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3409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3409A
KR20080103409A KR1020080036258A KR20080036258A KR20080103409A KR 20080103409 A KR20080103409 A KR 20080103409A KR 1020080036258 A KR1020080036258 A KR 1020080036258A KR 20080036258 A KR20080036258 A KR 20080036258A KR 20080103409 A KR20080103409 A KR 20080103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haft
hinge plate
panel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4633B1 (ko
Inventor
타츠야 사카타
마코토 미야시타
토요키 다카하시
다이키 아다치
사치코 고야마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3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3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4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4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21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around a horizontal axi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7Arrangements for heating or cool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4Arrangements for heating and cool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본체 스탠드부와, 본체 스탠부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본체 스탠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 스탠부로부터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는 암부를 구비하며, 상기 암부는 상기 표시부의 수평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 단부상에 배치되며, 캔틸레버(cantilever) 상태로 표시부를 지지한다.
표시부, 지지부, 본체 스탠드부, 암부, 경첩부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2007년 5월 23일 일본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특허 JP 2007-137109호에 기재된 주제와 관련되며, 그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여기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표시장치의 화면이 설치된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구조로서 예를 들면 특개평 11-10223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랩탑(laptop) 컴퓨터에서 키보드가 설치된 본체부의 양단에 표시 패널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설치하고 표시 패널의 폭방향의 양단의 2개소에서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데스크탑형의 퍼스널 컴퓨터의 액정 표시 패널 등에서는, 탁자 등에 배치되는 액정 표시 패널의 본체부로부터 지지 암을 윗쪽에 설치하고, 액정 표시 패널의 폭방향의 중앙부를 지지 암으로 지지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번호 특개평 11-102235호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표시장치는, 표시 패널의 폭방향의 중앙, 또는 양단을 지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표시 패널을 시인했을 때에, 본체부로부터 지지부를 통해 표시 패널에 연결되는 구조 부분이 필연적으로 시야에 들어오게 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본래, 표시 화면만을 주시하고 싶은 경우에도, 표시 패널로부터 지지부를 통해 본체부에 이르는 표시 패널 지지 구조가 시야에 들어오게 된다. 이 때문에, 여분의 구조물이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게 되므로, 사용자가 표시 화면에만 주목하여 주시할 수 없었다.
표시 패널의 중앙, 또는 양단에 표시 패널의 지지부를 마련하면, 본체부 또는 표시 패널에 대한 지지부의 배치의 자유도가 낮아져, 본체부에 조작 버튼을 배치하는 경우 등에, 지지부의 위치에 의해서 조작 버튼의 배치에 제약이 생기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며, 사용자가 표시 화면만을 주시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구조물이 시야에 들어가는 것을 극력 억제하여, 표시 내용을 확실히 인식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 또한 개량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와, 표시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표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추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표시부의 수평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상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부는 캔틸레버(cantilever) 상태에서 지지를 받는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표시부는 본체부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된 지지부에 의해 지지를 받는다. 지지부는 표시부의 수평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 배치된다. 표시부는 캔틸레버 상태에서 지지부에 의해 지지를 받는다. 그러므로, 지지부가 사용자의 시야로부터 빗나가 사용자에 대해서 표시 화면만을 독립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사용자에게 표시 화면이 떠 있는 느낌을 환기시키는 것과 동시에 양호한 디자인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지지부는 표시부의 수평 방향의 좌측 또는 우측의 단부에 접속된 것이어도 괜찮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지지부가 사용자의 시야로부터 확실히 들어오지 않으므로, 사용자에 대해서 표시 화면만을 독립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부는 표시부의 이면측의 본체부상의 소정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수직 방향에 대해서 표시부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된 것이어도 괜찮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지지부는 표시부의 뒤에 숨겨지게 되며, 지지부가 사용자의 시야내에서 인식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표시부가 공간에 떠 있는 감각을 일으키도록 하여 부유감(floating)과 경량감(lightness)이 우수한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는 수직 방향에 대해서 45도 이상의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된 것이어도 괜찮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지지부를 보다 확실하게 표시부의 뒤에 숨길 수 있어 지지부가 사용자의 시야내에서 인식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지지부는 본체부의 최후부(backmost part)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되어도 괜찮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직 방향에 대한 지지부의 경사 각도를 보다 크게 하는 것이 기능하므로 지지부를 표시부의 뒤에 숨길 수 있다.
또한, 지지부는 표시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것이어도 괜찮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표시부의 상부를 보다 얇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수평 방향의 회전 중심축에 대해 표시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경첩부를 통해 지지부에 접속된 것이어도 괜찮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표시부의 경사 위치를 최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표시 화면을 확실히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 화면만을 주시할 수 있고 표시 내용을 확실히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양호한 디자인을 유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표시장치의 전체 구성]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표시장치(1000)의 외관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a는, 정면 우측 상부로부터 표시장치(1000)를 관찰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b는, 표시장치(1000)의 배면, 우측 상부로부터 표시장치(1000)를 관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정면 좌측에서 표시장치(1000)를 관찰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표시장치(1000)는 본체(100), 암부(지지부)(200), 및 구성요소를 나태내는 표시(표시부)(300)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표시장치(1000)는, 예를 들면 텔레비젼 방송의 영상 등을 수신하고 표시부(300)의 표시 화면(300a)에 표시하는 것이다.
표시부(300)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Electro Luminescence)현상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유기 EL패널)(320)을 갖추고 있다. 유기 EL패널(320)은 자발광 소자인 복수의 유기 EL소자를 포함하며, 백 라이트 등의 구성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그 두께는 충분히 얇게 구성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표시부(300)는 그 두께(t)가 수mm 정도(3mm정도) 이하로 억제되어 있어 매우 얇은 두께를 가지는 얇은 패널로 되어 있다.
암부(200)는, 본체 스탠드부(100)의 후방에 1개소 설치되고 본체 스탠드부(100)로부터 윗쪽을 향해서 설치되어 있다. 암부(200)는, 표시장치(1000)를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에, 본체 스탠드부(100)의 횡방향(수평 방향)의 중심보다 우측으로 설치되어 있어 표시부(300)의 횡방향의 중심보다 좀 더 우측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표시장치(1000)에서는, 표시부(300)의 수평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의 어느 한 측에 암부(200)가 설치되어 표시부(300)가 캔틸레버 상태로 지지를 받고 있다. 암부(200)는, 표시부(300)의 수평 방향의 단부에 접속해도 좋다. 암부(200)의 상단을 표시부(300)의 수평 방향의 중심 근방에 접속하고, 하단을 도 1a와 도 1b와 같이 본체 스탠드부(100)의 단부에 접속하여, 캔틸레버 구조가 얻어질 수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의 경우, 백 라이트(backlight)가 필요하기 때문에, 표시부의 두께가 두꺼워져, 중량도 무거워진다. 특히,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컴퓨터용의 디스플레이가 아니고, 텔레비젼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로서의 사용을 상정했을 경우, 텔레비젼 수상기로서의 화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용 디스플레이보다 많은 백 라이트를 배치할 필요가 있다. 또, 액정 디스플레이에는, 백 라이트 외에, 백 라이트를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도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액정 디스플레이의 경우, 중량이 무거워져, 표시부를 캔틸레버 상태로 지지하기 위해서는, 암부를 포함한 디스플레이부의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필요가 있으므로, 구조의 복잡화, 중량의 증대가 상정된다. 따라서, 액정 디스플레이를 캔틸레버 상태로 지지하는 것은, 사용자의 편리성, 제조 코스트 등을 고려하면 현실적이지 않다.
유기 EL패널은, 자발광 소자인 유기 EL소자로 구성되므로, 백 라이트와 이것에 부수하는 인버터 등의 구성 부재는 불필요하고, 얇은 판자의 유리제의 패널만으로도 경량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표시부(300) 자체를 매우 경량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표시부(300)를 캔틸레버 상태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표시부(300)은, 암부(200)와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고 도 2의 화살표 A1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표시부(300)의 경사 위치를 소망하는 각도로 설정할 수 있다.
