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2835B1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2835B1
KR100592835B1 KR1020040005245A KR20040005245A KR100592835B1 KR 100592835 B1 KR100592835 B1 KR 100592835B1 KR 1020040005245 A KR1020040005245 A KR 1020040005245A KR 20040005245 A KR20040005245 A KR 20040005245A KR 100592835 B1 KR100592835 B1 KR 100592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door
air supply
supply operation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5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2318A (ko
Inventor
아오끼요시히사
오오쯔까아쯔시
노또야요시아끼
오오따유끼오
Original Assignee
히타치 홈 앤드 라이프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홈 앤드 라이프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홈 앤드 라이프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2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2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3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characterised by a split arrangement, wherein parts of the air-conditioning system, e.g. evaporator and condenser, are in separately located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3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introduction of outside air to the ro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exhaustion of inside air from the ro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65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fan combined with single duct; mounting arrangements of a fan in a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5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by evaporating the condensate in the cooling medium, e.g. in air flow from the cond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서브 송풍기의 급배기 통로 내에서의 결로를 방지하고, 조작의 번거로움을 초래하는 일 없이 신선한 실외 공기의 급기 중에 오염된 실내 공기의 배기를 행하는 동시에, 실외 공기 취입구의 막힘을 방지하는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냉각하여 공조하는 실내 열교환기(2) 및 실내 송풍기(3)를 실내 유닛(1) 내에 배치하고, 실외 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동시에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서브 송풍기(9)를 실내 유닛(1) 내에 배치하고, 서브 송풍기(9)의 급기 운전을 제어하는 급기 운전 모드를 갖는 제어 장치(30)를 구비하고 있다. 실내 열교환기(2)와 함께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냉매 배관과 서브 송풍기(3)의 실외로의 급배기 통로가 함께 벽 구멍 등의 배관 구멍을 통해서 마련된다. 급기 운전 모드에는 급기 운전 중에 간헐적으로 배기 운전을 행하는 동시에 배기 운전 시간을 급기 운전 시간보다 짧게 행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실내 열교환기, 실내 송풍기, 실내 유닛, 서브 송풍기, 제어 장치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AIR CONDITIONER}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실내측 유닛의 화장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정면도.
도2는 도1의 실내측 유닛의 화장 커버를 장착한 상태의 배면 사시도.
도3은 도2의 A-A 주요부 단면도.
도4는 도2의 환기 유닛의 설명도로, 도4의 (a)는 환기 유닛의 급기 및 배기 운전에 있어서의 실외 공기 및 실내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모식도, 도4의 (b)는 환기 유닛의 운전 상태와 댐퍼의 개폐 상태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
도5는 도1의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조작하는 리모콘의 평면도.
도6은 도1의 공기 조화기의 급기 운전 모드를 설명하는 타임 차트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의 급기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타임 차트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내 유닛
