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0222A - 차량용 후드에어백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후드에어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0222A
KR20080080222A KR1020087018190A KR20087018190A KR20080080222A KR 20080080222 A KR20080080222 A KR 20080080222A KR 1020087018190 A KR1020087018190 A KR 1020087018190A KR 20087018190 A KR20087018190 A KR 20087018190A KR 20080080222 A KR20080080222 A KR 20080080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door
vehicle
hood
hood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8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4739B1 (ko
Inventor
히로유키 다카하시
다카유키 다키모토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따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다까따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80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0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6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air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021/343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deformable body panel, bodywork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외측후드패널(22)의 개구부(22A)를 커버하는 도어(18)가 에어백(16)의 팽창 시에 힌지(21)에 의해 지지되는 차량용 후드에어백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힌지(21)는 내측후드패널(24)측의 스텝볼트(52)(커넥터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힌지(21)가 상기 내측후드패널(24)에 대하여 사전설정된 범위 이내에서 상대적으로 변위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도어(18)가 외측후드패널(22)에 부착되어 스텝볼트(52)에 대한 힌지(21)의 상대적인 변위에 의하여 개구부(22A)를 커버하게 될 때 외측후드패널(22)의 개구부(22A)와 도어(18) 간의 치수 변동을 수용함으로써, 차량의 외관에 있어서 의장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후드에어백장치{HOOD AIRBAG DEVICE FOR USE IN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후드 상방에서 에어백을 전개하는 후드에어백장치에 관한 것이다.
후드의 개구부에 고정된 에어백모듈케이스와 힌지로서의 역할을 하는 연장부를 통해 에어백모듈케이스에 부착된 직사각형의 리드(도어)를 포함하는 후드에어백장치가 일본특허 제JP-B2-3245489호에 개시되어 있다. 리드를 계기판의 개구부에 대하여 사전설정된 제한 내에서 변위시키는 인게이징유닛을 이용하여 플로팅(floating) 상태로 부착되는 또다른 에어백타입의 탑승자보호장치는 일본특허출원공보 제JP-A-7-11760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인용된 참고문헌에서와 같이, 외측후드패널의 개구부는 그것에 부착된 도어를 구비한 에어백모듈을 지지부재에 대해 예비-조립(하위-조립)한 다음, 상기 하위-조립체를 볼트를 이용하여 내측후드패널 등과 같은 프레임부재 상에 설치하여 도어에 의해 커버된다. 상기 도어 및 외측후드패널의 개구부의 의장성(design integrity)은 하위-조립공정에서의 개별적인 구성요소들 간의 치수 편차와 프레임부재 상에 하위-조립체를 설치할 때 발생하는 위치 편차 양자 모두에 악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외측후드패널의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제공된 도어의 양호한 의장성을 유지하여, 차량의 외관을 개선시키는 후드에어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후드의 외측후드패널과 내측후드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백을 포함하되, 상기 에어백은 인플레이터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상기 외측후드패널의 개구부를 통해 전개되도록 되어 있고;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는 도어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는 상기 에어백이 전개될 때 팽창하는 에어백의 힘에 의해 전개되면서 개방되도록 되어 있으며; 힌지가 상기 내측후드패널에 대한 사전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대적으로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내측후드패널측에서 커넥터부재에 연결된 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에어백장치가 제공된다.
