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2438A - 주문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2438A
KR20080102438A KR1020070010509A KR20070010509A KR20080102438A KR 20080102438 A KR20080102438 A KR 20080102438A KR 1020070010509 A KR1020070010509 A KR 1020070010509A KR 20070010509 A KR20070010509 A KR 20070010509A KR 20080102438 A KR20080102438 A KR 20080102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terminal
button
customer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헌
김태호
최성철
정우정
최호용
박근형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충청북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충청북도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10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102438A/ko
Publication of KR20080102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4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원의 동선을 줄일 수 있고 고객이 요청한 물품이 나오기까지의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주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고객의 주문 사항을 입력받는 고객용 단말기; 점원의 메세지를 입력받는 점원용 단말기; 및, 상기 고객용 단말기와 상기 점원용 단말기간의 통신을 제어 및 중계하는 중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주문 시스템. 호출, Zigbee, 근거리 통신

Description

주문 시스템{An order system}
도 1은 종래의 주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문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객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객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의 점원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테이블의 공간적 분포에 따른 라우터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 설명
250 : 중계 제어부 TB : 테이블
240 : 고객용 단말기 222 : 점원용 단말기
201 : 메시지 입력부 202 : 주문 표시부
본 발명은 주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점원의 동선을 줄일 수 있고 고객이 요청한 물품이 나오기까지의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주문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주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의 주문 시스템은, 각 테이블(TB1 내지 TB4)마다 설치된 호출용 벨(140)과, 상기 호출용 벨(140)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상기 호출용 벨(140)이 위치한 테이블 번호를 표시하는 표시부(101)를 포함한다.
각 테이블(TB1 내지 TB4)에는 테이블 번호가 각각 할당되어 있어서, 고객이 호출용 벨(140)을 누르면 이 호출용 벨(140)이 울림과 동시에, 상기 호출용 벨(140)이 위치한 테이블 번호가 표시부(101)에 표시된다. 그러면, 점원은 상기 표시부(101)를 봄으로써 현재 주문을 요청한 고객이 어느 테이블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번 테이블(TB1)에 위치한 고객이 호출용 벨(140)을 누른 경우, 이 호출용 벨(140)이 울림과 동시에 상기 표시부(101)에는 상기 호출용 벨(140)이 위치한 테이블의 번호, 즉 1번이 표시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점원이 호출용 벨(140)이 울린 테이블을 찾아가서, 직접 주문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점원의 동선 길이가 증가하며 이에 따라, 주문에서부터 고객이 요청한 물품이 나오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고객이 테이블상에 위치한 단말기를 통해 원하는 물품 및 이의 수량을 직접 주방에 전달함으로써, 점원의 동선을 줄일 수 있고 고객이 요청한 물품이 나오기까지의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주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문 시스템은, 고객의 주문 사항을 입력받는 고객용 단말기; 점원의 메세지를 입력받는 점원용 단말기; 및, 상기 고객용 단말기와 상기 점원용 단말기간의 통신을 제어 및 중계하는 중계 제어부를 포함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문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문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주문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테이블(TB1 내지 TB4)에 각각 구비된 고객용 단말기(240)와, 주방에 위치한 점원용 단말기(222)와, 상기 고객용 단말기(240)와 점원용 단말기(222)간의 통신을 제어 및 중계하는 중계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고객용 단말기(240)는 고객의 주문 사항을 입력받고, 이를 중계 제어부(250)에 송신한다. 그러면, 상기 중계 제어부(250)는 상기 주문 사항을 점원용 단말기(222)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점원용 단말기(222)에는 상기 고객의 주문 사항 및 상기 고객이 위치한 테이블(TB1 내지 TB4) 번호가 입력된다.
점원은 상기 점원용 단말기(222)에 수신된 내용을 통해, 현재 요청된 주문 사항과 이 주문 사항을 요청한 고객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상기 고객용 단말기(240), 상기 점원용 단말기(222), 및 상기 중계 제어부(250)는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망은 PAN(Personal Area Network)망이다. 이때 상기 중계 제어부(250)는 PAN 코디네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PAN망은 Zigbee망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고객용 단말기(240) 및 상기 점원용 단말기(222)의 통신모듈은 지그비 통신을 위한 지그비 모듈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객용 단말기(240), 상기 점원용 단말기(222), 및 상기 중계 제어부(250)는 지그비 방식으로 통신하며, 이때 상기 중계 제어부(250)는 코디네이터이고, 상기 고객용 단말기(240) 및 상기 점원용 단말기(222)는 엔드 디바이스이다.
