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9877A - 휴대용 컴퓨터 - Google Patents

휴대용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9877A
KR20080069877A KR1020070007662A KR20070007662A KR20080069877A KR 20080069877 A KR20080069877 A KR 20080069877A KR 1020070007662 A KR1020070007662 A KR 1020070007662A KR 20070007662 A KR20070007662 A KR 20070007662A KR 20080069877 A KR20080069877 A KR 20080069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input
button group
character
input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3896B1 (ko
Inventor
박영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7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896B1/ko
Priority to US11/741,937 priority patent/US7852322B2/en
Publication of KR20080069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4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 F24H1/16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 F24H1/16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14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와, 개구부 양측에 마련된 좌측패널부 및 우측패널부를 가지는 본체케이싱과; 개구부를 통해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컴퓨터 인터페이스용 문자입력 자판으로부터 각각 추출되어, 좌측패널부에 배치된 좌측입력버튼그룹과 우측패널부에 배치된 우측입력버튼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문자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컴퓨터{PORTABLE COMPU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컴퓨터의 구성도,
도 3은 도 1의 휴대용컴퓨터에서 좌측입력버튼그룹 및 우측입력버튼그룹을 나타낸 배치도,
도 4는 컴퓨터 인터페이스용 문자입력 자판에서 특수문자의 사용빈도를 나타낸 조사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휴대용 컴퓨터 100 : 본체케이싱
110 : 개구부 120 : 좌측패널부
130 : 우측패널부 200 : 메인보드부
210 : 중앙처리부 220 : 메모리부
230 : 화상신호처리부 300 : 디스플레이부
400 : 전원부 500 : 좌측입력버튼그룹
600 : 우측입력버튼그룹 700 : 포인터이동부
800 : 보조버튼부
본 발명은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문자 입력 구조를 개선한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는 데이터의 연산 및 처리를 기본으로 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책상 등에 설치되는 데스크탑(desk-top) 방식의 컴퓨터는 개인용으로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데스크탑 방식은 크기 및 무게의 측면에서 휴대가 곤란하다. 따라서, 휴대성을 강조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를 실현한 랩탑(lap-top) 방식, 혹은 랩탑 방식보다 한층 더 축소됨으로써 사용자가 양 손으로 파지하여 조작할 수 있게 마련된 UMPC(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등이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UMPC 방식의 휴대용 컴퓨터는,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단순한 멀티미디어 재생장치에서 벗어나, 인터넷 검색, 문서 작성, 내비게이션 및 게임 등과 같은 총합적인 디지털 활동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휴대용 컴퓨터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가 마련되어야 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는, 디스플레이부의 화상 표시 영역에 형성되는 터치스크린 키보드(touch-screen keyboard)를 포함한다. 이에, 터치스크린 키보드에 나타난 문자열을 가압함으로써 휴대용 컴퓨터에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컴퓨터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 판면 상의 특정 영역을 반복하여 가압하므로, 사용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상기 가압 영역에 흡집이 발생하게 된다. 혹은 반복적 가압에 의한 기계적 피로로 인해, 상기 영역의 화상에 왜곡이 발생하거나, 문자 입력 인식에 오류가 발생하기 쉽다.
