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2014A - 농업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농업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2014A
KR20080072014A KR1020087012876A KR20087012876A KR20080072014A KR 20080072014 A KR20080072014 A KR 20080072014A KR 1020087012876 A KR1020087012876 A KR 1020087012876A KR 20087012876 A KR20087012876 A KR 20087012876A KR 20080072014 A KR20080072014 A KR 20080072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caffeine
family member
caffeine family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2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막스
Original Assignee
플랜트 임팩트 피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랜트 임팩트 피엘씨 filed Critical 플랜트 임팩트 피엘씨
Publication of KR20080072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201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9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4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within the same carbon skeleton a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carbon atom having only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ket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10Fertilisers containing plant vitamins or hormo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Fertilizer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의 생식 생장 촉진제로서, 또 식물의 성숙 촉진에 사용하기 위한 카페인 계열 구성원의 용도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식물의 개화, 착색 또는 착과를 촉진하는 데 있어서의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의 용도를 포함한다. 또한, 카페인 계열 구성원을 50∼500 ppm 범위의 농도로 포함하는 농업용 조성물과, (i) 카페인 계열 구성원 및 (ii) 식물 영양소 또는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농업용 조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제와 그 사용 방법도 포함한다.
Figure 112008038332911-PCT00007
(상기 식에서, R1은 C1-1O알킬기 또는 C2-10알케닐기이고, M은 원자가 n의 양이온임).

Description

농업용 조성물{AGRICULTURAL COMPOSITION}
본 발명은 공지 화합물의 신규한 용도,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신규한 농업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과, 특히 식물의 처리에 있어서의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천연 화합물인 카페인 잘 알려져 있으며 많은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카페인은 퓨린 알칼로이드이다. 퓨린은 7H-이미다조[4,5-d]피리미딘이며, 상기 카페인 계열은 임의로 알킬 치환된 그 디온 유도체이다.
식물 재배에 있어서 카페인은 항진균제로서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카페인은 또한 식물의 DNA 수복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한 연구(Biologia Plantarum, (1998) vol. 40, No.3, pp 329-335)에서는, 카페인이 연구된 계에 있어서 떡잎 생장, 엽록소 생합성 및 세포 신장에 대해 약한 사이토키닌 유사 효과를 발현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출원인들은 카페인이 식물의 생장에 비사이토키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과, 카페인 및 퓨린 알칼로이드 계열의 기타 관련 구성원들이 식물 생장 촉진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 재배에 있어서 식물 생식 생장 촉진제로서의 카페인 계열 구성원의 용도가 제공된다.
더 구체적으로, 식물 재배에 있어서 식물의 성숙을 촉진하기 위한 카페인 계열 구성원의 용도가 제공된다.
더 구체적으로, 식물 재배에 있어서 식물의 개화를 촉진하고 식물의 착색을 촉진하고 식물의 착과(결실)(fruiting)를 촉진하는 데 있어서의 카페인 계열 구성원의 용도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페인 계열 구성원의 용도는 생장기 식물에, 바람직하게는 농작물에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출원인들은 카페인 계열 구성원을 본 발명에 따라 식물 처리 시 생식 식물 촉진제로서 사용할 경우 식물의 생장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조기 성숙 및 고도 성숙을 실현할 수 있다. 개화기 식물의 경우, 개화가 촉진되어, 조기 개화 및/또는 개화량 증대가 관찰된다. 착과기 식물의 경우 과실 발육이 더 빨리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착과기 식물에 있어서는 과실의 당분의 더 일찍 증가하는 것뿐 아니라 과당 수치가 높아진 것이 관찰된다. 또한, 특히 카로티노이드가 존재하는 경우 식물 착색이 향상되어, 특히 적색, 황색 및 오렌지색의 색소 형성에 있어서 착색이 향상되고 촉진된다. 카페인 계열 구성원의 사용은, 지하수로의 영양소의 유실이 적고, EDTA와 같은 킬레이트 사용 시와는 달리 그 사용 시 중금속이 유리되지 않으며, 해충 구제책의 병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익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카페인 계열"이란 용어는 임의로 알킬로 치환된 퓨린(7H-이미다조[4,5-d]피리미딘)의 디온 유도체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도체는 퓨린의 2,6-디온 유도체이다. 상기 퓨린 유도체는 비치환된 것이거나 단독 치환, 이중 치환 또는 삼중 치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알킬 치환은 바람직하게는 퓨린 베이스 분자의 1번, 3번 또는 7번 위치 중 하나 이상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알킬 치환은 임의의 C1-4 알킬, 예컨대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 치환일 수 있으며, 메틸 치환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카페인 계열의 바람직한 구성원은 카페인(3,7-디히드로-1,3,7-트리메틸-1H-퓨린-2,6-디온), 크산틴(3,7-디히드로-1H-퓨린-2,6-디온), 테오브로민(3,7-디히드로-3,7-디메틸-1H-퓨린-2,6-디온) 및 테오필린(3,7-디히드로-1,3-디메틸-1H-퓨린-2,6-디온)을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한 구성원은 카페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카페인 계열의 하나 이상의 구성원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때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은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임의의 적합한 형태로 처리하고자 하는 식물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농업용 조성물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을 포함하는 식물 생식 생장 촉진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농업용 조성물이 추가로 제공되며, 이때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은 50∼500 ppm 범위의 농도로 함유된다.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은, 예를 들어 고체 또는 액체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을 함유하여 전달할 수 있는 고체 또는 액체 매질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은 분말 제제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은 비활성 또는 영양 제제에 결합시켜 분말 또는 건조 제제로의 그 혼입을 촉진시킬 수 있다. 분말 제제의 경우, 요구되는 소량의 카페인 계열 구성원의 분말 제제로의 혼입이 촉진되도록 결합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로는 비활성 또는 영양 분말, 예컨대 황산마그네슘, 실리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카페인은 액체 형태로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카페인은 액체 매질에 용해 또는 분산된다. 임의의 적합한 매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은 순수한 화합물로서 또는 식물 추출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적합한 식물 추출물은 고농도의 카페인을 함유하는 것이며, 차 및 커피 식물 추출물을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식물 추출물의 가용성 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은 그 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수용성 염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은 농업용 조성물 중에 함유될 때 원하는 결과를 얻기에 적당한 임의의 수준으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은 50∼500 ppm 범위, 더 바람직하게는 100∼300 ppm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0∼250 ppm, 예를 들어 약 200 ppm의 농도로 함유된다.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은 단독 활성 성분으로서 또는 임의의 적합한 다른 활성 성분과 함께 식물의 처리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은 임의의 다른 성분의 사용과 동시에, 또는 그에 앞서, 또는 그 후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활성 성분과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은 그 성능을 증대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종래의 농업용 조성물 및 제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은, 특히, 신규 또는 기존의 비료, 살충제 또는 생장 촉진 조성물 또는 제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인들은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이 식물의 생장을 촉진할 수 있는 1종 이상의 다른 제제와 함께 사용되는 것이 유익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적합한 첨가제로는 특정 식물 건강 또는 생장 촉진제 및/또는 식물 영양소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 재배에 있어서 카페인 계열 구성원을 하기 화학식 (I)의 수용성 염과 함께 식물 생식 생장 촉진제로서 사용하는 용도가 추가로 제공된다:
Figure 112008038332911-PC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C1-1O알킬기 또는 C2-10알케닐기이고, M은 원자가 n의 양이온임).
