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5463B1 - 스위치 장치 구조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463B1
KR102085463B1 KR1020180160502A KR20180160502A KR102085463B1 KR 102085463 B1 KR102085463 B1 KR 102085463B1 KR 1020180160502 A KR1020180160502 A KR 1020180160502A KR 20180160502 A KR20180160502 A KR 20180160502A KR 102085463 B1 KR102085463 B1 KR 102085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e
elastic unit
contact
contact point
bas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9115A (ko
Inventor
우 치-유안
쿤 시아오 치
Original Assignee
스위치랩 인크.
스위치랩(상하이)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위치랩 인크., 스위치랩(상하이)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스위치랩 인크.
Publication of KR20190099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22Emergency operating parts, e.g. for stop-switch in dangerous cond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22Emergency operating parts, e.g. for stop-switch in dangerous conditions
    • H01H2003/0246Resetting of bistable emergency operating part by rotating itself or an accesso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5/00Movable contacts
    • H01H2205/004Movable contacts fixed to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5/00Springs
    • H01H2235/018Spring seat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스위치 장치 구조는 회로가 안전하게 개방될 수 없는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단점을 개선시키기 위한 보장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스위치 장치 구조는 주요 몸체 및 상기 주요 몸체와 조립되는 조작 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주요 몸체는 베이스 시트가 조립되는 챔버를 정의한다. 조작 몸체 및 배선 연결 모듈이 상기 베이스 시트 상에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 시트는 탄성 유닛이 장착되는 캐버티를 가지고 형성된다. 상기 탄성 유닛은 고정 부분 및 자유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조작 몸체의 이동에 응답하여 지주로서 기능하는 상기 고정 부분을 가지고, 상기 탄성 유닛의 자유 부분은 상기 회로를 개방하기 위해 제1 접촉점으로부터 멀리 또는 상기 회로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제1 접촉점과 접촉하도록 상기 배선 연결 모듈의 제2 접촉점을 밀 수 있다.

Description

스위치 장치 구조{SWITCH DEVICE STRUCTURE}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개선된 스위치 장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요 몸체 및 상기 주요 몸체와 조립된 베이스 시트를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탄성 유닛은 회로가 스위치 장치에 의해 개방 및/또는 폐쇄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이 베이스 시트 상에 장착된다.
종래의 스위치 장치는 조작자가 기계를 조작하거나 또는 시스템의 전원을 온/오프하도록 전기적, 전자적 및 자동화된 제어 시스템에 적용된다. 이러한 스위치 장치는 또한 긴급 스위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조작자가 부적절하게 기계를 조작하거나 또는 장비가 고장나는 등의 경우에 있어서, 조작자는 심각한 손상 또는 손실을 피할 수 있도록 시스템의 전원을 오프하기 위해 긴급하게 회로를 개방할 수 있다.
종래의 긴급 스위치 장치는 일반적으로 푸시버튼 및/또는 회전 스위치가 구비된 조작 버튼 및 이 조작 버튼 및 스프링들을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를 포함한다. 연결 시트(또는 베이스 시트), 접촉 암을 가지는 배선 연결 및 유사 구성성분들은 케이스 안에서 조립된다. 연결 시트를 구동시키고 아래로 누르기 위해 조작자가 조작 버튼을 누를 때, 케이스는 스프링들을 압축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연결 시트에 힘을 가하고, 이로써 스프링들은 연결 시트를 위치시키기 위해 이를 누르게 된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연결 시트는 회로를 개방하기 위해 배선 연결 모듈을 누른다. 게다가, 조작자는 조작 버튼 및 연결 시트를 힘으로 당길 수 있고, 이로써 연결 시트는 그 홈 조립 위치(home assembling position)로 회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배선 연결 모듈의 회로는 다시 폐쇄된다.
