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0326A - 초음파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초음파 치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0326A
KR20080080326A KR1020087015141A KR20087015141A KR20080080326A KR 20080080326 A KR20080080326 A KR 20080080326A KR 1020087015141 A KR1020087015141 A KR 1020087015141A KR 20087015141 A KR20087015141 A KR 20087015141A KR 20080080326 A KR20080080326 A KR 20080080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saliva
vibrator
ultrasonic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7620B1 (ko
Inventor
나오코 카지모토
쿄우스케 카지모토
아쯔미 오따
노부오 오기와라
Original Assignee
바이오 맵 유한회사
이토쵸탄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 맵 유한회사, 이토쵸탄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바이오 맵 유한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80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0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0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using ultrason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61C8/0007Stimulation of growth around implant by electrical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초음파 치료장치(1)는 구강 내부(M)의 임플랜트 처치가 실시된 처치부(G1)에 초음파 진동(W)을 주어 치료하는 것으로서, 처치부(G1) 인접 치아(T)에 감합하여 고정되는 감합부(2); 감합부(2)에 설치되고 처치부(G1)에 인접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처치부(G1) 측에 개구부(3a)가 형성된 함체(3); 및, 함체(3)에 수용된 진동자(4)를 구비하고 감합부(2) 또는 함체(3)에는 함체(3)의 개구부(3a)로부터 감합부(2) 또는 함체(3)의 외부로 돌출하여 배설된 선 형상의 타액 도입 부재(6)를 가진다.
Figure P1020087015141
초음파 치료장치, 임플랜트, 타액 도입 부재, 보강 부재, 진동자, 처치부

Description

초음파 치료장치{ULTRASONIC THERAPY APPARATUS}
본 발명은 임플랜트를 이용하여 치아를 치료할 경우에 이용하는 초음파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5년 12월 7일자 일본에 출원된 특원 2005-353299호에 의하여 우선권이 주장되었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에는 인공 치근을 부착하는 방법으로서는 상악부(上顎部) 혹은 하악부(下顎部)의 뼈에 임플랜트라고 불리는 핀 형상의 인공 치근을 삽입하여 삽입된 뼈에서 돌출한 임플랜트 끝 부분의 나사구멍에 인공 치관(齒冠)을 나사로 체결하여 부착하는 방법이 널리 쓰이고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뼈 내에 임플랜트를 삽입하고 나서 일정기간이 지나면 삽입된 임플랜트가 뼈 조직과 일체화된 후에 인공 치관을 부착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임플랜트가 뼈 조직과 일체화할 때까지의 기간 중에는 임시 의치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이며 지금까지는 자연치유에 맡길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임플랜트와 뼈 간에 뼈 조직이 형성될 때까지 환자에게는 많은 불편과 고충이 따랐다.
이러한 임플랜트 처치 후의 치유를 촉진하기 위하여 구강 내의 임플랜트 처치가 실시된 부분에 인접 배치되는 함체(housing); 함체의 내벽에 배치된 진동자; 및 함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임플랜트 처치가 실시된 부분의 양 옆 치아에 각각 씌울 수 있도록 한 한 쌍의 고정 부재를 가지는 초음파 치료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4-113625호 공보 참조). 이 초음파 치료장치에 의하면 처치 부위에 초음파 진동을 줌으로써 임플랜트와 뼈 조직과의 일체화를 촉진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러한 초음파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자의 진동면은 평면인 반면에 임플랜트 처치가 실시된 처치부는 부정형인 요철 면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진동자의 진동면과 처치부와의 사이에는 틈새가 생겨 초음파 진동을 효율적으로 처치부에 전파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 진동자의 진동면 형상을 처치부의 형상을 본 따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처치부는 그 치유 과정에서 표면 형상이 변하거나 혹은 진동자가 주변 근육에 의하여 압압 되는 등 치유 과정에서 틈새가 생길 경우도 있어 초음파 진동의 전파 효율이 저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임플랜트 처치가 실시된 처치부에 확실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초음파 진동을 전파시키는 것이 가능한 초음파 치료장치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은 구강 내의 임플랜트 처치가 실시된 처치부에 초음파 진동을 주어 치료하는 초음파 치료장치고서, 상기 처치부 인접 치아에 감합하여 고정되는 감합부; 상기 감합부에 설치되어 상기 처치부에 인접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처치부 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1개 이상의 함체; 및 상기 함체에 수용된 진동자를 구비하여 상기 감합부 또는 상기 함체에는 상기 함체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감합부 또는 상기 함체 외부로 돌출하여 배설된 선 형상의 타액 도입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초음파 치료장치에 의하면 감합부가 환자의 치아에 감합하여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함체에 수용된 진동자가 타액 도입 부재를 통하여 처치부에 당접(當接)한다. 타액 도입 부재는 진동자와 처치부와의 사이에 개장(介裝)됨과 동시에 외부로 돌출하여 배설된다.
