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9874A -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9874A
KR20080069874A KR1020070007659A KR20070007659A KR20080069874A KR 20080069874 A KR20080069874 A KR 20080069874A KR 1020070007659 A KR1020070007659 A KR 1020070007659A KR 20070007659 A KR20070007659 A KR 20070007659A KR 20080069874 A KR20080069874 A KR 20080069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display opening
display
horizontal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7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9874A/ko
Priority to US11/739,810 priority patent/US8228296B2/en
Publication of KR20080069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8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25User interface arrangements, e.g. keyboard, display; Interfaces to other compute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표시개구와, 상기 표시개구의 둘레에 마련된 전방패널면을 갖는 본체와; 상기 표시개구에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전방패널면의 일부 영역에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배치된 복수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가로자판군을 갖는 자판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을 따라 상기 가로자판군의 자판의 상단부를 연결한 선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판면에 대해 적어도 일부 구간이 경사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오동작 방지 및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정보처리장치{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좌패널면과 우패널면의 배치를 나타낸 부분 배치도,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가로자판군의 자판의 상단부와 기준선의 거리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Ⅴ-Ⅴ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제어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휴대용 컴퓨터 110 : 본체
111 : 표시개구 113 : 전방패널면
114 : 우패널면 115 : 좌패널면
117 : 절곡면
120 : 디스플레이부 121 : 기준면
130 : 자판입력부 131, 141 : 좌, 우자판군
133, 143 : 좌, 우문자입력키 135, 145 : 좌, 우가로자판군
137, 147 : 좌, 우특수문자입력키 139 : 자판
150 : 부가입력부 150a : 카메라
150b : 정보인식기 150c : 마이크
160 : 기능입력부 160a : 홀마우스
160b : 마우스기능키 160c : 기능설정키
170 : 스피커 180 : 제어부
181 : 중앙처리부 183 : 출력처리부
187 : 저장부 191 : 입력부
193 : 출력부 195 : 전원부
본 발명은,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패널면에 입력부 또는 출력부의 배치 구조를 개선한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정보처리장치는 일반적으로 각종 정보를 처리하여 일상생활에 편리하게 이용되며 그 예로서 휴대용 컴퓨터, MP3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폰, 전자액자 및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의 일종으로 소형이고 휴대하면서 다양한 기능을 갖춘 휴대용 컴퓨터의 일종인 울트라 모바일 컴퓨터(UMPC: 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에 대해 설명한다.
울트라 모바일 컴퓨터는 정보처리장치의 일종으로 노트북, 타블렛 PC, 네비게이션, 휴대형 저장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플레이어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울트라 모바일 컴퓨터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간편하게 대체로 무게가 가벼우며, 크기가 크지 않고, 휴대가 용이하다. 울트라 모바일 컴퓨터는 사용자가 어디서든, 언제든지 정보 등을 입력 내지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울트라 모바일 컴퓨터는 사용자가 휴대시 용이하게 정보, 자료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을 효율적으로 배치하면 더욱 편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오동작 방지 및 편리성을 향상시킨 휴대용 정보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동선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표시개구와, 상기 표시개구의 둘레에 마련된 전방패널면을 갖는 본체와; 상기 표시개구에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전방패널면의 일부 영역에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배치된 복수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가로자판군을 갖는 자판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을 따라 상기 가로자판군의 자판의 상 단부를 연결한 선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판면에 대해 적어도 일부 구간이 경사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자판입력부는, 상기 표시개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전방패널면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 좌입력자판과 우입력자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로자판군은 복수로 이루어져 상기 표시개구의 측연부를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상기 가로자판군의 자판의 상단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판면과의 거리는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할 수 있다.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상기 가로자판군의 자판의 상단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판면의 거리는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감소할 수 있다.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상기 가로자판군의 상단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판면의 거리는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다가 점점 감소할 수 있다.