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8069A -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표시 장치, 텔레비전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표시 장치, 텔레비전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8069A
KR20080078069A KR1020087017508A KR20087017508A KR20080078069A KR 20080078069 A KR20080078069 A KR 20080078069A KR 1020087017508 A KR1020087017508 A KR 1020087017508A KR 20087017508 A KR20087017508 A KR 20087017508A KR 20080078069 A KR20080078069 A KR 20080078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ommon electrode
light source
driving powe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7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키 타카타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8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0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7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 F21V19/008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 F21V19/008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at least one conductive element acting as a support means, e.g. resilient contact blades, piston-like contac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01J5/54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supported by a separate part, e.g.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05Flat vessels or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 H01J65/042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 H01J65/046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the field being produced by using capacitive means around the vesse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2Electric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56One or more circuit el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lamp

Abstract

본 발명의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는, 복수 개의 광원(15)과, 상기 광원(15)에 대해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19)과, 상기 구동 전력을 상기 복수 개의 광원(15)에 대해 공급하기 위한 공통 전극(110)과, 상기 각 광원(15)을 각각 유지함과 함께, 상기 공통 전극(110)으로부터 상기 구동 전력을 상기 각 광원(15)에 대해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복수 개의 유지 전극(180)과, 상기 공통 전극(110)과 상기 각 유지 전극(180)의 사이에 개재하는 유전부(1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표시 장치, 텔레비전 수신 장치{LIGHT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본 발명은,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표시 장치, 텔레비전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로 대표되는 비발광형 광학 소자를 이용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액정 패널 등의 표시 패널에 대해 빛을 조사하기 위해, 당해 표시 패널의 배면에 백 라이트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6-245005 공보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백 라이트 장치에서는, 병렬 구동 가능한 CCFL의 구조가 구비되어 있다. 즉, 특허 문헌 1에는, 병렬로 접속된 복수 개의 냉음극선관 램프와, 이 복수 개의 냉음극선관 램프와 접속되어, 냉음극선관 램프를 방전시킬 수 있도록 공급된 전원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1 전류 제한부와, 전달된 교류 전원의 크기를 변경하여, 상기 변경된 교류 전원을 상기 제1 전류 제한부에 공급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램프 구동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병렬 구동이 가능한 CCFL 구조에 의해, CCFL의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것은 물론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런데 특허 문헌 1에서는, 상세한 구성까지는 개시되어 있지 않고, 특히 제1 전류 제한부가 밸러스트 콘덴서를 포함한다는 구성만이 개시되어 있을 뿐이다.
본 발명은, 광원을 병렬로 구동함과 함께, 당해 병렬 구동의 구성을 보다 간편화함으로써 비용의 대폭 삭감에 기여하고, 문제 발생이 적으며, 신뢰성이 높은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를 구비한 표시 장치, 또한 이와 같은 표시 장치를 구비한 텔레비전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는, 복수 개의 광원과, 상기 광원에 대해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과, 상기 구동 전력을 상기 복수 개의 광원에 대해 공급하기 위한 공통 전극과, 상기 각 광원을 각각 유지함과 함께, 상기 공통 전극으로부터 상기 구동 전력을 상기 각 광원에 대해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복수 개의 유지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과 상기 각 유지 전극의 사이에 개재하는 유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에 따르면, 공통 전극과 유전부를 개재하여 각 광원에 대해 개별적으로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당해 전극이 각 광원을 각각 유지하는 유지 전극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광원 유지 기능과 전극 기능을 겸비한 간편한 구성을 구비한 것이 된다. 따라서, 번거로운 배선 작업이나 광원의 설치 작업의 수고가 덜어져 제조 효율이 향상되고, 따라서 비용 삭감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선 개소나 설치 개소에서의 불량도 발생하기 어려워, 매우 신뢰성이 높은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가 된다.
또한, 유지 전극과 공통 전극의 사이에 유전부가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과 광원 사이에 용량이 형성되어 각 광원을 병렬 구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공통 전극에 대해 전원으로부터 공통의 전압치를 나타내는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한편, 이것에 병렬적으로 설치된 각 광원에 대해서는, 유전부를 개재하여 설치된 유지 전극으로부터 구동 전력을 개별적으로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용량에서 전압치가 조정(제한)되어 각 광원에 적절한 크기의 구동 전력을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광원의 병렬 구동을 유지 전극을 이용한 간편한 구성에 의해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나아가서는 표시 장치의 비용 삭감에 기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광원은 방전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전관으로 이루어지는 광원은, 각각에 공급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할 필요가 있지만, 본 발명과 같이 유전부를 개재한 구성에 따르면, 당해 광원에 공급하는 전압의 크기를 매우 적합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전원은 고주파 전압을 생성하는 인버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통 전극에 대해서는 동일한 크기의 전압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주파 전압을 생성하는 인버터 회로를 포함하도록 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당해 인버터 회로를 각각의 광원에 대해 별개로 마련할 필요가 없어, 구성이 간편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공통 전극은 상기 복수 개의 광원에 대해 일괄적으로 상기 구동 전력을 공급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개개의 광원에 대해 마련된 유지 전극과 유전부를 개재하여 공통 전극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공통 전극은 복수 개의 광원에 대해 일괄적으로 구동 전력을 공급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즉, 공통 전극에 대해 소정의 구동 전력을 전원으로부터 공급 가능한 구성이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인버터 회로의 개수를 예를 들면 1개로 할 수 있어, 당해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의 구성을 간편한 것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광원은 상기 구동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전극은 상기 단자를 유지하면서 또한 당해 단자로부터 상기 구동 전력을 공급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원에 단자를 마련하고, 당해 단자를 유지하는 형태로 유지 전극을 마련하면, 배선을 생략할 수 있어, 당해 광원 구동에 따른 구성이 매우 간편한 것이 된다.