그리고, 외부로 돌출한 선 형상의 타액 도입 부재가 구강 내 주변의 타액을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흡인하고 흡인된 타액은 진동자와 처치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충전된다. 이 때문에 진동자의 초음파 진동은 틈새에 충전된 타액을 통하여 확실하게 보다 효율적으로 전파하게 된다. 또, 타액은 점성을 가진 액체로서 타액 도입 부재에 의하여 항상 진동자와 처치부 사이의 틈새로 공급되는 된다. 이 때문에 처치부와 진동자 간의 틈새가 변형되더라도 타액은 이에 대응하여 변형되고 또 공급되어 항상 충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진동자에 의한 초음파 진동을 확실하게 보다 효율적으로 전파시킬 수 있다.
또, 상기의 초음파 치료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합부의 상기 처치부에 인접한 부분에는 보강 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초음파 치료장치에 의하면 감합부의 처치부에 인접한 부분에 보강 부재가 배설됨으로써 감합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처치부에 인접한 부분에 배설됨으로써 감합부의 변형이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고 진동자가 처치부에 확실하게 배치되어 있어 초음파 진동을 전파시킬 수 있다.
또, 상기의 초음파 치료장치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상기 감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초음파 치료장치에 의하면 함체가 감합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수용된 진동자를 처치부에 대한 위치 조정을 할 수 있어 최적 부위에 진동자의 초음파 진동을 전파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순차로 위치를 바꾸어 감으로써 처치부에 대하여 광범위하게 진동자의 초음파 진동을 전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초음파 치료장치에 의하면 타액 도입 부재에 의하여 진동자와 처치부 간의 틈새에 점성을 갖는 타액이 공급되고 충전됨으로써 진동자의 초음파 진동을 확실하게 보다 효율적으로 전파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임플랜트가 설치된 처치부의 주변에의 뼈 조직 생성을 확실하게 촉진할 수 있어 치료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초음파 치료장치의 사시도 이고,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초음파 치료장치가 구강 내에 장착된 설명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도 1A 및 도 1B에 있어서의 일부분을 절단한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초음파 치료장치의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초음파 치료장치의 사시도 이다.
[부호의 설명]
1, 10, 20; 초음파 치료장치 2, 21; 감합부
3, 22; 함체 3 a, 22 a; 개구부
4; 진동자 6, 23; 타액 도입 부재
11; 보강 부재 G1; 처치부
M; 구강 내부 P; 임플랜트
S; 타액 T; 치아
(제1 실시형태)
도 1A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1A에 초음파 치료장치의 전체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 도 1B는 구강 내에 도 1A의 초음파 치료장치가 장착된 설명도 이다. 도 1B을 참조하면 구강 내부(M)에서 치아(T)가 일부 결손되어 잇몸(G)이 노출되어 있고 임플랜트 처치가 실시된 처치부(G1)가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처치부(G1)에는 하악부에 인공 치근으로서의 임플랜트(P)가 삽입되어 있고 임플랜트(P)의 표면에는 인공 치관(齒冠)이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구멍(P1)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2는 도 1B의 A-A단면에 의한 일부 절단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임플랜트(P)는 기단부(P2)로서 하악부의 뼈(B)에 삽입되어 생성된 뼈 조직(B1)에 의해서 고정된다. 뼈(B) 주위에 덮여 있는 것이 잇몸(G)이고 잇몸(G2)의 외 측에 표피(G3)가 덮여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잇몸(G)의 양측에는 체내로부터 분비된 타액(S)이 퇴적되어 있다.
