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102275A - 생체 정보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생체 정보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102275A
KR20080102275A KR1020087024063A KR20087024063A KR20080102275A KR 20080102275 A KR20080102275 A KR 20080102275A KR 1020087024063 A KR1020087024063 A KR 1020087024063A KR 20087024063 A KR20087024063 A KR 20087024063A KR 20080102275 A KR20080102275 A KR 20080102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biometric information
unit
data
display 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4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0693B1 (ko
Inventor
유미 키노시타
야스유키 도고에
데츠야 사토
Original Assignee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2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여러 가지 표시 형태로 계측 결과를 표시하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표시 형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6)와, 상기 표시 형태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와, 복수 항목에 관한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6)와, 상기 측정부(6)에서 측정된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표시부(18)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한 표시 형태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측정된 생체 정보를 표시부(18)에 표시시키는 제어부(10)를 구비하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2).

Description

생체 정보 측정 장치{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본 발명은 생체 정보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생체 각 부위를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측정하고, 이용자가 선택한 각 부위마다의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생체 측정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과거의 측정 데이터와 최신의 측정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서 표시색을 변경하는 체조성계(體組成計)가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4-243148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61488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생체 측정 장치에서는, 측정 결과를 표시하기 위해서 매회 이용자가 표시하고 싶은 항목을 수동으로 선택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체조성계에서는, 측정 결과를 표시할 때에 과거의 측정 데이터와의 비교에 의해 변화량을 알 수는 있으나, 표시 형태가 고정이었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표시 형태로 계측 결과를 표시하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표시 형태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와, 복수 항목에 관한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와, 측정부에서 측정된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표시부와,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의 표시 순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표시 형태 데이터를 생성하고, 표시 형태 데이터에 따라서 표시부의 표시 형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표시 형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표시 형태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와, 복수 항목에 관한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와, 측정부에서 측정된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표시부와, 기억부에 기억한 표시 형태 데이터에 따라서 측정된 생체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표시 형태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와, 복수 항목에 관한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와, 측정된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표시부와,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생체 정보의 항목의 표시 전환을 지시하기 위한 입력부와, 입력부에 의한 지시에 따라서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생체 정보의 표시에 관한 표시 관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 관련 데이터에 기초한 표시 형태 데이터를 기억부에 기억시키며, 기억시킨 표시 형태 데이터에 따라서 표시부의 표시 형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체에 관한 속성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표시 형태 데이터를 미리 복수 기억한 기억부와, 복수 항목에 관한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와, 측정부에서 측정된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표시부와,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표시 형태 데이터로부터 하나의 표시 형태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표시 형태 데이터에 따라서 측정된 생체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항목의 목표치를 기억한 기억부와, 복수 항목에 관한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와, 측정부에서 측정된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표시부와, 측정된 생체 정보와 목표치를 항목마다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측정된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표시 형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 형태 데이터에 따라서 생체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가지 표시 형태로 계측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생체 정보 측정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생체 정보 측정 장치의 개관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생체 정보 측정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생체 정보 측정 장치의 개관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생체 정보 측정 장치에 있어서의 조작부의 표시부 및 입력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생체 정보 측정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 형태의 설정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실시예 1의 생체 정보 측정 장치에 있어서의 조작부의 표시부 및 입력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 1의 생체 정보 측정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 형태의 설정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실시예 2의 생체 정보 측정 장치에 있어서의 조작부의 표시부 및 입력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 2의 생체 정보 측정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 형태의 결정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실시예 2의 조작부의 표시부에 있어서의 항목마다의 표시 시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 2의 변형예의 생체 정보 측정 장치에 있어서의 조작부의 표시부 및 입력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예 2의 변형예의 생체 정보 측정 장치(2)에 있어서의 표시 형태 의 결정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4는 실시예 3의 생체 정보 측정 장치에 있어서의 조작부의 표시부 및 입력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예 3의 생체 정보 측정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 형태의 결정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6은 실시예 4의 생체 정보 측정 장치에 있어서의 조작부의 표시부 및 입력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예 4의 생체 정보 측정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 형태의 결정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부호의 설명>
2: 생체 정보 측정 장치 4: 조작부
6: 측정부 8: 케이블
10: 제어부 12: 메모리
14: 전원 16: 입력부
18: 표시부 20: 센서
22: 연산부 24: 인터페이스
26: 전환 버튼 28: 결정 버튼
30: 표시 순서 변경 모드 버튼 32: 항목 A 버튼
34: 항목 B 버튼 36: 항목 C 버튼
38: 리셋 버튼 40: 텐 키
42: 설정 버튼
<<실시형태>>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예시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실시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특별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은,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이들에만 한정하는 취지의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생체 정보 측정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생체 정보 측정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생체 정보 측정 장치의 개관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생체 정보 측정 장치(2)는, 조작부(4)와 측정부(6)로 구성된다. 조작부(4)와 측정부(6)는, 케이블(8)로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생체 정보 측정 장치(2)에 있어서, 조작부(4)는, 제어부(10), 메모리(12), 전원(14)이 케이스 내에 수용되며, 입력부(16)와 표시부(18)가 외부에서 시인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측정부(6)는, 센서(20) 및 연산부(22)가 케이스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센서(20)에 대해서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2)의 종류에 따라 센서(20)에 접속된 전극 등이 생체와 직접 접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생체 정보 측정 장치(2)의 종류에 따라 조작부(4)와 측정부(6)를 동일한 케이스 내에 수용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1. 조작부>
조작부(4)는,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6)와, 입력부(16)에 의해 입력된 정보나 측정부(6)에서 측정된 결과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8)와, 표시부(18)에서 표시하기 위한 정보 등을 기억하는 메모리(12)와, 입력부(16), 표시부(18) 및 메모리(12)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 및 전원(14)으로 구성된다. 입력부(16)로서는, 물리적으로 아래로 누르는 버튼이나 터치 패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경우, 입력부(16)를 표시부(18)와 일체로 설치해도 좋다.
