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1413B1 - 환기기능을 갖춘 공기청정장치 - Google Patents

환기기능을 갖춘 공기청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1413B1
KR100941413B1 KR1020030049578A KR20030049578A KR100941413B1 KR 100941413 B1 KR100941413 B1 KR 100941413B1 KR 1020030049578 A KR1020030049578 A KR 1020030049578A KR 20030049578 A KR20030049578 A KR 20030049578A KR 100941413 B1 KR100941413 B1 KR 100941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air
air supply
exhaust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9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0363A (ko
Inventor
윤인철
이기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9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1413B1/ko
Priority to JP2003388253A priority patent/JP3783015B2/ja
Priority to CNB2003101222769A priority patent/CN1283959C/zh
Publication of KR20050010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0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기능을 갖춘 공기청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환기용 유로와 공기청정용 유로가 별도로 구성되어 환기운전과 공기청정운전을 수행할 때 각각 최적의 운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장치는 내부가 급기공간과 배기공간으로 구획되고, 배기공간이 상측배기공간과 하측배기공간으로 구획되고, 급기공간이 상측급기공간과 하측급기공간으로 구획되고, 하측배기공간 하면에 공기청정용 제1실내흡입구와 환기용 제2실내흡입구가 형성되고, 하측급기공간 쪽에 실내배출구가 형성되고, 배기공간 쪽에 실외흡입구와 실외배출구가 형성되고, 상측배기공간과 상측급기공간 사이에 연통공이 형성되는 본체와; 제2실내흡입구를 개폐하는 제1댐퍼와; 실외흡입구와 실외배출구를 개폐하는 제2댐퍼와; 연통공을 개폐하는 제3댐퍼와; 상측배기공간에 설치되는 배기팬과; 하측급기공간에 설치되는 급기팬과; 상측배기공간과 실외배출구가 연통되도록 하는 배기유로와; 상측급기공간과 실외흡입구가 연통되도록 하는 급기유로와; 급기유로의 공기와 배기유로의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전열교환기와; 제1실내흡입구 내측 하측배기공간에 설치되는 공기청정필터와; 급기유로의 전열교환기 상류에 설치되는 환기필터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환기기능을 갖춘 공기청정장치{AIR PURIFYING DEVICE HAVING VENTILATING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장치가 건물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장치의 내부구성을 보인 사시도로, 환기운전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장치의 내부구성을 보인 사시도로, 공기청정운전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장치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장치의 종방향 단면도로, 환기운전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장치의 종방향 단면도로, 공기청정운전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2: 제1구획판,
13: 제2구획판, 14: 제3구획판,
20: 급기공간, 21: 상측급기공간,
22: 하측급기공간, 23: 급기팬,
24: 급기유로, 30: 배기공간,
31: 상측배기공간, 32: 하측배기공간,
33: 배기팬, 34: 배기유로,
41: 제1실내흡입구, 42: 제2실내흡입구,
43: 실내배출구, 44: 제2실내배출구,
45: 실외흡입구, 46: 실외배출구,
47: 연통공, 51: 전열교환기,
52: 공기청정필터, 53: 환기필터,
61: 제1댐퍼, 62: 제2댐퍼,
63: 제3댐퍼.
본 발명은 환기기능을 갖춘 공기청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기용 유로와 공기청정용 유로가 별도로 구성되어 환기운전과 공기청정운전을 수행할 때 각각 최적의 운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환기장치을 갖춘 공기청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공기청정장치는 공기 중의 먼지나 세균 등을 걸러 내어 공기를 깨끗하게 하는 장치인데, 최근에는 기본적인 공기청정기능 뿐 아니라 실내공기를 환 기시키는 기능을 갖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장치로 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처럼 공기청정기능과 환기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89566호에 개시된 환기기능을 갖춘 공기청정기가 있다. 이 공기청정기는 본체의 내부에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와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의 열교환을 위한 전열교환기와, 실외공기와 실내공기의 급기 또는 배기를 위한 두 송풍장치, 그리고 공기청정기능과 환기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를 걸러주기 위한 필터를 구비한다. 또 이 공기청정기는 공기청정운전과 환기운전에 선택에 따라 내부의 유로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복수의 셔터를 구비한다.
