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7587A - 컴퓨터 일체형 의자 - Google Patents

컴퓨터 일체형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7587A
KR20080067587A KR20080004651A KR20080004651A KR20080067587A KR 20080067587 A KR20080067587 A KR 20080067587A KR 20080004651 A KR20080004651 A KR 20080004651A KR 20080004651 A KR20080004651 A KR 20080004651A KR 20080067587 A KR20080067587 A KR 20080067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computer
joint
suppor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04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5197B1 (ko
Inventor
김재호
Original Assignee
김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7000866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70019783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70017636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70029782A/ko
Application filed by 김재호 filed Critical 김재호
Publication of KR20080067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27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with spea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47C7/386Detachable covers for head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23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with display screens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일체형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보다 편안한 자세로 컴퓨터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자세 조정이 용이하고, 등받이나 좌석의 각도가 조절되더라도 모니터와의 거리 및 각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컴퓨터 일체형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석하는 의자부와, 상기 의자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받침부와, 초박형 컴퓨터를 내장할 수 있는 컴퓨터 내장 테이블과 모니터를 포함하는 컴퓨터부와, 상기 의자부와 컴퓨터부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관절부 및 상기 관절부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키보드를 받칠 수 있는 키보드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컴퓨터, 의자, 일체형

Description

컴퓨터 일체형 의자 {Combined Chair for Computer}
본 발명은 컴퓨터 일체형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보다 편안한 자세로 컴퓨터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자세 조정이 용이하고, 등받이나 좌석의 각도가 조절되더라도 모니터와의 거리 및 각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컴퓨터 일체형 의자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컴퓨터 의자에 앉아 작업을 하는데, 이를 장시간 동안 하게 되면 자세가 불안정해지고, 신체에 무리가 가게 된다. 또한, 가정이나 학교, 사무실, PC방 등 컴퓨터가 설치된 곳에서 컴퓨터를 장시간 사용했을 때, 사용자의 눈, 목, 팔, 허리 등에 과중한 피로가 오게 되어 작업능률이 떨어지게 되고, 모니터와 신체 사이의 거리가 근접하게 되어 모니터에서 발생되는 다량의 전자파에 직접적으로 노출될 우려가 크며, 대부분의 사용자의 머리와 허리가 키보드 앞쪽으로 숙여지게 되어 피로가 더욱 가중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 들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컴퓨터 작업을 보다 편안한 자세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의자들이 개시되고 있는데, 이 또한 단순히 의자의 등받이나 좌석의 각도를 조절하는 데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컴퓨터의 모니터는 일반적으로 책상 위에 올려져 있고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를 위해 등받이를 뒤로 젖히게 되면 모니터가 멀어지게 되어 화면이 잘 보이지 않거나 키보드로 작업을 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의자와 컴퓨터 및 모니터를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안한 자세로 컴퓨터 작업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등받이나 좌석의 각도가 변함에 따라 모니터 또한 같은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일체형 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착석하는 의자부와, 상기 의자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받침부와, 초박형 컴퓨터를 내장할 수 있는 컴퓨터 내장 테이블과 모니터를 포함하는 컴퓨터부와, 상기 의자부와 컴퓨터부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관절부 및 상기 관절부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키보드를 받칠 수 있는 키보드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의자부, 컴퓨터부, 관절부 및 키보드 받침대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의자부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과, 상기 좌석의 일측 단부 상부에 설치되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머리받침부와, 상기 좌석의 일측면에 연결 설치되는 팔걸이부로 구성되되, 상기 등받이부와 머리받침부의 연결부 양 측면에는 스피커가 설치되고, 상기 팔걸이부에는 각도조 절이 가능한 마우스받침대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석에는 절첩 가능한 보조좌석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좌석과 등받이부의 사이에는 조절레버에 의해 위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보조 등받이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머리 받침부의 내부에는 스피커가 삽입 설치되고, 머리 받침부의 상,하부에는 머리받침용 스펀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받침부는 상기 