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상기 가로자판군의 자판의 상단부를 연결한 선은 소정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표시개구의 측연부를 따라 상기 가로자판군의 상단부를 연결한 선은 상기 디스플레이 판면에 대해 적어도 일부 구간이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표시개구와, 상기 표시개구의 둘레에 마련된 전방패널면을 갖는 본체와; 상기 표시개구에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전방패널면의 일부 영역에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배치된 복수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가로자판군을 가지며, 상기 가로자판군이 상기 표시개구의 측연부를 따라 복수로 배치된 자판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개구의 측연부를 따라 상기 가로자판군의 상단부를 연결한 선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판면에 대해 적어도 일부 구간이 경사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자판입력부는, 상기 표시개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전방패널면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 좌입력자판과 우입력자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상기 가로자판군의 자판의 상단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판면과의 거리는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할 수 있다.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상기 가로자판군의 자판의 상단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판면의 거리는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감소할 수 있다.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상기 가로자판군의 자판의 상단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판면의 거리는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감소하다가 점점 증가할 수 있다.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상기 가로자판군의 자판의 상단부를 연결한 선은 소정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상기 가로자판군의 자판의 상단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판면의 거리는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다가 점점 감소할 수 있다.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상기 가로자판군의 자판의 상단부를 연결한 선은 소정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을 따라 상기 가로자판군의 상단부를 연결한 선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판면에 대해 적어도 일부 구간이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중 휴대용컴퓨터의 하나인 울트라 모바일 컴퓨터(UMPC : Ultra Mobile Personal Computer)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휴대용 컴퓨터에 대해 설명을 하지만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휴대용 컴퓨터(100)는 본체(110)와, 디스플레이부(120)와, 자판입력부(130)를 포함한다. 휴대용컴퓨터(100)는 부가입력부(150)와 기능입력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컴퓨터(100)는 제어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컴퓨터(100)는 필요에 따라 외부의 키보드 등과 연결되어 사용할 수 있다.
본체(110)는 휴대용 컴퓨터(100)의 외형을 형성하며, 디스플레이부(120)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개구(111)를 중앙에 갖는다. 본체(110)는 전방에 전방패널면(113)을 갖는다. 본체(110)는 본체(110)를 책상과 같은 설치면에 지지하는 경우에 설치면에 대해 지지할 수 있도록 후방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지지브래킷(119) 을 포함한다. 이에, 사용자는 양 손으로 지지브래킷(119)을 이용하여 휴대용 컴퓨터(100)를 간편하게 잡을 수 있다.
본체(110)는 본체(110)를 설치면에 대해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도록 본체(110)에 대해 회동되고, 본체(110)의 후방에 수용될 수 있는 지지스탠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패널면(113)은 본체(110)의 전방에 마련되어 외관을 형성하며, 전방패널면(113)에는 다양한 입력부(191)와 출력부(193)가 배치된다.
우패널면(114)은 전방패널면(113) 중 표시개구(111)의 우측 부분이며, 우패널면(114)에는 우자판군(141)과 기능입력부(160)의 일부가 배치된다.
좌패널면(115)은 전방패널면(113) 중 표시개구(111)의 좌측 부분이며, 좌패널면(115)에는 좌자판군(131)과 기능입력부(160)의 나머지와 정보인식기(150b)가 배치된다.
좌패널면(115) 및 우패널면(11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0)의 기준면(121)에 대해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좌패널면(115) 및 우패널면(114)은 표시개구(111)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각 판면과 기준면(121)이 이루는 경사각도가 점점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좌패널면(115)과 우패널면(114)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고 오목하거나 볼록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전방패널면(113)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자판(139)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절곡면(117)은 전방패널면(113)의 우측 단부와 좌측 단부에서부터 후방을 향하여 절곡 연장된다. 절곡면(117)에는 스피커(170)가 좌우에 각각 배치된다. 이에, 절곡면(117)에 각각 배치된 스피커(170)에서 발생되는 음향은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스피커(170)의 배치의 효율성을 향상시켜 전방패널면(113)의 공간 효율을 증대시키며, 설계에 대한 제약을 완화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표시개구(111)를 통해 화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각종 입력부(191)를 통해 입력된 정보, 데이터를 중앙처리부(181)에서 연산, 판단 등을 거쳐 출력처리부(183)에서 소정 신호로 변환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20)는 사용자가 펜 등을 이용하여 입력을 할 수 있는 터치 스프린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전방패널면(113)의 중앙에 배치되며, 다양한 크기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일실시예로 7인치의 크기인 것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판면에 기준면(121)을 형성한다. 즉, 디스플레이부(120)의 판면에 7인치 화면의 가로축선(도 1의 'X' 축선 참조)방향과 세로축선(도 1의 'Y' 축선 참조)방향이 이루는 평면이 기준면(121)을 형성한다.