이러한 공기청정기가 환기운전을 수행할 때는 실외에서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가 본체 내부의 흡기쪽 송풍장치, 전열교환기, 필터를 차례로 거쳐 실내공간으로 공급되고, 실내에서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가 배기쪽 송풍장치와 전열교환기를 차례로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실외에서 유입되는 공기와 실내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전열교환기를 교차하도록 통과하면서 상호 열교환된다. 그리고 공기청정운전을 수행할 때는 실내의 공기가 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후 두 송풍장치와 필터를 거쳐 다시 실내공간으로 공급된다. 이때 본체 내부를 순환하는 과정에서 흡기쪽 송풍장치를 거치는 일부 공기는 전열교환기를 통과한 후 배기쪽 송풍장치를 거친 공기에 합류되고, 합류된 공기가 필터를 거쳐 실내로 공급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공기청정기는 공기청정운전 뿐 아니라 환기운전을 수행하는 과정에서도 공기가 불필요하게 고성능의 필터를 통과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필 터의 사용시간이 길어져 필터의 수명이 단축되는 관계로 필터를 자주 교체해야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환기운전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분진을 포함하는 외부공기가 전열교환기를 통과한 후 필터를 통과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전열교환기에 분진이 쌓여 열교환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환기운전시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고성능인 필터를 통과할 뿐 아니라, 공기청정운전시 일부의 공기가 불필요하게 전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공기의 유동저항이 커져서 정압손실이 발생하고, 소음과 진동이 커질 뿐 아니라 에너지손실이 큰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실내측 흡입구와 실내측 배출구가 본체의 동일 면에 상호 인접하도록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환기 및 공기청정운전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실내공간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흡입구 쪽으로 재 유입되는 현상으로 인해 실내공기의 공기청정 및 환기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청정유로와 환기유로가 별도로 구성되어 환기운전을 수행할 때 공기가 고성능 필터를 통과하지 않도록 하고, 공기청정운전을 수행할 때 공기가 전열교환기를 통과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정압손실을 줄이고, 소음과 진동을 감소시키며, 에너지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환기장치를 갖춘 공기청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기운전을 수행할 때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분 진이 전열교환기에 쌓이는 문제를 방지하여 전열교환기의 열교환효율을 높일 수 있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환기기능을 갖춘 공기청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기운전을 수행할 때 공기가 고성능 필터를 통과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필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환기기능을 갖춘 공기청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의 실내 쪽 배출구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실내 쪽 흡입구를 통해 재 유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환기장치를 갖춘 공기청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환기기능을 갖춘 공기청정장치는 내부가 양측의 급기공간과 배기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배기공간이 상측배기공간과 하측배기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급기공간이 상측급기공간과 하측급기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하측 배기공간 하면에 공기청정용 제1실내흡입구와 환기용 제2실내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급기공간 쪽에 실내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공간 쪽에 실외흡입구와 실외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배기공간과 상기 상측급기공간을 구획하는 판에 연통공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제2실내흡입구를 개폐하는 제1댐퍼와; 상기 