종래의 표시 패널에서는,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부재는, 일점 지지의 경우에 표시 패널의 횡방향의 중앙 부분을 아래 쪽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또, 2점 지지의 경우에는, 표시 패널의 횡방향의 양단 근방을 아래 쪽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암부(200)를 표시부(300)의 횡방향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이동 배치시키며, 표시부(300)를 캔틸레버 상태로 지지하기 때문에, 암부(200)가 사용자의 시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사용자에 대해서 표시 화면(300a)만을 독립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 대해서는, 마치 암부(200)가 없는 본체 스탠드부(100)상에 표시부(300)가 공중에 떠 있는 인상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300)를 캔틸레버 상태로 지지하여 사용자가 표시 화면(300a)만을 독립적으로 주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체 스탠드부(100)의 중앙에 암부(200)의 근원을 연결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암부(200)의 설치의 자유도가 향상한다. 따라서, 본체 스탠드부(100)의 내부 구조, 기판의 배치 등을 고려하여, 본체 스탠드부(100)에 대한 암부(200)의 설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설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본체 스탠드부(100)의 내부 구조를 고려한 다음에, 가장 효율 좋게 구성 부재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표시장치(1000)의 크기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일도 가능해진다. 게다가, 암부(200)가 본체 스탠드부(100)의 중앙에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본체 스탠드부(100)의 표면에 유효한 스페이스를 넓게 취할 수 있어 본체 스탠드부(100)의 표면에 표시부, 조작 버튼, LED 표시 등을 자유롭게 배치하는 일도 가능해진다.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부(200)는, 본체 스탠드 부(100)의 후방으로부터 표시부(300)의 이면으로 향해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2에서는, 수직 방향에 대한 암부(200)의 경사 각도(θ)는, 45°~ 60°정도의 값이 된다. 이에 의해, 표시부(300)를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에, 암부(200)는 표시부(300)의 뒤에 숨어 버려, 암부(200)가 사용자의 시야내에서 인식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암부(200)를 표시부(300)의 중심으로부터 이동시켜 배치하여 얻어지는 상승효과에 의해, 암부(200)가 사용자의 시야내에 인식되는 것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시야에는, 표시부(300)와 본체 스탠드부(100)만이 나타나고, 암부(200)는 대부분 시야에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표시부(300)와 본체 스탠드부(100)의 접속 상태를 직접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마치 공간에 표시부(300)가 떠 있다고 느껴진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표시부(300)의 두께가 수 mm정도로 매우 얇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있어서 표시부(300)의 경량감이 강조되어 인식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있어서, 공간에 표시부(300)가 떠 있는 느낌과의 상승효과에 의해, 부유감과 경량감이 우수한 표시부(300)가 제공된다.
사용자는, 공간에 떠 있는 것처럼 인식되는 표시부(300)의 표시 내용만을 주시할 수 있으므로 다른 구조물에 정신을 빼앗기는 일없이, 집중적으로 표시 내용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표시 화면(300a)이 떠 있는 느낌을 연출하면서, 양호한 디자인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표시 화면(300a)의 시인성을 큰 폭으로 향상시킨 표시장치(1000)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암부의 구성]
도 3은, 암부(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부(200)에는, 그 긴 방향에 따라서, 측면으로 관통하는 통로(230)가 형성되어 있으며, 홀로우(hollow)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홀로우 구조에 따라, 암부(200)는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암부(210)와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암부 (220)로 구성된다. 제 1 암부(210) 및 제 2 암부(220)는, 얇은 평판 모양으로 구성되어 통로 (230)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고 있어, 제 1 암부 (210) 및 제 2 암부 (220)의 두께는 최소한으로 억제되어 있다.
상술한 것처럼, 표시부(300)는, 매우 얇고, 경량감과 부유감이 우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부(300)를 지지하는 암부(200)에 대해서도, 홀로우 구조로서 두께를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표시부(300)와 같이 경량감과 부유감이 우수한 구성으로 할 수 있으므로, 표시장치(1000)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경량감과 부유감을 강조할 수 있다.
액정 표시 디스플레이의 경우,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암부를 홀로우 구조로 하고, 경량감과 경쾌감(airness)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기 EL패널(320)에 의해서 표시부(300)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암부(200)을 홀로우 구조로 했을 경우에도, 필요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300)를 확실히 지지하는 동시에, 경량감과 경쾌감이 우수한 양호한 디자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 1 암부(210)의 표면에는 커버(240)를 씌울 수 있다. 그리고, 제 1 암부 (210)의 표면과 커버(240)의 사이에는, 본체 스탠드부(100)와 표시부(30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250)이 내장되어 있다.
도 4a-도 4g는 암부(200)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여기서, 도 4a는 표시부(300)의 정면측으로부터 암부(200)를 본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b는 좌측면도, 도 4c는 우측면도, 도 4d는 표면도, 도 4e는 하면도, 도 4f는 배면도, 도 4g는 도 4c중의 일점 쇄선(I-I‘)에 따르는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있다. 커버(240)를 떼어낸 상태의 암부(200)의 본체부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등의 금속을 소재로 하여 주조나 기계 처리를 통해 일체적인 블록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 도 5a-도 5g는, 커버(240)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모식도이다. 여기서, 도 5a, 표시부(300)의 정면측으로부터 커버(240)를 본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b는 좌측면도, 도 5c는 우측면도, 도 5d는 표면도, 도 5e는 하면도, 도 5f는 배면도, 도 5g는 도 5c중의 일점 쇄선(II-II‘)에 따르는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5a-도 5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240)에는, 철부(concave part : 242)가 설치되어 있고, 철부(242)의 양측의 측벽(242a)이, 제 1 암부(210)의 폭방향의 측면과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250)은 철부(242)의 바닥에 수납된 상태에서 제 1 암부(210)와 커버(240)의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250)이 외관에 노출되지 않는다.
표시부(300)를 유기 EL패널(320)로부터 구성하여, 표시부(300)의 중량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암부(200)가 홀로우 구조를 가지더라도 필요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암부(200)를 홀로우 구조로 하고, 암부(200)의 체적을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경량감이 있고, 얇은 틀로 구성된 표시부(300)가 얻어지며 부유감과 경쾌감을 사용자에게 환기시킬 수 있다. 또, 제 1 암부(210)안에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250)을 내장하여, 사용자에게 배선의 존재를 의식시키지 않는 구조로 할 수 있다.
암부(200)를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아크릴 등의 투명한 수지 재료, 또는 투명한 유리 등으로 구성해도 좋다. 암부(200)를 투명하게 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에게 암부(200)의 존재를 보다 의식시키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사용자에 대해서 표시 화면(300a)를 주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표시장치(1000)의 부유감과 경쾌감을 사용자에게 더욱 환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표시부의 구성]
도 6은, 표시부(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표시부(30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300)는 베즐(310), 유기 EL패널(320), 흑연 시트(330), 베이스 플레이트(340), T기판(350), 경첩부(360), 리어 커버(420)와 T커버(430)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40)는 표시부(300)의 주요한 골격을 이루는 부재이며, 암부(200)는, 경첩부(360)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340)에 연결된다. 또, 유기 EL패널(320), T기판(350), 경첩부(360) 등의 주요 구성 부재는, 베이스 플레이트(340)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유기 EL패널(320), T기판(350), 경첩부(360), 리어 커버(420), T커버(430)와 같은 표시부(300)를 구성하는 주요한 부재는, 모두 베이스 플레이트(340)를 기준으로 하여 장착된다.
유기 EL패널(320)의 이면에는, 흑연 시트(330)를 붙일 수 있다. 유기 EL패널(320)은, 흑연 시트(330)를 붙일 수 있는 면을 베이스 플레이트(340)에 대향시킨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340)에 대해서 점착 테이프에 의해 고정된다.
T기판(350)은 경질 기판으로 구성되며, 유기 EL패널(320)과 접속되는 전원 라인과 신호 라인에 접속되어 있다. T기판(350)의 크기는 베이스 플레이트(340)의 크기에 대응하고 있으며, T기판(350)은 베이스 플레이트(340)에 대해서, 유기 EL패널(320)이 고정된 면의 반대 측에 고정되어 있다.
경첩부(360)는 암부(200)와 베이스 플레이트(340)를 연결하는 구성 부재이다. 경첩부(360)는 삼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는 금속제의 제 1경첩판(362)및 제 2경첩판(364), 금속제의 샤프트(366) 등의 구성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샤프트(366)는 표시부(300)의 하단을 따라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1경첩판(362) 및 제 2경첩판(364)은 베이스 플레이트(340)에 대해서 고정되어 샤프트(366)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한편, 샤프트(366)는 암부(200)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340)는 암부(200)에 고정된 샤프트(366)에 대해서 회동할 수 있으며 이 때, 회전 중심축은 샤프트(366)의 중심축이 된다. 이에 의해, 상술한 것처럼 도 2의 화살표(A1)방향으로 표시부(300)를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표시부(300)의 경사 각도를 가변하는 것이 가능하다.
