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0737A - 표시장치 및 그 압력보상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그 압력보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0737A
KR20080080737A KR1020070020808A KR20070020808A KR20080080737A KR 20080080737 A KR20080080737 A KR 20080080737A KR 1020070020808 A KR1020070020808 A KR 1020070020808A KR 20070020808 A KR20070020808 A KR 20070020808A KR 20080080737 A KR20080080737 A KR 20080080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old frame
display panel
air hol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9939B1 (ko
Inventor
한상호
유정근
장재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0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939B1/ko
Priority to US12/032,132 priority patent/US8184228B2/en
Publication of KR20080080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0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터치스크린패널 및 수납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은 상기 표시패널 상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수납용기는 상기 표시패널을 수납하며, 상기 표시패널의 측면을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사이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통기부를 가진다. 따라서, 표시장치의 불량이 감소하고 화질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그 압력보상방법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mpensating Pressure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I-I'라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압력을 보상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타나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 상기 도 9의 II-II'라인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몰드 프레임 115 : 에어홀(Air Hole)
122 : 내부 접착부재 124 : 외부 접착부재
130 : 샤시부재 140 : 표시패널
150 : 터치스크린패널 162 : 도광판
164 : 광학시트 166 : 광원
170 : 바텀샤시
본 발명은 표시장치 및 그 압력보상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스크린패널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상기 표시장치 내부의 압력을 보상하여 불량을 감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판표시장치는 전기신호를 영상으로 변경하여 사용자가 영상정보를 인식하게 한다. 상기 평판표시장치는 얇은 두께, 가벼운 무게, 작은 크기 등의 다양한 특징을 가져서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영상에 실시간으로 반응하여 상기 평판표시장치 상에 정보를 직접 입력하기 위하여 상기 평판표시장치가 터치스크린패널(Touch Screen Panel; TSP)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은 상기 평판표시장치 상에 인가되는 압력, 광 등을 감지하여 물체의 위치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을 상기 평판표시장치의 표시패널 상에 배치하는 경우, 상기 표시장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의 일부가 상기 표시패널에 접촉하여 상기 평판표시장치 상에 물결무늬(Water Mark)가 표시된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의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화질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화질이 향상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시장치 내부의 압력을 보상하여 불량을 감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터치스크린패널 및 수납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은 상기 표시패널 상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수납용기는 상기 표시패널을 수납하며, 상기 표시패널의 측면을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사이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통기부를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표시장치의 압력보상방법에 있어서, 먼저 샤시부재와 몰드 프레임의 외면 사이로 공기를 주입한다. 이어서, 상기 몰드 프레임의 외면 상에 배치된 공기를 제1 에어홀을 통하여 상기 제1 에어홀의 단면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확장공간으로 공기를 주입한다. 이후에, 상기 확장공간 내에 배치된 공기를 상기 확장공간의 폭보다 작은 단면의 폭을 갖는 제2 에어홀을 통하여 상기 몰드 프레임의 내면으로 공기를 주입한다. 계속해서, 상기 몰드 프레임 내면 상에 배치된 공기를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에 이격된 터치스크린패널 사이로 이송하 여,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사이의 공기압력을 증가한다.
이러한 표시장치 및 그 압력보상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납용기가 상기 통기부를 포함하여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사이의 압력을 보상하여 불량이 감소한다. 또한,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사이로 이물질(Particles)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질이 향상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I-I'라인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40), 터치스크린패널(150), 몰드 프레임(110), 샤시부재(130), 내부 접착부재(122) 및 외부 접착부재(124)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140)은 연성회로기판(146)을 통하여 인가된 영상신호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패널(140)은 표시기판(144), 상기 표시기판(144)을 마주보는 대향기판(142), 상기 표시기판(144)과 상기 대향기판(142)의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표시패널(140)이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 전기영동표시패널, 플라즈마표시패널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50)은 상기 표시패널(140) 상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50)은 압력센서들(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 여,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50) 상에 외부압력이 인가되는 위치를 감지한다. 이때,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50)이 광센서들(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몰드 프레임(110)은 상기 표시패널(140)을 수납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몰드 프레임(110)은 상기 표시패널(140)의 측면을 커버하고, 단턱부(111)를 포함하여 상기 표시패널(140)의 주변부를 지지한다.
