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4572A - 스위치 장치 구조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4572A
KR20230064572A KR1020220144364A KR20220144364A KR20230064572A KR 20230064572 A KR20230064572 A KR 20230064572A KR 1020220144364 A KR1020220144364 A KR 1020220144364A KR 20220144364 A KR20220144364 A KR 20220144364A KR 20230064572 A KR20230064572 A KR 20230064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contact arm
auxiliary
elastic uni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4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 치헤-유안
쿤 샤오 치헤
Original Assignee
스위치랩 인크.
스위치랩(상하이) 씨오 엘티디
가오청 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위치랩 인크., 스위치랩(상하이) 씨오 엘티디, 가오청 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스위치랩 인크.
Publication of KR20230064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45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22Emergency operating parts, e.g. for stop-switch in dangerous cond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22Emergency operating parts, e.g. for stop-switch in dangerous conditions
    • H01H2003/0246Resetting of bistable emergency operating part by rotating itself or an accesso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5/00Movable contacts
    • H01H2205/004Movable contacts fixed to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36Return force
    • H01H2221/044Elastic part on actuator or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5/00Switch site location
    • H01H2225/01Different switch sites under one actuator in same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5/00Switch site location
    • H01H2225/012Switch site location normally clos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5/00Switch site location
    • H01H2225/014Switch site location normally closed combined with normally op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8Turn kno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스위치 장치 구조는 본체 및 조작체의 조립체를 포함한다. 전기적 연결 모듈 및 탄성 유닛은 본체 상에 장착된다. 전기적 연결 모듈의 접촉 암은 제1 부재 및/또는 가변적인 배치 위치를 갖는 제2 부재를 가진다. 탄성 유닛은 조작체 상에 배치된다. 탄성 유닛은 고정 부분, 자유 부분 및 고정 부분과 자유 부분 사이에 연결된 곡면 부분을 포함하고, 이 부분들은 함께 기하학적 구성을 정의한다. 조작체의 위치 또는 움직임에 따라(또는 이에 응답하여), 탄성 유닛은 전기적 연결 모듈의 접촉 암을 접촉하는 회로 닫힌 상태로 밀도록 또는 회로 열린 상태를 형성하기 위해 접촉 암으로부터 탄성 유닛이 분리되도록 해주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전기적 연결 모듈의 접촉 암의 제1 부재 및/또는 제2 부재의 배치 형태는 NO 모드 및 NC 모드를 달성하기 위해 스위치의 사양에 따라 가변적이다.

Description

스위치 장치 구조{SWITCH DEVICE STRUCTURE}
본 발명은 전반적으로 스위치 장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 및 조작체의 조립체를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형 접촉 암이 본체 상에 장착된다. 이동형 접촉 암은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포함한다. 조작체에는 탄성 유닛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부재의 배치 형태는 NO 모드 및 NC 모드를 달성하기 위해 가변적이고 회로가 닫히거나 및/또는 열리는 것을 보장한다.
종래의 스위치 장치는 조작자가 회로가 정상 개방(normally open, NO) 또는 정상 폐쇄(normally closed, NC) 상태에 있도록 또는 작동하도록 기계를 조작하기 위해 전자 또는 자동 제어 시스템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US 6627830 B2 "푸쉬버튼 및 푸쉬버튼을 갖는 티칭 펜던트(pushbutton and teaching pendant with the pushbutton)" 및 CN 204441112 U "접촉 장치(contact device)"는 스위치 장치의 통상적인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이러한 스위치 장치는 또한 비상 스위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조작자가 부적절하게 기계를 조작하거나 또는 장비가 고장나는 등의 경우에 있어서, 조작자는 심각한 손해 또는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긴급하게 회로를 개방하여 시스템의 전원을 끌 수 있다. 예를 들어, US 8766126 B2 "조작 스위치(operation switch)" (또는 EP 2503577 B1) 및 대만 특허 제94222288호 "테스트 장비의 비상 스위치 구조(emergency switch structure of test equipment)" 및 대만 특허 제98201163호 "비상 스위치 장치(emergency switch device)"는 스위치 장치의 통상적인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종래의 비상 스위치 장치는 일반적으로 푸쉬버튼 및/또는 로터리 스위치가 구비된 조작 버튼 및 조작 버튼 및 스프링을 수신하기 위한 케이스 몸체를 포함한다. 연결 시트(또는 베이스 시트) 및 접촉 암을 갖는 전기적 연결 모듈은 케이스 몸체 내에 조립된다. 연결 시트를 구동시켜 아래로 압박하기 위해 조작자가 조작 버튼을 누를 때, 케이스 몸체는 연결 시트가 스프링을 압축하도록 상대적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스프링은 이를 위치시키기 위해 연결 시트를 밀어내고, 이로써 연결 시트는 전기적 연결 모듈을 밀고 눌러서 회로를 열 수 있다.
실제로, 조작자는 조작 버튼 및 연결 시트를 회전하거나 또는 강제로 당겨 연결 시트가 전기적 연결 모듈의 원래 조립된 위치(home assembled position) 또는 폐쇄-회로 상태로 회복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JP 2003-303527 및 CN 102741961 B "조작 스위치(operation switch)"는 일 실시예를 개시하는데, 이 실시예에서는 전기적 연결 모듈의 제1 리프 스프링 및 제2 리프 스프링과 협력하여 코일 스프링이 스위치 케이스 몸체와 슬라이드 몸체 사이에 배치된다. 조작자가 조작 버튼을 당기거나 또는 누를 때, 제1 및 제2 리프 스프링들은 탄성적으로 고정된 접촉점에 접촉하여 회로를 닫거나 또는 고정된 접촉점으로부터 분리되어 회로를 연다.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구조, 실제 조작 및 적용에 있어서, 이하와 같은 종래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단점들이 존재한다:
1. 일부 조작 및 적용 상황들에 있어서, 복수의 전기적 연결 모듈들이 스위치 장치에 배치되는데, 이것은 NO 및/또는 NC 회로(또는 모드)에 각각 위치된다. NO 회로 및 NC 회로의 요건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전기적 연결 모듈들의 이동형 접촉 암들은 종종 서로 다른 구조적 형태들을 가진다.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것은 제조업자들에게 제조 비용 및 조립에서 생기는 문제를 증가시킬 것이다. 다시 말하면, 하나의 동일한 구조를 갖는 이동형 접촉 암들은 동시에 NO 및/또는 NC 회로를 달성하기 위해 장착될 수 없다.
2. 스위치 장치가 비상 스위치로서 기능하는 경우에 있어서, 조작자가 긴급하게 전원을 차단하거나 또는 회로를 개방할 때, 조작자는 종종 제1 리프 스프링 및/또는 제2 리프 스프링을 개방(또는 접촉) 상태에 강제로 위치시키기 위해 본능적으로 조작 버튼 또는 푸쉬버튼에 너무 세게 힘을 가한다.
