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2882A - 열 교환형 환기 장치 - Google Patents

열 교환형 환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2882A
KR20080072882A KR1020087012931A KR20087012931A KR20080072882A KR 20080072882 A KR20080072882 A KR 20080072882A KR 1020087012931 A KR1020087012931 A KR 1020087012931A KR 20087012931 A KR20087012931 A KR 20087012931A KR 20080072882 A KR20080072882 A KR 200800728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exhaust
opening
air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2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3445B1 (ko
Inventor
시노부 오리토
히데유키 후지사와
노부유키 야스이
마사요시 도우즈요우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59953A external-priority patent/JP472047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6607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17071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36607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170713A/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2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2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1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air supply to heat-exchangers or bypass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1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2012/007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 by-pass for bypassing the heat-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댐퍼가 마련되는 유로 전환 유닛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열 교환형 환기 장치를 제공한다. 배기 유로(209)와 급기 유로(210)를 구획하는 구획판(211)과, 배기 개구(212)를 구비한 배기 댐퍼 리시버(213)와, 급기 개구(214)를 구비한다. 또한, 급기 댐퍼 리시버(215)와, 배기 개구(212)를 개폐하는 배기 댐퍼(216)와, 급기 개구(214)를 개폐하는 급기 댐퍼(217)를 마련한 유로 전환 유닛(222)을 구비한다. 배기 댐퍼(216) 및 급기 댐퍼(217)에 댐퍼 측 절곡부(224)를 마련하고, 배기 댐퍼 리시버(213) 및 급기 댐퍼 리시버(215)의 단부 근방에 리시버 측 절곡부(223)를 댐퍼 측 절곡부(224)를 따라서 마련한다.

Description

열 교환형 환기 장치{HEAT EXCHANGE TYPE VENTILATO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저온 지역 등에서 사용되는 열 교환형 환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 교환 소자의 동결을 방지하는 열 교환형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열 교환형 환기 장치에는 환기 장치의 동결 방지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실용 신안, 일본 실용 신안 공개 제 1987-17743호 공보).
이하에 그 환기 장치의 동결 방지 장치에 대하여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101)의 내부에 배기 유로(102)와 급기 유로(103)를 교차하도록 형성한다. 그들의 교차부에 열 교환기(104)를 배치한다. 본체(101)의 흡입측에 저온 유로(105)와 고온 유로(106)를 마련한 상자체(107)가 배치되어 있다. 상자체(107)의 한쪽 측면에는 저온 유로 입구(108)와 고온 유로 입구(109)가, 또한 다른 한쪽 측면에는 저온 유로 출구(110)와 고온 유로 출구(111)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저온 유로 출구(110)는 본체(101)의 흡입구(112)에 접속되며 고온 유로 출구(111)는 본체의 흡입구(113)와 접속되어 있다. 개구(114)를 구비하는 격벽(115)은 저온 유로(102)와 고온 유로(103)를 구획하는 동시에, 이들 2개의 유로를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온 유로(105)에 피봇 부착되어 개구(114)와 저온 유로 입구(108)를 교대로 개폐하는 댐퍼(116)와, 고온 유로(106)에 피봇 부착되어 개구(114)와 고온 유로 출구(111)를 교대로 개폐하는 댐퍼(117)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실외로부터 저온 유로 입구(108)에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낮아 열 교환기(104)에 결빙이 발생했을 때에는 댐퍼(116, 117)를 회동함과 동시에 개구(114)를 개방하고 저온 유로 입구(108)와 고온 유로 출구(111)를 폐쇄해 고온 유로 입구(109)로부터 유입된 고온 공기가 열 교환기(104)를 지나 결빙이 융해된다.
이러한 종래의 환기 장치의 동결 방지 장치에서 댐퍼(116, 117)는 저온 유로 입구(108), 고온 유로 출구(111) 및 개구(114)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각도는 90도라는 비교적 큰 개폐 각도를 준비해야만 한다. 이 때문에, 상자체(107)가 대형이 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상자체(107)의 소형화가 요구된다.
또한, 열 교환기(104)의 결빙의 융해 시에는 열 교환기(104)의 한쪽 방향으로만 고온 공기를 통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융해하기 위해서 장시간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단시간에 결빙을 융해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유로 전환 유닛의 소형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열 교환 기기의 간편 화를 도모하며, 결빙의 융해를 단시간에 실행할 수 있고 또한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는 열 교환형 환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a) 실내로부터의 배기류와 실외로부터의 급기류의 열 교환을 실행하는 열 교환기와,
(b) 배기류를 형성하는 배기용 송풍기와,
(c) 급기류를 형성하는 급기용 송풍기를 마련한 환기 유닛과,
(d) 배기 유로와 급기 유로를 구획하는 구획판과,
(e) 배기류가 지나는 배기 개구를 구비한 배기 유로에 마련되는 배기 댐퍼 리시버와,
(f) 급기류가 지나는 급기 개구를 구비하고 급기 유로에 마련되는 급기 댐퍼 리시버와,
(g) 배기 개구를 개폐하는 배기 댐퍼와,
(h) 급기 개구를 개폐하는 급기 댐퍼를 구비한 유로 전환 유닛과,
(i) 배기 댐퍼 리시버 및 급기 댐퍼 리시버의 단부 근방에 마련하는 리시버 측 절곡부와,
(j) 배기 댐퍼 리시버 및 급기 댐퍼 리시버의 리시버 측 절곡부를 따르도록 절곡하여 배기 댐퍼와 급기 댐퍼에 마련되는 댐퍼 측 절곡부를 구비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서, 특히 절곡하며 또한 폭이 작은 배기 댐퍼 리시버, 급기 댐퍼 리시버, 배기 댐퍼 및 급기 댐퍼에 의해서 큰 배기 개구 및 급기 개구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따라 유로 전환 유닛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배기 댐퍼 및 급기 댐퍼의 회전 각도를 가령 작게 설정하더라도 배기 댐퍼 및 급기 댐퍼가 배기 유로 및 급기 유로의 장해가 되는 문제를 배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상기 구성 요건(j)의 댐퍼 측 절곡부를 바람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방향으로 절곡한 것이다. 이에 따라, 배기 및 급기의 개구가 커짐과 동시에 수납이 잘 되어, 저압손화,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정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상기 구성 요건(d)에 나타내는 배기 유로와 급기 유로를 연통하도록 마련한 구획판에 개구하는 순환 개구와 이 순환 개구를 개폐하는 순환 댐퍼를 구비한다.
또한, 배기 개구, 급기 개구 및 순환 개구의 3개의 개구에 각각 배기 댐퍼와 급기 댐퍼 및 순환 댐퍼를 배치한다. 열 교환기의 결빙을 융해할 때에는 배기 개구 및 급기 개구가 배기 댐퍼 및 급기 댐퍼에 의해서 폐쇄된다. 순환 댐퍼가 열려 순환 개구가 개구되면, 환기 유닛 측에 있어서 따뜻한 실내 공기가 열 교환기의 한쪽 측의 통풍로를 지난다. 따뜻한 실내 공기는 열 교환기를 따뜻하게 한 후, 다시 순환 개구로부터 급기 유로로 들어가서 열 교환기의 다른 쪽 측의 통풍로를 지나 실내로 순환하는 순환 유로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열 교환기의 따뜻한 공기가 2회 지나가게 되어 열 교환기의 결빙의 융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배기 개구와 급기 개구 및 순환 개구의 크기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배기 댐퍼, 급기 댐퍼 및 순환 댐퍼를 배기류 및 급기류의 풍압으로 배기 개구, 급기 개구 및 순환 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구성으로 한 것이다. 배기 개구, 급기 개구 및 순환 개구의 기밀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급기류와 배기류가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결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배기 댐퍼, 급기 댐퍼 및 순환 댐퍼를 일체화하고, 일체화하여 구성한 댐퍼의 회전축으로 이들 댐퍼를 동시에 개폐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댐퍼 모터를 하나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열 교환형 환기 장치의 소형화 및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배기 댐퍼, 급기 댐퍼 및 순환 댐퍼를 일체적으로 개폐하는 댐퍼의 회전축을 구동하는 댐퍼 모터를 유로 전환 유닛 내에 마련한다. 