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6729A - 주차 유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차 유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6729A
KR20080096729A KR1020080090039A KR20080090039A KR20080096729A KR 20080096729 A KR20080096729 A KR 20080096729A KR 1020080090039 A KR1020080090039 A KR 1020080090039A KR 20080090039 A KR20080090039 A KR 20080090039A KR 20080096729 A KR20080096729 A KR 20080096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information
vehicle
space
park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0477B1 (ko
Inventor
유철진
Original Assignee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080090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477B1/ko
Publication of KR20080096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2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external to the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 G08G1/146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where the parking area is a limited parking space, e.g. parking garage, restricted spa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복수의 주차 공간을 갖는 주차장에 있어서 차량의 주차를 유도하는 주차 유도 장치를 개시한다. 주차 유도 장치는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를 표시하는 발광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주차 공간에 설치되어 각각의 주차 공간의 점유 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주차 완료 후 운전자에게 해당 주차 공간에 관한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주차장으로부터 주차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하는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을 개시한다.
주차 유도 시스템, 주차 유도

Description

주차 유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PARKING GUIDANCE APPARATUS AND PARKING GUIDANCE SYSTEM WITH THEREOF}
본 출원은 주차 유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유도시스템에 관한 발명을 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주차 공간을 포함하는 주차장에 있어서 점유되어 있지 않은 주차공간과 점유된 주차된 공간을 운전자가 원거리 상에서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기술에 관련된다.
유동인구가 집중되는 백화점, 대형 쇼핑센터, 병원 등의 대형 건물들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주차 공간을 제공하는 대형주차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와 같이 유동적 차량을 주차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주차 공간이 특정 사람들에게 지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운전자는 점유되어 있지 않은 주차 공간을 찾아서 주차장 내부를 배회하게 되어 귀중한 시간, 연료 낭비와 환경오염 유발을 만드는 경우가 많다. 또한, 다수의 대형 주차장에서는 이를 완화하기 위하여 많은 주차유도 인력을 고용하여 열악한 환경의 주차장에서 주차 도우미 역할을 시키는 극히 비능률적이고 비위생적인 낭비의 과정들을 거치게 되는바, 자동차를 주차시키는데 따르는 낭비와 비효율 현상이 흔하다. 따라서, 점유되지 않은 주차 공간에 대한 정보를 운전 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면 운전자의 귀중한 주차시간 절약과 연료낭비는 물론 환경개선에도 도움이 된다.
특히, 대형주차장과 같이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각 층의 차량 진입로에서 그 층의 주차 공간이 얼마나 남아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주차장 내의 교차로에서 각 방향을 따라 존재하는 점유되지 않은 주차 공간을 미리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적인 MIS 주차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갖추게 된다. 그러나 이는 복합적인 신호통신 공사로 고가의 비용이 투자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대형 복합 주차장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용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소규모 주차장에서는 고가의 복합적인 MIS 주차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없이도 주차 유도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도 1 은 종래의 주차유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주차장에는 복수의 주차 공간 (11) 이 확보되어 있다. 각 주차 공간에는 센서 (14) 가 설치되어 각 주차 공간이 차량에 의해 점유되어 있는지를 감지한다. 각 센서 (14) 에 의하여 수집되는 각 주차 공간 (11) 의 점유 상태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 (미도시) 로 전송된다. 제어부는 각 주차 공간의 점유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 (13) 를 통하여 표시하여 왔다.
디스플레이 장치 (13) 는 일반적으로 진입하는 차량이 이동할 수 있는 각 교차로 (12) 에 설치된다. 디스플레이 장치 (13) 는 제어부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진행방향에 존재하는 점유되지 않은 주차 공간의 수를 표시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를 통해 주차장 진 입시 또는 교차로에서 주차 공간이 남아있는 방향으로 진입할 수 있게 하였다.
