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4562A -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 Google Patents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4562A
KR20080094562A KR1020080031165A KR20080031165A KR20080094562A KR 20080094562 A KR20080094562 A KR 20080094562A KR 1020080031165 A KR1020080031165 A KR 1020080031165A KR 20080031165 A KR20080031165 A KR 20080031165A KR 20080094562 A KR20080094562 A KR 20080094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installation hole
closing device
leg
orig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7026B1 (ko
Inventor
나오카즈 스즈키
케이조 쿠마자와
Original Assignee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11034A external-priority patent/JP48985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11035A external-priority patent/JP542976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4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4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5Script supports connected to the typewriter or print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5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 E05D11/1064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46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E05F1/1253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spring
    • E05F1/1261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with a compression spring for counterbalan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38Modular devices, i.e. allowing combinations of separate components, removal or replacement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1Top covers or the like
    • H04N1/00554Latches or hing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Sensitive Materials And Original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다리부의 이동을 부드럽게 행할 뿐만 아니라, 다리부가 설치공에서 빠지는 일이 없는 이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를 제공하기 위해, 또, 스프링케이스의 갈라짐 등을 보다 일층 방지할 수 있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를 제공하기 위해 원고압착판을 구비하는 사무기기의 기기본체의 후부상단에 상하방향으로 설치한 설치공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다리부를 지니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측면에, 그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을 설치하고, 상기 설치공의 측벽에, 상기 가이드홈에 안내되는 롤러부재를 설치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롤러부재가 결합하여 상기 다리부의 빠짐을 방지시키는 종단부를 지닌다.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다리부, 스프링케이스, 롤러부재, 종단부, 보강틀체.

Description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n original pressing plate and office equipment therewith}
본 발명은, 복사기, 인쇄기, 팩스, 스캐너 등의 원고압착판을 구비하는 사무기기에 사용되기 적합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인쇄기, 팩스, 스캐너 등의 사무기기의 기기본체에는, 그 기기본체의 상면후부에 원고압착판이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개재하여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원고압착판개폐장치는, 일종의 힌지기구이고, 원고압착판을 힌지축주위에 회동가능하게 축으로 지지하며, 기기본체의 상면의 접촉유리상에 원고압착판을 압착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접촉유리를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원고를 접촉유리상에 세트시킴에 있어서는, 원고압착판을 상방으로 회전시켜서 접촉유리를 노출(개방)시키며, 그 접촉유리상에 원고를 위치시킨 뒤, 원고압착판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폐쇄하고, 원고압착판으로 원고를 접촉유리상에 압착시킴으로써, 원고를 접촉 유리상에 세트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원고압착판개폐장치중에는, 책 등과 같이 두께가 두꺼운 원고를 기기본체의 상면에 안정되게 압착시키기 위해, 원고압착판개폐장치가 기기본체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아래 특허문헌1 및 1참조). 특허문헌1 및 1에 기재된 원고압착판개폐장치는, 기기본체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리부를 구비하고, 그 다리부가 기기본체에 설치된 설치공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원고압착판개폐장치가 기기본체에 그 높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특허문헌1 및 2에 기재되어 있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는, 책 등과 같이 두꺼운 원고의 경우, 원고를 접촉유리상에 세트시킨 뒤에 원고압착판을 닫으면, 원고압착판개폐장치가 기기본체의 상방으로 이동하여 원고압착판이 접촉유리에 대해 평행하게 된 상태에서 원고에 면접촉하고 접촉유리상을 덮을 수 있으므로, 책 등과 같이 두께가 두꺼운 원고를 기기본체의 상면에 안정되게 압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광이 기기본체의 내부로 침입하여 노광이 방해되는 것을 극력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특허문헌2에 기재되어 있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는, 사무기기의 기기본체에 설치되는 취부부재와, 그 취부부재에 제1힌지핀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원고압착판에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지지부재를 개방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압축스프링을 구비한다. 그 압축스프링에 의해 지지부재를 개재하여 원고압착판이 개방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힘을 가하므로, 원고압착판을 개방방향으로 회전시킬 때에는,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중량을 감지함이 없이 원고압착판을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허문헌1] 특허제3262457호
[특허문헌2] 특허제3408111호
그렇지만, 상기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다리부에는, 롤러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 롤러부재는, 다리부의 후면의 하방과, 전면의 중앙과 상방의 사이와의 2개소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원고압착판을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 다리부가 설치공내에서 이동하는 때, 롤러부재가 설치공의 전면 및 후면의 내벽에 접촉하여 구르므로, 다리부의 이동이 부드럽게 행하여진다. 그 다리부는 다리부의 후면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는 결합부(충격흡수부재)가 설치공의 하단부에 결합하기 까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공에 삽입되어 있지만,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개재하여 다리부를 후부측으로 넘어뜨리면, 결합부가 설치공의 하단부에 결합하는 일 없이 다리부가 설치공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때문에, 원고압착판을 개폐시키는 때에, 설치공으로부터 다리부가 이탈되는 일이 고려된다.
