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5254A - 쇽 업소버의 누유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쇽 업소버의 누유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5254A
KR20080105254A KR1020070052571A KR20070052571A KR20080105254A KR 20080105254 A KR20080105254 A KR 20080105254A KR 1020070052571 A KR1020070052571 A KR 1020070052571A KR 20070052571 A KR20070052571 A KR 20070052571A KR 20080105254 A KR20080105254 A KR 20080105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hock absorber
lower cylinder
piston
pist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2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화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2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5254A/ko
Publication of KR20080105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6Special sealings, including sealings or guides for piston-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14Constructional features of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35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0Special means providing automatic damping adjustment, i.e. self-adjustment of damping by particular sliding movements of a valve element, other than flexions or displacement of valve discs; Special means providing self-adjustment of spring characteristics
    • F16F9/512Means responsive to load action, i.e. static load on the damper or dynamic fluid pressure changes in the damper, e.g. due to changes in velocity
    • F16F9/5126Piston, or piston-like val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쇽 업소버의 누유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쇽 업소버의 내부에서 그 상부쪽에 별도의 오일집적공간을 형성하여, 오일이 외부로 누유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쇽 업소버의 누유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피스톤로드 및 적층밸브를 갖는 피스톤이 내재되는 상부 원통과, 오일이 충진되는 하부 원통과, 이 하부 원통의 상단에 장착되어 피스톤로드에 밀착되는 실링을 포함하는 쇽 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하부 원통의 실링 위쪽에 실링을 통해 누유되는 오일을 집적시킬 수 있는 오일집적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의 누유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속 업소버, 누유 방지, 오일집적공간, 상부 피스톤, 스프링

