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510A -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배달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배달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4510A
KR20170014510A KR1020150108024A KR20150108024A KR20170014510A KR 20170014510 A KR20170014510 A KR 20170014510A KR 1020150108024 A KR1020150108024 A KR 1020150108024A KR 20150108024 A KR20150108024 A KR 20150108024A KR 20170014510 A KR20170014510 A KR 20170014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signal
emergency
management server
sm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1532B1 (ko
Inventor
마성권
임문철
Original Assignee
(주)아이토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토브 filed Critical (주)아이토브
Priority to KR1020150108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532B1/ko
Publication of KR20170014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배달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배달원 각각이 착용하는 스마트밴드(10)(10')(10")와; 각각의 스마트밴드(10)(10')(10")에서 발생된 신호를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관리서버(30);를 포함한다. 이때 스마트밴드(10)(10')(10') 각각은, 배달원이 착용하는 밴드본체(11)와; 배달원이 배달출발시 조작하는 것으로서, 출발을 하였다라는 출발신호를 발생하는 배달출발버튼(12)을 포함한다. 그리고 관리서버(30)는, 특정 주문자로부터 배달 주문이 입력되었을 때 그 주문자의 주소, 주문대상 및 휴대폰번호를 포함하는 주문정보를 입력하는 주문정보입력부(31)와; 상기 주문정보에 해당하는 배달을 특정 배달원에게 배정할 때 그 해당 배달원의 스마트밴드 또는 해당 배달원이 소지한 휴대폰에 부여된 식별자를 입력하는 식별자입력부(32)와; 상기 출발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해당 주문자에게 배달 출발하였음을 알리는 문자를 전송하는 문자전송부(3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배달관리 시스템{Delivery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band}
본 발명은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배달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배달원의 배달 업무를 통합적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배달원에게 사고 발생시 즉각 대처할 수 있는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배달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생활 환경의 변화나 생활 방식의 변화나 1인 가구의 증가에 따라, 예를 들면 음식을 직접 조리하기 보다는 배달하여 섭취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활동 시간이 다양해짐에 따라 배달 주문시간 역시 주간 및 초저녁 시간에서, 늦은 시간 및 새벽 시간까지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다양한 음식을 취급하며, 또한 새벽까지 배달 가능한 음식배달 전문점의 수가 늘어나고 있으며, 따라서 배달업무를 수행하는 배달원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
통상 배달원은, 골목등의 진입이 가능한 소형 오토바이나 스쿠터를 이용하여 음식을 배달하고 있다. 그런데 생소한 지역을 배달할 경우, 비나 눈이 올 경우, 또는 야간의 경우 배달 도중에 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많다. 특히 인적이 드문 장소나 새벽에 사고가 발생될 경우, 배달원은 사고 상태로 장시간 방치되어 목숨이 위태로운 경우가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배달원에게 사고가 발생할 때 이를 즉각적으로 파악하여 대처하기 위한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한편 영업장에서 많은 배달 주문이 접수될 경우, 배달원은 순서대로 배달업무를 수행하지만 배달시간이 지연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이 경우 주문자는 영업장으로 전화를 하여 배달지연에 따른 불만을 토로하는데, 이 경우 영업주는 일일이 배달원에게 전화를 걸어 위치확인을 하는등 확인업무를 추가로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업무에 차질이 생긴다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배달원의 배달 상황을 통합적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배달원에게 사고가 발생할 시 대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배달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달원이 출발시나 완료시 주문자에게 배달출발 또는 배달완료 문자를 전송함으로써 현재 배달 상황을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업장으로 불만사항 접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배달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배달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배달원 각각이 착용하는 스마트밴드(10)(10')(10")와; 상기 각각의 스마트밴드(10)(10')(10")에서 발생된 신호를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관리서버(3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스마트밴드(10)(10')(10') 각각은, 상기 배달원이 착용하는 밴드본체(11)와; 상기 배달원이 배달출발시 조작하는 것으로서, 출발을 하였다라는 출발신호를 발생하는 배달출발버튼(12)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30)는, 특정 주문자로부터 배달 주문이 입력되었을 때 그 주문자의 