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3180Y1 - 재 크 - Google Patents

재 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3180Y1
KR860003180Y1 KR2019830000655U KR830000655U KR860003180Y1 KR 860003180 Y1 KR860003180 Y1 KR 860003180Y1 KR 2019830000655 U KR2019830000655 U KR 2019830000655U KR 830000655 U KR830000655 U KR 830000655U KR 860003180 Y1 KR860003180 Y1 KR 8600031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ovable contact
contact piece
auxiliary spring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06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482U (ko
Inventor
도오루 마스다
Original Assignee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도오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도오루 filed Critical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44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4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31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1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재크
제 1 도 및 제 2 도는 종래 제안되어 있는 재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 3 도는 종래 제안되고 있는 재크의 가동접편 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제 4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재크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 5 도는 제 4 도의 지지체 부분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제 6 도 및 제 7 도는 각각 본 고안의 재크의 제 2, 제 3의 실시예에 사용하는 지지체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 8 도 및 제 9 도는 각각 본 고안의 재크의 제 2, 제 3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하우징 (14) : 플러그삽입구
(15) : 바닥판 (17) : 가동접편
(25) : 보조스프링 (26) : 고정접편
(30) : 지지체
본 고안은 플러그에 삽입의 의하여 내부에 부착된 가동접편이 구동하는 재크에 관한 것이다.
플러그의 삽입에 의해서 하우징 내부에 부착된 가동접편이 이동해서 스위치의 절환동작이 행해지는 재크가 각종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그 구성을 나타낸 것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보조스프링을 가동접편에 대해서 결합하여 사용한 이 종류의 재크의 예이다. 즉, 예를 들면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형성되는 대체로 직방체 통형상의 하우징(11)의 한 개의 단부판(12)에 플러그의 삽입구멍(14)에 형성된다. 하우징(11)의 바닥판(15)에 대해서 플러그의 삽입구멍(14)쪽에서 접어 올려진 대체로 장방형상의 가동접편(17)이 부착된다. 바닥판(15)에 형성된 부착구멍(16)과 가동접편(17)에 형성되는 결합구멍(18)을 이용해서 고정체(21)가 바닥판(15)에 부착되고, 이 고정체(21)에 의해서 가동접편(17)의 가동부와 고정부 사이에 보조스프링(25)이 가동접편(17)에 형성된 돌편(19)에 결합해서 배설된다.
하우징(11)의 플러그삽입구멍(14)과 반대측의 단부근처에 부착된 고정접편(26)이 하우징(11) 밖으로 인출되어 인출단자(27)가 되고, 가동접편(17)은 평상시는 바닥판(15)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편기되어 있다. 플러그삽입구멍(14)으로부터 플러그 삽입되면 플러그에 의해서 가동접편(17)의 가동부가 스프링의 편기력에 대항해서 편위하고, 가동접편(17)과 고정접편(26)과의 전기적 접촉이 해제되어서 스위치 동작이 행해진다.
이러한 종래 제안되어 있는 재크에 있어서는 스위치 동작을 반복하는 동안에 보조스프링(25)이 그 부착위치로부터 이탈함으로서 보조스프링(25)의 편기력이 저하할 경우에는 보조스프링(25)이 결합체(24)와 돌편(19) 사이로부터 탈락할 염려가 있다. 또는 어떠한 원인으로 가동접편(17)에 대해서 과잉변위가 부여되면 가동접편(17)이 탄성한계를 넘어서 변형해서 스프링 동작기능을 상실하는 일도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로부터 사용되고 있는 재크에서의 제반 난점을 해결하는 재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재크는 플러그가 삽입되어서 내부에 착설된 가동접편이 구동되고, 이 가동접편의 가동부와 고정부 사이에 보조스프링이 개재된 재크에 있어서 보조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플러그와 가동접편의 가동부와의 접촉위치에 대체로 일치한 위치에 형성되고, 가동접편의 가동부와 당접하여 그 당접부가 소정치를 넘어서 편위하는 것을 방지하는 당접부가 이 지지부에 일체적으로 보조스프링의 지지위치에 대체로 일치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재크를 실시예에 따라서 도면을 사용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4 도에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 구성을 나타낸 것은 본 고안의 재크의 제 1 실시예이며,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우징(11)의 바닥판(15) 위에 가동접편(17)이 배설되고, 이 가동접편(17)이 지지체(30)에 의해서 하우징(11)에 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체(30)는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체로 장방형상의 금속판의 중앙일부가 절결하여 세워지고 판면과 직각으로 굴곡되어서 지지부로서의 지지편(31)이 형성된다. 지지체(30)의 양쪽 가장자리부에는 옆가장자리부에 직각방향으로 결합편(32-1)(32-2)이 형성되고, 도시하지 않은 하우징(11)의 양측판면에 결합구멍이 천설되고, 이 결합편(32-1)(32-2)과 결합구멍에 의해서 지지체(30)가 하우징(11)에 고정 배설된다.