또, 특허문헌2에 기재되어 있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압축스프링이 지지부재내에 수용되어, 압축스프링의 일단부가 슬라이더를 개재하여 설치부재에 접촉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타단부가 지지부재에 접촉되어 있다. 지지부재는, 스프링케이스로서도 기능하고, 높은 크리프특성을 지니는 합성수지로 바닥있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오래 사용함으로써 압축스프링이 직접 접촉하는 저부에 갈라진 금이 생기거나 갈라지거나 하는 일이 있었다. 이 때문에, 지지부재의 외주에, 저부 및 양측부를 덮도록 약U자 형상의 보강틀체를 설치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재의 갈라짐 등을 방지할 수 있지만, 그러나, 압축스프링이 직접지지부재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그 압축스프링에 의한 응력이 특히 지지부재의 저부, 압축스프링의 접촉부에만 작용하므로, 지지부재가 변형하여 움푹들어가거나 갈라지거나 하는 일이 고려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제1의 목적은, 다리부의 이동을 부드럽게 행할 뿐만 아니라, 다리부가 설치공에서 빠지는 일이 없는 이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제2의 목적은, 스프링케이스의 갈라짐 등을 보다 일층 방지할 수 있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는, 원고압착판을 구비하는 사무기기의 기기본체의 후부상단에 상하방향으로 설치한 설치공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다리부를 지니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측면에, 그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을 설치하고, 상기 설치 공의 측벽에, 상기 가이드홈에 안내되는 롤러부재를 설치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롤러부재가 결합하여 상기 다리부의 빠짐을 방지하는 종단부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 발명에 의하면, 다리부의 측면에 가이드홈을 설치하고, 설치공의 측벽에 가이드홈에 안내되는 롤러부재를 설치하며, 가이드홈은, 롤러부재가 결합하여 다리부의 빠짐을 방지시키는 종단부를 지니는 것으로, 다리부가 설치공을 이동하는 때에는 롤러부재가 가이드홈에 안내되므로, 다리부의 이동이 부드럽게 행하여진다. 또, 다리부가 설치공으로부터 빠지려 하여도, 롤러부재가 가이드롤러의 종단부에 결합하여 다리부의 빠짐이 방지된다. 따라서, 다리부의 이동을 부드럽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리부가 설치공에서 빠지는 일이 없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이, 상기 다리부의 양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롤러부재가, 상기 설치공의 양측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이, 상기 다리부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롤러부재가, 상기 가이드홈을 관통함과 동시에, 그 롤러부재의 양단부가 상기 설치공의 양측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설치공의 양측벽에 각각 다수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설치공의 양측벽의 대략 중앙부와 상방의 2개소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홈는, 상기 다리부의 상방으로 부터 하방까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은, 그 설치공의 대략 좌측반분이 형성되어 있는 제1설치공형성부재와, 상기 설치공의 나머지 대략 우반분이형성되어 있는 제2설치공형성부재를 서로 맞춰서 고정시킨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는, 원고압착판을 구비하는 사무기기의 기기본체의 후부상단에 상하방향으로 설치한 설치공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다리부를 지니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의 양측벽에, 그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홈을 설치하며, 상기 다리부의 양측면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가이드홈에 안내되는 롤러부재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롤러부재가 결합하여 상기 다리부의 빠짐을 방지시키는 종단부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 발명에 의하면, 설치공의 양측벽에 가이드홈을 각각 설치하며, 다리부의 양측면에 가이드홈에 안내되는 롤러부재를 각각 설치하며, 가이드홈은, 롤러부재가 결합하여 다리부의 빠짐을 방지시키는 종단부를 지니는 것으로, 다리부가 설치공을 이동하는 때에는 롤러부재가 가이드홈에 안내되므로, 다리부의 이동이 부드럽게 행하여진다. 또, 다리부가 설치공에서 빠지려고 하여도, 롤러부재가 가이드롤러의 종단부에 결합하여 다리부의 빠짐이 방지된다. 따라서, 다리부의 이동을 부드럽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리부가 설치공에서 빠지는 일이 없다.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다리 부의 양측면에 각각 다수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다리부의 양측면의 대략 중앙부와 하방의 2개소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설치공의 상방에서 하방까지의 사이에 적어도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다리부의 양측면에서 돌출하는 축과, 이들축에 그 축주위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롤러부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은, 그 설치공의 대략 반분이 형성되어 있는 제1설치공형성부재과, 상기 설치공의 나머지 대략 반분이 형성되어 있는 제2설치공형성부재을 서로 맞추어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2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는, 원고압착판을 구비하는 사무기기의 기기본체의 후부상단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설치공에 다리부를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삽입하여 상기 기기본체에 설치되는 설치부재와, 그 설치부재에 힌지핀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원고압착판에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설치부재,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다리부의 어느 하나의 부재에 설치되는 합성수지제의 스프링케이스를 지니며, 상기 스프링케이스내에 수납시킨 압축스프링의 탄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원고압착판의 회전을 제어하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케이스내에서, 상기 압축스프링을 둘러싸고 대략 U자단면형상의 보강틀체를 설치하고, 그 보강틀체의 적어도 개방단측의 양단부를 상기 힌지핀에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이들 발명에 의하면, 스프링케이스내에, 압축스프링을 둘러싸고 대략 U자단면형상의 보강틀체를 설치하며, 그 보강틀체의 적어도 개방단측의 양단부를 힌지핀에 연결시킨 것으로, 압축스프링의 응력이 보강틀체에 작용하여 지부재의 저부에 거의 작용하는 일이 없으므로, 스프링케이스의 갈라짐 등을 보다 일층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강틀체는, 그 양측부에 상기 스프링케이스에 설치한 제1스토퍼삽통공과 연통하는 제2스토퍼삽통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강틀체의 양측부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이들 양측부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를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미끄럼운동편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는, 상기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다리부의 측면 또는 설치공의 측벽에 가이드홈을 설치하며, 설치공의 측벽 또는 다리부의 측면에 가이드홈에 안내되는 롤러부재를 설치하며, 가이드홈은, 롤러부재가 결합하여 다리부의 빠짐을 방지시키는 종단부를 지니므로, 다리부의 이동을 부드럽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리부가 설치공에서 빠지는 일이 없다. 또, 스프링케이스내에, 압축스프링을 둘러싸고 대략 U자단면형상의 보강틀체를 설치하며, 그 보강틀체의 적어도 개방단측의 양단부를 힌지핀으 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압축스프링의 응력이 보강틀체에 작용하고 지지부재의 저부에 거의 작용하는 일이 없으므로, 스프링케이스의 갈라짐 등을 보다 일층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에 의하면, 다리부의 측면 또는 설치공의 측벽에 가이드홈을 설치하며, 설치공의 측벽 또는 다리부의 측면에 가이드홈에 안내되는 롤러부재를 설치하며, 가이드홈은, 롤러부재가 결합하여 다리부의 빠짐을 방지하는 종단부를 지니므로, 다리부의 이동을 부드럽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리부가 설치공에서 빠지는 일이 없다.
또, 스프링케이스내에, 압축스프링을 둘러싸고 대략 U자단면형상의 보강틀체를 설치하며, 그 보강틀체의 적어도 개방단측의 양단부를 힌지핀에 연결시킨 것으로, 압축스프링의 응력이 보강틀체에 작용하고 지지부재의 저부에 거의 작용하는 일이 없으므로, 스프링케이스의 갈라짐 등을 보다 일층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도5는 본 발명에 관한 제1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 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제1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무기기(10)의 기기본체(11)의 후단부에, 원고압착판(12)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사무기기(10)로서는, 특히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면, 복사기, 인쇄기, 팩스, 스캐너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복사기가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지만, 특히 한정시킴이 없이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제1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1)는, 도1∼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고압착판(12)을 지니는 사무기기(10)의 기기본체(11)의 후부상단에 상하방향으로 설치한 설치공(15)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다리부(3)를 지니는 것에 있어서, 다리부(3)의 측면에, 그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5)를 설치하며, 설치공(15)의 측벽(15a)에, 가이드홈(5)에 안내되는 롤러부재(6)를 설치하며, 가이드홈(5)은, 롤러부재(6)가 결합하여 다리부(3)의 빠짐을 방지하는 종단부((51)를 지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제1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1)는, 원고압착판(12)을 지니는 사무기기(10)의 기기본체(11)의 설치공(15)에 다리부(3)를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삽입하여 기기본체(11)에 설치되는 설치부재(21)와, 그 설치부재(21)에 힌지핀(24)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원고압착판(12)에 설치되는 지지부재(22)와, 설치부재(21), 지지부재(22) 및 다리부(3)의 어느 하나의 부재, 예를 들면, 지지부재(22)에 설치되는 합성수지제의 스프링케이스(28)를 지니며, 그 스프링케이스(28)내에 수납시킨 압축스프링(23a)의 탄력을 이용하여, 지지부재(22)에 설치되는 원고압착판(12)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에 있어서, 스프링케이스(28)내에, 압축스프링(23a)을 둘러싸고 대략 U자단면형상의 보강틀체(9)를 설치 하며, 보강틀체(9)의 적어도 개방단측의 양단부를 힌지핀(24)으로 연결시킨 것에도 특징이 있다.