유로 전환 유닛의 하면 측에서 유지 보수를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댐퍼 모터를 외측에 마련한 경우와 비교하여 하면 측의 유지 보수 공간을 크게 잡을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유로 전환 유닛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댐퍼 모터 및 댐퍼의 회전축을 함께 배기 유로 내에 마련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댐퍼 모터 및 댐퍼의 각 회전축을 연결하고, 또한 가동하는 레버가 배기 유로와 급기 유로를 구획하는 구획판을 관통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구획판의 밀봉도가 향상된다. 내결로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댐퍼 모터를 상온에 가까운 환경 하에 배치할 수 있다. 아울러, 댐퍼 모터의 온도적 제약이 완화되어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댐퍼 모터를 배기 댐퍼와 급기 댐퍼 및 순환 댐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열 교환형 환기 장치의 유지 보수를 실행할 때에 댐퍼 모터만을 떼어내면 되기 때문에 유지 보수 작업을 쉽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댐퍼 모터와 댐퍼를 일체화시킴으로써 댐퍼를 구획판을 관통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댐퍼를 유지 보수하기 위해서 종전에 필요했던 구획판의 분할이 불필요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배기 댐퍼, 급기 댐퍼 및 순환 댐퍼의 개폐 동작을 함께 댐퍼 모터 자체로 실행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댐퍼의 개폐 속도가 풍압의 영향을 받는다고 문제를 배제하고 충격음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댐퍼의 개폐를 용수철을 이용하여 복귀시키는 경우와 비교해 풍압에 지지 않고 개폐 동작을 확실히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댐퍼 모터 측의 회전축과 댐퍼 측의 회전축을 레버로 연결하고, 댐퍼 모터 측의 회전축과 댐퍼 측의 회전축의 위치를 어긋나게 구성한 것이다. 댐퍼 모터 측의 회전축과 댐퍼의 회전축을 레버로 연결함과 동시에 댐퍼 모터 측의 회전축을 회전시켜 레버를 왕복시키고, 또한 댐퍼 측의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댐퍼 모터 측의 회전축의 동작 각도와 댐퍼의 동작 각도를 어긋나게 할 수 있다. 댐퍼의 동작 범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댐퍼 모터를 유로 전환 유닛의 상부면측에 마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설사 유로 전환 유닛 내에 결로 얼음이 발생한 경우라도 댐퍼 모터에 결로 얼음이 쌓이는 문제를 배제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리미트 스위치를 2개 사용하여 댐퍼의 정지 중은 댐퍼 모터로의 통전을 정지한다. 통전을 정지함으로써 전력 절약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댐퍼 모터의 긴 수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제어 장치 등의 수납부를 유로 전환 유닛의 내부로 돌출시켜서 풍로 가이드가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납부가 풍로 가이드의 기능을 갖기 때문에 통기 저항이 저감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a1) 실내의 고온 공기와 실외의 저온 공기의 열 교환을 실행하는 열 교환 소자와,
(b1) 고온 공기를 실외로 보내고 저온 공기를 실내로 보내는 송풍기를 구비한 열 교환 기기부와,
(c1) 열 교환 기기부의 실외 측에 배치되며, 저온 공기 흡입구로부터 열 교환 기기부에 이르는 저온 풍로와,
(d1) 열 교환 기기부로부터 고온 공기 배기구에 이르는 고온 풍로와,
(e1) 저온 풍로와 고온 풍로의 구획에 공기가 빠져나가는 개구와,
(f1) 저온 공기 흡입구와 고온 공기 배기구와 개구에 풍로의 개구 면적을 바꾸는 개폐 기능을 갖는 댐퍼를 구비한 동결 방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 요건을 구비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구성 요건(f1)의 댐퍼의 개폐 기능에 의해, 열 교환 소자를 지난 고온 공기를 개구로 이끈다. 그리고 실내의 고온 공기가 저온 공기에 혼입하여 다시 실내로 되돌아가는 구성으로 한다. 저온 공기 흡입구와 고온 공기 배기구 및 저온 풍로와 고온 풍로의 구획에 마련한 개구를 적당히 열어 놓는다. 열 교환 기기부로부터 배기된 고온 공기의 일부는 저온 풍로와 고온 풍로의 구획에 마련한 개구를 지나 고온 풍로로부터 저온 풍로로 들어가고, 저온 공기 흡입구로부터 흡인된 저온 공기와 혼합되어 혼합 공기로 되어 온도가 상승한 상태로 열 교환 기기부에 급기된다. 이에 따라, 열 교환 소자의 동결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열 교환 기기부로부터 배기된 나머지 고온 공기는 고온 공기 배기구로부터 실외로 배기되기 때문에 상시 환기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저온 공기 흡입구로부터 흡인한 저온 공기의 온도에 따라서 저온 공기 흡입구와 고온 공기 배기구 및 개구의 통풍로 면적을 상기 구성 요건(f1)의 댐퍼에 의해 조정하는 구성이다. 저온 공기 흡입구로부터 흡인한 저온 공기의 온도에 근거하여 저온 공기 흡입구와 고온 공기 배기구 및 개구의 개방 정도를 조정한다. 그리고, 열 교환 기기부로 급기되는 공기를 항상 열 교환 소자가 동결되지 않는 온도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최대한의 환기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저온 공기 흡입구, 고온 공기 배기구 및 개구의 통풍로 면적을 조정하는 적어도 2개의 댐퍼를 일체화하여 개폐 기능을 연동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댐퍼를 구동시키는 모터를 줄일 수 있어 공간 절약화와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댐퍼의 개폐 기능을 전부 독립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저온 공기 흡입구, 고온 공기 배기구 및 개구의 각각에 있어서 정밀하게 개방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열 교환 기기부의 운전 정지 중에 댐퍼에 의해 저온 공기 흡입구와 고온 공기 배기구로부터 저온 공기가 유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열 교환 기기부의 운전 정지 중에 실외로부터 저온 공기 흡입구와 고온 공기 배기구를 통과하여 침입해 들어오는 저온 공기, 잡음 및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저온 풍로 중에 필터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저온 공기 흡입구로부터 흡인한 실외의 더러워진 저온 공기와, 열 교환 기기부로부터 배기되어 저온 풍로와 고온 풍로의 구획에 마련한 개구를 지나 고온 풍로로부터 저온 풍로로 들어오는 실내의 더러워진 고온 공기의 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동결 방지부를 열 교환 기기부와 실외를 잇는 덕트 배관 상에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열 교환 기기부와 동결 방지부의 일체화 여부에 관계없이 설치 공간에 제약을 받는 더그매(天井裏)에서도 덕트 배관의 공간을 이용하여 기기의 설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동결 방지부에 열 교환 기기부를 고정하는 고정 기구를 열 교환 기기부에 고정하고 나서 고정 기구에 동결 방지부를 고정한다. 열 교환 기기부에 고정하는 경우에 동결 방지부를 매달 필요가 없어지고 먼저 매단 열 교환 기기부에 후 장착도 가능해져 시공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고정 기구가 동결 방지부의 풍로 구성 부품을 겸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열 교환 기기부에 고정할 때, 부품 개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a2) 실내의 배기류와 실외로부터의 급기류의 열 교환을 실행하는 열 교환기와,
(b2) 배기류를 형성하는 배기용 송풍기와 급기류를 형성하는 급기용 송풍기를 마련한 환기 유닛과,
(c2) 배기 유로와 급기 유로를 구획하는 구획판과,
(d2) 배기류가 지나는 배기 개구와,
(e2) 배기 유로에 마련되는 배기 댐퍼 리시버와,
(f2) 급기류가 지나는 급기 개구와,
(g2) 급기 유로에 마련되는 급기 댐퍼 리시버와,
(h2) 배기 개구를 개폐하는 배기 댐퍼와,
(i2) 급기 개구를 개폐하는 급기 댐퍼와,
(j2) 배기 유로와 급기 유로를 연통하도록 구획판에 개구한 순환 개구와,
(k2) 순환 개구를 개폐하는 순환 댐퍼와,
(12) 상기 각 댐퍼를 개폐하는 댐퍼 모터와,
(m2) 공기 온도를 검출하고 상기 각 댐퍼의 개폐를 제어하는 센서부를 마련한 유로 전환 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 하에 있어서, 센서부를 유로 전환 유닛의 급기류와 순환 개구를 지나는 순환류가 함께 접촉하는 위치에 마련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저온의 실외로부터의 공기와 고온의 실내 공기의 2종류의 기류가 직접 센서부에 접촉한다. 센서부가 급기류의 온도와 순환류의 온도를 검지하여 각 댐퍼를 개폐시켜, 실외 공기의 도입과 실내 공기의 순환을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실외 공기의 도입과 실내 공기의 순환을 전환하기 위한 타이머 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저비용화 및 전기 회로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센서부를 하나의 온도 센서로 형성한 것이다. 2종류의 기류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는 2개의 온도 센서가 필요하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온도 센서로 2종류의 기류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저비용화 및 회로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센서부를 C 접점의 온도 센서로 형성한 것으로, 접촉하는 기류의 온도에 따라 온도 센서의 접점을 전환할 수 있다.