여기서, 상기 고객용 단말기(240)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객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고객용 단말기(2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의 주문 사항을 입력하기 위한 주문 입력부(301)와, 상기 입력된 주문 사항을 표시하기 위한 주문 표시부(321)와, 점원용 단말기(222)로부터의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메세지 표시부(322)와, 그리고 알람부(360)를 포함한다.
상기 주문 표시부(321)에는 고객이 입력하는 주문 사항이 표시된다.
상기 메시지 표시부에는 점원으로부터의 알림 사항이 표시된다. 즉, 상기 메시지 표시부에는, 고객이 주문한 물품이 언제 도착할지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알람부(360)는 점원으로부터의 알림 사항이 표시부에 표시되었을 때, 소리를 출력함으로써 알림 사항이 도착했음을 고객에게 알린다.
상기 주문 입력부(301)는 다수의 메뉴 버튼(B1)들, 다수의 숫자 버튼(B2)들, 메뉴삭제 버튼(B5), 숫자삭제 버튼(B6), 주문완료 버튼(B3), 주문취소 버튼(B4), 저장 버튼(B7), 불러오기 버튼(B8), 및 호출 버튼(B9)을 포함한다.
각 메뉴 버튼(B1)에는 업소에서 판매하는 물품의 명칭이 기재되어 있다.
각 숫자 버튼(B2)에는 0부터 9까지의 숫자들 중 어느 하나가 기재되어 있는데, 이 숫자는 주문하고자 하는 물품의 수량을 나타낸다.
상기 메뉴삭제 버튼(B5)은 선택된 물품을 삭제하기 위한 버튼으로서, 고객은 이 메뉴삭제 버튼(B5)을 누름으로써 가장 최근에 입력된 물품 목록부터 삭제하게 된다. 즉, 이 메뉴삭제 버튼(B5)을 한번 누르면 가장 최근에 입력된 물품 목록이 지워지고, 한번 더 누르면 다음으로 최근에 입력된 물품 목록이 지워진다.
상기 숫자삭제 버튼(B6)은 선택된 숫자를 삭제하기 위한 버튼으로서, 고객은 이 숫자삭제 버튼(B6)을 누름으로써 가장 최근에 입력된 숫자부터 삭제하게 된다. 즉, 이 메뉴삭제 버튼(B5)을 한번 누르면 가장 최근에 입력된 숫자가 지워지고, 한번 더 누르면 다음으로 최근에 입력된 숫자가 지워진다.
주문완료 버튼(B3)은 현재 선택된 물품을 주문하기 위한 버튼이다. 즉, 고객은 자신이 선택한 물품의 목록 및 수량에 이상이 없을 경우, 이 주문완료 버튼(B3)을 누름으로써 상기 주문하고자 하는 물품의 목록 및 수량을 점원용 단말기(222)에 전송한다.
주문취소 버튼(B4)은 가장 최근에 전송한 주문을 취소하기 위한 버튼이다. 고객은 이 주문취소 버튼(B4)을 누름으로써 자신이 선택한 주문을 취소할 수 있다.
이때, 주문한 물품의 일부 수량만을 취소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고객은 먼저 취소하고자 하는 물품 및 수량을 선택하고, 이후 상기 주문취소 버튼(B4)을 누름으로써 원하는 수량의 물품에 대한 주문을 취소시킬 수 있다.
저장 버튼(B7)은 원하는 물품의 목록 및 수량을 저장할 수 있다. 즉, 고객은 자신이 자주 선택하는 물품의 목록 및 수량을 미리 저장시켜 놓음으로써, 언제든 간단한 조작만으로 원하는 물품의 목록 및 수량을 불러올 수 있다.
즉, 고객은 자신이 원하는 물품의 목록 및 수량을 입력시킨 후, 저장 버튼(B7)을 누른다. 이후, 숫자 버튼(B2)을 이용하여 자신이 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다시 저장 버튼(B7)을 눌러 저장을 마친다.
