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4290A - 나무의 수액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및그로부터 제조된 유산균 발효음료 - Google Patents
나무의 수액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및그로부터 제조된 유산균 발효음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74290A KR20080074290A KR1020070013102A KR20070013102A KR20080074290A KR 20080074290 A KR20080074290 A KR 20080074290A KR 1020070013102 A KR1020070013102 A KR 1020070013102A KR 20070013102 A KR20070013102 A KR 20070013102A KR 20080074290 A KR20080074290 A KR 200800742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p
- lactic acid
- acid bacteria
- tree
- lactobacillus
- Prior art date
Links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4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1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7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5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5000019985 fermented beverag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TVXBFESIOXBWNM-UHFFFAOYSA-N Xylitol Natural products OCCC(O)C(O)C(O)CCO TVXBFESIOXBWNM-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HEBKCHPVOIAQTA-UHFFFAOYSA-N meso rib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CO HEBKCHPVOIAQTA-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9000000811 xylito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5000010447 xylitol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HEBKCHPVOIAQTA-SCDXWVJYSA-N xylitol Chemical group OC[C@H](O)[C@@H](O)[C@H](O)CO HEBKCHPVOIAQTA-SCDXWVJ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29960002675 xylitol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41000186660 Lactobacill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29940039696 lactobacillus Drug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41000194017 Streptococc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41000192001 Pediococc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41000186000 Bifidobacteri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41000194036 Lactococc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03599 food sweetene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3765 sweeten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18185 Betula X alpestr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5000018212 Betula X uliginos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40000001046 Lactobacillus acidophil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5000013956 Lactobacillus acidophilu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29940039695 lactobacillus acidophilus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40000001929 Lactobacillus brev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5000013957 Lactobacillus brev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41000192130 Leuconostoc mesenteroide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1081 inoc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41000191996 Pediococcus pentosace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41000500356 Lactobacillus dextrinic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4000057717 Streptococcus lact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4897 Streptococcus lact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1000194020 Streptococcus thermophil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1000208140 Acer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3932 Betul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219429 Betul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1000192129 Leuconostoc lact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0319 Acer grandidentat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0328 Acer nigr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2629 Acer saccharin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0157 Acer saccharum subsp sacchar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2069 sugar mapl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4000046139 Acer saccharum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04237 Crocus Nutrition 0.000 claims 1
- 241000596148 Crocus Species 0.000 claims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19629 palatability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41000192132 Leuconostoc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1000219231 Acer pseudosieboldianum Species 0.000 abstract 1
- 235000011282 Betula costata Nutrition 0.000 abstract 1
- 241001350573 Betula costata Species 0.000 abstract 1
- 235000011283 Betula davurica Nutrition 0.000 abstract 1
- 241001350572 Betula davurica Species 0.000 abstract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41000218691 Cupress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6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6
- BDAGIHXWWSANSR-UHFFFAOYSA-N methanoic acid Natural products OC=O BDAGIHXWWSANS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VZSRBBMJRBPUNF-UHFFFAOYSA-N 2-(2,3-dihydro-1H-inden-2-ylamino)-N-[3-oxo-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yl]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O)NCCC(N1CC2=C(CC1)NN=N2)=O VZSRBBMJRBPUN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41000290083 Leuconostoc lactis KCTC 3528 = DSM 20202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OSWFIVFLDKOXQC-UHFFFAOYSA-N 4-(3-methoxyphenyl)aniline Chemical compound COC1=CC=CC(C=2C=CC(N)=CC=2)=C1 OSWFIVFLDKOXQ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1001143500 Ace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8522 Gastrointestinal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253 form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50 stock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19240 Acer pictum subsp. mono Species 0.000 description 2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 betulossid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872 mrs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4296 neural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916 nutrient a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66 phys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572 poisoning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07 poiso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MIJYXULNPSFWEK-GTOFXWBISA-N 3beta-hydroxyolean-12-en-28-o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H](O)C(C)(C)[C@@H]2CC[C@@]3(C)[C@]4(C)CC[C@@]5(C(O)=O)CCC(C)(C)C[C@H]5C4=CC[C@@H]3[C@]21C MIJYXULNPSFWEK-GTOFXWBI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767 Acer grandidenta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496 Al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8340 Aral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166 Bambusa arundinac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491 Bambusa tul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553 Betula platyphyl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313086 Betula platyphyl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495 Betul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27 