상술된 후드에어백장치에 있어서, 도어가 전개되는 것을 지지하기 위한 힌지는 상기 힌지가 내측후드패널에 대하여 사전설정된 제한 내에서 상대적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플로팅 상태에서 상기 후드의 내측후드패널측 상의 커넥터부재에 연결된다. 따라서, 도어가 내측후드패널에 부착되어 외측후드패널의 개구부를 덮게 되는 경우, 상기 힌지는 커넥터부재에 대해 변위될 수 있으므로, 개구부와 도어 간의 여하한의 치수 편차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는 에어백 및 인플레이터와 하위-조립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에어백 및 인플레이터의 하위-조립 시에 치수 편차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이는 외측후드패널의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 상에 제공되는 도어의 의장성을 유지시키므로, 차량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는 도어가 개구부를 커버하는 위치에서 복수의 클립에 의해 유지되되, 상기 각각의 클립은 상기 외측후드패널로부터 분리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후드에어백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도어가 개구부를 커버하는 위치에서 클립에 의해 유지되되, 각각의 클립은 외측후드패널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개구부는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을 때 상기 도어에 의해 안정하게 커버된다. 에어백이 전개되고 그 팽창력이 도어에 가해지는 경우, 클립들이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외측후드패널로부터 분리되므로, 도어가 전개되게 된다. 따라서,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을 때 개구부와 도어의 의장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에어백이 팽창될 때, 팽창하는 에어백의 힘을 통해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에어백이 후드 외부에서 전개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상대적으로 변위가능한 힌지의 범위는, 상기 클립을 상기 외측후드패널로부터 분리시키는 방식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어가 팽창하는 에어백의 힘에 의해 상향 푸시된다면, 클립들이 외측후드패널로부터 분리되어 도어가 바깥쪽으로 개방될 것이다. 이에 관하여, 클립들은 힌지가 커넥터부재를 따라 상대적으로 변위가능한 범위 내에서 외측후드패널로부터 멀리 분리될 수도 있다. 따라서, 힌지의 존재가 클립들의 분리를 방해하지 못하게 되고, 이는 도어가 보다 안정된 방식으로 전개되는 것을 보장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힌지는 상기 도어보다 강성이 덜하여, 상기 힌지가 상기 도어의 전개됨에 따라 용이하게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에는 그 변형 스트로크(deformation stroke)를 확보하기 위한 예비 신장부(spare extension part)로서 변형가능부가 제공된다.
이러한 형태에 의하면, 도어가 팽창하는 에어백의 힘에 의해 상향 푸시되는 경우, 도어보다 강성이 덜한 힌지가 플라스틱처럼 변형된다. 나아가, 예비 신장부로서 변형-스트로크-확보-변형가능부가 도어의 전개됨에 따라 연장되어, 상기 도어가 힌지를 중심으로 외측후드패널 상에 반전되도록 원활하게 전개되게 된다. 이는 에어백의 팽창 시, 도어를 충분히 전개시켜 개구부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도어가 힌지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커넥터부재는 상기 내측후드패널을 상기 외측후드패널과 연결하는 상기 내측후드패널에 고정되어 상기 후드를 보강하는 보강재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부재는 내측후드패널에 고정되어 후드를 보강하고, 상기 내측후드패널을 외측후드패널과 연결하도록 되어 있는 보강재에 부착되기 때문에, 상기 힌지는 상기 도어가 팽창하는 에어백의 힘에 의해 전개되는 동안 더욱 안정하게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게 되어, 상기 도어를 더욱 안정하게 전개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힌지는 상기 커넥터부재에 연결되는 보강선단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는 커넥터부재에 연결된 보강선단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도어가 팽창하는 에어백의 힘에 의해 상향 푸시되어, 힌지의 선단부가 커넥터부재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되는 경우, 홀딩 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는 도어를 더욱 안정하게 전개되게 한다.
상기 커넥터부재는 또한 상기 힌지를 사전설정된 범위 내에서 차량의 상하방향과 길이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변위시키는 스텝볼트(stepped bolt)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부재는 힌지를 자동차의 상하방향과 길이방향으로 사전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대적으로 변위시키는 스텝볼트이기 때문에, 도어가 내측후드패널에 부착되어 외측후드패널의 개구부를 덮게 되는 경우, 상기 힌지는 차량의 길이방향과 그에 따른 상하방향으로 상기 스텝볼트에 대해 적절하게 변위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개구부와 도어 간의 여하한의 치수 편차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도어의 전개 동작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타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들과 연계하여 주어지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힌지를 통과하는 라인을 따라 취한,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은 경우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드에어백장치의 단면도;
도 2의 (a)는 스텝볼트에 연결된 힌지의 선단부의 확대단면도이고, 도 2의 (b)는 스텝볼트에 대하여 화살표 "U"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변위된 힌지의 확대단 면도;
도 3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클립을 통과하는 라인을 따라 취한, 본 발명에 따른 후드에어백장치의 단면도;
도 4는 후드에어백장치의 외측후드패널로부터 분리된 클립을 도시한 단면도; 및
도 5는 외측후드패널로부터 분리된 클립, 스텝볼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된 힌지 및 스텝볼트로부터 멀리 연장된 힌지의 변형가능부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드에어백장치(10)가 예컨대 차량의 전방후드(12)에 제공되고, 에어백(16), 도어(18) 및 힌지(21)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백(16)은 후드(12)의 외측후드패널(22)과 내측후드패널(24) 사이에 배치되고, 인플레이터(26)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팽창된 다음, 상기 외측후드패널(22)의 개구부(22A)를 통해 상기 후드(12) 외부에 전개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에어백(16) 및 인플레이터(26)는 에어백모듈(14)을 형성하도록 모듈케이스 내에 수용된다.
