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8517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78517A KR20080078517A KR1020070098998A KR20070098998A KR20080078517A KR 20080078517 A KR20080078517 A KR 20080078517A KR 1020070098998 A KR1020070098998 A KR 1020070098998A KR 20070098998 A KR20070098998 A KR 20070098998A KR 20080078517 A KR20080078517 A KR 2008007851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air passage
- entrance
- electrode
- circulation 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6—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estroying scum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0—Washing liquid condition, e.g. turb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순환 풍로에 설치되는 거품 검지 센서를, 실보무라지 등이 부착되기 어려운 구성으로 하여, 거품 검지시에 오동작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개량된 세탁기가 요구되고 있었다.
거품 검지 센서는, 풍로(31) 내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접지측 전극(35) 및 검출측 전극(36)을 갖는다. 각 전극(35, 36)은 직경이 큰 원기둥체로 구성되어 있고, 선단부가 반구면으로 둥글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전극(원기둥체)의 직경과, 돌출 치수가 대략 동일한 치수가 되도록, 전극(35, 36)의 풍로(31) 내로의 돌출량이 규제되어 있다.
전극(35, 36)으로의 실보무라지 등의 퇴적이 감소하여 거품 검지 오동작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회전 드럼, 건조 풍로, 전극, 외부 조, 순환 펌프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동 세탁기, 드럼식 세탁기 등의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에 있어서, 건조 기능이 부여된 것이 공지이다. 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기는, 건조 운전시에 세탁조 내의 공기를 취출하고, 취출한 공기를 제습하는 동시에 가열하고, 그 가열한 공기를 세탁조로 복귀시키는 순환 풍로를 갖는 구성인 것이 공지이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의 단락 [0034] 참조).
순환 풍로는 건조시에 세탁조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경로이지만, 세탁시에는 세탁에 사용하는 물이나, 세탁 처리에 의해 발생한 거품이 진입하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진입하는 물이나 거품을 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순환 풍로에 한 쌍의 전극을 설치하는 구성도 공지이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의 단락 [0045]).
또한, 건조시에, 순환 풍로를 순환하여 세탁조 내에 공급되는 열풍이 효율적으로 세탁물을 건조시키도록, 세탁조를 막는 개폐 도어에 구비된 유리창의 형상을 주연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경사지는 경사면 또는 곡면으로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의 단락 [0025]).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4353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5-481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세탁기에서는, 순환 풍로의 입구가 세탁조의 상방에 접속되어 있고, 세탁조의 상방으로부터 순환 풍로에 들어간 공기는, 순환 풍로를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흐르고, 그 동안에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순환 풍로의 하단부측으로부터 세탁조로 가열풍이 공급된다. 그리고 순환 풍로의 하단부측 근방에 물ㆍ거품 검지용 한 쌍의 전극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대신하여,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순환 풍로의 하단부측으로부터 세탁조 내의 공기가 취출되고, 취출된 공기는 순환 풍로를 상방으로 흐르고, 상방부에서 공기가 가열되어 상방부로부터 세탁조 내로 공급되는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순환 풍로의 하방측에 거품 검지용 전극을 설치하면, 전극은 세탁조로부터 흘러나오는 공기에 노출되게 된다. 그리고, 세탁조로부터 흘러나오는 공기에는, 세탁물로부터 발생하는 미세한 린트(lint)나 실보무라지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전극에 린트나 실보무라지가 부착되기 쉽다는 과제가 판명되었다.
특히, 한 쌍의 전극 사이가 도통하는지 여부에 의해 거품의 유무를 검지하는 거품 검지 센서가 채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한 쌍의 전극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 전극 사이에 린트나 실보무라지가 부착되고, 다음의 세탁시 등에 거품이 순환 풍로에 진입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전극 사이에 부착된 린트나 실보무라지에 의해 전극 사이가 도통하므로, 거품이 진입했다는 오검지를 초래하는 과제도 판명되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에 있어서는, 개폐 도어의 유리창의 형상이 연구되고는 있지만, 회전 드럼 내의 세탁물이 얽히지 않고, 게다가 회전 드럼의 출입구가 양호하게 막히는 구성의 유리창으로 개량해야 할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배경을 기초로 이루어진 것으로, 주된 목적은, 처리조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 풍로에 설치되는 거품 검지 센서를 린트나 실보무라지 등이 부착되기 어려운 구성으로 하여, 거품 검지시에 오동작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개량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순환 풍로에 배치되는 거품 검지 센서의 구성 및 배치 위치를 개선함으로써, 오동작 그 밖의 문제점을 경감시킨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 외부 조 및 회전 드럼의 출입구를 막는 도어에 설치된 마개체를, 출입구의 봉쇄성이 좋고, 게다가 세탁물이 얽히기 어렵고, 또한 회전 드럼 내의 용적을 좁히지 않는 구성으로 개량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세탁물을 수용하기 위한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풍로와, 상기 순환 풍로에 설치되고 상기 처리조에서 세탁 처리 등에 의해 발생한 거품이 상기 순환 풍로 내에 진입한 것을 검지하기 위한 거품 검지 센서를 갖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거품 검지 센서는, 상기 순환 풍로의 내벽으로부터 순환 풍로 내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돌출 선단부가 곡 면인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전극은 원기둥체이고, 또한 그 선단부가 반구면을 이루고, 상기 순환 풍로의 내벽으로부터 순환 풍로 내로 돌출되어 있고, 돌출부는 원기둥 주위면 및 선단부 반구면을 포함하고, 원기둥 주위면의 면적(S1)과 반구면의 면적(S2)이, S1 < S2의 관계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순환 풍로는 상기 처리조의 하방에 접속된 하단부 및 상방에 접속된 상단부를 갖고, 상기 거품 검지 센서는 접지측 및 검출측을 구성하는 쌍을 이루는 2개의 전극을 갖고, 