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6068A - 터치 패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터치 패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6068A
KR20080086068A KR1020070027708A KR20070027708A KR20080086068A KR 20080086068 A KR20080086068 A KR 20080086068A KR 1020070027708 A KR1020070027708 A KR 1020070027708A KR 20070027708 A KR20070027708 A KR 20070027708A KR 20080086068 A KR20080086068 A KR 20080086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ouch pad
function display
cover frame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5969B1 (ko
Inventor
윤운상
김도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7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969B1/ko
Priority to US11/970,091 priority patent/US8378975B2/en
Priority to EP08101488A priority patent/EP1973028B1/en
Publication of KR20080086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6068A/ko
Priority to US13/720,555 priority patent/US874950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969B1/ko
Priority to US14/263,270 priority patent/US955783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92Other manual input means, e.g. digitisers or writing tabl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85Capacitive touch switches with illu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구조가 단순함과 아울러 구성 부품수가 적어 전자기기의 슬림화 및 원가 절감에 기여하는 터치 패드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드는 다수의 기능 표시 아이콘을 구비한 커버; 상기 커버를 지지하며, 다수의 광가이드공이 형성된 커버 프레임; 및 상기 커버 프레임에 조립되며, 상기 다수의 기능 표시 아이콘에 해당하는 위치에 터치센서와 아이콘 조명을 위한 발광소자가 각각 실장된 보드;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 스크린, 디스플레이, 패드, 스위치, 버튼, 발광, 엘이디, 광원, 커버, 케이스

Description

터치 패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TOUCH PAD AND ELECTRONIC MACHINE HAVING THE SAME}
도 1은 일반적인 터치 패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 패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터치 패드의 부품 조립관계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2에 나타낸 터치 패드의 커버 프레임의 상세도,
도 5는 도 2에 나타낸 터치 패드의 커버의 상세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 패드가 적용된 전자기기의 한 예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터치 패드 20;커버
21;폴리카보네이트 시트 22;기능 표시 아이콘 필름
23;확산 실크 필름 30;커버 프레임
32;광가이드공 40;보드
41;터치센서 42;발광소자
50;양면 접착 테이프 100;제 1 본체
110;제 2 본체 120;커버유닛
본 발명은 프린터, 복사기, 복합기, 휴대 단말기 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터치 패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복사기, 복합기, 휴대 단말기 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입력장치는 버튼형에서 터치형으로 빠르게 바뀌고 있다. 터치 패드는 터치형 입력장치의 한 예로서, 제품의 외관 디자인을 단순하면서도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품의 박형화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어 전자기기에 많이 채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있는 터치 패드의 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터치 패드는 커버(1)의 아래에 투명 PCB 또는 구멍 뚫린 FFC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1보드(2)가 배치된다. 상기 제1보드(2)에는 터치센서(3)가 실장된다. 상기 제1보드(2)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제2보드(4)에는 LED(5)가 그 상측을 조명하도록 실장된다. 또한, 상기 LED(5)에 인접하게 LED 홀더(6)와 확산시트(7)가 배치된다. 상기 LED 홀더(6)와 확산시트(7)는 LED(5)에서 발생된 광을 확산시키기 의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터치 패드는, 상기 LED(5)에서 발생된 광이 제1보드(2)로 확산 조명됨으로써 기능 선택 아이콘이 투영되어 사용자가 인식하게 되 고, 필요 기능이 표시된 아이콘을 터치하는 것에 의해 기능이 선택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터치 패드는 터치센서(3)가 실장된 제1보드(2)와 LED(5)가 실장된 제2보드(4)를 필요로 함으로써 구조가 복잡하고, 상기 2개의 보드(2)(4) 사이에 광 확산에 필요한 LED 홀더(6)와 확산시트(7)를 배치하여야 하므로 박형화가 어려우며,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구성부품을 원(one) 보드화하고, LED 확산 구조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커버 프레임에 일체화함으로써 구조적인 단순화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터치 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터치 패드를 구비함으로써 외관 디자인이 수려함과 아울러 슬림화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드는, 다수의 기능 표시 아이콘을 구비한 커버; 상기 커버를 지지하며, 다수의 광가이드공이 형성된 커버 프레임; 및 상기 커버 프레임에 조립되며, 상기 다수의 기능 표시 아이콘에 해당하는 위치에 터치센서와 아이콘 조명을 위한 발광소자가 각각 실장된 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커버는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의 배면에 인쇄된 기능 표시 아이콘 필름; 및 상기 기능 표시 아이콘 필름에 인쇄되어 상기 발광소자의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 실크 필름;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공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커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터치 패드는 상기 커버 프레임과 상기 보드를 에어를 차단하면서 결합시키는 양면 접착 테이프를 포함한다.