종래의 스위치 장치는 많은 구성성분들 및 상대적으로 복잡한 구조를 가져서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제조 및 조립 비용이 더 높다.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상기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다른 종래의 스위치 장치가 개발되어 왔는데, 이것은 스위치의 회로를 폐쇄 및/또는 개방하도록 탄성 작용력을 제공하기 위해 배선 연결 모듈의 접촉 암을 채용한다. 조작 스위치에 있어서, 나선 스프링은 스위치 케이스와 슬라이드 몸체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협력적인 배선 연결 모듈은 제1 리프 스프링 및 제2 리프 스프링을 가진다. 조작자가 조작 버튼을 당기거나 또는 누를 때, 제1 및 제2 리프 스프링들은 회로를 개방하기 위해 고정된 접촉점으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회로를 닫기 위해 고정된 접촉점에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상기의 종래의 스위치 장치들의 구조 및 실제 조작 및 응용에 있어서, 몇 가지의 단점들은 이하와 같이 존재한다:
1. 몇 가지의 조작 및 응용 조건들에 있어서, 장기간 이용 또는 인간적인 요소들로 인해, 스위치 케이스, 조작 버튼 또는 연결 시트는 종종 손상되거나 또는 파손된다.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연결 시트와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압축 스프링들의 구조에 따르면, 압축 스프링들은 압축 스프링들을 압축하거나 또는 에너지를 방출하기 위한 조작 지지 점 또는 부하 섹션을 잃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압축 스프링들은 연결 시트를 정확히 미는 데 실패하여 배선 연결 모듈의 회로는 개방될 수 없게 될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스위치 장치는 그 비상의 제동 기능을 잃게 될 것이고 또한 긴급하게 회로를 개방할 수 없다.
2. 종래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시트 상에 배치되는 (및/또는 나선 스프링들과 조립되는) 손가락-유사 부재들(finger-like members)과 협력하는 제1 및 제2 리프 스프링들의 구조에 따라, 탄성 작용력을 제공하도록 제1 및 제2 리프 스프링들은 특정한 구조를 가지고 설계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리프 스프링의 일 단은 굽은 부분 및 이동가능한 접촉점을 가지고 형성된다. 이동가능한 접촉점의 뒷면은 역 방향으로 제2 리프 스프링과 연결된다. 제2 리프 스프링은 손가락-유사 부재에 적응하여 제1 리프 스프링으로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가능한 판 및 굽은 부분을 포함하는, U-자형 몸체 구조를 가지고 형성된다.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리프 스프링들의 구조들 및 벤딩 및 펀칭 조작은 복잡하다. 이것은 제조 비용을 낮추는 것에 불리하다. 구조 및 실제 조작 및 응용에 있어서, 종래의 스위치 장치는 제1 및 제2 리프 스프링들의 이동 범위 또는 탄성 작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1 리프 스프링은 특히 더 얇고 밴드-유사 판(band-like plate)으로 만들어지고 또한 속이 빈 단면 구조(hollow section structure)를 가지고 형성되는 다른 문제점을 가진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적인 형태는 제1 리프 스프링의 전자-전도 성능(electro-conductive performance)을 감소시킬 것이다. 이것은 우리가 기대하는 것은 아니다.
대표적으로 말하면, 상기에서 언급된 것들은 케이스 및 조작 몸체 및 배선 연결 모듈 또는 사용중인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관련된 연결 구성성분들 및 구조적인 설계의 단점들을 드러낸다. 스위치 장치의 조립 구조들 및 응용 조건들의 경우에 있어서, 배선 연결 모듈 및 관련된 구성성분들은 종래의 스위치 장치와 다르게 재설계되고, 스위치 장치의 이용 형태는 그 응용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조가 단순화되고 조작이 용이해지는 조건에 있어서, 재설계는 이하의 이슈들을 포함해야 한다:
1. 압축 스프링들이 케이스와 연결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구조적 형태는 제거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스위치 장치의 구조가 종종 손상되거나 또는 파손되어 배선 연결 모듈에 조립된 압축 스프링들이 회로를 개방할 수 없게 되는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단점은 개선될 수 있다.
2.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제1 및 제2 리프 스프링들의 복잡한 구조적 형태는 제거되거나 또는 해결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탄성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제1 리프 스프링의 전자-전도(electro-conductive) 성능이 낮아지는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단점은 개선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스위치 장치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는데, 이 스위치 장치 구조는 회로가 안전하게 개방될 수 없는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단점을 개선시키기 위한 보장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스위치 장치 구조는 주요 몸체(main body) 및 상기 주요 몸체와 조립되는 조작 버튼(operation button)을 포함한다. 상기 주요 몸체는 베이스 시트(base seat)가 조립되는 챔버를 정의한다. 조작 몸체 및 배선 연결 모듈(wire connection module)이 상기 베이스 시트 상에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 시트는 탄성 유닛(elastic unit)이 장착되는 캐버티(cavity)를 가지고 형성된다. 상기 탄성 유닛은 고정 부분(fixed section) 및 자유 부분(free section)을 포함한다. 상기 조작 몸체의 이동에 응답하여 지주로서 기능하는 상기 고정 부분을 가지고, 상기 탄성 유닛의 자유 부분은 상기 회로를 개방하기 위해 제1 접촉점으로부터 멀리 또는 상기 회로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제1 접촉점과 접촉하도록 상기 배선 연결 모듈의 제2 접촉점을 밀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스위치 장치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는데, 여기서 상기 탄성 유닛의 고정 부분은 제1 부분(first section) 및 상기 제1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직각으로 굽은 제2 부분(second section)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부분의 꼬리 단(tail end)은 상기 베이스 시트 상에 고정된다. 상기 탄성 유닛의 자유 부분은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에 연결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직각으로 굽은 제3 부분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부분들은 그 사이에 각도를 포함하는데, 이로써 상기 제2 부분은 작용력(action force)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경사져 있다. 그로므로, 상기 조작 몸체의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회로를 개방하기 위해 제1 접촉점으로부터 멀리 또는 상기 회로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제1 접촉점에 접촉하도록 상기 배선 연결 모듈의 제2 접촉점을 밀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을 통해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작 버튼, 주요 몸체, 조작 몸체, 베이스 시트, 배선 연결 모듈 및 탄성 유닛의 조립의 구조를 보여주는, 본 발명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작 몸체, 베이스 시트, 배선 연결 모듈 및 탄성 유닛의 조립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회로를 폐쇄하기 위해 탄성 유닛이 배선 연결 모듈에 조립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단면 평면도이다.