상기 불러오기 버튼(B8)은 고객이 저장한 물품의 목록 및 수량을 불러오기 위한 버튼이다. 즉, 고객은 자신이 저장한 물품의 목록 및 수량을 불러오기 위해서 상기 불러오기 버튼(B8)을 누른다. 이후, 자신이 지정했던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그러면, 주문 표시부(321)에는 자신이 저장했던 물품의 목록 및 수량이 표시된다. 이후, 고객은 주문완료 버튼(B3)을 누름으로써 상기 저장된 물품의 목록 및 수량에 대한 주문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호출 버튼(B9)은 점원을 자신의 테이블(TB1 내지 TB4)로 직접 호출하기 위한 버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객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객용 단말기(2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문 입력부(421), 및 메시지 표시부(480)를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 표시부(480)는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로 이루어진다. 각 발광다이오드(LED)의 각 일측에는 시간이 기재되어 있다. 이 시간은 주문된 물품이 고객에게 공급될 때까지의 예상 소요시간을 나타낸다.
주문을 받은 점원이 상기 예상 소요시간을 상기 고객용 단말기(240)에 전송하면, 해당 발광다이오드(LED)가 발광하게 된다. 이 발광된 발광다이오드(LED)의 일측에 기재된 시간을 통해, 고객은 주문한 물품이 언제 나올지를 예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시지 표시부(480)를 발광다이오드(LED)로 대체하게 되면 고객용 단말기(240)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주문 입력부(421)는 다수의 메뉴 판(433)들, 다수의 숫자 판(434)들, 주문완료 버튼(B12), 주문취소 버튼(B13), 다수의 선택 버튼(B11)들, 및 선택삭제 버튼(B14)을 구비한다.
상기 다수의 선택 버튼(B11)들을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각 메뉴 판(433)에는 물품의 명칭이 기재되어 있다. 이 메뉴 판(433)들은, Y 방향으로 배열된 버튼들을 따라 배열된다.
각 숫자 판(434)에는 0부터 4까지의 숫자들 중 어느 하나가 기재되어 있는데, 이 숫자는 0부터 4까지의 숫자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 숫자 판(434)은 X 방향으로 배열된 버튼들을 따라 배열된다.
고객은 상기 메뉴 판(433)들 중 원하는 물품의 명칭이 기재된 하나의 메뉴 판(433)을 선택하고, 상기 숫자 판(434)들 중 원하는 수량이 기재된 하나의 숫자 판(434)을 선택하고, 이 선택된 메뉴 판(433)과 숫자 판(434)에 의해 정해진 좌표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원하는 물품 및 수량을 입력할 수 있다. 이후, 주문완료 버튼(B12)을 눌러 원하는 수량의 물품을 점원용 단말기(222)에 전송함으로써 주문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선택삭제 버튼(B14)은 선택된 물품 및 수량을 삭제하기 위한 버튼으로서, 고객은 선택삭제 버튼(B14)을 누름으로써 가장 최근에 입력된 물품 및 수량 목록부터 삭제하게 된다. 즉, 이 선택삭제 버튼(B14)을 한번 누르면 가장 최근에 입력된 물품 및 수량 목록이 지워지고, 한번 더 누르면 다음으로 최근에 입력된 물품 및 수량 목록이 지워진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고객용 단말기(24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저장 버튼(B7), 불러오기 버튼(B8), 호출 버튼(B9), 및 알람부(360)를 더 구비할 수 도 있다.
이하, 점원용 단말기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2의 점원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원용 단말기(2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세지를 입력할 수 있는 메세지 입력부(201)와, 중계 제어부(250)를 통해 고객용 단말기(240)로부터의 주문 사항을 전송받아 표시하는 주문 표시부(202)를 포함한다.
상기 메세지 입력부(201)는, 메세지 표시부(566), 테이블 맵(533), 다수의 테이블 버튼(B31), 숫자 버튼(B32), 숫자삭제 버튼(B35), 확인 버튼(B33), 및 알람 부(511)를 포함한다.