상기 몰드 프레임(110)의 내면(112)은 상기 표시패널(140)의 측면과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몰드 프레임(110)의 내면(112)과 상기 표시패널(140)의 측면의 사이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몰드 프레임(110)은 절연물질을 포함하여, 상기 표시패널(140)을 상기 샤시부재(130)와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상기 몰드 프레임(110)은 상기 내면(112)과 외측면(113)을 관통하는 에어홀(11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에어홀(115)은 상기 몰드 프레임(110) 외부의 공기가 상기 몰드 프레임(110) 내부로 유입되거나 유출되게 하여, 상기 몰드 프레임(110) 내부의 압력이 상기 몰드 프레임(110) 외부의 압력과 동일해진다. 이때, 상기 몰드 프레임(110)이 복수개의 에어홀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홀(115)은 지그제그(Zigzag) 형상을 갖는다. 상기 에어홀(115)이 직선형상을 갖는 경우, 상기 몰드 프레임(110) 외부의 파티클(Particle, 도시되지 않음)이 상기 에어홀(115)을 통하여 상기 몰드 프레임(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홀(115)이 상기 지그제그 형상을 가져서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를 증가시켜서, 상기 파티클이 상기 몰드 프레임(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에어홀(115)이 상기 몰드 프레임(110)의 하면(114)으로 관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측면(113) 및 상기 하면(114)은 상기 몰드 프레임(110)의 외면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홀(115)은 상기 표시패널(140)에 수직한 단면을 따라서 지그제그 형상을 가진다. 이때, 상기 에어홀(115)이 상기 표시패널(140)에 수평한 단면을 따라서 지그제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샤시부재(130)는 상기 몰드 프레임(110)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몰드 프레임(110)의 외측면(113)을 커버한다. 상기 샤시부재(130)는 개구부를 포함하여, 상기 표시패널(140)의 표시영역을 노출한다. 상기 샤시부재(130)는 상기 내부 접착부재(122)를 통하여 상기 몰드 프레임(130)에 부착된다.
상기 샤시부재(130)의 내면(131)은 상기 몰드 프레임(110)의 외측면(113)과 이격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에어홀(115)로 유입되거나 유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샤시부재(130)는 금속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접착부재(122)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접착부재(124)는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50)과 상기 샤시부재(130)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50)을 상기 샤시부재(130)의 상면에 부착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패널(140)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50) 사이의 공간이 상기 에어홀(115)을 통하여 외부와 연결되어 상기 표시패널(140)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50) 사이의 압력이 외부압력과 동일해진다. 따라 서, 압력차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50)이 상기 표시패널(140) 쪽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표시장치의 화질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에어홀(115)이 지그제그 형상을 가져서, 상기 파티클이 상기 에어홀(115)을 통하여 상기 표시패널(140)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5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몰드 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몰드 프레임(110)은 내면(112)과 하면(114)을 관통하는 에어홀(116)을 더 포함한다.
상기 에어홀(116)은 지그제그(Zigzag) 형상을 가지며,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복수개의 절곡부들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홀(116)은 제1 절곡부(116a), 제2 절곡부(116b), 제3 절곡부(116c), 제4 절곡부(116d) 및 제5 절곡부(116e)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홀(116)은 상기 내면(112)으로부터 개구되어, 상기 제1 절곡부(116a)에서 외측면(113) 쪽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하면(114) 쪽으로 절곡된다.
상기 에어홀(116)은 상기 제2 절곡부(116b)에서 상기 하면(114) 쪽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외측면(113) 쪽으로 절곡된다.
상기 에어홀(116)은 상기 제3 절곡부(116c)에서 상기 외측면(113) 쪽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하면(114) 쪽으로 절곡된다.
상기 에어홀(116)은 상기 제4 절곡부(116d)에서 상기 하면(114) 쪽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내면(112) 쪽으로 절곡된다.