본 발명에 따르면, (i) 카페인 계열 구성원 및 (ii)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수용성 염을 포함하는 농업용 조성물이 추가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 재배에 있어서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을 식물 영양소와 함께 식물 생식 생장 촉진제로서 사용하는 용도가 추가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i)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 및 (ii) 식물 영양소를 포함하며,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이 50∼500 ppm 범위의 농도로 함유되는 농업용 조성물이 추가로 제공된다.
식물은 건강한 생장을 위해 다양한 영양소를 필요로 한다. 여기에는 다량 영양소, 2차 영양소 및 미량 영양소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유형의 각각의 식물 영양소 1종 이상 및 그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량 영양소는 질소, 인, 칼륨, 탄소 및 물을 포함한다. 적합한 2차 영양소는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염화물 및 황을 포함한다. 적합한 미량 영양소는 구리, 코발트, 철, 망간, 붕소, 몰리브덴, 아연, 규소 및 니켈을 포함한다.
가능하다면 식물 영양소는 수용성 염의 형태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수용성 염으로는 질산염, 황산염 및 염화물을 들 수 있으며, 질산염 및 염화물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예로는 질산아연, 황산철, 황산아연, 황산마그네슘, 황산망간, 질산철 또는 질산망간을 들 수 있다.
상기 식물 영양소 염은 식물 영양소의 성질에 적합한 양으로 함유된다. 개개의 다량 영양소는 5%∼20% w/w, 바람직하게는 7%∼15% w/w, 가장 바람직하게는 9%∼15% w/w의 양으로 상기 조성물 중에 함유될 수 있다. 개개의 2차 영양소는 5%∼15% w/w, 바람직하게는 5%∼10% w/w, 가장 바람직하게는 7%∼9% w/w의 양으로 상기 조성물 중에 함유될 수 있다. 개개의 미량 영양소는 0.001%∼1% w/w, 바람직하게는 0.005%∼0.9% w/w,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5%∼0.6% w/w의 양으로 상기 조성물 중에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은 50∼500 ppm 범위, 바람직하게는 100∼300 ppm 범위, 더 바람직하게는 약 150∼250 ppm, 예를 들어 약 200 ppm의 농도로 상기 조성물 중에 함유된다.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은 전체 조성물의 0.005%∼0.050% w/w, 바람직하게는 0.01%∼0.03% w/w, 더 바람직하게는 약 0.015%∼0.025% w/w, 예를 들어 약 0.020% w/w의 농도로 상기 조성물 중에 함유된다.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이 화학식 (I)의 수용성 염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 양이온 M은 금속 양이온, 예컨대 알칼리 금속, 특히 칼륨 또는 나트륨(이때 n은 1임) 또는 알칼리 토금속, 예컨대 마그네슘(이때 n은 2임)의 양이온일 수 있으며, 단, 그로부터 형성된 염은 수용성이어야 한다. 따라서 M은 칼슘이 아닌 것이 적합하다. 상기 염은 수혼화성 오일의 형태(예컨대 칼륨 및 나트륨 염)이거나 마그네슘 염과 같은 고체 형태일 수 있다.
알킬 또는 알케닐 기 R1은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다. 그러나, R1이 직쇄 알킬 또는 알케닐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R1은 5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이것은 펜틸기로부터 선택되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이 디히드로자스모네이트 염이 되도록 하거나 또는 이것이 펜트-2-에닐기여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자스모네이트 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이 디히드로자스모산 유도체의 수용성 염인 것이 적합하다. 따라서 특히 바람직한 염은 마그네슘 디히드로자스모네이트이다. 이 염은 취급 및 유동 특성이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이 염을 농약 제제에 사용하기에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M은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고, 단, R1이 펜트-2-에닐기인 경우, M은 나트륨 또는 칼륨이 아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염은 0.001%∼1.000% w/w의 농도 범위로, 바람직하게는 0.003%∼0.500% w/w의 농도 범위로, 더 바람직하게는 0.003%∼0.100% w/w의 농도 범위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5%∼0.050% w/w의 농도 범위로 함유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8038332911-PCT00002
(상기 식에서, R1은 화학식 (I)과 관련하여 정의된 바와 같고, R2는 수소 또는 히드로카빌기로부터 선택됨)
Mn+(OR3)n (III)
(상기 식에서, M 및 n은 화학식 (I)과 관련하여 정의된 바와 같고, R3은 수소 또는 C1-3알킬기, 예컨대 메틸임).
상기 반응은 용매(물일 수 있음) 또는 유기 용매(예컨대 알칸올, 특히 메탄올 또는 톨루엔) 중에서 수행하는 것이 적합하다.
제조되는 특정 염에 따라, 상기 반응은 온건한(moderate) 온도에서, 예를 들어 0∼50℃에서, 용이하게는 실온에서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반응은 고온에서, 예를 들어 50∼100℃에서, 용이하게는 용매의 환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생성물은 적합하게는 용매 증발 후에 고체로서 회수되거나, 또는 상기 생성물은 수용액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제제에 바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히드로카빌"이란 용어는 탄소 및 수소를 포함하는 유기 부분, 예컨대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릴 또는 아랄킬 기, 예컨대 벤질을 의미한다. "알킬"이란 용어는 적당하게는 1∼20개, 바람직하게는 1∼1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직쇄 또는 분지쇄를 의미한다. 유사하게, "알케닐" 및 "알키닐"이란 용어는 적당하게는 2∼20개, 바람직하게는 2∼1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불포화 히드로카빌기를 의미한다. "아릴"이란 용어는 방향족 히드로카빌기, 예컨대 페닐 및 나프틸을 의미하는 한편, "아랄킬"이란 용어는 아릴기, 예컨대 벤질로 치환되는 알킬기를 의미한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R2가 히드로카빌기인 경우, 이것은 C1-10알킬기로부터 선택되며, C1-6알킬기, 예컨대 메틸기가 적합하다.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수산화칼륨과 같은 공지 화합물이며, 이는 바로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계내에서(in situ) 제조될 수 있다. 이는 M이 마그네슘 염인 경우와 R3이 C1-3알킬기, 예컨대 메틸인 경우에 특히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인들은 상기 화합물의 제조에 적합한 방법이 마그네슘을 요오드 등의 촉매 존재 하에 메탄올 등의 C1-3알칸올과 반응시키는 것임을 발견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은 화학식 (III)의 화합물이 형성되도록 가열하는 것이 적합하며, 그 후, 동일한 알칸올 중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을 개시시킨다.
