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8305A -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의 입체감 조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의 입체감 조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8305A
KR20080088305A KR1020070031142A KR20070031142A KR20080088305A KR 20080088305 A KR20080088305 A KR 20080088305A KR 1020070031142 A KR1020070031142 A KR 1020070031142A KR 20070031142 A KR20070031142 A KR 20070031142A KR 20080088305 A KR20080088305 A KR 20080088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cement
image
stereo
histogram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5303B1 (ko
Inventor
구재필
황선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1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303B1/ko
Priority to US11/867,715 priority patent/US8045792B2/en
Priority to CN2008100095449A priority patent/CN101276060B/zh
Publication of KR20080088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7Determining parameters from multiple pi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2Improving the 3D impression of stereoscopic images by modifying image signal contents, e.g. by filtering or adding monoscopic depth c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8Adjusting depth or dispa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44Processing image signals for flicker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04N13/183On-screen display [OSD] information, e.g. subtitle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04Still image; Photographic image
    • G06T2207/10012Stereo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2Eyestrain reduction by processing stereoscopic signals or controlling stereoscopi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의 입체감 조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에서 대응하는 두 영상에 대한 변위를 추정하여 추정된 변위가 발생한 빈도수를 측정하여 변위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며, 히스토그램과 소정의 특성 함수의 컨벌루션을 통해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의 변위 조절량을 결정하고, 변위 조절량에 따라 시차를 조정하여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의 입력 영상을 재구성함으로써 영상의 입체감을 살리면서도 눈의 피로감을 최소화한다.
입체 영상,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 양안 시차, 변위, 히스토그램, 입체감 조정

Description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의 입체감 조정 방법 및 장치{Dynamic depth control method or apparatus in stereo-view or multiview sequence images}
도 1은 종래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을 각각 좌우측으로 수평이동하여 안정적인 스테레오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스테레오식 카메라의 종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사람이 느끼는 양안 시차의 종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감 조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a는 MPEG-2 MVP(Multiview profile)의 부호화기 및 복호화기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5b는 MPEG-2 MVP의 움직임 및 변위 예측 과정에서 변위 벡터 추출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종래 블록 기반의 변위 추정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위 추정부의 변위 추정 흐름도.
도 8은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의 변위 히스토그램의 일 실시예 및 융합 한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일반적인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의 변위 히스토그램 형태를 나타 내는 도면.
도 10은 양안 시차를 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다양한 히스토그램 함수의 종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변위 히스토그램과 특성 함수를 컨벌루션하는 과정 및 그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결정된 변위 조절량에 따라 변위 히스토그램을 이동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결정된 변위 조절량에 따라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의 재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체감 조절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감 조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원 발명은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의 입체감 조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의 양안 시차에 대해, 시청자에게 쾌적한 입체감을 주는 최적의 양안 시차를 구하는 입체감 조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패러럴(parallel) 형태의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이 스트림(stream) 형태로 입력되고 이러한 영상들을 스테레오 입체 디스플레이에 활용한다. 임의의 두 시점으로부터 구성된 스테레오 영상 간에는 오브젝트(object)의 변위, 즉 변위(disparity)가 존재한다. 이러한 변위로 인해 시청자는 양 또는 음의 양안 시차(parallax)를 느끼게 되고 이러한 양안 시차는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원인이 된다. 양안 시차를 갖는 영상을 장시간 시청할 경우 시청자는 쉽게 피로감을 느끼며 메스꺼움 등의 기타 신체적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도 1에는 종래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을 각각 좌우측으로 수평이동하여 안정적인 스테레오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으로부터 3D 영상 디스플레이에 적합한 영상으로 만들기 위해, 매 프레임마다 입력되는 스테레오 영상의 변위(disparity)를 기존의 변위 추정법(disparity estimation) 방법을 통하여 구하고, 변위 히스토그램(disparity histogram)을 구한다. 매 프레임마다 양의 변위와 음의 변위의 비율을 적절하게 적용하기 위해 변위 히스토그램을 어느 임계치를 기준으로 음의 방향으로 위치 이동을 시킨다. 변위 히스토그램의 위치이동은 스테레오 영상의 양 끝단을 크로핑(cropping)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다.
도 2에는 스테레오식 카메라의 종류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시된다. 스테레오 영상의 통신 환경에서도 수신단에서 변위를 조절함으로써 도 2의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촬상단에서 다양한 카메라 구조를 채택하여 카메라의 주시각을 제어한 것과 같이 안정적이고 피로도가 적은 스테레오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종래의 입체감 조정 방법 및 장치는 변위 히스토그램을 이용함으로써 해당 스테레오 영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제작되었으나, 객관적인 근거 없이 조절 변위의 임계치를 주관적인 평가에 의해 실험적으로 구하였다. 또한 피로감을 제거하고 편안한 입체 영상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양안 시차가 적절한 범위 내에 있어야 하는데 종래 기술에서는 이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
게다가,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카메라로 촬상된 영상 시퀀스의 경우, 데이터량이 많기 때문에 인해 효율적인 압축 기법이 필요하다. 편안한 입체감을 시청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이러한 데이터들을 복호화한 후 복원된 영상을 변위 추정하는 것은 상당히 비효율적이고 시스템 구현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을 스테레오 디스플레이를 위해 변환하는데 있어서, 수신단에서 신호 처리적인 방법을 통해 효율적으로 눈의 피로감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변위 조절량을 결정하는 입체감 조정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하는데 있다. 그리하여, MPEG-2 MVP 또는 MVC와 같이 압축된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입체영상을 복호화하여 각 매크로블록의 변위 벡터를 추출하여 이용한다. 또한 최적의 입체 시역을 형성하도록 스테레오 영상의 변위 히스토그램을 분석하고 변위 히스토그램 컨벌루션 합 기법을 이용한 변위 조절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재구성된 스테레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측면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양안 시차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입체감 조정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원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입체감 조정 방법은,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영상에서 대응하는 두 영상에 대한 변위를 추정하여 추정된 변위가 발생한 빈도수를 측정하여 변위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단계, 히스토그램과 소정의 특성 함수의 컨벌루션을 통해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의 변위 조절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변위 조절량에 따라 시차를 조정하여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의 입력 영상을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변위 히스토그램 생성 단계는 수신 영상이 압축/전송 기법에 의한 것으로 복호화 과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복호화한 후 변위 벡터(disparity vector)를 추출하는 단계, 매크로블록이 스킵 모드(skip mode)인 경우의 비류을 구하는 단계, 매크로블록 단위로 변위 추정하는 단계 및 추정된 변위의 빈도수로 변위 히스토그램을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변위 조절량 결정 단계는 소정의 특성 함수를 선택하여 변위 히스토그램과의 컨벌루션을 통해 최적의 변위 조절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Figure 112007024797268-PAT00001
7도 이내의 양안 시차를 선택하여 이 양안 시차를 픽셀 단위로 변환한 값을 상기 특성 함수의 범위로 하고, 수신한 영상의 유형에 따라 특성 함수를 달리 선택한다.