베즐(310)은, 유기 EL패널(320)의 가장자리에 장착되고 표시부(300)의 가장 자리의 외관을 구성하는 부재이다. 리어 커버(420) 및 T커버(430)는 표시부(300)의 이면을 덮는 금속제의 커버이다. 리어 커버(420)에는, T기판(350) 및 경첩부(360)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통로(4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주로 표시부(300)의 이면의 상부를 덮고 있다. 한편, T커버(430)는, 통로(422)의 위치에 대응하여 장착되어 T기판(350) 및 경첩부(360)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40), T기판(350), 및 경첩부(360)는, 모두 표시부(300)의 아래 쪽의 반이하의 영역에만 설치되어 있으며, 표시부(300)의 전체의 면적에 대해서 베이스 플레이트(340), T기판(350), 및 경첩부(360)가 차지하는 면적은 최소한으로 억제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340), T기판(350), 및 경첩(360)부가 배치된 영역 이외에서는, 주로 유기 EL패널(320), 흑연 시트(330), 리어 커버(420)의 3개의 부재만이 표시부(300)의 두께를 한정한다. 따라서, 특히 표시부(300)의 위쪽 반을 포함한 영역에서는, 표시부(300)의 두께를 매우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상술한 것처럼 두께를 3mm정도로 억제할 수 있다.
통상, 표시장치(1000)는 탁상 등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표시부(300)를 아래 쪽으로부터 보는 것은 대부분 없고, 표시부(300)의 두께는 위쪽으로부터 인식된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340), T기판(350), 경첩부(360) 등의 부재를 표시부(300)의 아래 쪽에 배치하고, 표시부(300)의 위쪽의 두께를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사용자에 대해서 표시부(300)의 얇다는 특성을 강조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것 같은 부유감과 경쾌감을 연출하면서, 양호한 디자인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7a-도 7c는, 베이스 플레이트(340)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 7a는 표시부(300)의 배면측으로부터 베이스 플레이트(340)를 본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b는 도 7a의 하면도, 도 7c는 도 7a의 배면도를 각각 가리키고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40)는 프레스 성형된 금속판으로 구성된다. 도 7a-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340)에는, 복수의 나사구멍(342, 344)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구멍(342)은 제 1경첩판(362) 및 제 2경첩판(364)을 고정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다른 나사구멍(344)은, T기판(350), T커버(430) 등의 표시부(300)의 구성요소를 고정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베즐(310)은, 유기 EL패널(320)의 주연부(periphery)에 대해서 접착에 의해 고정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즐(310)에는, 유기 EL패널(320)의 표시 화면(300a)을 노출시키기 위한 통로(312)가 설치되어 있다.
도 8a와 도 8b는, 리어 커버(420)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여기서, 도 8a는, 표시부(300)의 정면측으로부터 리어 커버(420)를 본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b는 표시부(300)의 배면측으로부터 리어 커버(420)를 본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를 각각 가리키고 있다.
도 9a-도 9g는, T커버(4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여기서, 도 9a는, 표시부(300)의 정면측으로부터 T커버(430)를 본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b는 좌측면도, 도 9c는 우측면도, 도 9d는 표면도, 도 9e는 하면도, 도 9f는 배면도, 도 9g는 도 9a중의 일점 쇄선(III-III‘)에 따르는 단면도를 각각 가리키고 있다.
도 8a와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 커버(420)에는, 베이스 플레이트(340), T기판(350), 및 경첩부(360)의 위치에 대응하여 통로(422)가 설치되어 있다. 또, 리어 커버(420)에는, 리어 커버(420)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가 삽입되는 관통공(424)이 설치되어 있다. 리어 커버(420)는, 후술하는 비와 같이, 베즐(310)에 대해서 고정되어 유기 EL 패널(320)의 배면측의 상부를 덮는다.
도 10은, T커버(430)를 떼어낸 상태에서 표시장치(1000)를 배면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표시부(300)의 아래 쪽의 영역에는, 베이스 플레이트(340), T기판(350), 경첩부(360)가 배치되어 있으며, T커버(430)를 떼어낸 상태에서는, T기판(350) 및 경첩부(360)가 리어 커버(420)의 통로(422)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도 9a-도 9g에 도시한 바와 같이, T커버(430)에는, 경첩부(360)의 샤프트(366)에 대응하는 철부(432)와 베이스 플레이트(340), T기판(350), 제 1경첩판(362), 및 제 2경첩판(364)이 배치된 영역에 대응하는 철부(434)가 설치되어 있다.또, T커버(430)에는, 암부(200)에 대응하는 위치에 노치 부분(cutout : 436)이 설치되어 있다.
T커버(430)를 리어 커버(420)위에 배치하면, 샤프트(366)가 철부(432)에 수납된다. 그리고, T기판(350), 제 1경첩판(362), 및 제 2경첩판(364)이 철부(434)에 수납된다. 이에 의해,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T기판(350), 경첩부(360) 등의 구성 부재가 T커버(430)에 의해서 덮힌다. 또, 암부(200)는 T커버(430)의 노치 부분(436)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다.
따라서, 표시부(300)의 배면 측에는, 리어 커버(420), T커버(430), 암부(200)만이 외부로 노출하므로, 매우 간단하고 세련된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특히, 표시부(300)의 위쪽에서, 두께에 관계하는 구성 부재는, 주로 유기 EL패널(320), 흑연 시트(330), 및 리어 커버(420)의 3가지 부재이므로, 매우 얇은 틀을 가지며 부유감과 경량감이 있는 표시부(300)를 구성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40)가 표시부(300)의 강성 부재가 되고, 표시부(300)의 주요한 구성요소가 베이스 플레이트(340)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매우 얇은 틀이면서, 충분한 강도를 갖춘 표시부(300)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경첩부의 구성]
도 11은, 표시장치(1000)를 배면으로부터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의 상태로부터 리어 커버(420), 베즐(310) 등의 부재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경첩부(36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a-도 13e는, 경첩부(360)의 구성을 상세하게 가리키는 모식도이다.여기서, 도 13a는, 표시부(300)의 배면측으로부터 경첩부(360)를 본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3b는 우측면도, 도 13c는 표면도, 도 13d는 하면도, 도 13e는 배면도를 각각 가리키고 있다.
경첩부(360)의 샤프트(366)는 암부(200)에 대해서 고정된다. 도 4a-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부(200)의 상부의 첨단에는 샤프트(366)가 장착되는 접수면(202)이 설치되어 있다. 접수면(202)에는, 보스(boss : 202a) 및 구멍(202 b)이 설치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366)의 외주면의 일부에는, 평탄면 (372)이 설치되어 있다. 평탄면 (372)에는, 암부(200)의 접수면(202)의 보스 (202a)가 삽입되는 구멍(372a)이 설치되어 있다. 또, 평탄면 (372)에는, 구멍 (202b)에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구멍(372b)이 설치되어 있다.
평탄면(372)은 암부(200)의 접수면(202)과 당접되어 있으며 구멍(372a)에 보스(202a)가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암부(200)의 뒤측으로부터 구멍(202b)에 나사를 삽입하고, 나사구멍(372b)으로 삽입시킴으로, 샤프트(366)가 암부(200)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첩부(360)의 샤프트(366)와 암부(200)가 일체화된다. 그리고, 일체화된 샤프트(366)와 암부(200)는 표시부(300)를 지지하는 강성 부재(rigid member)가 된다.
샤프트(366)는 표시부(300)의 하변에 따라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샤프트(366)를 회전 중심 축으로 하고, 제 1경첩판(362) 및 제 2경첩판(364)이 샤프트(366)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경첩판(362)에는, 복수의 구멍(362f)이 설치되어 있다. 제 2경첩판(364)에는, 복수의 구멍(364f)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멍(362f, 364f)은 베이스 플레이트(340)의 나사구멍(342)의 위치에 대응하고 있으며, 제 1경첩판(362) 및 제 2경첩판(364)은 구멍(362f, 364f)에 삽입한 나사를 베이스 플레이트(340)의 나사구멍(342)으로 단단히 삽입하여, T기판(350)을 베이스 플레이트(340)의 사이의 개재시킨 상태에서, 베이스 플레이트(340)에 대해서 고정된다. 이에 의해, 제 1경첩판(362) 및 제 2경첩판(364)은 베이스 플레이 트(340)와 함께 표시부(300)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강도 부재(strength members)가 된다.
