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8155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155B1
KR101888155B1 KR1020110122435A KR20110122435A KR101888155B1 KR 101888155 B1 KR101888155 B1 KR 101888155B1 KR 1020110122435 A KR1020110122435 A KR 1020110122435A KR 20110122435 A KR20110122435 A KR 20110122435A KR 101888155 B1 KR101888155 B1 KR 101888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eye image
inequality
cross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6703A (ko
Inventor
이혜원
박현철
심정현
연수진
이용연
이연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2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155B1/ko
Priority to US13/683,590 priority patent/US9547933B2/en
Priority to PCT/KR2012/009936 priority patent/WO2013077648A1/en
Publication of KR20130056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10Geometric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8Adjusting depth or disparity

Abstract

디스플레이 방법이 개시된다. 복수 개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디스플레이된 복수 개의 컨텐츠 중 포커싱될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컨텐츠가 다른 컨텐츠들과 상이한 깊이값을 갖도록 시차값을 조정하는 단계 및, 시차값이 조정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차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3차원 입체 영상 기술은 정보통신, 방송, 의료, 교육 훈련, 군사, 게임, 애니메이션, 가상현실, CAD, 산업 기술 등 그 응용 분야가 매우 다양하며 이러한 여러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차세대 3차원 입체 멀티미디어 정보 통신의 핵심 기반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지각하는 입체감은 관찰하고자 하는 물체의 위치에 따른 수정체의 두께 변화 정도, 양쪽 눈과 대상물과의 각도 차이, 그리고 좌우 눈에 보이는 대상물의 위치 및 형태의 차이, 대상물의 운동에 따라 생기는 시차, 그 밖에 각종 심리 및 기억에 의한 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생긴다.
그 중에서도 사람의 두 눈이 가로 방향으로 약 6~7㎝가량 떨어져 위치함으로써 나타나게 되는 양안 시차(binocular disparity)는 입체감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양안 시차에 의해 대상물에 대한 각도 차이를 가지고 바라보게 되고, 이 차이로 인해 각각의 눈에 들어오는 이미지가 서로 다른 상을 갖게 되며 이 두 영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이 두 개의 정보를 정확히 서로 융합하여 본래의 3차원 입체 영상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3차원 영상은 왼쪽 눈에서 인식되는 좌안 영상과 오른쪽 눈에서 인식하는 우안 영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간의 시차를 이용하여 영상의 입체감을 표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번갈아 표시하여 3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환경을 스테레오 3차원 영상 환경이라 한다.
한편, 2차원 영상에서는 컨텐츠를 포커싱하기 위해 하이라이트, 스케일링, 텍스쳐 등의 이미지 처리 방법을 이용하였다. 하지만, 3차원 영상의 경우에도 2차원 영상과 같이 부가적인 이미지 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포커싱할 경우 경우 사용자들에게 시각적 피로감을 유발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3차원 컨텐츠의 시차값을 조정하여 포커싱 효과를 부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디스플레이된 복수 개의 컨텐츠 중 포커싱될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다른 컨텐츠들과 상이한 깊이값을 갖도록 시차값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시차값이 조정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차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컨텐츠의 교차 부등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교차 부등값을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과 상이하게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교차 부등값은,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구성하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각각 기준 위치에서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이며, 상기 기준 위치는, x축 상에서 상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평균 위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차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교차 부등값을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높게 설정하여 사용자 방향으로 튀어 나와 보이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시차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교차 부등값을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높게 설정하는 경우, 상기 좌안 영상은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높은 값을 갖도록 상기 기준 위치에서 이동시키고, 상기 우안 영상은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낮은 값을 갖도록 상기 기준 위치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시차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교차 부등값을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낮게 설정하여 사용자 역방향으로 들어가 보이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시차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교차 부등값을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낮게 설정하는 경우, 상기 좌안 영상은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낮은 값을 갖도록 상기 기준 위치에서 이동시키고, 상기 우안 영상은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높은 값을 갖도록 상기 기준 위치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 개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복수 개의 컨텐츠 중 포커싱될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가 다른 컨텐츠들과 상이한 깊이값을 갖도록 시차값을 조정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컨텐츠의 교차 부등값을 산출하고,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교차 부등값을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차 부등값은, 상기 선택된 컨텐츠를 구성하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각각 기준 위치에서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이며, 상기 기준 위치는, x축 상에서 상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평균 