상기 양면 접착 테이프는 투명한 것이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광가이드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통공이 형성된 불투명 또는 반투명한 것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발광소자는 LED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자기기는 전자기기 본체; 및 상기 전자기기 본체의 상면 또는 측면 일측에 구성되는 입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터치 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기기 본체는 제 1 본체 및 이 제 1 본체에 대하여 회동 개폐 가능한 제 2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화상형성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급지유닛, 현상유닛, 정착유닛을 수용하는 제 1 본체; 상기 제 1 본체에 대하여 회동 개폐 가능하며, 노광유닛 및 스캔유닛을 수용하는 제 2 본체; 상기 제 2 본체에 상기 스캔유닛을 덮도록 설치되는 커버유닛; 및 상기 제 2 본체의 상면 일측에 구성되는 입력장치로서의 상술한 바와 같은 터치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 패드(10)는 커버(20), 커버 프레임(30), 보드(40) 및 양면 접착 테이프(50) 등을 구비한다.
상기 커버(20)는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나 아크릴 시트로 구성될 수 있는 등 그 재질을 꼭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시트가 좋다. 도 5에 의하면, 상기 커버(20)는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시트(21), 이 폴리카보네이트 시트(21)의 배면에 인쇄되며, 다수의 기능 표시 아이콘을 가지는 기능 표시 아이콘 필름(22) 및 이 기능 표시 아이콘 필름(22)에 인쇄되는 확산 실크 필름(23)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확산 실크 필름(23)은 후술되는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조명용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버 프레임(30)은 상기 커버(20)를 지지한다. 즉, 상기 커버 프레임(30)의 상부면 일정부위에 형성된 설치홈부(31)에 상기 커버(20)가 접착제 등에 부착되어 지지된다. 상기 커버 프레임(30)에는 상기 커버(20)의 기능 표시 아이콘 에 해당하는 위치에 다수의 통공(32)이 형성된다. 이 통공(32)은 그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커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 통공(32)은 상기한 확산 실크 필름(23)과 함께 후술될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조명용 광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종래의 터치 패드 구조에서는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조명용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별도의 부재, 도 1에 의하면, LED 홀더와 확산시트를 별도로 구비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들을 커버(20)와 커버 프레임(30)에 일체화시킴으로써 터치 패드(10)의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구성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드(40)는 상기 커버 프레임(30)의 하부면에 조립된다. 상기 보드(40)에는 상기 커버(20)에 구비된 다수의 기능 표시 아이콘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터치센서(41)과 발광소자(42)가 실장된다. 상기 터치센서(41)는 정전용량 감지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으나, 이를 꼭 한정하는 아니며, 그외 다른, 예를 들면 압력 감지방식의 것도 이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발광소자(42)는 상기 커버(20)의 기능 표시 아이콘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조명하는 것으로, LED가 많이 사용되나, 이를 꼭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조명용 광을 발생하는 것이면 어떠한 소자도 사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성 부품이 원(one) 보드화됨으로써 종래 2개의 보드를 구비하는 구조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터치 패드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보드(40)로는 PCB나 FFC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양면 접착 테이프(50)는 상기 커버 프레임(30)과 상기 보드(40)를 접착 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양면 접착 테이프(50)를 이용하면, 커버 프레임(30)과 보드(40) 사이에 에어가 개입되지 않음으로써 터치 패드 동작감을 유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불투명 또는 반투명한 양면 접착 테이프(50)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양면 접착 테이프(50)의 기능 표시 아이콘 해당 위치에는 각각 통공(51)을 형성하여 발광소자(42)에서 발생된 조명용 광이 커버(20)로 투사되도록 해야 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양면 접착 테이프(50)를 투명한 것으로 한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광 투사를 위한 통공은 불필요하다. 한편, 도시예에서는 양면 접착 테이프(50)로 커버 프레임(30)과 보드(40)를 결합시키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두 부재(30)(40) 사이에 에어가 개입되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른 접착제나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드(10)의 동작은 일반적인 터치 패드와 크게 다르지 않다. 즉, 사용자는 발광소자(42)에서 투사되는 조명용 광에 의해 커버(20)에 있는 다수의 기능 표시 아이콘을 인식할 수 있으며, 필요한 기능의 아이콘을 터치하는 것에 의해 동작된다.
