분을 추출하고자 연구 노력한 결과, 노근(Phragmitis Rhizoma)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페놀성 화합물이 매우 우수한 피부 미백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근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페놀성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의 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노근(Phragmitis Rhizoma)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페놀성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여러 가지 천연물들로부터 보다 개선된 피부 미백작용을 갖는 유효성분을 추출하고자 연구 노력한 결과 노근(Phragmitis Rhizoma)으로부터 추출한 페놀성 화합물이 매우 우수한 피부 미백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용되는 노근(Phragmitis Rhizoma)은 키가 큰 여러해 살이 풀인 갈대 Phragmitis communis Trin .(벼과 Gramineae)의 근경(根莖)이다. 갈대의 뿌리는 거칠고 크기가 길게 가로로 뻗고 마디에서 다수의 수염뿌리가 나며 황백색이다. 줄기는 길고 원주형이며 단단하고 모여나며 곧게 서고 높이 1-3 m이 고, 잎은 2줄로 어긋나며 좁고 장피침형이며 길이 50 cm, 나비 4 cm 내외로 끝으로 갈수록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거칠고 녹색이다. 엽초는 털이 없으며 설편(舌片)은 짧고 가장자리에 털이나며 꽃은 원추화로서 9월에 피며 대형이고 길이 15-50 cm이며 정생하고 다수의 소수가 밀착하며 처음에 자색이다가 후에 자갈색이 된다. 소수(小穗)는 꽃이 5개이며 가늘고 길며 끝이 날카롭다. 영(潁)은 2조각이고 길이가 다르며 총포의 털은 길다 (1, 2). 말린 노근은 납작하고 원기둥 모양으로 표면에 광택이 있고 황백색이며 마디부분은 비교적 단단하고 또렷한 황홍색이며 마디사이에 세로주름이 있고(3), 늦은 봄이나 초여름 또는 가을에 채취하여 진흙과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피막(皮膜)을 벗겨서 신선할 때 쓰거나 볕에 말려 쓴다(1).
노근의 약효로는 열을 내리고 진액을 생기게 하여 구역질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고, 열병에 의한 구토, 식도암, 폐농양을 치료하고 복어독을 해독하는데 사용되어왔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상기 “페놀성 화합물”은 노근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페놀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노근(Phragmitis Rhizoma)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페놀성 화합물이 메틸 갈레이트(methyl gallate, 화합물 1), ρ-히드록시 신남산(ρ-hydroxy cinnamic acid, 화합물 2), (+)-리오니레시놀((+)-lyoniresinol, 화합물 3) 및 (+)-리오니레시놀-3α-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화합물 4, (+)-lyoniresinol-3α-O-β-D-glucopyranoside)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의 상기 화합물 1은 메틸갈레이트(methyl gallate)로서 다음의 화학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7040381861-PAT00001
(화합물 1)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화합물 2는 ρ-히드록시 신남산(ρ-hydroxy cinnamic acid)로서 다음의 화학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7040381861-PAT00002
(화합물 2)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화합물 3 및 4는 (+)-리오니레시놀((+)-lyoniresinol) 및 (+)-리오니레시놀-3α-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lyoniresinol-3α-O-β-D-glucopyranoside)로서 다음의 화학식으로 표현된다(하기 화학식에서 “R=H” 인 경우는 화합물 3을 나타내고, “R=glc” 인 경우는 화합물 4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40381861-PAT00003
(화합물 3 및 화합물 4)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노근 추출물은 천연물로부터 활성성분을 분리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 압력의 존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 성분인 노근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 용매로는 화장료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용매를 사용할 수 있는데,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세톤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아세톤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화합물 1-4는 상술한 추출법에 추가하여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쳐 분리한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분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화합물 1-4는 노근을 80 % 아세톤 용매로 추출한 후, 그 추출액을 젤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저압(low pressure)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결정화(crystallization)의 공정 및 이들 공정의 혼합 공정을 순차 또는 반복 수행함으로써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화합물 1-4 이외에 다른 미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화합물 1-4만으로 구성된 유효 성분만으로도 매우 우수한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성분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스킨), 영양 화장수 (밀크로션), 영양 크림, 맛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험방법
Ⅰ. 추출물질의 분리
1. 실험재료
본 발명의 실험에서 사용한 노근(Phragmitis Rhizoma, 5Kg)은 2006년 5월 (주)게놈앤메디신에서 제공받아 식물학적 검정을 거친 후 사용하였다.
2. 시약 및 기기
본 발명의 실험에서 사용한 시약 및 기기는 다음과 같다.
