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6765A - 휴대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6765A
KR20080076765A KR1020080012967A KR20080012967A KR20080076765A KR 20080076765 A KR20080076765 A KR 20080076765A KR 1020080012967 A KR1020080012967 A KR 1020080012967A KR 20080012967 A KR20080012967 A KR 20080012967A KR 20080076765 A KR20080076765 A KR 20080076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upper housing
terminal device
groov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2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6646B1 (ko
Inventor
히사미쯔 다까기
사또시 간바야시
하야또 시다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6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5/00Sinkers for angl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상측 하우징의 하단에 커브를 형성하지 않고, 상측 하우징을 좌우로 기울일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하측 하우징과, 상측 하우징과, 하측 하우징에 힌지 접속되는 동시에 전방면에서 상측 하우징 배면을 지지하며 하측 하우징에 대하여 상측 하우징과 일체적으로 개폐하는 중간 하우징을 구비한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측 하우징과 중간 하우징 중 한 쪽이 상하로 연장되는 수직 홈을 갖고, 다른 쪽이 그 수직 홈에 들어가서 수직 홈에 안내되는 돌기를 구비한 것이며, 수직 홈과 돌기에 의해, 상측 하우징을 좌측 쓰러짐 상태와 우측 쓰러짐 상태 사이에서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를 구비하였다.
하우징, 수직 홈, 돌기, 회전 기구, 커브

Description

휴대 단말 장치 {MOBIL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상측 하우징과 하측 하우징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절첩식의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기에는, 표준적인 통화 기능이나 전자 메일의 송수신 기능 등 외에,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기능이나, 웹 사이트를 열람하기 위한 브라우저 기능이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위한 텔레비전 기능 등이 탑재되어 왔다. 휴대 전화기는, 단순히 커뮤니케이션을 도모하기 위한 수단에 그치지 않고, 디지털 카메라, 퍼스널 컴퓨터, 및 텔레비전을 대신하게 되는 자기 전용의 다기능 단말기로서 폭넓은 연대에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통상적인 텔레비전이나 퍼스널 컴퓨터는, 표시 화면이 가로로 긴 형상인 것에 대해, 휴대 전화기는, 한 손에 의한 파지성이나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말기 전체가 세로로 긴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표시 화면도 세로로 긴 형상인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문에, 통상적인 텔레비전이나 퍼스널 컴퓨터 등에 표시되는 가로로 긴 형상의 화상을 휴대 전화기로 열람할 경우, 세로로 긴 형상의 표시 화면에 맞게 화상을 작게 축소하여 표시하거나, 표시 화면에 대하여 화상을 횡방향 으로 표시하고, 유저는 휴대 전화기를 횡방향으로 파지하여 화상을 열람하는 경우가 많아, 화상의 크기와 휴대 전화기의 파지성 중 어느 한 쪽이 희생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 점에 관한 것으로, 특허 문헌1에는, 표시 화면이 설치된 상측 하우징과, 조작자가 구비된 하측 하우징과, 하측 하우징에 힌지 접속되는 동시에, 상측 하우징의 축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하우징을 구비한 절첩식의 휴대 전화기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 문헌1에 기재된 휴대 전화기에 의하면, 텔레비전을 시청할 경우 등에는, 표시 화면에 대하여 화상을 횡방향으로 표시하고, 상측 하우징을 지지 하우징에 대하여 좌우로 회전시킴으로써, 표시 화면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화상을 크게 표시시킬 수 있는 동시에, 휴대 전화기를 바르게 종방향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텔레비전을 시청할 수 있다.
<특허 문헌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319043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1의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하우징을 지지 하우징에 설치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데 있어서, 상측 하우징의 각이 힌지에 간섭받지 않도록, 상측 하우징의 하단을 중앙으로부터 좌우 양단을 향하여 크게 커브시켜 둘 필요가 있어, 표시 화면이 작아지거나, 디자인이 한정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상측 하우징의 하단에 커브를 형성하지 않고, 상측 하우징을 좌우로 기울일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 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하측 하우징과,
상측 하우징과,
하측 하우징에 힌지 접속되는 동시에 전방면에서 상측 하우징 배면을 지지하며 하측 하우징에 대하여 상측 하우징과 일체적으로 개폐되는 중간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측 하우징과 중간 하우징 중 한 쪽인 제1 하우징이, 상측 하우징과 중간 하우징 중 다른 쪽인 제2 하우징을 향한 면에, 상하로 연장되는 수직 홈을 갖고,
제2 하우징이, 제1 하우징을 향한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수직 홈에 들어가서 수직 홈에 안내되는 돌기를 구비하고,
수직 홈과 돌기에 의해, 상측 하우징을, 상측 하우징이 좌로 쓰러진 좌측 쓰러짐 상태와 우로 쓰러진 우측 쓰러짐 상태 사이에서, 좌측 쓰러짐 상태와 우측 쓰러짐 상태의 중간인 기립 상태를 경유하여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하면, 돌기가 수직 홈에 안내됨으로써 상측 하우징과 중간 하우징 사이의 거리가 벌어져, 상측 하우징의 하단이 중간 하우징에 부딪치지 않는 위치에서 상측 하우징이 회전되기 때문에, 상측 하우징의 하단에 간섭 방지용의 커브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디자인이 한정되는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측 하우징에 표시 화면을 설치함으로써, 화상의 치수에 따른 방향에서 화상을 표시하고, 휴대 단말 장치를 파지한 상태에서 표시 화면을 기울여 화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측 하우징과 중간 하우징 사이에, 상측 하우징을 아래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기립 상태에서는, 가압 부재에 의해 상측 하우징이 기립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상측 하우징이 기울어지면, 가압 부재에 의해 상측 하우징이 좌측 쓰러짐 상태 및 우측 쓰러짐 상태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상측 하우징을 기립 상태, 좌측 쓰러짐 상태, 및 우측 쓰러짐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하측 하우징과 중간 하우징을 힌지 접속하고 있는 힌지부에, 상측 하우징을 회전시킬 때에 상측 하우징과 미끄럼 이동하여 상측 하우징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측 하우징이 가이드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상측 하우징을 부드럽게 회전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이, 수직 홈 외에 상측 하우징을 회전시킬 때의 상측 하우징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 홈을 갖고,
제2 하우징이, 돌기 외에 안내 홈에 들어가서 상측 하우징을 회전시킬 때의 상측 하우징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규제하는 안내 핀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 홈에 의해 돌기가 상하 방향으로 안내되는 동시에, 안내 홈에 의해 안 내 핀이 안내되어 상측 하우징의 상하 방향의 위치가 규제됨으로써, 회전 시에 있어서의 상측 하우징의 덜걱거림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이, 돌기 외에 상측 하우징을 회전시킬 때의 상측 하우징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 홈을 갖고,
상기 제1 하우징이, 수직 홈 외에 안내 홈에 들어가서 상측 하우징을 회전시킬 때의 상측 하우징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규제하는 안내 핀을 갖는 것도 바람직하다.
안내 홈은, 돌기가 구비된 제2 하우징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안내 핀은, 수직 홈이 형성된 제1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홈이, 좌우 대칭으로 중앙으로부터 좌우를 향함에 따라 비스듬히 상승하는 형상의 홈인 것이 적합하다.
이 바람직한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하면, 상측 하우징을 좌측 쓰러짐 상태 및 우측 쓰러짐 상태로 부드럽게 기울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홈이 좌우 대칭의 2개의 원호 형상의 홈이 중앙에서 접속한 형상의 홈인 것도 바람직하다.
