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0278A - 실드 전선의 접속 구조 - Google Patents

실드 전선의 접속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0278A
KR20080090278A KR1020080026173A KR20080026173A KR20080090278A KR 20080090278 A KR20080090278 A KR 20080090278A KR 1020080026173 A KR1020080026173 A KR 1020080026173A KR 20080026173 A KR20080026173 A KR 20080026173A KR 20080090278 A KR20080090278 A KR 20080090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coaxial cable
wire
holding member
electric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츠로 이시다
주니치 타니가와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ublication of KR20080090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4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for shielded flat cable
    • H01R12/598Each conductor being individually surrounded by shield, e.g. multiple coaxial cables in flat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5Ground or shiel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복수의 소경 실드 전선을 일괄하여 접속할 수 있는 실드 전선의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제l전선 유지부재의 서로 평행한 2열의 빗살과, 상기 2열의 빗살에 대향하는 제2전선유지부재에 의해 상기 실드전선을 협지하여 접속대상물에 고정한다. 제2전선 유지부재를 금속판에 의해 작성하고 상기 제1전선 유지부재의 빗살에 대응하는 2열의 빗살을 갖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호용 도체의 직격이 75μm 이하의 세선동축케이블이어도 이것을 손상하는 일없이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실드 전선, 세선 동축케이블

Description

실드 전선의 접속 구조{Connection structure for small diameter shielded cable}
본 발명은 실드 전선을 접속 대상에 기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접속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선 동축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해 매우 적합한 접속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나 또는 복수의 신호용 도체의 주위에 실드 도체를 갖는 실드 전선이 고주파수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다. 실드전선은 전송로로의 전자 노이즈의 침입이나, 전송로부터 루설되는 신호 성분이 주위에 미치는 전자 장애를 억제하기 위해 유효하다. 또한, 고주파수의 신호를 가능한 한 감퇴시키지 않고 전송하기 위해, 동축 구조의 실드 전선(동축케이블)이 이용된다.
동축케이블은 가요성을 가지므로 취급이 용이하고, 각종 케이블이 많은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정보 기기의 내부에는 높은 주파수 성분을 포함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극소경의 동축케이블(이른바 세선 동축케이블)이 이용된다.
그런데, 실드 전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신호용 도체 및 실드 도체를 접속 대상으로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할 뿐만 아니라, 실드 전선의 단부를 기계적으로 고정할 필요가 있다. 실드 전선의 신호용 도체 및 실드 도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나사 고정, 납땜, 압접, 압착 등의 수단이 적절히 선택된다.
또한, 실드 전선의 단부를 기계적으로 고정하기 위해서는 미리 실드전선의 절연 외피의 일부를 제거하여 실드 도체를 노출시켜두고, 이 노출부를 고정 금구에 의해 접속 대상의 글랜드 전위부에 눌러붙이는 것이 자주 행해진다. 이러한 수단에 의하면, 실드전선의 단부를 접속 대상에 기계적으로 고정함과 함께, 실드 전선의 실드 도체를 글랜드 전위부에 접속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은 병렬 배치된 복수 개의 실드전선을 블록상으로 고정 금구를 이용함으로써 기계적으로 고정함과 함께 각 실드 전선의 실드 도체를 글랜드 전위부에 접속하는 접속구조를 개시한다. 또, 특허 문헌 2는 실드 전선의 신호용 도체 및 실드 도체를 오로지 압접에 의해 접속 대상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접속구조를, 개시한다.
[특허 문헌 1]실개평3-030357호공보
[특허 문헌 2]특개 2001 - 223039호 공보
정보 기기의 내부에서는 회로 모듈 사이를 소경의 동축케이블에 의해 상호 접속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소경의 동축케이블은 가요성이 크기 때문에, 회로 모듈을 고밀도로 배치해야 하는 소형 정보 기기의 몸체 내에 있어 레이아웃의 자유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매우 적합하다. 특히, 동축 케이블은 중심 도체가 실드되어 있으므로, 종래 이용되고 있는 FPC 등에 비해 전자 장애의 발생을 억제 하기 위해서도 유리하다. 그 중에서도, 세선 동축케이블은 가요성이 풍부하므로,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나 카메라의 액정표시부를 지지하는 힌지와 같은 가동부분을 통해 고주파수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불가결하다.