도 5는, 조작 몸체를 아래측으로 움직이고 배선 연결 모듈의 회로를 개방시키도록 구동시키기 위해 조작자가 조작 버튼을 누르는 것을 보여주고 또한 조작 몸체, 배선 연결 모듈 및 탄성 유닛의 협력적인 구조들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다른 단면 평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 구조는 주요 몸체(10) 및 주요 몸체(10)에 조립되는 베이스 시트(base seat, 20)를 포함한다. 주요 몸체(10)는 베이스 부분(11)을 가지는 원통형 몸체 구조이다. 주요 몸체(10)는 축상 기준축(X)을 가지고 정의된다. 조작 (푸쉬) 버튼(30)은 주요 몸체(10) 안에 배치된다. 조작 버튼(30)은 축상 기준축(X)을 따라 주요 몸체(10) 안에서 회전 및/또는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허용된다. 주요 몸체(10) 및 조작 버튼(30)의 관련된 협력적 구조들은 종래 기술과 관련 있고 이로써 이하에서는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주요 몸체(10)(및/또는 베이스 부분(11))은 베이스 시트(20) 및 조작 몸체(40)가 조립되는 챔버(12)를 정의한다. 상세하게 말하면, 베이스 시트(20)는 조작 몸체(40) 및 탄성 유닛(60)과 조립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캐버티(22) 및 벽(21)을 가지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몸체 구조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partitioning wall, 23)은 베이스 시트(20)의 중간 부분에 배치되고, 이로써 베이스 시트(20)는 2 개의 측면들에서 2 개의 대칭적인 캐버티들(22)로 분리된다. 설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베이스 시트(20)의 하나의 측면 상의 캐버티(22) 하나만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은 또한 벽(21) 및 격벽(23)에 인접하는 베이스 시트(20)의 일 부분이 함께 캐버티(22)와 소통하는 보조 캐버티(subsidiary cavity, 24)를정의하는 것을 보여준다. 조작 몸체(40)는 캐버티(22) 및 보조 캐버티(24) 안에 장착되고 또한 축상 기준축(X)을 따라 캐버티(22) 및/또는 보조 캐버티(24) 안에서 자유로이 움직이도록 허용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보조 벽(25) 및 제2 보조 벽(26)은 캐버티(22)에 인접하여 베이스 시트(20) 상에 배치된다. 제1 조립 부분(27) 및 제2 조립 부분(28)은 배선 연결 모듈(50)과 조립하기 위해, 제1 및 제2 보조 벽들(25, 26) 및 벽(21) 사이에서 각각 정의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 연결 모듈(50)은 제1 및 제2 조립 부분들(27, 28) 상에 각각 장착되는 제1 접촉 암(51) 및 제2 접촉 암(52)으로 분류되는, 복수의 접촉 암들(contact arms)을 포함한다. 제1 접촉 암(51)은 제1 접촉점(51a, 또는 소위 고정 접촉점)을 가진다. 제1 접촉점(51a)은 제1 보조 벽(25)의 노치(25a)를 통해 캐버티(22)로 연장된다. 제2 접촉 암(52)은 자유 부분(54) 및 이 자유 부분(54) 상에 배치되는 제2 접촉점(52a, 또는 소위 이동가능 접촉점)을 가진다. 자유 부분(54) 및 제2 접촉점(52a)은 제2 보조 벽(26)을 지나 캐버티(22)로 연장된다. 이에 더하여, 제2 접촉점(52a)은 제1 접촉점(51a)의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연장되고, 이로써 제1 및 제2 접촉점들(51a, 52a)은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위치 및 하부 위치에 위치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접촉 암(52)은 자유 부분(54)에 연결되는 만곡 부분(bight section, 55)을 가진다. 