접지측 전극은, 상기 처리조에 물이 저장되었을 때에, 그 저장된 물이 상기 순환 풍로의 하단부에도 저장됨으로써, 저장된 물에 수몰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세탁물을 수용하기 위한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에 일단부 및 타단부가 고저차를 갖도록 접속되어 있어, 상기 처리조 내의 공기를 낮은 측으로부터 취출하고, 높은 측으로부터 상기 처리조 내로 복귀하도록 순환시키는 순환 풍로와, 상기 순환 풍로 내에 설치되고, 상기 처리조에서 세탁 처리 등이 행해질 때에 순환 풍로에 진입하는 거품을 검지하기 위한 거품 검지 센서를 갖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거품 검지 센서는 접지측 및 검출측을 구성하는 2개의 전극을 포함하고, 접지측 전극은, 상기 처리조에 물이 저장되었을 때에, 그 물이 상기 순환 풍로의 하방에도 저장됨으로써, 저장된 물에 수몰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일단부면이 세탁물의 출입구로 되어 있는 대략 원통 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외부 조와, 상기 외부 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부면이 세탁물의 출입구로 되어 있는 세탁물을 수용하기 위한 회전 드럼과, 상기 외부 조의 출입구 및 상기 회전 드럼의 출입구를 막기 위해 설치된 개폐 가능한 도어를 갖는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마개체를 갖고, 상기 마개체는 상기 외부 조의 출입구에 대향하고 있고, 상기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에 상기 외부 조의 출입구를 막기 위한 전방 주위면부와, 상기 전방 주위면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어 후단부가 상기 회전 드럼의 출입구의 내측까지 들어간 후방 주위면부와, 후방 주위면부로 둘러싸인 영역을 막는 후단부면을 갖고, 상기 후단부면은, 적어도 그 중앙부가 상기 회전 드럼의 출입구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도록 전방을 향해 만곡되고, 상기 회전 드럼 내로부터 보아 적어도 중앙이 오목해진 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마개체는, 상기 회전 드럼의 출입구로부터 회전 드럼의 출입구 내로 들어가 있는 후방 주위면부의 용적보다도, 상기 회전 드럼의 출입구보다도 회전 드럼 전방으로 만곡되고 만곡에 의해 상기 회전 드럼의 출입구의 전방에 형성된 공간의 용적 쪽이 커지도록, 상기 후방 주위면부의 진입 치수 및 상기 후단부면의 만곡 치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에 기재된 드럼식 세탁기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거품 검지 센서는 검출 전극을 갖고 있고, 그 전극은 순환 풍로의 내벽으로부터 순환 풍로 내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지만, 돌출되어 있는 전극의 선단부는 곡면이기 때문에 전극 선단부에는 린트나 실보무라지 등이 부착되기 어렵다. 즉, 전극 선단부 형상을 곡면으로 함으로써, 건조시에 세탁물로부터 발생하는 린트나 실보무라지 등이 순환 풍로 내를 비산해도, 그 린트나 실보무라지가 전극에 부착되어 퇴적하는 것을 감소시켜, 그 후의 세탁 처리시의 거품 검지에서 전극이 오동작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순환 풍로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전극은 원기둥 주위면부의 면적(S1)이 반구면의 면적(S2)보다도 작기 때문에, 말하자면 대략 반구 형상의 돌기가 순환 풍로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에 그쳐서, 돌출되어 있는 전극에 린트나 실보무라지가 부착되기 어려워, 돌출 전극의 주위에 린트나 실보무라지가 퇴적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반면, 원기둥 주위면의 면적(S1) 및 반구면의 면적(S2)의 합계치(S1 + S2)는 전극의 검출 정밀도에 필요한 면적으로 할 수 있어, 거품 검지 센서의 검지 성능이 저하되는 일은 없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거품 검지 센서는 한 쌍의 전극을 갖고, 접지측의 전극은 처리조에 물이 저장되었을 때에 수몰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접지측 전극이 수몰됨으로써, 그 주위에 부착되거나 퇴적하려고 하는 린트나 실보무라지가 씻겨내어진다. 즉, 세탁 처리가 행해질 때마다 접지측 전극은 물에 의해 세정되어 전극 주위면에 실보무라지나 린트가 퇴적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한 쌍의 전극 중 접지측 전극만이 처리조에 물이 저장되었을 때에 수몰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거품 검지 센서가 거품을 검지하는 성능에는 영향이 없다. 왜냐하면, 거품 검지에서는, 한 쌍의 전극 중 한쪽 전극을 검지 전극으로 하여 일정한 전압을 인가한다. 그리고 다른 쪽 전극은, 접지 전극으로 하여 접지한다. 이로 인해, 접지측 전극이 세탁시에 수몰되어도, 접지측 전극은 원래 접지 전위이기 때문에, 거품 검지의 성능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리고, 접지측 전극을 수몰할 수 있는 위치로 하는 반면, 검지측 전극은 접지측 전극과 충분히 거리를 둔, 순환 풍로 내의 상대적으로 상방의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한 쌍의 전극간의 도통ㆍ불도통에 의한 거품 검지 센서의 오검지 동작의 발생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도,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과 마찬가지로, 검지 센서에 포함되는 전극에 린트나 실보무라지가 부착되어 린트나 실보무라지가 퇴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거품 검지 센서의 오동작이 적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도어에 설치된 마개체는, 외부 조의 출입구에 대향하여 외부 조 출입구를 막기 위한 전방 주위면부와, 회전 드럼의 출입구 내측까지 들어간 후방 주위면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전방 주위면부에 의해 외부 조의 출입구가 확실하게 막히는 동시에, 회전 드럼 내의 세탁물이 회전 드럼의 출입구로부터 나오려고 해도 회전 드럼의 출입구 내측까지 들어간 후방 주위면부에 의해 회전 드럼 내의 세탁물이 출입구로부터 나오려고 하는 것이 저지된다.
또한, 마개체의 후방 주위면부는 회전 드럼의 내측까지 들어가 있지만, 후단부면은 회전 드럼의 출입구보다도 전방측으로 팽창되도록 만곡되어 있어, 회전 드 럼의 내용적이 마개체의 후단부면에 의해 좁혀지지 않아 세탁물의 세탁이나 건조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마개체의 후방 주위면부가 회전 드럼의 출입구로부터 내측으로 들어가 있는 용적보다도, 후단부면이 전방을 향해 만곡되어 회전 드럼의 내용적을 증가시키고 있는 양(量) 쪽이 커지도록 마개체의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드럼의 출입구가 양호하게 막히는 동시에, 회전 드럼의 내용적을 줄이는 일이 없는 마개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세탁기(10)의 정면도이다. 전기 세탁기(10)는, 그 외부 쉘을 구성하는 정면에서 보아 세로로 긴 대략 직사각 형상의 하우징(11)을 갖는다. 하우징(11)의 내부 상방에는 세탁조(후술함)가 배치되어 있고, 그 내부 하방에는 저수 탱크(후술함)가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1)의 정면 상방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개구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12)가 구비되어 있다. 도어(12)는 예를 들어 그 주 표면이 투명한 강화 유리로 구성되어 있어, 내부에 있는 세탁조 내의 의류의 모습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하우징(11)의 정면 상부[도어(12)의 상방]에는 조작ㆍ표시부(13)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ㆍ표시부(13)에는 복수개의 조작 키(14) 및 복수개의 표시기(15) 및 액정 표시기(16)가 배열되어 있다.
