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9747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9747A
KR20080079747A KR1020070020069A KR20070020069A KR20080079747A KR 20080079747 A KR20080079747 A KR 20080079747A KR 1020070020069 A KR1020070020069 A KR 1020070020069A KR 20070020069 A KR20070020069 A KR 20070020069A KR 20080079747 A KR20080079747 A KR 20080079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ght
display panel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9224B1 (ko
Inventor
정호영
정인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0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9224B1/ko
Priority to CN201110281424.6A priority patent/CN102323691B/zh
Priority to CNA2007101875301A priority patent/CN101256288A/zh
Priority to US11/987,534 priority patent/US8363178B2/en
Publication of KR20080079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9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9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9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패널과 결합되는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새로운 형태의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외부 광을 통과시키는 창(window), 상기 창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외부 광이 상기 창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창의 일면과 마주하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과 합착된 제 2 기판, 상기 제 2 기판과 마주하는 상기 제 1 기판 상에 형성된 표시 소자, 및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의 테두리를 감싸는 프레임(fram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창에 표시 패널을 배치하여 외부 광을 광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전력 효율이 뛰어나며 상업적 이용 가능이 높은 장점이 있다.
창, 표시 패널, 자연 광원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표시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로서,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로서,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로서,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예로서,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 보조 광원의 광량을 조절하여 표시 패널로 입사되는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에 따른 활용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에 따른 활용 방법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6 실시예로서,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표시 장치 101 : 창
150 : 표시 패널 191 : 사용자
본 발명은 새로운 형태의 표시 장치를 제안한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근래에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전기발광 표시 장치(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 여러 가지 평판 표시 장치가 연구되어 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는 액정(Liquid Crystal)을 이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평판 표시 장치의 하나로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얇고 가벼우며, 낮은 소비전력 및 낮은 구동전압을 갖는 장점으로 산업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두 기판 사이에 액정이 개재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경우, 두 기판 사이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액정을 제어하여 소정의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스스로 빛을 발하지 못하므로, 외부에서 빛을 조사하여 주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액정 표시 장치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은 전력 소모가 큰 소자이다.
최근에는, 소비자의 대형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가 커짐에 따라 기판 사이즈 및 백라이트 유닛의 대형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이 대형화되기 위해서는 램프의 대형화, 램프의 점등 시간의 지연, 전력 소모의 증가와 같은 백라이트 유닛 제작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여야 한다.
그런데, 대형 백라이트 유닛에 대한 연구 개발비, 투자비에 대한 부담이 가중되고 있으나 상기 백라이트 유닛 제작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표시 패널과 결합되는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새로운 형태의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 1 실시예는, 외부 광을 통과시키는 창(window); 상기 창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외부 광이 상기 창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창의 일면과 마주하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과 합착된 제 2 기판; 상기 제 2 기판 과 마주하는 상기 제 1 기판 상에 형성된 표시 소자; 및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의 테두리를 감싸는 프레임(fram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 2 실시예는,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상기 제 1 기판 상에 형성되며, 교차된 영역을 화소 영역으로 하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 상기 게이트 배선 및 상기 데이터 배선과 연결되며 상기 화소 영역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화소 영역에 형성된 화소 전극;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의 테두리만을 감싸는 프레임(frame);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 1 기판으로 입사되는 제 1 광의 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센서와 연결되어 제어되며, 상기 제 1 기판으로 제 2 광을 입사시키는 보조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채광을 위한 창(window)(101), 상기 창(101)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채광된 광이 상기 창(101)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표시 패널(150)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50)은 상기 창(101)의 일면과 마주하는 제 1 기판, 상기 제 2 기판과 합착된 제 2 기판,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 및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의 테두리를 감싸는 프레임(frame)(155)을 포 함한다.
상기 '창'이라는 용어는 아래 기재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창'은 목적, 형상, 구조, 위치에 따라 그 분류가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상기 '창'은 이를 경계로 일측에서 다른 측을 관찰하거나 건물의 채광, 환기, 장식 등을 위하여 설치하는 건물의 구조물이다.
상기 '창;은 개폐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창'은 일정 형상으로 건물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창'의 형성 위치는 건물의 천장, 건물의 벽면, 건물의 바닥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창'을 이루는 재질은 여러가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포함되는 '창'은 광이 투과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창'을 이루는 재질은 유리,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창'은 단일 창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두 개의 창이 연속으로 배치되어 있는 이중 창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창(101)의 일면에 배치된 상기 표시 패널(150)은 상기 창(101)을 통하여 입사되는 광을 받아들인다.
상기 입사되는 광은 태양(160)과 같은 자연광일 수 있다.
상기 입사되는 광은 가로등, 실내 조명과 같은 인조광일 수 있다.