만곡 부분(55)은 자유 부분(54)의 이동 범위 및/또는 탄성 효과를 강화하기 위해 기능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접촉 암(52)이 더 이상적인 전자-전도 성능 및 더 높은 강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제2 접촉 암(52)은 제1 부분(56) 및 제2 부분(57)을 가지는 투-피스 구조이다. 제1 부분(56)은 철, 강철 등의 물질과 같이, 더 큰 강성(rigidity) 또는 경도(hardness)를 가지는(또는 제2 부분(57)의 강성 또는 경도보다 더 큰) 물질로 선택적으로 만들어진다. 제2 부분(57)은 황동, 구리 등이 물질과 같이, 더 높은 전자-전도 성능을 가지는(또는 제1 부분(56)의 전자-전도 성능보다 더 높은) 물질로 선택적으로 만들어진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분(56)은 통합된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제2 부분(57)의 홀딩 모서리(holding edge, 59)와 조립하기 위한, 분기된 헤드 단(58)을 가진다. 제2 보조 벽(26)(또는 제2 조립 부분(28))은 제2 접촉 암(52)을 위치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제2 부분의 홀딩 모서리(59) 및 제1 부분의 헤드 단(58)에 대응하는 오목한 삽입 부분(recessed insertion section, 26a)을 가지고 형성된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몸체(40)는 헤드 부분(41) 및 헤드 부분(41)에 연결되는 벨리(belly section, 42)을 포함한다. 헤드 부분(41)은 주요 몸체(10)의 섀프트 룸(shaft room, 13) 안에 국한되고 섀프트 룸(13) 안에서 (상하로) 왕복 운동하도록 허용된다. 벨리 부분(42)은 베이스 시트의 보조 캐버티(24) 안에 장착되고 또한 보조 캐버티(24) 안에서 (상하로) 왕복 운동하도록 허용되는, 실질적으로 판 몸체 구조(plate body structure)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벨리 부분(42)은 안착 부분(rest section, 43) 및 그 위에 탄성 유닛(60)을 배치하기 위해 벨리 부분(42)으로부터 가로질러 돌출되는 스테이크(stake, 44)를 가진다. 조작 몸체(40)에 응답하여 탄성 유닛(60)의 이동에 대한 마찰력 또는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승강 부분(raised section, 45)은 벨리 부분(42) 상에 배치되고 안착 부분(43) 및 스테이크(44)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탄성 유닛(60)이 움직일 때, 탄성 유닛(60)은 벨리 부분(42)에 접촉하거나 또는 마모시키지 않을 것이다. 이에 더하여, 조작 몸체(40)는 벨리 부분(42)으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도면의 아래 측으로 연장되는 돌출 암(protruding arm, 46)을 가진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유닛(60)은 조작 몸체(40)의 스테이크(44)에 감긴 복수의 루프 구조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아치형 구조를 가지고 형성되는 베이스 부분(61)을 가지는 토크 스프링이다. 고정 부분(62) 및 자유 부분(63)은 베이스 부분(61)의 2 개의 끝단들로부터 각각 연장된다. 고정 부분(62)은 제1 부분(62a) 및 제1 부분(62a)에 연결되는 제2 부분(62b)을 포함한다. 고정 부분의 제1 부분(62a)은 도면의 상부 측으로부터 그 하부 측으로 약간 비스듬히 연장된다. 고정 부분의 제2 부분(62b)은 제1 부분(62a)으로부터 자유 부분(63)으로 직각으로 굽어져 있다. 고정 부분의 제2 부분(62b)은 베이스 시트(20)(또는 제2 보조 벽(26) 상에 고정된다.