위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차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교차 부등값을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높게 설정하여 사용자 방향으로 튀어 나와 보이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시차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교차 부등값을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높게 설정하는 경우, 상기 좌안 영상은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높은 값을 갖도록 상기 기준 위치에서 이동시키고, 상기 우안 영상은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낮은 값을 갖도록 상기 기준 위치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차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교차 부등값을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낮게 설정하여 사용자 역방향으로 들어가 보이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시차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교차 부등값을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낮게 설정하는 경우, 상기 좌안 영상은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낮은 값을 갖도록 상기 기준 위치에서 이동시키고, 상기 우안 영상은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높은 값을 갖도록 상기 기준 위치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테레오 3차원 영상에서 입체감을 주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포커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 내지 5c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컨텐츠 포커싱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a 내지 6f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컨텐츠 포커싱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 내지 7f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컨텐츠 포커싱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관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3차원 안경(200)과 통신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생성하여 번갈아 디스플레이 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3차원 안경(200)을 이용하여 왼쪽 눈과 오른쪽 눈으로 번갈아 봄으로써 3차원 입체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화면에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번갈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생성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에 대한 동기신호를 생성하여 3차원 안경(200)으로 전송한다.
3차원 안경(2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된 동기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과 동기를 맞추어 좌안 글래스와 우안 글래스를 번갈아 오픈(open)한다. 다만, 이는 셔터 글래스 타입의 3차원 안경을 이용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며, 패시브 타입의 3차원 안경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3차원 안경(200)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3차원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에 3차원 영상과 함께 컨텐츠를 3차원 GUI(Graphic User Interface)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다. 즉,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GUI도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에 포함되어 특정 깊이값을 가지도록 표시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GUI를 화면 표면상의 위치에 해당되는 깊이값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 개의 컨텐츠 중 기설정된 이벤트 또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포커싱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깊이값을 다른 컨텐츠와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별도의 이미지 처리 과정(하이라이트, 스케일링, 텍스쳐, 원근감 효과 처리 등)을 거칠 필요 없이 특정 컨텐츠에 포커싱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수신부(110), 영상 처리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제어부(140), 저장부(15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60), UI 처리부(170) 및 동기 신호 처리부(180)를 포함한다.
한편, 도 2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3D TV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지털 TV,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폰, MP3 플레이어, 오디오(Audio) 기기, 휴대용 텔레비전,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이 3D UI 요소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모든 장치들로 구현가능하다.
영상 수신부(110)는 방송국 또는 위성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2D 또는 3D 영상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한다. 또한, 영상 수신부(110)는 카메라 등의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외부기기로부터 3D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외부기기는 무선으로 연결되거나 S-Video, 컴포넌트, 컴포지트, D-Sub, DVI, HDMI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2D 영상 처리 방법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하에서는 3D 영상 처리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3D 영상은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영상으로서, 하나의 영상 프레임에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포함되거나 각 프레임이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으로 구성된 영상을 의미한다. 즉, 3D 영상은, 다양한 3D 포맷들 중 하나에 따라 생성된 영상이 될 수 있다.
영상 수신부(110)는 수신된 2D 영상 또는 3D 영상을 영상 처리부(120)로 전달한다.
영상 처리부(120)는, 영상 수신부(110)로 수신된 2D 영상 또는 3D 영상에 대해 비디오 디코딩, 포맷 분석, 비디오 스케일링 등의 신호처리 및 GUI(Graphic User Interface) 부가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특히, 영상 처리부(120)는 영상 수신부(110)로 입력된 2D 영상 또는 3D 영상의 포맷을 이용하여, 한 화면의 크기(예를 들어, 1920*1080)에 해당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각각 생성한다.
예를 들어, 영상 처리부(120)는 각 영상 프레임에서 좌안 영상 부분과 우안 영상 부분을 각각 추출하여, 추출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확대 스케일링 또는 보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각각 생성하게 된다.