또한, C 접점이라는 용어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즉, C 접점은 A 접점 및 B 접점의 2개의 스위치 기능을 겸비한 것이다. A 접점은 노멀리 오픈(N.O.) 타입이며, B 접점은 노멀리 클로즈(N.C.) 타입이다. 따라서, C 접점은 노멀리 오픈 타입 및 노멀리 클로즈 타입의 2개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각 댐퍼의 개폐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댐퍼 모터로의 통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댐퍼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각 댐퍼의 개폐를 실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용수철 등을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풍압에 지지 않고 확실히 개폐할 수 있음과 동시에, 댐퍼가 개폐할 때에 발생하는 잡음,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온도 센서로 각 댐퍼의 개폐를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의 저감화 및 전기 회로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센서부의 주위를 단열재로 포위한 것이다. 단열재의 종류나 두께에 의해서 센서부의 반응 시간을 조절하면, 센서부의 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댐퍼의 개폐 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타이머 등의 설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저비용화와 전기 회로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센서부에 급기류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울타리를 마련한 것이다. 센서부의 반응 시간은 급기류가 직접 닿는 경우에는 짧아지고, 급기류가 직접 닿지 않는 경우에는 길어진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면 각 댐퍼의 개폐 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타이머 등의 설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저비용화와 전기 회로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순환 개구를 지나는 순환류가 센서부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울타리를 마련한 것이다. 센서부의 반응 시간은 순환류가 직접 닿는 경우에는 짧아지고, 순환류가 직접 닿지 않는 경우에는 길어짐으로써 각 댐퍼의 개폐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타이머 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비용의 저감화와 전기 회로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순환 댐퍼의 일부를 센서부의 울타리 역할을 하도록 형성한 것이다. 순환 댐퍼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센서부에 울타리가 마련되어, 급기류가 센서부에 직접 닿지 않기 때문에 센서부의 반응 시간이 길어진다. 따라서, 각 댐퍼의 개폐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타이머 등의 설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비용의 저감화와 전기 회로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순환 댐퍼에 센서부를 마련한 것이다. 센서부를 기류가 직접 닿는 장소 또는 직접 닿지 않는 장소에 조절하여 마련할 수 있어 센서부의 반응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댐퍼의 개폐 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타이머 등의 설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저비용화와 전기 회로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센서부에 방수 대책을 실시한 것이다. 센서부 내에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결로수가 가령 발생하더라도 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어 물에 대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의 사용 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의 열 교환기의 결빙 의 융해 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의 개구 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의 댐퍼 모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의 댐퍼 모터의 전기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의 동결 방지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의 저면 측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의 저면 측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의 저면 측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의 저면 측 구성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의 측면 측 및 저면 측 구성도,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의 측면 측 및 저면 측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의 통상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의 결빙의 융해 시 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의 댐퍼를 제외한 유로 전환 유닛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의 온도 센서와 댐퍼 모터의 관계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의 센서부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열 교환형 환기 장치의 통상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0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의 결빙의 융해 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의 통상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의 결빙의 융해 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의 통상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의 결빙의 융해 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의 통상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5는 종래의 환기 장치의 동결 방지 장치의 통상의 환기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6은 종래의 환기 장치의 동결 방지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27은 종래의 환기 장치의 동결 방지 장치의 댐퍼 부분의 구성도.
부호의 설명
201 : 실내 측 배기구
202 : 실내 측 급기구
203 : 배기용 연결구
204 : 급기용 연결구
205, 405 : 열 교환기
206, 406 : 배기용 송풍기
207, 407 : 급기용 송풍기
208, 408 : 환기 유닛
209, 409 : 배기 유로
210, 410 : 급기 유로
211, 411 : 구획판
212, 412 : 배기 개구
213, 413 : 배기 댐퍼 리시버
214, 414 : 급기 개구
215, 415 : 급기 댐퍼 리시버
216, 416 : 배기 댐퍼
217, 417 : 급기 댐퍼
218, 418, 418A : 순환 개구
219, 419, 419C, 419D : 순환 댐퍼
220, 420 : 실외 측 배기구
221, 421 : 실외 측 급기구
222, 422 : 유로 전환 유닛
223 : 리시버 측 절곡부
224 : 댐퍼 측 절곡부
225 : 댐퍼 측의 회전축
226, 423 : 댐퍼 모터
227 : 댐퍼 모터 측의 회전축
228 : 레버
229 : 상부면
230 : 메인 스위치
231, 426a : 제 1 리미트 스위치
232, 426b : 제 2 리미트 스위치
233 : 수납부
234 : 순환 유로
301 : 고온 공기
302 : 저온 공기
303 : 송풍기
304 : 열 교환 소자
305 : 열 교환 기기부
306 : 저온 공기 흡입구
307 : 저온 풍로
308 : 고온 공기 배기구
309 : 고온 풍로
310 : 구획
311 : 개구
312 : 동결 방지부
313 : 온도 센서
314, 315, 316 : 댐퍼
317 : 필터
318 : 고정 기구
319 : 혼합 공기
320 : 덕트 배관
424, 424A : 센서부
425, 425B, 425C, 425D, 425E, 425F : 온도 센서
430 : 단열재
431, 431A, 431B : 울타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한쪽 측면의 실내 측에 실내 측 배기구(201)와 실내 측 급기구(202)를 구비한다. 또한, 다른 측면에 배기용 연결구(203)와 급기용 연결구(204)를 마련하고, 내부에 실내로부터의 배기류와 실외로부터의 급기류의 열 교환을 실행하는 열 교환기(205)와 배기류를 형성하는 배기용 송풍기(206)를 구비한다.
또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급기류를 형성하는 급기용 송풍기(207)를 마련한 환기 유닛(208)을 구비한다. 환기 유닛(208)의 배기용 연결구(203)에 연결되는 배기 유로(209)와 환기 유닛(208)의 급기용 연결구(204)에 연결되는 급기 유로(210)를 구획하는 구획판(211)과, 배기류가 지나는 배기 개구(212)를 구비한다. 또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배기 유로(209)에 마련되는 배기 댐퍼 리시버(receiver)(213)와 급기류가 지나는 급기 개구(214)를 구비하며, 급기 유로(210)에 마련되는 급기 댐퍼 리시버(215)와 배기 개구(212)를 개폐하는 배기 댐퍼(216)와 급기 개구(214)를 개폐하는 급기 댐퍼(217)를 구비한다.
또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배기 유로(209)와 급기 유로(210)를 연통하도록 구획판(211)에 개구한 순환 개구(218)와, 순환 개구(218)를 개폐하는 순환 댐퍼(219)와, 실외 측에 실외 측 배기구(220)와 실외 측 급기구(221)를 마련한 유로 전환 유닛(222)을 구비한다.
또한, 배기 댐퍼(216) 및 급기 댐퍼(217)에 바람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방향으로 절곡하는 댐퍼 측 절곡부(224)를 마련하고, 배기 댐퍼 리시버(213) 및 급기 댐퍼 리시버(215)의 단부 근방에 배기 댐퍼(216) 및 급기 댐퍼(217)의 댐퍼 측 절곡부(224)를 따르도록 절곡한 리시버 측 절곡부(223)를 마련한다. 배기 댐퍼(216) 및 급기 댐퍼(217)는 배기류 및 급기류의 풍압으로 배기 개구와 급기 개구 및 순환 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마련한다.
또한, 배기 댐퍼(216)와 급기 댐퍼(217) 및 순환 댐퍼(219)를 일체화하여 마련해 댐퍼 측의 회전축(225)에 의해서 이들이 일체적으로 개폐하도록 하고, 회전축(225)을 가동하는 댐퍼 모터(226)를 유로 전환 유닛(222) 내에 마련한다. 또한, 댐퍼 모터(226)와 댐퍼 측의 회전축(225)을 배기 유로(209)내에 마련한다. 또한, 댐퍼 모터 측의 회전축(227)과 댐퍼 측의 회전축(225)을 레버(228)로 연결하여 댐퍼 모터 측의 회전축(227)과 댐퍼 측의 회전축(225)의 위치를 어긋나게 배치하고, 댐퍼 모터(226)를 유로 전환 유닛(222)의 배기 유로(209)의 상부면(229)에 마련한다. 또한, 배기 댐퍼(216)와 급기 댐퍼(217) 및 순환 댐퍼(219)의 개폐 동작을 댐퍼 모터(226) 자체로 실행할 수 있도록 마련한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 접점을 구비하는 메인 스위치(230)를 마 련하고, 메인 스위치(230)에 대하여 댐퍼 모터(226)와의 사이에 교대로 도통하도록 제 1 리미트 스위치(231)와 제 2 리미트 스위치(232)를 병렬로 마련한 2개의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하는 회로를 직렬로 접속한다. 배기 댐퍼(216)와 급기 댐퍼(217)가 닫힌 위치에 놓일 때에는, 제 1 리미트 스위치(231)가 닫힌 상태를 검출하여 제 1 리미트 스위치(231)가 열린 상태로 된다. 댐퍼 모터(226)의 전원 회로는 열려서 댐퍼 모터(226)로의 통전은 정지되도록 마련한다.
또한, 제어 장치 등을 수납하는 수납부(233)(도 1 좌하측)를 유로 전환 유닛(222)의 배기 유로(209)의 내부에 산 형상으로 돌출시켜서 풍로 가이드가 되도록 마련하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통상의 열 교환 환기 운전을 실행할 때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기 댐퍼(216)와 급기 댐퍼(217)는 열린 상태이다. 순환 댐퍼(219)가 열린 상태가 되도록 댐퍼 모터(226)에 의해 일체적으로 마련한 배기 댐퍼(216)와 급기 댐퍼(217) 및 순환 댐퍼(219)를 구동한 상태로 열 교환형 환기 장치를 운전한다. 이 때, 배기용 송풍기(206)에 의해 실내의 열을 보유하고 있는 실내 공기가 실내 측 배기구(201)로부터 환기 유닛(208) 내로 빨려 들어간다. 배기 공기는 열 교환기(205)의 한쪽 통로를 지나 유로 전환 유닛(222)의 배기 유로(209)를 지나, 실외 측 배기구(220)로부터 실외로 배기된다. 한편, 급기용 송풍기(207)에 의해서 실외의 저온 공기는 실외 측 급기구(221)로부터 급기 유로(210) 내로 유입되며, 급기 유로(210)로부터 환기 유닛(208)에 마련한 열 교환기(205)내의 다른 쪽 통로를 지나 실내 측 급기구(202)로부터 실내에 급기되어 열 교환의 환기가 실 행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를 저온 지역에서 사용하는 경우로서, 급기 온도가 낮아 열 교환기(205)가 결빙 상태일 때에는 댐퍼 모터(226)에 의해 배기 댐퍼(216)와 급기 댐퍼(217) 및 순환 댐퍼(219)를 구동한다. 배기 댐퍼(216)에 의해서 배기 개구(212)를 폐쇄하고 급기 댐퍼(217)에 의해 급기 개구(214)를 폐쇄한다.