Birch reduc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8645 Ced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78240 Cocc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JKLISIRFYWXLQG-UHFFFAOYSA-N Epioleonolsaeure Natural products C1CC(O)C(C)(C)C2CCC3(C)C4(C)CCC5(C(O)=O)CCC(C)(C)CC5C4CCC3C21C JKLISIRFYWXLQ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070947 Fag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569 Gou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3126 Jaundi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693 Lung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UPYKUZBSLRQECL-UKMVMLAPSA-N Lycope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CC1(C)C)C=CC=C(/C)C=CC2C(=C)CCCC2(C)C UPYKUZBSLRQECL-UKMVMLAP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14171 Milk 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1756 Milk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YBRJHZPWOMJYKQ-UHFFFAOYSA-N Oleanolic acid Natural products CC1(C)CC2C3=CCC4C5(C)CCC(O)C(C)(C)C5CCC4(C)C3(C)CCC2(C1)C(=O)O YBRJHZPWOMJYK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IJYXULNPSFWEK-UHFFFAOYSA-N Oleanolinsaeure Natural products C1CC(O)C(C)(C)C2CCC3(C)C4(C)CCC5(C(O)=O)CCC(C)(C)CC5C4=CCC3C21C MIJYXULNPSFWE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JYDNKGUBLIKNAM-UHFFFAOYSA-N Oxyallobutulin Natural products C1CC(=O)C(C)(C)C2CCC3(C)C4(C)CCC5(CO)CCC(C(=C)C)C5C4CCC3C21C JYDNKGUBLIKNA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86209 Phasian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82204 Phyllostachys virid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334 Phyllostachys virid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31 Pinus X rigitae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613 Pinus brut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018646 Pinus brut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184734 Pyrus japon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GUGOEEXESWIERI-UHFFFAOYSA-N Terfenadine Chemical compound C1=CC(C(C)(C)C)=CC=C1C(O)CCCN1CCC(C(O)(C=2C=CC=CC=2)C=2C=CC=CC=2)CC1 GUGOEEXESWIER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87 anti-histamin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39 antihistamin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89 appet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28 appeti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246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25 bamboo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1
- FVWJYYTZTCVBKE-ROUWMTJPSA-N betulin Chemical compound C1C[C@H](O)C(C)(C)[C@@H]2CC[C@@]3(C)[C@]4(C)CC[C@@]5(CO)CC[C@@H](C(=C)C)[C@@H]5[C@H]4CC[C@@H]3[C@]21C FVWJYYTZTCVBKE-ROUWMTJPSA-N 0.000 description 1
- MVIRREHRVZLANQ-UHFFFAOYSA-N betulin Natural products CC(=O)OC1CCC2(C)C(CCC3(C)C2CC=C4C5C(CCC5(CO)CCC34C)C(=C)C)C1(C)C MVIRREHRVZLAN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46 carot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473 caroten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40 cultured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21 digestibil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9 diges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37 discontinuous sequential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34 diur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82 diur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6549 dyspep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35 effect on gastrointestinal diseas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470 glycosid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338 glycos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13 gro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76 he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622 hear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965 immune 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75 menstr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239 milk prote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9 natural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0243 oleanol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ZLWUYJLOIAQFC-UHFFFAOYSA-N prosapogenin PS-A Natural products C12CC(C)(C)CCC2(C(O)=O)CCC(C2(CCC3C4(C)C)C)(C)C1=CCC2C3(C)CCC4OC1OCC(O)C(O)C1O HZLWUYJLOIAQF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16 radical scaveng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073 rheumatoid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218 seed 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14 sou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079 stearyl group Chemical group [H]C([*])([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C([H])([H])[H]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9 thermal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CYCYZXNIZJOKI-UHFFFAOYSA-N vitamin A aldehyde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NCYCYZXNIZJOK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22 vitamin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18 yogur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2—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filt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 채취목으로부터 수집된 나무 수액에 유산균을 접종하고,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수액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유산균 발효음료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유산균 발효음료는 자작나무, 고로쇠나무, 물박달나무, 단풍나무 등의 수액을 이용하여 저장성과 기호성이 증진된 저농도 발효음료이다.
수액, 유산균, 발효음료
Description
본 발명은 나무의 수액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유산균 발효음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액 채취목으로부터 수집된 나무 수액에 유산균을 접종하고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수액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유산균 발효음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구르트라 부르는 유산균 음료는 기원전부터 인간이 이용하여온 식품의 일종으로서 영양적인 가치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생리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생성된 유산이 제품의 보존 기간을 늘려주며, 특유의 상쾌한 신맛을 주고, 유해미생물에 대한 생장 억제기능을 발휘하며, 유단백질의 소화 율을 높이고, 칼슘, 철, 인의 흡수를 촉진시키는 등 생유에 비하여 다양한 장점을 지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유산균을 이용한 음료로서 상기와 같은 발효유 외에 동치미 및 나박김치 등 김치 유산균에 의해 발효된 김치의 국물을 떡 등의 음식을 먹을 때 음료로서 음용해 왔다.
한편, 외국에서는 핀란드의 경우 자작나무 수액을 천연수를 대체할 새로운 음료로써 많은 사람이 음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예로부터 주로 봄철에 고로쇠나무 수액을 채취하여 기능성 음용수로 사용하였으며, 자작나무 수액, 물박달나무 수액 및 단풍나무 수액도 그 대체품으로 음용되어 왔다. 자작나무 수액과 물박달나무 수액은 연구결과 항산화 활성과 면역활성 등에서 뛰어난 효능을 보이고 있고, 고로쇠 수액의 경우에도 뼈를 튼튼하게 하고 위장병 치유효과 등의 효능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어 있다.
자작나무는 학명이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로서 자작나무과(Betul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서 강원도 이북 높은 산에 많이 자라며 일본 훗카이도와 중국에서도 분포한다. 나무껍질은 회백색이고 여러 층의 얇은 껍질로 조성되었으며, 쉽게 벗겨지고 내피는 등황색이며 깊은 산 숲속에서 자생한다. 자작나무의 껍질은 백화피 또는 화피라는 생약명으로도 명명되며, 베툴린, 올레아놀산, 베툴로시드, 카로틴, 펜토산 등의 성분을 포함한다(약초의 성분과 이용, 일월 서각. 1994. 과학백과사전 출판사편, 중약 대사전,도서출판 정담, 중약대사전 편찬위원회,1997). 예로부터 자작나무는 열독창(熱毒瘡), 상한시행(傷寒時行), 황달(黃疸), 폐풍독(肺風毒), 통풍, 류머티즘, 피부약, 방부약, 종기치료, 타르의 제조원료 및 이뇨제로 쓰이고 있다.
