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9471A - 개폐용 핸들장치 - Google Patents

개폐용 핸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9471A
KR20040089471A KR1020040015406A KR20040015406A KR20040089471A KR 20040089471 A KR20040089471 A KR 20040089471A KR 1020040015406 A KR1020040015406 A KR 1020040015406A KR 20040015406 A KR20040015406 A KR 20040015406A KR 20040089471 A KR20040089471 A KR 20040089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rotation control
control spring
cas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0586B1 (ko
Inventor
호시모토야스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호시모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호시모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호시모토
Publication of KR20040089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9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5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78Masonry wall 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7Supporting consoles, e.g. adjustable only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imitating natural stone, brick work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5U-shaped, e.g.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튼(3)을 조작하여 레버(2)를 세우도록 한 개폐용 핸들장치에 있어서, 상하회전조절 스프링이 이탈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싱(1)과, 상하회전조절 가능하게 된 레버(2)와, 버튼(3)과, 레버(2)를 탄성지지하는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을 구비하며, 버튼(3)을 조작하여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에 의해 탄성지지된 레버(2)를 세운다. 케이싱(1)의 저부에는 전후 2개소에 스프링 지지부가 설치되고, 이 2개소에 지지된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이 탄성변형함으로써 레버(2)의 피탄성지지부(24)가 탄성지지된다.

Description

개폐용 핸들장치{Handle device for open and shut}
본원 발명은 배전반 수납박스 등의 도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개폐용 핸들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배전반 수납박스 등의 도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개폐용 핸들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종래의 도어개폐용 핸들장치로서는, 일본 특허공개 2001-317240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도 10의 (A) (B) 및 도 11의 (A) (B)에 나타내는 것이 있다.
이 도어개폐용 핸들장치는 배전반 수납박스 등의 도어에 지지되는 케이싱(a)과, 레버(b)와, 레버(b)를 조작하는 가압부(c1)를 갖는 버튼(c)을 구비하며, 케이싱(a)의 상면측에 레버(b)를 수납하는 레버수납오목부(a1)와, 버튼(c)을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납하는 상하 양면이 개구인 버튼수납오목부(a2)를 구비한다. 레버(b)는 레버수납오목부(a1)에 축지지되고, 상하회전조절 스프링(e)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있으며, 버튼(c)은 코일스프링(d)에 의해 항상 상방으로 탄성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버튼(c)을 상방에서 하방측으로 가압조작함으로써, 버튼(c)의 가압부(c1)가 레버수납오목부(a1)에 눕혀진 상태로 수납한 레버(b)의 상단을 하방측으로 가압하고, 그 가압에 의해 레버(b)의 하단측이 상방측으로 회전운동하며, 이로 인하여, 레버(b)를 케이싱(a)의 상방측으로 세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레버(b)를 케이싱(a)의 상방측으로 세운 후에 가압하고 있는 버튼(c)의 가압을 멈추면 코일스프링(d)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버튼(c)을 상방측의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하회전조절 스프링(e)에는 일반적으로 판스프링이 채용되며, 레버(b)가 소정의 상하회전조절각도로부터 눕혀진 상태에 가까워졌을 때에는 레버(b)를 눕히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한편, 레버(b)가 소정의 상하회전조절각도로부터 세워진 상태에 가까워졌을 때에는 레버(b)를 세우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하회전조절 스프링(e)에서는 일단(e1)이 케이싱(a)의 저면에 접촉하고, 타단(e2)이 레버(b)의 하면에 접촉하고 있으며, 상하회전조절 스프링(e)의 양단(e1, e2)이 각각 케이싱(a)과 레버(b) 사이에서 버티도록 하여, 지지되고 세트되어 있다. 그 때문에, 레버(b)의 상하회전조절에 의해 레버(b)측의 지지단(e2)은 항상 그 위치가 변화된다. 그 결과, 레버(b)가 움직일 때 레버(b)와 상하회전조절 스프링의 타단(e2)의 접촉이 분리되어, 상하회전조절 스프링(e)이 케이싱(a)으로부터 튀어나가는 사고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상하회전조절 스프링의 타단(e2)에는 물결형상의 요철을 설치하여, 레버(b)로 삽입되도록 하여 이탈을 방지하는 경우도 있지만, 구조상의 결함을 완전히 해결했다고 할 수는 없었다.