도2는 전기 세탁기(10)를 좌측 후방 경사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고, 하우징(11)을 구성하는 배면 패널 및 상면 패널이 제거된 상태의 도면이다. 또한, 도3은 전기 세탁기(10)를 우측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로, 하우징 베이스(11B)를 제외하고 하우징(11)이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4는 도어(12)를 개방한 상태에 어서의 전기 세탁기(10)의 우측 단면도이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전기 세탁기(10)에는 처리조로서의 세탁조(20)가 구비되어 있다. 세탁조(20)는 대략 원통 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외부 조(21)와, 외부 조(21) 내에 설치된 원통 형상의 내부 조인 회전 드럼(24)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외부 조(21)의 배면에는 DD 모터(22)가 설치되어 있고, DD 모터(22)에 의해 외부 조(21) 내에서 회전 드럼(24)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회전 드럼(24)의 회전축은, 수평 방향에 대해 전방이 경사 상방으로 경사진, 소위 경사 드럼 구조가 채용되어 있다. 또한, 외부 조(21)는 복수의 댐퍼(23)에 의해 하우징 베이스(11B)에 설치되어 있다.
외부 조(21)의 상방 우측에는 주수구(注水口) 유닛(25)이 설치되어 있다. 주수구 유닛(25)은, 외부 조(21) 내로 세척이나 헹굼을 위한 물이 공급되는 경우에 상기 물이 통과하는 유닛이다. 이 유닛(25) 내에는 세제 용기(27)(도5 참조)가 구비되어 있어, 공급되는 물이 세제 용기(27) 내를 흐르고, 그에 수반하여 세제가 물과 함께 공급되거나 공급되지 않는 것을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전기 세탁기(10)는 세척이나 헹굼에 목욕물을 이용할 수 있다. 그를 위해, 주수구 유닛(25)의 좌측에 인접하도록 목욕물 펌프(2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세탁조(20)에서는 세척 및 헹굼에 부가하여 건조도 행할 수 있다. 그를 위해, 외부 조(21)의 좌측 후방에는 건조 풍로(28)가 접속되어 있다. 건조 풍로(28)는 순환 풍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외부 조(21)의 예를 들어 후방부 하방으로부터 습한 공기를 흡입하여, 그 공기를 상방으로 유도하는 동안에 공기의 제습을 행한다. 건조 풍로(28)의 상부에는 접속 호스(60)를 통해 블로워 유닛(29)이 접속되어 있다. 블로워 유닛(29)은 건조 풍로(28)에서 유도된 제습 후의 공기를 다시 외부 조(21) 내로 송입하기 위한 것이다. 블로워 유닛(29) 내에는, 송입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건조 풍로(28), 접속 호스(60), 블로워 유닛(29)은 순환 풍로로서 기능하고 있고, 이 순환 풍로는 외부 조(21)에 대해 고저차를 갖도록 접속되어 있다.
전기 세탁기(10)에는 또한 블로워 유닛(29)의 근방에 오존 발생 유닛(30)이 구비되어 있다. 오존 발생 유닛(3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물 정화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건조시나 에어 워시시에도 오존을 발생시켜, 건조되는 세탁물의 제균ㆍ탈취나, 세탁조(20)에 넣어진 의류를 제균ㆍ탈취하는 에어 워시에 기여한다. 또한, 에어 워시(Air Wash)라 함은, 회전 드럼(24) 내에 수용된 세탁물에 대해 오존을 포함하는 공기를 공급하여, 오존에 의해 세탁물에 부착된 잡균 등의 제균 및 소취를 행하는 처리로, 세탁이나 건조 처리와는 다른 독립된 처리이다. 에어 워시에서는, 오존을 포함하는 공기(에어)에 의해 세탁물이 마치 에어로 세척되어, 제균ㆍ소취가 되는 것 같으므로, 본원 출원인은, 오존을 이용하여 행하는 세탁물의 제균ㆍ소취를 에어 워시라 칭하고 있다.
전기 세탁기(10)에는 세탁조(20)의 하방에 저수 탱크(40)가 구비되어 있다. 저수 탱크(40)는 외부 조(21)로부터 배수되는 물이나, 목욕물 펌프(26)로 퍼 올려진 목욕물을 저장하기 위한 탱크이다. 저수 탱크(40)의 근방에는 저수 탱크(40)의 물을 퍼내기 위한 순환 펌프(4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외부 조(21), 주수구 유닛(25), 건조 풍로(28), 저수 탱크(40) 등의 사이에서 물을 왕래시키거나, 오존을 포함하는 공기를 왕래시키기 위해 다수의 호스가 배치되어 있다.
도5는 도1 내지 도4에서 설명한 전기 세탁기(10)에 있어서의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 수로 및 오존을 포함하는 공기를 공급하는 오존 공급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화 순환 수로도이다.
도5를 참조하여, 수도꼭지(43)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은 급수 밸브(44)의 개폐 제어에 의해 주수구 유닛(25) 및 접속 호스(45)를 통해 세탁조(20) 내로 공급된다. 이 때, 급수 밸브(44)를 절환함으로써, 수돗물이 제1 유로(46)를 지나 주수구 유닛(25) 내의 세제 용기(47) 내를 흐를지, 제2 유로(48)를 지나 주수구 유닛(25) 내의 소프너 용기(49) 내를 흐를지를 선택할 수 있다.
