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4775A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4775A
KR20080084775A KR1020080044714A KR20080044714A KR20080084775A KR 20080084775 A KR20080084775 A KR 20080084775A KR 1020080044714 A KR1020080044714 A KR 1020080044714A KR 20080044714 A KR20080044714 A KR 20080044714A KR 20080084775 A KR20080084775 A KR 20080084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plates
expansion joint
leakage bloc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1770B1 (ko
Inventor
고삼석
Original Assignee
고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삼석 filed Critical 고삼석
Priority to KR1020080044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1770B1/ko
Publication of KR20080084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4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또는 차도용 교량의 신축이음부에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 후에 차량의 주행에 따른 하중에 의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함과 동시에 소음을 억제하게 되어 차량의 승차감을 크게 향상되도록 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량 상판의 이격공간부에 설치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이웃하는 교량 상판 사이 이격공간부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한쌍의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누수차단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에 서로 겹쳐지는 수평부가 형성된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신축이음장치, 철도, 차도, 핑거블록, 플레이트, 누수차단부재, 교량

Description

교량용 신축이음장치{A method construction for expansion and connection storage bridge expansion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인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 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인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6은 종래의 신축이음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400, 500 : 신축이음장치
110, 210, 310, 410, 510 : 베이스플레이트
112, 112a, 212, 212a, 312, 312a, 412,412a, 512, 512a : 제1,2플레이트
114, 114a, 214, 214a, 314, 314a, 414, 414a, 514, 514a : 수평부
120, 220, 320, 420, 520 : 누수차단부
122, 122a, 222, 222a, 322, 322a, 422, 422a, 522, 522a : 제1,2누수차단부재
130, 230, 330, 430, 530 : 기초골조
132, 134, 232, 234, 332, 334, 432, 434, 532, 534 : 종,횡방향철근
224, 224a, 324, 324a, 424, 424a, 524, 524a : 제1,2지지부재
340, 540 : 핑거블록 B, B' : 상판
C : 콘크리트 H : 이격공간부
본 발명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 또는 차도용 교량의 신축이음부에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 후에 차량의 주행에 따른 하중에 의한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함과 동시에 소음을 억제하게 되어 차량의 승차감을 크게 향상되도록 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구조는 크게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로 나눌 수 있는데, 상부구조는 계절에 따른 온도변화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교축방향으로 길이가 신장하거나 수축함에 따라 이웃하는 두 상판의 사이에 통상적으로 교량고유의 신축량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이 이격되게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격공간을 두고 상판을 교각에 얹게 되면, 상기 상판이 기온의 상승에 의해 신장할 때에는 이격공간이 축소되어 차량이 교량의 상부를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으나, 상기 상판이 기온의 저하에 의해 수축할 경우에는 이격공간이 더욱 확대되어 상기 이격공간에 의한 간섭으로 교량의 상부를 통행하는 차량이 원활하게 주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격공간으로 빗물 및 겨울철에 눈이 녹은 물이 유입되어 이 수분에 의해 상판이 부식되고, 토사 등이 이격공간부의 하부에 설치된 고무재질의 물받이에 적층되게 되면 그 무게에 의해 물받이는 신축이음장치로부터 탈락되어 신축이음 장치의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때, 신축이음장치로부터 이탈된 물받이로 인하여 신축이음장치 하부로 물이 침투하여 교량 하부에 백태, 균열의 발생 및 콘크리트 중성화로 인한 교량 구조물의 수명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16과 같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가 개시된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장치는, 이웃하는 교량 상판(1)의 선단부 상측에 각각 저면에 설치된 매설체(2)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베이스플레이트(3)와, 상기 각 베이스플레이트(3)의 상부에 고정볼트(4)에 의해 고정되어 핑거부(5)가 깍지낀 형상으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핑거블록(6)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의 일측을 상호 연결하여 핑거블록(6)의 핑거부(5) 사이로 유입되는 이물질이나 빗물을 받치는 "U"자 형상의 이물질받이(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장치를 이웃하는 이격공간에 설치하게 되면 상판의 신축에 따라 일측 상판에 설치된 핑거블록과 타측 상판에 설치된 핑거블록과의 간격이 확대 또는 축소되는데, 이때 핑거블록의 핑거부는 깍지낀 형상으로 설치되어 각각 다른 핑거블록의 핑거삽입홈의 내측에서만 수평이동함으로써, 상판이 신축하더라도 핑거블록의 핑거부가 상판의 연결부분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을 원활하게 할 수가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장치는 차량에 따른 하중에 의 한 충격이 핑거블록을 통해 베이스플레이트로 그대로 전달되고, 특히 상판의 신장시에 핑거블록의 핑거부로 충격이 집중적으로 가해지게 되어 상판의 선단 모서리부에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로 그 충격이 전달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판의 선단 모서리부가 파손되어 대향하는 핑거블록은 수평을 이루지 못하게 됨으로써 차량이 통과할 때 불쾌한 소음을 유발하게 되고 차량의 승차감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핑거블록의 핑거부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빗물 및 눈과 이물질 등이 침투하게 되어 이물질받이에 쌓이게 되고, 이물질받이에 장시간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상기 이물질받이는 그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고 베이스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게 되어 신축이음장치로서의 기능이 상실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신축이음장치를 재설치하는 보수공사를 실시하여야 하고, 이로 인하여 신축이음장치를 유지보수하는 기간 동안 교통체증을 유발하게 되어 교통 통행에 불편함을 주게 되고,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유지보수로 