자유 부분(63)은 제1 부분(63a), 제 부분(63a)에 연결되는 제2 부분(63b) 및 제2 부분(63b)에 연결되는 제3 부분(63c)을 포함한다. 자유 부분의 제1 부분(63a)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조작 몸체(40)의 안착 부분(43)에 접촉하기 위해 수평으로 연장된다. 자유 부분의 제1 및 제2 부분들(63a, 63b)은 각도를 포함하는데, 이로써 자유 부분의 제2 부분(63b)은 작용력을 제공하도록 제1 부분(63a)으로 경사져 있고, 이로써 조작 몸체(40)의 이동에 응답하여, 자유 부분의 제3 부분(63c)은 회로를 개방하기 위해 제2 접촉 암(52)으로부터 멀리 또는 회로를 폐쇄하기 위해 제1 접촉점(51a)에 접촉하도록 제2 접촉 암(52)의 제2 접촉점(52a)을 밀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자유 부분의 제1 및 제2 부분들(63a, 63b) 사이에 포함되는 각도는 예각, 직각 또는 둔각일 수 있다. 자유 부분의 제3 부분(63c)은 제2 부분(63b)으로부터 고정 부분(62)으로 직각으로 굽어져 있다. 제3 부분(63c)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촉 암의 자유 부분(54)을 밀기 위한 작용 부분(action section)을 형성하도록 연장된다.
스위치 장치의 회로를 폐쇄하기 위해 조작 몸체(40) 및 탄성 유닛(60)이 배선 연결 모듈(50)에 조립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 4를 참조하자.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장치의 회로가 닫힌 상태일 때, 조작 몸체(40)는, 지지점으로 기능하는 탄성 유닛(60)의 고정 부분(62)의 제2 부분(62b)을 가지고, 조작 몸체(40)의 이동에 응답하여 탄성 유닛(60)이 에너지를 저장하도록 하기 위해 조작 몸체(40)의 안착 부분(43)이 탄성 유닛(60)의 제1 부분(63a)과 협력하는, 제1 위치에 위치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자유 부분의 제3 부분(63c)은 제1 접촉 암(51)의 제1 접촉점(51a)과 접촉하도록 제2 접촉 암의 자유 부분(54)의 제2 접촉점(52a)을 민다.
도 5를 참조하자. 조작자가 긴급 조건 하에서 조작 버튼(30)을 누를 때, 조작 몸체(40)는 제1 위치로부터 도면의 하부 측(또는 제2 위치로 정의된)으로 움직이도록 구동된다. 이 때, 조작 몸체(40)의 이동에 응답하여, 탄성 유닛(60)(또는 자유 부분의 제3 부분(63c)은 지주로서 기능하는 고정 부분(62)(또는 제2 부분(62b))을 가지고 이전에 저장된 에너지를 방출한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제2 접촉 암의 자유 부분(54)은 자유 부분의 제3 부분(63c)의 푸쉬로부터 해제되고, 이로써 제2 접촉점(52a)은 회로를 개방하기 위해 제1 접촉 암(51)의 제1 접촉점(51a)으로부터 분리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몸체(40)의 돌출 암(46)은 제2 접촉 암의 자유 부분(54)의 제2 접촉점(52a)이 제1 접촉점(51a)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보장한다.
대표적으로 말하면, 종래의 스위치 장치와 비교하여, 조작이 제공되는 조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 구조는 이하의 장점들을 가진다:
1. 주요 몸체(10), 베이스 시트(20), 조작 몸체(40), 배선 연결 모듈(50) 및 탄성 유닛(60) 및 관련 협력적 구조들은 사용시 및 조작 형태에서 종래의 스위치 장치와 다르도록 재설계되었다. 예를 들어, 주요 몸체(10)는 베이스 시트(20)에 조립된다. 격벽(23)은 베이스 시트(20)를 2 개의 측면들에서 2 개의 대칭적인 캐버티들(22)로 베이스 시트(20)를 분리하기 위해 베이스 시트(20) 내에 배치된다. 베이스 시트(20)의 격벽(23) 및 벽(21)은 함께 조작 몸체(40) 및 탄성 유닛(60)을 수신하기 위해 캐버티(22)와 소통하는 보조 캐버티(24)를 정의한다. 베이스 시트(20)는 배선 연결 모듈(50)을 안전하게 장착하기 위해 제1 보조 벽(25), 제1 조립 부분(27), 제2 보조 벽(26) 및 제2 조립 부분(28)을 가지고 형성된다. 안착 부분(43) 및 스테이크(44)는 탄성 유닛(60)과 조립하기 위해 조작 몸체(40)의 벨리 부분(42) 상에 배치된다. 탄성 유닛(60)은 고정 부분(62) 및 자유 부분(63)을 포함한다. 고정 부분(62)은 제1 부분(62a) 및 제2 부분(62b)을 포함한다. 자유 부분(63)은 제1 부분(63a), 제2 부분(63b) 및 제3 부분(63c)을 포함한다. 자유 부분의 제3 부분(63c)은 회로를 개방하기 위해 제2 접촉 암(52)으로부터 멀리 또는 회로를 폐쇄하기 위해 제1 접촉점(51a)에 접촉하도록 배선 연결 모듈의 제2 접촉 암(52)의 제2 접촉점(52a)을 밀 수 있다.