상기 에어홀(116)은 상기 제5 절곡부(116e)에서 상기 내면(112) 쪽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하면(114) 쪽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면(114)으로 개구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홀(116)이 상기 몰드 프레임(110)의 상기 내면(112)으로부터 지그제그 형상의 제1, 제2, 제3, 제4 및 제5 절곡부들(116a, 116b, 116c, 116d, 116e)을 통하여 상기 하면(114)으로 관통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샤시부재 및 몰드 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몰드 프레임(210)은 상기 샤시부재(230)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샤시부재(230)를 캐스트(Cast)로 이용하는 몰딩(Molding)공정을 통하여 상기 몰드 프레임(21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몰드 프레임(210)의 외측면은 상기 샤시부재(230)의 내면에 밀착된다.
에어홀(117)은 상기 몰드 프레임(210)의 내면(212)과 하면(214)을 관통하여, 표시패널(140)과 터치스크린패널(140)의 사이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거나 유출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홀(117)은 사행(Serpentine)형상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몰드 프레임(210)이 상기 샤시부재(23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표시장치의 조립공정이 단순해지고 제조비용이 감소한다.
또한, 상기 에어홀(117)의 길이가 증가하여 외부의 파티클(도시되지 않음)이 표시패널(140)과 터치스크린패널(140)의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압력을 보상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홀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에어홀(315)은 몰드 프레임(110)의 내면(112)과 외측면(113)을 관통하고, 제1 에어홀(Air Hole, 215a), 제2 에어홀(215c) 및 확장공간(Expansion Space, 215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에어홀(215a)은 상기 몰드 프레임(110)의 외측면(113)과 상기 확장공간(215b)을 연결하고, 상기 제2 에어홀(215b)은 상기 몰드 프레임(110)의 내면(112)과 상기 확장공간(215b)을 연결한다.
상기 확장공간(215b)은 상기 몰드 프레임(110) 내에 배치된다. 상기 확장공간(215b)은 상기 제1 에어홀(215a)을 통하여 상기 몰드 프레임(110)의 외부에 연결된다.
상기 표시패널(140)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50) 사이의 압력이 감소하는 경우, 먼저 외부의 공기(251)는 상기 샤시부재(130)와 상기 몰드 프레임(110)의 사이로 유입된다.
이어서, 상기 샤시부재(130)와 상기 몰드 프레임(110) 사이의 공기(252)는 상기 제1 에어홀(215a)으로 주입된다.
이후에, 상기 제1 에어홀(215a) 내에 배치된 공기(253)는 상기 확장공 간(215b) 내로 주입된다.
동일한 양의 공기가 상기 확장공간(215b), 상기 제1 에어홀(215a) 및 상기 제2 에어홀(215c)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확장공간(215b)의 폭(H)은 상기 제1 에어홀(215a) 또는 상기 제2 에어홀(215c)의 단면의 폭(h)보다 커서, 상기 확장공간(215b) 내에 배치된 공기(254)의 유속이 상기 제1 에어홀(215a) 내에 배치된 공기(253) 또는 상기 제2 에어홀(215c)내에 배치된 공기(255)의 유속보다 느리다.
이론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을 한정하지는 않지만, 하기와 같이 베르누이의 정리를 이용하여 상기 확장공간(215b)의 기능을 설명한다. 상기 상기 확장공간(215b) 내에 배치된 공기(254)의 압력(Pb) 및 상기 제1 및 제2 에어홀들(215a, 215c) 내에 배치된 공기(253, 255)의 압력(Pa)은 베르누이의 정리(Bernoulli's Theorem)를 나타내는 하기의 [식1]에 의해 나타낸다.
[식1]
Pa + 1/2ρVa2 + ρgHa = Pb + 1/2ρVb2 + ρgHb
Ha 및 Hb는 상기 제1 및 제2 에어홀들(215a, 215c) 및 상기 확장공간(215b) 내에서 파티클(Particle, 도시되지 않음)의 높이를 나타나고, Pa 및 Pb는 상기 제1 및 제2 에어홀들(215a, 215c) 및 상기 확장공간(215b) 내에 배치된 공기(253, 255, 254)의 압력을 나타내며, Va 및 Vb는 상기 제1 및 제2 에어홀들(215a, 215c) 및 상기 확장공간(215b) 내에 배치된 공기(253, 255, 254)의 속도를 나타내고, ρ 및 g는 각각 공기의 밀도 및 중력가속도를 나타낸다.