안내 핀과 원호 형상의 안내 홈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서도, 상측 하우징을 부드럽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하측 하우징과 중간 하우징을 힌지 접속하고 있는 힌지부에, 상측 하우징이, 좌측 쓰러짐 상태, 기립 상태, 및 우 측 쓰러짐 상태 중 어느 하나에 있을 때의 상측 하우징의 힌지부측의 면이 맞대어져서 상측 하우징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규제하는 받이대를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받이대가 구비됨으로써, 좌측 쓰러짐 상태, 기립 상태, 및 우측 쓰러짐 상태에서의 상측 하우징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돌기가 중공 돌기이며, 중공 돌기를 관통하여, 상측 하우징과 하측 하우징을 접속하는 전기 케이블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휴대 전화기 등에서는, 상측 하우징 및 하측 하우징 각각에, 표시 화면이나 조작자 등의 전기 부품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상측 하우징과 하측 하우징을 전기 케이블로 접속할 필요가 있다. 전기 케이블을 중공 돌기를 관통시켜 배선함으로써, 전기 케이블의 길이를 경감할 수 있는 동시에, 전기 케이블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 핀이 중공 핀이며, 중공 핀을 관통하여, 상측 하우징과 하측 하우징을 접속하는 전기 케이블을 구비한 것도 바람직하다.
전기 케이블을 중공 핀을 관통시켜 배선하는 것에 의해서도, 전기 케이블의 단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하측 하우징과 중간 하우징을 힌지 접속하고 있는 힌지부의 좌우 양 단부에, 상측 하우징의, 힌지부측의 단부면과 의 사이에 손끝을 넣어 상측 하우징을 들어 올리는 오목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부가 형성됨으로써, 휴대 단말 장치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측 하우징을 기울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홈은, 상측 하우징이 좌측 쓰러짐 상태에 있을 때의 상측 하우징의 우측의 단부 테두리가 중간 하우징의 우측 단부 테두리와 동일면을 이루고, 상측 하우징이 우측 쓰러짐 상태에 있을 때의 상측 하우징의 좌측의 단부 테두리가 중간 하우징의 좌측 단부 테두리와 동일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측 하우징을 기울였을 때에, 상측 하우징의 단부 테두리와 중간 하우징의 단부 테두리가 동일면을 이룸으로써, 외관의 인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홈은, 상측 하우징이 좌측 쓰러짐 상태에 있을 때의 상측 하우징의 우측의 단부 테두리가 중간 하우징의 우측 단부 테두리보다도 우측으로 돌출되고, 상측 하우징이 우측 쓰러짐 상태에 있을 때의 상측하우징의 좌측의 단부 테두리가 중간 하우징의 좌측 단부 테두리보다도 좌측으로 돌출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측 하우징을 기울였을 때에, 상측 하우징의 단부 테두리를 중간 하우징의 단부 테두리보다도 돌출시켜, 상측 하우징 전체를 중앙으로 모음으로써, 휴대 단말 장치를 파지할 때의 안정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측 하우징이, 기립 상태 에 있을 때의 하측 하우징의 변 양측에 오목부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중간 하우징이,
오목부에 끼워져 좌우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측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이동 갈고리와,
이동 갈고리끼리 좌우 방향으로 서로 끌어 당기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보조 가압 부재와,
이동 갈고리에 간섭하여 이동 갈고리의 이동을 제지하는 제지 갈고리와,
가압됨으로써 제지 갈고리에 의한 이동 갈고리의 간섭을 해제하는 조작자를 구비한 것이 적합하다.
이 바람직한 휴대 단말 장치에 의하면, 유저는 조작자를 누르기만 하여도 용이하게 상측 하우징을 기울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간 하우징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랙 기어를 구비한 것이며,
상기 상측 하우징이, 기립 상태에 있을 때의 하측 하우징의 좌우 양 코너에, 랙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온 기어와, 피니온 기어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상측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한 것도 바람직하다.
유저는, 큰 힘을 가하지 않고도 상측 하우징을 기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측 하우징의 하단에 커브를 형성하지 않고, 상측 하우징을 좌우로 기울일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가 적용된 휴대 전화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되는 휴대 전화기에는, 외부 장치와의 사이에서 음성이나 전자 메일 등을 송수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 외에,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 기능이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열람하기 위한 텔레비전 기능 등이 탑재되어 있다.
휴대 전화기는, 액정 패널(101)이 설치된 상측 하우징(100A)과, 유저가 손으로 쥐는 하측 하우징(100B)과, 하측 하우징(100B)에 힌지 접속된 중간 하우징(100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측 하우징(100A)은, 중간 하우징(100C)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측 하우징(100A) 및 중간 하우징(100C)은, 하측 하우징(100B)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개폐된다. 상측 하우징(100A)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상측 하우징의 일례에 상당하고, 하측 하우징(100B)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하측 하우징의 일례에 상당하고, 중간 하우징(100C)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중간 하우징의 일례에 상당한다. 이들 상측 하우징(100A), 하측 하우징(100B), 및 중간 하우징(100C)의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한다.
상측 하우징(100A)에는, 전화 번호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나 촬영 화상 등이 표시되는 액정 패널(101), 및 내부에 스피커(도2 참조)가 배비되고, 스피커로부터 발생하는 음성을 발하기 위한 송화구(102)가 구비되어 있으며, 하측 하우징(100B)에는, 각종 기능의 선택이나, 촬영을 행할 때의 셔터 버튼으로서 사용되는 선택 버 튼(104), 전화 번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푸시 버튼(105), 및 내부에 마이크로폰(도2 참조)이 배치 구비되며, 소리를 마이크로폰에 전하기 위한 수화구(106)가 구비되어 있다.
계속해서, 휴대 전화기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는, 휴대 전화기의 내부 블럭도이다.
도2에는, CPU(110), ROM(111), 불휘발 메모리(112), RAM(113), 마이크 디바이스(121), 표시 디바이스(122), 스피커 디바이스(123), 키 디바이스(124), 카메라 디바이스(125), 시계(126), 근거리 디바이스(131), 원거리 디바이스(132), 텔레비전 디바이스(133), 미디어 컨트롤러(140), 기록 미디어(141), 및 충전지(150)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 사이에는 버스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CPU(110)는,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능을 갖고, 이 휴대 전화기의 전체를 제어하고 있다.
ROM(111)에는, CPU(110)에서 실행되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그들 각종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각종 상수가 기억되어 있고, CPU(110)는, ROM(111)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113)을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하면서 실행한다.
불휘발 메모리(112)에는, 어드레스북이나 수신한 전자 메일 등, 재기입할 수 있는 각종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마이크 디바이스(121)는, 유저의 소리를 픽업하는 마이크로폰 및 그 마이크로폰으로 픽업된 소리를 처리하는 기능 블록이다.
스피커 디바이스(123)는, 유저를 향하여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그 스 피커를 구동하는 음성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 블록이다.
카메라 디바이스(125)는, 사진 촬영에 의한 화상 데이터의 수집을 담당하는 블록이며, 표시 디바이스(122)는, 액정 패널(101)(도1 참조)로의 화상 표시를 담당하는 블록이며, 키 디바이스(124)는, 유저에 의한 각종 키 조작을 검출하는 블록이며, 시계(126)는 현재 시각을 취득하기 위한 블록이다.
미디어 컨트롤러(140)는, 장전된 기록 미디어(141)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카메라 디바이스(125)에서 생성된 화상 데이터 등을 기록 미디어(141)에 기입하기 위한 것이다.
근거리 디바이스(131)는, 근거리에 있는 외부 장치에, 화상이나 전화 번호 등을 기지국(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지 않고 적외선 통신에 의해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원거리 디바이스(132)는, 기지국(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통화나 전자 메일의 송수신 등을 행하기 위한 것이다.
텔레비전 디바이스(133)는, 안테나로 수신한 전파를 튜너에 의해 디지털의 프로그램 데이터로 변환하여, 프로그램 데이터가 나타내는 프로그램을 액정 패널(101)(도1 참조)에 표시시키는 블록이다.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는, 기본적으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상측 하우징(100A), 하측 하우징(100B), 및 중간 하우징(100C)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상측 하우징(100A) 및 중간 하우징(100C)을 하측 하우징(100B)에 대하여 열린 상태에서, 액정 패널(101)이 설치된 측을 앞, 액정 패널(101)이 설치된 측의 이면측을 뒤로 칭하며 설명한다.