또한, 디스플레이부 상에 터치스크린 키보드가 형성되면, 그 형성 영역만큼 디스플레이부의 화상 표시 영역을 가리게 되므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상을 인지하는 것을 간섭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면서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고 화상의 간섭 없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휴대용 컴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문자 입력 행태를 고려하여 접근성을 향상시킨 문자 배치 레이아웃을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 중앙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 양측에 마련된 좌측패널부 및 우측패널부를 가지는 본체케이싱과; 상기 개구부를 통해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컴퓨터 인터페이스용 문자입력 자판으로부터 각각 추출되어, 상기 좌측패널부에 배치된 좌측입력버튼그룹과 상기 우측패널부에 배치된 우측입력버튼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컴퓨터 인터페이스용 문자입력 자판은, 쿼티(QWERTY), 드보락(DVORAK) 및 애저티(AZERTY) 방식을 포함하는 알파벳 문자 배열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측입력버튼그룹은, '~', '@' 및 '-'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우측입력버튼그룹은, 쉬프트 버튼, 백스페이스 버튼, 스페이스 버튼 및 엔터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컴퓨터 인터페이스용 문자입력 자판은 알파벳 문자 및 알파벳 이외의 문자를 입력 가능하며, 상기 우측입력버튼그룹은, 상기 문자들 사이의 입력 전환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알파벳 이외의 문자는 한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좌측입력버튼그룹은 한글의 자음을 입력 가능하고, 상기 우측입력버튼그룹은 한글의 모음을 입력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쉬프트 버튼은,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본체케이싱 외곽을 향하여 가장 멀리 이격된 영역에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쉬프트 버튼은, 상기 좌측입력버튼그룹 및 상기 우측입력버튼그룹에 각각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엔터 버튼은,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본체케이싱 외곽을 향하여 가장 멀리 이격된 상기 우측입력버튼그룹 영역에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페이스 버튼은, 상기 컴퓨터 인터페이스용 문자입력 자판에 포 함된 여타 버튼보다 크게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측입력버튼그룹은, 뉴머릭 락 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측입력버튼그룹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좌측패널부 일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포인터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우측입력버튼그룹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우측패널부 일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포인터를 클릭하는 보조 엔터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컴퓨터는 사용자가 양 손을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모빌리티(mobility)를 향상시킨 UMPC(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방식의 휴대용 컴퓨터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1)는, 본체케이싱(100)과; 본체케이싱(100) 내에 수용 지지된 메인보드부(200)와; 메인보드부(200)로부터 처리된 신호에 의해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00)와; 메인보드부(200) 및 디스플레이부(3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00)와; 본체케이싱(100) 외측의 일측에 마련된 좌측입력버튼그룹(500); 및 우측입력버튼그룹(600)과; 본체케이싱(100) 외측의 타측에 마련된 포인터이동부(700); 및 보조버튼부(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좌측입력버튼그룹(500) 및 우측입력버튼그룹(600)은, 일반적인 컴퓨 터 인터페이스(interface)용 문자입력 자판으로부터 각각 추출되어 마련된다.
본체케이싱(100)은 좌우로 긴 폭과 소정 두께를 가지는 사각형의 판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의 휴대용 컴퓨터(1)는 본체케이싱(100)의 좌우 양측을 사용자가 양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하므로, 본체케이싱(100)의 좌우 폭은 일반적인 사용자의 어깨 넓이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길이로 마련된다.
본체케이싱(100)은 디스플레이부(300), 메인보드부(200) 및 전원부(400)를 수용 지지한다. 본체케이싱(100)은 수용 지지된 상기 구성요소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완충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외관의 미려함을 고려하여 광택 재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체케이싱(100)은 사용자를 향한 전방에 디스플레이부(300)를 수용 지지하며, 디스플레이부(300) 배면에 메인보드부(200) 및 전원부(400) 등을 수용 지지한다. 또한, 본체케이싱(100)은 카메라(camera), 스피커(speaker) 및 다양한 입출력 단자 등을 포함하는 보조입력부(미도시) 및 보조출력부(미도시)가 본체케이싱(100)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체케이싱(100)은, 사용자를 향하는 전방 판면의 중앙 영역에 관통 형성된 개구부(110)와; 개구부(110) 양측에 좌우로 형성된 좌측패널부(120); 및 우측패널부(130);를 포함한다. 본체케이싱(100)은 개구부(110), 좌측패널부(120) 및 우측패널부(130)가 사용자를 향하는 전방 판면에 평행하게 형성되며, 사용자는 좌측패널부(120) 및 우측패널부(130) 각각의 하측을 파지한다.