도 14a-도 14c는 샤프트(366)의 구성을 상세하게 가리키는 모식도이다. 여기서, 도 14a는, 표시부(300)의 배면측으로부터 샤프트(366)를 본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우측면도, 좌측면도를 각각 가리키고 있다. 또, 도 14b는, 샤프트(366)의 중심 축에 따르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4c는, 도 14a중의 일점 쇄선(IV-IV‘)에 따르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a-도 1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366)는 중간 부분에서 분할되어 2개의 샤프트(368, 370)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평탄면(372)은 샤프트(368)에 설치되어 있다.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368)와 샤프트(370)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도랑(groove : 375)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샤프트(368)의 단부에는, 샤프트(370)의 결합구멍(370a)에 삽입되는 결합축(368a)이 설치되어 있다. 샤프트(370)의 단부에는, 평탄면(370g)이 설치되어 있다.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프트(368)의 결합축(368a)에는, 핀(369)이 삽입되는 2개의 구멍(368b)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샤프트(370)의 평탄면(370g)이 형성된 부위에는, 핀(369)이 삽입되는 2개의 구멍(370b)이 설치되어 있다.
샤프트(368)와 샤프트(370)는 결합구멍(370a)에 결합축(368a)을 삽입한 상태에서, 구멍(368b) 및 구멍(370b)에 핀(369)을 삽입하여 코킹(caulking)함으로써 고정된다. 이 때, 코킹에 의해, 핀(369)의 외경과 구멍(368b) 및 구멍(370b)의 내경이 결함하여 고정된다.
도 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축(368a)과 반대측의 샤프트(368)의 단부에는 결합축(368c)이 설치되어 있다. 또, 도랑(375)의 위치에는 결합축(368d)이 설치되어 있다. 결합축(368c)에는, 중심 축을 따라 소정의 깊이의 구멍(368e)이 설치되어 있다. 또, 결합축(368c)의 단면의 일부에는, 소정의 깊이의 결합도랑(368f)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샤프트(370)의 단부에는, 결합축(370c)이 설치되어 있다. 결합축(370c)에는, 중심 축을 따라 소정의 깊이의 구멍(370e)이 설치되어 있다. 또, 결합축(370c)의 단면의 일부에는, 소정의 깊이의 결합도랑(370f)이 설치되어 있다.
도 12및 도 13a-도 13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경첩판(362)의 양단에는, 샤프트(368)의 양단의 결합축(368c, 368d)과 결합하는 2개의 결합부(362a , 362b)가 밴드 처리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결합부(362a , 362b)에는, 각각 관통공(362c)(도 12 및 도 13a-도 13e에서는 도시 안됨)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제 2경첩판(364)의 일단에는, 샤프트(370)의 일단에 설치된 결합축(370c)에 결합하는 1개의 결합부(364a)가 밴드 처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364a)에는 관통공(364c)이 설치되어 있다.
도 15a-도 15b는, 제 1경첩판(362) 및 제 2경첩판(364)과 샤프트(366)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표시부(300)의 아래방향으로부터 샤프트(366)를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15a는, 샤프트(366)에 대해서 제 1경첩판(362)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5b는, 샤프 트(366)에 대해서 제 2경첩판(364)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셔(washer : 378)를 결합축(368c)에 삽입한 상태에서, 제 1경첩판(362)의 결합부(362a)의 관통공(362c)은 샤프트(368)의 결합축(368c)에 삽입된다. 또, 결합부(362b)의 관통공(362c)은 결합축(368d)에 삽입된다. 그리고, 용수철 와셔(379)를 결합축(368c)에 삽입한 상태에서는, 락 위치 규정판(380)이 결합축(368c)의 첨단에 장착되고, 코킹 핀(382)을 구멍(368e)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코킹 핀(382)이 구멍(368e)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락 위치 규정판(380)이 결합축(368c)의 첨단면에 고정되므로, 제 1경첩판(362)이 샤프트(368)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셔(378)를 결합축(370c)에 삽입한 상태에서, 제 2경첩판(364)의 결합부(364a)의 관통공(364c)이 결합축(370c)에 삽입되어, 용수철 와셔(379)가 결합축(370c)에 삽입된다. 그리고, 락 위치 규정판(380)이 결합축(370c)의 첨단에 장착되고 코킹 핀(382)이 구멍(370e)으로 삽입함으로써, 코킹 핀(382)이 구멍(370e)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락 위치 규정판(380)이 결합축(370c)의 첨단면에 고정되어 제 2경첩판(364)이 샤프트(370)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경첩부(360)를 조립할 때, 샤프트(366)를 샤프트(368)와 샤프트(370)로 분리한 상태에서, 먼저, 샤프트(368)의 결합축(368d)에 제 1경첩판(362)의 결합부(362b)의 관통공(362c)을 삽입한다. 다음에, 결합축(368c)에 와셔(378)를 삽입하고, 결합축(368c)에 결합부(362a)의 관통공(362c)을 삽입한다.
샤프트(368)의 결합축(368a)을 샤프트(370)의 결합구멍(370a)에 삽입하고, 구멍(368b) 및 구멍(370b)에 핀(369)을 삽입하여, 코킹함으로써 샤프트(368)와 샤프트(370)를 고정하여 일체화한다. 이에 의해, 샤프트(368)와 샤프트(370)의 사이에 도랑(375)이 형성되어 도랑(375)내의 결합축(368d)에 결합부(362b)가 결합한 상태가 된다.
샤프트(370)의 결합축(370c)에 와셔(378)를 삽입하고, 결합축(370c)에 제 2경첩부(364)의 결합부(364a)의 관통공(364c)을 삽입한다. 그리고, 샤프트(366)의 양단에서 결합축(368c)과, 결합축(370c)에 용수철 와셔(379)를 삽입하고, 결합축(368c)과, 결합축(370c)의 첨단면에 락 위치 규정판(380)을 부착하여 코킹 핀(382)을 구멍(368e)과, 구멍(370e)에 삽입하여 코킹한다.
제 1경첩판(362)은 2개소에 설치된 결합부(362a, 362b)의 관통공(362c)이 샤프트(368)의 양단의 결합축(368c, 368d)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때문에, 샤프트(366)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를 받는다. 또, 제 2경첩판(364)은 1개소에 설치된 결합부(364a)의 관통공(364c)이 샤프트(370)의 단부의 결합축(370c)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때문에, 샤프트(366)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를 받는다. 따라서, 제 1의 경첩판(362) 및 제 2경첩판(364)의 쌍방이 샤프트(366)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제 1경첩판(362) 및 제 2경첩판(364)을 베이스 플레이트(340)에 장착하여, 강성 부재인 샤프트(366)를 회전 중심 축으로 하고, 표시부(300)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샤프트(366)에 대해서 2개의 제 1경첩판(362) 및 제 2경첩판(364)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지만, 1개의 경첩판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해도 좋다. 단, 샤프트(366)가 긴 경우에는, 1개의 경첩판의 양단에 마련한 결합부에서 경첩판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면, 샤프트(366)의 긴 방향의 중간 부분에서 경첩판이 샤프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서 변형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 경첩판에 회전 방향의 뒤틀림이 생겨 경첩판의 양단 사이에서 회전 각도 위치에 차위가 생기게 되므로, 경첩판의 회동이 부드럽게 행해지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본 실시 형태와 같이, 경첩판을 제 1경첩판(362)과 제 2경첩판(364)의 2개로 분할하고, 제 1경첩판(362)의 양단에 2개의 결합부(362a, 362b)를 마련하면, 경첩판 전체적으로 샤프트(366)와의 결합 개소를 3개소로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어 샤프트(366)의 중간부 근방에서 경첩판이 샤프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서 변형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경첩판을 분할하여, 개개의 경첩판의 강성이 높아지고, 경첩판의 뒤틀림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샤프트(366)의 양단에서 제 1경첩판(362) 및 제 2경첩판(368)의 회전 각도 위치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경첩판(362) 및 제 2경첩판(368)을 샤프트(366)에 대해서 부드럽게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표시부(300)의 경사 동작을 매끄럽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경첩판의 회동 락 기구]
도 16은, 락 위치 규정판(380)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락 위치 규정판(380)은, 판재를 프레스 가공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고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락 위치 규정판(380)에는, 코킹 핀(382)이 삽입되는 구멍(380a), 결 합축(368c, 370c)의 첨단의 결합도랑(368f, 370f)과 결합하는 돌기부(380b), 및 제 1경첩판(362), 제 2경첩판(364)의 회동 락 위치를 규정하는 돌기부(380c)가 설치되어 있다.
