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469Y1 - 등받이 조절 기구 - Google Patents

등받이 조절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469Y1
KR200431469Y1 KR2020060016523U KR20060016523U KR200431469Y1 KR 200431469 Y1 KR200431469 Y1 KR 200431469Y1 KR 2020060016523 U KR2020060016523 U KR 2020060016523U KR 20060016523 U KR20060016523 U KR 20060016523U KR 200431469 Y1 KR200431469 Y1 KR 2004314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oning
main support
backrest
sleeve member
adjustment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65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 치이엥 왕
Original Assignee
치 치이엥 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 치이엥 왕 filed Critical 치 치이엥 왕
Priority to KR20200600165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4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4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4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등받이 조절 기구는 의자의 등받이와 시트 사이에 각을 이루고 배치되어 있는데, 슬리브 부재 속으로 미끄러져 수용되는 주 지지체, 및 위치결정 기어를 포함한다. 주 지지체는 중간 아래면에 아래쪽으로 돌출된 제한소자를 가지고, 중간 윗면에는 위쪽을 향해 탄성적으로 튀어나온 위치결정소자를 가지고 있다. 슬리브 부재는 아래면에 위치결정소자가 그 속으로 미끄러질 수 있게 길이 방향의 가이드 슬롯을 배치하고, 윗면에는 상기 탄성 위치결정소자가 그 속으로 미끄러져 들어가서 주 지지체를 조절된 위치에 결속될 수 있도록 위치결정홈을 가지고 있다. 위치결정기어는 슬리브 부재를 가로질러 회전할 수 있게 연장된 샤프트를 포함함으로써, 그 샤프트 상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소자의 누름 돌기가 주 지지체를 단단히 눌러 고정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Description

등받이 조절 기구 {BACKREST ADJUSTING MECHANISM}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등받이 조절 기구의 완전 분해 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부분 조립도이고;
도 3은 도 1의 완전 조립도이고;
도 4는 의자에 관한 본 고안의 등받이 조절 기구의 사용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등받이 조절 기구 부분을 확대한 도4의 원 표시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6은 의자에 관한 본 고안의 등받이 조절 기구의 사용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또 하나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등받이 조절 기구가 원래 위치로 복원된 것을 나타내는 도 6의 원 표시 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고안은 등받이 조절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자의 시트에 대응한 등받이의 높이와 거리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쉽고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등받이 조절 기구에 관한 것이다.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된 대부분의 책상용 의자는 등받이가 시트에 움직이지 않게 연결되어 있다. 즉, 등받이는 시트에 대응하여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등을 안락하게 지지하지 못할 것이다. 몇몇 책상용 의자들은 등받이를 시트에 피벗(Pivot) 연결하고 피벗 연결 부위에 등받이를 지지할 탄성소자(elastic element)를 장착하여 개량함으로써, 등받이에 힘이 가해지면 등받이가 뒤쪽으로 탄력적으로 흔들리게 하였다. 이러한 형태의 등받이 기능들은 흔들의자와 유사하게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며, 사용 시 더욱 안락함을 제공한다. 그러나, 사용자들의 체형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언제나 최적의 위치로 사용자의 등을 지지할 수는 없다. 키가 상대적으로 크거나 키가 작은 몇몇 사용자들에게는, 일반적인 책상용 의자의 등받이는 대개 사용자들의 등과 허리에 양호한 지지를 제공하지 않는다. 의자의 등받이와 시트가 독립적으로 조절되는 의자들도 몇 종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의자를 조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시트에서 일어나 등받이와 시트를 조작해야되는 데 사용자가 그런 조작을 하는 것 역시 불편하다.