또한, 3D 영상의 포맷이 일반적인 프레임 시퀀스 방식일 경우, 영상 처리부(220)는 각 프레임에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준비를 하게 된다.
한편, 입력된 3D 영상의 포맷에 대한 정보는 3D 영상 신호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된 3D 영상의 포맷에 대한 정보가 3D 영상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영상 처리부(120)는 3D 영상을 분석하여 포맷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에 따라 수신된 3D 영상을 처리하게 된다. 반면, 입력된 3D 영상의 포맷에 대한 정보가 3D 영상 신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영상 처리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포맷에 따라 수신된 3D 영상을 처리하거나 미리 설정된 포맷에 따라 수신된 3D 영상을 처리하게 된다.
영상 처리부(120)는 추출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시분할하여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부(130)로 전달한다. 즉, 영상 처리부(120)는 '좌안 영상(L1) -> 우안 영상(R1) -> 좌안 영상(L2) -> 우안 영상(R2) -> …'의 시간적 순서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30)로 전달한다.
또한, 영상 처리부(120)는 OSD 처리부(150)에서 생성된 OSD 영상을 블랙 영상에 삽입하여 처리하거나, 그 자체를 하나의 영상으로 처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 처리부(120)에서 출력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교번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 명령 또는 기설정된 옵션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40)는 영상 수신부(110) 및 영상 처리부(120)를 제어하여, 3D 영상이 수신되고, 수신된 3D 영상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분리되며, 분리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각각이 하나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크기로 스케일링 또는 보간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제공되는 영상의 편광 방향이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에 일치되게 스위칭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후술하는 UI 처리부(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UI 처리부(150)는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되는 2D 또는 3D 영상에 오버랩되어 표시되는 컨텐츠를 GUI(Graphic User Interface) 형태로 생성하여 3차원 영상에 삽입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메뉴 화면, 경고 문구, 시간이나 채널번호 등의 문자나 도형, 어플리케이션 등이 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메뉴들로부터 선택하기 위해 조작 패널이나 리모트 컨트롤러와 같은 입력 장치들을 조작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메인 메뉴, 서브 메뉴 등이 OSD 형태의 UI 요소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메뉴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선택할 수 있는 옵션 항목들을 포함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조정할 수 있는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UI 처리부(15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UI 요소의 2D/3D 전환, 투명도, 색상, 크기, 형태 및 위치 조정, 하이라이트, 애니메이션 효과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입체영상표시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저장매체로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등으로 구현가능하다. 예를 들어 저장부는 제어부(140)의 동작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ROM, 제어부(140)의 동작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RAM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EE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는 리모콘, 입력 패널 등의 입력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을 제어부(140)로 전달한다.
한편, 제어부(140)는 영상 수신부(110) 및 영상 처리부(120)를 제어하여, 3D 영상이 수신되고, 수신된 3D 영상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분리되며, 분리된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각각이 하나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크기로 스케일링 또는 보간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부(130)에 디스플레이되는 복수개의 컨텐츠들 각각에 대해 깊이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복수개의 컨텐츠 중 포커싱될 컨텐츠에 대해서는 다른 컨텐츠들과 상이한 깊이값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깊이값은 3차원 영상에서 깊이감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를 의미한다. 3차원 영상은 화면 상의 상하좌우의 위치뿐만 아니라 시청자의 시선 방향인 앞뒤 방향의 위치에 해당되는 깊이감도 표현할 수 있다. 이 때, 깊이감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사이의 시차(disparity)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3차원 컨텐츠의 깊이값은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사이의 시차에 대응되게 된다.
제어부(160)는 복수개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포커싱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컨텐츠의 깊이값을 재설정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컨텐츠들의 깊이값을 재설정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컨텐츠의 깊이값을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하이라이트 효과가 순차적으로 선명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해당 컨텐츠 항목의 깊이값이 -4에서 0으로 변경될 경우, 제어부(160)는 해당 컨텐츠 항목을 깊이값 -3, -2, -1에서 각각 한번씩 표시함으로써, -4에서 0까지 하이라이트 효과가 점차 선명해지도록 표시되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테레오 3차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포커싱 효과를 해당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시차만을 조정하여 구현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이미지 처리 과정(하이라이트, 스케일링, 텍스쳐, 원근감 효과 처리 등)을 거칠 필요 없이 포커싱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테레오 3차원 영상에서 입체감을 주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오브젝트에 대한 일반 영상 이미지로서 사용자는 스크린에 생성된 하나의 영상에 초점을 맞추게 되어 사용자와 스크린의 간격만큼의 거리감을 가지게 된다.