기기본체(11)의 상면에는, 예를 들면, 접촉유리(도시생략됨)가 설치되고, 그 접촉유리에 원고를 원고압착판(12)에 의해 밀착시킴과 동시에, 접촉유리가 원고압착판(12)에 의해 덮여 가려지도록 되어 있다. 기기본체(11)의 상면의 후단부근방의 2개소에는, 상하방향(높이방향이라고 하기도 함)으로 연장되는 설치공(15)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설치공(15)은, 횡단면 사각형상으로서 요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고압착판개폐장치본체(2)는, 설치부재(21)와, 지지부재(22)와, 설치부재(21)와 지지부재(22)의 사이에 설치되고 원고압착판(12)을 개방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는 탄성부재(23)를 구비하며, 원고압착판(12)을 회전시켜서 기기본체(11)의 상면을 원고압착판(12)으로 덮는 폐쇄상태와 그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형성하는 것이다.
설치부재(21)는, 도1∼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다리부(3)를 지니는 저부(21a)와, 저부(21a)의 양측단부으로부터 각각 저부(21a)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양측부(21b)를 구비하여서 구성된다.
저부(21a)는, 대략 사각형상에 형성되어 있다. 저부(21a)의 하면에는,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다리부(3)가 설치되어 있다. 다리부(3)는, 예를 들면, 설치공(15)보다 약간 작은 대략 사각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리부(3)의 길이는, 특히 한정되지 아니하지만, 설치공(15)의 길이방 향(깊이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칫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리부(3)가 기기본체(11)의 설치공(15)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설치부재(21)의 저부(21a)가 기기본체(11)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원고압착판개폐장치본체(2)가 기기본체(11)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측부(21b)에는, 힌지핀(24)이 삽입관통되는 축공(21c)이 설치되어 있다. 측부(21b)의 축공(21c)보다 전방에는, 수압부(21d)가 설치되어 있다. 수압부(21d)는, 캠슬라이더(25)를 개재하여 탄성부재(23)가 접촉하는 개소이다. 그 수압부(21d)에는, 지지부재(22)의 회전을 규제하는 캠결합부(21e)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재(22)는, 도1∼도6 및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일단부가 폐쇄된 대략 사각통형상 즉 바닥있는 통형상으로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지지부재(22)는, 내부에 탄성부재(23)가 수용되어 있고, 스프링케이스(28)로도 된다. 그 지지부재(22)의 양측부에는, 원고압착판(12)의 후단측에 나사 등으로 설치되는 설치편(22a)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 양측부의 타단부(개구부측단부)에는, 축삽입관통공(22c)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축삽입관통공(22c)과 설치부재(21)의 축공(21c)이 구멍맞춤되어 있고, 이들 공(22c), (21c)에 와셔 등을 개재하여 힌지핀(24)이 삽입관통되는 것에 의해, 지지부재(22)가 설치부재(21)에 힌지핀(24)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지지부재(22)의 양측부에는, 제1스토퍼삽입관통공(22e)이 설치되어 있다. 그 제1스토퍼삽입관통공(22e)은, 예를 들면, 스토퍼핀 등을 삽입관통시켜서 캠슬라이더(25)가 압축스프링(23a)의 탄성력에 의해 축삽입관통공(22c)을 폐쇄시키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특히 조립시에 유효하게 이용되는 것이다.
압축스프링(23a)은, 원고압착판(12)을 개방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는 것이고, 탄성부재(23)의 일종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개방방향이라함은, 원고압착판(12)을 회전시키는 때에 원고압착판(12)이 접촉유리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폐쇄방향이라함은, 개방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원고압착판(12)을 회전시키는 때에 원고압착판(12)이 접촉유리에 가까워지는 방향을 말한다.
압축스프링(23a)은, 지지부재(22)내에 수용되어 지지부재(22)의 폐쇄부(22d)와 수압부(21d)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압축스프링(23a)은, 그 개수는 특히 한정됨이 없이, 1개라도 2개이상이라도 좋고 도시예에서는 2개이다. 압축스프링(23a)의 일단부는 폐쇄부(22d)에 접촉되어 있음과 동시에, 압축스프링(23a)의 타단부는, 예를 들면, 캠슬라이더(25)에 수용되어, 그 캠슬라이더(25)를 개재하여 수압부(21d)에 접촉되어 있다.
캠슬라이더(25)는, 도3∼도5 및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압축스프링(23a)의 타단부를 수용하는 원형상의 수용부(25a)를 2개 지니는 바닥있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압부(21d)에 접촉되는 캠슬라이더(25)의 단면에는, 갬돌출부(25e)가 설치되고, 그 갬돌출부(25e)가 수압부(21d)에 미끄럼접촉되어 캠결합부(21e)에 결합하는 범위에서 설치부재(21)에 대하여 지지부재(22)가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캠슬라이더(25)의 하면에는, 양측부측가 각각 오목한 미끄럼운동부(25b)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미끄럼운동부(25b)는, 캠슬라이더(25)를 지지부재(22)내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운동시키는 것이다.
지지부재(22)(스프링케이스(28))내에는, 보강틀체(9)가 설치되어 있다. 보강틀체(9)는, 예를 들면, 지지부재(22)의 폐쇄부(22d)(저부)의 내면와 탄성부재(23)의 타단부 사이에 위치되는 보강부(26a)를 지니는 보강케이스(26)이다. 보강케이스(26)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재(22)의 크리프(보강)대책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강판 등을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보강케이스(26)는,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지지부재(22)의 폐쇄부(22d)의 내면에 면접촉하는 보강부(26a)와, 그 보강부(26a)의 양단부를 대략 직각으로 절곡하여 지지부재(22)의 측부에 면접촉하는 측부(26b)로 구성되어 대략 ㄷ자 형상에 형성되어 있다. 측부(26b)의 길이는, 지지부재(22)의 측부의 축삽입관통공(22c)보다 긴 칫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보강케이스(26)의 양측부(26b)에는, 축삽입관통공(22c)에 대응하는 위치에 힌지핀(24)이 삽입관통되는 핀공(26c)이 설치되어 있다. 또, 보강케이스(26)의 양측부(26b)에는, 제2스토퍼삽입관통공(26d)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제2스토퍼삽입관통공(26d)은, 지지부재(22)의 제1스토퍼삽입관통공(22e)과 연통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의 조립시에, 예를 들면 스토퍼핀 등을 삽입관통시켜서, 캠슬라이더(25)가 압축스프링(23a)의 탄성력에 의해 축삽입관통공(22c)을 폐쇄하여 힌지핀(24)에 의한 설치부재(21)와 지지부재(22)의 연결을 곤란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보강케이스(26)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미끄럼운동편(26e)(26f)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방의 미끄럼운동편(26e)은, 캠슬라이더(25)의 상면에 접촉함과 동시에, 하방의 미끄럼운동편(26 f)은, 캠슬라이더(25)의 하면의 미끄럼운동부(25b)에 접촉하며, 그 상태대로 캠슬라이더(25)가 미끄럼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홈(5)은, 다리부(3)의 측면(3a)에 그 상하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홈(5)은, 도3∼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다리부(3)의 양측면(3a)에 각각 설치되도록 하여도 좋으며, 다리부(3)의 양측면(3a)을 관통하여 설치하여도 좋다. 가이드홈(5)은, 특히 한정되지 아니하지만, 예를 들면, 다리부(3)의 측면(3a)의 상방에서 하방까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 가이드홈(5)의 하방의 단부는, 롤러부재(6)가 결합하여 다리부(3)의 빠짐을 방지하는 종단부(51)로 형성되어 있다.