본원 발명은 이상의 사항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케이싱(1)과, 이 케이싱(1)의 상면측에 후단측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함으로써 상하회전조절 가능하게 된 레버(2)와, 동일하게 케이싱(1)의 상면측으로서 레버(2)의 후단측에 배치된 버튼(3)과, 레버(2)에 대하여 세우는 방향과 눕히는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을 구비하며, 버튼(3)을 조작하여 레버(2)를 세우도록 한 개폐용 핸들장치에 있어서, 상하회전조절 스프링이 이탈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의 도어개폐용 핸들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의 도어개폐용 핸들장치의 레버의 정면도.
도 3은 레버의 배면도.
도 4는 레버의 측면도.
도 5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의 도어개폐용 핸들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의 도어개폐용 핸들장치의 상하회전조절 스프링의 사시도.
도 7은 레버가 눕혀진 상태인 핸들장치의 요부확대도.
도 8은 레버가 반기립상태인 핸들장치의 요부확대도.
도 9는 레버가 기립상태인 핸들장치의 요부확대도.
도 10의 (A)는 종래의 핸들장치의 정면도이고, (B)는 종래의 핸들장치의 배면도.
도 11의 (A)는 종래의 핸들장치의 단면도이고, (B)는 레버가 기립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케이싱 2 : 레버
3 : 버튼 5 : 상하회전조절 스프링
6 : 커버 1a : 후단측 지지부
1b : 전단측 지지부 24 : 피탄성지지부
51 : 고정단 52 : 변형부
53 : 자유단(연락부)
본원의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케이싱(1)과 이 케이싱(1)의 상면측에 후단측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함으로써 상하회전조절 가능하게 된 레버(2)와, 동일하게 케이싱(1)의 상면측으로서 레버(2)의 후단측에 배치된 버튼(3)과, 레버(2)에 대하여 세우는 방향과 눕히는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을 구비하며, 버튼(3)을 조작하여 레버(2)를 세우도록 한 개폐용 핸들장치에 있어서, 레버(2)에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에 의한 탄성지지를 받는 피탄성지지부(24)가 설치되고, 케이싱(1)에 스프링 지지부(1a, 1b)가 설치되며, 이 스프링 지지부(1a, 1b)는 레버(2)의 상기 피탄성지지부(24)보다 후단측에 설치된 후단측 지지부(1a)와, 레버(2)의 상기 피탄성지지부(24)보다 전단측에 설치된 전단측 지지부(1b)의 적어도 2개소의 지지부를 구비하며, 후단측 지지부(1a)와 전단측 지지부(1b) 사이에 위치하는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이 탄성변형함으로써, 상기 레버(2)의 피탄성지지부(24)가 탄성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용 핸들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한다.
본원의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이 선재(線材)로 구성되고, 상기 피탄성지지부(24)가 레버(2)의 소재보다 경질의 소재로 형성된 커버(6)로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개폐용 핸들장치를 제공한다.
본원의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이 2개의 고정단(51, 51)과, 각각의 고정단(51, 51)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신장되는 변형부(52, 52)와, 변형부(52, 52) 사이를 연결하는 연락부(53)를 구비하며, 후단측 지지부(1a)와 전단측 지지부(1b) 중 어느 한쪽(1a)은 상기 2개의 고정단(51, 51)이 각각 삽입되는 수용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개폐용 핸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의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이 고정단(51)과, 고정단(51)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신장되는 변형부(52)와, 변형부(52)의 타단측에 설치된 자유단(53)을 구비하며, 후단측 지지부(1a)와 전단측 지지부(1b) 중 어느 한쪽(1a)은 상기의 고정단(51)을 전후로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이며, 다른 한쪽(1b)은 상기 자유단(53)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개폐용 핸들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기초로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의 도어개폐용 핸들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의 도어개폐용 핸들장치의 레버의 정면도, 도 3은 레버의 배면도, 도 4는 레버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의 도어개폐용 핸들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의 도어개폐용 핸들장치의 상하회전조절 스프링의 사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의 도어개폐용 핸들장치의 요부확대도이다.
