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6350A - 차량 입출을 통제하는 차단기 및 차단기를 이용한 차량입출 통제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입출을 통제하는 차단기 및 차단기를 이용한 차량입출 통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6350A
KR20080076350A KR1020070016162A KR20070016162A KR20080076350A KR 20080076350 A KR20080076350 A KR 20080076350A KR 1020070016162 A KR1020070016162 A KR 1020070016162A KR 20070016162 A KR20070016162 A KR 20070016162A KR 20080076350 A KR20080076350 A KR 20080076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eader
approach
camera
regular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재
조용준
이태욱
한우철
Original Assignee
우원전자 주식회사
대림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원전자 주식회사, 대림대학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우원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6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76350A/ko
Publication of KR20080076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3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입출을 통제하는 차단기 및 차단기를 이용한 차량 입출 통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단기에 카메라 및 RF 리더기를 구비하여 정기주차 차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단기만으로 차량 입출을 용이하게 통제할 수 있는데 적당하도록 한 차량 입출을 통제하는 차단기 및 차단기를 이용한 차량 입출 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차량 입출을 통제하는 차단기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차단 바(bar)와 상기 차단 바를 개폐하는 차단 몸체로 구성되는 차량 입출을 통제하는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차단 바(bar)에는 입출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차단 몸체에는 상기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차량접근 감지기와, RF 태그와 통신하는 RF 리더기와, 상기 차량접근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를 받은 경우 상기 RF 리더기와 상기 카메라를 동작시키고, 상기 RF 리더기로부터 전송받은 정보 데이터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송받은 차량의 영상으로부터 상기 접근 차량이 정기 주차 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차단 바를 개폐하는 제어기가 포함되어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70016162
차단기, 정기주차, 입출 통제

Description

차량 입출을 통제하는 차단기 및 차단기를 이용한 차량 입출 통제 방법{crossing gate for controlling car coming and go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r coming and going by using crossing gate}
도 1은 종래의 주차 관리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량 입출을 통제하는 차단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제어기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단기를 이용한 차량 입출 통제 방법의 절차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차단 바(bar) 110 : 카메라
130 : 조명수단 200 : 차단 몸체
211 : 루프 코일 210 : 차량 접근 감지기
230 : RF 리더기 250 : 제어기
251 : 메모리부 253 : 고유번호 비교부
255 : 차량 번호 인식부 257 : 차량번호 비교부
259 : 정기주차 차량 판단부 300 : 호출폰
310 : 비상호출 버튼 330 : 스피커
350 : 마이크 400 : 관리자
본 발명은 차량 입출을 통제하는 차단기 및 차단기를 이용한 차량 입출 통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단기에 카메라 및 RF 리더기를 구비하여 정기주차 차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단기만으로 차량 입출을 용이하게 통제할 수 있는데 적당하도록 한 차량 입출을 통제하는 차단기 및 차단기를 이용한 차량 입출 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경제적으로 발전하고 국민 개인의 소득이 향상되어 매년 국민 개개인의 자동차 확보율이 증가하고 있고, 동시에 차량의 이용이 매우 빠르게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필연적으로 도심지의 주차장 확장과 증설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주차장의 유료화 운영이라는 신종 사업이 등장하고, 또한 유료 주차장 운영시 인력 감축과 도난 방지 및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주차장 사업 관리를 위하여 주차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근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입출력을 감지하는 차량 입출력 감지부(10)와, 차량 입출력 감지부(10)에 의해 차량의 입력이 감지되면 현재의 주차장 상황을 통신 인터페이스 어 댑터(12)를 통해 주제어장치에 전송하는 컴퓨터(14)와, 컴퓨터(14)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와 키보드(16)를 통해 입력되는 차량 번호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8)에 표시하고, 또한 프린터(20)를 통해 차량 번호와 현재시간 및 기타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주제어장치(2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주차 관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주차장 입구에 차량이 들어오면 차량 입출력 감지장치(10)에 의해 차량이 감지되어 차량 감지 신호가 주제어장치(22)에 전달된다. 그러면, 주제어장치(22)는 통신 인터페이스 어댑터(12)를 통해 컴퓨터(14)에 현재 주차장 상태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여 주차장이 만차 상태인가를 파악한다.