이에 본 고안자는 종래의 의자들이 갖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등받이 조절 기구의 개발을 시도하게 되었다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의자 시트에 대한 등받이의 거리와 높이를 동시에 바꿀 수 있는 등받이 조절 기구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의자에 앉은 채로 사용자의 체형에 적합하게 등받이를 바르고 안락한 위치로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는 부품들을 포함하는 등받이 조절 기구를 제공함으로써, 등받이 조절 기구를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시트를 떠날 필요 없이 시트에 앉아서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시트에 대한 등받이의 높이와 거리를 쉽고 빠르게 조절할 수 있는 등받이 조절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조절 기구는, 주 지지체의 제 1 말단부는 의자의 등받이에 장착된 등받이 브라켓(bracket)의 하단과 연결되는 속이 빈 관형 부재(部材)이고, 그 아래면 중앙부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된 제한소자(limiting element)를, 그 윗면 중앙부에는 위쪽을 향해 탄성적으로 튀어 나오는 위치결정소자(locating element)를 가지는 주 지지체(main support); 주 지지체를 감싸는 제 1 말단부와, 제 1 말단부의 반대쪽에는 의자의 시트 아래 장착된 시트 브라켓의 양측면과 소정의 기울기로 맞물리면서 각을 이루고 연장된 제 2 말단부를 가지고, 제 1 말단부의 아래 면에는 길이 방향의 가이드 슬롯을 두어 주 지지체상의 제한소자가 그 슬롯 속을 통과하여 상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주 지지체와 슬리브 부재가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미끄러져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며, 또한, 윗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일련의 무바닥 위치결정홈(open-bottom locating recesses)을 배치함으로써, 주 지지체의 윗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위치결정소자가, 그 중 하나의 홈 속으로 탄성적으로 미끄러져 들어가서 주 지지체를 슬리브 부재에 결속시키는 슬리브 부재(sleeve member); 및 위치결정 기어(locating gear)를 포함하는데, 상기 위치결정 기어는 회전 손잡이에 연결된 외측 말단부와, 슬리브 부재의 중앙부를 가로지르는 내측 말단부, 및 샤프트의 중앙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소자(brake element)를 가지고 그 브레이크 소자의 한 면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된 누름 돌기(press lug)를 갖는 샤프트를 포함한다. 그 결과 샤프트가 회전 손잡이를 통해 회전될 때, 상기 브레이크 소자의 누름 돌기는 주 지지체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의 적어도 하나를 단단히 눌러서 슬리브 부재에 대하여 목적하는 신장 또는 수축 위치의 적정한 장소에 주 지지체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해 채용된 구조 및 기술적 수단들은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이들은 차례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 조절 기구의 완전 분해, 부분 조립 및 완전 조립 투시도이다. 그림에서 보듯이, 등받이 조절 기구는 주 지지체(1), 슬리브 부재(2) 및 위치결정 기어(3)를 포함한다.
주 지지체(1)는 속이 비어있는 관형 부재로서, 그 속으로 등받이 브라켓(4)의 아래쪽 전방으로 연장된 돌출부(41)이 끼워지는 제 1 말단부와, 제 1 말단부의 반대쪽에 덮개 판(16)으로 밀폐된 제 2 말단부를 가진다. 주 지지체(1)는 그 중앙부 아래면에서 위쪽을 향해 관통하는 관통 구멍(through hole)을 두어 볼트(14)가 주지지체(1)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관통 구멍을 통과하여 너트(141)와 결합되게 하고, 또한 윗면에는 길이 방향의 홈이 있어서, 그 홈의 중앙부에 위치결정 시트(locating seat: 13)가 끼워질 위치결정 구멍(locating hole: 12)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 시트(13)는 그 상단부에 제 1 탄성소자(132)를 수납할 공동(空洞, cavity: 131)이 형성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제 1 탄성소자(132)는 탄성력에 의해 외부 말단부에 있는 위치결정소자(133)를 바깥쪽 방향으로 밀치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위치결정 소자(133)는 구슬 모양의 볼(ball) 형태이다. 또한, 주 지지체(1)는 주 지지체(1)의 길이방향으로 양 모서리에 삽입되는 두 개의 미끄럼 방지 스트립(15)들을 가지며, 미끄럼 방지 스트립(15)들은 주지지체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에 소정의 거칠기를 제공하는 미세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 부재(2)는 주 지지체(1)와 결합되는 제 1 말단부와, 제 1 말단부의 반대쪽에 있는 시트 브라켓(5)의 양측면과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면서 맞물리도록 각을 이루면서 연장된 제 2 말단부를 가진다. 슬리브 부재(2)는 제 1 말단부의 아래 면에 길이 방향의 가이드 슬롯(guide slot: 23)을 배치함으로써, 주 지지체(1) 내부의 너트(141)가 가이드 슬롯(23) 내부를 관통하여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주 지지체(1)와 슬리브 부재(2)가 상호간에 미끄러지게 가이드할 수 있다. 슬리브 부재(2)는 슬리브 부재(2)의 양측면 중심부에 2개의 관통구멍(24)들을 두고, 2 개의 관통구멍(24)들과 상응하는 부위에 2 개의 절단홈(22)을 두고 있다. 또한 슬리브 부재(2)는 위치결정소자(133)의 미끄럼 경로를 따라 그 상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무바닥 위치결정홈(open-bottom locating recesses: 21)들이 배치되어 있다.