의자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다리와, 상기 다리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는 받침대로 구성되되, 상기 다리와 의자부는 기어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기어가 설치되는 다리와 의자부의 연결부 주축에는 판스프링이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컴퓨터부는 상기 관절부에 연결 설치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상,하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컴퓨터 내장 테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테이블 연결부와, 상기 지지축에 연결 설치되는 전면스피커와, 상기 모니터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축의 상단에 상,하,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모니터 연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축의 하부에는 상,하로 회동이 가능한 발받침대가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관절부는 상기 의자부에 연결 설치되는 제1관절부와, 상기 컴퓨터부에 연결 설치되는 제3관절부 및 상기 제1관절부와 제3관절부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제2관절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관절부는 동시에 조임과 풀림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관절부와 제3관절부의 연결부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관절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인트 페탈 겸 보조 발받침대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관절부에는 홈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의자부와 관절부의 홈레일 사이에는 상기 의자부와 관절부에 연결 설치되는 컴퓨터부가 연동되도록 하는 연결바가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받침부는 상기 의자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의자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흔들의자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라운드가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전면에 설치되는 고정용 다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의 양 측면에는 회동 가능한 손잡이가 부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는 보조 손잡이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일체형 의자에 의하면, 컴퓨터와 모니터 및 의자를 일체로 하여 컴퓨터 설치 시 사용되는 책상 등이 필요없게 되어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고, 의자 또는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할 경우 모니터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 및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의자 및 등받이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의자에 누워서 영화를 감상할 수 있는 등 사용자가 원하는 자세로 컴퓨터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의 사용에도 사용자가 피로를 느끼지 않고 편안하게 작업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의자에 보조 등받이 및 보조 의자를 부가 설치하여 체격이 작은 어린이도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부수적으로 1개이상의 모니터를 추가로 달 수 있으며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일체형 의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보다 편안한 자세로 컴퓨터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자세 조정이 용이하고, 등받이나 좌석의 각도가 조절되더라도 모니터와의 거리 및 각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컴퓨터 일체형 의자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크게 의자부, 받침부(다리부), 컴퓨터부, 관절부(모니터지지대부) 및 키보드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의자부는 사용자가 앉아서 컴퓨터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성은 다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과, 상기 좌 석의 일측 단부 상부에 설치되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머리받침부와, 상기 좌석의 일측면에 연결 설치되는 팔걸이부로 이루어져 있다.
A.등받이부에는 25머리받침대와 등받이가 설치되어 있고 등받이에는 조절이 가능한 22보조등받이가 설치되어 있으며 좌석과 연결되어 있고 27.등받이각도조절레버에 의해 각도 조절이 되며 18.연결바에 의해 모니터지지부와 연결되어 있어서 등받이각도가 조절되면 모니터지지부도 움직이게 되어 있다.
스피커내장머리받침대 25.머리받침대에 24.스피커가 내장되어 있어서(도12) 5전방향스피커와 함께 입체음향을 제공해 준다. 귀에서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작은 소리에도 충분히 큰 음향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b-, f-와 같이 쿠션이 있는 스폰지를 머리를 기대었을때 머리모양이 망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보조등받이 20원터치보조등받이 조절레버(도11)를 이용해 사용이 편리한 보조등받이가 설치되어 허리를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도4). 허리받침이 좋기 위해서는 다양한 각도와 길이로 조절이 가능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 등받이와 2개 이상의 관절로 연결시켜야 한다. 하지만 2개 이상의 관절을 사용하면 사용할 때마다 2개 이상의 관절을 조이고 풀어줘야 한다. 이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것이라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원터치보조등받이 조절레버(도11)를 만들었다.d레버를 누르면 사다리꼴로 파인 f부에 의해 e부분이 붙게 된다. 그러면 다른 관절과 톱니로 연결된 a와 c가 함몰하여 연결이 해지된다. 이때 쉽게 복원시키기 위해 b스프링을 설치하였다.
연결바 18.연결바는 모니터지지부와 연결되어 있어서 등받이각도가 조절되면 모니터지지부도 움직이게 되어 있다(도2).이연결바는 등받이부와는 고정되어 있지만 모니터지지부와는 움직임이 자유롭게 홈레일로 연결되어 있다(도13). 이는 등받이가 움직이는 축과 모니터지지대가 움직이는 축이 다름으로 인해 생기는 문제(만약 모니터지지대와도 고정시키면 움직이지 않음)를 해소하기 위함이다.