세탁조(20)[외부 조(21)] 내의 물은 배수구 파이프(50)에 설치된 배수 밸브(51)를 개폐 제어함으로써 배출할 수 있다. 배수 밸브(51)에는 중간 호스(52)를 통해 필터 유닛(53)이 접속되어 있다. 필터 유닛(53)은, 외부 조(21)로부터 배출되는 물에 포함되는 린트나 이물질을 포획하기 위한 것이다. 필터 유닛(53)에 들어간 물은, 배수 파이프(54) 및 밸브(83)를 지나 배수 호스(55)로부터 하우징(11) 밖으로 배출된다. 하우징(11) 밖에서는, 예를 들어 외부 배수 호스(56)를 지나 배수 트랩(57)으로 배출된다.
이상이, 수돗물을 이용하여 세척 및 헹굼을 행하는 경우의, 절수 기능을 실행하지 않을 때의 물의 흐름이다.
건조 공정에서는, 블로워 유닛(blower unit)(29) 내의 블로워(도시하지 않음)가 작동되고, 세탁조(20) 내의 공기는 건조 풍로(28)로 흘러나와, 접속 호스(60)를 지나 블로워 유닛(29) 내에서 가열되고, 접속 호스(61)를 지나 세탁조(20) 내로 환류된다. 세탁조(20) 내의 따뜻하고 습한 공기는 건조 풍로(28) 내에서 열교환에 의해 제습된다. 그를 위해, 급수 밸브(44)가 개폐 제어되어, 수도꼭지(43)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은 급수 호스(62)를 지나 열교환을 위해 건조 풍로(28) 내로 공급된다.
블로워 유닛(29)이 작동하고 있을 때에 오존 발생 유닛(30)을 작동시키면, 블로워 유닛(29)에서 생기는 부압(負壓)에 의해 오존 발생 유닛(30)에서 발생되는 오존이 에어 호스(64)를 통해 블로워 유닛(29)으로 취입되고, 취입된 오존은 접속 호스(61)를 통해 세탁조(20)로 공급되어 회전 드럼(24) 내에 수용된 의류의 제균ㆍ소취가 행해진다.
이상이, 절수 기능을 실행하지 않는 경우의 건조시의 물 및 공기의 흐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세탁기(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목욕물을 이용하여 세척이나 헹굼을 행할 수 있다. 그를 위해, 목욕물 펌프(26)가 구비되어 있다. 목욕물 펌프(26)에는, 욕조(66)로부터 목욕물을 퍼 올리기 위한 목욕물 호스(67)가 접속 가능하다. 목욕물 펌프(26)는 자급식(自給式) 펌프이고, 마중물을 공급하기 위한 마중물 수로(70)가 접속되어 있다. 급수 밸브(44)의 개폐가 제어되어, 수도꼭지(43)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이 주수구 유닛(25)으로 공급되면, 그 일부는 마중물 수로(70)를 통해 목욕물 펌프(26)로 공급된다. 이 공급되는 물(마중물)에 의해 목욕물 펌프(26)는 목욕물의 퍼 올림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목욕물 호스(67)를 통해 퍼 올려지는 목욕물은, 목욕물 펌프(26)의 토출구에 접속된 급수 호스(71)를 통해 순환 밸브(72), 이젝터(73) 및 접속 호스(74)를 흘러 저수 탱크(40)에 저장된다.
목욕물이 이젝터(73)를 통과할 때, 오존 발생 유닛(30)이 통전되어 있으면, 오존 발생 유닛(30)에서 발생하는 오존은 에어 호스(75)를 통해 이젝터(73)에 공급된다. 이젝터(73)에서는, 목욕물이 흐를 때에 생기는 부압에 의해 에어 호스(75)로부터 오존을 취입하고, 오존은 목욕물에 혼입된다. 따라서, 저수 탱크(40)에 저장되는 목욕물은, 저장되는 도중에 오존이 혼입되어 제1차 정화 처리를 받는다. 제1차 정화 처리는, 저수 탱크(40)로의 유입시에 이루어지는 정화 처리이다.
저수 탱크(40)에는 접속 호스(77)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어, 저수 탱크(40)에 저장된 목욕물을 퍼낼 수 있다. 접속 호스(77)의 타단부는 순환 펌프(41)의 흡입구에 접속되어 있다. 순환 펌프(41)도 자급식 펌프로, 주수 호스(78)를 통해 마중물이 공급될 수 있다. 급수 밸브(44)의 개폐가 제어되어, 수도꼭지(43)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이 주수구 유닛(25)으로 공급되면, 그 일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마 중물 수로(70)를 통해 목욕물 펌프(26)로 공급된다. 이와 함께, 주수 호스(78)를 통해 순환 펌프(41)로도 마중물이 공급된다.
순환 펌프(41)의 토출구(79)에는 순환 밸브(72)가 접속되어 있다. 순환 밸브(72)는 오방 밸브로, 제1 출구에는 전술한 이젝터(73)를 통해 접속 호스(74)가 접속되어 있고, 접속 호스(77)로부터 퍼낸 저수 탱크(40)의 물을 순환시킬 수 있다. 저수 탱크(40)의 물을 퍼내고, 이젝터(73)를 경유하여 순환시킴으로써, 이젝터(73)를 통과할 때에 오존 발생 유닛(30)에서 발생되는 오존을 혼입할 수 있고, 저수 탱크(40)에 저장된 목욕물에 오존을 이용하여 제2차 정화 처리를 할 수 있다. 제2차 정화 처리는, 저수 탱크(40)에 저장된 목욕물을 순환시켜 행하는 정화 처리이다.
제2 출구에는 급수 호스(80)가 접속되어 있고, 급수 호스(80)를 통해 주수구 유닛(25)으로 물을 공급하고, 주수구 유닛(25)으로부터 접속 호스(45)를 경유하여 세탁조(20)로 저수 탱크(40)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제3 출구에는 접속 호스(81)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고, 그 타단부는 건조 풍로(28) 내의 챔버(도시하지 않음)에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순환 펌프(41)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챔버로부터 건조 풍로(28) 내로 낙하시켜, 저수 탱크(40)에 있어서 열교환용 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 열교환에 이용되지 않았던 남은 물은, 챔버로부터 접속 호스(63)를 지나 저수 탱크(40) 내로 복귀된다.