도 17a와 도17b는, 락 위치 규정판(380)의 돌기부(380c)에 의해서 제 1경첩판(362) 및 제 2경첩판(364)의 회전 위치가 규정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여기서, 도 17a는, 도 13a중의 화살표(A2)방향에서 제 1경첩판(362)의 결합부(362a)를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b는, 도 13a중의 화살표(A3)방향에서 제 2경첩판(364)의 결합부(364a)를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경첩판(362)의 결합부(362a)에는, 그 윤곽부에 철부(362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도랑(368f)에 돌기부(380b)를 삽입해 락 위치 규정판(380)을 결합축(368c)의 첨단에 장착하면, 철부(362d)의 위치에 락 위치 규정판(380)의 돌기부(380c)가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제 1경첩판(362)이 샤프트(366)의 중심축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했을 경우에, 철부(362d)의 양측의 단면(362e)이 돌기부(380c)와 당접하여, 제 1경첩판(362)의 회동 가능 범위가 규정된다.
이와 같이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경첩판(364)의 결합부(364a)에는, 그 윤곽부에 철부(364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도랑(370f)에 돌기부(380b)를 삽입하고 락 위치 규정판(380)을 결합축(370c)의 첨단에 장착하면, 철부(364d)의 위치에 락 위치 규정판(380)의 돌기부(380c)가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제 2경첩판(364)이 샤프트(366)의 중심축을 회전 중심으로 회동했을 경 우에, 철부(364d)의 양측의 단면(364e)이 돌기부(380c)와 당접하여, 제 2경첩판(364)의 회동 가능 범위가 규정된다.
제 1경첩판(362)의 철부(362d)의 2개의 단면(362e)의 각도 범위와 제 2경첩판(364)의 철부(364d)의 2개의 단면(364e)의 각도 범위는 동일하다. 도 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락 위치 규정판(380)의 각도 위치를 규정하는 결합도랑(368f 및 370f)은, 핀(369)에 의해 샤프트(368)와 샤프트(370)의 상대적인 각도 위치를 한정함으로써, 샤프트(366)의 중심 축에 대해 동일한 각도 위치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철부(362d)의 2개의 단면(362e)에 대한 돌기부(380c)의 각도 위치는, 철부(364d)의 2개의 단면(364e)에 대한 돌기부(380c)의 각도 위치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300)의 경사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제 1경첩판(362)의 가동 각도를 α11으로 하고, 제 2경첩판(364)의 가동 각도를 α12로 하면,α11=α21의 관계가 성립한다. 또, 표시부(300)의 경사를 하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제 1경첩판(362)의 가동 각도를α12로 하고, 제 2경첩판(364)의 가동 각도를 α22로 하면, α12=α22의 관계가 성립한다.
따라서, 표시부(300)의 경사를 상부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 경사가 락 되는(locked) 위치는, 제 1경첩판(362)과 제 2경첩판(364)의 쌍방에서 동일한 위치가 된다. 이에 의해, 샤프트(366)의 양단부에서 경사 위치를 동시에 락할 수 있으므로, 경사 위치가 락되었을 때에, 표시부(300)와 샤프트(366)의 사이에 뒤틀림이 생겨 버리는 것을 확실히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락 위치에서 표시부(300)의 상부가 샤프트(366)의 중심 축으로 대해 기울어 버리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표시부(300)의 부드러운 움직임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8a와 도 18b는 샤프트(368)와 샤프트(370)를 결합하는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여기서, 도 18a는, 샤프트(366)의 중심 축에 따르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8b는, 도 18a중의 일점 쇄선(V-V‘)에 따르는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8a와 도 18b의 예에서는, 샤프트(368)의 결합축(368d)을 샤프트(370)의 구멍(370h)에 삽입하고, 구멍(370h)의 키(370i)와 결합축(368d)의 키 도랑(368g)를 결합시켜, 샤프트(368)와 샤프트(370)의 각도 위치를 규정하고 있다. 샤프트(368)와 샤프트(370)는, 샤프트(370)에 고정용의 코킹 핀(367)을 코킹하고, 샤프트(370)로부터 샤프트(368)가 빠지지 않게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샤프트(368)의 결합도랑(368f)과 샤프트(370)의 결합도랑(370f)의 각도 위치를 규정할 수 있으므로, 경사 위치가 락 되는 위치를, 제 1경첩판(362)과 제 2경첩판(364)의 쌍방에서 동일한 위치로 할 수 있다.
[베즐과 유기 EL패널의 위치 결정]
도 19a-도 19c는 베즐(310)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도 19a는, 표시부(300)의 정면측으로부터 페즐(310)을 본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9b는 도 19a의 우측면도, 도 19c는 도 19a의 표면도를 각각 가리키고 있다. 도 20은, 표시부(300)의 배면측으로부터 베즐(310)을 본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9a-도 19c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즐(310)에는, 통로(312)가 설 치되어 있다. 베즐(312)은, 유기 EL패널(320)에 대해서 전면측으로부터 덮혀져 있으며, 통로(312)안에 유기 EL패널(320)의 표시 화면(300a)이 위치한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즐(310)의 이면에는, 유기 EL패널(320)에 대한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복수의 보스(314)가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보스(314)는, 한 세트를 구성하는 인접한 두 개의 보스들로 구성되며, 인접하는 보스(314)에는, 위치 결정용의 홀더(440)가 삽입된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즐(310)의 이면에는, 복수의 나사구멍(316)이 설치되어 있다. 리어 커버(420)는, 도 8a와 도 8b에 도시된 관통공 (424)에 삽입한 나사를 베즐(310)의 나사구멍(316)에 단단히 고정하여, 베즐(310)과의 사이에 유기 EL패널(320)을 삽입한 상태에서, 베즐(310)에 고정된다.
도 21은, 홀더(440)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홀더(440)는,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구성된다. 홀더(440)는 관통공(444)이 설치된 2개의 링부(442)와 링부(442)를 연결하는 연결부(446)를 갖추고 있다. 2개의 링부(442)는, 베즐(310)의 인접한 두 개의 보스(314)에 삽입된다.
도 22는, 베즐(310)의 이면의 인접한 두 개의 보스(314)에 링부(442)의 관통공(444)을 삽입하고, 베즐(310)에 홀더(440)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크기의 복수의 홀더(440)가, 베즐(310)의 장변, 단변의 복수개소에 장착된다. 그리고, 유기 EL패널(320)의 외형(도 22의 일점 쇄선으로 도시됨)이 링부(442)의 윤곽부와 당접하고, 링부(442)가 탄성변형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베즐(310)는 보스(314)에 삽입된 홀더(440)를 통해 유기 EL패널(320)에 대해서 위치 결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링부(442)의 가장자리에 유기 EL패널(320)의 가장자리가 당접하고 링부(442)가 탄성변형 하므로, 유기 EL패널(320)에 대한 베즐(310)의 위치 결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베즐(310)과 유기 EL패널(320)과의 사이에 충격력 등의 외력이 더해졌을 경우에도, 홀더(440)의 탄성에 의해 충격력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유기 EL패널(320)은 유리 제품이며, 충격력에 약하기 때문에, 홀더(440)의 탄성에 의해 충격력을 흡수하여로, 유기 EL패널(320)이 파손해 버리는 것을 확실히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
따라서, 매우 얇게 구성된 본 실시 형태의 표시부(300)에서는, 외부로부터 표시부(300)에 가해진 힘을 확실히 흡수할 수 있으므로 충격력 등의 외력에 대한 신뢰성을 확실히 향상시킬 수 있다.
[표시부의 기판 배선 구조]
도 23은, 유기 EL패널(320)과 T기판(350)을 접속하는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450, 460)과 유기 EL패널(320)이 접속된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 EL패널(320)의 상단에는, 전원 라인이 설치된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450)이 접속되어 있다. 또, 유기 EL패널(320)의 하단에는, 신호 라인이 설치된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460)이 접속되어 있다.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460)에는, 드라이버 IC(470)가 실장되어 있다. 드라이버 IC(470)는, 유기 EL패널(320)의 각 유기 EL소자를 발광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보내는 드라이버 IC이 다.