종래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제1 리프 스프링 및 제2 리프 스프링의 탄성은 NO 또는 NC 모드를 달성하기 위해 푸쉬 부재의 견고한 구조와 협력하여 사용된다. 장기(또는 매우 잦은) 사용의 경우 또는 인적 요인들로 인해, 제1 및 제2 리프 스프링들의 재료 피로(material fatigue)가 발생하기 쉽거나 또는 제1 및 제2 리프 스프링들의 수명이 종종 단축된다. 이것은 우리가 기대하는 바가 아니다.
대표적으로 말하자면, 상기의 참조 문헌들은 구조적 설계 및 사용시 종래 스위치 장치의 조작체, 전기적 연결 모듈 및 관련 연결 부품들의 단점들을 드러낸다. 스위치 장치, 전기적 연결 모듈 및 관련 부품들의 조립 구조들 및 적용이 종래의 스위치 장치와 다르게 재설계된 경우에 있어서, 스위치 장치의 사용 형태는 그 적용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조를 단순화하고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조건에서, 재설계는 이하의 사안들을 포함해야 한다:
1. 전기적 연결 모듈은 하나의 구조적 형태를 갖는 이동형 접촉 암을 가진다. 이에 더하여, 이동형 접촉 암의 장착 시스템은 동시에 NO 및/또는 NC 모드들을 달성할 수 있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것은 제조 비용 및 조립시 발생하는 문제가 더 큰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단점을 개선시킨다.
2. 이동형 접촉 암이 전기적 연결 모듈의 고정된 접촉 암에 접촉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이동 거리 및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새로운 탄성 유닛 구조가 제공된다. 이것은 종래 구조의 탄성 피로가 발생하기 쉽고 종래 구조의 수명이 종종 단축되는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단점을 개선시킨다.
상기의 사안들 모두는 상기의 참고 문헌들에서 실질적으로 교시되거나 또는 개시되지 않는다.
이로써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본체 및 조작체의 조립체를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기적 연결 모듈 및 탄성 유닛은 본체 상에 장착된다. 전기적 연결 모듈의 (이동가능한) 접촉 암은 제1 부재 및/또는 가변적인 배치 위치를 갖는 제2 부재를 가진다. 탄성 유닛은 조작체 상에 배치된다. 탄성 유닛은 고정 부분, 자유 부분 및 고정 부분과 자유 부분 사이에 연결된 곡면 부분을 포함하고, 이 부분들은 함께 기하학적 구성을 정의한다. (곡면 부분은 적어도 곡면 부분 및 보조 곡면 부분을 포함한다). 조작체의 위치 또는 움직임에 따라(또는 이에 응답하여), 탄성 유닛은 전기적 연결 모듈의 접촉 암을 접촉하는 회로 닫힌 상태로 밀도록 또는 회로 열린 상태를 형성하기 위해 접촉 암으로부터 탄성 유닛이 분리되도록 해주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전기적 연결 모듈의 접촉 암의 제1 부재 및/또는 제2 부재의 배치 형태는 NO 모드 및 NC 모드를 달성하기 위해 스위치의 사양에 따라 가변적이다.
상기의 스위치 장치 구조에 있어서, 전기적 연결 모듈의 접촉 암들은 고정형 접촉 암 및 이동형 접촉 암으로 분류된다. 이동형 접촉 암의 제1 부재에는 연결 부분이 형성된다. 이동형 접촉 암의 제2 부재는 베이스 부분 및 외측으로 향하는 보조 연결 부분을 포함한다. 보조 연결 부분은 제1 부재의 연결 부분과 조립된다. 또는 제2 부재(및/또는 탄성 유닛)가 180도 회전된 후, 보조 연결 부분이 제1 부재의 연결 부분과 조립된다. 따라서, 이동형 접촉 암의 배치 형태는 NO 모드 및 NC 모드를 달성하기 위해 가변적이다.
상기의 스위치 장치 구조에 있어서, 탄성 유닛의 고정 부분은 조작체 상에 고정되고, 이로써 탄성 유닛은 조작체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움직인다. 탄성 유닛은 고정 부분으로부터 감겨서 연장되는 베이스 부분, 베이스 부분과 연결된 곡면 부분(bent section) 및 곡면 부분과 연결된 (오목한) 보우 부분(bow section)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보우 부분의 꼬리 단에는 보조 곡면 부분 및 보조 곡면 부분과 연결된 자유 부분이 형성된다. 자유 부분은 기하학적 구성을 함께 정의하기 위해 고정 부분으로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탄성 유닛이 조작체의 위치 또는 움직임에 따라(또는 이에 응답하여) 움직일 때, 탄성 유닛은 변위 (운동) 거리 및 탄성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과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서로 조립되는, 본체, 조작체, 전기적 연결 모듈, 탄성 유닛 및 조작버튼의 구조들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조립된 사시도이다.
도 2는 서로 조립되는, 본체, 조작체, 전기적 연결 모듈 및 탄성 유닛의 구조들을 보여주는, 도 1의 일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체, 조작체, 전기적 연결 모듈 및 탄성 유닛의 구조들을 보여주는, 도 2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NC 모드를 달성하기 위해 서로 협력하는, 본체, 조작체, 전기적 연결 모듈 및 탄성 유닛의 구조들을 보여주는, 도 2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5는 조작체가 하부 측을 향해 움직이도록 작동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 4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체, 조작체, 전기적 연결 모듈 및 탄성 유닛의 구조들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NO 모드를 달성하기 위해 서로 협력하는, 본체, 조작체, 전기적 연결 모듈 및 탄성 유닛의 구조들을 보여주는, 도 6에 따른 조립된 평면도이다.
도 8은 조작체가 하부 측을 향해 움직이도록 작동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 7에 따른 평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 구조는 스위치 장치의 본체(main body, 10) 및 조작체(operation body, 20)의 조립체를 포함한다. 조작버튼(operation button, 30)은 본체(10) 및/또는 조작체(20) 상에 피봇가능하게 배치된다. 조작버튼(30)은 조작체(20)가 움직이도록 구동시키기 위해 스위치의 축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거나 및/또는 회전하도록 허용된다.