실외흡입구와 실외배출구를 개폐하는 제2댐퍼와; 상기 연통공을 개폐하는 제3댐퍼와; 상기 하측배기공간의 공기를 상기 상측배기공간으로 송풍하도록 상기 상측배기공간에 설치되는 배기팬과; 상기 상측급기공간의 공기를 상 기 하측급기공간으로 송풍하도록 상기 하측급기공간에 설치되는 급기팬과; 상기 상측배기공간과 상기 실외배출구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 내에 구획 형성되는 배기유로와; 상기 상측급기공간과 상기 실외흡입구가 연통되도록 상기 배기유로와 인접하는 위치의 상기 본체 내에 구획 형성되는 급기유로와; 상기 급기유로의 공기와 상기 배기유로의 공기가 상호 열교환하도록 이들 유로의 중도에 설치되는 전열교환기와; 상기 제1실내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정화를 위해 상기 하측배기공간 내에 설치되는 공기청정필터와; 상기 급기유로의 상기 전열교환기 상류에 설치되는 환기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내배출구는 상기 하측급기공간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외흡입구와 실외배출구는 상기 배기공간 쪽의 측면에 나란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급기공간과 상기 배기공간을 구획하는 제1구획판과, 상기 상측배기공간과 상기 하측배기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배기팬의 입구와 연계되는 통공이 형성된 제2구획판과, 상기 상측급기공간과 상기 하측급기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급기팬의 입구와 연계되는 통공이 형성된 제3구획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건물의 두 벽이 만나는 구석 상부에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원호형의 곡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급기팬과 배기팬이 원심팬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측급기공간의 건물의 벽과 접하는 측면에는 상기 급기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의 일부가 건물의 다른 쪽 실내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실내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상면이 건물의 천장과 접한 상태가 되도록 건물의 두 벽이 만나는 구석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때 본체(10)는 건물의 구석 상부에 설치되기 용이하도록 전방 쪽의 측면(11)이 원호형의 곡면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공기청정장치의 본체(10)는 도 2, 도 3,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를 양측으로 구획하는 제1구획판(12)을 통해 내부공간이 급기공간(20)과 배기공간(30)으로 구획된다. 또 배기공간(30)은 그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제2구획판(13)을 통해 상측배기공간(31)과 하측배기공간(32)으로 구획되고, 급기공간(20)은 역시 그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제3구획판(14)을 통해 상측급기공간(21)과 하측급기공간(22)으로 구획된다.
본체(10)의 하측배기공간(32) 하면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공간의 공기가 하측배기공간(32)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공기청정운전시 공기가 흡입되는 제1실내흡입구(41)와 환기운전시 공기가 흡입되는 제2실내흡입구(42)가 형성되고, 하측급기공간(22)의 측면에는 공기청정운전과 환기운전시 하측급기공간(22)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실내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실 내배출구(43)가 형성된다. 또 본체(10)의 배출공간(30) 쪽 측면에는 환기운전을 수행할 때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거나 실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실외흡입구(45)와 실외배출구(46)가 나란히 형성된다. 그리고 상측배기공간(31)과 상측급기공간(21) 사이의 제1구획판(12)에는 공기청정운전을 수행할 때 상측배기공간(31)의 공기가 상측급기공간(21)으로 흐를 수 있도록 연통공(47)이 형성된다.
배기공간(30)을 상하로 구획하는 제2구획판(13)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배기공간(32)의 공기가 상측배기공간(31)으로 흐를 수 있도록 통공(13a)이 형성되고, 이 통공(13a)과 대응하는 위치의 상측배기공간(31)에는 하측배기공간(32)의 공기를 상측배기공간(31)으로 송풍하는 것으로 원심팬으로된 배기팬(33)이 설치된다. 이때 배기팬용 모터(33a)는 본체(10)의 내측 상면에 고정된다. 또 급기공간(20)을 상하로 구획하는 제3구획판(14)에는 상측급기공간(21)의 공기가 하측급기공간(22)으로 흐를 수 있도록 통공(14a)이 형성되고, 이 통공(14a)과 대응하는 위치의 하측급기공간(22)에는 상측급기공간(21)의 공기를 하측급기공간(22)으로 송풍하는 급기팬(23)이 설치된다. 이때 급기팬(23)도 원심팬으로 이루어진다.