<1.1 메모리>
메모리(12)[본 발명의 「기억부」에 상당]는,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표시 형태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표시 형태 데이터는,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의 표시 순서,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문자의 크기 또는 색에 관한 데이터이다. 색에 관한 데이터는 문자나 그래프의 색이나 문자의 배경색에 관한 데이터이다.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1.2 표시부>
표시부(18)는, 측정부(6)에서 측정된 생체 정보 등을 표시한다. 측정된 생체 정보 외에, (1) 입력부(16)에 의해 입력 또는 선택된 입력 정보 등을 표시한다. 또한, 「측정부(6)에서 측정된 생체 정보」란, 측정된 생체 정보를 가공한 데이터(비교 결과, 시계열 그래프, 포인트 메모리(어느 시점에서의 데이터와의 비교 결과), 판정 결과(예컨대, 비만 정도, 목표치의 달성 레벨 등)] 등이다. 또한, 표시부(18)는,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를 이용한다.
<1.3 제어부>
제어부(10)는 중앙 처리 장치(CPU)이다. 제어부(10)는,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의 표시 순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표시 형태 데이터를 생성하고, 표시 형태 데이터에 따라서 표시부(18)의 표시 형태를 제어한다. 제어부(10)에 입력되는 데이터로서는, 입력부(16) 또는 연산부(22)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가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표시 형태 데이터를 메모리(12)에 기억시키고, 기억한 표시 형태 데이터에 따라서 표시부(18)의 표시 형태를 제어하도록 해도 좋다.
<입력부(16)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입력부(16)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는, 이용자가 입력하는 생체 정보의 표시 순서를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데이터나, 표시하는 항목의 표시 전환의 지시를 나타내는 데이터 등이다. 제어부(10)는, 입력부(16)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 형태 데이터를 생성한다.
<연산부(22)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또한, 연산부(22)[CPU]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는, 측정부(6)에 의해 측정된 생체 정보의 측정 데이터이다. 제어부(10)는, 측정부(6)에 의해 측정된 생체 정보의 측정 데이터와 메모리(12)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비교 대상 데이터[예컨대, 이용자와 동일한 개인 속성(연령, 성별)의 통계적 평균치 등의 목표치, 목표치 또는 과거의 측정 데이터 등]를 비교하여 표시 형태 데이터를 생성한다.
<2. 측정부>
측정부(6)는, 복수 항목(종류)에 관한 생체 정보를 측정한다. 측정부(6)는, 생체에 관한 데이터를 검출하는 센서(20)와, 센서(20)로 얻은 데이터로부터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를 얻기 위해서 각종의 연산을 실행하는 연산부(22)로 구성된다. 연산 결과(측정 데이터)는 케이블(8)을 통해 조작부(4)측의 제어부(10)에 건네진다. 또, 표시부(18)에는, 센서(20)를 이용하여 직접 측정되는 생체 정보, 측정 데이터, 측정 데이터를 가공한 데이터 등이 표시된다.
<변형예>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생체 정보 측정 장치(2)의 회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생체 정보 측정 장치(2)의 개관도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케이블(8)로 접속된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무선 통신용의 인터페이스(24)를 설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통신 방법으로서는,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등의 통신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체조성계(생체 정보 측정 장치)로 측정되는 생체 정보를 예로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 및 도 5∼도 17을 참조하여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 실시형태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실시예 1>
본 실시예에서는, 이용자 자신의 기호에 따른 표시 형태로 측정 결과를 표시부(18)에 표시시키기 위해서,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설정하는 처리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실시예 1의 생체 정보 측정 장치(2)에 있어서의 조작부(4)의 표시부(18) 및 입력부(16)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생체 정보 측정 장치(2)에 있어서의 표시 형태의 설정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에 있어서, 입력부(16)는,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표시 형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입력부(16)에는, 전환 버튼(26), 결정 버튼(28), 표시 순서 변경 모드 버튼(30)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가 「체중치」, 「체지방률」, 「기초 대사량」이라고 해서 이하 설명한다. 표시 형태 데이터란, 「A:체중치」, 「B:체지방률」, 「C:기초 대사량」의 표시 순서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메모리(12)는, 초기 설정으로서, 「A:체중치」, 「B:체지방률」, 「C:기초 대사량」의 표시 순서로 표시되도록 표시 형태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예컨대, 메모리(12)에, 초기 설정 데이터가 테이블로서 「1, A, B, C」라고 기억되어 있다. 「1」은 표시 항목 수를 나타내는 데이터이고, 제어부(10)는, 표시부(18)에 측정 결과를 1항목씩 표시시킨다. 이 초기 설정 데이터는, 전환 버튼(26)이 눌려질 때마다 A, B, C의 순으로 하나씩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또, 「기초 대사량」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 이용자가 전환 버튼(26)을 누르면, 제어부(10)는, 「체 중치」를 표시부(18)에 표시시킨다. 또한, 표시부(18)는, 「A:체중치」, 「B:체지방률」, 「C:기초 대사량」을 동시에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이때, 제어부(10)는, 문자 또는 배경의 색이나 크기 등을 변경하여, 선택되어 있는 항목을 강조하도록 표시를 제어해도 좋다. 2개의 항목을 동시에 표시하는 경우, 초기 설정 데이터는, 예컨대, 「2, A, B, C」가 된다.
이하, 초기 설정 데이터가 「1, A, B, C」라고 하고, 표시 순서의 설정 방법을 설명한다.
이용자가 생체 정보 측정 장치의 전원(14)을 온으로 하고, 표시 순서 변경 모드 버튼(30)을 눌러 「표시 순서 변경 모드」로 세트하면(S1), 제어부(10)는, 메모리(12)로부터 독출한 초기 설정 데이터에 따라서 표시부(18)에 「체중치」를 표시시킨다(S2).
이용자가 전환 버튼(26)을 1회 누르면(S3), 제어부(10)는, 표시부(18)에 「체지방률」을 표시시킨다(S4). 여기서, 이용자가 결정 버튼(28)을 누르면(S5), 제어부(10)는, 「B:체지방률」을 우선도 1로서, 메모리(12) 내의 테이블에 기록한다(S6).