또한, 자작나무는 거제수와 함께 봄 곡우때 줄기에 상처를 내어 흘러나오는 수액을 받아 마시며 무병장수 한다고 믿어온 오랜 민간요법과 풍습이 오늘날에도 전래되고 있으며 실제로 자작나무 수액은 식욕촉진, 신경안정, 위장병 및 여성 산후증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하여 이 수액을 약수로 이용하여 왔다. 그뿐 만이 아니라 자작나무 수액은 성장과 활력에 필요한 많은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고, 많은 종류의 아미노산, 미네랄, 과당, 포도당 등 인체의 필수요소가 함유되어 있어 건강에 많은 도움을 준다. 또한, 심장질환 억제, 신경통, 류마티스 관절염, 소화불량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다. 그밖에 자작나무의 성분 중에는 체내에 축적된 비만성분을 태워 체중감소에 도움을 주고 자일리톨의 원료가 되는 크실란, 껍질에는 항 에이즈의 원료가 되는 베츄란, 잎에는 항히스타민 성분의 후라보노 배당제가 많이 존재하여 왔다.
한편, 고로쇠나무(Acer mono)는 단풍나무과( Acer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서 한국, 중국 및 일본 등의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며, 우리나라에서는 전라도 지리산, 강원도 등의 심산에 자생하고 있고 이른 봄에 그 수액을 채취하여 위장병 등의 치료제와 민간에서 음용하고 있다. 고로쇠 수액은 예로부터 위장 병, 폐병, 신경통, 관절염 등에 효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민간에서 약용 음료로 널리 음용하여 오고 있다. 또한, 고로쇠 수액은 연중 채취 가능한 것은 아니고 보통 2∼3월에 한시적으로 얻을 수 있는 수액으로서 1.8∼2.0%의 당도를 가지고 있으며, 사람의 골격을 형성하는 중요한 영양소인 칼슘(Ca)과 혈압을 조절하는 칼륨(K) 등 10 여종의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수액 채취목의 수액은 저장성이 낮아 냉동시키지 않는 한 장기보관이 불가능하고, 수액 자체의 텁텁한 맛에 의하여 수액을 처음 복용하거나 비위가 약한 사람은 거부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그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음용의 대중화는 진척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수액 채취목의 수액은 채취과정부터 토양, 대기, 기타 오염원과의 접촉을 통하여 다양한 미생물에 오염되며, 수액 내에 존재하는 당 성분으로 인하여 급속하게 미생물 증식이 이루어지므로, 저장성을 제고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수액 채취목에서 얻어지는 수액을 더욱 유용하게 이용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노력하던 중, 수액에 유산균을 접종하여 유기산 발효를 유도함으로써, 저장성이 증대되고, 풍미 및 영양학적 측면에서 대단히 우수한 발효음료가 제조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수액 채취목의 수액을 원료로 하고, 여기에 다양한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함으로써, 저장성과 기호성이 증진된 발효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발효음료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액 채취목으로부터 수집된 나무 수액에 유산균을 접종하고,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수액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유산균 발효음료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수액 채취목으로부터 수집된 나무 수액에 유산균을 접종하고,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수액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산균 발효 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수액 채취목, 특히 자작나무, 고로쇠나무, 거제수나무, 물박달나무, 박달나무, 단풍나무, 삼나무, 대나무 등의 수액을 원료로 하고, 여기에 유산균(예로서, 락토바실러스 속, 스트렙토코쿠스 속, 비피도박테리움 속, 류코노스톡 속, 락토코쿠스 속 또는 페디오코쿠 스 속)을 접종 후 발효시켜, 생성되는 유기산에 의하여 저장성과 기호성이 증진된 저농도 발효음료를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재료로는 수액 채취목의 수액을 사용하는데, '수액 채취목'은 통상적으로 인간에게 음용되고 있거나 음용될 수 있는 수액이 많이 나오는 수목을 지칭하는 것으로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그 예로는 상기에서 예를 든 자작나무과(Betulaceae)에 속하는 자작나무, 거제수나무, 물박달나무, 박달나무, 시수레나무 등과 단풍나무과(Aceraceae)에 속하는 고로쇠나무, 당단풍나무, 단풍나무 등이 있다.
한편, 상기 수액은 유산균 접종에 앞서, 살균 또는 제균을 통해 멸균시키는 전처리 과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살균의 예로는 오토클레이빙(autoclaving)이 바람직하고, 제균의 예로는 여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 특히 비가열 멸균공정으로서 여과공정을 사용하면 수액에 고유하게 존재하는 미네랄 성분과 비타민성분을 변형시키지 않고 유지할 수 있어 그에 의한 생리활성을 최대한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속(Lactobacillus), 루코노스톡속(Leuconostoc), 락토코쿠스속(Lactococcus), 페디오코쿠스속(Pediococcus), 스테렙토코쿠스속(Streptococcus) 및 비피도박테리움속(Bifidobacterium) 균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균주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루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루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락토코쿠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우세우스(Pediococcu pentosaceus), 페디오코쿠스 덱스트리니쿠스(Pediococcus dextrinicus) 및 스트렙토코쿠스 서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균주인 것이 좋고,
그 중 더욱 바람직하게는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3111,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KCTC 3498, 루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KCTC 3733, 루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KCTC 3528, 락토코쿠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KCTC 3926,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우세우스(Pediococcu pentosaceus) KCTC 3507, 페디오코쿠스 덱스트리니쿠스(Pediococcus dextrinicus) KCTC 3506 및 스트렙토코쿠스 서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KCTC 3658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균주인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무 수액에 유산균의 생육을 촉진시키고 단맛을 내기 위해 당 또는 감미료를 첨가하는 것이 좋고, 그 예로는 자일리톨(xylitol)인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자일리톨의 첨가량은 3 내지 5%(w/v)인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에 의한 발효는 상기 수액의 pH가 4.8 이하로 감소될 때까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pH가 4.8 이하이면, 통상적으로 잡균들의 생육이 원활하지 못하다고 당업계에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발효시간은 유산균 접종 후 2일 내지 3일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발효시간이 그 이상 지속되면 경제적으로도 바람직스럽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균의 생육이 원활하지 못하면 당 등을 비롯한 기타의 생육 촉진인자를 첨가해주는 것도 좋다.