스위치 장치가 NO 및/또는 NC 모드에 위치되는 이러한 상세 및 배치를 스위치 장치가 가짐에 유의해야 한다. 조작체(20)가 움직이도록 구동시키기 위해 조작버튼(30)을 위한 관련 협력 구조들은 종래 기술과 관련 있고 이로써 이하에서는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상부 부분, 하부 부분, 외부 부분, 내부 부분, 전단, 후단 등은 도면의 방향을 기준 방향으로 하여 기재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돌출된 베이스 몸체(11) 및 베이스 몸체(11) 주변에 위치되는 복수의 스탠드들(stands, 12)을 가진다. 베이스 몸체(11)는 조작체(20)와 조립되고, 이로써 조작체(20)는 조작버튼(30)의 회전 및/또는 누름에 응답하여 베이스 몸체(11) 상에서 왕복 운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체(20)는 축상체 구조(shaft-shaped body structure)의 형태를 가지고 베이스 몸체(11) 상에 끼워진다.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상부 돌출 부분들(21) 및 하부 돌출 부분들(22)은 조작체(20) 상에 배치된다. 상부 돌출 부분들(21) 및 하부 돌출 부분들(22)은 조작체(20)의 축상체 구조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다. 상부 돌출부 부분들(21) 및/또는 하부 돌출 부분들(22)에는 오목한 구조의 형태로 유지 부분들(retaining sections, 23)이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은 또한 본체(10)의 스탠드들(12)이 그 사이에서 공간(13)을 정의하는 것을 보여준다. 로케이팅 부분들(locating sections, 14)은 전기적 연결 모듈(50) 및 받침대 부분(rest section, 40)을 장착하기 위한 승/강 구조들(raised/recessed structures)의 형태로 스탠드들(12) 상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10)는 받침대 부분들(40)에 맞게 4 개의 스탠드들(12) 및 4 개의 공간들(13)을 가진다. 따라서, 스위치 장치는 NO 모드 및 NC 모드를 또는 2 개의 NO 모드들 및 2 개의 NC 모드들을 달성할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 부분(40)은 제1 부분(41), 제2 부분(42) 및 제1과 제2 부분들(41, 42) 사이에 연결된 베이스 부분(43)을 가지는 U-자형 구조의 형태이다. 제1 및 제2 부분들(41, 42)에는 승/강 구조들의 형태인 보조 로케이팅 부분들(44) 및 제1 부분(41)의 머리 단에 그리고 제2 부분(42)의 머리 단에 위치되는 노치들(notches, 45)이 각각 형성된다. 받침대 부분(40)의 보조 로케이팅 부분들(44)은 받침대 부분(40) 상에 전기적 연결 모듈(50)을 단단히 장착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스탠드들(12)의 로케이팅 부분들(14)과 조립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한다. 전기적 연결 모듈(50)은 복수의 접촉 암들을 포함한다. 전기적 연결 모듈(50)의 접촉 암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배치 위치는 가변적이다. 접촉 암들은 제1 부분(41)과 조립되는 고정형 접촉 암(fixed contact arm, 51) 및 제2 부분(42)과 조립되는 이동형 접촉 암(movable contact arm, 52)으로 분리된다. 또는, 고정형 접촉 암(51)은 스탠드(12)와 제1 부분(41) 사이의 한 위치에 장착되는 한편, 이동형 접촉 암(52)은 스탠드(12)와 제2 부분(42) 사이의 한 위치에 장착된다. 고정형 접촉 암(51)은 고정형 접촉점(51a)을 가진다. 고정형 접촉점(51a)은 제1 부분(41)의 노치(45)를 통해 스탠드(12) 또는 받침대 부분(40)의 공간(13)으로 연장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형 접촉 암(52)은 제1 부재(56) 및 제2 부재(57)를 포함하는 투-피스 구조(two-piece structure)이다. 제1 부재(56)는 연결 부분(58)이 형성된 헤드 부분을 가진다. 제2 부재(57)는 자유 부분(54) 및 자유 부분(54) 상에 배치되는 이동형 접촉점(52a)을 가진다. 자유 부분(54) 및 이동형 접촉점(52a)은 스탠드(12) 또는 받침대 부분(40)의 공간(13)을 향해 제2 부분(42)의 노치(45)를 통과한다. 이동형 접촉점(52a)은 고정형 접촉점(51a)의 위치로 연장되고, 이로써 고정형 접촉점(51a) 및 이동형 접촉점(52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위치 및 하부 위치에 위치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형 접촉 암(52)의 제2 부재(57)에는 자유 부분(54)에 연결되는 곡면 부분(55)이 형성된다. 곡면 부분(55)은 자유 부분(54)의 운동 범위 및/또는 탄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에 더하여, 제2 부재(57)는 곡면 부분(55)에 연결되는 베이스 부분(53)을 가진다. 베이스 부분(53)에는 스탠드(12)의 외측을 향하는 보조 연결 부분(59)이 형성된다(또는 도 4). 보조 연결 부분(59)은 제1 부재(56)의 연결 부분(58)에 고정되고 이에 조립되거나 및/또는 제2 부재(57)는 보조 연결 부분(59)과 제1 부재(56)의 연결 부분(58)과 조립되도록 180도 회전된다. 따라서, 제2 부재(57)의 배치 형태는 NO 및 NC 모드들을 달성하기 위해 가변적이다. (이것은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체(20)에는 탄성 유닛(60)이 구비되어 있고, 이것은 조작체(20)의 위치 또는 움직임에 응답하여 움직인다. 탄성 유닛(60)은 고정 부분(61), 자유 부분(66) 및 고정 부분(61)과 자유 부분(66) 사이에 연결되는 곡면 부분을 포함하고, 이것들은 함께 기하학적 구성을 정의한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탄성 유닛(60)은 고정 부분(61), 고정 부분(61)으로부터 감겨서 연장되는 베이스 부분(62), 베이스 부분(62)에 연결되는 곡면 부분(63) 및 곡면 부분(63)에 연결되는 보우 부분(64)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보우 부분(64)의 꼬리 단에는 보조 곡면 부분(65) 및 보조 곡면 부분(65)에 연결되는 자유 부분(66)이 형성된다. 자유 부분(66)은 함께 기하학적 구성을 정의하기 위해 고정 부분(61)으로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탄성 유닛(60)이 조작체(20)에 응답하여 움직일 때, 탄성 유닛(60)은 변위(운동) 거리 및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에서 언급된 곡면 부분은 곡면 부분(63), 보조 곡면 부분(65) 및/또는 보우 부분(64)을 포함한다. 탄성 유닛(60)의 고정 부분(61)은 조작체(20) 상에 고정된다. 고정 부분(61)은 상측으로(도면의 상부 측으로) 굽어 있고 베이스 부분(62)을 형성하기 위해 가로로 연장되어, 이로써 곡절(69)이 고정 부분(61) 및 베이스 부분(62) 사이에서 정의된다. 베이스 부분(62)은 곡면 부분(63)을 형성하기 위해 상측으로 (도면의 상부 측으로) 굽어 있다. 곡면 부분(63)은 (오목한) 보우 부분(64)을 형성하기 위해 가로로 연장된다 (즉, 보우 부분(64)은 오목한 보우 구조의 형태를 가진다). 보우 부분(64)의 꼬리 단은 (볼록한) 보조 곡면 부분(65)을 형성하기 위해 굽어 있다. 보조 곡면 부분(65)은 자유 부분(66)을 형성하기 위해 고정 부분(61)으로의 방향으로 (또는 도면의 하부 측으로) 연장된다. 자유 부분(66)의 길이는 제한된 공간(68)과 함께 기하학적 구성을 정의하기 위해 베이스 부분(62)의 수평 위치를 통해 통과한다.