롤러부재(6)는, 설치공(15)의 측벽(15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롤러부재(6)는, 예를 들면, 설치공(15)의 양측벽(15a)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 롤러부재(6)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아니하지만, 예를 들면, 설치공(15)의 측벽(15a)으로부터 그 폭방향으로 돌출하여 연장하는 축(61)과, 그 축(61)의 축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롤러부(62)로 구성된다. 그 롤러부(62)는, 가이드홈(5)의 양벽부(5a)사이의 칫수보다 짧은, 예를 들면 약간 짧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다리부(3)를 설치공(15)을 따라 이동시킨 때, 가이드홈(5)내를 롤러부(62)가 회전하면서 다리부(3)가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롤러부재(6)는, 설치공(15)의 양측벽(15a)에 다수 개, 예를 들면, 2개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롤러부재(6)는, 설치공(15)의 양측 벽(15a)의 상방과 대략 중앙부의 2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2개의 롤러부재(6)의 위치는, 측벽(15a)의 폭방향에 대하여 대략 같은 위치이거나, 벗어난 위치라도 좋다. 상방의 롤러부재(6)는, 예를 들면, 다리부(3)를 설치공(15)내에 삽입하여 원고압착판개폐장치본체(2)를 기기본체(11)에 설치한 때, 가이드홈(5)의 상단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다리부(3)(원고압착판개폐장치본체(2))는, 설치부재(21)의 저부(21a)가 기기본체(11)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로부터 하방의 롤러부재(6)가 가이드홈(5)의 하단부에 접촉하기 까지의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롤러부재(6)를 지니는 설치공(15)은, 예를 들면, 일방의 롤러부재(6)를 지니는 설치공(15)의 대략 반분, 예를 들면, 좌반분이 형성되어 있는 제1설치공형성부재(16)와, 타방의 롤러부재(6)를 지니는 설치공(15)의 나머지의 대략 반분, 예를 들면, 우반분이 형성되어 있는 제2설치공형성부재(17)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설치공형성부재(16) 및 제2설치공형성부재(17)는,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결합된 때, 대략 사각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설치공형성부재(16) 및 제2설치공형성부재(17)의 저부측의 단부에는 플랜지부(16a), (17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 플랜지부(16a), (17a)에는, 제1설치공형성부재(16) 및 제2설치공형성부재(17)를 기기본체(11)에 나사 등에 의해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공(16b), (17b)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제1설치공형성부재(16) 및 제2설치공형성부재(17)의 어느 일방의 설치공형성부재, 예를 들면, 제1설치공형성부재(16)에는, 그 폭방향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내면에 나사홈을 지니는 설치 공(16c)이 예를 들면 6개 설치되고, 제1설치공형성부재(16) 및 제2설치공형성부재(17)의 어느 타방의 설치공형성부재, 예를 들면, 제2설치공형성부재(17)의 설치공(16c)에 대향하는 6개소에는, 그 폭방향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관통되는 설치공(17c)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제1설치공형성부재(16)와 제2설치공형성부재(17)이 서로 결합되어 나사 등에 의해 서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제1설치공형성부재(16) 및 제2설치공형성부재(17)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그 높이방향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설치공(15)을 형성하기 위한 요홈형상의 설치공형성요부(18),(1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설치공형성요부(18),(10)에는, 롤러부재(6)의 축(61)을 나사(63) 등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공(18a), (10a)이 각각 2개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제1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1) 및 사무기기(10)의 작용을 설명한다.
원고압착판(12)는, 기기본체(11)가 사용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기본체(11)의 접촉유리에 밀착되어 접촉유리가 덮여져 있다. 접촉유리상에 원고를 위치시키면, 곧, 원고압착판개폐장치본체(2)이 설치되어 있는 개소와는 반대측의 원고압착판(12)의 단부 또는 그 근방 등을 지지하여, 원고압착판(12)을 상방으로 들어 올린다. 즉, 원고압착판(12)을 힌지핀(24)을 축으로 회전시켜서 접촉유리면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그와 같이 원고압착판(12)을 회전시키는 때, 원고압착판(12)은, 압축스프링(23a)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방향으로 회전력이 가하여지므로, 중량을 느낌이 없이 개방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원고압착판(12) 은, 캠돌출부(25e)가 캠결합부(21e)에 접촉하기까지 개방되는 것이 가능하다(도4참조).
노출된 접촉유리면상에 원고를 위치시킨 뒤, 들어 올린 원고압착판(12)을 내린다. 즉, 원고압착판(12)을 접촉유리와 접촉하는 폐쇄방향으로 힌지핀(24)을 축으로 회전시켜서 하방으로 이동시켜서 폐쇄상태로 한다. 그때, 원고가 얇은 박물, 예를 들면, 얇은 종이 1매이면, 원고압착판(12)은 힌지핀(24)을 축으로 회전만 하여 원고압착판(12)에 의해 원고가 접촉유리상으로부터 떠오르는 일 없이 접촉유리에 밀착됨과 동시에, 외광이 기기본체(11)의 내부로 침입하여 노광이 방해되는 것이 극력 방지되므로, 양호하게 원고의 복사 등을 할 수 있다.
또, 원고가 책과 같이 두께가 두꺼운 경우, 개방된 원고압착판(12)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원고압착판(12)이 폐쇄상태로 되기 전, 즉, 원고압착판(12)이 기기본체의 상면(접촉유리)과 대략 평행하게 되기 전에, 원고압착판(12)이 원고의 단부에 접촉하고, 그 원고의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와 원고압착판(12)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즉, 원고압착판(12)은, 원고압착판개폐장치본체(2)과 반대측의 단부가 뜬 상태로 된다. 그 떠 있는 측의 원고압착판(12)을 기기본체(11)측으로 가압하거나 원고압착판(12)의 자중에 의해, 다리부(3)가 설치공(15)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상방)으로 이동하여 원고압착판개폐장치본체(2)이 상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원고압착판(12)이 힌지핀(24)을 축으로 회전한다. 즉, 원고의 상부를 덮도록 원고압착판개폐장치본체(2)의 높이가 자동적으로 조절되어 원고압착판(12)이 이동한다(예를 들면, 도5참조). 예를 들면, 그 원고의 상부가 평탄면인 경우에 는, 그 상부에 원고압착판(12)이 면접촉한다. 그 결과, 두께가 두꺼운 원고가 안정되게 접촉유리에 밀착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원고압착판(12)은, 원고의 두께에 관계없이 원고를 안정되게 접촉유리에 밀착할 수 있다.