순환 댐퍼(219)는 순환 개구(218)를 개구한 도 2에 나타내는 상태로 함으로써 배기용 송풍기(206)가 운전 상태에 들어간다. 배기용 송풍기(206)가 운전되면 실내측 배기구(201)로부터 환기 유닛(208) 내로 열을 보유하고 있는 실내 공기가 흡인된다. 배기 공기가 열 교환기(205) 내의 한쪽 통로를 지나며 배기 공기에 포함된 열에 의해서 열 교환기(205)의 결빙이 융해된다. 배기 공기는 열 교환기(205)를 지나는 과정에서 열이 빼앗긴다. 열을 빼앗기지 않고 아직 열이 남아 있는 배기 공기는 개구하고 있는 순환 개구(218)로부터 급기 유로(210)를 거쳐 다시 열 교환기(5)의 다른 측 통로를 지나 열 교환기(205)를 가열하여 다시 결빙이 융해되게 된다.
실시예 1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를 요약하면,
실내로부터의 배기류와 실외로부터의 급기류의 열 교환을 실행하는 열 교환기(205)와,
배기류를 형성하는 배기용 송풍기(206)와,
급기류를 형성하는 급기용 송풍기(207)를 마련한 환기 유닛(208)과,
배기 유로(209)와 급기 유로(210)를 구획하는 구획판(211)과,
배기류가 지나는 배기 개구(212)와,
배기 유로(209)에 마련되는 배기 댐퍼 리시버(213)와,
급기류가 지나는 급기 개구(214)와,
급기 유로(210)에 마련되는 급기 댐퍼 리시버(215)와,
배기 개구(212)를 개폐하는 배기 댐퍼(216)와,
급기 개구(214)를 개폐하는 급기 댐퍼(217)와,
배기 댐퍼(216)와 급기 댐퍼(217)가 마련되는 유로 전환 유닛(222)과,
배기 댐퍼 리시버(213) 및 급기 댐퍼 리시버(215)의 단부 근방에 마련되는 리시버 측 절곡부(223)와,
배기 댐퍼 리시버(213) 및 급기 댐퍼 리시버(215)의 리시버 측 절곡부(223)를 따르도록 절곡한 댐퍼 측 절곡부(224)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특히 절곡하며 또한 폭이 작은 배기 댐퍼 리시버(213), 급기 댐퍼 리시버(215), 배기 댐퍼(216) 및 급기 댐퍼(217)에 의해서 큰 배기 개구(212) 및 급기 개구(214)를 얻을 수 있다. 유로 전환 유닛(222)의 소형화가 도모됨과 동시에 배기 댐퍼(216) 및 급기 댐퍼(217)의 회전 각도를 작게 설정하더라도 배기 댐퍼(216) 및 급기 댐퍼(217)가 배기 유로(209) 및 급기 유로(210)를 지나는 공기의 장해가 되는 것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댐퍼 측 절곡부(224)를 바람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방향으로 절곡했기 때문에 배기 개구(212) 및 급기 개구(214)를 크게 할 수 있고, 수납 상태가 좋아, 저압손화(低壓損化), 저소음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정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배기 유로(209)와 급기 유로(210)를 연통하도록 구획판(211)에 개구한 순환 개구(218)와, 순환 개구(218)를 개폐하는 순환 댐퍼(219)를 구비한다. 또한, 배기 개구(212)와 급기 개구(214) 및 순환 개구(218)의 3개의 개구에 각각 배기 댐퍼(216)와 급기 댐퍼(217) 및 순환 댐퍼(219)를 배치한 것이다. 열 교환기(205)의 결빙을 융해할 때에는 배기 개구(212) 및 급기 개구(214)가 배기 댐퍼(216) 및 급기 댐퍼(217)에 의해서 폐쇄되고 순환 댐퍼(219)가 열려 순환 개구(218)가 개구한다.
이에 따라, 환기 유닛(208) 측에서 따뜻한 실내 공기가 열 교환기(205)의 한쪽 측의 통로를 지나 열 교환기(205)를 따뜻하게 한 후, 다시 순환 개구(218)로부터 급기 유로(210)로 들어가 열 교환기(205)의 다른 쪽 측의 통로를 지나 실내로 순환하는 순환 유로(234)가 형성된다. 열 교환기(205)에는 따뜻한 공기가 2회 지나가게 된다. 열 교환기(205)의 결빙의 융해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배기 개구(212)와 급기 개구(214) 및 순환 개구(218)의 크기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배기 댐퍼(216)와 급기 댐퍼(217) 및 순환 댐퍼(219)가 배기류 및 급기류의 풍압으로 배기 개구와 급기 개구 및 순환 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작용하 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배기 개구(212), 급기 개구(214) 및 순환 개구(218)의 기밀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급기류와 배기류가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결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배기 댐퍼(216)와 급기 댐퍼(217) 및 순환 댐퍼(219)를 일체적으로 개폐하는 댐퍼 측의 회전축(225)을 구동하는 댐퍼 모터(226)를 유로 전환 유닛(222)내에 마련한다. 댐퍼 모터(226)를 외부에 마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유로 전환 유닛(222)의 소형화가 도모된다. 아울러, 그 하면 측으로부터 유지 보수를 실행할 수 있어 유로 전환 유닛(222)의 하면 측의 유지 보수의 공간을 크게 잡을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댐퍼 모터(226)와 댐퍼의 회전축(227)을 배기 유로(209) 내에 마련했기 때문에, 댐퍼 모터(226) 측의 회전축(227)과 댐퍼 측의 회전축(225)을 연결해 가동하는 레버(228)가 구획판(211)을 관통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구획판(211)의 밀봉성이 향상하고 또한 댐퍼 모터(226)를 상온에 가까운 환경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댐퍼 모터(226)의 온도적 제약이 완화되어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댐퍼 모터(226)를 배기 댐퍼(216)와 급기 댐퍼(217) 및 순환 댐퍼(219)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유지 보수 시에는 댐퍼 모터(226)만을 떼어내면 되어 유지 보수성의 향상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댐퍼 모터(226)와 댐퍼를 일체적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댐퍼가 구획판(211)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댐퍼의 유지 보수를 실행하기 위해서 준비해야만 했던 구획판(211)의 분할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열 교환형 환기 장치의 간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배기 댐퍼(216)와 급기 댐퍼(217) 및 순환 댐퍼(219)의 개폐 동작을 댐퍼 모터(226) 자체로 함께 실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배기 댐퍼(216)와 급기 댐퍼(217) 및 순환 댐퍼(219)의 개폐 속도가 풍압의 영향을 받지 않아 충격음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아울러, 용수철 등을 이용하여 복귀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풍압에 지지 않고 개폐 동작을 확실히 할 수 있다.