자판입력부(130)는 표시개구(111)를 사이에 두고 전방패널면(113)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 좌자판군(131)과 우자판군(141)을 포함한다. 자판입력부(130)는 입력부(191)의 하나로 문자나 특수기능을 갖는 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본체(110)를 손에 잡고 간편하게 문자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좌자판군(131)은 좌패널면(115)에 배치되며, 좌문자입력키(133)와 좌특수문자입력키(137)를 포함한다.
우자판군(141)은 우패널면(114)에 배치되며, 우문자입력키(143)와 우특수문 자입력키(147)를 포함한다.
문자입력키(133,143)는 좌자판군(131)과 우자판군(141)에 각각 배치되며 표시개구(111)에서 외측으로 순차적으로 복수로 배치된 가로자판군(135,145)을 포함한다. 문자입력키(133,143)는 가로자판군(135,145)을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문자입력키(133,143)는 좌문자입력키(133)와, 우문자입력키(143)를 포함한다. 여기서, 문자입력키(133,143)는 일실시예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자음과 모음 및 영어의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는 자판을 포함한다. 문자입력키(133,143)는 국가에 따라 그 국가의 국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로컬라이징(localizing)될 수 있다. 여기서, 문자입력키(133,143)는 사용자가 본체(110)를 잡은 상태에서 비교적 엄지손가락의 활동이 자유롭고 동선이 넓게 형성되도록 우패널면(114) 및 좌패널면(115)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문자입력키(133,143)는 일실시예의 한글은 2벌식이며 영어는 QWERTY 자판을 포함하나, 다른 실시예로 한글은 3벌식 등을, 영어는 DVORAK 자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로자판군(135,145)은 좌문자입력키(133) 및 우문자입력키(143)에서 동일한 행에 배치된다. 가로자판군(135,145)은 복수의 자판(139)을 포함한다. 가로자판군(135,145)은 일실시예로 5 개의 자판(139)을 포함하나, 가로자판군(135,145)의 자판(139)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로자판군(135,145)은 표시개구(111)의 측연부를 따라 위에서 아래로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가로자판군(135,145)은 일실시예로 4 개 행으로 배치되나, 필 요에 따라 5개 행, 6개 행 등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가로자판군(134,145)의 배치에 대한 실시예로 먼저 표시개구(111)에서 외측으로 배치되는 가로자판군(134,145)에 대해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살펴보고, 다음 표시개구(111)의 측연부를 따른 가로자판군(134,145)의 배치에 대해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컴퓨터(10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가로자판군(135,145)의 두 가지 배열 중 어느 하나만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표시개구(111)에서 외측을 따라 가로자판군(134,145)의 자판(139)의 상단부를 연결한 선은 디스플레이부(120)의 기준면(121)에 대해 적어도 일부 구간이 경사각을 갖는다. 즉, 이를 도 4a 및 도 4b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참조번호 중 자판(39)에 대한 것은 통칭하여 39로 기재하고, 필요시 39a 내지 39e로 구분하여 사용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개구(111)에서 외측을 따라 가로자판군(135,145)의 자각 자판(39a 내지 도 39e) 상단부와 기준면(121) 사이의 거리를 각각 d1, d2, d3, d4, d5 라고 가정한다.