상기 입사되는 광의 주 목적은 상기 표시 패널(150)을 위한 것이 아닐 수 있으나, 상기 자연광 또는 인조광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 패널(150)은 백라이트 대신 화상을 표시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광원을 구비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패널(150)은 주 광원으로서 별도의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 표시 패널(150)은 외부에서 자연적으로 발생되거나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는 자연광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 패널(150)은 외부에서 자연적으로 발생되거나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는 인조광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 패널(150)은 화상이 표시되는 액티브 영역(active area, AA)과 상기 액티브 영역 주변의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 액티브 영역(non-active area, NA)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표시 패널(150)은 수광 소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표시 패널(150)에 광을 제공하는 광원은 자연 광원 또는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인조 광원을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패널(150)에 광을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백라이트 유닛을 상기 표시 패널(150)에 장착할 필요도 없으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구동하기 위하여 전력을 소비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패널(150)은 두께가 얇고 무게가 가볍다. 또한, 구동회로 유닛도 단순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패널(150)은 일반 건물에 구비되어 있는 창(101)에 배치시켜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전시회장 또는 박람회장에서 일반인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시회장 또는 박람회장에서 사용하는 표시 장치는 일정 시간 동안 계속하여 화상을 제공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별도의 백라이트 유닛의 구동을 위한 전력 소모가 필요 없으므로 비용효율이 뛰어난 장점이 가진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건물 등의 방에서 필요시 창에 배치시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건물 등의 창에 배치시켜, 낮에는 자연 광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화상을 관찰할 수 있고 밤에는 실내 조명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화상을 관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옥외 광고판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최근에는, 표시 패널(150)이 대형화되어 감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도 대형화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램프의 대형화, 램프의 점등 시간의 지연, 전력 소모의 증가와 같은 백라이트 유닛 제작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표시 패널(150)이 대형화된다 하더라도 그에 맞추어 백라이트 유닛을 개발할 필요가 없으므로 연구 개발비를 절감할 수 있고 표시 장치의 대형화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창(101)과 표시 패널(150)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50)은 상기 창(101)의 일면에 배치된 제 1 기판(110), 상기 제 1 기판(110)과 합착된 제 2 기판(120), 상기 제 1 기판(110) 및 상기 제 2 기판(120)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13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기판(110)의 일면에는 제 1 편광 방향을 가지는 제 1 편광 필름(151)이 배치된다.
상기 제 2 기판(120)의 일면에는 제 2 편광 방향을 가지는 제 2 편광 필름(152)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편광 방향과 제 2 편광 방향은 동일한 방향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방향의 방향일 수도 있다.
상기 제 1 기판(110), 상기 제 2 기판(120), 상기 제 1 편광 필름(151) 및 상기 제 2 편광 필름(152)의 둘레는 프레임(155)이 감싸고 있다.
상기 프레임(155)은 상기 표시 패널(150)의 비 액티브 영역(NA)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55)은 제 1 및 제 2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프레임은 서로 체결되며, 상기 표시 패널(150)을 단단히 고정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표시 패널(150)은 상기 창(101)의 일면에 배치되어야 하므로, 상기 표시 패널(150)은 상기 창(101)에 안정적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재는 상기 표시 패널(150)의 프레임(155)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창(101)은 상기 표시 패널(150)을 배치시키기 위한 보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부재와 상기 부재는 서로 체결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보조 부재와 상기 부재는 서로 체결되는 구조가 아닐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재는 점착 부재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부재는 걸이 구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는 광학 필름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학 필름은 프리즘 필름, 확산 필름 및 광효율향상 필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110)과 상기 프레임(155) 사이에는 보호 필름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표시 패널(150)을 외부의 충격, 이물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 2 기판(120)과 상기 프레임(155) 사이에는 상기 광학 필름 또는 상기 보호 필름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표시 패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패널(150)은 상기 액티브 영역(AA)에 다수의 단위 화소(unit pixel, P)을 포함하며, 도 3은 하나의 단위 화소(P)를 대표로 보여주고 있다.
상기 단위 화소(P)들은 적색 화소(red pixel, R), 녹색 화소(green pixel, G), 청색 화소(blue pixel, 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기판(110)은 다수의 게이트 배선들과 다수의 데이터 배선들이 서로 교차하며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배선과 상기 데이터 배선이 교차하며 형성하는 영역은 상기 단위 화소(P)를 이룬다.
상기 단위 화소(P)는 적어도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연결된 화소 전극(119)을 포함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상기 게이트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게이트 전극(111), 상기 게이트 전극(111) 상부에 형성된 반도체 패턴(114), 상기 반도체 패턴(114)과 상기 게이트 전극(111) 사이에 개재된 게이트 절연막(113), 상기 반도체 패턴(114)의 일측과 접촉하며 상기 데이터 배선과 연결된 소스 전극(115), 상기 반도체 패턴(114)의 타측과 접촉하며 상기 소스 전극(115)과 이격된 드레인 전극(116)을 포함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덮도록 상기 제 1 기판(110) 전면에 보호막(117)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호막(117)은 상기 드레인 전극(116)의 일부를 노출하는 콘택홀(1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 화소(P)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 전극(119)을 더 포함한다.
