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0052Y1 - 푸시 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시 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0052Y1
KR890000052Y1 KR2019820006892U KR820006892U KR890000052Y1 KR 890000052 Y1 KR890000052 Y1 KR 890000052Y1 KR 2019820006892 U KR2019820006892 U KR 2019820006892U KR 820006892 U KR820006892 U KR 820006892U KR 890000052 Y1 KR890000052 Y1 KR 8900000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support member
case
lock pin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6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1469U (ko
Inventor
야스꾸니 다이라
아끼라 니이누마
Original Assignee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가다오까 가쓰다로오 filed Critical 알프스덴기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14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14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00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0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푸시 버튼 스위치
제1도는 종래의 푸시 버튼 스위치를 나타낸 종 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핀 지지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록크 홈을 나타낸 슬라이더의 저면도.
제4도 이하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4(a)도는 본 고안에 의한 핀 지지부재의 정면도, 제4(b)도는 평면도, 제4(c)도는 측면도.
제5도는 핀지지부재에 록크 핀의 취부작업을 나타낸 사시도.
제6(a)도, 제6(b)도, 제6(c)도는 핀지지부재를 케이스에 취부하는 작업을 나타낸 사시도.
제7도는 슬라이더, 절연판 등의 부품의 취부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1a : 절연판
2a, 2b, 2c : 고정접점 3 : 슬라이더
3a : 조작아암 3 : 하트(heart)형상의 록크홈
4 : 가동접점 5 : 스프링
7 : 록크핀 7a, 7b : 단부
11 : 핀지지부재 11a : 지지면
11b : 지지구멍 11c : 푸시스프링편
11d : 푸시스프링핀의 선단부
본 고안은 압압한 위치에서 록크되는 단동 동작형의 푸시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스 내의 슬라이더 내에 형성한 하트(heart)형상의 록크홈에 계합하는 록크핀의 지지기구를 개량한 푸시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동동작형의 푸시버튼 스위치는 제1도(종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의 상부에 고정설치한 절연판(1a)에 고정접점 (2a) (2b) 및 (2c)를 고정 설치하고, 또 케이스(1)내에 접동자재로 설치한 슬라이더(3)에 가동접점(4)을 구비하고 있다.
이 슬라이더(3)는 절연재료로 성형되어 있으며 그 일단에는 케이스(1)이 외방으로 돌출하는 조작아암(3a)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조작아암(3a)에 외장한 스프링(5)에 의하여 슬라이더(3)를 조작아암(3a)을 돌출시키는 방향, 즉 화살표(X)의 방향으로 가세하고 있다.
또 슬라이더(3)의 일측면에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하트형상의 록크홈(3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1)내의 저부에 설치한 지지부재(6)에는 ""자 형상의 록크핀(7)의 일단(7a)을 회동자재로 지지하고 이 록크핀(7)의 타단(7b)이 상기 록크홈(3b)내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 푸시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조작아암(3a)이 스프링(5)이 탄성력에 의하여 화살표(X)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을때에 록크핀(7)의 단부(7b)는 록크홈(3b)내의 χ의 위치에 있다(제3도 참조). 이때에는 가동접점(4)은 고정접점(2a)과 (2b)에 접촉하고 있다.
다음에 조작아암(3a)을 화살표(Y)방향으로 누르면 록크핀(7)의 단부(7b)는 록크홈(3b)에서 이동한다.
그리고 슬라이더(3)가 케이스(1)내부까지 이동하며, 단부(7b)는 록크홈(3b)내의 y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조작아암(3a)을 압압하고 있지 않아도 슬라이더는 그 위치에서 록크된다. 이 때 가동접점(4)은 고정접점(2b)과 (2c)에 접촉한다. 다음에 조작아암(3a)을 다시 화살표(Y)방향으로 누르면 록크핀(7)의 단부(7b)는 록크홈(3b) 내의 y의 위치로 부터 떨어진다.