일 실시예에서, 재구성 단계는 변위 조절량의 절반에 해당하는 값만큼 스테 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의 각각 바깥 가장자리 부분을 잘라내어, 결과 영상이 입력 영상과 동일한 크기를 유지 또는 디스플레이 방식에 맞추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변위의 갑작스런 변화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지터(jitter)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 평균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 발명의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원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입체감 조정 장치는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한 영상에서 대응하는 두 영상에 대한 변위를 추정하여 추정된 변위가 발생한 빈도수를 측정하여 변위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변위 추정부, 히스토그램과 소정의 특성 함수의 컨벌루션을 통해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의 변위 조절량을 결정하는 변위 조절량 결정부 및 변위 조절량에 따라 시차를 조정하여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의 입력 영상을 재구성하는 영상 재구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는, 양안 시차 범위 또는 변위 조절량을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입력받아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재구성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제로 스테레오 영상의 입체 영상 시청할 때 나타나는 시각 피로의 주요한 원인 중 하나는 양안의 수렴점과 동공의 초점 불일치, 즉 양안 시차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도 2는 현재 개발되고 있는 3D 입체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스테레오식 카메라 구조의 종류를 도시한다.
도 2의 (a)의 구조는 평행하게 배치되어 사람의 눈이 갖는 수렴(convergence) 기능이 없다.
도 2의 (b)의 구조는 사람의 눈이 갖는 수렴 기능은 있으나. 스테레오 영상의 좌우 끝단에서 수직 양안 시차(vertical parallax)가 발생하게 된다. 수직 양안 시차로 인한 스테레오 영상의 왜곡은 피로감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된다.
도 2의 (c)의 구조는 하이브리드 스테레오 카메라(hybrid stereoscopic camera)로, (a)와 (b)의 구조의 단점을 상쇄하고 장점을 모두 살린 방식으로, 수직 양안 시차 없이 수렴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다시점 카메라의 경우, 모든 카메라에 대해서 도 2와 같이 하이브리드 스테레오 카메라의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어렵다. 현재 표준화가 진행 중인 MVC(Multiview video coding)는 다시점의 영상을 효과적으로 압축/전송하고 수신단에서는 다시점 영상을 복호화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 표준 환경에서는 송신단에서 다시점의 영상을 압축/전송하더라도 수신단의 단말기가 스테레오식 디스플레이라면 임의의 두 시점(view)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반드시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다시점 카메라로 획득된 영상을 스테레오식 디스플레이로 표시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스테레오 카메라로 획득된 것처럼 표시하기 위해서 신호 처리적 방 법이 필요하다.
도 3은 사람이 느끼는 양안 시차의 종류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도 3의 (a)의 음의 양안 시차는 오브젝트가 스크린으로부터 튀어나온 것처럼 보이는 경우를 의미하고, (b)의 양의 양안 시차는 오브젝트가 스크린 속으로 들어간 것처럼 보이는 경우를 의미하며, (c)는 오브젝트가 스크린과 같은 깊이로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스테레오 영상에서 음의 양안 시차가 양의 양안 시차보다 입체 효과가 더 크지만, 시청자가 느끼는 편안함은 양의 양안 시차가 더 크다. 하지만, 스테레오 영상 내의 오브젝트의 대부분이 입체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과도한 양안 시차를 가질 때, 시청자에게 시각의 피로감을 주는 등 기타 부작용을 야기한다.
도 4에는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감 조정 장치(400)의 블록도가 도시된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감 조정 장치(400) 는 영상 수신부(402), 변위 추정부(404), 변위 조절량 결정부(406), 영상 재구성부(408) 및 디스플레이(410)을 포함한다.
영상 수신부(402)는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을 수신하여 변위 추정부와 영상 재구성부로 출력하고, 최종적으로 결과 영상은 디스플레이(410)에 표시된다.
변위 추정부(404)는 영상 수신부(402)에서 수신한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에서 대응하는 두 영상에 대한 변위를 추정하여, 추정된 변위가 발생한 빈도수를 측정하여 변위 히스토그램을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변위 추정부(404)에서 변위 추정 및 변위 히스토그램 생성 과정을 설명한다.
도 5a는 MPEG-2 MVP(Multiview profile)의 부호화기 및 복호화기의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와 같이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의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멀티미디어 저장매체에 저장할 때에는 MPEG-2 MVP 또는 MVC와 같이 표준화된 압축/전송 기법을 통해 이루어진다.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을 압축할 때 각각의 시점간의 상관도가 높음을 이용하여 매크로블록 단위로 변위를 예측 및 보상하고 부호화하여 전송한다.
도 5b는 MPEG-2 MVP의 움직임 및 변위 예측 과정에 대한 도면으로 변위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의 일 구현예인 변위 추정 기법이다.
도 6은 변위 추정 기법 중에서도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기법인 블록 기반 변위 추정법의 원리를 나타낸다.
도 6의 좌측 영상을 NxN의 균일한 블록으로 분할한 후 각각의 블록에 대한 가장 유사한 블록을 SAD(sum of absolute difference)나 MAD(mean of absolute difference) 방법을 활용하여 우측 영상에서 추정하고 이 때 기준 블록과 추정된 블록과의 거리를 변위 벡터(disparity vector)라 정의한다. 변위 벡터는 일반적으로 기준 영상 내의 모든 픽셀에 대해 별도로 주어질 수 있으나, 계산량을 줄이기 위해 한 블록 내의 모든 픽셀은 근사적으로 모두 동일하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이것이 블록 기반 변위 추정법의 특징이다. 변위 추정을 픽셀 단위까지 미세하기 추정하여 각각의 픽셀에 대해 변위 벡터를 추정한다면 이를 픽셀 기반 변위 추정법이 라고 한다.
본원 발명에서는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압축/전송된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 데이터의 경우 복호화하여 매로로블록 단위로 변위 벡터를 추출하고 변위 히스토그램을 작성한다. 이 과정에서 압축효율을 높이기 위해 변위 벡터를 예측 및 부호화할 때, 상당수의 매크로블록이 스킵 모드(skip mode)로 부호화되어 변위 벡터가 0이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블록 기반 변위 추정법을 통해 추출된 변위 벡터의 수가 전체 매크로블록의 수 대비 소정의 임계치보다 적거나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 데이터가 압축되지 않았다면, 매크로블록 단위로 변위 추정 기법을 수행하여 변위 벡터를 추출하고 변위 히스토그램을 작성한다. 이 과정의 일 실시예는 도 7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추출된 변위 벡터를 이용하여 변위 조절량 결정에 필요한 변위를 추정하게 된다.
