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9443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9443A
KR20080089443A KR1020087018293A KR20087018293A KR20080089443A KR 20080089443 A KR20080089443 A KR 20080089443A KR 1020087018293 A KR1020087018293 A KR 1020087018293A KR 20087018293 A KR20087018293 A KR 20087018293A KR 20080089443 A KR20080089443 A KR 20080089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contact
extension
electrical connector
flat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8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6445B1 (ko
Inventor
마사히로 고가
Original Assignee
에프씨아이 커넥터즈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씨아이 커넥터즈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에프씨아이 커넥터즈 싱가포르 피티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80089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9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는 평판 형상 케이블을 파지하는 것이 가능한 콘택트부와 상기 콘택트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부는 평판 형상 케이블의 한쪽 면과 접촉 가능한 제1 빔과, 평판 형상 케이블의 다른 쪽의 면과 접촉 가능한 제2 빔과, 제1 빔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 빔과 연접되는 접속부와, 제1 빔 및 접속부로부터 제1 빔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회동 조작에 의해 제1 빔을 동작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액추에이터는 회동 조작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축부와, 회동 조작에 의해 상기 연장부와 접촉 가능하게 이동하는 이동부와, 액추에이터를 회동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하고, 액추에이터의 폐쇄 시에 이동부가 연장부와 접촉함으로써 제1 빔이 제2 빔에 근접하여 액추에이터의 개방 시에 조작부가 연장부와 접촉함으로써 제1 빔이 제2 빔으로부터 격리된다.
빔, 연장부, 하우징, 접촉, 격리, 액추에이터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배선 등을 갖는 평판 형상 케이블(예: 필름 형상 플렉시블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추에이터의 개폐 조작에 의해 콘택트부가 개폐 동작을 수반하고, 그에 따라 콘택트부와 평판 형상 케이블을 접촉 또는 비접촉으로 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하우징과, 평판 형상 케이블을 파지하는 콘택트부를 구비한 커넥터는 다수 개시되어 있다. 그 주된 구조는 콘택트부가 연접부를 통하여 접속된 2개의 대향하는 빔으로 구성된다. 2개의 빔의 한 쪽은 연접부 근방으로부터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고, 액추에이터의 개폐 조작에 의해 연장부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빔의 개폐 동작이 행해진다.
당해 개폐 동작은 하우징 내에 있어서 최소한의 동작 범위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2개의 빔의 대향 간격을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하는 것은 빔의 개폐 동작의 지점부(支点部)에 피로를 부여하는 원인이 되기 쉽다. 따라서, 액추에이터의 개폐 조작에 있어서 2개의 빔의 대향 간격이 액추에이터의 폐쇄 위치에서 가장 접근하고 액추에이터의 개방 위치에서 가장 격리되는 구조로 하면 최소한으로 동작 범위의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한 구조를 갖는 커넥터는 특허 문헌1에 개시되어 있다.
당해 특허 문헌1에서는 콘택트부가 2개의 빔 및 그것을 유지하는 기초부 빔과 일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빔의 자유단은 무부하 상태의 형상으로 평판 형상 케이블의 삽입 시에 평판 형상 케이블과 접하거나, 접하기 직전이 되도록 대향 배치되어 있다. 기초부 빔에 지지된 빔의 후단부에는 액츄에이터의 조작부와의 결합부가 설치되어 있고, 액추에이터의 회동 조작의 위치에 따라 액추에이터의 조작부가 빔 후단부의 결합부와 결합해서 후단부를 밀어 올리거나, 밀어 내리거나 해서 빔에 압박력을 가하는 동시에 결합부와 결합하지 않고 콘택트부를 무부하 상태로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액추에이터의 개방 시에는 빔의 자유단의 대향 간격이 넓어져 평판 형상 케이블의 삽입이 가능해지고, 액추에이터의 회동 조작의 중간 위치에서는 콘택트부가 무부하 상태로 되므로 빔의 자유단의 대향 간격이 좁아져 평판 형상 케이블과 접촉하게 되고, 액추에이터의 폐쇄 시에는 빔의 자유단의 대향 간격이 더 좁아져 평판 형상 케이블이 파지된다.