도3은, 상측 하우징(100A)이 떼어진 상태에서의 하측 하우징(100B)과 중간 하우징(100C)의 표면측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4는 상측 하우징(100A)의 이면측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 하우징(100B)과 중간 하우징(100C)은, 힌지부(200)에 있어서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힌지부(200)에는 상측 하우징(100A)이 맞대어지는 맞댐대(201)가 형성되어 있고, 중간 하우징(100C)의 표면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홈(210)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부(200)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힌지부의 일례에 상당하고, 상하홈(210)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수직 홈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맞댐대(201)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가이드의 일례에 상당하는 동시에, 본 발명에서 말하는 받이대의 일례에도 상당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중간 하우징(10OC)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1 하우징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하우징(100A)의 이면측에는, 관통 구멍(311)이 형성된 중공의 돌기(310)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310)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돌기의 일례에 상당하고, 이 예에서는, 상측 하우징(100A)이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2 하우징의 일례에 상당한다.
도4에 도시하는 상측 하우징(100A)의 돌기(310)가, 도3에 도시하는 중간 하우징(100C)의 상하홈(210)에 끼워넣어짐으로써, 상측 하우징(100A)이 중간 하우징(100C)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5는, 휴대 전화기의 투시도이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하우징(100C)의 상하홈(210)에 상측 하우징(100A)의 돌기(310)가 들어가 있으며, 돌기(310)의 관통 구멍(311)에는, 상측 하우징(100A)과 하측 하우징(100B)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케이블(410)이 관통하고 있다. 전기 케이블(410)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전기 케이블의 일례에 상당한다.
도2에 도시하는 CPU(110)는 하측 하우징(100B)에 구비되어 있으며, 스피커 디바이스(123), 카메라 디바이스(125), 및 표시 디바이스(122) 등은 상측 하우징(100A)에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CPU(110)와 각종 요소 사이에서 지시나 각종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상측 하우징(100A)과 하측 하우징(100B)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서는, 전기 케이블(410)이 돌기(310)의 관통 구멍(311)을 관통함으로써, 배선의 복잡화가 회피되고, 전기 케이블을 짧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전기 케이블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휴대 전화기에는, 상측 하우징(100A)을 하측 하우징(100B)을 향하여 하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420)도 구비되어 있다. 스프링(420)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가압 부재의 일례에 상당한다.
도6은, 상측 하우징(100A)을 하측 하우징(100B)에 대하여 기울이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6에서는,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 도5에 도시하는 전기 케이블(410)이나 스프링(420) 등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상측 하우징(100A)이 하측 하우징(100B)에 대하여 기울여지지 않은 기립 상태에서는(도6의 스텝S11), 도5에 도시하는 스프링(420)이 상측 하우징(100A)을 하측 하우징(100B)을 향하여 하향으로 가압하고 있어, 상측 하우징(100A)은 하측 하우징(100B)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유지된다. 또한, 상측 하우징(100A)의 하측이 맞댐대(201)에 맞대어짐으로써, 상측 하우징(100A)의 덜걱거림이 경감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6의 스텝 S11에 도시하는 기립 상태에서, 상측 하우징(100A)과 중간 하우징(100C)의 폭이 일치되게 되어, 돌기(310)가 상하홈(210)의 최하의 위치에 오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측 하우징(100A)을 좌측으로 기울이면, 우선 돌기(310)가 상하홈(210)에 안내되어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한다(도6의 스텝S12). 처음에는, 도5에 도시하는 스프링(420)에 의해, 상측 하우징(100A)이 기립 상태(도6의 스텝S11)로 유지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지만, 그 가압력에 반하여 더욱 상측 하우징(100A)을 기울이면, 45도 정도 기울인 부근부터는, 상측 하우징(100A)이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압된다. 그 결과, 상측 하우징(100A)은, 좌하 코너가 맞댐대(201)에 의해 안내되는 동시에, 돌기(310)가 상하홈(210)에 안내되어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함으로써(도6의 스텝S12), 하측 하우징(100B)에 대하여 좌측으로 쓰러진다(도6의 스텝S13).
스텝 S13에 도시하는 좌측 쓰러짐 상태에서는, 상측 하우징(100A)의, 하측 하우징(100B)과 대향하는 측의 면(1001)이 맞댐대(201)에 맞대어져 있으며, 또한 스프링(420)에 의해 상측 하우징(100A)이 좌측 쓰러짐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향으로 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좌측 쓰러짐 상태에 있어서의 덜걱거림도 경감된다. 또한, 좌측 쓰러짐 상태에서는, 상측 하우징(100A)의 우측의 단부 테두리(1002)는, 중간 하우징(100C)의 우측의 단부 테두리와 동일면을 이루고, 또한 상측 하우징(100A)의 상측의 단부 테두리(1003)는, 중간 하우징(100C)의 상측의 단부 테두리와 동일면을 이루고 있다.
계속해서, 좌측 쓰러짐 상태(도6의 스텝S13)로부터, 유저가 상측 하우징(100A)을 우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처음에는, 도5에 도시하는 스프링(420)에 의해, 상측 하우징(100A)이 좌측 쓰러짐 상태로 유지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지만, 기립 상태에 가까워짐에 따라,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압된다. 그 결과, 상측 하우징(100A)은 맞댐대(201)에 의해 안내되면서 회전하여, 기립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유저가 기립 상태(도6의 스텝 S11)로부터 상측 하우징(100A)을 우측으로 기울이면(도6의 스텝 S14), 상측 하우징(100A)은, 돌기(310)가 상하홈(210)에 안내되는 동시에, 우하 코너가 맞댐대(201)에 의해 안내되어, 하측 하우징(100B)에 대하여 우측으로 쓰러진다(도6의 스텝S15).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 의하면, 상측 하우징(100A) 하부 코너에 큰 커브를 형성하지 않고, 상측 하우징(100A)을 용이하게 하측 하우징(100B)에 대하여 좌우로 기울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상측 하우징(10OA)에 큰 액정 패널(101)을 설치할 수 있어, 휴대 전화기의 파지성을 유지한 채, 화상을 크게 표시하여 열람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을 종료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는, 중간 하우징(100C)에 형성된 상하홈(210)의 길이가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하지만, 그 이외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 형태와의 상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7은,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상측 하우징(100A)을 하측 하우징(100B)에 대하여 기울이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는, 도6에 도시하는 제1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와 거의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고 있지만, 상하홈(210')이 제1 실시 형태의 상하홈(210)보다도 길고, 도7의 스텝S21에 도시하는 기립 상태에서(도7의 스텝S21), 돌기(310)가 상하홈(210')의 중간 위치에 오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측 하우징(100A)이 좌측으로 기울어지면(도7의 스텝S22),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5에 도시하는 스프링(420)에 의해 상측 하우징(100A)이 하향으로 가압되고, 돌기(310)가 상하홈(210')에 안내되고, 상측 하우징(100A)의 좌하 코너가 맞댐대(201) 등에 의해 안내된다.
상측 하우징(100A)이 하측 하우징(100B)에 대하여 좌로 쓰러진 좌측 쓰러짐 상태에서는(도7의 스텝S23), 도6에 도시하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좌측 쓰러짐 상태(도6의 스텝S13)와는 달리, 상측 하우징(100A)의 우측의 단부 테두리(1004)는, 중간 하우징(100C)의 우측의 단부 테두리(1005)와 동일면을 이루지 않고, 상측 하우징(100A) 전체가 중앙으로 모아져 있다.