본 발명의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은 구체적으로 채취한 수액 원료를 전처리하는 과정, 상기 전처리된 수액에 유효한 미생물을 접종하는 과정, 상기 수액을 발효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예로서 더욱 구체적인 본 발명의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은, 수액의 이물질과 세균 등 미생물을 비열처리(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공정, 상기 처리한 수액에 유산균을 접종하는 공정과 수액 내 존재하는 당을 이용한 발효를 통하여 pH를 낮추어 제품의 유통기한을 늘리고 제품에 기호성을 부여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이용된 자작나무, 고로쇠나무, 거제수나무, 물박달나무(Betula 속), 당단풍나무(Acer 속)와 같은 수액 채취목의 수액은 채취 후 잡균에 의한 오염이 너무 빠르게 일어나서 바로 부패하게 된다. 이에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유산균 발효에 의해 생성된 유기산에 의해 pH가 떨어짐으로써 잡균의 오염을 막을 수 있고, 또 그 유기산에 의해 풍미성분이 증대되어 음용하기에 편한 발효음료가 개발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테스트 결과, 유산균은 48-72시간 정도에 포화농도로 자라며, 그에 의해 pH는 잡균의 오염이 발생되지 않는 pH 4.8 이하로 신속히 내려갔다. 즉, 유산균 접종 후 발효가 시작된 후 48-72시간이 경과하면, pH가 떨어져 잡균의 오염 방지가 신속히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의 주된 특징은 한정된 당 농도를 이용하여 균을 최적발효시킴으로써 pH를 4.8 이하로 떨어뜨리는데 있지만, 상기의 발효에 의해 생성된 유산균은 인체의 소화 능력을 돕고, 생성된 유기산은 발효음료의 풍미성을 증진시킨다.
한편, 비피도박테리움속(Bifidobacterium) 균주의 경우는 pH가 높은 조건에서 잘 성장하므로, pH 6.0 이상의 수액에 약간의 탄산가스 보충(carbonation)을 해주어 산소 내성을 유도하면 더욱 성장이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에 외에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유산균 발효음료를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산균 발효음료는 자작나무, 고로쇠나무, 거제수나무, 물박달나무(Betula 속), 당단풍나무(Acer 속) 등의 수액에 다양한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키고, 이에 의하여 상당한 양의 유기산이 생성되고, 이로 인하여 pH가 내려가므로, 잡균의 오염이 방지된다. 통상적으로 pH가 4.8 이하로 내려가면 잡균의 오염 이 방지되는데 본 발명의 유산균 발효음료는 유기산의 생성으로 말미암아 pH가 4.8 이하로 내려간다.
한편, 대조구들에 있어서는 빠르게 잡균이 성장하고 이로 인한 아세트산이나 포름산의 생성으로 pH가 일부 내려가나 이는 잡균에 의한 산패로서 풍미가 좋지 못하므로 유산균 발효음료로서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하 실시예의 실험 결과를 정리하자면,
본 발명자들은 락토바실러스속, 루코노스톡속, 락토코쿠스속, 피디오코쿠스속 및 스트렙토코쿠스속 균주를 종균배양하고, 이를 멤브레인 여과된 자작나무 수액 또는 고로쇠나무 수액에 바로 접종하거나, 자일리톨(xylitol)을 첨가한 후 접종하여 37℃에서 일정시간 동안 정치 배양하면서 원액을 단계적으로 십진 희석하여 MRS 평판배지에 도말 배양하여 균수를 측정하고, pH 및 유기산 함량을 측정하였는데,
대조구는 균의 접종이 없었음에도, 각 수액에 잡균에 의한 오염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는 반면, 유산균이 접종된 경우는 유산균 수가 완만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조구에서는 잡균에 의한 아세트산, 포름산의 생성으로 pH가 일부 감소하지만, 균에 의한 산패로서 풍미가 좋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에 반하여 유산균이 접종된 경우는 유기산의 생성으로 pH가 4.8 이하로 내려가 잡균의 오염이 방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1 내지 표 12).