특허 문헌1 : 일본 특허 공개2004-158206호
특허 문헌1은 빔 자유단의 대향 간격이 최소한의 범위에서 변화되는 평판 형상 케이블의 파지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콘택트부의 형상 및 액추에이터의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면에서 다소 불리한 면이 있다. 따라서, 특허 문헌1과 마찬가지의 파지 기능을 갖고, 또한 콘택트부의 구조를 용이화한 전기 커넥터가 시장에서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액추에이터의 회동 조작에 의한 개폐 동작에 있어서, 액추에이터의 위치에 따라 콘택트부를 형성하는 2개의 빔의 간격을 최소한으로 변화시키는 커넥터로서, 콘택트부의 구조가 용이하고 신규적인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는 평판 형상 케이블을 파지할 수 있고, 상기 평판 형상 케이블을 파지하는 것이 가능한 콘택트부와 상기 콘택트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부는,
평판 형상 케이블의 한쪽 면과 접촉 가능한 제1 빔과,
평판 형상 케이블의 다른 쪽의 면과 접촉 가능한 제2 빔과,
제1 빔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 빔과 연접되는 접속부와,
제1 빔 및 접속부로부터 제1 빔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회동 조작에 의해 제1 빔을 동작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액추에이터는,
회동 조작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축부와,
회동 조작에 의해 상기 연장부와 접촉 가능하게 이동하는 이동부와,
액추에이터를 회동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하고,
액추에이터의 폐쇄 시에 이동부가 연장부와 접촉함으로써 제1 빔이 제2 빔에 근접하고,
액추에이터의 개방 시에 조작부가 연장부와 접촉함으로써 제1 빔이 제2 빔으로부터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는 액추에이터의 회동 조작 중에 이동부가 연장부와의 접촉을 해제함으로써 제1 빔이 액추에이터의 개시 또는 종료 위치에 있어서의 제1 빔의 위치와, 액추에이터의 종료 또는 개시 위치에 있어서의 제1 빔의 위치의 중간 위치에서 원형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는 회동축부를 수용하는 수용편이 연장부와 제2 빔 사이의 공간부에 제2 빔을 기단으로 하여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4)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의 콘택트부는 이동부와 회동축부 사이를 통과하여 수용편이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5)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의 콘택트부는 제2 빔이 하우징의 일부와 걸려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1)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는 액추에이터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이동부가 연장부와 접촉함으로써 제1 빔이 제2 빔에 근접하고, 액추에이터를 개방하는 위치에서 조작부가 연장부와 접촉함으로써 제1 빔이 제2 빔으로부터 격리되므로 콘택트부가 평판 형상 케이블을 파지하는데 필요한 변화 범위를 최소한으로 설정하여 콘택트부의 피로를 경감할 수 있다.
(2)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의 콘택트부에 있어서, 제1 빔이 액추에이터의 폐쇄 위치에 있어서의 제1 빔의 위치와, 액추에이터의 개방 위치에 있어서의 제1 빔의 위치의 중간 위치에서 원형 유지되므로, 예를 들어 콘택트부가 탄성 복원에 의해 자연 형상을 이루는 위치에서 평판 형상 케이블과 접촉하거나, 혹은 접촉 직전이면 액추에이터의 회동 조작 중에 콘택트부를 정지시켜 평판 형상 케이블을 가고정할 수 있다.
(3)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컨넥터는 회동축부를 수용하는 수용편이 연장부와 제2 빔 사이의 공간부에 제2 빔을 기단으로 하여 연장되어 있으므로 회동축의 베어링으로서 기능을 갖는다.
