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0520A -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0520A
KR20080070520A KR1020077016776A KR20077016776A KR20080070520A KR 20080070520 A KR20080070520 A KR 20080070520A KR 1020077016776 A KR1020077016776 A KR 1020077016776A KR 20077016776 A KR20077016776 A KR 20077016776A KR 20080070520 A KR20080070520 A KR 20080070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nterchangeable lens
size
imaging device
redu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6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 후쿠모토
신야 나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0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05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3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for controlling interchangeable camera parts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1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adapted to interchange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Abstract

카메라 보디 내의 촬상 소자와 상이한 노광면 사이즈의 촬상 장치용으로 설계된 교환 렌즈가 장착되어 촬영된 화상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촬상 장치의 기술을 제공한다. 촬상 시스템에서는, 카메라 보디(카메라 본체)에 탑재된 촬상 소자의 촬상면보다 작은 사이즈의 촬상면에 대응하는 교환 렌즈가 장착되어 촬영이 행해진 경우에는, 이미지 서클 부족에 의한 케라레가 없는 촬상면 중앙의 부분 영역에 대응하는 주화상(고해상도 기록 화상)을 생성하는 동시에, 촬상면 전체에서 얻어지는 전체 화상을 축소하여 축소 화상(예를 들면, 썸네일 화상)을 생성한다(스텝 ST10, ST12). 이로써, 부적합한 교환 렌즈가 장착된 상태에서 촬영된 화상에서는, 축소 화상의 표시 시(화상 재생 시)에 케라레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부적합한 교환 렌즈 장착에 의한 촬영 화상인 것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카메라 보디, 화상, 교환 렌즈, 촬상 소자, 이미지 서클.

Description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 {IMAGING DEVICE AND IMAGING SYSTEM}
본 발명은 교환 렌즈가 착탈할 수 있는 촬상 장치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교환 렌즈가 장착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의 보디(카메라 보디)에 대해서는, APS 사이즈의 촬상면(노광면)이 설치된 촬상 소자를 탑재하는 것이 많은 반면, APS 사이즈보다 큰 대형 사이즈, 예를 들면, 35mm 풀 사이즈의 촬상면이 설치된 촬상 소자를 탑재하는 것도 제품화되어 있다.
그러나, 대형 사이즈의 촬상 소자를 탑재한 카메라 보디에, APS 사이즈의 촬상 소자용으로 설계된 부적합한 교환 렌즈가 장착되면, 촬영 화상에 있어서 이미지 서클 부족에 의한 검은 그림자 영역 즉 케라레(렌즈, 후드 등 때문에 화면의 구석이 찍히지 않는 현상)가 생겨 버린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3-1844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이 있다. 이 기술에 의하면, 케라레가 없는 화상 중 앙부로부터 임의의 종횡비로 잘라 낸 화상을 확대하여 기록함으로써, 적합한 화상 기록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국 특개 2003-18449호 공보의 기술에서는, 케라레를 제거한 화상이 기록되기 때문에, 이 기록 화상을 재생해도, 전술한 부적합한 교환 렌즈 가 장착되어 촬영된 화상인지 여부의 판단은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카메라 보디 내의 촬상 소자와 상이한 노광면 사이즈의 촬상 장치용으로 설계된 교환 렌즈가 장착되어 촬영된 화상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촬상 장치의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의 발명은 노광면이 제1 사이즈인 촬상 장치용으로 설계된 교환 렌즈를 착탈할 수 있는 촬상 장치로서, (a) 제2 사이즈를 가지는 노광면이 설치되어, 피사체에 관한 화상을 취득하는 촬상 소자와, (b) 상기 교환 렌즈의 장착 후에, 상기 제1 사이즈가 상기 제2 사이즈보다 작은 사이즈인 것으로 불일치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c) 상기 사이즈가 불일치한 경우에는, 상기 촬상 소자의 노광면에서 얻어지는 전체 화상으로부터 잘라 낸 부분 화상과, 상기 전체 화상을 축소한 축소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생성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부분 화상은 상기 교환 렌즈의 이미지 서클 부족에 의한 케라레 부분을 제외한 전체 화상으로부터 추출되는 화상이다.
또,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d) 화상 표시가 가능한 표시 수단과, (e) 상기 축소 화상에 따른 화상 표시를 상기 표시 수단에 행하게 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다.
또,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2의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소 화상에 따른 화상 표시에서는, 상기 부분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영역을 내포하는 프레임을 상기 축소 화상 상에 표시하게 한다.
또,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3의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화상 영역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따른 프레임이다.
또,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2의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소 화상에 따른 화상 표시에서는, 상기 부분 화상에 대응하는 제1 화상 영역과 제1 화상 영역 이외의 제2 화상 영역에 관한 색조를 상이하게 한다.