상기 광원은 상기 구동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전극은 상기 단자를 유지하는 도전성의 클립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원에 단자를 마련하고, 당해 단자를 유지하는 도전성의 클립 부재로 유지 전극을 구성하면, 배선을 생략할 수 있어, 당해 광원 구동에 따른 구성이 매우 간편한 것이 된다.
상기 광원은 선 형상 광원으로서, 당해 선 형상 광원의 양단에 상기 구동 전 력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가 형성됨과 함께, 당해 양단의 단자에 대해, 상기 유지 전극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 형상 광원의 양단의 단자를 본 발명에 따른 유지 전극에 의해 유지하는 구성으로 하면, 당해 양단에 있어서 광원에 공급하는 전압의 밸런스가 좋고 발광 효율이 높아진다.
상기 광원은, 선 형상의 유리관과, 상기 유리관의 양단으로부터 당해 유리관과 동축이면서 직선 형상으로 돌출되는 외부 리드와, 당해 외부 리드에 접속됨과 함께 상기 유리관의 양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단자를 구성하는 페룰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 형상 유리관의 양단에 외부 리드 및 페룰을 구비하는 광원을 이용하는 경우, 본 발명과 같은 유지 전극에 의하면, 광원의 설치와 전기 접속을 동시에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당해 유지 전극에 대해 유전부를 개재하여 공통 전극을 마련함으로써 당해 광원을 병렬 구동할 수 있게 되고, 구성이 간편하게 되어, 비용 삭감에 더욱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전부는 상기 공통 전극과 상기 유지 전극의 사이에 형성된 유전막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용량 형성이 간편하고 확실하게 된다. 또한, 특히 유전막을 공통 전극 상에 층상으로 형성하고, 그 유전막 상에 각 유지 전극을 구성하면, 제조 효율이 더욱 향상되고 비용 삭감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전부는 상기 공통 전극과 상기 유지 전극의 사이에 형성된 콘덴서 칩 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용량 형성이 간편하고 확실하게 된다. 또한, 특히 콘덴서 칩에 의하면, 제조 효율이 더욱 향상되고 비용 삭감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광원을 수용하는 섀시와, 상기 섀시의 상기 광원측과는 반대 측에 설치되며, 상기 공통 전극과 상기 유지 전극과 상기 유전부가 형성되는 회로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섀시와 상기 회로 기판의 사이에는 절연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공통 전극이나 유지 전극이 형성되는 회로 기판은, 고주파 전압을 생성 또는 공급하는 것이기 때문에, 섀시 내부로의 누전 등을 방지 또는 억제하도록 절연 부재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섀시가 금속제의 판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섀시가 도전성을 갖기 때문에, 당해 절연 부재를 마련하는 효과가 한층 현저해질 수 있다.
또한, 고주파 전압이 공급됨으로써 회로 기판은 고열이 될 수 있다. 이 때문에, 당해 회로 기판과 섀시의 사이에 단열 부재를 마련하는 것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절연성 단열 부재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광원을 수용하는 섀시와, 상기 섀시의 상기 광원측과는 반대 측에 설치되며, 상기 공통 전극과 상기 유지 전극과 상기 유전부가 형성되는 회로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섀시는 상기 회로 기판과 중첩되는 위치에서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공통 전극이나 유지 전극이 형성되는 회로 기판은, 고주파 전압을 생성 또는 공급하는 것이기 때문에, 섀시 내부로의 누전 등을 방지 또는 억제하도록 개구부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섀시가 금속제의 판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섀시가 도전성을 갖기 때문에, 당해 개구부를 마련하는 효과가 한층 현저해질 수 있다.
상기 광원을 수용하는 섀시와, 상기 섀시의 상기 광원측과는 반대 측에 설치되며, 상기 공통 전극과 상기 유지 전극과 상기 유전부가 형성되는 회로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섀시는 상기 회로 기판과 중첩되는 위치에서 다른 부분보다 함몰된 오목부를 구비할 수 있다.