상기 주문 표시부(202)는 고객용 단말기로부터의 주문 사항을 전송받아 상기 주문 사항 및 상기 주문을 요청한 고객의 테이블 번호를 표시한다.
상기 테이블 맵(533)에는 각 테이블이 아이콘(555) 형태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 각 아이콘(555)은 실제 업소내에 분포된 테이블(TB1 내지 TB4)의 공간적 위치를 나타낸다. 고객의 주문이 접수되면, 상기 주문을 요청한 고객의 테이블(TB1 내지 TB4)에 해당하는 아이콘(555)이 나머지 아이콘(555)과 다른 색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점원은 현재 주문을 요청한 고객의 정확한 위치를 상기 테이블 맵(533)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상기 테이블 맵(533)을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구성할 경우, 점원은 상기 테이블 맵(533)상의 아이콘(555)들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555)(주문을 요청한 고객이 위치한 테이블에 해당하는 아이콘(555))을 누름으로써 메시지를 전송하고 하는 테이블을 선택할 수 있다. 이 아이콘(555)을 누르게 되면, 이 아이콘(555)에 해당하는 테이블 번호가 메시지 표시부(566)에 표시된다.
각 테이블 버튼(B31)은 업소에 구비된 각 테이블(TB1 내지 TB4)과 일대일 대응되며, 점원은 상기 테이블 버튼(B31)들 중 어느 하나를 누름으로써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테이블을 선택한다. 상기 테이블 버튼(B31)을 누를 경우, 메시지 표시부(566)에는 테이블 번호가 표시된다. 한편, 상기 테이블 맵(533)이 터치 패널로 구성될 경우, 상기 테이블 버튼(B31)은 없어도 무방하다.
상기 숫자 버튼(B32)은, 현재 선택된 테이블에 물품이 전달될 때까지의 예상 소요 시간을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점원이 이 숫자 버튼(B32)을 누르게 되면, 메시지 표시부(566)에 예상 소요 시간이 표시된다.
상기 숫자삭제 버튼(B35)은 메시지 표시부(566)에 표시된 숫자를 삭제하기 위한 버튼으로서, 점원은 이 숫자삭제 버튼(B35)을 누름으로써 가장 최근에 입력된 숫자부터 삭제하게 된다. 즉, 이 메뉴삭제 버튼(B35)을 한번 누르면 가장 최근에 입력된 숫자가 지워지고, 한번 더 누르면 다음으로 최근에 입력된 숫자가 지워진다.
상기 확인 버튼(B33)은, 주문을 요청한 고객에게 상기 메시지 표시부(566)에 표시된 예상 시간을 전송하기 위한 버튼이다. 점원이 이 확인 버튼(B33)을 누르게 되면, 상기 고객의 테이블에 위치한 고객용 단말기(240)의 메시지 표시부(322)에 예상 시간이 표시된다. 따라서, 고객은 자신이 주문한 물품이 언제 도착할지를 알 수 있다.
한편, 고객용 단말기(240)로부터 호출용 신호가 접수될 경우, 상기 점원용 단말기(222)의 주문 표시부(202)에는 테이블 번호와 '호출'이라는 용어가 표시된다.
상기 알람부(511)는, 고객용 단말기(240)로부터의 주문이 접수되면 소리를 발생하여 점원에게 고객으로부터 주문이 접수되었다는 것을 알린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점원용 단말기(222)는 마이크 및 마이크 동작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마이크는 현재 선택된 테이블에 점원의 음성 메시지를 소리 형태로 알리기 위한 것으로, 상기 마이크 동작버튼을 누른 채 말 을 하면 이 말이 상기 마이크를 통해 고객용 단말기(240)의 알람부(511)를 통해 고객에게 전달된다. 이러한 마이크는 고객용 단말기(240)에도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객용 단말기(240)는 고객의 주문 사항을 점원용 단말기(222)에 전달하고, 상기 점원용 단말기(222)는 점원의 메시지를 상기 고객용 단말기(240)에 전달하는데, 이때 상기 고객용 단말기(240)와 상기 점원용 단말기(222)간은 중계 제어부(250)를 매개로 하여 통신한다.