B.좌석부에는 뒤가 약간 낮아 무게 중심이 뒤로 가게 만들어진 17.좌석과 상하회전이 되는 14.보조좌석이 부착되어 있다.14.보조좌석은 어린이나 신체가 작은 사람이 사용할 때는 보조좌석를 접어 좌석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도4).27등받이각도 조절레버와 28좌석각도조절레버가 있어서 등받이와 좌석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26팔걸이가 한쪽만 설치하여 왼쪽 움직임이 자유롭게 하였다.(본인은 현재 의자에 오른쪽 팔걸이를 하나만 사용함 의외로 움직임이 편하고 사용하기도 편함) 또한 26팔걸이에는 마우스받침대를 설치되었는데 7.마우스패드용관절로 인해 다양한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게 하였다.좌석부는 등받이부와 모니터지지대부 그리고 다리부와 연결되어 있는데 등받이부와 다리부는 각도조절을 위해 톱니가 형성된 기어로 연결되어 있고 모니터지지대와는 모니터지지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유격이 있게 연결되었다(도14).
각부와의 연결
다리부와의 연결-좌석과 다리가 고정되는 원리는 톱니로 된 좌석부의 C와 역시 톱니가 형성된 기어로 된 다리부의 E부분이 물리면서 고정이 되고 20레버를 돌리면 A와 B에 의해 C가 움직여 풀리게 된다. 이렇게 풀리게 되면 무게에 의해 좌석이 내려가는데 급속히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에 H판스프링을 넣어주었 다.H판스프링은 I부분에 의해 K축과 결합되어 있고 K축은 J좌석과 결합되어 있다. 하지만 M모니터지지대와는 결합되어 있지 않고 다리 축과도 결합되어 있지 않고 회전만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G부분은 F부분에 에 결합되어 좌석이 회전하면 H판스프링이 휘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좌석부와 다리부는 K축으로 톱니방식으로 연결되었고 등받이부 역시 같은 원리로 연결되었다. 하지만 모니터지지대부와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자유로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하지 않았다. 또한 K축안에 판스프링을 넣어서 좌석이 급히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였다.
C.관절부(모니터지지대부)에는 좌석부나 등받이부의 각도가 변함에 따라 모니터도 같이 움직일 수 있도록 좌석과 등받이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독립적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3개의 관절을 설치하였다(8,10,13). 각도 조절을 위해 3개의 관절을 일일이 풀고 조이는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중심에 있는 관절의 조임을 풀거나 조이면 나머지 두개도 동시에 조이거나 풀릴 수 있도록 하였다(도10). 이3개의 관절로 다양한 모양으로 트랜스폼이 가능하게 된다.(도8) 그리고 컴퓨터본체를 초박형으로 설계함을 원칙으로 테이블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지지대에 부착하였으며 회전이 가능한 발받침대도 부착하였다. 또한 전면스피커도 부착하였다. 그리고 길이조정과 전후좌우회전이 가능한 11키보드받침대를 설치하여 다양한 위치와자세에서 키보드를 사용해도 편안함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모니터지지대관절조인트와 제2관절 10.모니터지지대관절조인트와 제2관절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도10). 12조인트페달겸 보조발받침대로 사용하는 j"부분을 누르고 있으면 고정된다(발받침대로 사용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것을 반대로 밀어주면 관절부가 풀리는데 이곳 제2관절 뿐만 아니라 13제 1관절과 8제3관절 역시 풀리게 된다. 이로써 쉽게 각도조절(변형)을 할 수 있다. 그 원리는 도10에서 e"부분이 f"와i"에 의해 커지면 조여짐과 동시에 d"와 d1"를 밀어주어 h"와 c"를 밀어 다음 관절를 조여주게 된다. 상세도면을 보면 e"를 상세하게 그려놓았는데 k"입구와l"출구의 구경을 다르게 하여 f"볼이 들어오거나 나감에 의해 e"의 크기가 달라진다. 움직임을 따라가 보면 j"를 돌리면 나사로되어있는 i"가 돌아가면서 들어가게 되고 f"를 밀게 된다. 그러면 e"가 커지면서 밀착되는과 동시에 d"와d1"를 밀게되면서 c"와 h"를 밀어 다음관절을 고정시킨다.
테이블연결부 3.테이블은 컴퓨터본체이면서 무거운 책이나 서류들을 올려놓는 공간이다. 그래서 관절부가 느슨하면 안되는 곳이다. 그래서 이곳 관절부역시 톱니바퀴가 내장되어 있으며 한번의 조작으로 두곳의 관절이 조여지거나 풀려지게 하였다.(도9) 톱니로된 a'가 i'에 들어가는 고무밴드와 j'의 경사면에 의해 크기가 커지거나 줄어든다. 이움직임에 따라 연결된 부분이 움직이고 이에 다른 관절과도 조여지거나 풀어진다.