이용자가 전환 버튼(26)을 3회 누르면(S3), 제어부(10)는, 표시부(18)에 「체중치」를 표시시킨다(S4). 여기서, 이용자가 결정 버튼(28)을 누르면(S5), 제어부(10)는, 「A:체중치」를 우선도 2로서, 메모리(12) 내의 테이블에 기록한다(S6).
이용자가 전환 버튼(26)을 2회 누르면(S3), 제어부(10)는, 표시부(18)에 「기초 대사량」을 표시시킨다(S4). 여기서, 이용자가 결정 버튼(28)을 누르면(S5), 제어부(10)는, 「C:기초 대사량」을 우선도 3으로서, 메모리(12) 내의 테이블에 기록한다(S6).
이용자가 표시 순서 변경 모드 버튼(30)을 누르면(S7), 제어부(10)는, 표시 순서 변경 모드를 종료하고, 확정한 표시 순서를 표시부(18)에 표시시킨다(S8).
메모리(12)는, 표시 형태 데이터로서, 「1, B, A, C」를 기억한다. 표시 형태 데이터 「1, B, A, C」는, 1항목마다 「체지방률」, 「체중치」, 「기초 대사량」의 순으로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다.
측정부(6)에서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가 측정되면, 제어부(10)는, 측정부(6)에서 측정된 생체 정보를 수취하고, 메모리(12)에 기억한 표시 형태 데이터를 독출하며, 표시 형태 데이터에 따라서 「체지방률」, 「체중치」, 「기초 대사량」의 순으로 측정된 생체 정보를 표시부(18)에 표시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용자의 기호에 따른 표시 형태로 측정 결과를 표시부(18)에 표시시킬 수 있다.
전환 버튼(26)과 결정 버튼(28)을 설치함으로써, 적은 버튼 수로 조작부(4)를 구성할 수 있다.
<변형예>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이용자가 표시 형태를 설정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7은 생체 정보 측정 장치(2)에 있어서의 조작부(4)의 표시부(18) 및 입력부(16)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생체 정보 측정 장치(2)에 있어서의 표시 형태의 설정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에 있어서, 입력부(16)에는, 항목 A 버튼(32), 항목 B 버튼(34), 항목 C 버튼(36), 리셋 버튼(38), 표시 순서 변경 모드 버튼(30)이 설치되어 있다. 항목 A 버튼(32)은, 「A:체중치」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다. 또한, 항목 B 버튼(34)은 「B:체지방률」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고, 항목 C 버튼(36)은 「C:기초 대사량」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다.
초기 설정 데이터를 이용하지 않는 예로서, 표시 순서의 설정 방법을 이하 설명한다.
이용자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의 전원(14)을 온으로 하고, 표시 순서 변경 모드 버튼(30)을 눌러 「표시 순서 변경 모드」를 세트한다(S11). 이때, 제어부(10)는 「표시하고 싶은 순으로 버튼을 눌러 주십시오.」라고 표시부(18)에 표시시킨다.
이용자가 항목 B 버튼(34)을 누르면(S12), 제어부(10)는, 표시부(18)에 「1. 체지방률」을 표시시킨다(S13). 그리고, 제어부(10)는, 「B:체지방률」을 우선도 1로서, 메모리(12) 내의 테이블에 기록한다.
이용자가 항목 A 버튼(32)을 누르면(S12), 제어부(10)는, 표시부(18)에 「2. 체중」을 표시시킨다(S13). 그리고, 제어부(10)는, 「A:체중치」를 우선도 2로서, 메모리(12) 내의 테이블에 기록한다.
이용자가 항목 C 버튼(36)을 누르면(S12), 제어부(10)는, 표시부(18)에 「3. 기초 대사량」을 표시시킨다(S13). 그리고, 제어부(10)는, 「C:기초 대사량」을 우선도 3으로서, 메모리(12) 내의 테이블에 기록한다. 또, 리셋 버튼(38)이 눌려지 면, 표시부(18)의 표시가 초기 상태(표시 없음)로 되돌아가, 메모리(12) 내의 데이터가 소거된다.
이용자가 표시 순서 변경 모드 버튼(30)을 누르면(S14), 제어부(10)는, 표시 순서 변경 모드를 종료하고, 확정한 표시 순서를 표시부(18)에 표시시킨다(S15).
메모리(12)는, 표시 형태 데이터로서, 「1, B, A, C」를 기억한다. 표시 형태 데이터「1, B, A, C」는, 1항목마다 「체지방률」, 「체중치」, 「기초 대사량」의 순으로 표시하는 것을 나타낸다.
측정부(6)에서 복수 항목에 관한 생체 정보가 측정되면, 제어부(10)는, 측정부(6)에서 측정된 생체 정보를 수취하고, 메모리(12)에 기억한 표시 형태 데이터를 독출하며, 표시 형태 데이터에 따라서 「체지방률」, 「체중치」, 「기초 대사량」의 순으로 측정된 생체 정보를 표시부(18)에 표시시킨다.
이에 따라, 이용자의 기호에 따른 표시 형태로 측정 결과를 표시부(18)에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입력부(16)가 표시부(18)에 표시해야 할 생체 정보에 관한 복수의 항목 버튼을 가짐으로써, 이용자는 표시 형태를 용이하게 선택 가능해진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이용자의 사용 특성(표시 시간)에 기초한 표시 형태로 측정 결과를 표시부(18)에 표시시키기 위해서,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처리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실시예 2의 생체 정보 측정 장치(2)에 있어서의 조작부(4)의 표시부(18) 및 입력부(16)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실시예 2의 생체 정보 측정 장치(2)에 있어서의 표시 형태의 결정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실시예 2의 조작부(4)의 표시부(18)에 있어서의 항목의 표시 시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에 있어서, 입력부(16)에는, 표시부(18)에 표시되어 있는 생체 정보의 항목의 표시 전환을 지시하기 위한 전환 버튼(26)이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18)는, 측정부(6)에서 측정된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한다.