또한, 상측 하우징(100A)이 우측으로 기울어져(도7의 스텝S24), 하측 하우 징(100B)에 대하여 완전하게 우측으로 쓰러진 경우에도(도7의 스텝S25), 상측 하우징(100A)의 좌측의 단부 테두리(1006)는, 중간 하우징(100C)의 좌측의 단부 테두리(1007)와 동일면을 이루지 않고, 상측 하우징(100A)이 중앙으로 모아져 있다.
이와 같이, 상측 하우징(100A)을 좌측 쓰러짐 상태 및 우측 쓰러짐 상태로 기울였을 때, 상측 하우징(100A) 전체를 중앙으로 모음으로써, 휴대 전화기를 파지 했을 때의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설명을 종료하고,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는, 힌지부(200)의 형상이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하지만, 그 이외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와의 상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8은,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의 상측 하우징(100A)과 중간 하우징(100C)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9는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의 상측 하우징(100A)과 중간 하우징(100C)의 사시도이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 하우징(100C)의 힌지부(200)의 좌우 양 단부에 오목부(520)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20)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오목부의 일례에 상당한다.
또한,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520)는, 상측 하우징(100A)과 맞댐대(201) 사이에 형성된 간극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측 하우징(100A)이 하측 하우징(100B)에 대하여 45도 정도 기울어지면, 도5에 도시하는 스프링(420)의 가압력에 의해, 상측 하우징(100A)이 좌측 쓰러짐 상태 및 우측 쓰러짐 상태까지 자동 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유저는, 휴대 전화기를 한 손으로 파지하며, 오목부(520)에 손끝을 넣어 상측 하우징(100A)을 밀어 올리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상측 하우징(100A)을 횡방향으로 쓰러뜨릴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설명을 종료하고,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 형태와의 상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10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기의 투시도이다.
도10의 (A)에는 휴대 전화기를 정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10의 (B)에는 휴대 전화기를 측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10에 도시하는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서는, 도5에 도시하는 제1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와 마찬가지로, 상측 하우징(100A)이 스프링(420)에 의해 하향으로 가압되고 있으며, 또한 중간 하우징(100C)에 형성된 상하홈(210)에 상측 하우징(100A)의 돌기(310)가 들어감으로써, 상측 하우징(100A)이 중간 하우징(100C)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는, 유저가 중간 하우징(100C)의 좌우 양단에 설치된 버튼(611)을 누름으로써, 상측 하우징(100A)이 좌우 각각으로 회전한다.
도11은 도10에 도시하는 휴대 전화기의, 버튼(611)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11의 (A)에는 휴대 전화기의, 버튼(611) 부근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11의 (B)에는 버튼(611) 부근을 정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11의 (C)에는 버튼(611) 부근을 측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는, 상측 하우징(100A)을 좌측으로 기울이기 위한 좌측 요소와, 상측 하우징(100A)을 우측으로 기울이기 위한 우측 요소가 구비되어 있지만, 좌측 요소와 우측 요소는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이들을 대표하여 좌측 요소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중간 하우징(100C)에는, 버튼(611)으로부터 연장되는 버튼 갈고리(613)와, 버튼 갈고리(613)를 버튼(611)을 향하여 인장하는 버튼 스프링(612)과, 버튼 갈고리(613)에 의해 눌러짐으로써, 축(616)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전하는 레버(614)와, 레버(614)를 상향으로 가압하는 판 스프링(615)과, 레버(614)의 선단에 설치된 로크 갈고리(617)와, 로크 갈고리(617)에 의해 이동이 제지되는 이동 갈고리(618)와, 이동 갈고리(618)를 축(616) 방향을 향하여 인장하는 인장 스프링(619)이 구비되어 있고, 상측 하우징(100A)에는, 상측 하우징(100A)이 기립 상태에서 이동 갈고리(618)가 끼워지는 기립 구멍(621)과, 상측 하우징(100A)이 좌측 쓰러짐 상태에서 이동 갈고리(618)가 끼워지는 쓰러짐 구멍(622)이 형성되어 있다.
버튼(611)이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동 갈고리(618)는 인장 스프링(619)에 의해 축(616) 방향(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인장되고 있지만, 이동 갈고리(618)는 로크 갈고리(617)에 의해 로크되고, 또한 상측 하우징(100A)의 기립 구멍(621)에 끼워짐으로써, 이동이 제지되고 있다. 또한, 도5에 도시하는 스프링(420)에 의해 상측 하우징(100A)이 하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상측 하우징(100A)이 기립 상태 로 유지된다.
도12는 버튼(611)을 눌렀을 때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13 및 도14는 상측 하우징(100A)의 회전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유저가 버튼(611)을 누르면,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614)가 버튼 갈고리(613)에 눌러짐으로써 레버(614)가 축(616)을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회전되어, 로크 갈고리(617)가 내려가 이동 갈고리(618)를 제지하고 있던 로크가 해제된다. 로크가 해제되면, 이동 갈고리(618)는 상측 하우징(100A)의 기립 구멍(621)에 끼워진 상태에서 인장 스프링(619)에 의해 우측 방향으로 인장된다. 그 결과,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장 스프링(619)에 의한 인장력(A)이 스프링(420)(도5 참조)에 의한 기립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의 가압력(B)보다도 뛰어나, 돌기(310)가 상하홈(210)에 가이드되어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측 하우징(100A)이 좌측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도12에 도시하는 레버(614)는 판 스프링(615)에 의해 상방향으로 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버튼(611)이 눌러짐으로써 레버(614)가 하방향으로 이동되고, 로크가 해제되어 이동 갈고리(618)가 로크 갈고리(617)를 타고 넘으면, 레버(614)는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버튼(610)이 원상태로 복귀된다.
또한, 상측 하우징(100A)이 45도 정도 회전하게 되면, 도12에 도시하는 이동 갈고리(618)는 상측 하우징(100A)의 기립 구멍(621)으로부터 빠져, 상측 하우징(100A)을 우방향으로 인장하는 힘은 없어지지만,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420)(도5 참조)이 상측 하우징(100A)을 회전 방향과 동일한 하향으로 가압함으 로써, 상측 하우징(100A)이 좌측 쓰러짐 상태까지 회전된다. 좌측 쓰러짐 상태까지 회전하게 되면, 이동 갈고리(618)가 상측 하우징(100A)의 쓰러짐 구멍(622)에 끼워져, 이동이 제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 의하면, 유저는 버튼(610)을 누르기만 하여도 용이하게 상측 하우징(100A)을 기울일 수 있다.
좌측 쓰러짐 상태로부터 기립 상태로 복귀할 때는, 유저가 상측 하우징(100A)을 상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고, 또한 우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동 갈고리(618)가 상측 하우징(100A)의 쓰러짐 구멍(622)으로부터 빠져 인장 스프링(619)에 의한 인장력에 반하여 좌측으로 이동되어, 기립 상태에서 이동 갈고리(618)가 기립 구멍(621)에 끼워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설명을 종료하고,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는, 상측 하우징(100A) 및 하측 하우징(100B)에 상측 하우징(100A)을 자동적으로 기울이기 위한 모터 등이 구비되어 있지만, 그 이외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와의 상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15는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서의 상측 하우징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16은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의 중간 하우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는, 도4에 도시하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돌기(310)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측 하우징(100A) 의 하측에는, 피니온 기어(712)와, 피니온 기어(712)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711)와, 상측 하우징(100A)을 좌우 각각으로 기울이기 위한 기울기 버튼(70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는, 도3에 도시하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상하홈(210)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측 하우징(100A)의 2개의 피니온 기어(712) 각각이 맞물리는 랙 기어(720)가 구비되어 있다.
도17은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상측 하우징(100A)을 하측 하우징(100B)에 대하여 기울이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측 하우징(100A)이 기립 상태에서는(도17의 스텝S31), 돌기(310)는 상하홈(2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고, 상측 하우징(100A)에 설치된 2개의 피니온 기어(712)가 중간 하우징(100C)에 설치된 랙 기어(720)와 맞물려 있다.