이후, 차량이 들어갈 공간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8)를 통해 이러한 사실을 통보하고, 아울러 차량 번호를 입력할 것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주차 관리원이 키보드(16)를 통해 차량 번호를 입력하면, 주제어장치(22)는 관리원이 입력한 차량 번호를 비롯하여 입차 시간과 날짜와 주차권 일련번호 및 주차장 고유 번호 등을 프린터(20)를 통해 출력한다.
이어서, 상기 내용이 인쇄된 주차권을 주차권 발매기를 통해 운전자에게 발급한다. 한편, 정기권 이용자는 전용 해독기에 삽입하도록 되어 있는바, 이용자가 정기권을 해독기에 삽입하면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차량 번호가 출력되도록 하여 관리원이 현재 정기권 사용 등록 차량인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주차 관리 시스템은 주차권에 차량 번호가 인쇄되어 있으므로, 타인의 주차권을 가지고는 자차를 출고할 수 없고, 역으로 자차의 주차권 을 가지고 타인의 차량을 출고할 수 없기 때문에 차량 도난을 방지할 수 있고, 장시간 주차되어 있는 차량의 번호를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 주차 차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주차권 분실시에도 요금 정산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동을 가지는 종래의 주차 관리 시스템에 의하며, 차량 번호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주차 관리원이 주차장 입구에 항상 대기하고 있어야 하므로 주차 관리원의 고용으로 인해 시스템 유지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 번호의 입력이 주차 관리원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차량이 주차장 입구에서 오랜 시간 동안 대기해야 하며, 이로 인해 주차장 입구의 혼잡 및 사용자의 불편함이 가중된다.
또한, 차량 번호를 오입력할 우려가 항상 내재되어 있으므로, 차량 출고시 오입력된 차량 번호가 인쇄된 주차권으로 요금을 정산하는 경우에는 자신의 차량임에도 불구하고 도난 차량으로 오해받을 소지가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불편함 내지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입출 차량을 통제하는 구성요소들이 차단기에 모두 구비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입출 차량을 통제할 수 있고, 주차 차량을 주차장 입구 및 출구에서 빠른 시 간 내에 입차 및 출차시킬 수 있으며, 차량 번호의 오입력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입출을 통제하는 차단기 및 차단기를 이용한 차량 입출 통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차량 입출을 통제하는 차단기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차단 바(bar)와 상기 차단 바를 개폐하는 차단 몸체로 구성되는 차량 입출을 통제하는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차단 바(bar)에는 입출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차단 몸체에는 상기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차량접근 감지기와, RF 태그와 통신하는 RF 리더기와, 상기 차량접근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를 받은 경우 상기 RF 리더기와 상기 카메라를 동작시키고, 상기 RF 리더기로부터 전송받은 정보 데이터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송받은 차량의 영상으로부터 상기 접근 차량이 정기 주차 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차단 바를 개폐하는 제어기가 포함되어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 바에는 상기 카메라의 야간 촬영을 위하여 조명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정기 주차 차량의 RF 태그 고유번호 및 차량 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RF 리더기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데이터에 포함되는 고유번호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기 주차 차량 고유번호인지 비교하는 고유번 호 비교부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송받은 차량의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차량번호 인식부와,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에서 인식된 차량번호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기 주차 차량의 차량번호인지 비교하는 차량번호 비교부와, 상기 고유번호 비교부 및 차량번호 비교부의 비교 결과 상기 접근 차량이 정기 주차 차량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차단 바를 개방시켜 상기 접근 차량을 입출고시키고, 상기 접근 차량이 정기 주차 차량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에서 인식된 접근 차량의 차량번호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차단 바를 개방시켜 상기 접근 차량을 입고시키는 정기주차 차량 판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비상호출 버튼, 스피커 및 마이크가 구비된 호출폰과 연결되어, 접근 차량 운전자가 상기 비상호출 버튼을 누른 경우, 상기 호출폰을 관리자와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인 차단기를 이용한 차량 입출 통제 방법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차량 접근 감지부로부터 차량 접근 감지 신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접근 감지부에서 차량 접근 감지 신호가 발생한 경우에는 제어기가 RF 리더기와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RF 리더기로부터 정보 데이터가 전달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RF 리더기로부터 정보 데이터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접근 차량이 정기 주차 차량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에 포함된 접근 차량의 차량 번호를 메모리부에 저장한 후, 차단 바를 개방시켜 접근 차량을 통과시키고, 상기 RF 리더기로부터 정보 데이터가 전달된 경우 에는 상기 접근 차량이 정기 주차 차량인지 판단하여, 정기주차 차량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차단 바를 개방시켜 통과시키고, 정기주차 차량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에 포함된 접근 차량의 차량 번호를 메모리부에 저장한 후, 차단 바를 개방시켜 접근 차량을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기 주차 차량으로 판단된 경우는, 상기 RF 리더기로부터 전달된 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 번호가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기주차 차량의 고유번호와 일치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에 포함된 접근 차량의 차량번호가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기주차 차량번호의 차량번호와 일치한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수단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인 차량 입출을 통제하는 차단기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입출을 통제하는 차단기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입출을 통제하는 차단기는 차단 바(bar)(100)와, 상기 차단 바(100)를 개폐하는 차단 몸체(200)로 구성된다.