2 : 실내 열교환기
3 : 실내 송풍기
4a, 4b : 이슬 받이 접시
5 : 화장 커버
6 : 공기 흡입구
7 : 절환 밸브
8 : 환기 유닛
9 : 서브 송풍기
10 : 공기 흡출구
11 : 리모콘
12 : 배면 덕트
13 : 냉매 배관
14 : 베이스
15 : 드레인 호스
16 : 급배기 파이프
17 : 덮개
18 : 공기 청정기
19 : 실내 흡입구
20 내지 24 : 통로
25, 26 : 댐퍼
27 : 누름 버튼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급기 운전 모드를 갖는 공기 조화기에 적합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공기 조화기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74727호 공보(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특허 문헌 1에는, 실내 공기를 냉각하여 공조하기 위한 실내 열교환기 및 실내 송풍기가 실내 유닛 내에 배치되고, 실외 공기의 실내로의 급기 및 실내 공기의 실외로의 배기를 행하기 위한 서브 송풍기가 실내 유닛 내의 측단부에 배치되고, 냉동 사이클의 냉매관이 반 서브 송풍기측의 측단부의 배면으로부터 인출되고, 방의 벽 등을 관통하는 배관 구멍이 반 서브 송풍기측에 형성된 경우에, 서브 송풍기의 급배기 통로를 실내 유닛의 배면에 배치하여 냉매관과 함께 배관 구멍을 통해서 실외로 유도하도록 한 공기 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74727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공기 조화기와 같이 실외 공기의 실내로의 급기를 행하는 것에서는 실외 공기가 급배기 통로를 통해서 서브 송풍기에 취입될 때에 실내 열교환기나 냉매 배관 등의 냉동 사이클의 열적 영향에 의해 급배기 통로 내에서 냉각되어 결로될 우려가 있었다. 특히, 실내 열교환기 및 실내 송풍기에 의한 냉각되는 실내 공기의 송풍로를 형성한 후방벽 부재의 배면부에 배치되어 급배기 통 로가 설치되는 경우에, 결로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이었다. 이 결로는 곰팡이 발생 등을 유발하기 때문에 방치해 두면, 다음 급기 운전시에 이 곰팡이 등이 실내로 취입되어 버리는 동시에, 급배기 통로를 형성하는 덕트를 손상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특허 문헌 1의 공기 조화기와 함께 서브 송풍기에 의한 급기 운전이 실외 공기의 취입만을 행하는 기능인 것에서는 실외로부터 신선한 공기를 취입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실내 공기가 담배 혹은 생활 악취로 오염된 것으로 해도, 이 급기 운전만으로서는 오염된 실내 공기의 배기를 충분하게 행할 수 없었다. 그래서, 사용자는 때때로 급기 운전을 중지하여 배기 운전으로 절환해야만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는 급배기 통로를 냉매관과 함께 배관 구멍을 통해서 실외로 유도하도록 하는 공기 조화기에서는 급배기 통로를 구성하는 덕트가 가는 것으로 되게 할 수 없지만, 특허 문헌 1의 공기 조화기와 함께 실외 공기를 취입하는 급기 운전만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급기 운전시에 실외 공기의 취입구에 낙엽이나 먼지 등이 서서히 막혀, 충분하게 실외 공기의 취입이 가능하지 않게 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브 송풍기의 급배기 통로 내에서의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조작의 번거로움을 초래하는 일 없이 신선한 실외 공기의 급기 중에 오염된 실내 공기의 배기를 행할 수 있고, 게다가 실외 공기 취입구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냉각하여 공조하는 실내 열교환기 및 실내 송풍기를 실내 유닛 내에 배치하고, 실외 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동시에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서브 송풍기를 상기 실내 유닛 내에 배치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와 함께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냉매 배관과 상기 서브 송풍기의 실외로의 급배기 통로를 함께 벽 구멍 등의 배관 구멍을 통해서 마련하고, 상기 서브 송풍기의 급기 운전을 제어하는 급기 운전 모드를 갖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급기 운전 모드에는 급기 운전 중에 간헐적으로 배기 운전을 행하는 동시에 이 배기 운전 시간을 급기 운전 시간보다 짧게 행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특히 바람직하게는 다음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공기 조화기의 각종 운전을 조작하는 리모콘을 갖고, 이 리모콘에 상기 급기 운전 모드를 선택하여 그 급기 운전을 개시하는 누름 버튼을 설치한 것이다.
또한, 상기 급기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급기 운전과 배기 운전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동시에 배기 운전 시간을 급기 운전 시간의 1/5 내지 1/15의 범위로 설정한 것이다.
또한, 상기 서브 송풍기에 흡입 공기를 실내 공기 혹은 실외 공기로 절환하는 댐퍼를 상기 서브 송풍기의 흡입부에 설치하고, 상기 서브 송풍기로부터 분출하는 공기를 실내 공기 혹은 실외 공기로 절환하는 댐퍼를 상기 서브 송풍기의 취출부에 설치한 것이다.