유저가 상측 하우징(100A)을 좌측으로 기울이기 위한 기울기 버튼(700)을 누르면, 도2에 도시하는 CPU(110)로부터 모터(711)에 구동 지시가 전해져, 모터(711)가 우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그 결과, 2개의 피니온 기어(712)가 회전되어 랙 기어(720)를 따라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우측의 피니온 기어(712)가 랙 기어(720)로부터 빠진 후, 돌기(310)가 상하홈(210)에 안내되는 동시에, 좌측의 피니온 기어(712)가 랙 기어(720)에 안내됨으로써, 상측 하우징(100A)이 좌방향으로 회전된다(도17의 스텝S32).
상측 하우징(100A)이 좌방향으로 기울면, 상측 하우징(100A)이 맞댐대(201)에 의해 맞대어져, 피니온 기어(712)의 이동이 정지된다(도17의 스텝S33).
또한, 유저에 의해 상측 하우징(100A)을 우측으로 기울이기 위한 기울기 버튼(700)이 눌러지면, 모터(711)가 좌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2개의 피니온 기어(712)가 좌방향으로 이동되고, 좌측의 피니온 기어(712)가 랙 기어(720)로부터 빠진 후, 상측 하우징(100A)이 우방향으로 회전된다(도17의 스텝S34). 상측 하우징(100A)이 우측 쓰러짐 상태까지 기울어지면, 이동이 정지된다(도17의 스텝S35).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 의하면, 유저는 기울기 버튼(70O)을 누르기만 하여도,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고 상측 하우징을 기울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설명을 종료하고,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 형태와의 상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18은,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서의 중간 하우징(100C)의 표면측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중간 하우징(100C)에는, 도3에 도시하는 제1 실시 형태의 중간 하우징(100C)과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홈(210)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하홈(210)의 하측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V자 홈(211)이 형성되어 있다. V자 홈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안내 홈의 일례에 상당한다.
도19는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서의 상측 하우징(100A)의 이면측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상측 하우징(100A)에는, 도4에 도시하는 제1 실시 형태의 상측 하우징(100A)과 마찬가지로, 상하홈(210)에 끼우는 돌기(310)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V자 홈(211)에 끼워지는 보조 돌기(312)도 구비되어 있다. 보조 돌기(312)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안내 핀의 일례에 상당한다.
도20은, 상측 하우징(100A), 하측 하우징(100B), 및 중간 하우징(100C)의 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서도, 돌기(310)와 접속되어 상측 하우징(100A)을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42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조 돌기(312)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 하우징(100A)과 하측 하우징(100B)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케이블(410)이 보조 돌기(312)의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배선되어 있다. 전기 케이블(410)이 보조 돌기(312)의 관통 구멍을 관통하는 것에 의해서도, 전기 케이블의 단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21은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서의 각종 치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서는, 도21의 (A)에 도시하는 좌측 쓰러짐 상태에서, 상측 하우징(100A)의 우측 테두리부터 돌기(310)의 중심까지의 사이의 거리(B1)가 상측 하우징(100A)의 하측 테두리부터 상하홈(210)의 중심까지의 거리(B2)와 동일하고, 돌기(310)의 중심부터 보조 돌기(312)의 중심까지의 거리(C1)가, 돌기(310)의 중심부터 도20의 (B)에 도시하는 기립 상태에서의 보조 돌기(312) 의 중심까지의 거리(C2)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하우징(100A)을 부드럽게 회전시키기 위해, 상측 하우징(100A)의 하측 테두리와 맞댐대(201) 사이에 간극(A)이 벌어져 있다. 이러한 치수의 상측 하우징 및 중간 하우징을 적용함으로써, 좌측 쓰러짐 상태에서 상측 하우징(100A)의 우측 테두리를 중간 하우징(100C)의 우측 테두리에 맞추고, 우측 쓰러짐 상태에서 상측 하우징(100A)의 좌측 테두리를 중간 하우징(100C)의 좌측 테두리에 맞추고, 또한 그들 좌측 쓰러짐 상태 및 우측 쓰러짐 상태에서 상측 하우징(100A)의 상측 테두리와 중간 하우징(100C)의 상측 테두리를 맞출 수 있다.
도22는 상측 하우징(100A)을 하측 하우징(100B)에 대하여 기울이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측 하우징(100A)이 기립 상태에서는(도22의 스텝S41), 도21의 (B)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310)가 상하홈(210)의 최하 위치에 있으며, 보조 돌기(312)는 V자 홈(211)의 최하 위치에 와 있다.
유저가 상측 하우징(100A)을 좌측으로 기울이면, 우선 돌기(310)가 상하홈(210)에 안내되어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보조 돌기(312)가 V자 홈(211)의 우측의 홈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상측 하우징(100A)이 도20에 도시하는 스프링(420)의 가압력에 반하여, 좌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도22의 스텝 S42).
상측 하우징(100A)이 45도 정도 회전하게 되면, 스프링(420)에 의해, 상측 하우징(100A)이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압되고, 상측 하우징(100A)은, 하부 코너가 맞댐대(201)에 의해 안내되면서 회전되어, 하측 하우징(100B)에 대하여 좌측으로 쓰러진다(도22의 스텝S43).
또한, 유저가 상측 하우징(100A)을 우측으로 기울이면(도22의 스텝S44), 상측 하우징(100A)은 돌기(310)가 상하홈(210)에 안내되는 동시에, 보조 돌기(312)가 V자 홈(211)의 좌측의 홈을 따라 안내되면서 우방향으로 회전되어, 하측 하우징(100B)에 대하여 우측으로 쓰러진다(도22의 스텝S45). 이와 같이, 상하홈(210) 외에 V자 홈(211)이 형성됨으로써, 보다 부드럽게 상측 하우징(100A)을 기울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설명을 종료하고,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와 상하홈(210)의 치수 등은 상이하지만, 제6 실시 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기 때문에, 제6 실시 형태와의 상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23은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서의 각종 치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서는, 도23의 (A)에 도시하는 좌측 쓰러짐 상태에서, 중간 하우징(100C)의 우측 테두리부터 상측 하우징(100A)의 우측 테두리까지의 사이를 거리(β), 돌기(310)의 중심부터 보조 돌기(312)의 중심까지의 사이를 거리(J)로 했을 때에, 상측 하우징(100A)의 우측 테두리부터 돌기(310)의 중심까지의 사이를 거리(H+β)로 하고, 돌기(310)의 중심부터 도23의 (B)에 도시하는 기립 상태에서의 보조 돌기(312)의 중심까지의 사이를 거리(J-β)로 한다. 또한, 상측 하우징(100A)을 부드럽게 회전시키기 위해, 상측 하우징(100A)의 하측 테두리와 맞댐대(201) 사이에 간극(G)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치수로 상측 하우징 및 중간 하우징을 형성함으로써, 좌측 쓰러짐 상태 및 우측 쓰러짐 상태에 있어서, 상측 하우징(100A)을 중앙으로 모을 수 있어, 유저가 휴대 전화기를 파지할 때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24는 상측 하우징(100A)을 하측 하우징(100B)에 대하여 기울이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측 하우징(100A)이 기립 상태에서는(도24의 스텝S51), 도23의 (B)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310)가 상하홈(210)의 중앙 위치에 있으며, 보조 돌기(312)는 V자 홈(211)의 최하 위치에 와 있다.
유저가 상측 하우징(100A)을 좌측으로 기울이면, 돌기(310)가 상하홈(210)에 안내되고, 보조 돌기(312)가 V자 홈(211)의 우측의 홈을 따라 안내됨으로써, 상측 하우징(100A)이 좌방향으로 회전한다(도24의 스텝S52).