또한, 댐퍼 모터 측의 회전축(227)과 댐퍼 측의 회전축(225)을 레버(228)로 연결하여 댐퍼 모터 측의 회전축(227)과 댐퍼 측의 회전축(225)의 위치를 어긋나게 구성했기 때문에, 댐퍼 모터(226)측의 회전축(227)을 회전시켜서 레버(228)를 왕복시켜 댐퍼 측의 회전축(225)을 가동시킴으로써 댐퍼 모터 측의 회전축(227)의 동작각도와 댐퍼의 동작 각도를 어긋나게 할 수 있어 댐퍼의 동작 범위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어서 열 교환형 환기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댐퍼 모터(226)를 유로 전환 유닛(222)의 상부면(229) 측에 마련했기 때문에, 설사 결로수가 발생한 경우라도 댐퍼 모터(226)에 결로수가 고인다고 하는 문제를 배제하여 댐퍼 모터(226)의 기계적 전기적인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 1 리미트 스위치(231)와 제 2 리미트 스위치(232) 2개를 사용하여 댐퍼의 정지 중은 댐퍼 모터(226)로의 통전을 정지하기 때문에, 통전을 정지함으로써 에너지 절약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제어 장치 등의 수납부(233)를 유로 전환 유닛(222)의 내부에 산 형상으로 돌출시켜 풍로 가이드가 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수납부(233)가 풍로 가이드로 되는 형상에 의해 통기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예를 들면 공기 조화기의 조화 공기를 보내는 덕트 내부에 마련되는 댐퍼에 의한 유로 개폐 장치를, 절곡부를 마련한 댐퍼 리시버 및 댐퍼를 이용함으로써, 공기 조화기의 유로 개폐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8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실내의 고온 공기(301)와 실외의 저온 공기(302)를 송풍기(303)와 열 교환 소자(304)에 의해서 열 교환을 실행한다. 또한, 실외의 급기와 실내의 배기를 실행하는 열 교환 기기부(305)와, 열 교환 기기부(305)의 실외 측에 배치되어 저온 공기 흡입구(306)로부터 열 교환 기기부(305)에 이르는 저온 풍로(307)와, 열 교환 기기부(305)로부터 고온 공기 배기구(308)에 이르는 고온 풍로(309)와, 저온 풍로(307)와 고온 풍로(309)의 구획(310)에 마련한 개구(311)에 의해 얻어지는 바이패스 풍로를 구비한다. 또한, 저온 공기 흡입구(306)로부터 흡인한 저온 공기(302)와 열 교환 기기부(305)로부터 배기되어 고온 풍로(309)로부터 개구(311)를 거쳐 저온 풍로(307)에 되돌려진 고온 공기(301)가 지나는 저온 풍로(307)에 필터(317)를 마련하고, 저온 공기 흡입구(306)와 고온 공기 배기구(308) 및 개구(311)에 댐퍼(314, 315, 316)에 의한 개폐 기능을 구비한 동결 방지부(312)를 구비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결 방지부(312)의 저온 공기 흡입구(306)로부터 상류에 온도 센서(313)를 배치하여 온도에 따라 동결 방지부(312)의 저온 공기 흡입구(306)와 고온 공기 배기구(308) 및 개구(311)의 개방도를 댐퍼에 의해 변화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저온 공기 흡입구(306)로부터 저온 풍로(307)로 흡인된 저온 공기(302)의 양과 고온 풍로(309)로부터 고온 공기 배기구(308)로 배기되는 고온 공기(301)의 양 및 고온 풍로(309)로부터 개구(311)를 지나 저온 풍로(307)로 되돌아가는 고온 공기(301)의 양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저온 공기 흡입구용 댐퍼(314)와 고온 공기 배기구용 댐퍼(315)가 저온 공기 흡입구(306)와 고온 공기 배기구(308)를 완전 개방 상태로 제어한다. 또한, 구획 개구용 댐퍼(316)가 개구(311)를 완전 닫힘 상태로 제어하면, 열 교환 기기부(305)로부터 배기되는 고온 공기(301)는 고온 풍로(309)를 지나 고온 공기 배기구(308)로부터 전부 실외로 배기된다. 저온 공기 흡입구(306)로부터 흡인된 저온 공기(302)가 저온 풍로(307)를 통과하여 열 교환 기기부(305)로 급기되는 운전 상태에 있어서는, 저온 공기 흡입구(306)로부터 흡인된 실외의 저온 공기(302)의 온도가 열 교환 소자(304)를 동결시키는 온도와 비교해서 높은 상태라고 온도 센서(313)가 판단한 경우에는 운전상태를 계속한다. 또한, 저온 공기 흡입구(306)로부터 흡인된 실외의 저온 공기(302)의 온도가 열 교환 소자(304)를 동결시키는 온도보다 낮은 상태라고 온도 센서(313)가 판단한 경우에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온 공기 흡입구용 댐퍼(314)와 고온 공기 배기구용 댐퍼(315)가 저온 공기 흡입구(306)와 고온 공기 배기구(308)의 개방도를 작게 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구획 개구용 댐퍼(316)가 개구(311)를 열어 고온 공기(301)의 일부가 고온 풍로(309)로부터 개구(311)를 지나 저온 풍로(307)에 들어간다. 또한, 저온 공기 흡입구(306)로부터 흡인된 저온 공기(302)와 혼합되어 혼합 공기(319)로 되어, 온도가 상승한 상태로 열 교환 기기부(305)에 급기되어 열 교환 소자(304)의 동결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열 교환 기기부(305)로부터 배기되고 개구(311)로부터 저온 풍로(307)로 들어가지 않은 나머지 고온 공기(301)는 고온 공기 배기구(308)로부터 실외로 배기된다. 이러한 동작은 상시 열 교환형 환기 장치를 환기하고 있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열 교환 소자(304)의 동결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저온 공기(302)의 온도에 근거하여 저온 공기 흡입구용 댐퍼(314)와 고온 공기 배기구용 댐퍼(315) 및 구획 개구용 댐퍼(316)를 움직여 저온 공기 흡입구(306)와 고온 공기 배기구(308) 및 개구(311)의 개방도를 변화시킨다. 이에 의해서 저온 공기 흡입구(306)로부터 흡인된 저온 공기(302)의 온도가 변화되더라도 열 교환 기기부(305)로 급기되는 혼합 공기(319)를 열 교환 소자(304)가 동결되지 않는 하한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최대한의 환기를 할 수 있다.
또한, 저온 공기 흡입구(306)로부터 흡인된 실외의 저온 공기(302)의 온도가 상승하여 열 교환 소자(304)를 동결시키는 온도보다도 높은 상태라고 온도 센서(313)가 판단한 경우에는 도 7에 나타내는 운전상태로 되돌아간다.
또한, 저온 공기 흡입구(306)로부터 흡인한 실외의 더러워진 저온 공기(302)와 열 교환 기기부(305)로부터 배기되어, 개구(311)를 지나 고온 풍로(309)로부터 저온 풍로(307)에 들어오는 실내의 더러워진 고온 공기(301)를 정화하여 혼합 공기(319)나 실외의 저온 공기(302)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2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요약하면,
실내의 고온 공기(301)와 실외의 저온 공기(302)의 열 교환을 실행하는 열 교환 소자(304)와,
고온 공기(301)를 실외로 보내고 저온 공기를 실내로 보내는 송풍기를 구비한 열 교환 기기부(305)와,
열 교환 기기부(305)의 실외 측에 배치되어, 저온 공기 흡입구(306)로부터 열 교환 기기부(305)에 이르는 저온 풍로(307)와,
열 교환 기기부로부터 고온 공기 배기구(308)에 이르는 고온 풍로(309)와,
저온 풍로(307)와 고온 풍로(309)의 구획(310)에 공기가 빠져나가는 개구(311)와,
저온 공기 흡입구(306)와 고온 공기 배기구(308)와 개구(311)에 풍로의 개구 면적을 바꾸는 개폐 기능을 구비한 댐퍼(314, 315, 316)를 구비한 동결 방지부(312)를 구비한 것이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대하여 도 9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9에 있어서, 실시예 2, 3과 같은 구성 요소에 있어서는 같은 부호를 이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온 공기 흡입구(306)와 고온 공기 배기구(308) 및 개구(311)의 개방도를 변화시키는 저온 공기 흡입구용 댐퍼(314)와 고온 공기 배기구용 댐퍼(315) 및 구획 개구용 댐퍼(316) 중 2개의 댐퍼를 일체화하여 움직임을 연동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댐퍼(314, 315, 316)를 구동하는 모터를 줄일 수 있어, 공간 절약화와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저온 공기 흡입구(306)와 고온 공기 배기구(308) 및 개구(311)의 개방도를 변화시키는 저온 공기 흡입구용 댐퍼(314)와 고온 공기 배기구용 댐퍼(315) 및 구획 개구용 댐퍼(316)의 움직임을 전부 독립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다른 댐퍼의 움직임에 영향 받는 일없이 저온 공기 흡입구(306)와 고온 공기 배기구(308) 및 개구(311)의 각각의 통풍로 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혼합 공기(319)의 온도 조정과 환기량의 조정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를 도 10에 나타낸다. 도 10에 있어서 도 9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이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 교환 기기부(305)의 운전 정지 중에 저온 공기 흡입구(306)와 고온 공기 배기구(308)를 저온 공기 흡입구용 댐퍼(314)와 고온 공기 배기구용 댐퍼(315)에 의해 닫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열 교환 기기부(305)의 운전 정지 중에 실외로부터 저온 공기 흡입구(306)와 고온 공기 배기구(308)를 통과하여 침입해 오는 저온 공기(302)나 소리의 차단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5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를 도 11a, 도 11b에 나타낸다. 도 11a, 도 11b에 있어서 도 7 내지 도 10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이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결 방지부(312)는 열 교환 기기부(305)와 일체적으로 구성하고, 실내외를 연결하는 덕트 배관(320) 상에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열 교환 기기부(305)와 동결 방지부(312)의 일체화를 도모하고 있다. 도 11b는 열 교환 기기부(305)와 동결 방지부(312)를 덕트 배관(320)으로 접속한 구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예를 들면 설치 공간이 적은 더그매에 있어서도 덕트 배관(320)의 공간을 이용하여 기기의 설치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6)
실시예 6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를 도 12에 나타낸다. 도 12에 있어서 도 6 내지 도 11b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이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 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결 방지부(312)를 열 교환 기기부(305)에 고정하는 경우에 동결 방지부(312)의 풍로 구성을 겸비한 고정 기구(318)를 열 교환 기기부(305)에 고정한다. 그 후, 동결 방지부(312)를 고정 기구(318)에 고정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동결 방지부(312)를 열 교환 기기부(305)에 고정할 때 동결 방지부(312)를 위쪽으로부터 매달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미리 매단 열 교환 기기부(305)에 후 장착도 가능해져 시공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풍로를 구성하는 부품과 고정 기구(318)를 겸비시킴으로써 열 교환 기기부의 부품 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6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실내로부터 배기되는 고온 공기의 일부를 실외로부터 급기되는 저온 공기에 혼합시킴으로써 열 교환 소자의 동결을 방지하면서 상시 환기를 하는 것이 필요한 환기 장치 분야 등의 용도에도 적응할 수 있다.
(실시예 7)
실시예 7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를 도 13 내지 도 16에 나타낸다.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한쪽 측면의 실내 측에 실내 측 배기구(401)와 실내 측 급기구(402)를 구비하고, 다른 측면에 배기용 연결구(403)와 급기용 연결구(404)를 구비한다. 또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내부에 실내로부터의 배기류와 실외로부터의 급기류의 열 교환을 실행하는 열 교환기(405)를 구비한다. 또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배기류를 형성하는 배기용 송풍기(406)와 급기류를 형성하는 급기용 송풍기(407)를 갖는 환기 유닛(408)을 구비한다. 또한, 환기 유닛(408)의 배기용 연 결구(403)에 연결되는 배기 유로(409)와 환기 유닛(408)의 급기용 연결구(404)에 연결되는 급기 유로(410)를 구획하는 구획판(411)과, 배기류가 지나는 배기 개구(412)를 구비한다.