ㆍBalance: Sartorius AC211S (Germany),
ㆍCentrifuge: Eppendorf 5415D (Germany),
ㆍMass spectrometer: API 3000 triple quadrupole mass spectrometry (Canada),
1H-NMR spectrometer: Varian Gemini 2000, 300㎒ (USA),
Bruker AMX-500, 600㎒ (Germany),
Solvent: Me2CO-d6, MeOD-d4, D2O,
Internal standard: TMS
13C-NMR spectrometer: Varian Gemini 2000, 75㎒ (USA),
Bruker AMX-500, 150㎒ (Germany),
Solvent : Me2CO-d6, MeOD-d4, D2O
Internal standard : TMS
ㆍTLC Adsorbent: Kieselgel 60 F254 (Merck, Germany)
ㆍTLC Solvent(v/v): benzene : CHCl3 : MeOH : H2O = 70 : 30 : 4
CHCl3 : MeOH : H2O = 6 : 4 : 1
ㆍTLC Detection: Ethanolic-FeCl3 solution
10%-H2SO4 in ethanol (heating)
UV-lamp (254㎚)
ㆍGels: Sephadex LH-20 (25-100㎛, Pharmacia, Sweden)
MCI gel CHP20P (75-150μ. Mitsubishi. Japan)
YMC-gel ODS-A (230/70, 400/230, 500/400 mesh, YMC. Japan)
ㆍ Low pressure liquid column chromatography:
pump: Gilson minipuls 3
detector: Gilson 112 UV/VIS (254nm)
gel: YMC-gel ODS-A (500/400 mesh, YMC Co., Japan)
data system: Autochro-Win 3.0 plus (Young-lin Co., Korea)
3. 추출 및 물질의 분리
음건한 재료 5Kg을 절단하여 80% 아세톤으로 실온에서 3회 추출하여 여과하였다. 그 추출액을 감압 농축한 후 H20에 현탁하여 여과한 후 Sephadex LH-20 컬럼크로마토그라피를 실시하였다. 용매는 물에서부터 메탄올을 10%씩 올려 100% 까지 농도를 높였으며, 박층크로마토그래프(TLC)를 실시하여 5개의 분획(Fr. 1 - Fr. 5)으로 나누었다. 분획 1(Fr.1)은 각종 정색 반응 실험에 의해 당 및 다당류 그리고 미네랄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활성을 나타낸 분획 3(Fr.3)에 대해서는 MCI-gel CHP-20P 컬럼크로마토그라피(농도기울기, H20→50% 메탄올) 및 YMC-ODS 컬럼크로마토그라피 (농도기울기, H20→50% 메탄올)를 실시하여 화합물 1(compound 1, 20.6 mg)을 얻었고, 이어서 저압(low pressure) 컬럼크로마토그래피(농도기울기, H20→50% 메탄올)와 Sephadex LH-20 컬럼크로마토그라피 (농도기울기, H20 → 50% 메탄올)를 반복 실험하여 화합물 3(compound 3, 4.3 mg) 및 화합물 4(compound 4, 22.4 mg)을 얻었다.
또한, 가장 강한 활성을 나타낸 분획(Fr. 4)를 MCI-gel CHP-20P 컬럼크로마토그래피(농도기울기, 20% 메탄올→80% 메탄올)및 YMC-ODS 컬럼크로마토그래피(농도기울기, H20→50% 메탄올) 반복 실험 후, 결정화(crystallization)을 통하여 화합물 2(compound 2, 102 mg)를 분리하였다 (도 2 참조).
다음은 화합물 1 - 4에 대한 분석 자료이다.
(1) 화합물 1
갈색 무정형 분말
Negative LC MS : m/z 182.8 [M-H]-
1H-NMR (300MHz, MeOD-d4) : δ 3.81 (3H, s, -OCH3), 7.05 (2H, s, H-2,6)
13C-NMR (75MHz, MeOD-d4) : 169.3 (C-7), 146.7 (C-3,5), 139.9 (C-4), 121.6 (C-1`), 110.1 (C-2,6`), 52.3 (-OCH3`)
(2) 화합물 2
갈색 무정형 분말
Negative LC MS : m/z 162.9 [M-H]-
1H-NMR (300MHz, MeOD-d4) : δ 6.28 (1H, d, J=15.9Hz, H-8), 6.80 (2H, d, J=8.7Hz, H-3,5), 7.59 (2H, d, J=8.7Hz, H-2,6), 7.60 (1H, d, J=15.9Hz, H-7)
13C-NMR (75MHz, MeOD-d4) : 171.3(C-9), 161.4 (C-4), 146.9 (C-7), 131.3 (C- 2,6), 127.4 (C-1`), 117.0 (C-3,5`), 115.8 (C-8`)
(3) 화합물 3
갈색 무정형 분말
Negative LC MS : 417.6m/z [M-H]-
1H-NMR (600MHz, Me2CO-d6 + D2O) : δ1.59 (1H, m, H-8), δ1.95(1H, m, H-8'), δ2.55 (1H, dd, J=12.6, 14.5Hz, H-7ax), δ2.65 (1H, dd, J=4.49, 14.5Hz, H-7eq), δ3.33(3H, s, 3-OCH3), δ3.49 (2H, d, J=6.0 H-9'), δ3.52(1H, m, H-9), 3.59(1H, m, H-9), δ3.69(6H, s, 3',5'-OCH3), δ3.80(3H, s, 5-OCH3), δ4.26 (1H, d, J=6.0Hz, H-7'), δ6.40(2H, s, H-2',6'), δ6.55(1H, s, H-6)
13C-NMR (150MHz, Me2CO-d6 + D2O) : [표 1]
(4) 화합물 4
갈색 무정형 분말
Negative LC MS : m/z 581.4 [M-H]-
1H-NMR (600MHz, Me2CO-d6 + D2O) : δ1.65 (1H, m, H-8), δ2.07(1H, m, H-8'), δ2.55 (1H, dd, J=4.5, 14.5Hz H-7ax), δ2.64 (1H in total, dd, J=4.2, 14.5Hz H-7eq), 3.25(1H, m, glc-2), δ3.27 (3H, s, 3-OCH3), δ3.31 (1H, s, glc-4), δ3.29 (2H in total, m, H-9), δ3.43 (1H , s, glc-3) δ3.62 (2H in total, m, H-9), δ3.79-3.59 (1H, m, glc-6), δ3.69 (6H in total, s, 3',5'-OCH3), 3.78 (3H, s, 3'-OCH3), δ4.31 (1H, d, J=7.5, glc-1), δ4.34 (1H, m, H-7'), δ6.42 (2H, s, H-2',6'), δ6.54 (1H, s, H-6)
13C-NMR (150MHz, Me2CO-d6 + D2O) : [표 1]
[표 1]
Figure 112007040381861-PAT00004
Ⅱ. 생리활성 실험
1. 시약 및 기기
본 발명의 실험에 사용한 시약 및 기기는 다음과 같다.