종래기술에서는 각각의 주차 공간에 설치된 센서를 통하여 해당 주차 공간에서의 차량의 주차여부를 감지하기만 하고 이를 제어부로 전송하여 전체 주차 공간의 주차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종래기술은, 이와 같이 수집된 MIS 주차정보를 차량의 진행방향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운전자들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으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한 정보, 예를 들어, 점유되지 않은 주차 공간의 수, 또는 주차장의 도면을 이용하여 점유되지 않은 주차 공간의 위치를 제공하는 방식은 운전자가 즉각적으로 인식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기술은 주차 공간에 설치된 센서가 차량의 주차여부를 감지하기만 하고,센서에서 분리된 거리에 주차여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별도로 설치하고 있으나 이는 전기통신 공사비의 2중 부담과 실시간 통신의 지연을 초래하여 온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점유되지 않은 주차 공간을 보다 즉각적으로 먼 거리에서도 실시간으로 더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경제적인 주차유도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출원의 제 1 실시형태는, 복수의 주차 공간을 갖는 주차장에 있어서 차량의 주차를 유도하는 주차 유도 장치로서, 상기 주차 유도 장치는 상기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 여부를 먼 거리에서도 더욱 확실하고 분명하 게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여, 도 1 과 같은 주차장 통로의 디스플레이 (13) 를 설치하지 않거나 그 설치개소를 줄여 경제적인 시스템을 이루면서 상기 주차 유도 장치가 상기 복수의 주차 공간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주차 공간 각각의 주차 상태를 표시하는, 현재보다 더욱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발전된 주차 유도 장치이다.
또한, 본 출원의 제 2 실시형태는, 복수의 주차 공간을 갖는 주차장에 있어서 차량의 주차를 유도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으로서,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주차 유도 장치,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 유도 장치는 상기 복수의 주차 공간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주차 공간 각각의 주차 상태를 먼 거리에서도 표시함으로써, 차량의 주차를 유도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이다.
또한, 본 출원의 제 3 실시형태는, 복수의 주차장의 주차 정보를 수집하는 교통 정보 서버를 이용하여, 복수의 주차장의 주차 정보를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하는,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이다.
주차 가능한 주차 공간을 해당 주차 공간에 설치되는 램프로 주차장내 360도 방향 어디에서나 분명하게 식별할 수 있게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보다 즉각적으로 주차 공간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경제성 면에서도 복합주차유도시스템을 설치하기가 부담스러운 중소형 주차장의 경우, 센서와 램프를 포함하는 주차 유도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복잡한 주차정보 MIS 시스템이 없이도 운전자가 각각의 주차공간의 점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바,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케 함으로써 본 주차유도시스템을 전국적으로 대중화 가속화 하여 운전자는 주차공간을 찾는데 낭비되는 시간절약, 에너지 절감을 통한 경제생활에 종사하여야 할 귀중한 국민의 시간절약과 국가적 에너지 절감에 기여하고, 또한, 주차장의 운영자에게는 불필요한 유도인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여 경비절감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제적인 주차유도 설비를 대형주차장은 물론 중소형 주차장까지 경제성에 의해 대중적 보급을 꾀함으로써 각각의 단위주차장 내부의 주차효율뿐만 아니라 각 주차장 단위의 주차공간 정보를 집약하여 차량에 부착하는 내비게이션, 인터넷, 핸드폰 그리고 도로상에 설치하는 도로교통 정보망 디스플레이와 연계하여 실시간 주차정보를 알림으로써 주차장을 찾아 헤매는 도로상의 차량들을 줄임으로써 더욱 빠른 도시교통 순환에 의한 국가적 에너지 절감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음성안내를 통해 주차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이 개시하고자 하는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시되는 것으로서, 청구하고자 하는 기술적 사상이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는 복수의 주차 공간을 갖는 주차장의 주차 유도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각 주차 공간 (26) 에는 차량의 점유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 (24) 와 차량의 점유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 (25) 가 설치되어 있다. 