상측 하우징(100A)이 좌측 쓰러짐 상태까지 회전하게 되면(도24의 스텝 S53), 상측 하우징(100A)이 맞댐대(201)에 의해 간섭되어, 이동이 정지된다.
또한, 상측 하우징(100A)을 우측으로 기울이면(도24의 스텝S54), 상측 하우징(100A)은 돌기(310)가 상하홈(210)에 안내되는 동시에, 보조 돌기(312)가 V자 홈(211)의 좌측의 홈을 따라 안내되면서 우측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하측 하우징(100B)에 대하여 우측으로 쓰러진다(도24의 스텝 S55).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 의하면, 상측 하우징을 기울였을 때에, 상측 하우징을 중앙으로 모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설명을 종료하고,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는, 중간 하우징과 상측 하우징 사이의 간극의 치수 등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와 거의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기 때문에, 제7 실시 형태와의 상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25는,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서의 각종 치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서는, 도25의 (A)에 도시하는 좌측 쓰러짐 상태에서의 중간 하우징(100C)의 우측 테두리부터 상측 하우징(100A)의 우측 테두리까지의 사이를 거리(α), 돌기(310)의 중심부터 보조 돌기(312)의 중심까지의 사이를 거리(F), 도25의 (B)에 도시하는 기립 상태에서의 상측 하우징(100A)의 하측 테두리와 맞댐대(201) 사이의 간극을 거리(D)로 했을 때에, 도25의 (A)에 도시하는 좌측 쓰러짐 상태에서, 상측 하우징(100A)의 우측 테두리부터 돌기(310)의 중심까지의 사이를 거리(E+α)로 하고, 돌기(310)의 중심부터 도25의 (B)에 도시하는 기립 상태에서의 보조 돌기(312)의 중심까지의 사이를 거리(F)로 한다.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 의하면, 상측 하우징(100A)을 좌측 기울임 상태나 우측 기울임 상태로 기울였을 때, 상측 하우징(100A)을 중앙으로 모이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상측 하우징(100A)을 상방으로 들어 올릴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의 설명을 종료하고,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 형태와의 상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26은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중간 하우징(100C)의 표면측 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중간 하우징(100C)에는, 도3에 도시하는 제1 실시 형태의 중간 하우징(100C)과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홈(210)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측 하우징(100B)을 향하여 돌출되는 보조 돌기(313)가 구비되어 있다. 이 보조 돌기(313)도, 본 발명에서 말하는 안내 핀의 일례에 상당한다.
도27은, 본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상측 하우징(100A)의 이면측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상측 하우징(100A)에는, 도4에 도시하는 제1 실시 형태의 상측 하우징(100A)과 마찬가지로, 상하홈(210)에 끼워지는 돌기(310)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보조 돌기(313)가 끼워지는 원호 홈(212)도 구비되어 있다. 원호 홈(212)은, 좌우 대칭의 2개의 원호 형상의 홈이 중앙에서 연결된 형상을 갖고 있다. 이 원호 홈(212)도, 본 발명에서 말하는 안내 홈의 일례에 상당한다.
도28은 상측 하우징(100A)을 하측 하우징(100B)에 대하여 기울이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측 하우징(100A)이 기립 상태에서는(도28의 스텝S61), 돌기(310)가 상하홈(210)의 최하 위치에 있고, 원호 홈(212)의 중심 위치에 보조 돌기(313)가 끼워져 있다.
유저가 상측 하우징(100A)을 좌측으로 기울이면, 우선 돌기(310)가 상하홈(210)에 안내되어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원호 홈(212)의 좌측의 홈이 보 조 돌기(313)를 끼운 상태에서 슬라이드하여, 상측 하우징(100A)이 좌방향으로 회전한다(도28의 스텝 S62).
상측 하우징(100A)이 하측 하우징(100B)에 대하여 좌측으로 쓰러진 좌측 쓰러짐 상태에서는(도28의 스텝 S63), 돌기(310)가 상하홈(210)의 최하 위치로 이동되고, 보조 돌기(313)는 원호 홈(212)의 좌측의 홈의 선단에 끼워진다.
또한, 유저가 상측 하우징(100A)을 우측으로 기울이면(도28의 스텝S64), 상측 하우징(100A)은 돌기(310)가 상하홈(210)에 안내되는 동시에, 보조 돌기(313)를 끼운 상태에서 원호 홈(212)의 우측의 홈이 슬라이드하여, 하측 하우징(100B)에 대하여 우측으로 쓰러진다(도28의 스텝 S65). 이와 같이, V자 홈을 대신하여 원호 홈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서도 상측 하우징을 부드럽게 기울일 수 있다. 또한, 보조 돌기를 홈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보조 돌기가 끼워진 상태에서 홈을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상측 하우징을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를 휴대 전화에 적용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는, PDA 등에 적용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상하홈을 중간 하우징에 형성하고, 돌기를 상측 하우징에 형성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서 말하는 수직 홈은, 중간 하우징이 아니고 상측 하우징에 형성해도 되고, 본 발명에 돌기는, 상측 하우징이 아니고 중간 하우징에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힌지부는, 중간 하우징이나 하부 하우징에 일체 구성된 것이어도 되고, 힌지 모듈로서 하우징과는 별체 구성된 것이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종 형태에 대하여 부기한다.
(부기1)
하측 하우징과,
상측 하우징과,
상기 하측 하우징에 힌지 접속되는 동시에 전방면에서 상기 상측 하우징 배면을 지지하며 상기 하측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상측 하우징과 일체적으로 개폐하는 중간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 하우징과 상기 중간 하우징 중 한 쪽인 제1 하우징이, 상기 상측 하우징과 상기 중간 하우징 중 다른 쪽인 제2 하우징을 향한 면에, 상하로 연장되는 수직 홈을 갖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을 향한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수직 홈에 들어가서 상기 수직 홈에 안내되는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 홈과 상기 돌기에 의해, 상기 상측 하우징을, 상기 상측 하우징이 좌로 쓰러진 좌측 쓰러짐 상태와 우로 쓰러진 우측 쓰러짐 상태 사이에서, 상기 좌측 쓰러짐 상태와 상기 우측 쓰러짐 상태의 중간인 기립 상태를 경유하여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부기2)
상기 상측 하우징과 상기 중간 하우징 사이에, 상기 상측 하우징을 아래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1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
(부기3)
상기 하측 하우징과 상기 중간 하우징을 힌지 접속하고 있는 힌지부에, 상기 상측 하우징을 회전시킬 때에 상기 상측 하우징과 미끄럼 이동하여 상기 상측 하우징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1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
(부기4)
상기 제1 하우징이, 상기 수직 홈 외에 상기 상측 하우징을 회전시킬 때의 상기 상측 하우징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 홈을 갖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돌기 외에 상기 안내 홈에 들어가서 상기 상측 하우징을 회전시킬 때의 상기 상측 하우징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규제하는 안내 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1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
(부기5)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돌기 외에 상기 상측 하우징을 회전시킬 때의 상기 상측 하우징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 홈을 갖고,
상기 제1 하우징이, 상기 수직 홈 외에 상기 안내 홈에 들어가서 상기 상측 하우징을 회전시킬 때의 상기 상측 하우징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규제하는 안내 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1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
(부기6)
상기 안내 홈이, 좌우 대칭으로 중앙으로부터 좌우를 향함에 따라 비스듬히 상승하는 형상의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4 또는 5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
(부기7)
상기 안내 홈이 좌우 대칭의 2개의 원호 형상의 홈이 중앙에서 접속한 형상의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4 또는 5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
(부기8)
상기 하측 하우징과 상기 중간 하우징을 힌지 접속하고 있는 힌지부에, 상기 상측 하우징이, 상기 좌측 쓰러짐 상태, 상기 기립 상태, 및 상기 우측 쓰러짐 상태 중 어느 하나에 있을 때의 상기 상측 하우징의 상기 힌지부측의 면이 맞대어져 상기 상측 하우징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규제하는 받이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1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
(부기9)
상기 돌기가 중공 돌기이며, 상기 중공 돌기를 관통한, 상기 상측 하우징과 상기 하측 하우징을 접속하는 전기 케이블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1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
(부기10)
상기 안내 핀이 중공 핀이며, 상기 중공 핀을 관통한, 상기 상측 하우징과 상기 하측 하우징을 접속하는 전기 케이블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4 또는 5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
(부기11)
상기 하측 하우징과 상기 중간 하우징을 힌지 접속하고 있는 힌지부의 좌우 양 단부에, 상기 상측 하우징의, 상기 힌지부측의 단부면과의 사이에 손끝을 넣어 상기 상측 하우징을 들어 올리는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1에 기재 된 휴대 단말 장치.