본원 발명의 도어개폐용 핸들장치는 케이싱(1)과, 레버(2)와, 레버(2)를 조작하는 버튼(3)을 구비하고 있다. 케이싱(1)은 대략 직방체형으로 구성되고,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면측에서 하방측으로 파인 수납오목부(11)가 구비되어 있다. 이 수납오목부(11)는 저부(11a)를 구비한 것으로, 전단측(도 1∼도 5에서 좌측)이 레버(2)를 수납하기 위한 레버수납오목부(12)를 이루고, 후단측(도 1∼도 5에서 우측)이 버튼(3)을 수납하기 위한 버튼수납오목부(13)를 이룬다. 양 수납오목부(12, 13)는 상면에서는 구획부(14)로 구분되어 있지만, 반드시 구분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연속하여 형성해도 된다.
레버(2)는 전단측에 설치된 잠금장치(4)와, 후단측에 설치된 축지지부(21)와, 추가로 후단측에 설치된 피조작부(22)를 구비한다. 이 예에서 피조작부(22)는 하방으로 이어 설치된 연장설치부(23)를 구비하지만, 이 연장설치부(23)는 레버(2)의 상하회전조절에 따라 도어 등을 걸기 위한 걸림판(k)(도 1에 도시)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걸림판(k)을 이용하지 않고 실시하는 경우에는 필요하지 않다. 축지지부(21)는 케이싱(1)에 대하여 레버(2)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면 충분하고, 예컨대, 도시하지는 않지만, 레버의 축공(軸孔)에 축체(軸體)를 회전운동 가능하게 끼워 통하게 한 것으로, 축체는 케이싱의 좌우 측벽에 설치된 축삽입공에 양단부가 지지되도록 하는 등, 그 구조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레버(2)는 이 축지지부(21)를 중심으로 전단측이 상하로 회전운동하여 상하회전조절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2)의 축지지부(21) 부근에는 피탄성지지부(24)가 설치되고, 피탄성지지부(24)에 대하여 후술하는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이 탄성지지함으로써, 레버(2)가 그 탄성을 받아 회전운동한다. 이 예에서 피탄성지지부(24)는 레버(2)의 좌우 2개소에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레버(2)의 전단측의 잠금장치(4)는 키(도시생략)에 의해 잠금부재(도시생략)가 회전운동하고, 이 회전운동에 의해 잠금부재가 케이싱(1)의 전단측의 측벽에 설치된 결합부(도시생략)에 걸어맞추어 레버(2)를 세울 수 없도록 잠근다. 이 잠금장치(4)는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탄성체의 탄성지지에 의해 출몰 가능한 돌기 등으로, 레버(2)의 전단측과 케이싱(1)을 일시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서 실시해도 된다.
버튼(3)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상면을 손가락으로 누름으로써 레버(2)를 세우는 것이다. 즉, 이 상면이 버튼(3)의 조작부가 된다. 이 버튼(3)에는 상면을 누름으로써 버튼(3)이 소정길이 상하동작을 행하도록 한 것으로, 그 때 레버(2)를 세우는 동작을 행하는 동작부(31)를 구비한다. 또, 버튼(3)과 케이싱(1) 사이에는 버튼(3)에서 손가락을 떼었을 때 버튼(3)이 자동복귀하도록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복귀스프링(32))가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 복귀스프링(32)은 코일스프링이 이용되고 있지만, 다른 스프링이나 탄성체여도 된다.