인하여 정부나 지자체의 예산낭비를 초래하는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의 신축이음장치를 이용한 종래 시공방법은 교량의 신축이음부를 일정구간 오픈한 상태에서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고 철근을 배근한 후, 초속경콘크리트 또는 무수축몰탈을 타설하여 일정시간 양생하는 단계로 시공하고 있으나, 이러한 시공방법은 콘크리트에 균열이 많이 발생하고, 구 콘크리트와 신 콘크리트와의 접합이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누수가 발생함에 따라 교량 하부에 균열발생 및 콘크리트 중성화로 인한 교량구조물의 수명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웃하는 상판 간의 이격공간부에 설치되어 신축작용을 원활하게 수행함과 동시에 이격공간으로 물을 포함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U"자형의 이물질받이가 필요없이도 신축이음장치의 설치 공간부로 물 및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량 상부로 차량의 운행시 발생되는 수직하중에 대한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충격가중치를 낮추고, 충격하중에 대한 교량의 피로도를 감소시켜 교량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교량 신축이음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이웃하는 상판 간의 이격공간부에 설치작업과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설치 후 이에 대한 유지보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량 상판의 이격공간부에 설치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이웃하는 교량 상판 사이 이격공간부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한쌍의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설치 되는 누수차단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에 서로 겹쳐지는 수평부가 형성된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누수차단부는 상기 제1,2플레이트의 수평부가 겹쳐진 사이에 설치되되, 상기 제1플레이트의 수평부 하단에는 제1누수차단부재가 접착 고정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의 수평부 상단에는 제2누수차단부재가 접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서로 대응되게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가 구비되되, 상기 제1,2플레이트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향하는 수평부가 구비된 "ㄱ"자 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2플레이트의 수평부는 상부가 평행하게 설치되어 서로 대응부에 요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 하부에는 상기 누수차단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서로 대응되게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가 구비되되, 상기 제1,2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외측을 향하도록 수평부가 구비된 "ㄱ"자 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 하단에는 누수차단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플레이트의 상기 수평부 상단 길이방향으로 한쌍의 핑거블록이 결합 고정되되, 상기 한쌍의 핑거블록이 서로 대응되는 방향에 서로 이격되게 하여 깍지낀 형상으로 요홈이 형성된 핑커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서로 대응되게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가 구비되되, 상기 제1,2플레이트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2플레이트의 사이에는 상기 누수차단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누수차단부는 상기 제1누수차단부재와 제2누수차단부재가 서로 겹쳐지도록 설치되되, 상기 제1,2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제1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지지부재 하부에 제1누수차단부재가 접착 고정되며, 제1,2플레이트 중 상기 제1지지부재가 고정된 타측에 제2지지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제2지지부재의 상부에 제2누수차단부재가 접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가 서로 대응되게 매설되고, 상기 제1,2플레이트의 상부에 서로 대응부에 요홈이 형성된 핑거부가 형성된 핑거블록이 볼트 결합되고, 상기 제1,2플레이트와 핑거블록 사이에 누수차단부와 상기 누수차단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가 각각 결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누수차단부는 제1누수차단부재와 제2누수차단부재로 구성되어 서로 겹쳐지게 구비하되 상기 제1누수차단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재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누수차단부재는 제1지지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의 각 타측부에는 높이조절판이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플레이트의 내측부에는 사기 제2지지부재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브라켓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2플레이트의 외주면에는 기초골조가 더 결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기초골조는 상기 제1,2플레이트의 외주면에 결합 고정되는 다수개의 종방향철근이 구비되고, 상기 종방향철근을 서로 연결 고정시키는 횡방향철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2누수차단부재는 니트릴 고무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수차단부의 제1,2누수차단부재는 상기 제1,2지지부재에 접착 고정시키되, 상기 제1누수차단부재 및 제2누수차단부재를 접착시키기 위해 접착제를 바르기 전 접착부위 표면에 에폭시프라이머를 도포하고 양생을 시킨 후, 비스페놀A(Bisphenol A)타입 점도 1500∼2500CPS를 갖는 주제와 모디파이 폴리아민(Modified Polyamine) 계열의 경화제를 2:1 비율로 혼합 분사하여 제1,2누수차단부재를 접착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누수차단부재와 제2누수차단부재를 각각 접착시키기 위해 접착제를 바르기 전 접착부위 표면의 습기제거를 위해 상기 제1,2지지부재의 표면에 열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교량 상판의 이격공간부에 설치되는 교량용 신축이음부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제1누수차단부재 및 제2누수차단부재가 접착수단에 의해 접착 고정된 신축이음장치를 교량의 신축이음부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신축이음부를 설치 후, 균열예방을 위하여 탄성계수 200,000kgf/㎠과 인장강도 15,000kgf/㎠ 및 섬유직경이 8∼16㎛, 길이가 6∼12mm인 폴리비닐 알콜(Polyvinyl alchol)계열의 강섬유를 초속경콘크리트 또는 무수축콘크리트로 1㎥당 0.85 ~ 0.95kg을 배합하여 구 콘크리트층과 신 콘크리트층의 접합부와 신축이음장치의 경계면에 매입되게 유공배수관를 설 치한 후 현장 타설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인 측단면도이ㄱ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는 교량 상판(B)과 이웃하는 교량 상판(B') 사이를 이격되게 하여 이격공간부(H)가 형성되고, 상기 이격공간부(H)에 서로 대응되게 매입 설치되는 한쌍으로 구성된 베이스플레이트(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상부에 수평부(114)(114a)가 각각 형성되어 "ㄱ"자 형상의 제1플레이트(112)와 제2플레이트(112a)가 서로 대응 되게 설치되되, 상기 제1,2플레이트(112)(112a)의 수평부(114)(114a)는 서로 대응대는 방향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2플레이트(112)(112a)의 수평부(114)(114a) 중 어느 한쪽의 수평부가 상부에 위치되게 하여 서로 겹쳐지도록 설치된다.
