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1009A - 통신 시스템 및 이-메일 체크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및 이-메일 체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1009A
KR20080091009A KR20080031310A KR20080031310A KR20080091009A KR 20080091009 A KR20080091009 A KR 20080091009A KR 20080031310 A KR20080031310 A KR 20080031310A KR 20080031310 A KR20080031310 A KR 20080031310A KR 20080091009 A KR20080091009 A KR 20080091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s
total number
mail
communication device
mai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31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8765B1 (ko
Inventor
도모오 오이시
Original Assignee
엔이씨 액세스 테크니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이씨 액세스 테크니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이씨 액세스 테크니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91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1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메일 서버에 액세스하는 통신 디바이스는 획득 유닛 및 판단 유닛을 포함한다. 획득 유닛은 메일 서버에 주기적으로 액세스하고, 각각의 액세스에서 메일의 총 수를 획득한다. 판단 유닛은, 현재 획득된 메일의 총 수를 직전에 획득된 메일의 총 수와 비교하고,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는지 여부, 및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메일 서버로부터 메일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메일 시스템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및 이-메일 체크 방법{COMMUNICATION SYSTEM AND E-MAIL CHECK METHOD}
본 출원은 2007년 4월 5일 출원되고, 상세한 설명, 청구항, 도면 및 요약을 포함하는 일본 특허 출원 제 2007-098993 호에 기초한다. 상기 일본 특허 출원의 개시물은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된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 및 이-메일 체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시지와 같은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하는 이-메일 시스템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메일은 소정의 메일 수신 프로토콜에 의해 수신된다. POP 3 (Post Office Protocol 3) 은 현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메일 수신 프로토콜 중 하나이다. 그러나,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커맨드가 POP3 에는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경우, 사용자는 메일 서버에 액세스하여 자신 소유의 메일박스를 체크해야 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 2007-034559 호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솔루션을 개시한다. 이 공보는, 새로운 착신 메일의 존재를 사용 자에게 자동으로 통지하는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 더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가, 메일 저장 상태를 체크할 것을 메일 서버에 요청하는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고, 새로운 착신 메일의 존재를 체크하기 위해 이전의 메일 저장 상태로부터 상태의 변화를 검출한다. 이러한 구성에 기인하여, 사용자는 불필요한 조작 없이 실시간으로 새로운 착신 메일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다.
이-메일 시스템을 실현하는 다양한 종류의 형태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사용자가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 (예를 들어, 셀룰러 전화 및 개인용 컴퓨터) 를 갖고, 이-메일을 수신하기 위해 통신 디바이스 각각으로부터 공통 메일 서버에 액세스하는 이-메일 시스템이 존재한다. 이러한 이-메일 시스템에서는, 메일 서버가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액세스를 수신하기 때문에, 메일박스 내의 수신된 메일의 저장 상태가, 오직 하나의 통신 디바이스가 메일 서버에 액세스하는 이-메일 시스템에 비해 복잡한 방식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단이 복잡해진다.
그러나, 전술한 공보에 개시된 이-메일 시스템은,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가 하나의 메일 서버에 액세스하는 이-메일 시스템이 아니다. 실제로, 이 공보에 개시된,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단은, 메일박스 내에서 직전에 인식된 저장 상태와 새로 인식된 저장 상태 사이의 단순한 비교이다. 따라서, 메일 서버가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액세스를 수신하고, 메일박스 내에서 수신된 메일의 저장 상태가 복잡하게 변화하는 전술한 이-메일 시스템의 문제점은 상기 공보에 개시된 구성에 의해서는 해결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목적은, 사용자의 불필요한 조작없이 새로운 착신 메일의 수신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통신 디바이스 및 이-메일 체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라 메일 서버에 액세스하는 통신 디바이스는 획득 유닛 및 판단 유닛을 포함한다. 