D.다리부는 등받이와 좌석이 완전히 뒤로 젓혔을때도 쓰러지지 않도록 충분히 크게 만들어졌으며 다른 디자인으로 제작된 다리부로 쉽게 바꿀 수 있도록 하였 다.
본 발명은 컴퓨터 일체형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보다 편안한 자세로 컴퓨터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자세 조정이 용이하고, 등받이나 좌석의 각도가 조절되더라도 모니터와의 거리 및 각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컴퓨터 일체형 의자에 관한 것이다.
도1 발명품의 부분 명칭
1.모니터
2.모니터연결부:상하 좌우회전이 가능한 연결부
3.컴퓨터내장테이블: 노트북용부속으로 설계된 초박형 컴퓨터를 내장할수 있는 테이블로 작업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4.테이블연결부: 상하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했으며 무거운 책을 올려 놓아도 버틸수 있도록 톱니바퀴로 연결되었다.
5.스피커: 전방향 스피커
6.키보드
7.마우스패드연결부: 다양한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다.
8.모니터지지대 제3관절: 모니터를 앞뒤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 제3관절
9.발받침대: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설치하였으며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10.모니터지지대관절조인트와 제2관절: 모니터지지대의 관절을 조여주고 풀어주는 조인트역할을 한다. 이조인트에서 풀어주면 13과8번의 관절이 동시에 풀려 모니터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11.키보드받침대:상하 좌우조절이 가능한 키보드받침대
12.조인트페달겸 보조 발받침대: 모니터지지대의 관절을 조이거나 풀어주는 페달로 평상시에는 보조 발받침대로 사용하다가 모니터지지대의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때 사용한다.
13.모니터지지대 제1관절: 모니터지지대 제1관절
14.보조좌석:보조좌석으로 키가 작은 어린이들이 앉을 경우 접을 수 있도록 하였다.
15.주축:모니터지지대와 좌석이 연결된 주축이다. 이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16.다리
17.좌석
18.연결바:등받이와 모니터지지대를 연결해주는 바로 좌석이나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면 연결바에 의해 모니터지지대가 움직인다.
19.의자받침대
20.보조등받이조절레버 :보조등받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이 레버를 당기면 보조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22.보조등받이: 허리를 받쳐주는 보조등받이로 위치의 조절이 자유롭다.
23.등받이
24.스피커:후방에 스피커를 위치시켜 입체음향을 제공함과 동시에 귀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시켜 상대적으로 작은 소리에도 충분한 음향을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25.헤드스피커겸 머리받침대
26.팔걸이
27.등받이각도조절레버:등받이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레버. 이 레버를 올리 고 등받이를 밀면 등받이가 내려간다
28.좌석각도조절레버 :좌석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레버. 이 레버를 올리면 무게에 의해 좌석이 내려간다.
도2 등받이를 뒤로 젖혔을 때의 움직임을 나타냈다.27등받이레버를 올린후 뒤로 젖히면 등받이가 뒤로 움직인다. 이때 등받이와 모니터지지대를 연결해주는 18연결바가 움직여 15축을 중심으로 모니터 지지대도 움직이게 된다.
도3 등받이와 좌석을 모두 젖혔을 때의 움직임을 나타냈다. 먼저 등받이를 젖힌 상태에서 28좌석레버를 올리면 좌석과 모니터지지대가 15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4작업대의 각도를 조절해 줄 수 있다.
도4 22보조등받이와 14보조좌석을 사용할때의 움직임을 나타냈다.허리를 좀더 받치고 싶으면 22.보조등받이를 적절히 조절하고 어린이가 사용할때는 22.보조등받이를 조절하면서 14보조좌석을 내리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5 흔들의자용다리부-흔들의자로 사용하고자 할때 다리부만 교체하여 상용할 수 있다. ㄱ-연결부 ㄴ-손잡이 ㄷ-바퀴 ㄹ-고정용 다리 ㅁ-라운드 ㅂ-손잡이 각도조절용 손잡이
도6 흔들의자용 다리부를 결합했을때 ㄱ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이 되면서 ㄹ-고정용다리가 밖으로 나오면서 넓게 벌어져 고정이 된다.