먼저, 표시개구(111)에서 외측으로 가로자판군(134,145)의 각 자판(139)의 상단부와 디스플레이부(120) 기준면(121)과 거리는 표시개구(111)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한다. 이를 수식으로 표시하면 d1 < d2 < d3 < d4 < d5 와 같다. 이 경우, 가로자판군(134,145)의 각 자판(139)의 상단부를 연결한 선은 직선인 것이 바람직하나, 굴곡된 구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구간에서 기준면(121)과 평행한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를 수식으로 표시하면, d1 < d2 = d3 < d4 < d5 와 같다.
또한, 표시개구(111)에서 외측으로 가로자판군(134,145)의 각 자판(139)의 상단부와 디스플레이부(120) 기준면(121)과 거리는 표시개구(111)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감소한다. 이를 수식으로 표시하면 d1 > d2 > d3 > d4 > d5 와 같다. 이 경우, 가로자판군(134,145)의 각 자판(139)의 상단부를 연결한 선은 직선인 것이 바람직하나, 굴곡된 구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구간에서 기준면(121)과 평행한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를 수식으로 표시하면, d1 > d2 = d3 > d4 > d5 와 같다.
그리고, 표시개구(111)에서 외측으로 가로자판군(134,145)의 각 자판(139)의 상단부와 디스플레이부(120) 기준면(121)과 거리는 표시개구(111)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다가 감소한다. 이를 수식으로 표시하면 d1 < d2 < d3 > d4 > d5 와 같다. 이 경우, 가로자판군(134,145)의 각 자판(139)의 상단부를 연결한 선은 직선인 것이 바람직하나, 굴곡된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간에서 기준면(121)과 평행한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를 수식으로 표시하면, d1 < d2 = d3 > d4 = d5 와 같다.
여기서, 표시개구(111)에서 외측으로 가로자판군(134,145)의 각 자판(139) 상단부를 연결한 선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R1의 곡률 반경을 갖도록 배치할 수 있다. R1의 곡률 반경은 디스플레이부(120)의 크기, 좌패널면(115) 및 우패널면(114)의 폭, 자판(139)의 크기 및 간격 등을 고려하여 정할 수 있다.
다음, 표시개구(111)의 측연부를 따라 가로자판군(135,145)의 상단부를 연결한 선은 디스플레이부(120) 판면에 대해 적어도 일부 구간이 경사각을 갖는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개구(111)의 측연부를 따라 가로자판군(135,145)의 상단부와 기준면(121) 사이의 거리를 각각 k1, k2, k3, k4 라고 가정한다. 여기서, 가로자판군(134,145)의 상단부는 가로자판군(134,145) 전체의 상단부 전체를 포함할 수도 있고, 상하로 배치된 가로자판군(134,145)에서 대응하는 각 자판(139)의 상단부일 수도 있다.
먼저, 표시개구(111)의 측연부를 따라 가로자판군(134,145)의 상단부와 디스플레이부(120) 기준면(121)과 거리는 표시개구(111)의 측연부를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한다. 이를 수식으로 표시하면 k1 < k2 < k3 < k4 와 같다. 이 경우, 가로자판군(134,145)의 상단부를 연결한 선은 직선인 것이 바람직하나, 굴곡된 구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구간에서 기준면(121)과 평행한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를 수식으로 표시하면, k1 > d2 = d3 < d4 < d5 와 같다.
또한, 표시개구(111)의 측연부를 따라 가로자판군(134,145)의 상단부와 디스플레이부(120) 기준면(121)과 거리는 표시개구(111) 측연부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감소한다. 이를 수식으로 표시하면 k1 > k2 > k3 > k4 와 같다. 이 경우, 가로자판군(134,145)의 상단부를 연결한 선은 직선인 것이 바람직하나, 굴곡된 구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구간에서 기준면(121)과 평행한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를 수식으로 표시하면, k1 > k2 = k3 > k4 와 같다.