즉, 도 1 및 도 2를 기준으로 하여 일예를 설명하면, 상기 제1플레이트(112)의 수평부(114)를 상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2플레이트(112a)의 수평부(114a)는 상기 제1플레이트(112)의 수평부(114) 하부에 위치되게 하여 상기 제1,2플레이 트(112)(112a)의 수평부(114)(114a)가 서로 겹쳐지는 형상으로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2플레이트(112)(112a)가 서로 겹쳐지게 설치된 상기 수평부(114)(114a)의 사이에는 진동에 의한 충격흡수 및 물이 포함된 이물질 등이 교량 상판(B)(B')의 이격공간부(H)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누수차단부(12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누수차단부(120)는 제1누수차단부재(122)와 제2누수차단부재(112a)로 구성되고, 상기 제1,2누수차단부재(122)(122a)는 상,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겹쳐지게 설치되되, 상기 제1,2누수차단부재(122)(122a)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2플레이트(112)(112a)의 수평부(114)(114a) 중 어느 하나의 하단에 접착제 등의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접착 고정되고, 또 다른 하나의 누수차단부재는 상기 또 다른 플레이트의 수평부 상단에 접착제 등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접착 고정되게 된다.
즉, 상기 제1,2플레이트(112)(112a)의 수평부(114)(114a)를 서로 겹쳐지게 구비하여 상기 제1,2플레이트(112)(112a) 중 상부에 위치된 수평부의 하부면에 제1누수차단부재(122)를 접착 고정시키고, 하부에 위치된 수평부의 상부면에 제2누수차단부재(122a)가 접착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2누수차단부재(122)(122a)는 상기 제1,2플레이트(112)(112a)의 수평부(114)(114a)에 접착제 등 접착수단에 의해 접착 고정되어 상기 수평부(114)(114a)와 제1,2누수차단부재(122)(122a)와의 공간이 형성되지 않게 되어 물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누수차단부재(122)(122a)는 서로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제1,2플레이트(112)(112a)의 수평부(114)(114a) 하부와 상부에 각각 접착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2누수차단부재(122)(122a)가 상기 제1,2지지부재(124)(124a)에 접착 고정되어 있어 더욱 견고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물이 포함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를 설치하기 전에 상기 제1,2지지부재(124)(124a)에 제1,2누수차단부재(122)(122a)를 접착시키는 접착수단은 상기 제1누수차단부재(122) 및 제2누수차단부재(122a)를 접착시키기 위해 접착제를 바르기 전 접착부위 표면에 에폭시프라이머를 도포하고 양생을 시킨 후, 비스페놀A(Bisphenol A)타입 점도 1500∼2500CPS를 갖는 주제와 모디파이 폴리아민(Modified Polyamine) 계열의 경화제를 2:1 비율로 혼합 분사하여 제1,2누수차단부재(122)(122a)를 접착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비스페놀A(Bisphenol A)타입 점도 1500∼2500CPS를 갖는 주제와 모디파이 폴리아민(Modified Polyamine) 계열의 경화제를 2:1 비율로 혼합할 때 배합 기준치 이상일 경우에는 제1,2누수차단부재(122)(122a)의 양생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그 이하일 경우에는 제1,2누수차단부재(122)(122a)의 접착부가 들뜸 형상이 발생되어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누수차단부재(122)와 제2누수차단부재(122a)를 각각 접착시키기 위해 상기 제1,2지지부재(124)(124a)에 접착제를 바르기 전단계에서 상기 제1,2 지지부재(124)(124a)의 접착부위 표면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제1,2지지부재(124)(124a)에의 표면에 열을 가하여 제1,2누수차단부재(122)(122a)가 견고하게 잘 접착되게 된다.
일예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누수차단부재(122)는 상부에 위치한 제1플레이트(112)의 수평부(114) 하단에 접착 고정되고, 상기 제2누수차단부재(122a)는 하부에 위치한 제2플레이트(112a)의 수평부(114a) 상단에 접착고정되어 상기 제1누수차단부재(122)와 제2누수차단부재(122a)는 서로 상,하부가 밀착되게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누수차단부(120)를 통하여 이격공간부(H)로 이물질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2플레이트(112)(112a)의 수평부(114)(114a) 하부와 상부에 접착수단에 의해 접착 고정되는 제1,2누수차단부재(122)(122a)를 접착 고정시키기 위해 접착제를 바르기 전단계에 상기 제1,2누수차단부재(122)(122a)가 상기 제1,2플레이트(112)(112a)의 수평부(114)(114a)에 접착되는 접착부위 표면에 에폭시프라이머를 도포하여 양생시킨 후, 비스페놀A (Bisphenol A) A타입 점도 1500∼2500CPS를 갖는 주제와 모디파이 폴리아민(Modified Polyamine) 계열의 경화제를 2:1 비율로 혼합 분사하여 제1,2누수차단부재(122)(122a)를 접착 고정시키거나, 또는 제1,2누수차단부재(112)(112a)의 접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접착부위 표면에 에폭시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대신에 습기제거를 위해 제1,2플레이트(112)(112a)의 표면에 열을 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누수차단부(120)의 제1,2누수차단부재(122)(122a)는 내마모성 과 탄성력을 가지는 나트릴계열 고무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2플레이트(112)(112a)의 외부 측면부에는 기초골조(130)가 용접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기초골조(130)는 상기 제1,2플레이트(112)(122a)의 외부 측면부에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용접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종방향철근(132)이 구비되고, 다수개의 종방향철근(132)을 서로 연결시켜 지지하는 횡방향철근(134)이 결합 고정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를 이웃하는 두개의 교량 상판(B)(B') 사이 이격공간부(H)에 제 1,2플레이트(112)(112a)의 수평부(114)(114a) 사이에 제1,2누수차단부재(122)(122a)가 각각 접착 고정되게 구비하여 상기 제1,2누수차단부재(112)(112a)의 상하부가 견고하게 서로 밀착되도록 상기 수평부(114)(114a)를 겹쳐지게 하여 설치한다.
