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6809A - 흙막이 벽체 시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케이싱 시스템 - Google Patents

흙막이 벽체 시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케이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6809A
KR20080086809A KR1020070124429A KR20070124429A KR20080086809A KR 20080086809 A KR20080086809 A KR 20080086809A KR 1020070124429 A KR1020070124429 A KR 1020070124429A KR 20070124429 A KR20070124429 A KR 20070124429A KR 20080086809 A KR20080086809 A KR 20080086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wall
opening
drilling ho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4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2886B1 (ko
Inventor
박영옥
Original Assignee
엄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기형 filed Critical 엄기형
Publication of KR20080086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6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0Bulkheads or similar walls made of prefabricated parts and concrete, including reinforced concrete,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both placing and remov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or mould-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2Compacting the soil at the footing or in or along a casing by forcing cement or like material through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66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5/68Mould-pipes or other moulds for making bulkheads or el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 공사를 실시할 때에 지반에서 발생되는 지하수와 토사가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거나 지반이 무너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흙막이 벽체를 설치하기 위한 공법과 이에 사용되는 케이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오거머신과 같은 굴착기를 사용하여 지반에 장형 제1굴착홀을 형성하는 제1굴착단계; 상기 제1굴착홀에 인접하게 제2굴착홀을 형성하는 제2굴착단계; 상기 제2굴착단계 이전 또는 이후 또는 동시에 상기 제1굴착홀 내부에 장형의 통공형 제1케이싱을 하방 삽입 설치하는 제1케이싱 배치, 하강단계; 상기 제1굴착홀에 인접한 상기 제2굴착홀의 상부에 장형의 통공형 제2케이싱을 설치하는 제2케이싱 배치단계; 및 상기 제2케이싱이 상기 제1케이싱의 측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하방 가압하여, 상기 제2케이싱의 하부가 상기 제1굴착홀과 상기 제2굴착홀 사이에 잔존된 지반을 긁어 내리며 수직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제2케이싱 하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케이싱이 상호 밀접하고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흙막이 벽체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보다 견고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다수의 케이싱이 상호 원하는 위치와 방향에 손쉽게 변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흙막이 벽체 시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A Foundation Method Of Cut Off wall By Casing and the Casing system}
도 1은 오거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케이싱이 바닥면에 박혀 있는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오거장치에 의해 굴착홀이 형성된 단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케이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케이싱이 설치된 평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케이싱 설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케이싱의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케이싱의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다양한 형태의 케이싱 결합 상태 평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다양한 형태의 다른 케이싱 결합 상태 평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커넥터가 케이싱에 결합된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중심선과 케이싱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케이싱과 그 결합의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분할케이싱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케이싱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케이싱 내에 시멘트 혼합물이 타설되어 경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분할케이싱의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분리형 커넥터에 분할케이싱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케이싱의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케이싱의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20의 케이싱을 측면 및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그라우팅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그라우팅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케이싱의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케이싱이 배치되는 다양한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케이싱이 배치되는 다양한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도 20의 케이싱을 변형한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케이싱이 지반에 삽입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케이싱 내부에 교반기가 투입되어 동작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케이싱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케이싱의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도 33의 케이싱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도 33의 케이싱이 굴착홀에 설치되는 단계를 평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도 33의 케이싱이 굴착홀에 설치되는 단계를 측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이중으로 구성된 케이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은 도 37의 케이싱이 배치된 상태를 평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케이싱 102 : 오목부
110 : 개방부 112 : 커넥터
114 : 커넥터 120 : 커넥터
122 : 걸림부 124 : 간격유지부
130 : 커넥터 132 : 걸림부
134 : 간격유지부 140 : 커넥터
142 : 걸림부 144 : 간격유지부
150 : 커넥터 152 : 제1걸림부
154 : 제2걸림부 156 : 간격유지부
160 : 커넥터 162 : 걸림부
164 : 고정부재 165 : 와셔
166 : 간격유지부 170 : 내측 지지부
180 : 분할케이싱 190 : 커넥터
200 : 케이싱 210 : 측벽부
212 : 돌출부 220 : 관절부
230 : 지지구 300: 케이싱
본 발명은 지하굴착 또는 절토부의 터파기 공사를 실시할 때에 인접 지반에서 발생되는 지하수와 토사가 절토부 또는 굴착 공간으로 유입되거나 지반이 무너져 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흙막이 벽체를 설치하기 위한 공법과 이에 사용되는 케이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물막이 공사, 지하 터파기 공사, 도로 확장 공사시에는 공사구간 주변으로부터 물이 흘러들어오거나, 지반이 무너지거나,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흙막이벽을 설치하게 되고, 흙막이 벽체가 차수역할을 하지 못하는 벽체일 경우 별도로 차수 기능도 갖도록 흙막이 벽체뒤 배면에 별도의 차수 그라우팅을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흙막이 벽체를 설치하게 되는데, 흙막이 벽체중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는 설치하기 전 지반에 오거장치 등을 이용하여 굴착하고, 케이싱을 설치한 후 파일 또는 철근망 등을 삽입 전 또는 후에 시멘크 밀크와 자갈을 채우거나 콘크리트를 채워넣어 지반속에 콘크리트 기둥을 형성하여야 한다. 도 1은 오거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반(G)에는 오거장치의 와이어(12)에 연결된 구동모터(10)와 그 단부에 결합된 케이스(20)와 로드(30)의 회전에 의하여, 하측 단부를 각각의 비트(22, 32)에 의해 파내려 가게 된다.
이렇게 파내려간 굴착홀에는 도 2와 같이 내부가 비어있는 케이싱(100)을 순차적으로 박아 넣고, 그 내부에 시멘트 혼합물을 부어 경화시키며, 케이싱(100)을 제거하게 된다.
이 때 케이싱(100)이 밀접하고 촘촘히 박혀 있어야만 양질의 흙막이 벽체 기능을 하게 되며, 그 사이가 벌어지거나 기울어지거나, 중간 중간에 흙, 모래 등이 축적되어 있을 때에는 그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라우팅 작업 등의 후작업을 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도 3은 오거장치에 의해 굴착홀이 형성된 단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오거장치에 의한 굴착이 정확하게 수직 방향으로 나란하고 평행하게 되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도면과 같이 제1굴착홀(h1)과 제2굴착홀(h2)이 하방으로 갈수록 멀어지거나, 제3굴착홀(h3)과 제4굴착홀(h4)과 같이 하방으로 갈수록 가까워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굴착홀과 굴착홀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에 삽입되는 케이싱(100)들의 사이에도 마찬가지로 흠이 발생하게 되며, 최종적인 흙막이 벽체 형성시 중간중간 틈이 형성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케이싱 제거 후 지반에 설치된 콘크리트 기둥이 상호 밀접하게 배치되어 차수효과가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케이싱이 원하는 위치와 방향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흙막이 벽체 시공을 위해 다수의 케이싱을 설치하는 공법에 있어서, 오거머신과 같은 굴착기를 사용하여 지반에 장형 제1굴착홀을 형성하는 제1굴착단계; 상기 제1굴착홀의 측방에 제2굴착홀을 형성하는 제2굴착단계; 상기 제2굴착단계 이전 또는 이후 또는 동시에 상기 제1굴착홀 내부에 장형의 통공형 제1케이싱을 하방 삽입 설치하는 제1케이싱 배치, 하강단계; 상기 제2굴착홀의 상부에 장형의 통공형 제2케이싱을 설치하는 제2케이싱 배치단계; 및 상기 제2케이싱이 상기 제1케이싱의 측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하방 가압하여, 상기 제2케이싱의 하부가 상기 제1굴착홀과 상기 제2굴착홀 사이에 잔존된 지반을 긁어 내리며 수직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제2케이싱 하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흙막이 벽체 설치를 위해 다수의 케이싱을 설치하는 공법에 있어서, 오거머 신과 같은 굴착기를 사용하여 지반에 장형 제1굴착홀을 형성하는 제1굴착단계; 상기 제1굴착홀의 측방에 제2굴착홀을 형성하는 제2굴착단계; 상기 제2굴착단계 이전 또는 이후 또는 동시에 상기 제1굴착홀 내부에 장형의 통공형 제1케이싱을 하방 삽입 설치하는 제1케이싱 배치, 하강단계; 상기 제2굴착홀의 상부에 통공형이며 일측이 개방된 장형의 제2케이싱을 설치하는 제2케이싱 배치단계; 및 상기 제2케이싱이 상기 제1케이싱의 측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케이싱의 개방부가 상기 제1케이싱을 향하도록 하며 수직방향으로 하방시키는 제2케이싱 하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흙막이 벽체 설치를 위해 다수의 케이싱을 설치하는 공법에 있어서, 오거머신과 같은 굴착기를 사용하여 지반에 장형 제1굴착홀을 형성하는 제1굴착단계; 상기 제1굴착홀의 측방에 제2굴착홀을 형성하는 제2굴착단계; 상기 제2굴착단계 이전 또는 이후 또는 동시에 상기 제1굴착홀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장형의 통공형 