또,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의 발명에 관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f)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게 한 복수개의 축소 화상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축소 화상으로부터 하나의 축소 화상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다.
또, 청구항 7의 발명은 교환 렌즈와, 상기 교환 렌즈를 착탈할 수 있는 촬상 장치를 가지는 촬상 시스템으로서, 상기 교환 렌즈는 노광면이 제1 사이즈인 촬상 장치용으로 설계되어 있고, 상기 촬상 장치는 제2 사이즈를 가지는 노광면이 설치되어, 피사체에 관한 화상을 취득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교환 렌즈의 장착 후에, 상기 제1 사이즈가 상기 제2 사이즈보다 작은 사이즈인 것으로 불일치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사이즈가 불일치한 경우에는, 상기 촬상 소자의 노광면에서 얻어지는 전체 화상으로부터 잘라 낸 부분 화상과, 상기 전체 화상을 축소한 축소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생성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부분 화상은 상기 교환 렌즈의 이미지 서클 부족에 의한 케라레 부분을 제외한 전체 화상으로부터 추출되는 화상이다.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노광면이 제1 사이즈인 촬상 장치용으로 설계된 교환 렌즈의 장착 후에, 촬상 소자에 설치된 노광면의 제2 사이즈보다 제1 사이즈가 작은 사이즈 불일치인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는, 촬상 소자의 노광면에서 얻어지는 전체 화상으로부터 잘라 낸 부분 화상으로서 교환 렌즈의 이미지 서클 부족에 의한 케라레 부분을 제외한 전체 화상으로부터 추출되는 화상과 전체 화상을 축소한 축소 화상을 생성한다. 그 결과, 축소 화상의 표시에 의해 노광면의 사이즈 불일치에 관한 교환 렌즈가 장착되어 촬영된 화상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는, 축소 화상에 따른 화상 표시를 표시 수단에 행하게 하기 때문에, 노광면의 사이즈 불일치에 관한 교환 렌즈가 장착되어 촬영된 화상인지 여부를 확실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 청구항 3의 발명에 있어서는, 축소 화상에 따른 화상 표시에서는 부분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영역을 내포하는 프레임을 축소 화상 상에 표시하게 하기 때문에, 케라레 부분의 인식이 용이하게 된다.
또, 청구항 4의 발명에 있어서는, 프레임은 화상 영역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따른 프레임이기 때문에, 케라레 부분이 제외된 부분 화상의 범위가 명확하게 된다.
또, 청구항 5의 발명에 있어서는, 축소 화상에 따른 화상 표시에서는 부분 화상에 대응하는 제1 화상 영역과 제1 화상 영역 이외의 제2 화상 영역에 관한 색조를 상이하게 하기 때문에, 케라레 부분의 인식이 용이하게 된다.
또, 청구항 6의 발명에 있어서는, 표시 수단에 표시하게 한 복수개의 축소 화상 사이에서 프레임을 이동시킴으로써 복수개의 축소 화상으로부터 하나의 축소 화상을 선택하기 때문에, 케라레 부분을 인식하면서 화상의 선택을 적절히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촬상 시스템(10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촬상 시스템(10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 위치로부터 본 단면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촬상 시스템(100A)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부적합한 교환 렌즈(102)의 장착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부적합한 교환 렌즈(102)가 장착된 경우에 취득되는 전체 화상 Go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부적합한 교환 렌즈(102)가 장착된 경우에 전체 화상 Go로부터 잘라 지는 주(主)화상(부분 화상) Gp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주화상을 얻기 위한 각 이미지 영역 IGa, IG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부적합한 교환 렌즈(102)가 장착된 경우에 기록되는 주화상 및 축소 화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촬상 시스템(100)의 기본적인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촬상 시스템(100)에서의 화상 재생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적합한 교환 렌즈(102)가 장착되어 촬영된 복수개 화상의 재생 및 화상 선택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부적합한 교환 렌즈(102)가 장착되어 촬영된 복수개 화상의 재생 및 화상 선택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실시예>
<촬상 시스템의 개요>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촬상 시스템(100)의 외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에서, 도 1은 촬상 시스템(100)의 정면 외관도이며, 도 2는 촬상 시스템(100)의 배면 외관도이다. 또, 도 3은 도 1의 III-III 위치로부터 본 단면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상 시스템(100)은 카메라 본체(카메라 보디)(101)와, 이 카메라 본체(101)의 정면의 대략 중앙에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교환 렌즈(102)를 구비한 일안(一眼) 리플렉스형 디지털 스틸 카메라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촬상 장치)(101)는 정면의 대략 중앙에 교환 렌즈(102)가 장착되는 마운트부 Mt와, 마운트부 Mt 부근에 교환 렌즈를 착탈하기 위한 착탈 버튼(149)과, 정면 좌단부에 촬영자가 파지(把持)하기 위한 그립부(113) 와, AF를 위한 보조광을 조사하는 AF 보조광 발광부(163)를 구비하고 있다.