공통 전극이나 유지 전극이 형성되는 회로 기판은, 고주파 전압을 생성 또는 공급하는 것이기 때문에, 섀시 내부로의 누전 등을 방지 또는 억제하도록 오목부를 마련하여 거리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섀시가 금속제의 판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섀시가 도전성을 갖기 때문에, 당해 오목부를 마련하는 효과가 한층 현저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와, 상기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로부터의 빛을 이용하여 표시를 행하는 표시 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에 따르면,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에 있어서 비용 삭감을 실현할 수 있고 또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당해 표시 장치에 있어서도 비용 삭감 혹은 신뢰성 향상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표시 패널로서는 액정 패널을 예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로서 여러 가지 용도, 예를 들면 텔레비전이나 PC의 데스크탑 모니 터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대형 화면용으로 매우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텔레비전 수신 장치는 상기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텔레비전 수신 장치에 의하면, 신뢰성이 높은 것을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원을 병렬하여 구동함과 함께, 당해 병렬 구동의 구성을 보다 간편화함으로써 대폭적인 비용 삭감에 기여하고, 문제 발생이 적으며, 신뢰성이 높은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와 같은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를 구비한 저렴하고 신뢰성이 높은 표시 장치, 나아가서 이와 같은 표시 장치를 구비한 저렴하고 신뢰성이 높은 텔레비전 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표시 장치)(D)의 수평 단면도, 도 2는 액정 표시 장치(D)가 구비하는 조명 장치(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10)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명 장치(10)의 배면도, 도 4는 조명 장치(10)가 구비하는 전원 기판(회로 기판)(16)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전원 기판(16)의 정면도, 도 6은 방전관(15)의 사시도, 도 7은 방전관(15)에 대한 구동 전력의 공급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8은 방전관(15)에 대한 구동 전력의 공급 구조의 일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9는 당해 공급 구조의 구성을 별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10은 액정 표시 장치(D)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 11은 텔레비전 수신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액정 표시 장치(D)는, 전체적으로 가로로 긴 직사각형을 이루며,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패널(11)과 조명 장치(1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표시 패널(11)은 조명 장치(10)의 정면 측에 배치되며, 조명 장치(10)는 백 라이트로서 배면 측으로부터 표시 패널(11)을 광조사한다.
상기 액정 표시 장치(D)는, 텔레비전 수신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텔레비전 수신 장치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장치(D)와, 액정 표시 장치(D)를 협지하여 수용하는 앞뒤의 두 캐비닛(Ca, Cb)과, 후술하는 전원 기판(16)과는 다른 전원(P)과, 튜너(T)와, 스탠드(S)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표시 패널(11)은, 투명한 TFT 기판과 투명한 CF 기판의 사이에, 전압 인가에 따라 광학 특성이 변화하는 물질인 액정을 봉입한 주지의 구조이며, TFT 기판에는, 서로 직교하는 소스 배선과 게이트 배선에 접속된 스위칭 소자로서의 TFT(Thin Film Transistor)나 화소 전극이 마련되고, CF 기판에는, 적(R), 녹(G), 청(B) 삼원색의 색부를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한 컬러 필터나 대향 전극이 마련되어 있다.
조명 장치(10)는, 도 2에 상세하게 도시하는 바와 같이, 램프 유니트(12)와 전원 기판(16)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램프 유니트(12)는, 전체적으로 가로로 긴 직사각형의 판 형상을 이루고 반 사판으로서 기능하는 금속제의 섀시(13)와, 섀시(13)의 정면 측에 수평인 자세로 상하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방전관(15)과, 섀시(13)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각 방전관(15)과 대응하도록 상하로 나열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중계 커넥터(14)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 기판(16)은 섀시(13)의 이면 측에 배치되어 중계 커넥터(14)를 통해 방전관(15)에 대해 전력을 공급한다.
섀시(13)에는 각 방전관(15)과 동일한 높이이며 방전관(15)의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를 정면에서 배면으로 관통시킨 형태의 복수 개의 장착홀(13H)이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며, 각 장착홀(13H)에는 각각 중계 커넥터(14)가 관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중계 커넥터(14)는 도전성을 갖는 금속제의 홀더(유지 전극)(180)를 구비하여, 이 홀더(180)에 의해 방전관(15)을 섀시(13)에 대해 설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홀더(180)는,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립 형상으로 구성되어, 방전관(15)의 단부에 설치된 페룰(단자)(50)을 유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홀더(180)는 한 쌍의 탄성 걸림편에 의해 구성되어, 이들 탄성 걸림편의 탄성 변형에 의해 방전관(15)을 빼거나 꽂을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홀더(180)는 섀시(13)의 정면 측으로부터 장착홀(13H)에 삽입되어 당해 섀시(13)에 고정된다. 섀시(13)에 장착된 상태에서, 홀더(180)의 전단 측부분이 섀시(13)의 정면 측으로 돌출됨과 함께, 홀더(180)의 후단 측부분이 섀시(13)의 배면 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홀더(180)의 후단 측부분이 전원 기 판(16)에 접속되어 전기적 접속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홀더(18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체가 도전성을 갖기 때문에, 방전관(15)을 유지하는 기능과 함께, 방전관(15)과 전원 기판(16)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당해 방전관(15)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극으로서의 기능도 갖는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섀시(13)에는 그 일부를 개구하여 이루어지는 개구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3a)는 섀시(13) 중 전원 기판(16)과 중첩되는 위치, 즉 전원 기판(16)과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전원 기판(16)과 섀시(13) 내부의 절연을 도모하고 있다.
