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5863A - 컨텐츠 재생 장치, 컨텐츠 재생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컨텐츠 재생 장치, 컨텐츠 재생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85863A KR20080085863A KR1020087016772A KR20087016772A KR20080085863A KR 20080085863 A KR20080085863 A KR 20080085863A KR 1020087016772 A KR1020087016772 A KR 1020087016772A KR 20087016772 A KR20087016772 A KR 20087016772A KR 20080085863 A KR20080085863 A KR 200800858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ylist
- tempo
- content
- rank information
- content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3764 rhythm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386 athl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192 sprin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3443 Unconscious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RRLHMJHRFMHVNM-BQVXCWBNSA-N [(2s,3r,6r)-6-[5-[5-hydroxy-3-(4-hydroxyphenyl)-4-oxochromen-7-yl]oxypentoxy]-2-methyl-3,6-dihydro-2h-pyran-3-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1=C[C@@H](OC(C)=O)[C@H](C)O[C@H]1OCCCCCOC1=CC(O)=C2C(=O)C(C=3C=CC(O)=CC=3)=COC2=C1 RRLHMJHRFMHVNM-BQVXCWBN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935 neu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49 pul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00 swe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3—Discriminating type of movement, e.g. walking or runn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05—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sound
- A61B5/7415—Sound rendering of measured values, e.g. by pitch or volume vari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4—Exercis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ompetitions, e.g. virtual rac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2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running, jogging or speed-walkin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86—Timers, rhythm indicators or pacing apparatus using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41—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 coded form
- G10H1/0058—Transmission between separate instruments or between individual components of a musical system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63B2024/0012—Comparing movements or motion sequences with a registered referenc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63B2220/12—Absolute positions, e.g. by using GP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63B2220/13—Relative po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2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eans for remote communication, e.g. internet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04—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s
- A63B2230/06—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s heartbeat rate only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08—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other bio-electrical signal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5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temperature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031—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 G10H2210/076—Musical analysis, i.e. isolation, extraction or identification of musical elements or musical parameters from a raw acoustic signal or from an encoded audio signal for extraction of timing, tempo; Beat detection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75—Musical metadata derived from musical analysis or for use i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081—Genre classification, i.e. descriptive metadata for classification or selection of musical pieces according to style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21—Musical libraries, i.e. musical databases indexed by musical parameters, wavetables, indexing schemes using musical parameters, musical rule bases or knowledge bases, e.g. for automatic composing methods
- G10H2240/131—Library retrieval, i.e. searching a database or selecting a specific musical piece, segment, pattern, rule or parameter set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01—Physical layer or hardware aspects of transmission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e.g. voltage levels, bit streams, code words or symbols over a physical link connecting network nodes or instruments
- G10H2240/241—Telephone transmission, i.e. using twisted pair telephone lines or any type of telephone network
- G10H2240/251—Mobile telephone transmission, i.e. transmitting, accessing or controlling music data wirelessly via a wireless or mobile telephone receiver, analogue or digital, e.g. DECT, GSM, UMT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171—Transmission of musical instrument data, control or status information; Transmission, remote access or control of music data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40/281—Protocol or standard connector for transmission of analog or digital data to or from an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 G10H2240/295—Packet switched network, e.g. token ring
- G10H2240/305—Internet or TCP/IP protocol use for any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 data or musical parameter transmission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재생 장치, 컨텐츠 재생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기호가 반영되도록 플레이리스트에 대응하는 음악 컨텐츠를 재생한다. 음악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7)에는, 복수개의 음악 컨텐츠가 기억되어 있다. CPU(3)는, 예를 들면, 재생 빈도가 많은 음악 컨텐츠의 장르의 순위가 높아지도록 장르 랭크를 작성한다. 또한, CPU(3)는, 예를 들면, 템포별의 플레이리스트를 작성하여, 작성된 플레이리스트를 플레이리스트 데이터 베이스(8)에 기억한다. CPU(3)는, 템포 검출부(9)로부터 얻어지는 운동 템포에 대응하는 플레이리스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플레이리스트에 대응하는 음악 컨텐츠 중에서, 장르 랭크에서 순위가 높은 장르의 음악 컨텐츠를 선택한다. 선택된 음악 컨텐츠가 디코더·앰프부(12)에 공급되고, 헤드폰(14)으로부터 재생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컨텐츠 재생 장치, 컨텐츠 재생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 중에는, 사용자가 복수개의 음악 컨텐츠의 재생 순서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는 플레이리스트라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 있다. 플레이리스트는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고, 파일에 보존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마음에 드는 음악 컨텐츠의 재생 순서를 보존하고, 언제든지 보존된 재생 순서에 의해 음악 컨텐츠를 들을 수 있다.
또한, 최근, 곡명, 아티스트명, 장르, 템포, 발매 연도, 재생 횟수 등의 음악 컨텐츠의 특징에 기초하여 음악 컨텐츠를 구분하고, 공통의 특징을 가지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리스트를 자동적으로 작성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표 2005-526340호 공보 참조). 이 작성된 리스트도 또한 플레이리스트라고 한다. 하드 디스크, 광디스크, 반도체 메모리의 기억(기록) 용량의 대용량화가 진행되고, 사용자가 기억된 음악 컨텐츠를 모두 파악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가운데, 플레이리스트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음악 컨텐츠를 용이하게 들을 수 있 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발매 연도가 1998년인 음악 컨텐츠 A를 듣고자하는 경우, 정확하게 발매 연도를 기억하고 있는 경우는 드물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예를 들면, 「90년대 후반」과 같은 플레이리스트가 작성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그 플레이리스트를 선택하여 재생 처리를 행함으로써 음악 컨텐츠 A를 들을 수가 있다.
또한, 최근, 사용자의 몸의 움직임에 따라 음악 컨텐츠의 재생 태양을 변화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 2005-156641호 공보에는, 사용자의 보행이나 주행의 템포를 검출하여, 검출된 템포에 따라 음악 컨텐츠의 재생 속도를 변화시키는 재생 태양 제어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기억 매체의 기억 용량의 증대에 수반하여 기억되는 음악 컨텐츠의 총수가 증가하므로, 하나의 플레이리스트에 할당해지는 음악 컨텐츠의 양(개수)도 커지게 된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발매 연도와 같이 인간의 분명치 않은 기억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는, 엄밀하게 「1998년」이라 하지 않고 「90년대 후반」으로 하여 플레이리스트에 대응하는 음악 컨텐츠의 공통의 특징에 폭을 갖게 한다. 따라서, 하나의 플레이리스트에 대응하는 음악 컨텐츠의 양도 커지게 된다.