이때, 상기 상판(B)(B') 간의 이격공간부(H)에 설치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제일 상단부는 상기 상판(B)(B')의 상부 지면과 동일 선상이 되게 설치하게 된다.
이렇게,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를 이웃하는 두 상판(B)(B')의 사이 이격공간부(H)에 설치한 후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양생과정을 거치게 되면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의 설치가 완료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C)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계수 200,000kgf/㎠과 인장강도 15,000kgf/㎠ 및 섬유직경이 8∼16㎛, 길이가 6∼12mm인 폴리비닐 알콜(Polyvinyl alchol) 계열의 강섬유를 초속경콘크리트 또는 무수축콘크리트로 1㎥당 0.85 ~ 0.95kg을 배합한 콘크리트를 이용하되, 콘크리트(C)를 타설하기 전에 교량 상판(B)(B')과 콘크리트(C)의 접합하는 경계면과 상기 제1,2플레이트(112)(112a)의 경계면에 다수의 유입공(162)이 형성된 유공배수관(160)이 교량 상판(B)(B')의 양측으로 매입되도록 현장에서 설치하고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양생시키게 되면 도 3과 같이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의 설치가 완료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C)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계수 200,000kgf/㎠과 인장강도 15,000kgf/㎠ 및 섬유직경이 16㎛, 길이가 12mm인 폴리비닐 알콜(Polyvinyl alchol) 계열의 강섬유를 초속경콘크리트 또는 무수축콘크리트로 1㎥당 0.95kg 이상일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강도가 저하되고, 탄성계수 200,000kgf/㎠과 인장강도 15,000kgf/㎠ 및 섬유직경이 8㎛, 길이가 6mm인 폴리비닐 알콜(Polyvinyl alchol) 계열의 강섬유를 초속경콘크리트 또는 무수축콘크리트로 1㎥당 0.85kg 이하일 경우에는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때, 상기 유공배수관(160)은 상판(B)의 양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유공배수관(160)의 돌축된 양측 끝단부는 하부를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를 설치하게 되면, 상기 상판(B)(B') 간의 이격공간부(H)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100)의 제1,2플레이 트(112)(112a)의 수평부(114)(114a) 하부와 상부에 각각 접착 고정되어 서로 겹쳐지도록 하여 밀착되어 있는 누수차단부(120)의 제1,2누수차단부재(122)(122a)에 의해 이격공간부(H)의 기밀을 유지하게 되어 빗물 또는 눈 및 이물질 등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게 되어 물이나 이물질 등에 의해 교량의 백태, 균열발생 및 콘크리트의 중성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교량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고무재질로 된 "U"자 형상의 이물질받이(7)를 설치하여 이격공간부(H)로 이물질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되도록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U"자형의 이물질받이(7)가 필요없이 제1,2플레이트(112)(112a)의 상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하고, 이 겹쳐지는 사이에 누수차단부(120)가 설치되어 상기 누수차단부(120)의 제1,2누수차단부재(122)(122a)에 의해 상판(B)(B') 간의 이격공간부(H)로 물이 포함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제작 및 설치가 간단하게 이루어지고, 신축이음장치(100)의 부품이 적게 들어가게 되어 제품생산의 비용이 절감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판(B)(B')의 온도변화에 따라 교량의 상판(B)(B')이 팽창과 수축에 의해 교량의 콘크리트(C)에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온도가 낮은 동절기에는 상판과 콘크리트(C)가 처음 시공할 때와 동일하게 이 상판(B)(B') 간의 이격공간부(H)가 유지되게 되고, 온도가 높아지는 하절기에는 상판(B)(B') 및 콘크리트(C)가 팽창하게 되는데, 이때는 상기 제1,2플레이트(112)(112a)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플레이트(112)(112a)의 겹쳐진 수평부(114)(114a)의 사이 에 설치된 제1,2누수차단부재(122)(122a)는 서로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2플레이트(112)(112a)의 유동에 따라 서로 엇갈리면서 밀리게 되고, 다시 온도가 낮아지게 되면 상판(B)(B') 및 콘크리트(C)가 원상복귀되면서 상기 제1,2플레이트(112)(112a)도 원상복귀하게 되고. 이 원상복귀에 의해 상기 제1,2누수차단부재(122)(122a)도 동일하게 엇갈리게 밀려 있는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또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의 설치완료 후에 교량의 상부로 차량이 주행하게 되면 교량의 상판(B)(B')에 하중이 가해지게 되어 이러한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 상판(B)(B')에는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 진동은 이웃하는 두 상판(B)(B') 사이의 이격공간부(H)에 설치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에도 차량의 하중과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교량 신축이음장치(100)에 하중과 진동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와 같이 온도변화에 따른 상판(B)(B')의 팽창과 수축하는 동일한 동작에 의해 진동을 상기 제1,2누수차단부재(122)(122a)에서 흡수하게 된다.