화학식 (II)의 화합물은 공지 화합물이거나 또는 종래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적당한 반응 조건은 숙련된 화학자에게 명백하지만, 이 조건은 화학식 (II)의 화합물(식 중, R2는 히드로카빌기임)을 염기(예컨대, 수산화나트륨)와 반응시키는 단계 및 그 후 염산 등의 산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키랄 중심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광학 활성형과, 라세미 혼합물을 비롯하여 모든 비율의 그 혼합물을 포함한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은 바람직하게는 50∼500 ppm 범위의 농도, 더 바람직하게는 100∼300 ppm 범위의 농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50∼250 ppm, 예를 들어 약 200 ppm의 농도로 상기 조성물 중에 함유된다.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은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의 0.005%∼0.050% w/w 범위의 농도, 더 바람직하게는 0.01%∼0.03% w/w 범위의 농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015%∼0.025% w/w, 예를 들어 약 0.020% w/w의 농도로 상기 조성물 중에 함유된다.
상기 조성물은 고체 분말로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예를 들어 입자 또는 과립의 형태일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조성물은 액체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1종 이상의 농업상 허용되는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성분의 예로는 물, 영양물, 식물 건강 또는 생장 촉진제, 식물유, 대사 촉진제, 유화제, 증점제, 현탁제, 분산제, 담체 또는 부형제, 가용화제, 습윤제, 결합제 및 정유를 들 수 있다.
적합한 영양물로는 전술한 식물 영양소 및 그 밖의 영양 제품을 포함하며, 식물 건강 또는 생장 촉진제(또는 자극제)는 농작물 영양 공급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 예컨대 해초 추출물 분말, 흄산 및 풀브산 분말, 아미노산 분말 및 상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수용성 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시키기에 적합한 식물유는 캐놀라유(기름씨 평지유), 대두유, 면실유, 피마자유, 아마인유 및 야자유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유화제로는 농업상 허용 가능한 임의의 공지된 유화제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화제는 계면활성제, 예컨대 일반적으로 알킬아릴 설포네이트, 에톡시화 알코올, 폴리알콕시화 부틸 에테르, 칼슘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 폴리알킬렌 글리콜 에테르 및 부틸 폴리알킬렌 옥시드 블록 공중합체(당업계에 공지된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Triton N57™과 같은 노닐 페놀 유화제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의 특정 예이며,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라우레이트(상표명 "Tween™"으로 ICI에서 시판됨)와 같은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에스테르 역시 사용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는, 천연 유기 유화제가, 특히 유기 농업 분야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할 수 있다. 코코넛 디에탄올아미드와 같은 코코넛유가 그러한 화합물의 일례이다. 라우릴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야자유 제품 역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는 증점제의 예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것과 같은 검, 예를 들어 크산탄 검, 또는 리그노설포네이트 복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는 적합한 현탁제로는 친수성 콜로이드(예컨대 다당류,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소듐 카복시메틸셀룰로스) 및 팽윤성 점토(예컨대 벤토나이트 또는 아타풀가이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는 적합한 가용화제는, 예를 들어 카페인 계열 구성원의 용매 용해도를 향상시키는 임의의 제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페인의 수용해도는 알칼리 벤조에이트, 시나메이트, 시트레이트 및 살리실레이트에 의해 증가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습윤제에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것과 같은 양이온성, 음이온성, 양쪽성 또는 비이온성의 계면활성제가 포함된다.
분말 제제의 경우, 요구되는 소량의 카페인 계열 구성원의 분말 제제로의 혼입을 촉진하기 위해 결합제가 함유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로는 비활성 또는 영양 분말, 예컨대 황산마그네슘, 실리카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정유 또는 그 활성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적당하게는 5% w/w 이하의 정유, 더 적당하게는 3% w/w 이하의 정유, 바람직하게는 1.5% w/w 이하의 정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성물은 1% w/w 이하의 정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정유(essential oil)"란 표현은 식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천연 방향유를 의미한다. 정유의 구체적 예로는 타게티스 에렉타(Tagetes erecta, 속명: 천수국)로부터 얻을 수 있는 오일과 같은 타게티스유(tagetes oil)와, 타이머스 불가리스(Thymus vulgaris, 속명: 유럽 백리향)로부터 얻을 수 있는 오일과 같은 타임유(thyme oil), 윈터그린(노루발풀)유, 로즈마리유, 마늘유, 명아주(Chenopodium), 코카나무(Erythroxylum), 정향(Eugenia), 가울테리아(Gaultheria), 육두구(Myristica), 클로브(Syzygium), 크산토필럼(Xanthophyllum), 시나모늄(Cinnamonium), 구알테리아(Gualtheria), 목화(Gossypium) 및 민트(mentha)로부터 얻을 수 있는 오일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함유시키기 위한 정유는 하기 표 1에 기재된 식물 과를 비롯하여 다양한 식물 과로부터 얻을 수 있다. 하기 표는 또한 이러한 과의 각각에서 발견되는 특정 종의 예를 포함한다.
