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9237A - 복합재료 - Google Patents

복합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9237A
KR20080069237A KR1020087013788A KR20087013788A KR20080069237A KR 20080069237 A KR20080069237 A KR 20080069237A KR 1020087013788 A KR1020087013788 A KR 1020087013788A KR 20087013788 A KR20087013788 A KR 20087013788A KR 20080069237 A KR20080069237 A KR 20080069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re layer
cover layer
metal elemen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3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버렐
Original Assignee
비.아이. 그룹 피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아이. 그룹 피엘씨 filed Critical 비.아이. 그룹 피엘씨
Publication of KR20080069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2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1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characterised by combining metal and synthe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05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for motor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4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synthetic material
    • B62D29/043Super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021/343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deformable body panel, bodywork or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Sheet including cover or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미네이트 구조를 가진 성형 열가소성 복합 시트(100)로서,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가 적어도 제1 커버층(112) 및 제2 커버층(114), 및 이들 커버층 사이에서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는 코어층(106)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층 각각이 섬유 강화된 것이고; 상기 코어층이 변형 금속 요소를 포함하여 이러한 변형 금속 요소가 없는 시트에 비해 변형 금속 요소가 정렬된 열가소성 복합 시트의 탄성 특성을 감소시키는 시트(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재료{COMPOSITE MATERIAL}
본 발명은 복합재료, 특히 차체 패널에 사용되도록 정렬된 복합재료에 관한 것이나,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적용가능하지만,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 차체 패널 분야에 관하여 두는 것이 유용하다.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차체 패널(예컨대 본넷, 후드)을 제조하는 것은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플라스틱 차체 패널은 열경화성 복합재료로 제조되지만, 열가소성 복합재료로도 제조가능하다. 열가소성 복합재료의 경우에 패널은 충격(탄성한계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탄력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열가소성 복합재료는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온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특정한 충돌, 예컨대 자동차가 보행자 또는 동물 등과 충돌하는 경우에는 불리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탄력적인 특성은 보행자 등을 자동차로부터 멀리 튕겨낼 수 있고, 그로인해 부상이 커질수 있다.
영국 특허 GB 305 694호는 중합체 내부에 위치한 금속 구조 부재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지는 중합체 재료를 가진 패널을 개시하고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첫 번째 관점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커버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구조를 가진 열가소성 복합재료가 제공되고, 커버층 사이에, 상기 재료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변형 금속 요소를 포함하는 코어층이 제공된다.
열경화성 재료는 너무 깨지기 쉽고 유연하지 않아서 충격에 적합하지 않는 경향이 있으므로 본 발명의 구체예로는 적합하지 않다고 여겨진다.
본 발명의 두 번째 관점에 따르면, 적어도 제1 및 제2 커버층을 가진 라미네이트 플라스틱 재료 구조를 포함하는 패널이 제공되고, 커버층 사이에서 패널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는 변형 금속 요소를 포함하는 코어층이 제공되어서 패널이 변형되는 동안 영구적인 변형이 가해진다.
일반적으로 상기 패널은 차체 패널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만 해당될 필요는 없으며 충격을 받는 어느 패널이라도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 번째 관점에 따르면, ⅰ) 적어도 변형 금속 요소를 포함하는 코어층 및 이러한 코어층의 어느 한쪽면에 커버층을 정렬하는 단계; ⅱ) 열과 압력을 가해 상기 층들을 통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패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방법은 차체 패널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만 해당될 필요는 없으며 충격을 받는 어느 패널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네 번째 관점에 따르면, ⅰ) 적어도 변형 금속 요소를 포함하는 코어층 및 이러한 코어층의 어느 한쪽면에 커버층을 정렬하는 단계; ⅱ) 열과 압력 을 가해 상기 층들을 통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재료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코어층은 변형 금속 요소가 정렬되어 있는 열가소성 재료의 매트릭스(matrix)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트릭스는 부착된 커버층과 변형 금속 요소 사이의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유용하다.