또, 카메라 본체(101)는 그 정면 우측 상부에 제어값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값 설정 다이얼(146)과, 정면 좌측 상부에 촬영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모드 설정 다이얼(142)과, 그립부(113)의 상면에 노광의 개시를 지시하기 위한 릴리즈 버튼(147)을 구비하고 있으며, 플래시 촬영 시에 피사체를 조사하는 광을 발하는, 예를 들면, 팝업 식의 플래시(162)를 내장하고 있다. 마운트부 Mt에는, 장착된 교환 렌즈(102) 내의 CPU(181)와의 전기적 접속을 행하기 위한 커넥터 EC와 기계적 접속을 행하기 위한 커플러 MC가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 EC는 CPU(181)를 통하여, 교환 렌즈(102)에 내장된 렌즈 ROM(리드 온리 메모리)(182)으로부터 상기 렌즈에 관한 형식이나 형번(型番) 등의 렌즈 정보를 카메라 본체(101) 내의 전체 제어부(121)에 송신하거나, 렌즈 위치 검출부(123)에 의해 검출된 포커스 렌즈(103) 등의 렌즈 위치를 전체 제어부(121)에 송출하거나 하기 위한 것이다.
커플러 MC는 카메라 본체(101) 내에 설치된 포커스 렌즈 구동용 모터 M1의 구동력을 교환 렌즈(102) 내의 렌즈 구동 기구(104)에 전달하는 것이며, 렌즈 구동 기구(104)에 의해 포커스 렌즈(103)가 광축 방향 LX로 이동하게 된다.
도 1에 있어서, 그립부(113)의 내부에는, 전지 수납실과 카드 수납실이 설치되어 있다. 전지 수납실에는, 카메라의 전원으로서, 예를 들면, 4개의 단(單)3형 건전지가 수납되어 있고, 카드 수납실에는, 촬영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176)가 착탈할 수 있도록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모드 설정 다이얼(142)은 카메라의 각종 모드(정지 화상을 촬영하는 정지 화상 촬영 모드, 동영상을 촬영하는 동영상 촬영 모드, 촬영한 화상을 재생하는 재생 모드, 및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교신을 행하는 통신 모드 등을 포함함)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릴리즈 버튼(147)은 도중까지 누르는 「반누름 상태 S1」의 조작과, 완전히 누르는 「완전 누름 상태 S2」의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된 2단계의 스위치로 되어 있다. 정지 화상 촬영 모드에 있어서, 릴리즈 버튼(147)이 반누름되면, 피사체의 정지 화상을 취득하기 위한 준비 동작(노출 제어값의 설정이나 초점 조절 등의 준비 동작)이 실행되고, 릴리즈 버튼(147)이 완전히 눌려지면, 촬영 동작(후술하는 촬상 소자(116)를 노광하고, 그 노광에 의해 얻어진 화상 신호에 소정의 화상 처리를 행하는 일련의 동작)이 실행된다.
도 2에 있어서, 카메라 본체(101)의 배면의 대략 중앙 상부에는, 파인더 창(108)이 설치되어 있다. 파인더 창(108)에는, 교환 렌즈(102)로부터의 피사체상이 인도된다. 촬영자는 파인더 창(108)을 들여다 보는 것에 의해, 피사체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교환 렌즈(102)를 통과하여 온 피사체상을, 미러 기구(126)(도 4 참조)에서 위쪽으로 반사함으로써, 초점판에 피사체상을 결상(結像)하고, 펜타프리즘을 통한 상을 접안 렌즈를 통하여 봄으로써, 피사체상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 그리고, 파인더 창(108) 내에는, 셔터 속도나 조리개값이나 그 밖에 촬상 시스템(100)의 상태를 나타내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부가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촬영자는 파인더 창(108)을 들여다 봄으로 써, 촬상 시스템(100)의 각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카메라 본체(101) 배면의 대략 중앙에는, 배면 모니터(107)가 설치되어 있다. 배면 모니터(107)는, 예를 들면,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로서 구성되어 있고, 촬영 조건 등을 설정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표시하거나, 재생 모드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176)에 기록된 촬영 화상을 재생 표시하거나 하는 것이다.
배면 모니터(107)의 좌측 상부에는, 메인 스위치(141)가 설치되어 있다. 메인 스위치(141)는 2점 슬라이드 스위치로 이루어지며, 접점을 좌측의 「OFF」 위치에 설정하면, 전원이 오프로 되고, 접점을 우측의 「ON」 위치에 설정하면, 전원이 온으로 된다.