도 7은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위 추정부(404)에서 매크로블록 단위로 변위 벡터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단계(710)에서는 먼저 수신된 영상이 압축/전송된 영상으로 복호화가 필요한지 판단한다. 만약 복호화가 필요한 영상으로 판단된다면 단계(720)로 진행하지만, 압축/전송된 영상이 아니라면 단계(750)로 건너뛴다.
단계(720)에서는 만약 복호화가 필요한 영상이면 복호화를 수행한다.
단계(730)에서는 복호화하여 추출된 변위 벡터가 스킵 모드인 매크로블록의 수(
Figure 112007024797268-PAT00002
)가 처리 중인 현재 프레임의 전체 매크로블록의 수(
Figure 112007024797268-PAT00003
)에 대비하여 소정 의 임계치(
Figure 112007024797268-PAT00004
)와 비교한다. 만약
Figure 112007024797268-PAT00005
라면 단계(740)로 진행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750)으로 건너뛴다. 여기서 임계치
Figure 112007024797268-PAT00006
의 값은 실험값으로 정한다.
단계(740)에서는 복호화 후 추출된 변위 벡터를 변위 벡터를 구하고자 하는 변위로 추정한다.
단계(750)에서는 블록 기반 변위 추정을 직접 수행한다.
도 8은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의 변위 히스토그램의 일 실시예 및 융합 한계를 도시한다.
도 8의 (a)은 추정된 변위의 빈도수를 이용하여 작성된 변위 히스토그램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추정 변위는 변위 벡터의 수평성분 벡터이다. 입체감은 수직 양안 시차보다 수평 양안 시차에 주로 영향을 받으므로 본원 발명에서는 수직성분의 변위 벡터 성분은 고려하지 않는다. 양안 시차를 갖는 스테레오 영상 그 자체로 장시간 시청하는 경우 입체감의 효과와 동시에 피로감과 같은 부작용이 예상되므로 변위 히스토그램을 통해 스테레오 영상이 양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야 한다.
도 8의 (b)는 변위 히스토그램에서 양안의 융합 한계 이내의 변위 부분을 도시한다. 이 분야의 개발자에게 양안의 최대 융합 범위를 양안 시차
Figure 112007024797268-PAT00007
7도 이내, 시청에 무리 없는 범위는
Figure 112007024797268-PAT00008
2도 이내, 쾌적한 양안 시차의 범위는
Figure 112007024797268-PAT00009
1도 이하가 가장 적당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양안 시차의 최적 범위는 개인차와 디스플레 이의 특성, 시청거리 및 컨텐츠의 내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범위를 따른다. 도 8의 (b)의 히스토그램 중 옅은 부분은 융합한계 내의 영역이며, 어두운 부분이 융합한계를 벗어나 시청자에게 피로감 등의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
도 9에는 일반적인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의 변위 히스토그램 형태가 도시된다.
도 9의 (a)는 배경으로 구성된 입체 영상의 히스토그램의 형태, (b)는 배경 및 전경 또는 오브젝트로 구성된 입체 영상의 변위 히스토그램의 형태를 나타낸다. 배경으로 구성된 영상의 경우 음의 양안 시차로 인해 변위 히스토그램이 양의 방향으로 치우치며, 배경 및 전경 또는 오브젝트로 구성된 영상의 경우 전경 또는 오브젝트가 배경에 비해 돌출되어 보이므로 상대적으로 변위가 양의 방향으로 치우친다.
일반적으로 입체 컨텐츠를 감상할 때 쾌적한 입체감을 갖기 위해서는 관심 있는 오브젝트나 전경 부분이 음의 양안 시차를 가지고 배경과 같이 관심 밖의 영역은 양의 양안 시차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그렇지 않은 경우 과도한 입체감으로 시청자는 피로감을 느끼거나, 역으로 전체적으로 입체감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는 도 9와 같이 다양한 스테레오 영상의 변위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입력된 스테레오 영상을 사람의 양안에 안정적이고 입체감 있는 스테레오 영상으로 바꿀 수 있도록 한다.
도 4의 변위 조절량 결정부(406)는 변위 추정부(404)에서 작성한 변위 히스 토그램과 특성함수의 컨벌루션을 통해, 시청자에게 쾌적한 입체감을 주기 위한 변위 조절량을 산출한다. 여기서 특성 함수는 최적의 변위 조절량을 구하기 위 변위 히스토그램과의 컨벌루션을 수행할 변위 조절량 결정부의 소정의 특성 함수를 의미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변위 조절량 결정부(406)의 구동 과정을 상세히 기술한다.
도 10은 양안 시차를 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는 양안 시차를 픽셀 단위의 변위로 변환하기 위한 개념이 도시된다. 도 10에서 양안 시차(
Figure 112007024797268-PAT00010
,
Figure 112007024797268-PAT00011
)는 수정체의 조절각(b)과 양안의 폭주(convergence)각(a)의 차이다. 도 10의
Figure 112007024797268-PAT00012
,
Figure 112007024797268-PAT00013
는 쾌적한 입체감을 느낄 수 있는 양안 시차에서의 깊이감의 범위이며, 이 값의 범위는 최대 양안 시차 범위
Figure 112007024797268-PAT00014
7도 이내(융합범위 이내)에서 실험적으로 구해진다.
Figure 112007024797268-PAT00015
~
Figure 112007024797268-PAT00016
은 시청거리가 주어지면 제2코사인 법칙으로 구할 수 있고, 변위
Figure 112007024797268-PAT00017
또한 비례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영상 신호처리를 위해 인위적으로 깊이감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픽셀 단위의 변위 계산이 요구된다.
Figure 112007024797268-PAT00018
가 주어졌을 때, 수학식 1과 같이
Figure 112007024797268-PAT00019
를 픽셀의 피치로 나누면 디지털 영상에서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픽셀 단위의 변위가 된다.
Figure 112007024797268-PAT00020
,
여기서
Figure 112007024797268-PAT00021
는 픽셀 피치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Figure 112007024797268-PAT00022
~
Figure 112007024797268-PAT00023
에 해당되는
Figure 112007024797268-PAT00024
의 범 위인
Figure 112007024797268-PAT00025
을 구할 수 있다.