그리고, 표시개구(111)의 측연부를 따라 가로자판군(134,145)의 상단부와 디스플레이부(120) 기준면(121)과 거리는 표시개구(111) 측연부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다가 감소한다. 이를 수식으로 표시하면 k1 < k2 > k3 > k4 와 같다. 이 경우, 가로자판군(134,145)의 상단부를 연결한 선은 직선인 것이 바람직하나, 굴곡된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간에서 기준면(121)과 평행한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를 수식으로 표시하면, k1 < k2 = k3 > k4 와 같다.
여기서, 표시개구(111)에서 외측으로 가로자판군(134,145)의 각 자판(139) 상단부를 연결한 선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R2의 곡률 반경을 갖도록 배치할 수 있다. R2의 곡률 반경은 디스플레이부(120)의 크기, 좌패널면(115) 및 우패널면(114)의 크기, 자판(139)의 크기 및 간격 등을 고려하여 정할 수 있다.
또한, 표시개구(111)의 측연부를 따라 가로자판군(134,145)의 상단부와 디스플레이부(120) 기준면(121)과 거리는 표시개구(111) 측연부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점점 감소하다가 증가한다. 이를 수식으로 표시하면 k1 > k2 < k3 < k4 와 같다. 이 경우, 가로자판군(134,145)의 상단부를 연결한 선은 직선인 것이 바람직하나, 굴곡된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간에서 기준면(121)과 평행한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를 수식으로 표시하면, k1 > k2 = k3 < k4 와 같다.
여기서, 표시개구(111)에서 외측으로 가로자판군(134,145)의 각 자판(139) 상단부를 연결한 선은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갖도록 배치할 수 있다. 소정의 곡률 반 경은 디스플레이부(120)의 크기, 좌패널면(115) 및 우패널면(114)의 크기, 자판(139)의 크기 및 간격 등을 고려하여 정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본체(110)를 잡고 양 손으로 문자 등을 입력하는 과정에서 엄지손가락과 같은 입력수단의 움직임에 대한 동선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자판입력부(130)의 자판(139) 사이를 좌우 손가락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자판(139)과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자판(139)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근접된 자판(139)이 가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자판(139)의 배치에 의해 전방패널면(113)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수문자입력키(137,147)는 문자입력키(133,143)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며 복수의 자판(139)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수문자입력키(137,147)는 일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가로자판군(135,145)을 각각 좌패널면(115) 및 우패널면(114)에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면, 좌특수문자입력키(137)는 좌패널면(115)의 외측에서 표시개구(111)로 향하여 시프트(Shift) 키, 뉴메릭 로크(Num Lock) 키, '~' 키, '@' 키, '-' 키를 포함한다. 우특수문자입력키(147)는 우패널면(114)의 표시개구(111)에서 외측으로 스페이스(Space) 키, 변환(Alt) 키, '?' 키, 시프트(Shift) 키를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우특수문자입력키(14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패널면(114)의 우문자입력키(143)의 가로자판군(135,145)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즉, '←' 키, 엔터(Enter) 키 등이 그 예이다.
여기서, 특수문자입력키(137,147)의 각각은 공지된 키보드에서 사용되는 기능과 동일하므로 그 기능에 대해 설명을 생략한다.
특수문자입력키(137,147)는 필요에 따라 좌패널면(115) 및 우패널면(114) 중 어느 하나에 있거나, 복수의 가로가판군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특수문자입력키(137,147)의 크기는 사용자의 사용빈도, 배치된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본체(110)의 좌측 및 우측을 각각 손으로 잡고 문자나 데이터를 간편하게 키보드와 같이 입력할 수 있다.
부가입력부(150)는 전방패널면(113)의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되며, 부가입력수단(151,153,155)을 포함한다.