(부기12)
상기 안내 홈은, 상기 상측 하우징이 좌측 쓰러짐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상측 하우징의 우측의 단부 테두리가 상기 중간 하우징의 우측 단부 테두리와 동일면을 이루고, 상기 상측 하우징이 우측 쓰러짐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상측 하우징의 좌측의 단부 테두리가 상기 중간 하우징의 좌측 단부 테두리와 동일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4 또는 5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
(부기13)
상기 안내 홈은, 상기 상측 하우징이 좌측 쓰러짐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상측 하우징의 우측의 단부 테두리가 상기 중간 하우징의 우측 단부 테두리보다도 우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상측 하우징이 우측 쓰러짐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상측 하우징의 좌측의 단부 테두리가 상기 중간 하우징의 좌측 단부 테두리보다도 좌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4 또는 5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
(부기14)
상기 상측 하우징이, 상기 기립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하측 하우징의 변 양측에 오목부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중간 하우징이,
상기 오목부에 끼워져 좌우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상측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이동 갈고리와,
상기 이동 갈고리끼리를 상기 좌우 방향으로 서로 끌어 당기는 방향으로 가 압하는 보조 가압 부재와,
상기 이동 갈고리에 간섭하여 상기 이동 갈고리의 이동을 제지하는 제지 갈고리와,
가압됨으로써 상기 제지 갈고리에 의한 상기 이동 갈고리의 간섭을 해제하는 조작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1에 기재된 휴대 단말 장치.
(부기15)
상기 중간 하우징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랙 기어를 구비한 것이며,
상기 상측 하우징이, 상기 기립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하측 하우징의 좌우 양 코너에, 상기 랙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온 기어와, 상기 피니온 기어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상기 상측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1에 기재의 휴대 단말 장치.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가 적용된 휴대 전화기의 외관 사시도.
도2는 휴대 전화기의 내부 블럭도.
도3은 상측 하우징이 떼어진 상태에서의 하측 하우징과 중간 하우징의 표면측을 도시하는 도면.
도4는 상측 하우징의 이면측을 도시하는 도면.
도5는 상측 하우징, 하측 하우징, 및 중간 하우징의 투시도.
도6은 상측 하우징을 하측 하우징에 대하여 기울이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7은 제2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상측 하우징을 하측 하우징에 대하여 기울이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8은 제3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에 있어서의 상측 하우징과 중간 하우징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9는 상측 하우징과 중간 하우징의 사시도.
도10은 제4 실시 형태에서의 휴대 전화기의 투시도.
도11은 휴대 전화기의 버튼 부근의 확대도.
도12는 버튼을 눌렀을 때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13은 상측 하우징의 회전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14는 버튼을 눌렀을 때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15는 제5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서의 상측 하우징을 도시하는 도면.
도16은 휴대 전화기에서의 중간 하우징을 도시하는 도면.
도17은 상측 하우징을 하측 하우징에 대하여 기울이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18은 제6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서의 중간 하우징의 표면측을 도시하는 도면.
도19는 중간 하우징의 표면측을 도시하는 도면.
도20은 상측 하우징, 하측 하우징, 및 중간 하우징의 투시도.
도21은 휴대 전화기에서의 각종 치수를 도시하는 도면.
도22는 상측 하우징을 하측 하우징에 대하여 기울이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23은 제7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서의 각종 치수를 도시하는 도면.
도24는 상측 하우징을 하측 하우징에 대하여 기울이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25는 제8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서의 각종 치수를 도시하는 도면.
도26은 제9 실시 형태의 휴대 전화기에서, 중간 하우징의 표면측을 도시하는 도면.
도27은 상측 하우징의 이면측을 도시하는 도면.
도28은 상측 하우징을 하측 하우징에 대하여 기울이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 전화기
100A : 상측 하우징
100B : 하측 하우징
10OC : 중간 하우징
101 : 액정 패널
102 : 송화구
104 : 선택 버튼
105 : 푸시 버튼
106 : 수화구
110 : CPU
111 : ROM
112 : 불휘발 메모리
113 : RAM
121 : 마이크 디바이스
122 : 표시 디바이스
123 : 스피커 디바이스
124 : 키 디바이스
125 : 카메라 디바이스
126 : 시계
131 : 근거리 디바이스
132 : 원거리 디바이스
133 : 텔레비전 디바이스
140 : 미디어 컨트롤러
150 : 충전지
200 : 힌지부
201 : 맞댐대
210 : 상하 홈
310 : 돌기
311 : 관통 구멍
410 : 전기 케이블

Claims (10)

  1. 하측 하우징과,
    상측 하우징과,
    상기 하측 하우징에 힌지 접속되는 동시에 전방면에서 상기 상측 하우징 배면을 지지하며 상기 하측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상측 하우징과 일체적으로 개폐하는 중간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 하우징과 상기 중간 하우징 중 한 쪽인 제1 하우징이, 상기 상측 하우징과 상기 중간 하우징 중 다른 쪽인 제2 하우징을 향한 면에, 상하로 연장되는 수직 홈을 갖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을 향한 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수직 홈에 들어가서 상기 수직 홈에 안내되는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 홈과 상기 돌기에 의해, 상기 상측 하우징을, 상기 상측 하우징이 좌로 쓰러진 좌측 쓰러짐 상태와 우로 쓰러진 우측 쓰러짐 상태 사이에서, 상기 좌측 쓰러짐 상태와 상기 우측 쓰러짐 상태의 중간인 기립 상태를 경유하여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하우징과 상기 중간 하우징 사이에, 상기 상측 하우징을 아래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이, 상기 수직 홈 외에 상기 상측 하우징을 회전시킬 때의 상기 상측 하우징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 홈을 갖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돌기 외에 상기 안내 홈에 들어가서 상기 상측 하우징을 회전시킬 때의 상기 상측 하우징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규제하는 안내 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돌기 외에 상기 상측 하우징을 회전시킬 때의 상기 상측 하우징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 홈을 갖고,
    상기 제1 하우징이, 상기 수직 홈 외에 상기 안내 홈에 들어가서 상기 상측 하우징을 회전시킬 때의 상기 상측 하우징의 상하 방향의 위치를 규제하는 안내 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홈이, 좌우 대칭으로 중앙으로부터 좌우를 향함에 따라 비스듬히 상승하는 형상의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홈이 좌우 대칭의 2개의 원호 형상의 홈이 중앙에서 접속한 형상의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가 중공 돌기이며, 상기 중공 돌기를 관통한, 상기 상측 하우징과 상기 하측 하우징을 접속하는 전기 케이블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하우징과 상기 중간 하우징을 힌지 접속하고 있는 힌지부의 좌우 양 단부에, 상기 상측 하우징의, 상기 힌지부측의 단부면과의 사이에 손끝을 넣어 상기 상측 하우징을 들어 올리는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하우징이, 상기 기립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하측 하우징의 변 양측에 오목부가 형성된 것이며,
    상기 중간 하우징이,
    상기 오목부에 끼워져 좌우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상측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이동 갈고리와,
    상기 이동 갈고리끼리를 상기 좌우 방향으로 서로 끌어 당기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보조 가압 부재와,
    상기 이동 갈고리에 간섭하여 상기 이동 갈고리의 이동을 제지하는 제지 갈고리와,
    가압됨으로써 상기 제지 갈고리에 의한 상기 이동 갈고리의 간섭을 해제하는 조작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하우징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랙 기어를 구비한 것이며,
    상기 상측 하우징이, 상기 기립 상태에 있을 때의 상기 하측 하우징의 좌우 양 코너에, 상기 랙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온 기어와, 상기 피니온 기어를 회전 구동함으로써, 상기 상측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KR1020080012967A 2007-02-14 2008-02-13 휴대 단말 장치 KR1010066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33702 2007-02-14
JP2007033702A JP4973221B2 (ja) 2007-02-14 2007-02-14 携帯端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765A true KR20080076765A (ko) 2008-08-20
KR101006646B1 KR101006646B1 (ko) 2011-01-10

Family

ID=39686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2967A KR101006646B1 (ko) 2007-02-14 2008-02-13 휴대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25312B2 (ko)