주소, 주문대상 및 휴대폰번호를 포함하는 주문정보를 입력하는 주문정보입력부(31)와; 상기 주문정보에 해당하는 배달을 특정 배달원에게 배정할 때 그 해당 배달원의 스마트밴드 또는 해당 배달원이 소지한 휴대폰에 부여된 식별자를 입력하는 식별자입력부(32)와; 상기 출발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해당 주문자에게 배달 출발하였음을 알리는 문자를 전송하는 문자전송부(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밴드(10)(10')(10")는, 배달원이 배달완료시 조작하는 것으로서, 배달을 완료하였다라는 완료신호를 발생하는 배달완료버튼(13)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문자전송부(33)는, 상기 완료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배달원이 배달을 완료하였다라는 메시지를 문자를 통하여 상기 해당 주문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밴드(10)(10')(10")는, 상기 배달도중 배달원의 신상에 문제가 발생할 때 제1비상신호를 자동으로 발생하는 제1비상신호발생부(15)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비상신호발생부(15)는, 상기 배달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신호를 발생하는 움직임신호발생부(15a) 및 상기 배달원에게 평소와 다른 충격이 인가되었을 때 충격신호를 발생하는 충격신호검지부(15b)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신호가 발생한 후 설정시간동안 상기 움직임신호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비상신호를 발생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밴드(10)(10')(10")는, 상기 배달원이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것으로서 위급상황이 발생되었다라는 제2비상신호를 강제로 발생하는 제2비상신호발생부(16)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30)는, 상기 관리자가 특정 식별자를 선택할 경우 그 식별자에 해당되는 스마트밴드의 동선 정보를 서버디스플레이(30a)에 표시하는 위치파악부(34)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밴드에서 발생된 신호를 상기 관리서버(30)로 직접 전송하고자 할 경우, 상기 스마트밴드는, 상기 배달원의 위치정보신호를 발생하는 GPS 모듈(17); 및 상기 출발신호, 완료신호, 제1,2비상신호 및 위치정보신호를 상용 광대역통신만을 통하여 상기 관리서버(30)로 전송하는 원거리 통신모듈(18);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밴드(10)(10')(10")에서 발생된 신호를 관리서버(30)로 간접 전송하고자 할 경우, 상기 스마트밴드는 상기 출발신호, 완료신호, 제1,2비상신호를 근거리 통신으로 해당 배달원의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모듈(19)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폰은 상기 출발신호, 완료신호, 제1,2비상신호 및 상기 휴대폰 자체내에 탑재된 GPS 모듈에서 발생된 위치정보신호를 상용 광대역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관리서버(3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달원이 착용하는 스마트밴드와 영업장에서 관리하는 관리서버가 상호 통신함으로써, 배달원이 배달 출발시나 배달 완료시 주문자에게 출발신호 또는 완료신호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관리서버는 주문자에게 배달 출발이나 완료 상황을 문자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주문자는 배달 상황을 파악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도착 예정시간을 추축할 수 있어 영업장에 불만을 제기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밴드가 도착확인버튼을 채용함으로써, 배달원이 영업장에 도착하였는 여부를 즉각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관리서버는 배달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가용 가능한 배달원을 자동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밴드가 제1,2비상신호발생부를 채용함으로써 배달업무도중 배달원에게 사고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고, 관리서버에서 제1비상신호 및/또는 제2비상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위치파악부에 의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배달원의 현재 위치 및 동선을 파악할 수 있어 적절한 대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관리자에 의하여 조작됨으로써, 주문자로부터 배달원의 현재 위치에 대한 문의가 들어왔을 때, 관리자는 배달원의 현재 동선위치를 확인한 후 주문자에게 답변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밴드가 제1,2비상신호발생부를 채용함으로써, 배달업무도중 배달원에게 사고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는 현재 배달원의 동선을 파악할 수 있어, 주문자로부터 배달원의 현재 위치에 대한 문의가 들어왔을 때 현재 위치를 주문자에게 답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배달관리 시스템의 개념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스마트밴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스마트밴드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제1비상신호발생부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관리서버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배달관리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배달관리 시스템의 개념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배달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배달원 각각이 착용하는 스마트밴드(10)(10')(10")와; 각각의 스마트밴드에서 발생된 신호를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관리서버(30)를 포함한다.