여기서,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는, 「체중치」, 「체지방률」, 「기초 대사량」이다. 표시 형태 데이터는, 「A:체중치」, 「B:체지방률」, 「C:기초 대사량」의 표시 순서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메모리(12)는,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표시 형태 데이터를 미리 기억한다. 초기 설정으로서, 「A:체중치」, 「B:체지방률」, 「C:기초 대사량」의 표시 순서로 표시되도록 표시 형태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예컨대, 메모리(12)에, 초기 설정 데이터가 테이블로서 「1, A, B, C」라고 기억되어 있다. 이 초기 설정 데이터는, 전환 버튼(26)이 눌려질 때마다 「체중치」, 「체지방률」, 「기초 대사량」의 순으로 하나씩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또, 「기초 대사량」이 표시되어 있을 때에 이용자가 전환 버튼(26)을 누르면, 제어부(10)는, 「체중치」를 표시부(18)에 표시시킨다.
이용자가 생체 정보 측정 장치의 전원(14)을 온으로 한 후에, 측정부(6)에서 생체 정보(체중치, 체지방률, 기초 대사량)가 측정되면(S21), 제어부(10)는, 메모리(12)로부터 독출한 초기 설정 데이터에 따라서 표시부(18)에 측정부(6)에서 측정 된 「체중치」를 표시시킨다(S22). 제어부(10)는 「체중치」를 표시부(18)에 표시시키고, 표시 시간(본 발명의 「표시 관련 데이터」에 상당)의 카운트를 개시한다(S23).
이용자가 전환 버튼(26)을 1회 누르면(S24), 제어부(10)는, 표시부(18)에 「체지방률」을 표시시킨다. 또한, 제어부(10)는, 표시 시간의 카운트를 종료하고, 메모리(12)에 「체중치」를 표시하고 있었던 시간을 기억한다(S25). 여기서, 「체중치」를 표시하고 있었던 시간을 예컨대, 30초로 한다. 또한, 제어부(10)는 「체지방률」을 표시부(18)에 표시시키고 있는 표시 시간의 카운트를 개시한다(S23).
이용자가 전환 버튼(26)을 2회 누르면(S24), 제어부(10)는, 표시부(18)에 「기초 대사량」을 표시시킨다. 또한, 제어부(10)는, 표시 시간의 카운트를 종료하고, 메모리(12)에 「체지방률」을 표시하고 있었던 시간을 기억한다(S25). 여기서, 「체지방률」을 표시하고 있었던 시간을 예컨대, 1분으로 한다. 또한, 제어부(10)는 「기초 대사량」을 표시부(18)에 표시시키고 있는 표시 시간의 카운트를 개시한다(S23).
이용자가 전환 버튼(26)을 3회 누르면(S24), 제어부(10)는, 표시부(18)에 「체중치」를 표시시킨다. 또한, 표시 시간의 카운트를 종료하고, 메모리(12)에 「기초 대사량」을 표시하고 있었던 시간을 기억한다(S25). 여기서, 「기초 대사량」을 표시하고 있었던 시간을 예컨대, 45초로 한다.
모든 항목이 표시된 경우, 제어부(10)는, 각 항목의 표시 시간으로부터 표시 형태 데이터를 생성하고, 메모리(12)에 테이블로서 기억한다(S27). 여기서, 제어 부(10)는, 메모리(12)에 기억한 표시 시간(체중치, 30초; 체지방률, 1분; 기초 대사량, 45초)으로부터 표시 시간이 긴 순으로 표시하는 항목의 우선도를 결정한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10)는, 표시 순서를, 「체지방률」, 「기초 대사량」, 「체중치」로 결정한다. 예컨대, 제어부(10)는, 표시 형태 데이터로서, 「1, B, C, A」를 생성하여, 메모리(12)에 기억시킨다. 다음번의 측정으로부터, 제어부(10)는 기억시킨 표시 형태 데이터에 따라서 표시부(18)의 표시 형태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용자의 사용 특성(표시 시간)에 기초한 표시 형태로 측정 결과를 표시부(18)에 표시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항목을 표시했을 때에, 표시 형태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였으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동일한 항목을 복수 회 표시한 경우라도,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10)가 메모리(12)에 표시부(18)에 있어서의 항목의 표시 시간을 기억시켜 두고, 예컨대, 제어부(10)가, 최초의 표시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항목마다 표시 시간을 가산하여, 가산 결과에 기초하여 표시 형태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 방법에 따르면, 이용자의 사용 특성을 더욱 정확하게 표시 형태에 반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와 동시에 표시 시간의 카운트를 개시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표시를 개시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카운트를 개시해도 좋다. 이에 따라, 항목의 수가 많은 경우에 전환 버튼(26)을 복수 회 계속해서 누르고 있는 동안의 각 항목의 표시 시간을 카운트하지 않기 때문에, 이용자의 사용 특성을 적정하게 표시 형태에 반영할 수 있다.
<변형예>
다음으로, 이용자의 사용 특성(표시 횟수)에 기초한 표시 형태로 측정 결과를 표시부(18)에 표시시키기 위해서,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처리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 12는 실시예 2의 변형예의 생체 정보 측정 장치(2)에 있어서의 조작부(4)의 표시부(18) 및 입력부(16)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예 2의 변형예의 생체 정보 측정 장치(2)에 있어서의 표시 형태의 결정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2에 있어서, 입력부(16)에는, 표시부(18)에 표시되어 있는 생체 정보의 항목의 표시 전환을 지시하기 위한 항목 A 버튼(32), 항목 B 버튼(34), 항목 C 버튼(36)이 설치되어 있다. 항목 A 버튼(32)은, 「A:체중치」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다. 또한, 항목 B 버튼(34)은 「B:체지방률」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고, 항목 C 버튼(36)은 「C:기초 대사량」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다. 표시부(18)는, 측정부(6)에서 측정된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한다.