획득 유닛은 메일 서버에 주기적으로 액세스하여, 각각의 액세스에서 메일의 총 수를 획득한다. 판단 유닛은 현재 획득된 메일의 총 수를 직전에 획득된 메일의 총 수와 비교하고, 그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는지 여부, 및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메일 서버로부터 메일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라, 메일 서버에 액세스하는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이-메일 체크 방법은, 메일 서버에 주기적으로 액세스하여, 각각의 액세스에서 메일의 총 수를 획득하는 단계, 현재 획득된 메일의 총 수를 직전에 획득된 메일의 총 수와 비교하는 단계, 및 그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는지 여부, 및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메일 서버로부터 메일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특성 및 장점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참조 부호는 동일하거 나 유사한 부분을 지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불필요한 조작없이 새로운 착신 메일의 수신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특성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의 예시적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제어 블록도의 일 예이다. 통신 디바이스 (1) 는 메일 서버 (2) 에 액세스한다. 통신 디바이스 (1) 는 획득 유닛 (3) 및 판단 유닛 (4) 을 포함한다. 획득 유닛 (3) 은 메일 서버 (2) 에 주기적으로 액세스하여, 각각의 액세스에서 메일의 총 수를 획득한다. 판단 유닛 (4) 은 현재 획득된 메일의 총 수를 직전에 획득된 메일의 총 수와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는지 여부, 및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메일 서버 (2) 로부터 메일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불필요한 조작없이 새로운 착신 메일의 수신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2 의 예시적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 (10) 를 포함하는 이-메일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의 일 예이다. 이-메일 시스템은 클라이언트측 네트워크 및 캐리어측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측 네트워크 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디바이스 (10) 및 적어도 하나의 개인용 컴퓨터 (11; 이하, PC 라 함) 를 포함한다. 캐리어측 네트워크는 ADSL/광학 라인 종단 설비 (21), 네트워크 (22) 및 메일 서버 (23) 를 포함한다. 여기서, 예를 들어, 네트워크 (22) 는 TCP/IP 에 기반한 인터넷과 같은 IP 네트워크이다. 통신 디바이스 (10) 및 PC (11) 는 각각 ADSL/광학 라인 종단 설비 (21) 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 (10) 및 PC (11) 는 각각 메일 수신 기능을 포함한다. 메일 서버 (23) 로의 액세스를 위한 메일 계정이 메일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통신 디바이스 (10) 및 PC (11) 에 제공된다. 즉, 사용자는 통신 디바이스 (10) 또는 PC (11) 를 사용함으로써 자신에게 어드레스된 메일을 읽을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 (10) 는 네트워크 제어 유닛 (101), 프로토콜 제어 유닛 (102), 메일 관리 유닛 (103), 비휘발성 메모리 (104), 시스템 관리 유닛 (105), 동작 유닛 (106), 디스플레이 유닛 (107) 및 RTC (108; Real Time Clock) 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제어 유닛 (101) 은 클라이언트측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한다. 프로토콜 제어 유닛 (102) 은 TCP/IP 및 POP3 과 같은 다양한 프로토콜의 동작을 제어한다. 메일 관리 유닛 (103) 은,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메일 수신을 관리한다. 비휘발성 메모리 (104) 는 메일의 총 수를 저장한다.
시스템 관리 유닛 (105) 은 통신 디바이스 (10) 를 포괄적으로 관리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 관리 유닛 (105) 은 메일 관리 유닛 (103) 으로 하여금,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RTC (108) 로부터의 시간 정보에 기초한 일정한 시간 간격에서 메일 서버 (23) 로부터의 메일 수신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한다. 사용자는 동작 유닛 (106) 을 조작한다. 예를 들어, 동작 유닛 (106) 은 키패드 또는 터치 패널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 (107) 은, 예를 들어,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디스플레이 유닛 (107) 은, 예를 들어, LED (Light Emitting Diode), 또는 LCD (Liquid Crystal Display) 를 포함한다.
또한, 전술한 통신 디바이스 (10) 는 통상적으로 컴퓨터, 전화기 세트 또는 팩시밀리 (FAX) 장치지만, 전술한 장치 이외의 장치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 3 은 통신 디바이스 (10) 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의 일 예이다. 시스템 관리 유닛 (105) 은 RTC (108) 를 참조함으로써 소정의 시간의 경과를 판단한다. 시스템 관리 유닛 (105) 은 소정의 시간의 각각의 경과 후에, 메일 관리 유닛 (103) 에 메일 체크 요청을 송신한다 (단계 S201). 메일 체크 요청의 수신시에, 메일 관리 유닛 (103) 은 프로토콜 제어 유닛 (102) 및 네트워크 제어 유닛 (101) 을 제어함으로써 메일 서버 (23) 에 로그인한다 (단계 S202).