통상, 플레이리스트에 할당된 음악 컨텐츠가 복수개 존재할 때는, 재생 장치 측에서 적당하게 셔플(shuffle)되어 랜덤한 재생 순서가 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듣고 싶은 음악 컨텐츠가 재생되지 않고, 사용자의 기호가 반영된 음악 컨텐츠의 재생이 행해지지 않을 우려가 있었다. 사용자가 듣고 싶은 음악 컨텐츠 를 수동으로 선곡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가 보행이나 주행하고 있을 경우에는 이와 같은 조작을 행하기가 곤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레이리스트에 할당된 음악 컨텐츠 중에서 사용자의 기호에 적합한 음악 컨텐츠를 판별하고, 판별된 음악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및 컨텐츠 재생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의 컨텐츠를 유지하는 컨텐츠 유지부와,
사용자의 기호 정보에 따른 랭크 정보를 작성하는 랭크 정보 작성부와,
랭크 정보를 유지하는 랭크 정보 유지부와,
복수개의 컨텐츠를 할당하여 플레이리스트를 작성하는 플레이리스트 작성부와,
플레이리스트에 할당된 컨텐츠를 랭크 정보에 기초한 순서로 재생하는 재생 제어부
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컨텐츠를 유지하는 컨텐츠 유지 단계와,
사용자의 기호 정보에 기초한 랭크 정보를 작성하는 랭크 정보 작성 단계와,
랭크 정보를 유지하는 랭크 정보 유지 단계와,
복수개의 컨텐츠를 할당하여 플레이리스트를 작성하는 플레이리스트 작성 단계와,
플레이리스트에 할당된 컨텐츠를 랭크 정보에 기초한 순서로 재생하는 재생 제어 단계
로 이루어지는 컨텐츠 재생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에,
복수개의 컨텐츠를 유지하는 컨텐츠 유지 단계와,
사용자의 기호 정보에 기초한 랭크 정보를 작성하는 랭크 정보 작성 단계와,
랭크 정보를 유지하는 랭크 정보 유지 단계와,
복수개의 컨텐츠를 할당하여 플레이리스트를 작성하는 플레이리스트 작성 단계와,
플레이리스트에 할당된 컨텐츠를 랭크 정보에 기초한 순서로 재생하는 재생 제어 단계
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컨텐츠 재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장르 랭크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컨텐츠 재생 장치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사용자의 운동 템포에 대응하는 플레이리스트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컨텐츠 재생 장치의 CPU의 제어에 의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컨텐츠 재생 장치
3: CPU
7: 음악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8: 플레이리스트 데이터베이스
9: 템포 검출부
12: 디코더·앰프부
13: 통신부
14: 헤드폰
15: 인터넷
16: 음악 컨텐츠 배신 서버
S1: 운동 템포를 검출한다(예를 들면, p초간의 운동 템포의 평균값을 이용).
S2: x초간 재생을 계속한다.
S3: 운동 템포에 가까운 플레이리스트를 선택한다. 플레이리스트 내의 곡을 장르 랭킹 상위로부터 선택하여 재생한다.
S4: 운동 템포와 재생중인 플레이리스트의 템포가 Y% 이상의 차이가 있는가?
S5: 그대로 재생중인 곡을 재생한다. 음악이 끝나면, 동일한 플레이리스트 내의 다음 곡을 재생한다.
S6: 운동 템포와 플레이리스트의 템포를 비교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컨텐츠 재생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낸다. 컨텐츠 재생 장치(1)의 버스(2)에 대하여, CPU(Central Processing Unit)(3), ROM(Read Only Memory)(4), RAM(Random Access Memory)(5), 템포 데이터 베이스(도면에서는 DB로 약칭함)(6), 음악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7), 플레이리스트 데이터 베이스(8), 템포 검출부(9), 표시부(10), 조작 입력부(11), 디코더·앰프부(12), 및 통신부(13)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디코더·앰프부(12)는 헤드폰(14)에 접속되어 있다. 본 일실시예에서는, 컨텐츠 재생 장치(1)는 휴대형이 되고, 사용자는 컨텐츠 재생 장치(1)를 사용하여, 보행, 주행, 체조 등의 운동을 하면서 음악 컨텐츠를 들을 수 있다.
컨텐츠 재생 장치(1)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재생 제어부의 일례인 CPU(3)는, ROM(4)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컨텐츠 재생 장치(1)의 각 부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CPU(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플레이리스트에 할당된 음악 컨텐츠의 재생 순서를 변경하여 음악 컨텐츠를 재생한다. RAM(5)은, CPU(3)가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의 작업용 영역으로서 사용되고, 또한, 각 처리 시에 생성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수단으로서도 사용된다.
템포 데이터 베이스(6)에는, 템포 검출부(9)에서 검출된 사용자의 보행, 주행 등의 운동의 템포(이하, 운동 템포라 함)가 기억되어 있다. 템포 검출부(9)에 서 검출된 운동 템포가 일정 이상 변화하면, 템포 데이터 베이스(6)에 기억되어 있는 운동 템포가 변경된다.
컨텐츠 유지부의 일례인 음악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7)에는, 복수개의 음악 컨텐츠가 메타 정보와 관련되어 기억된다. 여기서, 메타 정보는, 각각의 음악 컨텐츠의 속성을 기술하는 데이터이며, 예를 들면, 음악 컨텐츠의 곡명, 템포, 재생 횟수, 장르, 연주 시간, 연주자 등이다.