제1케이싱을 하방 삽입 설치하는 제1케이싱 배치, 하강단계; 상기 제2굴착홀의 상부에 장형의 제2케이싱을 설치하는 제2케이싱 배치단계; 및 상기 제2케이싱이 상기 제1케이싱의 측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케이싱은 상기 제1케이싱의 개방부가 향한 방향에 수직방향으로 하방시키는 제2케이싱 하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흙막이 벽체 설치를 위해 다수의 케이싱을 설치하는 공법에 있어서, 오거머신과 같은 굴착기를 사용하여 지반에 장형 제1굴착홀을 형성하는 제1굴착단계; 상기 제1굴착홀의 측방에 제2굴착홀을 형성하는 제2굴착단계; 상기 제2굴착단계 이전 또는 이후 또는 동시에 상기 제1굴착홀 내부에 장형의 통공형 제1케이싱을 하방 삽입 설치하는 제1케이싱 배치, 하강단계; 상기 제1케이싱 내부에 시멘트 혼합물을 유입시켜 경화시키는 제1기둥 경화단계; 상기 경화단계 도중 또는 상기 경화단계 종료 후에 상기 제1케이싱을 빼내는 케이싱 제거단계; 상기 케이싱 제거단계 후에 제2굴착홀의 상부에 통공형이며 일측이 개방된 장형의 제2케이싱을 설치하는 제2케이싱 배치단계; 및 상기 제2케이싱이 상기 제1케이싱의 측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케이싱의 개방부가 상기 제1케이싱을 향하도록 하며 수직방향으로 하방시키는 제2케이싱 하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굴착홀의 하부에 쌓인 지반재를 상기 제2케이싱의 내부 공간을 통해 상방으로 배출시키는 지반재 제거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케이싱 또는 상기 제2케이싱의 내측으로 교반장치를 삽입, 하강시키는 교반장치 투입단계: 및 상기 제1케이싱 또는 상기 제2케이싱의 내측에서 상기 교반장치가 케이싱 내부의 지반재 또는 하측 지반을 교반하는 교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단계의 전 또는 후 또는 도중에 상기 케이싱 내로 교반재를 유입시키는 교반재 투입단계; 상기 케이싱 내에서 교반된 재질을 경화시키는 경화단계; 및 상기 경화단계가 진행 중이거나, 진행 완료되었을 때에 상기 케이싱을 순차적 또는 일시적으로 빼내는 케이싱 제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단계 후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지지부재를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 사이에는 서로 마주보며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케이싱이 상기 제1케이싱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1케이싱의 표면을 따라 인접하여 하강될 수 있도록 상하방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싱 하강단계는: 상기 제2케이싱이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제1케이싱에 인접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단계; 및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제2케이싱이 상기 제1케이싱을 따라 수직으로 하강하는 하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케이싱에는 상기 제2케이싱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굴착홀은 상기 제1케이싱의 오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싱은 상기 제1케이싱의 오목부에 근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굴착홀은 상기 제1케이싱의 오목부에 대응되면서 상기 제1굴착홀과 공통된 영역을 포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케이싱의 하강시에, 상기 제2케이싱을 회전시키는 회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케이싱에는 상기 제2케이싱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굴착홀은 상기 제1케이싱의 평면부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싱에는 상기 제1케이싱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싱의 평면부와 상기 제1케이싱의 평면부는 근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하강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의 하측 방향으로 시멘트 혼합물을 분사하기 위한 투입장치를 지반에 삽입시키고, 상기 투입장치로부터 상기 케이싱의 하측 방향으로 시멘트 혼합물을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케이싱 또는 상기 제2케이싱의 내부에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에는 연결유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유로의 일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부는 상기 케이싱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부로 시멘트 혼합물을 투입하여 상기 케이싱의 하측 방향으로 시멘트 혼합물을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유로의 양단부는 상기 케이싱의 하측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의 하측 방향으로 시멘트 혼합물을 분사하기 위한 투입장치를 지반에 삽입시키고, 상기 투입장치는 상기 연결유로의 일단부에 연결시켜 상기 케이싱의 하측 방향으로 시멘트 혼합물을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케이싱 하강단계는: 상기 제2케이싱의 개방부가 상기 제1케이싱의 측부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케이싱 하강단계는: 상기 제2케이싱의 개방부가 상기 제1케이싱의 측부에 근접위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케이싱의 상기 개방부의 양측 테두리에는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에는 양측의 돌출부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케이싱의 상기 개방부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케이싱 하강단계는: 상기 제2케이싱의 돌출부가 상기 제1케이싱의 측부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케이싱 하강단계는: 상기 제2케이싱의 돌출부가 상기 제1케이싱의 측부에 근접위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 제거단계는 상기 경화단계가 진행 중인 때에 상기 케이싱을 제거하여, 2 이상의 케이싱 내에서 경화되는 각각의 교반된 재질이 서로 붙어 일체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흙막이 벽체 시공을 위해 다수의 케이싱이 인접하여 설치되는 케이싱 시스템에 있어서, 바닥면을 굴착하여 형성된 제1굴착홀에 삽입되고,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기둥형의 제1케이싱; 및 상기 제1굴착홀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2굴착홀에 삽입되고,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기둥형의 제2케이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의 사이에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케이싱에 상기 제2케이싱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2케이싱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케이싱에 상기 제2케이싱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1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제1개방부의 단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싱은 상기 제1커넥터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케이싱에 상기 제1케이싱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개방부의 개방측 단부는 상기 제1커넥터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케이싱에 상기 제1케이상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1케이싱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구비된 제2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케이싱에 상기 제1케이싱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2개방부의 단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싱은 상기 제2커넥터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케이싱에 상기 제2케이싱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1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개방부의 개방측 단부는 상기 제2커넥터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은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제1개방구 및 제2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개방구와 제2개방구에 동시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은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제1개방구 및 제2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개방구와 상기 제2개방구에는 상기 제1케이싱의 내부 공간과 상기 제2케이싱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기 위한 분할케이싱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개방구 또는 상기 제2개방구 중 어느 한 쪽 또는 양 쪽에 구비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케이싱은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에는 인접하는 다른 케이싱의 상기 개방구가 결합되기 위한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분할케이싱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타측 케이싱의 상기 개방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할케이싱은 어느 한쪽 개방구의 상기 커넥터에 고정된 상태에서, 인접하는 다른 케이싱의 개방구와 결합되기 위한 체결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분할케이싱은 상기 일측 케이싱의 상기 커넥터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타측 케이싱의 개방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분할케이싱에 상기 제1개방구 및 상기 제2개방구와 결합되기 위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케이싱은 상기 체결부를 통해 상기 제1케이싱의 제1개방구와 상기 제2케이싱의 제2개방구에 동시에 결합되며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분할케이싱을 상기 제1개방구 또는 상기 제2개방구에 결합시키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케이싱은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개방구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제2개방구에 결합되거나 또 는 상기 두 개방구에 동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분할케이싱을 제1개방구 또는 상기 제2개방구에 결합시키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케이싱은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개방구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제2개방구에 결합되며, 상기 분할케이싱은 상기 커넥터에 고정된 상태에서, 인접하는 다른 케이싱의 개방구와 결합되기 위한 체결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분할케이싱은 상기 일측의 케이싱의 상기 커넥터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다른 케이싱의 개방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케이싱에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케이싱에는 제2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2개방구에 삽입되어 상기 제2개방구를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케이싱에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싱에는 제1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개방구에 삽입되어 상기 제1개방구를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흙막이 벽체 설치를 위해 다수의 케이싱이 인접하여 설치되는 케이싱 시스템에 있어서, 바닥면을 굴착하여 형성된 제1굴착홀에 삽입되고,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기둥형의 제1케이싱; 및 상기 제1굴착홀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2굴착홀에 삽입되고,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기둥형의 제2케이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의 사이에는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싱의 접촉부와 상기 제2케이싱의 