부가입력수단(151,153,155)은 카메라(150a)와, 정보인식기(150b)와, 스피커(15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50a)는 전방패널면(113)의 전방 중앙에 배치되어 대상물을 촬상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50a)는 전방패널면(113)뿐만 아니라 본체(110)의 후방에 배치되어 경치 등과 같은 다른 대상물을 촬상할 수 있다. 카메라(150a)의 배치 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정보인식기(150b)는 전방패널면(113)의 좌측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정보인식기(150b)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는 지문인식기를 포함하며, 홍채, 망막 인식기와 같은 공지의 다양한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50c)는 사용자의 음성 등을 입력시킬 수 있다. 마이크(150c)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전방패널면(113)의 하측에 이격되게 배치된다. 마이크(150c)는 어레이 마이크(Array microphone)를 포함한다. 이에, 입력되는 음향의 잡음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마이크(150c)는 본체(110)에 마련된 출력부(193) 중 하나이다.
기능입력부(160)는 전방패널면(113) 좌측 및 우측 중 적어도 하나에는 다양한 기능을 선택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기능입력부(160)는 홀마우스(160a)와, 마우스기능키(160b)와, 기능설정키(160c)를 포함한다. 기능입력부(160)는 일실시예와 달리 다양한 기능을 갖는 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마우스(160a)는 전방패널면(113)의 좌측에 배치되며, 마우스 기능과 다방향 키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홀마우스(160a)는 중앙에 디스플레이부(120)에 형성된 아이콘이나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홀이동부재(160a1)와, 홀이동부재(160a1)의 둘레에 원형으로 마련되어 홀이동부재(160a1)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된 홀선택부재(160a2)를 포함한다. 홀마우스(160a)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용이하게 접근하도록 좌패널면(115)의 중앙에 배치된다. 홀마우스(160a)는 일실시예와 달리 전방패널면(113)의 우측에 마련될 수 있다.
마우스기능키(160b)는 홀마우스(160a)에서 마우스기능을 선택한 경우 연동되어 동작되도록 전방패널면(113)의 우측에 마련된다. 마우스기능키(160b)는 좌마우스기능키(160b1)와 우마우스기능키(160b2)를 포함한다.
좌마우스기능키(160b1)는 홀마우스(160a)에 의해 포인터 등이 이동된 위치에서 클릭(click)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우마우스기능키(160b2)는 홀마우스(160a)와 연동되어 포인터 등이 이동된 위치에서 소정 기능들을 팝업(pop up)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홀마우스(160a)에 의해 이동된 위치에서 우마우스기능키(160b2)를 누르면'복사하기', ' 붙여넣기', '단락' 등과 같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블록이 팝업되게 하여 사용자는 팝업된 블록에서 소정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마우스기능키(160b)는 일실시예와 달리 전방패널면(113)의 좌측에 마련될 수 있다.
기능설정키(160c)는 전방패널면(113)의 우측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기능설정키(160c)는 중앙에 마련된 엔터(enter) 키(160c1)와 엔터 키(160c1)의 둘레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원형으로 마련된 기능설정부재(160c2)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실시예로 기능설정부재(160c2)는 네 가지 기능(도 3의 F1 내지 F4)을 설정할 수 있다.
기능설정키(160c)는 사용자가 본체(110)를 잡은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의 동선을 고려하여 우패널면(114)의 중앙에 배치된다. 기능설정키(160c)는 일실시예와 달리 전방패널면(113)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홀마우스(160a)와 마우스기능키(160b)와 기능설정키(160c)의 크기는 디스플레이부(120)의 크기, 좌패널면(115) 및 우패널면(114)의 크기 등으로 고려하여 선정된다.
이에, 전방패널면(113)에 효율적으로 배치된 기능입력부(160)에 의해 사용자는 본체(110)를 잡은 상태에서 비교적 간편하게 휴대용 컴퓨터(100)를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입력부(191)에서 입력된 정도,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이를 인 식, 연산, 판단 등을 하도록 하는 중앙처리부(181)와, 중앙처리부(181)에서 처리된 정보 등을 출력부(193)에서 출력할 수 있도록 마련된 출력처리부(183)를 포함한다.