상기 확장공간(215b) 내에 배치된 공기(254)의 유속(Vb)이 상기 제1 및 제2 에어홀들(215a, 215c) 내에 배치된 공기(253, 255)의 유속(Va)보다 느린 경우, 상기 확장공간(215b) 내에 배치된 공기(254)의 압력(Pb)이 상기 제1 및 제2 에어홀들(215a, 215c) 내에 배치된 공기(253, 255)의 압력(Pa) 보다 높다. 상기 파티클은 상기 확장공간(215b) 내에 포획된다.
계속해서, 상기 확장공간(215b) 내에 배치된 공기(254)는 파티클이 제거된 후에 상기 제2 에어홀(215c)로 주입된다.
이어서, 상기 제2 에어홀(215c) 내에 배치된 공기(255)는 상기 몰드 프레임(110)과 상기 표시패널(140)의 사이로 주입된다.
이후에, 상기 몰드 프레임(110)과 상기 표시패널(140)의 사이에 배치된 공기(256)가 상기 표시패널(140)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50)의 사이로 이송된다. 따라서, 상기 표시패널(140)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50) 사이의 압력이 증가하여 외부압력과 동일해진다.
이때, 상기 표시패널(140)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50) 사이의 압력이 외부압력보다 큰 경우, 상기 표시패널(140)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50) 사이의 공기가 상기 제2 에어홀(215c), 상기 확장공간(215b) 및 상기 제1 에어홀(215a)을 차례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홀(315)이 상기 확장공간(215b)을 포함하여 상기 파티클이 상기 표시패널(140)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5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홀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에어홀(315)은 몰드 프레임(110)의 내면(112)과 외측면(113)을 관통하고, 복수개의 제1 에어홀들(Air Hole, 315a), 제2 에어홀(315c) 및 확장공간(Barrier Space, 315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에어홀들(315a)은 상기 몰드 프레임(110)의 외측면(113)과 상기 확장공간(315b)을 연결하고, 상기 제2 에어홀(315b)은 상기 몰드 프레임(110)의 내면(112)과 상기 확장공간(315b)을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 제1 에어홀(315a)의 단면적은 상기 제2 에어홀(315c)의 단면적과 동일하여, 상기 2개의 제1 에어홀들(315a)의 단면적은 상기 제2 에어홀(315c)의 단면적의 2배이다.
동일한 양의 공기가 상기 제1 에어홀들(315a) 및 상기 제2 에어홀(315c)을 통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에어홀들(315a) 내의 유속이 상기 제2 에어홀(315c)의 유속보다 느리다. 따라서, 상기 제2 에어홀(315c)을 통하여 빠른 속도로 공기가 상기 표시패널(140)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5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더라도, 상기 몰드 프레임(110)의 외부에서 상기 2개의 제1 에어홀들(315a)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은 느리다. 따라서, 상기 제1 에어홀들(315a) 내의 압력이 상기 제2 에어홀(315c) 내의 압력보다 높다.
상기 확장공간(315b)은 도 5에 도시된 확장공간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 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확장공간(315b)이 생략되고, 상기 제1 에어홀들(315a)이 상기 제2 에어홀(315c)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개의 제1 에어홀들(315a)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이 1개의 제1 에어홀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보다 느려서, 상기 2개의 제1 에어홀들(315a) 내의 압력이 상기 1개의 제1 에어홀 내의 압력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제1 에어홀들(315a) 내에 유입되는 파티클의 수가 감소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타나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다공성 통기부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몰드 프레임(110)은 내면(112) 및 외측면(113)을 관통하는 상기 다공성 통기부(119)를 포함한다.
상기 다공성 통기부(119)는 상기 몰드 프레임(110)을 관통하는 관통구(Throughhole, 119a) 및 상기 관통구(119a) 내에 배치된 다공성 매질(119b)을 포함한다.