<
실시예
1 > 이용한 자작나무 수액의 발효
< 1-1 >
락토바실러스속
(
Lactobacillus
) 균주를 이용한 발효
충북 월악산 부근 지역의 농가에서 채취되어 냉동 보관된 자작나무 수액을 4℃에서 해빙시킨 뒤, 1 리터 멤브레인 필터키트(membrane filter kit; pore size 0.22 ㎛, Corning, NY, USA)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된 수액의 유산균 발효를 위하여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3111 및 Lactobacillus brevis KCTC 3498 균주를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자작나무 수액의 주발효에 앞서서, 상기 균주를 MRS 배지에서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를 3회 계대배양하는 종균배양을 수행하였다. 상기 종균배양으로 얻어진 유산균 현탁액 0.1 ㎖을 300 ㎖의 여과된 자작나무 수액에 접종하여 37℃에서 정치 배양하면서 각각 0 h, 12 h, 24 h, 48 h, 72 h에서 균수, pH 및 유기산 함량을 측정하였다(표 1 내지 표 3).
유산균 제품 중 생균수는 유산균 발효음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므로, 균수는 원액을 단계적으로 십진 희석하여 MRS 평판배지에 도말 배양하여 측정하였다.
pH는 pH meter(25℃ 보정)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유기산 함량은 시료 10 ㎖을 취하여 0.01 N NaOH 용액으로 적정한 후 측정하였다. 대조구(control)는 여과된 수액에 유산균을 접종하지 않고, 단지 수액 자체만을 37℃에서 정치 배양 후 Nutrient Agar 평판배지에 도말 배양하여 균수를 측정하였으며, 자일리톨(xylitol) 함유 수액은 각각 300 ㎖ 자작나무 수액에 자일리톨 9 g(3% 자일리톨)과 15 g(5% 자일리톨)을 용해한 후 여과하고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켰다.
대조구 |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3111 |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3111 (3% xylitol 첨가) |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3111 (5% xylitol 첨가) | Lactobacillus brevis KCTC 3498 | |
0h | 0 | 5.7 x 104 | 2.9 x 104 | 3.3 x 104 | 1.9 x 105 |
12h | 1.2 x 101 | 1.4 x 105 | 1.2 x 106 | 8.2 x 105 | 8.1 x 105 |
24h | TNTC w/o dilution | 2.0 x 106 | 3.0 x 106 | 7.3 x 106 | 4.7 x 106 |
48h | TNTC w/o dilution | 4.5 x 106 | 5.6 x 106 | 1.1 x 107 | 8.5 x 106 |
72h | TNTC w/o dilution | 2.3 x 105 | 2.8 x 106 | 2.9 x 106 | 2.9 x 106 |
* TNTC (too numerous to count) without dilution
대조구 |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3111 |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3111 (Xylitol 3% 첨가) |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3111 (Xylitol 5% 첨가) | Lactobacillus brevis KCTC 3498 | |
0h | 6.35 | 6.31 | 6.29 | 6.44 | 6.68 |
12h | 6.60 | 6.42 | 6.02 | 5.97 | 6.54 |
24h | 5.15 | 4.49 | 4.23 | 4.35 | 5.48 |
48h | 4.91 | 4.43 | 3.98 | 3.94 | 4.69 |
72h | 5.01 | 4.41 | 3.88 | 3.78 | 4.21 |
대조구 |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3111 |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3111 (Xylitol 3% 첨가) |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3111 (Xylitol 5% 첨가) | Lactobacillus brevis KCTC 3498 | |
0h | 0.045 | 0.036 | 0.036 | 0.027 | 0.063 |
12h | 0.072 | 0.054 | 0.081 | 0.054 | 0.117 |
24h | 0.064 | 0.081 | 0.117 | 0.090 | 0.117 |
48h | 0.090 | 0.117 | 0.225 | 0.216 | 0.144 |
72h | 0.090 | 0.126 | 0.270 | 0.315 | 0.162 |
< 1-2 > 루코노스톡속(
Leuconostoc
) 및 락토코쿠스속(
Lactococcus
) 균주를 이용한 발효
본 발명자들은 균주로 Leuconostoc mesenteroides KCTC 3733, Leuconostoc lactis KCTC 3528, Lactococcus lactis KCTC 3926을 사용한 것만 다르고,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자작나무 수액을 발효시켰다.
하기 표 4 내지 표 6은 그 결과로 측정된 균수, pH 및 유기산 함량이다. 측정방법은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하다.
Leuconostoc mesenteroides KCTC 3733 | Leuconostoc mesenteroides KCTC 3733 (Xylitol 3% 첨가) | Leuconostoc lactis KCTC 3528 | Lactococcus lactis KCTC 3926 | |
0h | 3.1 x 105 | 1.7 x 105 | 6.9 x 104 | 1.4 x 104 |
12h | 2.2 x 106 | 3.4 x 107 | 6.3 x 106 | 5.9 x 107 |
24h | 3.6 x 107 | - | 9.7 x 107 | 8.8 x 107 |
48h | 2.2 x 107 | 4.6 x 107 | 7.4 x 107 | 4.4 x 107 |
72h | 8.3 x 104 | 1.8 x 107 | 6.8 x 105 | 5.3 x 105 |
Leuconostoc mesenteroides KCTC 3733 | Leuconostoc mesenteroides KCTC 3733 (Xylitol 3% 첨가) | Leuconostoc lactis KCTC 3528 | Lactococcus lactis KCTC 3926 | |
0h | 6.56 | 6.44 | 6.40 | 6.64 |
12h | 6.44 | 5.89 | 5.40 | 4.58 |
24h | 4.13 | 3.86 | 3.76 | 4.07 |
48h | 3.82 | 3.88 | 3.91 | 3.92 |
72h | 3.73 | 3.77 | 3.89 | 3.92 |
Leuconostoc mesenteroides KCTC3733 | Leuconostoc mesenteroides KCTC3733 (Xylitol 3% 첨가) | Leuconostoc lactis KCTC3528 | Lactococcus lactis KCTC3926 | |
0h | 0.072 | 0.063 | 0.054 | 0.063 |
12h | 0.072 | 0.045 | 0.081 | 0.126 |
24h | 0.117 | 0.153 | 0.241 | 0.189 |
48h | 0.241 | 0.207 | 0.396 | 0.342 |
72h | 0.450 | 0.387 | 0.449 | 0.279 |
< 1-3 > 피디오코쿠스속(
Pediococcus
) 및 스트렙토코쿠스속(
Streptococcus
) 균주를 이용한 발효
본 발명자들은 균주로 Pediococcus pentosaceus KCTC 3507, Pediococcus dextrinicus KCTC 3506, Streptococcus thermophilus KCTC 3658을 사용한 것만 다르고,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자작나무 수액을 발효시켰다.