방전관(15)은 유리관 내에 방전 가스를 갖는 냉음극선관으로 이루어지고,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가늘고 길며 단면이 원형인 직선 형상의 유리관(40)과, 유리관(40)의 양단으로부터 유리관(40)과 동축이면서 직선 형상으로 돌출하는 가늘고 긴 외부 리드(42)와, 유리관(40)의 양단부에 장착되는 페룰(50)로 구성된다. 페룰(50)은 소정 형상으로 펀칭된 금속제(예를 들면, 동합금제)의 판재에 벤딩 가공이나 해머링 가공을 함으로써 형성되며, 본체(51)와 도전편(57)으로 이루어진다. 본체(51)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을 이루며, 유리관(40)의 외주에 장착되어 있다. 도전편(57)은 본체(51)의 말단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고, 외부 리드(42)의 외주에 탄성 접촉하고 용접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전관(15)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양단부가 홀더(180)에 의해 감합됨으로써 섀시(13)에 장착됨과 함께, 페룰(50)의 본체(51)의 외주가 홀더(180)와 탄성 접촉함으로써, 당해 홀더(180)로부터 구동 전력을 공급받 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페룰(50)이 방전관(15)의 전원 접속 단자(단자)를 구성하여, 이 페룰(50)을 홀더(180)에 끼워넣는 것만으로, 방전관(15)의 설치와 전기적 접속이 완료된다.
한편, 섀시(13)의 배면 측에 설치된 전원 기판(16)은, 도 1,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섀시(13)와 반대 측의 면)에 회로가 형성된 기재(17)와, 기재(17)의 배면에 실장된 인버터 회로 부품(19)과, 기재(17)의 배면에 장착된 복수 개의 기판 커넥터(18)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인버터 회로 부품(19)은, 여기에서는 방전관(15)에 대한 구동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회로 부품이며, 공급 전압을 소정의 전압치로 조정(승압)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기재(17)는 전체적으로 세로로 긴 직사각형을 이루며, 종이 기재 페놀 수지 동박 적층판(종이 페놀이라고 칭해진다)이 이용되고 있다. 기재(17)에는 세로로 긴 직사각형을 이루는 복수 개의 감합홀(17H)이 정면 측에서 배면 측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복수 개의 감합홀(17H)은, 상기한 중계 커넥터(14)와 대응하도록 기재(17)의 좌우 양측의 연부(17E)(즉, 측면 가장자리부)를 따라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재(17)에는 그 정면에서 배면으로 관통하는 복수 개의 위치 결정홀(17a)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홀(17a)은 감합홀(17H)과 기재(17)의 측면 가장자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1개의 감합홀(17H)에 대해 상하 한 쌍씩 형성되어 있다.
기판 커넥터(18)는, 각 감합홀(17H)과 대응하도록 기재(17)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며, 감합홀(17H)을 통해 중계 커넥터(14)와 감합되게 되어 있 다. 기판 커넥터(18)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하우징(60)(도 4 참조)과, 하우징(60) 내에 수용된 홀더(18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홀더(180)는, 기재(17)에 있어서 인버터 회로 부품(19)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180)는 섀시(13)의 내면에서 방전관(15)을 유지하는 한편, 당해 방전관(15)에 대해 구동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극으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버터 회로 부품(19)으로부터 각 홀더(180, …)에 공통으로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공통 전극(110)을 구비하고, 공통 전극(110)으로부터 유전막(100)을 통해 각각의 홀더(180)에 구동 전력이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공통 전극(110)은 알루미늄 등의 도전 박막으로 이루어지고, 유전막(100)은 세라믹스 등의 절연 재료 박막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유전막(100)도 각 홀더(180)에 공통이며, 각 홀더(180)에 걸쳐 연속적으로 성막된 구성을 갖고 있다.
복수 개 배치된 방전관(15)은 각각 전위가 상이하기 때문에, 각각 상이한 크기의 구동 전력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개개의 방전관(15)(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개개의 홀더(180))에 대해 상이한 크기의 구동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각 방전관(15)에 대해 인버터 회로 부품(19)을 개별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방전관(15)에 대한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홀더(180)에 대해 유전막(유전부)(100)을 개재하여 공통 전극(110)으로부터 구동 전 력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공통 전극(110)에 대해 일정한 크기의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인버터 회로 부품(19)을 각 방전관(15)에 대해 공통된 것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섀시(13)의 배면에 형성된 4개의 전원 기판(16)의 각각에 대해, 각각 1개의 인버터 회로 부품(19)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유지 전극)(180)와 공통 전극(110)의 사이에 유전막(100)을 개재시킴으로써 커패시터가 형성되고, 이 커패시터에 의해 각 방전관(15)에 대해 공급되는 구동 전력이 소정의 전압치로 조정(제한)된다. 그리하여, 이와 같이 커패시터를 형성함으로써, 각 방전관(15)은 병렬 구동 가능한 관계가 되어, 공통의 인버터 회로 부품(19)을 전원으로서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D)는 이하와 같은 작용·효과를 발현한다.