개구부(110)는 본체케이싱(100)에 수용된 디스플레이부(300)가 외부로 노출 되도록 본체케이싱(100) 전방 판면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다. 개구부(110)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00) 판면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300)가 표시하는 화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좌측패널부(120) 및 우측패널부(130)는 개구부(110)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다. 좌측패널부(120) 및 우측패널부(130)는 개구부(110)를 따라서, 상측영역 및 중앙영역에 후술할 좌측입력버튼그룹(500), 우측입력버튼그룹(600), 포인터이동부(700) 및 보조버튼부(800)가 분배 배치되며, 사용자가 하측영역을 파지하면서 엄지손가락 등으로 상기 구성요소들을 조작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메인보드부(200)는 CPU 등을 포함하는 중앙처리부(210) 및 메모리부(220) 등이 장착되어, 입력 혹은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를 독취 및 처리하고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메인보드부(200)는 디스플레이부(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상신호처리부(230)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화상신호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300)에서 화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메인보드부(200) 및 그 하위 구성은 다양한 공지 기술이 변경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처리부(210)는 저전력 및 저발열 기술이 적용됨으로써, 휴대용 컴퓨터(1)의 모빌리티를 실현하고 전원부(400)의 전원공급에 의해 장시간 휴대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화상신호처리부(230)는 메인보드부(200)에 장착된 그래픽 칩(graphic chip)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보드부(200)는 외부 충격이 심한 휴대용 컴퓨터(1)의 사용 특성상, 외부 충격을 극복하도록 다양한 기술이 적용된다.
메모리부(220)는 램(RAM : 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하는 주메모리부(미도시) 및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 혹은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를 포함하는 보조메모리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메모리부(220)는 보조메모리부(미도시)에 휴대용 컴퓨터(1)의 구동을 위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저장한다. 상기 운영체제는 한정되지 않으며,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사의 Windows XP, Windows VISTA 등의 Windows 시리즈, 애플(Apple)사의 MacOS 시리즈 혹은 리눅스(Linux) 등 다양한 공지 운영체제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화상신호처리부(230)로부터 전달된 화상 신호를 화상으로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300)는 화상을 표시하는 판면이 개구부(11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화상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소형화 및 경량화를 구현하도록 액정 디스플레이(LCD)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300)는, 800*480의 기본 해상도를 가지는 7인치 WVGA(wide video graphic array) 규격의 액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나, 디스플레이부(30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원부(400)는 메인보드부(200) 및 그 하위 구성과 디스플레이부(300) 등에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400)는 본체케이싱(100)에 착탈되는 충전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하며, 외부 전원에 연결되어 전력을 축적함으로써 사용자가 장소에 무관하게 휴대용 컴퓨터(1)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전원부(400)는 축적된 전력량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전력량 감지 센서(미도시)가 별도로 마련 되어, 디스플레이부(300) 등을 통해 전원부(400)의 잔존 전력량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측입력버튼그룹(500) 및 우측입력버튼그룹(600)은, 공지된 컴퓨터 인터페이스용 문자입력 자판으로부터 각각 추출되어, 좌측패널부(120) 및 우측패널부(130) 각각의 상측 영역에 분할 배치된다. 여기서, 알파벳(alphabet) 26개 문자 버튼을 포함하는 좌측일반문자버튼그룹(510) 및 우측일반문자버튼그룹(610)은 각각 좌측패널부(120) 및 우측패널부(130) 상측에, 그 외의 특수문자 버튼 및 기능 버튼은 상기 알파벳 26개 문자 버튼의 하측에 배치된다.
좌측입력버튼그룹(500) 및 우측입력버튼그룹(600)은, 알파벳 문자 이외에 적어도 어느 하나의 알파벳 이외의 문자를 입력 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알파벳 이외의 문자가 한글인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휴대용 컴퓨터(1)가 사용되는 국가에 따라서 다양한 언어가 로컬라이징(localizing)되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좌측일반문자버튼그룹(510) 및 우측일반문자버튼그룹(610)에 포함된 버튼은, 후술할 한/영 전환 버튼(660)에 의해 한글을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자음과 모음이 순환 조합됨으로써 하나의 음절을 형성하는 한글의 특성 상, 좌측일반문자버튼그룹(510)은 한글의 자음을 입력 가능하고, 우측일반문자버튼그룹(610)은 한글의 모음을 입력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양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한글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 인터페이스용 문자입력 자판은 다양한 표준화 규격 중에서 어느 하나로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컴퓨터 인터페이스용 문자입력 자판에는 쿼티(QWERTY)와 드보락(DVORAK) 방식이 있으며, 그 다음으로 애저티(AZERTY) 방식이 있다. 쿼티 방식은 전통적인 타자기의 자판 배열을 가지고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자판 배열 방식이다. 드보락 방식은 쿼티 방식의 대안으로 제안되어, 알파벳에서 빈번하게 쓰이는 문자를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배열하여 타자 속도를 높이도록 고안되었다. 애저티 방식은 일부 유럽 국가들에서 채택되고 있는 방식이다.