2. 조작 몸체(40) 및 탄성 유닛(60)은 베이스 시트(20)의 캐버티(22) 및 보조 캐버티(24) 안에 수신되고 조립된다. 탄성 유닛(60)은 베이스 시트(20)와 함께또는 조작 지지점으로 기능하는 캐버티(22) 내부에서 움직인다. 이러한 구조적 형태는, 압축 스프링들이 케이스와 압축 스프링들의 이동 지주로서 연결 시트(또는 베이스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기술적 형태를 명백히 제거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스위치 장치 구조가 손상, 파손 또는 분리되어, 종래의 스위치 장치가 압축 스프링의 지지점을 잃게 되고 이로써 배선 연결 모듈이 회로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없는 상태가 될 가능성이 최소화될 수 있다.
3. 특히, 베이스 시트(20)는 탄성 유닛(60)을 수신하기 위한 캐버티(22)를 가지고 형성되어 탄성 유닛(60)은 보다 안전하게 배선 연결 모듈(50)로부터 분리되거나 밀 수 있다. 이러한 구조 및 기술은 제1 및 제2 리프 스프링들의 구조적 형태가 복잡하고 제1 리프 스프링이 탄성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속이 빈 부분을 가지고 형성되어 전자-전도 성능이 저하되는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단점들을 명백히 개선시킨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 구조는 공간 형태에 있어서 종래의 스위치 장치와 다르고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 구조는 종래의 스위치 장치에 비하여 진보적이고, 크게 발전되고 유리하다.
상기의 실시예들은 그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닌,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상기의 실시예들의 많은 변형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만들어질 수 있다.

Claims (9)

  1. 주요 몸체 및 상기 주요 몸체에 조립되는 베이스 시트를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주요 몸체는 축상 기준축으로 정의되고, 상기 주요 몸체는 베이스 부분 및 상기 베이스 시트가 장착되는 챔버를 정의하고, 조작 몸체 및 배선 연결 모듈은 상기 베이스 시트 상에 배치되고, 조작 버튼은 상기 축상 기준축을 따라 왕복 이동가능하고, 상기 배선 연결 모듈은 제1 접촉 암 및 제2 접촉 암으로 분류되는 복수의 접촉 암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 암은 제1 접촉점을 가지고, 상기 제2 접촉 암은 제2 접촉점을 가지고, 상기 베이스 시트는 벽 및 탄성 유닛이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캐버티를 가지고, 상기 탄성 유닛은 베이스 부분, 상기 베이스 부분의 양 단들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자유 부분 및 고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유닛의 상기 고정 부분은 상기 베이스 시트 상에 고정되고, 이로써 상기 조작 몸체의 이동에 응답하여 지주로서 기능하는 상기 고정 부분을 가지고, 상기 탄성 유닛의 자유 부분은 회로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제2 접촉 암으로부터 분리시키거나 또는 상기 회로를 폐쇄하기 위해 상기 제1 접촉 암의 상기 제1 접촉점과 접촉하도록 상기 제2 접촉 암의 상기 제2 접촉점을 밀 수 있는, 스위치 장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몸체는 베이스 부분을 가지는 원통형 몸체 구조이고, 상기 베이스 시트는 벽 및 격벽을 가지는 원통형 몸체 구조이고, 상기 벽 및 상기 격벽에 인접하는 상기 베이스 시트의 일 부분은 함께 상기 캐버티와 소통하는 보조 캐버티를 정의하고, 상기 조작 몸체는 상기 캐버티 및 상기 보조 캐버티 내에 장착되는, 스위치 장치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보조 벽 및 제2 보조 벽은 상기 캐버티에 인접하는 상기 베이스 시트 상에 배치되고, 제1 조립 부분 및 제2 조립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보조 벽들 및 상기 벽 사이에서 각각 정의되고, 상기 제1 조립 부분은 상기 제1 접촉 암에 조립되고, 상기 제2 조립 부분은 상기 제2 접촉 암에 조립되고, 상기 제1 접촉 암의 상기 제1 접촉점은 상기 제1 보조 벽의 노치를 통해 상기 캐버티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접촉 암은 상기 제2 접촉점이 배치되는 자유 부분 및 상기 자유 부분과 연결되는 만곡 부분을 가지고, 상기 자유 부분 및 상기 제2 접촉점은 상기 제2 보조 벽을 지나 상기 캐버티로 연장되고, 이로써 상기 제2 접촉점은 상기 제1 접촉점의 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연장되는, 스위치 장치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 암은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가지는 투-피스 구조이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의 경도보다 큰 경도를 가지는 물질로 선택적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의 전자-전도도보다 큰 전자-전도도를 가지는 물질로 선택적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1 부분은 