도 1A, 도 1B 및 도 2를 참조하면, 초음파 치료장치(1)는 치아(T)에 감합하여 고정된 감합부(2)와 처치부(G1) 측에 개구부(3a)가 형성된 함체(3)와 함체(3)에 수용된 진동자(4)를 구비한다. 감합부(2)는 내주면(2a)이 환자의 치아(T) 및 잇몸(G)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고 치아(T)에 밀착되도록 감합하여 고정되어 있다. 감합부(2)는 더 나아가 처치부(G1)에 있어서도 내주면(2a)이 환자의 잇몸(G) 형상에 맞추어 형성되고 잇몸(G)에 밀착하는 것에 의하여 감합 고정되어 있다. 또, 함체(3)는 잇몸(G)의 외주 측(G4)에서 처치부(G1)와 인접하는 위치에서 감합부(2)에 설치되어 있다. 또, 진동자(4)는 당접하여 초음파 진동을 전파하는 진동면(4a)을 가지고 있으며 리드 선(5)에 연결되어 도시되지 않은 구강 외의 초음파 신호 공급원과 연결되어 있다.
또, 도 1A, 도 1B 및 도 2를 참조하면, 초음파 치료장치(1)는 각 함체(3)에 각각 설치된 선 형상의 타액 도입 부재(6)를 구비한다. 타액 도입 부재(6)는 처치부(G1)와 대응하는 위치에 있고 감합부(2) 및 함체(3)에 고정되어 일단(6a)이 함체(3)의 개구부(3a)로부터 함체(3)의 외부로 돌출하여 배설되어 있다. 또, 타 단(6b)은 함체(3)의 개구부(3a)로부터 감합부(2)의 내주 면(2a)을 경유하여 잇몸(G)의 내주 측(G5)에서 감합부(2)의 외부로 돌출하여 배설되어 있다.
이어서 초음파 치료장치(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B 및 도 2를 참조하면, 초음파 치료장치(1)가 구강 내부(M)에 장착되고 감합부(2)는 치아(T) 및 잇몸(G)에 감합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함체(3)에 수용된 진동자(4)는 개구부(3a)에 배설된 타액 도입 부재(6)를 통하여 처치부(G1)의 외주 측(G4)에 당접한 다. 또, 타액 도입 부재(6)는 처치부(G1)와 감합부(2) 및 진동자(4)와의 사이에 밀착하여 개장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일 단(6a)은 잇몸(G)의 외주 측(G4)에서, 또 타 단(6b)은 내주 측(G5)에서 각각 잇몸(G) 상으로 배설되고 퇴적한 타액(S)이 침윤(浸潤)된 상태가 된다. 타액 도입 부재(6)는 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타액(S)은 타액 도입 부재(6)로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흡인되고 진동자(4)와 처치부(G1)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충전된다. 이 때문에 진동자(4)의 초음파 진동(W)은 진동자(4)로부터 직접 처치부(G1)로 혹은 틈새에 충전된 타액(S)을 통하여 처치부(G1)로 확실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전파된다.