또한, 상기 급기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급기 운전과 배기 운전을 상기 댐퍼 에 의해 주기적으로 절환하는 동시에, 상기 급기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급기 운전과 배기 운전 사이의 댐퍼 동작시에 운전 중지 시간을 마련한 것이다.
또한, 상기 실내 열교환기 및 상기 실내 송풍기에 의한 냉각된 실내 공기가 송풍되는 송풍로의 열적 영향을 받는 실내 유닛 배면부에 배치하여 상기 급배기 통로를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내 열교환기 및 상기 실내 송풍기에 의한 냉각된 실내 공기가 송풍되는 송풍로의 후방벽 부재에 일체적으로 상기 급배기 통로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냉각하여 공조하는 실내 열교환기 및 실내 송풍기를 실내 유닛 내에 배치하고, 실외 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동시에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서브 송풍기를 상기 실내 유닛 내에 배치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와 함께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냉매 배관과 상기 서브 송풍기의 실외로의 급배기 통로를 벽 구멍 등의 배관 구멍을 통해서 마련하고, 상기 서브 송풍기의 급기 운전을 제어하는 급기 운전 모드를 갖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공기 조화기의 각종 운전을 조작하는 리모콘에 상기 급기 운전 모드를 선택하여 그 급기 운전을 개시하는 누름 버튼을 설치하고, 상기 급기 운전 모드에는 급기 운전 후에 상기 배기 운전을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복수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있어서의 동일 부호는 동일물 또는 상당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를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실내측 유닛의 화장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정면도, 도2는 도1의 실내측 유닛의 화장 커버를 장착한 상태의 배면 사시도, 도3은 도2의 A-A 주요부 단면도, 도4는 도2의 환기 유닛의 설명도로, 도4의 (a)는 환기 유닛의 급기 및 배기 운전에 있어서의 실외 공기 및 실내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모식도, 도4의 (b)는 환기 유닛의 운전 상태와 댐퍼의 개폐 상태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 도5는 도1의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조작하는 리모콘의 평면도, 도6은 도1의 공기 조화기의 급기 운전 모드를 설명하는 타임 차트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는 실내 유닛(1)과 실외 유닛(도시하지 않음)을 냉매 배관(13), 드레인 호스(15), 전기 배선(도시하지 않음), 급배기 파이프(16) 등을 거쳐서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는 세퍼레이트형 공기 조화기이다. 이들 냉매 배관(13), 드레인 호스(15), 전기 배선, 급배기 파이프(16) 등은 실내 유닛(1)이 설치되는 벽면 등에 형성되는 배관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실내 유닛(1)은 전체 형상이 가로 길이이며, 실내 벽면의 상부 등에 설치된다. 그 하우징은 전방면 및 상하면을 포위하는 수지로 된 화장 커버(5)와, 배면을 폐쇄하는 수지로 된 베이스(1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화장 커버(5)에는 실내 공기의 흡입구(6)와 토출구(도시하지 않음)가 상하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14)에는 후방벽부(14a)와, 내부에 실내 순환 공기의 통풍로를 구획하는 좌 우 구획(14b, 14c)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베이스(14)에는 기기류가 탑재되어 최하 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되접힘을 부여한 하면벽부(14d)가 설치되어 강도를 높이게 되어 있다. 베이스(14)는 두 개의 성형 형태에 의해 사출 성형되어 있다. 이들 성형 형태의 제외 방향은 도3의 상태에서 좌우 방향이다.
실내 송풍기(3)는 가로 길이의 관류 팬으로 구성되고, 좌우 구획(14b, 14c)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우측 구획(14c)의 외측, 바꿔 말하면 실내 유닛(1) 내의 일측 단부에는 실내 송풍기(3)를 구동하는 모터(3a)가 배치되어 있다. 실내 송풍기(3)의 흡입측인 전방 및 상방에는, 두 개의 실내 열교환기(2)가 개략 역 V자형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실내 열교환기(2)는 좌우 구획(14b, 14c)에서 양단부가 지지되어 있다. 실내 공기는 실내 송풍기(3)를 운전함으로써, 흡입구(6)를 통해서 실내 유닛(1) 내에 흡입되고, 실내 열교환기(2)와 열교환하고 나서 실내 송풍기(3)를 통해 토출구로부터 실내로 토출되고, 소정의 공조(냉방, 난방, 제습 등)가 행해진다.