그와 같이, 다리부(3)가 설치공(15)내를 높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때, 설치공(15)의 양측벽(15a)에 2개씩 설치되어 있는 롤러부재(6)가 각 다리부(3)의 가이드홈(5)에 안내되므로, 다리부(3)의 이동이 확실に부드럽게 행하여진다. 또, 원고압착판(12)의 다리부(3)를 설치공(15)으로부터 빠지려 해도 하방의 롤러부재(6)가 가이드홈(5)의 종단부((51)에 결합되어 다리부(3)의 설치공(15)으로부터 빠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제1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1) 및 사무기기(10)는, 다리부(3)의 이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리부(3)가 설치공(15)에서 빠지는 일이 없다.
또, 원고압착판(12)이 개폐하는 때에는, 압축스프링(23a)이 신축함과 동시에, 캠슬라이더(25)가 지지부재(22)내를 미끄럼운동한다. 즉, 원고압착판(12)이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23a)이 줄어든 상태이고, 그 상태로부터 원고압착판(12)을, 힌지핀(24)을 축으로 개방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캠슬라이더(25)의 갬돌출부(25e)가 수압부(21d)상을 미끄럼접촉하면서 캠결합부(21e)방향으로 이동하여 원고압착판(12)이 개방된 상태로 된다. 그 때, 캠돌출부(25e)가 접촉하는 수압부(21d)와 지지부재(22)의 폐쇄부(22d)의 간격이 넓어지며, 압축스프링(23a)의 탄성력에 의해 캠슬라이더(25)가 지지부 재(22)내를 미끄럼운동한다. 그리고, 캠돌출부(25e)가 캠결합부(21e)에 접촉하면, 원고압착판(12)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로 된다. 그 상태가,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23a)이 신장된 상태이다.
그 상태로부터 원고압착판(12)을 폐쇄방향으로 힌지핀(24)을 축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원고압착판(12)을 폐쇄시킬 수 있다. 그 때, 캠돌출부(25e)가 접촉하는 수압부(21d)와 지지부재(22)의 폐쇄부(22d)의 간격이 좁게 되고, 압축스프링(23a)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캠슬라이더(25)가 지지부재(22)내를 미끄럼운동하면서 압축스프링(23a)이 압축된다.
그와 같은, 원고압착판(12)이 폐쇄된 상태가, 통상, 기기본체(11)가 사용되지 아니하는 상태이고, 압축스프링(23a)은 압축된 상태이다. 그 압축스프링(23a)의 응력이 특히 지지부재(22)의 폐쇄부(22d)측에 작용하지만, 압축스프링(23a)의 타단부와 지지부재(22)의 폐쇄부(22d)의 사이에는, 보강케이스(26)의 보강부(26a)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스프링(23a)의 응력ld 보강케이스(26)에 작용하여 지지부재(22)의 폐쇄부(22d)에 거의 작용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제1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1)는, 스프링케이스(28)의 갈라짐 등을 보다 일층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압축스프링(23a)의 일단부가 수납되어 있는 캠슬라이더(25)는, 원고압착판(12)의 개폐조작에 의해 지지부재(22)내에 설치되어 있는 보강케이스(26)내를 미끄럼운동하므로, 지지부재(22)(스프링케이스(28))가 확실하게 갈라지거나 하는 일이 없다. 즉, 캠슬라이더(25)의 상면에는, 보강케이스(26)의 상방의 미끄럼운동 편(26e)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캠슬라이더(25)의 양측면에는, 보강케이스(26)의 양측부(26b)가 설치되고, 또한, 캠슬라이더(25)의 하면에는, 하방의 미끄럼운동편(26f)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캠슬라이더(25)가 지지부재(22)내를 미끄럼운동하는 때에는, 캠슬라이더(25)가 지지부재(22)에 접촉하는 일 없이 미끄럼운동하므로, 지지부재(22)(스프링케이스(28))의 갈라짐 등을 갈라짐 등을 보다 일층 확실하게 방지하는 일이 가능하다.
또, 전술의 제1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서는, 가이드홈(5)을 다리부(3)의 양측면(3a)에 각각 설치함과 동시에, 롤러부재(6)를 설치공(15)의 양측벽(15a)에 각각 설치하도록 하였지만, 이에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면, 도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홈(55)을, 다리부(3)의 양측면(3a)을 관통하여 설치함과 동시에, 롤러부재(65)를, 가이드홈(55)을 관통시켜서 그 양단부를 설치공(150)의 양측벽(150a)에 설치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홈(55)은, 다리부(3)의 측면(3a)의 상방에서 하방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양측면(3a)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 가이드홈(55)의 하방의 단부는, 롤러부재(65)가 결합하여 다리부(3)의 빠짐을 방지하는 종단부(56)로서 형성되어 있다.
롤러부재(65)로서는, 예를 들면, 양단부가 설치공(150)의 양측벽(150a)에 설치되는 축(66)과, 그 축(66)의 축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롤러부(67)로 구성된다. 그 롤러부(67)는, 가이드홈(55)의 양벽부간의 칫수보다 짧으며, 예를 들면 약간 짧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다리부(3)를, 설치공(150)을 따라 이동시킨 때, 가이드홈(55)내를 롤러부(67)가 회전하면서 다리부(3)가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축(66)의 양단부근방의 외주에는, 예를 들면, E링(68)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구(66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설치공(150)은, 예를 들면, ㄷ자 형상의 설치공형성부재(160)에 의해 형성된다. 설치공형성부재(160)는, 예를 들면, 판금을 ㄷ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형성된다. 설치공형성부재(160)의 양단부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플랜지부(160a)로서 형성되어 있다. 설치공형성부재(160)에는, 롤러부재(65)를 설치하기 위한 관통공(160b)이 설치되어 있다.
롤러부재(65)의 조립은, 곧, 롤러부(67)를 다리부(3)의 가이드홈(55)내에 위치시킨 대로, 그 다리부(3)를, 설치공(150)을 형성하는 설치공형성부재(160)내에 삽입하고, 롤러부(67)와 관통공(160b)을 축결합시킨다. 이들 관통공(160b)과 롤러부(67)에 축(66)을 삽입하여 관통시킨다. 설치공형성부재(160)의 양측부로부터 돌출하는 축(66)의 양단부의 설치구(66a)에 E링(68)을 각각 설치함에 의해, 롤러부재(65)가 가이드홈(55)에 결합된 상태에서 롤러부재(65)가 조립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효과를 현출하고, 다리부(3)의 이동을 부드럽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리부(3)가 설치공(150)에서 빠지는 일이 없다.