상기 차단 바(100)는 보통의 일반적인 차단 바와 달리, 입출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10)가 구비되어 있다. 즉, 차단 바(100)에 접근하는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차단 몸체(200)에 전달한다. 한편, 상기 차단 바(100)에는 상기 카메라(110)가 야간에도 촬영을 할 수 있도록 조명수단(130)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 바(100)를 개폐시키는 상기 차단 몸체(200)에는 보통의 일반적인 차단 몸체와 달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들을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 차단 몸체(200)에는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차량접근 감지기(210)와, RF 태그와 통신하는 RF 리더기(230)와, 상기 RF 리더기(230) 및 카메라(11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차단 바(10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기(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차량접근 감지기(210)는 상기 차단 바(100)로 차량이 접근할 때, 바닥에 배치되어 있는 루프 코일(211)에서 발생하는 자장에 의하여 전류 또는 전압의 변화로 차량 접근을 감지한다. 상기 차량접근 감지기(210)가 상기 차단 바(100)로 차량이 접근되었음을 감지한 때는, 차량 접근 감지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기(250)에 전달한다.
상기 RF 리더기(230)는 안테나를 포함하여 RF 태그(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RF 태그는 정기 주차권에 형성되어, 일반적으로 상기 RF 리더기(230)에서 보내는 RF 신호에 의하여 동작한다. 상기 RF 리더기(230)가 상기 RF 태그와 통신을 수행하여 소정의 정보 데이터를 수신받았다면, 상기 RF 태그가 구비된 정기 주차권을 가지고 있는 차량 소유자는 일단 정기 주차 차량 소유자로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250)는 상기 차량접근 감지기(210)로부터 감지신호를 받은 경우 상기 RF 리더기(230)와 상기 카메라(110)를 동작시키고, 상기 RF 리더기(23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 데이터와 상기 카메라(110)로부터 전송받은 차량의 영상으로부터 상기 접근 차량이 정기 주차 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차단 바(100)를 개폐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기(25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기(250)는 메모리부(251), 고유번호 비교부(253), 차량번호 인식부(255), 차량번호 비교부(257) 및 정기주차 차량 판단부(25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부(251)는 해당 주차장에 정기 주차 차량으로 등록된 차량 소유자가 가지고 있는 정기주차권에 형성된 RF 태그의 고유번호와, 상기 정기 주차 차량의 차량 번호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메모리부(251)에 저장되는 RF 태그의 고유번호 및 차량번호는 정기주차 차량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메모리부(251)는 상기 차단기를 출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저장했다가 지우는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입차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저장했다가, 출차하면서 정산이 이루어진 후에는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는 상기 메모리부(251)에서 지워진다.
상기 고유번호 비교부(253)는 상기 RF 리더기(23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데이터에 포함되는 고유번호가 상기 메모리부(251)에 저장된 정기 주차 차량 고유번호인지 비교한다.