이슬 받이 접시(4a, 4b)는 2개 실내 열교환기(2)의 각각의 하단부 하방으로 배치되고, 공조 운전인 냉방 운전 및 제습 운전시에 실내 열교환기(2)에 응축하여 적하하는 응축수를 받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슬 받이 접시(4a, 4b)에 적하한 응축수는 한 군데에 모여, 드레인 호스(15)를 통해서 실외로 유도된다. 드레인 호스(15)는 가요성을 갖는 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슬 받이 접시(4b)는 베이스(14)와 일체로 공용되어 형성되어 있다.
절환 밸브(7)는 실내 열교환기(2)와 함께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냉매 배관 도중에 설치되고, 냉방 및 난방 운전에 맞는 냉매의 흐름 방법을 행하도록 절환된다.
환기 유닛(8)은 좌측 구획(14b)의 외측, 바꿔 말하면 실내 유닛(1) 내의 다른 측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환기 유닛(8)은 급기 운전, 배기 운전, 순환 운전을 행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서브 송풍기(9)는 내장된 서브 송풍기 모터(9a)에 의해 회전된다.
환기 유닛(8)의 공기 분출구(10)는 실내 유닛(1) 토출구의 거의 중앙 상방에 위치되어 있고, 이 토출구로부터 나오는 냉기류 및 난기류 등의 흐름을 제어하는 동시에, 실내 유닛측의 실내 열교환기(2)의 영향을 받아 중앙까지의 덕트 속에서 예비 냉각되거나 예비 난방되거나 하여 실내로 분출된다.
리모콘(원격 조작부)(11)은 공기 조화기의 각종 운전을 조작하는 것이며, 실내 유닛(1), 환기 유닛(8)의 운전 및 정지 등을 행한다. 제어 장치(30)는 리모콘(11)으로부터 조작 신호를 기초로 하여, 공기 조화기의 각종 운전을 제어하는 것이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 덕트(12)는 서브 송풍기(9)와 급배기 파이프(16)를 연통하기 위한 것이며, 실내 유닛(1)의 배면에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배면 덕트(12)는 실내 열교환기(2) 및 실내 송풍기(3)가 설치되어 있는 측의 공간과, 냉매 배관(13)이 배치되는 측의 공간을 구획하는 베이스(14)를 이용하고 형성되어 있다. 즉, 이 배면 덕트(12)는 베이스(14)와 일체로 대부분이 형성되는 동시에 덮개(17)를 부착함으로써, 통풍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 베이스(1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부분은 베이스(14)의 성형 형태를 뽑는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베이스(14)와 동시에 사출 성형되어 있다. 또한, 이 배면 덕트(12)는 실내 열교환기(2) 및 실내 열교환기(2)로 냉각된 냉기를 강제 순환하는 실내 송풍기(3)에도 근접하고, 베이스(14)가 수지판 1매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덮개(17)를 포함하여 단열하였다고 해도 열전도로 냉각되어 버리는 것이다. 따라서, 이 배면 덕트(12) 내를 흐르는 공기는 냉방 운전시에 냉각되게 된다.
배면 덕트(12)의 가로 방향의 복수 부위에는, 급배기 파이프(16)를 부착하기 위한 접속구(1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속구(12a)는 배면 덕트(12)의 양단부에 근접하면 중간 합계 3 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3 부위의 접속구(12a)는 급배기 파이프(16)가 장착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급배기 파이프(16)는 상술한 바와 같이 냉매 배관(13) 등과 함께 배관 구멍을 통해서 실외로 도출되는 것이다.