접촉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부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목부는 내측으로 꺾인 원호의 형태를 단면으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부는 평평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평면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케이싱의 접촉부와 상기 제2케이싱의 접촉부에는 각각 커넥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의 커넥터가 상호 맞물려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흙막이 벽체 설치를 위해 다수의 케이싱이 인접하여 설치되는 케이싱 시스템에 있어서, 바닥면을 굴착하여 형성된 제1굴착홀에 삽입되고,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기둥형의 제1케이싱; 및 상기 제1굴착홀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2굴착홀에 삽입되고,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기둥형의 제2케이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케이싱의 일측 전부 또는 일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싱의 개방부는 상기 제1케이싱의 측부를 향해 근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케이싱의 상기 개방부의 양측 테두리에는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에는 양측의 돌출부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케이싱의 상기 개방부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케이싱 및 상기 제2케이싱은 상호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2개 이상 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흙막이 벽체 설치를 위해 다수의 케이싱이 인접하여 설치되는 케이싱 시스템에 있어서, 바닥면을 굴착하여 형성된 굴착홀에 삽입되고,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기둥형의 케이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은: 2 이상의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들의 사이를 연결하며, 연결된 측벽부들이 상호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관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측벽부 중 어느 일측에는 상기 관절부가 구비되지 않아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는 지반으로 삽입가능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벽부들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측벽부를 외측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가 더 포함되고, 상기 지지구는 상기 케이싱의 설치 전 또는 후에 상기 다수의 측벽부가 배치되는 내측 공간을 향하여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흙막이 벽체 시공을 위해 다수의 케이싱을 설치하는 공법에 있어서, 오거머신과 같은 굴착기를 사용하여 지반에 장형 굴착홀을 형성하는 굴착단계; 상기 굴착홀의 상부에 장형의 케이싱을 설치하는 케이싱 배치단계; 상기 굴착홀의 내부에 장형의 케이싱을 하방 삽입 설치하는 케이싱 하강단계; 상기 케이싱의 내측으로 교반장치를 삽입, 하강시키는 교반장치 투입단계: 및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서 상기 교 반장치가 케이싱 내부의 지반재 또는 하측 지반을 교반하는 교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단계의 전 또는 후 또는 도중에 상기 케이싱 내로 교반재를 유입시키는 교반재 투입단계; 및 상기 케이싱 내에서 교반된 재질을 경화시키는 경화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화단계가 진행 중이거나, 진행 완료되었을 때에 상기 케이싱을 빼내는 케이싱 제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단계 후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지지부재를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 제거단계는 상기 경화단계가 진행 중인 때에 상기 케이싱을 제거하여, 2 이상의 근접한 케이싱 내에서 경화되는 각각의 교반된 재질이 서로 붙어 일체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흙막이 벽체 시공을 위해 다수의 케이싱을 설치하는 공법에 있어서, 오거머신과 같은 굴착기를 사용하여 지반에 장형 제1굴착홀을 형성하는 제1굴착단계; 제2굴착단계 이전 또는 이후 또는 동시에 상기 제1굴착홀 내부에 장형의 통공형 제1외측케이싱을 하방 삽입 설치하는 제1외측케이싱 배치, 하강단계; 상기 제1외측케이싱의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제1내측케이싱을 하방 삽입 설치하는 제1내측케이싱 배치, 하강단계; 상기 제1굴착홀의 측방에 제2굴착홀을 형성하는 상기 제2굴착단계; 상기 제2굴착홀의 상부에 장형의 통공형 제2외측케이싱을 위치시키는 제2외측케이싱 배치단계; 상기 제2외측케이싱을 하강시켜 상기 제2굴착홀 내부에 삽입 설치하 는 제2외측케이싱 하강단계; 상기 제2외측케이싱의 상부에 일측이 개방된 제2내측케이싱을 위치시키는 제2내측케이싱 배치단계; 상기 제2내측케이싱을 수직으로 하강시키는 제2내측케이싱 하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굴착홀 또는 제2굴착홀의 하부에 쌓인 지반재를 상방으로 배출시키는 지반재 제거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내측케이싱 또는 상기 제2내측케이싱의 내측으로 교반장치를 삽입, 하강시키는 교반장치 투입단계; 및 상기 제1내측케이싱 또는 상기 제2내측케이싱의 내측에서 상기 교반장치가 케이싱 내부의 지반재 또는 하측 지반을 교반하는 교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반단계의 전 또는 후 또는 도중에 상기 내측케이싱 내로 교반재를 유입시키는 교반재 투입단계; 상기 내측케이싱 내에서 교반된 재질을 경화시키는 경화단계; 상기 교반재 투입단계 이전 또는 상기 경화단계 이전 또는 상기 경화단계가 진행 중인 때에 상기 외측케이싱을 순차적 또는 일시적으로 빼내는 외측케이싱 제거단계; 및 상기 외측케이싱 제거단계 후 상기 경화단계가 진행 중이거나, 진행 완료되었을 때에 상기 내측케이싱을 빼내는 내측케이싱 제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케이싱 내로 교반재를 유입시키는 교반재 투입단계; 상기 내측케이싱 내에서 교반된 재질을 경화시키는 경화단계; 상기 교반재 투입단계 이전 또는 상기 경화단계 이전 또는 상기 경화단계가 진행 중인 때에 상기 외측케이싱을 순차적 또는 일시적으로 빼내는 외측케이싱 제거단계; 및 상기 외측케이싱 제거단계 후 상기 경화단계가 진행 중이거나, 진행 완료되었을 때에 상기 내측케이싱을 빼내는 내측케이싱 제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케이싱 제거단계는 상기 경화단계가 진행 중이거나, 진행 완료되었을 때에 상기 내측케이싱을 제거하여, 2 이상의 근접한 내측케이싱 내에서 경화되는 각각의 교반된 재질이 서로 붙어 일체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외측케이싱배치, 하강단계, 또는 상기 제2외측케이싱배치, 하강단계는: 각각 굴착홀을 형성하는 상기 제1굴착단계, 또는 상기 제2굴착단계와 동시에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내측케이싱배치, 하강단계, 또는 상기 제2내측케이싱배치, 하강단계는: 각각 상기 제1외측케이싱배치, 하강단계, 또는 상기 제2외측케이싱배치, 하강단계와 동시에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외측케이싱은 상기 제1외측케이싱을 인출한 것을 재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흙막이 벽체 시공을 위해 다수의 케이싱을 설치하는 공법에 있어서, 오거머신과 같은 굴착기를 사용하여 지반에 장형 제1굴착홀을 형성하는 제1굴착단계; 상기 제1굴착홀 내부에 장형의 통공형 제1외측케이싱을 하방 삽입 설치하는 제1외측케이싱 배치, 하강단계; 상기 제1외측케이싱의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제1내측케이싱을 하방 삽입 설치하는 제1내측케이싱 배치, 하강단계; 상기 내측케이싱 내로 교반재를 유입시키는 교반재 투입단계; 상기 내측케이싱 내에서 교반재를 경화시키는 경화단계; 상기 교반재 투입단계 이전 또는 상기 경화단계 이전 또는 상기 경화단 계가 진행 중인 때에 상기 외측케이싱을 빼내는 제1외측케이싱 제거단계; 및 상기 제1외측케이싱 제거단계 후 상기 경화단계가 진행 중이거나, 진행 완료되었을 때에 상기 제1내측케이싱을 빼내는 내측케이싱 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흙막이 벽체 설치를 위해 다수의 케이싱이 인접하여 설치되는 케이싱 시스템에 있어서, 바닥면을 굴착하여 형성된 제1굴착홀에 삽입되고,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기둥형의 제1외측케이싱과, 상기 제1외측케이싱의 내측 공간에 위치되는 기둥형의 제1내측케이싱을 포함하는 제1케이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내측케이싱에는 차단되지 않은 개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 구성의 일 실시례들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케이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호 연접하는 2개의 케이싱(100)은 상호 결합부를 통해 서로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 및 지지된다. 결합부는 커넥터(120)를 구비하고, 커넥터(120)는 타 케이싱(100)의 개방부(110)에 결합되면서 슬라이딩 이동 및 고정된다.
원통형의 일측 케이싱(100, 제1케이싱)과 이에 밀접 배치되는 타측 케이 싱(100, 제2케이싱)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개방부(110)와 커넥터(120)가 형성된다. 개방부(110)는 상단부터 하단까지 긴 직선형으로 절개되어 일정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고, 커넥터(120)는 단부가 걸림부(122)로서 다소 큰 단면을 갖도록 구성되고, 그 중간에는 간격유지부(124)가 개재된다.
제2케이싱(100)은 제1케이싱(100)이 박혀 있는 이후에 상방으로부터 개방부(110)에 커넥터(120)의 걸림부(122)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삽입한 후, 하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며 이동시킨다. 이 때 걸림부(122)가 개방부(11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므로, 제2케이싱(100)은 제1케이싱(100)에 밀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내려가게 된다.
도 5는 도 4의 케이싱이 설치된 평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3개의 케이싱(100)을 커넥터(120)와 개방부(110)를 통해 연접시켜 배치시킨 것이다. 케이싱(100)이 커넥터(120)와 개방부(110)에 의해 지지되므로, 서로 떨어지지 않고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그 내부에 시멘트 혼합물을 유입시켜 경화시키며 케이싱(100)을 제거하는 경우에, 서로 밀접하게 배치되면서 흙막이 벽체를 형성하게 된다. 특히 시멘트 혼합물이 완전히 경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케이싱(100)을 제거하는 경우, 밀접하게 배치된 시멘트 혼합물이 서로서로 접착되어 완전한 밀폐를 이루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케이싱 설치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먼저 제1굴착홀을 형성한 후 제1케이싱(100)을 삽입한다. 그 옆에 나란히 제2굴착홀을 형성한 후, 결합부에 의해 제2케이싱(100)을 제1케이싱(100)에 결합시키며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굴착홀 사이의 틈에 남아 있는 지반재 예컨대 지반, 모래, 흙 등은 케이싱(100)의 하방 가압에 의해 깎여 내려가게 된다. 이 때에도 제2케이싱(100)은 제1케이싱(100)으로부터 멀어지지 않고, 밀착된 상태로 하방 이동하게 된다. 제2케이싱(100)이 목적 위치까지 하방으로 내려간 경우에는 그 내부에 깎여서 누적된 지반, 모래, 흙 등의 이물질을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외부로 꺼내게 된다. 예컨대 케이싱(100) 내로 행그러브(HANG GRAB)를 투입하여 퍼내거나, 케이싱(100)의 내부 지름보다 작은 스크류 장치를 투입하여 퍼내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케이싱의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케이싱(100)의 개방부(110)는 상측부터 하측까지 완전 개방된 형태(a)를 갖도록 하거나, 측방의 어느 일정 높이부터 개방된 형태(b)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높이와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케이싱의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결합부인 케이싱(100)의 커넥터(120) 역시도, 상측부터 하측까지 일체로 연결된 장형이거나(a), 어느 일정 부분에만 부분적으로 커넥터가 형성되도록 하거나(b), (c)와 같이 별도로 케이싱(100)에 부착시키고 결합시키는 커넥터(130, 140) 를 사용할 수도 있다.
커넥터(130)는 케이싱(100)의 상하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걸림부(132)와 간격유지부(134)를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다른 커넥터(140)는 케이싱(100)의 다양한 위치에 자유롭게 결합되며, 볼트와 같은 형상이 될 수도 있다. 142는 걸림부이고 144는 간격유지부이다.