도7 흔들의자용 다리부를 결합후 흔들의자로 변형시킴
도8 다양한 모양으로 변형이 가능한 모니터지지대-모니터지지대에 관절 2개를 넣어 다양한 모양으로 바꾸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디자이너들에겐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도9 -3작업대의 관절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도면상단은 중요부분을 확대나타냈다.현재도면은 작업대가 관절에 체결된상태이다. 중요한 포인트는 톱니로된 a'가 i'에 들어가는 고무밴드와 j'의 경사면에 의해 크기가 커지고 줄어듬에 따라 관절이 조여지거나 풀어진다.
i'레버를 누르면g'부분의 경사면이 내려가면서 공간이 생긴다 이공간에 f'의 볼이 내려오게 되면 e'부분이 내려오게 된다.e'부분이 내려오면서 생긴공간으로 a'도 오무라들어 체결된 것이 풀리게 되고 접해있던 b'부분도 내려오게 된다 연결된 d'역시 내려오면서 이쪽 체결도 같이 풀리게 된다.
a'-톱니: 작업대를 연결한 관절이 맞물리는 부분으로 톱니로 구성되어 있다.관절
b'- 밀착부:관절에 있는 부속으로 c'스프링에 의해 a'톱니에 밀착되어 있어서 톱니가 커지고 작아짐에 의해서 d'가 움직여 관절이 체결 또는 해지 될 수 있도록 한다..
c'-스프링
d'-관절2체결부:관절이 모니터지지대부에 체결되는 부분으로 톱니로 구성되어 있다.
e'-경사부: 경사면이 있는 부분으로 톱니를 벌려주는 역할을 한다.
f'-볼
g'- 볼경사면: 볼을 올리고 내리는 경사면
h'-스프링 : 경사면이 항상 올라가 있어 체결이 유지되어 있도록 한다.
i'-레버: 이곳을 누르면 누르는 동안 체결이 해체된다.
j'-경사면: 톱니를 벌려주는 경사면
k'-날개: 톱니사이를 들어갈 수 있도록 날개가 달려 있다.
l'- 고무밴드홈 : 톱니가 오무라들수 있도록 고무밴드가 들어갈 수 있도록 홈이 파여 있다.
도10 모니터지지대의 관절부를 세부설명한 도면이다.e"부분이 f"와i"에 의해 커지면 관절이 조여짐과 동시에 d"와 d1"를 밀어주어 h"와 c"를 밀어 다음 관절를 조여주게 된다. 아래상세도면을 보면 e"를 상세하게 그려놓았는데 k"입구와l"출구의 구경을 다르게 하여 f"볼에 의해 e"의 크기가 달라진다.
a"-커버
b"-스프링
c"-1관절제2압착대
d"-1관절제1압착대
d1"-2관절제1압착대
e"-메인압착대 : 볼에 의해 메인압착대가 커지거나 적어지면서 관절이 고정또는 풀리게 된다.
f"-볼
g"-메인압착대 커버:4등분된 메인압착대를 고정해주면서 고무밴드가 들어있어서 작 게 쪼여주는 역할을 한다.
h"-2관절제2압착대
i"- 바 : 페달을 돌리면 바가 앞으로 움직이면서 볼을 밀어준다.
j"- 페달
k"- 큰홀:메인압착대의 내부 모습으로 볼에 위치한 부분은 큰홀로 되어있어 볼이 들어오면 메인압착대가 커지게 된다.
l"- 작은홀:작은 홀에는 b"스프링이 들어가 볼을 밀어주어 커진 메인압착대가 쉽게 작아지게 도와준다.
도11 보조등받이조절레버 - 보조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고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 a와 c의 톱니가 g축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d의 움직임에 따라 경사진면의 f에 의해 e가 움직이면 a와 c가 돌출 또는 삽입되면서 관절이 체결 또는 해지된다.
a:제1톱니바퀴-상단의 관절과 연결되는 부분
b:스프링-두 톱니바퀴가 항상 벌여져 있도록 설치함.손잡이를 누르면 압축되면서 톱니바퀴와 관절이 체결되었던 것이 풀어지지만 손잡이를 놓으면 이 스프링에 의해 다시 체결됨.