또. 냉매 배관(13), 드레인 호스(15) 및 배면 덕트(12)로부터 나오는 급배기 파이프(1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내와 실외를 구획하는 벽 등에 설치된 배관 구멍을 통해 도출된다. 그 도출에 있어서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선의 위치 및 파선의 위치, 그에 실내 유닛(1)의 배면 중앙의 대략 3 부위에서 행할 수 있지만, 이를 선택하는 것은 배관 구멍의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즉, 상기 냉매 배관(13), 호스(15), 급배기 파이프(16)가 실선의 위치로부터 실외로 도출될 때에는, 배관 구멍이 이 근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파선의 위치로부터 실외로 도출되는 경우에는 배관 구멍이 그 근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다음에, 환기 유닛(8)에 대해 상세하게 도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4의 (a)에 도시한 환기 유닛(8)의 기기 및 통로는 모두 실내 유닛(1) 내에 조립되어 있다.
환기 유닛(8)은, 도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송풍기(9), 복수의 댐퍼(25, 26) 및 통로(20 내지 2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서브 송풍기(9)는 실내 유닛(1) 내에 설치된 실내 송풍기(3)의 1/10정도의 송풍 능력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환기 유닛(8)의 실내로의 취출 풍속은 실내 유닛(1)측의 송풍기가 20 내지 5.0 m/초인 데 반해, 0.2 내지 0.5 m/초 정도로 설계되어 있다. 환기 유닛(8)은 배면 덕트(12) 및 급배기 파이프(16)를 통해 실외와 연통된다. 배면 덕트(12) 및 급배기 파이프(16)는 서브 송풍기(9)의 급배기 통로를 구성하는 것이다.
공기 청정기(예를 들어 에어 필터 탈취기 등)(18)는 실외 공기를 급기하기 위한 통로(21)에 배치되어 있다. 실내 흡입구(19)는 실내 유닛(1)의 전방면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도1 참조), 실내 공기를 배기 또는 순환하기 위한 통로(20) 및 댐퍼(26)를 거쳐서 서브 송풍기(9)의 흡입측으로 연통되어 있다.
그렇게 하여, 급배기 파이프(16), 공기 분출구(10) 및 실내 흡입구(19) 사이는 먼저 공기 청정기(18), 서브 송풍기(9) 및 댐퍼(25, 26) 등을 거쳐서 연통하도록 통로(20 내지 24)가 형성되어 있다. 통로(20)는 실내 흡입구(19)와 서브 송풍기(9)의 흡입측 사이를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로(21)는 공기 청정기(18)와 서브 송풍기(9)의 흡입측 사이를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로(22)는 서브 송 풍기(9)의 취출측과 공기 분출구(10) 사이를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로(23)는 급배기 파이프(16)와 서브 송풍기(9)의 취출측 사이를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로(24)는 통로(23)의 도중[배면 덕트(12)에 들어가기 전]과 통로(21) 사이를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댐퍼(25, 26)는 리모콘(11)의 조작에 의해 도4의 (A)측과 (B)측으로 절환하는 것이다. 즉, 이 댐퍼(25, 26)는 구동 모터 등에 의해 제어된다. 그렇게 하여, 댐퍼(25)는 서브 송풍기(9)로부터 분출된 공기를 통로(22)측으로 분출하거나 혹은 통로(23)측으로 분출하는가를 정하는 것이다. 또한, 댐퍼(26)는 실내 공기를 통로(20)를 통해서 서브 송풍기(9)로 흡입하거나 혹은 실외 공기를 통로(21)를 통해서 서브 송풍기(9)로 흡입하는가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 댐퍼(25, 26)는 도4의 (b)와 함께 동작함으로써, 순환 운전, 배기 운전, 급기 운전을 절환하는 것이다. 즉, 환기 유닛(8)의 순환 운전 시간(실내의 공기 온도를 균일하게 하는 시간 등의 운전)에는, 이중선의 화살표와 같이 실내 흡입구(19)로부터 서브 송풍기(9)로 흡입된 공기가 공기 분출구(10)로부터 실내로 분출되고, 실내 공기의 순환이 행해지는 것이다. 또한, 배기 운전시(담배의 연기 혹은 악취가 실내로 충만하였을 때)에는, 파선의 화살표와 같이 실내 흡입구(19)로부터 흡입된 담배의 연기 등을 서브 송풍기(9)로부터 배면 덕트(12) 경유로 급배기 파이프(16)에 이송 실외로 분출하는 것이다. 또, 급기 운전시(공기의 오염 등에 의해 외부가 신선한 공기를 취입할 때에 행하는 운전)에는, 실선의 화살표와 같이 배면 덕트(12)를 경유시켜 공기 청정기(18)를 통해서 공기를 청정화하고, 서브 송 풍기(9)로 흡입시켜 공기 분출구(10)로부터 실내로 송풍시키는 것이다.