상기 다공성 매질(119b)은 발포성 수지, 통기성 섬유 등을 포함하여, 공기가 유입되거나 유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공성 매질(119b)은 발포스티로폼, 부직포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다공성 매질(119b)은 외부의 파티클을 차단하는 에어필터(Air Filter)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표시패널(140)이 유기전계발광표시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매질(119b)이 방습제, 활성탄 등을 포함하는 화학필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다공성 매질(119b)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기 관통구(119a) 내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다공성 매질(119b)이 상기 관통구(119a)내에 끼워마춤에 의해 형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몰드 프레임(110)이 상기 다공성 통기부(119)를 포함하여, 외부공기를 통과시키고 상기 파티클을 차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몰드 프레임 및 내부 접착부재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40), 터치스크린패널(150), 몰드 프레임(410), 샤시부재(130), 내부 접착부재(422) 및 외부 접착부재(124)를 포함한다.
상기 몰드 프레임(410)은 상기 표시패널(140)을 수납하고, 상기 몰드 프레임(110)은 상기 표시패널(140)의 측면을 커버한다.
상기 내부 접착부재(422)는 상기 몰드 프레임(410)과 상기 샤시부재(1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샤시부재(130)를 상기 몰드 프레임(410) 상에 부착한다.
상기 내부 접착부재(422)는 에어홀(415)을 포함하여 외부의 공기가 상기 표시패널(140)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50) 사이로 유입되거나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몰드 프레임(410) 내부의 압력이 상기 몰드 프레임(410) 외부의 압력과 동일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홀(415)은 직선형상을 갖는다. 이때, 상기 에어홀(415)이 지그제그 형상, 사행형상 등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홀(415)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거나 유출될 수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140)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50) 사이의 압력이 외부압력과 동일해진다.
또한, 에어홀(도시되지 않음)이 상기 외부 접착부재(124)에 형성되는 경우, 외부의 파티클이 상기 표시패널(140)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50) 사이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홀(415)은 상기 내부 접착부재(422)에 형성되어, 상기 표시패널(140)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50) 사이로 유입되는 파티클의 수가 감소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도 9의 II-II'라인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광판, 광학시트, 광원 및 바텀샤시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40), 터치스크린패널(150), 몰드 프레임(110), 샤시부재(130), 내부 접착부재(122), 외부 접착부재(124), 상기 도광판(162), 상기 광학시트(164), 상기 광원(166) 및 상기 바텀샤시(170)를 포함한다.
상기 바텀샤시(170)는 상기 몰드 프레임(110), 상기 도광판(162) 및 상기 광 원(166)을 수납하고, 상기 샤시부재(130)와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텀샤시(170)의 상면(171)은 상기 샤시부재(130)에 밀착되지 않아서, 상기 바텀샤시(170)의 상면(171)과 상기 샤시부재(130)이 사이로 외부의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드 프레임(110)은 에어홀(115)을 포함하여 외부의 공기가 상기 표시패널(140)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15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거나 유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텀 샤시(170)가 상기 공기가 통과하는 관통홀(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광원(166)은 상기 도광판(162)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162)으로 광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166)은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광원(166)이 냉음극선관램프(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외부전극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도광판(162)은 상기 광을 상기 광학시트(164) 쪽으로 가이드한다.
상기 광학시트(164)는 상기 도광판(162)과 상기 표시패널(14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162)을 출사한 광의 광학특성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광학시트(164)는 상기 광의 휘도균일성, 정면휘도 등을 증가시킨다.