좌측입력버튼그룹(500)은 좌측패널부(120)에 마련된다. 좌측입력버튼그룹(500)은, 알파벳 문자 버튼 중에서 추출된 일부를 포함하는 좌측일반문자버튼그룹(510)과; 좌측 쉬프트 버튼(520)과; 뉴머릭 락 버튼(530)과; '~'버튼(540)과; '-'버튼(550)과; '@'버튼(560);을 포함한다.
좌측일반문자버튼그룹(510)은 컴퓨터 인터페이스용 문자입력 자판 중 알파벳 26개 문자 중에서, 일부가 추출되어 좌측패널부(120)에 배치됨으로써 마련된다. 여기서, 좌측일반문자버튼그룹(510)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컴퓨터 인터페이스용 문자입력 자판의 좌측에 배치된 알파벳 문자 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파벳 26개 문자 중 좌측일반문자버튼그룹(510)에 포함되지 않은 나머지 일부는 우측일반문자버튼그룹(610)에 포함된다.
좌측 쉬프트(shift) 버튼(520)은, 사용자가 왼손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오른손으로 가압하는 우측일반문자버튼그룹(610)과 조합하여 사용한다. 알파벳의 경우, 좌측 쉬프트 버튼(520)은 알파벳 대문자(uppercase) 및 소문자(lowercase)를 선택 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한글의 경우, 좌측 쉬프트 버튼(520)은 쌍자음 및 이중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좌측 쉬프트 버튼(520)은 좌측일반문자버튼그룹(510)의 하측에, 개구부(110)로부터 본체케이싱(100) 외곽을 향하여 가장 멀리 이격된 영역에 배치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할 때, 좌측입력버튼그룹(500)의 여타 버튼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뉴머릭 락(numeric lock) 버튼(530)은 좌측 쉬프트 버튼(520)의 개구부(110) 쪽으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뉴머릭 락 버튼(530)은 좌측일반문자버튼그룹(510) 및 우측일반문자버튼그룹(610)에 포함된 특정 버튼으로 숫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버튼(540) 및 '-'버튼(550)은 뉴머릭 락 버튼(530)의 우측에 배치된다. '~'버튼(540) 및 '-'버튼(550)은, 컴퓨터 인터페이스용 문자입력 자판에 포함된 특수문자 중에서 가장 사용빈도가 많은 버튼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수문자에 대한 사용빈도를 조사한 그래프에서, '~'버튼(540)의 사용빈도가 46%로 가장 높으며, 그 다음으로 '-'버튼이 13%이다. 이러한 조사 결과로부터, 특수문자 중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버튼(540) 및 '-'버튼(550)을 좌측입력버튼그룹(500)에 포함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킨다.
'@'버튼(560)은 특수문자 중에서 사용빈도와 무관하게 채택된다. 이는, '@'버튼(560)이 전자메일(e-mail) 주소에 필수적으로 포함되는 문자이기 때문이며, '@'버튼(560)을 좌측입력버튼그룹(500)에 포함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 컴퓨 터(1)에 의하여 전자메일을 용이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우측입력버튼그룹(600)은 디스플레이부(300)를 중심으로 하여 좌측입력버튼그룹(500)에 대해 대칭적으로 우측패널부(130)에 마련된다. 우측입력버튼그룹(600)은, 좌측일반문자버튼그룹(510)에 포함되지 않은 알파벳 문자 버튼 중 나머지 일부를 포함하는 우측일반문자버튼그룹(610)과; 우측 쉬프트 버튼(620)과; 스페이스 버튼(630)과; 백 스페이스 버튼(640)과; 엔터 버튼(650)과; 한/영 전환 버튼(660);을 포함한다.