스마트밴드(10)(10')(10")는 관리서버(30)와 무선으로 직접 통신하거나, 해당 배달원 각각이 소지하는 휴대폰(20)(20')(20")을 통하여 관리서버(30)와 간접적으로 통신한다. 각각의 스마트밴드(10)(10')(10")는 식별을 위한 고유의 식별자를 가지며, 오토바이나 소형차량과 같은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물품을 배달하는 배달원의 신체, 예를 들면 팔목에 착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3 명의 배달원 각각이 오토바이(B)(B')(B")를 이용하여 배달물품으로 음식을 배달하는 것으로 예시하며, 이때 배달원 각각은 스마트밴드(10)(10')(10")를 착용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밴드의 수는 관리하고자 하는 배달원의 수에 비례하고, 운송수단은 오토바이뿐만 아니라 차량일 수도 있으며, 물품은 음식뿐만 아니라 택배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관리서버(30)는 영업장을 운영하는 관리자에 의하여 관리되는 것으로서, 특정 지역의 주문자에게 특정 배달물품, 예를 들면 특정 음식에 대한 주문을 전화 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받을 때, 관리자는 주문자의 주소, 휴대폰 번호, 주문 음식등을 입력한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밴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스마트밴드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제1비상신호발생부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밴드(10)(10')(10') 각각은, 배달원이 착용하는 밴드본체(11)와; 배달원이 배달출발시 조작하는 것으로서, 출발을 하였다라는 출발신호를 발생하는 배달출발버튼(12)과; 배달원이 영업장에 도착하였을 때 조작하는 것으로서, 영업장에 도착하였다라는 도착신호를 발생하는 도착확인버튼(14)과; 배달도중 배달원의 신상에 문제가 발생할 때 제1비상신호를 자동으로 발생하는 제1비상신호발생부(15)와; 배달원이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것으로서 위급상황이 발생되었다라는 제2비상신호를 강제로 발생하는 제2비상신호발생부(16);를 포함한다.
밴드본체(11)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배달원의 팔목에 채워지는 밴드(11a) 및 배달원의 팔목에 밀착되는 본체(11b)를 포함한다. 이때 본체(11b)에는 각종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11c)가 설치될 수 있다.
배달출발버튼(12)은 배달원이 조작하기 쉬운 위치, 예를 들면 본체(11b) 전면의 중앙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배달출발시 손가락으로 누르는 것에 의하여 배달출발을 하였다라는 출발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출발신호가 관리서버(30)로 전송되었을 때, 관리서버(30)는 주문자의 휴대폰으로 배달원이 출발하였음을 알리는 문자를 전송한다.
배달완료버튼(13)은 배달원이 조작하기 쉬운 위치, 예를 들면 본체(11b) 전면의 일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음식의 배달을 완료한 후 손가락으로 누르는 것에 의하여 배달을 완료하였다라는 출발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완료신호가 관리서버(30)로 전송되었을 때, 관리서버(30)는 주문자의 휴대폰으로 배달원이 배달을 완료하였다라는 문자를 전송한다.
도착확인버튼(14)은, 배달원이 조작하기 쉬운 위치, 예를 들면 본체(11b)의 전면 타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배달을 완료한 후 영업장에 도착하였을 때 손가락으로 누름에 의하여 도착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도착신호가 관리서버(30)로 전송되었을 때, 관리서버(30)는 배달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가용 가능한 배달원을 자동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배달출반버튼(12), 배달완료버튼(13) 및 도착확인버튼(14)이 독립적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하나 또는 두개의 버튼으로 구현할 수 있고, 이 경우 특정 버튼을 두번 혹은 세번 연속 또는 비연속적으로 누르는 것에 의하여 출발신호, 완료신호 및 도착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제1비상신호발생부(15)는 배달도중 배달원의 신상에 위급한 상황이 발생할 때 제1비상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제1비상신호발생부(15)는, 배달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신호를 발생하는 움직임신호발생부(15a) 및 상기 배달원에게 평소와 다른 충격이 인가되었을 때 충격신호를 발생하는 충격신호검지부(15b)를 포함한다. 그리고 충격신호가 발생한 후 설정시간동안 움직임신호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비상신호를 발생한다.