위치결정 기어(3)는 샤프트(31)와 회전손잡이(311)로 구성되어 있고, 이 샤프트(31)는 회전 손잡이(311)와 연결된 외측 말단부로부터 슬리브 부재(2)의 일 측면에 있는 구멍(24)을 통과하여 중앙부를 지나 슬리브 부재(2)의 다른 한 측면에 있는 구멍(24)을 통과하게 된다. 샤프트(31)의 중앙부에 위치한 두 개의 브레이크 소자(32)는 샤프트의 바깥을 향해 방사상으로 돌출된 누름돌기(press lug: 321)를 가진다. 두 브레이크 소자(32)는 각각 제 2 탄성소자(33)의 말단부와 연결시키고, 제 2 탄성소자(33)는 슬리브 부재(2)의 제 2 말단부 부근 측벽에 있는 고리 구멍(hook hole: 25)과 연결시킴으로써, 브레이크 소자(32)는 복원이 가능한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도 4 및 6은 등받이(40)와 시트(50) 사이에 있는 본 고안의 등받이 조절 기구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 및 7은 도 4 및 6에서 등받이 조절 기구에 대해 원 표시한 영역의 확대도 이다. 사용자가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시트(50)에 대하여 등받이(40)의 높이 및 거리를 조절할 때, 등받이(40)의 등받이 브라켓(4)와 시트(50)의 시트 브라켓(5)에 각각 연결된 주 지지체(1) 및 슬리브 부재(2)는,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면서 슬라이딩으로 이동한다. 도 4 및 5에서는, 등받이(40)이 시트(50)에 대하여 상부 및 후방으로 직각 및 수평이동함에 따라, 주 지지체(1)은 슬리브 부재(2)로부터 슬라이딩 되어 상호간의 거리가 늘어나게 된다. 또한, 도 6 및 7에서는, 등받이(40)가 시트(50)에 대하여 하부 및 전방으로 직각 및 수평 이동함에 따라, 주 지지체(1)는 슬리브 부재(2)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호간의 거리가 줄어들게 된다.
등받이(40)가 이동되고 있을 때, 위치결정소자(133)는 슬리브 부재(2)의 상부면에 있는 위치결정홈(21)을 따라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을 한다. 그리고, 등받이(40)가 소망하는 위치로 이동되면, 위치결정소자(133)는 위치결정홈(21) 중 하나와 결속되어 주 지지체(1)를 슬리브 부재(2)내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킨다. 이 때, 사용자는 손잡이(311)을 돌려 샤프트(31)와 샤프트(31)에 장착된 브레이크 소자(32)를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위치결정기어(3)를 조작하며, 그 결과 두 개의 브레이크 소자(32)에 붙어있는 누름 돌기(321)는 절단부위(22)를 통과하여 주 지지체(1)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에 붙어 있는 미끄럼 방지 스트립(15)을 하부 방향으로 단단히 누름으로써, 주 지지체(1)과 슬리브 부재(2)를 소망하는 위치에 설정시키며, 그 결과 등받이(40)는 시트(50)에 대해 사용자가 원하는 조절된 높이와 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제 적용에 있어서, 슬리브 부재(2)의 위치결정홈(21)은 일반적인 형태의 홈으로 제한될 필요는 없고, 각 홈(21)의 중심부에 작은 크기의 관통홈을 가지거나, 기타 다른 형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등받이 조절 기구는 의자 시트에 대한 등받이의 거리와 높이를 동시에 바꿀 수 있어서, 사용자가 시트를 떠날 필요 없이 의자에 앉은 채로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등받이를 바르고 안락한 위치로 용이하고 빠르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고안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8)

  1. 의자를 구성하는 등받이와 시트를 조절하는 등받이 조절 기구로서, 의자의 등받이에 장착된 등받이 브라켓의 하단부와 연결되는 제 1 말단부(전단부)를 가지는 속이 빈 관형 부재(部材)이고, 그 아래면 중앙부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된 제한소자가 있고, 그 윗면 중앙부에는 위를 향해 탄성적으로 튀어나온 위치결정소자가 있는 주 지지체;
    주 지지체를 감싸는 제 1 말단부와, 제 1 말단부의 반대쪽에는 시트 하부에 장착된 시트 브라켓의 양 측면과 맞물리면서 시트 브라켓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연장된 제 2 말단부(후단부)를 가지는 슬리브 부재; 상기 제 1 말단부의 아래 면에 길이 방향의 가이드 슬롯을 배치하고 상기 주 지지체상의 상기 제한소자가 가이드 슬롯을 관통하여 상부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주 지지체와 상기 슬리브 부재가 상호간에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기 슬리브 부재; 윗면에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일련의 무바닥 위치결정 홈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주 지지체의 상부에 있는 상기 위치결정소자가 상기 위치결정홈들 중 하나의 내부로 탄성적으로 삽입되고 주 지지체가 상기 슬리브 부재에 대하여 좌우로 이동하면서 상기 슬리브 부재 내의 적정한 위치에 결속되게 하는 상기 슬리브 부재; 및
    회전 손잡이에 연결된 외측 말단부와 상기 슬리브 부재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내측 말단부로 구성된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양 측면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소자; 적어도 한 면에서 방사상으로 돌출된 누름 돌기를 가지는 상기 브레이크 소자를 포함하는 위치결정 기어;