(4)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이동부와 회동축부 사이를 통과하여 수용편이 연장되어 있으므로 액추에이터의 폐쇄 시에 이동부가 제1 빔을 밀어 올리는 힘을 가할 때에 제1 빔으로부터의 응력을 수용편이 흡수하여 제1 빔으로부터의 하중에 의한 이동부의 왜곡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5)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제2 빔이 하우징의 일부와 걸려 있으므로, 예를 들어 콘택트부에 외력이 가해져도 컨택트부는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는 소기의 목적 및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의 외관 사시도로서, (a)는 액추에이터가 폐쇄되어 있는 도면이며, (b)는 액추에이터가 개방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a)의 A-A'를 횡단한 단면도로서 액추에이터가 개방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3은 도1의 (a)의 A-A'를 횡단한 단면도로서 액추에이터가 회동 조작 중인 도면이다.
도4는 도1의 (a)의 A-A'를 횡단한 단면도로서, 액추에이터가 폐쇄되어 있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 커넥터
2 : 콘택트부
3 : 하우징
4 : 제1 빔
5 : 제2 빔
6 : 연장부
7 : 수용편
8 : 접속부
9 : 조작부
10 : 액추에이터
11 : 회동축
12 : 이동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실시예를 들어, 도면을 참조하며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적절하게 그 설명을 생략할 경우가 있다.
실시예1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1)의 외관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a)는 평판 형상 케이블을 파지하는 것이 가능한 형태를 도시하고, (b)는 평판 형상 케이블을 삽발하는 것이 가능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전기 커넥터(1)는 일렬로 배열된 콘택트부(2)와, 상기 콘택트부(2)를 수용하는 하우징(3)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3)은 콘택트부(2)를 내부에 수용하는 동시에 회동 조작에 의해 제1 빔(4)(도2 및 도3 참조)을 동작시키는 액추에이터(10)를 구비하고 있다.
도2 내지 도4는 모두 전기 커넥터(1)의 A-A'의 단면도이며, 이하에 공통되는 구성 요소의 형태를 설명한다.
콘택트부(2)는 제1 빔(4)과, 제2 빔(5)과, 제1 빔(4)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 빔(5)과 연접된 접속부(8)와, 제1 빔(4) 및 접속부(8)로부터 제1 빔(4)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6)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평판 형상 케이블(2점 쇄선으로 나타낸다)을 제1 빔(4)과 제2 빔(5)에 의해 파지하는 파지 기능을 갖는다.
액추에이터(10)는 액추에이터를 회동시키기 위한 조작부(9)와, 회동 조작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축부(11)와, 회동 조작에 의해 상기 연장부(6)와 접촉 가능한 이동부(12)를 갖고 구성되며, 그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회동축부(11) 및 이 동부(12)는 콘택트부(2)의 배열 방향으로 병렬로 연장된 막대 형상의 형체를 갖는다. 회동축부(11)는 하우징(3)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있어서의 베어링(도시하지 않음)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어 있다.
연장부(6)와 제2 빔(5) 사이의 공간부에는 회동축부(11)를 수용하도록 수용편(7)이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편(7)은 제2 빔(5)을 기단으로 하여 회동축부(11)와 이동부(12) 사이의 간극을 통과하고 있다. 회동축부(11)는 베어링 내에서 다소의 공간(여유)에 의해 다소의 이동이 발생할 경우도 있으나, 항상 수용편(7)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제2 빔(5)은 하우징(3) 내의 소정의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마찰 걸림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의해, 이동부(12)에 의한 연장부(6)로의 부하, 회동축부(11)와 수용편(7)의 마찰, 조작부(9)에 의한 연장부(6)로의 부하 및 평판 형상 케이블과 빔의 접촉 마찰 등에 기인하여 흔들림은 발생하지 않는다.