상기 모듈케이스(28)는 외측후드패널(22)의 개구부(22A)를 향해 개방되는 박스형 부재이고, 차량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듈케이스(28)는 예컨대 전방측 벽부재(30), 후방측 벽부재(32) 및 바닥부재(34)를 함께 용접하여 박스형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바닥부재(34)에는 전방측 벽부(30)로부터 차량의 전방방향으로 그리고 후방측 벽부(32)로부터 차량의 후방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플랜지부(34F)가 제공된다. 상기 에어백모듈(14)의 모듈케이스(28)의 플랜지부(34F)는 볼트(36) 및 너트(38)에 의하여 보강재(40)와 함께 내측후드패널(24)에 조립 및 체결된다.
상기 보강재(40)는 그 단면이 뒤집힌 모자 형상으로, 외측후드패널(22)과 내측후드패널(24) 사이에서 차량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나아가, 상기 보강재(40)는 내측후드패널(24)에 직접 결합되어, 예컨대 마스틱(mastic; 42)을 통해 외측후드패널(22)을 지지한다.
상기 모듈케이스(28) 내에 수용된 인플레이터(26)는 충돌체(도시 안됨)가 차량의 정면과 충돌할 때 에어백(16)을 터뜨리도록 가스를 공급한다. 상기 인플레이터(26)는 예컨대 마운팅브래킷(44)에 의하여, 전방측 벽부재(30) 부근에서 모듈케이스(28)의 바닥부재(34)에 고정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도어(18)는 외측후드패널(22)에 형성된 개구부(22A)를 정상적으로 커버하거나 폐쇄하고, 에어백의 팽창 시에 팽창하는 에어백(16)의 힘에 의해 전개되어 상기 개구부(22A)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18)는 예컨대 알루미늄판을 성형하여 형성된 도어프레임(46) 및 상기 도어프레임(46) 상에 고정된 합성수지커버(48)를 포함한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8)는 외측후드패널(22)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복수의 클립(62)에 의하여 상기 외측후드패널(22)의 개구부(22A) 주위의 주변부(22B)와 고정식으로 맞물린다. 상기 도어(18)는 개구부(22A)를 커버하는 위치에 유지된다. 상기 도어(18)의 커버(48)와 상기 외측후드패널(22)의 개구부(22A) 주위의 주변부(22B) 사이에는 실링부재(50)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클립(62)은 예컨대 도어프레임(46)에 고정되되, 팽창하는 에어백(16)의 힘이 도어(18) 상에 가해지는 순간에 개구부(22A) 주위의 주변부(22B)로부터 분리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21)는 내측후드패널(24)에 대하여 사전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대적으로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내측후드패널(24)에 대한 예시적인 커넥터부재인 스텝볼트(52)에 연결된다. 상기 힌지(21)는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도어(18)를 지지한다. 복수의 힌지(21)가 예컨대 도어(18)의 길이를 따라 상기 도어(18)의 도어프레임(46)의 후방에지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21)는 보강부재(58)에 의해 보강되는 스텝볼트(52)에 연결된 선단부(21B)를 구비한다. 나아가, 선단부(21B)와 보강부재(58) 양자 모두는 그 사이에 갭을 형성하면서, 스텝볼트(52)의 스팬(52A)이 연장되는 관통구멍(60)을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텝볼트(52)는 스텝볼트(52)의 축선이 수평면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배치된다. 즉, 마운팅브래킷(54)의 전방면은 상기 마운팅브래킷(54)의 전방면의 상단이 상기 마운팅브래킷(54)의 전방면의 하단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기울어지고, 상기 스텝볼트(52)는 상기 마운팅브래킷(54)의 기울어진 전방면에 체결된다. 그러므로, 상기 스텝볼트(52)의 축선은 그 전방부가 그 후방부 아래에 있도록 기울어진다. 상기 스텝볼트(52)는 보강재(40)에 고정식으로 고정되 는 마운팅브래킷(54)에 너트(56)로 체결된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스텝볼트(52)는 차량의 상하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즉 화살표 "U" 및 "D"의 방향과 화살표 "F" 및 "R"의 방향으로 사전설정된 범위 이내에서 힌지(21)를 상대적으로 변위시키는 스팬(52A)을 가진다.