Description

쇽 업소버의 누유 방지 장치{Device for preventing oil leaking of shock absorb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쇽 업소버의 누유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쇽 업소버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쇽 업소버로부터 실제 누유가 발생된 것을 보여주는 사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쇽 업소버
12 : 상부 원통
14 : 하부 원통
16 : 피스톤로드
18 : 적층밸브
20 : 피스톤
22 : 실링
24 : 오일집적공간
26 : 상부피스톤
28 : 압력유지용 스프링
본 발명은 쇽 업소버의 누유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쇽 업소버의 내부에서 그 상부쪽에 별도의 오일집적공간을 형성하여, 오일이 외부로 누유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쇽 업소버의 누유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쇽 업소버는 자동차의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으로서, 자동차의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스프링에서 일차적으로 완충하는 동시에 이 스프링이 받는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고유진동을 흡수하여 진동을 신속하게 감쇠시켜 승차감을 좋게 유지시키는 장치를 말하며, 현재 유압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대개, 상기 유압식 쇽업소버는 긴 원통체를 서로 겹쳐지게 결합한 구조로 된 통형 쇽 업소버와, 링크나 레버를 사용하여 설치하는 구조로 된 레버형 쇽 업소버와, 쇽업소버가 서스펜션의 일부로서 차체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된 맥퍼어슨식 쇽업소버, 그리고 고압의 질소가스를 사용하는 가스봉입식 쇽업소버로 분류되고 있다.
상기 유압식 쇽 업소버중 통형 쇽 업소버(이하, 쇽 업소버로 약칭함)의 구성 및 그 감쇠력 발생 원리를 첨부한 도 2를 참조로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쇽 업소버(10)는 상부 원통(12)과 하부 원통(14)이 서로 겹쳐지게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상부 원통(12)에는 피스톤로드(16) 및 이 피스톤로드(16)의 하 단끝에 적층밸브(18)를 갖는 피스톤(20)이 내재되어 있고, 상기 하부 원통(14)은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게 피스톤로드(16)를 감싸면서 결합되며, 그 내부에는 오일이 충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원통(14)의 상단부에는 상기 피스톤로드(16)와 밀착되어 오일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는 실링(22)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원통(14) 내부에서 오일에 담겨진 피스톤로드(16) 및 피스톤(20)이 상하로 왕복 운동하면서 피스톤(20)의 적층밸브(18)에 형성되어 있는 틈 사이로 오일 유체가 통과하는 동시에 감속저항을 받아 쇽 업소버(10)의 감쇠력이 발생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쇽 업소버는 그 누유 방지수단으로 실링을 포함하고 있지만, 오일 유체의 온도 상승에 따른 부피 팽창으로 오일이 실링을 통해 외부로 밀려나는 누유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피스톤로드 및 피스톤의 왕복 운동이 반복됨에 따라, 오일 유체의 온도가 상승되어 그 부피가 열팽창하고, 쇽 업소버의 상부 실링을 통해 팽창된 오일 유체가 외부로 밀려나와, 결국 쇽업소버의 외표면을 타고 흘러내리는 누유 현상이 발생되어, 도 3의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쇽 업소버의 감쇠력이 정상작동되는 상태에서도 주변 오염이 발생하여 운전자는 쇽 업소버가 파손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쇽 업소버의 하부 원통의 상단부를 위쪽으로 더 늘려주는 동시에 그 늘린 공간 내부에 별도의 오일집적공간을 형성하여, 실링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오일이 오일집적공간에 집적되도록 함으로써, 오일이 외부로 누유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쇽 업소버의 누유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스톤로드 및 적층밸브를 갖는 피스톤이 내재되는 상부 원통과, 오일이 충진되는 하부 원통과, 이 하부 원통의 상단에 장착되어 피스톤로드에 밀착되는 실링을 포함하는 쇽 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하부 원통의 실링 위쪽에 실링을 통해 누유되는 오일을 집적시킬 수 있는 오일집적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의 누유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오일집적수단은: 상기 하부 원통이 실링 위쪽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오일집적공간과; 상기 피스톤로드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오일집적공간에 집적된 오일압에 의하여 승하강하며 오일을 기밀하는 상부피스톤과; 상기 상부피스톤의 상면과 상기 오일집적공간의 저면간에 연결된 압력유지용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쇽 업소버의 누유 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 도이다.
본 발명은 쇽 업소버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오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별도의 오일집적수단을 쇽업소버의 내부에 구성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쇽 업소버(10)는 큰 직경의 상부 원통(12)과 작은 직경의 하부 원통(14)이 서로 겹쳐지게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상부 원통(12)에는 피스톤로드(16) 및 이 피스톤로드(16)의 하단끝에 적층밸브(18)를 갖는 피스톤(20)이 내재되고, 상기 하부 원통(14)은 상하로 승하강 가능하게 피스톤로드(16)를 감싸면서 결합되는 구조로서 그 내부에는 오일이 충진되며, 또한, 상기 하부 원통(14)의 상단부에는 상기 피스톤로드(16)와 밀착되어 오일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는 실링(22)이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오일집적수단을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원통(14)의 상단부를 실링(22) 위쪽으로 더 연장시키게 되고, 이 연장된 실링 위쪽 공간은 오일집적공간(24)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링(22)을 통해 누유되는 오일은 외부로 누유되지 않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오일집적공간(24)에 모이게 된다.
또한, 상기 오일집적공간(24)내에서, 상부피스톤(26)이 상기 피스톤로드(16)의 상부에 체결되는 바, 이 상부피스톤(16)은 상기 오일집적공간(24)의 내경면과 피스톤로드(16)의 외경면간에 밀착 체결되어, 상기 오일집적공간(24)에 집적되는 오일압에 의하여 피스톤로드(16)를 따라 위쪽으로 점차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피스톤(26)의 상면과 상기 오일집적공간(24)의 저면간에는 상부피스톤(16)이 오일압으로 밀려나는 것을 탄성으로 지지해주는 압력유지용 스프링(28)이 연결된다.
이와 같이, 쇽 업소버(10)의 실링(22) 틈새로 누출되는 오일을 별도의 공간에 집적시키면서 가변되는 오일집적공간(24)을 제공함으로써, 누유에 의해 발생되는 외부 유출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실링(22)을 통해 흘러나온 오일이 곧바로 쇽 업소버(10)의 외표면쪽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오일집적공간(24)에 집적되어 외부 유출을 차단할 수 있고, 집적된 오일 양이 상당히 많아질때까지 상부의 스프링(28) 압력에 의하여 쇽 업소버(10)의 오일이 실링(22) 틈새를 통하여 다시 하부 원통(14)으로 재충진될 수도 있다.
결국, 상기 실링을 통해 약간씩 흘러나온 오일이 곧바로 쇽 업소버의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고 상기 오일집적공간에 저장되어 쇽 업소버의 일정 수명을 다할 때까지 감쇠력을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쇽 업소버의 누유 방지 장치에 의하면, 쇽 업소버의 하부 원통의 상단부를 위쪽으로 더 늘려주는 동시에 그 늘린 공간 내부에 별도의 오일집적공간을 형성하여, 실링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오일이 오일집적공간에 집적되도록 함으로써, 오일이 외부로 누유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오일집적공간에 집적된 오일이 스프링의 압력으로 재차 하부 원통의 내부로 재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국 종래의 쇽 업소버에서 발생하던 외부 누유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2)