더욱 자세하게는, 우선 동작부(31)는 버튼(3)의 전방측에 설치되고, 버튼(3)의 가압에 의해 레버(2)의 피조작부(22)에 힘을 가하여 레버(2)의 전단측을 상방으로 회전운동시켜 레버(2)를 세우는 것이다. 또, 버튼(3)이 복귀스프링(32)의 탄성지지에 의해 케이싱(1)으로부터 튀어나가지 않도록 이탈방지부를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예에서는 상기 구획부(14)가 그 기능을 다한다. 즉, 구획부(14)의 하면과 동작부(31)를 걸어맞추어 버튼(3)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다음에, 레버(2)의 상하회전조절을 행하게 하기 위한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은 레버(2)의 상하회전조절동작을 적은 힘으로 행할 수 있도록, 레버(2)와 케이싱(1) 사이에 배치하여 레버(2)를 탄성지지하는 것이다.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은 항상 핸들을 세우는 방향으로만 탄성지지해도 되지만, 회전운동의 중간점이 기립방향으로 치우치면 기립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회전운동의 중간점이 눕히는 방향으로 치우치면 눕히는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도록 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재(선형상의 스프링재)를 구부림가공하여 형성되고, 대략 u자형상을 이룬다. 자세하게는, 2개의 고정단(51, 51)과, 각각의 고정단(51, 51)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신장되는 변형부(52, 52)와, 변형부(52, 52)의 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자유단(53)(단부 사이를 연결한다는 의미에서는 연락부(53)라고도 할 수 있다)을 구비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각 고정단(51)은 상하방향으로 신장되는 것으로, 그 상단으로부터 각 변형부(52)가 후단방향으로 신장된다. 각 변형부(52)는 가장 상방으로 돌출된 정상부(52a)와, 정상부(52a)에서 후하방으로 경사하는 후경사변(52b)과, 정상부(52a)에서 전하방으로 경사하는 전경사변(52c)을 구비한다. 후경사변(52b)과 전경사변(52c)은 각각 필요에 따라 설치된 중개부(52d, 52e)를 거쳐 고정단(51) 및 자유단(53)에 연속된다. 이들 각부는 하나의 선재를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지만, 적절히 복수의 부재를 접합하여 형성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또, 이 예에서는 도 5,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단(51)측을 후단측에 배치하고, 자유단(53)측을 전단측에 배치하고 있지만, 전후를 반대로 실시해도 된다.
이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싱(1)에 지지된다. 즉, 케이싱(1)에는 레버(2)의 상기 피탄성지지부(24)를 중심으로 하여, 그보다 전단측에 전단측 지지부(1b)가 설치되고, 그보다 후단측에 후단측 지지부(1a)가 설치되며, 전후 2개소에서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의 지지를 도모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후단측 지지부(1a)는 상기 2개의 고정단(51, 51)이 각각 삽입되는 수용공(1a)으로서 실시되고, 전단측 지지부(1b)는 상기 자유단(53)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평면(1b)으로서 실시되어 있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에서 전후를 반대로 실시한 경우에는 전후의 지지부(1a, 1b)도 반대로 실시된다.
수용공(1a)은 각 고정단(51)을 삽입하여 전후로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이 실시예에서는 지지판(7)을 케이싱(1)의 저부(11a)에 설치하고, 이 지지판(7)에 수용공(1a)을 형성한 것이지만, 케이싱(1)의 저부(11a)에 직접 구멍을 형성해도 된다. 한편, 자유단(53)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하는 평면(1b)은케이싱(1)의 저부(11a)에 대하여 자유단(53)을 접촉시키고, 변형부(52)가 변형할 때 그 변형에 따라 간신히 슬라이딩할 수 있는 상태로 지지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이 변형할 때에도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아,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의 이탈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스프링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 이 예에서는 저부(11a)에 대하여 자유단(53)을 직접 접촉시켰지만, 케이싱(1)에 별개의 지지판을 설치하여 이 지지판에 자유단(53)을 접촉시켜도 된다.