상기 힌지(21)의 선단부(21B)에 제공된 관통구멍(60)은 예컨대 화살표 U 및 D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장형 모양을 가져, 적어도 차량의 실질적인 상하방향으로의 상대적인 변위를 만드는 힌지(21)를 가능하게 한다. 관통구멍(60)이 증가된 길이를 갖도록 설계함으로써, 상기 선단부(21B)와 스팬(52A) 간의 갭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힌지(21)가 스텝볼트(52)에 대하여 차량의 상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변위되는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관통구멍(60)의 형상이 적절하게 설정된다면, 힌지(21)가 스텝볼트(52)에 대하여 차량의 상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변위되는 범위 내에서 클립(62)을 외측후드패널(22)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관통구멍(60)의 형상이 상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차폭 방향으로의 힌지(21)의 상대적인 변위를 허용하도록 차폭 방향으로의 증가된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더욱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21)는 예컨대 도어(18)의 도어프레임(46)의 후단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도어(18)의 도어프레임(46)보다 강성이 덜하여, 상기 힌지(21)가 도어(18)의 개방에 따라 용이하게 플라스틱처럼 변형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힌지(21)는 그 변형 스트로크를 확보하기 위한 예비 신장부로서 변형가능부(21A)를 구비한다. 상기 변형가능부(21A)는 힌지(21)의 저강성부를 휘게 하여 신장가능하게 되며, 상기 도어(18)가 전개됨에 따라 신장된다. 상기 변형가능부(21A)의 신장 정도와 휨 모양이 도면에 예시된 것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후드에어백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팽창 전의 에어백장치의 구조를 도 1 및 도 2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후드에어백장치(10)에 있어서, 도어(18)의 전개를 지지하기 위한 힌지(21)는 플로팅 상태로 내측후드패널(24)측에서 스텝볼트(52)에 연결되고, 사전설정된 범위, 즉 스팬(52A)과 관통구멍(60) 간의 갭 그리고 스팬(52A)의 길이 이내로 상대적으로 변위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어(18)가 내측후드패널(24)에 부착되어 외측후드패널(22)의 개구부(22A)를 덮게 되는 경우, 상기 힌지(21)는 화살표 F 및 R의 방향 그리고 화살표 U 및 D의 방향으로 스텝볼트(52)에 대한 상대적인 변위를 가능하게 하므로, 상기 개구부(22A)와 도어(18) 간의 여하한의 치수 편차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18)는 에어백(16) 및 인플레이터(26)를 포함하는 에어백모듈(14)의 하위-조립체가 아니기 때문에, 에어백모듈(14)의 하위-조립 시에 치수 편차를 고려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는 외측후드패널(22)의 개구부(22A) 및 상기 개구부(22A) 상에 제공되는 도어(18)의 의장성을 유지하므로, 차량의 외관을 개선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도어(18)는 에어백모듈(14)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도어(18)가 에어백모듈(14)과 결합되는 경우에 비해, 차량의 수직 진동으로 인한 상기 도어(18)의 수직 이동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는 수직 진동에 대한 대책으로서 도 어(18)의 플로팅 이동을 억제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후드에어백장치(10)의 도어(18)는 상기 도어(18)가 외측후드패널(22)의 개구부(22A)를 커버하는 위치에서 클립(62)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된다. 상기 클립(62)은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고, 외측후드패널(22)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은 경우 상기 개구부(22A)가 도어(18)에 의해 안정하게 커버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에어백이 저장되어 있는 동안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은 경우, 개구부(22A) 및 도어(18)의 의장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충돌체가 차량의 정면과 충돌할 때의 차량용 에어백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충돌체와의 충돌 시, 후드에어백장치(10)의 인플레이터(26)는 접힌 상태로 모듈케이스(28) 내에 수용되는 에어백(16) 안으로 대량의 가스를 공급하도록 작동한다. 그러면, 에어백(16)이 팽창하기 시작하여, 그 팽창의 힘으로 도어(18)가 전개된다. 그 후, 에어백(16)이 후드(12) 외부에서 전개되고, 충돌체와 접촉하여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에어백(16)이 팽창함에 따라 팽창력이 도어(18) 상에 가해진다. 상기 도어(18)는 팽창하는 에어백(16)의 힘에 의해 상향 푸시되고, 클립(62)들이 외측후드패널(22)로부터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분리됨으로써, 그 결과 도어(18)가 전개되게 된다. 이때, 힌지(21)는 관통구멍(60)의 하단부가 도 2의 (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텝볼트(52)에 도달할 때까지 화살표 U의 방향으로 상기 스텝볼트(52)에 대하여 변위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 멍(60)의 하단부가 스텝볼트(52)에 대해 레스팅되는 위치에서, 상기 힌지(21)의 선단부(21B)는 상기 스텝볼트(52)에 의하여 제자리에 유지된다. 상기 힌지(21)의 선단부(21B)는 보강부재(58)에 의해 보강되고, 상기 스텝볼트(52)가 보강재(40)에 고정되어, 상기 선단부(21B)의 홀딩 상태가 스텝볼트(52)에 의해 안정하게 지속되게 된다.