도 9는 다양한 형태의 케이싱 결합 상태 평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좌측에서 두 번째 케이싱(100)에 형성된 것과 같이 원주면에 접하도록 커넥터(120)가 형성되어 개방구에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고, 두 번째 및 세 번째 케이싱(100)의 사이에 있는 것과 같이, 양측의 개방구에 동시에 걸리도록 양측에 제1걸림부(152)와 제2걸림부(154)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네 번째 및 다섯 번째 케이싱(100)의 사이에 있는 것과 같이 H와 같은 형태로, 양측에 제1,2걸림부(152, 154)를 갖고, 그 중간에 간격이 있는 간격유지부(156)가 형성된 커넥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0은 다양한 형태의 다른 케이싱 결합 상태 평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케이싱(100)에 다양한 형태의 오목부(102)를 형성하고, 오목부(102)에 다른 케이싱(100)이 일부 내입되면서 커넥터(120)를 통해 상호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커넥터가 케이싱에 결합된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커넥터(160)는 케이싱(100)의 다양한 방향에 결합될 수 있다. (a)와 같이, 개방구(110)와 커넥터(160)의 방향을 조절하여, 케이싱(100)의 연결 방향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b)와 같이, 커넥터(160)는 걸림부(152)와 간격유지부(166)를 갖는 볼트 형태의 것을 고정부재(164)와 와셔(165) 등을 사용하여 케이싱(100)의 벽체를 천공하여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c)와 같이, 커넥터(160)는 개방구(110)와의 사이각을 조절하여 다양한 각도와 방향을 갖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12는 중심선과 케이싱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예전 방식에 따르면 (a)와 같이 방향 전환에 따른 상호 고정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설계상의 중심선(C)를 벗어나서(A 부분) 설치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를 갖는 케이싱(100)은 커넥터(120)에 의해 방향 전환시에도 견고하게 고정이 가능하므로, 중심선을 맞추면서 방향을 전환하여(B 부분) 케이싱(100)의 진행 방향을 자유롭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케이싱과 그 결합의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케이싱(100)의 개방부(110) 측에는 그 내면에 내측 지지부(17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내측 지지부(170)는 개방부(110)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 고, 케이싱(100)의 양측으로 개방부(110)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b)를 참조하면, 개방부(110)에는 별도의 분할케이싱(180)을 결합시킬 수도 있다. 분할케이싱(180)은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 사이의 공간을 차단하여 분할하는 역할을 하며, 선택에 따라 시멘트 혼합물의 타설 후에 제거할 수 있도록 분리형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를 참조하면, 좌측으로부터 첫 번째 및 두 번째 케이싱의 사이에는 개방부(10) 내측면에 케이싱(100)의 표면에 일체로 형성된 커넥터(190)가 걸리면서 상호 결합된다. 두 번째 케이싱 및 세 번째 케이싱의 사이에는 서로 마주보며 개방부가 형성되고, 세 번째 케이싱(100)의 개방부 단면에 형성된 커넥터(190)가 타측 개방부의 단부에 걸리며 일체로 결합된다. 이 경우 두 개의 케이싱은 서로 연통되는 효과가 있다. 세 번째 케이싱은 양측으로 개방부(110)가 형성되므로, 이 경우 내측 지지부(170)가 중간 부분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분할케이싱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케이싱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의 케이싱 내에 시멘트 혼합물이 타설되어 경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분할케이싱의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케이싱(100)의 개방부 단면에는 일체로 커넥터(112)가 형성되고, 그 커넥터(112)에는 분리 가능형 분할케이싱(180)이 결합된다. 아울러 커넥터(112)에는 타측 케이싱(100)의 개방부도 결합된다.
도 15와 같이 다수의 케이싱이 결합된 후에 분할케이싱(180)을 제거하고, 시멘트 혼합물을 타설하면, 도 16과 같이 최종적으로 일체화된 시멘트 구조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7과 같이 분할케이싱(180)은 원호형,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분리형 커넥터에 분할케이싱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케이싱(100)의 개방부(110) 단면에 별도의 커넥터(114)를 결합하고, 이 커넥터(114)에 분할케이싱(180)과 타측 케이싱(100)의 개방부 단면을 결합시킬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케이싱의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측방의 케이싱(100) 방향으로 형성된 오목부(102)에 제2케이싱(100)이 밀접하게 접촉되어 삽입된다. 이 경우 2개의 굴착홀이 일부 겹쳐지게 되며, 2개의 케이싱이 서로 넓은 면에서 접촉하면서 오목부(102)에 내입되면서 나란히 배치된다. 두 번째로 삽입되는 케이싱(100)은 먼저 삽입된 케이싱(100)의 오목부(102) 내에 안착되면서, 밀접하게 접촉된 상태에서 오목부(102)를 따라 하방으로 가압된다.
두 번째 삽입되는 케이싱(100)은 오목부(102)를 따라 하강하게 되므로, 경로 이탈 가능성이 적어 지반재를 깎아내리기가 보다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만약 케이싱(100)의 삽입시에 강한 지반이나 암석, 돌에 걸려 하강이 쉽게 되지 않는 경우에는 케이싱(100)을 회전시켜 하방 가압할 수도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케이싱의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1은 도 20의 케이싱을 측면 및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0은 접촉부가 평면부(102a)를 포함하는 케이싱의 설치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평면부(102a)는 도면과 같이 납작한 타원형태일 수도 있고, 원형 테두리의 일부를 절개한 듯한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이 평면부(102a) 형태의 접촉부를 상호 밀접하게 면접촉 시키면서, 빈틈이 없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싱의 내부에 행그러브(H)를 투입하였을 때, 행그러브(H)가 케이싱 내에서 회전하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평면부(102a)가 행그러브(H)의 측방을 지지하게 된다. (b)와 같이 저면에서 보면, 행그러브(H)가 케이싱 내에 빈틈이 거의 없도록 날을 벌리고 있을 수 있게 되어, 저면의 지반재를 빠짐없이 꺼낼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게 된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그라우팅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케이싱이 지반을 긁어 내려가는 경우, 하단에는 A와 같이 지반재가 쌓이게 된다. 이 지반재는 꺼내서 제거하거나, 시멘트 혼합물, 예컨대 모르타르와 같은 경화물질을 외측에서 뿌려 그라우팅하여야만 한다. 만약 그렇지 않는다면, 지반재 부분을 통해, 지하수가 누수되거나, 파손이 진행될 수 있게 된다.
시멘트 혼합물은 케이싱의 하단부에 뿌려 져야 하므로, 파이프(P)와 같은 투입부재를 지반에 꽂아서 케이싱의 하단부를 향해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입 부재는 되도록 케이싱의 하단부에 밀접한 위치까지 삽입시켜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도 23과 같이, 시멘트 혼합물(C)이 퍼지면서, 케이싱의 하단부 그라우팅을 하게 된다. 케이싱 하단부의 지반재(A)는 시멘트 혼합물(C)의 그라우팅에 의해 견고하게 경화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시멘트 혼합물(C)에 밀려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게 될 수도 있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그라우팅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a)와 같이 케이싱(100)의 삽입, 배치시 또는 그 이후에 케이싱(100)의 내부로 철망, 라스망 또는 철근을 얽히고 설키게 하여 구성한 것(b)과 같은 지지부재(200)를 투입시킬 수 있다. 이 때 지지부재(200)의 하단부에는 (c)와 같이 호스 또는 관과 같은 유입부재(H1)의 일단부를 연결시켜, 유입부재(H1)의 하단이 케이싱(100) 하단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또는, (d)와 같이, 짧은 형태의 유입부재(H2)를 지지부재(200)의 하단에 결합시켜, 케이싱(100)의 하단부에 양단부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 유입부재(H1, H2)들을 통해서, 케이싱(100)의 하부에 쌓이는 지반재의 하측으로 시멘트 혼합물을 유입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5의 (a)를 참조하면, 일단부가 케이싱(100)의 하단에 배치된 유입부재(H1)로 시멘트 혼합물을 유입시키면, 하측부터 시멘트 혼합물(c)이 차오르면서, 하단의 지반재를 들어올리는 동시에, 시멘트 혼합물(c)이 하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들어 올려진 지반재는 시멘트 혼합물(c)이 계속적으로 유입되면서, 외부로 배출된 다.
(b)를 참조하면, 양단이 개방된 유입부재(H2)의 어느 한 쪽 단부로, 파이프(P)와 같은 투입부재를 삽입, 연결시켜, 투입부재와 유입부재를 거쳐 케이싱의 하부로 시멘트 혼합물이 채워지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지반재가 하측부터 채워지는 시멘트 혼합물(C)에 의해 들려 올려지면서 외부로 배출되고, 내부에는 시멘트 혼합물만 남아 견고하게 경화될 수 있게 된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케이싱의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원통형 케이싱(100)의 일 측방에 상측에서 하측을 관통하여 개방된 개방부(110)가 (a)와 같이 형성된다. 또한 (b)와 같이 이 개방부(110)에는 양 측방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면형태의 돌출부(1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c)와 같이 돌출부(116)의 하단부에는 돌출부(116)의 사이에서 돌출부(116)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11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연결부(118)는 맞대어지는 다른 케이싱의 외측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다른 케이싱이 원통형인 경우, 연결부(118)는 이에 대응되도록 원호 형태를 갖도록 한다.