즉, 차량의 운행에 따른 하중과 진동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제1,2플레이트 (112)(112a)는 상,하방향으로 유동을 하게 되고 이 동작에 의해 상기 제1,2누수차단부재(122)(122a)도 서로 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하 유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누수차단부재(122)(122a)가 서로 엇갈려 제1,2플레이트(112)(112a)와 동일한 동작을 하게 되므로 상기 제1,2누수차단부재(122)(122a)는 서로 견고하게 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동작을 하게 되는 것이므로, 상판(B)(B') 간의 이격공간부(H)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웃한 상기 상판(B)(B') 간의 이격공간부(H)에 설치된 제1,2플레이트(112)(112a)에 접착 고정되어 있는 제1,2누수차단부재(122)(122a)는 탄성을 가진 고무재질로 형성되므로 충격과 하중을 흡수하고, 또한 진동을 완화시켜 주게 되어 충격 및 진동 등에 의한 상판(B)(B')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차량이 주행할 때 상판이 상호간에 부딪혀 발생하는 불쾌한 소음도 완전하게 해소할 수 있으며, 온도변화에 의해 제1,2플레이트(112)(112a)가 신축을 하더라도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이물질 등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교량 신축이음장치(100)를 철도용 교량에 적용하여 설치시에는 상기 제1,2플레이트(112)(112a)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하여 상부의 수평부(114)(114a)가 서로 겹쳐지게 설치되게 되어 종래에 철도용 교량에 설치하여 상부에 올려지는 자갈 등으로부터 신축이음장치를 보호하고 이격공간부로 자갈 등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신축이음장치의 상부를 커버하는 덮개판이 필요 없이도 상기 제1,2플레이트(112)(112a)의 상부 수평부(114)(114a)와 제1,2누수차단부재(122)(122a)에 의해 자갈이나 이물질이 상판(B)(B')의 이격공간부(H)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100)는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종래의 신축이음장치에 비하여 월등하고, 향상된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이물질받이(7)가 신축이음장치로부터 이탈 및 파손되게 되면 신축이음장치의 기능을 상실하여 재설치하기 위한 작업이 어려웠지만, 본 발명은 상기 누수차단부재를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 들어가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B)(B')과 콘크리트(C)의 경계면과 상기 신축이음장치(100) 제1,2플레이트(112)(112a)의 외측면과 콘크리트(C)의 사이에는 이 경계면을 따라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유공배수관(160)의 유입공(162)으로 물이 스며들어 상기 교량의 양측으로 연계된 유공배수관(160)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상판(B)(B')과 콘크리트(C) 및 제1,2플레이트(112)(112a)의 외측면 경계면으로 침투되는 물을 차단하게 되므로 콘크리트(C)의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는 상부에 수평부(214)(214a)가 각각 형성된 "ㄱ"자 형상의 제1플레이트(212)와 제2플레이트(212a)가 서로 대응 되게 설치되되, 상기 제1,2플레이트(212)(212a)의 수평부(214)(214a)는 서로 대응되는 방향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2플레이트(212)(212a)의 수평부(214)(214a)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하여 동일 선상에 위치되게 설치되되, 상기 수평부(214)(214a)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길이 방향으로 요홈(216)이 각각 형성되어 깍지낀 형상으로 설치 되고, 상기 수평부(214)(214a)의 하부에는 누수차단부(220)가 설치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누수차단부(220)는 서로 겹쳐지도록 제1누수차단부재(222)와 제2누수차단부재(222a)가 설치되되, 상기 제1,2플레이트(212)(212a) 중 어느 하나에 제1지지부재(224)가 용접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224)의 하부에는 상기 누수차단부(220)의 제1,2누수차단부재(222)(222a) 중 어느 하나가 접착제 등 접착수단에 의해 접착 고정되며, 상기 제1,2플레이트(212)(212a) 중 또 다른 하나에는 제2지지부재(224a)가 고정되고, 제2지지부재(224a)의 상부에는 상기 제1,2누수차단부재(222)(222a) 중 또 다른 하나가 접착 고정되게 된다.
일예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플레이트(212)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지지부재(224)가 고정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224)의 하부에는 제1누수차단부재(222)가 접착 고정되며, 상기 제2플레이트(212a)의 내측 측면에는 제2지지부재(224a)가 고정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224a)의 상부에는 제2누수차단부재(222a)가 접착 고정되되 상기 제1누수차단부재(222)의 저면에 견고하게 밀착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2지지부재(224)(224a) 중 제일 하단부에서 상기 제1,2누수차단부재(222)(222a)를 지지하고 있는 제2지지부재(222a)의 두께는 제1지지부재(224)보다 두껍게 하여 상부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2플레이트(112)(112a)의 외부 측면부에는 기초골조(230)가 용접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기초골조(230)는 상기 제1,2플레이트(212)(222a)의 외부 측면부에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용접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종방향철근(232)이 구비되고, 다수개의 종방향철근(232)을 서로 연결시켜 지지하는 횡방향철근(234)이 결합 고정되어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써,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작동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제1,2플레이트(212)(212a)의 내측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제1,2지지부재(224)(224a)에 의해 제1,2누수차단부재(222)(222a)가 지지가 되면서 유동 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판(B)(B')의 이격공간부(H)에 설치된 신축이음장치(200)의 제1,2플레이트(212)(212a)의 수평부(214)(214a) 사이 요홈(216)으로 물이 포함된 이물질 등이 쌓이게 되더라도 상기 수평부(214)(214a)와 제1지지부재(224)와의 간격이 미세하여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게 되고, 또한 물은 상기 누수차단부(220)의 제1,2누수차단부재(222)(222a)가 서로 밀착 되게 겹쳐져 있어 물이 상판(B)(B')의 이격공간부(H)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인 측단면도 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300)는 이웃하는 상판(B)(B')의 사이 이격공간부(H)에 설치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10)는 상부에 수평부(314)(314a)가 형성된 "ㄱ"자 형상의 제1플레이트(312)와 제2플레이트(312a)가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수평부(314)(314a)에는 길이 방향으로 각각 관통공(316)(316a)이 형성되어 외측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플레이트(312)와 제2플레이트(312a)의 사이에는 상기 수평부(314)(314a)의 상부면과 동일 선상이 되게 하여 상기 제1,2플레이트(312)(312a)에 각각 일측이 고정되어 서로 겹쳐지도록 제1지지부재(324)와 제2지지부재(324a)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2지지부재(324)(324a)의 사이에는 상기 상판(B)(B') 간의 이격공간부(H)의 기밀과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누수차단부(32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누수차단부(320)는 상기 제1,2지지부재(324)(324a)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접착제 등 접착수단에 의해 접착 고정되되 서로 맞닿는 면이 견고하게 밀착되는 제1누수차단부재(322)와 제2누수차단부재(322a)로 이루어진다.