배면 모니터(107)의 우측에는, 방향 선택 키(1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방향 선택 키(144)는 원형의 조작 버튼을 가지며, 이 조작 버튼에 있어서의 상하 좌우의 4 방향 가압 조작과 우측 위, 좌측 위, 우측 아래 및 좌측 아래의 4 방향 가압 조작이, 각각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방향 선택 키(144)는 상기 8 방향의 가압 조작과는 별도로, 중앙부의 푸시 버튼 가압 조작도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배면 모니터(107)의 좌측 위치에는, 메뉴 화면의 설정, 화상의 삭제 등을 행하기 위한 복수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설정 버튼군(143)이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촬상 시스템(100)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촬상 시스템(100)에 있어서, 제어부(121)는 조작부(140)로부터 입력되는 촬영자의 지시나 렌즈 위치 검출부(123)에 의해 검출되는 포커스 렌즈(103)의 위치 등에 따라, 촬상 시스템(100)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메인·마이크로 컴퓨터이다.
조작부(140)는 상기의 메인 스위치(141)나 모드 설정 다이얼(142), 설정 버튼군(143), 릴리즈 버튼(147)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121)는 교환 렌즈(102) 내의 CPU(181)를 사용하여, 렌즈 위치 검출부(123)에 의해 검출된 포커스 렌즈(103) 등의 렌즈 위치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21)는 포커스 제어부(124)를 사용하여 모터 M1을 제어함으로써, 교환 렌즈(102) 내의 포커스 렌즈(103)를 구동한다. 여기에서는, 위상차 AF 모듈(114)에 의해 구해진 디포커스량에 따라 포커스 렌즈(103)를 이동시킴으로써, 초점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어부(121)는 미러 제어부(125)를 사용하여 모터 M2를 제어함으로써, 미러 기구(126) 내의 퀵 리턴 미러 등을 구동한다.
제어부(121)는 셔터 제어부(127)를 사용하여 모터 M3을 제어함으로써, 셔터(115)를 구동한다.
제어부(121)는 타이밍 제어 회로(128)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CCD로서 구성되는 촬상 소자(116), 신호 처리부(129), 및 A/D 변환부(130)를 제어한다.
촬상 소자(116)는, 예를 들면, 35mm 풀 사이즈의 필름에 상당하는 촬상면의 사이즈(36mm×24mm)를 가지고 있으며, 촬상 소자(116)로 촬상된 아날로그 신호의 화상은 신호 처리부(129) 및 A/D 변환부(130)에서 디지털 신호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화상 처리부(150)에 입력된다. 이 화상 데이터는 화상 처리부(150)에 있어서, 흑 레벨 보정 회로(151), WB 보정 회로(152) 및 γ 보정 회로(153)에서 각 화 상 처리가 행해지며, 화상 메모리(154)에 기억된다.
화상 처리부(150)에서 처리된 화상 데이터는 VRAM(171)을 사용하여 배면 모니터(107)에 표시되거나, 카드 I/F(175)를 사용하여 메모리 카드(176)에 기록되거나, USB 등으로 규격화된 통신용 I/F(177)를 사용하여 외부로 송신되거나 한다.
제어부(121)는 필요에 따라 플래시 회로(161)를 통하여 플래시(162)를 발광시키거나, AF 보조광 발광부(163)를 발광시키거나 한다.
<부적합한 교환 렌즈(102)의 장착에 대하여>
촬상 시스템(100)에 있어서는, 마운트부 Mt가 적합한 교환 렌즈(102)이면 카메라 본체(101)로의 장착이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이하에서 설명하는 부적합한 교환 렌즈(102)가 장착되는 경우가 있다.