메모리(12)는,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표시 형태 데이터를 미리 기억한다. 초기 설정으로서, 「A:체중치」, 「B:체지방률」, 「C:기초 대사량」의 표시 순서로 표시되도록 표시 형태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예컨대, 메모리(12)에, 초기 설정 데이터가 테이블로서 「1, A, B, C」라고 기억되어 있다. 측정부(6)에 의한 측정 결과가 제어부(10)로 건네지면, 제어부(10)는 소정 시간마다 자동적으로 표시하는 항목이 전환되도록 표시 형태를 제어 한다. 또, 「기초 대사량」이 표시된 후에 소정 시간 경과하면, 제어부(10)는, 「체중치」를 표시부(18)에 표시시킨다.
이용자가 생체 정보 측정 장치의 전원(14)을 온으로 한 후에, 측정부(6)에서 생체 정보(체중치, 체지방률, 기초 대사량)가 측정되면(S31), 제어부(10)는, 메모리(12)로부터 독출한 초기 설정 데이터에 따라서 표시부(18)에 측정부(6)에서 측정된 「체중치」, 「체지방률」, 「기초 대사량」을 소정 시간마다 전환하여 표시시킨다(S32).
(1) 이용자가 항목 B 버튼(34)을 누르면(S33), 제어부(10)는, 항목 B 버튼(34)의 표시 횟수에 「1」을 가산하여 메모리(12) 내의 테이블에 기록하고, 표시부(18)에 「체지방률」을 표시시킨다(S34, S35). 또, 각 항목의 표시 횟수의 초기값은 「0」이다.
(2) 다음으로, 이용자가 항목 A 버튼(32)을 누르면(S33), 제어부(10)는, 항목 A 버튼(32)의 표시 횟수에 「1」을 가산하여 메모리(12) 내의 테이블에 기록하고, 표시부(18)에 「체중치」를 표시시킨다(S34, S35).
(3) 다음으로, 이용자가 항목 B 버튼(34)을 누르면(S33), 제어부(10)는, 항목 B 버튼(34)의 표시 횟수에 「1」을 가산하여 메모리(12) 내의 테이블에 기록하고, 표시부(18)에 「체지방률」을 표시시킨다(S34, S35).
(4) 다음으로, 이용자가 항목 C 버튼(36)을 누르면(S33), 제어부(10)는, 항목 C 버튼(36)의 표시 횟수에 「1」을 가산하여 메모리(12) 내의 테이블에 기록하고, 표시부(18)에 「기초 대사량」을 표시시킨다(S34, S35). 이때, 이용자가 또한 항목 C 버튼(36)을 4회 계속해서 눌렀을 때, 제어부(10)는, 항목 C 버튼(36)의 표시 횟수에 「4」를 가산하여 메모리(12) 내의 테이블에 기록하고, 표시부(18)에 「기초 대사량」을 표시시킨다(S34, S35).
최초의 표시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한 후에, 제어부(10)는, 각 항목의 표시 시간으로부터 표시 형태 데이터를 생성하고, 메모리(12)에 테이블로서 기억한다(S36, S37). 여기서, 제어부(10)는, 메모리(12)에 기억한 표시 횟수(체중치, 1회; 체지방률, 2회; 기초 대사량, 5회)로부터 표시 횟수가 많은 순으로 표시하는 항목의 우선도를 결정한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10)는, 표시 순서를, 「기초 대사량」, 「체지방률」, 「체중치」로 결정한다. 예컨대, 제어부(10)는, 표시 형태 데이터로서, 「1, C, B, A」를 생성하여, 메모리(12)에 기억시킨다. 다음번의 측정으로부터, 제어부(10)는 기억시킨 표시 형태 데이터에 따라서, 「기초 대사량」, 「체지방률」, 「체중치」의 순으로 표시부(18)의 표시 형태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이용자의 사용 특성(표시 횟수)에 기초한 표시 형태로 측정 결과를 표시부(18)에 표시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는, 이용자의 개인 속성(연령, 성별, 신장 등)에 기초한 표시 형태로 측정 결과를 표시부(18)에 표시시키기 위해서,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처리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실시예 3의 생체 정보 측정 장치(2)에 있어서의 조작부(4)의 표시부(18) 및 입력부(16)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예 3의 생체 정보 측정 장치(2)에 있어서의 표시 형태의 결정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4에 있어서, 입력부(16)에는, 표시부(18)에 표시되어 있는 생체 정보의 항목의 표시 전환을 지시하기 위한 전환 버튼(26)과 이용자의 신장, 연령, 성별 등의 생체에 관한 속성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텐 키(40) 및 설정 버튼(42)이 설치되어 있다. 전환 버튼(26)은 측정 후에 표시하는 항목을 전환할 때, 또는 속성 데이터를 입력할 때에 사용된다. 표시부(18)는, 측정부(6)에서 측정된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 또는 텐 키(40)로 입력된 속성 데이터 등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모리(12)는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표시 형태 데이터를 미리 테이블로서 복수 기억하고 있다.
테이블의 예로서, 메모리(12)는, 이하와 같은 연대 및 성별에 대응시킨 테이블 1에 3가지의 표시 형태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고 하자.
<테이블 1>
1. 20, 1, 1, 5, 4
2. 30, 2, 4, 2, 1
3. 40, 2, 6, 3, 1
<테이블 2>
1. 여성
2. 남성
<테이블 3>
1. 체중치
2. 체지방률
3. 기초 대사량
4. 골격근율
5. 피하 지방률
6. 신체 연령
테이블 1은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표시 형태 데이터의 테이블이다. 테이블 2는 성별을 나타내는 테이블이고, 테이블 3은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여기서, 생체 정보의 다른 항목으로서는, 내장 지방 레벨, BMI 등이 있다. 또한, 체지방률에 대해서는, 전신, 체간, 오른팔, 왼팔, 오른쪽 다리, 왼쪽 다리를 측정·표시하는 대상으로 해도 좋다. 골격근율에 대해서도, 전신, 체간, 오른팔, 왼팔, 오른쪽 다리, 왼쪽 다리를 측정·표시하는 대상으로 해도 좋다.