돌출부(116)는 병렬 배치된 다른 케이싱의 측벽에 밀접하게 향하도록 배치되며, 돌출부(116)가 다른 케이싱의 측벽에 접촉되거나 매우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싱(100)의 하강시에 돌출부(116)가 개방부(110) 측의 양단을 깎아내리면서, 중앙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 빈 공간은 서로 인접한 케이싱(100)의 내부 공간 사이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연결부(118)는 돌출부(116)의 하단에 돌출부(116) 사이를 가로지르며 형성되어, 케이싱(100)의 하강시에 돌출부(116)가 지반을 깎아내리는 동시에, 연결부(118)도 돌출부(116)에 직각 방향으로 지반을 깎아내리는 기능을 하게 된다. 돌출부(116)는 일자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측방의 다른 케이싱에 밀접하도록 측방 케이싱(100)에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원통형 케이싱의 경우, 이 원통형 측벽에 대응되도록 외측으로 오목한 원호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케이싱이 배치되는 다양한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도 26에서 제시된 여러 케이싱 들이 배치된 상태를 평면으로 나타내는 것인데, (a)와 같이 개방부(110)가 다른 케이싱에 접촉되도록 연속 배치할 수도 있으며, (b)와 같이 개방부(110)와 다른 케이싱 간에 약간의 틈이 발생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c)와 같이 개방부(110)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16)가 다른 케이싱에 접촉 또는 근접 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개방부(110)는 케이싱 내부에 유입되는 시멘트 혼합물 등이 경화될 때, 측방의 다른 케이싱과 접촉, 연결되거나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예컨대 2개의 케이싱(100) 내부에 시멘트 혼합물이 투입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어느 정도 경화된 경우, 케이싱(100)을 흔들어 빼내면 2개의 케이싱(100) 내부에 위치하는 시멘트 혼합물 등이 서로 접촉되면서 동시에 경화되어 일체화될 수 있게 된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케이싱이 배치되는 다양한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케이싱(100)과 개방부(110)의 형상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디귿자형 또는 마름모형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효과, 작용은 동일하다.
도 29는 도 20의 케이싱을 변형한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도 20에서 설명된 접촉부를 갖는 케이싱의 경우, 원형 테두리의 일부를 절개한 듯한 형태의 접촉부에 레일 방식으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커넥터(120, 190)를 양측에 배치하여 상호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커넥터(120, 190)는 일측으로는 숫놈 형태의 커넥터(120)를, 개방부(110) 측으로는 암놈 형태의 커넥터(190)를 구비하고, 커넥터(120)이 커넥터(190)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케이싱이 지반에 삽입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H로 표시된 것과 같이 철골이 박혀 있는 사이의 공간에 다수의 케이싱(100)이 박히게 되는데, 케이싱(100)이 전술한 방법에 의해 하강하면서 지반을 긁어 내려 하방에 지반재(A)가 축적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하측에 흙, 모래(B) 등이 쌓여 있거나, 또는 경제적인 이유, 시공상의 이유로 케이싱(100)을 강한 암반 지반(G)까지 삽입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케이싱(100)의 하방에는 지반재, 흙, 모래 등이 남아 있게 되며, 이것들을 그대로 남겨 놓는 경우, 시공 완료 후 이 부분이 약해지거나, 무너지면서 흙막이 벽체가 파손되거나 누수현상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무너지지 않는 암반 지반(G)에 이르는 구간까지는 시멘트 혼합물 등을 통해 경화시켜 벽체를 형성하여야 한다. 그런데 지반재, 흙, 모래 등이 잔존된 부분으로는 시멘트 혼합물이 유입되지 않으며, 유입된다 하더라도 견고하고 충분하게 경화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케이싱(100) 내부로 교반기(S)를 투입하여, 교반기(S)가 케이싱(100)의 하측부는 물론 케이싱(100)의 하측 단부보다 아래 방향까지 삽입되어, 지반재, 흙, 모래 등을 교반하도록 한다. 교반기(S)가 교반하는 동안 또는 교반 전후에, 시멘트 혼합물, 소일 시멘트 등의 교반재를 유입시켜 같이 교반하게 되면, 시멘트 혼합물 등이 지반(G)의 바로 상측, 교반기(S)가 교반하는 위치까지 골고루 혼입되며, 시멘트 경화시 전체가 골고루 경화되어 견고한 흙막이 벽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를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1은 본 발명의 케이싱 내부에 교반기가 투입되어 동작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단단한 기초 지반(G)의 상측에는 굴착시 잔존되거나 깎여 내려간 지반재(A)가 남아 있게 되는데(a), 교반기(S)를 투입, 하강시켜, 최하단 부분의 지반재(A)와 그 하측의 무른 지반을 교반시킨다(b). 이 후에 교반기(S)가 더욱 하강되며 교반하는 동시, 또는 교반 전후에 시멘트 혼합물(C) 등을 투입시키면, 케이싱(100)이 커다란 용기와 같은 기능을 하면서, 그 내측의 지반재(A)와 시멘트혼합물(C)이 고르게 혼합된다(c).
교반기(S)를 인출한 후, 시멘트 혼합물을 계속적으로 유입시키면, 케이싱 내부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혼합 상태를 유지하면서 견고하게 경화되고, 단단한 지반(G)의 상측으로는 빈 공간이 없이 전체적인 흙막이 벽체가 형성된다. 따라서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내측의 잔존 토사, 지반재, 깎여 내린 흙, 굴착공의 사이사이 빈틈에 위치한 지반을 시멘트 혼합물과 골고루 혼합시킨후 전체를 일체 경화시킴으로써, 흙과 같이 연약한 부분이 흙막이 벽체의 중간중간에 잔존되어 있는 것을 방지하며, 물이 새거나 벽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교반 후에는, 케이싱(100) 내부로 철근과 같은 지지부재(200)를 삽입시켜 같이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경화가 일정 이상 진행된 후에, 케이싱을 순차적 또는 일시에 제거하게 되면, 각각의 케이싱 내부에 있는 시멘트 혼합물이 상호 접촉되면서 경화되므로, 별도의 그라우팅이 필요 없을 정도로 일체의 흙막이 벽체를 형성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먼저 설치된 케이싱을 경화시키면서 경화 도중 또는 경화 후에 케이싱을 제거하면서, 나란히 다음 케이싱을 설치하고, 순차적으로 경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32는 본 발명의 케이싱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H빔(H)과 같은 철골은 암반층(G)까지 판 후 삽입되고, 그 사이사이를 연결 하는 케이싱 부분은 토사층(B)까지만 굴착하여 파내려가게 된다. 이 케이싱 내부의 토사층(B)과 쌓인 지반 부스러기, 자갈, 모래, 흙 등의 지반재는 교반기를 통해 교반되고 경화되며, 그 내측에는 철근, 라스망, 철망과 같은 지지부재가 배치되어 일체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케이싱은 오목부를 통해 서로 근접하게 배치되도록 하며, 이 경우 굴착 작업의 수가 늘어난다는 단점이 있으나, 한번의 시공으로 빈틈없고, 일체화된 흙막이 벽체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전의 케이싱 내부에 H빔과 시멘트 혼합물을 넣거나, 또는 H빔 없이, 철근 등과 시멘트혼합물만 넣어 경화시키는 경우, 시멘트혼합물이 경화됐거나, 거의 경화되어 가고 있는 단계에서 케이싱을 빼내고, 그 이전 또는 이후에 다음의 케이싱이 경화된 또는 경화되면서 형성되고 있는 시멘트 기둥을 향하여 개방되면서 삽입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의 케이싱에도 시멘트 혼합물을 유입시켜, 이미 경화된 시멘트 기둥에 접촉시키며 순차적으로 다음 기둥을 형성하게 된다. 도면상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고, 반대로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도 3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케이싱의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4는 이 케이싱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케이싱(200)이 여러개의 측벽부(210)가 모여 형성되며, 측벽부(210)의 사이사이에는 관절부(220)로 연결되어, 측벽부(210)가 상호 회동되도록 힌지 역할을 한다. 측벽부(210)는 2개 이상이 관절부(220)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측벽부(210)의 사이사이에는 관절부(220)가 연결되되, 어느 한 쌍의 측벽부(210)는 도면과 같이, 관절부(220)로 연결하지 않고 개방된 상태로 둔다. 관절부(220)로 인한 회동에 따라, 측벽부(210)는 서로 가까워지며 오므라들거나, 멀어지며 벌어지게 될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a)와 같이 일부분이 개방되며 넓은 내부 면적을 갖고 있는 케이싱(200)이 (b)와 같이 오므라들면서 내부 면적 내지는 내부 지름이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내부 지름이 늘거나 줄어들 수 있게 됨에 따라, 케이싱이 굴착홀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5는 도 33의 케이싱이 굴착홀에 설치되는 단계를 평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6은 도 33의 케이싱이 굴착홀에 설치되는 단계를 측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 및 36을 참조하면, 굴착홀을 오거장치로 굴착하게 되면 처음에는 D와 같이 원형을 유지하다가, 측벽이 무너지면서 d와 같이 내측으로 지름이 감소하며 무너져 내리게 된다.