도 3b는 오브젝트가 앞으로 튀어 나와 보이는 + 깊이값을 갖는 이미지로서 우안 영상 및 좌안 영상을 엇갈리는 방향으로 분리하여 사용자에게 투사함으로써 사용자는 해당 오브젝트가 실제보다 가까이 있다는 스테레오스코픽적인 느낌을 가지게 된다. 이를 교차 부등(crossed disparity)이라고 한다.
도 3c는 컨텐츠가 화면 뒤쪽에 위치하는 - 깊이값을 갖는 이미지로서 우안 영상 및 좌안 영상을 각각의 방향으로 분리하여 투사함으로써 사용자는 해당 오브젝트가 실제 거리보다 멀리 있다는 스테레오스코픽적인 느낌을 가지게 된다. 이를 비교차 부등(uncrossed disparity)이라고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포커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UI 컨텐츠(A, B, D) 간에 시차(disparity) 차이가 없는 경우, 포커싱될 UI 컨텐츠(C)에 상이한 시차 값을 주어 해당 컨텐츠에 포커싱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에는 동적 컨텐츠 뿐 아니라, 텍스트, 스틸 이미지도 포함될 수 있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UI 컨텐츠(A, B, D)의 교차 부등값이 x로 동일한 경우 포커싱될 UI 컨텐츠(C)에는 x보다 큰 크기의 교차 부등값 y를 주어 해당 컨텐츠에 포커싱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도 5a 내지 5c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컨텐츠 포커싱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컨텐츠에 해당하는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의 평균 위치를 각각 XL, XR이라 하고, XL, XR의 평균 위치를 XLR이라고 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XLR 및 XL간의 거리값 XU(또는 XLR 및 XR 간의 거리값)를 교차 부등값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교차 부등값을 다른 컨텐츠들과 상이한 값인 XF으로 설정하였다면,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XLR 에서 XF 거리만큼 이동시켜 해당 컨텐츠에 포커싱 효과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도 6a 내지 6f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컨텐츠 포커싱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6a 내지 6f는 포커싱된 컨텐츠가 상대적으로 튀어 나와 보이게 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컨텐츠가 Z0 또는 Z+ 축에 위치하는 경우와 Z-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누어 설명하도록 한다.
컨텐츠가 Z0 또는 Z+ 축에 위치하는 경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되지 않은 복수의 컨텐츠의 교차 부등값을 XU라 할 경우, 좌안 영상은 XU만큼 중앙(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평균 x 축 위치 값:XLR )에서 우측으로 이동되어 있고, 우안 영상은 - XU만큼 이동된 상태라 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a에 도시된 선택되지 않은 컨텐츠 대비 선택된 컨텐츠, 즉 포커스된 컨텐츠를 사용자 방향으로 튀어 나와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선택된 컨텐츠의 교차 부등값을 XU 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안 영상은 XU 보다 높은 수치로 중앙(XLR)에서 이동시키고, 우안 영상은 -XU 보다 낮은 수치로 중앙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수치적으로, 좌안 영상은 XU 보다 높은 수치, 즉, XU +α(α〉0)값 만큼 중앙(XLR)에서 이동시키고, 우안 영상은 -(XU +α)(α〉0)값 만큼 중앙(XLR)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c는 도 6a 및 도 6b의 컨텐츠 포커싱 방법에 따른 컨텐츠 위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에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교차 부등값을 변경시킴으로 인해 컨텐츠가 사용자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튀어 나와 보이도록 포커싱할 수 있게 된다.