배기공간(30)의 후방 쪽에는 도 2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기운전을 수행할 때 상측배기공간(31)의 공기가 실외배출구(46) 쪽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본체의 내부에 구획되어 형성되는 배기유로(34)와, 실외흡입구(45)를 통해 흡입되는 외부공기가 상측급기공간(21)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배기유로(34)와 나란히 본체(10)의 내부에 구획되어 형성되는 급기유로(24)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들 두 유로(24,34)의 중도에는 환기가 수행되는 과정에서 급기유로(24)의 공기와 배기유로(34)의 공기가 상호 교차하면서 열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전열교환기(51)가 설치된다. 또 하측급기공간(22)의 건물의 벽과 접하는 후방 측면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기팬(23)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의 일부가 건물의 다른 실내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2실내배출구(44)가 형성되고, 하측급기공간(22)의 내부에는 급기팬(23)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실내배출구(43) 쪽으로 안내하는 유로와 제2실내배출구(44) 쪽으로 안내하는 유로가 각각 형성된다.
또 하측배기공간(32) 내부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청정운전을 수행할 때 제1실내흡입구(41)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정화를 위해 제1실내흡입구(41)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는 공기청정필터(52)가 마련되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열교환기(51) 상류 쪽의 급기유로(24)에는 실외흡입구(45)를 통해 흡입되는 외부공기의 먼지 등을 걸러줄 수 있도록 환기필터(53)가 설치된다. 이때 공기청정필터(52)는 순환하는 실내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줌과 동시에 탈취가 가능하도록 겹으로 적층되는 고성능필터로 이루어지고, 환기필터(53)는 외부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는 정도의 중성능필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장치는 사용자가 공기청정운전을 선택하거나 환기운전을 선택할 때 본체(10) 내부의 유로가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2실내흡입구(42)를 개폐하는 제1댐퍼(61), 실외흡입구(45)와 실외배출구(46)를 동시에 개폐하는 제2댐퍼(62), 그리고 제1구획판(12)의 연통공(47)을 개폐하는 제3댐퍼(63)를 구비한다. 이들 댐퍼(61,62,63)는 모두 모터의 구동에 의해 동작하는 개폐부재가 회동하면서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은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환기운전을 수행할 때는 도 2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내흡입구(42)의 제1댐퍼(61) 및 실외흡입구(45)와 실외배출구(46)의 제2댐퍼(62)가 각각 유로를 개방하도록 동작하고, 제3댐퍼(63)는 제1구획판(12)의 연통공(47)을 폐쇄하도록 동작한다. 이 상태에서 배기팬(33)과 급기팬(23)이 동작하면, 실내공기는 배기팬(33)의 흡입력에 의해 제2실내흡입구(42)를 통해 하측배기공간(32)으로 유입되고, 이 공기가 배기팬(33)을 거쳐 상측배기공간(31)으로 유동하며, 계속해서 배기유로(34)의 전열교환기(51)를 통과한 후 실외배출구(4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외부의 실외공기는 급기팬(23)의 흡입력에 의해 실외흡입구(45)를 통해 급기유로(24)로 유입된 후 환기필터(53)와 전열교환기(51)를 차례로 거치면서 상측급기공간(21)으로 유입되고, 상측급기공간(21)의 공기는 급기팬(23)과 하측급기공간(22)을 거쳐 실내배출구(43)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공급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급기공간(22)의 제2실내배출구(44)가 건물의 벽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다른 실내공간과 연통하도록 설치된 경우에는 하측급기공간(22)의 공기 일부가 다른 실내공간으로도 공급되면서 두 실내공간의 환기가 이루어진다. 이때 다른 실내공간의 원활한 환기를 위해 두 실내공간 사이의 벽에는 제2실내배출구(44)를 통해 다른 실내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만큼 본체(10)가 설치되어 있는 실내공간 쪽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연통유로(48) 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환기동작을 수행할 때 본 발명은 배기유로(3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와 급기유로(24)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가 전열교환기(51)를 교차하도록 통과하면서 상호 열교환을 하기 때문에 실내공간의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환기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내공간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된 제2실내흡입구(42)를 통해 하측배기공간(32)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공기청정필터(52)를 통과하지 않게 된다. 