힌지(21)의 상대적인 변위의 범위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상기 클립(62)이 상대적인 변위 범위 내에서 외측후드패널(22)로부터 멀리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힌지(21)의 존재가 클립(62)의 분리를 방해하지 않게 되고, 이는 클립(62)이 외측후드패널(22)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되는 것을 보장한다(도 5 참조).
도어(18)가 팽창하는 에어백(16)의 힘에 의해 상향 푸시됨에 따라, 도어(18)보다 강성이 덜한 힌지(21)가 플라스틱처럼 변형되어 상기 도어(18)의 전개을 안정하게 지지하게 된다. 나아가, 도어(18)가 전개됨에 따라, 예비 신장부로서 변형-스트로크-확보-변형가능부(21A)가 신장된다. 이는 도어(18)가 외측후드패널(22)로부터 분리되는 모든 클립(62)에 의해 상향 푸시된 후, 상기 도어(18)를 힌지(21)를 중심으로 외측후드패널(22) 상에서 반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클립(62)은 확실한 방식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상기 도어(18)가 원활하게 전개될 수 있다(도어(18)의 전개시켜진 상태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 일단 도어(18)가 전개되어 개구부(22A)를 개방하게 되면, 에어백(16)은 개구부(22A)를 통해 후드(12)의 외부에 전개된다.
상기 스텝볼트(52)는 상술된 실시예에서 커넥터부재의 일례로 제공되었지만, 상기 커넥터부재가 스텝볼트(52)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힌지(21)가 플로팅 상태로 연결될 수 있는 한 여하한의 커넥터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도어(18) 또한 커버(48)를 도어프레임(46)에 고정시켜 형성되는 상술된 것으로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커버(48)를 사용하지 않고도 도어프레임(46) 자체가 외측후드패널(22)의 개구부(22A)를 커버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 및 기술하였지만,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한정된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계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Claims (10)

  1. 차량용 후드에어백장치에 있어서,
    후드(12)의 외측후드패널(22)과 내측후드패널(24) 사이에 배치되어, 인플레이터(26)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상기 외측후드패널(22)의 개구부(22A)를 통해 전개되는 에어백(16);
    상기 에어백(16)이 전개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개구부(22A)를 커버하고, 상기 에어백(16)이 전개로 팽창하는 경우에는 전개되면서 개방되는 도어(18); 및
    힌지(21)가 상기 내측후드패널(24)에 대한 사전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대적으로 변위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내측후드패널(24)측에서 커넥터부재(52)에 연결된 힌지(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에어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8)는 상기 도어(18)가 상기 개구부(22A)를 커버하는 위치에서 복수의 클립(62)에 의해 유지되되, 각각의 상기 클립(62)은 상기 외측후드패널(22)로부터 분리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에어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변위가능한 상기 힌지(21)의 범위는, 상기 클립(62)을 상기 외측 후드패널(22)로부터 분리시키도록 하는 방식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에어백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21)는 상기 도어(18)보다 강성이 덜하여, 상기 힌지(21)가 상기 도어(18)의 전개됨에 따라 용이하게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되고, 상기 힌지(21)에는 그 변형 스토크를 확보하기 위한 예비 신장부(spare extension part)로서 변형가능부(21A)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에어백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재(52)는 상기 내측후드패널(24)을 상기 외측후드패널(22)과 연결하는 상기 내측후드패널(24)에 고정되어 상기 후드(12)를 보강하는 보강재(40)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에어백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21)는 상기 커넥터부재(52)에 연결되는 보강선단부(21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에어백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재는 상기 힌지(21)를 사전설정된 범위 내에서 차량의 상하방 향과 길이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변위시키는 스텝볼트(stepped bolt; 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에어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21)의 선단부(21B)는, 상기 선단부(21B)와 상기 스텝볼트(52) 사이에 갭을 형성하면서 상기 스텝볼트(52)가 연장되는 관통구멍(6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에어백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60)은 상기 힌지(21)를 적어도 상기 차량의 실질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변위시키도록 하는 세장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에어백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텝볼트(52)는 상기 스텝볼트(52)의 축선이 수평면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배치되되, 상기 축선의 전방은 상기 축선의 후방 아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에어백장치.