상기한 움직임신호는 배달원이 배달동작을 수행하는 동안에 연속적으로 발생하고, 충격신호는 움직임신호의 크기보다 큰 충격이 갑작이 인가되었을 때 발생한다. 이때 충격신호는 오토바이가 둔턱을 넘거나 갑작스럽게 정지하거나 배달원이 뛰거나 할 때 발생되기 때문에 단순히 충격신호가 발생되었다라는 것만으로 배달원에게 사고가 발생되었다고 볼 수 없다. 그러나 충격신호가 발생한 후, 소정시간, 예를 들면 10 초동안 배달원의 움직임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배달원이 정신을 잃었거나 움직일 수 없는 상황일 가능성이 매우 커진다.
즉 배달원이 착용한 스마트밴드에서 평소와는 다른 충격신호가 발생하고, 설정시간동안 움직임 신호가 발생되지 않았을 때 이는 사고가 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움을 요청하기 위한 제1비상신호를 발생하는 것이다.
제2비상신호발발생부(16)는 배달원이 필요에 따라 인위적으로 제2비상신호를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2비상신호발생부(16)는 배달원이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1b)의 측부에 설치되는 버튼으로 된다. 이러한 제2비상신호발생부(16)는 배달도중에 부상을 당하거나, 누군가로부터 위협을 당하는 등의 위급한 상황이 발생되었을 때, 배달원 스스로가 외부에 도움을 요청하기 위한 제2비상신호를 발생하는 것이다.
도 5는 도 1의 관리서버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서버(30)는, 특정 주문자로부터 배달 주문이 입력되었을 때 그 주문자의 주소, 주문대상 및 휴대폰 번호를 포함하는 주문정보를 입력하는 주문정보입력부(31)와; 주문정보에 해당하는 배달을 특정 배달원에게 배정할 때 그 해당 배달원의 스마트밴드 또는 해당 배달원이 지한 휴대폰에 부여된 식별자를 입력하는 식별자입력부(32)와; 상기 출발신호가 수신되거나 완료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해당 주문자에게 배달 출발 또는 배달 완료하였음을 알리는 문자를 전송하는 문자전송부(33)와; 관리자가 특정 식별자를 선택할 경우 그 식별자에 해당되는 스마트밴드의 동선 정보를 서버디스플레이(30a)에 표시하는 위치파악부(34);를 포함한다. 이러한 관리서버(30)는 영업자에 비치된 PC 로 구현되거나, 관리인이 소지하는 스마트폰이나, 웹서버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주문정보입력부(31)는 주문자로부터 전화 또는 인터넷으로 접수한 주문신호를 입력하는데, 이러한 주문신호에는 주문 음식뿐만 아니라 주문자의 주소, 주문자의 휴대폰번호등이 있다.
식별자입력부(31)는, 영업장에서 특정 배달원에게 예를 들면 주문된 음식에 대한 배달업무를 배정할 때, 그 해당 배달원에게 부여된 식별자를 입력한다. 이에 따라 특정 주문된 음식이 어떤 배달원에 의하여 배달되는지를 특정할 수 있는 것이다.