상기 화소 전극(119)은 투명한 도전성 전극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명한 도전성 전극 물질은 산화 인듐 주석(indium tin oxide, ITO), 산화 아연 주석(indium zinc oxide, IZO)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1 기판(110)과 마주하는 제 2 기판(120)은 상기 적색, 녹색, 청색 화소들과 각각 대응하여 적색, 녹색, 청색의 컬러 필터 패턴(124)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기판(120)은 상기 게이트 배선, 상기 데이터 배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대응하는 영역에 광 차단 패턴(12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배선, 상기 데이터 배선,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등은 실질적으로 광이 투과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들 주변에서 빛샘 등을 발생시켜 화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 차단 패턴(122)은 빛샘 등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광 차단 패턴(122)은 금속, 금속 산화물, 유기물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120) 전면에는 공통 전극(126)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기판(110) 상의 상기 화소 전극(119)과 상기 제 2 기판(120) 상의 공통 전극(126) 사이에서 전계가 발생된다.
상기 제 1 기판(110)과 상기 제 2 기판(120)의 외곽의 비 액티브 영역(NA) 둘레에는 봉지재(sealant)(131)가 형성되며, 상기 봉지재(131)에 의해 양 기판이 합착된다.
상기 제 1 기판(110) 및 상기 제 2 기판(120) 사이에는 액정층(130)이 개재 된다.
상기 제 1 기판(110)의 외면에는 제 1 편광 필름(151)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기판(120)의 외면에는 제 2 편광 필름(152)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편광 필름(151)의 제 1 편광 방향과 상기 제 2 편광 필름(152)의 제 2 편광 방향은 서로 일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편광 방향과 상기 제 2 편광 방향은 수직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편광 방향과 상기 제 2 편광 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액정층(130)의 액정 분자들은 상기 화소 전극(119)과 상기 공통 전극(126)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계에 의해 배열이 바뀐다. 상기 액정 분자들의 배열에 따라 상기 표시 패널(150)로 입사되어 통과하는 편광의 투과율이 변하게 된다.
상기 표시 패널(150)의 비 액티브 영역(NA)을 감싸는 프레임(155)은 상기 표시 패널(150)을 수납, 고정 및 지지한다.
상기 프레임(155)은 제 1 및 제 2 프레임(155a, 155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155)은 상기 제 1 기판(110)의 테두리를 감싸는 제 1 프레임(155a)과, 상기 제 2 기판(120)의 테두리를 감싸며 상기 제 1 프레임(155a)과 체결되는 제 2 프레임(155b)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 1 프레임(155a)은 상기 제 1 편광 필름(151)을 포함하여 상기 제 1 기판(110)을 수납하며 상기 제 2 프레임(155b)은 상기 제 2 기판(120)을 누르며 상기 제 1 프레임(155a)과 체결된다.
상기 프레임(155)의 내측 높이는 상기 표시 패널(150)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55)의 내측 높이는 상기 제 1 기판(110)이 올려지는 상기 제 1 프레임(155a)의 안착면으로부터 상기 제 2 기판(120)을 누르는 상기 제 2 프레임(155b)의 안착면까지의 높이를 말한다.
상기 제 1 프레임(155a)은 상기 창(101)의 일면에 부착되기 위한 부재(1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부재(157)는 점착 부재일 수 있다. 상기 부재(157)는 걸이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제 1 기판(110)으로 입사되는 제 1 광(163)은 상기 창(101)으로부터 입사되는 자연광 또는 인조광일 수 있다.
상기 자연광은 태양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창에 부착하여 상기 창(101)으로 입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므로 별도의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경량, 박형의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을 구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표시 장치의 전력 소비를 상당히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창이 있는 건물 내부에 표시 장치를 볼 때 상기 창을 통하여 입사되는 광은 화질을 저하시키는 요소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창이 있는 건물 내부에서 상기 창에 표시 장치를 걸어 상기 창으로 입사되는 광을 백라이트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표시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표시 패널은 입사되는 광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모든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표시 패널(150)은 화소 전극 및 공통 전극이 한 기판에 형성되는 횡전계 모드(in plane switching mode, IPS mode) 액정 표시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패널(150)은 제 1 방향에서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켜 화상을 표시하는 투과형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 패널(150)은 상기 제 1 방향에서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킬 뿐 아니라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서 입사되는 광을 패널 내부에서 반사시키는 반사투과형 표시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배선들과 연결되어 상기 게이트 배선들에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부, 상기 데이터 배선들과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배선들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 회로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부 및 상기 데이터 구동 회로부는 상기 제 1 기판(110)의 비 액티브 영역(N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로서,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100)는 창(101)과, 상기 창(101)의 일면에 배치된 표시 패널(150)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100)는 보조 광원(16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광원(161)은 상기 창(101)의 타면에 배치된다.
상기 보조 광원(161)은 상기 창(101)의 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창(101)으로 입사되는 자연광 예를 들어, 태양광과 같은 제 1 광(163)은 상기 창(101)을 통과하여 상기 표시 패널(150)로 입사된다.
상기 보조 광원(161)으로부터 발생된 제 2 광(165)은 상기 창(101)을 통과하여 상기 표시 패널(150)로 입사된다.