다음에, 환기 유닛(8)의 운전 모드에 대해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리모콘(11)은 환기 유닛(8)의 여러 가지 기능의 절환 조작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도5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먼저 실내 유닛(1)의 여러 가지 기능(냉방, 난방, 제습 및 송풍 등)의 절환 조작도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 리모콘(11)에는 환기 유닛(8)의 운전 모드를 선택하는 누름 버튼(27)[구체적으로는, 급기 운전 모드를 선택하는 누름 버튼(27a), 배기 운전 모드를 선택하는 누름 버튼(27b), 순환 운전 모드를 선택하는 누름 버튼(27c), 덕트 건조 운전 모드를 선택하는 누름 버튼(27d)]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누름 버튼(27a)을 누르면, 급기 운전 모드가 선택되어 급기 운전, 배기 운전, 급기 운전이 주기적으로 반복 행해진다. 바꿔 말하면, 급기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급기 운전 중에는 배기 운전이 간헐적으로 행해진다. 종래와 같이 급기 운전만이 행해지는 경우에서는 실외의 신선한 공기의 취입을 행할 수 있지만, 실내가 오염된 공기(예를 들어 담배의 연기, 악취 등으로 오염된 공기)를 충분히 배기할 수 없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신선한 공기를 취입하면서, 오염된 공기를 배기할 수 있는 것이며, 냉방 운전 혹은 난방 운전과의 병용시에는 그 냉방 효과 혹은 난방 효과를 거의 저해하는 일 없이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급기 운전 모드에서는 소정 시간(예를 들어 30분간)의 급기 운전을 행하면 자동적으로 댐퍼(25, 26)를 절환하여 예를 들어 3분간(즉, 급기 운 전 시간의 1/10정도의 시간)의 배기 운전을 행하고, 다시 급기 운전으로 복귀한다고 하는 사이클을 갖는 급기 운전으로 한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급기 운전의 도중에 행하고 있었던 수동 조작에 의한 배기 운전을 생략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와 같이 급기만을 행하는 급기 운전을 리모콘 등을 사용하고 지시한 경우에는, 3 내지 4 시간은 급기 운전을 계속해 버리는 일이 많고, 이러는 사이에 담배의 연기 혹은 악취, 생활 악취 등이 다량으로 실내로 충만해 버리게 되기 쉽다. 이를 제거하고자 하면, 30분간 정도 급기 운전을 정지하여 배기 운전으로 절환할 필요가 생겨 버린다. 이 때, 예를 들어 냉방 운전 혹은 난방 운전이 병용되어 있으면, 이 운전의 효과가 대폭 저해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예를 들어 30분간의 급기 운전 후에 3분간의 배기 운전을 정기적으로 행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누름 버튼(27a)으로 급기 운전 모드를 지시하면, 자동적으로 급기 운전과 배기 운전이 주기적으로 행해지는 것이므로, 예를 들어 낙엽 혹은 먼지에 의해 실외로 개방하고 있는 급배기 파이프(16)를 급기 운전시에 일시적으로 막히게 되는 경우가 있어도, 다음 배기 운전시에 급배기 파이프(16) 밖으로 분출되고, 급기 운전이 원활하게 행해지는 등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이것은 낙엽에 한정되는 일 없이 먼지 등에도 통용되므로, 공기 청정기(18)의 먼지 막힘 등에 의한 성능 열하를 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환기 유닛(8)의 급배기 통로를 구성하는 배면 덕트(12)나 급배기 파이프(16) 등에는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실내 열교환기(2)나 냉매 배관(13) 등의 열 적 영향에 의해, 급기 운전시에 취입되는 실외 공기가 이들 속에서 결로되는 것이 우려되지만, 결로되었다고 해도 급기 운전 후 배기 운전으로 이 결로수의 제거에도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 배면 덕트(12)나 급배기 파이프(16) 내에의 결로에 의한 곰팡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6에 있어서는 급기 운전과 배기 운전을 일정 사이클로 정기적으로 행하는 취지의 설명을 하였지만 이것은 일례이며, 부정기적이라도 특별히 문제는 없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도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의 급기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타임 차트도이다.