플레이리스트 데이터 베이스(8)에는, CPU(3)에 의한 제어에 의해 작성된 복수개의 플레이리스트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본 일실시예에서는, 음악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7) 또는 플레이리스트 데이터 베이스(8)에 랭크 정보가 유지된다. 랭크 정보는, 장르, 아티스트 등의 구분에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부가된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선택된 플레이리스트 내에서는, 이 랭크 정보에 기초한 순서로 음악 컨텐츠가 재생된다. 그리고, 본 일실시예에서는, 음악 컨텐츠의 장르별의 랭크 정보(이하, 적절하게, 장르 랭크라 함)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CPU(3)는, 각각의 음악 컨텐츠의 메타 정보를 참조하여, 재생 빈도가 많은 음악 컨텐츠의 장르를 판별하고, 보다 많이 재생되고 있는 음악 컨텐츠의 장르가 상위로 되도록 우선 순위를 부가하여 장르 랭크를 작성한다. 도 2는 본 일실시예에서의 사용자 A의 장르 랭크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장르 랭크로부터, 사용자 A는, 장르가 록(Rock)인 음악 컨텐츠를 듣는 빈도가 가장 많고, 다음에, 장르가 얼터너티브(alternative) 뮤직인 음악 컨텐츠를 듣는 빈도가 많다. 또한, 다음에, 장르가 힙합(Hip Hop)인 음악 컨텐츠를 듣는 빈도가 많고, 장르가 알앤비(R&B: 리듬 앤드 블루스를 약칭한 음악 장르를 의미함), 블루스(Blues)인 음악 컨텐츠의 차례로 듣는 빈도가 많다.
물론, 도 2에 나타낸 장르 랭크는 일례이며, 엔카, 팝 등 상이한 장르에 대해도 우선 순위가 부가되어도 된다. 또한, 재생 빈도에 의해 장르 랭크를 작성하는 것 외에도, 음악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7)에 기억되어 있는 음악 컨텐츠의 장르 중 많은 장르의 순서로 우선 순위를 부가하여 장르 랭크를 작성해도 된다. 또한, 사용자가 조작 입력부(11)를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장르의 우선 순위를 입력하고, 입력에 따라 CPU(3)가 장르 랭크를 작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작성된 장르 랭크가 음악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7) 또는 플레이리스트 데이터 베이스(8)에 기억된다.
템포 데이터 베이스(6), 음악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7), 플레이리스트 데이터 베이스(8)는,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장르 랭크 등의 랭크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하드디스크를 구비해도 된다. 또한, 하나의 하드 디스크의 기억 영역을 분할하여, 각각에 운동 템포, 음악 컨텐츠, 플레이리스트, 및 랭크 정보를 기억하도록 해도 된다.
음악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7)는, 컨텐츠 재생 장치(1)에 내장되는 하드디스크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컨텐츠 재생 장치(1)에 분리 및 장착 가능한 반도체 메모리나 광디스크라도 된다.
다시 도 1로 되돌아 와서 설명한다. 템포 검출부(9)는, 예를 들면, 컨텐츠 재생 장치(1)의 본체 또는 헤드폰(14)에 장착되는 가속도 센서에 의해 구성되며, 사용자의 운동 템포를 검출한다. 운동 템포는, 한 쪽 발이 착지하고나서 다른 쪽 발이 착지할 때까지의 시간 간격 T가 소정 시간, 예를 들면, 1분간에 평균적으로 존재하는 개수, 바꾸어 말하면, 매분의 보수(步數)로 정의된다. 따라서, 빠른 속도로 보행하거나 주행 등의 운동을 하고 있는 경우에는, 매분의 보수가 많다.
예를 들면, 성인 남자의 경우에는, 완만한 페이스로 보행하는 경우는, 매분 105보∼110보이며, 빠른 페이스로 보행하는 경우는, 매분 120보∼125보 정도이다. 실험으로부터는, 사람의 운동 템포는 60∼250 보/분 정도이며, 무의식적인 보행 상태일 때의 템포는, 수% 정도의 편차의 범위 내에 들어가는 결과가 얻어지고 있다. 또한, 개인차는 크지만, 통상 보행과 전력 질주 사이에는, 운동 템포에는 평균적으로 70보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음악 컨텐츠로서의 악곡에서, 템포는, 박자의 길이, 즉 박절(拍節)의 속도이다. 여기서, 박절은, 음악 컨텐츠에서 같은 간격으로 두드리는 기본적인 리듬을 말하여, 박자는 그 하나 하나의 시간 단위를 말한다. 박절의 길이는 음악 컨텐츠에 따라 상이하고, 또 같은 음악 컨텐츠 내에서도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템포의 단위로서, 평균적으로 1분간에 몇개의 4분 음표가 들어가는지를 나타내는 단위 BPM(Beat per Minute)을 사용한다.
템포 검출부(9)에서는, 또한, 검출된 운동 템포로부터 BPM을 단위로 하는 악곡의 템포와 대응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이 경우, 1 대 1로 대응시키는데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보정 계수를 곱하여 운동 템포와 악곡의 템포를 비교하도록 해도 된다. 이 운동 템포를 악곡의 템포에 대응시키는 처리는, CPU(3)에서 실행되어도 된다.
그리고, 템포 검출부(9)는, 가속도 센서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에도 속도 센서, 압력 센서, 체동(體動) 가속도 센서, 위치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맥박, 피부 발한(發汗), 피부 저항, 근전위, 체표면 온도 등의 생체 정보를 검출하여, 생체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운동 템포를 검출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 템포 검출부(9)는, 컨텐츠 재생 장치(1)와 분리되고, 컨텐츠 재생 장치(1)와 무선에 의한 통신을 행함으로써 운동 템포가 컨텐츠 재생 장치(1)에 대하여 공급되어도 된다.
표시부(10)는,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에 의해 구성되며, 표시부(10)에는 컨텐츠 재생 장치(1)의 동작에 따른 각종 정보가 표시된다. 예를 들면, 음악 컨텐츠의 재생 위치 정보나 곡명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조작 입력부(11)는, 컨텐츠 재생 장치(1)의 하우징이나 컨텐츠 재생 장치(1)와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하여 접속되는 리모트 콘트롤 장치에 설치되는 버튼 등이다. 조작 입력부(11)를 조작하여 음악 컨텐츠의 재생, 빨리감기, 되감기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입력부(11)를 조작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플레이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표시부(10)를 터치 패널로 구성하고, 조작 입력부로 해도 된다.