제4 출구에는 접속 호스(82)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고, 그 타단부는 밸브(83)를 통해 배수 파이프(54)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순환 밸브(72)를 절환하 고 밸브(83)를 개폐 제어함으로써, 저수 탱크(40)의 물을 배수 호스(55)로부터 기기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 전기 세탁기(10)는, 목욕물을 저수 탱크(40)에 저장하고, 그 목욕물을 정화할 뿐만 아니라, 세탁조(20)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이나 헹굼에 사용한 후의 물을 저장할 수도 있다. 그를 위해, 필터 유닛(53)에는 배수 파이프(54)가 접속된 출구 이외에, 중간 호스(85)의 일단부가 접속된 출구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 호스(85)의 타단부는 밸브(86)를 통해 저수 탱크(40)에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83) 및 밸브(86)를 절환 제어함으로써, 외부 조(21)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배수구 파이프(50), 배수 밸브(51), 중간 호스(52), 필터 유닛(53), 중간 호스(85) 및 밸브(86)를 통해 저수 탱크(40)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수 탱크(40)에 저장된 이미 사용된 물도, 접속 호스(77), 순환 펌프(41), 순환 밸브(72), 이젝터(73) 및 접속 호스(74)를 통과하는 순환로를 순환시킴으로써, 오존을 이용하여 정화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조(21)에는 일수(溢水) 호스(88)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고, 일수 호스(88)의 타단부는 일수 호스(89)의 일단부와 접속되고, 일수 호스(89)의 타단부는 밸브(83)와 접속되어 있다. 외부 조(21)에 저장된 물이 소정 수위 이상으로 넘쳤을 때, 그 물은 일수 호스(88, 89)를 통해 배출된다. 그 때, 외부 조(21) 내의 기압이 외기압과 같아질 필요가 있다. 그를 위해, 일수 호스(88, 89)의 접속부와, 필터 유닛(53)의 입구 사이는 에어 호스(90)로 접속되어, 외부 조(21) 내의 기압이 외기압과 같아지도록 되어 있다.
저수 탱크(40)에도 일수 호스(91)가 설치되어 있다. 일수 호스(91)는 밸브(83)를 통해 배수 호스(55)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세탁조(20) 내의 수위를 검출하기 위해, 배수구 파이프(50)에는 에어 트랩 호스(92)의 하단부가 접속되어 있고, 에어 트랩 호스(92)의 상단부에는 수위 센서(93)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수위 센서(93)에 의해 세탁조(20) 내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저수 탱크(40)에도 에어 트랩 호스(94) 및 수위 센서(95)가 구비되어 있어, 저수 탱크(40) 내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검출할 수 있다.
또, 저수 탱크(40) 내의 물을 모두 배수하여 저수 탱크(40)의 유지 보수 등을 행할 수 있도록, 저수 탱크(40)에는 수동으로 개폐 가능한 드레인 호스(96)가 설치되어 있다.
전기 세탁기(10)에는 또한 급수 밸브(44)와 외부 조(21)를 접속하는 급수 호스(98)가 구비되어 있다. 급수 밸브(44)의 절환 및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수도꼭지(43)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을, 급수 호스(98)를 경유하여 직접 세탁조(20)에 공급할 수 있다. 세탁조(20)에 공급되는 수돗물은 드럼(24)에 수용된 의류에 대해 샤워 형상으로 공급된다. 즉, 급수 호스(98)를 통해 수돗물을 세탁조(20)에 공급하여, 소위 샤워 헹굼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6은 건조 풍로(28)의 사시도로, 도3과 같은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또한, 도7은 건조 풍로(28)의 배면도이고, 도8은 건조 풍로(28)의 분해도이다.
도6 내지 도8를 참조하여, 건조 풍로(28)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풍로(31)와, 제1 풍로(31)의 상단부에 연통되어 제1 풍로(31)의 상단부로부터 대략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풍로(32)를 포함하고 있다. 제1 풍로(31) 및 제2 풍로(32)는 모두 수지로 성형되어 있다. 제2 풍로(32)의 선단부에는 전술한 접속 호스(60)가 연통되어 있다.
제1 풍로(31)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수지 부재가 조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8의 (A)에 도시하는 제1 부품(33)에 도8의 (B)에 도시하는 제2 부품(34)이 도시한 상태로부터 반전되어 제1 부품(33)에 조합됨으로써, 제1 풍로(31)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부품(33)의 하방측에는 외부 조(21)의 배면 하방에 형성된 공기 출구(도시하지 않음)에 연통되는 공기 도입구(33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부품(33)의 상단부측에는, 제2 풍로(32)가 접속되는 연통구(3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부품(33)의 상하 방향 중앙보다도 하방 위치에는, 지면(紙面) 전방으로 돌출되는 산형(山形)(333)이 형성되어 있다. 산형(333)은 제1 부품(33)의 길이 방향인 상하 방향에 대해 우측이 올라가도록 경사지는 능선(334)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부품(33)에는, 산형(333)의 상방에, 제1 풍로(31) 내의 바람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단부 가장자리쪽에 형성된 저수 구획(335)이 구비되어 있다.
제1 부품(33)에 조합되는 제2 부품(34)은, 도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인 상하 방향의 하방측이며, 제1 부품(33)의 산형(333)과 대향하는 위치에 내면측으로 돌출되는 산형(343)이 형성되어 있다. 산형(343)도 제2 부품(34)의 길이 방향과 교차 방향으로 연장되는 능선(344)을 갖고 있다. 제1 부품(33)과 제2 부품(34)이 조합되었을 때, 능선(334)과 능선(344)은 서로 교차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도11 참조). 이에 의해, 제1 풍로(31)는 그 도중부에 있어서, 풍로 단면이 좁아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2 부품(34)에는, 또한 제1 부품(33)의 저수 구획(335)과 대향하는 위치에 저수 구획(34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부품(34)에는, 후술하는 전극을 설치하기 위한 전극 설치 구멍(346, 347)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한쪽의 전극 설치 구멍(346)은, 제2 부품(34)의 하단부쪽이며, 제1 부품(33)에 형성된 공기 취입구(331)와 대향하는 영역에 마련되어 있다. 다른 쪽의 전극 설치 구멍(347)은 저수 구획(345)보다도 상방에 형성되어 있다.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부품(34)에 형성된 전극 설치 구멍(346, 347)에는 각각 접지측 전극(35) 및 검출측 전극(36)이 제2 부품(34)의 외면측으로부터 설치되어 있다. 제2 부품(34)의 외표면에는 접지측 전극(35)을 설치하기 위한 보스(37)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검출측 전극(36)을 부착하기 위한 보스(38)가 형성되어 있다.