도 24는, 도 23의 구성이 표시부(300)에 포함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표시부(300)의 측면에서 유기 EL패널(320), 베이스 플레이트(340), T기판(350),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450,460)을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 EL패널(320)의 상단으로부터 인출된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450)은, 180°뒤로 접혀져 T기판(350)에 접속된다. 유기 EL패널(320)의 하단으로부터 인출된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460)은, 180°뒤로 접혀져 T기판(350)에 접속된다. 따라서, 유기 EL패널(320)의 배면에서, 유기 EL패널(320)의 전면에 대해 T기판(350)을 배치할 필요가 없어져, T기판(350)의 점유 영역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유기 EL패널(320)의 하부의 최소한의 범위에 T기판(350)을 배치할 수 있으므로, 특히 T기판(350)보다 상부의 영역에서 표시부(300)의 두께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T기판(350)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서는, 주로 유기 EL패널(320), 흑연 시트(330), 리어 커버(420)에 의해서 표시부(300)의 두께가 규정되기 때문에, 표시부(300)의 두께를 3 mm정도로 매우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경량감과 부유감이 우수한 표시부(300)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T기판(350)으로부터 인출된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450 ,460)을 유기 EL패널(320)에 접속하고 180°로 뒤로 접어서, 유기 EL패널(320)의 외형을 확장하는 일없이, 유기 EL패널(320)과 T기판(350)의 전기적 접속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표시부(300)의 기판 배선 구조에 의하면, 표시부(300)의 크기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표시부(300)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도 24는, 역시 베이스 플레이트(340)와 베이스 플레이트(340)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348)(제 1경첩판(362) 및 제 2경첩판(364))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40)는 지지 부재(348)의 적어도 일부에 밀착하여 결합되거나 또는 고정부(346)를 통해 지지 부재(348)와 결합된다. 상술한 것처럼, 베이스 플레이트(340)는 지지 부재(348)인 제 1경첩판(362) 및 제 2경첩판(364)에 결합되지만, 예를 들면, 표시부(300)에 경사 조정 기구를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24에 도시한 지지 부재(348)는 본체 스탠드부로부터 수직으로 배치된 스탠드 암의 구성 부재로 작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대해서도, 베이스 플레이트(340) 및 T기판(350)과 같은 표시부(300)를 구성하는 주요한 부재가 표시부(300)의 하부에 집약적으로 배치되므로, 특히 표시부(300)의 위쪽의 두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경첩부에 의한 방열 구조]
T기판(350)에는, 유기 EL패널(320)과 접속되는 전원 라인 및 신호 라인이 설치되어 있다. 또, T기판(350)에는, 전자 부품(352)이 실장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경첩부(360)의 제 1경첩판(362) 및 제 2경첩판(364)과 베이스 플레이트(340)의 사이에 T기판(350)이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로의 구동에 의해 T기판(350) 또는 전자 부품(352)에서 발생한 열은,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제의 제 1경첩판(362) 및 제 2경첩판(364)에 전달되어 확산된다. 따라서, T기판(350)의 열이 효과적으로 방열될 수 있다. 제 1경첩판(362) 및 제 2경첩판(364)에 전 달된 열은, 금속제의 리어 커버(420), T커버(43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T기판(350)의 발열에 의해 표시부(300)가 가열해 버리는 것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T기판(350) 또는 전자 부품(352)으로부터 제 1경첩판(362) 및 제 2경첩판(364)으로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열전도 부재를 통해 T기판(350) 또는 전자 부품(352)과 제 1경첩판(362) 및 제 2경첩판(364)을 접촉시켜도 좋다.
도 25는, 도 24의 상태를 표시부(300)의 배면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 EL패널(320)의 하단으로부터 인출된 복수의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460)을 180°뒤로 접어 T기판(350)에 접속하면, 드라이버 IC(470)가 수평 방향의 일직선상에 배열된다. 드라이버 IC(470)는, 샤프트(366)의 근방에서, 샤프트(366)의 연장 방향에 따라서 배치된다.
도 26은, 표시부(300)의 샤프트(366)의 근방의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460)상에 실장된 드라이버 IC(470)는 제 1경첩판(362)과 제 2경첩판(364)의 근원의 위치에 배치된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라이버 IC(470)와 제 1경첩판(362) 및 제 2경첩판(364)은 방열 시트(472)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또, 제 1경첩판(362) 및 제 2경첩판(364)과 리어 커버(420)는 방열 시트(474)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드라이버 IC(470)로부터 발생한 열은, 방열 시트(472)를 통해 제 1경첩판(362) 및 제 2경첩판(364)에 전달되어 확산된다. 그리고, 제 1경첩판(362) 및 제 2경첩판(364)의 열은, 방열 시트(474)를 통해 리어 커버(420)에 전달되며, 표시부(300)의 외부로 방열된다. 리어 커버(420)는 금속제이므로, 방열 효과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300)내의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드라이버 IC(470)는 유기 EL패널(320)에 배열된 각 유기 EL소자의 신호를 제어하기 때문에, 유기 EL패널(320)의 하단을 따라서 패널의 열방향(수평 방향)으로 배열된다. 또, 표시부(300)의 경사 위치를 가변하기 때문에, 경첩부(360)의 샤프트(366)도 유기 EL패널(320)의 하단을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해서 배치된다.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표시장치(1000)에서는, 드라이버 IC(470)의 배열 방향과 경첩부(360)의 샤프트(366)의 연장 방향을 동일 방향으로 할 수 있으므로 드라이버 IC(470)와 제 1경첩판(362) 및 제 2경첩판(364)의 배치 위치를 적절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드라이버 IC(470)에서 발생한 열을, 제 1경첩판(362) 및 제 2경첩판(364)를 통해 확실히 방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7은, 표시부(300)의 상부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 EL패널(320)의 상단으로부터 인출된 복수의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450)은, 180° 뒤로 접혀져서, 리어 커버(420)에 밀착한 상태로 하부의 T기판(350)으로 유도된다. 흑연 시트(330)는 유기 EL패널(320)의 이면의 전면에 부착되며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450)은, 흑연 시트(330)와 리어 커버(420)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기 EL패널(320)에서 발생한 열은, 흑연 시트(330)로 전달되며, 흑연 시트(330)내에서 확산 및 균일화된다. 그리고, 흑연 시 트(330)에서 확산된 열은, 리어 커버(420)에 전달되며, 리어 커버(420)로부터 외부로 방출된다. 리어 커버(420)는 금속제이기 때문에, 방열 효과를 보다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300)의 상부에 있어서도, 내부의 열을 리어 커버(420)로부터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체부의 구성]
도 28은, 본체 스탠드부(1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본체 스탠드부(100)의 표면의 커버를 제외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체 스탠드부(100)의 케이스는 금속제로 되어 있다. 본체 스탠드부(100)의 내부에는, 표시부(300)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 처리를 실시하는 회로 기판(O기판)(480), 회로 기판(B-CAS 기판)(490), 냉각 팬(520), 방열판(heat spreader)(500) 등이 간단하게 내장되어 있다. 본체 스탠드부(100)에는, 위성방송(BS, CS), 지상 디지털파 등의 튜너, LAN, HDMI, USB와 같은 각종 단자가 포함되어 있고, 이면 측에는 지상 디지털파를 수신하기 위한 로드 안테나(갱 antenna : 104)(도 1b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또, 본체 스탠드부(100)에는, 스피커 박스, 조작 버튼 등이 포함되어 있다.
도 29는, 도 28중의 일점 쇄선(VI-VI‘)에 따르는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회로기판(480, 490)과 방열판(500)과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회로 기판(480)에는, 복수의 전자 부품(480a)이 실장되어 있다. 또, 회로 기판(490)에는, 한 개 또는 복수의 전자 부품(490a)이 실장되어 있다.
방열판(500)은, 본체 스탠드부(100)의 형상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모양이며, 프레스 성형한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방열판(500)은, 본체 스탠드부(100)의 내부에서 전자 부품(480a)이 실장되어 있지 않은 영역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범위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있다.
방열판(500)은, 회로 기판(480, 490)에 실장된 전자 부품(480a , 490a)의 위치에 대응해서 설치된 복수의 철면(500a), 요면(convex surface :500b)을 갖추고 있으며, 회로 기판(480, 490)에 실장된 전자 부품(480a, 490a)은, 철면(500a) 또는 요면(500b)의 위치에서 방열판(500)과 접촉하고 있다.
철면(500a)과, 요면(500b)의 높이, 깊이는, 회로 기판(480)의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다른 복수의 전자 부품(480a)에 대응하고 있으며, 회로 기판(480)에 방열판(500)을 장착했을 경우에, 다른 높이의 복수의 전자 부품(480a)이 방열판(500)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철면(500a)과, 요면(500b)의 높이, 깊이는, 회로 기판(490)에 실장된 전자 부품(490a)의 높이에 대응하고 있다. 방열판(500)은, 전자 부품(480a, 490a)과 직접 접촉해도 좋고, 실리콘 고무 등의 열전도성 시트(방열 시트)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촉해도 좋다.
방열판(500)은, 냉각 팬(520)과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냉각 팬(520)과 함께 냉각 유니트를 구성한다.