디코더·앰프부(12)는, 음악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7)로부터 공급되는 음악 컨텐츠의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음악 컨텐츠의 데이터에 대하여 D/A(Digital to Analog) 변환을 행한다.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음악 컨텐츠의 데이터가 증폭되어 헤드폰(14)에 대하여 공급된다. 그리고, 헤드폰(14)에서 음악 컨텐츠가 재생된다.
통신부(13)는, 음악 컨텐츠 서버(16)와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와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기기와의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양쪽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인터넷(15)을 통하여, 예를 들면, 음악 컨텐츠 배신(配信) 서버(16)와 접속하여 통신을 행하고, 음악 컨텐츠 배신 서버(16)로부터 음악 컨텐츠를 다운로드한다. 다운로드된 음악 컨텐츠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파일 변환 처리나, 인코딩 처리가 행해지고, 처리가 행해진 음악 컨텐츠가 음악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7)에 기억되고, 등록된다. 통신부(13)의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에 의해, 컨텐츠 재생 장치(1)가 퍼스널 컴퓨터에 대하여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광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로부터 리핑(ripping)된 음악 컨텐츠를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컨텐츠 재생 장치(1)에 대하여 전송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컨텐츠 재생 장치(1)의 동작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처음에, 플레이리스트 선택 처리(21)가 행해진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악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7)에는 복수개의 음악 컨텐츠(도 3에서는 각각의 음표의 기호로 모식적으로 나타나 있음)가 기억되어 있다. 플레이리스트 작성 처리(21)에서는, 음악 컨텐츠와 관련되어 기억되어 있는 메타 정보의 템포 정보에 기초하여, 음악 컨텐츠가 할당되고, 플레이리스트가 작성된다.
예를 들면, 0BPM∼60BPM의 범위 내의 템포를 가지는 음악 컨텐츠에 의해 플 레이리스트 1이 작성된다. 또한, 61BPM∼70BPM의 범위 내의 템포를 가지는 음악 컨텐츠에 의해 플레이리스트 2가 작성된다. 또한, 71BPM∼80BPM의 범위 내의 템포를 가지는 음악 컨텐츠에 의해 플레이리스트 3이 작성된다. 또한, 81BPM∼90BPM의 범위 내의 템포를 가지는 음악 컨텐츠에 의해 플레이리스트 4가 작성된다. 이하, 마찬가지로 10BPM의 범위마다 플레이리스트가 작성되고, 템포가 171BPM 이상의 음악 컨텐츠에 의해 플레이리스트 13이 작성된다. 그리고, 도 3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플레이리스트 5 내지 플레이리스트 12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예를 들면, 메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템포가 55BPM인 음악 컨텐츠 M101이 플레이리스트 1에 할당된다. 템포가 67BPM인 음악 컨텐츠 M201이 플레이리스트 2에 할당된다. 템포가 74BPM인 음악 컨텐츠 M301이 플레이리스트 3에 할당된다. 템포가 82BPM인 음악 컨텐츠 M401이 플레이리스트 4에 할당된다. 또한, 템포가 175BPM인 음악 컨텐츠 M1301이 플레이리스트 13에 할당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일실시예에서는, 음악 컨텐츠 M101이 플레이리스트 1에 할당되고, 음악 컨텐츠 M201∼M206이 플레이리스트 2에 할당되고, 음악 컨텐츠 M301∼M305가 플레이리스트 3에 할당되고, 음악 컨텐츠 M401∼M412가 플레이리스트 4에 할당된다. 또한, 음악 컨텐츠 M1301 및 M1302가 플레이리스트 13에 할당된 것으로 한다.
또한, 각각의 플레이리스트에는, 그 플레이리스트의 특징을 나타내는 메타 정보가 플레이리스트마다 부가된다. 예를 들면, 플레이리스트 1에는 TP60이라는 메타 정보가 부가된다. 메타 정보인 TP60은, 메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템포가 0BMP∼60BPM의 범위 내인 음악 컨텐츠에 대응하는 플레이리스트인 것을 나타낸다. 플레이리스트 2에는 TP70이라는 메타 정보가 부가된다. 메타 정보인 TP70은, 메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템포가 61BPM∼70BPM의 범위 내인 음악 컨텐츠에 대응하는 플레이리스트인 것을 나타낸다. 플레이리스트 3에는 TP80이라는 메타 정보가 부가된다. 메타 정보인 TP80은, 메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템포가 71BPM∼80BPM의 범위 내인 음악 컨텐츠에 대응하는 플레이리스트인 것을 나타낸다. 플레이리스트 4에는 TP90이라는 메타 정보가 부가된다. 메타 정보인 TP90은, 메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템포가 81BPM∼90BPM의 범위 내인 음악 컨텐츠에 대응하는 플레이리스트인 것을 나타낸다. 플레이리스트 13에는 TP171이라는 메타 정보가 부가된다. 메타 정보인 TP171은, 메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템포가 171BPM 이상인 음악 컨텐츠에 대응하는 플레이리스트인 것을 나타낸다.
플레이리스트 작성 처리(21)에서 작성된 플레이리스트는, 각각의 플레이리스트에 부가되는 메타 정보와 함께 플레이리스트 데이터 베이스(8)에 기억된다.
다음에, 플레이리스트 선택 처리(22)가 행해진다. 플레이리스트 선택 처리(22)는, CPU(3)가 템포 검출부(9)로부터 공급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하는 선택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처리이다.
도 4에 나타낸 예는, 사람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보행을 개시하고, 보행 속도를 서서히 빠르게 하고, 나아가서는 주행 상태까지의 변화이다. 사람이 정지 또는 매우 천천히 보행하고 있는 스탠딩 상태일 때는, 템포 검출부(9)는, 약 0BPM∼90BPM의 운동 템포를 검출하고, 검출된 운동 템포에 대응하는 플레이리스트가 선택된다. 도 4에서는 이 0BPM∼90BPM의 범위 내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플레이리스트를 슬로우 송(slow songs)으로 총칭하고 있다. 사람이 보행하고 있는 워킹 상태일 때는, 템포 검출부(9)는, 약 91BPM∼150BPM의 운동 템포를 검출하고, 검출된 운동 템포에 대응하는 플레이리스트가 선택된다. 도 4에서는 이 91BPM∼150BPM의 범위 내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플레이리스트를 뉴트럴 송(neutral songs)으로 총칭하고 있다.