지지체(30)의 지지편(31)에 보조스프링(25)이 감합되고, 지지체(30)를 가동접편(17) 위에 이것을 누르도록 해서 배설된다. 이 상태에서 가동접편(17)의 유단부는 자체의 스프링 편기력과 보조스프링(25)의 스프링 편기력에 의해서 고정접편(26)과 압접해서 배설되어 있다. 플러그 삽입구멍(14)으로부터 플러그가 삽입되면 플러그는 보조스프링(25)의 지지부 위치에서 가동접편(17)과 접촉하고, 가동접편(17)의 스프링 편기력과 보조스프링(25)의 편기력에 대항해서 가동접편(17)이 바닥판(15)쪽으로 이동되어서 스위치 동작이 행해진다.
보조스프링(25)은 대체로 그 전체면에서 지지편(31)에 감합되어 있어서 그 위치를 이탈하여 편위하거나 탈락하거나 하는 일은 없다. 또 하우징(11)내에 삽입된 플러그에 의해서 가동접편(17)의 소정치 이상 편위하면, 가동접편(17)의 당접부를 구성하는 지지편(31)의 단부와 보조스프링(25)의 지지위치에서 당접해서 과잉편위가 방지된다.
제 6 도에 있어서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 구성을 나타낸 것은 본 고안의 재크의 제 2 실시예에 사용하는 지지체(30)이며, 지지체(30)가 예를 들면 합성수지재로 그 일단부에서 절곡하여 세운 판형상으로 형성된 예이다.
즉, 대체로 판형상의 지지체(30)가 그 단부에서 접어 올려지고, 이 접어올려진 부분을 축으로 해서 지지체(30)는 서로 대향하는 판면을 근접시키거나 혹은 이격되도록 편기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 접어 올려진 지지체(30)의 타단부쪽은 대향하는 지지체(30)의 판면쪽에 근접하도록 절곡되어 돌편부(S)가 형성된다.
지지체(30)의 이 돌편부(S)에서 약간 접어 올려진 단부쪽에서 지지체(30)의 폭방향의 대체로 중앙위치에 보조스프링(25)의 외경보다 약간 큰 내경의 부착구멍(35)이 형성되고, 이 부착구멍(35)내에 보조스프링(25)이 삽입된다. 보조스프링(25)은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길이가 이 부착구멍(35)의 깊이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지지체(30)의 양쪽 가장자리부에 결합편(32-1)(32-2)이 일체로 형성되고,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체(30)는 하우징(11)의 바닥판(15) 위에 가동접편(17)을 누르도록 배설되고, 지지체(30)에 형성된 결합편(32-1)(32-2)에 의해서 지지체(30)가 가동접편(17)을 협지 고정해서 하우징(11)에 대해서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보조스프링(25)의 지지위치와 대체로 일치해서 지지체(30)가 가동접편(17)의 유단부에 당접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보조스프링(25)은 부착구멍(35)내에 삽입·배설되어 있으므로 이탈 편위하거나 탈락하거나 하는 일이 없고, 또 가동접편(17)의 과잉편위는 돌편부(S)가 지지체(30)의 부착구멍(35)이 형성되어 있는 판면과 당접함으로서 완전하게 저지된다.