냉각 팬(520)은, 원심 팬으로 구성되어 상하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측면에서 배출한다. 냉각 팬(520)의 하부에서 본체 스탠드부(100)내부에는 바깥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도시 안됨)가 설치되어 있다. 냉각 팬(520)의 회전에 의해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본체 스탠드부(100)의 후면에 설치된 개구부(102) 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열판(500)의 표면에는, 방열판(500)의 한 모서리로부터 냉각 팬(520)을 향해 연장되는 히트 파이프(heat pipe : 510)가 설치되어 있다. 히트 파이프(510)는, 예를 들면 구리 파이프, 구리 막대 등으로 구성되므로 방열판(500)의 표면에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히트 파이프(510)는, 방열판(500)상에서 철면(500a)과, 요면(500b)이 설치되지 않은 위치를 통과하도록 직선 모양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히트 파이프(510)를 직선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 코스트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 기판(480)에 설치된 전자 부품(480a)의 표면은, 방열판(500)의 철면(500a)의 위치에서 방열판(500)과 접촉하고 있다. 또, 회로 기판(490)에 설치된 칩(490a)의 아래쪽 면은, 방열판(500)의 요면(500b)의 위치에서 방열판(500)과 접촉하고 있다. 이 때, 각 전자 부품(480a, 480b)과 방열판(500)을, 방열 시트를 통해 접촉시켜, 각 전자 부품(480a, 480b)로부터의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판(500)에 전달하여 확산시킬 수 있다.
방열판(500)에 전달된 열은, 방열판(500)의 히트 파이프(510)로부터 냉각 팬(520)으로 유도된다. 따라서, 회로 기판(480, 490)상의 전자 부품(480a, 480b)에서 발생한 열을 히트 파이프(510)에 따라서 수송하고, 냉각 팬(520)으로부터 외부로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방열판(500)과 회로 기판(480)과의 사이에는 조인트부(530)가 설치되어 있다. 또, 본체 스탠드부(100)와 회로 기판(480)과의 사이에도 조인트부(530)가 설치되어 있다. 조인트부(530)를 도전성의 재료로부터 구성했을 경우, 회로 기판(480)의 접지 라인과 본체 스탠드부(100) 및 방열판(500)이 접속도므로, 방열판(500)이 접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방열판(500)에 의해 방열을 실시하는 것과 동시에, 방열판(500)을 접지 할 수 있기 때문에, 회로 기판(480, 490)에 대한 노이즈의 영향을 확실히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30은, 본체 스탠드부(100)의 내부 구성의 다른 예를 상세하게 가리키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스탠드부(100)의 내부에는, 아래 쪽으로부터 순서대로, 하부 커버(550), 메인 기판(560), 냉각부(570)와 톱 커버 블록(580)이 배치되어 있다.
도 31은, 메인 기판(560)의 표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메인 기판(560)의 표면에는, 다수의 전자 부품(562)이 배치되어 있다. 도 31에 도시한 6개의 영역(564a, 564b, 564c, 564d, 564e, 564f)은, 이러한 전자 부품(562)으로부터의 발열량이 특히 큰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도 32는, 메인 기판(560)상에 배치되는 냉각부(570)를 나타내고 있다. 도 28의 예와 같이, 냉각부(570)는, 방열판(572)과 냉각 팬(574)과 함께 일체화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 32는, 도 31의 영역(564a~564f)의 위치를 방열판(572)의 표면과 대응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역(564a~564f)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2개의 히트 파이프(576)가 설치되어 있으며, 히트 파이프(576)의 말단은 냉각 팬(574)에 접속되어 있다. 냉각 팬(574)은, 도 28의 냉각 팬(520)과 같이 원심 팬으로 구성되며, 상하로부터 흡수한 공기를 측부로 배출하고, 본체 스탠드부(100)의 외부로 배출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메인 기판(560)상에서 발열량이 큰 영역(564a~564f)을 지나도록 히트 파이프(576)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전자 부품(562)에서 발생한 열은 히트 파이프(576)에 전달되어 히트 파이프(576)를 통해 냉각 팬(574)에 보내진다. 따라서, 메인 기판(560)에서 발생한 주요한 열을 냉각 팬(574)에 효과적으로 보낼 수 있어 본체 스탠드부(100)의 내부의 열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첨부된 청구항과 그와 동등한 것들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수정과 결합, 소결합 및 변경들이 설계요구 및 다른 인자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들이 알 수 있다.
도 1a와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표시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정면 좌측에서 표시장치를 본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암부(arm unit)의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a-도 4g는, 암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a-도 5g는, 암부의 커버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6은, 표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도이다.
도 7a-도 7c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a-도 8b는, 리어 커버(rear cover)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a-도 9g, T커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T커버를 떼어낸 상태에서, 표시장치를 배면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상태로부터 리어 커버, 베즐(bezel) 등의 부재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경첩부(hinge)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a-도 13e는, 경첩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4a-도 14c는, 샤프트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5a-도 15b는, 제 1경첩판 및 제 2경첩판과 샤프트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은, 락 위치 규정판(lock position regulating plate)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a-도 17b는, 락 위치 규정판에 의해서 제 1경첩판 및 제 2경첩판의 회전 위치가 규정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8a-도 18b는, 샤프트의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9a-도 19c는, 베즐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0은, 표시부의 배면측으로부터 페즐을 본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1은, 홀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2는, 베즐에 홀더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3은,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과 유기 EL패널이 접속된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구성이 표시부에 포함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5는, 도 24 상태를 표시부의 배면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6은, 표시부의 샤프트의 근방의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7은, 표시부의 상부의 단면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8은, 본체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8중의 일점 쇄선 VI-VI‘에 따라 취한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0은, 본체부의 내부 구성의 다른 예를 상세하게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30에 도시된 메인 기판의 표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2는, 메인 기판상에 배치되는 냉각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Claims (7)

  1. 표시장치에 있어서,
    본체부와,
    표시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표시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표시부의 수평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상에 배치되며, 상기 표시부는 캔틸레버(cantilever) 상태로 지지를 받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표시부의 수평 방향의 좌측 또는 우측 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표시부의 이면측의 상기 본체부상의 소정 위치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수직 방향에 대해서 상기 표시부를 향해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수직 방향에 대해서 45도 이상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최후부로부터 수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표시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수평 방향의 회전 중심축에 대해 상기 표시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경첩부를 통해 상기 지지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80036258A 2007-05-23 2008-04-18 표시장치 KR1014646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37109A JP2008292691A (ja) 2007-05-23 2007-05-23 表示装置
JPJP-P-2007-00137109 2007-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3409A true KR20080103409A (ko) 2008-11-27
KR101464633B1 KR101464633B1 (ko) 2014-11-24

Family

ID=39712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258A KR101464633B1 (ko) 2007-05-23 2008-04-18 표시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8493723B2 (ko)
EP (1) EP1995507B1 (ko)
JP (1) JP2008292691A (ko)
KR (1) KR101464633B1 (ko)
CN (1) CN101311995A (ko)
BR (1) BRPI0801653A2 (ko)
RU (1) RU2517354C2 (ko)
TW (1) TWI3773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50943B1 (en) 2005-01-13 2013-06-05 Donaldson Company, Inc. Air filter cartridge and air cleaner assembly
US7520913B2 (en) 2005-02-04 2009-04-21 Donaldson Company, Inc. Non-cylindrical filter elements, and methods
JP4453717B2 (ja) * 2007-05-23 2010-04-21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JP4363460B2 (ja) * 2007-05-23 2009-11-11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08292691A (ja) * 2007-05-23 2008-12-04 Sony Corp 表示装置
JP5577335B2 (ja) 2008-07-22 2014-08-20 ドナルドソン 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エアークリーナアセンブリ、そのためのコンポーネント
KR100955480B1 (ko) * 2009-03-12 2010-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CN201956006U (zh) * 2011-03-21 2011-08-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平板显示装置