원래의 굴착반경에 맞는 케이싱은 굴착홀에 삽입되기가 다소 어려우므로, 관절부를 갖는 케이싱(200)을 d보다 작은 내경으로 약간 오므린 상태에서 어렵지 않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그 후에는 케이싱(200)의 측벽부(210)를 외측으로 벌리면서, 그 내부로는 지지구(230)를 삽입하여 측벽부(210)가 최대한 외측으로 밀려나도록 한다. 지지구(230)는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측의 내경이 작고, 상측의 내경이 큰 쐐기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구(230)를 구비함에 따라 굴착홀 내에서 최대한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내측에 유입된 시멘트 혼합물의 경화와 동시에 케이싱(200)이 제거될 때에, 케이싱(200)이 찌그러지거나, 시멘트 혼합물의 경화 공간을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때 케이싱(200)에 의해 내경을 충분히 확보한 상태에서 콘크리트와 같은 시멘트 혼합물을 내부로 유입시키고 경화 과정 중에 지지구(230)나 케이싱(200)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케이싱(200)은 지지구(230) 외에도 하단에 형성된 돌출부(212)를 통해 외력에 의해 내측으로 오므라들지 않고 지지할 수 있게 되는데, 돌출부(212)는 케이싱(200) 삽입시에 지반에 박히면서, 측벽부(210)의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케이싱(200)은 지반재를 교반하는 공법과 같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다수의 케이싱(200)들을 나란히 배치하면서, 개방된 부분을 통해 다수 케이싱(200)의 내부 시멘트 혼합물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7은 이중으로 구성된 케이싱(3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케이싱(300)은 외측케이싱(310)과, 상기 외측케이싱(310)으로 끼움결합되는 내측케이싱(320)으로 구성된다. 외측케이싱(310)은 내측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내측케이싱(320)은 상기 외측케이싱(310)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되며 일측에 개방된 개방구(322)가 형성된다.
도 38은 도 37의 케이싱(300)이 배치된 상태를 평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8을 참조하면, 제1케이싱(300)과 제2케이싱(300)을 상호 밀접하게 접촉시켜서 굴착홀(미도시)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제1내측케이싱(320)의 개방구는 접촉부를 향해 배치되며, 상기 제2내측케이싱(320)의 개방구는 접촉부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1내측케이싱(320)의 개방구는 상기 제2내측케이싱(320)의 개방구의 반대측을 향해 끼움 설치된다.
상기 제2케이싱(300)은 굴착홀 사이의 틈에 남아있는 지반재가 제2케이싱(300)의 하방 가압에 의해 깎여 내려가게 되고, 그 내부에 깎여서 누적된 지반재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교반기를 투입하여 이 교반기가 제2케이싱(300)을 내부를 교반하도록 한다. 교반기가 교반하는 동안 또는 교반 전후에, 시멘트 혼합물 등의 교반재를 유입시켜 시멘트 혼합물이 지반재와 고르게 혼합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교반 과정을 생략하고 교반재만을 유입할 수도 있다.
케이싱 내부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혼합 상태를 유지하면서 견고하게 경화가 된다. 여기서, 경화가 일정 이상 진행된 후에, 외측케이싱(310)을 순차적 또는 일시에 제거하게 되면, 시멘트 혼합물이 각각의 내측케이싱(320)과 상호 접촉하게 되고, 다시 내측케이싱(320)을 제거하면, 개방구를 통해 시멘트혼합물과 같은 교반재가 상호 접촉되면서 일체화가 되어 흙막이 벽체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교반재를 투입하기 이전에, 내측케이싱(320)이 설치되자마자 외측케이싱(310)을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 먼저 설치된 케이싱을 경화시키면서 경화 도중 또는 경화 후 에 케이싱을 제거하면서, 나란히 다음 케이싱을 설치하고, 순차적으로 경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내, 외부 케이싱은 굴착과 동시에 삽입이 가능하며, 제거할 때도, 순차적으로 제거하거나, 일시에 제거할 수 있다.
아울러 제1외측케이싱 삽입 및 제1내측케이싱 삽입 후, 제1외측케이싱을 먼저 인출하여, 제2굴착홀에 바로 삽입시켜 그 내부에 제2내측케이싱을 삽입시킬 수도 있다. 외측케이싱은 일부가 개방된 내측케이싱이 주변 압력에 의해 오그라들거나, 변형,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측 케이싱이 설치된 후에는 바로 인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내측 케이싱의 경우에도 모르타르, 콘크리트 등의 시멘트혼합물과 같은 교반재가 경화되기 이전이라도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며, 측방에 배치된 다른 외측케이싱 또는 내측케이싱도 동시에 또는 약간 후에 인출되는 경우에, 교반재가 서로 연결되며 경화되어, 별도의 그라우팅 작업 등의 추가작업 없이도, 벽면을 완전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은 서로 연접한 케이싱이 상호 연동되며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케이싱이 평행하게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다양한 형태와 방향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케이싱이 상호 밀접하고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흙막이 벽체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보다 견고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다수의 케이싱이 상호 원하는 위치와 방향에 손쉽게 변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보다 견고하고 향상된 성능의 흙막이 벽체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최소한의 공정으로 별도의 추가 작업 없이 빈틈없고 일체화된 흙막이 벽체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76)

  1. 흙막이 벽체 시공을 위해 다수의 케이싱을 설치하는 공법에 있어서,
    오거머신과 같은 굴착기를 사용하여 지반에 장형 제1굴착홀을 형성하는 제1굴착단계;
    상기 제1굴착홀의 측방에 제2굴착홀을 형성하는 제2굴착단계;
    상기 제2굴착단계 이전 또는 이후 또는 동시에 상기 제1굴착홀 내부에 장형의 통공형 제1케이싱을 하방 삽입 설치하는 제1케이싱 배치, 하강단계;
    상기 제2굴착홀의 상부에 장형의 통공형 제2케이싱을 위치시키는 제2케이싱 배치단계; 및
    상기 제2케이싱이 상기 제1케이싱의 측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하방 가압하여, 상기 제2케이싱의 하부가 상기 제1굴착홀과 상기 제2굴착홀 사이에 잔존된 지반을 긁어 내리며 수직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제2케이싱 하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2. 흙막이 벽체 설치를 위해 다수의 케이싱을 설치하는 공법에 있어서,
    오거머신과 같은 굴착기를 사용하여 지반에 장형 제1굴착홀을 형성하는 제1굴착단계;
    상기 제1굴착홀의 측방에 제2굴착홀을 형성하는 제2굴착단계;
    상기 제2굴착단계 이전 또는 이후 또는 동시에 상기 제1굴착홀 내부에 장형의 통공형 제1케이싱을 하방 삽입 설치하는 제1케이싱 배치, 하강단계;
    상기 제2굴착홀의 상부에 통공형이며 일측이 개방된 장형의 제2케이싱을 위치시키는 제2케이싱 배치단계; 및
    상기 제2케이싱이 상기 제1케이싱의 측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케이싱의 개방부가 상기 제1케이싱을 향하도록 하며 수직방향으로 하방시키는 제2케이싱 하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3. 흙막이 벽체 설치를 위해 다수의 케이싱을 설치하는 공법에 있어서,
    오거머신과 같은 굴착기를 사용하여 지반에 장형 제1굴착홀을 형성하는 제1굴착단계;
    상기 제1굴착홀의 측방에 제2굴착홀을 형성하는 제2굴착단계;
    상기 제2굴착단계 이전 또는 이후 또는 동시에 상기 제1굴착홀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장형의 통공형 제1케이싱을 하방 삽입 설치하는 제1케이싱 배치, 하강단계;
    상기 제2굴착홀의 상부에 장형의 제2케이싱을 위치키시는 제2케이싱 배치단계; 및
    상기 제2케이싱이 상기 제1케이싱의 측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케이싱 은 상기 제1케이싱의 개방부가 향한 방향에 수직방향으로 하방시키는 제2케이싱 하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4. 흙막이 벽체 설치를 위해 다수의 케이싱을 설치하는 공법에 있어서,
    오거머신과 같은 굴착기를 사용하여 지반에 장형 제1굴착홀을 형성하는 제1굴착단계;
    상기 제1굴착홀의 측방에 제2굴착홀을 형성하는 제2굴착단계;
    상기 제2굴착단계 이전 또는 이후 또는 동시에 상기 제1굴착홀 내부에 장형의 통공형 제1케이싱을 하방 삽입 설치하는 제1케이싱 배치, 하강단계;
    상기 제1케이싱 내부에 시멘트 혼합물을 유입시켜 경화시키는 제1기둥 경화단계;
    상기 경화단계 도중 또는 상기 경화단계 종료 후에 상기 제1케이싱을 빼내는 케이싱 제거단계;
    상기 케이싱 제거단계 후에 제2굴착홀의 상부에 통공형이며 일측이 개방된 장형의 제2케이싱을 위치시키는 제2케이싱 배치단계; 및
    상기 제2케이싱이 상기 제1케이싱의 측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케이싱의 개방부가 상기 제1케이싱을 향하도록 하며 수직방향으로 하방시키는 제2케이싱 하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굴착홀의 하부에 쌓인 지반재를 상기 제2케이싱의 내부 공간을 통해 상방으로 배출시키는 지반재 제거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 또는 상기 제2케이싱의 내측으로 교반장치를 삽입, 하강시키는 교반장치 투입단계: 및
    상기 제1케이싱 또는 상기 제2케이싱의 내측에서 상기 교반장치가 케이싱 내부의 지반재 또는 하측 지반을 교반하는 교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단계의 전 또는 후 또는 도중에 상기 케이싱 내로 교반재를 유입시키는 교반재 투입단계;
    상기 케이싱 내에서 교반된 재질을 경화시키는 경화단계; 및
    상기 경화단계가 진행 중이거나, 진행 완료되었을 때에 상기 케이싱을 순차적 또는 일시적으로 빼내는 케이싱 제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단계 후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지지부재를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 사이에는 서로 마주보며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케이싱이 상기 제1케이싱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1케이싱의 표면을 따라 인접하여 하강될 수 있도록 상하방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싱 하강단계는:
    상기 제2케이싱이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제1케이싱에 인접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단계; 및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제2케이싱이 상기 제1케이싱을 따라 수직으로 하강 하는 하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에는 상기 제2케이싱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굴착홀은 상기 제1케이싱의 오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싱은 상기 제1케이싱의 오목부에 근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굴착홀은 상기 제1케이싱의 오목부에 대응되면서 상기 제1굴착홀과 공통된 영역을 포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12.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싱의 하강시에, 상기 제2케이싱을 회전시키는 회전단계를 더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에는 상기 제2케이싱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굴착홀은 상기 제1케이싱의 평면부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싱에는 상기 제1케이싱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싱의 평면부와 상기 제1케이싱의 평면부는 근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14.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하측 방향으로 시멘트 혼합물을 분사하기 위한 투입장치를 지반에 삽입시키고, 상기 투입장치로부터 상기 케이싱의 하측 방향으로 시멘트 혼합물을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1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 또는 상기 제2케이싱의 내부에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내부에는 연결유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의 일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부는 상기 케이싱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의 타단부로 시멘트 혼합물을 투입하여 상기 케이싱의 하측 방향으로 시멘트 혼합물을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유로의 양단부는 상기 케이싱의 하측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하측 방향으로 시멘트 혼합물을 분사하기 위한 투입장치를 지반에 삽입시키고, 상기 투입장치는 상기 연결유로의 일단부에 연결시켜 상기 케이싱의 하측 방향으로 시멘트 혼합물을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2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싱 하강단계는:
    상기 제2케이싱의 개방부가 상기 제1케이싱의 측부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2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싱 하강단계는:
    상기 제2케이싱의 개방부가 상기 제1케이싱의 측부에 근접위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2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싱의 상기 개방부의 양측 테두리에는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양측의 돌출부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2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싱의 상기 개방부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25. 제 22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싱 하강단계는:
    상기 제2케이싱의 돌출부가 상기 제1케이싱의 측부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26. 제 22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싱 하강단계는:
    상기 제2케이싱의 돌출부가 상기 제1케이싱의 측부에 근접위치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2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제거단계는 상기 경화단계가 진행 중인 때에 상기 케이싱을 제거하여, 2 이상의 케이싱 내에서 경화되는 각각의 교반된 재질이 서로 붙어 일체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28. 흙막이 벽체 시공을 위해 다수의 케이싱이 인접하여 설치되는 케이싱 시스템에 있어서,
    바닥면을 굴착하여 형성된 제1굴착홀에 삽입되고,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기둥형의 제1케이싱; 및