컨텐츠가 Z- 축에 위치하는 경우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되지 않은 복수의 컨텐츠의 교차 부등값을 XU라 할 경우, 좌안 영상은 XU만큼 중앙(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평균 x 축 위치 값:XLR )에서 이동되어 있고, 우안 영상은 - XU만큼 이동된 상태라 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a에 도시된 선택되지 않은 컨텐츠 대비 선택된 컨텐츠, 즉 포커스된 컨텐츠를 사용자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튀어 나와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선택된 컨텐츠의 교차 부등값을 XU 보다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안 영상은 XU 보다 높은 수치로 중앙(XLR)에서 이동시키고, 우안 영상은 -XU 보다 낮은 수치로 중앙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수치적으로, 좌안 영상은 XU 보다 높은 수치, 즉, XU +α(α〉0)값 만큼 중앙(XLR)에서 이동시키고, 우안 영상은 -(XU +α)(α〉0)값 만큼 중앙(XLR)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f는 도 6d 및 도 6e의 컨텐츠 포커싱 방법에 따른 컨텐츠 위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에서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교차 부등값을 변경시킴으로 인해 컨텐츠가 사용자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튀어 나와 보이도록 포커싱할 수 있게 된다.
도 7a 내지 7f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컨텐츠 포커싱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7a 내지 7f는 포커싱된 컨텐츠가 상대적으로 들어가 보이게 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컨텐츠가 Z0, Z+ 축에 위치하는 경우와 Z-에 위치하는 경우를 나누어 설명하도록 한다.
컨텐츠가 Z0 또는 Z+ 축에 위치하는 경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되지 않은 복수의 컨텐츠의 교차 부등값을 XU라 할 경우, 좌안 영상은 XU만큼 중앙(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평균 x 축 위치 값:XLR )에서 우측으로 이동되어 있고, 우안 영상은 - XU만큼 이동된 상태라 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a에 도시된 선택되지 않은 컨텐츠 대비 선택된 컨텐츠, 즉 포커스된 컨텐츠를 사용자 방향으로 들어가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선택된 컨텐츠의 교차 부등값을 XU 보다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안 영상은 XU 보다 낮은 수치로 중앙(XLR)에서 이동시키고, 우안 영상은 -XU 보다 높은 수치로 중앙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수치적으로, 좌안 영상은 XU 보다 낮은 수치, 즉, XU +α(α〈 0)값 만큼 중앙(XLR)에서 이동시키고, 우안 영상은 -(XU +α)(α〈 0)값 만큼 중앙(XLR)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c는 도 7a 및 도 7b의 컨텐츠 포커싱 방법에 따른 컨텐츠 위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에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교차 부등값을 변경시킴으로 인해 컨텐츠가 상대적으로 사용자 역방향으로 들어가 보이도록 포커싱할 수 있게 된다.
컨텐츠가 Z- 축에 위치하는 경우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되지 않은 복수의 컨텐츠의 교차 부등값을 XU라 할 경우, 좌안 영상은 XU만큼 중앙(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평균 x 축 위치 값:XLR )에서 이동되어 있고, 우안 영상은 - XU만큼 이동된 상태라 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a에 도시된 선택되지 않은 컨텐츠 대비 선택된 컨텐츠, 즉 포커스된 컨텐츠를 사용자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들어가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선택된 컨텐츠의 교차 부등값을 XU 보다 낮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안 영상은 XU 보다 낮은 수치로 중앙(XLR)에서 이동시키고, 우안 영상은 -XU 보다 높은 수치로 중앙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수치적으로, 좌안 영상은 XU 보다 높은 수치, 즉, XU +α(α〈 0)값 만큼 중앙(XLR)에서 이동시키고, 우안 영상은 -(XU +α)(α〈 0)값 만큼 중앙(XLR)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f는 도 7d 및 도 7e의 컨텐츠 포커싱 방법에 따른 컨텐츠 위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에서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교차 부등값을 변경시킴으로 인해 컨텐츠가 상대적으로 사용자 역방향으로 들어가 보이도록 포커싱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복수 개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따르면, 우선, 디스플레이된 복수 개의 컨텐츠 중 포커싱될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면(S810), 선택된 컨텐츠가 다른 컨텐츠들과 상이한 깊이값을 갖도록 시차값을 조정한다(S820).