즉, 상기 고유번호 비교부(253)는 상기 RF 리더기(23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 데이터에 포함되는 RF 태그의 고유번호를 확인한 후, 이 RF 태그의 고유번호와 상 기 메모리부(251)에 저장되어 있는 정기주차 차량의 고유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RF 리더기(23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데이터에 포함되는 고유번호가 상기 메모리부(251)에 저장된 정기 주차 차량 고유번호인지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상기 메모리부(251)에 저장된 정기 주차 차량 고유번호들 중에 상기 RF 리더기(230)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데이터에 포함되는 고유번호에 일치하는 고유번호가 있는 경우에는, 일단 상기 차량은 정기주차 차량으로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진정한 정기주차 이용자가 정기주차권을 분실하거나, 다른 사람들에게 빌려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고유번호 일치만으로 정기주차 차량으로 간주되지는 않는다.
상기 차량이 진정한 정기주차 차량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유번호 일치와 아울러, 차량번호 인식 절차를 거친다.
따라서, 상기 제어기(250)에는 차량번호 인식부(255)와, 차량번호 비교부(25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255)는 상기 카메라(110)가 촬영한 접근 차량의 영상을 전송받고, 전송받은 차량의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인식한 후, 인식한 차량번호를 상기 차량번호 비교부(257)에 전달한다.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255)로부터 인식된 차량번호를 전달받은 차량번호 비교부(257)는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255)에서 인식된 차량번호가 상기 메모리부(251)에 저장된 정기 주차 차량의 차량번호인지 비교한다.
즉, 상기 차량번호 비교부(257)는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255)로부터 전달되는 차량번호를 확인한 후, 이 전달된 차량번호와 상기 메모리부(251)에 저장되어 있는 정기주차 차량의 차량번호를 비교하여,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255)로부터 전송받은 차량번호가 상기 메모리부(251)에 저장된 정기 주차 차량 차량번호인지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상기 메모리부(251)에 저장된 정기 주차 차량의 차량번호들 중에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255)로부터 전송받은 차량번호에 일치하는 차량번호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차량은 진정한 정기주차 차량으로 간주할 수 있다.
한편, 제어기(250)에 포함되는 정기주차 차량 판단부(259)는 상기 고유번호 비교부(253) 및 차량번호 비교부(257)의 비교 결과 상기 접근 차량이 정기 주차 차량으로 판단된 경우에는(고유번호 및 차량번호가 일치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차단 바를 개방시켜 상기 접근 차량을 입출고시킨다.
반면, 상기 접근 차량이 정기 주차 차량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고유번호와 차량번호 중 하나 이상이 일치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255)에서 인식된 접근 차량의 차량번호를 상기 메모리부(251)에 저장한 후 상기 차단 바(100)를 개방시켜 상기 접근 차량을 입고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제어기(250)는 차단 몸체(200) 옆에 위치하는 호출폰(3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호출폰(300)은 접근 차량 운전자가 관리자(400)를 호출할 수 있는 비상호출 버튼(310)과, 관리자가 전달하는 음성을 상기 차량 운전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스피커(330)와, 상기 차량 운전자가 상기 관리자(400)에게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35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접근 차량 운전자가 상기 비상호출 버튼(310)을 누른 경우에는, 버튼 신호가 상기 제어기(250)로 전달되고, 상기 버튼 신호를 전달받은 제어기(250)는 상기 호출폰(300)과 상기 관리자(400)를 연결하여, 관리자와 차량 운전자가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은,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차량 입출을 통제하는 차단기를 이용하여 차량 입출을 통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250)에 포함되어 있는 통제부(미도시)가 차량 접근 감지부(210)로부터 차량 접근 감지 신호가 발생하는지 판단한다(S10).
즉, 차량이 차단기(100)에 접근하게 되면, 루프코일(211)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차량 접근 감지부(210)에서 전류 또는 전압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로부터 차량이 접근되었음을 상기 차량 접근 감지부(210)가 판단하여 차량 접근 감지 신호를 발생한 후, 상기 제어기(250)에 전달한다.
상기 차량 접근 감지부(210)에서 차량 접근 감지 신호가 발생한 경우에는 제어기(250)에 포함되어 있는 통제부(미도시)가 상기 RF 리더기(230)와 카메라(110)를 동작시킨다(S20). 그러면, 상기 RF 리더기(230)는 RF 태그와의 통신 수행을 시도하고, 상기 카메라(110)는 상기 접근 차량의 영상을 촬영한다.