즉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는 유동저항이 작은 제2실내흡입구(42)를 통해 대부분이 흡입되기 때문에 공기청정필터(52)를 거의 통과하지 않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장치는 환기동작을 수행하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불필요하게 공기청정필터(52)를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공기청정필터(52)의 수명을 그만큼 연장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저항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환기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유동소음 및 기기의 진동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환기동작이 이루어질 때 급기유로(24)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전열교환기(51) 상류의 환기필터(53)를 통과하면서 걸러지기 때문에 전열교환기(51)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이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전열교환기(51)의 열교환효율을 그 만큼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열교환기(51)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로 배출되는 실내공기가 본체(10) 하면의 제2실내흡입구(42)를 통해 흡입되고, 외부공기가 본체 측면의 실내배출구(43)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공급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실내로 공급된 공기가 제2실내흡입구(42)로 재 유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실내공간의 환기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공기청정운전을 수행할 때는 도 3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실내흡입구(42)의 제1댐퍼(61) 및 실외흡입구(45)와 실외배출구(46)의 제2댐퍼(62)가 각각 유로를 폐쇄하도록 동작하고, 제3댐퍼(63)는 제1구획판(12)의 연통공(47)을 개방하도록 동작한다. 즉 이때는 제2실내흡입구(42), 실외흡입구(45), 실외배출구(46)가 폐쇄되고, 제1구획판(12)의 연통공(47)이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배기팬(33)과 급기팬(23)이 동작하면, 실내공기는 제1실내흡입구(41)를 통해 하측배기공간(32)으로 유입되면서 공기청정필터(52)를 통과하게 되어 이물질이 걸러지고 탈취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정화된 공기는 배기팬(33)을 거쳐 상측배기공간(31)으로 유동한 후, 제1구획판(12)의 연통공(47)을 통해 상측급기공간(21)으로 흐르며, 급기팬(23)과 하측급기공간(22)을 거친 후 실내배출구(43)를 통해 다시 실내공간으로 공급된다. 이때 실외흡입구(45)와 실외배출구(46)는 제2댐퍼(62)를 통해 폐쇄된 상태이므로 배기유로(34)와 급기유로(24) 쪽으로는 공기가 흐르지 않게 되고, 단지 실내공기의 순환만이 이루지면서 실내공기의 정화가 이루어진다. 또한 이때에도 상술한 환기동작의 경우처럼 제2실내배출구(44)를 통해 다른 실내공간으로 정화된 공기가 공급될 경우 두 실내공간의 공기청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공기청정운전을 수행할 때 본 발명은 순환하는 실내공기가 전열교환기(51)를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유동저항 줄어 공기의 순환이 그만큼 원활해지고, 공기의 유동에 따른 소음 및 기기의 진동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공기청정운전을 수행할 때는 배기팬(33)과 급기팬(23)이 모두 실내공기의 순환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송풍능력이 커진다. 따라서 순환하는 공기가 유동저항이 큰 고성능 공기청정필터(52)를 통과하게 되면서도 원활한 송풍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청정운전을 수행할 때 본체(1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본체의 하면의 제1실내흡입구(41)로 흡입되고, 정화된 공기가 본체(10) 측면(11)의 실내배출구(43)를 통해 실내공간으로 배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실내로 공급된 공기가 제1실내흡입구(41)로 재 유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실내공간의 공기청정운전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장치는 공기청정유로와 환기유로가 별도로 구성되어 환기운전을 수행할 때 공기가 고성능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공기청정운전을 수행할 때 공기가 전열교환기를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정압손실을 줄어 기기의 소음과 진동 및 