코어층은 베카르트(Bekaert)에 의해 시판되는 재료인 산토프렌(Santoprene, 등록상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관점에 따르면, 적어도 제1 및 제2 커버층을 가진 라미네이트 플리스틱 재료 구조를 포함하는 차체 패널, 예컨대 본넷이 제공되고, 커버층 사이에서 패널의 중앙 구역에 위치하는 다수의 금속 와이어를 포함하는 코어층이 제공되어서, 패널이 충격받는 동안에 중앙 구역에 영구적인 변형이 가해진다.
본 발명의 여섯 번째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섯 번째 관점에 따른 차체 패널을 가진 자동차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행자의 부상을 경감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원의 수반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을 단지 예로써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성형 복합 시트 내의 층들의 분해조립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층들중 하나의 확대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복합재료를 구성하는 부분의 차체 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A선을 따라 차체 패널을 절단한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제공될 수 있는 변형 금속 요소의 다양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분해된 형태로 도시된 성형 복합 시트(100)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는 다섯 개의 층(102 내지 110)을 포함한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다른 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는 맨 위의 두 층(102, 104)은 제1 커버층(112)이라고 정의될 수 있는 커버층을 함께 제공한다. 즉, 커버층은 2개의 서브층을 포함한다. 맨 아래의 두 층(108, 110)은 제2 커버층(114)이라고 정의될 수 있는 커버층을 함께 제공하고 또한 커버층은 2개의 서브층을 포함한다. 커버층 내에 다른 수의 서브층이 있을 수 있다. 제1 커버층(112) 및 제2 커버층(114) 사이에는 변형 금속 요소를 포함하는 코어층(106)이 제공된다.
가장 넓은 관점에서 변형 금속 요소가 복합 시트에 혼입됨으로써 복합 시트가 탄력적 성질을 나타내는 것을 실질적으로 정지시키거나 또는 적어도 감소시킨다. 예를 들면, 구체예에서 충격 동안에 시트가 영구적으로 변형되도록 정렬될 수 있다. 변형으로부터 회복이 있을 수도 있지만(즉, 부분적인 탄력적 성질) 변형 금속 요소는 대부분 시트에 충격을 가하는 물체를 되돌리는 에너지를 막아줌으로써 회복을 감소시킨다. 열가소성 중합체가 "기억"을 가지고 있어서 충격 후 원래의 형태로 회복되는 능력이 있다는 것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회복 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은 변형 금속 요소를 포함하는 코어층(커버층보다도 경성으로 생각될 수 있는)의 도입은 패널의 회복을 막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변형 금속 요소는 금속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다. 금속 매트릭스는 대게 철강 또는 합금강이지만, 그와 동시에 다른 금속합금, 예컨대 알루미늄 등도 될 수 있다.
도 1의 구체예에서는 변형 금속 요소를 포함하는 층(106)은 주위에 매트릭스가 없는 다수의 금속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비록 변형 금속 요소가 그밖의 다수의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지만 이러한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변형 금속 요소는 일반적으로 복합재료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열가소성 재료 매트릭스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변형 금속 요소가 열가소성 재료 매트릭스 안에 제공되는 구체예에서는 플라스틱 재료가 변형 금속 요소에 더 잘 부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다수의 코어층이 제공되며, 상기 코어층은 그 사이에 다른 층을 가질 또는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코어층은 그 재료가 사용되는 재료/패널의 특성에 맞게 재단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커버층(112, 114)은 다수의 서브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구체예에서 각각의 커버층은 섬유 강화의 0/90 레이업(ray up)이라고 정의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즉, 첫 번째 서브층이 0ㅀ로배치된 섬유를 가지고 두 번째 서브층이 첫 번째 서브층에 대하여 90ㅀ로 배치된 섬유를 가진다. 따라서, 커버층(112, 114)의 특성은 적당한 강화를 사용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재단될 수 있다.