상기 RF 리더기(230)는 상기 RF 태그와 통신을 수행한 경우에는, 전달받은 정보 데이터를 상기 고유번호 비교부(253)에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접근 차량에 상기 RF 리더기(230)와 통신할 수 있는 RF 태그가 존재한 경우에는 상기 RF 리더기(230)가 상기 RF 태그와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 데이터를 상기 고유번호 비교부(253)에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접근 차량에 상기 RF 리더기(230)와 통신할 수 있는 RF 태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정보 데이터를 상기 고유번호 비교부(253)에 전달할 수 없다.
상기 정보 데이터가 상기 고유번호 비교부(253)에 전달되는 경우에는 1차적으로 상기 접근 차량이 정기 주차 차량인 것으로 예측할 수 있고, 정보 데이터가 상기 고유번호 비교부(253)에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접근 차량은 정기 주차 차량이 아닌 일반 차량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기(250)에 포함되는 통제부(미도시)는 상기 RF 리더기(230)로부터 상기 고유번호 비교부(253)에 정보 데이터가 전달되는지 확인한다(S30).
상기 판단 결과, 상기 RF 리더기(230)로부터 상기 고유번호 비교부(253)로 정보 데이터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통제부는 상기 접근 차량이 정기 주차 차량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에, 상기 통제부는 상기 카메라(110)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에 포함된 접근 차량의 차량 번호를 메모리부(251)에 저장한 후, 차단 바를 개방시켜 접근 차량을 통과시킨다.
상기 카메라(110)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에 포함된 접근 차량의 차량 번호를 메모리부(251)에 저장하는 과정은, 일단 통제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255)가 상기 카메라(110)가 촬영한 접근 차량의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인 식하고, 상기 인식된 차량 번호를 통제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251)에 저장하도록 한다(S70).
상기 RF 리더기(230)로부터 상기 고유번호 비교부(253)에 정보 데이터가 전달되는지 확인하고 판단한 결과, 상기 RF 리더기(230)로부터 상기 고유번호 비교부(253)로 정보 데이터가 전달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접근 차량이 정기 주차 차량인지 판단하여, 정기주차 차량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차단 바를 개방시켜 통과시키고, 정기주차 차량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에 포함된 접근 차량의 차량 번호를 메모리부(251)에 저장한 후, 차단 바를 개방시켜 접근 차량을 통과시킨다(S60).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RF 리더기(230)로부터 상기 고유번호 비교부(253)로 정보 데이터가 전달된 경우에는, 상기 고유번호 비교부(253)가 상기 RF 리더기(230)로부터 전달된 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 번호가 메모리부(251)에 저장되어 있는 정기주차 차량의 고유번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S40).
상기 판단 결과, 상기 RF 리더기(230)로부터 전달된 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 번호가 메모리부(251)에 저장되어 있는 정기주차 차량의 고유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접근 차량은 상기 메모리부(251)에 등록된 정기주차 차량이 아닌 것으로 간주된다. 이 경우에, 상기 통제부는 상기 카메라(110)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에 포함된 접근 차량의 차량 번호를 메모리부(251)에 저장한 후, 차단 바를 개방시켜 접근 차량을 통과시킨다(S60).
반대로, 상기 고유번호 비교부(253)가 상기 RF 리더기(230)로부터 전달된 정 보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 번호가 메모리부(251)에 저장되어 있는 정기주차 차량의 고유번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한 결과, 상기 RF 리더기(230)로부터 전달된 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 번호가 메모리부(251)에 저장되어 있는 정기주차 차량의 고유번호와 일치한 경우에는, 1차적으로 상기 접근 차량은 정기주차 차량으로 예견될 수 있다. 그러나, RF 태그가 구비된 정기주차권이 분실된 경우를 고려하여, 상기 접근 차량이 정기주차 차량인지를 2차적으로 판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통제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차량번호 비교부(257)는 상기 카메라(110)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에 포함된 접근 차량의 차량번호가 메모리부(251)에 저장되어 있는 정기주차 차량번호의 차량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S50).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차량번호 비교부(257)는 상기 카메라(110)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에 포함된 접근 차량의 차량번호가 메모리부(251)에 저장되어 있는 정기주차 차량번호의 차량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접근 차량은 상기 메모리부(251)에 등록된 정기주차 차량이 아닌 것으로 간주한다. 이 경우에, 상기 통제부는 상기 카메라(110)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에 포함된 접근 차량의 차량 번호를 메모리부(251)에 저장한 후, 차단 바를 개방시켜 접근 차량을 통과시킨다(S70, S60).