일예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플레이트(312)에는 상기 수평부(314)의 상부면과 동일 선상이 되게 상기 제1지지부재(324)를 고정하고, 상기 제1지지부재(324)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2플레이트(312a)에 고정되는 제2지지부재(324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부재(324)의 하부에는 상기 제1누수차단부재(322)가 접 착 고정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324a)의 상부에는 제2누수차단부재(322a)가 접착 고정되되 상기 제1,2누수차단부재(322)(322a)는 견고하게 서로 밀착되는 형태로 겹쳐지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2플레이트(312)(312a)의 상부에는 한쌍의 핑거블록(340)이 설치되되, 상기 핑거블록(340)은 중앙부가 이격되고, 이격부에 길이 방향으로 서로 깍지낀 형상으로 요홈(344)이 형성된 핑거부(342)가 형성되고, 상기 제1,2플레이트(312)(312a)의 관통공(316)(316a)과 동일 위치에 관통공(346)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316)(316a)(346)(346a)을 통하여 볼트(318)와 너트(318a)를 체결하여 상기 제1,2플레이트(312)(312a)의 상부에 상기 핑거블록(340)이 안착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플레이트(312)(312a)의 외부 측면부에는 기초골조(330)가 용접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기초골조(330)는 상기 제1,2플레이트(312)(322a)의 외부 측면부에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용접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종방향철근(332)이 구비되고, 다수개의 종방향철근(332)을 서로 연결시켜 지지하는 횡방향철근(334)이 결합 고정되며, 상기 횡방향철근(334)을 상부에서 지지 고정하는 보조철근(336)이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가 구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써,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교량 상판(B)(B') 위를 통과하는 차량의 진동 및 하중이나 온도변화에 따라 상판(B)(B')이 팽창과 수축 작용을 하게 될 때, 즉 차량의 운행에 따른 진동과 하중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핑거블록(340)으로 하중이 가해지고 이렇게 가해진 하중은 다시 제1,2지지부재(324)(324a)에 접착 고정되어 있는 제1,2누수차단부재(322)(322a)에 의해 진동과 하중이 완화되게 된다.
또한, 온도변화에 의해 상판(B)(B')이 팽창과 수축작용을 하게 되면 상기 제1,2플레이트(312)(312a)의 간격이 좁아졌다 넓어졌다 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제1,2누수차단부재(322)(322a)는 상기 제1,2플레이트(312)(312a)와 밀착되어 동일한 동작을 하게 되어 상기 상판(B)(B') 간의 이격공간부(H)의 기밀을 유지하게 되므로 이 이격공간부(H)로 이물질 등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2누수차단부재(322)(322a)의 마모시에 상기 핑거블록(340)을 고정시키고 있는 볼트(318)를 분리시켜 상기 핑거블록(340)를 제거시키고, 상기 제1,2누수차단부재(322)(322a)를 다른 것으로 교체한 후 상기 핑거블록(340)을 다시 결합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유지보수가 이루어짐으로써, 신축이음장치(300)의 유지보수가 간편하기 이루어지게 되어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 치(400)는 이웃하는 상판(B)(B')의 사이 이격공간부(H)에 설치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410)는 상부에 수평부(414)(414a)가 형성된 "T"자 형상의 제1,플레이트(412)와 제2플레이트(412a)가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되, 상기 제1,2플레이트(412)(412a)의 수평부(414)(414a)가 접하는 위치에 서로 깍지낀 형상으로 소정의 간격 이격되게 요홈(4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플레이트(412)와 제2플레이트(412a)의 사이에는 상기 제1,2플레이트(412)(412a)에 각각 일측이 고정되어 서로 겹쳐진 제1지지부재(424)와 제2지지부재(424a)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2지지부재(424)(424a)의 사이에는 상기 상판(B)(B') 간의 이격공간부(H)의 기밀과 충격을 완화시키는 누수차단부(42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누수차단부(420)는 상기 제1,2지지부재(424)(424a)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접착제 등 접착수단에 의해 접착 고정되되 서로 맞닿는 면은 견고하게 밀착되는 형상으로 제1누수차단부재(422)와 제2누수차단부재(422a)로 이루어진다.