하기 표 7 내지 표 9는 그 결과로 측정된 균수, pH 및 유기산 함량이다. 측정방법은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하다.
Pediococcus pentosaceus KCTC 3507 | Pediococcus pentosaceus KCTC 3507 (Xylitol 3% 첨가) | Pediococcus dextrinicus KCTC 3506 | Streptococcus thermophilus KCTC 3658 | |
0h | 1.0 x105 | 7.2 x 104 | 5.8 x 104 | 2.7 x 105 |
12h | 2.9 x105 | 9.2 x 104 | 5.3 x 105 | 6.2 x 105 |
24h | 7.1 x 106 | 2.0 x 105 | 1.0 x 107 | 2.0 x 107 |
48h | 7.0 x 106 | 2.2 x 107 | 3.0 x 106 | 1.8 x 107 |
72h | 3.6 x 106 | 4.7 x 107 | 4.6 x 106 | 9.1 x 105 |
Pediococcus pentosaceus KCTC3507 | Pediococcus pentosaceus KCTC3507 (Xylitol 3% 첨가) | Pediococcus dextrinicus KCTC3506 | Streptococcus thermophilus KCTC3658 | |
0h | 6.65 | 6.38 | 6.57 | 6.64 |
12h | 6.02 | 6.82 | 6.90 | 6.49 |
24h | 6.77 | 6.02 | 6.01 | 5.24 |
48h | 5.19 | 5.06 | 6.08 | 4.04 |
72h | 4.01 | 4.27 | 5.02 | 3.85 |
Pediococcus pentosaceus KCTC3507 | Pediococcus pentosaceus KCTC3507 (Xylitol 3% 첨가) | Pediococcus dextrinicus KCTC3506 | Streptococcus thermophilus KCTC3658 | |
0h | 0.054 | 0.063 | 0.054 | 0.072 |
12h | 0.054 | 0.054 | 0.045 | 0.054 |
24h | 0.081 | 0.081 | 0.063 | 0.099 |
48h | 0.090 | 0.108 | 0.045 | 0.234 |
72h | 0.279 | 0.378 | 0.090 | 0.297 |
상기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3의 표 1, 표 4 및 표 7의 결과를 보면, 균수에 있어서 대조구는 멸균된 상태에서 균의 접종이 없었음에도, 채취 후 잡균에 의한 오염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나머지 유산균이 접종된 경우는 유산균의 발효 과정에 의하여 유산균 수가 완만히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 2, 표 5 및 표 8의 결과를 보면, 대조구에 있어서도 pH가 일부 감소하기는 하지만 이것은 잡균에 의한 적은 양의 아세트산, 포름산의 생성 때문이다. 한편, 나머지 실험군에서는 유기산의 생성으로 말미암아 pH가 4.8 이하로 내려가 잡균의 오염이 방지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현상는 표 3, 표 6 및 표 9에서 대조구에서는 거의 유기산이 생성되지 않음에 비하여 실험군에서는 상당량의 유기산이 생성됨을 확인함으로써 그와 같이 해석될 수 있었다.
< 실시예 2 > 락토바실러스속(
Lactobacillus
) 균주를 이용한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
본 발명자들은 지리산, 설악산 등의 심산유곡에 자생하는 고로쇠나무에 약간의 상처를 입힌 다음 청결용기를 부착하여 자연적으로 흘러나오는 수액을 수집한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여 100% 연한 황색 액체의 고로쇠 수액을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수액의 비중은 1.11에서 1.13의 범위였다. 그 후 수액을 신속히 냉동하였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고로쇠나무 수액을 4℃에서 해빙시킨 후, 1 리터 멤브레인 필터키트(membrane filter kit; pore size 0.22 ㎛, Corning, NY, USA)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된 수액의 유산균 발효를 위하여,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3111 및 Lactobacillus brevis KCTC 3498 균주를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고로쇠나무 수액의 주발효에 앞서서, 상기 균주를 MRS 배지에서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이를 3회 계대배양하는 종균배양을 수행하였다. 상기 종균배양으로 얻어진 유산균 현탁액 0.1 ㎖을 300 ㎖의 여과된 자작나무 수액에 접종하여 37℃에서 정치 배양하면서 각각 0 h, 12 h, 24 h, 48 h, 72 h에서 균수, pH 및 유기산 함량을 측정하였다(표 10 내지 표 12).