반대로, 상기 차량번호 비교부(257)는 상기 카메라(110)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에 포함된 접근 차량의 차량번호가 메모리부(251)에 저장되어 있는 정기주차 차량번호의 차량번호와 일치하는지 판단한 결과, 상기 카메라(110)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에 포함된 접근 차량의 차량번호가 메모리부(251)에 저장되어 있는 정기주차 차량번호의 차량번호와 일치한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상기 접근차량은 정기주차 차 량으로 결정하고 차단 바를 개방시켜 접근 차량을 통과시킨다(S60).
이상에서 설명한 사항은, 주차장의 입구 쪽에 배치된 차단기에 주로 적용될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 출구 쪽에 배치된 차단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가지는 본 발명인 차량 입출을 통제하는 차단기 및 차단기를 이용한 차량 입출 통제 방법에 의하면, 카메라에 의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 번호를 입력하기 위해 주차장 입구에 주차 관리원을 상주시킬 필요가 없게 되므로 인건비를 포함한 시스템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입고 관리(및/또는 출고 관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주차장 입구(및/또는 출구)에서 차량이 대기해야 하는 시간이 감소되어 입구(및/또는 출구)에서의 혼잡 및 사용자의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RF 리더기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출 차량이 정기주차 차량인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정기주차 차량 여부를 2단계 절차에 의하여 확인하기 때문에, RF 태그가 구비된 정기주차권의 분실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차단 바(bar)와 상기 차단 바를 개폐하는 차단 몸체로 구성되는 차량 입출을 통제하는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차단 바(bar)에는 입출 차량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차단 몸체에는 상기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차량접근 감지기와, RF 태그와 통신하는 RF 리더기와, 상기 차량접근 감지기로부터 감지신호를 받은 경우 상기 RF 리더기와 상기 카메라를 동작시키고, 상기 RF 리더기로부터 전송받은 정보 데이터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송받은 차량의 영상으로부터 상기 접근 차량이 정기 주차 차량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차단 바를 개폐하는 제어기가 포함되어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입출을 통제하는 차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 바에는 상기 카메라의 야간 촬영을 위하여 조명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입출을 통제하는 차단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정기 주차 차량의 RF 태그 고유번호 및 차량 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와, 상기 RF 리더기로부터 전송받은 정보데이터에 포함되는 고유번호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기 주차 차량 고유번호인지 비교하는 고유번호 비교부와,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송받은 차량의 영상으로부터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차량번호 인식부와,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에서 인식된 차량번호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기 주차 차량의 차량번호인지 비교하는 차량번호 비교부와, 상기 고유번호 비교부 및 차량번호 비교부의 비교 결과 상기 접근 차량이 정기 주차 차량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차단 바를 개방시켜 상기 접근 차량을 입출고시키고, 상기 접근 차량이 정기 주차 차량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차량번호 인식부에서 인식된 접근 차량의 차량번호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차단 바를 개방시켜 상기 접근 차량을 입고시키는 정기주차 차량 판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입출을 통제하는 차단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비상호출 버튼, 스피커 및 마이크가 구비된 호출폰과 연결되어, 접근 차량 운전자가 상기 비상호출 버튼을 누른 경우, 상기 호출폰을 관리자와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입출을 통제하는 차단기.
  5. 차단기를 이용한 차량 입출 통제 방법에 있어서,
    차량 접근 감지부로부터 차량 접근 감지 신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접근 감지부에서 차량 접근 감지 신호가 발생한 경우에는 제어기가 RF 리더기와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RF 리더기로부터 정보 데이터가 전달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RF 리더기로부터 정보 데이터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접근 차량이 정기 주차 차량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에 포함된 접근 차량의 차량 번호를 메모리부에 저장한 후, 차단 바를 개방시켜 접근 차량을 통과시키고, 상기 RF 리더기로부터 정보 데이터가 전달된 경우에는 상기 접근 차량이 정기 주차 차량인지 판단하여, 정기주차 차량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차단 바를 개방시켜 통과시키고, 정기주차 차량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에 포함된 접근 차량의 차량 번호를 메모리부에 저장한 후, 차단 바를 개방시켜 접근 차량을 통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를 이용한 차량 입출 통제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정기 주차 차량으로 판단된 경우는,
    상기 RF 리더기로부터 전달된 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고유 번호가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기주차 차량의 고유번호와 일치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에 포함된 접근 차량의 차량번호가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기주차 차량번 호의 차량번호와 일치한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를 이용한 차량 입출 통제 방법.