일예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플레이트(412)의 내측면에 상기 제1지지부재(424)를 고정시키고, 상기 제1지지부재(424)의 하부에는 상기 제2플레이트(412a)의 내측부에 고정되는 제2지지부재(424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부재(424)의 하부에는 상기 제1누수차단부재(422)가 접착 고정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424a)의 상부에는 제2누수차단부재(422a)가 접착 고정되되, 상기 제1,2누수차단부재(422)(422a)는 견고하게 서로 밀착되는 형태로 하여 겹쳐진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2플레이트(412)(412a)의 외부 측면부에는 기초골조(430)가 용접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기초골조(430)는 상기 제1,2플레이트(412)(422a)의 외부 측면부에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용접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종방향철근(432)이 구비되고, 다수개의 종방향철근(432)을 서로 연결시켜 지지하는 횡방향철근(434)이 결합 고정되고, 상기 횡방향철근을 상부에서 지지 고정시키는 보조철근(436)으로 구성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써, 이와 같이 구성되어 설치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와 도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500)는 이웃하는 상판(B)(B')의 사이 이격공간부(H)에 설치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510)는 상부에 수평부(514)(514a)가 형성된 "ㄱ"자 형상의 제1플레이트(512)와 제2플레이트(512a)가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되, 상기 제1,2플레이트(512)(512a)의 수평부(514)(514a)는 외측을 향하도록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플레이트(512)와 제2플레이트(512a)의 수평부(514)(514a)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관통공(516)(516a)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2플레이트(512)(512a)의 상부에는 한쌍의 핑거블록(540)이 체결 고정되는데, 상기 핑거블록(540)은 한쌍이 서로 이격되어 대응부에 깍지낀 형상으로 요홈(544)이 형성된 핑거부(542)가 형성되고, 상기 제1,2플레이트(512)(512a)의 관통공(516)(516a)과 동일 일치에 관통공(546)(546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516)(516a)(546)(546a)을 통하여 제1,2플레이트(512)(512a)에 상기 핑거블록(540)이 볼트(518)와 너트(518a)로 체결 고정 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플레이트(512)(512a)와 상기 핑거블록(540) 사이에는 상기 제1,2플레이트(512)(512a)의 상부에 일측이 각각 볼트(518)에 체결 고정되는 제1지지부재(524)와 제2지지부재(524a)가 구비되되, 상기 제1,2지지부재(524)(524a) 중 어느 하나는 일측에 상기 볼트(518)로 고정되고, 또 다른 하나는 타측에 위치되게 하여 볼트(518)로 고정시키며, 상기 제1지지부재(524)와 제2지지부재(524a)의 사이에는 이웃하는 상판(B)(B') 간의 이격공간부(H)의 기밀을 유지하는 누수차단부(52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누수차단부(520)는 상기 제1지지부재(524)의 하부에 접착 고정되는 제1누수차단부재(522)가 구비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524a)의 상부에 접착 고정되는 제2누수차단부재(522a)가 구비되되 상기 제1,2누수차단부재(522)(522a)는 접합부가 서로 견고하게 밀착 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2지지부재(524)(524a)가 각각 볼트(518)에 의해 고정된 타 측부에는 상기 제1,2지지부재(524)(524a)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의 높이조절판(526)(526a)이 각각 볼트(518)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플레이트(512a)의 내측부에는 상기 제2지지부재(524a)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517)이 더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브라켓(517)에 의해 상기 제2지지부재(524a)의 상부에 위치된 제1,2누수차단부재(122)(122a)와 제1지지부재(524)를 하부에서 지지하게 되어 교량 상판(B)(B')으로 차량의 운행시 수직 방향으로 발생되는 하중으로부터 상기 신축이음장치(500)의 부품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지지브라켓(517)은 상기 제1,2플레이트(512)(512a) 중 어느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2플레이트(512)(512a)의 양측에 서로 대응되는 방향에 설치되어 상기 제1,2지지부재(522)(522a)를 지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플레이트(512)(512a)의 외부 측면부에는 기초골조(530)가 용접 등 고정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기초골조(530)는 상기 제1,2플레이트(512)(522a)의 외부 측면부에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용접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종방향철근(532)이 구비되고, 다수개의 종방향철근(532)을 서로 연결시켜 지지하는 횡방향철근(534)이 결합 고정되어 구성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5실시예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써,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철도 교량에 적용하여 사 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작용관계는 전자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지지브라켓(517)의 지지에 의해 상기 제1,2지지부재(524)(524a)와 제1,2누수차단부재(522)(522a)가 지지되게 되어 상부로 차량 등이 통행을 하게 되더라도 더욱 안전하게 제1,2누수차단부재(522)(522a)의 기능인 물이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 "U"자 형상의 이물질받이와 이물질 받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본 발명에서는 필요 없게 되어 신축이음장치(500)를 제작하는데 많은 비용이 절감되고, 설치시에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교량 상판(B)(B')의 이격공간부(H)에 설치되는 교량용 신축이음부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제1누수차단부재와 제2누수차단부제가 접착된 다양한 실시예의 신축이음장치를 교량의 신축이음부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한 후에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균열예방을 위하여 탄성계수 200,000kgf/㎠과 인장강도 15,000kgf/㎠ 및 섬유직경이 8∼16㎛, 길이가 6∼12mm인 폴리비닐 알콜(Polyvinyl alchol)계열의 강섬유를 초속경콘크리트 또는 무수축콘크리트로 1㎥당 0.85 ~ 0.95kg을 배합하여서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구 콘크리트층과 신 콘크리트층의 접합부와 신축이음장치의 경계면에 상기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길이 방향으로 하 여 교량의 외측으로 매입되는 유공배수관를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유공배수관은 상기 상판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매입한 후, 상기 유공배수관의 양측 끝단부가 하부를 향하도록 절곡시켜 연장되게 설치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이웃하는 상판의 이격공간부에 설치되어 이 이격공간부로 물을 포함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여 종래의 이물질을 받아서 처리하는 이물질받이가 필요 없이도 효과적으로 이물질 및 물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그리고,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누수차단부재를 구비하여 이 누수차단부재에 의하여 수직 하중에 대한 진동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충격가중치를 낮추게 되고 이 충격하중에 의해 교량의 피로도를 감소시켜 교량의 수명을 연장시킴과 동시에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온도변화에 따른 상판의 팽창과 수축에 대하여 누수차단부재는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유동을 하게 되므로 기밀성을 유지되게 되고. 