여기서, 도 7∼도 9를 참조하여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7은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이 눕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 상태에서는 레버(2)의 피탄성지지부(24)가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의 후경사면(52b)에 접촉하고 있다(또, 도 7∼도 9에서는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과 레버(2)의 피탄성지지부(24)의 접촉개소를 검게 나타내는 데에 그치고,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의 탄성변형상태는 도시하지 않는다. 즉,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은 접촉에 의해 탄성변형하지만, 변형 전의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이 때, 후경사면(52b)은 레버(2)의 축지지부(21)보다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고, 이 후방측으로부터 후경사면(52b)이 상방으로 피탄성지지부(24)를 탄성지지함으로써, 레버(2)의 전단측이 하방으로 내려가도록 회전운동하는 힘을 받는다. 따라서, 레버(2)는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의 탄성지지를 받은 상태로 수납오목부(12) 내에 들어간다.
다음에, 버튼(3)을 누르는 것에 의해 그 동작부(31)가 레버(2)의피조작부(22)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의 탄성지지에 저항하여 레버(2)의 전단측을 상방으로 회전운동시킨다. 그렇게 하면, 레버(2)의 피탄성지지부(24)도 회전운동하여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의 정상부(52a)에 접촉하게 된다(도 8). 이것이 중간점이고, 이 정상부(52a)가 축지지부(21)와 전후방향에서 동일위치에 위치함으로써, 레버(2)는 모두 회전운동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 중간점을 지나 다시 버튼(3)을 누르면, 레버(2)의 피탄성지지부(24)가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의 전경사면(52c)에 접촉한다. 이 때, 전경사면(52c)은 레버(2)의 지지부(21)보다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고, 이 전방측으로부터 전경사면(52b)이 상방으로 피탄성지지부(24)를 탄성지지함으로써, 레버(2)의 전단측이 상방으로 올라가도록 회전운동하는 힘을 받는다. 따라서, 레버(2)는 자연스럽게 세워진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2)가 세워지고 소정의 각도에서 정지한다. 이 정지를 위해 레버(2)에는 제 2 피탄성지지부(2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 피탄성지지부(25)는 레버(2)가 소정각도까지 세워진 상태에서 후경사면(52b)에 접촉하는 것으로, 이로 인하여 레버(2)는 축지지부(21)의 전후로부터 탄성지지력을 받게 되어 레버(2)의 회전운동이 정지된다. 또, 이 제 2 피탄성지지부(25)는 생략하여 실시할 수도 있지만, 그 경우에는 레버(2)가 케이싱(1)의 적절한 개소에 닿는 등의 방법으로, 소정의 각도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은 레버(2)가 어떤 각도에 있더라도 상방에 레버(2)를 탄성지지하고 있고, 그 탄성지지력은 최종적으로 축지지부(21)가 받게 된다. 그리고,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은 축지지부(21)의 전과 후에 위치하는전후의 스프링 지지부(1a, 1b)에서 케이싱(1)에 지지되어 있다. 그 결과, 레버(2)가 어떤 각도에 있더라도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의 탄성에 의해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이 이탈되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구조상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이 쉽게 이탈되지 않는 구조로 함으로써,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이 이탈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종래의 판스프링에 의한 상하회전조절 스프링에서는 복잡한 작동을 하기 위해 판스프링을 소정의 만곡형상 하에서 열처리를 행하고, 열처리의 조건도 엄격히 설정할 필요가 있었지만, 본원 발명의 경우에는 그 열처리의 조건이 완화되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 또, 본원의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에서는 수용공에 삽입부(51)를 고정하는 것 만으로 고정이 완료되기 때문에, 설치가 간단하고 생산능률도 향상된다.