제 7 도에 있어서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 구성을 나타낸 것은 본 고안의 재크의 제 3 실시예에 사용하는 지지체(30)이고, 지지체(30)가 예를 들면 합성수지재로 대체로 볼록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체(30)는 그 일단부쪽이 평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평판형상부분에 부착구멍(35)에 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구멍(35)에 보조스프링(25)이 삽입되고, 이 부착구멍(35)이 형성된 평판형상부와 반대쪽에서 지지체(30)는 대체로 그 중앙부분이 돌기된 볼록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체(30)의 일단부에는 평판형상부의 판면과 대체로 직각인 면이 형성되고, 이 면에 직각으로 축본체(40)가 돌출 형성된다. 제 9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축본체(40)가 하우징(11)의 옆판에 부착되고, 하우징(11)은 이 축본체(40)의 둘레에 회동자재하게 지지된다. 지지체(30)의 부착구멍(35)내에 착설된 보조스프링(25)에 의해서 가동접편(17)의 고정부와 가동부 사이에는 편기력이 부여되어 지지체(30)의 상기 볼록형상의 돌기부가 가동접편(17)의 유단부에 당접된 상태가 된다.
이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도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보조스프링(25)의 이탈 편위나 탈락은 없고, 또 가동접편(17)의 과잉편위는 지지체(30)가 축본체(40)의 둘레를 회동해서 그 단부가 가동접편(17)의 고정부와 당접함으로서 완전히 방지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보조스프링이 이탈 편위를 일으키거나 탈락하는 일이 없이 가동접편 전체에 부여되는 편기력이 증가하고, 또 플러그의 삽입에 의해서 이동하는 가동접편에 대해서는 그 과잉편위가 저지되는 구조의 재크가 실현가능하다.
또 당접부가 보조스프링의 지지위치에 대체로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플러그와 가동접편과의 접촉위치가 보조스프링의 지지위치에 대체로 일치해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동접편에 대해서 변형 모멘트가 작용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장시간의 사용에 의해서 가동접편과 고정접편과의 접촉부분이 보조스프링의 편기력으로 변형되는 일이 없다. 또 플러그의 삽탈에 의해서 가동접편과 고정접편에 마찰력이 부여되는 일도 없다따라서 플러그를 빼내는 힘 및 접촉력이 증가하여 안전하고 확실하게 안정된 스위치 동작이 행해져서 스위치의 작동수명을 대폭적으로 연장 가능한 재크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그 제작에 있어서도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공정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보조스프링의 동작에 의해서 스프링의 부세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서 가동접편 부분을 경량 소형화하는 일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

  1. 플러그가 삽입되어서 본체 내부에 착설된 가동접편(17)이 구동되고, 이 가동접편(17)의 가동부와 상기 본체의 고정 부와의 사이에 보조스프링(25)이 개재되어서 이루어해 재크에 있어서 지지체(30)가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이 지지체(30)에는 상기 보조스프링(25)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가동접편(17)의 가동부에 당접하여 그 가동부의 소정 이상의 편위를 방지하는 당접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동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서, 상기 지지부에 상기 보조스프링(25)이 지지되고, 상기 플러그와 상기 가동부와의 접촉위치가 상기 지지부에 대체로 일치된 위치에 설정되고, 상기 당접부가 상기 보조스프링(25)에 지지위치에 대체로 일치해서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크.