(1) Dimethyl sulfoxide (DMSO): Sigma Chem. Co. (U.S.A.)
(2) Fetal bovine serum (FBS) : Gibco BRL (U.S.A.)
(3)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bromide (MTT) : Sigma Chem. Co. (U.S.A.)
(4) Penicillin-Streptomycin: Gibco BRL (U.S.A.)
(5) Dulbecco's modification of eagle's medium (DMEM)
: Sigma Chem. Co. (U.S.A.)
(6) Tyrosinase (mushroom) : Sigma Chem. Co. (U.S.A.)
(7) L-3,4-dihydroxy-L-phenylalanine (L-DOPA) : Sigma Chem. Co. (U.S.A.)
(8)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MSH) : Sigma Chem. Co. (U.S.A.)
(9) Melanin(synthetic) : Sigma Chem. Co. (U.S.A.)
(10) Arbutin : Merck (Germany)
이외 실험 중 사용한 buffer 및 시약들은 시판되는 1급 또는 특급 시약으로 직접 조제하였다.
(11) Centrifuge: Eppendorf (Germany)
(12) CO2 incubator: Vision Sci. Co. (Korea)
(13) Microscope: Olympus (Japan)
(14) ELISA reader: BIO-RAD (Japan)
(15) Water Bath: Vision Sci. Co. (Korea)
2. 티로시나아제 억제 분석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 측정은 L-DOPA 옥시다아제의 방법(22)을 변형시켜 시행하였다. L-DOPA 옥시다아제의 활성 측정은 L-DOPA를 기질로 하여 티로시나아제에 의하여 생성되는 반응 산물인 붉은 색의 DOPAchrome이 흡광을 나타내는 점을 이용한다. 즉 일정한 반응 조건에서 생성된 DOPAchrome의 양을 흡광도 492 nm로 정량하여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측정하여 시료의 첨가에 의한 활성의 변화를 관찰하여 효소저해 정도를 평가하였다. 96 웰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반응군은 1/15M 소디엄 포스페이트 버퍼(pH 6.8) 50 ul, 2 mg/ml L-DOPA 25 ul, 200 unit/ml 티로시나아제 25 ul와 각 화합물 농도별 (0.0125, 0.025, 0.05 0.1 mM)로 50ul를 혼합하고 대조군에는 화합물 대신 1/15 M 소디엄 포스페이트 버퍼 50 ul를 첨가하여 37 ℃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얼음 용기 내에서 효소의 반응을 정지시키고 ELISA 리더를 이용하여 492 nm에서 대조군, 반응군, 블랭크(blank)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다음 식으로 저해율을 구하였다.
3. B16 멜라노마 세포( melanoma cell ) 배양
B16F10 멜라노마 세포의 배지는 10 % FBS (fetal bovine serum), 페니실린 G (100 IU/ml), 스트렙토마이신 (100 ug/ml)을 포함한 DMEM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온도 37℃, 5 %의 CO2를 유지하면서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4. B16 멜라노마 세포 카운팅
배양한 세포에서 배지를 제거하고 스크랩퍼(scrapper)를 사용하여 스크랩핑하고 2 % FBS in PBS를 10 ml 넣고 세포를 충분히 피펫팅하여 세포 현탁액을 만든다. 마이크로튜브에 세포 현탁액 10 ul와 0.4 % 트리판블루(trypan blue) 90 ul를 넣어 세포 현탁액을 1/10로 희석한다. 헤모사이토미터(Hemocytometer)의 양쪽 가장자리에 물을 적셔 커버 글래스를 고정시킨 후 1/10로 희석된 세포 현탁액을 넣는다. 현미경을 사용하여 네 구역의 세포를 센 후 4로 나누어 평균 세포수를 구한다. 평균값에 희석배수 10을 곱하고 1 ml 안에 들어있는 세포수를 구하기 위해 104을 곱하여 세포 수를 구하였다. 계산을 통해 96 웰에 맞도록 세포수를 104으로 정하여 실험하였다.