우선, 조명 장치(10)에 있어서, 방전관(15)에 대한 구동 전력 공급 경로로서, 당해 방전관(15)을 유지하는 홀더(180)를 전극으로 함과 함께, 당해 홀더(180)를 섀시(13)의 이면에 설치한 전원 기판(16)에 직접 접속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전원 공급용의 하네스가 불필요해져, 당해 전원 공급과 관련되는 구성이 매우 간편해지고, 또한 방전관(15)의 조립 작업, 배선 작업이 지극히 간편해진다.
또한, 이와 같은 홀더(180)에 대해 유전막(100)을 개재하여 공통 전극(110)으로부터 구동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각 방전관(15)을 병렬 구동하는 것이 가능 하다. 즉, 전원(여기에서는 인버터 회로 부품(19))과 각 방전관(15)의 사이에 용량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방전관(15)을 병렬 구동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공통 전극(110)에 대해 공통의 전압치를 나타내는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한편, 이것에 병렬로 설치된 각 방전관(15)에 대해서는, 유전막(110)을 개재하여 설치된 각 홀더(180)로부터 구동 전력을 개별적으로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홀더(180)와 공통 전극(110)에 개재된 유전막(100)으로부터 구성되는 용량에서 전압치가 조정(제한)되어, 각 방전관(15)에 적절한 크기의 구동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방전관(15)의 병렬 구동을, 홀더(180)를 이용한 간편한 구성에 의해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대폭적인 비용 삭감에 기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방전관(15)의 양단에서 홀더(180)가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방전관(15)에 공급하는 전압의 밸런스가 좋고, 발광 효율이 높은 것이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D)가 구비하는 섀시(13)는, 전원 기판(16)과 중첩되는 위치에서 개구부(13a)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전원 기판(16)으로부터 섀시(13) 내부로의 누전을 방지 또는 억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전원 기판(16)은 고주파 전압을 생성 내지 공급하는 것이기 때문에, 섀시(13)에 개구부(13a)를 형성함으로써, 섀시(13) 내부로의 누전 등을 방지 또는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개구부(13a)는 고온이 되는 전원 기판(16)으로부터 섀시(13) 내부로의 열전도를 방지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누전 또는 열전도 방지 효과는, 섀시(13)에 대해, 전원 기판(16)과 중첩되는 위치에서 다른 부분보다 함몰된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도 실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기술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실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덴서 칩(101)을 공통 전극(111)과 홀더(180)의 사이에 개재시킬 수도 있다. 즉, 도 1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방전관(15)에 대해 공급하는 전압치를 조정(제한)하는 용량을 형성하기 위해 유전막(100)을 공통 전극(111)과 홀더(180)의 사이에 개재시켰지만, 당해 용량을 콘덴서 칩(101)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콘덴서 칩(101)에 의해 용량을 형성하면, 제조 효율이 향상되어 비용 삭감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 경우,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량(101)은 각 홀더(180)에 대해 일대 일로 형성되게 된다.
(2)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원 기판(16)과 섀시(13)의 절연 또는 단열을 절연성 단열 부재(130)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섀시(13)에 개구부(13a)를 형성함으로써, 전원 기판(16)과 섀시(13)의 절연 또는 단열을 실현하였지만, 절연성 단열 부재(130)를 개재시킴으로써도 절연 또는 단열을 실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절연성 단열 부재(130)는 알루미나 등의 세라 믹스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다.
(3) 그 외, 전원 기판(16)의 기재(17)는, 종이 기재 페놀 수지 동박 적층판에 한정되지 않고, 유리 에폭시제나 세라믹제의 판재라도 무방하다.
(4) 또한, 액정 표시 장치(D)의 표시 패널(11)은, 스위칭 소자가 TFT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위칭 소자가 MIM(Metal Insulator Metal) 등 TFT 이외의 것이라도 무방하다.
(5) 또한, 본 발명의 표시 장치로서는, 액정 표시 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패널의 배면 측에 조명 장치를 필요로 하는 여러 가지의 표시 장치가 포함된다.
(6)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종이 페놀 기판)(200) 상에 유전부로서의 칩 콘덴서(유전 소자)(201)를 실장시켜 홀더(유지 전극)(180)와 공통 전극(111)의 사이의 용량 결합을 실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 기판(200) 상에 홀더(유지 전극)(180)가 실장되고, 이 홀더(180)의 각각에 칩 콘덴서(201)를 개재하여 공통 전극(111)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구성이 된다. 즉, 홀더(180)에 대해 일대 일로 칩 콘덴서(201)를 회로 기판(200) 상에 실장시키고 있다.