이 중계 제어부(250)는 상기 고객용 단말기(240)(또는 점원용 단말기(222))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에러 유/무를 체크하여, 에러가 있을 경우 이를 고객용 단말기(240)(또는 점원용 단말기(222)에 알린다. 또한, 상기 중계 제어부(250)는 다수의 고객용 단말기(240)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의 순서를 체크하여 고객의 주문이 상기 점원용 단말기(222)에 순서대로 접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테이블의 공간적 분포에 따른 라우터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문 시스템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라우터(611, 6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라우터(611)는, 1층에 위치한 테이블들(제 1 및 제 2 테이블(TB1, TB2))에 설치된 고객용 단말기(240)들과 중계 제어부(250)간의 통신을 중계한다. 그리고, 제 2 라우터(612)는, 2층에 위치한 테이블들(제 3 및 제 4 테이블(TB3, TB4))에 설치된 고객용 단말기(240)들과 중계 제어부(250)간의 통신을 중계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주문 시스템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문 시스템을 이용하면, 고객이 점원을 호출할 필요 없이 바로 선택된 메뉴와 수량을 점원에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점원의 동선을 줄일 수 있으며, 더불어 고객이 요청한 물품이 나오기까지의 시간을 줄일 수 있다.

Claims (19)

  1. 고객의 주문 사항을 입력받는 고객용 단말기;
    점원의 메세지를 입력받는 점원용 단말기; 및,
    상기 고객용 단말기와 상기 점원용 단말기간의 통신을 제어 및 중계하는 중계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용 단말기는,
    상기 주문 사항을 입력할 수 있는 주문 입력부;
    상기 입력된 주문 사항을 표시하는 주문 표시부; 및,
    상기 점원용 단말기로부터의 메세지를 중계 제어부를 통해 전송받고, 이를 표시하는 메세지 표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입력부는,
    주문하고자 하는 물품의 명칭이 기재된 메뉴 버튼;
    상기 주문하고자 하는 물품의 수량이 기재된 숫자 버튼;
    상기 입력된 주문 사항을 삭제하기 위한 주문삭제 버튼;
    상기 입력된 물품의 수량을 삭제하기 위한 숫자삭제 버튼;
    상기 입력된 주문 사항을 점원용 단말기에 송신하고자 할 때 사용하기 위한 완료 버튼; 및,
    상기 점원용 단말기에 송신된 주문 사항을 취소하고자 할 때 사용하기 위한 취소 버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입력부는,
    주문 사항을 저장할 때 사용하기 위한 저장 버튼; 및,
    상기 저장된 주문 사항을 불러오기 위한 불러오기 버튼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시스템.
  5. 제 3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입력부는,
    주문 사항에 대한 총 비용을 상기 주문 표시부에 나타내기 위한 계산 버튼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세지 표시부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며, 각 발광다이오드의 일측에는 요청한 물품의 예상 도착시간이 기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입력부는,
    매트릭스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선택 버튼들;
    Y 방향으로 배열된 버튼들을 따라 배열되며, 주문하고자 하는 물품의 명칭이 기재된 다수의 메뉴 판들;
    X 방향으로 배열된 버튼들을 따라 배열되며, 상기 주문하고자 하는 물품의 수량이 기재된 다수의 숫자 판들;
    상기 입력된 주문 사항을 삭제하기 위한 선택삭제 버튼;
    상기 입력된 주문 사항을 점원용 단말기에 송신하고자 할 때 사용하기 위한 완료 버튼; 및,
    상기 점원용 단말기에 송신된 주문 사항을 취소하고자 할 때 사용하기 위한 취소 버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시스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용 단말기는,
    중계 제어부를 통해 점원용 단말기로부터의 메시지를 전송받았을 때, 소리를 발생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시스템.
  9. 제 3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입력부는, 점원을 호출하기 위한 호출 버튼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시스템.