5. MTT 분석
본 실험에서 B16F10 멜라노마 세포에 대한 화합물들의 실험 시 처리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MTT 분석를 사용하였다. 이 정량법은 Mosmann의 방법(23)을 변형하여 실시한 것으로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디히드로게나아제에 의하여 노란색의 수용성 기질인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가 진청색의 비수용성인 포르마잔(formazan)으로 환원되는 것을 이용한 방법이다. DMEM 배지에 배양된 B16F10 멜라노마 세포를 96 웰에 200 ul(104개)씩 넣고 2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를 부착 시킨다. 부착된 세포에 시료 20 ul씩 넣은 후 48 시간 동안 배양한다. 48 시간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미리 조제한 MTT (5 mg/ml in PBS)를 50 ul 첨가하여 다시 4시간 배양한다. 4시간 후 이때 형성된 다크 블루 결정(crystal)을 10 % SDS 50 ul(in 0.01 HCl)로 용해시켜 보라색으로 생성된 포르마잔의 양을 정량한다. 생성된 포르마잔의 양은 살아있는 세포 수에 비례하므로 세포의 생존율을 측정 할 수 있다.
6. B16F10 멜라노마 세포내의 티로시나아제 활성도 및 멜라닌 생성량 측정
티로시나아제 활성도 및 멜라닌 양의 측정은 다음 방법을(24) 통해 측정하였다.
(1) 티로시나아제 활성도 측정
세포를 배양하여 96 웰 플레이트에 세포 104개씩 넣어 2 시간 동안 부착시킨 뒤 각각의 화합물을 처리한 후 48 시간 배양하였다. 48 시간 배양한 후 각 웰의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10 mM PBS 100 ul에 현탁시켰다. 현탁된 이 액을 볼텍싱(vortexing)한 후 1000 rpm에서 5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효소액으로 사용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에 이 효소액을 40 ul 넣고 기질인 L-DOPA(2 mg/ml) 100 ul를 첨가하였다. 37 ℃에서 1 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시킨 뒤 ELISA 리더를 이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티로시나아제의 활성도는 대조군의 흡광도에 대한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2) 멜라닌 생성량 측정
위 실험의 원심분리 후 상층액 40 ul가 제거된 마이크로튜브에 0.2 M NaOH용액 100 ul씩 넣어 반응을 정지시키고, 400 ul H2O를 넣어 희석한다. 96 웰 플레이트에 이 희석된 용액을 200 ul씩 넣고 37 ℃에서 1 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 시킨 뒤 ELISA 리더를 이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멜라닌 양은 합성 멜라닌을 사용하여 작성된 표준 직선을 구하고, 실험군의 멜라닌 양은 대조군의 멜라닌양에 대한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7. α-MSH에 의한 티로시나아제 활성 및 과생성 멜라닌에 미치는 영향
외부자극에 따른 B16F10 멜라노마 세포내 티로시나아제의 활성 및 과생성 멜라닌에 각 화합물이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외부 자극제로 α-MSH를 사용하였다. 약물농도는 100 nM로 정하고 티로시나아제 활성도와 과생성멜라닌의 생성량 측정은 상기 항목 6.의 방법을 그대로 이용하였으며, 농도별로 조제한 각 화합물과 외부자극제를 세포에 처리한 후 티로시나아제활성도 및 과생성 멜라닌량을 측정함으로써 외부자극에 따른 멜라닌화에 대한 화합물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험결과
Ⅰ. 화합물 1-4의 구조 확인
1. 화합물 1
화합물 1은 갈색분말로서 TLC상에서 FeCl3 분무, 10 % H2SO4를 분무하고 가열하였을 때 갈색으로 나타났으며 Negative LC MS 스펙트럼에서 m/z 182.8 [M-H]- 피크(peak)를 나타내었다. (Appendix Chart. 1-1.)
1H-NMR 스펙트럼에서 δ7.05(2H, s, H-2,6)에서 수소적분치 2H에 해당하는 galloyl기에 의한 단일 시그널(singlet signal)과 δ3.81(3H, s, -OCH3)에서 methoxyl기에 의한 3H의 단일 시그널을 나타내었다.(Appendix Chart. 1-2.)
13C-NMR 스펙트럼은 δ110.1에서 C-2,6가 δ139.9에서 C-4가, δ146.7에서 C-3,5가 δ169.3에서 COOH에 의한 cabonyl 시그널, 그리고 methoxyl기에 의한 시그널이 δ52.3에서 관찰되어 compound 1을 methyl gallate로 추정하였다. (Appendix Chart. 1-3.)
이상의 기기분석 결과를 문헌과 비교, 일치함을 확인하여 화합물 1을 메틸 갈레이트(methyl gallate)로 최종 확인, 동정하였다(25).