사람이 주행하고 있는 런닝 상태일 때는, 템포 검출부(9)는, 약 151BPM∼170BPM의 운동 템포를 검출하고, 검출된 운동 템포에 대응하는 플레이리스트가 선택된다. 도 4에서는 이 151BPM∼170BPM의 범위 내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플레이리스트를 패스트 송(fast songs)으로 총칭하고 있다. 그리고, 사람이 전력 질주하고 있는 하드 런닝 상태일 때는, 템포 검출부(9)는, 약 171BPM∼190BPM의 운동 템포를 검출하고, 검출된 템포에 대응하는 플레이리스트가 선택된다. 도 4에서는 이 171BPM∼190BPM의 범위 내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플레이리스트를 베리패스트 송(very fast songs)으로 총칭하고 있다.
템포 검출부(9)에서 검출된 운동 템포에 따라 플레이리스트가 선택된다. 사용자의 운동 템포로서 0BPM∼60BPM의 범위 내의 템포가 얻어진 경우는, 플레이리스트 1이 선택되고, 플레이리스트 1에 대응하는 음악 컨텐츠가 재생된다. 또한, 사용자의 운동 템포로서 61BPM∼70BPM의 범위 내의 템포가 얻어진 경우는, 플레이리스트 2가 선택되고, 플레이리스트 2에 대응하는 음악 컨텐츠가 재생된다. 또한, 사용자의 운동 템포로서 71BPM∼80BPM의 범위 내의 템포가 얻어진 경우는, 플레이리스트 3이 선택되고, 플레이리스트 3에 대응하는 음악 컨텐츠가 재생된다. 다른 운동 템포가 얻어진 경우도 마찬가지로 하여, 사용자의 운동 템포에 대응하는 플레이리스트가 선택되고, 선택된 플레이리스트에 대응하는 음악 컨텐츠가 재생된다.
예를 들면, 템포 검출부(9)에서 사용자의 운동 템포로서 88BPM이 검출되었다고 하자. 검출된 운동 템포 88BPM이 CPU(3)에 대하여 공급된다. CPU(3)는, 템포 검출부(9)로부터 공급된 운동 템포가 88BPM이므로, 플레이리스트 데이터 베이스(8)에 기억된 템포별의 플레이리스트 중에서 메타 정보가 TP90인 플레이리스트를 선택하는 선택 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선택 신호에 의해, 메타 정보가 TP90인 플레이리스트 4가 선택된다.
또한, 플레이리스트 선택 처리(22)에서는, 선택된 플레이리스트에 할당되는 음악 컨텐츠의 재생 순서를 제어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종래는, 플레이리스트 4에 할당된 음악 컨텐츠 M401∼M412의 재생 순서가 랜덤하게 정렬되어 재생되고 있었기 때문에, 사용자가 듣고 싶은 음악 컨텐츠가 바로 재생되지 않을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장르 랭크 등의 랭크 정보가 사용자의 기호를 반영하고 있으므로, 플레이리스트에 할당된 음악 컨텐츠를 랭크 정보에 기초한 순서로 선택하여 재생하도록 행해진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리스트 4가 선택되면, CPU(3)는, 플레이리스트 4에 할당된 음악 컨텐츠 M401∼M412 중에서 장르 랭크에 기초한 순서로 재생곡 순서를 결정한다. 장르 랭크에서는, 록의 우선 순위가 가장 높으므로, 플레이리스트 4로부터 장르가 록인 음악 컨텐츠 M407 및 M408을 우선적으로 재생하도록 재생곡 순서를 설정한다. 장르 랭크에서는, 다음에, 얼터너티브의 우선 순위가 높 으므로, 장르가 얼터너티브인 음악 컨텐츠 M409 및 M410이 이어서 재생되도록 재생곡 순서가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장르 랭크의 우선 순위가 높은 순서의 장르의 음악 컨텐츠가 우선적으로 재생되도록 재생곡 순서가 설정된다. 즉, 장르 랭크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힙합, 알앤비, 블루스의 차례로 음악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재생곡 순서가 설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플레이리스트 4에 할당된 음악 컨텐츠 M401∼M412의 재생곡 순서가 결정된다.
그리고, CPU(3)가 결정된 재생 순서에 기초하여 음악 컨텐츠 M407을 선택하고, 선택된 음악 컨텐츠 M407을 디코더·앰프부(12)에 대하여 공급한다. 디코더·앰프부(12)에서는, 공급된 음악 컨텐츠 M407에 대하여 디코드·앰프 처리(23)가 행해지고, 디코드·앰프 처리(23)를 행한 음악 컨텐츠 M407은 헤드폰(14)에 대하여 공급되고, 재생된다. 음악 컨텐츠 M407의 재생이 종료되면, CPU(3)는, 플레이리스트 4의 음악 컨텐츠 중에서, 다음 재생 순서의 음악 컨텐츠 M408을 선택하고, 선택된 음악 컨텐츠 M408을 디코더·앰프부(12)에 공급한다. 그리고, 디코드·앰프 처리(23)가 행해지고, 음악 컨텐츠 M408이 재생된다. 이와 같이, 플레이리스트 4에 대응하는 음악 컨텐츠가 장르 랭크에 기초한 순서대로, 재생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운동 템포와 거의 동일한 템포를 가지는 음악 컨텐츠를 사용자의 기호가 반영된 장르 랭크에 기초한 순서로 재생할 수 있다.
도 5는 본 일실시예에서의 CPU(3)에 의해 제어되는 컨텐츠 재생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1에서는, 템포 검출부(9)에서 운동 템포의 검출이 행해진다. 사용자의 운동 템포는, 시시각각으로 변화되므로, 예를 들면, p초간 운동 템포를 검출하여, 그 평균값을 사용자의 운동 템포로 한다. 운동 템포가 검출되면, 처리가 단계 S2로 진행한다.