상기 표시패널(140)은 상기 광학시트(164)를 통과한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바텀샤시(170), 상기 도광판(162), 상기 광학시트(164), 상기 광 원(166) 및 상기 몰드 프레임(110)은 백라이트 어셈블리(900)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장치는 측면 도광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표시장치가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사이의 공간이 상기 에어홀을 통하여 외부와 연결되어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사이의 압력이 외부압력과 동일해진다. 따라서, 압력차에 의해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이 상기 표시패널 쪽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표시장치의 화질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에어홀이 지그제그 형상, 사행형상 등을 가져서, 상기 파티클이 상기 에어홀을 통하여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상기 에어홀이 상기 제1 에어홀들, 상기 제2 에어홀 및 상기 확장공간을 포함하여 상기 파티클이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몰드 프레임이 상기 다공성 통기부를 포함하여, 외부공기를 통과시키고 상기 파티클을 차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에어홀이 상기 내부 접착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이 단순해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 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8)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터치스크린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을 수납하며, 상기 표시패널의 측면을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사이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통기부를 가지는 수납용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는 상기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몰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몰드 프레임의 내면 및 외면을 관통하는 에어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홀은 지그제그(Zigzag)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면은 상기 내면을 마주보는 외측면 및 상기 내면에 수직한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홀은,
    상기 내면으로부터 개구되어, 상기 외측면 쪽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하면 쪽으로 절곡되는 제1 절곡부;
    상기 제1 절곡부로부터 상기 하면 쪽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외측면 쪽으로 절곡되는 제2 절곡부;
    상기 제2 절곡부로부터 상기 외측면 쪽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하면 쪽으로 절곡되는 제3 절곡부;
    상기 제3 절곡부로부터 상기 하면 쪽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내면 쪽으로 절곡되는 제4 절곡부; 및
    상기 제4 절곡부로부터 상기 내면 쪽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하면 쪽으로 절곡되어 개구되는 제5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홀을 사행(Serpentine)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몰드 프레임의 내면과 하면의 사이를 관통하는 에어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몰드 프레임 내에 형성되는 확장공간;
    상기 확장공간과 상기 몰드 프레임의 외면을 관통하는 제1 에어홀; 및
    상기 확장공간과 상기 몰드 프레임의 내면을 관통하는 제2 에어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공간의 폭은 상기 각 제1 및 제2 에어홀의 단면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복수의 제1 에어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몰드 프레임의 내면과 외면의 사이를 관통하는 다공성 통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통기부는 발포성 수지 또는 통기성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용기는,
    상기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몰드프레임;
    상기 몰드 프레임 상에 배치되어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을 지지하는 샤시부재;
    상기 몰드 프레임과 상기 샤시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내부 접착부재; 및
    상기 샤시부재와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의 사이에 배치되는 외부 접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몰드 프레임과 상기 샤시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내부 접착부재를 관통하는 에어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수납용기와 결합되어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수납하는 바텀샤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6. 샤시부재와 몰드 프레임의 외면 사이로 공기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몰드 프레임의 외면 상에 배치된 공기를 제1 에어홀을 통하여 상기 제1 에어홀의 단면의 폭보다 큰 폭을 갖는 확장공간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확장공간 내에 배치된 공기를 상기 확장공간의 폭보다 작은 단면의 폭을 갖는 제2 에어홀을 통하여 상기 몰드 프레임의 내면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몰드 프레임 내면 상에 배치된 공기를 표시패널과 상기 표시패널에 이격된 터치스크린패널 사이로 이송하여,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 사이의 공기압력을 증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압력보상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공간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단계는, 복수개의 제1 에어홀을 통하여 상기 확장공간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압력보상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공간 내에 배치된 공기의 압력은 상기 제1 에어홀 내에 배치된 공기 또는 상기 제2 에어홀 내에 배치된 공기의 압력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압력보상방법.