(7) 또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유리 에폭시 기판)(100a)을 유전부로 하여, 홀더(유지 전극)(180)와 공통 전극(110a)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회로 기판(100a)의 상면(제1면)에는, 도 14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180)와, 홀더(180)와 동전위의 제1 용량 전극(180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로 기판(100a)의 하면(제2면)에는, 도 15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용량 전극(180a)에 대해 회로 기판(100a)을 개재하여 대향 배치된 제2 용량 전극(110b)과, 제2 용량 전극(110b)과 동전위의 공통 전극(공통 배선)(110a)이 형성되고, 이 공통 전극(110a)과 인버터 기판(19)의 단자(19a)가 기판 이면 측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8) 또한,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유리 에폭시 기판)(100a)을 유전부로 하여, 홀더(유지 전극)(180)와 공통 전극(110a)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회로 기판(100a)의 상면(제1면)에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180)와, 홀더(180)와는 비접속 상태인 제3 용량 전극(110c)과, 제3 용량 전극(110)과 동전위의 공통 전극(공통 배선)(110a)이 형성되고, 이 공통 전극(110a)과 인버터 기판(19)의 단자(19a)가 기판 이면 측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회로 기판(100a)의 하면(제2면)에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100a)을 상면 측으로부터 관통하여 이루어지는 홀더(180)의 리드선(접속 단자부)(180m)과, 이 리드 선(180m)과 접속되어 홀더(180)와 동전위인 제4 용량 전극(180n)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로 기판(100a)의 배선 패턴으로 콘덴서를 형성함으로써, 용이하게 병렬 결합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16의 구성에서는, 회로 기판(100a)의 하면 측에 있어서, 리드 선(180m) 및 제4 용량 전극(180n)과 섀시(13)가 절연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당해 리드 선(180m) 및 제4 용량 전극(180n)과 대향하는 위치에서, 섀시(13)에 대해 절개한 형태의 개구부를 형성하여 절연을 취할 수 있다. 또한, 공통 전극(110a)은, 홀더(180)에 대해 절연하기 위해 우회한 경로를 따르고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표시 장치)의 수평 단면도.
도 2는 액정 표시 장치가 구비하는 조명 장치(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명 장치의 배면도.
도 4는 조명 장치가 구비하는 전원 기판(회로 기판)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전원 기판의 정면도.
도 6은 방전관의 사시도.
도 7은 방전관에 대한 구동 전력의 공급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8은 방전관에 대한 구동 전력의 공급 구조의 일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9는 도 8의 공급 구조의 구성을 별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10은 액정 표시 장치의 일 변형예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 11은 텔레비전 수신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2는 방전관에 대한 구동 전력의 공급 구조의 일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13은 방전관에 대한 구동 전력의 공급 구조의 일 번형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14는 도 13의 평면도.
도 15는 도 13의 저면도.
도 16은 방전관에 대한 구동 전력의 공급 구조의 일 실시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17은 도 16의 평면도.
도 18은 도 16의 저면도.
〈부호의 설명〉
10: 조명 장치(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15: 방전관(광원)
19: 인버터 회로 부품(전원)
T: 전원
100: 유전막(유전부)
110, 111: 공통 전극
180: 홀더(유지 전극)

Claims (24)

  1. 복수 개의 광원과,
    상기 광원에 대해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과,
    상기 구동 전력을 상기 복수 개의 광원에 대해 공급하기 위한 공통 전극과,
    상기 각 광원을 각각 유지함과 함께, 상기 공통 전극으로부터 상기 구동 전력을 상기 각 광원에 대해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복수 개의 유지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과 상기 각 유지 전극의 사이에 개재하는 유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통 전극과 상기 유지 전극과 상기 유전부가 동일한 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부는 상기 공통 전극과 상기 유지 전극의 사이에 형성된 칩 콘덴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부는 상기 기판 상에 실장한 칩 콘덴서로 이루어지고, 당해 칩 콘덴서는 상기 유지 전극에 대해 일대 일로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을 수용하는 섀시를 구비하고,
    상기 섀시와 상기 기판의 사이에는 절연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을 수용하는 섀시를 구비하고,
    상기 섀시와 상기 기판의 사이에는 절연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을 수용하는 섀시를 구비하고,
    상기 섀시와 상기 기판의 사이에는 절연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전극은 상기 복수 개의 광원에 대해 일괄적으로 상기 구동 전력을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전극은 상기 복수 개의 광원에 대해 일괄적으로 상기 구동 전력을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전극은 상기 복수 개의 광원에 대해 일괄적으로 상기 구동 전력을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방전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고주파 전압을 생성하는 인버터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구동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전극은 상기 단자를 유지하고 또한 당해 단자를 개재하여 상기 광원에 상기 구동 전력을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구동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전극은 상기 단자를 유지하는 도전성의 클립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선 형상 광원으로서, 당해 선 형상 광원의 양단에 상기 구동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가 형성됨과 함께, 당해 양단의 단자에 대해, 상기 유지 전극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선 형상의 유리관과, 상기 유리관의 양단으로부터 당해 유리관과 동축이면서 직선 형상으로 돌출하는 외부 리드와, 당해 외부 리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상기 유리관의 양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단자를 구성하는 페룰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부는 상기 공통 전극과 상기 유지 전극의 사이에 형성된 유전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전극이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유전부가 상기 유지 전극의 각각에 대해 접속된 유전 소자로서, 상기 유지 전극의 각각은 상기 유전 소자를 개재하여 상기 공통 전극과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전극이 상기 기판의 제1면 상에 형성되고, 당해 제1면 상에는 상기 유지 전극과 동전위의 제1 용량 전극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공통 전극이 상기 기판의 상기 제1면과는 반대 측인 제2면 상에 형성되고, 당해 제2면 상에는 상기 공통 전극과 동전위의 제2 용량 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용량 전극과 상기 제2 용량 전극은, 상기 기판을 개재하여 대향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전극이 상기 기판의 제1면 상에 형성되고, 당해 제1면 상에는 상기 유지 전극과는 절연된 공통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과 동전위의 제3 용량 전극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기판의 상기 제1면과는 반대 측의 제2면 상에는, 상기 유지 전극의 단자부로서 당해 기판을 관통하여 이루어지는 접속 단자부와, 상기 접속 단자부와 동전위의 제4 용량 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 용량 전극과 상기 제4 용량 전극은, 상기 기판을 개재하여 대향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을 수용하는 섀시를 구비하고,