로그인 이후, 메일 관리 유닛 (103) 은 POP3 의 STAT 커맨드를 메일 서버 (23) 에 송신한다 (단계 S203). 여기서, STAT 커맨드는 POP3 에서 주지의 커맨드이고, 이 커맨드를 수신한 메일 서버 (23) 는 메일박스에 저장된 메일의 총 수 및 바이트의 총 수를 리턴한다. 메일 관리 유닛 (103) 은 현재 시간에 메일박 스에 저장된 메일의 총 수 Nnew 를 메일 서버로부터 획득한다 (단계 S204). 현재의 메일 총 수 Nnew 를 획득한 이후, 메일 관리 유닛 (103) 은 QUIT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메일 서버 (23) 와의 POP3 세션을 종료한다 (단계 S205).
메일 관리 유닛 (103) 은 비휘발성 메모리 (104) 로부터 이전의 메일 총 수 Nold 를 획득한다 (단계 S206). 메일 관리 유닛 (103) 은, 현재의 메일 총 수 Nnew 를 이전의 메일 총 수 Nold 와 비교함으로써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207). 이하,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단을 상세히 설명한다.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이후, 메일 관리 유닛 (103) 은,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관한 판단 결과를 시스템 관리 유닛 (105) 에 통지한다 (단계 S208). 시스템 관리 유닛 (105) 은,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관한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유닛 (107) 의 디스플레이 제어를 수행한다 (단계 S209). 메일 관리 유닛 (103) 은 비휘발성 메모리 (104) 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전의 메일 총 수 Nold 로부터 현재의 메일 총 수 Nnew 로 변경한다 (단계 S210).
또한, 메일 서버 (23) 상에 유지되는 메일의 총 수에 대한 정보는 POP3 의 DELE 커맨드에 의해 0 으로 클리어된다. DELE 커맨드는 통신 디바이스 (10) 또는 PC (11) 에 의한 메일의 수신 이후 이슈된다. 그러나, 메일의 총 수에 대한 정보는 반드시 0 으로 클리어될 필요는 없다. 그 정보는 연속적으로 누적될 수 있다.
도 4 는,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단을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의 일 예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판단 프로세스가 메일 관리 유닛 (103) 에서 수행된다. 메일 관리 유닛 (103) 은, 현재의 메일 총 수 Nnew 가 이전의 메일 총 수 Nold 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301). 현재의 메일 총 수 Nnew 가 이전의 총 수 Nold 와 동일한 경우 (단계 S301 에서 예 판단), 메일 관리 유닛 (103) 은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상태 a). 메일 관리 유닛 (103) 은 판단 결과를 시스템 관리 유닛 (105) 에 통지한다. 시스템 관리 유닛 (105) 은 디스플레이 유닛 (107) 을 제어하여, 상태 a 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컨텐츠 A 를 디스플레이한다 (단계 S302).
현재 총 수 Nnew 가 이전의 총 수 Nold 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단계 S301 에서 아니오 판단), 메일 관리 유닛 (103) 은, 현재 총 수 Nnew 가 이전의 총 수 Nold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303). 현재 총 수 Nnew 가 이전의 총 수 Nold 보다 큰 경우 (단계 S303 에서 예 판단), 메일 관리 유닛 (103) 은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상태 b). 메일 관리 유닛 (103) 은 그 판단 결과를 시스템 관리 유닛 (105) 에 통지한다. 시스템 관리 유닛 (105) 은 디스플레이 유닛 (107) 을 제어하여, 상태 b 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컨텐츠 B 를 디스플레이한다 (단계 S304).
현재 총 수 Nnew 가 이전의 총 수 Nold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단계 S303 에서 아니오 판단), 메일 관리 유닛 (103) 은, 메일 서버 (23) 상에서 유지된 메일이 통신 디바이스 (10) 이외의 또 다른 디바이스인 PC (11) 에 의해 수신된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메일 관리 유닛 (103) 이 전술한 바와 같이 판단한 이유를 설명한다. 통신 디바이스 (10) 는 메일 서버 (23) 로부터 주기적으로 메일을 수신하고, PC (11) 는 랜덤한 시간에 메일 서버 (23) 로부터 메일을 수신한다고 가정한다. 오직 통신 디바이스 (10) 만이 메일 서버 (23) 에 액세스하는 경우, 현재의 메일 총 수 Nnew 는 이전의 메일 총 수 Nold 보다 작지 않다. 즉, 전술한 가정에서, 현재의 메일 총 수 Nnew 가 이전의 메일 총 수 Nold 보다 작은 상태는, 메일이 랜덤한 시간에 수신되었음을, 즉, 메일이 PC (11) 에 의해 수신되었음을 의미한다.