그러나, 특허 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의 실드 전선의 접속 구조는 도 8에 나타내듯이, 단일 블록모양의 금구(86)를 이용하여 실드 전선을 고정하는 것이다. 이 접속 구조를 극소경의 실드 전선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금구에 실드 전선의 외경(φD)와 동일한 정도의 깊이(h1) 및 폭(W)를 갖는 U자형 홈을 형성해야 한다. 그러나, 앞에 예시한 휴대전화기의 힌지를 통해 배선되는 세선 동축케이블의 외경(직경)은 300μm정도이기 때문에, 이에 따라 블록 모양의 금구(86)에 U자 홈을 형성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특허 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접속 구조를 극소경의 실드 전선에 적용하고자 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
또, 특허 문헌2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의 실드 전선의 접속 구조는 신호용 도체/또는 실드용 도체를 접속 하기 위해0 오로지 압접을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외경이 300μm정도의 세선 동축케이블의 신호용 도체(중심 도체)의 직경은 75μm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극소경의 실드 전선을 압접에 의해 접속하고자 하면, 전기적으로 안정된 접속 상태를 얻는 것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실드 전선을 손상해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특허 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접속 구조를 극소경의 실드 전선에 적용하고자 하는 것도 현실적이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근거로 하여 극소경의 실드 전선을 기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접속 구조, 특히 병렬 배치된 복수의 세선 동축케이블을 일괄하여 고정하기 위해서 매우 적합한 접속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제1 전선 유지부재의 서로 평행한 2열의 빗살과, 상기 2열의 빗살에 대향하는 제2 전선 유지부재에 의해 실드 전선을 협지하여 접속대상물에 고정하는 실드 전선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 유지부재의 2열의 빗살중 어느 하나의 빗살이 실드 도체를 직접 협지하고, 다른 하나의 빗살이 상기 실드 도체를 절연 외피를 통해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전선 유지부재를 금속판에 의해 작성하고, 상기 제1전선 유지부재의 빗살에 대응하는 2열의 빗살을 갖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실드 전선의 접속 구조에 의하면, 그 외경에 관계없이 실드 전선을 접속대상에 접속할 수 있다. 특히, 실드 전선이 신호용 도체의 직경이 75μm이하의 세선 동축 케이블이어도, 이것을 손상하는 일 없이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확실히 접속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실드전선의 접속구조에 의하면, 병렬배치된 복수의 실드 전선을 각 실드 전선 사이의 피치를 펼치는 확대하는 일 없이 일괄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실시 형태〉
우선, 본 발명에 관계되는 실드 전선의 고정 구조를 이용하여 구성된 전기 커넥터의 제1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전기커넥터(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전기커넥터(이하에서는, 단지 커넥터라고도 한다. )는, 일렬상으로 병렬 배치된 복수의 실드 전선의 일단 측에 접속되어 상대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와의 전기적 접속을 가능케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50개의 동축케이블을 일괄하여 고정하기 위한 구성을 예시한다.
커넥터(100)은 절연 하우징(101)과 복수의 콘택트(103)과 그랜드부재(105), 홀드 부재(106) 및 쉘(10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절연하우징(101)은 각 콘택트(103) 및 그랜드 부재(105)를 보호 유지하기 위한 부재이며, 합성 수지를 성형하여 성형된다.
콘택트(103)은 각각이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S)에 접속되어 상대 커넥터의 콘택트(도시하지 않음)와 접촉하여 전기적 접속을 행하기 위한 부재이다.
콘택트(103)은 적당한 탄성 및 양호한 전기 전도성을 갖는 구리합금 등의 박판을 타발·절곡가공하여 형성되고 절연하우징(101)에 조립된다. 커넥터(100)을 저배화하기 위해서는 콘택트(103)을 절연하우징(101)에 인서트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콘택트(103)을 절연하우징(101)에 압입하도록 해도 좋다.