[표 1]
과(科)
쥐꼬리망초과 아드하토다 바시카(말라바르 너트)
옻나무과 아나카둠 옥시덴탈(캐슈 너트)
포포나무과 아노나 레티큘라타(블록 하트) 아노나 스콰모사(커스터드 애플) 모노도라 미리스티카(육두구)
개사철쑥(apiacea) (미나리과) 아네툼 그레이브올렌스(딜) 카룸 카비(캐러웨이) 카룸 록스버그히아눔(비숍스 위드) 핌파이넬라 아니숨(아니스 열매)
협죽도과 네리움 올렌더(서양협죽도)
천남성과 아코러스 칼라무스(플래그루트)
국화과 아거라툼 콘지아이드(염소풀) 아르테메시아 불가리스(쑥) 불미아 발사미페라(캠퍼) 크리산테뭄 인디쿰(만자니야) 사우수레아 라파 헬리안투스 안누스(해바라기)
십자화과 라파누스 사티부스(무)
채잘피니아과 에리스로플륨 수아베올렌스[오디얼(ordeal) 나무]
풍접초과 보시카 세네갈렌시스 클레옴 모노필라
노박덩굴과 셀라스트러스 안굴라투스(까치밥)
명아주과 체노포디움 암브로시오데스(스위트 피그위드)
클루시아과 칼로필룸 이노필굼(루아렐우드)
메꽃과 콘불불러스 아벤시스(야생 메꽃)
박과 모모르디카 카란티아(여주)
팁테로카르푸스과 쇼레아 로버스타(사라수)
진달래과 구알테리아 프로컴벤스(노루발풀)
대극과 자트로파 커커스(피직 너트)
콩과 부티 프론도사(플레임 오브 더 포레스트) 글리리시디아 세퓸(마드레 드 카카오) 소랄리아 코일리폴리아 퐁가미아 글라브라(카란자) 트리고넬라 포에눔(호로파)
화본과 심보프곤 마티니(진저그래스) 오리자 사티바(벼)
꿀풀과 비스트로포곤 종 콜레우스 암보이니쿠스(오레가노) 하입티스 스파이시게라(검정깨) 하입티스 수아베올렌스 라벤둘라 안구스티폴리아(라벤더) 멘타 아르벤시스(콘민트) 멘타 롱지폴리아(홀스민트) 멘타 피페리타(페퍼민트) 멘타 스피카타(스피어민트) 오시뭄 바실리쿰(스위트 바질) 오시뭄 카눔(아메리칸 바질) 오시뭄 킬리만드샤리쿰 오시뭄 수아브(야생 바질) 오리가눔 불가리(오레가노) 포고스테몬 헤이네아누스 로즈마리아누스 오피시아니스(로즈마리) 샐비아 오피시아날리스(세이지) 타이머스 불가리스(가든 타임) 테트라데니아 리파리아
녹나무과 시나모뭄 아로마티쿰(계수나무) 루아리스 노빌리스(월계수)
백합과 알리움 알리움 사티붐(마늘)
멀구슬과 아자디라크타 인디카(인도멀구슬나무) 멜리아 아제다라크(페르시안 라일락)
방기과 시삼펠로스 오와리엔시스(파레이라 브라바)
자금우과 엠벨리아 리베스
도금양과 유칼립투스 종 유칼립투스 시트리오다라(레몬향 검) 유칼립투스 글로버스(블루 검 나무) 유칼립투스 테레티코미스 시디움 구아자바(구아바) 시지기움 아로마티쿰(클로브)
육두구과 미리스티카 프래그란스(메이스)
후추과 파이퍼 쿠베다(자바 긴 후추) 파이퍼 구이닌스(아산티 후추) 파이퍼 니그룸(흑후추)
미나리아재비과 니겔라 사티바(블랙 쿠민)
운향과 아에글 마멜로스(벵갈 모과) 시트러스 아우란티폴리아(라임) 시트러스 리몬(레몬) 시트러스 파라디시(그레이프프루트) 시트러스 시넨시스(스위트 오렌지) 리모니아 애시디시마(로엠) 크산톡실룸 알라툼(프릭클리 애쉬)
소태나무과 콰시아 아프리카나
가지과 캅시쿰 아눔(피망) 캅시쿰 프루테신스(타바스코) 리코퍼시콘 에스쿨렌툼(토마토) 니코티아나 타바쿰(담배) 위타니아 솜니페라(꽈리)
마편초과 클러로덴드론 시포난투스 라나타나 카마라(옐로우 세이지) 리피아 게미나타(야생 세이지) 비텍스 네군도(베고니아)
생강과 아프로모뭄 멜라구에타(그레인스 오브 플레져) 알피니아 갈랑가(그레이터 갈랑갈) 쿠르쿠마 롱가(투메릭) 징기버 오피시날(생강)
"그 활성 성분"이란 용어는 식물에서 원하는 활성을 유발시키는 정유 내의 화학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활성은 대사 자극 효과, 항균 효과, 곤충 또는 거미류 사멸 또는 방제 효과, 항바이러스 효과 및 바이러스 구제 효과를 포함한다. 상기 오일은 단독으로 함유될 수도 있고 다른 오일과 함께 함유될 수도 있다.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 및 본 발명의 농업용 조성물은 식물, 특히 농작물에, 임의의 통상적인 방식으로, 예를 들어 토양 살포 또는 엽면 살포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들은 필요에 따라 뿌리계, 줄기, 종자, 곡물, 괴경, 꽃, 과실 등에 투여될 수 있다. 투여 방법의 예로는, 예를 들어 정전 살포기 또는 기타 통상적인 살포기를 이용한 살포, 또는 토양에 직접 투여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세류관개법 또는 관비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 및 본 발명의 조성물은 투여 방법에 알맞도록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필요한 투여 방법에 적합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것들은 투여 전에 희석이 필요한 액체 또는 고체 농축물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것들은, 예를 들어 수분산성 과립, 서방형 또는 속방형 과립, 가용성 농축물, 유혼화성 액체, 초소량 액체, 유화 가능한 농축물, 분산성 농축물, 수중유 및 유중수 에멀션, 마이크로에멀션, 현탁 농축물, 에어로졸, 캡슐 현탁물 및 종자 처리 제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에어로졸 형태는 적절한 추진제, 예를 들어 n-부탄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임의의 경우에 선택된 형태의 종류는 계획된 특정 목적과 그 조성물의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 및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의의 통상의 기법 및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과립은, 예를 들어 조성물을 단독으로 또는 1종 이상의 분말화된 고체 희석제 또는 담체와 함께 제립하여 형성할 수 있다. 분산성 농축물은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 또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물 또는 유기 용매(예컨대, 케톤, 알코올 또는 글리콜 에테르) 중에서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현탁 농축물은 상기 조성물을 적절한 매질에서, 경우에 따라 1종 이상의 분산제와 함께 배합하여 현탁액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현탁액에는 1종 이상의 습윤제가 함유될 수 있으며, 침강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현탁제가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식물 또는 식물의 주변 환경에 투여하기 위한 제제가 제공되며, 이 제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과 이 조성물이 분산 또는 용해될 수 있는 매질을 포함한다.