도 4 에서, 메일 관리 유닛 (103) 은, 현재 총 수 Nnew 가 0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305). 현재 총 수 Nnew 가 0 이면 (단계 S305 에서 예 판단), 메일 관리 유닛 (103) 은 "메일박스의 모든 메일이 PC (11) 에 의해 수신되었고, 그 후 새로운 메일이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상태 c). 메일 관리 유닛 (103) 은 그 판단 결과를 시스템 관리 유닛 (105) 에 통지한다. 시스템 관리 유닛 (105) 은 디스플레이 유닛 (107) 을 제어하여, 상태 c 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컨텐츠 C 를 디스플레이한다 (단계 S306).
여기서, 디스플레이 컨텐츠 A 를 디스플레이 컨텐츠 C 와 구별함으로써, 사용자는,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와, 메일이 PC (11) 에 의해 수신되었기 때문에 어떠한 새로운 착신 메일도 존재하지 않는 상태를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여기서, 2 개의 디스플레이 컨텐츠 사이의 구별은, 예를 들어, LED 의 점멸 패턴의 구별, LCD 디스플레이 메시지의 구별 또는 스피커의 출력 사운드의 구별 (미도시) 을 의미한다.
현재 총 수 Nnew 가 0 이 아닌 경우 (S305 에서 아니오 판단), 메일 관리 유닛 (103) 은 "메일박스의 모든 메일이 PC (11) 에 의해 수신되었고, 그 후 새로운 메일이 도달했다"고 판단한다 (상태 d). 메일 관리 유닛 (103) 은 이 판단 결과를 시스템 관리 유닛 (105) 에 통지한다. 시스템 관리 유닛 (105) 은 디스플레이 유닛 (107) 을 제어하여, 상태 d 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컨텐츠 D 를 디스플레이한다 (단계 S307).
여기서, 디스플레이 컨텐츠 B 를 디스플레이 컨텐츠 D 와 구별함으로써, 사용자는 방금 도달한 새로운 착신 메일을, PC (11) 에 의한 모든 메일의 수신 이후에 도달한 새로운 착신 메일과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여기서, 2 개의 디스플레이 컨텐츠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구별된다.
사용자는, 전술한 디스플레이 컨텐츠 A 내지 D 에 의해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는 통신 디바이스 (10) 또는 PC (11) 에 의해 메일 서버 (23) 로부터 새로운 착신 메일을 수신하여, 자신에게 어드레스된 메일을 읽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의 예시적 실시형태의 통신 디바이스 (10) 는 현재의 메일 총 수 Nnew 를 이전의 메일 총 수 Nold 와 비교한다. 통신 디바이스 (10) 는,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는지 여부, 및 통신 디바이스 (10) 이외의 또 다른 통신 디바이스 (예를 들어, PC (11)) 에 의해 메일 서버 (23) 로부터 수신된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로부터의 액세스를 수신하는 메일 서버를 포함하는 이-메일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새로운 착신 메일의 수신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통신 디바이스 (10) 는, 메일 서버 (23) 가 메일 저장 상태를 체크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인 STAT 커맨드를 메일 서버 (23) 에 주기적으로 송신하고, 새로운 착신 메일의 존재를 체크하기 위해 이전의 메일 저장 상태로부터 저장 상태에서의 변경을 검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불필요한 조작없이 새로운 착신 메일의 존재를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메시지 ID 및 UIDL (Unique ID Listing) 가 사용된다. 이 방법에서는, 각각의 메일에 대한 정보가 클라이언트측 메모리에 의해 관리될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메모리 용량의 증가 및 CPU 로드의 증가가 유발된다. 빌트-인 (built-in) 디바이스에서 는, 불시의 전원 고장 (전력 고장) 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메일 관리 정보가 FLASH 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어야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 (10) 는 메일 서버 (23) 로부터의 메일의 총 수를 STAT 커맨드에 의해 획득하고, 그 수를 이전의 메일 총 수와 비교한다. 즉, 통신 디바이스 (10) 에서 관리되는 정보는 오직 이전의 총 수에 대한 정보이다. 따라서, 메모리 용량의 증가 및 CPU 로드의 증가가 회피될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3 의 예시적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 (200) 의 제어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5 에 도시된 컴포넌트에 사용된 참조 부호는 도 2 에 도시된 통신 디바이스 (10) 의 참조 부호와 동일하다. 따라서, 그 컴포넌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 디바이스 (200) 는 통신 디바이스 (10) 에 포함된 유닛에 부가하여, 프린터 제어 유닛 (111) 및 프린터 (112) 를 더 포함한다. 프린터 제어 유닛 (111) 은 메일 관리 유닛 (103) 으로부터 새로운 착신 메일을 수신하고, 그 새로운 착신 메일의 포맷을, 프린터 (112) 가 프린트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한다. 프린터 제어 유닛 (111) 은 포맷 변환 이후 새로운 착신 메일을 프린터 (112) 로 송신한다. 프린터 (112) 는 새로운 착신 메일을 프린트한다.