    위치결정 기어에서, 샤프트가 회전 손잡이를 통해 회전될 때, 상기 브레이크 소자의 누름 돌기는 주 지지체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의 적어도 하나를 단단히 눌러서 슬리브 부재에 대하여 목적하는 신장 또는 수축 위치에 주 지지체가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조절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소자는 위치결정 시트 상에 형성된 공동 내에 배치된 것으로서, 상기 위치결정소자는 상기 위치결정소자 뒤쪽 공동에 배치된 제 1 탄성소자에 의하여 바깥 쪽으로 밀쳐지며; 또한 상기 위치결정소자는 상기 주 지지체의 상부면에 마련되어 있는 위치결정 구멍 내에 고정되도록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조절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소자는 조인 볼트 및 너트 한 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조절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지지체의 길이 방향의 양 측면에는, 상대적으로 큰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결정 기어와 연결되는 브레이크 소자의 누름 돌기와 상응하는 위치에, 미세요철이 표면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 스트립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조절 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부재 중심부에 형성된 상기 위치결정홈들은 각각 관통구멍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조절 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지지체는 상기 제 1말단부의 반대쪽에 있는 제 2 말단부 덮개 판에 의해 밀폐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조절 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소자는 각각 제 2 탄성소자의 말단부쪽 표면 끝에 연결시키고, 제 2 탄성소자는 상기 슬리브 부재의 제 2 말단부 부근 측벽에 나 있는 고리구멍의 반대쪽 말단부에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샤프트를 풀었을 때 상기 브레이크 소자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조절 기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소자는 위치결정 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조절 기구.
KR2020060016523U 2006-06-20 2006-06-20 등받이 조절 기구 KR2004314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523U KR200431469Y1 (ko) 2006-06-20 2006-06-20 등받이 조절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523U KR200431469Y1 (ko) 2006-06-20 2006-06-20 등받이 조절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469Y1 true KR200431469Y1 (ko) 2006-11-23

Family

ID=41779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523U KR200431469Y1 (ko) 2006-06-20 2006-06-20 등받이 조절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46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785B1 (ko) 2011-06-17 2011-12-09 박영호 의자
KR101165997B1 (ko) * 2009-04-14 2012-07-18 인터슈툴 뷔로뫼벨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착석 가구 물품
KR101476675B1 (ko) * 2013-02-28 2014-12-26 주식회사 시디즈 등받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997B1 (ko) * 2009-04-14 2012-07-18 인터슈툴 뷔로뫼벨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착석 가구 물품
KR101092785B1 (ko) 2011-06-17 2011-12-09 박영호 의자
KR101476675B1 (ko) * 2013-02-28 2014-12-26 주식회사 시디즈 등받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4312B1 (en) Backrest adjusting mechanism
JP4934674B2 (ja) 椅子
EP0482439B1 (en) Chair seat mounting mechanism
KR200431469Y1 (ko) 등받이 조절 기구
US4607883A (en) Reclining mechanism for easy chair
KR100995197B1 (ko) 컴퓨터 일체형 의자
TWM419484U (en) Multi-functional chair armrest adjustment device
JP6248264B1 (ja) 立ち仕事兼用椅子
CN212213172U (zh) 椅背组件和办公椅
JP6172988B2 (ja) 椅子
US9770111B2 (en) Height adjusting mechanism and stool for dental practitioner
JP4027478B2 (ja) 椅子の肘掛け
JP2002119347A (ja) 椅 子
CN201668146U (zh) 一种坐垫和靠背可联动调节的座椅
JP2010115527A (ja) 椅子の背凭れ装置
JP4665494B2 (ja) 椅子
JP4491319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KR101552791B1 (ko) 자전거 운동이 가능한 의자
JPH0114216Y2 (ko)
JP4070182B2 (ja) 椅子
JP2003235670A (ja) 折り畳み式椅子
CN209825912U (zh) 椅具的搁脚枕
KR200202412Y1 (ko) 의자의 팔걸이 높낮이 조절구조
JP3103415U (ja) 椅子の座りパッドの調整構造
JP3118362U (ja) 椅子の調整式背もたれの連動調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