우측입력버튼그룹(600)은 상술한 버튼 이외에, 사용자의 사용빈도 및 필요성을 고려하여, '<', '>' 및 '?' 등의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측일반문자버튼그룹(610)은 알파벳 문자 중 좌측일반문자버튼그룹(510)에 포함되지 않은 나머지 일부를 포함한다.
우측 쉬프트(shift) 버튼(620)은,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왼손으로 가압하는 좌측일반문자버튼그룹(510)과 조합하여 사용한다. 이렇게, 쉬프트 버튼이 좌측입력버튼그룹(500) 및 우측입력버튼그룹(600)에 각각 마련된 좌측 쉬프트 버튼(520) 및 우측 쉬프트 버튼(620)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좌측일반문자버튼그룹(510) 및 우측일반문자버튼그룹(610) 별로 쉬프트 버튼을 선택 적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우측 쉬프트 버튼(620)은 우측일반문자버튼그룹(610)의 하측에, 개구부(110)로부터 본체케이싱(100) 외곽을 향하여 가장 멀리 이격된 영역에 배치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할 때, 우측입력버튼그룹(600)의 여타 버튼과의 간섭 을 최소화할 수 있다.
스페이스(space) 버튼(630)은 우측일반문자버튼그룹(610)의 하측, 개구부(110)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스페이스 버튼(630)은 문자와 문자 사이의 공백을 입력하기 위한 버튼으로, 컴퓨터 인터페이스용 문자입력 자판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다. 스페이스 버튼(630)은 사용자의 60%가 오른손으로 가압하는 사용 행태를 고려하여, 우측입력버튼그룹(600)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페이스 버튼(630)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버튼이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그 크기가 여타 버튼보다 크게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백 스페이스(back-space) 버튼(640)은 포인터(pointer) 혹은 커서(cursor)가 위치하는 지점으로부터 이전의 문자를 삭제한다.
엔터(enter) 버튼(650)은 포인터가 위치한 디스플레이부(300)의 객체를 선택 지정하거나, 혹은 문자 입력 시 문단 혹은 행을 바꾸는 기능을 한다. 엔터 버튼(650)은 우측일반문자버튼그룹(610)의 하측에, 개구부(110)로부터 본체케이싱(100) 외곽을 향하여 가장 멀리 이격된 영역에 배치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할 때, 우측입력버튼그룹(600)의 여타 버튼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엔터 버튼(650)은 우측 쉬프트 버튼(620)과 유사한 이유로, 우측일반문자버튼그룹(610)의 하측에, 개구부(110)로부터 본체케이싱(100) 외곽을 향하여 가장 멀리 이격된 영역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한/영 전환 버튼(660)은 알파벳 및 한글을 전환 입력하도록 마련된다. 한/영 전환 버튼(660)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좌측일반문자버튼그룹(510) 및 우측일반문자버튼그룹(610)이 알파벳 및 한글 중 어느 하나를 입력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좌측일반문자버튼그룹(510) 및 우측일반문자버튼그룹(610)은 포함된 버튼에 해당 버튼이 입력할 수 있는 알파벳 및 한글의 문자가 병기됨이 바람직하다.
한/영 전환 버튼(660)은 휴대용 컴퓨터(1)에 전환 입력이 가능하게 마련된 문자가 한글이 아닌 여타 문자인 경우, 알파벳 및 상기 문자 중 어느 하나를 전환하여 입력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혹은, 좌측일반문자버튼그룹(510) 및 우측일반문자버튼그룹(610)이 알파벳만 입력 가능하게 마련된 경우, 한/영 전환 버튼(660) 대신 Alt(alternate) 버튼과 같은 기타 기능 버튼이 대체되어 적용될 수 있다.