또한, 열교환형 환기 장치는 배기 유로(409)에 마련되는 배기 댐퍼 리시버(413)와 급기류가 지나는 급기 개구(414)를 구비한다. 급기 유로(410)에 마련되는 급기 댐퍼 리시버(415)와 배기 개구(412)를 개폐하는 배기 댐퍼(416)를 구비한다. 또한, 급기 개구(414)를 개폐하는 급기 댐퍼(417)와, 배기 유로(409)와 급기 유로(410)를 연통하도록 구획판(411)에 개구한 순환 개구(418)와, 순환 개구(418)를 개폐하는 순환 댐퍼(419)와, 실외 측에 실외 측 배기구(420)와, 실외 측 급기구(421)를 마련한 유로 전환 유닛(422)을 구비한다.
또한, 배기 댐퍼(416)와 급기 댐퍼(417) 및 순환 댐퍼(419)를 일체화하여 이들이 일체적으로 개폐하도록 구성하고, 배기 댐퍼(416)와 급기 댐퍼(417) 및 순환 댐퍼(419)를 일체적으로 개폐 구동하는 댐퍼 모터(423)를 배기 유로(409) 내에 마련한다.
또한, 공기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부(424)를 유로 전환 유닛(422) 내의 순환 개구(418)의 근방에 마련한다. 센서부(424)는 하나의 C 접점의 온도 센서(425)를 이용하여 형성한다. 도 16에 전기 회로도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C 접점을 구비하는 온도 센서(425)와 댐퍼 모터(423) 사이에 교대로 도통하도록 제 1 리미트 스위치(426a)와 제 2 리미트 스위치(426b)를 병렬로 마련한 리미트 스위치(426)를 직렬로 접속한다. 배기 댐퍼(416)와 급기 댐퍼(417)가 닫힌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 1 리미트 스위치(426a)가 닫힌 상태를 검출하여 제 1 리미트 스위치(426a)가 열린 상태로 된다. 댐퍼 모터(423)의 전원 회로는 열려 댐퍼 모터(423)로의 통전은 정지되도록 마련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통상의 열 교환 환기 운전을 실행할 때에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기 댐퍼(416)와 급기 댐퍼(417)는 열린 상태이고 순환 댐퍼(419)는 닫힌 상태에 놓여진다. 배기용 송풍기(406)에 의해서 실내의 열을 띤 실내 공기가 실내측 배기구(401)로부터 환기 유닛(408) 내로 흡인된다. 배기 공기는 열 교환기(405) 한쪽 통로를 지나고 유로 전환 유닛(422)의 배기 유로(9)를 지나 실외 측 배기구(420)로부터 실외로 배기된다.
한편, 급기용 송풍기(407)에 의해서 실외 공기가 실외 측 급기구(421)로부터 급기 유로(410) 내로 유입하고, 급기 유로(410)로부터 환기 유닛(408)에 마련한 열 교환기(405) 내의 다른 쪽 통로를 지나 실내 측 급기구(402)로부터 실내로 급기되어 열 교환 환기가 실행된다.
또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를 저온 지역에서 사용하는 경우로서, 급기 온도가 낮아 열 교환기(405)가 결빙 상태로 될 때에는, 센서부(424)가 검지하여 댐퍼 모터(423)에 의해서 배기 댐퍼(416), 급기 댐퍼(417) 및 순환 댐퍼(419)를 구동하여 배기 댐퍼(416)에 의해서 배기 개구(412)를 폐쇄한다. 또한, 급기 댐퍼(417)에 의해서 급기 개구(414)를 폐쇄하고 순환 댐퍼(419)는 순환 개구(418)를 개구하여 도 14에 나타내는 상태로 함으로써, 배기용 송풍기(406)가 운전 상태에 들어간다. 이 때, 실내측 배기구(401)로부터 환기 유닛(408) 내로 열을 보유하고 있는 실내 공기가 흡인되고, 배열 공기가 열 교환기(405) 내의 한쪽 통로를 지나, 배열 공기에 포함된 열에 의해서 열 교환기(405)의 결빙이 융해된다.
그리고, 열 교환기(405)를 지나, 열을 빼앗기지 않고 아직 열이 남아 있는 배기 공기는 개구하고 있는 순환 개구(418)에 의해서 급기 유로(410)를 거치고, 다시 열 교환기(405)의 다른 쪽 측의 통로를 지나 열 교환기(405)를 가열하여 다시 결빙이 융해되게 된다.
다음으로, 온도 센서(425)와 댐퍼 모터(423) 및 각 댐퍼의 동작 관계를 설명한다.
도 16은 배기 댐퍼(416)와 급기 댐퍼(417)를 개방하고 순환 댐퍼(419)가 순환 개구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제 1 리미트 스위치(426a)가 열린 상태이며 댐퍼 모터(423)는 정지하고 있다. 이 때, 온도 센서(425)는 급기 유로(410)의 급기류와 접촉하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열 교환형 환기 장치의 운전이 속행되어, 온도 센서(425)가 급기류의 저온도를 감지하여 열 교환기(5)가 결빙 상태에 근접할 때에는, 온도 센서(425)의 접점(425A)에서 접점(425B)으로 전환되어, 제 2 리미트 스위치(426b)를 거쳐서 정지한 댐퍼 모터(423)에 통전이 실행된다. 댐퍼 모터(423)가 운전되어 배기 댐퍼(416)와 급기 댐퍼(417)가 배기 개구(412)와 급기 개구(414)를 폐쇄하고 순환 댐퍼(419)가 개방되어 순환 개구(418)가 개구된다. 이 상태에 들어가면, 제 1 리미트 스위치(426a)는 닫힌 상태로 제 2 리미트 스위치(426b)는 열린 상태로 되어 댐퍼 모터(423)로의 통전은 정지된다.
그리고, 실내측 배기구(401)로부터 배기된 배기 공기는 열 교환기(405)를 거친 후, 순환 개구(418)를 지나 급기 유로(410) 내에 들어간다. 급기 유로(410)로부터 다시 열 교환기(405)를 지나 실내측 급기구(402)로 급기되는 순환 유로(429)가 형성되어 열 교환기(405)의 결빙이 융해된다. 온도 센서(425)에서 검지하는 온도가 소정 온도 이상으로 된 때에는, 온도 센서(425)가 접점(425B)에서 접점(425 A)으로 전환되어, 제 1 리미트 스위치(426a)를 거쳐서 댐퍼 모터(423)에 통전한다. 또한, 댐퍼 모터(423)에 의해서 배기 댐퍼(416)와 급기 댐퍼(417)는 열린 상태로 놓여지고 순환 댐퍼(419)는 닫힌 상태에 놓여진다. 이 때, 통상의 열 교환 환기 운전이 실행되고, 그 때의 전기 회로는 도 16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즉, 온도 센서(425)는 접점(425A)에 접속되고 제 1 리미트 스위치(426a)는 열린 상태로 되어 댐퍼 모터(423)로의 통전은 정지되는 상태이다.