따라서, 구조는 제1 커버층, 제2 커버층, 및 변형 금속 요소를 포함하는 코어층을 함께 가진 복합 레이업이라고 생각될 수 있다. 상기의 구체예에서 통합된 패널의 특성은 각각의 층의 특성과는 다르다.
섬유 강화를 사용하는 커버층의 이점은 증가된 열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안정성은 예컨대 자동차 패널의 적용에서 이득이 될 수 있으며, 패널이 그 조작 온도 범위(그 양극단은 -40℃로부터 130℃의 태양 부하 온도까지 이를 수 있음)에 걸쳐 현저한 팽창을 감당할 수 없다면 유용하다. 더군다나, 패널은 200℃ 정도의 온도에 패널을 노출시키는 페인팅 과정동안 오븐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큰 온도 범위의 관점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금속 요소의 열팽창에 커버층의 열팽창을 대응시키는 것은 이득이다. 이러한 대응은 커버층의 강화 섬유의 적당한 정렬에 의하여 성취될 수 있다.
열 안정성은 커버층 안의 강화 요소로 단방향성 섬유가 사용된다면 보다 더 증가될 수 있다. 커버층의 서브층이 실질적으로 단방향성으로 정렬된 강화 섬유를 포함하는 것처럼 전체 커버층은 다른 방향으로 정렬된 섬유를 포함한다.
각각의 커버층((112, 114) 또는 사실상 코어층) 내에 있는 서브층은 하기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배치된 섬유 강화의 프리프레그(pre-preg) 레이업; 불규칙 섬유 강화 열가소성 재료; 자체 강화 중합체 시트; 섬유의 준 등방성 레이업; 또는 짜여진 열가소성 복합 매트릭스 등. 커버층의 제조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층(106) 안의 변형 금속 요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표면 측면에서의 결점을 덮어 일반적으로 바깥 표면을 부드럽게 하기 때문에 유익하다. 이러한 결점은 일반적으로 증거 자국(witness mark)과 관련된다. 상기의 일반적으로 부드러운 표면은 패널 위에 양호한 페인트 마무리를 달성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차체 패널로 사용될 의도인 구체예(또는 사실상 패널의 높은 등급의 마무리가 요구되어지는 다른 적용)에서는 유익하다. 커버층의 서브층 내부의 실질적으로 단방향성 섬유의 사용은 패널 표면의 증거 자국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금속 변형 금속 요소는 하기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코드, 브레이드(braid), 천공성 시트 또는 메쉬(mesh). 와이어, 코드, 브레이드, 천공성 시트 또는 메쉬는 커버층 안의 플라스틱 재료와 양립가능한 열가소성 재료로 감싸질 수 있다. 도 5는 각각의 구체예를 도시한다. 도 5a는 다수의 와이어, 도 5b는 다수의 메쉬, 도 5c는 브레이브, 그리고 도 5d는 천공성 시트를 도시한 것이다. 이들 각각 또는 다른 변형 부재는 매트릭스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도 5e는 열가소성 재료 매트릭스(502) 내부의 다수의 와이어(500)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다른 형태의 변형 금속 요소도 유사한 매트릭스(502)안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도 1에서 도시한 층보다 더 많은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변형층을 포함하는 다수의 코어층이 있을 수 있다. 각각의 커버층 내부에 추가적인 서브층이 있을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예들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금속 요소를 포함하는 코어층이 전체 구역의 일부분에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정렬에서는 변형 금속 요소가 국부적 구역에 위치되도록 고려될 수 있다. 