입력부(191)는 본체(110)에 마련되어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정보, 자료, 데이터를 본체(110)의 제어부(180) 내지 저장부(187)로 전달한다. 입력부(191)는 일실시예와 같이 자판입력부(130)와, 부가입력부(150)와, 기능입력부(160)를 포함한다. 입력부(191)는 일실시예와 달리 필요에 따라 공지된 입력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93)는 입력부(191)를 통해 입력된 정보 등을 제어부(180)에서 처리하여 출력한다. 출력부(193)는 일실시예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0)와, 스피커(17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출력하는 수단의 하나인 프린트 등과 연결되어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93)는 디스플레이부(120)만이 아니라 사용자에게 전원의 온 상태 등을 나타내는 소형 표시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87)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되거나 입력부(191)에서 입력된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87)에 저장된 정보 등은 필요에 따라 제어부(180)에서 사용할 수 있다.
전원부(195)는 휴대용 컴퓨터(100)에서 전기을 공급하도록 필요로 하는 디스플레이부(120)와, 스피커(170), 제어부(180) 등의 구성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휴대용 컴퓨터(100)의 내부의 기본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알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100)의 작동과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소형인 휴대용 컴퓨터(100)의 본체(110)를 오른손 및 왼손으로 잡는다. 즉, 사용자는 오른손 및 왼손의 손바닥이 전방패널면(113)의 좌우측의 하단부를 각각 접촉하고,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네 손가락은 본체(110)의 후방을 잡는다. 이 때, 네 손가락은 본체(110) 후방의 지지브래킷(119)을 잡으면 보다 안정적으로 본체(110)를 잡을 수 있다.
자판입력부(130)와 부가입력부(150) 및 기능입력부(160)에서 입력된 정보는 중앙처리부(181)에서 인식, 판단, 비교 등의 처리작업을 거쳐 저장부(187)에 저장되거나 출력처리부(183)를 거쳐 디스플레이부(120)에서 화상으로 형성되거나, 마이크(150c)를 통해 음향으로 바뀌어 출력된다.
즉, 사용자는 좌우의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배치된 자판입력부(130)를 통해 문자와 특수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로자판군(135,145)과 기준면(121)이 이루는 경사각은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점점 감소하도록 전방패널면(113)에 배치함으로써 엄지손가락의 동선과 매우 근접시킬 수 있다. 즉, 엄지손가락의 동선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엄지손가락을 효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해질 수 있다.
또한, 홀마우스(160a)는 비교적 큰 크기로 전방패널면(113) 좌패널면(115)의 중앙에 사용자의 동선을 고려하여 배치되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부 또는 출력부를 효율적으 로 배치시켜 사용성과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동선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사용에 따른 피로감을 줄일 수 있다.

Claims (17)

  1.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표시개구와, 상기 표시개구의 둘레에 마련된 전방패널면을 갖는 본체와;
    상기 표시개구에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전방패널면의 일부 영역에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배치된 복수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가로자판군을 갖는 자판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을 따라 상기 가로자판군의 자판의 상단부를 연결한 선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판면에 대해 적어도 일부 구간이 경사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판입력부는,
    상기 표시개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전방패널면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 좌입력자판과 우입력자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자판군은 복수로 이루어져 상기 표시개구의 측연부를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상기 가로자판군의 자판의 상단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판면과의 거리는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상기 가로자판군의 자판의 상단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판면의 거리는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상기 가로자판군의 상단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판면의 거리는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다가 점점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상기 가로자판군의 자판의 상단부를 연결한 선은 소정 곡률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개구의 측연부를 따라 상기 가로자판군의 상단부를 연결한 선은 상기 디스플레이 판면에 대해 적어도 일부 구간이 경사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9.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
    표시개구와, 상기 표시개구의 둘레에 마련된 전방패널면을 갖는 본체와;
    상기 표시개구에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전방패널면의 일부 영역에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배치된 복수의 자판으로 이루어진 가로자판군을 가지며, 상기 가로자판군이 상기 표시개구의 측연부를 따라 복수로 배치된 자판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개구의 측연부를 따라 상기 가로자판군의 상단부를 연결한 선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판면에 대해 적어도 일부 구간이 경사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판입력부는,