도 4는 본체(10), 조작체(20), 전기적 연결 모듈(50) 및 탄성 유닛(60)의 구조들을 보여주는데, 이것들은 NC 모드를 달성하기 위해 서로 협력한다. 이동형 접촉 암(52)의 곡면 부분(55)은 상측으로(도면의 상부 측으로의 방향으로) 볼록하다. 탄성 유닛(60)의 고정 부분(61)(및/또는 곡절(indentation, 69))은 조작체(20)의 하부 돌출 부분(22)(및/또는 유지 부분(23)) 상에 단단히 조립되고, 이로 인해 탄성 유닛(60)의 보조 곡면 부분(65)(또는 보우 부분(64))은 이동형 접촉 암(52)의 자유 부분(54)으로 안내된다.
조작체(20)가 초기 위치(또는 제1 위치로 정의된)에 위치될 때, 하부 돌출 부분(22)은 탄성 유닛(60)(또는 고정 부분(61) 또는 베이스 부분(62))을 위한 지지점으로서 기능하고 보조 곡면 부분(65)은 이동형 접촉점(52a)을 밀고 눌러서 고정형 접촉점(51a)에 접촉하도록 하고, 이로써 스위치 장치는 NC 모드에 위치된다. 또는, 탄성 유닛(60)(및/또는 자유 부분(66))은 도면의 하부 측으로의 방향으로 변위되어, 이로써 탄성 유닛(60)은 에너지 저장 상태에 위치된다.
도 5를 참조한다. 긴급 상황으로 인해 조작자가 조작 버튼(30)을 아래로 누를 때, 조작체(20)(및/또는 하부 돌출 부분(22))은 탄성 유닛(60)이 제1 위치로부터 도면의 하부 측으로(또는 제2 위치로 정의된) 움직이도록 구동하도록 구동된다. 이러한 환경 하에서, 이동형 접촉점(52a)은 보조 곡면 부분(65)을 푸쉬하는 힘으로부터 해제되고 탄성 유닛(60)은 저장된 에너지를 방출하여 이동형 접점(52a)은 개방 회로 상태를 달성하기 위해 고정형 접촉 암(51)의 고정형 접촉(51a)으로부터 분리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체(20)의 상부 돌출 부분(21)은 자유 부분(54)의 이동형 접촉점(52a)이 고정형 접촉점(51a)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이동형 접촉 암의 자유 부분(54)을 밀고 누른다.
이제 도 6 및 도 7을 참조한다. 도 6 및 도 7은 본체(10), 조작체(20), 전기적 연결 모듈(50) 및 탄성 유닛(60)의 구조들을 보여주는데, 이들은 스위치 장치의 NO 모드를 달성하기 위해 서로 협력한다. 이 도면들에 있어서, 이동형 접촉 암(52)(및/또는 탄성 유닛(60)의 제2 부재(57))는 180도 회전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받침대 부분(40)의 제1 부분(41)에는 제1 마우스 부분(first mouth section, 46)이 (베이스 부분(43) 근처의 한 위치에서) 형성된다. 고정형 접촉 암(51)의 고정형 접촉점(51a)은 제1 마우스 부분(46)을 통해 스탠드(12) 또는 받침대 부분(40)의 공간(13)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형 접촉 암(51)에는 곡면 핑거 부분(bent finger section, 51b)이 형성되는데, 이것은 고정형 접촉 암(51)을 받침대 부분(40)에 조립하거나 또는 고정형 접촉 암(51)을 받침대 부분(40)에 고정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받침대 부분(40)의 베이스 부분(43)의 삽입공(48) 내에 삽입된다.
도 6 및 도 7은 제2 부분(42)에 제2 마우스 부분(47)이 (베이스 부분(43) 근처의 한 위치에서) 형성된 것을 보여준다. 이동형 접촉 암(52)의 제2 부재(57)가 180도 회전된 후, 자유 부분(54)(및/또는 곡면 부분(55)의 적어도 일 부분) 및 이동형 접촉점(52a)은 제2 마우스 부분(47)을 통해 스탠드(12) 또는 받침대 부분(40)의 공간(13)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동형 접촉점(52a)은 고정형 접촉점(51a)의 한 위치로 연장되고, 이로써 고정형 접촉잠(51a) 및 이동형 접촉점(52a)은 서로 접촉하지 않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위치 및 하부 위치에 위치된다 (또는 소위 NO 모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재(57)가 180도 회전된 후, 제2 부재(57)의 보조 연결 부분(59)은 스탠드(12)의 외측으로 향하고(또는 도 7) 제1 부재(56)의 연결 부분(58)에 고정 및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부재(57)의 배치 형태는 상기에서 언급된 스위치 장치의 NO 모드를 달성하기 위해 가변적이다.
도 7은 이동형 접촉 암(52)의 곡면 부분(55)이 하측으로 (도면의 하부 측으로의 방향으로) 볼록한 것을 보여준다. 또한, 탄성 유닛(60)은 180도 회전되고, 이로써 고정 부분(61)(및/또는 곡절(69))은 조작체(20)의 상부 돌출 부분(21)(및/또는 유지 부분(23)) 상에 단단히 조립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탄성 유닛(60)의 보조 곡면 부분(65)(또는 보우 부분(64))은 이동형 접촉 암(52)의 자유 부분(54)으로 향하게 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체(20)의 하부 돌출 부분(22)은 자유 부분(54)의 이동형 접촉점(52a)이 (고정형 접촉점(51a)에 접촉하지 않고) 고정형 접촉점(51a)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이동형 접촉 암의 자유 부분(54)을 밀고 누른다.
도 8을 참조한다. 조작자가 조작 버튼(30)을 아래로 누를 때, 조작체(20)(및/또는 상부 돌출 부분(21)은 탄성 유닛(60)이 도면의 하부 측을 향해 움직이도록 구동시키기 위해 구동된다. 상부 돌출 부분(21)은 탄성 유닛(60)(또는 고정 부분(61) 또는 베이스 부분(52))을 위한 지지점으로서 기능하고 보조 곡면 부분(65)은 이동형 접촉점(52a)을 밀고 눌러서 고정형 접촉점(51a)에 접촉되게 하고, 이로 인해 스위치 장치는 NC 모드에 위치된다. 또한, 탄성 유닛(60)(및/또는 자유 부분(66))은 도면의 상부 측으로의 방향으로 변위되고, 이로써 탄성 유닛(60)은 에너지 저장 상태에 위치된다.