그랜드 부재(105) 및 홀드 부재(106)은 각각이 빗살모양의 부분을 갖는 한 쌍의 부재이며, 서로 대항하는 빗살 사이에 동축 케이블을 협지함과 함께 각 동축 케이블의 실드 도체 D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그랜드 부재(105) 및 홀드 부재(106)은 모두 금속판을 타발·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랜드 부재(105)는 서로 평행한 2열의 빗살부를 갖는 채널상(구형 단면을 갖는 홈모양)의 부재이며,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해 절연하우징(101)과 일체가 된다.
또한, 홀드 부재(106)은 그랜드 부재(105)의 각 빗살 사이에 동축케이블(C)가 삽입된 후에 그랜드 부재(105)에 장착되어 그랜드 부재(105)와 협동하여 각 동 축케이블(C)의 단부를 커넥터(100)에 기계적으로 고정한다.
쉘(108)은 그랜드 부재(105) 및 홀드 부재(106)에 의해 동축케이블(C)를 커넥터(100)에 고정한 후에, 하우징(101)에 장착된다. 쉘(108)은 금속제이며, 홀드 부재(106)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홀드 부재(106) 및 그랜드 부재(105)를 통해 각 동축 케이블의 실드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커넥터(100)을 배선판에 실장하는 때에, 쉘(108)의 일부를 그랜드 전위(기준 전위) 부에 접속하면, 모든 동축 케이블의 실드 도체가 그랜드 전위로 유지된다.
도 2는 그랜드 부재(105)와 홀드 부재(106)이 협동하여 동축케이블(C)를 협지함으로써, 동축 케이블(C)가 커넥터(100)에 유지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A)는 실드 전선(C)가 그랜드 부재(105) 및 홀드 부재(106)에 의해 끼워지기 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 2(B)는 동축케이블(C)가 그랜드 부재(105) 및 홀드 부재(106)에 끼워져 유지되기 직전 상태를 나타낸다.
그랜드 부재(105)의 각 빗살(105a)의 사이에는, 도 2에 나타내듯이 U자형의 요부를 갖는 전선수용부(105c)가 형성되어 있다. 전선수용부(105c)의 개구측은 직선 모양이며, 저부는 원호상으로 되어 있다. 또, 전선수용부(105c)의 개구부에는 실드 전선(C)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안내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홀드 부재(106)의 서로 인접하는 빗살(106a)의 사이에도 U자형의 요부를 갖는 전선수용부(106C)가 형성되어 있다. 그랜드 부재(105)와 홀드 부재(106)과는 각 빗살부가 서로 대향하도록 조합된다.
도 3은, 도 2(B)에 나타내는 상태를 동축케이블(C)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모식도이다.
그랜드 부재(105) 및 홀드 부재(106)의 빗살부는 도 3에 나타내도듯이, 동축 케이블(C)의 축방향으로 간격(L)만큼 2열씩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동축 케이블은 적어도 그 2개소가 커넥터(100)에 고정된다. 상기 2개소의 빗살 중, 동축케이블(C)의 선단부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는 상하 한 쌍의 빗살(105a) 및 (106a), 선단부로부터 먼 측에 있는 상하 한 쌍의 빗살을 (105b) 및 (106b)로 한다.
한 쌍의 빗살(105a) 및 (106a)에 의해 끼워지는 동축케이블(C)의 선단 옆부분은 미리 최외층의 절연 외피가 제거되어 실드 도체(D)가 노출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동축 케이블(C)의 실드 도체(D)는 전술한 것처럼 그랜드 부재(105) 및 홀드 부재(106)을 통해 쉘(108)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한 쌍의 빗살(105b) 및 (106b)에 의해 끼워지는 동축케이블(C)의 선단으로부터 먼 부분은 최외층의 절연 외피가 제거 되지 않고, 빗살(105a) 및 (106a)에 의해 끼워지는 부 분보다 외경이 크다. 이 부분은 절연외피가 탄성을 갖기 위해, 빗살(106b) 및 (106b)에 의해 실드부(D)보다도 강하게 협지된다.