도16는 본 발명에 관한 제2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제2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는, 도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홈(7)이 설치공(15)의 양측벽(15a)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롤러부재(8)가 다리부(3)의 양측면(3a)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 이하에, 제2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90)에 대해 설명하지만, 상기 제1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1)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가이드홈(7)은, 특히 한정되지 아니하지만, 적어도 설치공(15)의 양측벽(15a)의 상방에서 하방까지의 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시예에서는, 설치공(15)의 양측벽(15a)의 상방으로부터 저부까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 가이드홈(7)의 상방의 단부는, 롤러부재(8)가 결합하여 다리부(3)의 빠짐을 방지하는 종단부(151)로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7)을 지니는 설치공(15)은, 도16, 도18 및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일방의 가이드홈(7)을 지니는 설치공(15)의 대략 반분 예를 들면, 좌반분이 형성되어 있는 제1설치공형성부재(71)과, 타방의 가이드홈(7)을 지니는 설치공(15)의 나머지의 대략 반분, 예를 들면, 우반분이 형성되어 있는 제2설치공형성부재(72)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설치공형성부재(71) 및 제2설치공형성부재(72)은,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결합된 때, 대략 사각형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설치공형성부재(71) 및 제2설치공형성부재(72)의 저부측의 단부에는 플랜지부(71a), (72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 플랜지부(71a), (72a)에는, 제1설치공형성부재(71) 및 제2설치공형성부재(72)를 기기본체(11)에 나사 등에 의해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71b), (72b)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제1설치공형성부재(71) 및 제2설치공형성부재(72)의 어느 일방의 설치공형성부재, 예를 들면, 제1설치공형성부재(71)에는, 그 폭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내면에 나사홈을 지니는 설치공(71c)이 예를 들면 6개 설치되고, 제1설치공형성부재(71) 및 제2설치공형성부재(72)의 어느 타방의 설치공형성부재, 예를 들면, 제2설치공형성부재(72)의 설치 공(71c)에 대향하는 6개소에는, 그 폭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관통되는 설치공(72c)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제1설치공형성부재(71)と제2설치공형성부재(72)가 서로 결합되어 나사 등에 의해 서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제1설치공형성부재(71) 및 제2설치공형성부재(72)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그 높이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설치공(15)을 형성하기 위한 요홈형상의 설치공형성요홈부(73), (74)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롤러부재(8)는, 도16 및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리부(3)의 양측면(3a)에 폭방향으로 연장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롤러부재(8)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아니하지만, 예를 들면, 다리부(3)의 양측면(3a)에서 그 폭방향으로 돌출하여 연장하는 축(81), (82)과, 그 축(81), (82)의 축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롤러부(83)로 구성된다. 이들 축(81), (82)은, 예를 들면, 나사기구 등에 의해 서로 나사결합되어 1개의 축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 축(81), (82)의 길이는, 다리부(3)의 양측면(3a)을 관통하는 관통공(31)보다 긴 칫수로 형성되어 있다. 그 축(81), (82)이 관통공(31)에 삽입되어, 그 관통공(31)(양측면(3a))으로부터 돌출하는 축(81), (82)의 양단부의 외주에, 그 축주위에 회동가능하게 롤러부(8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축(81), (82)의 양단부에는, 예를 들면, 와셔부의 나사부재(84)가 설치되고, 롤러부(83)가 축(81), (82)의 양단부에서 빠짐이 없도록 되어 있다.
롤러부(83)는, 가이드홈(7)의 양벽부(7a)간의 칫수보다 가늘고, 예를 들면 약간 가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다리부(3)를, 설치공(15)을 따라 이동시킨 때, 가이 드홈(7)내를 회전하면서 다리부(3)가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롤러부재(8)는, 가이드홈(7)의 양벽부(7a)에 미끄럼접촉하면서 가이드홈(7)에 안내되는 것이다. 롤러부재(8)는, 다리부(3)의 양측면(3a)에 각각 다수 개, 예를 들면, 2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롤러부재(8)는, 다리부(3)의 양측면(3a)의 대략 중앙부와 하방의 2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다리부(3)(원고압착판개폐장치본체(2))는, 설치부재(21)의 저부(21a)가 기기본체(11)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로부터 상방의 롤러부재(8)가 가이드홈(7)의 상단부에 접촉하기까지의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와 같이 구성하여도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효과를 현출한다. 즉, 다리부(3)가 설치공(15)내를 높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때, 다리부(3)의 양측면(3a)에 2개씩 설치되어 있는 롤러부재(8)가 각각 설치공(15)의 가이드홈(7)에 안내되므로, 다리부(3)의 이동이 확실하게 부드럽게 행하여진다. 또, 원고압착판(12)의 다리부(3)를 설치공(15)으로부터 빠지려고 하여도 하방의 롤러부재(8)가 가이드홈(7)의 종단부(151)에 결합하여 다리부(3)의 설치공(15)에서 빠지는 일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제2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90)는, 다리부(3)의 이동을 부드럽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리부(3)가 설치공(15)에서 빠지는 일이 없다.
도20 및 도21은 본 발명에 관한 제3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제3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는, 도20 및 도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부(103)가 스프링케이스(28)로도 되며, 그 스프링케이스(28)내에 보강틀체(9)를 설치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 이하에, 제3의 원고압착판개폐장 치(100)에 대해 설명하지만, 상기 제1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1)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리부(103)는, 설치부재(121)로부터 하방으로 돌설되어 있다. 그 다리부(103)는, 예를 들면, 하단부(저부)가 폐쇄된 대략 사각통형상, 즉, 바닥있는 통형상으로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다리부(103)내에 탄성부재(23)인 압축스프링(23a)이 수용되어 있고, 다리부(103)가 스프링케이스(28)를 겸하고 있다. 그 다리부(103)내에 캠슬라이더(125)가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설치부재(121)에는 힌지핀(124)을 축으로 지지부재(122)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지지부재(122)에는 캠부(122a)가 설치되고, 그 캠부(122a)에 캠슬라이더(125)가 가압된 채 접촉되어 있다. 또, 도20 및 도21중, 부호(127)은 실제로 캠부(122a)와 접촉하는 레버핀을 나타낸다.