문자전송부(33)는, 관리서버(30)가 해당 배달원의 휴대폰(20)으로부터 출발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배달원이 배달을 위하여 출발하였다라는 메시지를 문자를 통하여 해당 주문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해당 배달원의 휴대폰(20)으로부터 완료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배달원이 배달을 완료하였다라는 메시지를 문자를 통하여 해당 주문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한다. 이때 문자메시지에는 배달출발시간을 표시함으로써 주문자가 추후 기다려야 할 시간을 추정할 수 있도록 하고, 배달완료시간을 표시함으로써 만약 오류일 수 있는 배달 음식의 뒤바뀜이나 미배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위치파악부(34)는 관리자자 현재 배달원의 동선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위치파악부는 상기한 제1비상신호 및/또는 제2비상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배달원의 현재 위치 및 동선을 파악할 수 있다. 또는 관리자에 의하여 조작됨으로써, 주문자로부터 배달원의 현재 위치에 대한 문의가 들어왔을 때, 관리자는 배달원의 현재 동선위치를 확인한 후 주문자에게 답변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밴드(10)(10')(10")에서 발생된 신호들을 관리서버(30)로 전송하는 방식은 직접 전송방식과 간접 전송방식으로 나누어지는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스마트밴드(10)(10')(10")에서 발생된 신호를 관리서버(30)로 직접 전송하고자 할 경우, 스마트밴드(10)(10')(10")는 배달원의 위치정보신호를 발생하는 GPS 모듈(17)과; 상기 출발신호, 완료신호, 도착신호, 제1,2비상신호 및 위치정보신호를 상용 광대역통신만을 통하여 무선으로 전송하는 원거리 통신모듈(18);을 포함한다.
이 경우, 각각의 스마트밴드(10)(10')(10")에서 발생되는 상기 출발신호, 완료신호, 도착신호, 제1,2비상신호는 물론 GPS 모듈(17)에서 발생된 위치정보신호는 원거리 통신모듈(17) 및 상용 광대역 통신망을 통하여 관리서버(30)로 전송된다.
(b) 스마트밴드(10)(10')(10")에서 발생된 신호를 관리서버(30)로 간접 전송하고자 할 경우, 스마트밴드(10)(10')(10")는 상기 출발신호, 완료신호, 도착신호, 제1,2비상신호를 근거리 통신으로 해당 배달원의 휴대폰(20)으로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모듈(19)을 포함한다. 이때 근거리 통신모듈(18)은 예를 들면 블루투스, 와이파이등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블루투스 통신모듈이다.
휴대폰(20)(20')(20")은 영업장에서 제공되는 스마트폰이거나 배달원이 소지하는 스마트폰으로서, 스마트밴드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관리서버(30)로 전송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다.
휴대폰은 현대인의 필수품으로서, 그 내부에 상용 광대역 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과, 휴대폰(20)(20')(20") 각각의 현재 위치정보를 발생하는 GPS 모듈이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다. 휴대폰(20)(20')(20") 각각은 해당 근거리 통신모듈(19)을 통하여 수신되는 완료신호, 도착신호, 위치정보신호 및 비상신호는 물론, 휴대폰 자체내에 탑재된 GPS 모듈에서 발생된 위치정보신호를 상용 광대역 통신망을 통하여 원거리에 위치된 관리서버(30)로 전송하는 것이다.
즉 상기한 완료신호, 도착신호, 위치정보신호 및 제1,2비상신호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라 통신모듈(19)을 이용하여 휴대폰(20)으로 전송된 후 휴대폰(20)에 의하여 관리서버(30)로 전송되거나, 상기한 완료신호, 도착신호, 위치정보신호 및 제1,2비상신호는 관리서버(30)로 직접 전송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달원이 착용하는 스마트밴드(10)(10')(10")와 영업장에서 관리하는 관리서버(30)가 상호 통신함으로써, 배달원이 배달 출발시나 배달 완료시 주문자에게 출발신호 또는 완료신호를 관리서버(30)로 전송하며, 관리서버(30)는 주문자에게 배달 출발이나 완료 상황을 문자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주문자는 배달 상황을 파악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도착 예정시간을 추축할 수 있어 영업장에 불만을 제기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스마트밴드(10)(10')(10")가 도착확인버튼(14)을 채용함으로써, 배달원이 영업장에 도착하였는 여부를 즉각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관리서버(30)는 배달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가용 가능한 배달원을 자동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밴드(10)(10')(10")가 제1,2비상신호발생부(15)(16)를 채용함으로써, 배달업무도중 배달원에게 사고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고, 관리서버(30)에서 제1비상신호 및/또는 제2비상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위치파악부(34)에 의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배달원의 현재 위치 및 동선을 파악할 수 있어 적절한 대처, 예를 들면 배달자원 휴대폰으로 전화를 걸어 확인하던지 응급센터나 119 에 전화를 걸어 해당 배달원에게 사고가 발생되었음을 알릴 수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관리자에 의하여 조작됨으로써, 주문자로부터 배달원의 현재 위치에 대한 문의가 들어왔을 때, 관리자는 배달원의 현재 동선위치를 확인한 후 주문자에게 답변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30)는 현재 배달원의 동선을 파악할 수 있어, 주문자로부터 배달원의 현재 위치에 대한 문의가 들어왔을 때 현재 위치를 주문자에게 답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10', 10" ... 스마트밴드 11 ... 밴드본체