2. 화합물 2
화합물 2는 노란색 분말로서 TLC상에서 FeCl3 분무 시 주황색으로 나타내어 페놀성 화합물임을 추정하였고, Negative LC MS : m/z 162.9 [M-H]- 를 나타내었다. (Appendix Chart. 2-1.)
1H-NMR 스펙트럼에서는 δ7.60와 6.28에서의 이중 시그널(doublet signal, J=15.9Hz)은 트랜스 올레핀이며, δ7.59와 δ6.80에서 각각의 수소적분치 2H에 해당하는 이중 시그널(J=8.7Hz)은 오르토 커플링에 의한 것으로 A2B2 타입의 방향족환에 의한 것으로 화합물 2는 ρ-히드록시 신남산(ρ-hydroxy cinnamic acid)으로 추정되었다. (Appendix Chart. 2-2.)
13C-NMR 스펙트럼에서도 δ131.3ppm에서 C-2, 6, δ161.4ppm에서 C-4, δ117.0ppm에서 C-3, 5이 관찰되고, δ171.3에서 COOH에 의한 carbonyl, 그리고 `C-7, 8이 δ146.9와 115.8에서 나타내었다 (Appendix Chart. 2-3.).
이상의 기기분석 결과를 문헌과 비교, 일치함을 확인하여 화합물 2를 ρ-히드록시신남산 으로 확인, 동정하였다(5, 26, 27).
3. 화합물 3
화합물 3은 노란색 분말로 TLC 상에서 10% H2SO4를 분무하고 가열 하였을 때 녹색으로 나타나고, FeCl3 흑갈색을 나타내어 페놀성 화합물임을 추정하였고, Negative LC MS : m/z 417.6 [M-H]- 를 나타내었다. (Appendix Chart. 3-1.)
1H-NMR 스펙트럼에서 δ3.69(6H, s)에서 2개의 methoxyl기에 해당하는 시그널과 δ3.33(3H, s)과 δ3.80(3H, s)에서 각각 1개의 methoxyl기가 나타나며 방향족 영역에서 H-2',6'에 의한 단일 시그널이 δ6.40(2H, s)에서, H-6에 의한 단일 시그널이 δ6.55(1H, s)에서 나타났다. H-7', H-8' 그리고 H-8 시그널이 각각 δ 4.26 (1H, d, J=6.04Hz, H-7'),δ1.95(1H, m, H-8'), 1.59 (1H, m, H-8)에서 나타났으며, H-7은 2.64 (1H, dd, J=4.49, 14.9Hz, H-7'eq)및 δ2.55 (1H, dd, J=12.6, 14.5Hz, H-7'ax)에서 나타났으며, H-9'는 δ3.49(2H, d, J=6.0Hz)에서 나타났고 H-9는 δ3.52(1H, m,) 및 δ3.59(1H, m,)에서 나타났다. (Appendix Chart. 3-2.)
13C-NMR 스펙트럼에서 2개의 phenylpropanoid의 존재를 나타내었고, δ55.5, 55.9(2C), 58.8에서 모두 4개의 methoxyl기에 의한 피크가 나타남을 통해 2개의 sinapyl alcohol이 있음을 추정 할 수 있었다(Appendix Chart. 3-3).
1H-1H OCSY와 HSQC 스펙트럼을 통하여 각각의 탄소와 양성자를 귀속시켰으며 HMBC 스펙트럼에서 C-2와 C-7', C-8과 C-9' 및 C-8'과 C-9의 correlation이 나타나 화합물 3은 두 개의 sinapyl alcohol이 cyclolignan 형태를 이루며 결합하고 있는 4,4',9,9'-Tetrahydroxy-3,3',5,5'-tetramethoxy-2,7'-cyclolignan임을 알 수 있었다(Appendix Chart. 3-3.~3-15.).
이상의 기기분석 결과를 문헌과 비교, 일치함을 확인하여 화합물 3을 (+)-리오니레시놀((+)-lyoniresinol)로 확인, 동정하였다(28).
Figure 112007040381861-PAT00006
화합물 3의 HMBC correlation.
4. 화합물 4
화합물 4는 노란색 분말로 TLC상에서 10 % H2SO4를 분무하고 가열 하였을 때 녹색으로 나타나고, FeCl3 흑갈색을 나타내어 페놀성 화합물임을 추정하였고, Negative LC MS : m/z 581.4 [M-H]-를 나타내었다(Appendix Chart. 4-1).
1H-NMR 스펙트럼에서 δ3.69 (6H in total, s) 에서 methoxyl기에 해당하는 시그널과 δ3.27 (3H, s)과 3.78 (3H, s)에서 각각 1개의 methoxyl기에 의한 시그널이 나타나며 아로마틱(aromatic) 부위에서 2H분의 H-2',6' 단일 시그널이 δ6.42(2H, s)에서, H-2 단일 시그널〔δ6.54(1H, s)〕이 나타났다. H-7', H-8' 그리고 H-8 시그널이 각각 δ4.34(1H, d, J=7.84Hz), 2.07(1H, m), 1.65 (1H, m)에서 나타났으며, H-7은 2.64 (1H, dd, J=4.2, 14.5Hz, H-7eq), δ2.55 (1H, dd, J=4.5, 14.5Hz, H-7ax)에서 나타났다. δ4.31(1H, s) 에서 포도당의 anomeric proton에 의한 시그널을 나타내었다. (Appendix Chart. 4-2.)