카메라 본체(101)에 있어서의 촬상 소자(116)의 촬상면 사이즈에 적합한 교환 렌즈(102)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환 렌즈(102)로 규정되는 이미지 서클 ICa에 촬상 소자(116)의 촬상면(116f)이 내포되기 때문에, 적정한 촬영이 가능하다. 한편, 촬상 소자(116)의 촬상면 사이즈에 적합하지 않은 교환 렌즈(102), 예를 들면, 상기의 풀 사이즈(36mm×24mm)보다 작은 APS 사이즈(23mm×16mm)의 촬상면용으로 설계된 교환 렌즈(102)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환 렌즈(102)로 규정되는 이미지 서클 ICb에 촬상 소자(116)의 촬상면(116f)이 내포되지 않도록 된다. 이로써, 촬상 소자(116)의 촬상면(116f)에 대응하는 유효 화소 영역에서 취득된 전체 화상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화상 Go와 같이 화상의 길이 방향의 단부(端 部)(특히 화상의 네 코너 부분)의 휘도가 저하되어 화상 주변부에 이미지 서클 부족에 의한 케라레 Kr이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이 촬상면(노광면)이 풀 사이즈보다 작은 APS 사이즈의 카메라 보디용으로 설계된 교환 렌즈(102)가 카메라 본체(101)에 장착되면 케라레 Kr이 생기기 때문에, 메모리 카드(176)에 고해상도로 기록하는 주화상(고해상도 기록 화상)에 대해서는, 휘도 저하가 없는 중앙부의 화상 영역 Ep를 전체 화상 Go로부터 잘라내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화상 영역 Ep는, 예를 들면, 전체 화상 Go의 종횡비를 유지한 닮은꼴의 영역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화상 영역 Ep를 전체 화상 Go로부터 추출함으로써,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라레 Kr(도 6)을 포함하는 화상의 주변 영역이 트리밍된 선예(鮮銳)한 화상(부분 화상) Gp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시스템(100)에 있어서는, 촬상 소자(116)의 촬상면 사이즈에 적합한 교환 렌즈(102)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촬상 소자(116)의 촬상면 전체에 대응하는 이미지 영역(이하에서는 「전체 영역」이라고도 함) IGa(도 8의 (a))에서 얻어지는 전체 화상을 주화상으로서 기록하는 한편, 촬상 소자(116)의 촬상면 사이즈에 적합하지 않은 부적합한 교환 렌즈(102)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상기의 이미지 영역 IGa보다 작은 이미지 영역(이하에서는 「부분 영역」이라고도 함) IGb(도 8의 (b))로부터 얻어지는 부분 화상을 주화상으로서 기록한다. 이 촬상면의 부분 영역 IGb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APS 사이즈의 촬상면에 상당하는 크기(면적)의 영역으로서 설정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장착된 교환 렌즈(102)에 적합한 촬상 소자의 촬상면 사이즈에 상당하는 크기의 영역으로서 설정하도록 한다.
이상에 의해, 부적합한 교환 렌즈(102)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주화상으로서 케라레 Kr이 없는 적합한 화상을 기록할 수 있지만, 이 주화상을 재생해도 부적합한 교환 렌즈(102)가 장착되어 촬영된 것인지 여부의 판단이 곤란하기 때문에, 촬상 시스템(100)에서는, 화상 재생에 의해 케라레 Kr(도 6)의 육안 관찰이 가능한 저해상도의 축소 화상(예를 들면, 썸네일 화상)을 생성하는 것으로 한다.
즉, 부적합한 교환 렌즈(102)가 장착된 경우에는, 도 9의 (a)에 나타낸 부분 영역 IGb에서 취득되는 부분 화상을 주화상으로서 기록하는 동시에,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라레가 포함되는 화상 주변부의 케라레 영역 Ke를 가지는 전체 영역 IGa에서 취득되는 전체 화상을 사이즈 다운한 축소 화상을 생성하여 기록한다.
이상과 같은 촬상 시스템(100)의 동작을,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촬상 시스템(100)의 동작>
도 10은 촬상 시스템(100)의 기본적인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이 동작은 제어부(121)에 의해 실행된다.
먼저, 사용자에 의해 교환 렌즈(102)가 장착되면, 그 장착이 검출된다(스텝 ST1). 여기에서는, 예를 들면, 커넥터 EC를 통하여 CPU(181)와의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교환 렌즈(102)가 마운트부 Mt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스텝 ST2에서는, ROM(182)에 저장되는 교환 렌즈(102)의 정보를 카메라 본체(101)의 제어부(121)에서 수신한다(스텝 ST2).
스텝 ST3에서는, 스텝 ST2에서 수신한 교환 렌즈(102)의 정보에 따라, 카메라 본체(101) 내의 촬상 소자(116)의 촬상면 사이즈와, 교환 렌즈(102)가 장착되어야 할 카메라 보디 내의 촬상 소자의 촬상면 사이즈와의 불일치를 판정한다. 즉, 노광면이 소정 사이즈(제1 사이즈)로 되는 카메라 보디용으로 설계된 교환 렌즈(102)의 장착 후에, 이 소정 사이즈가 촬상 소자(116)가 설치된 촬상면의 사이즈(제2 사이즈)보다 작은 사이즈 불일치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구체적으로는, 스텝 ST2에서, 예를 들면, 교환 렌즈(102)의 형식이나 형번을 렌즈의 고유 정보로서 수신한 경우에는, 이 고유 정보로부터 교환 렌즈(102)가 적합한 촬상 소자의 촬상면 사이즈를 파악하여 촬상 소자(116)의 촬상면 사이즈와 비교한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면, 교환 렌즈의 형번 등과, 그것에 적합한 촬상 소자의 촬상면 사이즈를 기술한 데이터 테이블을 제어부(121)의 메모리에 저장하여 두면, 이 데이터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교환 렌즈의 형번 등으로부터 촬상 소자의 사이즈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스텝 ST3에 있어서, 촬상 소자의 사이즈가 불일치한 경우에는, 스텝 ST4로 진행하고, 일치하는 경우에는, 스텝 ST5로 진행한다.