    상기 표시개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전방패널면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 좌입력자판과 우입력자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상기 가로자판군의 자판의 상단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판면과의 거리는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상기 가로자판군의 자판의 상단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판면의 거리는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13.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상기 가로자판군의 자판의 상단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판면의 거리는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감소하다가 점점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상기 가로자판군의 자판의 상단부를 연결한 선은 소정 곡률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15.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상기 가로자판군의 자판의 상단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판면의 거리는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증가하다가 점점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으로 상기 가로자판군의 자판의 상단부를 연결한 선은 소정 곡률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개구에서 외측을 따라 상기 가로자판군의 상단부를 연결한 선은 상기 디스플레이부 판면에 대해 적어도 일부 구간이 경사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KR1020070007659A 2007-01-24 2007-01-24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KR2008006987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659A KR20080069874A (ko) 2007-01-24 2007-01-24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US11/739,810 US8228296B2 (en) 2007-01-24 2007-04-25 Portable information processs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659A KR20080069874A (ko) 2007-01-24 2007-01-24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874A true KR20080069874A (ko) 2008-07-29

Family

ID=39640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659A KR20080069874A (ko) 2007-01-24 2007-01-24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28296B2 (ko)
KR (1) KR2008006987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410B1 (ko) * 2007-01-24 2014-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KR101343896B1 (ko) * 2007-01-24 2013-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컴퓨터
WO2011036251A1 (en) * 2009-09-28 2011-03-31 Moelgaard John A user interface for a hand held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227901T2 (de) * 1991-04-10 1999-07-01 Kinesis Corp Ergonomische tastatur
US5329278A (en) * 1991-10-24 1994-07-12 Dombroski Michael L Pivoting electronic keyboard keys
US5360955A (en) * 1992-08-18 1994-11-01 Key Tronic Corporation Computer keyboard with cantilever switch design and improved PCB/switch membrane interface
JP3323693B2 (ja) * 1995-05-15 2002-09-09 株式会社リコー ペン入力情報機器
US6278442B1 (en) * 1998-06-26 2001-08-21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a keyboard optimized for use with the thumbs
US6580932B1 (en) * 2000-05-31 2003-06-17 Nokia Mobile Phones Limited Foldable keyboard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O2005043506A1 (en) * 2003-10-30 2005-05-12 Pepper Computer, Inc. Pad computer
JP4302024B2 (ja) * 2004-09-17 2009-07-22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ボタン構造、携帯型電子装置
US7087850B1 (en) * 2005-09-27 2006-08-08 Microsoft Corporation Cleanable key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74558A1 (en) 2008-07-24
US8228296B2 (en) 201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2075B1 (ko)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US8514186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8384671B2 (en) Split QWERTY keyboard with reduced number of keys
JP4800307B2 (ja) ハンドヘルド・コンピュータ装置のためのキーボード
US8164570B2 (en) Condensed keyboard for electronic devices
US20060119582A1 (en) Unambiguous text input method for touch screens and reduced keyboard systems
KR101343896B1 (ko) 휴대용 컴퓨터
US201100322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US9164592B2 (en) Keypad
TWI397001B (zh) 電子裝置之注音輸入系統與方法
WO201105646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 dual-touchscreen virtual keyboard
KR101354906B1 (ko) 입력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
KR20080069874A (ko)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US20060209032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Dunlop et al. Pickup usability dominates: a brief history of mobile text entry research and adoption
JP4614505B2 (ja) 画面表示式キー入力装置
KR101434419B1 (ko) 드래그 기반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00045617A (ko) 멀티 터치 인식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Janpinijrut et al. An approach for improving Thai text entry on touch screen mobile phones based on distance and statistical language model
KR101567602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KR101234370B1 (ko) 한글 입출력 장치
KR20190066161A (ko) 16키 한글 골라 쓰기 자판
KR101126271B1 (ko) 가상의 6면 입체 키패드 모듈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KR20110112007A (ko) 터치 방식의 핸드폰 및 모바일 기기에서의 문자입력방법
KR20190091690A (ko) 휴대용 키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