13C-NMR 스펙트럼에서는 화합물 3과 거의 동일한 시그널 패턴을 나타내면서 C-8'의 위치가 저자장에서 고자장으로 이동하여 나타났으며, 포도당에 의한 피크가 δ104.1, 77.4, 77.2, 74.4, 71.0, 62.2 으로 나타나 화합물 4는 화합물 3의 배당체임을 알 수 있었다(Appendix Chart. 3-3).
1H-1H OCSY와 HSQC 스펙트럼을 통하여 각각의 탄소와 프로톤을 귀속시켰으며 HMBC 스펙트럼에서 C-2와 C-7', C-8과 C-9' 및 C-8'과 C-9의 correlation 시그날이 나타나 화합물 4는 두 개의 sinapyl alcohol이 cyclolignan 형태를 이루며 포도당이 C-9 위치에 결합하고 있는 3,3',5,5'-Tetra-Me ether, 9'-O-β-D-glucopyranoside 임음을 알 수 있었다.(Appendix Chart. 4-3.~ 4-14.)
이상의 기기분석 결과를 문헌과 비교, 일치함을 확인하여 화합물 4를 (+)-리오니레시놀-3α-O-β-D-글루코피란노사이드((+)-lyoniresinol-3α-O-β-D-glucopyranoside)로 확인, 동정하였다(29,30).
Figure 112007040381861-PAT00007
화합물 4의 HMBC correlation
Ⅱ. 생리활성 실험
1. 티로시나아제 억제 분석
티로시나아제에 대한 추출물과 분획 1-5의 직접적인 영향을 알아보기위해 처리 농도를 125, 250, 500, 1000 mg/ml로 조제한 후 기질인 L-DOPA를 처리하여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율을 알아본 결과 분획 4 와 분획 3이 다소 높은 효과를 보였다(도 3 참조). 각 화합물들을 처리 농도를 0.0125, 0.025, 0.05, 0.1 mM로 조제한 후 기질인 L-DOPA를 처리하여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율을 알아본 결과 화합물 2가 다소 높은 효과를 보였다(도 4 참조).
2. MTT 분석
각 화합물들이 B16F10 멜라노마 세포의 증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화합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48시간 후에 MTT 방법으로 세포의 생존율을 관찰하였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화합물에 의한 세포의 생존율은 최고 0.1 mM 처리시에도 유의할 만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이 농도 범위에서 각 화합물의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 농도 범위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3. B16F10 멜라노마 세포내의 티로시나아제 활성도 및 멜라닌 생성량 측정 결과
각 화합물이 B16F10 멜라노마 세포의 티로시나아제 활성도 및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각 화합물을 농도별(0.0125, 0.025, 0.05, 0.1 mM)로 처리한 후 티로시나아제 활성도 및 멜라닌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2, 3이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조군에 비하여 티로시나아제 활성이 더 감소되었으며, 멜라닌 생성량에서는 각 화합물 모두가 완화한 억제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모든 화합물이 B16F10 멜라노마 세포의 고유 멜라닌화를 어느 정도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도 6 및 도 7 참조).
4. α- MSH 에 의한 티로시나아제 활성 및 과생성 멜라닌에 미치는 영향
각 화합물이 B16F10 멜라노마 세포의 고유 멜라닌화 억제에 관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 및 도 7 참조). 이를 더욱 분명하게 확인하고자 외부자극에 의해 유발된 과색소 침착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였다. B16F10 멜라노마 세포의 과색소 침착을 위해여 α-MSH를 외부자극제로 사용하였다. α-MSH는 세포내에 cAMP 레벨을 높여 티로시나아제의 발현 및 활성을 유도하고 결과적으로 멜라닌생성을 촉진하는 약물로 알려져있다(30,31).
따라서 외부자극제와 동시에 각 화합물을 농도별(0.0125, 0.025, 0.05, 0.1 mM)로 처리한 후, 화합물이 B16F10 멜라노마 세포의 과멜라닌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은 α-MSH에 의해 유도된 티로시나아제 활성과 과생성멜라닌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켰다(도 8 및 도 9 참조).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가지며 피부에 적용한 경우 뛰어난 피부 미백 효능을 발휘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참조 문헌
1. 한국생약학교수협의회. (1994) 본초학. 사단법인 약사회. 147-149
2. 육창수. (1997) 생약도감. 경원 출판사. 76
3. 김창민외. (1998) 중약대사전. 정담 출판사. 955-958
4. Jang, K. H. and Roh, S. S. (2004) Depigementation activity of many herb. 韓醫學 說文集. 13(2): 289-302
5. Choi, J. S., Lee, J. H. and Han, S. Y. (1995)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Phragmitis communis and Its Active Principles. J. Kor. Soc. Food Nutr. 24(4): 523-529
6. Kim, Y. H., Lee, C. Y. and Kim, I., S. (1976) Studies on the Indoles in Commom Reed. J. Kor. Agricultural Chemical Socity. 19(1): 24-29