도 11은 변위 조절량 산출에 필요한 히스토그램 컨벌루션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특성 함수를 나타낸다. 여기서
Figure 112007024797268-PAT00026
는 최적의 깊이감 범위(
Figure 112007024797268-PAT00027
~
Figure 112007024797268-PAT00028
)에서의 픽셀 단위의 변위 범위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11의 (a) 및 (b)는 배경으로 구성된 스테레오 영상을 위한 특성 함수로 쓰일 수 있는 비대칭형 함수, (c) 내지 (f)는 배경 및 전경 또는 오브젝트로 구성된 스테레오 영상을 위한 특성 함수로 쓰일 수 있는 대칭형 함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변위 히스토그램과 특성 함수를 컨벌루션하는 과정 및 그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의 (a)에 변위 히스토그램 컨벌루션을 한 결과가 도시된다.
Figure 112007024797268-PAT00029
는 수학식 2에 따라 변위 히스토그램
Figure 112007024797268-PAT00030
가 음(-)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을 때의 이산 컨벌루션 합이며, 여기서
Figure 112007024797268-PAT00031
Figure 112007024797268-PAT00032
의 범위에 분포한다.
Figure 112007024797268-PAT00033
.
도 12의 (b)는 배경으로 구성된 스테레오 영상의 변위 히스토그램 컨벌루션 결과이며, 포물선의 형태를 보이고 오른쪽으로 가중치를 준 비대칭형의 특성 함수 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Figure 112007024797268-PAT00034
의 최대값을 결정하는 변위 히스토그램 이동량
Figure 112007024797268-PAT00035
는 오른쪽에 치우쳐서 존재하게 된다. 도 12의 (c)는 배경 및 전경 또는 오브젝트로 구성된 스테레오 영상의 컨벌루션 결과로 대칭형 특성 함수를 사용하였으므로
Figure 112007024797268-PAT00036
는 두 개의 포물선 형태를 보인다. 이 경우
Figure 112007024797268-PAT00037
는 최대값과 국소 최대값을 갖는 변위 히스토그램 이동량인
Figure 112007024797268-PAT00038
를 변위 조절량으로 결정한다.
도 4의 영상 재구성부(408)는 변위 조절량 결정부(406)에서 산출한 변위 조절량을 이용하여, 쾌적한 시청감을 주도록 조정된 입체감으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영상을 재구성하며, 도 13 및 14를 참조하여 그 과정을 상세히 기술한다.
도 13은 결정된 변위 조절량에 따라 변위 히스토그램을 이동시키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3의 (a)는 배경으로 구성된 스테레오 영상의 경우로, 비대칭형 함수를 이용하여 변위 히스토그램 컨벌루션을 하고
Figure 112007024797268-PAT00039
을 기준으로 변위 히스토그램을 이동함으로써 양(+)의 양안 시차(음의 변위)의 비율을 높여서 시청자에게 좀 더 쾌적한 입체감을 제공하게 된다.
도 13의 (b)는 배경 및 전경 또는 오브젝트로 구성된 스테레오 영상의 경우로, 대칭형 함수를 사용하여 변위 히스토그램 컨벌루션을 수행하고
Figure 112007024797268-PAT00040
이 아닌
Figure 112007024797268-PAT00041
를 기준으로 변위 히스토그램을 이동함으로써 시청자에게 쾌적한 입체감을 제공하게 된다.
도 14는 변위 히스토그램을 앞서 결정한 변위 조절량
Figure 112007024797268-PAT00042
만큼 음(-)의 방향으로 위치이동을 하는 과정을 통해,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변위 히스토그램 이동은 도 14의 (a)와 같이 스테레오 영상의 좌우 양단을 변위 조절량
Figure 112007024797268-PAT00043
의 절반인
Figure 112007024797268-PAT00044
/2 만큼 잘라내는 과정이다. 변위 히스토그램 이동을 통해 스테레오 영상의 전체 양안 시차를 양의 방향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스테레오 영상이 갖고 있는 변위 히스토그램을 분석함으로써 시청자에게 최적화된 깊이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스테레오 카메라의 관점에서 보면, 도 14의 (b)와 같이 나타날 수 있고, 도 2의 (c)의 하이브리드 양안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고도 수신단에서 신호 처리적인 방법으로 시청자의 눈의 수렴점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매 프레임(
Figure 112007024797268-PAT00045
)마다 변위 조절량
Figure 112007024797268-PAT00046
가 구해지고 스테레오 영상 내의 컨텐츠의 변화에 따라
Figure 112007024797268-PAT00047
도 조금씩 변하게 된다. 어느 순간에 그 변화량
Figure 112007024797268-PAT00048
가 갑자기 증가하거나, 매 프레임 간격으로
Figure 112007024797268-PAT00049
의 증감이 발생하게 되면, 시청자는 좌우로 미세하게 떨리는 지터(jitter) 현상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지터 방지 필터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러한 지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구간에 윈도우를 적용하여 필터링을을 수행한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스테레오 영상의
Figure 112007024797268-PAT00050
에 대해 이동 평균 필터(moving average filter)를 적용한다. 만일 윈도우 크기가
Figure 112007024797268-PAT00051
라면, 이동 평균 필터는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112007024797268-PAT00052
.
Figure 112007024797268-PAT00053
가 아닌
Figure 112007024797268-PAT00054
을 스테레오 영상 재구성부에 적용함으로써 지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체감 조절 방법을 도시한다.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스테레오 영상의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변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들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OSD(on screen display) 인터페이스, 리모콘 등이 있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DTV, 모니터 등의 모든 디스플레이는 OSD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종 변수(예를 들면, 명암비, 밝기, 색감 등)을 조정한다. 리모콘이나 디스플레이에 장착된 버튼을 눌러 OSD 메뉴를 통해 편리하게 위와 같은 변수를 조정할 수 있는 것과 같이 OSD 메뉴에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는 메뉴를 추가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은 입체감 형성을 위한 변수(즉, 양안 시차 등)가 변위 조절량 결정부(406)에 반영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도 16은 도 4의 입체감 조정 장치에서 수행되는 입체감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1610)에서는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을 수신한다.
단계(1620)에서는 수신한 영상에서 대응하는 두 영상에 대한 변위를 추정하여 추정된 변위가 발생한 빈도수를 측정하여 변위 히스토그램을 생성한다.
단계(1630)에서는 생성된 변위 히스토그램과 소정의 특성 함수의 컨벌루션을 통해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의 변위 조절량을 결정한다.