    상기 제1굴착홀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2굴착홀에 삽입되고,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기둥형의 제2케이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의 사이에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케이싱에 상기 제2케이싱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2케이싱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케이싱에 상기 제2케이싱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1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제1개방부의 단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싱은 상기 제1커넥터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케이싱에 상기 제1케이싱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개방부의 개방측 단부는 상기 제1커넥터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32.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케이싱에 상기 제1케이상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1케이싱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구비된 제2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케이싱에 상기 제1케이싱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2개방부의 단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싱은 상기 제2커넥터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케이싱에 상기 제2케이싱이 설치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1개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개방부의 개방측 단부는 상기 제2커넥터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35.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을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은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제1개방구 및 제2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개방구와 제2개방구에 동시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37.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은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제1개방구 및 제2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개방구와 상기 제2개방구에는 상기 제1케이싱의 내부 공간과 상기 제2케이싱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기 위한 분할케이싱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개방구 또는 상기 제2개방구 중 어느 한 쪽 또는 양 쪽에 구비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케이싱은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는 인접하는 다른 케이싱의 상기 개방구가 결합되기 위한 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분할케이싱이 결합되어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타측 케이싱의 상기 개방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40.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케이싱은 어느 한쪽 개방구의 상기 커넥터에 고정된 상태에서, 인접하는 다른 케이싱의 개방구와 결합되기 위한 체결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분할케이싱은 상기 일측 케이싱의 상기 커넥터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타측 케이싱의 개방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41.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분할케이싱에 상기 제1개방구 및 상기 제2개방구와 결합되기 위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케이싱은 상기 체결부를 통해 상기 제1케이싱의 제1개방구와 상기 제2케이싱의 제2개방구에 동시에 결합되며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42.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분할케이싱을 상기 제1개방구 또는 상기 제2개방구에 결합시키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케이싱은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개방구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제2개방구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두 개방구에 동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43.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분할케이싱을 제1개방구 또는 상기 제2개방구에 결합시키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케이싱은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개방구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제2개방구에 결합되며,
    상기 분할케이싱은 상기 커넥터에 고정된 상태에서,
    인접하는 다른 케이싱의 개방구와 결합되기 위한 체결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분할케이싱은 상기 일측의 케이싱의 상기 커넥터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다른 케이싱의 개방구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44.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케이싱에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케이싱에는 제2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2개방구에 삽입되어 상기 제2개방구를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45.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케이싱에 결합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싱에는 제1개방구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개방구에 삽입되어 상기 제1개방구를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46. 흙막이 벽체 설치를 위해 다수의 케이싱이 인접하여 설치되는 케이싱 시스템에 있어서,
    바닥면을 굴착하여 형성된 제1굴착홀에 삽입되고,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 는 기둥형의 제1케이싱; 및
    상기 제1굴착홀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2굴착홀에 삽입되고,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기둥형의 제2케이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의 사이에는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싱의 접촉부와 상기 제2케이싱의 접촉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 또는 상기 제2케이싱의 접촉부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내측으로 꺾인 원호의 형태를 단면으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49.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평평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평면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50.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의 접촉부와 상기 제2케이싱의 접촉부에는 각각 커넥터가 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싱과 상기 제2케이싱의 커넥터가 상호 맞물려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51. 흙막이 벽체 설치를 위해 다수의 케이싱이 인접하여 설치되는 케이싱 시스템에 있어서,
    바닥면을 굴착하여 형성된 제1굴착홀에 삽입되고,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기둥형의 제1케이싱; 및
    상기 제1굴착홀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2굴착홀에 삽입되고,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기둥형의 제2케이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케이싱의 일측 전부 또는 일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케이싱의 개방부는 상기 제1케이싱의 측부를 향해 근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싱의 상기 개방부의 양측 테두리에는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양측의 돌출부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케이싱의 상기 개방부 사이에 개재되는 연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55. 제 28 항 내지 제 5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 및 상기 제2케이싱은 상호 인접하여 연속적으로 2개 이상 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56. 흙막이 벽체 설치를 위해 다수의 케이싱이 인접하여 설치되는 케이싱 시스템에 있어서,
    바닥면을 굴착하여 형성된 굴착홀에 삽입되고,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기둥형의 케이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은:
    다수의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들의 사이를 연결하며, 연결된 측벽부들이 상호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관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57.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측벽부 중 어느 일측에는 상기 관절부가 구비되지 않아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58.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는 지반으로 삽입가능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59.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들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측벽부를 외측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가 더 포함되고,
    상기 지지구는 상기 케이싱의 설치 전 또는 후에 상기 다수의 측벽부가 배치되는 내측 공간을 향하여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60. 흙막이 벽체 시공을 위해 다수의 케이싱을 설치하는 공법에 있어서,
    오거머신과 같은 굴착기를 사용하여 지반에 장형 굴착홀을 형성하는 굴착단계;
    상기 굴착홀의 상부에 장형의 케이싱을 설치하는 케이싱 배치단계;
    상기 굴착홀의 내부에 장형의 케이싱을 하방 삽입 설치하는 케이싱 하강단계;
    상기 케이싱의 내측으로 교반장치를 삽입, 하강시키는 교반장치 투입단계: 및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서 상기 교반장치가 케이싱 내부의 지반재 또는 하측 지반을 교반하는 교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61.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단계의 전 또는 후 또는 도중에 상기 케이싱 내로 교반재를 유입시키는 교반재 투입단계; 및
    상기 케이싱 내에서 교반된 재질을 경화시키는 경화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62.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단계가 진행 중이거나, 진행 완료되었을 때에 상기 케이싱을 빼내는 케이싱 제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63. 제 60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단계 후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지지부재를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64.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제거단계는 상기 경화단계가 진행 중인 때에 상기 케이싱을 제거하여, 2 이상의 근접한 케이싱 내에서 경화되는 각각의 교반된 재질이 서로 붙어 일체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65. 흙막이 벽체 시공을 위해 다수의 케이싱을 설치하는 공법에 있어서,
    오거머신과 같은 굴착기를 사용하여 지반에 장형 제1굴착홀을 형성하는 제1굴착단계;
    제2굴착단계 이전 또는 이후 또는 동시에 상기 제1굴착홀 내부에 장형의 통공형 제1외측케이싱을 하방 삽입 설치하는 제1외측케이싱 배치, 하강단계;
    상기 제1외측케이싱의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제1내측케이싱을 하방 삽입 설치하는 제1내측케이싱 배치, 하강단계;
    상기 제1굴착홀의 측방에 제2굴착홀을 형성하는 상기 제2굴착단계;
    상기 제2굴착홀의 상부에 장형의 통공형 제2외측케이싱을 위치시키는 제2외측케이싱 배치단계;
    상기 제2외측케이싱을 하강시켜 상기 제2굴착홀 내부에 삽입 설치하는 제2외측케이싱 하강단계;
    상기 제2외측케이싱의 상부에 일측이 개방된 제2내측케이싱을 위치시키는 제2내측케이싱 배치단계;
    상기 제2내측케이싱을 수직으로 하강시키는 제2내측케이싱 하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66.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굴착홀 또는 제2굴착홀의 하부에 쌓인 지반재를 상방으로 배출시키는 지반재 제거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67.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측케이싱 또는 상기 제2내측케이싱의 내측으로 교반장치를 삽입, 하강시키는 교반장치 투입단계; 및
    상기 제1내측케이싱 또는 상기 제2내측케이싱의 내측에서 상기 교반장치가 케이싱 내부의 지반재 또는 하측 지반을 교반하는 교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68.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단계의 전 또는 후 또는 도중에 상기 내측케이싱 내로 교반재를 유 입시키는 교반재 투입단계;
    상기 내측케이싱 내에서 교반된 재질을 경화시키는 경화단계;
    상기 교반재 투입단계 이전 또는 상기 경화단계 이전 또는 상기 경화단계가 진행 중인 때에 상기 외측케이싱을 순차적 또는 일시적으로 빼내는 외측케이싱 제거단계; 및
    상기 외측케이싱 제거단계 후 상기 경화단계가 진행 중이거나, 진행 완료되었을 때에 상기 내측케이싱을 빼내는 내측케이싱 제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69.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케이싱 내로 교반재를 유입시키는 교반재 투입단계;
    상기 내측케이싱 내에서 교반된 재질을 경화시키는 경화단계;
    상기 교반재 투입단계 이전 또는 상기 경화단계 이전 또는 상기 경화단계가 진행 중인 때에 상기 외측케이싱을 순차적 또는 일시적으로 빼내는 외측케이싱 제거단계; 및
    상기 외측케이싱 제거단계 후 상기 경화단계가 진행 중이거나, 진행 완료되었을 때에 상기 내측케이싱을 빼내는 내측케이싱 제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70. 제 68 항 또는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케이싱 제거단계는 상기 경화단계가 진행 중이거나, 진행 완료되었을 때에 상기 내측케이싱을 제거하여, 2 이상의 근접한 내측케이싱 내에서 경화되는 각각의 교반된 재질이 서로 붙어 일체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71.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외측케이싱배치, 하강단계, 또는 상기 제2외측케이싱배치, 하강단계는:
    각각 굴착홀을 형성하는 상기 제1굴착단계, 또는 상기 제2굴착단계와 동시에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72.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측케이싱배치, 하강단계, 또는 상기 제2내측케이싱배치, 하강단계는:
    각각 상기 제1외측케이싱배치, 하강단계, 또는 상기 제2외측케이싱배치, 하강단계와 동시에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 체 시공법.