적절한 매질은 제제의 성질에 따라 고체 또는 액체일 수 있으며, 그 조성물에 대한 임의의 공지된 분산제 또는 용매, 예를 들어 물 또는 수혼화성 액체, 예컨대 n-프로판올을 포함한다. 상기 매질은 비가압 수동식 살포 펌프에 이용될 수 있는 제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매질은 용매인 것이 바람직하고 물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고체 매질 또는 희석제는 천연 점토, 카올린, 파이로필라이트, 벤토나이트, 알루미나, 몬모릴로나이트, 키젤구어, 쵸크, 규조토, 인산칼슘, 부석, 아타풀자이트 점토, 산성 백토(풀러토: fuller's earth), 옥수수 속대 분말(ground corn cob), 모래, 규산염, 탄산나트륨, 탄산칼슘 또는 탄산마그네슘, 중탄산나트륨, 황산마그네슘, 석회, 곡물 가루(flour), 활석, 다당류와 기타 유기 및 무기 고체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매질 또는 희석제는 물 또는 유기 용매, 예컨대 케톤, 알코올 또는 글리콜 에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용액은 계면 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물 희석도를 향상시키거나 살포 탱크에서의 결정화를 방지하기 위해).
분산제 또는 용매(예를 들어, 물)의 사용량은 제제의 특정 투여 방식과 이것이 투여되는 장소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10∼20% v/v의 본 발명 조성물을 포함하고 나머지 비율은 분산제 또는 용매(예를 들어, 물)가 차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카페인 계열 구성원을 현재 입수 가능한 농업용 조성물, 예를 들어 기존의 비료와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필요한 효과를 얻기 위해 요구되는 카페인 계열 구성원의 양은 비교적 적지만(예를 들어, 약 200 ppm),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을 공지의 액체 비료 제품으로 혼입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이것은, 비료 제품을 제조한 후, 다량의 식물 영양소를 함유하는 액체 비료, 즉 원소 분석치가 높은 액체 비료로 카페인을 첨가하는 경우에 두드러진 문제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제품이 원소의 염에 의해 포화되어, 카페인이 용액으로 혼입될 수 있도록 하는 용매가 거의 남지 않은 것에 기인할 수 있다. 본 출원인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영양소 함량이 높은 카페인 함유 액체 조성물을 성공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또한, 카페인 계열 구성원, 1종 이상의 식물 영양소 및 용매를 포함하는 농업용 액체 제제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1종 이상의 식물 영양소를 첨가하기 전에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과 용매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식물, 특히 농작물 재배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은 온실 농작물, 야채 및 과실 작물, 예컨대 토마토, 딸기 및 고추 등의 처리에 특히 유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임의의 특정 상황에 있어서의 조성물 또는 제제의 투여량은 농작물의 성질 등 다수의 요인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조성물 또는 제제가 용액의 형태일 경우, 용액의 투여량은 살포된 용액 농축액이 2 ml/lt∼20 ml/lt의 유출률(runoff-rate)로 살포되도록 하기에 충분하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헥타르당 1∼30 L, 바람직하게는 헥타르당 1∼10 L의 비율로 농작물에 투여하기 위한 비료로서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제제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 및 제제는 단독으로(이 경우, 상기 조성물 및 제제는 유기 작물 재배자에게 적합할 수 있다) 또는 항진균제, 살충제 또는 살비제 등의 다른 농약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식물의 생식 생장을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카페인 계열 구성원을 식물 또는 그 주변 환경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식물의 성숙을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카페인 계열 구성원을 식물 또는 그 주변 환경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식물의 개화량을 증대시키거나 식물의 개화 개시를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카페인 계열 구성원을 식물 또는 그 주변 환경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식물의 착색을 향상시키거나 식물의 착색의 개시를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카페인 계열 구성원을 식물 또는 그 주변 환경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식물의 착과율을 향상시키거나 식물의 착과 개시를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카페인 계열 구성원을 식물 또는 그 주변 환경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술한 방법들 전부에 있어서, 이 방법은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을 투여하는 것 이외에도, 식물 영양소 또는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동시에 또는 순서에 관계없이 순차적으로 상기 식물 또는 그 주변 환경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12008038332911-PCT00003
(상기 식에서, R1은 C1-10알킬기 또는 C2-10알케닐기이고, M은 원자가 n의 양이온임).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제제를 농작물에 투여하기 위한 비료로서 사용하는 용도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후술하는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 1
하기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제제를 제조하였다.
원료 % w/w
37.910
카페인 0.020
몰리브덴산나트륨 0.015
붕산 0.600
인산 33.500
시트르산 5.000
황산구리 0.450
황산망간 1.000
황산마그네슘 6.300
황산철 1.500
황산아연 1.450
황산코발트 0.050
황산니켈 0.005
요소 11.200
당밀 1.000
실시예 1의 제제에 있어서 카페인은 다량 영양소 및 미량 영양소와 함께 엽면 살포 투여에 적합한 액체 제제로 혼입된다. 다량 영양소 질소는 요소로부터 유래되고 다량 영양소 인은 인산으로부터 유래된다.
실시예 2
하기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제제를 제조하였다.
원료 % w/w
36.650
카페인 99% 0.020
질산칼슘 37.500
보론[솔루보(Solubor) 유래] 0.830
요소 22.000
시트르산 1.000
당밀 2.000
실시예 2의 제제에 있어서 카페인은 다량 영양소 질소와 비교적 고용량의 2차 영양소 칼슘과 함께 혼입된다.
실시예 3
하기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제제를 제조하였다.
원료 % w/w
53.280
카페인 99% 0.020
시트르산 2.000
질산칼륨 11.000
염화나트륨 3.400
요소 29.800
당밀 0.500
실시예 3의 제제에 있어서 카페인은 다량 영양소 질소 및 칼륨과 함께 혼입된다.
실시예 4
하기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제제를 제조하였다.
원료 등급/원소 함량 단위 함량/1000 Kg
무수 황산제1철 30% 철 Kg 510.000
무수 황산마그네슘 13.2% 마그네슘 Kg 396.300
벤조산 Kg 3.000
고화 방지제(anticake agent) Kg 1.000
리그노황산칼슘 Kg 74.300
시트르산 Kg 10.000
카페인 99% Kg 0.200
디히드로자스모산 마그네슘 염 특제품 Kg 0.200
L-아르기닌 99% Kg 5.000
분석(최저 보장치): 철 15%
실시예 5
하기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제제를 제조하였다.