스텝 ST4에서는, 주화상의 화상 범위로서 도 8의 (b)에 나타낸 촬상면의 부분 영역 IGb를 설정한다.
스텝 ST5에서는, 주화상의 화상 범위로서 도 8의 (a)에 나타낸 촬상면의 전체 영역 IGa를 설정한다.
스텝 ST6에서는, 릴리즈 버튼(147)이 사용자에 의해 완전히 눌려졌는지를 판 정한다. 여기에서, 완전히 눌려진 경우에는, 스텝 ST7로 진행하고, 완전히 눌려지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T6를 반복한다.
스텝 ST7에서는, 셔터(115) 및 미러 기구(126)를 구동하여 노광을 행한다. 이로써, 촬상 소자(116)에서 피사체의 화상 신호가 생성된다.
스텝 ST8에서는, 스텝 ST7의 노광에 의해 촬상 소자(116)에서 생성된 화상 신호를 판독한다.
스텝 ST9에서는, 스텝 ST3과 마찬가지로 카메라 본체(101) 내의 촬상 소자(116)의 촬상면 사이즈와, 교환 렌즈(102)가 장착되어야 할 카메라 보디 내의 촬상 소자의 촬상면 사이즈와의 불일치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촬상 소자의 사이즈가 불일치한 경우에는, 스텝 ST10으로 진행하고, 일치하는 경우에는, 스텝 ST11로 진행한다.
스텝 ST10에서는, 스텝 ST4에서 설정된 부분 영역 IGb(도 8의 (b))에 대응하는 주화상을 생성한다. 이 주화상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케라레 Kr 부분을 제외한 전체 화상 Go 중 화상 영역 Ep에서 추출되는 부분 화상 Gp(도 7)으로 이루어져 있고, 화상 처리부(150)에서 화상 처리가 행해진 후에 메모리 카드(176)에 기록된다.
스텝 ST11에서는, 스텝 ST5에서 설정된 전체 영역 IGa(도 8의 (a))에 대응하는 주화상을 생성한다. 이 주화상은 적합한 교환 렌즈(102)가 장착된 정상적인 상태에서 얻어지는 촬영 화상이며, 화상 처리부(150)에서 화상 처리가 행해진 후에 메모리 카드(176)에 기록된다.
스텝 ST12에서는, 전체 영역 IGa(도 8의 (a))에서 얻어지는 전체 화상을 축소하여, 축소 화상을 생성한다. 이 축소 화상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적합한 교환 렌즈(102)가 장착된 경우라도, 도 9의 (b)에 나타낸 케라레 영역 Ke를 포함하는 전체 영역 IGa의 화상이 저해상도화되어 메모리 카드(176)에 기록되는 것으로 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촬영 화상이 메모리 카드(176)에 기록되지만, 이 촬영 화상을 재생할 때는, 메모리 카드(176)에 기록된 축소 화상이 배면 모니터(107)에 표시된다.
즉, 적합한 교환 렌즈(102)가 장착되어 얻어진 1개의 촬영 화상을 1코마 재생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라레가 없는 축소 화상 G1이 배면 모니터(107)에 표시된다. 한편, 부적합한 교환 렌즈(102)가 장착되어 얻어진 1개의 촬영 화상을 1코마 재생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라레 Kr이 있는 축소 화상 G2의 표시가 배면 모니터(107)에 행해진다. 이와 같은 축소 화상의 표시에 있어서 케라레의 유무를 확인함으로써, 부적합한 교환 렌즈(102)가 장착되어 촬영된 화상인지 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 적합한 교환 렌즈(102)가 장착되어 촬영된 4개의 화상을 동일 화면에 재생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1코마 재생 시와 마찬가지로 케라레가 없는 4개의 축소 화상 G11∼G14가 배면 모니터(107)에 표시된다(도 12의 (a)). 이 재생 화면에 있어서,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176)에 보존되는 특정 화상을 소거하기 위해 1개의 화상을 사용자가 선택할 때는, 방향 선택 키(144)의 조작에 따라 축소 화상 G11∼G14 사이를 이동하는 커서 Cr1에 의해 그 화상의 지정이 행해진다(도 12의 (b)). 여기에서, 커서 Cr1은 축소 화상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따른 프레임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부적합한 교환 렌즈(102)가 장착되어 촬영된 4개의 화상을 동일 화면에 재생하는 경우에는, 도 1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라레 영역 Ke가 있는 4개의 축소 화상 G21∼G24가 배면 모니터(107)에 표시된다. 이 재생 화면에 있어서 1개의 화상을 사용자가 선택할 때는, 방향 선택 키(144)의 조작에 따라 복수개의 축소 화상 G21∼G24 사이를 이동하는 커서 Cr2에 의해 그 화상의 지정이 행해진다(도 13의 (b)). 이 커서 Cr2에 대해서는, 상기의 커서 Cr1(도 12의 (b))과 달리, 주화상(부분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영역 Em을 내포하는 프레임으로서 축소 화상 상에 표시되고, 화상 영역 Em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따른 프레임으로서 구성된다.