또, 타액(S)은 점성을 가졌으며 구강 내부(M)에서 항상 공급되어 일정한 양이 퇴적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진동자(4)와 처치부(G1)와의 사이의 틈새가 변형되더라도 그 틈새에 대응하여 충전된 타액(S)은 자기 점성에 의하여 변형함과 동시에 부족한 분은 항상 타액 도입 부재(6)를 통하여 공급되어 충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치부(G1)가 그 치유 과정에 따라 표면 형상이 변화할 경우, 또, 진동자(4)가 주변 근육에 의하여 압압되어 틈새가 생길 경우에도 그 틈새에 대응하여 타액(S)이 변형하고 혹은 공급되어 충전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 때문에 항상 정확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진동자(4)의 초음파 진동(W)이 전파되어 임플랜트(P)가 처치된 처치부(G1)의 주위에서의 뼈 조직(B1) 생성을 확실히 촉진할 수 있고 치료 시간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타액 도입 부재(6)의 재질로서는 스텐레스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 혹은 아크릴이나 나일론 등의 수지, 실리콘 등 여러 가지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또 가요성(可撓性)을 가진 것이라도 경질이라면 괜찮다. 경질의 재질이라면 미리 당접한 처치부(G1)의 형상에 맞추어 성형하여 처치부(G1)에 밀착할 수 있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타액 도입 부재(6)는 섬유 형상의 것, 스펀지 형상 혹은 관 모양으로 형성된 것이 좋고, 그러한 부재가 모세관 현상에 의한 타액(S)의 흡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진동자(4)와 처치부(G1) 간의 틈새에는 타액(S)이 충전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미리 진동자(4)와 처치부(G1)와의 사이에 겔을 개재하여도 괜찮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는 것에 의하여 타액(S)에 의한 틈새를 충전하는 효과와 함께 보다 확실하고 효율적으로 진동자(4)의 초음파 진동(W)을 전파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겔을 개재시켰을 경우에 있어서 처치부(G1)의 표면 형상이 변화하고 겔이 과잉 상태인 경우에는 타액 도입 부재(6)가 겔을 구강 내부(M)의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역류시켜 겔의 양을 적당히 조정한다.
( 제2 실시형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형태로서 초음파 치료장치의 전체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초음파 치료장치(10)에는 감합부(2)의 처치부(G1)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감합부(2)의 외면 부(2b)에 보강 부재(11)가 배설된다. 보강 부재(11)는 예를 들면 스텐레스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 혹은 수지 등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초음파 치료장치(10)에 의하면 보강 부재(11)에 의하여 감합부(2)의 강도를 높일 수 있고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보강 부재(11)에 의하여 감합부(2)의 변형이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함체(3)에 수용된 진동자(4)를 처치부로 확실히 배치하거나 상술의 타액 도입 부재(6)에 의한 효과와 함께 처치부에 확실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진동자(4)의 초음파 진동을 전파할 수 있다. 또한, 보강 부재(11)는 도 3에 나타낸 선 형상의 부재에 한정하지 않고 판 형상의 부재 등도 사용될 수 있다.
( 제3 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3 실시형태로서 초음파 치료장치의 전체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초음파 치료장치(20)는 치아(T)의 일부에 감합하여 고정된 감합부(21)와 진동자(4)를 수용하여 감합부(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함체(22)를 구비한다. 감합부(21)는 내주면(21a)이 치아(T)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되고 경질의 변형되지 않는, 예를 들면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함체(22)에는 처치부(G1)측에 개구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초음파 치료장치(20)는 또한 함체(22)에 고정되고 함체(22)의 개구부(22a)로부터 함체(22)의 외부로 배설되는 타액 도입 부재(23)를 구비한다. 타액 도입 부재(23)는 상기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초음파 치료장치(20)에 의하면 함체(22)가 감합부(2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것으로서, 수용된 진동자(4)를 처치부(G1)에 대하여 위치 조정할 수 있어 최적 부위에 초음파 진동을 전파시킬 수 있다. 또, 순차적으로 위치를 이동할 수 있어서 처치부(G1)에 대하여 광범위하게 초음파 진동을 전파시킬 수 있다. 