또,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을 선재로 구성한 결과, 레버가 부드러운 소재(예컨대 주철)인 경우에는 선재가 침식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이 침식을 방지하여 장기간 확실한 작동을 실현시키기 위해, 레버(2)의 피탄성지지부(24)를 커버(6)로 덮도록 해도 된다(도 2∼도 4 참조). 이 커버(6)는 스테인레스 등의 레버(2)의 소재보다 경질인 소재로 형성하면 되지만, 커버(6) 외에 피탄성지지부(24)를 다른 소재로 구성하는 등, 적절히 변경하여 선재의 침식을 방지하면 된다. 또,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을 선재로 구성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형태(정상부와 전후의 경사면을 구비하여 전후단이 케이싱에 지지되는 구조)를 판스프링 등의 다른 탄성체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원 발명은 이상의 사항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케이싱과, 이 케이싱의 상면측에 후단측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함으로써 상하회전조절 가능하게 된 레버와, 동일하게 케이싱의 상면측으로서 레버의 후단측에 배치된 버튼과, 레버에 대하여 세우는 방향과 눕히는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상하회전조절 스프링을 구비하며, 버튼을 조작하여 레버를 세우도록 한 개폐용 핸들장치에 있어서, 상하회전조절 스프링에 의한 레버의 탄성지지구조를 근본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상하회전조절 스프링이 이탈되는 문제점을 구조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더구나, 선재를 상하회전조절 스프링으로서 이용함으로써 비용절감을 실현하는 동시에, 선재를 이용하는 폐해도 해소한 것이다.

Claims (4)

  1. 케이싱(1)과, 이 케이싱(1)의 상면측에 후단측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함으로써 상하회전조절 가능하게 된 레버(2)와, 동일하게 케이싱(1)의 상면측으로서 레버(2)의 후단측에 배치된 버튼(3)과, 레버(2)에 대하여 세우는 방향과 눕히는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한쪽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을 구비하며, 버튼(3)을 조작하여 레버(2)를 세우도록 한 개폐용 핸들장치에 있어서,
    레버(2)에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에 의한 탄성지지를 받는 피탄성지지부(24)가 설치되고, 케이싱(1)에 스프링 지지부(1a, 1b)가 설치되며,
    이 스프링 지지부(1a, 1b)는 레버(2)의 상기 피탄성지지부(24)보다 후단측에 설치된 후단측 지지부(1a)와, 레버(2)의 상기 피탄성지지부(24)보다 전단측에 설치된 전단측 지지부(1b)의 적어도 2개소의 지지부를 구비하고,
    후단측 지지부(1a)와 전단측 지지부(1b) 사이에 위치하는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이 탄성변형함으로써, 상기 레버(2)의 피탄성지지부(24)가 탄성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용 핸들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이 선재(線材)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피탄성지지부(24)가 레버(2)의 소재보다 경질의 소재로 형성된 커버(6)로 피복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용 핸들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은 2개의 고정단(51, 51)과, 각각의 고정단(51, 51)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신장되는 변형부(52, 52)와, 변형부(52, 52) 사이를 연결하는 연락부(53)를 구비하며,
    후단측 지지부(1a)와 전단측 지지부(1b) 중 어느 한쪽(1a)은 상기 2개의 고정단(51, 51)이 각각 삽입되는 수용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용 핸들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하회전조절 스프링(5)이 고정단(51)과, 고정단(51)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신장되는 변형부(52)와, 변형부(52)의 타단측에 설치된 자유단(53)을 구비하며, 후단측 지지부(1a)와 전단측 지지부(1b) 중 어느 한쪽(1a)은 상기 고정단(51)을 전후로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이며, 다른 한쪽(1b)은 상기 자유단(53)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용 핸들장치.