본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급기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급기 운전과 배기 운전 사이의 댐퍼 동작시에 운전 중지 시간(t1)을 마련한 것이다. 급기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급기 운전으로부터 배기 운전으로 절환 댐퍼(25, 26)를 이용하고 있기 위해, 서브 송풍기(9)의 운전을 계속한 상태로 댐퍼(25, 26)의 절환만으로 급기 운전으로부터 배기 운전으로 절환하고자 하면, 서브 송풍기(9)에 의한 풍압의 영향을 받은 상태로 댐퍼(25, 26)를 절환하게 되고, 댐퍼(25, 26)의 절환이 확실하게 행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러한 댐퍼 동작시에 서브 송풍기(9)의 운전을 중지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댐퍼(25, 26)를 확실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급기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급기 운전과 배기 운전을 확실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급기 운전과 배기 운전 기능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에 있어서, 급기 운전 중에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 운전을 행하도록 하는 동시에 배기 운전 시간은 급기 운전 시간보다 적은 시간으로 하였음으로써, 공기 조화기의 냉방 및 제습 그에 난방 등의 운전 중, 급기 운전의 지시를 내면 실내는 항상 양호한 공기 상태로 유지되게 되므로,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멈추는 등으로 하여 실내 공기의 총 교체 등을 행하지 않고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급기 운전 중 실내 공기의 배출은 냉방 운전 혹은 난방 운전 등에 악영향을 부여하는 공기의 양이 아니므로, 항상 실내는 양호한 온도 습도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것이다. 또는, 급기 운전 단독인 경우라도, 리모콘 조작으로 운전 중에 배기 운전이 자동적으로 포함됨으로써, 실내 공기는 항상 양호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이상의 실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서브 송풍기의 급배기 통로 내에서의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조작의 번거로움을 초래하는 일 없이 신선한 실외 공기의 급기 중에 오염된 실내 공기의 배기를 행할 수 있고, 게다가 실외 공기 취입구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실내 공기를 냉각하여 공조하는 실내 열교환기 및 실내 송풍기를 실내 유닛 내에 배치하고,
    실외 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동시에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서브 송풍기를 상기 실내 유닛 내에 배치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와 함께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냉매 배관과 상기 서브 송풍기의 실외로의 급배기 통로를 함께 벽 구멍 등의 배관 구멍을 통해서 마련하고,
    상기 서브 송풍기의 급기 운전을 제어하는 급기 운전 모드를 갖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급기 운전 모드에는 급기 운전 중에 간헐적으로 배기 운전을 행하는 동시에 이 배기 운전 시간을 급기 운전 시간보다 짧게 행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공기 조화기의 각종 운전을 조작하는 리모콘을 갖고, 이 리모콘에 상기 급기 운전 모드를 선택하여 그 급기 운전을 개시하는 누름 버튼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급기 운전과 배기 운전을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동시에 배기 운전 시간을 급기 운전 시간의 1/10정도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송풍기에 흡입하는 공기를 실내 공기 혹은 실외 공기로 절환하는 댐퍼를 상기 서브 송풍기의 흡입부에 설치하고, 상기 서브 송풍기로부터 분출하는 공기를 실내 공기 혹은 실외 공기로 절환하는 댐퍼를 상기 서브 송풍기의 취출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급기 운전과 배기 운전을 상기 댐퍼에 의해 주기적으로 절환하는 동시에, 상기 급기 운전 모드에 있어서의 급기 운전과 배기 운전 사이의 댐퍼 동작시에 운전 중지 시간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 및 상기 실내 송풍기에 의한 냉각된 실내 공기가 송풍되는 송풍로의 열적 영향을 받는 실내 유닛 배면부에 배치하여 상기 급배기 통로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 및 상기 실내 송풍기에 의한 냉각된 실내 공기가 송풍되는 송풍로의 후방 벽 부재에 일체적으로 상기 급배기 통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8. 실내 공기를 냉각하여 공조하는 실내 열교환기 및 실내 송풍기를 실내 유닛 내에 배치하고,