통신 디바이스 (200) 의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통신 디바이스 (200) 에서, 기본적 동작, 및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는지 여부의 판단의 동작은 통신 디바이스 (10) 의 동작들과 동일하다. 도 4 에서, 메일 관리 유닛 (103) 이 새 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단계 S304 또는 S307), 시스템 관리 유닛 (105) 은 새로운 착신 메일을 메일 서버 (23) 로부터 다운로드한다. 시스템 관리 유닛 (105) 은 다운로드된 새로운 착신 메일을 프린터 제어 유닛 (111) 에 송신한다. 프린터 제어 유닛 (111) 은 수신된 새로운 착신 메일의 포맷을 프린터 (112) 에 대한 포맷으로 변환하고, 그 변환된 포맷의 메일을 프린터 (112) 로 송신한다. 프린터 (112) 는 새로운 착신 메일을 프린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의 예시적 실시형태의 통신 디바이스 (200) 가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는 것을 검출한 경우, 디바이스 (200) 는 그 메일을 자동으로 프린트한다. 따라서, 새로운 착신 메일은 사용자의 불필요한 조작없이 페이퍼 정보로서 쉽게 획득될 수 있다.
도 6 은 통신 디바이스 (10), PC (11) 및 ADSL/광학 라인 종단 설비 (21) 사이의 접속에 대한 제 1 예를 도시하는 제어 블록도의 일 예이다. 통신 디바이스 (10) 및 PC (11) 는 라우터 (12) 를 통해 ADSL/광학 라인 종단 설비 (21) 에 접속된다. 통신 디바이스 (10), PC (11) 및 라우터 (12) 사이의 접속은 유선 접속에 의할 수도 있고, 무선 접속에 의할 수도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글로벌 어드레스를 해결하기 위해, PPPoE (Point to Point Protocol over Ethernet) 통신이 ADSL/광학 라인 종단 설비 (21) 와 라우터 (12) 사이에서 수행된다 ("Ethernet" 은 등록상표임).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에 의해 IP 어드레스가 할당된다. 통신 디바이스 (10) 및 PC (11) 는 이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캐리어측 네트워크의 메일 서버 (23) 와 TCP/IP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 은 통신 디바이스 (10), PC (11) 및 ADSL/광학 라인 종단 설비 (21) 사이의 접속에 대한 제 2 예를 도시하는 제어 블록도의 일 예이다. 통신 디바이스 (10) 및 PC (11) 는 라우터없이 ADSL/광학 라인 종단 설비 (21) 에 직접 접속된다. 통신 디바이스 (10) 및 PC (11) 의 어드레스는 캐리어측으로부터의 PPPoE 에 의해 직접 할당된다. 통신 디바이스 (10) 및 PC (11) 는 어드레스를 사용함으로써, 캐리어측 네트워크의 메일 서버 (23) 와 TCP/IP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의 예시적 실시형태에 따른 메일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통신 디바이스는, 메일 서버에 주기적으로 로그온함으로써 메일박스에 저장된 현재의 메일 총 수를 획득하고, 그 현재의 메일 총 수를 직전의 로그온에서 획득된 이전의 메일 총 수와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메일 클라이언트가 또 다른 통신 단말기의 메일 기능을 사용함으로써 메일 서버로부터 메일을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현재의 메일 총 수가 이전의 메일 총 수와 동일한 경우, 통신 디바이스는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현재의 메일 총 수가 이전의 메일 총 수보다 큰 경우, 통신 디바이스는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현재의 메일 총 수가 이전의 메일 총 수 이하인 경우, 현재의 메일 총 수가 0 인지 여부에 따라, 메일 클라이언트에 의한 모든 메일의 수신 이후 새로운 메일이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상세하게는, 현재의 메일 총 수가 0 인 경우, 착신 메일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고, 현재의 메일 총 수 가 0 이 아닌 경우, 착신 메일이 존재한다고 판단된다.