단계(1640)에서는 이 변위 조절량에 따라 시차를 조정하여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의 수신 영상을 재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많은 다른 형태의 실시예가 가능하지만,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고 상세히 설명된 예들은 본 발명의 최적화된 실시예들이며, 상기 상세한 설명은 발명의 원리의 예시로써 간주되고자 함이지, 본 발명의 넓은 측면을 도시된 실시예들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명심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관해 상기 전술한 예시 구성들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이들에게 알려진 많은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예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특정 바람직한 버전을 참고로 그것에 대해 매우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그러나 다른 버전들도 가능하다. 그리하여 첨부된 청구항들의 의도의 범위는 여기서 포함된 바람직한 버전의 상세한 설명에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원 발명은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을 스테레오 디스플레이를 위해 변환하는데 있어서, 눈의 피로감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변위 조절량을 결정하는 입체감 조정 방법 및 장치를 제시하는데 있다. 또한, 수신단에서 신호 처리적인 방법을 통해 스테레오 컨텐츠의 촬상 단계에서 하이브리드 스테레오 카메라로 촬상된 효과를 가진다. 이와 같은 과정은 최적의 입체 시역을 형성하도록 스테레오 영상의 변위 히스토그램을 분석하고 변위 히스토그램 컨벌루션 합 기법을 이용한 변위 조절 방법을 통해 구현한다. 더 나아가, MPEG-2 MVP 또는 MVC와 같이 압축된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입체영상을 복호화하여 각 매크로블록의 변위 벡터를 추출하여 이용하므로 표준화된 압축/전송 환경에서 시스템의 구조를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원 발명은 또한 재구성된 스테레오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측면에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양안 시차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7)

  1.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의 입체감 조정 방법에 있어서,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영상에서 대응하는 두 영상에 대한 변위를 추정하여 상기 추정된 변위가 발생한 빈도수를 측정하여 변위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변위 히스토그램과 소정의 특성 함수의 컨벌루션을 통해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의 변위 조절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변위 조절량에 따라 시차를 조정하여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의 입력 영상을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조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히스토그램 생성 단계는 상기 수신 영상에 대한 복호화 과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조정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의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복호화 과정이 필요하면 복호화하여 추출된 매크로블록(macro block)의 변위 벡터(disparity vector)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변위 벡터의 빈도수를 이용하여 변위 히스토그램을 작성하는 단계를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조정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히스토그램 작성 단계는 상기 매크로블록의 전체 수
    Figure 112007024797268-PAT00055
    에 대비하여 상기 매크로블록 중 스킵 모드(skip mode)인 경우의 수
    Figure 112007024797268-PAT00056
    를 실험값으로 설정되는 임계치
    Figure 112007024797268-PAT00057
    와 비교하여, 만약
    Figure 112007024797268-PAT00058
    라면 상기 변위 벡터의 빈도수를 이용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매크로블록 단위로 변위를 추정하여 상기 변위의 빈도수를 이용하여 변위 히스토그램을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조정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의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복호화 과정이 필요 없다면 매크로블록 단위로 변위를 추정하여 상기 변위의 빈도수를 이용하여 변위 히스토그램을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조정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함수는 이산 특성 함수, 삼각형 함수, 1차 함수, 2차 함수, 큐빅 함수 및 비대칭형 함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조정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조절량 결정 단계는 상기 수신 영상이 배경 영상인 경우 상기 특성 함수로 오른쪽에 가중치를 둔 비대칭형 함수를 사용하고, 상기 비대칭형 함수를 이용한 컨벌루션을 통해 출력값의 오른쪽 피크값을 가질 때의 이동량을 구하고, 상기 이동량을 픽셀 단위로 변환한 값을 변위 조절량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조정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조절량 결정 단계는 상기 수신 영상이 물체 및 배경을 포함하는 영상인 경우 상기 특성 함수로 대칭형 함수를 사용하고, 상기 대칭형 함수를 이용한 컨벌루션을 통해 출력값의 최대값을 가질 때의 이동량을 구하고, 상기 이동량을 픽셀 단위로 변환한 값을 변위 조절량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조정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조절량 결정 단계는
    Figure 112007024797268-PAT00059
    7도 이내의 양안 시차를 픽셀 단위로 변환한 값을 상기 특성 함수의 범위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조정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 단계는 상기 변위 조절량의 절반에 해당하는 값만큼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을 수평이동하여 상기 시차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조정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 단계는 상기 변위 조절량의 절반에 해당하는 값만큼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의 각각 바깥 가장자리 부분을 잘라내어, 결과 영상이 입력 영상과 동일한 크기를 유지 또는 디스플레이 방식에 맞추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조정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지터(jitter) 현상 방지를 위해 이동 평균(moving average) 필터링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조정 방법.
  13.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의 입체감 조정 장치에 있어서,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한 영상에서 대응하는 두 영상에 대한 변위를 추정하여 상기 추정된 변위가 발생한 빈도수를 측정하여 변위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변위 추정부;
    상기 생성된 변위 히스토그램과 소정의 특성 함수의 컨벌루션을 통해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의 변위 조절량을 결정하는 변위 조절량 결정부; 및
    상기 변위 조절량에 따라 시차를 조정하여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의 입력 영 상을 재구성하는 영상 재구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조정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추정부는 상기 수신 영상에 대한 복호화 과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복호화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조정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 판단부의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복호화 과정이 필요하면 복호화하여 추출된 매크로블록의 변위 벡터를 추출하는 변위 벡터 추출하고,
    상기 변위 벡터의 빈도수를 이용하여 변위 히스토그램을 작성하는 히스토그램 작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조정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그램 작성부는 상기 매크로블록의 전체 수
    Figure 112007024797268-PAT00060
    에 대비하여 상기 매크로블록 중 스킵 모드인 경우의 수
    Figure 112007024797268-PAT00061
    를 실험값으로 설정되는 임계치
    Figure 112007024797268-PAT00062
    와 비교하여, 만약
    Figure 112007024797268-PAT00063
    라면 상기 변위 벡터의 빈도수를 이용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매크로블록 단위로 변위를 추정하여 상기 변위의 빈도수를 이용하여 변위 히스토그램을 작성하는 히스토그램 작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조정 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 판단부의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복호화 과정이 필요 없다면 매크로블록 단위로 변위를 추정하여 상기 변위의 빈도수를 이용하여 변위 히스토그램을 작성하는 히스토그램 작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조정 장치.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함수는 이산 특성 함수, 삼각형 함수, 1차 함수, 2차 함수, 큐빅 함수 및 비대칭형 함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조정 장치.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조절량 결정부는 상기 수신 영상이 배경 영상인 경우 상기 특성 함수로 오른쪽에 가중치를 둔 비대칭형 함수를 사용하고, 상기 비대칭형 함수를 이용한 컨벌루션을 통해 출력값의 오른쪽 피크값을 가질 때의 이동량을 구하고, 상기 이동량을 픽셀 단위로 변환한 값을 변위 조절량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조정 장치.