도 3은 중앙 구역(302)에 제공된 변형 금속 요소를 포함하는 코어층을 가진 차체 패널(300, 예를 들면 자동차 본넷/후드, 문, 윙, 지붕 등)을 도시한 것이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변형 금속 요소가 다른 구역, 예컨대 앞 또는 뒤 등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성형 복합 시트가 하나 이상, 예컨대 2, 3, 4, 10 또는 이들 사이의 수의 변형 금속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복합 시트는 다른 모양, 예컨대 원형 등의 모양의 변형 금속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속하는 당업자는 다른 용도에는 다른 구성이 요구되고 그에 따라 복합 시트가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즉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구체예에서 복합재료/차체의 구역은 변형 금속 요소가 제공되지 않은 구역 안의 두 커버층(112, 114)에 추가로 하나 이상의 충전-코어층(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코어층(400)은 충전-코어층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 요구될 경우에 전체 패널/복합재료의 두께를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하는 이점을 가진다. 상기 충전-코어층(400)은 일반적으로 커버층(112, 114)의 열가소성 재료 또는 사실상 실질적으로 동일한 열가소성 재료와 양립가능한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한다. 비록 도 4에서는 불규칙하게 배치된 짧은 섬유로 강화된 층을 도시하였지만 충전-코어층(400)은 강화될 또는 강화되지 않을 수도 있다. "양립가능"은 열가소성 물질이 열가소성 물질중 하나의 특성 또는 결합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서로 혼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양립가능한 열가소성 물질중 하나의 경우는 동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중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충전-코어층은 바람직한 패널의 두께로 재단하기 위하여 적당한 두께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널의 두꺼운 부분이 요구된다면 두꺼운 충전-코어층이 사용될 수 있고, 패널의 얇은 부분이 요구된다면 얇은 충전-코어층이 사용될 수 있다.
변형 금속 요소가 패널의 구역보다 작게 덮고 있는 구체예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변형 금속 요소를 포함하는 코어층(200)은 중앙 구역에 도시되어 있고, 충전-코어층(202, 204)는 코어층의 양 옆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구체예에서는 충전-코어층이 플라스틱 재료 매트릭스 내부의 불규칙 섬유로 강화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다른 구체예는 공지된 기술로 강화되어 또는 강화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4와 관련되어 설명된 차체 패널(300)은, 패널을 실질적으로 부드럽게 제공하여 그로부터 높은 등급의 페인트 마무리가 성취되므로 유리할 수 있다. 게다가, 변형 금속 요소는 패널의 변형 특성을 재단하도록 한다. 어떤 패널에서는 패널이 변형되어 탄력적 특성을 보여주지 않는다면 유리하다. 예를 들면 자동차 본넷/후드에서는 본넷/후드가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간다면(즉 탄력적 특성이 있다면) 자동차에 부딪힌 보행자의 부상은 커질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왜냐하면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는 패널에 의하여 보행자가 튕겨나갈 수 있고 따라서 부상이 더 커질수 있기 때문이다. 변형 금속 요소를 적당히 선택함으로 복합 열가소성 재료 패널은 영구적인 변형이 생기도록 제공될 있고, 그로인해 이 경우에는 보행자가 튕겨져 나가지 않는다.
열가소성 재료/차체 패널은 다수의 층들(예를 들면 도 1의 층들(102 내지 110))을 결합함(때로는 레이업으로도 언급됨)으로 당해 기술에 공지된 것처럼 가공할 수 있으며, 층들을 녹는 온도로 가열하여 압력을 가하여 층들을 통합할 수 있다. 예컨대 진공 통합, 압착 등의 과정을 사용하여 복합재료가 요구되는 형태로 통합될 수 있다. 레이업은 큰 부피 공정에서 기계로 자동으로 또는 작은 부피 공정에서 수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동 구조는 통합이 수행된 후의 결과이다.
패널을 통합함으로 복합재료 내부의 어떠한 가스 주머니도 실질적으로 제거되는 효과를 가진다는 것이 쉽게 인식된다. 그 결과 복합재료는 실질적으로 고체재료로 구성되게 된다.