유산균 제품중 생균수는 유산균 발효음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므로, 균수는 원액을 단계적으로 십진 희석하여 MRS 평판배지에 도말 배양하여 측정하였다.
pH는 pH meter(25℃ 보정)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유기산 함량은 시료 10 ㎖을 취하여 0.01 N NaOH 용액으로 적정한 후 측정하였다. 대조구(control)는 여과된 수액에 유산균을 접종하지 않고, 단지 수액 자체만을 37℃에서 정치 배양 후 Nutrient Agar 평판배지에 도말 배양하여 균수를 측정하였으며, 자일리톨(xylitol) 함유 수액은 각각 300 ㎖ 자작나무 수액에 자일리톨 9 g(3% 자일리톨)과 15 g(5% 자일리톨)을 용해한 후 여과하고 유산균을 접종하여 발효시켰다.
대조구 |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3111 |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3111 (3% xylitol 첨가) |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3111 (5% xylitol 첨가) | Lactobacillus brevis KCTC 3498 | |
0h | 0 | 5.2 x 104 | 2.4 x 104 | 3.1 x 104 | 2.9 x 105 |
12h | 0.9 x 101 | 1.8 x 105 | 1.7 x 106 | 8.8 x 105 | 7.1 x 105 |
24h | TNTC w/o dilution | 2.8 x 106 | 3.7 x 106 | 7.9 x 106 | 6.7 x 106 |
48h | TNTC w/o dilution | 4.9 x 106 | 5.4 x 106 | 4.1 x 107 | 8.6 x 106 |
72h | TNTC w/o dilution | 3.3 x 105 | 3.8 x 106 | 2.7 x 106 | 3.9 x 106 |
* TNTC (too numerous to count) without dilution
대조구 |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3111 |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3111 (Xylitol 3% 첨가) |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3111 (Xylitol 5% 첨가) | Lactobacillus brevis KCTC 3498 | |
0h | 6.45 | 6.41 | 6.39 | 6.42 | 6.48 |
12h | 6.71 | 6.22 | 6.22 | 5.67 | 6.14 |
24h | 6.25 | 5.48 | 5.23 | 4.15 | 5.68 |
48h | 5.41 | 4.47 | 3.95 | 3.54 | 4.39 |
72h | 5.71 | 4.31 | 3.43 | 3.28 | 3.91 |
대조구 |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3111 |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3111 (Xylitol 3% 첨가) |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3111 (Xylitol 5% 첨가) | Lactobacillus brevis KCTC 3498 | |
0h | 0.041 | 0.039 | 0.032 | 0.029 | 0.053 |
12h | 0.062 | 0.064 | 0.087 | 0.058 | 0.098 |
24h | 0.067 | 0.091 | 0.127 | 0.102 | 0.127 |
48h | 0.086 | 0.147 | 0.245 | 0.201 | 0.165 |
72h | 0.088 | 0.216 | 0.286 | 0.289 | 0.189 |
상기 실시예 2의 표 10 내지 표 12의 결과는 자작나무 수액에서의 결과와 매우 유사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산균 발효음료는 수액 채취목의 수액의 효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저장성과 기호성을 증진시켜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성에 맞도록 특이한 향과 맛을 줄 수 있으며, 간편하게 복용하여 식욕이 증진되고 동시에 다이어트 효과가 있고, 변비제거, 생리불순 제거, 피부미용 등에 효과가 있다.
Claims (14)
- 수액 채취목으로부터 수집된 나무 수액에 유산균을 접종하고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수액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 채취목은 자작나무, 고로쇠나무, 거제수나무, 물박달나무(Betula 속) 및 당단풍나무(Acer 속)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수액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액은 유산균 접종에 앞서 살균 또는 제균을 통해 멸균시키는 전처리 과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수액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은 오토클레이빙(autoclaving)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수액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균은 여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수액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속(Lactobacillus), 루코노스톡속(Leuconostoc), 락토코쿠스속(Lactococcus), 페디오코쿠스속(Pediococcus), 스테렙토코쿠스속(Streptococcus) 및 비피도박테리움속(Bifidobacterium) 균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수액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루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루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락토코쿠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우세우스(Pediococcu pentosaceus), 페디오코쿠스 덱스트리니쿠스(Pediococcus dextrinicus) 및 스트렙토코쿠스 서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수액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3111,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KCTC 3498, 루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KCTC 3733, 루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KCTC 3528, 락토코쿠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KCTC 3926,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우세우스(Pediococcu pentosaceus) KCTC 3507, 페디오코쿠스 덱스트리니쿠스(Pediococcus dextrinicus) KCTC 3506 및 스트렙토코쿠스 서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KCTC 3658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수액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무 수액에 유산균의 생육을 촉진시키고 단맛을 내기 위해 당 또는 감미료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수액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당은 자일리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수액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일리톨은 나무 수액의 대비 3 내지 5%(w/v)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수액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에 의한 발효는 상기 수액의 pH가 4.8 이하로 감소될 때까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수액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에 의한 발효는 유산균 접종 후 2일 내지 3일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무의 수액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된 나무의 수액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음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3102A KR100884707B1 (ko) | 2007-02-08 | 2007-02-08 | 나무의 수액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및그로부터 제조된 유산균 발효음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3102A KR100884707B1 (ko) | 2007-02-08 | 2007-02-08 | 나무의 수액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및그로부터 제조된 유산균 발효음료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74290A true KR20080074290A (ko) | 2008-08-13 |