그 결과 슬라이더(3)는 스프링(5)의 탄압력에 의하여 화살표(X)방향으로 복귀하여 제1도의 상태로 복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푸시 버튼 스위치에 있어서의 핀지지부재(6)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판재를 절곡 성형한 것으로서 이핀 지지부재(6)에 천설된 지지구멍(6a)에 록크핀(7)의 단부(7a)가 회동자재로 삽입 지지되어 있다.
또 지지구멍(6a)의 반대측 위치에는 푸시 스프링편(6b)이 일체로 절곡 성형되어 있으며 록크핀(7)의 다단부(7b)는 이 푸시스프링편(6b)에 의하여 지지되는 한편 이 푸시스프링펀(6b)에 의하여 단부(7b)를 록크홈(3b)내로 압압하고 있다.
푸시 버튼 스위치를 조립할때에는 록크핀(7)을 핀지지부재(6)에 취부하고, 다음에 핀지지부재(6)를 상기 케이스(1)내에 장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핀지지부재(6)의 구조에서 록크피너(7)의 단부(7a)와 지지구멍(6a)의 사이의 극간이 크면 핀지지부재(6)를 케이스(1)내로 장착할때에 록크핀(7)이 탈락할 가능성이 있으며 조립작업이 번잡하게 된다. 역으로 지지구멍(6a)을 소경(小俓)으로 하여 단부(7a)사이의 극간을 작게하면 지지구멍(6a)내에 있어서의 록크핀(7)의 회동동작이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는 이 지지구멍(6a)의 지름 칫수 정밀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가공작업에 시간이 걸리므로 부품가격이 상승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푸시 버튼 스위치에 있어서의 록크핀의 지지구조의 결점을 해소하는 것이며 핀 지지부재에 록크핀을 확실하게 지지시켜 조립작업시에 록크핀이 탈락되지 않도록 한 푸시 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은 핀지지부재에 푸시 스프링을 설치하여 지지구멍내로 삽입한 록크핀의 일부를 이 푸시 스프링과 핀지지부재의 지지면에 의해 협지되어 록크핀의 탈락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제4도 이하의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4도는 본 고안의 특징인 핀지지부재(11)를 정면도(제4(a)도), 평면도(제4(b)도)및 측면도(제4(c)도)에 의하여 나타내고, 또 제5도는 핀지지부재(11)를 사시도로서 나타낸 것이다.
이 핀지지부재(11)는 탄성력을 갖는 박판재, 예를들면 인청동판등을 단면"ㄷ"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성형한 것이다. 핀지지부재(11)는 상측의 절곡부가 지지면(11a)으로 되어 있으며 이 지지면(11a)에 지지구멍(11b)이 천설되어 있다. 또 하측의 절곡부에는 푸시스프링편(11c)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선단부(11d)는 상기 지지면(11a)에 가깝게 접촉하고 있다.
이 선단부(11d)는 상기 지지면(11a)에 가볍게 접촉하고 있다.
이 선단부(11d)에는 경사진 절곡편(11e)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결과 이선단부(11d)와 지지면(11a)은 일단 α에서 접촉하고 타단β에서 극간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제4(c)도 참조).
다음에 상기 구성의 핀지지부재(11)를 사용한 푸시 버튼 스위치의 조립작업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자형상으로 절곡한 록크핀(7)을 핀지지부재(11)에 취부한다. 이 작업은 제5도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푸시 스프링편(11c)으로 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록크핀(7)의 단부(7a)를 지지구멍(11b)내로 삽입한다. 그리고 단부(7a)를 지점으로 하여 록크핀(7)을 수평방향으로 회동시켜 록크핀(7)의 직선부를 푸시 스프링편(11c)과 지지면(11a)의 사이에서 협지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푸시스프링편(11c) 선단부(11d)와 지지면(11a)의 사이에는 일방의 단부(β)에서 극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혹크 핀(7)을 패선 상태에서 실선상태로 회동할 때에 록크핀(7)와 지지면(11a)의 사이에 순조롭게 개입시킬 수 있다.
다음에 록크핀(7)을 취부한 핀의 지지부재(11)를 케이스(1)내에 장착하는 작업을 제6(a)도, 제6(b)도, 제6(c)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 케이스(1)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성형한 것으로서, 그 전방개구부(1b)의 양측에는 계지편(1c)이 절곡 성형되어 있으며 이 계지편(1c)의 하부 위치에 절결(1d)이 형성되어 있다.