7. Lee, W. H. (1983) 蘆根이 Streptozotocin으로 誘發된 흰쥐의 糖尿病에 미치는影響. 慶山大學校 大學院.
8. Kim, Y. S. (1993) Streptozotocin 糖尿에 蘆根이 미치는 影響에 對한 免役組織學的 硏究. J. East-West Medicines. 18(3): 30-39
9. Choi, J. S., Chung, H. Y. and Young, H. S. (1990) A Preliminary Study on Hypocholesterolemic and Hypoglycemic Activities of Some Medicinal Plants. Kor. J. Pharmacogn. 21(2): 153-157
10. Prota, G. (1992) Melanin and melanogenesis. Academic Press, New York
11. Lopez, T. N. R., Tudela, J., Varon, R., Carmona, F. G. and Canovas, F. G. (1992) Analysis of a kinetic model for melanin biosynthesis pathway. J. Biol. Chem. 267: 3801-3810
12. Hearig, V. J. and Jimenez, M. (1987) Mammalian tyrosinase-the critical regulatory control point in melanocyte pigmentation. Int. J. Biochem. 19(12): 1141
13. Matsukami, M. (1995) Evalucation of antimelanogenic Effects. 19(1): 14
14. Ando, S. O., Ando, Y. S. and Mishima, Y. (1993) Tyrosinase gene transcription and its control by melanogenetic inhibitor. J. Invest Dermatol. 100: 150-155
15. Imokawa, G., Mishima, Y. (1982) Loss of melanogenic properties in tyrosinase induced by glycosilation inhibitors within maligant melanoma cells. Cancer Res. 42: 1994-2002
16. Seok, C. H., Won. I., Kim, J. H., Kim. J. B., Kim, J. H., Heo, M. Y. and Kim, H. P. (1996) Biological screening of 100 plant extracts for cosmetic use(Ⅱ). Inhibitory activities of tyrosinase and DOPA autooxidation. International J. Cosmetic Science. 22: 193-200
17. Kim, H. J., Sapers G. M. and Choi, S. W. (1998)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yrosinase inhibitor from Galla rhois. Food Sci. & Biotech. 7: 56-59
18. Lee, J. S., Kim, J. A., Cho, S. H., Son, A. R., Jang, T. S., So, M. S., Chung, S. R., and Lee, S. H. (2003) Tyrosinase inhibitor isolated from the roots of Glycyrrhiza glabra L. Kor. J. Phamacogn. 45(1) 33-39
19. No, J. K., Soung, D. Y., Kim, Y. J., Shim, K. H., Jun, Y. S., Rhee, S. H., Yokozawa, T. and Jung, H. Y. (1999) Inhibition of tyrosinase by green tea components. Life Sciences, 65(21): 241-246
20. Park, Y. H. and Chang, S. K. (1997) Screening of inhibitory effect of edible mushrooms on tyrosinase and isolation of active component. J. Fd Hyg. Safety. 12: 195-199
21. Kwak, J. H., Kim, Y. H., Chang, H. R., Park, C. W., and Han, Y. H. (2004) Inhibitory Effect of Gardenia Fruit Extracts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ogenisis. Korean J. Biotechnol. Bioeng. 19(6): 437-440
22. Laskin, J. D., and Piccinini, L. A. (1986) Tyrosinase isozyme heterogeneity in differentiating B-16/C3 melanoma. J. Biolo. Chem. 261(35): 16226-16235
23. Mosman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the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J. Immun. Method. 65: 55
24. Hirata, T., Ideo, R., Aoki, T. and Suga, T. (1982) The structure of alnuserrutriol, a new C31 dammarane-type triterpenoid from the male flowers of Alnus serrulatoides. Bull. Chem. Soc. Jap. 55 640
25. Oh. J. Y., Choi. U., Kim. Y. S., Shin. D. H. (2003)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tive Components from Bark of Rhus javanica Linne. KOREAN J. SCI. TECHNOL 35(4): 726-732
26. Ahn, B. T., Oh, K. J., Park, S. K., Chung, S. G., Cho, E. H., Kim, J. G., Ro, J. S. and Lee, K. S. (1996) Phenolic Compounds from Leaves of Spiraea salicfolia. Kor. J. Pharmacogn. 27(3): 178-183
27. Pyo, M. K., Koo, Y. K., and Yun-Choi, H. S. (2002) Anti-platelet Effect of the phenolic Constituents Isolated from the Leaves of Magnolia obovata. Natural Products Sciences. 8(4) 147-151
28. Zhang, Z., Guo, D., Changling, L., Zheng, J., Koike, K., Jia, Z. and Nikaido, T. (1999) Gaultherins A and B, two lignans from Gautheria yunnanensis. Phytochemistry. 51: 469-472
29. Tripetch, K., Mohamed, S. K., Ryoji, K., Kazuo, Y., Chayan, P. and Yoshikazu, H. (2001) Lignan glucosides from Acanthus ilicifolius. Phytochemisrey. 56: 369-372
30. Hans, A., Monika, B. and Ruben, T. (1997) Alkaloid and other Compounds from Seeds of Tabernaemonitana Cymosa. Phytochemisrey. 45: 325-335
31. Roser, B., Corine, B., Jean, P. O. and Robert, B. (1996) Inhibition of the phosphatidylinositol 3-kinase/p70s6-kinase pathway induces B16 melanoma cell differentation. J. Biol. Chem. 271: 31824-31830
32. Edith, A., Corine, B., Elena, V. S., Virginie, T., Timothy, J. H., David, E. F., Dorothy, C. B., Jean-Paul, O. and Robert, B. (1998) Involvement of microphthalmia in the inhibition of melanocyte lineage different and of melanogenesis by agouti signal protein. J. Biol. Chem. 273(3): 19560-19565

Claims (2)