에너지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기운전을 수행할 때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분진이 환기필터를 통해 걸러지기 때문에 전열교환기에 분진이 쌓이지 않아 전열교환기의 열교환효율을 높일 수 있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기운전을 수행할 때 공기가 고성능인 공기청정필터를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공기청정필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청정운전을 수행할 때 배기팬과 급기팬이 모두 실내공기 의 순환을 위해 사용되어 송풍능력이 커지기 때문에 순환하는 공기가 공기청정필터를 통과하게 되면서도 원활한 송풍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배출구가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고 실내흡입구가 본체의 하면에 형성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실내공간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실내흡입구를 통해 재 유입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어 공기청정 및 환기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실내배출구를 통해 건물의 다른 실내공간 쪽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장치로 두 실내공간의 환기 및 공기청정운전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내부가 양측의 급기공간과 배기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배기공간이 상측배기공간과 하측배기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급기공간이 상측급기공간과 하측급기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하측 배기공간 하면에 공기청정용 제1실내흡입구와 환기용 제2실내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측급기공간 쪽에 실내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공간 쪽에 실외흡입구와 실외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배기공간과 상기 상측급기공간을 구획하는 판에 연통공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제2실내흡입구를 개폐하는 제1댐퍼와; 상기 실외흡입구와 실외배출구를 개폐하는 제2댐퍼와; 상기 연통공을 개폐하는 제3댐퍼와; 상기 하측배기공간의 공기를 상기 상측배기공간으로 송풍하도록 상기 상측배기공간에 설치되는 배기팬과; 상기 상측급기공간의 공기를 상기 하측급기공간으로 송풍하도록 상기 하측급기공간에 설치되는 급기팬과; 상기 상측배기공간과 상기 실외배출구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 내에 구획 형성되는 배기유로와; 상기 상측급기공간과 상기 실외흡입구가 연통되도록 상기 배기유로와 인접하는 위치의 상기 본체 내에 구획 형성되는 급기유로와; 상기 급기유로의 공기와 상기 배기유로의 공기가 상호 열교환하도록 이들 유로의 중도에 설치되는 전열교환기와; 상기 제1실내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정화를 위해 상기 하측배기공간 내에 설치되는 공기청정필터와; 상기 급기유로의 상기 전열교환기 상류에 설치되는 환기필터를 포함하는 환기기능을 갖춘 공기청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배출구는 상기 하측급기공간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기능을 갖춘 공기청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흡입구와 실외배출구는 상기 배기공간 쪽의 측면에 나란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기능을 갖춘 공기청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급기공간과 상기 배기공간을 구획하는 제1구획판과, 상기 상측배기공간과 상기 하측배기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배기팬의 입구와 연계되는 통공이 형성된 제2구획판과, 상기 상측급기공간과 상기 하측급기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급기팬의 입구와 연계되는 통공이 형성된 제3구획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기능을 갖춘 공기청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건물의 두 벽이 만나는 구석 상부에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측면이 원호형의 곡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기능을 갖춘 공기청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팬과 배기팬이 원심팬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기능을 갖춘 공기청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급기공간의 건물의 벽과 접하는 측면에는 상기 급기팬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의 일부가 건물의 다른 실내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실내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기능을 갖춘 공기청정장치.