도9의 (A)는 도7의 A-A에 따른 절단면 단면도이며, 도9의 (B)는 도7의 B-B에 따른 절단면 단면도이다. 또한, 도10은 접지측 전극(35) 및 검출측 전극(36)의 사시도[접지측 전극(35) 및 검출측 전극(36)은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음]이다.
도10을 참조하여, 전극(35)은 원기둥 주위면(101) 및 그 선단부에 형성된 반구면(102)을 갖는 원기둥체(103)와, 원기둥체(103)의 하방부를 보유 지지하고 있는 부착판(104)을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기둥체(103)는 그 직경이 8 ㎜인 기둥 형상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가 구면 형상으로 둥글게 되어 있다.
또, 전극(35)의 선단부 형상은, 구면 형상(반구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극(35)은 그 표면, 특히 선단부면에 코너가 없고, 린트나 실보무라지가 부착하기 어려운 곡면이면 된다.
이러한 전극(35, 36)이 도9의 (A), 도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부품(34)에 형성된 설치용 보스(37, 38)를 이용하여, 그 선단부가 제1 풍로(31) 내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풍로(31) 내로의 전극[35(36)]의 돌출량에 대해 설명한다. 원기둥체(103)의 반구면(102)의 면적을 S2로 한 경우, 원기둥 주위면(101) 중 풍로(31) 내로 돌출되는 부분의 면적을 S1이라 하면, S1 < S2의 관계가 되도록, 원기둥체(103)의 돌출량이 설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풍로(31) 내에 노출되어 있는 전극의 면적은, 검출 정밀도를 확보하는 데 있어서, 소정의 면적 이상이 노출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원기둥체(103)]의 직경을 크게 하여 그 원기둥 주위면의 면적을 확대하는 동시에, 선단부를 반구면으로 둥글게 하여, 반구면의 면적(S2) > 노출되는 원기둥 주위면의 면적(S1)이라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에 의해, 전극[35(36)]은, 검출에 필요한 면적이 확보되는 동시에, 풍로(31) 내로의 돌출량이 작아지고, 게다가 풍로(31) 내로 돌출되어 있는 원기둥체(103)의 선단부는 반구면(102)이기 때문에, 풍로(31) 내를 실보무라지나 린트가 통과해도, 그 실보무라지 나 린트가 풍로(31) 내에 노출되어 있는 원기둥체(103)의 선단부에 부착되기 어렵고, 전극[35(36)]에의 실보무라지나 린트의 퇴적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있다.
종래의 전극과의 대비로 설명하면, 종래의 전극은, 그 직경이 3 ㎜이고, 풍로(31) 내로의 돌출량이 약 20 ㎜였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극의 직경을 8 ㎜로 하고, 돌출 치수를 대략 그 직경과 같은 치수(약 8 ㎜) 이하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전극[35(36)]으로의 실보무라지나 린트의 퇴적이 감소하여, 거품 검지 오동작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건조 풍로(28)에 대해 접지측 전극(35)을 그 하단부쪽에 설치하고, 검출측 전극(36)은 건조 풍로(28)의 상하 방향 중앙보다도 상부에 설치하였다. 즉, 접지측 전극(35)과 검출측 전극(36)을 종래와 같이 근접시켜 배치하는 대신에, 거리를 두고 배치하였다.
그리고, 접지측 전극(35)은 외부 조(21)에 물이 저장되었을 때(세탁수나 헹굼수가 저장되었을 때)에 수몰되는 위치에 설치하였다.
접지측 전극(35)을 외부 조(21)에 물이 저장되었을 때에 수몰되는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세탁이나 헹굼 공정에서, 접지측 전극(35)은 수류에 의해 세정되어, 그 선단부에 실보무라지나 린트 등이 퇴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접지측 전극(35)은 본래 접지 전위를 검출하기 위한 전극이며, 수몰되는 위치에 설치해도 전혀 문제점은 없다.
도11은 도7에 있어서의 C-C에 따른 절단면 단면도이다. 건조 풍로(28)를 구성하는 제1 부품(33) 및 제2 부품(34)에는,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산 형(333, 343) 및 능선(334, 344)이 형성되어 있다. 도11은 제1 풍로(31) 내의 공기 통과 유로의 폭이, 대향하는 산형(333) 및 산형(343)에 의해 좁혀져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산형(333) 및 산형(343)은, 각각 서로 교차 방향으로 연장되는 능선(334, 344)을 갖고 있고, 이 교차 방향의 능선(334, 344)에 의해 풍로(31)가 좁혀져 있다.
풍로(31)를 좁히는 이유는, 그 상측으로부터 풍로(31) 내에는 열교환용 물이 적하되지만, 이 물이 산형(333) 및 산형(343)에서 좁혀진 내벽에 부딪쳐 비말 형상의 물 또는 안개가 생겨, 열교환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특히, 능선(334, 344)을 교차 방향으로 대향시킴으로써, 풍로(31) 내부가 지나치게 좁아지지 않고, 또한 산형(333, 343)에서 부딪친 적하하는 물이 양호하게 흩어져 비말 형상의 물이 되어, 열교환 효율을 높인다.
열교환용 물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 호스(81)(도5 참조)를 통해 접속구(336)로 공급되어, 송풍로(28) 내에 형성된 급수 구획(335, 345)에 들어가고, 급수 구획(335, 345)으로부터 제1 풍로(31) 내로 적하된다. 또한, 급수 구획(335, 345)으로부터 넘치는 물은, 접속구(337)로부터 접속 호스(63)(도5 참조)를 통해 저수 탱크(40)로 복귀된다.
또한, 수돗물을 이용하여 건조 풍로(28) 내에 열교환용 물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급수 호스(62)로부터 제2 풍로(32) 내로 열교환용 물이 공급되어, 그 물이 제1 풍로(31) 내를 적하한다.
일례로서, 수돗물을 열교환용 물로서 공급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0.4 리 터/분 이하의 물이 공급되고, 저수 탱크(40)의 물이 퍼내어져 열교환용 물로서 공급되는 경우에는, 2 내지 4 리터/분의 물이 공급된다.