상기 제 1 광(163) 및 제 2 광(165)은 상기 창(101)을 통하여 상기 표시 패널(150)로 입사되고, 입사된 광은 상기 표시 패널(150)을 투과하면서 투과율이 변화되어 스크린에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보조 광원(161)은 상기 자연 광원 예를 들어, 태양(160)의 빛이 시간에 따라 일정하지 않을 수 있는 점을 보완하여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연 광원 예를 들어, 태양(160)은 새벽, 오전, 오후, 저녁, 밤 시간대에 따라 광량이 다르다. 또한, 상기 태양(160)은 구름에 의해 가려지거나 대기의 상태에 따라 광량이 시시각각 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태양(160)은 계절에 따라 동일 시간대라 할지라도 그 광량이 다르다. 또한, 상기 태양(160)은 지역에 따라서 동일 시간대라 할지라도 그 광량이 다르다. 또한, 상기 태양(160)은 상기 표시 장치(100)가 설치된 장소의 주변 여건 예를 들어, 빌딩 등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100)로 입사되는 광량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보조 광원(161)의 제 1 광(163)은 상기 제 2 광(165)으로도 충분할 경우 상기 표시 패널(150)로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제 1 광(163)은 상기 제 2 광(165)이 불충분할 경우 상기 표시 패널(15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광원(161)은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보조 광원(161)은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낮의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는 외부 광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며, 상기 화상은 실내 즉, 상기 외부 광이 조사되는 방향과 반대 편에서 볼 수 있다.
밤의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는 보조 광원(161)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며,상기 화상은 상기 외부 광과 반대편으로 입사되는 실내에서 볼 수 있다.
밤의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는 실내에서 사용하는 인조 광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며, 상기 화상은 실외 즉, 상기 인조 광이 조사되는 방향과 반대 편에서 보여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상은 실내에서 보던 화상이 반전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 실시예로서,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100)는 자연 광원 예를 들어, 태양(160)으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창(101)과, 상기 창(101)의 일면에 배치된 표시 패널(150)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100)는 보조 광원(16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광원(161)은 상기 창(101)의 타면에 배치된다.
상기 보조 광원(161)은 상기 창(101)의 타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100)는 상기 자연 광원으로부터 발생되어 상기 표시 패널(150)로 입사되는 제 1 광(163)의 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sensor)(1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174)는 상기 보조 광원(161)으로부터 발생되는 제 2 광(165)의 광량도 측정할 수도 있다.
상기 센서(174)는 상기 표시 패널(150)의 일측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센서(174)는 상기 창(101)의 일면 또는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174)는 상기 프레임(155)에 마련된 공간에 형성된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센서(174)와 상기 보조 광원(161)은 서로 연결부(173)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센서(174)는 상기 제 1 광(163)의 광량을 측정하여 상기 보조 광원(161)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광(163)의 광량이 감소될 경우 상기 센서(174)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보조 광원(161)의 제 2 광(165)의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표시 패널(150)로 입사되는 상기 제 1 광(163)과 상기 제 2 광(165)의 광량의 합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73)는 전기 배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73)는 제어부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스위칭 부재, 신호 변환 부재 등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173)는 상기 센서(174)와 상기 보조 광원(161)을 전기적으로 연 결하며, 상기 연결부(173)는 상기 센서(174)로부터 상기 창(101)으로 입사되는 광량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기준과 비교하여 상기 보조 광원(161)의 광의 세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조 광원(161)은 사용자에 의해 전원을 끌 수도 있고 켤 수도 있다.
상기 센서(174)는 사용자에 의해 전원을 끌 수도 있고 켤 수도 있다.
상기 창(101)으로 입사되는 자연광 예를 들어, 태양광과 같은 제 1 광(163)은 상기 창(101)을 통과하여 상기 표시 패널(150)로 입사된다.
상기 보조 광원(161)으로부터 발생된 제 2 광(165)은 상기 창(101)을 통과하여 상기 표시 패널(150)로 입사된다.
상기 제 1 광(163) 및 제 2 광(165)은 상기 창(101)을 통하여 상기 표시 패널(150)로 입사되고, 입사된 광은 상기 표시 패널(150)을 투과하면서 투과율이 변화되어 스크린에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보조 광원(161)은 상기 자연 광원 예를 들어, 태양(160)의 조도가 시간에 따라 일정하지 않을 수 있는 점을 보완하여 줄 수 있다. 즉, 상기 표시 패널(150)로 입사되는 제 1 광(163) 및 제 2 광(165)의 광량의 합은 거의 일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보조 광원(161)은 상기 제 2 광(165)의 광량을 측정할 수 있는 상기 센서(174)에 의해 제어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로서,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제 4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제 1 내지 제 3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를 참조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100)는 창(101)과, 상기 창(101)의 일면에 배치된 표시 패널(150)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110)는 보조 광원(18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광원(181)은 상기 표시 패널(150)로 광을 직접 입사하기 위하여 상기 창(101)을 기준으로 상기 표시 패널(150)이 배치된 측에 배치된다.
상기 창(101), 상기 표시 패널(150), 상기 보조 광원(181)의 배치 순서를 보면, 상기 보조 광원(181), 상기 표시 패널(150), 상기 창(101)의 순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창(101)으로 자연 광원 예를 들어 태양(160)으로부터 제 1 광(163)이 상기 창(101)을 통하여 상기 표시 패널(150)로 입사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광원(181)으로부터 발생된 제 2 광(185)은 상기 표시 패널(150)로 직접 입사된다.