또한, 함체(22)를 회전 중심에 대하여 한쪽 편 고정 형태로 감합부(21)에 결합하여 있어 함체(22)는 구강 벽에 압압되어 수용된 진동자(4)는 처치부(G1)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타액 도입 부재(23)에 의한 효과와 함께 처치부(G1)에 확실하게 진동자(4)의 초음파 진동(W)을 전파할 수 있고 임플랜트(P)가 삽입된 처치부(G1)의 주위에서의 뼈 조직(B1)의 생성을 확실하게 촉진할 수 있어 치료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타액 도입 부재(23)는 외주 측에만 돌출되어 있으나, 이렇게 한쪽으로만 돌출하여 타액(S)을 공급하는 것도 처치부(G1)와 진동자 간의 틈새에 타액(S)이 충전되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였으나, 구체적인 구성은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의 설계 변경 등도 이에 포함된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초음파 치료장치는 하악부에 설치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상악부에 설치되어 상악부의 임플랜트 처치부의 치료에 사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감합부는 상악부 또는 하악부의 모두에 감합할 필요가 없고 적어도 처치부(G1) 인접 일부 치아(T)에 감합하여 함체를 소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으면 괜찮고, U자 형상의 철사를 치아에 감합하는 형태라도 괜찮다. 그리고 함체 및 함체에 수용된 진동자는 처치부(G1)의 외주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을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처치부(G1)의 상황에 따라서 처치부(G1)의 내주 측(G5)에 설치되어도 괜찮으며 또, 외주측(G4) 및 내주측(G5)의 양 쪽 모두에 설치하여도 괜찮다. 또, 함체 및 진동자는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2개 조로 설치되고 또 제3 실시형태에서는 1개 조로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3개 조 이상의 함체 및 진동자로 설치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대응되는 타액 도입 부재는 각 함체에 1개씩 설치되는 것으로서 기재하였으나, 복수 개 설치하여도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실시형태에 의한 초음파 치료장치(1, 10, 20)를 이용함에 따른 효과를 아래에 열거한다.
(1) 임플랜트 매입시의 임플랜트 주위의 뼈 형성 및 오스데오 인테그레이션의 촉진 (2) 임플랜트 제거 후의 뼈 형성 및 치유 촉진 (3) 임플랜트 주위의 뼈 결손에 있어서, 뼈 형성의 촉진 (4) 뼈 증생술(增生術)에 있어서, 뼈 형성의 촉진(공급 측, 수요 측을 포함) (5) 화골연장술(化骨延長術)에 있어서, 뼈 형성의 촉진 (6) 턱 안면에 있어서, 외상, 골절, 치아 탈구(脫臼)에 있어서 수술후의 치유 촉진 (7) 턱 변형증에 있어서, 외과적 수술 후 뼈 결합 촉진 (8) 교정 치료시 있어서, 동적(動的) 기간 및 보정기간의 단축 (9) 뼈 봉합부에 있어서, 교정 처치 후의 화골(化骨)촉진 (10) 충치(보존 수복 시)에 있어서, 생활 치수(齒髓) 절단, 간접 복수(覆髓) 및 직접복수 후의 2차 상아질 조직 형성 촉진 (11) 상아질 지각(知覺) 과민 시에 있어서, 2차 상아질 형성 촉진에 의한 통증의 경감 (12) 발수(拔髓), 감염근관(感染根管) 처치 후의 뿌리 끝부분의 폐쇄 촉진 (13) 치주(齒周) 외과 후의 치유 촉진(Flap Operation FGG APF) (14) 교합성(咬合性) 외상에 있어서, 치아 고정 후의 주위 뼈 형성 촉진 (15) 외과 처치 후의 치유 부전에 있어서 치유 촉진 (16) 입술 또는 혀의 힘줄(소대:小帶)이상에 있어서, 외과 처치 후의 치유 촉진 (17) 입술터짐, 입천장 터짐, 입술 턱 터짐 증상에 있어서, 외과 처치 후의 치유 촉진 (18) 턱관절 강직증에 있어서, 외과 처치 후의 뼈 결합 촉진 (19) 골염, 골수염 처치 후의 뼈 형성 및 치유 촉진 (20) 침샘의 기능 정상화 촉진 (21) 치과 턱 안면 영역에 있어서, 골성 및 골내병소(骨內病巢) 제거 후의 뼈 치유 촉진 (22) 치주골 결손의 뼈 재생의 촉진(GTR와 GBR 기술) (23) 치내 요법시의 뿌리 끝 뼈 폐쇄의 촉진(APICO를 포함) (24) 치과 턱 안면 영역에 있어서, 연조직(軟組織) 질환의 제거 후의 창상(創傷), 외상에 의한 연조직의 손상 및 외과적 처치에 의한 연조직의 치유 촉진 (25) 치아 이식 치 및 재식 치에 있어서, 주위 뼈의 신생 촉진 및 생착(生着) 촉진 (26) 발치와(拔齒窩)의 치유 촉진 (27) 턱 관절증 시의 근육 피로의 완화 (28) 턱 관절증 시의 관절두(關節頭) 및 관절와(關節窩)의 뼈 재생의 촉진 (29) 연조직의 표층병변의 치유 촉진
본 발명과 관련된 초음파 치료장치에 의하면 감합부가 환자의 치아에 감합하여 고정되고 함체에 수용된 진동자가 타액 도입 부재를 통하여 처치부에 당접한다. 타액 도입 부재는 진동자와 처치부 간에 개장됨과 동시에 외부로 돌출하여 배설되고 구강 내의 주변 타액을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흡인하고 흡인된 타액은 진동자와 처치부 간에 형성된 틈새에 충전되고 진동자의 초음파 진동은 틈새에 충전된 타액을 통하여 확실하게 보다 효율적으로 전파된다. 또, 타액은 점성을 가진 액체로서, 타액 도입 부재에 의하여 항상 진동자와 처치부 간의 틈새에 공급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처치부와 진동자 간의 틈새가 변형되더라도 타액은 이에 대응하여 변형하고 또 공급되어 항상 충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진동자에 의한 초음파 진동을 확실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전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감합부의 상기 처치부와 인접한 부분에 보강 부재가 설치되면 감합부의 강도를 보다 높일 수 있고 감합부의 변형이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어 진동자가 처치부에 정확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초음파 진동을 전파시킬 수 있다.