KR100884707B1 KR100884707B1 (ko) | 2009-02-19 |
Family
ID=39883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13102A KR100884707B1 (ko) | 2007-02-08 | 2007-02-08 | 나무의 수액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및그로부터 제조된 유산균 발효음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84707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322042A2 (en) | 2009-11-17 | 2011-05-18 | Gyu-Gil Lee | Method for preparing raw material for functional foods from barley or wheat seeds |
KR101127388B1 (ko) * | 2009-07-22 | 2012-03-23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고로쇠 또는 우산고로쇠 수액이 함유된 기능성 요구르트의 제조방법 및 그 요구르트 |
US9161495B2 (en) | 2009-11-17 | 2015-10-20 | Jejuhongamga | Method for preparing raw material for functional foods from barley or wheat seeds |
KR20200099743A (ko) | 2019-02-15 | 2020-08-25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Gaba생성 유산균과 단기임산물을 이용한 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220077266A (ko) * | 2020-12-01 | 2022-06-09 |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 물박달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
CN116762951A (zh) * | 2023-04-11 | 2023-09-19 | 广州瑞铂尔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采用糖槭制备的酵素及制备方法 |
WO2023249017A1 (ja) * | 2022-06-20 | 2023-12-28 | 丸善製薬株式会社 | 抗老化剤、育毛剤および抗男性ホルモン剤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1112B1 (ko) | 2011-11-30 | 2014-04-14 | 한국식품연구원 | 홍삼을 이용한 홍경천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로 회복 및 운동능력 향상용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181337A (ja) | 1985-02-06 | 1986-08-14 | Katsuhiko Miyaji | 緑色乳酸食品の製造法 |
KR950000057A (ko) * | 1993-06-02 | 1995-01-03 | 김태호 | 수액발효식품의 제조방법 |
KR100367551B1 (ko) * | 2000-04-18 | 2003-01-14 | 학교법인 문화교육원 | 고로쇠 수액을 주재로 한 음료 |
KR100480009B1 (ko) * | 2001-03-30 | 2005-03-30 | 김범준 | 옻-함유 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식품 |
-
2007
- 2007-02-08 KR KR1020070013102A patent/KR10088470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7388B1 (ko) * | 2009-07-22 | 2012-03-23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고로쇠 또는 우산고로쇠 수액이 함유된 기능성 요구르트의 제조방법 및 그 요구르트 |
EP2322042A2 (en) | 2009-11-17 | 2011-05-18 | Gyu-Gil Lee | Method for preparing raw material for functional foods from barley or wheat seeds |
US8357406B2 (en) | 2009-11-17 | 2013-01-22 | Gyu-Gil Lee | Method for preparing raw material for functional foods from barley or wheat seeds |
US9161495B2 (en) | 2009-11-17 | 2015-10-20 | Jejuhongamga | Method for preparing raw material for functional foods from barley or wheat seeds |
KR20200099743A (ko) | 2019-02-15 | 2020-08-25 |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Gaba생성 유산균과 단기임산물을 이용한 음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220077266A (ko) * | 2020-12-01 | 2022-06-09 | 재단법인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 물박달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
WO2023249017A1 (ja) * | 2022-06-20 | 2023-12-28 | 丸善製薬株式会社 | 抗老化剤、育毛剤および抗男性ホルモン剤 |
CN116762951A (zh) * | 2023-04-11 | 2023-09-19 | 广州瑞铂尔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采用糖槭制备的酵素及制备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84707B1 (ko) | 2009-0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84707B1 (ko) | 나무의 수액을 이용한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방법 및그로부터 제조된 유산균 발효음료 | |
CN102352299B (zh) | 一种金线莲果醋和金线莲果醋饮料 | |
CN104336547B (zh) | 一种无花果酵素及其制备方法 | |
CN106343547A (zh) | 一种植物果蔬酵素的制备方法 | |
CN104509907A (zh) | 一种复合植物酵素醋饮料及其制备方法 | |
CN107006747B (zh) | 一种醒酒护肝山楂发酵饮料的制备方法 | |
CN107568537A (zh) | 一种复合微生物发酵含花青素饮料及其制备方法 | |
CN104304560A (zh) | 一种甜茶红茶菌 | |
CN103798890A (zh) | 一种红茶菌苹果醋及其制作方法 | |
KR101260466B1 (ko) | 감국식초의 제조방법 | |
CN104305427A (zh) | 葡萄红茶菌饮料 | |
KR20200040205A (ko) | 발효숙성 노니와 코코넛 슈가를 포함하는 발효 노니 식초, 이를 포함하는 식초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04336719A (zh) | 一种枸杞红茶菌饮料 | |
CN106234895A (zh) | 一种白刺果乳酸菌发酵饮料及其制备方法 | |
KR101321470B1 (ko) | 헛개나무 잎 및 매실로부터 추출한 당 추출액을 이용한 발효식초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된 발효식초 | |
CN103351996A (zh) | 一种莲雾果醋生产方法 | |
CN105211970A (zh) | 一种罗汉果乳酸发酵果汁及其制备方法 | |
CN105614607A (zh) | 一种润肺止咳的保健饮料及制备方法 | |
CN101461385B (zh) | 一种革兰氏阳性、阴性细菌的抑菌剂及其应用 | |
CN104273628A (zh) | 以薏米为原料的生物饮料及其制备方法 | |
CN109349480B (zh) | 一种发酵茯苓饮料及其制备方法 | |
CN104273612A (zh) | 一种甘蔗生物型饮品 | |
CN104273613A (zh) | 一种芒果茶菌饮料 | |
CN104382129A (zh) | 一种甜玉米红茶菌饮品 | |
CN104286281A (zh) | 一种西瓜红茶菌饮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