여기서, 실시예 7의 열 교환형 환기 장치를 요약하면,
실내의 배기류와 실외로부터의 급기류의 열 교환을 실행하는 열 교환기(405)와,
배기류를 형성하는 배기용 송풍기(406)와,
급기류를 형성하는 급기용 송풍기(407)와,
배기용 송풍기(406)와 급기용 송풍기(407)가 마련되는 환기 유닛(408)과,
배기 유로(409)와 급기 유로(410)를 구획하는 구획판(411)과,
배기류가 지나는 배기 개구(412)와,
배기 유로(409)에 마련되는 배기 댐퍼 리시버(413)와,
급기류가 지나는 급기 개구(414)와,
급기 유로(410)에 마련되는 급기 댐퍼 리시버(415)와,
배기 개구(412)를 개폐하는 배기 댐퍼(416)와,
급기 개구(414)를 개폐하는 급기 댐퍼(417)와,
배기 유로(409)와 급기 유로(410)를 연통하도록 구획판(411)에 개구한 순환 개구(418)와,
순환 개구(418)를 개폐하는 순환 댐퍼(419)와,
각 댐퍼를 개폐하는 댐퍼 모터(423)와,
공기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부(424)와,
센서부(424)가 마련되는 유로 전환 유닛(42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센서부(424)를 유로 전환 유닛(422)의 급기 유로(410) 내의 순환 개구(418)의 근방에 마련한다. 이에 따라, 저온의 실외로부터의 공기와 고온의 실내 공기 2종류의 기류가 직접 센서부(424)에 접촉하기 때문에, 센서부(424)가 급기류의 온도와 순환류의 온도를 검지하여 각 댐퍼를 개폐함으로써 실외 공기의 도입과 실내 공기의 순환을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실외 공기의 도입과 실내 공기의 순환을 전환하기 위한 타이머 등의 설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비용의 저감화와 전기 회로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424)를 하나의 온도 센서(425)로 형성했기 때문에, 본래대로라면 2종류의 기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2개의 온도 센서가 필요한데 반해서, 실시예 7에 의하면 하나의 온도 센서(425)로 2종류의 기류 온도를 감지할 수 있어 저비용으로 회로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424)를 C 접점의 온도 센서(425)로 형성했기 때문에, 접촉하는 기류의 온도에 따라 접점을 전환할 수 있다. 각 댐퍼의 개폐의 어느 쪽의 경우에 있어서도 댐퍼 모터(423)로의 통전을 실행할 수 있다. 댐퍼 모터(423)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댐퍼를 개폐할 수 있어 용수철 등을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풍압에 지지 않고 확실히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댐퍼가 개폐할 때의 작동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하나의 온도 센서(425)로 댐퍼의 개폐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의 저감화 및 전기 회로의 간략화를 더욱더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8)
실시예 8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를 도 17에 나타낸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서부(424A)의 주위를 단열재(430)로 포위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기류의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부(424A)는 주위를 포위하는 단열재(430)의 종류나 두께에 의해서 반응 시간이 다른 것을 이용하여, 센서부(424A)의 감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댐퍼의 개폐 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하나의 센서부(424A)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타이머 등의 설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비용의 저감화 및 전기 회로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9)
실시예 9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를 도 18에 나타낸다. 도 18에 도시하 는 바와 같이 온도 센서(425B)에 급기류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울타리(431)를 마련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온도 센서(425B)에 기류가 직접 접촉하는 경우에는 소정 온도를 검출하기까지의 시간은 짧아진다. 한편, 기류가 직접 접촉하지 않는 경우에는 검출 시간은 길어진다. 이 때문에, 울타리(431)의 형상을 바꿔서 온도 센서(425B)에 대응하는 기류가 접촉하는 정도를 바꾼다. 이에 의해서, 배기 댐퍼(416A)와 급기 댐퍼(417A) 및 순환 댐퍼(419A)의 개폐 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타이머 등의 설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비용의 저감화 및 전기 회로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10)
실시예 10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를 도 19에 나타낸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순환 개구(418A)를 지나는 순환류가 온도 센서(425C)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울타리(431A)를 마련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온도 센서(425C)의 반응 시간은 순환 기류가 직접 닿는 경우에는 짧아지고, 순환기류가 직접 닿지 않는 경우에는 반응 시간은 길어진다. 울타리(431A)의 형상을 바꿔 온도 센서(425C)에 대응하는 기류가 접촉하는 정도를 바꿈으로써, 배기 댐퍼(416B)와 급기 댐퍼(417B) 및 순환 댐퍼(419B)의 개폐 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순환 개구(418A)로부터 유입하는 공기량을 2분(分) 하도록 울타리(431A)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서, 온도 센서(425C)에 닿 는 공기의 흐름을 적게 하고 온도 센서(425C)의 검출 정도를 가변으로 해도 좋다. 이에 따라, 타이머 등의 설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비용의 저감화 및 전기 회로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11)
실시예 10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를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다. 순환 댐퍼(419C)의 일부를 온도 센서(425D)의 울타리(431B) 역할을 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순환 댐퍼(419C)가 순환 개구(418B)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순환 댐퍼(419C)의 일부에 형성한 울타리(431B)가 온도 센서(425D)의 울타리로 된다. 온도 센서(425D)에 직접 급기류가 닿는 것을 가로막는다. 이 때문에, 온도 센서(425D)의 반응 시간이 길어진다. 각 댐퍼의 개폐 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타이머 등의 설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비용의 저감화 및 전기 회로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순환 댐퍼(419C)가 순환 개구(418B)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순환 댐퍼(419C)에 형성한 울타리(431B)는 순환 유로(429) 밖에 위치한다.
(실시예 12)
실시예 12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를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낸다. 순환 댐퍼(419D)에 온도 센서(425E)를 마련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온도 센서(425E)를 기류가 직접 닿는 장소 또는 직접 닿지 않는 장소에 조절하여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온도 센서(425E)의 반응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댐퍼의 개폐 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타이머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비용의 저감화 및 전기 회로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13)
실시예 13에 관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를 도 24에 나타낸다.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온도 센서(425F)에 방수 대책을 실시하여 구성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온도 센서(425F) 내에 물이 들어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유로 전환 유닛(422A) 내에 결로수가 설사 발생하더라도 온도 센서(425F) 내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열 교환형 환기 장치의 안전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 교환형 환기 장치는, 실내의 공기를 순환하는 순환 유로내에 진애를 제거하는 공기 청정 수단을 마련하여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급기하는 급기 유로에 순환 유로가 연통하는 순환 개구를 마련했기 때문에, 공기 중의 오염도를 검출하는 하나의 오염도 검출 센서를 급기 유로의 순환 개구의 근방에 마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외기(外氣)의 급기와 실내 공기의 청정화를 교대로 실행할 수 있는 공기 청정 장치의 용도에도 적용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조화 공기를 보내는 덕트의 내부에 마련되는 댐퍼에 의한 유로 개폐 장치를 절곡부를 마련한 댐퍼 리시버 및 댐퍼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공기조화기의 유로 개폐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내로부터 배기되는 고온 공기의 일부를 실외로부터 급기되는 저온 공기에 혼합함으로써 열 교환 소자의 동결을 방지하면서 상시 환기를 실행하는 것이 필요한 환기 장치 분야 등의 용도에도 적응할 수 있다.
실내의 공기를 순환하는 순환 유로 내에 진애를 제거하는 공기 청정 수단을 마련하여,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급기하는 급기 유로에 순환 유로가 연통하는 순환 개구를 마련하여, 공기중의 오염도를 검출하는 하나의 오염도 검출 센서를 급기 유로의 순환 개구의 근방에 마련하여, 외기의 급기와 실내 공기의 청정화를 교대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공기 청정 장치의 용도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31)

  1. 실내로부터의 배기류와 실외로부터의 급기류의 열 교환을 실행하는 열 교환기와,
    상기 배기류를 형성하는 배기용 송풍기와,
    상기 급기류를 형성하는 급기용 송풍기를 마련한 환기 유닛과,
    배기 유로와 급기 유로를 구획하는 구획판과,
    상기 배기류가 지나는 배기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 유로에 마련되는 배기 댐퍼 리시버와,
    상기 급기류가 지나는 급기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급기 유로에 마련되는 급기 댐퍼 리시버와,
    상기 배기 개구를 개폐하는 배기 댐퍼와,
    상기 급기 개구를 개폐하는 급기 댐퍼를 마련한 유로 전환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배기 댐퍼 리시버 및 상기 급기 댐퍼 리시버의 단부 근방에 리시버 측 절곡부를 마련하고,
    상기 배기 댐퍼 및 상기 급기 댐퍼에 상기 배기 댐퍼 리시버 및 상기 급기 댐퍼 리시버의 상기 리시버 측 절곡부를 따르도록 절곡한 댐퍼 측 절곡부를 마련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측 절곡부를 바람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방향으로 절곡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유로와 상기 급기 유로를 연통시키는 구획에 개구한 순환 개구와,
    상기 순환 개구를 개폐하는 순환 댐퍼를 구비하며,
    상기 배기 개구와 상기 급기 개구 및 상기 순환 개구의 3개의 개구에 각각 배기 댐퍼와 급기 댐퍼 및 순환 댐퍼를 배치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댐퍼와 상기 급기 댐퍼 및 상기 순환 댐퍼가 상기 배기류 및 급기류의 풍압으로 급기 개구와 배기 개구 및 순환 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구성으로 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댐퍼와 상기 급기 댐퍼 및 상기 순환 댐퍼를 일체적으로 마련하고, 상기 댐퍼 측의 회전축으로 일체적으로 개폐하는 구성으로 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댐퍼와 상기 급기 댐퍼 및 상기 순환 댐퍼를 일체적으로 개폐하는 댐퍼 측의 회전축을 구동하는 댐퍼 모터를 유로 전환 유닛 내에 마련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모터 측의 회전축과 댐퍼 측의 회전축을 함께 상기 배기 유로 내에 마련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모터를 상기 배기 댐퍼와 상기 급기 댐퍼 및 상기 순환 댐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구성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배기 댐퍼, 급기 댐퍼 및 순환 댐퍼의 개폐 동작을 함께 댐퍼 모터 자체로 실행하는 구성으로 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
  10.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댐퍼 모터 측의 회전축과 댐퍼 측의 회전축을 레버로 연결하고, 댐퍼 모터 측의 회전축과 댐퍼 측의 회전축의 위치를 어긋나게 구성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
  11.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댐퍼 모터를 유로 전환 유닛의 상부면측에 마련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
  12.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리미트 스위치를 2개 사용하여 댐퍼의 정지 중은 댐퍼 모터의 통전을 정지하는 구성으로 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 장치 등의 수납부를 유로 전환 유닛 내부로 돌출시켜서 풍로 가이드가 되도록 구성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
  14. 실내의 고온 공기와 실외의 저온 공기의 열 교환을 실행하는 열 교환 소자와,
    상기 고온 공기를 실외로 보내고 상기 저온 공기를 실내로 보내는 송풍기를 구비한 열 교환 기기부와,
    상기 열 교환 기기부의 실외 측에 배치되어, 저온 공기 흡입구로부터 상기 열 교환 기기부에 이르는 저온 풍로와,
    상기 열 교환 기기부로부터 고온 공기 배기구에 이르는 고온 풍로 및 상기 저온 풍로와 상기 고온 풍로의 구획에 공기가 빠져나가는 개구를 마련하며,
    상기 저온 공기 흡입구와 상기 고온 공기 배기구와 상기 개구에 풍로의 개구 면적을 바꾸는 개폐 기능을 갖는 댐퍼를 구비한 동결 방지부를 마련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개폐 기능에 의해 상기 열 교환 소자를 통한 상기 고온 공기를 상기 개구로 이끌도록 하고, 실내의 상기 고온 공기가 상기 저온 공기로 혼입하여 상기 실내로 다시 되돌아가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교환형 환기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공기 흡입구로부터 흡인한 저온 공기의 온도에 따라 상기 저온 공기 흡입구와 고온 공기 배기구 및 개구의 통풍로 면적을 댐퍼에 의해 조정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교환형 환기 장치.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공기 흡입구와 상기 고온 공기 배기구 및 개구의 통풍로 면적을 조정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댐퍼를 일체화하여 개폐 기능을 연동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교환형 환기 장치.