KR2019830000655U 1982-01-27 1983-01-25 재 크 KR86000318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72882U JPS58113279U (ja) 1982-01-27 1982-01-27 ジヤツク
JP57-10728 1982-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482U KR840004482U (ko) 1984-09-20
KR860003180Y1 true KR860003180Y1 (ko) 1986-11-13

Family

ID=11758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0655U KR860003180Y1 (ko) 1982-01-27 1983-01-25 재 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493526A (ko)
JP (1) JPS58113279U (ko)
KR (1) KR860003180Y1 (ko)
DE (1) DE33027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8185U (ja) * 1983-03-04 1984-09-14 ホシデン株式会社 ジヤツク
US4602833A (en) * 1984-12-20 1986-07-29 Amp Incorporated Closed loop connector
JPS6279375U (ko) * 1985-11-08 1987-05-21
US4932884A (en) * 1988-04-11 1990-06-12 Trigon Industries, Inc. Controlled impedance contacts
US4850888A (en) * 1988-04-22 1989-07-25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a deflectable shunt
JPH02131278U (ko) * 1989-04-03 1990-10-31
JPH0541514Y2 (ko) * 1989-10-17 1993-10-20
JP2923516B2 (ja) * 1993-09-14 1999-07-26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子
JP3682826B2 (ja) * 1998-04-24 2005-08-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D415102S (en) * 1998-07-07 1999-10-12 Smk Corporation Plug
USD420642S (en) * 1998-11-20 2000-02-1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N2689511Y (zh) * 2003-11-06 2005-03-3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连接器组件
US20050266721A1 (en) * 2004-05-26 2005-12-01 Milner John J Electrical connector with strain relief
US7601032B2 (en) * 2005-02-07 2009-10-13 Motorola, Inc. Apparatus for altering poles on an accessory
US9281622B2 (en) * 2012-12-07 2016-03-08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Communications jacks having low-coupling contacts
WO2021196183A1 (zh) * 2020-04-03 2021-10-07 昆山代克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安全的智能机器人充电机构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6241A (en) * 1964-03-24 Bus duct plug-in device
US2235545A (en) * 1939-10-31 1941-03-18 Gen Electric Electrical connector
US3002172A (en) * 1957-03-04 1961-09-26 Bryant Electric Co Retractable lampholder
FR83883E (fr) * 1963-06-24 1964-10-31 Telemecanique Electrique Dispositif élastique de fixation de bornes électriques destinées à être montées en file sur un profilé en forme de c
US3180924A (en) * 1963-06-28 1965-04-27 Gen Electric Busway connector
DE1214291B (de) * 1963-11-27 1966-04-14 Standard Elektrik Lorenz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federnden Steckkontakten
US4040712A (en) * 1976-01-26 1977-08-09 Dahltron Corporation Double-acting electrical receptacle
CA1136724A (en) * 1979-08-30 1982-11-30 Iizuka Electric Industry Company Limited Resilient contact member of jack for use in conjunction with pin-pl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493526A (en) 1985-01-15
JPS58113279U (ja) 1983-08-02
KR840004482U (ko) 1984-09-20
JPS6340863Y2 (ko) 1988-10-25
DE3302716A1 (de) 1983-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3180Y1 (ko) 재 크
US4633048A (en) Jack with a switch
JPH0249664Y2 (ko)
EP1168514B1 (en) Connector excellent in reliability of contact
KR910003908Y1 (ko) 전기 접속기
KR890004818Y1 (ko) 개폐기의 가동 접촉자 유지구조
US4556769A (en) Key switch devices with key guide means
US6077092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tabilizing structure for spacer and terminal
US4232923A (en) Electrical connector
US4767896A (en) Stamped circuitry assembly
EP1014405B1 (en) Push switch
EP0216466B1 (en) Stamped circuitry assembly
JPH033991Y2 (ko)
US4783671A (en) Film information reading device for camera
GB2175451A (en) Pushbutton switch
JPS6031168Y2 (ja) ジヤツク用接片
KR890000052Y1 (ko) 푸시 버튼 스위치
CN219534918U (zh) 弹片及具有其的电子设备
JPH0329905Y2 (ko)
JPS6235231B2 (ko)
JPS6214615Y2 (ko)
JPH031905Y2 (ko)
JPS5838533Y2 (ja) ジヤツク
KR890005826Y1 (ko) 파워스위치의 가동연결부 스프링 고정구조
US6967294B1 (en) Micro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112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