    실외 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동시에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서브 송풍기를 상기 실내 유닛 내에 배치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와 같이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냉매 배관과 상기 서브 송풍기의 실외로의 급배기 통로를 벽 구멍 등의 배관 구멍을 통해서 마련하고,
    상기 서브 송풍기의 급기 운전을 제어하는 급기 운전 모드를 갖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공기 조화기의 각종 운전을 조작하는 리모콘에 상기 급기 운전 모드를 선택하여 그 급기 운전을 개시하는 누름 버튼을 설치하고,
    상기 급기 운전 모드에는 급기 운전 후에 배기 운전을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040005245A 2003-05-27 2004-01-28 공기 조화기 KR1005928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48698 2003-05-27
JP2003148698A JP4067450B2 (ja) 2003-05-27 2003-05-27 空気調和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318A KR20040102318A (ko) 2004-12-04
KR100592835B1 true KR100592835B1 (ko) 2006-06-26

Family

ID=34044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5245A KR100592835B1 (ko) 2003-05-27 2004-01-28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067450B2 (ko)
KR (1) KR100592835B1 (ko)
CN (1) CN127377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9054B2 (ja) * 2010-06-23 2014-03-19 株式会社ソーワエンジニアリング 多機能換気扇
CN112005059B (zh) 2018-04-26 2021-06-29 夏普株式会社 空气调节机
JP2024039431A (ja) * 2022-09-09 2024-03-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3778C (zh) 2006-09-06
CN1573240A (zh) 2005-02-02
KR20040102318A (ko) 2004-12-04
JP4067450B2 (ja) 2008-03-26
JP2004353879A (ja) 200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35734B (zh) 空调机
KR100474045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0553417B1 (ko) 환기 장치
KR100693989B1 (ko) 공기 조화기
KR100941413B1 (ko) 환기기능을 갖춘 공기청정장치
KR100592835B1 (ko) 공기 조화기
KR20070051220A (ko)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KR101162973B1 (ko) 제습기능이 구비된 열회수형 환기장치
KR100693990B1 (ko) 공기 조화기
JP2006078159A (ja) 空気調和機
KR100474049B1 (ko) 공기조화기
JP4544419B2 (ja) 空気調和機
JP2006078160A (ja) 空気調和機
JP2006078158A (ja) 空気調和機
JP4544410B2 (ja) 空気調和機
CN215216365U (zh) 一种出风罩及安装有该出风罩的吸油烟机
JP2006194547A (ja) 空気調和機
KR20060014144A (ko) 공기조화기 겸용 냉장고의 토출구조
KR100715336B1 (ko) 패키지형 에어컨의 개폐도어 구조
KR100484936B1 (ko) 공기조화기
JP3858914B2 (ja) 換気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JPH0765775B2 (ja) 外気処理兼用形ターミナル型空気調和機
CN115468242A (zh) 厨房空气处理系统及其控制方法
JPH11281117A (ja) 空調換気扇
JP2006266626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