보강틀체(9)는, 다리부(103)(스프링케이스(28))내에 설치되어 있다. 보강틀체(9)는, 예를 들면, 다리부(103)의 저부(103a)의 내면과 압축스프링(23a)의 단부와의 사이에 위치되는 보강부(126a)를 지니는 보강케이스(126)이다. 보강케이스(126)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재(122)의 크리프(보강)대책으로서 이용되는 것으로, 강판 등을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보강케이스(126)는, 예를 들면, 다리부(103)의 저부(103a)의 내면に면접촉하는 보강부(126a)와, 그 보강부(126a)의 양측단부를 대략 직각으로 절곡하여 다리부(103)의 측부에 면접촉하는 측부(126b)로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부(126b)의 길이는, 힌지핀(124)이 위치되어 있는 위치보다 긴 칫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 하다. 그 보강케이스(126)의 양측부(126b)에는, 힌지핀(124)이 삽입관통되는 핀공(도시생략됨)이 설치되어 있다. 또, 보강케이스(26)의 양측단부에는, 미끄럼운동편(126e),(126f)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미끄럼운동편(126e),(126f) 및 측부(126b)내에서 캠슬라이더(125)가 미끄럼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제3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100) 및 사무기기(10)의 작용을 설명한다. 원고압착판(12)은, 기기본체(11)가 사용되지 아니하는 상태에서는, 기기본체(11)의 접촉유리에 밀착되어 접촉유리가 덮여져 있다. 접촉유리상에 원고를 위치시키는 때에는, 원고압착판(12)을, 힌지핀(124)을 축으로 회전시켜서 접촉유리면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그와 같이 원고압착판(12)을 회전시킬 때, 원고압착판(12)은, 압축스프링(23a)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방향으로 회전력이 가해지므로, 중량을 느끼는 일없이 개방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노출된 접촉유리면상에 원고를 위치시킨 뒤, 들어 올린 원고압착판(12)을 내린다. 그 때, 원고가 얇은 물건, 예를 들면, 얇은 종이 1매이면, 원고압착판(12)은 힌지핀(124)을 축으로 회전만하여 원고압착판(12)에 의해 원고가 접촉유리상으로부터 떠오르는 일 없이 접촉유리에 밀착됨과 동시에, 외광이 기기본체(11)의 내부로 침입하여 노광이 방해되는 일이 극력 방지되므로, 양호하게 원고의 복사 등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원고가 책과 같이 두께가 두꺼운 경우, 개방된 원고압착판(12)을 폐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원고압착판(12)이 폐쇄상태로 되기 전, 즉, 원고압착판(12)이 기기본체의 상면(접촉유리)과 대략 평행으로 되기 전에, 원고압착판(12)이 원고의 단부 에 접촉하고, 그 원고의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와 원고압착판(12)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즉, 원고압착판(12)은, 원고압착판개폐장치본체(2)와 반대측의 단부가 뜬 상태로 된다. 그 떠 있는 측의 원고압착판(12)을 기기본체(11)측으로 가압하거나 원고압착판(12)의 자중에 의해, 다리부(103)가 설치공(115)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상방)으로 이동하여 원고압착판개폐장치본체(2)가 상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원고압착판(12)이 힌지핀(124)을 축으로 회전한다. 즉, 원고의 상부를 덮도록 원고압착판개폐장치본체(2)의 높이가 자동적으로 조절되어 원고압착판(12)이 이동한다. 예를 들면, 그 원고의 상부가 평탄면인 경우에는, 그 상부에 원고압착판(12)이 면접촉한다. 그 결과, 두께가 두꺼운 원고가 안정되게 접촉유리에 밀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원고압착판(12)은, 원고의 두께에 관계엇이 원고를 안정되게 접촉유리에 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원고압착판(12)이 개폐하는 때에는, 압축스프링(23a)이 신축함과 동시에, 캠슬라이더(125)가 다리부(103)내를 미끄럼운동한다. 즉, 원고압착판(12)이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압축스프링(23a)이 압축된 상태이고, 그 상태에서 원고압착판(12)을, 힌지핀(124)을 축으로 개방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캠슬라이더(125)의 레버핀(127)이 지지부재(122)의 캠부(122a)상을 미끄럼접촉하면서 이동하여 원고압착판(12)이 개방한 상태로 된다. 그 때, 레버핀(127)과 다리부(103)의 저부(103a)의 간격이 넓어지고, 압축스프링(23a)의 탄성력에 의해 캠슬라이더(125)가 다리부(103)내를 미끄럼운동한다.
그 원고압착판(12)이 개방된 상태로부터 원고압착판(12)을 폐쇄방향으로 힌 지핀(124)을 축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원고압착판(12)을 폐쇄시킬 수 있다. 그 때, 레버핀(127)와 다리부(103)의 저부(103a)의 간격이 좁게 되며, 압축스프링(23a)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캠슬라이더(125)가 다리부(103)내를 미끄럼운동하면서 압축스프링(23a)이 압축한다.
그와 같이, 원고압착판(12)이 폐쇄된 상태가, 통상, 기기본체(11)가 사용되지 아니하는 상태이고, 압축스프링(23a)은 압축된 상태이다. 그 압축스프링(23a)의 응력이 특히 다리부(103)의 저부(103a)측에 작용하지만, 압축스프링(23a)의 타단부와 다리부(103)의 저부(103a)의 사이에는, 보강케이스(126)의 보강부(126a)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스프링(23a)의 응력이 보강케이스(126)에 작용하여 다리부(103)의 저부(103a)에 거의 작용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제3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100)는, 스프링케이스(28)의 갈라짐 등을 보다 일층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압축스프링(23a)의 일단부가 수납되어 있는 캠슬라이더(125)는, 원고압착판(12)의 개폐조작에 의해 다리부(103)내에 설치되어 있는 보강케이스(126)내를 미끄럼운동하므로, 다리부(103, 스프링케이스(28))가 갈라지는 일이 없다. 즉, 캠슬라이더(125)가 다리부(103)내를 미끄럼운동하는 때에는, 캠슬라이더(125)가 다리부(103)에 접촉하는 일 없이 미끄럼운동하므로, 다리부(103, 스프링케이스(28))의 갈라짐 등을 보다 일층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는, 다리부의 측면 또는 설치공의 측벽에 가이드홈을 설치하며, 설치공의 측벽 또는 다리부의 측면 에, 가이드홈에 안내되는 롤러부재를 설치하며, 가이드홈은, 롤러부재가 결합되어 다리부의 빠짐을 방지하는 종단부를 지니므로, 다리부의 이동을 부드럽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리부가 설치공에서 빠지는 일이 없다. 또, 스프링케이스내에, 압축스프링을 둘러싸고 대략 U자단면형상의 보강틀체를 설치하며, 그 보강틀체의 적어도 개방단측의 양단부를 힌지핀에 연결시킨 것으로, 압축스프링의 응력이 보강틀체에 작용하여 지지부재의 저부에 거의 작용하는 일이 없으므로, 스프링케이스의 갈라짐 등을 보다 일층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부터, 특히 복사기, 인쇄기, 팩스, 스캐너 등의 사무기기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로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구비한 사무기기의 일예를 나타내고, 원고압착판을 폐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개략평면도, (b)는 개략측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제1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 (b)는 평면도, (c)는 측면도, (d)는 정면도, (e)는 (c)중의 A-A선 단면도이다.
도3은, 도2(d)중의 B-B선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제1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서의 개방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원고압착판개폐장치본체가 뜬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도이다.
도6는, 본 발명에 관한 제1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본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및 (b)는 사시도, (c)는 측면도, (d)는 배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관한 설치부재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 (d)는 C-C선 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관한 지지부재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 (b)는 평면도, (c)는 정면도, (d)는 측면도, (e)는 (c)중의 D-D선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관한 보강케이스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및 (b)는 사시도, (c)는 평면도, (d)는 정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캠슬라이더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및 (b)는 사시도, (c)는 측면도, (d)는 (c)중의 E-E선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관한 롤러부재를 지니는 제1설치공형성부재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관한 롤러부재를 지니는 제2설치공형성부재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관한 제1설치공형성부재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에 관한 제2설치공형성부재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에 관한 제1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분해사시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에 관한 제2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측면도, (b)는 평면도, (c)는 정면도, (d)는 (a)중의 F-F선 단면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에 관한 제2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본체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에 관한 제1설치공형성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및 (b)는 사시도, (c)는 정면도이다.