KR1020087018190A 2006-01-25 2007-01-04 차량용 후드에어백장치 KR1009947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16506A JP4113894B2 (ja) 2006-01-25 2006-01-25 車両用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
JPJP-P-2006-00016506 2006-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0222A true KR20080080222A (ko) 2008-09-02
KR100994739B1 KR100994739B1 (ko) 2010-11-16

Family

ID=37882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8190A KR100994739B1 (ko) 2006-01-25 2007-01-04 차량용 후드에어백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156070A1 (ko)
EP (1) EP1976732A1 (ko)
JP (1) JP4113894B2 (ko)
KR (1) KR100994739B1 (ko)
CN (1) CN101374703B (ko)
WO (1) WO20070859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4328B2 (ja) * 2006-01-25 2008-08-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のフードへの組付け構造
DE102009016217B4 (de) * 2009-04-03 2017-02-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Fahrzeuginnenverkleidung mit einer Airbagabdeckung
JP5120436B2 (ja) * 2010-10-05 2013-01-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CN104039604B (zh) * 2011-11-11 2016-07-06 捷豹路虎有限公司 具有盖的冲击保护装置
GB2516699B (en) * 2013-07-30 2017-05-03 Jaguar Land Rover Ltd Airbag device for a vehicle bonnet
JP6301151B2 (ja) 2014-02-19 2018-03-28 株式会社Subaru エアバッグ装置
WO2019023522A1 (en) 2017-07-28 2019-01-31 Nuro, Inc. SYSTEM AND MECHANISM FOR INCENTIVE SALE OF PRODUCTS ON AUTONOMOUS VEHICLES
US11731580B2 (en) 2020-02-07 2023-08-22 Nuro,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multiple external airbags
US11554748B2 (en) * 2020-09-03 2023-01-17 Nuro,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n external airbag
CN115257619A (zh) * 2022-08-29 2022-11-01 宁波均胜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侧气帘安装结构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2053B2 (ja) 1993-10-25 2001-09-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式乗員保護装置
JP3245489B2 (ja) 1993-10-29 2002-01-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の防水構造
JP3309178B2 (ja) * 1998-01-19 2002-07-29 三光合成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ーバッグ装置
JP2003095044A (ja) * 2001-09-06 2003-04-03 Takata Corp 外面展開型エアバッグ装置
JP3791379B2 (ja) * 2001-10-02 2006-06-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
JP2005088634A (ja) * 2003-09-12 2005-04-07 Nishikawa Kasei Co Ltd エアバッグドア部付車両用内装品
US7243754B2 (en) * 2004-03-17 2007-07-17 Toyoda Gosei Co., Ltd. Pedestrian airbag system
FR2879147B1 (fr) * 2004-12-13 2007-03-30 Plastic Omnium Cie Capot avec trappe avant d'air-b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74703B (zh) 2011-03-02
CN101374703A (zh) 2009-02-25
US20100156070A1 (en) 2010-06-24
EP1976732A1 (en) 2008-10-08
JP2007196794A (ja) 2007-08-09
KR100994739B1 (ko) 2010-11-16
WO2007085920A1 (en) 2007-08-02
JP4113894B2 (ja) 200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4739B1 (ko) 차량용 후드에어백장치
JP4134328B2 (ja) 車両用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のフードへの組付け構造
JP6375484B2 (ja) 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
EP3012161B1 (en) Pedestrian protection aribag device
JP4308643B2 (ja)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2356136A (ja) 車両乗員保護装置
JP5522383B2 (ja) 車両の内装構造
JP4946664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5096856B2 (ja) エアバッグのカバー体及びエアバッグ装置
KR101637675B1 (ko) 보행자용 에어백 구조
JP5044229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190143152A (ko) 차량용 무릎 에어백 장치의 장착 구조체
JP6602831B2 (ja) 車両用内装部材
JP2005280556A (ja) フードパネル
JP2006088923A (ja) エアバッグ及び非乗員保護装置
JP4207823B2 (ja) フードパネル
JP2007168585A (ja) 車両用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
JP5511234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5241646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組立方法
JP2005262954A (ja) フードパネル
JP2006096290A (ja) 歩行者用エアバッグ装置
JPH08258653A (ja) 自動車の助手席側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