JP (1) JP4973221B2 (ko)
KR (1) KR101006646B1 (ko)
CN (1) CN1012474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2735A (ja) * 2005-02-10 2006-08-24 Sharp Corp 通信機器
US7991441B2 (en) * 2006-11-23 2011-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wing hinge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nd dual hinge device having the same
JP2009264460A (ja) * 2008-04-24 2009-11-12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二軸ヒンジ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WO2010035307A1 (ja) * 2008-09-24 2010-04-01 富士通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
CN101750698A (zh) * 2008-12-10 2010-06-2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镜头模组及应用该镜头模组的电子装置
US20100186234A1 (en) 2009-01-28 2010-07-29 Yehuda Binder Electric shaver with imaging capability
JP4691697B2 (ja) 2009-01-27 2011-06-01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959381B (zh) * 2009-07-13 2015-06-0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TWI476565B (zh) * 2009-08-10 2015-03-11 Chi Mei Comm Systems Inc 便攜式電子裝置
TWI372333B (en) * 2009-11-11 2012-09-11 Htc Corp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5375578B2 (ja) * 2009-12-15 2013-12-25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JP5272269B2 (ja) * 2010-07-09 2013-08-28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US8662769B2 (en) 2011-01-10 2014-03-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Keyboard with rotatable portion
EP2477091A1 (en) * 2011-01-10 2012-07-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Keyboard with rotatable portion
USD921637S1 (en) 2019-11-22 2021-06-08 Fintie Llc Case for electronic device with pencil holder
USD909391S1 (en) 2019-12-02 2021-02-02 Fintie Llc Case for electronic device with multi-angle stand cover
USD922390S1 (en) 2020-01-27 2021-06-15 Fintie Llc Case for electronic device with multi-angle stand cover
USD922391S1 (en) 2020-01-27 2021-06-15 Fintie Llc Case for electronic device with detachable keyboard
USD980225S1 (en) 2020-02-19 2023-03-07 Fintie Llc Protective case for electronic device
USD923011S1 (en) 2020-02-19 2021-06-22 Fintie Llc Stand cover for electronic device
USD942982S1 (en) 2020-06-22 2022-02-08 Fintie Llc Case for electronic device with multi-angle rotatable stand
USD940723S1 (en) 2020-07-09 2022-01-11 Fintie Llc Case for electronic device with multi-angle stand
USD991936S1 (en) 2020-08-31 2023-07-11 Fintie Llc Case for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multi-configuration stand
USD986251S1 (en) 2021-09-20 2023-05-16 Fintie Llc Stand cover for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33405B2 (en) * 1990-02-27 1993-01-28 Fujitsu Limited Portable telephone having a cover
JP3737160B2 (ja) * 1995-03-31 2006-01-18 富士通株式会社 折り畳み携帯電話機用ヒンジ機構及び折り畳み携帯電話機
JP3739641B2 (ja) * 2000-04-19 2006-01-25 富士通株式会社 折りたたみ型携帯機
KR20000064177A (ko) * 2000-05-01 2000-11-06 권용순 이동 단말기
KR100438433B1 (ko) * 2001-06-26 2004-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피디에이 겸용 디지털 카메라 통신 휴대 장치
JP2003249985A (ja) * 2002-02-22 2003-09-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り畳み型移動体通信端末装置
JP4061473B2 (ja) 2002-04-26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JP2004172986A (ja) * 2002-11-20 2004-06-17 Nec Access Technica Ltd 携帯端末、その姿勢検出方法
EP1463272A1 (en) * 2003-03-26 2004-09-2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lamshell-type mobile terminal with a better access to input keys
FI118668B (fi) * 2003-04-01 2008-01-31 Samsung Electro Mech Matkapuhelin ja sen automaattinen pyöritysmenetelmä
JP2004312476A (ja) * 2003-04-09 2004-11-04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
US7450977B2 (en) * 2003-07-31 2008-11-11 Vodafone K.K.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187607B2 (ja) * 2003-08-14 2008-11-26 富士通株式会社 移動式無線通信装置
KR100563724B1 (ko) * 2003-08-22 2006-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2축 회전힌지모듈을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557078B1 (ko) * 2003-11-06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회전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834626B1 (ko) * 2004-05-06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슬라이딩/스윙 타입 휴대 장치
CN100502624C (zh) * 2004-08-27 2009-06-1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铰链结构
CN101036374A (zh) * 2004-10-01 2007-09-12 夏普株式会社 移动信息终端
JP2006186655A (ja) * 2004-12-27 2006-07-13 Sony Corp 携帯端末装置
JP4203476B2 (ja) * 2005-01-24 2009-01-07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情報装置
JP4384059B2 (ja) * 2005-01-31 2009-12-16 シャープ株式会社 折畳み式携帯電話
KR20060095310A (ko) 2005-02-28 2006-08-3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반자동 스윙모듈 및 이 스윙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0689530B1 (ko) * 2005-03-16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듈 교체형 휴대용 단말기
KR100652718B1 (ko) * 2005-04-04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어구동형 슬라이드 모듈 및 그 개폐방법
US7414834B2 (en) * 2005-04-21 2008-08-19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synchronising hinge
KR100788995B1 (ko) * 2005-08-10 2007-12-28 주식회사 팬택 추가 키패드를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JP4638403B2 (ja) * 2006-11-09 2011-02-23 株式会社山本精密 スライド・回転取付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99385A (ja) 2008-08-28
KR101006646B1 (ko) 2011-01-10
CN101247423B (zh) 2011-06-01
US7925312B2 (en) 2011-04-12
CN101247423A (zh) 2008-08-20
JP4973221B2 (ja) 2012-07-11
US20080194303A1 (en) 2008-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646B1 (ko) 휴대 단말 장치
US763202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otatable camera
KR100709652B1 (ko) 폴더식 휴대전화
EP2136538B1 (en) Portable terminal
EP2106100B1 (en) Slide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EP2434730B1 (en) Slidable and tiltable portable terminal
US9083104B2 (en) Mobile terminal
US8576549B2 (en) Two-axis hinge and mobile device
US8046036B2 (en) Slide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640452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JP4210288B2 (ja) 携帯型無線端末機
JP4761344B2 (ja) 携帯情報端末装置
JP3746284B2 (ja) 携帯電話機
JP4252021B2 (ja) 携帯電話機
KR102215610B1 (ko) 접이식 멀티미디어 단말기
JP4974079B2 (ja) 折り畳み式通信端末
KR101545571B1 (ko) 휴대 단말기
KR101354399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0621006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060074289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
KR20040077189A (ko) 카메라렌즈에 포착된 영상을 보조액정화면에 표시하기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9025659A (ja) 携帯用表示機器の表示部回転装置
KR20090109892A (ko)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JP2006254040A (ja) 携帯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