원료 등급/원소 함량 단위 함량/1000 Kg
무수 황산제1철 30% 철 Kg 170.000
무수 황산아연 36% 아연 Kg 170.000
황산망간 31% 망간 Kg 135.00
무수 황산마그네슘 13.2% 마그네슘 Kg 235.000
솔루보 20.5% 보론 Kg 150.000
무수 황산구리 24.5% 구리 Kg 45.000
몰리브덴산나트륨 38.9% 몰리브덴 Kg 1.300
벤조산 Kg 3.000
고화 방지제 Kg 1.000
리그노황산칼슘 Kg 74.300
시트르산 Kg 10.000
카페인 99% Kg 0.200
디히드로자스모산 마그네슘 염 특제품 Kg 0.200
L-아르기닌 99% Kg 5.000
분석(최저 보장치): 철 15%, 망간 4%, 마그네슘 3%, 구리 1%, 보론 3%, 몰리브덴 0.05%, 아연 6%
실시예 6
하기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업용 제제를 제조하였다.
원료 등급/원소 함량 단위 함량/1000 Kg
황산망간 31% 망간 Kg 458.000
황산아연(무수) 36% 아연 Kg 450.000
고화 방지제 Kg 1.000
리그노황산칼슘 Kg 72.600
시트르산 Kg 10.000
벤조산 Kg 3.000
카페인 99% Kg 0.200
디히드로자스모산 마그네슘 염 특제품 Kg 0.200
L-아르기닌 99% Kg 5.000
분석(최저 보장치): 아연 16%, 망간 14% w/w
식물의 건강 및 생산량에 대한 본 발명의 효과를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테스트 시험 1
사탕무 연구
방법:
본 발명에 기초한 제제의 투여가 사탕무 생장에 어떠한 차이(있다면)를 유발하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시험을 수립하였다.
2종의 제제를 사용하였다: 제제 1(본 발명 제제) 및 카페인이 혼입되지 않은 동일한 제제(대조군). 이 제제들은 하기와 같다:
제제 1(본 발명 제제)
1000 Kg 회분당 함량
수돗물 251.80 Kg
카페인 99% 0.200
모노에탄올아민 90% 용액 225.00
붕산 17.4% B 523.000
대조군
1000 Kg 회분당 함량
수돗물 251.80 Kg
모노에탄올아민 90% 용액 225.00
붕산 17.4% B 523.000
상기 제제를 테스트 구획(11.1 m2의 구획 × 4)에 위치한 사탕무에 투여하였다. 테스트된 식물 품종은 노조미(Nozomi)였다. 이 식물은 4월에 이식하고 7월과 8월에 제제를 살포하였으며 10월에 수확하였다.
결과:
본 발명 제제 대조군
생산량(t/ha) 63.1 63.4
뿌리 당(%) 15.95 15.79
보정 당(correct sugar)(%) 14.11 13.93
당 생산량(t/ha) 10.07 8.84
K(meq/100 g) 3.25 3.40
Na(meq/100 g) 0.77 0.68
아미노 N(meq/100 g) 1.84 1.79
불순물 3.99 4.04
결론:
본 발명의 제제가 투여된 식물에서 뿌리 당 함량이 증가한 것이 관찰되었다.
테스트 시험 2
양파 연구
방법:
본 발명에 기초한 제제의 투여가 양파 생장에 어떠한 차이(있다면)를 유발하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시험을 수립하였다.
2종의 제제를 사용하였다: 제제 1(본 발명 제제) 및 카페인이 혼입되지 않은 동일한 제제(대조군). 이 제제들은 하기와 같다:
제제 1
재료 % w/w
24.903
모노에탄올아민(MEA) 22.500
붕산 52.300
몰리브덴산나트륨 00.297
제제 2
재료 % w/w
24.883
카페인 00.020
모노에탄올아민(MEA) 22.500
붕산 52.300
몰리브덴산나트륨 00.297
상기 제제를 사우디 아라비아의 테스트 구획에 위치하는 양파 작물에 투여하였다. 중심 피봇 영역을 한 군데 선택하여 이등분하였다. 제1 반부는 대조군으로 이용하였고 제2 반부에는 수확하기 3 주 전에 본 발명 제제 4 L를 처리하였다.
결과:
각 구획으로부터의 양파 수확물의 생산량을 측정하였다.
대조군: 5803 포대×11 kg/포대/ha = 63.83 Mt/ha
처리군: 6885 포대×11 kg/포대/ha = 75.73 Mt/ha
대조군 구획과 처리군 구획 간의 생산량의 차이는 [75.73-63.83=11.9/63.83×100% = 18.6% 증가]였다.
결론:
본 발명의 제제가 투여된 식물에서 수확물 생산량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테스트 시험 3
착색 연구
방법:
표준 비료 제품과 비교하였을 때 본 발명에 기초한 제제의 투여가 농작물의 성숙도에 어떠한 차이(있다면)를 유발하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시험을 수립하였다.
2종의 제제를 사용하였다: 제제 1(대조군) 및 카페인이 혼입된 동일한 제제(본 발명 제제). 이 제제들은 하기와 같다:
제제 1
재료 % w/w
24.903
모노에탄올아민(MEA) 22.500
붕산 52.300
몰리브덴산나트륨 00.297
제제 2
재료 % w/w
24.883
카페인 00.020
모노에탄올아민(MEA) 22.500
붕산 52.300
몰리브덴산나트륨 00.297
시험 A - 피망(요르단 밸리)
각각의 처리는 비닐 하우스 안에 있는 피망 1 열에 엽면 살포(3 ml/L의 살포액, 살포 유출량)로 행하였다. 처리 전과 처리 2 일 후의 시각 점수를 이용하여 농 작물의 색을 평가하였다.
결과:
[표 1]
처리 후의 색 변화
색 점수(작물 10 포기의 평균)*
0 DAT 2 DAT
처리 1 0.5 2
처리 2 0.5 7.5
ㆍ0=100% 녹색; 5=50% 황색; 10=100% 황색
고찰:
상기 2 종의 처리가 피망의 색에 미치는 효과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처리 2는 유의적으로 더 높은 색 점수를 보였는데, 이는 200 ppm의 카페인 혼입이 피망의 색 원숙도를 유의적으로 향상시켰음을 나타낸다.
시험 B - 토마토(요르단 밸리)
각각의 처리는 5 포기의 익은 토마토 작물에 대해 엽면 살포(3 ml/L의 살포액, 살포 유출량)로 행하였다. 처리 전과 처리 2 일 후의 시각 점수를 이용하여 과실의 색을 평가하였다.