US9387425B2 (en) 2011-10-26 2016-07-12 Donaldson Company, Inc. Filter assemblies; components and features thereof; and, methods of use and assembly
EP2775192B8 (en) * 2013-02-07 2017-12-13 Flytech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and point-of-sale system having the display device
TWI505068B (zh) * 2013-02-07 2015-10-21 Flytech Technology Co Ltd A display device and a point-of-sale system having the display device
US9804639B2 (en) 2013-08-15 2017-10-31 Apple Inc. Hing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circuitry located in base
CN107223069B (zh) 2014-12-27 2021-06-22 唐纳森公司 过滤器滤芯;空气滤清器组件;外壳;特征;部件;以及方法
TWI579484B (zh) * 2015-08-28 2017-04-21 佳世達科技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JP6728611B2 (ja) * 2015-09-28 2020-07-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D812066S1 (en) 2016-06-08 2018-03-06 Humanscale Corporation Workstation
USD849456S1 (en) 2017-04-11 2019-05-28 Humanscale Corporation Workstation
US10758859B2 (en) 2017-08-09 2020-09-01 Donaldson Company, Inc. Filter cartridges; air cleaner assemblies; housings; features; components; and, methods
USD920986S1 (en) 2018-03-30 2021-06-01 Humanscale Corporation Monitor support bracket
USD849013S1 (en) 2018-03-30 2019-05-21 Humanscale Corporation Monitor arm
USD847823S1 (en) 2018-03-30 2019-05-07 Humanscale Corporation Monitor arm
USD907050S1 (en) 2018-04-25 2021-01-05 Humanscale Corporation Monitor support
CN108895261B (zh) * 2018-07-27 2020-06-26 广州创维平面显示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
USD879793S1 (en) 2018-10-29 2020-03-31 Humanscale Corporation Monitor support
USD879792S1 (en) 2018-10-29 2020-03-31 Humanscale Corporation Monitor support
USD1002792S1 (en) 2019-02-05 2023-10-24 Donaldson Company, Inc. Filter cartridge
USD933122S1 (en) * 2020-06-08 2021-10-12 Senor Tech Co., Ltd. Point-of-sale (POS) terminal
USD969130S1 (en) * 2021-01-29 2022-11-08 Top Victory Investments Limited Monitor

Family Cites Families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489A (en) 1886-09-21 fisher
US383739A (en) 1888-05-29 Fruit-stoning machine
JPS60165687A (ja) * 1984-02-08 1985-08-28 富士通株式会社 表示装置の調整機構
KR890004243B1 (ko) * 1984-12-07 1989-10-27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높이 조정 장치
JPH03113423A (ja) 1989-09-27 1991-05-14 Kanegafuchi Chem Ind Co Ltd 液晶表示素子
JPH03208088A (ja) * 1990-01-09 1991-09-11 Sharp Corp コンピュータ装置用表示器
JPH03113423U (ko) * 1990-03-05 1991-11-20
US5179447A (en) * 1991-04-16 1993-01-12 Hughes-Avicom International, Inc. Personal video player and monitor assembly for airline passenger seat console
JPH06979U (ja) * 1992-06-18 1994-01-11 小糸工業株式会社 座席用テレビ受像機
JPH06979A (ja) 1992-06-20 1994-01-11 Pfu Ltd プリンタ装置
JP3113423B2 (ja) 1992-10-16 2000-11-2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線路切替装置
JPH06230852A (ja) * 1993-01-28 1994-08-19 Sharp Corp 情報処理装置
US5398991A (en) * 1993-02-09 1995-03-21 Sony Trans Com Incorporated Seat arm display monitor deployment mechanism
USD349489S (en) * 1993-03-09 1994-08-09 Wang Jing Y LCD monitor
WO1994023476A1 (en) * 1993-03-26 1994-10-13 Zaidan Khalil S Hinge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s
USD383739S (en) * 1996-05-06 1997-09-16 KS-Design GmbH Computer monitor
JPH10222091A (ja) * 1997-02-07 1998-08-21 Yokogawa Denshi Kiki Kk デュアルモニター
RU2118845C1 (ru) * 1997-04-04 1998-09-10 Сергей Львович Востриков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корпуса компьютера и откидной панели дисплея (варианты)
RU5656U1 (ru) * 1997-04-04 1997-12-16 Сергей Львович Востриков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корпуса компьютера и откидной панели с дисплеем
JP3208088B2 (ja) 1997-05-22 2001-09-10 政澄 石田 自動解施錠具及び自動解施錠具付開き戸家具
KR200183046Y1 (ko) * 1997-07-01 2000-06-01 윤종용 Lcd모니터
JP3991395B2 (ja) 1997-09-25 2007-10-17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JPH11215448A (ja) * 1998-01-26 1999-08-06 Jamco Corp ディスプレイ支持装置
JP2000244146A (ja) * 1999-02-17 2000-09-08 Sony Corp コンピュータ装置及び表示装置
US6229693B1 (en) * 1999-03-31 2001-05-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rticulated display for notebook computer
JP4421011B2 (ja) * 1999-06-16 2010-02-24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
JP2002023651A (ja) * 2000-06-27 2002-01-23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角度調整装置
JP2002132382A (ja) 2000-10-23 2002-05-10 Sorukusu Design:Kk 携帯型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US7154397B2 (en) * 2001-08-03 2006-12-26 Hill Rom Services, Inc. Patient point-of-care computer system
JP2003122447A (ja) * 2001-10-11 2003-04-25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コンピュータ装置、モニタユニットおよびモニタユニットの受入台
JP2003140775A (ja) 2001-11-05 2003-05-16 Citizen Watch Co Ltd 携帯型情報端末
EP1742468A3 (en) 2002-08-02 2008-12-31 Sony Corporation Flat type image display apparatus
US7446757B2 (en) * 2002-09-17 2008-11-0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Foldable display, input device provided with the display and foldable keyboard, and personal computer provided with the input device
US6788530B2 (en) * 2002-09-24 2004-09-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ser friendly computer equipment, monitor unit, and monitor unit setting base
KR100482007B1 (ko) * 2002-09-28 2005-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니터장치
JP2004169901A (ja) * 2002-11-22 2004-06-17 Nec Mitsubishi Denki Visual Systems Kk ヒンジ機構およびディスプレイモニター
JP3598517B2 (ja) * 2003-01-14 2004-12-0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
AU2003901297A0 (en) * 2003-03-20 2003-04-0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Systems and apparatus (fpd001)
JP4153951B2 (ja) * 2003-04-17 2008-09-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薄型表示装置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
JP2004348650A (ja) * 2003-05-26 2004-12-09 Toshiba Corp 電子機器
TWI221954B (en) * 2003-08-07 2004-10-11 Benq Corp Flat panel display
US6961234B2 (en) * 2003-09-04 2005-11-01 Kabushiki Kaisha Toshiba Display support mechanism
KR100594106B1 (ko) * 2004-01-27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JP2006030913A (ja) * 2004-07-21 2006-02-02 Sony Corp 表示装置用スタンド
US7251128B2 (en) * 2004-09-30 2007-07-31 Intel Corporation Adjustable portable computer
TWM280095U (en) * 2005-06-03 2005-11-01 Innolux Display Corp Heat sink
USD554639S1 (en) * 2005-08-31 2007-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uter monitor and base
TWI273819B (en) * 2005-09-08 2007-02-11 High Tech Comp Corp Dual-axis hinge
US8089750B2 (en) * 2005-10-18 2012-01-03 Computer Ergotech, Llc Multi-sectioned arm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0659107B1 (ko) * 2005-11-12 2006-1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JP2007137109A (ja) 2005-11-15 2007-06-07 Tokai Rika Co Ltd シフトレバー
US7646593B2 (en) * 2007-02-25 2010-01-12 Vladislava Smejkalova Adjustable laptop monitor apparatus
KR101312438B1 (ko) * 2007-03-29 2013-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장치
JP2008292691A (ja) * 2007-05-23 2008-12-04 Sony Corp 表示装置
JP4396726B2 (ja) * 2007-05-23 2010-01-13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315048A1 (en) 2008-12-25
CN101311995A (zh) 2008-11-26
RU2517354C2 (ru) 2014-05-27
TW200902897A (en) 2009-01-16
KR101464633B1 (ko) 2014-11-24
US8493723B2 (en) 2013-07-23
US9609699B2 (en) 2017-03-28
EP1995507A2 (en) 2008-11-26
RU2008120461A (ru) 2009-11-27
TWI377308B (en) 2012-11-21
US20130278131A1 (en) 2013-10-24
EP1995507A3 (en) 2010-05-05
US10067529B2 (en) 2018-09-04
US20170147031A1 (en) 2017-05-25
EP1995507B1 (en) 2013-06-05
BRPI0801653A2 (pt) 2009-01-13
JP2008292691A (ja)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103409A (ko) 표시장치
KR101442726B1 (ko) 표시장치
KR101437556B1 (ko) 표시장치
KR101493070B1 (ko) 표시장치
JP4508214B2 (ja) 表示装置
KR20100022952A (ko) 표시장치
JP4453717B2 (ja) 表示装置
JP2009063641A (ja) 表示装置
JP2009063640A (ja) 表示装置
JP2009063642A (ja) 表示装置
JP2008292696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