도2는 액추에이터(10)를 개방하고 있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액추에이터(10)의 개방 시에는 회동축(11)은 수용편(7)의 내부에 위치하고, 이동부(12)는 연장부(6)와 비접촉이다. 조작부(9)는 연장부(6)와 접촉하여 제2 빔(5)의 방향으로 압박력을 가하고 있다. 그것에 의하여 제1 빔(4)의 자유단은 평판 형상 케이블의 두께보다도 넓은 간격으로 제2 빔과 격리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평판 형상 케이블의 삽입을 허용하고 있다. 다음에, 평판 형상 케이블은 삽입구로부터 삽입되어 제2 빔을 따라 소정 위치까지 안내된다.
도3은 액추에이터(10)가 회동 조작 중인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2의 형태로부터 액추에이터(10)의 회동축(11)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조작을 개시하면 연장부(6)가 서서히 조작부(9)와의 접촉으로부터 해방된다. 그것에 따라 제1 빔(4)이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제1 빔(4)의 자유단이 제2 빔(5)에 접근한다. 그리고, 연장부(6)와 조작부(9)의 접촉이 완전히 해방되면, 제1 빔(4)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무부하 상태로 되어 제2 빔(5)과의 간격이 평판 형상 케이블의 두께와 대략 동일해진다. 이에 의해, 평판 형상 케이블은 제1 빔(4)과 제2 빔(5)의 양 쪽과 접촉해서 평판 형상 케이블의 두께 방향으로 가고정된 상태로 된다. 한편, 이동부(12)는 회동 조작에 의해 연장부(6)의, 제2 빔(5)과 대향하는 하방측에 서서히 근접해 가고, 회동 조작을 계속해 가면 서서히 연장부(6)의 하방부로 잠입하여 연장부(6)를 제2 빔(5)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밀어 올린다.
도4는 도3의 형태로부터 회동 조작을 더 계속하여, 최종 위치에서 액추에이터(10)를 폐쇄하고 있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액추에이터(10)의 폐쇄 위치에서는 이동부(12)는 수용편(7)과 연장부(6) 사이에 위치하고, 수용편(7)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연장부(6)를 제2 빔(5)에 대하여 연직 상방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이동부(12)는 연장부(6)를 밀어 올린 힘과 반대 방향의 연직 하방으로 응력을 받으나, 그 응력은 수용편(7)이 이동부(12)를 밀어 올리는 힘과 상쇄된다. 그에 따라, 이동부(12)에서는 연장부(6)의 응력에 기인하는 왜곡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는 동시에 최종적으로는 도4와 같이 연장부(6)가 밀려 올라가 제1 빔(4)의 자유단이 제2 빔(5)의 방향에 근접한다. 그 결과, 제1 빔(4)은 평판 형상 케이블의 한 쪽 면 상의 접점을 압박하여 제2 빔(5)과 협동해서 평판 형상 케이블을 파지한다.
이상과 같이, 액추에이터(10)의 회동 조작의 범위를 특정하면 제1 빔(4)의 제2 빔(5)에 대한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가 결정된다. 이에 의해, 제1 빔의 이동 범위를 최소한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의 회동 조작 중에 제1 빔(4)이 무부하로 이동 범위의 중간 위치에서 원형 유지되는 형태를 가지므로, 당해 중간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제1 빔(4)이 개폐 동작을 행하게 되어 컨택트부의 변형 범위가 종래보다도 적어진다. 그것에 의하여, 콘택트부의 피로는 경감되어 전기 커넥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택트부(2)가 2개의 빔(4, 5), 그들의 접속부(8) 및 수용편(7)에 의해서만 구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전기 커넥터에 비교하여 제조가 용이하게 되어 있는 동시에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는 신규적인 전기 커넥터의 제공에 기여하고 있다.