그리고, 도 13에 나타낸 재생 화면에 있어서는, 케라레 영역 Ke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케라레 영역 Ke의 부분을, 예를 들면, 회색이나 흑색으로 전부 표현함으로써, 주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영역(제1 화상 영역) Em과 화상 영역 Em 이외의 케라레 영역(제2 화상 영역) Ke에 관한 색조를 상이하게 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의 촬상 시스템(100)의 동작에 의해, 카메라 본체(101)에 탑재된 촬상 소자(116)의 촬상면보다 작은 사이즈의 촬상면에 대응하는 교환 렌즈(102)가 장착된 경우에는, 케라레가 없는 화상 중앙부를 전체 화상으로부터 잘라내 주화상을 생성하는 동시에 케라레가 있는 전체 화상을 축소한 축소 화상을 생성한다. 이로써, 적정한 고해상도 기록 화상을 작성할 수 있는 동시에, 축소 화상을 표시하면 부적합한 교환 렌즈가 장착되어 촬영된 화상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변형예>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교환 렌즈(102)의 정보로서 렌즈의 형식이나 형번 등을 ROM(182)에 저장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며, 교환 렌즈(102)에 대응하는 촬상 소자의 촬상면 사이즈를 직접 ROM(182)에 저장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교환 렌즈에 대해서는, 촬상 소자가 탑재된 카메라 보디용으로 설계된 교환 렌즈인 것은 필수가 아니며, 은염(銀鹽) 필름이 세트되는 카메라 보디용으로 설계된 교환 렌즈라도 된다.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상 영역 Ep(도 6)에 대해서는, 전체 화상 Go의 종횡비를 유지한 영역으로서 규정되는 것은 필수가 아니며, 전체 화상 Go와 상이한 임의의 종횡비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축소 화상에 대해서는, 썸네일 화상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용의 화상(스크린 네일)과 같은 것이라도 된다.

Claims (9)

  1. 노광면이 제1 사이즈인 촬상 장치용으로 설계된 교환 렌즈를 착탈할 수 있는 촬상 장치로서,
    (a) 제2 사이즈를 가지는 노광면이 설치되어, 피사체에 관한 화상을 취득하는 촬상 소자와,
    (b) 상기 교환 렌즈의 장착 후에, 상기 제1 사이즈가 상기 제2 사이즈보다 작은 사이즈인 것으로 불일치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c) 상기 사이즈가 불일치한 경우에는, 상기 촬상 소자의 노광면에서 얻어지는 전체 화상을 축소한 축소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생성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생성 수단은, 또한 상기 전체 화상으로부터 잘라 낸 부분 화상을 생성하고,
    상기 부분 화상은, 상기 교환 렌즈의 이미지 서클 부족에 의한 케라레 부분을 제외한 전체 화상으로부터 추출되는 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d) 화상 표시가 가능한 표시 수단과,
    (e) 상기 축소 화상에 따른 화상 표시를 상기 표시 수단에 행하게 하는 표시 제어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 화상에 따른 화상 표시에서는, 상기 부분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영역을 내포하는 프레임을 상기 축소 화상 상에 표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화상 영역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따른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 화상에 따른 화상 표시에서는, 상기 부분 화상에 대응하는 제1 화상 영역과 제1 화상 영역 이외의 제2 화상 영역에 관한 색조를 상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f)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게 한 복수개의 축소 화상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축소 화상으로부터 하나의 축소 화상을 선택 하는 선택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8. 교환 렌즈와, 상기 교환 렌즈를 착탈할 수 있는 촬상 장치를 가지는 촬상 시스템으로서,
    상기 교환 렌즈는 노광면이 제1 사이즈인 촬상 장치용으로 설계되어 있고,
    상기 촬상 장치는,
    제2 사이즈를 가지는 노광면이 설치되어, 피사체에 관한 화상을 취득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교환 렌즈의 장착 후에, 상기 제1 사이즈가 상기 제2 사이즈보다 작은 사이즈인 것으로 불일치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사이즈가 불일치한 경우에는, 상기 촬상 소자의 노광면에서 얻어지는 전체 화상을 축소한 축소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생성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시스템.