도 6은 상술한 바와 같은 터치 패드(10)가 채용된 전자기기의 한 예로서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제 1 본체(100)와 제 2 본체(110)와 커버유닛(120) 등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본체(100)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급지유닛, 현상유 닛, 정착유닛 등이 내장된다. 상기 제 2 본체(110)는 상기 제 1 본체(100)에 대하여 회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제 2 본체(110)에는 노광유닛과 스캔유닛 등이 내장된다. 또한, 상기 커버유닛(120)은 상기 스캔유닛을 커버하도록 상기 제 2 본체(110)에 회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드(10)는 상기 제 2 본체(110)의 상면 일측에 마련된다. 상기 제 2 본체(110)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터치 패드(10)가 측면이나 전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터치 패드(10)의 구조적인 특징은 동작은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드(10)는 전체 두께가 얇게 구성되기 때문에 슬림한 화상형성장치에 외관 디자인을 수려하게 하기 위하여 유리하게 채용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전자기기로서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한 터치 패드는 화상형성장치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 등과 같은 정보 입력장치로도 슬림화 측면에서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구성 부품의 원보드화와 일부 부품의 삭제로 인해 구조가 간단하고 두께가 얇으며, 또한 저렴한 터치 패드를 제 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터치 패드를 화상형성장치와 같은 전자기기에 채용하는 경우 제품의 외관 디자인을 수려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슬림화 및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소비자 선호도 입장에서 매우 만족스러운 전자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다수의 기능 표시 아이콘을 구비한 커버;
    상기 커버를 지지하며, 다수의 광가이드공이 형성된 커버 프레임; 및
    상기 커버 프레임에 조립되며, 상기 다수의 기능 표시 아이콘에 해당하는 위치에 터치센서와 상기 기능 표시 아이콘을 조명하기 위한 발광소자가 각각 실장된 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 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시트;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시트의 배면에 인쇄된 기능 표시 아이콘 필름; 및
    상기 기능 표시 아이콘 필름 위에 인쇄되어 상기 발광소자의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 실크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공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커지는 깔때기 형상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과 상기 보드를 에어를 차단하면서 결합시키는 투명한 양면 접착 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과 상기 보드를 에어를 차단하면서 결합시키는 양면 접착 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양면 접착 테이프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광가이드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통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드.
  8. 전자기기 본체; 및
    상기 전자기기 본체의 상면 또는 측면 일측에 구성되는 입력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장치는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터치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제 1 본체;
    상기 제 1 본체에 대하여 회동 개폐 가능한 제 2 본체; 및
    상기 제 2 본체의 상면 일측에 구성되는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터치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급지유닛, 현상유닛, 정착유닛을 수용하는 제 1 본체;
    상기 제 1 본체에 대하여 회동 개폐 가능하며, 노광유닛 및 스캔유닛을 수용하는 제 2 본체;
    상기 제 2 본체에 상기 스캔유닛을 덮도록 설치되는 커버유닛; 및
    상기 제 2 본체의 상면 일측에 구성되는 입력장치로서의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터치 패드;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70027708A 2007-03-21 2007-03-21 화상형성장치 KR101385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708A KR101385969B1 (ko) 2007-03-21 2007-03-21 화상형성장치
US11/970,091 US8378975B2 (en) 2007-03-21 2008-01-07 Touch pad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EP08101488A EP1973028B1 (en) 2007-03-21 2008-02-11 Touch pad
US13/720,555 US8749509B2 (en) 2007-03-21 2012-12-19 Touch pad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14/263,270 US9557838B2 (en) 2007-03-21 2014-04-28 Touch pad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708A KR101385969B1 (ko) 2007-03-21 2007-03-21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6068A true KR20080086068A (ko) 2008-09-25
KR101385969B1 KR101385969B1 (ko) 2014-04-17

Family

ID=39144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708A KR101385969B1 (ko) 2007-03-21 2007-03-21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8378975B2 (ko)