단계 S2에서는, 현재 재생되고 있는 음악 컨텐츠가 X초간 재생된다. X초간은, 예를 들면, 5초 내지 10초 정도가 된다. 음악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이 단계 S2에서의 처리는 행해지지 않는다. 이어서, 처리가 단계 S3으로 진행한다.
단계 S3에서는, 플레이리스트 선택 처리가 행해진다. 플레이리스트 선택 처리에서는, 템포별의 복수개의 플레이리스트 중에서 검출된 운동 템포에 대응하는 플레이리스트가 선택된다. 그리고, 선택된 플레이리스트에 대응하는 음악 컨텐츠 중에서, 장르 랭크의 상위 순서의 장르인 음악 컨텐츠가 선택되어 재생된다. 이어서, 처리가 단계 S4로 진행한다.
단계 S4에서는, 템포 검출부(9)에서 검출된 운동 템포와 재생 중인 음악 컨텐츠와 대응하는 플레이리스트의 템포와의 차이가 Y% 이상인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예를 들면, 단계 S3에서 선택된 플레이리스트의 템포의 최대값 또는 최저값과 운동 템포와의 차이가 Y%인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Y의 값은, 운동 템포와 음악 컨텐츠의 템포가 청감(聽感) 상, 거의 동일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 범위로 적절하게 설정된다. 이 단계 S4에서는, 상대값으로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단계 S3에서 선택된 플레이리스트의 템포의 최대값 또는 최저값과 운동 템포와의 차이가, 예를 들면, 5BPM이 되는 임계값을 초과하는지의 여부에 의해 비교해도 된다. Y%의 차이가 없을 경우는, 처리가 단계 S5로 진행한다.
단계 S5에서는, 운동 템포와 재생 중인 음악 컨텐츠와 대응하는 플레이리스트의 템포와의 차이가 일정 이상이 아니기 때문에, 그대로 음악 컨텐츠의 재생을 계속한다. 그리고, 음악 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되면, 단계 S3에서 선택된 동일한 플레이리스트 중에서, 다음 재생 순서의 음악 컨텐츠가 선택되어 재생된다.
단계 S4에서, Y%의 차이가 있을 때는 처리가 단계 S6으로 진행하고, 새로 플레이리스트가 선택된다. 단계 S6에서는, 템포 검출부(9)에서 검출된 템포와 플레이리스트 데이터 베이스(8)에 기억되어 있는 템포별의 플레이리스트의 각각의 메타 정보가 비교된다. 그리고, 처리가 단계 S3으로 진행하고, 새로 검출된 운동 템포에 대응하는 플레이리스트가 선택된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일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장르 랭크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장르의 음악 컨텐츠가 복수개 존재할 때(예를 들면, 도 4에서의 장르가 록인 음악 컨텐츠 M407 및 M408)는, 이들 음악 컨텐츠를 랜덤하게 재생해도 되고, 음악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7)에 등록된 때를 나타내는 시간 정보(연, 월, 일, 시, 분 등)가 새로운 순서로 재생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음악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7)의 음악 컨텐츠가 광디스크 등으로부터 리핑된 경우는, 예를 들면, 광디스크에 기록된 순서(트랙 넘버 순서)로 재생하도록 해도 된다.
컨텐츠 재생 장치(1)는 휴대형에 한정되지 않고, 거치형이라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디오 전용의 재생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 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음성 녹음 장치, 디지털 카메라 등의 다른 기능을 병행하여 가지는 휴대형의 재생 장치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일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사전에 템포별의 플레이리스트가 작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검출된 운동 템포에 따라 적응적으로 플레이리스트가 작성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CPU(3)가 검출된 템포와 ±5BPM의 템포를 가지는 음악 컨텐츠를 음악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7)로부터 선택하여, 선택된 음악 컨텐츠에 대응하는 플레이리스트를 작성한다. 그리고, 작성된 플레이리스트 중에서, 랭크 정보에 기초한 순서로 음악 컨텐츠가 선택되고, 선택된 음악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해도 된다.
전술한 일실시예에서는, 컨텐츠로서 음악 컨텐츠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영상, 게임, 전자 서적, 정지 화상 등의 컨텐츠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랭크 정보의 일례인 장르 랭크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작성된다. 예를 들면, 컨텐츠가 게임인 경우는, 「슈팅」, 「어드벤쳐」, 「롤플레잉」 등의 장르 랭크가 작성된다. 또한, 전자 서적의 경우는, 「역사 소설」, 「추리 소설」, 「만화」 등의 장르가 작성된다.
또한, 전술한 일실시예에서는, 플레이리스트가 템포 별로 작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밖에도 아티스트별, 연대별 등의 플레이리스트가 작성될 때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랭크 정보는 장르 랭크에 한정되지 않고, 연대별이나 아티스트별의 랭크 정보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재생 빈도가 많은 음악 컨텐츠의 아티스트의 우선 순위가 높아지도록 하여 아티스트별의 랭크 정보를 작성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일실시예에서는, CPU(3)가 플레이리스트를 작성하는 처리 및 랭크 정보를 작성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각 처리를 실행하는 CPU를 각각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컨텐츠 재생 장치를 구성하는 각 수단을, 전용 하드웨어 회로에 의해 구성할 수 있고, 방법 또는 프로그램된 컴퓨터에 의해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처리 내용을 기술한 프로그램은, 자기 기록 장치,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의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해 둘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레이리스트에 할당된 복수개의 음악 컨텐츠로부터 사용자의 기호에 적합한 음악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음악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재생할 수 있다.
Claims (8)
- 복수개의 컨텐츠를 유지하는 컨텐츠 유지부와,사용자의 기호 정보에 기초한 랭크 정보를 작성하는 랭크 정보 작성부와,상기 랭크 정보를 유지하는 랭크 정보 유지부와,상기 복수개의 컨텐츠를 할당하여 플레이리스트를 작성하는 플레이리스트 작성부와,상기 플레이리스트에 할당된 컨텐츠를 상기 랭크 정보에 기초한 순서로 재생하는 재생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랭크 정보는, 템포, 장르, 아티스트 및 연대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관한 랭크인, 컨텐츠 재생 장치.