  20.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조절량 결정부는 상기 수신 영상이 물체 및 배경을 포함하는 영상 인 경우 상기 특성 함수로 대칭형 함수를 사용하고, 상기 대칭형 함수를 이용한 컨벌루션을 통해 출력값의 최대값을 가질 때의 이동량을 구하고, 상기 이동량을 픽셀 단위로 변환한 값을 변위 조절량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조정 장치.
  21.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조절량 결정부는
    Figure 112007024797268-PAT00064
    7도 이내의 양안 시차를 픽셀 단위로 변환한 값을 상기 특성 함수의 범위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조정 장치.
  22.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부는 상기 변위 조절량의 절반에 해당하는 값만큼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을 수평이동하여 상기 시차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조정 장치.
  23.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부는 상기 변위 조절량의 절반에 해당하는 값만큼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의 각각 바깥 가장자리 부분을 잘라내어, 결과 영상이 입력 영상과 동일한 크기를 유지 또는 디스플레이 방식에 맞추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조정 장치.
  24. 제 13항에 있어서,
    지터(jitter) 현상 방지를 위해 이동 평균(moving average) 필터링을 수행하는 지터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조정 장치.
  25. 제 13항에 있어서,
    양안 시차 범위 또는 상기 변위 조절량을 사용자 입력 신호에 의해 입력받아 입체감을 조절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조정 장치.
  2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재구성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 조정 장치.
  27.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70031142A 2007-03-29 2007-03-29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의 입체감 조정 방법 및 장치 KR101345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142A KR101345303B1 (ko) 2007-03-29 2007-03-29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의 입체감 조정 방법 및 장치
US11/867,715 US8045792B2 (en) 2007-03-29 2007-10-05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ynamic depth of stereo-view or multi-view sequence images
CN2008100095449A CN101276060B (zh) 2007-03-29 2008-01-04 控制立体视图或多视图序列图像的动态深度的方法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1142A KR101345303B1 (ko) 2007-03-29 2007-03-29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의 입체감 조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305A true KR20080088305A (ko) 2008-10-02
KR101345303B1 KR101345303B1 (ko) 2013-12-27

Family

ID=39794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142A KR101345303B1 (ko) 2007-03-29 2007-03-29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의 입체감 조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45792B2 (ko)
KR (1) KR101345303B1 (ko)
CN (1) CN101276060B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6079A (ko) * 2008-10-21 2011-07-27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입력 3차원 비디오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10120825A (ko) * 2010-04-29 2011-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음성신호 출력 방법
KR20120026203A (ko) * 2010-09-09 2012-03-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d 영상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WO2013129780A1 (ko) * 2012-02-27 2013-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329065B1 (ko) * 2010-03-31 2013-1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시스템에서 영상 데이터 제공 장치 및 방법
US8810564B2 (en) 2010-05-03 2014-08-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three-dimensional visual fatigue
US8923604B2 (en) 2009-10-07 2014-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depth of a three-dimensional image
KR101492876B1 (ko) * 2010-10-04 2015-02-2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사용자 선호도들에 기초하여 3d 비디오 렌더링을 조정하기 위한 3d 비디오 제어 시스템
KR20150049952A (ko) * 2013-10-31 2015-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62412A (ko) * 2013-11-29 2015-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멀티 뷰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
US9070196B2 (en) 2012-02-27 2015-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disparity using visibility energy model
US9418486B2 (en) 2012-12-20 2016-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ndering hybrid multi-view
US9699434B2 (en) 2009-10-07 2017-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dept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30376B2 (ja) 2008-11-28 2013-07-10 三星電子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EP2356818B1 (en) * 2008-12-01 2016-04-13 Imax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presenting three-dimensional motion pictures with content adaptive information
KR101547151B1 (ko) * 2008-12-26 2015-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1574068B1 (ko) * 2008-12-26 2015-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00135032A (ko) * 2009-06-16 2010-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 영상의 3차원 영상 변환 장치 및 방법
WO2011004963A2 (en) * 2009-07-07 2011-01-1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user interface
US20110032341A1 (en) * 2009-08-04 2011-02-10 Ignatov Artem Konstantinovich Method and system to transform stereo content
JP5698243B2 (ja) * 2009-09-16 2015-04-0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3dスクリーン・サイズ補償
WO2011081646A1 (en) * 2009-12-15 2011-07-07 Thomson Licensing Stereo-image quality and disparity/depth indications
US8290248B2 (en) * 2009-12-31 2012-10-16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Determining disparity search range in stereo videos
KR20120125246A (ko) * 2010-01-07 2012-11-14 톰슨 라이센싱 비디오 컨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20242803A1 (en) * 2010-01-13 2012-09-27 Kenjiro Tsuda Stereo image capturing device, stereo image capturing method, stereo image display device, and program
JP5898842B2 (ja) 2010-01-14 2016-04-06 任天堂株式会社 携帯型情報処理装置、携帯型ゲーム装置
EP2355526A3 (en) * 2010-01-14 2012-10-31 Nintendo Co., Lt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display control program,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2011147067A (ja) * 2010-01-18 2011-07-28 Sony Corp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11091309A1 (en) * 2010-01-21 2011-07-28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Stereoscopic video graphics overlay
BR112012020471B1 (pt) 2010-02-15 2021-09-21 Interdigital Madison Patent Holdings Aparelho e método para processar conteúdo de vídeo, e aparelho e método para processar um sinal
KR20120129996A (ko) * 2010-02-24 2012-11-28 톰슨 라이센싱 3d용 분할 스크린
JP2013521686A (ja) * 2010-03-05 2013-06-10 ソニー株式会社 3dtvのための視差分布推定
JP5800501B2 (ja) 2010-03-12 2015-10-28 任天堂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及び、表示制御方法
KR101825761B1 (ko) * 2010-03-31 2018-03-22 톰슨 라이센싱 3d 디스패리티 맵들
US9681113B2 (en) * 2010-04-01 2017-06-13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system of using floating window in three-dimensional (3D) presentation
JP5477129B2 (ja) * 2010-04-07 2014-04-23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装置、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77128B2 (ja) * 2010-04-07 2014-04-23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GB2479410A (en) * 2010-04-09 2011-10-12 Tektronix Uk Ltd Measuring perceived stereoscopic visual depth