도12는 세탁조(20) 및 도어(12)의 종단면 단부면도이다.
회전 드럼(24)은 그 전방측(도12에 있어서 좌측) 주연부에 밸런스 링(111)을 구비하고 있다. 밸런스 링(111)은 회전 드럼(24)이 DD 모터(22)에 의해 회전될 때에, 진동을 경감시키기 위해 작용한다. 회전 드럼(24)에는 밸런스 링(111)의 내주면측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입구 고리(112)가 형성되어 있다. 입구 고리(112)의 선단부(113)가 회전 드럼(24)의 입구를 형성하고 있다.
외부 조(21)의 선단부(도12에 있어서 좌측)(114)에는 패킹(115)이 설치되어 있다. 패킹(115)은 외부 조(21)의 선단부(114)를 따라 배치되어 있어, 정면으로부터 보면 링 형상을 하고 있다.
도어(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주 표면이 강화 유리(116)로 구성되는 동시에, 강화 유리(116)의 내측에는 외부 조(21)의 출입구 및 회전 드럼(24)의 출입구를 막기(출입구에 마개를 하기) 위한 마개체로서의 성형 도어 유리(117)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개체가 투명한 성형 도어 유리(117)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마개체는 유리 이외의 투명한 재료, 혹은 투명하지 않은 부재라도 좋고, 예를 들어 금속판(스테인레스판)을 가공하여 만들 수도 있다.
도13에, 성형 도어 유리(117)의 사시도{성형 도어 유리(117)를 후방측[회전 드럼(24)의 내부측]으로부터 본 사시도}를 도시한다.
성형 도어 유리(117)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그 주위 길이가 서서히 작아진 대략 원반 형상을 하고 있다. 도어(12)가 폐쇄되었을 때에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 도어 유리(117)의 전방 주위면부(118)는 패킹(115)에 압접되어, 외부 조(21)의 출입구를 막는다. 그리고, 성형 도어 유리(117)는 전방 주위면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그 둘레 길이가 서서히 작아지도록 형성된 몸통부(胴部)(119)를 갖고, 몸통부의 후단부는 후방 주위면부(120)를 형성하고 있다. 성형 도어 유리(117)의 후방 주위면부(120)는 회전 드럼(24)의 입구 고리(112)의 선단부(113)에 의해 형성된 출입구(121)의 내측[회전 드럼(24)의 내측]까지 들어가 있다. 그리고 후방 주위면부(120)의 내측에는, 후방 주위면부(120)로 둘러싸인 영역을 막는 면, 즉 성형 도어 유리(117)의 후단부면(122)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성형 도어 유리(117)의 후방 주위면부(120)는 회전 드럼(24)의 출입구(121)의 내측까지 들어가 있지만, 후단부면(122)은 적어도 그 중앙부가 회전 드럼(24)의 출입구(121)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도록, 회전 드럼(24) 내로부터 보아 중앙이 오목해지도록 전방을 향해 만곡된 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방 주위면부(120)가 회전 드럼(24)의 출입구(21)로부터 후방으로 진입함으로써 생긴 진입 공간(V1)의 용적과, 성형 도어 유리(117)의 후단부면(122)이 전방으로 만곡됨으로써 회전 드럼(24)의 출입구(121)보다도 전방으로 팽창된 공간(V2)이 V1 ≤ V2의 관계가 되도록, 성형 도어 유리(117)의 후방 주위면부(120) 및 후단부면(122)의 곡면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회전 드럼(24) 내에 수용된 세탁물이 회전 드럼(24)의 선단부(113)와 성형 도어 유리(117)의 후방 주위면부(120) 사이로부터 전방으로 나오기 어렵게 할 수 있고, 또한 회전 드럼(24) 내의 용적을 확보하여 세탁물이 회전 드럼(24) 내에서 양호하게 교반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세탁기의 정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세탁기를 좌측 후방 경사 상부로부터 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세탁기를 우측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세탁기에 있어서 도어를 개방한 상태의 우측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 세탁기에 있어서의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 수로 및 오존을 포함하는 공기를 공급하는 오존 공급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화 순환 수로도.
도6은 건조 풍로의 사시도.
도7은 건조 풍로의 배면도.
도8은 건조 풍로의 분해도.
도9의 (A)는 도7의 A-A에 따른 절단면 단면도이고, 도9의 (B)는 도7의 B-B에 따른 절단면 단면도.
도10은 전극의 사시도.
도11은 도7의 C-C에 따른 절단면 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세탁조 및 도어의 종단면 단부면도.