- 제2항에 있어서,사용자의 운동 템포를 검출하는 템포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상기 재생 제어부는, 상기 템포에 의해 구분된 플레이리스트 중에서 상기 운동 템포에 대응하는 플레이리스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플레이리스트에 할당된 컨텐츠를 상기 랭크 정보에 기초한 순서로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컨텐츠는, 음악, 음성, 영상, 게임, 전자 서적 및 화상 컨텐츠 중 어느 하나인, 컨텐츠 재생 장치.
- 복수개의 컨텐츠를 유지하는 컨텐츠 유지 단계와,사용자의 기호 정보에 따른 랭크 정보를 작성하는 랭크 정보 작성 단계와,상기 랭크 정보를 유지하는 랭크 정보 유지 단계와,상기 복수개의 컨텐츠를 할당하여 플레이리스트를 작성하는 플레이리스트 작성 단계와,상기 플레이리스트에 할당된 컨텐츠를 상기 랭크 정보에 기초한 순서로 재생하는 재생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방법.
- 제5항에 있어서,상기 랭크 정보는, 템포, 장르, 아티스트 및 연대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관한 랭크인, 컨텐츠 재생 방법.
- 제6항에 있어서,사용자의 운동 템포를 검출하는 템포 검출 단계를 더 포함하고,상기 재생 제어 단계는, 상기 템포에 의해 구분된 플레이리스트 중에서 상기 운동 템포에 대응하는 플레이리스트를 선택하고, 선택된 플레이리스트에 할당된 컨텐츠를 상기 랭크 정보에 기초한 순서로 재생하는 단계인, 컨텐츠 재생 방법.
- 컴퓨터에,복수개의 컨텐츠를 유지하는 컨텐츠 유지 단계와,사용자의 기호 정보에 기초한 랭크 정보를 작성하는 랭크 정보 작성 단계와,상기 랭크 정보를 유지하는 랭크 정보 유지 단계와,상기 복수개의 컨텐츠를 할당하여 플레이리스트를 작성하는 플레이리스트 작성 단계와,상기 플레이리스트에 할당된 컨텐츠를 상기 랭크 정보에 기초한 순서로 재생하는 재생 제어 단계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6006256A JP2007188598A (ja) | 2006-01-13 | 2006-01-13 |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JPJP-P-2006-00006256 | 2006-01-1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5863A true KR20080085863A (ko) | 2008-09-24 |
Family
ID=38256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7016772A KR20080085863A (ko) | 2006-01-13 | 2007-01-11 | 컨텐츠 재생 장치, 컨텐츠 재생 방법 및 프로그램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8812502B2 (ko) |
EP (1) | EP1973114B1 (ko) |
JP (1) | JP2007188598A (ko) |
KR (1) | KR20080085863A (ko) |
CN (1) | CN101385086B (ko) |
BR (1) | BRPI0707119A2 (ko) |
DE (1) | DE602007013176D1 (ko) |
RU (1) | RU2008128467A (ko) |
TW (1) | TW200809795A (ko) |
WO (1) | WO2007081049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222085A1 (ko) * | 2016-06-20 | 2017-12-28 | 스노우 주식회사 |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방법 및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80581A (ja) * | 2006-04-12 | 2007-10-25 | Sony Corp | コンテンツ検索選択方法、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検索サーバ |
JP2008015595A (ja) | 2006-07-03 | 2008-01-24 | Sony Corp | コンテンツ選択推薦方法、サーバ、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記録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選択推薦用プログラム |
US20080239888A1 (en) * | 2007-03-26 | 2008-10-02 | Yamaha Corporation | Music Data Providing System |
JP4882918B2 (ja) * | 2007-08-21 | 2012-02-22 | ソニー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US8583615B2 (en) * | 2007-08-31 | 2013-11-12 | Yahoo! Inc.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playlist from a mood gradient |
FR2938747A1 (fr) * | 2008-11-26 | 2010-05-28 | Univ Rennes | Multicapteurs de mouvement pour l'asservissement sans appareillage du defilement de videos issues d'une camera en mouvement. |
US7872188B2 (en) * | 2009-03-20 | 2011-01-18 | Mariann Martin Willis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onal exercise trainer |
EP2333778A1 (en) * | 2009-12-04 | 2011-06-15 | Lg Electronics Inc. | Digital data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US20150279429A1 (en) * | 2012-04-18 | 2015-10-01 | Vixs Systems, Inc. | Video processing system with digest generation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
EP2866223B1 (en) * | 2012-06-26 | 2017-02-01 | Yamaha Corporation | Automated music performance time stretch using audio waveform data |
CN103456329B (zh) * | 2013-08-29 | 2016-08-10 |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 一种播放多媒体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
US9448762B2 (en) | 2014-06-30 | 2016-09-20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Precognitive interactive music system |
RU2710859C2 (ru) * | 2014-12-26 | 2020-01-14 | Сони Корпорейшн |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и программа |
TW201624199A (zh) * | 2014-12-30 | 2016-07-01 | 富智康(香港)有限公司 | 根據運動狀態自動選歌的系統及方法 |
US10055413B2 (en) | 2015-05-19 | 2018-08-21 | Spotify Ab | Identifying media content |
US10372757B2 (en) * | 2015-05-19 | 2019-08-06 | Spotify Ab | Search media content based upon tempo |
US9570059B2 (en) * | 2015-05-19 | 2017-02-14 | Spotify Ab | Cadence-based selection, playback, and transition between song versions |
ITUB20153140A1 (it) * | 2015-08-17 | 2017-02-17 | Marco Franciosa | Metodo e dispositivo per la gestione delle transizioni tra brani musicali |
CN107038171A (zh) * | 2016-02-03 | 2017-08-11 |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 生成歌单的方法和装置 |
WO2017214408A1 (en) | 2016-06-09 | 2017-12-14 | Tristan Jehan | Identifying media content |
US11113346B2 (en) | 2016-06-09 | 2021-09-07 | Spotify Ab | Search media content based upon tempo |
GB201620838D0 (en) | 2016-12-07 | 2017-01-18 | Weav Music Ltd | Audio playback |
GB201620839D0 (en) * | 2016-12-07 | 2017-01-18 | Weav Music Ltd | Data format |
US11127386B2 (en) * | 2018-07-24 | 2021-09-21 | James S. Brown |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music from electrodermal activity data |