EP (1) EP1973028B1 (ko)
KR (1) KR1013859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9038A (ko) 2019-04-09 2020-10-19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터치 입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96588A (zh) * 2007-04-24 2008-10-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
TWI384388B (zh) * 2007-12-25 2013-02-01 Acer Inc 以光顯示級距大小之方法、觸控感應操作介面裝置及可攜式電子裝置
KR100994103B1 (ko) 2008-09-12 2010-11-12 (주) 태양기전 윈도우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028091B1 (ko) * 2008-11-05 2011-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세척물 처리기기
US9247611B2 (en) * 2009-06-01 2016-01-26 Apple Inc. Light source with light sensor
KR20110041115A (ko) * 2009-10-15 2011-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지에이 패키지의 전원 노이즈 개선 방법 및 장치
TWI450237B (zh) * 2010-01-14 2014-08-21 Wintek Corp 觸控顯示裝置
JP5760358B2 (ja) * 2010-09-22 2015-08-12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KR20130048915A (ko) * 2011-11-03 2013-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2015503186A (ja) * 2011-11-10 2015-01-29 ティーケ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ク.Tk Holdings Inc. 感圧照明システム
WO2013081896A1 (en) 2011-11-28 2013-06-06 Corning Incorporated Robust optical touch-screen systems and methods using a planar transparent sheet
WO2013081894A1 (en) 2011-11-28 2013-06-06 Corning Incorporated Optical touch-screen systems and methods using a planar transparent sheet
WO2013154720A1 (en) 2012-04-13 2013-10-17 Tk Holdings Inc. Pressure sensor including a pressure sensitive material for use with control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9880653B2 (en) 2012-04-30 2018-01-30 Corning Incorporated Pressure-sensing touch system utilizing total-internal reflection
US9952719B2 (en) 2012-05-24 2018-04-24 Corning Incorporated Waveguide-based touch system employing interference effects
DE112013004512T5 (de) 2012-09-17 2015-06-03 Tk Holdings Inc. Einzelschicht-Kraftsensor
US9285623B2 (en) 2012-10-04 2016-03-15 Corning Incorporated Touch screen systems with interface layer
US20140210770A1 (en) 2012-10-04 2014-07-31 Corning Incorporated Pressure sensing touch systems and methods
US9134842B2 (en) 2012-10-04 2015-09-15 Corning Incorporated Pressure sensing touch systems and methods
US9557846B2 (en) 2012-10-04 2017-01-31 Corning Incorporated Pressure-sensing touch system utilizing optical and capacitive systems
US9619084B2 (en) 2012-10-04 2017-04-11 Corning Incorporated Touch screen systems and methods for sensing touch screen displacement
US9414471B2 (en) * 2013-03-01 2016-08-09 Lutron Electronics Co., Inc. Actuator assembly for a wallbox dimmer
CN105026495A (zh) 2013-03-04 2015-11-04 沙特基础全球技术有限公司 制造电子装置的薄壁外壳的组合物和方法
CN105452992B (zh) 2013-05-30 2019-03-08 Tk控股公司 多维触控板
DE112014004648T5 (de) 2013-10-08 2016-07-21 Tk Holdings Inc. Selbstkalibrierende taktile haptische Multitouch-, Multifunktionsschalttafel
CN106716320B (zh) 2014-09-30 2020-10-30 苹果公司 用于电子设备的可配置的力敏输入结构
US10466826B2 (en) 2014-10-08 2019-11-05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lluminating a track pad system
US10409412B1 (en) 2015-09-30 2019-09-10 Apple Inc. Multi-input element for electronic device
TWI649686B (zh) 2015-09-30 2019-02-01 美商蘋果公司 具有適應性輸入列之鍵盤
US10120515B1 (en) * 2016-06-27 2018-11-06 Amazon Technologies, Inc. Touch display stack with LEDs
US10318065B2 (en) 2016-08-03 2019-06-11 Apple Inc. Input device having a dimensionally configurable input area
US10871860B1 (en) 2016-09-19 2020-12-22 Apple Inc. Flexible sensor configured to detect user inputs
KR102463695B1 (ko) * 2016-12-12 2022-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입력기구
CN110419164A (zh) * 2017-03-13 2019-11-05 凯普隆电子有限公司 带显示器的电容式传感器开关
US10732743B2 (en) 2017-07-18 2020-08-04 Apple Inc. Concealable input region f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microperforations
US10732676B2 (en) 2017-09-06 2020-08-04 Apple Inc. Illuminated device enclosure with dynamic trackpad