c:제2톱니바퀴 - 하단의 관절과 연결되는 부분
d :손잡이
e:제1톱니바퀴접촉부: f사다리꼴홈의 경사면에 닿는 접촉부
f:홈 : 제1 제2톱니바퀴를 모아주어 톱니가 내부로 숨어지면서 체결이 해지될 수 있도록 만든 홈. 사다리꼴또는 타원형 또는 평면
g:손잡이연결부
도12 25헤드스피커 - 머리를 받쳐주는 머리받침대에 스피커를 내장하여 작은 소리로 충분히 큰 입체음향을 즐길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머리받침용 스폰지를 구성하여 머리를 기대었을때 머리모양이 헝클어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또한 좌우 스피커가 회전이 가능하게 하여 앉은키가 작은 어린이가 이용할때는 스피커방향을 아래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a- :우퍼스피커
c- :소형스피커
b- :머리받침용스폰지
f- :머리받침용스폰지
e- :회전이 가능한 연결부
g- :회로기판
도13 18연결바의 움직임을 나타낸 도면. 등받이에서 시작한 연결바가 모니터지지대에 연결되는 부분을 18'홈레일로 구성하여 연결바의 움직임이 자유롭게 하였다.
18:연결바
18':홈레일
도14 15주축을 섬세 묘사한 도면이다.좌석이 고정되는 원리는 톱니로 된 좌석부의 C부분과 역시 톱니로 된 다리부의 E부분이 물리면서 고정이 되고 20레버에 의해 돌 아가면 풀리게 된다. 이렇게 풀리게 되면 무게에 의해 좌석이 내려가는데 급속히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에 H판스프링을 넣어주었다.H판스프링은 I부분에 의해 K축과 결합되어 있고 K축은 J좌석과 결합되어 있다. 하지만 M모니터지지대와는 결합되어 있지 않고 다리 축과도 결합되어 있지 않고 회전만 가능하도록 틈이 있다.G부분은 F부분에 에 결합되어 좌석이 회전하면 H판스프링이 휘어지도록 지지대 역할을 한다.
A:좌석용소걸쇠
B:좌석용대걸쇠앞부분
C:좌석용대절쇠뒷부분:톱니바퀴
D:주축내부
E:다리부접촉부:톱니바퀴
F:다리부판스프링연결핀고정홈
G:판스프링연결핀:
H:판스프링
I:판스프링연결홈
J:좌석부연결부
K:주축주관
L:주축보조관
M:모니터지지대연결부

Claims (15)

  1. 사용자가 착석하는 의자부와,
    상기 의자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받침부와,
    초박형 컴퓨터를 내장할 수 있는 컴퓨터 내장 테이블과 모니터를 포함하는 컴퓨터부와,
    상기 의자부와 컴퓨터부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관절부 및
    상기 관절부에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키보드를 받칠 수 있는 키보드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일체형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부, 컴퓨터부, 관절부 및 키보드 받침대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일체형 의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부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석과, 상기 좌석의 일측 단부 상부에 설치되는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상부에 연결 설치되는 머리받침부와, 상기 좌석의 일측면에 연결 설치되는 팔걸이부로 구성되되,
    상기 등받이부와 머리받침부의 연결부 양 측면에는 스피커가 설치되고, 상기 팔걸이부에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마우스받침대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일체형 의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에는 절첩 가능한 보조좌석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좌석과 등받이부의 사이에는 조절레버에 의해 위치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보조 등받이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일체형 의자.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받침부의 내부에는 스피커가 삽입 설치되고, 머리 받침부의 상,하부에는 머리받침용 스펀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일체형 의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의자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다리와, 상기 다리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는 받침대로 구성되되, 상기 다리와 의자부는 기어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기어가 설치되는 다리와 의자부의 연결부 주축에는 판스프링이 삽입 설치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일체형 의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부는 상기 관절부에 연결 설치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상,하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컴퓨터 내장 테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테이블 연결부와, 상기 지지축에 연결 설치되는 전면스피커와, 상기 모니터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축의 상단에 상,하,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모니터 연결부 그리고 옵션으로 1개 이상의 모니터를 추가로 달 수 있는 공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일체형 의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의 하부에는 상,하로 회동이 가능한 발받침대가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일체형 의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는 상기 의자부에 연결 설치되는 제1관절부와, 상기 컴퓨터부에 연결 설치되는 제3관절부 및 상기 제1관절부와 제3관절부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제 2관절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관절부는 동시에 조임과 풀림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일체형 의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절부와 제3관절부의 연결부에는 상기 제1 내지 제3관절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인트 페탈 겸 보조 발받침대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일체형 의자.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에는 홈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의자부와 관절부의 홈레일 사이에는 상기 의자부와 관절부에 연결 설치되는 컴퓨터부가 연동되도록 하는 연결바가 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일체형 의자.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의자부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의자부를 지지함과 동시에 흔들의자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라운드가 형성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전면에 설치되는 고정용 다리를 포 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일체형 의자.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양 측면에는 회동 가능한 손잡이가 부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는 보조 손잡이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일체형 의자.