US20210321648A1 (en) * | 2020-04-16 | 2021-10-21 | John Martin | Acoustic treatment of fermented food products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837858B1 (en) * | 2000-01-11 | 2013-07-10 | Yamaha Corporatio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performer´s motion to interactively control performance of music or the like |
WO2002001439A2 (en) * | 2000-06-29 | 2002-01-03 | Musicgenome.Com Inc. | Using a system for prediction of musical preferences for the distribution of musical content over cellular networks |
WO2003019560A2 (en) * | 2001-08-27 | 2003-03-06 | Gracenote, Inc. | Playlist generation, delivery and navigation |
JP3911436B2 (ja) * | 2002-04-23 | 2007-05-09 | 富士通テン株式会社 | 音声記録再生装置及び音声記録再生用プログラム |
MXPA04001705A (es) * | 2002-06-24 | 2005-04-11 | Lg Electronics Inc | Medio de grabacion que tiene estructuras de datos para manejar la reproduccion de multiples datos de video de la trayectoria de la reproduccion, ahi grabados, y metodos y aparatos para grabacion y reproduccion. |
JP4067372B2 (ja) * | 2002-09-27 | 2008-03-26 | クラリオン株式会社 | 運動補助装置 |
JP3830154B2 (ja) * | 2003-06-30 | 2006-10-04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方法 |
JP2005156641A (ja) | 2003-11-20 | 2005-06-16 | Sony Corp | 再生態様制御装置及び再生態様制御方法 |
EP1715926B1 (en) | 2004-02-19 | 2017-11-29 | Koninklijke Philips N.V. | Audio interval training device |
JP2007135737A (ja) | 2005-11-16 | 2007-06-07 | Sony Corp | 動作支援方法および動作支援装置 |
JP4654896B2 (ja) | 2005-12-06 | 2011-03-23 | ソニー株式会社 | オーディオ信号の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
JP4264752B2 (ja) | 2005-12-16 | 2009-05-20 | ソニー株式会社 | オーディオ信号の再生機および再生方法 |
JP4356700B2 (ja) | 2006-02-21 | 2009-11-04 | ソニー株式会社 | 再生装置 |
JP2007280581A (ja) | 2006-04-12 | 2007-10-25 | Sony Corp | コンテンツ検索選択方法、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検索サーバ |
-
2006
- 2006-01-13 JP JP2006006256A patent/JP2007188598A/ja active Pending
-
2007
- 2007-01-03 TW TW096100196A patent/TW200809795A/zh unknown
- 2007-01-11 BR BRPI0707119-1A patent/BRPI0707119A2/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01-11 CN CN2007800060388A patent/CN101385086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01-11 RU RU2008128467/28A patent/RU2008128467A/ru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7-01-11 KR KR1020087016772A patent/KR2008008586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7-01-11 EP EP07706941A patent/EP1973114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7-01-11 DE DE602007013176T patent/DE602007013176D1/de active Active
- 2007-01-11 US US12/160,819 patent/US8812502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01-11 WO PCT/JP2007/050634 patent/WO2007081049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222085A1 (ko) * | 2016-06-20 | 2017-12-28 | 스노우 주식회사 | 컨텐츠 제공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방법 및 장치 |
CN109691121A (zh) * | 2016-06-20 | 2019-04-26 | 韩国斯诺有限公司 | 为了执行内容提供方法而存储在记录介质中的计算机程序、方法及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7188598A (ja) | 2007-07-26 |
RU2008128467A (ru) | 2010-01-20 |
US8812502B2 (en) | 2014-08-19 |
CN101385086B (zh) | 2011-06-15 |
DE602007013176D1 (de) | 2011-04-28 |
CN101385086A (zh) | 2009-03-11 |
US20100168879A1 (en) | 2010-07-01 |
WO2007081049A1 (ja) | 2007-07-19 |
TW200809795A (en) | 2008-02-16 |
BRPI0707119A2 (pt) | 2011-04-19 |
EP1973114A4 (en) | 2009-01-21 |
EP1973114B1 (en) | 2011-03-16 |
EP1973114A1 (en) | 2008-09-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085863A (ko) | 컨텐츠 재생 장치, 컨텐츠 재생 방법 및 프로그램 | |
EP1973113A1 (en) | Contents reproducing device, contents reproducing method, and program | |
KR100913978B1 (ko) | 미디어 데이터 포맷을 위한 메타데이터 유형 | |
TWI651645B (zh) | 電子裝置及其音樂播放系統及方法 | |
TW201725503A (zh) | 伺服器及其音樂服務系統及方法 | |
WO2007055058A1 (ja) | データ再生装置、データ再生方法及び情報記憶媒体 | |
JP4264752B2 (ja) | オーディオ信号の再生機および再生方法 | |
US8153879B2 (en) | Data processing apparatus, data reproduction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and data processing program | |
JP2006239398A5 (ko) | ||
RU2402366C2 (ru) | Устройств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звука, способ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звука | |
JP5541529B2 (ja) | コンテンツ再生装置、楽曲推薦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JP2017041136A (ja) | 決定装置、決定方法、決定プログラム、端末装置、及び楽曲再生プログラム | |
JP2005285285A (ja) | コンテンツ読出装置及び楽曲再生装置 | |
JP5541531B2 (ja) | コンテンツ再生装置、楽曲推薦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JP2007200432A (ja) | プレイリスト作成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プレイリスト作成方法、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サーバ並びに情報処理装置 | |
JP2008022979A (ja) | ゲーム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 |
JP2008022978A (ja) | ゲーム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 |
JP2007207337A (ja) | コンテンツの再生装置およびその再生方法 | |
JP2008027051A (ja) | 検索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 |
JP2009289387A (ja) | 楽曲再生リスト生成装置、楽曲再生リスト生成方法及び楽曲再生リスト生成プログラム | |
JP2006293887A (ja) | 再生装置、検索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
JP2007199497A (ja) |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装置 | |
JP2007132976A (ja) | 楽曲再生装置と楽曲再生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と楽曲再生方法 | |
JP2006079777A (ja) | コンテンツ再生パターン生成装置、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再生パターン生成方法 | |
JP2007109346A (ja) | 携帯音楽再生端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