포인터이동부(700)는 좌측입력버튼그룹(500)과 이격되게 좌측패널부(120) 일측에 마련된다. 포인터이동부(700)는 좌측입력버튼그룹(500) 하측에 마련된다. 포인터이동부(700)는 디스플레이부(300) 상에 표시된 포인터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보조버튼부(800)는 우측입력버튼그룹(600) 하측에 마련된다. 보조버튼부(800)는 디스플레이부(300)를 중심으로 하여 포인터이동부(700)에 대해 대칭적으로 위치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왼손으로 포인터이동부(700)를 조작할 때에 오른손이 보조버튼부(800)에 위치함으로써, 본체케이싱(100)을 지지하는 양 손의 위치가 대칭적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본체케이싱(100)이 사용자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보조버튼부(800)는, 보조 엔터 버튼(810)과; 마우스클릭버튼(820);을 포함한다.
보조 엔터 버튼(810)은 엔터 버튼(650)과 동일한 기능을 가진다. 우측입력버튼그룹(600)에 포함된 엔터 버튼(650)이 문자 입력 시 주로 사용되는 것에 비해, 보조 엔터 버튼(810)은 포인터이동부(700)에 의해 포인터를 이동하여 디스플레이부(300) 상에 표시된 소정 객체를 선택 지정할 경우에 사용된다.
마우스클릭버튼(820)은 보조 엔터 버튼(810) 하측에 마련된다. 마우스클릭버튼(820)은 공지된 기술인 마우스(mouse)에 포함된 좌측버튼 및 우측버튼의 기능을 가지며, 포인터의 지정 및 팝업(pop-up)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1)에 의하여 문서를 작성하는 실시예에 관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300)가 자신을 향하도록 하여, 좌측패널부(120) 및 우측패널부(130)의 하측을 양 손으로 파지한다. 휴대용 컴퓨터(1)의 전원을 ON 시키면, 전원부(400)는 메인보드부(200) 및 디스플레이부(300) 등에 전원을 공급한다. 중앙처리부(210)는 메모리부(220)에 저장된 운영체제를 가동시키며, 화상신호처리부(230)를 통해 디스플레이부(300)에 화상을 표시한다.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기반으로 하는 운영체제의 초기 가동이 완료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300)로 이를 확인한다. 사용자는 왼손으로 포인터이동부(700)를 조작하여 포인터를 이동시키며, 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실행 파일 아이콘(icon) 상에 포인터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오른손으로 보조 엔터 버튼(810)을 가압함으로써, 문서 작성 어플리케이션이 구동 실행되도록 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포인터를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문서 작성 영역에 위치시킨다. 이에, 왼손 엄지손가락으로 좌측입력버튼그룹(500)을,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 우측입력버튼그룹(600)을 각각 선택 가압하여, 문자를 입력한다.
한글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오른손으로 한/영 전환 버튼(660)을 가압한다. 이에 의하여, 좌측일반문자버튼그룹(510) 및 우측일반문자버튼그룹(610)으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알파벳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재차 한/영 전환 버튼(660)을 가압한다.
"예"라는 글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를 들어, 좌측 쉬프트 버튼(520)의 사용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우측일반문자버튼그룹(610)에는 'ㅖ' 및 'ㅔ' 가 하나의 버튼에 표기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버튼만을 가압하면 'ㅔ' 가 입력되며, 'ㅖ' 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좌측 쉬프트 버튼(520) 혹은 우측 쉬프트 버튼(620)을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버튼을 가압해야 한다.
우선 왼손으로 'ㅇ'버튼을 가압한다. 그런데, 'ㅖ/ㅔ' 버튼은 우측입력버튼그룹(600)에 포함되므로, 우측 쉬프트 버튼(620)을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버튼을 가압하는 것은 곤란한다. 이에, 왼손으로 좌측 쉬프트 버튼(520)을 가압한 상태에서 오른손으로 'ㅖ'버튼을 가압하면 "예" 가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된다.
이와 같은 원리로, 좌측입력버튼그룹(500)에 포함된 버튼에 대해서는 우측 쉬프트 버튼(620)을 가압하는 것을 적용한다.
좌측입력버튼그룹(500) 및 우측입력버튼그룹(600)에 포함된 특수문자 및 기능 버튼들은, 좌측일반문자버튼그룹(510) 및 우측일반문자버튼그룹(610)의 하측에, 사용자의 양 손에 근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스페이스 버튼(630)은 여타 버튼보다 크게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다.