본 발명의 제 5 의 예시적 실시형태에 따른 메일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통신 디바이스는, 현재의 메일 총 수가 이전의 메일 총 수와 동일한 제 1 메일 저장 상태를, 메일 클라이언트에 의한 모든 메일의 수신 이후 어떠한 착신 메일도 도달하지 않는 제 2 메일 저장 상태와 구별하고, 착신 메일의 부존재를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에 통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그 저장 상태를 상이한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의 예시적 실시형태에 따른 메일 모니터링 기능을 갖는 통신 디바이스는, 현재의 메일 총 수가 이전의 메일 총 수보다 큰 제 3 메일 저장 상태를, 메일 클라이언트에 의한 모든 메일의 수신 이후 착신 메일이 도달하는 제 4 메일 저장 상태와 구별하고, 착신 메일의 존재를 상기 메일 클라이언트에 통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유닛 상에 그 저장 상태를 상이한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
그 구성에 기인하여, 새로운 착신 메일의 존재가 또 다른 통신 단말기에 의해 사용자에게 통지된다. 또한, 클라이언트는 메일 서버의 메일 저장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7-034559 호는, 새로운 착신 메일의 존재를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통지하는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 더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가, 메일 저장 상태를 체크할 것을 메일 서버에 요청하는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송신하고, 새로운 착신 메일의 존재를 체크하기 위해 이전의 메일 저장 상태로부터 상태에서의 변경을 검출한다. 그러나, PC (Personal Computer) 시스템에서는 이-메일이 이용된다. PC 는 임의의 순간에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지 않는다. 전술한 공보에 개시된 이-메일 기능을 포함하는 PC 시스템에서는, 새로운 착신 메일의 존재의 통지가 실시간으로 통지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설명은 당업자들이 본 발명을 실시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그러나, 이 실시형태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고, 본 명세서에 정의된 고유한 원리 및 고유한 예시는 창작적 능력의 사용이 없어도 다른 실시형태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 실시형태들에 한정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며, 청구항 및 균등물의 한계로서 최광의 범주에 부합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발명자의 의도는, 출원절차동안 청구항이 정정되는 경우에도, 청구된 발명의 모든 균등물을 보유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의 예시적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제어 블록도의 일 예.
도 2 는 본 발명의 제 2 의 예시적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이-메일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의 일 예.
도 3 은 도 2 에 도시된 통신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의 일 예.
도 4 는,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상세히 설명하는 흐름도의 일 예.
도 5 는 본 발명의 제 3 의 예시적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제어 블록도의 일 예.
도 6 은 통신 디바이스, PC 및 ADSL/광학 라인 종단 설비 사이의 접속에 대한 제 1 예를 도시하는 제어 블록도의 일 예.
도 7 은 통신 디바이스, PC 및 ADSL/광학 라인 종단 설비 사이의 접속에 대한 제 2 예를 도시하는 제어 블록도의 일 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 : 통신 디바이스 2 : 메일 서버
3 : 획득 유닛 4 : 판단 유닛
11 : PC 12 : 라우터
21 : ADSL/광학 라인 종단 설비 22 : 네트워크
23 : 메일 서버 101 : 네트워크 제어 유닛
102 : 프로토콜 제어 유닛 103 : 메일 관리 유닛
104 : 비휘발성 메모리 105 : 시스템 관리 유닛
106 : 동작 유닛 107 : 디스플레이 유닛
108 : RTC 111 : 프린터 제어 유닛
112 : 프린터

Claims (22)

  1. 메일 서버에 액세스하는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메일 서버에 주기적으로 액세스하고, 각각의 액세스에서 메일의 총 수를 획득하는 획득 유닛; 및
    현재 획득된 메일의 총 수를 직전에 획득된 메일의 총 수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는지 여부, 및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메일 서버로부터 메일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유닛을 구비하는, 통신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획득된 메일의 총 수가 상기 직전에 획득된 메일의 총 수와 동일한 경우, 상기 판단 유닛은 상기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상기 현재 획득된 메일의 총 수가 상기 직전에 획득된 메일의 총 수보다 큰 경우, 상기 판단 유닛은 상기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통신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획득된 메일의 총 수가 상기 직전에 획득된 메일의 총 수 이하인 경우, 상기 판단 유닛은 상기 현재 획득된 메일의 총 수가 0 인지 여부를 판단하 고,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메일 서버로부터의 모든 메일의 수신 이후에 착신 메일이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통신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획득된 메일의 총 수가 상기 직전에 획득된 메일의 총 수 이하이고 0 이 아닌 경우, 상기 판단 유닛은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메일 서버로부터의 모든 메일의 수신 이후에 상기 착신 메일이 도달한다고 판단하는, 통신 디바이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획득된 메일의 총 수가 상기 직전에 획득된 메일의 총 수 이하이고 0 인 경우, 상기 판단 유닛은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메일 서버로부터의 모든 메일의 수신 이후에 어떠한 착신 메일도 도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통신 디바이스.