통합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2 부분의 홀딩 에지에 조립되기 위한 헤드 단을 가지는, 스위치 장치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몸체는 헤드 부분 및 상기 헤드 부분에 연결되는 벨리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 부분은 상기 주요 몸체의 섀프트 룸 내에 국한되고 상기 섀프트 룸 안에서 왕복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허용되고, 상기 벨리 부분은 안착 부분 및 그 위에 상기 탄성 유닛을 배치하기 위해 상기 벨리 부분으로부터 가로질러 돌출되는 스테이크를 가지는, 실질적으로 판 몸체 구조이고, 승강 부분은 상기 벨리 부분 상에 배치되고 상기 안착 부분 및 상기 스테이크와 연결되고, 상기 탄성 유닛의 상기 베이스 부분은 상기 조작 몸체의 스테이크를 감는 복수의 루프 구조들 또는 아치형 구조를 가지고 형성되고, 상기 조작 몸체는 상기 벨리 부분으로부터 돌출되고 하부 측으로 연장되는 돌출 암을 가지는, 스위치 장치 구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몸체는 헤드 부분 및 상기 헤드 부분에 연결되는 벨리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헤드 부분은 상기 주요 몸체의 섀프트 룸 내에 국한되고 상기 섀프트 룸 안에서 왕복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고, 상기 벨리 부분은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보조 캐버티 내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보조 캐버티 안에서 왕복으로 움직이는 것이 허용되는, 실질적으로 판 몸체 구조이고, 상기 벨리 부분은 안착 부분 및 상기 벨리 부분으로부터 가로질러 돌출되는 스테이크를 가지고, 상기 탄성 유닛의 상기 베이스 부분은 상기 조작 몸체의 스테이크를 감는 복수의 루프 구조들 또는 아치형 구조를 가지고 형성되고, 승강 부분은 상기 벨리 부분 상에 배치되고 상기 안착 부분 및 상기 스테이크와 연결되고, 상기 조작 몸체는 상기 벨리 부분으로부터 돌출되고 하부 측으로 연장되는 돌출 암을 가지는, 스위치 장치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유닛은 토크 스프링이고, 상기 탄성 유닛의 베이스 부분은 아치형 구조 또는 복수의 루프 구조들을 가지고 형성되고, 상기 탄성 유닛의 고정 부분은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 연결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분의 제1 부분은 상부 측으로부터 하부 측으로 비스듬히 연장되고, 상기 고정 부분의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자유 부분으로 직각으로 굽어 있고, 상기 고정 부분의 제2 부분은 상기 베이스 시트 상에 고정되고, 상기 자유 부분은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에 연결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연결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자유 부분의 제1 부분은 수평으로 연장되고, 상기 자유 부분의 제1 및 제2 부분들은 각도를 포함하고 있고, 이로써 상기 자유 부분의 제2 부분은 작용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경사져 있고, 이로써 상기 자유 부분의 제3 부분은 상기 제1 접촉점과 접촉하도록 상기 제2 접촉 암의 상기 제2 접촉점을 밀 수 있고, 상기 자유 부분의 제1 및 제2 부분들 사이에 포함되어 있는 각도는 예각, 직각 및 둔각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스위치 장치 구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유닛은 토크 스프링이고, 상기 탄성 유닛의 베이스 부분은 아치형 구조 또는 복수의 루프 구조들을 가지고 형성되고, 상기 탄성 유닛의 고정 부분은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 연결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분의 제1 부분은 상부 측으로부터 하부 측으로 비스듬히 연장되고, 상기 고정 부분의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자유 부분으로 직각으로 굽어 있고, 상기 고정 부분의 제2 부분은 상기 베이스 시트 상에 고정되고, 상기 자유 부분은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에 연결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에 연결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자유 부분의 제1 부분은 상기 조작 몸체의 안착 부분에 접촉하기 위해 수평으로 연장되고, 상기 자유 부분의 제1 및 제2 부분들은 각도를 포함하고 있고, 이로써 상기 자유 부분의 제2 부분은 작용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경사져 있고, 이로써 상기 자유 부분의 제3 부분은 상기 제1 접촉점과 접촉하도록 상기 제2 접촉 암의 상기 제2 접촉점을 밀 수 있고, 상기 자유 부분의 제1 및 제2 부분들 사이에 포함되어 있는 각도는 예각, 직각 및 둔각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스위치 장치 구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유 부분의 제3 부분은 상기 제2 부분으로부터 상기 고정 부분으로 직각으로 굽어 있는, 스위치 장치 구조.