변형 삽입물이 높은 열전도율을 가진 금속 또는 다른 물질이라면 통합 과정을 위하여 재료속으로 열을 전도하는 변형 금속 요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본원의 구체예에 제시된 과정에 의하여 성형 패널은 큰 굴곡 구역(예를 들면 자동차 본넷/후드)을 가지고 있지 않고, 따라서 변형 삽입물은 통합 과정 전에 변형할 필요가 없다. 즉, 상기 구체예에서는 시트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더 큰 굴곡이 있다면 통합 과정 전 층을 레이업 하기전에 변형 금속 요소를 변형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한 열가소성 재료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PET, PBT, 폴리카보네이트, 나일론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또는 열가소성 재료 블렌드(blend)이다.
커버층 및 코어층의 열가소성 재료로서 폴리프로필렌이 사용된다면 구조는 대략 1바(bar) 이상의 통합 압력에서 180 내지 220℃로 가열될 것이다. 다른 열가소성 재료는 상기 기술을 가진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인식되어 있는 다른 온도 및 압력이 요구될 것이다.
일 구체예에서는 변형된 코어층(106)은 베카르트에 의하여 시판되는 산토프렌(등록상표)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구체예에서 상기 층은 열가소성 매트릭스에 의하여 포위된 대략 1mm 정도 직경의 와이어를 포함한다. 이것은 도 5d에 도시된 구조와 유사하다. 그러나 다른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쉽게 알수 있다. 사실상 와이어의 지름은 1mm일 필요는 없으며, 0.1, 0.5, 2, 5mm 또는 이들 사이의 크기일 수도 있다. 이러한 다른 정렬에서 변형 금속 요소의 재료의 특성은 예컨대 금속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 가장 적합한 크기로 지시될 수도 있다.
비록 차체 패널과 관련하여 주로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구체예는 또한 충격을 받을 수 있는 어떠한 패널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길 표지판, 문의 패널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전형적인 패널의 두께는 대략 1 내지 10mm의 범위이다. 보다 일반적으로는 패널의 두께는 대략 5mm 이하이다.

Claims (33)

  1. 라미네이트 구조를 가진 성형 열가소성 복합 시트로서,
    상기 라미네이트 구조가 적어도 제1 커버층 및 제2 커버층, 및 이들 커버층 사이에서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는 코어층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층 각각이 섬유 강화된 것이고;
    상기 코어층이 변형 금속 요소를 포함하여 이러한 변형 금속 요소가 없는 시트에 비해 변형 금속 요소가 정렬된 열가소성 복합 시트의 탄성 특성을 감소시키는,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약 1 내지 5mm 두께인 시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변형 금속 요소가 브레이드, 와이어, 천공성 플레이트, 메쉬 및 시트 중 어느 한 형태로 제공되는 시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변형 금속 요소가 제공되는 시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커버층 내의 섬유 강화가 실질적으로 단방향성인 시트.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커버층이 다수의 서브층을 포함하고, 이때 각각의 서브층 내의 섬유 강화가 실질적으로 단방향성인 시트.
  7. 제 6 항에 있어서,
    각각의 커버층이 적어도 제1 서브층 및 제2 서브층을 포함하고, 이때 제1 서브층 내의 섬유 강화가 제2 서브층 내의 섬유 강화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90ㅀ로 정렬되는 시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형 금속 요소가 없는 코어층의 구역에 정렬되는 하나 이상의 충전-코어층이 제공되는 시트.
  9. 라미네이트 플라스틱 재료 구조를 포함하는 패널로서,
    상기 라미네이트 플라스틱 재료 구조가 적어도 제1 커버층 및 제2 커버층, 및 이들 커버층 사이에서 패널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는 코어층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층 각각이 섬유 강화된 것이고;
    상기 코어층이 변형 금속 요소를 포함하여 이러한 변형 금속 요소가 없는 패널에 비해 변형 금속 요소가 도입 정렬된 플라스틱 재료 구조의 탄성 특성을 감소시켜 충격 동안 영구적인 변형을 견디도록 하는,
    패널.