상기 제 1 광(163)은 상기 창(101)을 통하여 상기 표시 패널(150)로 입사하고, 상기 제 2 광(185)은 상기 표시 패널(150)로 직접 입사된다. 상기 제 1 광(163)은 상기 표시 패널(150)을 투과하면서 광 투과율이 변화되어 스크린에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 2 광(185)은 상기 표시 패널(150)로 입사되어 투과 및 반사되면서 광 투과율이 변화되어 스크린에 화상을 표시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시 패널(150)의 액티브 영역(AA)에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 패널(150)의 액티브 영역(AA)은 다수의 단위 화소(P)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수의 단위 화소(P)들은 게이트 배선들과 데이터 배선들이 교차하며 정의하고, 상기 단위 화소는(P)는 상기 게이트 배선 및 상기 데이터 배선과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 전극(119)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위 화소(P) 영역의 일부에는 반사 전극(12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화소 전극(119)은 투명한 도전성 전극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반사 전극(129)은 불투명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예로서,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제 5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제 1 내지 제 4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를 참조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100)는 창(101)과, 상기 창(101)의 일면에 배치된 표시 패널(150)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100)는 보조 광원(18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광원(181)은 상기 표시 패널(150)로 광을 직접 입사하기 위하여 상기 창(101)을 기준으로 상기 표시 패널(150)이 배치된 측에 배치된다.
상기 표시 장치(150)는 상기 자연 광원 예를 들어, 태양(160)으로부터 발생되어 상기 표시 패널(150)로 입사되는 제 1 광(163)의 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sensor)(1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184)는 상기 보조 광원(181)으로부터 발생되는 제 2 광(185)의 광량을 측정할 수도 있다.
상기 센서(184)는 상기 제 1 광(163)의 광량을 측정하는 제 1 센서(184)와 상기 제 2 광(185)의 광량을 측정하는 제 2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184)는 상기 표시 패널(150)의 일측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센서(184)는 상기 창(101)의 일면 또는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184)는 상기 프레임(155)에 마련된 공간에 형성된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센서(184)와 상기 보조 광원(181)은 서로 연결부(183)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센서(184)는 상기 제 1 광(163)의 광량을 측정하여 상기 보조 광원(181)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광(163)의 광량이 감소될 경우 상기 센서(184)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보조 광원(181)의 제 2 광(185)의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표시 패널(150)로 입사되는 상기 제 1 광(163)과 상기 제 2 광(185)의 광량의 합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83)는 전기 배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183)는 제어부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스위칭 부재, 신호 변환 부재 등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183)는 상기 센서(184)와 상기 보조 광원(18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연결부(183)는 상기 센서(184)로부터 상기 창(101)으로 입사되는 광량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기준과 비교하여 상기 보조 광원(181)의 광의 세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조 광원(181)은 사용자에 의해 전원을 끌 수도 있고 켤 수도 있다.
상기 센서(184)는 사용자에 의해 전원을 끌 수도 있고 켤 수도 있다.
상기 창(101), 상기 표시 패널(150), 상기 보조 광원(181)의 배치 순서를 보면, 상기 보조 광원(181), 상기 표시 패널(150), 상기 창(101)의 순서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창(101)으로 자연 광원 예를 들어, 태양(160)으로부터 제 1 광(163)이 상기 창(101)을 통하여 상기 표시 패널(150)로 입사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광원(181)으로부터 발생된 제 2 광(185)은 상기 표시 패널(150)로 직접 입사된다.
상기 제 1 광(163)은 상기 창(101)을 통하여 상기 표시 패널(150)로 입사하고, 상기 제 2 광(185)은 상기 표시 패널(150)로 직접 입사된다. 상기 제 1 광(163)은 상기 표시 패널(150)을 투과하면서 광 투과율이 변화되어 스크린에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 2 광(185)은 상기 표시 패널(150)로 입사되어 투과 및 반사되면서 광 투과율이 변화되어 스크린에 화상을 표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 보조 광원의 광량을 조절하여 표시 패널로 입사되는 광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보조 광원(181)은 상기 자연 광원 예를 들어, 태양(160)의 조도가 시간에 따라 일정하지 않을 수 있는 점을 보완하여, 상기 표시 패널(150)로 입사되는 광량이 외부 조건에 따른 태양(160)의 조도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래프에서, X축은 1일의 시간대를 나타내며, Y축은 X축의 시간대에 따른 조도량 즉, 상기 표시 패널(150)로 입사되는 광량을 측정한 것이다.