차량의 운행에 따른 진동을 누수차단부재가 흡수하게 되어 차량의 승차감과 소음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신축이음장치의 장기간 사용시 누수차단부재에 마모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종래와 같이 새로운 신축이음장치로 시공할 필요 없이 누수차단부재만 교체하면 되므로, 본 발명은 종래의 신축이음장치에 비하여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되고, 또한 간편하고 신속하게 신축이음장치를 유지보수할 수 있어 유지보수시 교통체증 및 교통 흐름에 방해를 주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교량 상판의 이격공간부에 설치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이웃하는 교량 상판 사이 이격공간부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에 서로 겹쳐지는 수평부가 형성된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로 구성된 한쌍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제1,2플레이트의 수평부가 겹쳐진 사이에 누수차단부가 설치되되, 제1플레이트의 수평부 하단에는 제1누수차단부재가 접착 고정되고, 제2플레이트의 수평부 상단에는 제2누수차단부재가 접착 고정되는 누수차단부와,
    상기 누수차단부의 제1,2누수차단부재는 제1,2플레이트의 수평부에 접착 고정시키되, 제1누수차단부재 및 제2누수차단부재를 접착시키기 위해 접착제를 바르기 전 접착부위 표면에 에폭시프라이머를 도포하고 양생을 시킨 후, 비스페놀A(Bisphenol A)타입 점도 1500 ~ 2500CPS를 갖는 주제와 모디파이 폴리아민(Modified Polyamine) 계열의 경화제를 2:1 비율로 혼합 분사하여 제1,2누수차단부재를 접착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20080044714A 2008-05-14 2008-05-14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881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714A KR100881770B1 (ko) 2008-05-14 2008-05-14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714A KR100881770B1 (ko) 2008-05-14 2008-05-14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684A Division KR100856022B1 (ko) 2007-07-05 2007-07-05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4775A true KR20080084775A (ko) 2008-09-19
KR100881770B1 KR100881770B1 (ko) 2009-02-09

Family

ID=40024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714A KR100881770B1 (ko) 2008-05-14 2008-05-14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17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1590B2 (en) 2010-04-15 2012-05-08 Eun-Joo Kim Anti-expansion joint bridge constructed through detailed survey for bridge
CN103205929A (zh) * 2013-04-17 2013-07-17 大连理工大学 分布开裂式无缝伸缩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337B1 (ko) 2014-02-17 2014-07-11 (주)드림이앤지 하중 지지용 신축이음장치
CN111335156B (zh) * 2020-03-01 2022-03-15 河南交通职业技术学院 一种玄武岩纤维梳板及使用该梳板的伸缩构件和伸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588B1 (ko) * 2005-03-08 2007-07-12 (주)엠피기술산업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416825Y1 (ko) * 2006-03-03 2006-05-23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1590B2 (en) 2010-04-15 2012-05-08 Eun-Joo Kim Anti-expansion joint bridge constructed through detailed survey for bridge
CN103205929A (zh) * 2013-04-17 2013-07-17 大连理工大学 分布开裂式无缝伸缩缝
CN103205929B (zh) * 2013-04-17 2014-12-24 大连理工大学 分布开裂式无缝伸缩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1770B1 (ko) 2009-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501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101985846A (zh) 建筑、道路工程伸缩缝用弹塑体装置
KR100994403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N107083742B (zh) 橡胶和钢板组合模数式桥面减震伸缩缝结构及使用方法
KR101762148B1 (ko) 프리캐스트 psc 거더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0881770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798654B1 (ko)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JP5441187B2 (ja) 橋梁ジョイント構造
KR100856022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110396919B (zh) 一种装配式钢结构-混凝土组合桥梁及其施工方法
KR100843345B1 (ko) 교량용 신축이음부의 시공방법
KR100861479B1 (ko) 배수시트 교체시스템이 구비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이의 시공방법
KR101026718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403801Y1 (ko) 혼성 신축이음장치
JP6642884B2 (ja) 橋梁鋼床版の補強構造、及び橋梁鋼床版の補強方法
KR100841685B1 (ko) 철도교용 거더와 그 제조방법, 그리고 그의 시공 방법
KR20070000971A (ko) 신축이음장치의 고무씰 보호부재
JP5452416B2 (ja) 橋梁ジョイント構造
KR20090089087A (ko) 교량용 핑거플레이트형 신축 이음장치
KR100622008B1 (ko) 일체식 교대 교량의 합성구조
KR100895499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360788B1 (ko) 연결부재를 이용한 구조물의 이음부 시공공법
JP2009007790A (ja) Mma樹脂モルタルを敷設した橋梁複合鋼床版
JP4131322B2 (ja) 道路橋の構造
RU2636289C1 (ru) Устройство верхнего строения пути на мостах с ездой на балласте и способ его сооруж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