  73.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외측케이싱은 상기 제1외측케이싱을 인출한 것을 재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74. 흙막이 벽체 시공을 위해 다수의 케이싱을 설치하는 공법에 있어서,
    오거머신과 같은 굴착기를 사용하여 지반에 장형 제1굴착홀을 형성하는 제1굴착단계;
    상기 제1굴착홀 내부에 장형의 통공형 제1외측케이싱을 하방 삽입 설치하는 제1외측케이싱 배치, 하강단계;
    상기 제1외측케이싱의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제1내측케이싱을 하방 삽입 설치하는 제1내측케이싱 배치, 하강단계;
    상기 내측케이싱 내로 교반재를 유입시키는 교반재 투입단계;
    상기 내측케이싱 내에서 교반재를 경화시키는 경화단계;
    상기 교반재 투입단계 이전 또는 상기 경화단계 이전 또는 상기 경화단계가 진행 중인 때에 상기 외측케이싱을 빼내는 제1외측케이싱 제거단계; 및
    상기 제1외측케이싱 제거단계 후 상기 경화단계가 진행 중이거나, 진행 완료 되었을 때에 상기 제1내측케이싱을 빼내는 내측케이싱 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싱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시공법.
  75. 흙막이 벽체 설치를 위해 다수의 케이싱이 인접하여 설치되는 케이싱 시스템에 있어서,
    바닥면을 굴착하여 형성된 제1굴착홀에 삽입되고,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기둥형의 제1외측케이싱과,
    상기 제1외측케이싱의 내측 공간에 위치되는 기둥형의 제1내측케이싱을 포함하는 제1케이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76. 제 7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내측케이싱에는 차단되지 않은 개방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KR1020070124429A 2007-03-23 2007-12-03 흙막이 벽체 시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케이싱 시스템 KR1009928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28720 2007-03-23
KR1020070028720 2007-03-23
KR1020070053162 2007-05-31
KR20070053162 2007-05-31
KR20070084403 2007-08-22
KR1020070084403 2007-08-2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169A Division KR100968648B1 (ko) 2009-12-29 2009-12-29 흙막이 벽체 시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809A true KR20080086809A (ko) 2008-09-26
KR100992886B1 KR100992886B1 (ko) 2010-11-08

Family

ID=40025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429A KR100992886B1 (ko) 2007-03-23 2007-12-03 흙막이 벽체 시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케이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288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04519A (zh) * 2012-06-02 2012-10-03 张永忠 地下砼造墙机
KR101258164B1 (ko) * 2010-02-11 2013-04-25 하민자 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천공방법
CN104264684A (zh) * 2014-09-24 2015-01-07 厦门磐砻地下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深基坑支护结构的预制异形空腹桩及其施工方法
CN108149673A (zh) * 2018-02-01 2018-06-12 刘德奇 混凝土桩及采用该混凝土桩拼接的连续防渗止水墙
CN114875900A (zh) * 2021-10-15 2022-08-09 浙江理工大学 土体微扰动深层搅拌装置及搅拌桩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3358A (ko) 2017-02-13 2018-08-22 주식회사 스틸텍 압축방지수단을 갖는 슬롯 케이싱 및 이를 이용한 대단면 엄지말뚝 흙막이 공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20768B2 (ko) * 1974-04-17 1979-07-25
JPS5869036U (ja) * 1981-10-26 1983-05-11 株式会社クボタ 鋼管矢板
JPS58189417A (ja) * 1982-04-27 1983-11-05 Kajima Corp 土留の継手部止水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164B1 (ko) * 2010-02-11 2013-04-25 하민자 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천공방법
CN102704519A (zh) * 2012-06-02 2012-10-03 张永忠 地下砼造墙机
CN102704519B (zh) * 2012-06-02 2014-06-18 九冶建设有限公司 地下砼造墙机
CN104264684A (zh) * 2014-09-24 2015-01-07 厦门磐砻地下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深基坑支护结构的预制异形空腹桩及其施工方法
CN104264684B (zh) * 2014-09-24 2015-12-16 厦门磐砻地下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深基坑支护结构的预制异形空腹桩及其施工方法
CN108149673A (zh) * 2018-02-01 2018-06-12 刘德奇 混凝土桩及采用该混凝土桩拼接的连续防渗止水墙
CN108149673B (zh) * 2018-02-01 2024-02-20 刘德奇 混凝土桩及采用该混凝土桩拼接的连续防渗止水墙
CN114875900A (zh) * 2021-10-15 2022-08-09 浙江理工大学 土体微扰动深层搅拌装置及搅拌桩施工方法
CN114875900B (zh) * 2021-10-15 2024-05-03 浙江理工大学 土体微扰动深层搅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2886B1 (ko) 2010-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886B1 (ko) 흙막이 벽체 시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케이싱 시스템
KR100957599B1 (ko) 가설흙막이 구조물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20210033356A (ko) 가이드 장치를 이용한 겹침 주열식 현장타설말뚝 흙막이 벽체의 시공방법
KR20210119861A (ko) 시공성이 향상된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KR101901392B1 (ko) 소구경 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
CN103114577A (zh) 建筑物桩基的旋挖成孔施工方法
KR100968648B1 (ko) 흙막이 벽체 시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흙막이 벽체 설치용 케이싱 시스템
JPH07119462B2 (ja) 地盤改良用攪拌装置及びそれを使用した地盤改良工法
US44962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reinforced concrete walls in the earth
JP6460712B2 (ja) 地中連続壁の施工方法
KR100699359B1 (ko) 포스트-텐션장치가 설치된 지하연속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181619B1 (ko) 어스앵커의 재인장을 통한 대규모 지하구조물 높은 옹벽의 축조 공법
KR100995831B1 (ko) 자립식 옹벽
KR102021496B1 (ko) 하향식 계단형 흙막이 시공방법 및 이를 통해 시공된 흙막이 구조체
JP5648085B2 (ja) 杭の構築方法
KR101219451B1 (ko) 콘크리트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흙막이벽체 겸용 지중구조벽의 시공방법
JP4387919B2 (ja) 免震材を用いたトンネルの耐震対策工法及びその免震壁の施工方法並びにその築造構造体
JP2010281038A (ja) 山留め工法
JP2010281084A (ja) 山留め壁の構築方法、杭の構築方法、山留め壁、杭
JP7222949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JP4196273B2 (ja) 既設建築物下部への山留め壁形成方法
KR20200011637A (ko) Cip 공법에 사용되는 케이싱, 흙막이 가시설 구조물 및 흙막이 구조물 시공 방법
KR100272838B1 (ko) 변화단면 지중연속벽 축조 공법
KR102260596B1 (ko) 지반 강화용 팽이 기초파일의 현장 시공방법
KR102371284B1 (ko) 시공성이 향상된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