    상기 섀시는 상기 기판과 중첩되는 위치에서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을 수용하는 섀시를 구비하고,
    상기 섀시는 상기 기판과 중첩되는 위치에서 다른 부분보다 함몰된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22. 복수 개의 광원과, 상기 광원에 대해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과, 상기 구동 전력을 상기 복수 개의 광원에 대해 공급하기 위한 공통 전극과, 상기 각 광원을 각각 유지함과 함께, 상기 공통 전극으로부터 상기 구동 전력을 상기 각 광원에 대해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복수 개의 유지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과 상기 각 유지 전극의 사이에 개재하는 유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통 전극과 상기 유지 전극과 상기 유전부가 동일한 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와,
    상기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로부터의 빛을 이용하여 표시를 행하는 표시 패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이 액정을 이용한 액정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4. 복수 개의 광원과, 상기 광원에 대해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과, 상기 구동 전력을 상기 복수 개의 광원에 대해 공급하기 위한 공통 전극과, 상기 각 광원을 각각 유지함과 함께, 상기 공통 전극으로부터 상기 구동 전력을 상기 각 광원에 대해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복수 개의 유지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과 상기 각 유지 전극의 사이에 개재하는 유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통 전극과 상기 유지 전극과 상기 유전부가 동일한 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와,
    상기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로부터의 빛을 이용하여 표시를 행하는 표시 패널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20087017508A 2007-02-15 2007-10-15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표시 장치,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200800780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35192 2007-02-15
JPJP-P-2007-00035192 2007-02-1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0806A Division KR100910084B1 (ko) 2007-02-15 2007-10-15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069A true KR20080078069A (ko) 2008-08-26

Family

ID=3968978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7140A KR20090055622A (ko) 2007-02-15 2007-10-15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표시 장치,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20087010806A KR100910084B1 (ko) 2007-02-15 2007-10-15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KR1020087017508A KR20080078069A (ko) 2007-02-15 2007-10-15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표시 장치, 텔레비전 수신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7140A KR20090055622A (ko) 2007-02-15 2007-10-15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표시 장치, 텔레비전 수신 장치
KR1020087010806A KR100910084B1 (ko) 2007-02-15 2007-10-15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7615935B2 (ko)
EP (1) EP1983252B1 (ko)
JP (2) JP4153028B1 (ko)
KR (3) KR20090055622A (ko)
CN (2) CN101365906B (ko)
DE (1) DE112007000369B4 (ko)
GB (2) GB2455244B (ko)
HK (2) HK1128751A1 (ko)
WO (1) WO20080995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07000369B4 (de) * 2007-02-15 2010-08-26 Sharp Kabushiki Kaisha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e Anzeigevorrichtung, Anzeigevorrichtung und Fernsehempfänger
KR101327853B1 (ko) * 2007-06-08 2013-1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494214B1 (ko) * 2007-10-05 2015-02-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CN101896767B (zh) * 2007-12-12 2012-10-03 夏普株式会社 照明装置、显示装置和电视接收装置
US8454183B2 (en) * 2008-06-17 2013-06-04 Sharp Kabushiki Kaisha Light source holder,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EP2375124A4 (en) * 2009-01-08 2013-02-27 Sharp Kk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WO2010092717A1 (ja) * 2009-02-12 2010-08-1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用照明装置、表示装置、テレビ受信装置
US20110273090A1 (en) * 2009-02-12 2011-11-10 Sharp Kabushiki Kaisha Light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WO2010092718A1 (ja) * 2009-02-12 2010-08-1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用照明装置、表示装置、テレビ受信装置
US20110279737A1 (en) * 2009-02-12 2011-11-17 Sharp Kabushiki Kaisha Lighting device fo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20100214725A1 (en) * 2009-02-24 2010-08-26 General Electric Company Parallel printed wiring board for lamp electronic assembly and bracket therefor
WO2010097994A1 (ja) * 2009-02-25 2010-09-02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BRPI0924306A2 (pt) * 2009-02-25 2016-01-26 Sharp Kk dispositivo de iluminação, dispositivo de exibição e receptor de televisão
JPWO2010100803A1 (ja) 2009-03-05 2012-09-06 シャープ株式会社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TWI381225B (zh) * 2009-04-08 2013-01-01 Au Optronics Corp 具纏繞體電連接套的燈管裝置及光源模組
DE202009017664U1 (de) 2009-11-10 2010-05-12 Vavouras, Alexis CCFL-Leuchtensystem
JP5387633B2 (ja) * 2011-08-05 2014-01-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放電管及び該放電管を備えた発光装置