  14. 제 4항에 있어서,
    보조 등받이부의 위치 및 각도 조절하는 조절레버를 구성함에 있어서 원터치로 상하관절을 동시에 조이고 풀림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일체형 의자.
  15. 제 7항에 있어서,
    컴퓨터 내장 테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테이블 연결부를 구성함에 있어서 원터치로 상하관절을 동시에 조이고 풀림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일체형 의자.
KR20080004651A 2007-01-16 2008-01-15 컴퓨터 일체형 의자 KR1009951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4559 2007-01-16
KR1020070004559 2007-01-16
KR1020070008662A KR20070019783A (ko) 2007-01-28 2007-01-28 컴퓨터와 결합된 의자
KR1020070008662 2007-01-28
KR1020070017636A KR20070029782A (ko) 2007-02-22 2007-02-22 컴퓨터와 결합된 의자3
KR1020070017636 2007-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587A true KR20080067587A (ko) 2008-07-21
KR100995197B1 KR100995197B1 (ko) 2010-11-17

Family

ID=39821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04651A KR100995197B1 (ko) 2007-01-16 2008-01-15 컴퓨터 일체형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19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6707A2 (es) * 2009-08-07 2011-02-10 Deisler Rigoberto De Leon Vargas Silla estacion de trabajo para computadora por accion mecanica
NL1040634C2 (nl) * 2014-01-27 2015-07-29 Techsupport V O F Inrichting omvattende een stoel en een beeldscherm.
KR20200100308A (ko) * 2019-02-18 2020-08-26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의자
KR20220135331A (ko) 2021-03-30 2022-10-07 윤혜진 트랜스폼 의자
CN115515457A (zh) * 2020-05-13 2022-12-23 玉财润 功能性复合桌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08159A4 (en) * 2011-05-12 2015-04-15 Chanseok Park COMPUTER CHAI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6707A2 (es) * 2009-08-07 2011-02-10 Deisler Rigoberto De Leon Vargas Silla estacion de trabajo para computadora por accion mecanica
WO2011016707A3 (es) * 2009-08-07 2011-11-10 Deisler Rigoberto De Leon Vargas Silla estación de trabajo para computadora por acción mecánica
NL1040634C2 (nl) * 2014-01-27 2015-07-29 Techsupport V O F Inrichting omvattende een stoel en een beeldscherm.
KR20200100308A (ko) * 2019-02-18 2020-08-26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의자
CN115515457A (zh) * 2020-05-13 2022-12-23 玉财润 功能性复合桌系统
KR20220135331A (ko) 2021-03-30 2022-10-07 윤혜진 트랜스폼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5197B1 (ko)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4604B1 (en) Waist supporting structure of a dual-layer chair back
KR100995197B1 (ko) 컴퓨터 일체형 의자
AU2008325366B2 (en) Device for chair
US8376463B2 (en) User adjustable wheelchair backrest mounting hardware
US20190082848A1 (en) Chair that adapts to multiple sitting positions
JP2013528101A (ja) 椅子
JP3177652U (ja) 椅子の座部ガイド装置
JP2006296960A (ja) マッサージ機能付き椅子
JP3169561U (ja) 椅子調整装置
CN212213172U (zh) 椅背组件和办公椅
JP2005192993A (ja) 着座具及び椅子
JP3137036U (ja) 椅子
JP2013255553A (ja) 背もたれの角度調整装置
KR200431469Y1 (ko) 등받이 조절 기구
CN209595226U (zh) 一种带双层翻转搁腿架的办公椅
KR101480285B1 (ko) 장애인용 무빙 의자
JP3242154B2 (ja) ソファ
CN209825912U (zh) 椅具的搁脚枕
WO2018196480A1 (zh) 多功能平衡椅
CN201668146U (zh) 一种坐垫和靠背可联动调节的座椅
KR100522345B1 (ko) 의자용 허리받침대
CN216135523U (zh) 一种多用途靠垫
KR20190050548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좌식용 등받이
JP2000270964A (ja) スイング式枕付腰掛
KR102616462B1 (ko) 3d 모션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