또, 상기 함체가 상기 감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수용된 진동자를 처치부에 대하여 위치 조정할 수 있어 최적 부위에 진동자의 초음파 진동을 전파시킬 수 있다. 또, 순차로 위치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처치부에 대하여 광범위하게 진동자의 초음파 진동을 전파시킬 수 있다.

Claims (3)

  1. 구강 내의 임플랜트 처치가 실시된 처치부에 초음파 진동을 주어 치료하는 초음파 치료장치로서,
    상기 처치부 인접 치아에 감합하여 고정되는 감합부;
    상기 감합부에 설치되고 상기 처치부에 인접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처치부 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1개 이상의 함체; 및
    상기 함체에 수용된 진동자를 구비하고
    상기 감합부 또는 상기 함체에는 상기 함체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감합부 또는 상기 함체의 외부로 돌출하여 배설된 선 형상의 타액 도입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치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부의 상기 처치부에 인접한 부분에는 보강 부재가 설치되는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치료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상기 감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치료장치.
KR1020087015141A 2005-12-07 2006-05-02 초음파 치료장치 KR1009776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53299 2005-12-07
JP2005353299 2005-1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0326A true KR20080080326A (ko) 2008-09-03
KR100977620B1 KR100977620B1 (ko) 2010-08-23

Family

ID=38122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141A KR100977620B1 (ko) 2005-12-07 2006-05-02 초음파 치료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048545A1 (ko)
JP (1) JP4819060B2 (ko)
KR (1) KR100977620B1 (ko)
DE (1) DE112006003350B4 (ko)
WO (1) WO20070664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2479A1 (ko) * 2022-01-04 2023-07-13 에코디엠랩 주식회사 다중 주파수 초음파 발진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491B1 (ko) 2008-04-25 2008-07-07 문창수 초음파를 이용한 임플란트용 골 융합 촉진기
KR100993315B1 (ko) * 2010-02-26 2010-11-09 문창수 초음파 발생 진동자가 구비된 치아 트레이 유니트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5326A (en) * 1977-10-26 1979-11-27 Forsyth Dental Infirmary For Children Hollow-fiber devices for and a method of the treament and diagnosis of oral diseases
JP2680693B2 (ja) * 1989-08-07 1997-11-19 日東電工株式会社 超音波照射パッド
JP3066415B2 (ja) * 1990-05-18 2000-07-17 株式会社ケイオウエス 治療装置
US5334189A (en) * 1991-06-03 1994-08-02 Wade Stephen E Device for controlled diffusion of a chemical substance
US5496256A (en) * 1994-06-09 1996-03-05 Sonex International Corporation Ultrasonic bone healing device for dental application
JPH10262991A (ja) * 1997-03-27 1998-10-06 Egawa:Kk 細菌繁殖抑制装置とその抑制方法
US6326022B1 (en) * 1999-11-04 2001-12-04 Harry S. Katz Slow-release disposable elastomeric buccal devices
SE0100160D0 (sv) * 2001-01-22 2001-01-22 Atos Medical Ab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energetic ultrasonic tissue treatment
US7335022B2 (en) * 2002-03-15 2008-02-26 Tesini David A Dental bite impression wafer for identification purposes that also captures DNA-bearing materials
JP3825734B2 (ja) * 2002-09-27 2006-09-27 バイオマップ有限会社 超音波治療装置