  10. 제 9 항에 있어서,
    약 1 내지 5mm 두께인 패널.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변형 금속 요소가 브레이드, 와이어, 천공성 플레이트, 메쉬 및 시트 중 어느 한 형태로 제공되는 패널.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변형 금속 요소가 제공되는 패널.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형 금속 요소가 없는 코어층의 구역에 정렬되는 하나 이상의 충전-코어층이 제공되는 패널.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넷(즉, 자동차의 후드)인 패널.
  15. 제 9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커버층이 실질적으로 단방향성으로 정렬된 섬유를 가진 하나 이상의 섬유 강화 서브층을 포함하는 패널.
  16. 제 9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커버층이 적어도 제1 서브층 및 제2 서브층을 포함하고, 이때 제1 서브층 내의 섬유 강화가 제2 서브층 내의 섬유 강화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90ㅀ로 정렬되는 패널.
  17. 제 9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커버층이 코어층과 동일한 또는 적어도 양립가능한 매트릭스 재료를 포함하는 패널.
  18. 제 9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체 패널인 패널.
  19. ⅰ) 적어도 변형 금속 요소를 포함하는 코어층 및 코어층의 어느 한쪽면에 섬유 강화 커버층을 정렬하는 단계; 및
    ⅱ) 열과 압력을 가하여 상기 층들을 통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패널의 제조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코어층이 실질적으로 패널의 전체 구역에 뻗어있는 제조방법.
  21. 제 19 항에 있어서,
    코어층이 패널의 전체 구역 미만으로 뻗어있는 제조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코어층이 뻗어있지 않은 구역에 충전-코어층을 제공하는 제조방법.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충전-코어층을 사용하여 패널의 두께를 재단하여 두꺼운 패널 또는 얇은 패널을 제공하는 제조방법.
  24. 제 19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어층이 변형 금속 요소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재료의 매트릭스로 제공되는 제조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변형 금속 요소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재료의 매트릭스가 베카르트(Bekaert)에 의하여 시판되는 등록상표 산토프렌(Santoprene)으로 제공되는 제조방법.
  26. 제 19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체 패널의 생산에 사용되는 제조방법.
  27. ⅰ) 적어도 변형 금속 요소를 포함하는 코어층 및 코어층의 어느 한쪽면에 섬유 강화 커버층을 정렬하는 단계; 및
    ⅱ) 열과 압력을 가하여 상기 층들을 통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28. 수반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에 기술되고 설명된 바와 실질적으로 같은 열가소성 복합재료.
  29. 수반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에 기술되고 설명된 바와 실질적으로 같은 패널.
  30. 수반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에 기술되고 설명된 바와 실질적으로 같은 복합재료의 형성방법.
  31. 수반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에 기술되고 설명된 바와 실질적으로 같은 패널의 형성방법.
  32. 통합된 구조를 포함하는 본넷과 같은 차체 패널로서,
    상기 통합된 구조가 적어도 제1 커버층 및 제2 커버층, 및 이들 커버층 사이에서 패널의 중앙 구역에 위치하는 코어층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층 각각이 섬유 강화된 것이고;
    상기 코어층이 다수의 금속 와이어를 포함하여 다수의 금속 와이어를 충격동안 패널에 편향되게 정렬하여 패널이 충격동안 영구적인 변형을 견디도록 하는,
    차체 패널.
  33. 제 9 항 내지 제 18 항 및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체 패널을 가진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보행자의 부상을 경감시키는 방법.