센서 (24) 는 주차 공간 (26) 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차량의 상부로부터 1 내지 2 미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센서 (24) 는 주차 공간 내에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고 차량이 소정의 시간 동안 주차 공간에 머무르는 경우에 주차 공간이 점유된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센서 (24) 는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는데, 감지 영역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를 신호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이라면 특정의 센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각 주차 공간 (26) 에는 주차 공간의 점유 상태를 나타내는 램프 (25) 가 별도로 설치된다. 램프 (25) 는 주차장에 진입하거나 주차장 내를 이동중인 차량 안에서도 쉽게 식별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램프 (25) 는 주차 공간 (26) 의 상부에 설치되어 멀리서도 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램프는 가시성이 좋으므로 운전자가 360도 방향 어디에서도 식별할 수도 있다. 또한, 램프 (25) 는 해당하는 주차 공간의 점유 상태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램프의 색상을 통해 점유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주차 공간이 이미 차량에 의해 점유된 경우에는 적색으로, 해당 공간이 비점유 상태인 경우에는 녹색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해당 주차 공간이 차량에 의해 점유된 경우에는 램프를 소등하고, 해당 공간이 비점유 상태인 경우에는 녹색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램프의 색상은 시각적으로 식별이 용이한 색상이면 적용 가 능한 것으로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주차장에 진입하는 운전자는 해당 주차 공간에 도달하지 않고도 램프의 색상을 통해 점유되지 않은 주차 공간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램프는 주차장의 진입로에서부터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크고 분명하므로, 운전자는 이를 진입시 또는 이동시에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센서 (24) 와 램프 (25) 는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주차 유도 장치로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센서의 감지 기능과 램프의 표시 기능이 하나로 구성되는 주차 유도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센서와 램프를 각각 설치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설치비용의 2중 부담 및 배선이나 공간확보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도 있다.
도 3 에서는 이와 같이 센서와 램프의 기능을 포함하는 주차 유도 장치 (31) 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주차 유도 장치 (31) 는 센서부 (33) 를 구비하고 센서부 (33) 의 주변 케이싱은 발광부 (32) 를 구비할 수도 있다. 주차 유도 장치 (31) 는 각 주차 공간 (26) 에 설치되어 각 주차 공간의 점유 상태를 감지하고 나아가 주차 공간의 점유여부를 동시에 디스플레이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차 유도 장치 (31) 는 주차 공간에 주차되는 차량의 상부에 설치되어 센서부 (33) 를 통해 차량의 점유 상태를 감지하고, 그 점유 상태를 발광부 (32) 를 통해 나타낼 수도 있다. 이때, 센서 케이싱 전체를 발광부 (32) 로 만들어 360도 어떠한 방향의 먼 거리에서도 쉽게 보일 수 있도록 하여 발광부의 시각적 인식력을 높일 수도 있다. 이 와 같이 두 가지 기능, 즉 센싱기능과 표시기능을 하나의 장치로 구현하는 주차 유도 장치 (31) 를 적용시킴으로써, 센서 (24) 및 램프 (25) 간의 신호전달, 배선 체계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주차 유도 장치 (31) 는 센서와 램프의 기능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주차 공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바, 복합적인 MIS 주차 정보 시스템에 의한 다수의 디스플레이 설치를 줄이거나 제거하여 시스템 설치가 부담스러운 중소형 주차장의 경우에도 손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주차 유도 장치 (31) 는 오디오 출력부 (미도시)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부는 센서부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주차 상태가 확인되면, 해당 주차 공간에 대한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차량을 