JP3929933B2 (ja) * 2003-05-30 2007-06-13 バイオマップ有限会社 超音波治療器
US20060122543A1 (en) * 2003-07-31 2006-06-08 Woodwelding Ag Method for promoting tissue regeneration on wound surfaces as device and treatment instrument or implant for carrying out method
US7285093B2 (en) * 2003-10-10 2007-10-23 Imadent Ltd. systems for ultrasonic imaging of a jaw, methods of use thereof and coupling cushions suited for use in the mouth
JP2005353299A (ja) 2004-06-08 2005-12-22 Tokai Corp 流量調整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および流量調整フィルタ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2479A1 (ko) * 2022-01-04 2023-07-13 에코디엠랩 주식회사 다중 주파수 초음파 발진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7620B1 (ko) 2010-08-23
DE112006003350T5 (de) 2008-10-02
DE112006003350B4 (de) 2012-10-31
JPWO2007066419A1 (ja) 2009-05-14
US20090048545A1 (en) 2009-02-19
WO2007066419A1 (ja) 2007-06-14
JP4819060B2 (ja) 201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7526B1 (ko) 초음파 치료장치
US7258545B2 (en) Orthodontic anchor
Jensen et al. Autogenous mandibular bone grafts and osseointegrated implants for reconstruction of the severely atrophied maxilla: a preliminary report
US11191623B2 (en)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for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Spiessl New concepts in maxillofacial bone surgery
Erverdi et al. A New Anchorage Site for the Treatment of Anterior Open Bite: Zygomatic Anchorage. Case Report.
Bothur et al. Modified technique using multiple zygomatic implants in reconstruction of the atrophic maxilla: a technical note.
Rosenquist et al. Occlusion of the incisal canal with bone chips. A procedure to facilitate insertion of implants in the anterior maxilla
Gault et al. Tooth auto‐transplantation with double periodontal ligament stimulation to replace periodontally compromised teeth
KR100977620B1 (ko) 초음파 치료장치
Peñarrocha et al. Localized vertical maxillary ridge preservation using bone cores and a rotated palatal flap.
Razdolsky et al. Skeletal distraction for mandibular lengthening with a completely intraoral toothborne distractor
JP4171743B2 (ja) 超音波治療装置
JP4079961B2 (ja) 超音波治療装置
Storum et al. Implant-osseous osteotomy for correction of the misaligned anterior maxillary implant
Polat-Özsoy The use of intraosseous screw for upper molar distalization: a case report
RU2818728C1 (ru) Способ субантральной аугментаци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жирового тела щеки по Толмачеву В.Е.
US20220087800A1 (en)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for Treatment of Periodontal Disease
KR20140104118A (ko) 저출력 초음파를 이용한 치골생성 치료기
El Askary Use of a titanium papillary insert for the construction of interimplant papillae
KR200456090Y1 (ko) 구강 연조직 안전 보호기능이 구비된 초음파 수술용 피조폴구조
RU2216293C1 (ru) Способ непосредственной имплантации
RU2181575C2 (ru) Способ непосредственной двухфазной дентальной имплантации
Rahal et al. Efficiency of Ridge Expansion Using Screw-Type Expanders with Simultaneous Trabecular Implant Placement in Narrow Anterior Maxilla (A Clinical and Radiographic Study)
RU2054894C1 (ru) Способ импланта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