KR1020087013788A 2005-11-10 2006-11-06 복합재료 KR200800692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0522960.4A GB0522960D0 (en) 2005-11-10 2005-11-10 Composite material
GB0522960.4 2005-11-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237A true KR20080069237A (ko) 2008-07-25

Family

ID=35516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3788A KR20080069237A (ko) 2005-11-10 2006-11-06 복합재료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90053458A1 (ko)
EP (1) EP1945496B1 (ko)
JP (1) JP2009515729A (ko)
KR (1) KR20080069237A (ko)
CN (1) CN101309826B (ko)
AT (1) ATE477162T1 (ko)
DE (1) DE602006016152D1 (ko)
GB (1) GB0522960D0 (ko)
WO (1) WO20070546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79611B2 (en) 2016-10-04 2019-01-15 Hyundai Motor Company Hood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44893E1 (en) 2004-03-26 2014-05-13 Hanwha Azdel, Inc.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sheets with surface coverings
US8568853B2 (en) * 2007-12-14 2013-10-29 Hanwha Azdel, Inc. Lightweight thermoplastic composite including bi-directional fiber tapes
KR100971873B1 (ko) * 2008-01-31 2010-07-22 주식회사 한국화이바 운송차량용 일체형 복합소재 차체 및 그 제조방법
CN102099236B (zh) * 2009-03-30 2014-02-19 川崎重工业株式会社 铁道车辆结构体及其制造方法
MY163302A (en) * 2011-08-29 2017-09-15 Cytec Tech Corp Interlaminar toughening of thermoplastics
CA2820253C (en) * 2012-08-08 2020-10-27 Shrenik Shah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impact safety
DE102012018801B4 (de) 2012-09-22 2018-11-29 Daimler Ag Beplankungsbauteil für einen Kraftwagen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eplankungsbauteils
CN203864106U (zh) * 2013-11-22 2014-10-08 全耐塑料公司 预浸料制成的半成品及三维预成型体和包塑成型件
CN203792726U (zh) * 2013-11-22 2014-08-27 全耐塑料公司 预浸料制成的半成品及三维预成型体和包塑成型件
JP5959558B2 (ja) * 2014-03-13 2016-08-02 アイシン高丘株式会社 複合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6070670B2 (ja) * 2014-10-06 2017-02-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フード構造
US9409607B2 (en) 2014-12-31 2016-08-09 Impact Guard Llc Composite panel
CN104590397B (zh) * 2015-01-12 2017-05-10 湖南湖大艾盛汽车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轻量化的车身断面结构使用方法
US9724895B2 (en) * 2015-02-11 2017-08-08 Strongman Products Corp. Composite laminate with reinforcement of metal mesh
KR102349669B1 (ko) * 2017-12-28 2022-01-12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섬유 강화 플라스틱의 성형방법
EP3636517B1 (de) * 2018-10-11 2023-02-22 ELDA Entwicklungsgesellschaft mbH Sicherheitskabine für ein wohn- bzw. reisemobil mit deformationselementen
CN111098939B (zh) * 2020-01-02 2021-08-06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材料车体、复合材料铺层结构及铺层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44478A (en) * 1923-02-06 Calculating machine
GB305694A (en) 1927-11-08 1929-02-08 British Celanese New or improved composite material, and articles made with same
US4007724A (en) 1975-11-21 1977-02-15 Outboard Marine Corporation C. D. ignition system with noise rejection means
JPS5950870A (ja) * 1982-09-14 1984-03-24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複合外板
GB8400290D0 (en) * 1984-01-06 1984-02-08 Wiggins Teape Group Ltd Fibre reinforced plastics structures
DE3741669A1 (de) * 1987-12-09 1989-06-22 Basf Ag Faserverstaerktes, thermoplastisches halbzeug
JPH02134244A (ja) * 1988-11-15 1990-05-23 Toray Ind Inc 軽量複合材料
FR2645493A1 (fr) * 1989-04-11 1990-10-12 Renault Piece de carrosserie automobile a structure composite notamment capot
JPH03199045A (ja) * 1989-12-28 1991-08-30 Taiyo Kagaku Kogyo Kk 積層体
JPH04234635A (ja) * 1991-01-07 1992-08-24 Sekisui Chem Co Ltd 繊維強化複合体の成形方法
JPH04249144A (ja) * 1991-02-05 1992-09-04 Toyobo Co Ltd 自動車用パネル