  1. 노근(Phragmitis Rhizoma)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페놀성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성 화합물은 메틸 갈레이트(methyl gallate), ρ-히드록시 신남산(ρ-hydroxy cinnamic acid), (+)-리오니레시놀((+)-lyoniresinol) 및 (+)-리오니레시놀-3α-O-β-D-글루코피라노사이드((+)-lyoniresinol-3α-O-β-D-glucopyranoside)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70053862A 2007-06-01 2007-06-01 노근으로부터 분리한 페놀성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07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862A KR100907685B1 (ko) 2007-06-01 2007-06-01 노근으로부터 분리한 페놀성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862A KR100907685B1 (ko) 2007-06-01 2007-06-01 노근으로부터 분리한 페놀성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808A true KR20080105808A (ko) 2008-12-04
KR100907685B1 KR100907685B1 (ko) 2009-07-14

Family

ID=40367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862A KR100907685B1 (ko) 2007-06-01 2007-06-01 노근으로부터 분리한 페놀성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768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89651A1 (en) * 2010-04-12 2012-07-26 Sabrina John Active agent complex and formulation comprising the active agent complex
KR101363413B1 (ko) * 2013-07-09 2014-02-14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함초 및 노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70287A (ko) * 2016-12-16 2018-06-26 원다님 우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876319B1 (ko) * 2016-12-20 2018-07-10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야관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941221B1 (ko) * 2017-12-14 2019-01-22 (주)솔빛피앤에프 노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황반변성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93209B1 (ko) * 2019-12-27 2020-12-18 주식회사 한국생명과학연구소 갈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6660A (ko) * 1998-05-29 1999-12-15 서경배 미백 화장료 조성물
FR2892923B1 (fr) * 2005-11-08 2009-01-16 Engelhard Lyon Sa Utilisatiion des derives de l'acide para-coumarique ou para- hydroxycinnamique dans des compositions cosmetiques ou dermatologique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89651A1 (en) * 2010-04-12 2012-07-26 Sabrina John Active agent complex and formulation comprising the active agent complex
US9549957B2 (en) * 2010-04-12 2017-01-24 Chemisches Laboratorium, Dr. Kurt Richter, Gmbh Active agent complex and formulation comprising the active agent complex
KR101363413B1 (ko) * 2013-07-09 2014-02-14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함초 및 노근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70287A (ko) * 2016-12-16 2018-06-26 원다님 우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876319B1 (ko) * 2016-12-20 2018-07-10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야관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941221B1 (ko) * 2017-12-14 2019-01-22 (주)솔빛피앤에프 노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황반변성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93209B1 (ko) * 2019-12-27 2020-12-18 주식회사 한국생명과학연구소 갈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7685B1 (ko) 2009-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685B1 (ko) 노근으로부터 분리한 페놀성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IL227447A (en) Herbal extracts containing monotropic derivatives of celcone or dihydrocarbon and used as de-pigmentation agents
AU2012208626A1 (en) Monoterpene derivatives of chalcone or dihydrochalcone and their use as depigmenting agents
KR101069907B1 (ko) 비목나무 유래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00048158A (ko) 들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047588B1 (ko) 백미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신규 프레그난계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414390B1 (ko) 꽃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854766B1 (ko) 미백 효능을 갖는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감초 추출물의 복합체
CN101766691B (zh) 一种白桂木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2264157B1 (ko) 죽순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개선 및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29000B1 (ko) 금목서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481884B1 (ko) 코보페놀 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592373B1 (ko) 고장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2250161B (zh) 具有酪氨酸酶抑制活性的紫罗兰酮类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069906B1 (ko) 비짜루국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개선용 조성물
KR101712643B1 (ko) 택시폴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129476A (ko) 왕자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38114A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191992B1 (ko) 강활 추출물 또는 비사볼란겔론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467605B1 (ko) 신규의 다프난 디테르펜계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10022013A (ko) 송악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521579B1 (ko) 보센벌지아 로툰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 조성물
EP4349844A1 (en) Novel phenylpropanoid compound
KR100791282B1 (ko) 미백활성을 나타내는 노루참나물 추출물
KR20050075516A (ko) 흑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