그리고, 그랜드 부재(105)에 장착되는 홀드 부재(106)은 적당한 탄성을 갖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므로, 스스로의 탄성에 의해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홀드 부재(106)을 그랜드 부재(105)에 고정하기 위한 나사 등의 수단은, 반드시 필요하게 되지 않는다. 또, 도 3은, 홀드 부재(106)이 그랜드 부재(105)를 외측으로부터 덮듯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과는 반대로, 홀드 부재(106)이 그랜드 부재(105)의 내측에 들어가도록 해도 좋다.
도 4는 절연하우징(101)에 매립되는 그랜드 부재(105)의 단면 형상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커넥터(100)을 저배화하기 위해, 절연 하우징(101)은 가능한 한 얇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한편, 그랜드 부재(105)와 일체화된 절연하우징(101)은 필요한 기계적 강도를 갖추고 있는 것이 요구된다. 이 상반되는 조건을 채우기 위해, 그랜드 부재(105)는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해 절연하우징(101)과 일체로 되어 보강 부재로서의 역할도 담당한다. 게다가 그랜드 부재(105)는 도 4에 나타내는 것 같은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그랜드 부재(105)는 단순한 채널모양은 아니며, 적어도 일방의 절곡부가 바깥쪽에 팽출되어 이중으로 된 부분(105e)가 형성되어 있다. 타방의 절곡부를 같은 형상으로 해도 괜찮지만, 통상은 도 4에 나타내듯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더욱이 그랜드 부재(105)에는 절연하우징(101)에 매립되는 때의 수지의 흐름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구멍(105h)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동축케이블(C)를 커넥터(100)에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함께 기계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수순의 개략을 설명한다.
(1) 우선, 커넥터(100)에 접속되는 동축 케이블(C)의 선단을 가공한다. 동축 케이블(C)는 최선단부의 절연 외피, 실드 도체(D) 및 유전체가 소정 길이에 걸쳐서 제거되어 중심 도체(S)가 돌출하는 상태로 되고 이에 계속되는 부분도 절연 외피가 소정 길이에 걸쳐서 제거되어 실드 도체(D)가 노출하는 상태로 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2) 다음으로, 상기 동축 케이블(C)를 절연하우징(101)과 일체로 된 그랜드부재 (105)의 전선수용부(105c)에 놓여지는 전선수용부(105c)의 폭은 동축 케이블(C)의 실드 도체 노출부 및 이에 계속되는 부분의 절연 외피를 각각 빗살(105a) 및 (105b)가 양측으로부터 끼워짐으로써, 동축케이블(C)가 그랜드 부재(105)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협지할 수 있게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드 전선의 외경에도 밤이 전선수용부(105c)의 폭을, 외피(측편)가 원래 두께의 약1/2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적당하다. 전선수용부(105c)의 폭을 이와 같이 해 두면, 복수의 동축케이블(C)의 각각을 소정의 전선수용부(105c)에 위치시켜 둘 수 있다.
(3)다음으로, 각 전선수용부(105c)에 동축케이블(C)가 삽입된 그랜드 부재(105)에, 홀드 부재(106)을 장착하여 눌러 내린다. 이에 의해, 복수의 동축 케이블(C)가 일괄하여 커넥터(100)에 접속된다. 여기서, 그랜드 부재(105)의 U자형의 전선수용부(105c)와 홀드 부재(106)의 U자 모양의 전선 수용부(106 c)가 닫혀지고, 동축 케이블(C)의 외주를 단단히 조인다. 전선 수용부(105c) 및 전선 수용부(106c) 의 저부의 형상은 상하로부터 동축케이블(C)를 끼운 때에, 동축 케이블의 보호 유지되는 부분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원형이 되도록 되어 있다. 즉, 동축 케이블(C)는 그랜드 부재(105) 및 홀드 부재(106)에 의해, 전주가 조여진다. 이것은, 한 쌍의 빗살(105a) 및 빗살(106a) 뿐만 아니라, 다른 한 쌍의 빗살(105b) 및 빗살(106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동축 케이블(C)는 적어도 축방향의 2개소에 있어서 절연하우징(101)에 고정 된다. 그리고, 동축 케이블(C)의 실드 도체(D)는 한 쌍의 빗살(105a) 및 (106a)에 의해 상하로부터 끼워지고 그랜드 전위(기준 전위)부에 접속가능한 상태로 되는 것과 동시에 하우징(101)에 기계적으로 보호 유지된다.