상기 표시 패널(150)로 창(101)을 통하여 입사되는 상기 자연 광원 예를 들어, 태양(160)은 새벽, 오전, 오후, 저녁, 밤 시간대에 따라 광량이 다르다. 또한, 상기 태양(160)은 구름에 의해 가려지거나 대기의 상태에 따라 광량이 시시각각 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태양(160)은 계절에 따라 동일 시간대라 할지라도 그 광량이 다르다. 또한, 상기 태양(160)은 지역에 따라서 동일 시간대라 할지라도 그 광량이 다르다. 또한, 상기 태양(160)은 상기 표시 장치(100)가 설치된 장소의 주변 여건 예를 들어, 빌딩 등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100)로 입사되는 광량이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 광원(181)의 제 1 광(163)은 상기 제 2 광(185)으로도 충분할 경우 상기 표시 패널(150)로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제 1 광(163)은 상기 제 2 광(185)이 불충분할 경우 상기 표시 패널(15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광원(181)은 사용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보조 광원(181)은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곡선 A를 보면, 오전 시간대 예를 들어, 약 8시에서 오후 시간대 예를 들어, 약 14시가 되면 조도가 점점 증가하다가 저녁 시간대 예를 들어, 약 22시가 되면 조도는 급격히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1일 동안 상기 곡선 A를 따라 상기 표시 패널로 입사되는 제 1 광의 광량이 변화하게 된다.
곡선 C는 상기 표시 패널로 입사되는 전체 광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보여주는 곡선이다.
곡선 B는 곡선 C와 같이 일정한 광량이 상기 표시 패널로 입사될 수 있도록 곡선 A의 변화량을 보상한다.
즉, 상기 곡선 A의 조도값과 상기 곡선 B의 조도값의 합은 곡선 C가 된다.
따라서, 곡선 B를 보면, 오전 시간대에서 오후 시간대로 갈수록 점점 감소하다가 저녁 시간대가 되면 조도는 급격히 상승하게 된다.
상기 보조 광원의 광량 변화를 나타내는 상기 곡선 B는 상기 자연 광원의 광량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 A에 의해 결정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용 환경에 따른 활용 방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도 9a는 낮과 같이 일조량이 충분할 경우 실내에서 표시 장치(100)를 관찰하는 것을 보여준다.
여기서, 상기 표시 장치(100)는 태양(160)을 광원으로 한다. 상기 표시 장치(100)는 상기 태양(160)으로부터 광을 받아 사용자(191)에게 화상(193)을 제공한다.
도 9b는 밤과 같이 일조량이 거의 없을 경우 실외에서 상기 표시 장치를 관찰하는 것을 보여준다.
여기서, 상기 표시 장치(100)는 실내 광원 또는 보조 광원 등의 인조 광원(194)을 광원으로 한다. 상기 표시 장치(100)는 상기 실내 광원 또는 상기 보조 광원 등의 상기 인조 광원(194)으로부터 광을 받아 사용자(191)에게 화상(193)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낮의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는 실외 광을 이용하여 화상(193)을 표시하며, 상기 화상(193)은 실내 즉, 상기 실외 광이 조사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서 볼 수 있다.
밤의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는 실내에서 사용하는 인조 광원(194)을 이용하여 화상(193)을 표시하며, 상기 화상(193)은 실외 즉, 상기 인조 광원(194)으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에서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상(193)은 실내에서 보던 화상(193)이 반전되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밤의 경우, 상기 표시 장치(100)는 실외에 설치된 인조 광원을 이용하여 화상(193)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화상은 실내에서 볼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서,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앞서 언급한 제 1 내지 제 5 실시예들 및 본 발명에서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150)은 상기 창(101)의 일면에 배치된다.
상기 표시 패널(150)은 제 1 기판(110), 제 2 기판(120) 및 상기 제 1 기판(110)과 제 2 기판(120) 사이의 액정층(13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기판(110) 및 상기 제 2 기판(120)은 유연한 기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표시 패널(150)은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이룰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은 접어서 보관하거나 이동할 수 있으며 휴대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은 무게가 가벼울 뿐만 아니라 두께가 얇아 상기 창에 부착이 용이하며 안정성이 뛰어나고 인테리어 효과를 갖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는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이 창에 부착된 상태로 접어 보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다시 펼쳐서 표시 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을 플렉서블 표시 장치로 제작시에, 미적인 면을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용적인 면에서도 뛰어나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6 실시예로서,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창(101)은 광이 투과되는 영역(transmission area, TA)과 광이 차단되는 영역(blocking area, B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 패널(150)은 상기 창(101)의 광이 투과되는 영역(TA)에 배치된다.
상기 표시 패널이 부착되지 않은 영역은 외부 광이 투과되지 못하도록 처리되어 있다. 상기 광이 차단되는 영역(BA)은 실내에서 상기 표시 패널(150)을 볼 때 화면이 더욱 선명하게 보이도록 한다.
상기 창(101)의 광이 투과되는 영역(TA)에 배치된 표시 패널(150)은 외부 광원 예를 들어, 태양(160)을 화상 표시를 위한 광원으로 사용한다. 상기 태양 광은 상기 창을 투과하여 상기 표시 패널로 입사되어 화상을 표시한다.
상기 제 6 실시예는 앞서 언급한 제 1 내지 제 5 실시예들 및 본 발명에서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창에 표시 패널을 배치하여 외부 광을 광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전력 효율이 뛰어난 제 1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이 없는 표시 장치로써 표시 패널의 두께가 얇고 무게가 가벼우며 구동회로 유닛도 단순한 제 2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의 무게가 가벼워 창에 부착이 용이하며 안정성이 뛰어나고 인테리어 효과를 갖는 제 3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표시 패널이 대형화된다 하더라도 그에 맞추어 백라이트 유닛을 개발할 필요가 없으므로 연구 개발비를 절감할 수 있고 표시 장치의 대형화가 용이한 제 4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 효율이 뛰어나고 공간 활용이 뛰어나 상업적 이용 가능이 높다.