주차한 후 차량 밖으로 나오는 경우에 해당 주차 공간의 주차 구역 번호, 주차 요금 등과 같은 주차 관련 정보들을 음성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부를 주차 유도 장치 (31) 에 일체형으로 구비함으로써 시스템의 설치 및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주차 유도 시스템은 주차 유도 장치 (31) 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이에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주차 유도 장치 (31) 를 사용하여 주차를 유도하는 경우에는, 주차 유도 장치 (31) 자체의 발광부만으로도 비어 있는 주차 공간을 명확하게 운전자에게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복합적인 MIS 주차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같은 고가의 설비를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중소형의 주차장과 같이 설치비용에 제약이 많은 경우에는 주차 유도 장치 (31) 만을 설치함으로써, 설치 비용의 절감 및 효과적인 주차 유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주차 유도 장치 (31) 와 함께 종합적인 주차 안내를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설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진입로에는 현재 층의 주차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가 설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21) 는 현재 층의 주차 공간 상태를 표시할 수 있고, 또한, 현재 층 외의 다른 층의 주차 공간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차량이 진입하기 이전에 현재 층의 주차 공간 상태를 확인하여 운전자가 진입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주차장 내의 각 교차로에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23) 들이 설치될 수도 있다. 교차로의 디스플레이 장치 (22, 23) 는 각각의 진행방향에 존재하는 주차 공간들의 점유 상태를 표시한다. 점유 상태의 표시는 예를 들어, 각 진행 방향에 존재하는 주차 가능 공간의 수를 나타내거나, 주차 가능 공간의 위치를 도면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진입 방향에 존재하는 주차 공간의 수를 대략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특히, 각 주차 공간에 설치되는 램프의 신호, 예를 들어, 비점유를 나타내는 녹색의 신호를 통해 점유되지 않은 주차 공간의 구체적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4 는 본 출원의 주차 유도 장치가 적용되는 각 주차 공간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각 주차 공간의 상부에는 센서부 및 360도 방향의 가시성이 높은 발광부를 포함하는 주차 유도 장치 (41a 내지 41c) 가 차량의 루프 중앙에 대응하도록 설치 될 수도 있다.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구역의 주차 유도 장치 (41a 및 41c) 는 적색으로 표시되고, 차량이 주차되어 있지 않은 구역의 주차 유도 장치 (41b) 는 녹색으로 표시된다. 차량이 빠져나가면 적색의 주차 유도 장치는 녹색으로 변하여 주차가능 공간임을 표시한다. 주차 유도 장치의 구체적인 설치 위치는 차량의 주차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차량 내부의 운전자가 램프의 빛을 식별하기 쉬운 위치라면 가능한 것으로서, 도 4 에 개시된 형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5 는 주차 유도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각 주차 공간의 센서부 (51) 는 주차 공간이 점유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신호를 램프부 (52) 와 제어부 (53) 에 각각 전송한다. 램프부 (52) 는 비점유 상태에서는 녹색을 표시하고 있고, 센서부 (51) 로부터 점유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적색 신호를 표시한다. 제어부 (53) 는 각각의 센서부 (51) 로부터 점유 상태 신호를 전송받아 이를 데이터 처리한다. 이를 통하여, 제어부 (53) 는 주차장의 개별 층의 각각의 주차 공간의 자동차 점유 상태 또는 주차장 전체 층 각각의 주차 공간의 자동차 점유 상태에 대한 정보를 기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 (53) 에서는 각각의 주차 공간에 대한 시간대별 주차 상태, 일, 월, 연별 주차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고, 이에 대한 통계 자료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 (53) 는 각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점유 상태 신호를 종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54) 에 전송할 수도 있다. 즉, 각 디스플레이 장치 (54) 의 위치에 따라 그 디스플레이 장치 (54) 가 표시하고자 하는 주차 공간들의 점유 상태 신호를 종합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 (54) 를 통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주차 유도 장치와 제어부 사이의 통신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일 수도 있다. 