이렇게, 디스플레이부(300) 양 측의 좌측패널부(120) 및 우측패널부(130)에 각각 좌측입력버튼그룹(500) 및 우측입력버튼그룹(600)을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문자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좌측입력버튼그룹(500) 및 우측입력버튼그룹(600)에 추출되는 컴퓨터 인터페이스용 문자입력 자판은, 알파벳 등의 일반문자는 물론, 사용빈도를 고려하여 채택된 특수문자 및 기능 버튼을 포함한다. 이에, 각 버튼의 배치는 사용자의 사용환경을 고려하여, 보다 용이하게 문자 입력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포인터이동부(700) 및 보조버튼부(800)를 마련하여, 사용자가 포인터를 디스플레이부(300) 상에 표시된 소정 객체로 용이하게 이동시키며, 상기 객체에 대한 지정 및 팝업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좌측입력버튼그룹(500) 및 우측입력버튼그룹(600)의 입력 기능을 보조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용이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휴대용 컴퓨터가 제공된다.
여기서, 사용자의 문자 입력 행태를 고려하여 각 문자 버튼의 배치 레이아웃을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킨 휴대용 컴퓨터가 제공된다.
또한,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할 때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화상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화상을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휴대용 컴퓨터가 제공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문자 입력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사용자의 기호를 만족시키는 휴대용 컴퓨터가 제공된다.

Claims (14)

  1.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
    중앙 영역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 양측에 마련된 좌측패널부 및 우측패널부를 가지는 본체케이싱과;
    상기 개구부를 통해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컴퓨터 인터페이스용 문자입력 자판으로부터 각각 추출되어, 상기 좌측패널부에 배치된 좌측입력버튼그룹과 상기 우측패널부에 배치된 우측입력버튼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인터페이스용 문자입력 자판은, 쿼티(QWERTY), 드보락(DVORAK) 및 애저티(AZERTY) 방식을 포함하는 알파벳 문자 배열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입력버튼그룹은, '~', '@' 및 '-'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입력버튼그룹은, 쉬프트 버튼, 백스페이스 버튼, 스페이스 버튼 및 엔터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인터페이스용 문자입력 자판은 알파벳 문자 및 알파벳 이외의 문자를 입력 가능하며,
    상기 우측입력버튼그룹은, 상기 문자들 사이의 입력 전환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파벳 이외의 문자는 한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입력버튼그룹은 한글의 자음을 입력 가능하고, 상기 우측입력버튼그룹은 한글의 모음을 입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 버튼은,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본체케이싱 외곽을 향하여 가장 멀리 이격된 영역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쉬프트 버튼은, 상기 좌측입력버튼그룹 및 상기 우측입력버튼그룹에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엔터 버튼은,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본체케이싱 외곽을 향하여 가장 멀리 이격된 상기 우측입력버튼그룹 영역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 버튼은, 상기 컴퓨터 인터페이스용 문자입력 자판에 포함된 여타 버튼보다 크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입력버튼그룹은, 뉴머릭 락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입력버튼그룹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좌측패널부 일 영역에 마련되 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포인터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입력버튼그룹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우측패널부 일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포인터를 클릭하는 보조 엔터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
KR1020070007662A 2007-01-24 2007-01-24 휴대용 컴퓨터 KR101343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662A KR101343896B1 (ko) 2007-01-24 2007-01-24 휴대용 컴퓨터
US11/741,937 US7852322B2 (en) 2007-01-24 2007-04-30 Portable compu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662A KR101343896B1 (ko) 2007-01-24 2007-01-24 휴대용 컴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877A true KR20080069877A (ko) 2008-07-29
KR101343896B1 KR101343896B1 (ko) 2013-12-20

Family

ID=39640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662A KR101343896B1 (ko) 2007-01-24 2007-01-24 휴대용 컴퓨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52322B2 (ko)
KR (1) KR1013438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5633B2 (ja) 2005-08-22 2011-11-02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用操作装置