대표적으로 말하면, 구조가 단순해지고 조작이 용이해지는 조건 하에서, 종래의 스위치 장치와 비교하면,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 구조는 이하의 장점들을 가진다:
1. 본체(10), 조작체(20), 전기적 연결 모듈(50), 탄성 유닛(60)(및/또는 받침대 부분(40)) 및 관련 협력 구조들이 재설계되었다. 예를 들어, 본체(10)는 베이스 몸체(11), 스탠드들(12) 및 공간들(13)을 가진다. 받침대 부분(40)은 제1 부분(41) 및 제2 부분(42) 및 전기적 연결 모듈(50)과 조립하기 위한 스탠드들(12)에 적응하기 위한 베이스 부분(43)을 가진다. 전기적 연결 모듈(50)의 제1 부재(56)에는 제2 부재(57)의 보조 연결 부분(59)과 조립되는 연결 부분(58)이 형성되는데, 이것은 외측을 향한다. 탄성 유닛(60)은 고정 부분(61), 베이스 부분(62), 곡면 부분(63), 보우 부분(64), 보조 곡면 부분(65) 및 자유 부분(66)을 포함하는데, 이것들은 제한된 공간(68)과 함께 기하학적 구성을 정의한다. 명백하게,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 구조의 사용 및 조작 형태는 종래의 스위치 장치와 다르다.
2. 탄성 유닛(60)은 에너지를 저장하거나 에너지를 방출하기 위해 변위가능한, 구조적 형태를 가진다. 이것은 명백하게 장기(또는 매우 잦은) 사용의 경우 또는 인적 요인들(부적절한 조작 상황, 장비의 고장 등의 상황에서, 조작자가 긴급하게 전원을 차단하거나 또는 회로를 개방할 때, 조작자가 본능적으로 적용력을 크게 하기 쉬운 경향과 같이)로 인해, 스위치 장치가 손상되기 쉽거나 또는 스위치 장치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스위치 장치의 재료 피로가 발생하기 쉽다.
3. 특히, 이동형 접촉 암(52)에는 외측을 향하는 보조 연결 부분(59)이 형성된다. 보조 연결 부분(59)은 제1 부재(56)의 연결 부분(58)과 조립된다. 탄성 유닛(60)은 제한된 공간(68)을 갖는 기하학적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NO 모드 및/또는 NC 모드로 스위치 장치의 사양을 달성하기 위해 제2 부재(57) 및/또는 탄성 유닛(60)을 180도 회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전기적 연결 모듈의 이동형 접촉 암이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NO 모드 및/또는 NC 모드에 적응하기 위해 다른 구조적 형태들을 가져야 하는 종래의 스위치 장치의 단점을 명백하게 개선시킨다. 이것은 제조 비용 및 조립시 발생하는 문제를 증가시킬 것이다. 또한, 하나의 동일한 구조를 갖는 이동형 접촉 암들은 동시에 NO 및/또는 NC 회로를 달성하기 위해 장착될 수 없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 구조는 효과적이고 또한 공간 형태에 있어서 종래의 스위치 장치와 다르다.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 구조는 독창적이고, 매우 진보적이고 종래의 스위치 장치에 비해 유리하다.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을 뿐 그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실시예들의 많은 변형들이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만들어질 수 있다.

Claims (20)

  1. 본체(10)와 조작체(20)의 조립체를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 구조에 있어서, 전기적 연결 모듈(50) 및 탄성 유닛(60)은 본체(10) 상에 장착되고, 전기적 연결 모듈(50)은 가변적인 장착 위치를 갖는 접촉 암을 가지고, 접촉 암은 고정형 접촉점(51a)을 갖는 고정형 접촉 암(51) 및 이동형 접촉점(52a)을 갖는 이동형 접촉 암을 포함하고, 탄성 유닛(60)은 고정 부분(61), 자유 부분(66) 및 고정 부분(61)과 자유 부분(66) 사이에 연결되는 곡면 부분을 포함하고, 이 부분들은 함께 기하학적 구성을 정의하고, 조작체(20)의 위치에 따라, 탄성 유닛(60)은 회로 닫힌 상태를 형성하거나 또는 회로 열린 상태를 형성하도록 탄성 유닛(60)이 이동형 접촉 암(52)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전기적 연결 모듈(50)의 이동형 접촉 암(52)의 이동형 접촉점(52a)을 고정형 접촉 암(51)의 고정형 접촉점(51a)과 접촉하도록 밀기 위해 탄성적인 미는 힘을 제공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탄성 유닛(60)의 고정 부분(61)은 조작체(20) 상에 고정되고, 탄성 유닛(60)은 고정 부분(61)으로부터 감겨서 연장되는 베이스 부분(62), 베이스 부분(62)과 연결되는 곡면 부분(63) 및 곡면 부분(63)과 연결되는 보우 부분(64)을 포함하고, 보우 부분(64)의 꼬리 단은 보조 곡면 부분(65) 및 보조 곡면 부분(65)과 연결된 자유 부분(66)으로 형성되고, 자유 부분(66)은 함께 기하학적 구성을 정의하기 위해 고정 부분(61)으로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로써 탄성 유닛(60)이 조작체(20)에 응답하여 움직일 때, 탄성 유닛(60)은 변위되고 움직이는, 스위치 장치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탄성 유닛(60)의 고정 부분(61)은 상측으로 굽어 있고 이후에 베이스 부분(62)을 형성하기 위해 횡으로 연장되고, 이로써 곡절(69)이 고정 부분(61)과 베이스 부분(62) 사이에서 정의되고, 베이스 부분(62)은 곡면 부분(63)을 형성하기 위해 상측으로 굳어 있고, 곡면 부분(63)은 보우 부분(64)을 형성하기 위해 횡으로 연장되고, 보우 부분(64)은 오목한 보우 구조의 형태를 가지고, 보우 부분(64)의 꼬리 단은 볼록한 보조 곡면 부분(65)을 형성하기 위해 굽어 있고, 보조 곡면 부분(65)은 자유 부분(66)을 형성하기 위해 고정 부분(61)으로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자유 부분(66)의 길이는 제한 공간(68)과 함께 기하학적 구성을 정의하기 위해 베이스 부분(62)의 