테이블 1은, 좌측으로부터 표시 형태 데이터 번호, 연대, 성별, 표시 순서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테이블 1의 1행째의 표시 형태 데이터는, 20대의 여성(1)에 대해서, 체중치(1), 피하 지방률(5), 골격근율(4)의 순으로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이용자는 입력부(16)의 텐 키(40)를 조작하여 개인의 속성 데이터를 입력한다(S41). 이용자가 입력부(16)의 설정 버튼(42)을 누르면, 제어부(10)는, 연령, 성별의 순으로 표시부(18)를 통해 이용자에게 속성 데이터의 입력을 재촉한다. 예컨대, 표시부(18)에 「연령」의 입력을 재촉하는 표시가 되었을 때, 이용자가 텐 키(40)를 이용하여 「25」라고 입력한다. 다음으로, 이용자가 전환 버튼(26)을 누르면, 제어부(10)는 연령 데이터 「25」를 메모리(12)에 기억하고, 「성별」의 입력을 재촉하는 표시를 표시부(18)에 시킨다. 이용자가 텐 키(40)를 이용하여, 여성을 나타내는 성별 데이터 「1」을 입력한다. 제어부(10)는, 입력된 속성 데이터(25, 1)에 기초하여, 테이블 1의 복수의 표시 형태 데이터(1행째∼3행째의 데이터)로부터 표시 형태 데이터(1행째)를 결정한다(S42). 그리고, 제어부(10)는, 입력된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체중치(1), 피하 지방률(5), 골격근율(4)의 순으로 측정 결과를 표시부(18)에 표시시킨다. 또, 속성 데이터를 측정할 때마다 입력할 필요는 없으며, 제어부(10)는, 측정 결과에 적용하는 데이터로서, 결정된 표시 형태 데이터를 메모리(12)에 기억시켜도 좋다.
다음으로, 이용자가 생체 정보 측정 장치(2)에 의한 측정을 실행한다. 측정부(6)는 센서(20)를 이용하여 복수 항목에 관한 생체 정보를 검출하고, 연산부(22)에 의해 각 항목에 관한 측정 데이터를 생성한다(S43). 연산부(22)는 측정 데이터를 제어부(10)에 건네준다. 제어부(10)는, 수신한 측정 데이터를 결정된 표시 형태 데이터에 따라서 재배열하여 표시부(18)에 「체중치」를 표시시킨다(S44, S45). 제어부(10)는, 전환 버튼(26)이 눌려진 것을 검출하면(S46) 표시부(18)에 「피하 지방률」을 표시시킨다(S47, S45). 계속해서, 제어부(10)는, 전환 버튼(26)이 눌려진 것을 검출하면(S46) 표시부(18)에 「골격근율」을 표시시킨다(S47, S45). 제어부(10)는 표시의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전원(14)을 오프로 한다(S48). 또, 측정 결과의 표시 형태는, 하나씩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방법에 한하지 않고, 2 이상의 측정 결과를 리스트로서 표시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용자의 개인 속성(연령, 성별, 신장 등)에 기초한 표시 형태로 측정 결과를 표시부(18)에 표시시킬 수 있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에서는, 이용자의 생체 정보의 측정 결과 비교에 기초한 표시 형태로 측정 결과를 표시부(18)에 표시시키기 위해서,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처리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은 실시예 4의 생체 정보 측정 장치(2)에 있어서의 조작부(4)의 표시부(18) 및 입력부(16)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실시예 4의 생체 정보 측정 장치(2)에 있어서의 표시 형태의 결정 순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6에 있어서, 입력부(16)에는, 표시부(18)에 표시되어 있는 생체 정보의 항목의 표시 전환을 지시하기 위한 전환 버튼(26)과, 이용자의 신장, 연령, 성별 등의 생체에 관한 속성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텐 키(40) 및 설정 버튼(42)이 설치되어 있다. 전환 버튼(26)은 측정 후에 표시하는 항목을 전환할 때, 또는 속성 데이터를 입력할 때에 사용된다. 표시부(18)는, 측정부(6)에서 측정된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 또는 텐 키(40)로 입력된 속성 데이터 등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모리(12)는 복수 항목의 목표치를 나타내는 테이블 1과 성별을 나타내는 테이블 2를 미리 기억하고 있다.
테이블예로서, 메모리(12)는, 이하와 같은 신장 및 성별에 대응시킨 테이블 1에 3가지의 목표치(비교 대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테이블 1>
1. 150, 1, 45, 23, 1050
2. 155, 1, 48, 23, 1120
3. 155, 2, 51, 18, 1225
<테이블 2>
1. 여성
2. 남성
<테이블 3>
1. 체중치
2. 체지방률
3. 기초 대사량
<테이블 4>
1. 적색
2. 청색
테이블 1은, 좌측으로부터 표시 형태 데이터 번호, 신장, 성별, 복수 항목의 목표치(체중치, 체지방률, 기초 대사량)를 나타내는 테이블이다. 테이블 1의 1행째의 데이터는, 150 ㎝의 여성(1)에 대해서, 체중치(45 ㎏), 피하 지방률(23%), 기초 대사량(1050 kcal)이 목표치로서 설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테이블 3 및 테이블 4는, 표시 형태 데이터를 생성할 때에 사용된다.
도 17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이용자는 입력부(16)의 텐 키(40)를 조작 하여 개인의 속성 데이터를 입력한다(S51). 이용자가 입력부(16)의 설정 버튼(42)을 누르면, 제어부(10)는, 신장, 성별의 순으로 표시부(18)를 통해 이용자에게 속성 데이터의 입력을 재촉한다. 예컨대, 표시부(18)에 「신장」의 입력을 재촉하는 표시가 되었을 때, 이용자가 텐 키(40)를 이용하여 「151」이라고 입력한다. 다음으로, 이용자가 전환 버튼(26)을 누르면, 제어부(10)는 신장 데이터 「151」을 메모리(12)에 기억하고, 표시부(18)에 「성별」의 입력을 재촉하는 표시를 표시부(18)에 시킨다. 이용자가 텐 키(40)를 이용하여, 여성을 나타내는 성별 데이터 「1」을 입력한다. 제어부(10)는, 입력된 속성 데이터(151, 1)에 기초하여, 테이블 1의 복수의 비교 대상 데이터(1행째∼3행째의 데이터)로부터 비교 대상 데이터(1행째)를 결정한다(S52). 여기서, 복수 항목의 목표치는 체중치 45 ㎏, 체지방률 23%, 기초 대사량 1050 kcal로 한다.