또한, 주차 유도 장치와 제어부 사이의 통신은 단방향 통신뿐만 아니라 양방향 통신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주차 유도 장치에 자체 진단 명령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주차 유도 장치는 제어부의 자체 진단 명령어에 따라 주차 유도 장치의 센서부, 발광부, 또는 송수신부의 정상 작동 여부를 진단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에서는 복수의 주차 유도 장치 각각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센서부, 발광부, 또는 송수신부 중 어느 부분이 오작동 또는 고장인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주차 유도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각 주차 공간은 스피커를 구비할 수도 있다. 스피커에서는 음성 또는 그 밖의 오디오 출력을 통하여 해당 주차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스피커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는 각 주차 공간에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해당 주차 공간의 위치를 나타내는 구역번호, 해당 주차 공간이 장애인 우선 주차 공간임을 안내하는 정보 등이 될 수도 있고, 주차와 관련되는 일반적인 정보, 예를 들어, '주차 위치를 확인하십시오', 또는 '여기는 장애인 주차구역입니다' 와 같은 음성안내, 또는 해당 주차장의 주차 요금 등이 제공될 수도 있으며, 그 밖의 운전자의 편의를 위한 정보들일 수도 있다. 또한, 스피커는 관리실의 마이크와 연결될 수도 있어, 관리실로부터의 전달사항을 출력할 수도 있다. 스피커를 통해 제공될 수 있는 정보는 이외에도 광범위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시된 내용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스피커는 음성 정보의 제공 이외의 시간에는 음악이나 안내방송을 제공하는 일반적인 스피커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스피커를 통한 음성신호는 해당 주차 공간에 설치된 주차 유도 장치의 센서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받아 제공된다. 즉, 센서부로부터 주차 공간의 점유를 나타내는 신호가 발생하면, 이는 스피커의 제어부로 전달되고 스피커의 제어부는 스피커를 통해 음성신호를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스피커를 통한 정보의 제공은 램프 빛의 색상의 변화와 동시에 제공될 수도 있고, 램프 빛의 색상 변화 후, 소정의 시간 후에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는 차량의 주차를 완료하고 소정의 시간 후에 차량 밖으로 나오게 되는데, 스피커는 운전자가 차량 밖으로 나오는 시간에 맞춰 음성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센서가 차량의 주차를 확인하는 신호를 스피커 제어부에 전송하는 경우, 스피커 제어부에서는 차량이 정지한 후 운전자가 차량 밖으로 나올 때까지의 일반적인 시간 간격을 고려하여 그 시간 간격 후에 음성 정보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나오는 움직임을 감지하여 이를 신호로 음성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스피커는 주차 유도 장치와 별도의 구성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센서부, 발광부를 포함하는 주차 유도 장치와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하나의 주차 유도 장치에 센서, 램프, 스피커를 구비함으로써 공간 활용 및 관리에 보다 효율적일 수도 있다.
도 6 은 각 주차 공간에서 진행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시작 단계 (600) 에서는 주차 공간이 점유되지 않은 상태이고 램프의 색은 녹색으로 점등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단계 (602) 에서는 센서부를 통해 해당 주차 공간의 점유 상태를 판단한다. 주차 공간의 점유 상태의 판단은 센서부가 감지영역에 존재하는 물체를 소정 시간 이상 감지하는 경우에 점유로 판단한다. 주차 공간이 점유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602) 의 센서부를 통한 감지 단계로 돌아가고, 주차 공간의 점유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계 (604) 로 진행한다. 이때, 센서부는 주차 공간의 점유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할 수도 있고, 제어부는 각 센서부로부터의 주차 공간 관련 신호를 수집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단계 (604) 에서는 센서부로부터 발생한 신호를 발광부가 수신하여 램프의 색을 적색으로 변경시킨다. 단계 (604) 와 동시에 또는, 단계 (604) 로부터 소정의 시간 간격 후에 단계 (606) 으로 진행한다.
단계 (606) 에서는 주차 공간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신호를 제공한다. 제공되는 음성신호는 해당 주차구역에 관한 정보 또는 운전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일반적 정보일 수도 있다.