KR1020070020808A 2007-03-02 2007-03-02 표시장치 및 그 압력보상방법 KR101339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808A KR101339939B1 (ko) 2007-03-02 2007-03-02 표시장치 및 그 압력보상방법
US12/032,132 US8184228B2 (en) 2007-03-02 2008-02-15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mpensating for pressure change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808A KR101339939B1 (ko) 2007-03-02 2007-03-02 표시장치 및 그 압력보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0737A true KR20080080737A (ko) 2008-09-05
KR101339939B1 KR101339939B1 (ko) 2013-12-11

Family

ID=39732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808A KR101339939B1 (ko) 2007-03-02 2007-03-02 표시장치 및 그 압력보상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84228B2 (ko)
KR (1) KR1013399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16116A1 (en) * 2006-04-11 2007-10-18 Symbicon Oy Electronic information board
US8537543B2 (en) * 2008-04-11 2013-09-17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using structures
JP4513918B2 (ja) * 2008-06-03 2010-07-28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電気光学装置
US8648826B2 (en) * 2009-04-17 2014-02-11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US8300203B2 (en) * 2009-08-31 2012-10-30 Sanyo Electric Co., Ltd. Display apparatus
JP5496013B2 (ja) * 2010-08-11 2014-05-21 京セラ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ユニット枠およびタッチパネルユニット
CN103562825B (zh) * 2011-05-30 2016-08-17 Nlt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3076843A (zh) * 2011-10-26 2013-05-01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粘合结构及采用该粘合结构的电子装置
KR101848928B1 (ko) * 2011-11-15 2018-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US20130128605A1 (en) * 2011-11-18 2013-05-23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Flat Panel Display Device, Stereoscopic Display Device, And Plasma Display Device
US8928835B2 (en) * 2012-07-24 2015-01-06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CD device and its backlight module and back plate assembly
JP5938333B2 (ja) * 2012-11-06 2016-06-22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装置
WO2014126560A1 (en) * 2013-02-13 2014-08-21 Draeger Medical Systems, Inc. A system for venting a touch screen on a medical device
EP4083697A1 (en) 2013-03-08 2022-11-02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JP6225591B2 (ja) * 2013-09-17 2017-11-0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高気密機器
CN106687855A (zh) * 2014-10-16 2017-05-17 堺显示器制品株式会社 显示装置
CN104317459B (zh) * 2014-11-19 2019-05-03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支撑盖板、触控显示面板和触控显示装置
EP3163362B1 (en) * 2015-10-27 2019-03-13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TWM561372U (zh) * 2017-06-16 2018-06-01 信錦企業股份有限公司 支撐裝置
CN107526467B (zh) * 2017-08-04 2020-04-03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模组和触控显示装置
JP2022078839A (ja) * 2020-11-13 2022-05-25 株式会社リコー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4031A (ja) 1997-01-29 1998-08-11 Tec Corp Lcdカバー装置
US6532152B1 (en) * 1998-11-16 2003-03-11 Intermec Ip Corp. Ruggedized hand held computer
JP3620840B2 (ja) * 2002-07-17 2005-02-16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TWI252348B (en) * 2002-10-21 2006-04-01 Toppoly Optoelectronics Corp Back light module
JP4535702B2 (ja) * 2003-08-20 2010-09-0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0959785B1 (ko) * 2003-09-16 2010-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TWM253986U (en) * 2003-10-28 2004-12-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050049655A (ko) * 2003-11-22 2005-05-2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05242423A (ja) * 2004-02-24 2005-09-08 Clarion Co Ltd 液晶タッチパネル構造
JP2006064840A (ja) 2004-08-25 2006-03-09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および通気孔形成方法ならびに貼合せ装置
AU2005309679B2 (en) * 2004-11-24 2011-06-30 Cru Acquisition Group, Llc Fire resistant and/or water resistant enclosure for operable computer digital data storage device
TWI268388B (en) * 2005-03-11 2006-12-11 Au Optronics Corp Backlight module
KR20070103833A (ko) * 2006-04-20 2007-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KR20080019384A (ko) * 2006-08-28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패널을 부착한 표시장치
CN101517462B (zh) * 2006-09-12 2011-09-14 夏普株式会社 带有微透镜阵列的液晶显示面板、其制造方法和液晶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10843A1 (en) 2008-09-04
US8184228B2 (en) 2012-05-22
KR101339939B1 (ko) 201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939B1 (ko) 표시장치 및 그 압력보상방법
CN101918993B (zh) 显示装置
JP5451140B2 (ja) 表示装置
KR101613028B1 (ko) 이중 에지 발광 다이오드 백라이트를 갖는 디스플레이
US7679931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having improved structure and heat dissipation
KR10219376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6119595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00072905A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US760245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9226421B2 (en) Electro-optical device with reinforcing structur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electro-optical device
EP2607946B1 (en) Display apparatus
JP6553326B2 (ja) 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装置
CN106842713A (zh) 背光模组及电子装置
KR101953205B1 (ko)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090050752A1 (en) Plasma display device
KR101510887B1 (ko) 표시장치
KR20080019384A (ko) 터치스크린패널을 부착한 표시장치
KR101327845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1654318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70093538A (ko) 액정표시장치
KR101667813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068375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375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70071331A (ko) 액정표시장치
WO2008082115A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