핀지지부재(11)는 지지면(11a)로 되어 있는 절곡부를 상방향으로 하여 상기 절결(1d)로 부터 케이스(1)내로 삽입한다. (제6(a)도, 제6(b)도).
그리고 케이스(1)내로 완전히 삽입한 후 핀지지부재(11)를 케이스(1)로 내저부로 하강시킨다(제6(c)도).
이 상태에서는 핀지지부재(11)에 취부된 록크핀(7)의 양단부(7a), (7b)는 케이스(1)내에서 상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 핀지지부재(11)는 케이스(1)는 측판으로 3면이 둘러 쌓이고 또 전방 개구부에서는 계지편(1c)의 하측부에 당접하고 있으므로 핀지지부재(11)가 케이스(1)내로 부터 빠지지 않는다.
또 핀지지부재(11)네 취부된 록크핀(7)은 지지면(11a)과 푸시스프리어편(11c)에 의하여 협지되어 있으므로 핀지지부재(11)를 케이스(1)내로 장착하는 작업에 있어서 록크핀(7)이 핀지지부재(11)로 부터 빠질 염려는 전혀 없다.
상기한 바와같이 핀지지부재(11)를 취부한 후 케이스(1)내에 슬라이더(3)를 삽입한다(제7도 참조). 이 슬라이더(3)는 조작아암(3a)을 케이스(1)의 전방개구부(1b)로 부터 돌출된 상태로 삽입하고, 또 조작아암(3a)의 외주에 스프링(5)을 삽입한다.
그리고 조작아암(3a)의 선단에는 고정금구(12)를 끼워 스프링(5)을 이 고정금구(12)와 케이스(1)의 계지편(1c)와의 사이에 개입시킨다.
또 슬라이더(3)를 케이스(1)내에 삽입했을때에 슬라이더(3)의 하면에 형성한 하트형상의 록크홈(3b)(제3도와 동일한것)내에 록크핀(7)의 단부(7b)를 삽입하도록 위치시킨다. 또 이실시예에서는 록크핀(7)의 타방의 단부(7a)도(7b)와 같이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으므로 슬라이더(3)의 하면에는 이 단부(7a)에 대한 도피홈(도시않음)을 형성하여 놓는다. 그리고 슬라이더(3)의 상면에 형성된 끼워 넣는홈(入淸)(3c)내에는 가동접점(4)을 끼원 넣는다. 또 케이스(1)의 상측에는 고정접점(2a), (2b), (2c)을 가진 절연판(1a)을 취부하여 케이스(1)의 상단에 설치한 클로우(claw) (1e)을 구부려 이 절연판(1a)을 고정한다.
이와같이 하여 조립한 푸시 버튼스위치의 동작은 제1도 및 제3도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작아암(3a)을 화살표(Y)방향으로 누른 상태에서 록크되고 다시 그 위치에서 조작아암(3a)을 화살표(Y)방향으로 누르면 록크가 해제되어 슬라이더(3)는 화살표(X)방향으로 복귀힌다. 이 동작은 록크핀(7)의 단부(7b)가 록크홈(3b)내를 따라 동작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푸시스프링편(11c)이 록크핀(7)를 압압하는 힘은 작기 때문에 록크핀(7)이 단부(7a)를 지점으로 회동하는 동작은 종래의 것과 같이 순조롭게 행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록크핀의 일단을 지지하고 있는 핀지지부재에 푸시스프링편을 설치하여 이 푸시스프링편과 지지면에 의하여 록크핀을 협지하도록 했기 때문에 조립작업에 있어서 핀지지부재를 케이스내에 취부할때 록크핀이 핀지지부재로 부터 탈락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조립작업은 종래와 비교하여 간단하게 된다. 또 핀지지부재에 천설한 지지구멍과 록크핀이 단부의 사이에 극간이 생겨도 록크핀이 탈락하는 원인으로 되지 않으므로 지지구멍 지름의 칫수의 정밀도를 정확하게 하지 않아도 되므로 가공 시간의 단축을 꾀할 수 있다.