단계 (608) 에서는 주차 공간의 점유 상태를 판단한다. 점유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계 (608) 의 센서를 통한 감지 단계로 돌아가고, 점유 상태가 아닌 경우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계 (610) 으로 진행한다. 이때, 센서부는 주차 공간의 점유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할 수도 있고, 제어부는 각 센서부로부터의 주차 공간 관련 신호를 수집하여 이를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단계 (610) 에서는 램프의 색을 녹색으로 변경시키고 단계 (602) 로 돌아간다. 단계 (602) 에서는 상술한 프로세스를 반복하게 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예는 주차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은 단일의 주차장에 있어서 점유되지 않은 주차 공간으로 차량을 유도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과 달리, 복수의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주차 공간 수를 주차장 외부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주차장 외부의 운전자가 주차 공간이 확보되어 있는 주차장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시스템이다.
본 출원이 개시하는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주차장, 복수의 주차장들로부터 각 주차장의 주차 정보를 수집하는 교통 정보 서버, 및 교통 정보 서버로부터 주차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주차장 각각의 주차 정보의 수집은 상술한 주차 유도 시스템 및 주차 유도 장치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각각의 주차장은 복수의 주차 공간을 구비하고, 각각의 주차 공간에는 그 주차 공간의 점유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센서는 해당 주차 공간의 점유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주차장의 제어부로 전송한다. 이때, 센서는 상술한 주차 유도 장치 (31) 일 수도 있다. 각 주차장의 제어부는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종합하여 해당 주차장의 주차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교통 정보 서버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송신되는 주차 정보는 주차장의 위치, 주차장의 명칭, 주차 가능한 차량수, 현재 주차되어 있는 차량수, 현재 주차 가능한 차량수 등이 될 수도 있으며, 이 외의 해당 주차장에 대한 정보 등이 송신될 수도 있다. 이때, 교통 정보 서버와 의 통신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교통 정보 서버는 복수의 주차장들로부터의 주차 정보를 수신하여 종합하고 이들 정보를 단말기에 송신한다.
도 7 은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주차 정보가 제공되는 일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주차 정보가 지도 상에 표시되는 형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단말기는,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컴퓨터,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들 외의 다양한 단말기가 사용될 수도 있고, 그 접속 방식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서 특정 접속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 의 단말기 (71) 는 사용자가 요청하는 지역의 지도를 보여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지도는 도로 정보, 그 지역에 위치하는 건물 정보, 교통 상황 정보 등을 제공하는데, 도 7 에서는 주차 정보 (72) 를 추가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지도 상에 주차장의 위치가 P 와 같은 문자로 표시되고 이와 함께 해당 주차장의 정보들이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는 차량 내에 설치되어 있는 내비게이션을 통하여 목적지 또는 현재 위치 근처의 주차장들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동시에 해당 주차장의 주차 가능 차량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즉, 내비게이션에는 도로 정보와 함께 목적지의 근처, 또는 현재 위치의 근처에 위치하는 주차장의 정보가 표시된다. 주차장 정보의 표시는 내비게이션의 지도 상에 표시될 수도 있고, 음성으로 또는 영상과 음성 모두를 통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의 인터넷상을 통해 나타내는 지도 서비스에서 주차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즉, 교통 정보 서버는 인터넷 지도 서비스에 주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인터넷 지도 서비스의 이용시에 해당 지역의 주차장 및 주차 가능 차량수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휴대폰을 통하여 주차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휴대폰을 통하여 교통 정보 서버로부터 현재 위치하는 지역 또는 요청하는 지역 근처에 위치하는 주차장 및 주차 가능 차량수 등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도 8 은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주차 정보가 제공되는 일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주차 정보를 나타내는 단말기 (82, 83) 를 도로 표지판 (81) 에 설치한 형태를 도시한다. 단말기 (82, 83) 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하여 주차 정보를 표시하는데 예를 들어, 주차장 방향 및 명칭, 주차가능공간/주차전체공간 (84, 85) 등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8 의 단말기는 공중에게 주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로서, 도로 안내 표지판에 부가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주차 정보 제공만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표지판에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차량 운전자는 도로 운전 중에도 해당 지역 근처의 주차장의 위치 및 해당 주차장의 주차 가능 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주차 가능한 주차장을 보다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갖고 있는 자는 실시예에 개시된 일부 구성의 변형, 치환, 부가 및 그들의 조합이 가능 함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도입되는 청구범위들은 본 출원이 개시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러한 모든 변형, 치환, 부가 및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도 1 은 종래의 주차유도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 는 복수의 주차 공간을 갖는 주차장의 주차 유도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 은 센서와 램프의 기능을 포함하는 주차 유도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 는 본 출원의 주차 유도 장치가 적용되는 각 주차 공간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 는 주차 유도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다이어그램.