Claims (28)

  1. 제 1 광을 통과시키는 창(window); 및
    상기 창의 일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광이 상기 창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창의 일면과 마주하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과 합착된 제 2 기판;
    상기 제 2 기판과 마주하는 상기 제 1 기판 상에 형성된 표시 소자; 및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의 테두리를 감싸는 프레임(fram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표시 패널이 상기 창의 일면에 배치되기 위한 부착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의 타면에 배치되며, 상기 창을 통하여 상기 표시 패널로 제 2 광을 입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광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로 입사되는 상기 제 1 광의 광량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제 1 광의 광량과 상기 제 2광의 광량의 합이 일정하도록 상기 보조 광원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으로 제 2 광을 입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광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로 입사되는 상기 제 1 광의 광량을 측정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창 사이에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도광판 중 적어도 하나는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소자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된 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소자는 반사 전극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은
    컬러 필터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
    상기 제 1 기판의 외측면에 배치된 제 1 편광 필름; 및
    상기 제 2 기판의 외측면에 배치된 제 2 편광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 1 기판의 테두리를 감싸는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2 기판의 테두리를 감싸며 상기 제 1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 2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이 올려지는 상기 프레임의 안착면으로부터 상기 제 2 기판을 누르는 상기 프레임의 안착면까지의 높이는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창의 면적은 상기 표시 패널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중 적어도 하나는 플렉서블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주변에는 광 차단 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상기 제 1 기판 상에 형성되며, 교차된 영역을 화소 영역으로 하는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
    상기 게이트 배선 및 상기 데이터 배선과 연결되며 상기 화소 영역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화소 영역에 형성된 화소 전극;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의 테두리만을 감싸는 프레임(frame);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 1 기판으로 입사되는 제 1 광의 광량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 및
    상기 센서와 연결되어 제어되며, 상기 제 1 기판으로 제 2 광을 입사시키는 보조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광의 광량을 측정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은 상기 화소 영역의 일부에 형성되며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 전극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은,
    상기 화소 영역의 경계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 광 차단 패턴; 및
    상기 화소 영역과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 컬러 필터 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의 외측면에 배치된 제 1 편광 필름; 및
    상기 제 2 기판의 외측면에 배치된 제 2 편광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3.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 1 기판의 테두리를 감싸는 제 1 프레임과;
    상기 제 2 기판의 테두리를 감싸며 상기 제 1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 2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이 올려지는 상기 제 1 프레임의 안착면으로부터 상기 제 2 기판을 누르는 상기 제 2 프레임의 안착면까지의 높이는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5.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제 1 광을 통과시키는 창(window)의 일면에 배치되기 위한 부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6.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창의 면적은 상기 표시 패널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7.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중 적어도 하나는 플렉서블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8.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주변에는 광 차단 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070020069A 2007-02-28 2007-02-28 표시 장치 KR101279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069A KR101279224B1 (ko) 2007-02-28 2007-02-28 표시 장치
CN201110281424.6A CN102323691B (zh) 2007-02-28 2007-11-21 显示器件
CNA2007101875301A CN101256288A (zh) 2007-02-28 2007-11-21 显示器件
US11/987,534 US8363178B2 (en) 2007-02-28 2007-11-30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0069A KR101279224B1 (ko) 2007-02-28 2007-02-28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9747A true KR20080079747A (ko) 2008-09-02
KR101279224B1 KR101279224B1 (ko) 2013-06-26

Family

ID=39714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069A KR101279224B1 (ko) 2007-02-28 2007-02-28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63178B2 (ko)
KR (1) KR101279224B1 (ko)
CN (2) CN10232369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9262A (ko) * 2013-12-31 2015-07-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2964164A (zh) * 2021-03-02 2021-06-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校准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电子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49351B2 (en) * 2008-12-08 2012-04-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assive and hybrid daylight-coupled backlights for sunlight viewable displays
US8339542B2 (en) * 2009-06-26 2012-12-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assive and hybrid daylight-coupled N-stack and collapsible backlights for sunlight viewable displays
US8228463B2 (en) * 2009-11-18 2012-07-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assive daylight-coupled backlight with turning film having prisms with chaos for sunlight viewable displays
WO2018200740A2 (en) 2017-04-26 2018-11-01 View, Inc. Tintable window system for building services