수평 위치를 통과하는, 스위치 장치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10)는 돌출된 베이스 몸체(11) 및 전기적 연결 모듈(50)과 받침대 부분(40)과 조립하기 위한 베이스 몸체(11) 주변에 위치되는 복수의 스탠드들(12)을 가지고, 본체(10)의 스탠드들(12)은 그 사이에 공간(13)을 정의하고, 로케이팅 부분들(14)은 전기적 연결 모듈(50)과 받침대 부분(40)을 장착하기 위한 승/강 구조들의 형태로 스탠드들(12) 상에 배치되고, 조작체(20)는 축상체 구조의 형태를 가지고 베이스 몸체(11) 상에 끼워지고, 조작체(20)는 베이스 몸체(11) 상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허용되고, 상부 돌출 부분들(21) 및 하부 돌출 부분들(22)은 조작체(20) 상에 배치되고, 상부 돌출 부분들(21) 및 하부 돌출 부분들(22)은 조작체(20)의 축상체 구조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고, 상부 돌출부 부분들(21) 및 하부 돌출부 부분들(22)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유닛(60)의 고정 부분(61)과 조립하기 위한 오목한 구조의 형태인 유지 부분들(23)로 형성되는, 스위치 장치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받침대 부분(40)은 제1 부분(41), 제2 부분(42) 및 제1 및 제2 부분들(41, 42) 사이에 연결되는 베이스 부분(43)을 갖는 U-자형 구조의 형태이고, 제1 및 제2 부분들(41, 42)은 승/강 구조들의 형태로 보조 로케이팅 부분들(44)로 각각 형성되고 또한 노치들(45)은 제1 부분(41)의 머리 단 및 제2 부분(42)의 머리 단에 위치되고, 받침대 부분(40)의 보조 로케이팅 부분들(44)은 받침대 부분(40) 상에 전기적 연결 모듈(50)을 단단히 장착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스탠드들(12)의 로케이팅 부분들(14)과 조립되는, 스위치 장치 구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동형 접촉 암(52)은 제1 부재(56) 및 제2 부재(57)를 포함하는 투-피스 구조이고, 제1 부재(56)는 연결 부분(58)이 형성된 헤드 부분을 가지고, 제2 부재(57)는 자유 부분(54) 및 자유 부분(54) 상에 배치되는 이동형 접촉점(52a)을 가지고, 이동형 접촉 암(52)의 제2 부재(57)에는 자유 부분(54)에 연결된 곡면 부분(55)이 형성되고, 제2 부재(57)는 곡면 부분(55)에 연결된 베이스 부분(53)을 더 가지고, 베이스 부분(53)에는 외측으로 향하는 보조 연결 부분(59)이 형성되고, 보조 연결 부분(59)은 제1 부재(56)의 연결 부분(58)과 고정되고 조립되거나 또는 제2 부재(57)는 연결 부분(58)과 보조 연결 부분(59)이 조립되기 위해 180도 회전되는, 스위치 장치 구조.
  7. 제 4 항에 있어서, 이동형 접촉 암(52)은 제1 부재(56) 및 제2 부재(57)를 포함하는 투-피스 구조이고, 제1 부재(56)는 연결 부분(58)이 형성된 헤드 부분을 가지고, 제2 부재(57)는 자유 부분(54) 및 자유 부분(54) 상에 배치되는 이동형 접촉점(52a)을 가지고, 이동형 접촉 암(52)의 제2 부재(57)에는 자유 부분(54)에 연결된 곡면 부분(55)이 형성되고, 제2 부재(57)는 곡면 부분(55)에 연결된 베이스 부분(53)을 더 가지고, 베이스 부분(53)에는 외측으로 향하는 보조 연결 부분(59)이 형성되고, 보조 연결 부분(59)은 제1 부재(56)의 연결 부분(58)과 고정되고 조립되거나 또는 제2 부재(57)는 연결 부분(58)과 보조 연결 부분(59)이 조립되기 위해 180도 회전되는, 스위치 장치 구조.
  8. 제 5 항에 있어서, 이동형 접촉 암(52)은 제1 부재(56) 및 제2 부재(57)를 포함하는 투-피스 구조이고, 제1 부재(56)는 연결 부분(58)이 형성된 헤드 부분을 가지고, 제2 부재(57)는 자유 부분(54) 및 자유 부분(54) 상에 배치되는 이동형 접촉점(52a)을 가지고, 이동형 접촉 암(52)의 제2 부재(57)에는 자유 부분(54)에 연결된 곡면 부분(55)이 형성되고, 제2 부재(57)는 곡면 부분(55)에 연결된 베이스 부분(53)을 더 가지고, 베이스 부분(53)에는 외측으로 향하는 보조 연결 부분(59)이 형성되고, 보조 연결 부분(59)은 제1 부재(56)의 연결 부분(58)과 고정되고 조립되거나 또는 제2 부재(57)는 연결 부분(58)과 보조 연결 부분(59)이 조립되기 위해 180도 회전되고, 고정형 접촉 암(51)은 제1 부분(41) 상에 장착되거나 또는 제1 부분(41)과 스탠드(12) 사이의 위치에 장착되고, 이동형 접촉 암(52)은 제2 부분(42)과 조립되거나 또는 제2 부분(42)과 스탠드(12) 사이의 위치에 조립되고, 고정형 접촉 암(51)의 고정형 접촉점(51a)은 제1 부분(41)의 노치(45)를 통해 스탠드(12)의 공간(13)으로 연장되고, 이동형 접촉 암(52)의 이동형 접촉점(52a) 및 자유 부분(54)은 스탠드(12)의 공간(13)을 향해 제2 부분(42)의 노치(45)를 지나가고, 이동형 접촉점(52a)은 고정형 접촉점(51a)의 위치로 연장되고, 이로써 고정형 접촉점(51a) 및 이동형 접촉점(52a)은 상부 위치 및 하부 위치에 또는 하부 위치 및 상부 위치에 위치되는, 스위치 장치 구조.
  9.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접촉 암(52)에는 곡면 부분(55)이 형성되고, 곡면 부분(55)은 상측으로 볼록하고, 탄성 유닛(60)의 고정 부분(61)의 곡절(69)은 조작체(20)의 하부 돌출 부분(22)의 유지 부분(23) 상에 단단히 조립되고, 이로써 탄성 유닛(60)의 보조 곡면 부분(65) 및 보우 부분(64)은 이동형 접촉 암(52)의 자유 부분(54)으로 향하고, 하부 돌출 부분(22)은 탄성 유닛(60)을 위한 지지점으로 기능하고, 이로써 보조 곡면 부분(65)은 이동형 접촉점(52a)을 고정형 접촉점(51a)에 접촉되도록 눌러서 탄성 유닛(60)이 하측으로의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하고, 이로써 탄성 유닛(60)은 에너지 저장 상태에 위치되고, 조작체(20)가 탄성 유닛(60)이 하류측으로 움직이도록 구동시킨 후, 탄성 유닛(60)은 저장된 에너지를 방출하는, 스위치 장치 구조.