이어서, 시차값이 조정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S830).
또한, 시차값을 조정하는 단계(S820)는, 복수 개의 컨텐츠의 교차 부등값을 산출하고, 선택된 컨텐츠의 교차 부등값을 산출된 교차 부등값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교차 부등값은, 선택된 컨텐츠를 구성하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각각 기준 위치에서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이며, 기준 위치는, x축 상에서 상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평균 위치가 될 수 있다.
또한, 시차값을 조정하는 단계(S820)는, 선택된 컨텐츠의 교차 부등값을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높게 설정하여 사용자 방향으로 튀어 나와 보이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택된 컨텐츠의 교차 부등값을 복수의 컨텐츠에 대해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높게 설정하는 경우, 좌안 영상은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높은 값을 갖도록 기준 위치에서 이동시키고, 우안 영상은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낮은 값을 갖도록 기준 위치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시차값을 조정하는 단계(S820)는, 선택된 컨텐츠의 교차 부등값을 복수의 컨텐츠에 대해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낮게 설정하여 사용자 역방향으로 들어가 보이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택된 컨텐츠의 교차 부등값을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낮게 설정하는 경우, 좌안 영상은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낮은 값을 갖도록 기준 위치에서 이동시키고, 우안 영상은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높은 값을 갖도록 기준 위치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저장매체, 즉,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별도의 이미지 처리 과정(하이라이트, 스케일링, 텍스쳐, 원근감 효과 처리 등)을 거칠 필요 없이 특정 컨텐츠에 포커싱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110: 영상 수신부
120: 영상 처리부 130: 영상 출력부
140: 제어부 150: 저장부
16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70: UI 처리부
180: 동기 신호 처리부 200: 3D 안경

Claims (14)

  1. 3차원 컨텐츠 및 복수 개의 3차원 GUI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3차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3차원 GUI를 상기 3차원 컨텐츠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복수 개의 GUI 중 포커싱될 적어도 하나의 GUI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GUI가 다른 GUI들과 상이한 깊이값을 갖도록 시차값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시차값이 조정된 G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차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GUI의 교차 부등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GUI의 교차 부등값을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과 상이하게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GUI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상기 설정된 교차 부등값에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선택된 GUI가 사용자 방향으로 튀어나와 보이게 하거나 사용자 역방향으로 들어가보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부등값은,
    상기 선택된 GUI를 구성하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각각 기준 위치에서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이며,
    상기 기준 위치는,
    x축 상에서 상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평균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차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GUI의 교차 부등값을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높게 설정하여 사용자 방향으로 튀어 나와 보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차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GUI의 교차 부등값을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높게 설정하는 경우, 상기 좌안 영상은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높은 값을 갖도록 상기 기준 위치에서 이동시키고, 상기 우안 영상은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낮은 값을 갖도록 상기 기준 위치에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차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GUI의 교차 부등값을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낮게 설정하여 사용자 역방향으로 들어가 보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차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GUI의 교차 부등값을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낮게 설정하는 경우, 상기 좌안 영상은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낮은 값을 갖도록 상기 기준 위치에서 이동시키고, 상기 우안 영상은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높은 값을 갖도록 상기 기준 위치에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8. 디스플레이부; 및
    3차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복수 개의 3차원 GUI를 상기 3차원 컨텐츠에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된 복수 개의 GUI 중 포커싱될 적어도 하나의 GUI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GUI가 다른 GUI들과 상이한 깊이값을 갖도록 시차값을 조정하고, 상기 시차값이 조정된 G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GUI의 교차 부등값을 산출하고, 상기 선택된 GUI의 교차 부등값을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과 상이하게 설정하며, 상기 선택된 GUI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상기 설정된 교차 부등값에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선택된 GUI가 사용자 방향으로 튀어나와 보이게 하거나 사용자 역방향으로 들어가 보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 부등값은,
    상기 선택된 GUI를 구성하는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이 각각 기준 위치에서 좌측 및 우측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이며,
    상기 기준 위치는,