  9. 노광면이 제1 사이즈인 촬상 장치용으로 설계된 교환 렌즈를 착탈할 수 있는 촬상 장치의 촬상 방법으로서,
    (a) 제2 사이즈를 가지는 노광면이 설치되어, 피사체에 관한 화상을 취득하고,
    (b) 상기 교환 렌즈의 장착 후에, 상기 제1 사이즈가 상기 제2 사이즈보다 작은 사이즈인 것으로 불일치를 판정하고,
    (c) 상기 사이즈가 불일치한 경우에는, 상기 촬상 소자의 노광면에서 얻어지는 전체 화상을 축소한 축소 화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의 촬상 방법.
KR1020077016776A 2005-11-28 2006-11-07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 KR200800705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41819A JP2007150680A (ja) 2005-11-28 2005-11-28 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JP-P-2005-00341819 2005-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520A true KR20080070520A (ko) 2008-07-30

Family

ID=38067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6776A KR20080070520A (ko) 2005-11-28 2006-11-07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021633A1 (ko)
EP (1) EP1841210A1 (ko)
JP (1) JP2007150680A (ko)
KR (1) KR20080070520A (ko)
CN (1) CN101112080A (ko)
TW (1) TW200726220A (ko)
WO (1) WO20070608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58138B2 (ja) * 2010-06-22 2013-03-06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再生装置および再生プログラム
JP2012023546A (ja) * 2010-07-14 2012-02-02 Jvc Kenwood Corp 制御装置、立体映像撮像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5293716B2 (ja) * 2010-09-30 2013-09-18 株式会社ニコン 交換レンズ、カメラボディ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JP5903658B2 (ja) * 2011-06-28 2016-04-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
JP5906427B2 (ja) 2011-06-28 2016-04-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
JP6727989B2 (ja) * 2016-08-31 2020-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7134730B2 (ja) * 2018-06-21 2022-09-1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7305455B2 (ja) * 2019-06-24 2023-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防振制御装置、撮像装置及び防振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5192B1 (en) * 1999-07-30 2002-06-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avigation assistant-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configured complementary information for data browsing in a viewer context
JP4432233B2 (ja) * 2000-08-25 2010-03-17 株式会社ニコン 電子カメラ
JP4408001B2 (ja) * 2000-12-21 2010-02-0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4988994B2 (ja) * 2001-06-28 2012-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カメラ装置
JP2003060976A (ja) * 2001-08-10 2003-02-28 Canon Inc 電子カメラ、手振れ撮影防止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US20030223002A1 (en) * 2002-03-27 2003-12-04 Hiroaki Minami Camera body and a detachably coupled digital photography camera back
JP2005258202A (ja) * 2004-03-12 2005-09-22 Nikon Corp カメラシステム、カメラボディ、撮影レンズ鏡筒及び閃光発光装置
JP2005277963A (ja) * 2004-03-25 2005-10-06 Nikon Corp 電子カメラ
JP2006191282A (ja) * 2005-01-05 2006-07-20 Pentax Corp デジタル一眼レフ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26220A (en) 2007-07-01
EP1841210A1 (en) 2007-10-03
WO2007060830A1 (ja) 2007-05-31
CN101112080A (zh) 2008-01-23
US20090021633A1 (en) 2009-01-22
JP2007150680A (ja) 200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7363B2 (ja) 表示装置
US8081251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system
JP5257157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80070520A (ko) 촬상 장치 및 촬상 시스템
JP2006163094A (ja) デジタル一眼レフカメラ
US20050088543A1 (en) Digital camera and image generating method
TWI342156B (en) Imaging apparatus
JP2008287064A (ja) 撮像装置
JP4183000B2 (ja) 撮像装置
JP2006054698A (ja) 手振れ補正機能を有する撮像装置
US20070172226A1 (en) Digital single-lens reflex camera
JP2006246130A (ja) 撮像システム、交換レンズ、撮像装置およびicタグ
JP2006246224A (ja) 撮像装置
JP2008015351A (ja) 撮像装置
JP4988994B2 (ja) 電子カメラ装置
JP2009139423A (ja) 撮像装置及び被写体距離算出方法
JP2003090952A (ja) 撮像装置
JP2010268108A (ja) 撮像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2003143463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9239651A (ja) 撮像装置
JP2007101877A (ja) 撮影装置
JP2005101951A (ja) 表示部を備えたデジタルカメラ
JP2007036951A (ja) 電子ビューファインダを有するカメラ
JP4600770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4050688B2 (ja) デジタルカメラ、その制御方法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