11a ... 밴드 11b ... 본체
11c ... 디스플레이 12 ... 배달출발버튼
13 ... 배달완료버튼 14 ... 도착확인버튼
15 ... 제1비상신호발생부 15a ... 움직임신호발생부
15b ... 충격신호검지부 16 ... 제2비상신호발생부
17 ... GPS 모듈 18 ... 원거리 통신모듈
19 ... 근거리 통신모듈 20, 20', 20" ... 휴대폰
30 ... 관리서버 31 ... 주문정보입력부
32 ... 식별자입력부 33 ... 문자전송부
34 ... 위치파악부

Claims (8)

  1. 다수의 배달원 각각이 착용하는 스마트밴드(10)(10')(10")와; 상기 각각의 스마트밴드(10)(10')(10")에서 발생된 신호를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통신하는 관리서버(3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스마트밴드(10)(10')(10') 각각은,
    상기 배달원이 착용하는 밴드본체(11)와; 상기 배달원이 배달출발시 조작하는 것으로서, 출발을 하였다라는 출발신호를 발생하는 배달출발버튼(12)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30)는,
    특정 주문자로부터 배달 주문이 입력되었을 때 그 주문자의 주소, 주문대상 및 휴대폰번호를 포함하는 주문정보를 입력하는 주문정보입력부(31)와; 상기 주문정보에 해당하는 배달을 특정 배달원에게 배정할 때 그 해당 배달원의 스마트밴드 또는 해당 배달원이 소지한 휴대폰에 부여된 식별자를 입력하는 식별자입력부(32)와; 상기 출발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상기 해당 주문자에게 배달 출발하였음을 알리는 문자를 전송하는 문자전송부(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배달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밴드(10)(10')(10")는, 배달원이 배달완료시 조작하는 것으로서, 배달을 완료하였다라는 완료신호를 발생하는 배달완료버튼(13)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문자전송부(33)는, 상기 완료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상기 배달원이 배달을 완료하였다라는 메시지를 문자를 통하여 상기 해당 주문자의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배달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밴드(10)(10')(10")는,
    상기 배달도중 배달원의 신상에 문제가 발생할 때 제1비상신호를 자동으로 발생하는 제1비상신호발생부(1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배달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비상신호발생부(15)는,
    상기 배달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움직임신호를 발생하는 움직임신호발생부(15a) 및 상기 배달원에게 평소와 다른 충격이 인가되었을 때 충격신호를 발생하는 충격신호검지부(15b)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신호가 발생한 후 설정시간동안 상기 움직임신호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비상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배달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밴드(10)(10')(10")는,
    상기 배달원이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것으로서 위급상황이 발생되었다라는 제2비상신호를 강제로 발생하는 제2비상신호발생부(1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배달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30)는, 상기 관리자가 특정 식별자를 선택할 경우 그 식별자에 해당되는 스마트밴드의 동선 정보를 서버디스플레이(30a)에 표시하는 위치파악부(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배달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밴드에서 발생된 신호를 상기 관리서버(30)로 직접 전송하고자 할 경우,
    상기 스마트밴드는, 상기 배달원의 위치정보신호를 발생하는 GPS 모듈(17); 및 상기 출발신호, 완료신호, 제1,2비상신호 및 위치정보신호를 상용 광대역통신만을 통하여 상기 관리서버(30)로 전송하는 원거리 통신모듈(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배달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밴드(10)(10')(10")에서 발생된 신호를 관리서버(30)로 간접 전송하고자 할 경우,
    상기 스마트밴드는 상기 출발신호, 완료신호, 제1,2비상신호를 근거리 통신으로 해당 배달원의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근거리 통신모듈(19)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폰은 상기 출발신호, 완료신호, 제1,2비상신호 및 상기 휴대폰 자체내에 탑재된 GPS 모듈에서 발생된 위치정보신호를 상용 광대역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관리서버(3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배달관리 시스템.