(4) 동축 케이블(C)의 중심 도체(S)는 접속 대상인 콘택트에 납땜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중심 도체(S)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그 외의 공지의 수단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5) 마지막으로, 하우징(101)에 금속제의 쉘(108)을 장착하면, 커넥터(100)의 조립이 종료된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전기커넥터의 제2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전기커넥터(200)도 본 발명에 관계되는 실드 전선의 접속 구조를 이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제l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 한다.
도 5는 전기커넥터(200)의 분해사시도이다. 전기커넥터(200)은 절연 하우 징(201)과 복수의 콘택트(203)과 그랜드 부재(205), 홀드 부재(206) 및 쉘(20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절연하우징(201)은 각 콘택트(203), 및 그랜드 부재(205)를 유지하기 위한 부재이며, 합성 수지에 의해 성형된다.
콘택트(203)은 각각이 동축 케이블의 중심 도체(심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대 커넥터의 콘택트와 접촉하는 부재이다.
그랜드 부재(205) 및 홀드 부재(206)은 한 쌍을 이루는 부재이다. 그랜드 부재(205)의 빗살 사이에 삽입된 동축케이블(C)는 그랜드 부재(205)의 빗살부에 의해 협지되는 것과 동시에, 그랜드 부재(205)와 홀드 부재(206)과의 협동에 의해 상하로부터 조일 수 있다. 그랜드 부재(205)는 제1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그랜드 부재(105)와 마찬가지로, 금속판을 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서로 평행한 2열의 빗살부를 갖는 부재이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그랜드 부재(205)의 단면 형상은 금속판이 이중으로 된 부분이 일방의 절곡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빗살부와 직교하는 베이스부가 형성되어 있는 점이 그랜드 부재(105)와 다르다. 또한, 그랜드 부재(205)와 한 쌍을 이루는 홀드 부재(206)은 빗살부가 설치되지 않고, 그랜드 부재(205)의 각 빗살이 감입하는 복수의 구멍(206h)이 형성되어 있는 점이 홀드 부재(106)와 다르다.
쉘(208)은 그랜드 부재(205) 및 홀드 부재(206)에 의해 동축 케이블(C)를 전기커넥터(200)에 고정한 후에, 하우징(201)에 장착된다. 쉘(208)은 홀드 부재 (206) 및 그랜드 부재(205)를 통해 각 동축 케이블의 실드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 된다.
도 6은 절연 하우징(201)에 매립되는 그랜드 부재(205)의 단면 형상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그랜드 부재(205)는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해 절연 하우징(201)과 일체가 된다. 커넥터(200)을 저배화하기 위해, 절연 하우징 (201)은 가능한 한 얇게 된다. 한편, 그랜드 부재(205)와 일체화된 절연 하우징은 필요한 기계적 강도를 갖추고 있는 것이 요구된다. 이들 상반되는 조건을 채우기 위해, 그랜드 부재(205)는 도 4에 나타내는 것 같은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그랜드 부재(205)의 형상은 양측이 직각으로 절곡된 단순한 채널상이 아니고, 적어도 한편의 절곡부가 바깥쪽에 팽출되어 금속판이 이중으로된 베이스부(205e)를 갖는 것이다.
더욱이 2개의 절곡부를 같은 형상으로 해도 좋지만, 통상은 도 6에 나타내듯이 일방은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상기 베이스부(205e)에는 절연 하우징(201)을 구성하는 수지의 흐름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구멍(205h)가 설치되어 있고, 절연하우징(201)을 구성하는 수지가 파고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그랜드 부재(205)는 절연 하우징(201)에 강고하게 일체화 된다.