FR2959576A1 (fr) * 2010-05-03 2011-11-04 Thomson Licensing Procede d’affichage d’un menu de reglage et dispositif correspondant
US8970672B2 (en) * 2010-05-28 2015-03-03 Qualcomm Incorporated Three-dimensional image processing
KR101685343B1 (ko) * 2010-06-01 2016-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8384770B2 (en) 2010-06-02 2013-02-26 Nintendo Co., Ltd.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RU2010123652A (ru) * 2010-06-10 2011-12-20 Корпорация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KR)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визуализации стереоизображений и многовидовых изображений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восприятием глубины стереоскопическ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создаваемого телевизионным приемником
JP5494283B2 (ja) * 2010-06-24 2014-05-14 ソニー株式会社 立体表示装置及び立体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5292364B2 (ja) * 2010-07-07 2013-09-18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KR101731343B1 (ko) * 2010-07-14 2017-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2340678B (zh) * 2010-07-21 2014-07-23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一种景深可调的立体显示装置及其景深调整方法
KR20120015165A (ko) * 2010-08-11 2012-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의 깊이감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JP2012044383A (ja) * 2010-08-18 2012-03-01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569263B2 (ja) * 2010-08-30 2014-08-13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638919B1 (ko) * 2010-09-08 2016-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1708331B1 (ko) * 2010-09-17 2017-02-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2006494A (zh) * 2010-11-26 2011-04-06 北京新岸线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3d视频信号调节方法及装置
WO2012075603A1 (en) * 2010-12-08 2012-06-14 Technicolor (China) Technology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3d display with adaptive disparity
JP6021296B2 (ja) 2010-12-16 2016-11-09 任天堂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20120188226A1 (en) * 2011-01-21 2012-07-26 Bu Lin-Kai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s
CN102812715B (zh) * 2011-01-27 2015-08-1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三维图像摄影装置以及三维图像拍摄方法
WO2012112142A1 (en) * 2011-02-15 2012-08-23 Thomson Lic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disparity map in a receiving device
FR2971603A1 (fr) 2011-02-15 2012-08-17 Thomson Licensing Procede de traitement d’image stereoscopique comprenant une bande noire et dispositif correspondant
JP2012173865A (ja) * 2011-02-18 2012-09-10 Sony Corp 3dポインタ生成装置及び3dポインタ生成方法
GB2489930A (en) 2011-04-08 2012-10-17 Sony Corp Analysis of Three-dimensional Video to Produce a Time-Varying Graphical Representation of Displacements
EP2525578A1 (fr) * 2011-05-19 2012-11-21 Thomson Licensing Méthode d'ajustement de disparité d'un contenu 3D pour un observateur
US9600923B2 (en) 2011-05-26 2017-03-21 Thomson Licensing Scale-independent maps
KR20120133951A (ko) * 2011-06-01 2012-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3d 영상변환장치 그 깊이정보 조정방법 및 그 저장매체
JP2013005238A (ja) * 2011-06-16 2013-01-07 Sony Corp 3次元画像処理装置及び3次元画像処理方法、表示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JP5582101B2 (ja) * 2011-06-23 2014-09-0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方法
ES2488638T3 (es) * 2011-08-08 2014-08-28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Método y dispositivo de procesamiento de imágenes para el procesamiento de disparidad
KR101843450B1 (ko) * 2011-08-23 2018-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9560334B2 (en) 2011-09-08 2017-01-3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ed cropping of a stereoscopic image pair
KR101855939B1 (ko) 2011-09-23 2018-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CN102427540B (zh) * 2011-09-28 2014-04-09 深圳超多维光电子有限公司 一种立体图像滤波方法及相应的图像处理装置、终端设备
JP5779483B2 (ja) * 2011-11-15 2015-09-16 株式会社ソシオネクスト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101888155B1 (ko) * 2011-11-22 2018-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JP5918982B2 (ja) * 2011-11-22 2016-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再生装置、その制御方法、撮像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TW201325204A (zh) * 2011-12-15 2013-06-16 Ind Tech Res Inst 立體影像攝影與播放品質評估系統,及其方法
KR101872864B1 (ko) 2011-12-19 2018-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US9313475B2 (en) 2012-01-04 2016-04-12 Thomson Licensing Processing 3D image sequences
US20130169760A1 (en) * 2012-01-04 2013-07-04 Lloyd Watts Image Enhancement Methods And Systems
US8619148B1 (en) 2012-01-04 2013-12-31 Audience, Inc. Image correction after combining images from multiple cameras
TWI514849B (zh) * 2012-01-11 2015-12-21 Himax Tech Ltd 立體影像顯示系統之校正裝置及其校正方法
TWI533663B (zh) 2012-01-17 2016-05-11 晨星半導體股份有限公司 立體影像處理裝置及立體影像處理方法
CN103227929B (zh) * 2012-01-29 2016-10-26 晨星软件研发(深圳)有限公司 立体影像处理装置及立体影像处理方法
JP5547356B2 (ja) * 2012-03-30 2014-07-0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影装置、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US20150062296A1 (en) * 2012-04-13 2015-03-05 Koninklijke Philips N.V. Depth signaling data
JP6188387B2 (ja) * 2012-04-17 2017-08-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視差算出装置及び視差算出方法
CN103686118A (zh) * 2012-09-19 2014-03-26 珠海扬智电子科技有限公司 影像深度调整方法与装置
US9300942B2 (en) 2012-10-18 2016-03-29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three-dimensional video playback using visual fatigue estimation
US8867826B2 (en) * 2012-11-26 2014-10-21 Mitus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Disparity estimation for misaligned stereo image pairs
CN103974008A (zh) * 2013-01-30 2014-08-06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4010181B (zh) * 2013-02-25 2016-10-0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9736467B2 (en) * 2013-08-05 2017-08-15 Samsung Display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stereoscopic images in response to head roll
KR102114346B1 (ko) * 2013-08-30 2020-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테레오 컨버전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스테레오 이미지 프로세서
KR102298652B1 (ko) 2015-01-27 2021-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차 결정 방법 및 장치
KR20170007665A (ko) * 2015-07-10 2017-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킵 모드 정보를 이용한 레이트 조절 인코딩 방법 및 그에 따른 인코딩 장치
US10057558B2 (en) * 2015-09-04 2018-08-21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eoscopic display
US10008030B2 (en) * 2015-09-07 2018-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mages
US10477181B2 (en) * 2015-12-16 2019-11-12 Intel Corporation Multiview video stabilization