KR1020150108024A 2015-07-30 2015-07-30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배달관리 시스템 KR101721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024A KR101721532B1 (ko) 2015-07-30 2015-07-30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배달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024A KR101721532B1 (ko) 2015-07-30 2015-07-30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배달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510A true KR20170014510A (ko) 2017-02-08
KR101721532B1 KR101721532B1 (ko) 2017-04-10

Family

ID=58154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024A KR101721532B1 (ko) 2015-07-30 2015-07-30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배달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5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9642A (zh) * 2017-11-22 2018-05-01 北京新弘宝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云服务器的智能手环
KR20220020299A (ko) * 2020-07-09 2022-02-18 (주)사랑과 선행 고객 맞춤형 도시락 배송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439B1 (ko) * 2023-05-08 2024-01-31 쿠팡 주식회사 매장 위치 보정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0119A (ja) * 2001-01-24 2002-08-06 Nec Corp 配達員現在位置把握システムおよび配達員用送信装置
JP2011118594A (ja) * 2009-12-02 2011-06-16 Japan Post Service Co Ltd 配達情報提供サーバ、配達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配達情報提供プログラム
KR20150031349A (ko) * 2013-09-13 2015-03-24 김정우 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39467A (ko) * 2013-10-02 2015-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웨어러블 아이템을 이용한 위험 상황 알림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0119A (ja) * 2001-01-24 2002-08-06 Nec Corp 配達員現在位置把握システムおよび配達員用送信装置
JP2011118594A (ja) * 2009-12-02 2011-06-16 Japan Post Service Co Ltd 配達情報提供サーバ、配達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配達情報提供プログラム
KR20150031349A (ko) * 2013-09-13 2015-03-24 김정우 주문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39467A (ko) * 2013-10-02 2015-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웨어러블 아이템을 이용한 위험 상황 알림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9642A (zh) * 2017-11-22 2018-05-01 北京新弘宝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云服务器的智能手环
KR20220020299A (ko) * 2020-07-09 2022-02-18 (주)사랑과 선행 고객 맞춤형 도시락 배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1532B1 (ko) 2017-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573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rder processing
CN103839435B (zh) 用于管理公共运输系统的方法和装置
EP3149670B1 (en) Delivery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11829933B2 (en) Beacon tracking
US20140279081A1 (en) Mobile devices, methods and computer systems for ensuring that a pickup order is freshly prepared when a consumer arrives to pick it up
JP2018147108A (ja) 配達管理装置、配達管理方法および配達管理システム
US20140180960A1 (en) Method For Issuing a Ticket to a Customer to a Queue, a Mobile Device and a Queue Ticket Terminal
JP6898115B2 (ja) 配達管理装置、配達管理方法および配達管理システム
EP3031031A1 (en) Electronic shelf label positioning method and system
KR101565304B1 (ko) 콜택시 예약서비스 방법
KR101721532B1 (ko)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배달관리 시스템
KR20180078372A (ko) 스마트 배달 방법
US20090248435A1 (en) Method for locating just in time mobile services
JP6778045B2 (ja) 物品配達管理システム
KR20160030600A (ko) 상품 위치를 안내하는 단말 장치 및 상품 위치 안내 방법
JP6132899B1 (ja) 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05701901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JP2006163447A (ja) オーダリングシステム
JP200926766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FI125277B (fi) Menetelmä, laite, tietokoneohjelma sähköisten palvelupyyntöjen toteuttamiseksi
KR20210011149A (ko) 복합 배송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89435B1 (ko) 고객대기순번 관리시스템
JP5923634B1 (ja) 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配信方法
JP7074338B2 (ja) 物流センタ管理システム
US20210172748A1 (en) Visit management apparatus, visit management method and visit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