그리고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 제2항에 기재한 바와같이 핀지지부재와 푸시스프링편을 일체로 핀금 성형하면 부품수기 적게들고, 원가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 제3항에 기재한 바와같이 푸시 스프링편의 선단과 지지면과의 사이를 일단이 접촉하고, 타단이 극간을 갖도록 대향시키면 그 극간측으로 부터 록크핀을 개입시킬수 있게 되어 록크핀의 취부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Claims (3)

  1. 고정접점(2a), (2b), (2c)을 구비한 케이스(1)내에 조작아암(3a)을 갖는 슬라이더(3)를 접동자재로 내장함과 동시에 스프링(5)에 의하여 슬라이더(3)의 조작아암(3a)을 케이스(1)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가세하고, 또 스라이더(3)에는 상기 고정접점(2a), (2b), (2c)에 접접하는 가동접점(4)을 고정설치하는 한편 슬라이더(3)의 일측면에는 하트 형상의 록크홈(3b)을 형성하고, 한편 케이스(1)내에는 "" 형상의 록크핀(7)의 일단을 회동자재로 지지함과 동시에 이 록크핀(7)의 타단을 상기 록크홈(3b)내에 삽입하여 이루워지는 푸시 버튼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내에는 핀지지부재(11)를 내장하여 핀지지부재(11)의 지지면(11a)에는 상기 록크핀(7)의 일단을 회동자재로 지지하는 지지구멍(11b)을 형성하고, 또 핀지지부재(11)에는 푸시스프링편(11C)을 설치하여 록크핀(7)을 지지면(11a)과 이 푸시스프링편(11c)에 의하여 협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핀지지부재(11)는 탄성이 있는 박판재료 성형하고, 푸시스프링편(11c)은 이 핀지지부재(11)의 일부에 의하여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푸시 스프링편(11c)의 선단은 지지면(11a)에 대해 편측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KR2019820006892U 1981-10-24 1982-08-31 푸시 버튼 스위치 KR89000005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1158734U JPS6033544Y2 (ja) 1981-10-24 1981-10-24 押釦スイツチ
JP56-158734 1981-10-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469U KR840001469U (ko) 1984-04-30
KR890000052Y1 true KR890000052Y1 (ko) 1989-03-02

Family

ID=2995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6892U KR890000052Y1 (ko) 1981-10-24 1982-08-31 푸시 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33544Y2 (ko)
KR (1) KR89000005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2327U (ja) * 1982-02-12 1983-08-20 ホシデン株式会社 プツシユスイツ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469U (ko) 1984-04-30
JPS6033544Y2 (ja) 1985-10-05
JPS5864036U (ja) 1983-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95320A2 (en) Flexible board electrical connector
US4647742A (en) Alternate on-off switch mechanism
KR860003180Y1 (ko) 재 크
US3809837A (en) Microswitch with readily removable leaf spring actuating means
JPH05211021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GB2247989A (en) Push button switch
US4758809A (en) Electromagnetic relay having a multifunction retaining spring
US5278370A (en) Push switch
KR890000052Y1 (ko) 푸시 버튼 스위치
US5973284A (en) Push button switch assembly with snap action movable bridging contact
US5875887A (en) Contact switch assembly having a conductor that holds a movable contact plate
US4306132A (en) Electrical switches
KR100449657B1 (ko) 푸시록 스위치
KR100322776B1 (ko) 푸시버튼스위치
US4725702A (en) Miniature switch with self-aligning movable contactor
JPS5914847B2 (ja) 押釦装置
JP2908836B2 (ja) ピアノハンドル式スイッチ
KR800001359Y1 (ko) 푸시 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
JP3537837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589914Y2 (ja) スイッチ
KR840002749Y1 (ko) 록(lock)식 푸시버튼 스위치
KR900001075Y1 (ko) 다접점 선택스위치
JP2004247188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H0229643Y2 (ko)
JPS5926973Y2 (ja) プツシユスイツ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