그랜드 부재(205)의 전선 수용부(205c)는 U자형인 대해, 홀드 부재(206)은 판 모양이다. 이 때문에, 그랜드 부재(205)의 빗살에 의해 보호 유지되는 동축 케이블(C)는 그랜드 부재(205)와 홀드 부재(206)에 의해 형성되는 반원상의 둘레부에 둘러싸이게 된다. 이것은 한 쌍의 빗살(205a) 뿐만 아니라, 빗살(205b)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홀드 부재(206)은 빗살부를 갖지 있지 않고, 거의 평면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홀드 부재(106)보다도 작성이 용이하다. 또, 빗살부를 갖지 않는 홀드 부재 (206)을 이용함으로써, 커넥터(200)은 커넥터(100)보다 용이하게 저배화 된다.
<제3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실드 전선의 고정 구조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드 전선의 고정구조는 제1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예시한 실드 전선의 고정 구조의 변형예이며, 보다 저배화로 구성하기 위해 매우 적합한 것이다.
도 7은, 실드전선의 고정구조의 제3실시 형태를 구성하는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실드 전선 고정구성에 있어서는 한 쌍을 이루는 그랜드 부재(305) 및 홀드부재(306)이 모두 L자형 단면을 갖는 금속판에 의해 구성된다. 저면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수직 부분에는 전선 수용부(305c, 306c)를 갖는 빗살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전선 수용부(305c, 306c)는, 어느 것이나, 반원상의 요부이며, 그랜드 부재(305)와 홀드 부재(306)이 서로 맞대어진 때에 원형의 전선 보호 유지부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하측에 위치하는 그랜드 부재(305)의 전량수용부(305c)에 동축케이블(C)가 삽입된 후에, 홀드 부재(306)이 장착된다. 그리고, 동축 케이블(C)가 그랜드 부재(305) 및 홀드 부재(306)에 의해 끼어진 후에, 양쪽 부재 사이에 접착성 수지를 충진한다. 즉, 그랜드 부재(305)를 전기커넥터의 절연 하우징에 미리 매립하는 대신에, 양쪽 부재에 의해 동축 케이블(C)를 협지한 후에 수지에 의해 일체화한다. 이 구성은 동축 케이블(C)의 외경이 비교적 큰 경우에 매우 적합하다. 또한 그랜드 부재(305)는 미리 절연 하우징에 매립되어도 좋고, 홀드 부재(306)과의 사이에 동축 케이블(C)를 협지한 후에 절연 하우징에 부착해도 좋다.
<그 밖의 변형예〉
서로 인접하는 빗살에 의해 형성되는 U자형 요부를 갖는 전선 수용부에, 실드 전선을 확실히 보호 유지하기 위한 화살촉모양의 「버브(barb)」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그랜드 부재를 절연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나사나 접착제 등의 공지의 수단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1]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 그랜드 부재 및 홀드 부재가 협동하여 동축 케이블을 협지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 도 2(B)에 나타내는 상태를 동축 케이블(C)의 측면으로부터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그랜드 부재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그랜드 부재의 단면형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 본 발명의 제3의 변형예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 종래의 실드 전선의 고정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200 전기커넥터
101, 201 절연 하우징
105, 205, 305 그랜드 부재(제1전선유지부재)
106, 206, 306 홀드 부재 (제2전선유지부재)
108, 208 쉘
C 동축케이블

Claims (4)

  1.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제1 전선 유지부재의 서로 평행한 2열의 빗살과, 상기 2열의 빗살에 대향하는 제2 전선 유지부재에 의해 실드 전선을 협지하여 접속대상물에 고정하는 실드 전선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 유지부재의 2열의 빗살중 어느 하나의 빗살이 실드 도체를 직접 협지하고, 다른 하나의 빗살이 상기 실드 도체를 절연 외피를 통해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 전선의 접속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선 유지부재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전선 유지부재의 빗살에 대응하는 2열의 빗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 전선의 접속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전선이 동축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 전선의 접속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케이블의 중심 도체 직경이 7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드 전선의 접속구조.