KR1020070016162A 2007-02-15 2007-02-15 차량 입출을 통제하는 차단기 및 차단기를 이용한 차량입출 통제 방법 KR200800763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162A KR20080076350A (ko) 2007-02-15 2007-02-15 차량 입출을 통제하는 차단기 및 차단기를 이용한 차량입출 통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162A KR20080076350A (ko) 2007-02-15 2007-02-15 차량 입출을 통제하는 차단기 및 차단기를 이용한 차량입출 통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350A true KR20080076350A (ko) 2008-08-20

Family

ID=39879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162A KR20080076350A (ko) 2007-02-15 2007-02-15 차량 입출을 통제하는 차단기 및 차단기를 이용한 차량입출 통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7635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771B1 (ko) * 2009-05-06 2009-09-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Rfid를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의 출입통제 장치
KR100931911B1 (ko) * 2009-04-20 2009-12-22 나온아이앤티 (주) 입출차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200453006Y1 (ko) * 2010-08-26 2011-04-05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일체형 주차관리기
KR101254717B1 (ko) * 2011-08-24 2013-04-15 (주)엔퓨텍 폐쇄회로카메라를 이용한 디지털 방역관제시스템
KR20160146435A (ko) * 2015-06-13 2016-12-21 지엘디앤아이에프 주식회사 차량 진출입 통제시스템
JP2018193697A (ja) * 2017-05-13 2018-12-06 Ihi運搬機械株式会社 駐車場の運用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911B1 (ko) * 2009-04-20 2009-12-22 나온아이앤티 (주) 입출차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KR100917771B1 (ko) * 2009-05-06 2009-09-2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Rfid를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의 출입통제 장치
KR200453006Y1 (ko) * 2010-08-26 2011-04-05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일체형 주차관리기
KR101254717B1 (ko) * 2011-08-24 2013-04-15 (주)엔퓨텍 폐쇄회로카메라를 이용한 디지털 방역관제시스템
KR20160146435A (ko) * 2015-06-13 2016-12-21 지엘디앤아이에프 주식회사 차량 진출입 통제시스템
JP2018193697A (ja) * 2017-05-13 2018-12-06 Ihi運搬機械株式会社 駐車場の運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689B1 (ko) 차량방문 편의제공 시스템
KR20080076350A (ko) 차량 입출을 통제하는 차단기 및 차단기를 이용한 차량입출 통제 방법
CN105405173A (zh) 一种无人值守的车场自动控制及收费系统、方法
KR20180102284A (ko) 영상 송출을 활용한 장애인 주차구역 실시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259875B1 (ko) 버스 하차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JP7208755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駐車場管理装置、駐車場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126611A (ko) 무인 정산이 용이한 주차관리장치
KR101803697B1 (ko)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불법주차 감시장치
KR102006802B1 (ko) 공동주택의 차량 출입 관제시스템
CN210895846U (zh) 牵引车挂车进出管理系统
JP2003228744A (ja) 駐車管理システム
KR100316904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28989B1 (ko) 지능형 주차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97302B1 (ko) 주차장의 입출고 차량 관리시스템
KR100394278B1 (ko) 주차관리 시스템
US201802258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ecuting an electronic money transfer in order to pay a parking fee
KR20190013458A (ko) 종이 주차할인권 적용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주차권 기반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종이 주차할인권 적용 방법
KR20030087313A (ko) 무인 주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6386297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KR100638524B1 (ko) 무인 방문증 발급 장치
KR20070013588A (ko) 지문인식을 이용한 주차관제 시스템
TWI542491B (zh) Prevent the vehicle from stolen car park management system
CN112820135A (zh) 牵引车挂车进出管理系统及方法
JP4043301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KR100384742B1 (ko)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