  10. 제 9 항에 있어서, 본체(10)는 돌출된 베이스 몸체(11) 및 전기적 연결 모듈(50)과 받침대 부분(40)과 조립하기 위한 베이스 몸체(11) 주변에 위치되는 복수의 스탠드들(12)을 가지고, 본체(10)의 스탠드들(12)은 그 사이에 공간(13)을 정의하고, 로케이팅 부분들(14)은 전기적 연결 모듈(50)과 받침대 부분(40)을 장착하기 위한 승/강 구조들의 형태로 스탠드들(12) 상에 배치되고, 조작체(20)는 축상체 구조의 형태를 가지고 베이스 몸체(11) 상에 끼워지고, 조작체(20)는 베이스 몸체(11) 상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허용되고, 조작체(20)의 상부 돌출 부분들(21) 및 하부 돌출 부분들(22)은 조작체(20)의 축상체 구조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고, 상부 돌출부 부분들(21) 및 하부 돌출부 부분들(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탄성 유닛(60)의 고정 부분(61)과 조립하기 위한 오목한 구조의 형태인 유지 부분들(23)이 형성되고, 조작체(20)가 탄성 유닛(60)을 하측으로 움직이도록 구동시킨 후, 조작체(20)의 상부 돌출 부분(21)은 이동형 접촉 암의 자유 부분(54)을 밀고 누르는 데 도움을 주는, 스위치 장치 구조.
  11. 제 10 항에 있어서, 받침대 부분(40)은 제1 부분(41), 제2 부분(42) 및 제1과 제2 부분들(41, 42) 사이에 연결된 베이스 부분(43)을 가지는 U-자형 구조의 형태이고, 제1 및 제2 부분들(41, 42)에는 승/강 구조들의 형태인 보조 로케이팅 부분들(44)이 각각 형성되고 노치들(45)은 제1 부분(41)의 머리 단 및 제2 부분(42)의 머리 단에 위치되고, 받침대 부분(40)의 보조 로케이팅 부분들(44)은 받침대 부분(40) 상에 전기적 연결 모듈(50)을 단단히 고정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스탠드들(12)의 로케이팅 부분들(14)과 조립되는, 스위치 장치 구조.
  12. 제 9 항에 있어서, 이동형 접촉 암(52)은 제1 부재(56) 및 제2 부재(57)를 포함하는 투-피스 구조이고, 제1 부재(56)는 연결 부분(58)이 형성된 헤드 부분을 가지고, 이동형 접촉점(52a)은 제2 부재(57)의 자유 부분(54) 상에 배치되고, 이동형 접촉 암(52)의 제2 부재(57)에는 자유 부분(54)에 연결된 곡면 부분(55)이 형성되고, 제2 부재(57)는 곡면 부분(55)에 연결된 베이스 부분(53)을 더 가지고, 베이스 부분(53)에는 외측으로 향하는 보조 연결 부분(59)이 형성되고, 보조 연결 부분(59)은 제1 부재(56)의 연결 부분(58)과 고정되고 조립되거나 또는 제2 부재(57)는 연결 부분(58)과 보조 연결 부분(59)이 조립되기 위해 180도 회전되는, 스위치 장치 구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이동형 접촉 암(52)은 제1 부재(56) 및 제2 부재(57)를 포함하는 투-피스 구조이고, 제1 부재(56)는 연결 부분(58)이 형성된 헤드 부분을 가지고, 이동형 접촉점(52a)은 제2 부재(57)의 자유 부분(54) 상에 배치되고, 이동형 접촉 암(52)의 제2 부재(57)에는 자유 부분(54)에 연결된 곡면 부분(55)이 형성되고, 제2 부재(57)는 곡면 부분(55)에 연결된 베이스 부분(53)을 더 가지고, 베이스 부분(53)에는 외측으로 향하는 보조 연결 부분(59)이 형성되고, 보조 연결 부분(59)은 제1 부재(56)의 연결 부분(58)과 고정되고 조립되거나 또는 제2 부재(57)는 연결 부분(58)과 보조 연결 부분(59)이 조립되기 위해 180도 회전되는, 스위치 장치 구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이동형 접촉 암(52)은 제1 부재(56) 및 제2 부재(57)를 포함하는 투-피스 구조이고, 제1 부재(56)는 연결 부분(58)이 형성된 헤드 부분을 가지고, 이동형 접촉점(52a)은 제2 부재(57)의 자유 부분(54) 상에 배치되고, 이동형 접촉 암(52)의 제2 부재(57)에는 자유 부분(54)에 연결된 곡면 부분(55)이 형성되고, 제2 부재(57)는 곡면 부분(55)에 연결된 베이스 부분(53)을 더 가지고, 베이스 부분(53)에는 외측으로 향하는 보조 연결 부분(59)이 형성되고, 보조 연결 부분(59)은 제1 부재(56)의 연결 부분(58)과 고정되고 조립되거나 또는 제2 부재(57)는 연결 부분(58)과 보조 연결 부분(59)이 조립되기 위해 180도 회전되는, 스위치 장치 구조.
  1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접촉 암(52)에는 곡면 부분(55)이 형성되고, 곡면 부분(55)은 하측으로 볼록하고, 탄성 유닛(60)은 180도 회전되어 있고, 이로써 탄성 유닛(60)의 고정 부분(61)의 곡절(69)은 조작체(20)의 상부 돌출 부분(22)의 유지 부분(23) 상에 단단히 조립되고, 탄성 유닛(60)의 보조 곡면 부분(65) 및 보우 부분(64)은 이동형 접촉 암(52)의 자유 부분(54)으로 향하고, 이동형 접촉점(52a)은 고정형 접촉점(51a)의 위치로 연장되고, 이로써 고정형 접촉점(51a) 및 이동형 접촉점(52a)은 서로 접촉하지 않고 상부 위치 및 하부 위치에 위치되는, 스위치 장치 구조.
  16. 제 15 항에 있어서, 본체(10)는 돌출된 베이스 몸체(11) 및 전기적 연결 모듈(50)과 받침대 부분(40)과 조립하기 위한 베이스 몸체(11) 주변에 위치되는 복수의 스탠드들(12)을 가지고, 본체(10)의 스탠드들(12)은 그 사이에 공간(13)을 정의하고, 로케이팅 부분들(14)은 전기적 연결 모듈(50)과 받침대 부분(40)을 장착하기 위한 승/강 구조들의 형태로 스탠드들(12) 상에 배치되고, 조작체(20)는 축상체 구조의 형태를 가지고 베이스 몸체(11) 상에 끼워지고, 조작체(20)는 베이스 몸체(11) 상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허용되고, 조작체(20)의 상부 돌출 부분들(21) 및 하부 돌출 부분들(22)은 조작체(20)의 축상체 구조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고, 상부 돌출부 부분들(21) 및 하부 돌출부 부분들(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탄성 유닛(60)의 고정 부분(61)과 조립하기 위한 오목한 구조의 형태인 유지 부분들(23)이 형성되고, 조작체(20)의 하부 돌출 부분(22)은 이동형 접촉 암의 자유 부분(54)을 밀고 누르는 데 도움을 주는, 스위치 장치 구조.