다음으로, 이용자가 생체 정보 측정 장치(2)에 의한 측정을 실행한다. 측정부(6)는 센서(20)를 이용하여 복수 항목에 관한 생체 정보를 검출하고, 연산부(22)에 의해 각 항목에 관한 측정 데이터를 생성한다(S53, S54). 연산부(22)는 측정 데이터를 제어부(10)에 건네준다. 예컨대, 측정 데이터가 체중치 55 ㎏, 체지방률 26%, 기초 대사량 980 kcal이다.
제어부(10)는, 측정치와 목표치의 차가 목표치에 대하여 몇 %인지를 연산한다. 제어부(10)는, 연산을 각 항목마다 실행하여 비교 결과(H)를 얻는다. 제어부(10)는, 예컨대, 다음 식 1을 사용하여 비교 결과를 구한다.
H=α*{(목표치-측정치)/목표치}*100 (α=1 또는 -1) …(1)
<비교 결과(H)>
체중치=-{(45-55)/45}*100≒22.2(%)
체지방률=-{(23-26)/23}*100≒13.0(%)
기초 대사량={(1050-980)/1050}*100≒6.6(%)
제어부(10)는 체중과 체지방률의 계수(α)를 「-1」로 설정하여 계산한다. 제어부(10)는 기초 대사량의 계수(α)를 「+1」로 설정하여 계산한다. 계수(α)는 각 항목마다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한, 메모리(12)는 각 항목마다의 계수를 기억하고 있다.
제어부(10)는, 테이블 3 및 테이블 4를 이용하여, 비교 결과가 큰 순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 형태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컨대, 제어부(10)는 표시 형태 데이터 「1, 1, 1, 2, 1, 3, 1」을 생성하여, 메모리(12)에 기억시킨다. 이 표시 형태 데이터는, 「표시 항목 수(1), 체중치(1), 적색(1), 체지방률(2), 적색(1), 기초 대사량(3), 적색(1)」인 것을 나타낸다. 제어부(10)는 측정 데이터를 하나씩 표시부(18)에 체중치, 체지방률, 기초 대사량의 순으로 제어부(10)에 표시시킨다. 또한, 제어부(10)는 각 측정 결과가 목표치에 이르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각 항목을 표시할 때에, 표시부(18)의 배경색을 적색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0)는, 수신한 측정 데이터를 결정된 표시 형태 데이터에 따라서 재배열하여 표시부(18)에 「체중치」를 표시시킨다(S55). 제어부(10)는, 전환 버튼(26)이 눌려진 것을 검출하면(S56) 표시부(18)에 「체지방률」을 표시시킨다(S57, S55). 계속해서, 제어부(10)는, 전환 버튼(26)이 눌려진 것을 검출하 면(S56) 표시부(18)에 「기초 대사량」을 표시시킨다(S57, S55). 제어부(10)는 표시의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전원(14)을 오프로 한다(S58). 또, 측정 결과의 표시 형태는, 하나씩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방법에 한하지 않고, 2 이상의 측정 결과를 리스트로서 표시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용자의 생체 정보의 측정 결과 비교에 기초한 표시 형태로 측정 결과를 표시부(18)에 표시시킬 수 있다.
<변형예>
목표치는, 이상적인 목표치에 한하지 않고, 과거에 측정된 측정 데이터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목표치는 생체에 관한 속성 데이터의 통계적 평균치여도 좋다. 또한, 개인의 속성 데이터를 입력하여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이용자가 각 항목에 대해서 목표치를 입력하여 표시 형태를 결정하도록 해도 좋다.
<다른 변형예>
상술한 실시예는 체조성계로 측정되는 복수 항목 생체 정보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보수계(步數計)나 혈압계에도 적용 가능하다.
보수계에서는,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로서, 걸음 수, 소정의 강도 이상으로 보행한 걸음 수, 소정의 강도 이상으로 보행한 시간, 소비 칼로리, 지방 연소량, 보행 거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혈압계에서는,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로서, 아침의 최고 혈압, 아침의 최저 혈압, 밤의 최고 혈압, 밤의 최저 혈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표시 형태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와,
    복수 항목에 관한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표시부와,
    입력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의 표시 순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표시 형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 형태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표시부의 표시 형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
  2.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표시 형태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표시 형태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와,
    복수 항목에 관한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한 표시 형태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측정된 생체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생체 정보의 항목을 전환하기 위한 전환 버튼과, 표시된 생체 정보의 항목의 표시 순서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버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해야 할 생체 정보에 관한 복수의 항목 버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
  5.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표시 형태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와,
    복수 항목에 관한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와,
    상기 측정된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생체 정보의 항목의 표시 전환을 지시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에 의한 지시에 따라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생체 정보의 표시에 관한 표시 관련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 관련 데이터에 기초한 표시 형태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며, 상기 기억시킨 표시 형태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표시부의 표시 형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관련 데이터는, 상기 생체 정보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던 시간을 나타내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관련 데이터는, 상기 생체 정보의 항목마다 표시전환이 지시된 횟수를 나타내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
  8. 생체에 관한 속성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표시 형태 데이터를 미리 복수 기억한 기억부와,
    복수 항목에 관한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표시부와,
    상기 속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표시 형태 데이터로부터 하나의 표시 형태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표시 형태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측정된 생체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에 관한 속성 데이터는, 신장, 연령 또는 성별에 관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형태 데이터는, 신장, 연령 또는 성별에 대응시켜진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의 표시 순서를 나타내는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
  11. 복수 항목의 목표치를 기억한 기억부와,
    복수 항목에 관한 생체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표시부와,
    상기 측정된 생체 정보와 상기 목표치를 항목마다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상기 측정된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표시 형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 형태 데이터에 따라서 생체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
  12. 제2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형태 데이터는, 상기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의 표시 순서, 상기 복수 항목의 생체 정보의 표시 형태를 결정하는 문자의 크기 또는 색에 관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 측정 장치.