CN108646944A (zh) * 2018-05-08 2018-10-12 惠州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无边框触控显示模组及其制作方法
CN112732129B (zh) * 2021-01-12 2022-11-29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触控结构及电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6716A (en) * 1980-01-21 1981-12-22 Mattel, Inc. Electronic game having light guide array display
US4554419A (en) * 1983-12-02 1985-11-19 The Coca-Cola Company Touch selection panel for a vending machine
US5153386A (en) * 1989-05-10 1992-10-06 Summagraphics Corporation Digitizer tablet with illuminable working surface
US5543588A (en) * 1992-06-08 1996-08-06 Synaptics, Incorporated Touch pad driven handheld computing device
JPH10106381A (ja) * 1996-09-30 1998-04-24 Nippon Signal Co Ltd:The 背照式押ボタンスイッチ
CA2273113A1 (en) * 1999-05-26 2000-11-26 Tactex Controls Inc. Touch pad using a non-electrical deformable pressure sensor
TW548627B (en) 2000-11-06 2003-08-21 Nissha Printing Wide-area inputable touch panel
EP1229647A1 (fr) 2001-01-26 2002-08-07 Faurecia Industries Organe de commande capacitif pour un organe fonctionnel notamment de véhicule automobile, et pièce d'équipement comportant un tel organe
DE10123633A1 (de) * 2001-05-09 2003-02-06 Ego Elektro Geraetebau Gmbh Sensorelement
DE10259297B4 (de) 2002-05-07 2006-11-16 Schott Ag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Schaltflächen
US7708437B2 (en) * 2003-11-19 2010-05-04 Lear Corporation Instrument panel system having concealed switches
US20050134726A1 (en) * 2003-12-18 2005-06-23 Parulski Kenneth A. Modular print scanner and digital imaging system
US7015407B2 (en) 2003-12-22 2006-03-21 Lear Corporation Hidden switch for motor vehicle
DE102004019304A1 (de) 2004-04-15 2005-11-03 E.G.O. Control Systems Gmbh Bedieneinrichtung mit einem Berührungsschalter
JP4363303B2 (ja) * 2004-10-21 2009-11-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ヒンジ装置、そのヒンジ装置を備えた自動原稿搬送装置、読取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4580738B2 (ja) * 2004-11-22 2010-11-17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0650917B1 (ko) * 2005-03-23 2006-11-29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KR100639732B1 (ko) * 2005-06-28 2006-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타입 버튼장치 및 이를 사용한 전자기기
JP4408429B2 (ja) * 2005-09-02 2010-02-0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JP4752497B2 (ja) * 2005-12-26 2011-08-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9038A (ko) 2019-04-09 2020-10-19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터치 입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30283A1 (en) 2008-09-25
US9557838B2 (en) 2017-01-31
US8749509B2 (en) 2014-06-10
EP1973028B1 (en) 2011-11-30
US20140233062A1 (en) 2014-08-21
KR101385969B1 (ko) 2014-04-17
US20130107306A1 (en) 2013-05-02
US8378975B2 (en) 2013-02-19
EP1973028A1 (en) 2008-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5969B1 (ko) 화상형성장치
JP5301118B2 (ja) キー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端末機
US8859923B2 (en) Input apparatus
JP4959164B2 (ja) シートスイッチ、シートスイッチモジュール及びパネルスイッチ
KR100639732B1 (ko) 터치타입 버튼장치 및 이를 사용한 전자기기
RU2340112C1 (ru)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JP4364286B1 (ja) 電子機器
EP2219136A1 (en) Illuminated fingerprint sensor and method
TWI386010B (zh) 行動終端機
KR101990452B1 (ko) 전자 장치에서 회로 보드들의 장착 구조
TW201706677A (zh) 顯示裝置
KR100822052B1 (ko) 엘이디 표시부와 백라이트 유닛이 결합된 엘씨디 모듈
KR101939293B1 (ko) 이동 단말기
JP5023971B2 (ja) 導光機能付き可動接点体とそれを用いた入力装置
JP2005267881A (ja) 面状照明装置
JP2010134605A (ja) 入力キー
JP2014230228A (ja) 電子装置
CN107949147A (zh) 一种柔性电路板和触控设备
JP5479234B2 (ja) 操作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2009294807A (ja) 電子機器及び電子部品
KR101931942B1 (ko) 이동 단말기
JP7001311B2 (ja) 静電センサパターンを有する発光部材を有する静電センサ型の面照明付スイッチ
KR101441681B1 (ko)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장치
JP2004134093A (ja) 入力パネル装置
WO2020175250A1 (ja) 照光装置及び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