결과:
[표 1]
처리 후의 색 변화
색 점수(작물 5 포기의 평균)*
0 DAT 2 DAT
처리 1 0.0 0.0
처리 2 0.0 2.5
ㆍ0=100% 녹색; 5=50% 적색; 10=100% 적색
고찰:
상기 2 종의 처리가 토마토의 색에 미치는 효과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처리 2는 유의적으로 더 높은 색 점수를 보였는데, 이는 카페인(200 ppm)의 혼입이 토마토의 색 원숙도를 유의적으로 향상시켰음을 나타낸다.

Claims (20)

  1. 식물 재배에 있어서 식물 생식 생장 촉진제로서의 카페인 계열 구성원의 용도.
  2. 식물 재배에 있어서 식물의 성숙을 촉진하기 위한 카페인 계열 구성원의 용도.
  3. 식물 재배에 있어서 식물의 개화, 착색 또는 착과를 촉진하는 데 있어서의 카페인 계열 구성원의 용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과 함께 사용되는 카페인 계열 구성원의 용도:
    Figure 112008038332911-PCT00004
    (상기 식에서, R1은 C1-10알킬기 또는 C2-10알케닐기이고, M은 원자가 n의 양이온임).
  5. 식물 생식 생장 촉진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농업용 조성물로서, 카페인 계열 구성원을 포함하며,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이 50∼500 ppm 범위의 농도로 함유되는 농업용 조성물.
  6. 카페인 계열 구성원과 하기 화학식 (I)의 수용성 염인 식물 건강 또는 생장 촉진제를 포함하는 농업용 조성물:
    Figure 112008038332911-PCT00005
    (상기 식에서, R1은 C1-1O알킬기 또는 C2-10알케닐기이고, M은 원자가 n의 양이온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이 50∼500 ppm 범위의 농도로 함유되는 것인 농업용 조성물.
  8. (i) 카페인 계열 구성원 및 (ii) 식물 영양소를 포함하며,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이 50∼500 ppm 범위의 농도로 함유되는 농업용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영양소가 질소, 인, 칼륨, 탄소 및 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다량 영양소;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염화물 및 황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2차 영양소; 또는 구리, 코발트, 철, 망간, 보론, 몰리브덴, 아연, 규소 및 니켈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미량 영양소인 농업용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4항 또는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이 비치환되거나, 단독, 이중 또는 삼중 치환된 퓨린의 2,6-디온 유도체인 용도 또는 농업용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4항 또는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이 카페인(3,7-디히드로-1,3,7-트리메틸-1H-퓨린-2,6-디온), 크산틴(3,7-디히드로-1H-퓨린-2,6-디온), 테오브로민(3,7-디히드로-3,7-디메틸-1H-퓨린-2,6-디온) 또는 테오필린(3,7-디히드로-1,3-디메틸-1H-퓨린-2,6-디온)인 용도 또는 농업용 조성물.
  12. 식물 또는 식물의 주변 환경에 투여하기 위한 제제로서,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과 이 조성물이 분산 또는 용해될 수 있는 매질을 포함하는 제제.
  13. 카페인 계열 구성원, 1종 이상의 식물 영양소 및 용매를 포함하는 농업용 액체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1종 이상의 식물 영양소를 첨가하기 전에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과 용매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식물의 생식 생장을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식물 또는 그 주변 환경에 카페인 계열 구성원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식물의 성숙을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식물 또는 그 주변 환경에 카페인 계열 구성원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식물의 개화량을 증대시키거나 식물의 개화 개시를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식물 또는 그 주변 환경에 카페인 계열 구성원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식물의 착색을 향상시키거나 식물의 착색 개시를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식물 또는 그 주변 환경에 카페인 계열 구성원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식물의 착과율을 향상시키거나 식물의 착과 개시를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식물 또는 그 주변 환경에 카페인 계열 구성원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3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페인 계열 구성원을 투 여하는 것 이외에도, 식물 또는 그 주변 환경에 식물 영양소 또는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동시에 또는 순서에 관계없이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Figure 112008038332911-PCT00006
    (상기 식에서, R1은 C1-10알킬기 또는 C2-10알케닐기이고, M은 원자가 n의 양이온임).
  20. 농작물에 투여하기 위한 비료로서의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농업용 조성물 또는 제12항에 따른 제제의 용도.
KR1020087012876A 2005-10-28 2006-10-24 농업용 조성물 KR200800720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521993.6A GB0521993D0 (en) 2005-10-28 2005-10-28 Agricultural composition
GB0521993.6 2005-10-28
GBGB0620078.6A GB0620078D0 (en) 2005-10-28 2006-10-11 Agricultural composition
GB0620078.6 2006-10-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2014A true KR20080072014A (ko) 2008-08-05

Family

ID=35515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2876A KR20080072014A (ko) 2005-10-28 2006-10-24 농업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20090318293A1 (ko)
EP (1) EP1956912A2 (ko)
JP (1) JP2009513614A (ko)
KR (1) KR20080072014A (ko)
CN (1) CN101370384A (ko)
AP (1) AP2008004474A0 (ko)
AU (1) AU2006307743A1 (ko)
BR (1) BRPI0617835A2 (ko)
CA (1) CA2626630A1 (ko)
CR (1) CR9925A (ko)
EA (1) EA200801206A1 (ko)
GB (3) GB0521993D0 (ko)
MA (1) MA29962B1 (ko)
NZ (1) NZ568438A (ko)
TN (1) TNSN08181A1 (ko)
WO (1) WO2007049027A2 (ko)
ZA (1) ZA20080421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048A (ko) * 2017-11-02 2019-05-10 농업회사법인투엠바이오주식회사 알피니아 갈랑가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님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0184B2 (ja) * 2007-09-21 2012-11-21 花王株式会社 植物活力剤組成物
WO2009078691A1 (es) * 2007-12-19 2009-06-25 Mezclas Y Fertilizantes, S.A. De C.V. Composición de fertilizante líquido
JP2013227278A (ja) * 2012-03-26 2013-11-07 Koei Kagaku Kogyo Kk 葉面散布剤
WO2014016751A2 (en) * 2012-07-22 2014-01-30 Rudraram Research Institute Of Agriculture & Sciences Efficient seed coat composition
CZ305896B6 (cs) * 2012-08-15 2016-04-27 Výzkumný ústav rostlinné výroby, v. v. i. Tvarově stabilní prostředek pro dlouhodobou výživu a podporu kvetení okrasných rostlin, způsob jeho výroby a použití