KR1020087024063A 2006-03-17 2007-02-09 생체 정보 측정 장치 KR1010206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75249 2006-03-17
JP2006075249A JP4923648B2 (ja) 2006-03-17 2006-03-17 生体情報測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275A true KR20080102275A (ko) 2008-11-24
KR101020693B1 KR101020693B1 (ko) 2011-03-11

Family

ID=38522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4063A KR101020693B1 (ko) 2006-03-17 2007-02-09 생체 정보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100364A1 (ko)
EP (1) EP1997424A1 (ko)
JP (1) JP4923648B2 (ko)
KR (1) KR101020693B1 (ko)
CN (1) CN101404926B (ko)
RU (1) RU2403860C2 (ko)
WO (1) WO20071082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3359B2 (ja) * 2007-05-09 2012-11-14 株式会社タニタ 生体測定装置
JP5171163B2 (ja) * 2007-08-28 2013-03-27 株式会社タニタ 生体測定装置
JP5010004B2 (ja) * 2010-03-25 2012-08-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生体情報測定装置
JP2012008931A (ja) * 2010-06-28 2012-01-12 Sharp Corp 生体情報処理装置、生体情報表示装置、遠隔診療システム、遠隔診療方法、処理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EP2551784A1 (en) * 2011-07-28 2013-01-30 Roche Diagnostics GmbH Method of controlling the display of a dataset
JP6359853B2 (ja) 2014-03-27 2018-07-18 アイホン株式会社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JP2016073373A (ja) * 2014-10-03 2016-05-12 日本光電工業株式会社 心電図表示装置
CN108027662B (zh) * 2015-09-30 2022-01-11 索尼公司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以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JP7239164B2 (ja) * 2019-03-12 2023-03-14 株式会社タニタ 生体情報測定装置
CN110795017B (zh) * 2019-09-27 2021-09-21 深圳市海雀科技有限公司 一种虚拟按钮控制方法及其相关产品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6197B2 (ja) * 1992-06-05 1998-03-11 ヤーマン 株式会社 美容診断装置
JP2000166908A (ja) * 1998-09-29 2000-06-20 Canon Inc 検査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方法、媒体及び撮影システム
TW529930B (en) * 1999-08-27 2003-05-01 Yamato Scale Co Ltd Health condition judging/displaying device
JP2004243148A (ja) 1999-10-12 2004-09-02 Tanita Corp 生体測定装置
JP2001142999A (ja) * 1999-11-12 2001-05-25 Sanyo Electric Co Ltd 電子カルテシステム
JP2002159450A (ja) * 2000-11-24 2002-06-04 Misaki:Kk 健康管理指標データの表示制御方法、および脂肪計
JP2003288417A (ja) * 2002-03-28 2003-10-10 Tanita Corp 健康管理達成度を採点する健康管理装置
JP2004329412A (ja) * 2003-05-02 2004-11-25 Tanita Corp 体組成測定装置
JP2004351053A (ja) * 2003-05-30 2004-12-16 Tanita Corp 妊婦用体組成管理装置
US20050060636A1 (en) * 2003-09-15 2005-03-17 Zsolt Mathe Digital photo album
JP2005237473A (ja) * 2004-02-24 2005-09-08 Tanita Corp 生体測定装置
JP2005261488A (ja) 2004-03-16 2005-09-29 Omron Healthcare Co Ltd 体組成計
JP2008142469A (ja) * 2006-12-13 2008-06-26 Tanita Corp 生体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23648B2 (ja) 2012-04-25
WO2007108249A1 (ja) 2007-09-27
RU2008141154A (ru) 2010-04-27
CN101404926A (zh) 2009-04-08
RU2403860C2 (ru) 2010-11-20
JP2007244760A (ja) 2007-09-27
KR101020693B1 (ko) 2011-03-11
EP1997424A1 (en) 2008-12-03
CN101404926B (zh) 2012-05-30
US20090100364A1 (en) 200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0693B1 (ko) 생체 정보 측정 장치
US6538215B2 (en) Programmable digital scale
JP3818488B2 (ja) グラフ表示機能付き生体測定装置
US6516221B1 (en) Bio-characteristic value measuring device with graphical display
US8671784B2 (en) Body movement detecting apparatus and body movement detecting method
KR100195366B1 (ko) 운동량 측정 장치
US6621013B2 (en) Living body measuring device having function for determining measured subject
CN101380228B (zh) 用于测量身体组成变化的测量装置
US20050131273A1 (en) Relaxation system, relaxation method and relaxation program
TWI414272B (zh) Consumption of heat measurement device, consumption of calorie determination method, and consumption of calorie determination with pre-treatment methods
KR101141251B1 (ko) 만보기 기능을 가지는 혈당측정기를 이용한 혈당측정방법
US7104954B2 (en) Living body measurement apparatus
US20090131812A1 (en) Body composition measuring instrument for recognizing body site used in calculation of composition component
KR100453102B1 (ko) 대상물의 어떤 특성측정에 있어서 저장된 변수의 변경을 용이하게 하는 측정장치, 및 상기 측정장치의 건강지수 및 체지방율 측정에의 적용
US20060241360A1 (en) Living body measuring apparatus
EP1393671A2 (en) Walking support system
CN116602647A (zh) 信息处理装置、方法以及程序
JP2004089317A (ja) 歩行活動時生体データ推定装置
JP5202907B2 (ja) 生体測定装置
JP6264548B2 (ja) 生体情報測定装置
CN102274026B (zh) 生物体信息测量装置及其输入检测方法
JPH07327942A (ja) 測定装置
JP6192272B2 (ja) ユーザの便宜性を極大化した体成分測定装置および生体情報管理システム
JP2010022674A (ja) 生体測定装置
JP2014230602A (ja) 生体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