KR1020030049578A 2003-07-19 2003-07-19 환기기능을 갖춘 공기청정장치 KR100941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578A KR100941413B1 (ko) 2003-07-19 2003-07-19 환기기능을 갖춘 공기청정장치
JP2003388253A JP3783015B2 (ja) 2003-07-19 2003-11-18 換気機能付き空気清浄装置
CNB2003101222769A CN1283959C (zh) 2003-07-19 2003-12-02 具有换气功能的空气净化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9578A KR100941413B1 (ko) 2003-07-19 2003-07-19 환기기능을 갖춘 공기청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0363A KR20050010363A (ko) 2005-01-27
KR100941413B1 true KR100941413B1 (ko) 2010-02-10

Family

ID=34270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9578A KR100941413B1 (ko) 2003-07-19 2003-07-19 환기기능을 갖춘 공기청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783015B2 (ko)
KR (1) KR100941413B1 (ko)
CN (1) CN1283959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990A (ko) 2017-06-20 2018-12-28 코웨이 주식회사 실외 공기 또는 실내 공기의 유입을 제어하여 환기 기능과 공기 청정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공기 청정 복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081B1 (ko) * 2005-02-15 200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겸용 환기시스템
KR100685757B1 (ko) * 2005-09-08 2007-02-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폐열 회수 환기 에어컨
KR100674271B1 (ko) * 2005-09-22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 청정 장치
KR100650108B1 (ko) * 2005-10-04 2006-11-27 주식회사 경동에버런 환기기능이 구비된 공기청정기
KR100698909B1 (ko) * 2005-11-28 2007-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장치
CN101086351B (zh) * 2006-06-08 2010-12-2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器的室内机
JP6390001B2 (ja) * 2014-09-26 2018-09-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清浄装置
WO2016093634A1 (ko) * 2014-12-10 2016-06-16 코웨이 주식회사 제가습 장치, 제습공기청정기, 가습공기청정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1975183B1 (ko) * 2017-09-01 2019-05-13 주식회사 알링크 전도성 필터 모듈이 구비된 미세먼지 제거 시스템
CN110553337A (zh) * 2018-06-01 2019-12-10 北京和居智能窗业科技有限公司 一种家庭用智能通风系统
KR102137386B1 (ko) * 2019-09-30 2020-07-24 박문수 선택적 필터링이 가능한 필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042A (ja) 1997-07-04 1999-01-26 Aqueous Res:Kk 複合換気ユニット
KR200278064Y1 (ko) 2002-03-25 2002-06-20 주식회사 유한엔지니어링 공기조화기의 에어 바이패스 장치
KR100346560B1 (ko) 2000-03-31 2002-07-27 서번산업엔지니어링주식회사 대형 공기조화기의 바이패스 장치
JP2003148781A (ja) 2001-11-15 2003-05-21 Mitsubishi Electric Corp 換気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042A (ja) 1997-07-04 1999-01-26 Aqueous Res:Kk 複合換気ユニット
KR100346560B1 (ko) 2000-03-31 2002-07-27 서번산업엔지니어링주식회사 대형 공기조화기의 바이패스 장치
JP2003148781A (ja) 2001-11-15 2003-05-21 Mitsubishi Electric Corp 換気装置
KR200278064Y1 (ko) 2002-03-25 2002-06-20 주식회사 유한엔지니어링 공기조화기의 에어 바이패스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990A (ko) 2017-06-20 2018-12-28 코웨이 주식회사 실외 공기 또는 실내 공기의 유입을 제어하여 환기 기능과 공기 청정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공기 청정 복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83015B2 (ja) 2006-06-07
CN1576739A (zh) 2005-02-09
CN1283959C (zh) 2006-11-08
JP2005043034A (ja) 2005-02-17
KR20050010363A (ko) 200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8078B1 (ko) 환기시스템
KR100617085B1 (ko) 초박형 환기장치
KR101250062B1 (ko) 환기장치
KR100941413B1 (ko) 환기기능을 갖춘 공기청정장치
KR101783624B1 (ko) 청정운전이 가능한 공기순환장치
KR100651861B1 (ko) 환기겸용 공기청정기
KR102219254B1 (ko) 전열교환기
KR100474045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2009812B1 (ko) 환기장치
KR100577206B1 (ko) 환기시스템
KR100582457B1 (ko) 청정모드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
KR20080025206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013379B1 (ko) 공기청정기
KR100715337B1 (ko) 패키지형 에어컨의 송풍 구조
KR100531087B1 (ko) 환기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KR100508485B1 (ko) 공기 청정 시스템
CN213713240U (zh) 空气处理模块、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102225598B1 (ko) 대용량 필터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KR100552374B1 (ko) 공기 조화기
KR100650108B1 (ko) 환기기능이 구비된 공기청정기
KR20090022639A (ko) 환기장치의 댐퍼조립체
KR100554283B1 (ko) 환기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KR100531088B1 (ko) 공기청정기
CN215372698U (zh) 新风装置及空调器
JP2016070534A (ja) 熱交換形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