  10. 제 3 도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 입력부는,
    점원용 단말기에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를 동작시키기 위한 마이크동작 버튼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원용 단말기는,
    메세지를 입력할 수 있는 메세지 입력부; 및,
    상기 고객용 단말기로부터의 주문 사항을 상기 중계 제어부를 통해 전송받고, 상기 주문 사항 및 상기 주문을 요청한 고객의 테이블 번호를 표시하는 주문 표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세지 입력부는,
    주문한 물품이 고객에게 공급될 때까지의 예상 소요시간을 입력할 수 있는 숫자 버튼;
    상기 입력된 메세지를 표시하는 메세지 표시부; 및,
    상기 입력된 메세지를 고객용 단말기에 송신하고자 할 때 사용하기 위한 완료 버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입력부는 테이블들의 공간적 위치를 아이콘으로 나타낸 테이블 맵(map)을 더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테이블 맵은, 주문을 요청한 고객의 테이블의 공간적 위치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점원용 단말기의 메시지 입력부는,
    고객용 단말기에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마이크; 및,
    상기 마이크를 동작시키기 위한 마이크동작 버튼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시스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원용 단말기는,
    중계 제어부를 통해 고객용 단말기로부터의 주문 사항을 전송받았을 때, 소리를 발생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시스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용 단말기, 상기 점원용 단말기, 및 상기 중계 제어부간은 Zigbee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제어부는 코디네이터이고, 상기 고객용 단말기 및 상기 점원용 단말기는 엔드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시스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제어부와 상기 고객용 단말기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라우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시스템.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제어부와 상기 점원용 단말기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라우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 시스템.
KR1020070010509A 2007-02-01 2007-02-01 주문 시스템 KR200801024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509A KR20080102438A (ko) 2007-02-01 2007-02-01 주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509A KR20080102438A (ko) 2007-02-01 2007-02-01 주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438A true KR20080102438A (ko) 2008-11-26

Family

ID=40288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509A KR20080102438A (ko) 2007-02-01 2007-02-01 주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102438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1346A (ko) * 2010-07-21 2012-02-0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매장 별 주문 값 설정 방법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
KR20190054458A (ko) 2017-11-13 2019-05-22 주식회사 카페에이전시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90054457A (ko) 2017-11-13 2019-05-22 주식회사 카페에이전시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19143037A1 (ko) * 2018-01-17 2019-07-25 주식회사 오리지널메이커스 음성 인식을 이용한 주문 처리 시스템 및 그 주문 처리 방법
KR20200038439A (ko) 2020-03-30 2020-04-13 주식회사 카페에이전시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1346A (ko) * 2010-07-21 2012-02-0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매장 별 주문 값 설정 방법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
KR20190054458A (ko) 2017-11-13 2019-05-22 주식회사 카페에이전시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90054457A (ko) 2017-11-13 2019-05-22 주식회사 카페에이전시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19143037A1 (ko) * 2018-01-17 2019-07-25 주식회사 오리지널메이커스 음성 인식을 이용한 주문 처리 시스템 및 그 주문 처리 방법
KR20200038439A (ko) 2020-03-30 2020-04-13 주식회사 카페에이전시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9479B1 (ja) 順番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6116729B1 (ja) クーポン配信システム
KR20080102438A (ko) 주문 시스템
US20160283867A1 (en) Vacant seat management system and vacant seat management method
KR20100042508A (ko)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는 무인 음식 주문 시스템 및 무인 음식 주문 방법
US20150058253A1 (en) Room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US20050046547A1 (en) Computerized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personnel response time in a restaurant
KR20160060185A (ko) 음식 주문 방법
US20220027821A1 (en) Merchandise delivery management system and program
JP2006163447A (ja) オーダリングシステム
JPWO2012020486A1 (ja) 注文管理システム
KR20090109451A (ko) 고객 무선호출 장치
JP4069048B2 (ja) 注文管理システム
KR100718200B1 (ko) 전자 주문 시스템
KR20190021883A (ko) 고객대기순번 관리시스템
KR20170014510A (ko)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배달관리 시스템
KR100973849B1 (ko) 음식점의 주문단말기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JP6928511B2 (ja) 携帯端末、物品注文提供システム
JP2011028462A (ja) 配送管理サーバ、及び配送管理プログラム
JP6677400B2 (ja) 注文受付システム
KR20040063322A (ko) Pos 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 주문 단말기
JPH0415745A (ja) 客席管理装置
JP5488901B2 (ja) 注文情報管理装置及び注文情報管理装置の制御方法
JP2020102121A (ja) 制御装置、端末制御システム
JP2002199115A (ja) ナースコ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