도 6 은 각 주차 공간에서의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7 은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주차 정보가 제공되는 일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 은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을 통하여 주차 정보가 제공되는 일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Claims (18)

  1. 복수의 주차 공간을 갖는 주차장에 있어서 차량의 주차를 유도하는 주차 유도 장치로서,
    상기 주차 유도 장치는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차 유도 장치는 상기 복수의 주차 공간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주차 공간 각각의 주차 상태를 표시하는, 주차 유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주차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오디오 출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부는 상기 주차 공간이 점유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주차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주차 유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유도 장치의 표시부는, 360 도 방향에서 식별가능하도록 표시하는, 주차 유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유도 장치 외부의 제어부와의 통신을 위한 송수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주차 유도 장치는,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의 제어부로 전송하는, 주차 유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유도 장치는,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의 제어부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주차 유도 장치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고, 상기 진단 결과를 상기 외부의 제어부에 전송하는, 주차 유도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주차 유도 장치와 상기 외부의 제어부를 연결하는, 주차 유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초음파 센서부인, 주차 유도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유도 장치는 태양전지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주차 유도 장 치.
  9. 복수의 주차 공간을 갖는 주차장에 있어서 차량의 주차를 유도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으로서,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상기 주차 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주차 유도 장치; 및
    각각의 상기 주차 유도 장치의 센서부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 유도 장치는 상기 복수의 주차 공간 각각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주차 공간 각각의 주차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차량의 주차를 유도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유도 장치의 표시부는, 360 도 방향에서 식별가능하도록 표시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 수신된 신호들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주차 공간들의 주차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차량의 이동경로를 따라 하나 이상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경로의 진행방향에 따라 존재하는 주차 공간들의 주차 정보를 표시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주차 공간에 설치된 오디오 출력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수단은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주차 공간이 점유 상태가 되는 경우에 상기 주차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주차 유도 시스템.
  13. 복수의 주차장에 대한 종합 주차 정보를 제공하는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주차장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주차장 각각의 주차 정보를 수집하는, 복수의 주차 유도 시스템;
    상기 복수의 주차 유도 시스템 각각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주차장 각각의 주차 정보를 수신하는 교통 정보 서버; 및
    상기 교통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복수의 주차장의 주차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교통 정보 서버는 상기 복수의 주차 유도 시스템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주차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단말기에 상기 수집된 주차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단 말기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주차장에 대한 주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내비게이션, 컴퓨터 또는 휴대폰인,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지도상에서, 상기 복수의 주차장의 주차 정보를 표시하거나,