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획득된 메일의 총 수가 상기 직전에 획득된 메일의 총 수와 동일한 경우, 및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메일 서버로부터의 모든 메일의 수신 이후에 어떠한 착신 메일도 도달하지 않은 경우, 상기 판단 유닛은 상기 새로 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리포트하는, 통신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유닛은, 상기 현재 획득된 메일의 총 수가 상기 직전에 획득된 메일의 총 수와 동일한 경우에 리포트되는 컨텐츠를,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메일 서버로부터의 모든 메일의 수신 이후에 어떠한 착신 메일도 도달하지 않은 경우 리포트되는 컨텐츠와 구별하는, 통신 디바이스.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획득된 메일의 총 수가 상기 직전에 획득된 메일의 총 수보다 큰 경우, 및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메일 서버로부터의 모든 메일의 수신 이후에 상기 착신 메일이 도달하는 경우, 상기 판단 유닛은 상기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한다고 리포트하는, 통신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유닛은, 상기 현재 획득된 메일의 총 수가 상기 직전에 획득된 메일의 총 수보다 큰 경우 리포트되는 컨텐츠를,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메일 서버로부터의 모든 메일의 수신 이후에 상기 착신 메일이 도달하는 경우 리포트되는 컨텐츠와 구별하는, 통신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유닛은 상기 메일 서버에 STAT 커맨드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메일의 총 수를 획득하는, 통신 디바이스.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와 함께 라우터를 통해 상기 메일 서버에 액세스할 수 있는, 통신 디바이스.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와는 개별적으로 상기 메일 서버에 액세스할 수 있는, 통신 디바이스.
  13.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팩시밀리 전화 디바이스.
  14. 메일 서버에 액세스하는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이-메일 체크 방법으로서,
    상기 메일 서버에 주기적으로 액세스하고, 각각의 액세스에서 메일의 총 수를 획득하는 단계;
    현재 획득된 메일의 총 수와 직전에 획득된 메일의 총 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는지 여부, 및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메일 서버로부터 메일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메일 체크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획득된 메일의 총 수가 상기 직전에 획득된 메일의 총 수와 동일한 경우, 상기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상기 현재 획득된 메일의 총 수가 상기 직전에 획득된 메일의 총 수보다 큰 경우, 상기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이-메일 체크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획득된 메일의 총 수가 상기 직전에 획득된 메일의 총 수 이하인 경우, 상기 현재 획득된 메일의 총 수가 0 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메일 서버로부터의 모든 메일의 수신 이후에 착신 메일이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이-메일 체크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획득된 메일의 총 수가 상기 직전에 획득된 메일의 총 수 이하이고, 상기 현재 획득된 메일의 총 수가 0 이 아닌 경우,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메일 서버로부터의 모든 메일의 수신 이후에 상기 착신 메일이 도달한다고 판단하는, 이-메일 체크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획득된 메일의 총 수가 상기 직전에 획득된 메일의 총 수 이하이고, 상기 현재 획득된 메일의 총 수가 0 인 경우,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메일 서버로부터의 모든 메일의 수신 이후에 어떠한 착신 메일도 도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이-메일 체크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획득된 메일의 총 수가 상기 직전에 획득된 메일의 총 수와 동일한 경우, 및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메일 서버로부터의 모든 메일의 수신 이후에 어떠한 착신 메일도 도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리포트하는, 이-메일 체크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획득된 메일의 총 수가 상기 직전에 획득된 메일의 총 수와 동일한 경우 리포트되는 컨텐츠는,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메일 서버로부터의 모든 메일의 수신 이후에 어떠한 착신 메일도 도달하지 않은 경우 리포트되는 컨텐츠와는 상이한, 이-메일 체크 방법.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획득된 메일의 총 수가 상기 직전에 획득된 메일의 총 수보다 큰 경우, 및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메일 서버로부터의 모든 메일의 수신 이후에 상기 착신 메일이 도달하는 경우, 상기 새로운 착신 메일이 존재한다고 리포트하는, 이-메일 체크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획득된 메일의 총 수가 상기 직전에 획득된 메일의 총 수보다 큰 경우 리포트되는 컨텐츠는, 상기 다른 통신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메일 서버로부터의 모든 메일의 수신 이후에 상기 착신 메일이 도달하는 경우 리포트되는 컨텐츠와는 상이한, 이-메일 체크 방법.