KR101343896B1 (ko) * 2007-01-24 2013-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KR101358410B1 (ko) * 2007-01-24 2014-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KR101113960B1 (ko) * 2010-01-14 2012-03-13 매튜 와이. 안 문자 키패드
US9005026B2 (en) 2011-12-20 2015-04-14 Wikipad, Inc. Game controller for tablet computer
US9114319B2 (en) 2012-06-12 2015-08-25 Wikipad, Inc. Game controller
IN2015DN04215A (ko) * 2012-11-19 2015-10-16 Wikipad Inc
US10047912B2 (en) 2013-10-15 2018-08-14 LIFI Labs, Inc. Lighting assembly
CN105900531B (zh) 2013-11-14 2019-03-29 莱弗实验室公司 可复位的照明系统及方法
CN106465499B (zh) 2014-05-22 2018-11-30 莱弗实验室公司 定向照明系统和方法
US10440794B2 (en) 2016-11-02 2019-10-08 LIFI Labs, Inc. Lighting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8256B2 (ja) * 1993-12-28 1998-06-25 ヤマハ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
US6512511B2 (en) * 1998-07-20 2003-01-28 Alphagrip, Inc. Hand grippable combined keyboard and game controller system
US6225976B1 (en) * 1998-10-30 2001-05-01 Interlink Electronics, Inc. Remote computer input peripheral
US6909424B2 (en) * 1999-09-29 2005-06-21 Gateway Inc. Digital information appliance input device
WO2003052574A1 (en) * 2001-12-19 2003-06-2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available input options of electronic terminal devices
US7206616B2 (en) * 2002-01-23 2007-04-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ndphone capable of inputting characters like keyboard
JP4447843B2 (ja) * 2003-02-13 2010-04-0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7280346B2 (en) * 2003-09-29 2007-10-09 Danger, Inc. Adjustable display for a data processing apparatus
WO2005043506A1 (en) 2003-10-30 2005-05-12 Pepper Computer, Inc. Pad computer
JP2005321972A (ja) 2004-05-07 2005-11-1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処理プログラム
US20070279388A1 (en) * 2006-05-31 2007-12-06 Velimir Pletikosa Pivoting, Multi-Configuration Mobile Device
US20080024957A1 (en) * 2006-07-27 2008-01-31 Dialogue Technology Corp. Portable apparatus with thumb control interface
KR101358410B1 (ko) * 2007-01-24 2014-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KR101342075B1 (ko) * 2007-01-24 2013-12-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KR101343896B1 (ko) * 2007-01-24 2013-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KR20080069874A (ko) * 2007-01-24 2008-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52322B2 (en) 2010-12-14
US20080174560A1 (en) 2008-07-24
KR101343896B1 (ko) 201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896B1 (ko) 휴대용 컴퓨터
JP3727399B2 (ja) 画面表示式キー入力装置
US7378991B2 (en) Condensed keyboard for electronic devices
US8514186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050114825A1 (en) Laptop computer including a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laptop computer
US20120056815A1 (en) Linguistic Script Text Input Mechanism
US20120176320A1 (en) Touchscreen keyboard displays, alphanumeric input keyboards and control means
CA2826169C (en) Keypad
Arif et al. A survey of text entry techniques for smartwatches
US20130194190A1 (en) Device for typing and inputting symbols into portable communication means
US8454253B2 (en) Keyboard having keys horizontally arranged in the alphabetical order of the english language
WO201105646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dual-touchscreen virtual keyboard
KR101358410B1 (ko) 휴대용 컴퓨터
US9501161B2 (en)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character input
EP2942704A1 (en) Handheld device and input method thereof
Hirche et al. Adaptive interface for text input on large-scale interactive surfaces
KR20100069089A (ko)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80095661A (ko) 휴대용컴퓨터 및 그 제어방법
JP4614505B2 (ja) 画面表示式キー入力装置
JPH10293640A (ja) 可搬型コンピュータ
KR20080069874A (ko)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JP5016087B2 (ja) キーボード
JP6467732B1 (ja) 鍵盤入力電子機器の入力方式
JP3766695B6 (ja) 画面表示式キー入力装置
JP3766695B2 (ja) 画面表示式キー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