    상기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음성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주차장의 주차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를 통해 제공되는 지도상에서 상기 복수의 주차장의 주차 정보를 표시하고 음성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주차장의 주차 정보를 제공하는,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도로 상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으로서, 상기 복수의 주차장 중에서 상기 도로 주변에 위치하는 주차장의 주차 정보를 표시하는,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기존의 교통안내 표지판에 설치되는,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차 유도 시스템, 상기 교통 정보 서버, 및 상기 단말기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하는,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080090039A 2008-09-11 2008-09-11 주차 유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 KR100930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039A KR100930477B1 (ko) 2008-09-11 2008-09-11 주차 유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039A KR100930477B1 (ko) 2008-09-11 2008-09-11 주차 유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729A true KR20080096729A (ko) 2008-11-03
KR100930477B1 KR100930477B1 (ko) 2009-12-09

Family

ID=40284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039A KR100930477B1 (ko) 2008-09-11 2008-09-11 주차 유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47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124B1 (ko) * 2011-03-10 2012-06-26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주차유도시스템에 의한 자동전력 제어시스템
CN105513363A (zh) * 2016-02-04 2016-04-20 郑州职业技术学院 停车场智能引导系统
KR20180041504A (ko) * 2016-10-14 2018-04-24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일체형 주차유무알림부를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
CN108470465A (zh) * 2018-03-14 2018-08-31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停车场智能引导系统
KR102202328B1 (ko) * 2020-03-27 2021-01-12 차성환 주차 감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5364A (ko) 2015-02-03 2016-08-11 장성민 파킹 트레커
KR20170000112A (ko) 2015-06-23 2017-01-02 (주)모가씨앤디 위치기반 솔루션 제어기를 이용한 주차관제 장치
US11972684B2 (en) 2015-06-29 2024-04-30 Eco Parking Technologies, Llc Lighting fixture data hubs and systems and methods to use the same
KR101951411B1 (ko) 2017-03-24 2019-02-22 주식회사 메인시스 주차 유도 시스템, 그의 설치 방법, 및 그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3179A (ko) * 2005-09-21 2007-03-26 주식회사 케이티 통합 주차 관리 및 유도 시스템
KR20070035782A (ko) * 2005-09-28 2007-04-02 안라연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무인 주차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434451Y1 (ko) * 2006-09-08 2006-12-21 에이앤디테크놀러지(주) 주차 유도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124B1 (ko) * 2011-03-10 2012-06-26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주차유도시스템에 의한 자동전력 제어시스템
CN105513363A (zh) * 2016-02-04 2016-04-20 郑州职业技术学院 停车场智能引导系统
KR20180041504A (ko) * 2016-10-14 2018-04-24 (주) 티아이에스 정보통신 일체형 주차유무알림부를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
CN108470465A (zh) * 2018-03-14 2018-08-31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停车场智能引导系统
KR102202328B1 (ko) * 2020-03-27 2021-01-12 차성환 주차 감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0477B1 (ko)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477B1 (ko) 주차 유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유도 시스템
US9761136B2 (en) Methods and software for managing vehicle priority in a self-organizing traffic control system
CN103745616B (zh) 一种车库车位导航寻车系统
CN101540112B (zh) 停车泊位引导系统及方法
KR101586706B1 (ko) 카스토퍼 지자기 무선센서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CN202394383U (zh) 基于物联网的客运智能感知系统
CN104157164A (zh) 停车引导系统
JP2008146652A (ja) 知能型駐車案内装置及び方法
KR20100018636A (ko) 주차유도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156394A (ko) 주차안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58708B1 (ko) 음향 감지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시스템
CN107886756B (zh) 一种场内停车路径智能引导方法
JP2001023089A (ja) 停留所用運行案内装置及び運行案内システム
KR100697320B1 (ko) 주차유도 안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40008966A (ko) 주차공간 이용효율 극대화를 위한 주차공유시스템
KR20170070402A (ko) 차량간 통신기능을 이용한 주차유도 방법 및 그 장치
CN107230376B (zh) 停车管理系统
KR20110003888A (ko) 지그비를 이용한 주차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74747A (ko)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JP2002150467A (ja) 交通状態検出方法
KR200448715Y1 (ko) 주차 위치 안내가 가능한 엘리베이터
KR100470605B1 (ko) 지피에스를 이용한 교통정보 감지방법
CN213042453U (zh) 一种基于视觉识别技术的停车场内停车引导系统
KR200354169Y1 (ko) 주차관리시스템
KR101754180B1 (ko) 저전력 장거리 통신망을 이용한 무선 주차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