  1. 피스톤로드 및 적층밸브를 갖는 피스톤이 내재되는 상부 원통과, 오일이 충진되는 하부 원통과, 이 하부 원통의 상단에 장착되어 피스톤로드에 밀착되는 실링을 포함하는 쇽 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하부 원통의 실링 위쪽에 실링을 통해 누유되는 오일을 집적시킬 수 있는 오일집적수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의 누유 방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일집적수단은:
    상기 하부 원통이 실링 위쪽으로 연장되어 마련된 오일집적공간과;
    상기 피스톤로드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오일집적공간에 집적된 오일압에 의하여 승하강하며 오일을 기밀하는 상부피스톤과;
    상기 상부피스톤의 상면과 상기 오일집적공간의 저면간에 연결된 압력유지용 스프링;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의 누유 방지 장치.
KR1020070052571A 2007-05-30 2007-05-30 쇽 업소버의 누유 방지 장치 KR200801052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571A KR20080105254A (ko) 2007-05-30 2007-05-30 쇽 업소버의 누유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571A KR20080105254A (ko) 2007-05-30 2007-05-30 쇽 업소버의 누유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254A true KR20080105254A (ko) 2008-12-04

Family

ID=40366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2571A KR20080105254A (ko) 2007-05-30 2007-05-30 쇽 업소버의 누유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52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7996A (zh) * 2020-12-28 2021-04-30 沐玉良 一种新能源汽车用减震阻尼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27996A (zh) * 2020-12-28 2021-04-30 沐玉良 一种新能源汽车用减震阻尼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43241B (zh) 减震器及其液压阻挡器
JP6420602B2 (ja) 緩衝器
CN102011824B (zh) 具有自诊断特征的防漏减振器
KR101983482B1 (ko) 완충기
KR101510403B1 (ko) 배관 지지용 완충장치
WO1986004125A1 (en) Arrangement for a spring suspension system
JP6212408B2 (ja) 緩衝器
JP4898596B2 (ja) 空圧緩衝器
JP2009074562A (ja) 緩衝器
KR20080105254A (ko) 쇽 업소버의 누유 방지 장치
CN112513494B (zh) 铁道车辆用减震器
JP4514640B2 (ja) フロントフォーク
JP2011214633A (ja) シリンダ装置
JP2005201345A (ja) 自動二輪車等のフロントフォーク
JP2009024726A (ja) 空圧緩衝器
JP6630201B2 (ja) 緩衝器
JP2010014196A (ja) 単筒型油圧緩衝器
JPH11325149A (ja) ショックアブソ―バ
JP5456539B2 (ja) フロントフォーク
JP2011163439A (ja) エアバネ付緩衝器
KR100726587B1 (ko) 차고 조정식 쇽 업소버
KR20130130118A (ko) 주파수 감응형 쇽업소버
JP4898608B2 (ja) 空圧緩衝器
JP2010230067A (ja) 油圧緩衝器
KR100911403B1 (ko) 차량용 쇽 업소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