  17. 제 16 항에 있어서, 받침대 부분(40)은 제1 부분(41), 제2 부분(42) 및 제1과 제2 부분들(41, 42) 사이에 연결된 베이스 부분(43)을 갖는 U-자형 구조의 형태이고, 제1 및 제2 부분들(41, 42)에는 승/강 구조들의 형태인 보조 로케이팅 부분들(44)이 각각 형성되고, 받침대 부분(40)의 보조 로케이팅 부분들(44)은 받침대 부분(40) 상에 전기적 연결 모듈(50)을 단단히 장착시키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스탠드들(12)의 로케이팅 부분들(14)과 조립되고, 받침대 부분(40)의 제1 부분(41)에는 제1 마우스 부분(46)이 형성되고, 제2 부분(42)에는 제2 마우스 부분(47)이 형성되는, 스위치 장치 구조.
  18. 제 15 항에 있어서, 이동형 접촉 암(52)은 제1 부재(56) 및 제2 부재(57)를 포함하는 투-피스 구조이고, 제1 부재(56)는 연결 부분(58)이 형성된 헤드 부분을 가지고, 이동형 접촉점(52a)은 제2 부재(57)의 자유 부분(54) 상에 배치되고, 이동형 접촉 암(52)의 제2 부재(57)에는 자유 부분(54)에 연결된 곡면 부분(55)이 형성되고, 제2 부재(57)는 곡면 부분(55)에 연결된 베이스 부분(53)을 더 가지고, 베이스 부분(53)에는 외측으로 향하는 보조 연결 부분(59)이 형성되고, 제2 부재(57)는 연결 부분(58)과 보조 연결 부분(59)을 조립하기 위해 180도 회전되는, 스위치 장치 구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이동형 접촉 암(52)은 제1 부재(56) 및 제2 부재(57)를 포함하는 투-피스 구조이고, 제1 부재(56)는 연결 부분(58)이 형성된 헤드 부분을 가지고, 이동형 접촉점(52a)은 제2 부재(57)의 자유 부분(54) 상에 배치되고, 이동형 접촉 암(52)의 제2 부재(57)에는 자유 부분(54)에 연결된 곡면 부분(55)이 형성되고, 제2 부재(57)는 곡면 부분(55)에 연결된 베이스 부분(53)을 더 가지고, 베이스 부분(53)에는 외측으로 향하는 보조 연결 부분(59)이 형성되고, 제2 부재(57)는 연결 부분(58)과 보조 연결 부분(59)을 조립하기 위해 180도 회전되는, 스위치 장치 구조.
  20. 제 17 항에 있어서, 이동형 접촉 암(52)은 제1 부재(56) 및 제2 부재(57)를 포함하는 투-피스 구조이고, 제1 부재(56)는 연결 부분(58)이 형성된 헤드 부분을 가지고, 이동형 접촉점(52a)은 제2 부재(57)의 자유 부분(54) 상에 배치되고, 이동형 접촉 암(52)의 제2 부재(57)에는 자유 부분(54)에 연결된 곡면 부분(55)이 형성되고, 제2 부재(57)는 곡면 부분(55)에 연결된 베이스 부분(53)을 더 가지고, 베이스 부분(53)에는 외측으로 향하는 보조 연결 부분(59)이 형성되고, 제2 부재(57)는 연결 부분(58)과 보조 연결 부분(59)을 조립하기 위해 180도 회전되고, 이로써 고정형 접촉 암(51)의 고정형 접촉점(51a)은 받침대 부분(40)의 제1 마우스 부분(46)을 통해 스탠드(12)의 공간(13)으로 연장될 수 있고, 고정형 접촉 암(51)에는 받침대 부분(40)의 베이스 부분(43)의 삽입공(48) 내에 삽입되는, 곡면 핑거 부분(51b)이 형성되고, 이로써 자유 부분(54) 및 제2 부재(57)의 곡면 부분(55)의 적어도 일 부분 및 이동형 접촉점(52a)은 제2 마우스 부분(47)을 통해 스탠드(12)의 공간(13)으로 연장될 수 있고, 조작체(20)가 탄성 유닛(60)을 하류측으로 움직이도록 구동시킨 후, 상부 돌출 부분(21)은 탄성 유닛(60)을 위한 지지점으로 기능하고 보조 곡면 부분(65)은 이동형 접촉점(52a)을 고정형 접촉점(51a)과 접촉하도록 밀고 누르고, 이로써 탄성 유닛은 상측으로 변위되어 에너지 저장 상태에 위치되는, 스위치 장치 구조.
KR1020220144364A 2021-11-03 2022-11-02 스위치 장치 구조 KR202300645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10212962U TWM627214U (zh) 2021-11-03 2021-11-03 開關裝置改良結構
TW110212962 2021-11-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4572A true KR20230064572A (ko) 2023-05-10

Family

ID=82559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4364A KR20230064572A (ko) 2021-11-03 2022-11-02 스위치 장치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36132A1 (ko)
EP (1) EP4177919A1 (ko)
JP (1) JP3240364U (ko)
KR (1) KR20230064572A (ko)
TW (1) TWM627214U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9908B1 (en) * 1997-04-09 2002-06-04 Marquardt Gmbh Electric switch
TWM550925U (zh) * 2017-05-26 2017-10-21 Switchlab Inc 用於電聯接端子之金屬彈片保護結構
TWM565390U (zh) * 2017-12-15 2018-08-11 進聯工業股份有限公司 開關裝置改良結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77919A1 (en) 2023-05-10
US20230136132A1 (en) 2023-05-04
JP3240364U (ja) 2023-01-04
TWM627214U (zh) 202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7858B2 (en) Push button switch
EP4200887B1 (en) High-voltage dc relay with auxiliary contact
KR860003180Y1 (ko) 재 크
KR102085463B1 (ko) 스위치 장치 구조
EP1215692B1 (en) Push-Push switch for switching heavy-current
CN206349315U (zh) 塑壳断路器的辅助开关
KR20230064572A (ko) 스위치 장치 구조
KR100462031B1 (ko) 스위치장치
US6788186B1 (en) Activation mechanism for switch devices
JPH0526652Y2 (ko)
KR100348940B1 (ko) 복수개의 수동 스위치를 구비하는 다방향 스위치
JP2005294112A (ja) スイッチ装置
US5147212A (en) Socket for electric part
CN215644191U (zh) 一种适用于双电源自动转换开关的指示装置
CN211879277U (zh) 一种按钮开关
KR100501059B1 (ko) 푸시버튼 스위치
US6480090B1 (en) Universal device for safety switches
US6133538A (en) Keyswitch with rubber dome disposed within housing provided by the plunger
CN217822507U (zh) 开关装置改良结构
CN215869062U (zh) 一种微动模块
JP2846526B2 (ja) 押釦スイッチ
JP3074922B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US6967294B1 (en) Microswitch
JP2548307Y2 (ja) 押釦スイッチ
EP1134764A2 (en) Water-resistant switch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