  17.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의 개폐 기능을 전부 독립시키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교환형 환기 장치.
  18. 제 14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기기부의 운전 정지 중에, 상기 댐퍼에 의해 저온 공기 흡입구와 고온 공기 배기구로부터 저온 공기가 유입하는 경로를 차단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교환형 환기 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풍로 중에 필터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교환형 환기 장치.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 방지부를 열 교환 기기부와 실외를 잇는 덕트 배관 상에 마련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교환형 환기 장치.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동결 방지부에 열 교환 기기부를 고정하는 고정 기구를 상기 열 교환 기기부에 고정하고, 상기 고정 기구에 상기 동결 방지부를 고정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교환형 환기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가 상기 동결 방지부의 풍로 구성 부품을 겸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교환형 환기 장치.
  23. 실내의 배기류와 실외로부터의 급기류의 열 교환을 실행하는 열 교환기와,
    상기 배기류를 형성하는 배기용 송풍기와 상기 급기류를 형성하는 급기용 송 풍기를 마련한 환기 유닛과,
    배기 유로와 급기 유로를 구획하는 구획판과,
    상기 배기류가 지나는 배기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배기 유로에 마련되는 배기 댐퍼 리시버와,
    상기 급기류가 지나는 급기 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급기 유로에 마련되는 급기 댐퍼 리시버와,
    상기 배기 개구를 개폐하는 배기 댐퍼와,
    상기 급기 개구를 개폐하는 급기 댐퍼와,
    상기 배기 유로와 상기 급기 유로를 연통하도록 상기 구획판에 개구한 순환 개구와,
    상기 순환 개구를 개폐하는 순환 댐퍼와,
    상기 각 댐퍼를 개폐하는 댐퍼 모터와,
    공기 온도를 검출하여 상기 각 댐퍼를 개폐 제어하는 센서부를 마련한 유로 전환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센서부를 상기 유로 전환 유닛의 상기 급기류와 상기 순환 개구를 지나는 순환류가 함께 접촉하는 위치에 마련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를 하나의 온도 센서로 형성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를 C 접점의 온도 센서로 형성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
  26. 제 23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의 주위를 단열재로 포위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
  27. 제 23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 급기류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울타리를 마련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
  28. 제 23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개구를 지나는 순환류가 상기 센서부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울타리를 마련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
  29. 제 23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댐퍼의 일부가 센서부의 울타리 역할을 하도록 형성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
  30. 제 23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댐퍼에 센서부를 마련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
  31. 제 23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부에 방수 대책을 실시한
    열 교환형 환기 장치.
KR1020087012931A 2005-12-14 2006-04-27 열교환형 환기 장치 KR100993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59953 2005-12-14
JP2005359953A JP4720475B2 (ja) 2005-12-14 2005-12-14 熱交換形換気装置
JPJP-P-2005-00366073 2005-12-20
JP2005366073A JP2007170712A (ja) 2005-12-20 2005-12-20 熱交換形換気装置
JP2005366074A JP2007170713A (ja) 2005-12-20 2005-12-20 熱交換形換気装置
JPJP-P-2005-00366074 2005-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2882A true KR20080072882A (ko) 2008-08-07
KR100993445B1 KR100993445B1 (ko) 2010-11-09

Family

ID=38162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2931A KR100993445B1 (ko) 2005-12-14 2006-04-27 열교환형 환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962030B1 (ko)
KR (1) KR100993445B1 (ko)
CN (1) CN102661621B (ko)
WO (1) WO200706934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140U (ko) * 2018-04-17 2018-04-24 주식회사 하츠 복합열교환 환기장치
KR20190056604A (ko) * 2017-11-17 2019-05-27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조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7004A (ko) * 2007-08-13 2009-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열교환기용 온도보상히터 보호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1978223B (zh) * 2008-04-16 2013-09-04 三菱电机株式会社 风路切换装置及使用该风路切换装置的热交换换气装置
SE534485C2 (sv) * 2009-01-26 2011-09-06 Cellomatic Ab En ventilationsansordning
ITVI20130040A1 (it) * 2013-02-25 2014-08-26 Alessia Boaro Unita¿ di trattamento dell¿aria
US8955764B1 (en) * 2013-10-24 2015-02-17 Ahmd Abdallah Al-Jassem Qanaei Building heat exchange system
CN103953996B (zh) * 2014-05-16 2017-08-29 布朗(上海)环境技术有限公司 双向流主机及其控制方法
JP6675057B2 (ja) * 2015-09-25 2020-04-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熱交換形換気装置
CN108369018A (zh) * 2015-12-22 2018-08-03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热交换式换气装置
US11002462B2 (en) * 2016-02-19 2021-05-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exchanging ventilation device, method for attaching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detaching heat exchanger
CN107228465B (zh) * 2016-03-23 2021-08-27 广东松下环境系统有限公司 全热交换装置和全热交换装置的控制方法
IT201600084955A1 (it) * 2016-08-12 2018-02-12 Toone S A S Di Zanatta Marco & C Gruppo di analisi e controllo della ventilazione di un ambiente interno o primo ambiente.
CN106288125A (zh) * 2016-10-21 2017-01-04 击风科技(北京)有限公司 全热回收新风净化系统
CN106969437A (zh) * 2017-04-12 2017-07-21 张翼鹏 金属热交换器室内外双循环的空气净化系统
EP3686501B1 (en) * 2017-09-22 2023-03-0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 exchanging type ventilation system
SE542351C2 (en) * 2017-10-20 2020-04-14 Swegon Operations Ab Flow control arrangement for an air ventilation system
CA3050503C (en) 2019-07-24 2020-05-26 Inline Heat Recovery Inc. Heat recovery unit
JPWO2022264443A1 (ko) * 2021-06-18 2022-12-22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743U (ko) * 1985-07-18 1987-02-02
JPS63190837U (ko) * 1987-05-27 1988-12-08
CA2155628A1 (en) * 1995-08-08 1997-02-09 Yvon Turcotte Combined air exchange and air conditioning unit
DE29611515U1 (de) * 1996-07-02 1996-09-05 Siegenia-Frank Kg, 57074 Siegen Umluft-Betriebsvorrichtung für ein Zwangslüftungsgerät
JP3635987B2 (ja) * 1999-05-27 2005-04-06 三菱電機株式会社 風路切換え装置
JP3744409B2 (ja) * 2001-11-14 2006-02-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ユニット
WO2005057089A1 (ja) * 2003-12-11 2005-06-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換気装置の凍結防止装置
JP2005233494A (ja) * 2004-02-19 2005-09-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熱交換形換気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604A (ko) * 2017-11-17 2019-05-27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공기조화기
KR20180001140U (ko) * 2018-04-17 2018-04-24 주식회사 하츠 복합열교환 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3445B1 (ko) 2010-11-09
CN102661621A (zh) 2012-09-12
EP1962030A4 (en) 2010-09-15
CN102661621B (zh) 2014-04-30
WO2007069349A1 (ja) 2007-06-21
EP1962030A1 (en) 2008-08-27
EP1962030B1 (en)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445B1 (ko) 열교환형 환기 장치
JP4720475B2 (ja) 熱交換形換気装置
KR101129534B1 (ko) 공조 환기 장치
US7987680B2 (en) Air conditioner
US8939826B2 (en) HVAC apparatus with HRV/ERV unit and vertical fan coil unit
JP5720657B2 (ja) 床置き型空調室内機
CA2746405C (en) Hvac apparatus with hrv/erv unit and vertical fan coil unit
JP2011202814A (ja) 熱交換形換気装置
JP3862052B2 (ja) 空気調和機
WO2017051524A1 (ja) 熱交換形換気装置
KR20070051220A (ko)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JP5434202B2 (ja) 熱交換形換気装置
JP2007132646A (ja) 空気調和機
JP4840573B2 (ja) 空気調和機
JP5402161B2 (ja) 熱交換形換気装置
JP2007232266A (ja) 空気調和機
WO2005057089A1 (ja) 換気装置の凍結防止装置
JP4893025B2 (ja) 空気調和機
KR100592835B1 (ko) 공기 조화기
CN217685364U (zh) 用于空调室内机的骨架、室内机和空调
CN110296482B (zh) 用于空调室外机的送风组件、控制方法及空调室外机
JP2006194547A (ja) 空気調和機
JP2014228211A (ja) 熱交換換気装置
CN116710707A (zh) 空调机
JP2004203311A (ja) 空調ケーシ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