Claims (5)

  1. 평판 형상 케이블을 파지하는 전기 커넥터이며,
    전기 커넥터는 상기 평판 형상 케이블을 파지하는 것이 가능한 콘택트부와 상기 콘택트부를 수용하는 하우징를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부는,
    평판 형상 케이블의 한쪽 면과 접촉 가능한 제1 빔과,
    평판 형상 케이블의 다른 쪽의 면과 접촉 가능한 제2 빔과,
    제1 빔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 빔과 연접되는 접속부와,
    제1 빔 및 접속부로부터 제1 빔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회동 조작에 의해 제1 빔을 동작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고,
    액추에이터는,
    회동 조작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축부와,
    회동 조작에 의해 상기 연장부와 접촉 가능하게 이동하는 이동부와,
    액추에이터를 회동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하고,
    액추에이터의 폐쇄 시에 이동부가 연장부와 접촉함으로써 제1 빔이 제2 빔에 근접하고,
    액추에이터의 개방 시에 조작부가 연장부와 접촉함으로써 제1 빔이 제2 빔으 로부터 격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의 회동 조작 중에 이동부가 연장부와의 접촉을 해제함으로써 제1 빔이 액추에이터의 개시 또는 종료 위치에 있어서의 제1 빔의 위치와, 액추에이터의 종료 또는 개시 위치에 있어서의 제1 빔의 위치와의 중간 위치에서 원형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회동축부를 수용하는 수용편이 연장부와 제2 빔 사이의 공간부에 제2 빔을 기단으로 하여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이동부와 회동축부 사이를 통과하여 수용편이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빔이 하우징의 일부와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087018293A 2005-12-27 2006-12-08 전기 커넥터 KR101346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74001A JP4161079B2 (ja) 2005-12-27 2005-12-27 電気コネクタ
JPJP-P-2005-00374001 2005-12-27
PCT/JP2006/324516 WO2007074619A1 (ja) 2005-12-27 2006-12-08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443A true KR20080089443A (ko) 2008-10-06
KR101346445B1 KR101346445B1 (ko) 2014-01-02

Family

ID=38217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8293A KR101346445B1 (ko) 2005-12-27 2006-12-08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161079B2 (ko)
KR (1) KR101346445B1 (ko)
WO (1) WO20070746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532B1 (ko) * 2011-08-02 2014-10-15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095B1 (ko) * 2008-05-28 2010-11-22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JP4372224B1 (ja) * 2009-06-01 2009-11-25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568791B1 (ja) 2009-12-16 2010-10-27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51085B2 (ja) * 2010-04-08 2012-06-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ネクタ
US20210218170A1 (en) * 2018-05-30 2021-07-15 Sakai Display Products Corporation Electric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1951B2 (ja) * 1997-01-24 2000-10-23 日本電気株式会社 低挿抜力コネクタ
JP3903338B2 (ja) * 2001-11-08 2007-04-1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pc用コネクタ
JP2004158206A (ja) * 2002-11-01 2004-06-03 Fci Asia Technology Pte Ltd 平形柔軟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1532B1 (ko) * 2011-08-02 2014-10-15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61079B2 (ja) 2008-10-08
WO2007074619A1 (ja) 2007-07-05
KR101346445B1 (ko) 2014-01-02
JP2007179764A (ja) 200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445B1 (ko) 전기 커넥터
US6890203B2 (en) Card connector reduced in operating force
US9543666B2 (en) Clamping element having two lever arms to clamp a conductor against a busbar
US941936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ivot block for terminating an electrical wire
JP2004158206A (ja) 平形柔軟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3099102U (ja) コネクタ
US8844883B2 (en) Cable holder and electronic system
US20080254662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Flexible Cable
US7837489B2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4518436A (ja) 電気接続端子
JP4006000B2 (ja) 平形柔軟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KR20040089471A (ko) 개폐용 핸들장치
JPH0656784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2009252538A (ja) コネクタ装置
KR100879176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케이블 커넥터
JP2001332361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H0630280B2 (ja) 接続器
JP2016136462A (ja) 電気コネクタ
JP3692469B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H09283237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814447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WO2023095687A1 (ja) 接続機器および電子機器
JP3812943B2 (ja) ロック機構付きzifコネクタ
KR200343952Y1 (ko) 전기커넥터
JP6462465B2 (ja) 測定用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