KR1020180160502A 2017-12-15 2018-12-13 스위치 장치 구조 KR1020854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6218655U TWM565390U (zh) 2017-12-15 2017-12-15 開關裝置改良結構
TW106218655 2017-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115A KR20190099115A (ko) 2019-08-26
KR102085463B1 true KR102085463B1 (ko) 2020-03-05

Family

ID=63961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502A KR102085463B1 (ko) 2017-12-15 2018-12-13 스위치 장치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14278B2 (ko)
EP (1) EP3499536B1 (ko)
JP (1) JP6779967B2 (ko)
KR (1) KR102085463B1 (ko)
TW (1) TWM56539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24822S1 (en) * 2019-01-18 2021-07-13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Push button
JP1666318S (ko) * 2019-10-18 2020-08-17
TWM627214U (zh) * 2021-11-03 2022-05-21 進聯工業股份有限公司 開關裝置改良結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1682A (ja) 2002-05-14 2003-11-21 Alps Electric Co Ltd スイッチ装置
US20120228108A1 (en) 2009-11-20 2012-09-13 Idec Corporation Operation Switch
JP2017157552A (ja) 2016-01-29 2017-09-07 ジョンソン エレクトリッ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スイッチ
CN104505289B (zh) 2014-11-19 2017-11-28 余正明 一种使用扭簧为端子的开关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8058B1 (en) * 1999-09-27 2001-03-06 Rockwell Technologies, Llc Switch contact mechanism
US7232965B2 (en) * 2004-03-19 2007-06-19 Square D Company Linear motion compensator
US7884693B2 (en) * 2007-09-04 2011-02-08 Robertshaw Controls Company Two piece bi-metal coil terminal and electrical coil assembly incorporating same
US9099263B2 (en) * 2009-08-31 2015-08-04 Illinois Tool Works Inc. Universal load switch
CN107248460B (zh) * 2013-02-04 2019-09-24 富士电机机器制御株式会社 开关装置
EP3011576B8 (de) * 2013-06-20 2018-04-11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Druckbetätigbarer sicherheitsschalter mit überwachungsfunk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1682A (ja) 2002-05-14 2003-11-21 Alps Electric Co Ltd スイッチ装置
US20120228108A1 (en) 2009-11-20 2012-09-13 Idec Corporation Operation Switch
US8766126B2 (en) 2009-11-20 2014-07-01 Idec Corporation Operation switch
CN104505289B (zh) 2014-11-19 2017-11-28 余正明 一种使用扭簧为端子的开关
JP2017157552A (ja) 2016-01-29 2017-09-07 ジョンソン エレクトリッ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79967B2 (ja) 2020-11-04
KR20190099115A (ko) 2019-08-26
EP3499536B1 (en) 2020-06-10
US20190189371A1 (en) 2019-06-20
EP3499536A1 (en) 2019-06-19
TWM565390U (zh) 2018-08-11
JP2019110123A (ja) 2019-07-04
US10714278B2 (en) 202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5463B1 (ko) 스위치 장치 구조
EP1310968B2 (en) Switch apparatus
CN101770905B (zh) 具有凸轮旋转延迟功能的断路器
RU2444079C2 (ru) Механизм с двумя фиксированными положениями и электричекое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содержащее этот механизм
US5132499A (en) Pre-loaded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KR20110050361A (ko) 자기제어식 밀폐형 전기 스위치 어셈블리
JP2006173125A (ja) 電磁リレー
EP3340263B1 (en) Locking/unlocking structure of switch device
CN206349315U (zh) 塑壳断路器的辅助开关
US7060917B1 (en) Plunger switch for electric appliances
EP2908325A1 (en) Electric switch with an actuator
JPH0526652Y2 (ko)
EP3791416B1 (en) Snap action switch for generating feedbacks
US9685285B2 (en) Single actuator control switch
US20190333718A1 (en) Push switch
KR100591303B1 (ko) 파워 윈도우 스위치
KR20230064572A (ko) 스위치 장치 구조
CN215869062U (zh) 一种微动模块
CN207676840U (zh) 开关装置改良结构
JP4295599B2 (ja) スイッチ装置
CN216957939U (zh) 断路器
EP3629356B1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0292513B1 (ko) 토출밸브조립체
MXPA00007322A (es) Interruptor de boton de presion con parte de un alambre expuesto a una parte inferior interna de un alojamiento para formar una porcion de contacto.
JPH024442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