US10037947B1 (en) * 2010-06-29 2018-07-31 Cooledge Lighting Inc. Electronic devices with yielding substrates
US20120086877A1 (en) * 2010-10-06 2012-04-12 Kaoh Andy K F Sensor-activated still and video image display
US8546984B2 (en) * 2010-11-03 2013-10-01 Nidec Motor Corporation Pump motor control assembly
US8384852B2 (en) 2010-11-22 2013-02-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ybrid daylight-coupled backlights for sunlight viewable displays
CN103017002A (zh) * 2011-09-21 2013-04-03 宏碁股份有限公司 背光模块及液晶显示装置
US20140043565A1 (en) * 2012-08-10 2014-02-13 Macrodisplay Inc Sunlight readable lcd devices employing directional light guiding film
KR101266677B1 (ko) * 2013-01-04 2013-05-28 강화석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4143297A (zh) * 2013-05-07 2014-11-12 冠捷投资有限公司 可显示具有lomo风格的画面的多媒体显示器
CN103415105B (zh) * 2013-07-02 2016-05-11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背光模组、补偿显示器背光源的方法及显示器
CN105527745A (zh) * 2016-02-02 2016-04-27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US11747696B2 (en) 2017-04-26 2023-09-05 View, Inc. Tandem vision window and media display
US11892738B2 (en) 2017-04-26 2024-02-06 View, Inc. Tandem vision window and media display
US11747698B2 (en) 2017-04-26 2023-09-05 View, Inc. Tandem vision window and media display
US11493819B2 (en) 2017-04-26 2022-11-08 View, Inc. Displays for tintable windows
JP2019036399A (ja) * 2017-08-10 2019-03-0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表示装置
CN111052209A (zh) * 2017-09-07 2020-04-21 堺显示器制品株式会社 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6600A (en) * 1993-11-04 1999-08-10 Citizen Watch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6532152B1 (en) * 1998-11-16 2003-03-11 Intermec Ip Corp. Ruggedized hand held computer
KR100277646B1 (ko) * 1999-01-18 2000-12-15 김순택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봉착방법 및 장치
US7110062B1 (en) * 1999-04-26 2006-09-19 Microsoft Corporation LCD with power saving features
JP2000338488A (ja) * 1999-05-28 2000-12-08 Nec Shizuoka Ltd フロントライト装置および方法
JP3841989B2 (ja) * 1999-10-26 2006-11-0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6798467B2 (en) * 2000-12-21 2004-09-28 Asahi Rubber Inc.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6642977B2 (en) * 2001-06-20 2003-11-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quid crystal displays with repositionable front polarizers
US20030017856A1 (en) * 2001-06-20 2003-01-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altering the appearance of liquid crystal displays using exchangable front polarizers
JP2003045215A (ja) * 2001-07-27 2003-02-14 Alps Electric Co Ltd 面発光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463390B1 (ko) * 2002-02-05 2004-12-23 일진다이아몬드(주) 티에프티 엘시디 모듈
TWI254173B (en) * 2003-05-06 2006-05-01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TW200506446A (en) * 2003-05-20 2005-02-16 Trivium Technologies Inc Devices for use in non-emissive displays
US20050024890A1 (en) * 2003-06-19 2005-02-03 Alps Electric Co., Ltd. Light guide plate, surface light-emitting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263104B (en) * 2003-11-13 2006-10-01 Hannstar Display Corp A dual-display reflective typ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KR101054343B1 (ko) * 2004-06-10 2011-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4789515B2 (ja) * 2004-06-10 2011-10-12 三星電子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6201359A (ja) * 2005-01-19 2006-08-03 Nec Lcd Technologies Ltd 液晶表示装置
JP4270137B2 (ja) * 2005-02-14 2009-05-2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KR20070108736A (ko) * 2006-05-08 2007-11-13 삼성전기주식회사 Led 백라이트 구동시스템
TWI340846B (en) * 2006-08-04 2011-04-21 Au Optronics Corp Pixel structure of a transflective liquid crystal panel having a single gap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9262A (ko) * 2013-12-31 2015-07-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2964164A (zh) * 2021-03-02 2021-06-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校准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63178B2 (en) 2013-01-29
CN102323691A (zh) 2012-01-18
CN101256288A (zh) 2008-09-03
KR101279224B1 (ko) 2013-06-26
CN102323691B (zh) 2014-10-29
US20080201999A1 (en) 200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9224B1 (ko) 표시 장치
US20210333633A1 (en)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CN103775925B (zh) 背光模组
US8508687B2 (en) Display device
US20180113353A1 (en) Display device
EP1548359A4 (en) LIGHTING SYSTEM AND LIQUID CRYSTAL BACKLIGHTING DEVICE
CN103838036B (zh) 曲面液晶显示装置
TW201519210A (zh) 透明顯示裝置
US9684122B2 (en) Backlight assembly including light leakage preventing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9977298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TW200502886A (en) Flat panel display with double-sided display image
KR101970991B1 (ko)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액자형 광고 장치
WO2011121687A1 (ja) 表示装置、液晶モジュール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JP2007233160A (ja) 大型表示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表示デバイス、表示モジュール
CN110928046A (zh) 一种透明显示装置
KR20150015278A (ko) 투명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WO2011125271A1 (ja) 表示装置、液晶モジュール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KR101361938B1 (ko) 표시 장치
CN103323989B (zh) 一种显示器
US895792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9904131B1 (en)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evice
CN107065328A (zh) 一种像素结构、显示面板、显示装置及像素结构制作方法
CN100476537C (zh) 背光模块与液晶显示器
KR102183087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50081562A (ko)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