ITBO20130607A1 (it) * 2013-11-05 2015-05-06 Chemia S P A Formulato biostimolante, corroborante e concimante a base di zeolite ed estratti naturali vegetali
CN104473251B (zh) * 2014-12-01 2016-08-24 黎明 一种用于改良人参果的液体
CN105707146A (zh) * 2014-12-01 2016-06-29 罗国友 一种用于改良茄瓜的液体及其制备方法
CN105707145A (zh) * 2014-12-01 2016-06-29 罗国友 一种提高茄瓜的含糖量的液体及其制备方法
CN104788184A (zh) * 2015-04-09 2015-07-22 德宏后谷咖啡有限公司 一种咖啡专用复混肥及其制备方法
RU2608223C2 (ru) * 2015-07-02 2017-01-17 Ильшат Ахатович Гайсин Состав для роста и развити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культур
CN105110919A (zh) * 2015-08-17 2015-12-02 苏州玖沃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促进植物生长的微生物肥料及其制备方法
CN106576766A (zh) * 2016-11-26 2017-04-26 全椒县悠然自得果蔬种植专业合作社 一种预防番茄畸形果的育苗方法
CA3072246A1 (en) * 2017-08-11 2019-02-14 Co2 Gro, Inc. Plant growth acceleration system and methods
GB201908776D0 (en) * 2019-06-19 2019-07-31 Croda Int Plc Plant treatment composition
GB2597268B (en) * 2020-07-17 2023-07-19 Maxstim Ltd Composition and method of treating plant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2688A (en) * 1978-11-02 1982-10-05 Standard Oil Company (Indiana) Nitrogen fertilizers
US4280830A (en) * 1980-01-23 1981-07-28 O. M. Scott And Sons Company Urea-formaldehyde granular fertilizer
SU976902A1 (ru) * 1981-01-06 1982-11-30 Уральский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Лесо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Ленинского Комсомола Стимул тор смоловыделени при подсочке деревьев хвойных пород
DD221059A1 (de) * 1983-05-31 1985-04-17 Adw Ddr Mittel zur reifebeschleunigung, ertragsverbesserung und ertragsstabilisierung bei zuckerrohr
RU1791438C (ru) * 1990-12-17 1993-01-30 Институт Химии Ан Узсср Удобрительное средство дл бахчевых культур
EP0696167B1 (en) * 1993-05-01 1998-02-25 Btg International Limite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harvested plant material
US5817600A (en) * 1993-05-01 1998-10-06 British Technology Group Limited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plant material
AU3265495A (en) * 1994-08-26 1996-03-22 Nippon Zeon Co., Ltd. Plant growth promoter
JP3876038B2 (ja) * 1996-02-28 2007-01-31 將稔 岩本 柿渋と結合したカフェイン凝集沈殿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5993504A (en) * 1997-11-25 1999-11-30 Hampshire Chemical Corp. Plant micronutrient chelating surfactant compounds
JP2000044420A (ja) * 1998-08-03 2000-02-15 Hokuetsu Giken Kogyo:Kk 植物活性水
US6187326B1 (en) * 1998-12-29 2001-02-13 Thomas T. Yamashita Soil amendment composition
JP2000247810A (ja) * 1999-02-26 2000-09-12 Meiji Seika Kaisha Ltd 農薬の薬理効果促進剤
ES2172389B1 (es) * 2000-04-13 2003-10-01 Inabonos Sa Composicion estimulante del crecimiento de las plantas.
JP4110831B2 (ja) * 2002-05-21 2008-07-0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作物成長調節剤および作物の成長調節方法
CN1559227A (zh) * 2004-03-08 2005-01-05 邹红梅 一种植物增产剂的生产方法
CN1267009C (zh) * 2004-04-22 2006-08-02 中国海洋大学 降有机磷农药残留促作物生长生物制剂的制备方法
GB0409011D0 (en) * 2004-04-23 2004-05-26 Biofutures Pi Ltd Chemical compounds and use thereof in agriculture
GB0520726D0 (en) * 2005-10-12 2005-11-23 Plant Impact Plc Agricultural composi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048A (ko) * 2017-11-02 2019-05-10 농업회사법인투엠바이오주식회사 알피니아 갈랑가 추출물, 계피 추출물, 및 님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충 방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31638B (en) 2008-04-09
NZ568438A (en) 2012-01-12
CR9925A (es) 2008-09-23
CA2626630A1 (en) 2007-05-03
US20090318293A1 (en) 2009-12-24
AP2008004474A0 (en) 2008-06-30
GB0621122D0 (en) 2006-12-06
BRPI0617835A2 (pt) 2012-05-02
GB2431638A (en) 2007-05-02
TNSN08181A1 (en) 2009-10-30
AU2006307743A1 (en) 2007-05-03
WO2007049027A3 (en) 2008-08-07
MA29962B1 (fr) 2008-11-03
EP1956912A2 (en) 2008-08-20
WO2007049027A2 (en) 2007-05-03
EA200801206A1 (ru) 2009-02-27
ZA200804217B (en) 2010-10-27
GB0620078D0 (en) 2006-11-22
CN101370384A (zh) 2009-02-18
GB0521993D0 (en) 2005-12-07
JP2009513614A (ja) 200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2014A (ko) 농업용 조성물
EP1934157B1 (en) Agricultural composition
US7740680B2 (en) Agricultural Composition
AU732744C (en) Method for increasing fertilizer efficiency
CN103073355B (zh) 含吡嘧·苯噻酰的除草杀虫药肥及其生产方法
EA021404B1 (ru) Способ уменьшения выделения закиси азота из почвы
JP2007533720A (ja) ジヒドロジャスモン酸塩及びその農学での使用
CN105237216B (zh) 一种花生控旺药肥可湿性粉剂及花生植株控旺增产方法
WO2019174974A1 (en) Metal-organic-framework zif-8 as nitrification inhibitor
CN111868012A (zh) 硝化抑制剂的延迟释放配制剂
HU184506B (en) Method for intensifying the growing of plough-land plants
JPH0616519A (ja) 農園芸用肥料
Al-Humaid Effects of compound fertilization on growth and alkaloids of datura (Datura innoxia Mill.) plants
RU2240296C1 (ru)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ое микроэлементсодержащее фосфона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растений и питательные грунты на его основе
CN103772064A (zh) 吡咯烷甲醇衍生物拌种肥
CN106631506A (zh) 含2‑氯吡啶衍生物的药肥及其制备方法
WO2016195518A1 (en) A process for producing an organic-mineral fertilizers having a biostimulating activity and fertilizers produced by this process
DE19958030A1 (de) Diureide
JPS62148406A (ja) 水稲の生育促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