KR20080031310A 2007-04-05 2008-04-03 통신 시스템 및 이-메일 체크 방법 KR1009787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98993 2007-04-05
JP2007098993A JP2008257484A (ja) 2007-04-05 2007-04-05 メール監視方法およびメール監視機能付き通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009A true KR20080091009A (ko) 2008-10-09
KR100978765B1 KR100978765B1 (ko) 2010-08-30

Family

ID=39827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31310A KR100978765B1 (ko) 2007-04-05 2008-04-03 통신 시스템 및 이-메일 체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35784B2 (ko)
JP (1) JP2008257484A (ko)
KR (1) KR100978765B1 (ko)
CN (1) CN1012823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593B1 (ko) * 2013-11-26 2014-06-13 김봉주 사용자 단말기에서 불법 수신 메시지를 확인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59625B (zh) * 2007-12-14 2011-05-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邮件发送系统及方法
JP5580184B2 (ja) 2010-12-13 2014-08-27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メールデータ処理装置
US11645018B2 (en) 2018-09-25 2023-05-09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outputting message data after person identification
US11329940B2 (en) 2019-10-28 2022-05-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ordinated unread count for email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8645A (ja) * 1991-08-19 1993-02-26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メール管理方式
JP3774547B2 (ja) * 1997-07-25 2006-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
JPH11312068A (ja) 1998-04-28 1999-11-09 Nissin Electric Co Ltd プリンタサーバ
KR100462588B1 (ko) 1998-05-06 2005-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기기를 이용한 선택적 메일 검색 장치 및 방법
JP2989801B2 (ja) * 1998-05-15 1999-12-13 松下電送システム株式会社 電子メール型ファクシミリ装置及び電子メール受信方法
JP2002223253A (ja) 2001-01-26 2002-08-09 Net Village Co Ltd データ受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受信方法
JP2002312293A (ja) * 2001-04-12 2002-10-25 Matsushita Graphic Communication Systems Inc 電子メール受信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20030172118A1 (en) * 2002-03-05 2003-09-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st office protocol 3 support for limited storage devices
US20050021637A1 (en) * 2003-07-22 2005-01-27 Red Hat, Inc. Electronic mail control system
JP2007034559A (ja) 2005-07-26 2007-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端末装置及びWebメール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593B1 (ko) * 2013-11-26 2014-06-13 김봉주 사용자 단말기에서 불법 수신 메시지를 확인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50098A1 (en) 2008-10-09
US8135784B2 (en) 2012-03-13
CN101282311A (zh) 2008-10-08
JP2008257484A (ja) 2008-10-23
KR100978765B1 (ko) 2010-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2332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ushing e-mails to a mobile device
US20050198545A1 (en) Automatic user device presence registration system
JP2001306463A (ja) メール通知装置及び携帯電話装置
KR100978765B1 (ko) 통신 시스템 및 이-메일 체크 방법
US20090287818A1 (en) Monitoring apparatus and monitoring method
WO2006029120A2 (en) Handset cradle
US8856348B2 (en) On-demand network connection
CN111130902A (zh) 交换机管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0483368C (zh) 信息送达管理装置、确认系统和方法、移动通信终端
US7631350B2 (en) Transmitting data across firewalls
US83450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dressing digital rendering devices
KR100472441B1 (ko) 인터넷 메일장치의 선택된 전자메일 수신방법
US8671144B2 (en) Communicating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 of electronic messages to a client
US20100120454A1 (en) Sending method, receiving method, and system for email transfer by short message
US7710894B2 (en)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apting hardware and software preferences based on a network connection
EP1309154B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selection of electronic services using infrared communication
CN101599858B (zh) 主备机管理方法和服务器
EP1936551B1 (en) Method and system for email notification
JP4002545B2 (ja) 音声通信システム及び音声通信方法
JP2003258916A (ja) 通信制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中継関門処理装置及び管理サーバ
JP2014140106A (ja) 中継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2002330175A (ja) メールサーバと電子メール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電子メール送受信制御方法ならびにその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
EP1347604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e-mails to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930953B1 (ko) 메시징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108760A (ko) 이메일 수신 확인 서비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