JP2833378B2 (ja) * 1992-10-02 1998-12-09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多層積層板
US5866051A (en) * 1997-04-23 1999-02-0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making continuous glass fiber-reinforced thermoplastic foam sandwich composites
DE69936863T2 (de) * 1998-06-12 2008-05-15 Avery Dennison Corp., Pasadena Mehrschichtiger thermoplastischer film und seine verwendung im schildstanzverfahren
DE10114553A1 (de) * 2001-03-24 2002-09-26 Quadrant Plastic Composite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icken, thermoplastisch verformbaren, faserverstärkten Halbzeugs
JP4742437B2 (ja) * 2001-03-29 2011-08-10 東レ株式会社 自動車用パネル
DE10221582B4 (de) 2002-05-15 2005-02-10 Webasto Vehicle Systems International Gmbh Fahrzeug-Karosserieteil
US6699427B2 (en) * 2002-07-26 2004-03-02 Ucar Carbon Company Inc. Manufacture of carbon/carbon composites by hot pressing
US20060082168A1 (en) * 2002-11-28 2006-04-20 N.V. Bekaert S.A. Impact beam comprising elongated metal elements
NL1022706C2 (nl) * 2003-02-17 2004-08-19 Stichting Fmlc Laminaat uit metaalplaten en elkaar kruisende dradenlagen uit verschillende materialen in kunststof.
DE502004006889D1 (de) * 2003-09-06 2008-06-05 Porsche Ag Deckel für ein Kraftfahrzeug
JP3903134B2 (ja) * 2004-01-09 2007-04-11 日鉄コンポジット株式会社 耐衝撃、飛散防止複合材
US20050153120A1 (en) * 2004-01-14 2005-07-14 General Electric Company Multilayer product made out of a substrate and on either side at least one cover layer;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 multilayer product and painted multilayer product and process for painting a multilayer product
JP4051052B2 (ja) * 2004-07-09 2008-02-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ボンネットフード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79611B2 (en) 2016-10-04 2019-01-15 Hyundai Motor Company Hood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09826B (zh) 2013-05-15
EP1945496A1 (en) 2008-07-23
GB0522960D0 (en) 2005-12-21
US20090053458A1 (en) 2009-02-26
CN101309826A (zh) 2008-11-19
ATE477162T1 (de) 2010-08-15
WO2007054671A1 (en) 2007-05-18
DE602006016152D1 (de) 2010-09-23
JP2009515729A (ja) 2009-04-16
EP1945496B1 (en) 201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69237A (ko) 복합재료
EP1795434B1 (en) Bonnet for automobile
EP0592821B1 (de) Sprengschutzmatte
EP2316711B1 (en) FRP panel for automobile
EP1577084B1 (de) Kunststoff-Verbundscheibe für die Fahrzeugverscheibung
US20070230196A1 (en) Composite produc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A2164414A1 (en) Improved lightweight armored veh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JP2009515729A5 (ko)
WO2018194287A1 (ko) 차량용 백빔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DE102011109701A1 (de) Außenmodul mit einer Außenbeplankung für eine modular aufgebaute Gehäusekomponent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Außenmoduls
KR100814862B1 (ko) 범퍼 시스템
KR102019112B1 (ko) 자동차용 시트백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KR101994147B1 (ko) 섬유보강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918565B (zh) 含有可模塑碳纤维的a级部件
US20140065427A1 (en) Vehicle component including basalt and method for making same
EP3405336B1 (en) Moulded trim part for a vehicle
US20110297308A1 (en) Method of making automotive body parts
US6729676B1 (en) Hybrid composite reinforced door inner panel
US11414028B2 (en) Vehicular engine room manufacturing method
KR102291006B1 (ko) 고강도 경량 차량용 도어 임팩트 빔 제조방법
JPH0911818A (ja) フードインシュレーター
KR102415511B1 (ko) 차량 범퍼의 로워 스티프너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8130854A (ja) 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KR101746384B1 (ko) 복합판재의 헤밍방법
KR20040043006A (ko) 방탄헬멧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