도10는, 본 발명에 관한 제2설치공형성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및 (b)는 사시도, (c)는 정면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에 관한 제2의 원고압착판개폐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1은, 도15중의 G-G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원고압착판개폐장치 3: 다리부
5: 가이드홈 6: 롤러부재
9: 보강틀체 10: 사무기기
11: 기기본체 12: 원고압착판
15: 설치공 21: 설치부재
22: 지지부재 28: 스프링케이스
51: 종단부

Claims (15)

  1. 원고압착판을 구비하는 사무기기의 기기본체의 후부상단에 상하방향으로 설치한 설치공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다리부를 지니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측면에, 그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을 설치하고, 상기 설치공의 측벽에, 상기 가이드홈에 안내되는 롤러부재를 설치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롤러부재가 결합하여 상기 다리부의 빠짐을 방지하는 종단부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이, 상기 다리부의 양측면에 설치되고, 상 기 롤러부재가, 상기 설치공의 양측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이, 상기 다리부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롤러부재가, 상기 가이드홈을 관통함과 동시에, 그 롤러부재의 양단부가 상기 설치공의 양측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설치공의 양측벽에 각각 다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의 양측벽의 대략 중앙부와 상방의 2개소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홈는, 상기 다리부의 상방으로부터 하방까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은, 그 설치공의 대략 좌측반분이 형성되어 있는 제1설치공형성부재와, 상기 설치공의 나머지 대략 우반분이형성되어 있는 제2설치공형성부재를 서로 맞춰서 고정시킨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
  7. 원고압착판을 구비하는 사무기기의 기기본체의 후부상단에 상하방향으로 설치한 설치공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다리부를 지니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의 양측벽에, 그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홈을 설치하며, 상기 다리부의 양측면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가이드홈에 안내되는 롤러부재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롤러부재가 결합하여 상기 다리부의 빠짐을 방지시키는 종단부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다리부의 양측면에 각각 다수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다리부의 양측면의 대략 중앙부와 하방의 2개소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설치공의 상방에서 하방까지의 사이에 적어도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재는, 상기 다리부의 양측면에서 돌출하는 축과, 이들 축에 그 축주위로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롤러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은, 그 설치공의 대략 반분이 형성되어 있는 제1설치공형성부재과, 상기 설치공의 나머지 대략 반분이 형성되어 있는 제2설치공형성부재을 서로 맞추어서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
  12. 원고압착판을 구비하는 사무기기의 기기본체의 후부상단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설치공에 다리부를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삽입하여 상기 기기본체에 설치되는 설치부재와, 그 설치부재에 힌지핀을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원고압착판에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설치부재,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다리부의 어느 하나의 부재에 설치되는 합성수지제의 스프링케이스를 지니며, 상기 스프링케이스내에 수납시킨 압축스프링의 탄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원고압착판의 회전을 제어하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케이스내에서, 상기 압축스프링을 둘러싸고 대략 U자단면형상의 보강틀체를 설치하고, 그 보강틀체의 적어도 개방단측의 양단부를 상기 힌지핀에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틀체는, 그 양측부에 상기 스프링케이스에 설치한 제1스토퍼삽통공과 연통하는 제2스토퍼삽통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개폐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틀체의 양측부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이들 양측부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를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미끄럼운동편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5. 상기 청구항1∼1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KR1020080031165A 2007-04-19 2008-04-03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KR1009570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111034 2007-04-19
JP2007111034A JP4898538B2 (ja) 2007-04-19 2007-04-19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JP2007111035A JP5429765B2 (ja) 2007-04-19 2007-04-19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JPJP-P-2007-00111035 2007-04-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4562A true KR20080094562A (ko) 2008-10-23
KR100957026B1 KR100957026B1 (ko) 2010-05-13

Family

ID=40154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165A KR100957026B1 (ko) 2007-04-19 2008-04-03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57026B1 (ko)
CN (1) CN101840176B (ko)
TW (1) TWI4050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76448B2 (ja) * 2014-11-14 2019-03-06 下西技研工業株式会社 ヒンジ
JP7090862B2 (ja) * 2017-05-30 2022-06-27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ヒンジ装置並びにこのヒンジ装置を用いた事務機器
JP7015053B2 (ja) * 2018-03-08 2022-02-02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蓋体開閉装置並びに各種機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8111B2 (ja) * 1997-05-15 2003-05-19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
KR20030065081A (ko) * 2002-01-29 2003-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캐너의 원고압착장치
JP4072473B2 (ja) 2002-10-01 2008-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20040095620A1 (en) * 2002-11-19 2004-05-20 Fang Lin Flat bed scanner
JP2004233531A (ja) 2003-01-29 2004-08-19 Shimonishi Giken Kogyo Kk 画像読取装置における原稿圧着板の開閉装置
JP2004271781A (ja) 2003-03-07 2004-09-30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JP4116992B2 (ja) * 2004-11-11 2008-07-09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この原稿圧着板開閉装置を備えた事務機器
JP4676769B2 (ja) * 2005-01-18 2011-04-27 加藤電機株式会社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事務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05028B (zh) 2013-08-11
TW200914982A (en) 2009-04-01
KR100957026B1 (ko) 2010-05-13
CN101840176B (zh) 2013-02-13
CN101840176A (zh) 201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0959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並びに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KR100675668B1 (ko)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그 원고압착판개폐장치를 구비한사무기기
KR100773364B1 (ko)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KR20060048307A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KR101019775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KR100274573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KR100993964B1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JP5429765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原稿圧着板を備えた事務機器
KR100860922B1 (ko)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KR100957026B1 (ko) 원고압착판개폐장치 및 원고압착판을 구비한 사무기기
CN101290487B (zh) 原稿压板开闭装置及具有该原稿压板开闭装置的办公设备
KR20060083861A (ko) 원고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JP2013097363A5 (ko)
KR101285544B1 (ko) 개폐장치의 빠짐 방지기구 및 이 빠짐 방지기구를 구비한 사무기기
TWI526138B (zh) 原稿壓合板開闔裝置及事務機器
CN110645260B (zh) 铰链及使用该铰链的各种机器
JP2011227370A5 (ko)
TWI682094B (zh) 鉸鏈及使用此鉸鏈的各種機器
JP5223070B2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TWI529069B (zh) 原稿壓合板開闔裝置及辦公室自動化機器
KR100821293B1 (ko) 원고 압착판 개폐장치 및 사무기기
KR20050076126A (ko) 개선된 프론트 커버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JP5645227B6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S5926937B2 (ja) 原稿圧着装置
KR20030065081A (ko) 스캐너의 원고압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