KR1020080026173A 2007-04-02 2008-03-21 실드 전선의 접속 구조 KR200800902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96551A JP4879071B2 (ja) 2007-04-02 2007-04-02 シールド電線の接続構造
JPJP-P-2007-00096551 2007-04-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278A true KR20080090278A (ko) 2008-10-08

Family

ID=39628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173A KR20080090278A (ko) 2007-04-02 2008-03-21 실드 전선의 접속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54626B2 (ko)
EP (1) EP1978599A3 (ko)
JP (1) JP4879071B2 (ko)
KR (1) KR20080090278A (ko)
CN (1) CN101282001B (ko)
TW (1) TWM33787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0090B2 (ja) * 2010-06-10 2014-06-04 日立金属株式会社 ケーブル接続構造、及びケーブル接続方法
US9787046B2 (en) * 2012-10-22 2017-10-10 Te Connectivity Corporation Wire sorting fixture and method of sorting wires
WO2015087189A1 (en) * 2013-12-11 2015-06-18 Koninklijke Philips N.V. Planar magnetic resonance safe cable for biopotential measurements
US9166320B1 (en) 2014-06-25 2015-10-2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able connector assembly
EP3285338A4 (en) * 2015-04-14 2018-11-1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ulti-pole connector, connector device, case, and method of connecting cable to multi-pole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6512A (en) * 1981-07-24 1983-09-2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riple row coax cable connector
JP3859871B2 (ja) * 1998-06-25 2006-12-20 エフシーアイジャパン株式会社 コネクタ
US6489563B1 (en) * 2001-10-02 2002-12-0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able with grounding sleeve
JP3887694B2 (ja) * 2001-12-14 2007-02-28 住友電装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CN2520031Y (zh) * 2001-12-27 2002-11-06 宣得股份有限公司 连接器组合装置
JP4124760B2 (ja) * 2003-12-22 2008-07-2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保持具
US6994583B1 (en) * 2004-07-21 2006-02-07 L&K Precision Technology Co., Ltd. Connector
US7601029B2 (en) * 2007-09-06 2009-10-13 J.S.T. Mfg. Co., Lt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kit and shielded cable harn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82001A (zh) 2008-10-08
JP4879071B2 (ja) 2012-02-15
US7854626B2 (en) 2010-12-21
EP1978599A2 (en) 2008-10-08
TWM337877U (en) 2008-08-01
JP2008257918A (ja) 2008-10-23
CN101282001B (zh) 2012-12-26
EP1978599A3 (en) 2010-09-08
US20080236889A1 (en) 200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0311B1 (ko) 전송 특성이 향상된 차폐 케이블 커넥터
JP5365389B2 (ja) 同軸ケーブルハーネス
JP6720042B2 (ja) ケーブル接続用構造体および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0421310B1 (ko)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WO2007113307A1 (en) Retention ferrule for cable connector
JP4652742B2 (ja) コネクタ
JP2006054102A (ja) 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保持部材
KR20100068002A (ko) 동축케이블용 커넥터
KR20080090278A (ko) 실드 전선의 접속 구조
JP2007317554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JP7084654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とプラグコネクタとを含むコネクタ組立体
KR101521386B1 (ko) 케이블 접속 방법
JP2005116447A (ja) コネクタおよび電子機器
CN113725664A (zh) 可滑动地插入插座连接器的插头连接器
KR100800789B1 (ko) 실드 커넥터
JP2015130266A (ja) 同軸コネクタ装置
US20100112857A1 (en) Conducting device for the electric contact of a conducting shielding sheath
JP2007234490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6147473A (ja) 多極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て方法
JP2006049211A (ja) 同軸ケーブル接地構造並びにコネクタ及びその結線方法
JP2003077593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07042633A (ja) 同軸ケーブル接地構造並びにコネクタ及びその結線方法
JP5132505B2 (ja) 同軸ケーブル固定機構
KR100800788B1 (ko) 실드쉘 접속수단 및 이를 구비한 실드커넥터
KR100797221B1 (ko) 전기적 접촉 신뢰성이 우수한 실드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