JP5874059B2 (ja) * 2011-11-21 2016-03-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有機el照明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JP2016181624A (ja) * 2015-03-24 2016-10-13 シャープ株式会社 放熱モジュール、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CN105957787B (zh) * 2016-06-17 2024-03-29 深圳市槟城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气体放电管用组件、气体放电管及其集成件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2578B2 (ja) * 1991-05-31 2004-05-31 三菱電機株式会社 放電ランプおよびこれを用いる画像表示装置
JP2001272659A (ja) * 2000-03-24 2001-10-05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US6674250B2 (en) * 2000-04-15 2004-01-06 Guang-Sup Cho Backlight including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0759362B1 (ko) * 2001-01-18 2007-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US6586863B2 (en) * 2001-06-28 2003-07-0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Rosen type piezoelectric transformer with multiple output electrodes
TW558732B (en) * 2001-09-19 2003-10-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Light source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731304B1 (ko) * 2001-12-19 200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음극선관 방식 램프, 이를 갖는 수납용기 및 이를 갖는액정표시장치
KR100434331B1 (ko) 2002-05-22 2004-06-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백 라이트
JP2004220980A (ja) * 2003-01-16 2004-08-05 Tama Electric Co Ltd バックライト装置
NZ526028A (en) * 2003-05-21 2006-02-24 Pure Depth Ltd Backlighting system for display screen utilised to control the distribution of power to at least one light source
JP4554989B2 (ja) * 2003-07-30 2010-09-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陰極管点灯装置
KR100572140B1 (ko) * 2003-12-12 2006-04-24 주식회사 엘에스텍 직하형 백라이트 장치
JP4312654B2 (ja) * 2004-05-07 2009-08-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冷陰極管点灯装置
KR101044472B1 (ko) * 2004-06-30 2011-06-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다램프 구동을 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채용한액정표시장치
KR100641005B1 (ko) * 2004-07-30 2006-11-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JP4719486B2 (ja) * 2004-10-01 2011-07-06 三星電子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有する表示装置
KR100646427B1 (ko) * 2005-03-04 2006-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병렬 구동이 가능한 램프 결합 구조
JP2006344602A (ja) * 2005-06-09 2006-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ランプ、ランプホルダー、電源供給モジュール、そ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表示装置
KR20060131242A (ko) * 2005-06-15 200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음극 형광램프, 이의 제조 방법, 이를 갖는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액정표시장치
KR20060131248A (ko) 2005-06-15 200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JP2007035532A (ja) * 2005-07-29 2007-02-08 Sharp Corp バックライト装置,液晶表示装置,ランプホルダ,バックライト装置の組み立て方法
TWI311225B (en) * 2006-01-23 2009-06-21 Chi Mei Optoelectronics Corp Flat panel display and backlight module thereof
CN101201504B (zh) * 2006-12-11 2010-10-13 乐金显示有限公司 背光单元和包括该背光单元的液晶显示模块
EP1933194B1 (en) * 2006-12-13 2014-01-08 LG Display Co., Ltd.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including the same
DE112007000369B4 (de) * 2007-02-15 2010-08-26 Sharp Kabushiki Kaisha Beleuchtungsvorrichtung für eine Anzeigevorrichtung, Anzeigevorrichtung und Fernsehempfäng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55244A (en) 2009-06-10
US7969099B2 (en) 2011-06-28
JP5021573B2 (ja) 2012-09-12
JPWO2008099532A1 (ja) 2010-05-27
WO2008099532A1 (ja) 2008-08-21
US7615935B2 (en) 2009-11-10
HK1128751A1 (en) 2009-11-06
GB0903750D0 (en) 2009-04-15
DE112007000369B4 (de) 2010-08-26
KR100910084B1 (ko) 2009-07-30
KR20080077955A (ko) 2008-08-26
EP1983252B1 (en) 2012-12-12
GB2448094B (en) 2009-07-22
US20080218089A1 (en) 2008-09-11
US20110221979A1 (en) 2011-09-15
CN101916698A (zh) 2010-12-15
HK1127390A1 (en) 2009-09-25
GB0813279D0 (en) 2008-08-27
DE112007000369T5 (de) 2008-11-27
US8237370B2 (en) 2012-08-07
CN101365906A (zh) 2009-02-11
GB2448094A (en) 2008-10-01
EP1983252A1 (en) 2008-10-22
GB2455244B (en) 2009-07-22
JP2008251543A (ja) 2008-10-16
CN101365906B (zh) 2010-09-29
JP4153028B1 (ja) 2008-09-17
EP1983252A4 (en) 2010-12-22
KR20090055622A (ko) 2009-06-02
US20090256789A1 (en) 200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084B1 (ko) 표시 장치용 조명 장치
KR100925546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US8154505B2 (en) Backlight module having a chambered circuit board
KR101318223B1 (ko)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1350972B1 (ko)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US844159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09113201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テレビ受信装置
WO2011058862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100971947B1 (ko)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JP4913216B2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WO2011070873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100929206B1 (ko) 액정표시장치모듈
WO2011074346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WO2010103703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101351553B1 (ko) 액정표시장치
WO2010092719A1 (ja) 表示装置用照明装置、表示装置、テレビ受信装置
JPWO2010103704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