    x축 상에서 상기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의 평균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차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GUI의 교차 부등값을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높게 설정하여 사용자 방향으로 튀어 나와 보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차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GUI의 교차 부등값을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높게 설정하는 경우, 상기 좌안 영상은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높은 값을 갖도록 상기 기준 위치에서 이동시키고, 상기 우안 영상은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낮은 값을 갖도록 상기 기준 위치에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차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GUI의 교차 부등값을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낮게 설정하여 사용자 역방향으로 들어가 보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차값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GUI의 교차 부등값을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낮게 설정하는 경우, 상기 좌안 영상은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낮은 값을 갖도록 상기 기준 위치에서 이동시키고, 상기 우안 영상은 상기 산출된 교차 부등값보다 높은 값을 갖도록 상기 기준 위치에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0122435A 2011-11-22 2011-11-22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1888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435A KR101888155B1 (ko) 2011-11-22 2011-11-22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13/683,590 US9547933B2 (en) 2011-11-22 2012-11-21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PCT/KR2012/009936 WO2013077648A1 (en) 2011-11-22 2012-11-22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435A KR101888155B1 (ko) 2011-11-22 2011-11-22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703A KR20130056703A (ko) 2013-05-30
KR101888155B1 true KR101888155B1 (ko) 2018-08-16

Family

ID=48426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435A KR101888155B1 (ko) 2011-11-22 2011-11-22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547933B2 (ko)
KR (1) KR101888155B1 (ko)
WO (1) WO20130776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72517A (zh) * 2015-12-28 2016-08-17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虚拟现实调整视差的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905B1 (ko) * 2002-03-27 2008-03-11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입체 화상 처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69607B2 (en) 2002-03-27 2013-02-05 Sanyo Electric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three-dimensional images
JP5427035B2 (ja) 2006-09-19 2014-02-26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複数の個別設定を用いた画像観察
KR101345303B1 (ko) 2007-03-29 2013-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테레오 또는 다시점 영상의 입체감 조정 방법 및 장치
KR101088144B1 (ko) 2009-08-07 2011-12-02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물체의 거리 측정 방법
KR20110057629A (ko) * 2009-11-24 2011-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Ui 제공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수신기
JP2011147067A (ja) * 2010-01-18 2011-07-28 Sony Corp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EP2549762B1 (en) * 2010-03-19 2017-05-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tereovision-image position matching apparatus, stereovision-image position matching method, and program therefor
KR101691795B1 (ko) * 2010-04-23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20069143A1 (en) * 2010-09-20 2012-03-22 Joseph Yao Hua Chu Object tracking and highlighting in stereoscopic imag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905B1 (ko) * 2002-03-27 2008-03-11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입체 화상 처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47933B2 (en) 2017-01-17
KR20130056703A (ko) 2013-05-30
WO2013077648A1 (en) 2013-05-30
US20130127843A1 (en)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559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EP2456217B1 (en) Method of providing 3D image and 3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EP2448276B1 (en) GUI provid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and 3D image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TWI444036B (zh) 2d至3d使用者介面內容資料轉換
KR101569150B1 (ko) 3차원 영상기기 및 이에 적용되는 osd 제공방법
JP5059922B2 (ja) 立体画像生成装置、立体画像表示装置、立体画像調整方法、立体画像調整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RU2598989C2 (ru)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трехмерн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отображения для такового
US20110248989A1 (en) 3d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setting display mode, and 3d display system
KR2012003232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영상 처리 방법
KR101648864B1 (ko) 3d 영상에 대한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3d 영상 제공 시스템
KR101812189B1 (ko) 3차원 gui를 이용한 컨텐츠 리스트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3차원 디스플레이장치
KR10188815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10181684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osd 제공방법
KR10162096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3d 영상 미리보기 제공 방법, 그리고 3d 영상 제공 시스템
KR10171378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gui 제공 방법
KR20110062983A (ko) 3d 영상의 입체감 조절 요소를 설정하는 g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gui 제공 방법
KR101598916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20110057948A (ko) 디스플레이 장치, 3d 영상 제공 방법 및 3d 영상 제공 시스템
KR2011005795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3d 영상 변환 방법, 그리고 3d 영상 제공 시스템
KR20130085850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