KR1020040015406A 2003-04-10 2004-03-08 개폐용 핸들장치 KR1005505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06226A JP4018022B2 (ja) 2003-04-10 2003-04-10 開閉用ハンドル装置
JPJP-P-2003-00106226 2003-04-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9471A true KR20040089471A (ko) 2004-10-21
KR100550586B1 KR100550586B1 (ko) 2006-02-10

Family

ID=33468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406A KR100550586B1 (ko) 2003-04-10 2004-03-08 개폐용 핸들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18022B2 (ko)
KR (1) KR100550586B1 (ko)
CN (1) CN1285811C (ko)
TW (1) TWI2592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35107A1 (en) 2000-06-20 2002-03-21 Stefan Henke Highly concentrated stable meloxicam solutions
DE10161077A1 (de) 2001-12-12 2003-06-18 Boehringer Ingelheim Vetmed Hochkonzentrierte stabile Meloxicamlösungen zur nadellosen Injektion
US8992980B2 (en) 2002-10-25 2015-03-31 Boehringer Ingelheim Vetmedica Gmbh Water-soluble meloxicam granules
EP1568369A1 (en) 2004-02-23 2005-08-31 Boehringer Ingelheim Vetmedica Gmbh Use of meloxicam for the treatment of respiratory diseases in pigs
CN102647971B (zh) 2009-10-12 2016-03-16 贝林格尔.英格海姆维特梅迪卡有限公司 用于包含美洛昔康的组合物的容器
WO2011107150A1 (en) 2010-03-03 2011-09-09 Boehringer Ingelheim Vetmedica Gmbh Use of meloxicam for the long-term treatment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cats
US9795568B2 (en) 2010-05-05 2017-10-24 Boehringer Ingelheim Vetmedica Gmbh Low concentration meloxicam tablets
JP5460518B2 (ja) * 2010-08-09 2014-04-02 ジョー・プリンス竹下株式会社 ハンドル装置
CN103821415A (zh) * 2012-11-16 2014-05-28 国网辽宁省电力有限公司大连供电公司 电力计量箱锁具
CN103821407B (zh) * 2014-02-26 2016-08-17 河南科技大学 一种方便开启的隐藏式伪装门
JP5982441B2 (ja) * 2014-09-08 2016-08-31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扉のポップアウト型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5982440B2 (ja) * 2014-09-08 2016-08-31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扉のポップアウト型ロックハンドル装置
CN107100462A (zh) * 2016-02-23 2017-08-29 星本股份有限公司 门把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0586B1 (ko) 2006-02-10
TWI259228B (en) 2006-08-01
CN1536188A (zh) 2004-10-13
TW200420821A (en) 2004-10-16
JP2004308351A (ja) 2004-11-04
JP4018022B2 (ja) 2007-12-05
CN1285811C (zh) 2006-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0586B1 (ko) 개폐용 핸들장치
CN100423157C (zh) 钥匙开关
JP6239602B2 (ja) 装備内における移動機器の自動化された装置
EP0966010A3 (en) Key switch and keyboard
JP2007091105A (ja) 自動車におけるラゲージフロア体の上下移動装置
CN110268496A (zh) 开关
KR102085463B1 (ko) 스위치 장치 구조
KR20080089443A (ko) 전기 커넥터
JP4827746B2 (ja) 扉開閉機構
CN102713336A (zh) 加力装置
CN102117709A (zh) 一种开关
KR200381658Y1 (ko) 차량용 썬루프 작동 스위치
CN102956394A (zh) 一种翘板开关
KR200487292Y1 (ko) 진공 차단기용 접지스위치의 인터록 장치
CN206353496U (zh) 一种转换开关
CN103380472B (zh) 钥匙卡插入取电开关
CN101770140B (zh) 闪光灯的自动开启装置
CN102737900B (zh) 具有防碰撞功能的开关装置
KR101989967B1 (ko) 메모리 모듈 테스트 소켓
KR101261319B1 (ko) 범용 영구자석 조작기용 수동조작모듈
CN201780539U (zh) 机壳的面板装置
KR102269302B1 (ko) 전원 스위치 어셈블리
CN209872092U (zh) 一种轿门锁随动开关结构
CN201966077U (zh) 开关装置
KR200346433Y1 (ko) 차량용 스위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