TWI553591B (zh) * 2015-12-28 2016-10-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深度影像處理方法及深度影像處理系統
CN105872518A (zh) * 2015-12-28 2016-08-17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虚拟现实调整视差的方法及装置
CN113610239B (zh) 2016-09-27 2024-04-12 第四范式(北京)技术有限公司 针对机器学习的特征处理方法及特征处理系统
US10511831B2 (en) * 2017-01-04 2019-12-17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CN109697444B (zh) * 2017-10-20 2021-04-13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基于深度图像的对象识别方法及装置、设备、存储介质
WO2019209026A1 (ko) 2018-04-24 2019-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디오 코딩 시스템에서 인터 예측 방법 및 장치
JP7256830B2 (ja) * 2018-06-29 2023-04-12 レイア、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動的に再構成可能なマルチビューピクセルを用いるマルチビューディスプレイおよび方法
CN109308719B (zh) * 2018-08-31 2022-03-15 电子科技大学 一种基于三维卷积的双目视差估计方法
CN111354032B (zh) * 2018-12-24 2023-10-20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生成视差图的方法及装置
US11962745B2 (en) * 2019-09-30 2024-04-16 Interdigital Ce Patent Holdings, Sa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 content
CN111260711B (zh) * 2020-01-10 2021-08-10 大连理工大学 一种弱监督可信代价传播的视差估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9788B2 (ja) * 1995-04-21 2004-07-07 パナソニック 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間対応付け方法
JP3077745B2 (ja) * 1997-07-31 2000-08-14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装置、情報記憶媒体
JP3255360B2 (ja) * 1999-09-22 2002-02-12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距離データの検査方法およびその検査装置
JP2003018619A (ja) 2001-07-03 2003-01-17 Olympus Optical Co Ltd 立体映像評価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03061116A (ja) 2001-08-09 2003-02-28 Olympus Optical Co Ltd 立体映像表示装置
EP1489857B1 (en) * 2002-03-27 2011-12-14 Sanyo Electric Co., Ltd. 3-dimensional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7623674B2 (en) * 2003-11-05 2009-11-24 Cognex Technology And Investmen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d portal security through stereoscopy
GB2418314A (en) * 2004-09-16 2006-03-22 Sharp Kk A system for combining multiple disparity maps
JP2008537190A (ja) * 2005-01-07 2008-09-11 ジェスチャー テック,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赤外線パターンを照射することによる対象物の三次元像の生成
JP4177826B2 (ja) * 2005-03-23 2008-11-05 株式会社東芝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KR101185870B1 (ko) * 2005-10-12 2012-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3d 입체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311896B1 (ko) * 2006-11-14 2013-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 영상의 변위 조정방법 및 이를 적용한 입체 영상장치
KR20080076628A (ko) * 2007-02-16 2008-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의 입체감 향상을 위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6079A (ko) * 2008-10-21 2011-07-27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입력 3차원 비디오 신호를 프로세싱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9699434B2 (en) 2009-10-07 2017-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depth
US8923604B2 (en) 2009-10-07 2014-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depth of a three-dimensional image
KR101329065B1 (ko) * 2010-03-31 2013-1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시스템에서 영상 데이터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10120825A (ko) * 2010-04-29 2011-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음성신호 출력 방법
US8810564B2 (en) 2010-05-03 2014-08-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three-dimensional visual fatigue
KR20120026203A (ko) * 2010-09-09 2012-03-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3d 영상 생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US9035939B2 (en) 2010-10-04 2015-05-19 Qualcomm Incorporated 3D video control system to adjust 3D video rendering based on user preferences
KR101492876B1 (ko) * 2010-10-04 2015-02-2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사용자 선호도들에 기초하여 3d 비디오 렌더링을 조정하기 위한 3d 비디오 제어 시스템
US9769468B2 (en) 2012-02-27 2017-09-19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9070196B2 (en) 2012-02-27 2015-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disparity using visibility energy model
WO2013129780A1 (ko) * 2012-02-27 2013-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9418486B2 (en) 2012-12-20 2016-08-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ndering hybrid multi-view
KR20150049952A (ko) * 2013-10-31 2015-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105133B2 (en) 2013-10-31 2015-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 view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62412A (ko) * 2013-11-29 2015-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멀티 뷰 무안경 입체 영상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76060B (zh) 2013-02-13
US8045792B2 (en) 2011-10-25
KR101345303B1 (ko) 2013-12-27
US20080240549A1 (en) 2008-10-02
CN101276060A (zh) 200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303B1 (ko)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의 입체감 조정 방법 및 장치
US8116557B2 (en) 3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9398313B2 (en) Depth map coding
KR101492876B1 (ko) 사용자 선호도들에 기초하여 3d 비디오 렌더링을 조정하기 위한 3d 비디오 제어 시스템
JP5750505B2 (ja) 立体映像エラー改善方法及び装置
KR100738867B1 (ko) 다시점 동영상 부호화/복호화 시스템의 부호화 방법 및시점간 보정 변이 추정 방법
JP2013527646A5 (ko)
Daribo et al. Motion vector sharing and bitrate allocation for 3D video-plus-depth coding
Pourazad et al. An H. 264-based scheme for 2D to 3D video conversion
KR20100008677A (ko) 깊이맵 추정장치와 방법, 이를 이용한 중간 영상 생성 방법및 다시점 비디오의 인코딩 방법
US20140085435A1 (en) Automatic conversion of a stereoscopic image in order to allow a simultaneous stereoscopic and monoscopic display of said image
Shao et al. Stereoscopic video coding with asymmetric luminance and chrominance qualities
Pourazad et al. Generating the depth map from the motion information of H. 264-encoded 2D video sequence
Yuan et al. 61.3: Stereoscopic 3d content depth tuning guided by human visual models
Azzari et al. A modified non-local mean inpainting technique for occlusion filling in depth-image-based rendering
Fezza et al. Perceptually driven nonuniform asymmetric coding of stereoscopic 3d video
KR100656783B1 (ko) 양안식 입체 영상 전송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양안식 입체 영상 렌더링 장치 및 그 방법
Kim et al. Edge-preserving directional regularization technique for disparity estimation of stereoscopic images
Kim et al. Efficient disparity vector coding for multiview sequences
EP2547109A1 (en) Automatic conversion in a 2D/3D compatible mode
Şenol et al. Quality of experience measurement of compressed multi-view video
KR20110033007A (ko) 입체감 조절방법 및 조절장치와 이를 이용한 3d 비디오 인코더 및 3d 단말
Aflaki et al. Flexible depth map spatial resolution in depth-enhanced multiview video coding
Ding et al. Depth map pre-processing algorithm for compression based on 3D-HEVC scheme
Aflaki et al. Frequency based adaptive spatial resolution selection for 3D video co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