도13은 성형 도어 유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기 세탁기
12 : 도어
20 : 세탁조(처리조)
21 : 외부 조
24 : 회전 드럼
28 : 건조 풍로
31 : 제1 풍로
33 : 제1 부품
34 : 제2 부품
35 : 접지측 전극
36 : 검출측 전극
101 : 원기둥 주위면
102 : 반구면(곡면)
103 : 원기둥체
112 : 입구 고리
117 : 성형 도어 유리(마개체)
118 : 전방 주위면부
119 : 몸통부
120 : 후방 주위면부
121 : (회전 드럼의)출입구
122 : 후단부면
Claims (6)
- 세탁물을 수용하기 위한 처리조와,상기 처리조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풍로와,상기 순환 풍로에 설치되고, 상기 처리조에서 세탁 처리 등에 의해 발생한 거품이 상기 순환 풍로 내에 진입한 것을 검지하기 위한 거품 검지 센서를 갖는 세탁기에 있어서,상기 거품 검지 센서는, 상기 순환 풍로의 내벽으로부터 순환 풍로 내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돌출 선단부가 곡면인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원기둥체이고, 또한 그 선단부가 반구면을 이루고, 상기 순환 풍로의 내벽으로부터 순환 풍로 내로 돌출되어 있고,돌출부는 원기둥 주위면 및 선단부 반구면을 포함하고, 원기둥 주위면의 면적(S1)과 반구면의 면적(S2)이,S1 < S2의 관계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풍로는 상기 처리조의 하방에 접속된 하단부 및 상방에 접속된 상단부를 갖고,상기 거품 검지 센서는 접지측 및 검출측을 구성하는 쌍을 이루는 2개의 전극을 갖고,접지측 전극은, 상기 처리조에 물이 저장되었을 때에, 그 저장된 물이 상기 순환 풍로의 하단부에도 저장됨으로써, 저장된 물에 수몰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세탁물을 수용하기 위한 처리조와,상기 처리조에 일단부 및 타단부가 고저차를 갖도록 접속되어 있어, 상기 처리조 내의 공기를 낮은 측으로부터 취출하고, 높은 측으로부터 상기 처리조 내로 복귀하도록 순환시키는 순환 풍로와,상기 순환 풍로 내에 설치되고, 상기 처리조에서 세탁 처리 등이 행해질 때에 순환 풍로에 진입하는 거품을 검지하기 위한 거품 검지 센서를 갖는 세탁기에 있어서,상기 거품 검지 센서는 접지측 및 검출측을 구성하는 2개의 전극을 포함하고,접지측 전극은, 상기 처리조에 물이 저장되었을 때에, 그 물이 상기 순환 풍로의 하방에도 저장됨으로써, 저장된 물에 수몰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일단부면이 세탁물의 출입구로 되어 있는 대략 원통 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외부 조와,상기 외부 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부면이 세탁물의 출입구로 되어 있는 세탁물을 수용하기 위한 회전 드럼과,상기 외부 조의 출입구 및 상기 회전 드럼의 출입구를 막기 위해 설치된 개폐 가능한 도어를 갖는 드럼식 세탁기에 있어서,상기 도어는 마개체를 갖고, 상기 마개체는,상기 외부 조의 출입구에 대향하고 있고, 상기 도어가 폐쇄되었을 때에 상기 외부 조의 출입구를 막기 위한 전방 주위면부와,상기 전방 주위면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어 후단부가 상기 회전 드럼의 출입구의 내측까지 들어간 후방 주위면부와,후방 주위면부로 둘러싸인 영역을 막는 후단부면을 갖고,상기 후단부면은, 적어도 그 중앙부가 상기 회전 드럼의 출입구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도록 전방을 향해 만곡되고, 상기 회전 드럼 내로부터 보아 적어도 중앙이 오목해진 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체는, 상기 회전 드럼의 출입구로부터 회전 드럼의 출입구 내로 들어가 있는 후방 주위면부의 용적보다도, 상기 회전 드럼의 출입구보다도 회전 드럼 전방으로 만곡되고 만곡에 의해 상기 회전 드럼의 출입구의 전방에 형성된 공간의 용적 쪽이 커지도록, 상기 후방 주위면부의 진입 치수 및 상기 후단부면의 만곡 치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식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7-00042118 | 2007-02-22 | ||
JP2007042118A JP4911605B2 (ja) | 2007-02-22 | 2007-02-22 | 洗濯機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78517A true KR20080078517A (ko) | 2008-08-27 |
Family
ID=39778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98998A KR20080078517A (ko) | 2007-02-22 | 2007-10-02 | 세탁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4911605B2 (ko) |
KR (1) | KR20080078517A (ko) |
CN (1) | CN101250800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99600A (ko) | 2018-08-28 | 2018-09-05 | 홍현성 | 오류 검출 기능을 갖는 욕실 환기팬 및 오류검출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383435B2 (ja) * | 2009-10-29 | 2014-01-08 | シャープ株式会社 | 洗濯機 |
JP5661530B2 (ja) * | 2011-03-30 | 2015-01-28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衣類処理装置 |
JP5613608B2 (ja) * | 2011-03-30 | 2014-10-29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衣類処理装置 |
JP6681107B2 (ja) * | 2015-08-25 | 2020-04-15 |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 洗濯機 |
JP7009816B2 (ja) * | 2017-07-27 | 2022-02-10 |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 | 靴洗浄装置 |
TWI832881B (zh) * | 2018-09-13 | 2024-02-21 | 日商松下知識產權經營股份有限公司 | 洗衣機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107854B2 (ja) * | 2002-03-07 | 2008-06-25 | 三洋電機株式会社 | ドラム式洗濯機 |
JP2005124768A (ja) * | 2003-10-23 | 2005-05-1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検出電極装置 |
JP2005143531A (ja) * | 2003-11-11 | 2005-06-0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洗濯機 |
-
2007
- 2007-02-22 JP JP2007042118A patent/JP4911605B2/ja active Active
- 2007-10-02 KR KR1020070098998A patent/KR2008007851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7-12-06 CN CN2007101969347A patent/CN101250800B/zh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99600A (ko) | 2018-08-28 | 2018-09-05 | 홍현성 | 오류 검출 기능을 갖는 욕실 환기팬 및 오류검출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250800A (zh) | 2008-08-27 |
CN101250800B (zh) | 2010-10-27 |
JP2008200395A (ja) | 2008-09-04 |
JP4911605B2 (ja) | 2012-04-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078517A (ko) | 세탁기 | |
EP2025794B1 (en) | Washing machine | |
US7712338B2 (en) | Electric washing machine | |
KR101339969B1 (ko) | 드럼식 세탁기 | |
US20080276658A1 (en) | Tub for drum washing machine and drum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 |
KR101492500B1 (ko) | 드럼식 세탁기 | |
JP2017189270A (ja) | 洗濯機 | |
JP4869058B2 (ja) | 電気洗濯機 | |
JP2007089663A (ja) | 洗濯機 | |
JP5303619B2 (ja) | ドラム式洗濯機 | |
JP5409728B2 (ja) | 洗濯機 | |
KR20010077879A (ko) | 세탁기 및 세탁방법 | |
WO2008104829A1 (en) | Laundry washing machine with vent device | |
TWI516656B (zh) | Washing machine | |
JP2015116296A (ja) | 洗濯機 | |
JP2007044228A (ja) | 洗濯乾燥機 | |
JP6168951B2 (ja) | 洗濯機 | |
JP4781286B2 (ja) | 電気洗濯機および電気洗濯機用付属部品 | |
TWI626351B (zh) | Laundry dryer | |
US20230018094A1 (en) | Laundry washing machine | |
JP2008307430A (ja) | 電気洗濯機 | |
JP7222832B2 (ja) | 洗濯機 | |
TW201641777A (zh) | 洗衣烘乾機 | |
KR100870094B1 (ko) | 필터를 갖는 세탁기 | |
JP2013066724A (ja) | 洗濯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